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어학원 교육서비스품질이 수강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어 학원과 방문 교육의 비교

        임송백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한국의 교육시장은 공교육에서 부족한 면을 사교육에서 보완하는 형태로 진행되면서 오히려 사교육 시장이 비대화 되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시장경쟁 상태로 돌입 된지는 이미 오래된 사실이다. 한국과 중국이 수교된 후 중국의 위상이 날로 상승함에 따라 중국어교육에 대한 관심도 날로 늘어나고 있다. 교육시장이 개방되고 중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중국어교육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중국어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수강생들이 첫째, 중국어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둘째, 중국어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 구성요인이 수강생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셋째, 중국어학원의 교육서비스 만족에 대한 결과로 나타나는 재수강의도와 구전의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수강생들이 만족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중국어학원이 마케팅을 전개함에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며 넷째, 미래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400부의 설문지를 서울권과 경기도 지역의 중국어학원과 중국어방문학습학원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배포하였고 중국어학원과 중국어방문학습학원에 각각 200부씩 배포하였다. 그 중 중국어학원에서 178부, 중국어방문학습학원에서 167부의 성실한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모두 분석에 사용되었다. 중국어학원교육서비스품질 요인의 신뢰도 계수 Cronbach' Alpha값이 0.67이상의 비교적 양호한 신뢰도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를 가지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어학원의 경우에는 20-40대의 성인들을 상대로 자기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시스템이 이루어져야 하고 홍보수단으로서 인터넷사이트관리와 학원의 이미지 관리에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방문교육의 경우에는 10대 중고교생을 상대로 학생들의 실정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하고 홍보수단으로는 인터넷사이트의 사용이 편리해야 한다. 둘째, 중국어학원의 수강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실정과 개성에 맞는 중국어교육이 필요하며 강사는 수업시간을 준수하며 수강생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방문교육학원은 특성상 강사가 방문하여 중국어교육을 실행하므로 수강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강사의 전문지식에 대한 교육, 수강생의 눈높이에 맞추는 프로그램 선택, 정확한 일정 전달 등 교육을 실시함과 동시에 인터넷사이트의 편리한 활용 등 방면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재수강 비율을 향상시키려면 중국어학원은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와 학원의 수강시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방면의 개선이 필요하고 중국어방문교육학원에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와 인터넷사이트의 활용, 강사에 대한 교육부분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강사에 대한 수업시간 준수와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등 방면의 교육이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현재 중국어학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강사에 대한 이런 방면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중국어교육에 있어 교육내용이 충실한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강사에 대한 수강생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교육과 수강생들에 대한 배려를 통하여 교육서비스품질을 향상시켜야 하고 중국어방문교육학원에서는 중국어학원에서 제기된 부분 외에도 강사에 대해 수업시간을 준수하고, 전문지식을 갖추며, 편견이 없고 수강생들을 정중히 대하는 교육과 인터넷사이트의 활용부분을 개선하여 서비스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의 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는 교육서비스품질 구성요소에 근거하여 중국어학원의 특성에 맞는 구성요소를 제시하였고 중국어학원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보고 PZB의 서비스품질 5차원을 중국어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차원으로 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중국어학원의 마케팅측면에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중국어학원의 시장을 세분화 하였고, 표적고객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데 시사점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이 수강생만족, 재수강의도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살펴보면 중국어학원의 경우 교육내용이 충실한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강사에 대한 수강생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해하며 수강생들에 대한 배려를 통하여 교육서비스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교육서비스품질이 수강생만족, 재수강의도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본다면 중국어 방문교육학원에서는 강사가 수업시간을 준수하고, 전문지식을 갖추며, 편견이 없고 수강생들을 정중히 대하며 인터넷사이트의 활용부분을 개선하여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방문교육의 경우는 학원과 달리 강사가 방문하여 교육을 진행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강사의 자질 또한 소홀히 할 수 없는 부분이다. 방문학원에서는 정기적인 발표강의와 강사회의를 소집하여 방문교육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토의하여 공동으로 해결책을 찾는 등 강사의 주인의식을 심어주어야 할 것 같다. 다섯째, 교육서비스품질이 수강생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과 재수강의도와 구전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이 모두 다르게 나타난 부분은 향후 교육산업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는 분이나 학원운영에 관계되는 종사자에게 학문적 성과와 더불어 학원경영에 유익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겠다.

