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의 전환학습 경험연구

        고은경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of A Study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on Career Break This study aims to deeply explore the life events and contexts encountered by career-interrupted middle-aged women in their re-employment process and to examine how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ve learning manifests during this period. Based on this research objectiv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the life circumstances and contexts faced by career-interrupted middle-aged women in the re-employment process? Secondly, how do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these women manifest during the re-employment process? Thirdly, how does the life of career-interrupted middle-aged women change following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uitable for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in the re-employment process of career-interrupted middle-aged women. Purposeful sampling was used to select 11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middle-aged and married women in their early 40s to early 60s with at least three years of career interruption due to reasons such as marriage, child-rearing, or family ca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from May to December 2022, following a preliminary survey in March 2022. The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rough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from which concepts, categorization, and them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due to distinctive life cycle events such as marriage, pregnancy, and childcare and reported their desire to return to their previous jobs or seek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 reasons such as economic independence, social participation, self-development, self-actualization, overcoming empty nest syndrome, and preparing for a stable retirement. These career-interrupted middle-aged women encountered physic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nges typical of middle age throughout the re-employment process. They reflected on their past and the challenges faced in their lives, enhancing their coping abilities through this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process, beginning a self-discovery. Secondly, career-interrupted middle-aged women attained qualifications through various learning processes during the re-employment process and successfully re-employed, or engaged in hobbies or volunteer work; these processes made a notable shift in their perceptions. These women treated instances of job search failure as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They also made efforts to adapt to changes in their roles within the family and society, growing through their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and beginning to reflect this growth in their lives. Thirdly, an analysis of the life changes following the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middle-aged women revealed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of life: 'pursuit of sharing and value,' 'proactively and autonomously challenging,' and 'enhanc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