      •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학습자를 위한 조사 的의 교육문법 연구 : 한국어와의 대조 분석을 통해

        김소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1

        本編論文主要以鄧守信的假說,通過漢·韓語的對比分析討論了母語爲韓語之漢語學習者的漢語助詞'的'的敎學語法排序。以下是本論文的主要內容 : 第一章 介紹本論文的目的和硏究動機,架構。 第二章 透過助詞'的'相關的文獻分析,来探讨'的'字的语法點。 第三章 透過'的'的語法點和韓語語法點對比分析,先出L1和L2相對應的語法點。 第四章 从L1为韓語的漢語學習者角度,进行'的'的语法點的難易度分析。然后透過「北京大學漢語語言學硏究中心」的文章分析,来进行各語法點內部排序。最后提出L1韓語的角度来學習L2漢語助詞'的'的敎學語法設計。 第五章 说明结论與研究限界。

      • 戰國中山國과 그 文字 硏究

        제유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06

        1978年於河北省平山縣進行了考古發握工作. 調査過程中發現了大量的墓葬, 器物和有銘文的靑鋼器. 根據硏究, 這些墓卽戰國時代中山國的王墓, 這次發現就證明了中山國的存在, 使我們了解中山國政治, 歷史, 文化等等. 發現的遺物中有銘文的器物有118件(鋼器90件, 玉器26件, 木器2件) 文字數總2458字. 本硏究是依據平山三器(中山王□擊, 鼎, □□圓壺) 銘文進行硏究. 第一章 是縮論, 槪要介紹本文寫作的方法和目的. 第二章 考察中山國歷史, 分寫兩部分. 第一部分是依據史書考察中山國歷史, 第二部分是依據銘文考察中山園歷史. 第三章 介紹中山國文物發掘槪況, 王陸形制和收藏器物. 第四章 硏究平山三器銘文內容. 第五章 硏究中山國文字字形. 第六章 爲本文的結論. 通過這些硏究過程, 可得到以下結論. 第一, 中山國歷史和文化方面 1. 可了解中山國王的世系. 銘文發現以前 我們以寫史書上記載的中山 國王只有三名 - 武公, 桓公, 尙王. 但發現銘文以後, 中山國王的世系 不只於三名. 其王名是如下 第1代 桓公, 第2代 成王, 第3代 □, 第4代 □□, 第5代 尙王 - 總五名. 2. 燕王쾌讓國手子之這一歷史事件時, 中山國攻打燕國. 從燕國奪得了不少的土地和城市. 這在史書上是沒有記載的. 但從平山所出좁鋼器銘文可 知當時中山也參加了伐燕的戰爭. 3. 銘文反復引用詩經, 尊尙祖先, 也出現道德觀念. 於此可知中山國的統治者當時奉行儒家的思想. 第二, 文字學方面 - 中山國文字字形與其先後文字比較硏究, 可抽出以下結論. 1. 與甲骨文字形和篆書字形相似的特多. 這就證明中國文字是從股代甲骨文到篆書一脈相傳. 2. 唯一於中山國文字可看的文字多. 3. 與同時代其他國家文字比較後, 發現繁化·簡化現象. 4. 中山國文字屬手三普系. 幷且有不少文字與□羌鐘和候馬盟書相同. 5. 與說文古文和三體石經古文相似的多. 可以了解這些古文的淵源是東方六國. 6. 中山國文字同字異體現象價明顯. 7. 爲裝飾性效果使用 '·' '□' '=' 等符號, 從此可了解他們흔重視文字的裝節性.

      • 《毛公鼎》명문의 문자학적 연구

        박석홍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606

        <<毛公鼎>>從一八四三年在陝西省岐山發現以來, 許多學者對<<毛公鼎>>所收的銘文進行過文字考釋、文意通讀以及音韻、語法等各方面硏究, 흘今發表的文章與著作흔多。本文參考已發表的著述, 根據文字學的知識從語言學的角度對<<毛公鼎>>銘文進行타所反映的西周後期金文的文字特徵的考釋。硏究議題主要有如下幾個方面。 一、銘文考釋 首先, 本文考釋<<毛公鼎>>所收的全部銘文, 着重考察文字的形、音、義以及其中所反映的西周金文的文字運用, 如通가、字義引伸等。在考釋之前, 設定隸定準則, 按照線條化和平直化等古文字演變過程中的規律判定隸定文, 然後考定今文字和本字的釋文。此後, 將全部銘文寫成今文字, 最後飜譯成韓文。 二、眞僞問題 目前學界公認爲<<毛公鼎>>是西周重器。但一些學者否定<<毛公鼎>>的歷史和文字的價値而認爲<<毛公鼎>>是騙造的僞器。考古學界得出結論幷用自然科學的先進考證方法痛斥前說, 列釋<<毛公鼎>>確實是眞器的種種根據。文字學界對"僞器說"至今尙未提出全面的理論觀點。因此, 本文主要利用字形比較、金文形體結構分析等文字學的硏究方法, 조出"僞器說"缺乏根據性的線索。 三、銘文斷代 <<毛公鼎>>是中國現傳靑銅器中銘文最多的文物, 規模屬于中大型, 銘文共有499字, 文體活潑雄厚。但到目前爲止, 對其屬于兩周何一時期的問題, 因文獻材料不足、器物時代特徵不突出、月相曆法記載全無, 學界意見仍是紛운衆說。 其中頗具影響之說, 卽"成王製作說"與"宣王製作說", 其代表分別爲董作賓與郭沫若兩位學者。 本文爲解決此器之製作年代問題, 依據<<毛公鼎>>所收銘文之形體演變過程中的特點, 將<<毛公鼎>>銘文與其他西周靑銅器銘文進行形體比較, 進而探討<<毛公鼎>>銘文之製作時期。我們發現<<毛公鼎>>銘文確有與西周初期銘文不同的文字特徵。由此可以推斷, <<毛公鼎>>銘文明顯地俱備西周中期後或後期初時的文字特徵, 遂可以否定"初期製作說"。但還是難于確定<<毛公鼎>>是屬于나一王在位時所作的具體問題, 尙需硏究文獻學、考古學等相關學科的最新硏究成果, 希望有關硏究者提供較爲科學的線索。 四、文字總數問題 學界對<<毛公鼎>>文字總數問題的觀點也紛운不一。其主要原因爲這樣幾個方面: 不能明確判定銘文字數之和爲銘文總數如何; 合文是否可看成一個字; 對西周銘文中常見的重文符號認識不足; 難以區分腐蝕的脫字等。因此本文對從<<毛公鼎>>中發現的合文、重文符號、腐蝕字進行硏究和分析, 從而考定<<毛公鼎>>共收錄銘文四百九十九字, 幷且發現四百九十九字中不重複的單字有三百一十四個。 五、文字運用及書寫特徵 本文從文字是語言的書寫形式的觀點出發, 考察<<毛公鼎>>銘文所反映的西周後期的語言現象, 重點考釋在甲骨文中未見的文字, 進而分析西周金文的形體結構特徵。通過硏究發現<<毛公鼎>>銘文中文字的簡化和繁化互相矛盾的文字現象。金文雖然具有保守性和穩定性, 但在幾百年的歷史演變過程中逐漸接近近代文字的形體結構。<<毛公鼎>>所收的文字資料也不例外, 由此可以將<<毛公鼎>>銘文歸屬於西周後期文字的範疇。 六、銘文形體結構及其在中國文字史上的地位 對<<毛公鼎>>銘文中未見于甲骨文的文字進行比較與結構分析過程中發現, <<毛公鼎>>銘文大部分都是形聲字。這說明 <<毛公鼎>>銘文與甲骨文或早期金文相比, 進一步發展了文字的表音性質, 反而減少了表意性的原始性質。령外, <<毛公鼎>>銘文中的通假現象較以前大幅減少, 主要原因是: 在<<毛公鼎>>時期, 後起形聲字已經增多, 不必用音同或音近的通가字來借指所要表達的意義。因此我們可以推定, <<毛公鼎>>時期, 文字在表現語言時已經較爲完備和自由。 本文對中國歷史上篇幅最長的銘文進行文字考釋與語言硏究, 不偏重銘文的通讀而重視從文字現象來考察西周後期語言文字問題, 進而把握<<毛公鼎>>銘文所記述的西周後期的文字面貌。

      • 초급중국어 학습자의 범주별 난점 및 교수방안 연구

        이진화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590

        This study is easier and more scientific for Chinese learners to learn Chinese. And I would like to give them who teach directly helpful information to choose comprehensive teaching skills. I composed survey questions based on a book which is used widely and asked 5 groups, about 130 learners questions. I arranged and analyzed those results into pronunciation, grammar and a vocabulary with 3 categories. It is summarily as follows. First, in 'the final of a syllable', here are indicated as difficult points that pronunciation is comforted to Korean [에] when combining basic single vowel [e] pronunciation and [i] pronunciation in pronunciation part 'vowel'. And pronunciation is comforted to Korean [어] when combining basic single vowel [o] pronunciation and [u] pronunciation. It is alike with Korean [으] when combining [zh, ch, sh, r] and [i] pronunciation. Those are also analyzed as such as transcriptional vowel ellipsis of special pronunciation, [ian] pronunciation enunciated with Korean [이엔] and [&uuml;] pronunciation. In the 'initial of a syllable', it was analyzed as difficulties such as [zh, ch, sh, r] pronunciation and [z, c, s] pronunciation. it was also difficult inscription to be 'u' such as pronunciation of combining [j, q, x] and [&uuml;] pronunciation. In the 'tone', it was analyzed as difficulties such as the third tone, tone change of ‘不’, ‘一’ and poorness of light tone treatment. Second, I classified and analyzed difficult points using 8 parts of speeches in a grammar part and divided into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after finding a point of misuse. Adverbs are pointed as a big trouble to beginners. Such is the next thing. Although learners are based on grammar knowledge,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y are confused, there were also misused cases which are influence of mother language Korean and influence of studying English for a long time. Third, I arranged and analyzed using wrong vocabulary into misuse of meaning and similarity of form in vocabulary part. Generally, a lot of learners committed misusing vocabulary because of confusing meaning. And there were also instances that they couldn't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 Although there are some boundaries in generalization and reliability, The study on the basis of categorial analysis as above established foundation which is understandable total aspects of instructionㆍstudying of primary chinese. Furthermore I think it will be given positive assistances through classificationㆍanalysis of difficulties. And I hope that it must be primary data for Chinese education more efficiently and more desirably. 본 연구는 중국어 학습자에게는 좀 더 쉽고 과학적이며 효과적으로 중국어를 접할 수 있게 하고, 직접 가르치는 교사들에게는 효율적인 교수 학습법을 취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현재 초급중국어 학습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 5개 집단 130여 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그 결과를 발음·문법·어휘의 세 범주별로 나누어 정리·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음 부분 중 '운모'에서는 기본 단모음의 [e] 발음과 [i] 발음이 결합할 때 [e] 발음은 우리말의 [에]에 해당한 점, [o]와 [u] 발음이 결합할 때 [o] 발음은 우리말의 [어]에 해당한 점, 설첨후음 [zh, ch, sh, r]과 결합하는 [i] 발음이 우리말 [으]에 가까웠던 점, 특정발음의 표기상 모음생략, [이엔]으로 소리 나는 [ian] 발음, [&uuml;] 발음 등이 난점으로 지적되었다. '성모'에서는 설첨후음 [zh, ch, sh, r]과 설치음 [z, c, s]의 발음, 설면음 [j, q, x]과 결합하는 [&uuml;] 발음은 표기상으로 'u'가 되는 점 등이 난점이었고, ‘성조’에서는 제3성과 '不', '一'의 성조변화, 경성처리의 미숙한 점 등이 난점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법 부분에서는 품사별로 난점을 분류·분석하였으며, 오용의 포인트를 찾아 실사와 허사로 구분하였다. 초급학습자들에게 있어서는 부사가 가장 큰 난점으로 지적되었고, 다음으로 수사와 양사가 그러하였다. 또 학습자들이 어법지식에 기초한다 하더라도 정확한 내용을 몰라 혼동하여 오용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았고,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과 오랫동안 학습해 온 영어의 영향으로 오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셋째, 어휘 부분에서는 잘못된 어휘 사용을 의미 혼동으로 인한 오용과 한국 한자어 의미에서 비롯된 오용으로 나누어 정리·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의미의 혼동으로 인해 많은 학습자들이 어휘 오용을 범했다. 또한 한국 한자어와 중국 한자어의 의미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한국식으로 오용하는 사례도 많았다. 위와 같은 범주별 분석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는, 일반화와 신뢰도에 있어 약간의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용적 측면으로 볼 때, 초급중국어의 교수·학습상의 전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본다. 또한 난점의 분류·분석을 통해 중국어 학습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보다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중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 한국어와 중국어의 닿소리 음소 및 그 변이음에 대한 조음음성학적 대조 연구

        범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15566

        이 연구는 조음음성학적 관점에 착안하여, 닿소리의 자질을 비교 제3항으로 삼아, 한국어와 중국어 닿소리 음소 및 그 변이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정밀하게 대조함으로써, 두 언어의 닿소리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그 대응 관계를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대조 결과를 중국인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론은 음소 대조, 변이음 대조, 대조 결과의 활용 등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대조 부분은 등가(等價, equivalent) 및 비교 제3항(tertium comparationis)의 원리에 바탕을 두어, 닿소리 간의 대응 관계를 찾아내었고, 활용 부분은 프레이토(Prator, 1967)의 난이도 가설에 근거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닿소리를 배울 때의 난이도 단계를 설정해 보았다. 제 2장의 음소 대조를 통해서, 한국어와 중국어 간에, 0:1, 1:0, 1:1, 2:1 따위의 대응 관계를 얻었다. 1:0의 관계는 한국어에 성문음이 있고, 중국어에 성문음이 없다는 것에서 생긴 것이고, 0:1의 대응 관계는 주로 중국어에 권설음이 있고, 한국어에 없다는 것에서 생긴 것이다. ‘긴장’ 자질로 인해 2:1의 대응 관계가 나타난다. ‘긴장’ 자질은 한국어 장애음에서는 변별 기능을 가지지만, 중국어 장애음(청음)에서는 변별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 1:1 관계는 비음과 설측음 사이, 그리고 한국어 격음과 중국어 유기음 사이에 일어난다. 제 3장의 변이음 대조 부분은, 변이음이 서로 다르게 실현되는 현상을 규칙화한 변이음 규칙을 중심으로, 각 언어 닿소리의 변이음을 기술하고 대조하였다. 한국어의 닿소리 음소의 변이음은 발성유형, 조음위치, 조음방법, 그리고 동시조음 등에 따른 변이음 규칙들이 적용되어 실현되고, 중국어의 닿소리 음소의 변이음은 발성유형과 동시 조음에 따른 변이음 규칙들이 적용되어 실현된다. 변이음 대조를 통해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간에 0:1, 1:0, 1:1, 2:0, 2:1, 4:1의 대응 관계를 얻었다. 그 결과 중국어 닿소리의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이 비교적 안정적이며, 변이음이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는 반면, 한국어 닿소리는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의 바뀜에 따라, 다양한 양상의 변이음이 실현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한국어는 첨가어이기 때문에 굴곡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고립어인 중국어는 그렇지 않다. 두 언어의 변이음 대조를 통해 한국어 닿소리의 발음 교육에서, 음소의 변이음을 무시하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제 4장에서는 음소 및 변이음 대조 결과를 활용하는 사례로써, 변이음 대응 관계를 바탕으로, 프레이토(1976)의 난이도 단계 가설을 적용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닿소리에서 겪을 어려움의 단계, 즉 난이도 수준을 설정해 보았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에게는 ‘긴장’ 자질을 구별하는 것이 가장 어렵고, 불파음화와 탄설음화, 설측음과 비음의 구개음화, 성문음의 유성음화와 구개음화, 그리고 강조하는 말에서의 목젖음화 현상 등으로 나타난 닿소리들이 그 다음으로 어렵다. 유기음, 경구개·파찰·유성음, 양순·마찰·무성음, 치조·설측음 등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다르게 해석되기 때문에 어려운 항목이 되고, 가장 쉬운 항목은 파열·유성음과 양순, 치조, 연구개 비음 따위이다. 끝으로, 이러한 대조 연구가 기여할 바를 간략하게 기술하면서,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more systematic and accurate contrast between phonemes and allophones of Korean and Chinese consonants, especially focusing on the articulatory phonetics, so to gain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onants by using the features of consonants as the terrium comparation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which confirmed that teachers may attain much more sufficient effects in pronunciation education if they have a good understanding on not only the phonology but also the phonetics systems of both the target language and the mother tongue. The main part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contrast of phonemes, the contrast of allophones, and the application of the contrastive result. In the part of contrast, I used equivalent and terrium comparationis principles to get the correspondence. In the part of application, I established the difficulty label of Korean consonants in case of being studied by Chinese students using the difficulty label hypothesis presented by Prator(1967). In chapter 2, by contrasting the phonemes of Korean and Chinese consonants, I got a set of correspondence such as 0:1, 1:0, 1:1, 2:1. Type of 1:0 is because of the glottal sounds, which exist in Korean, but not in Chinese. Type of 1:1 is because of the retroflex sounds which exist in chinese, but not in Korean. The feature ''tense'' caused type of 2:1 because ''tense'' is distinctive in Korean, but not in Chinese. Type of 1:1 exists between nasals, laterals, and aspirated stops. In chapter 3,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study, I first described the allophones, following the rules made by ruling the phenomena of the allophones'' realization. I got a result that the Korean consonants are applicable to the rules from phonation types, place of articulation, manner of articulation, and coarticulation, and the Chinese consonants are applicable to rules from the phonation types and coarticulation. Then, by contrasting the two kinds of consonants, I got a set of correspondence such as types of 0:1, 1:0, 1:1, 2:0, 2:1, 4:1. Therefore, I reached a result that Chinese consonants are relatively stable in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but Korean consonants are easily changable, which may be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the two languages; Chinese is a kind of isolating language, and Korean is a kind of agglutinative language. In addition, this kind of contrast shows that the allophones can''t be ignored in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In chapter 4, as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 of the part of contrast, I tried to get the label of difficulty in Korean consonants for Chinese students, based on the correspondence of the two languages. According to it, the most difficult consonants are those classified by ''tense'' feature and the secondly difficult ones may be the unreleased sounds, flaps, palatalized sounds of laterals and nasals, voiced and palatalized sounds of glottal, also uvulas in emphasize contexts. Aspirates, palatal-affricate-voiced sounds, bilabial-fricate-voiced sounds, alveolar-later sounds etc. are difficult because they are realized differently in Chinese. The easiest ones are voiced stops, bilabial nasals, alveolar nasals and velar nasals. In the last chapter, a relationship between this study and other fields are described briefly, and studies to do further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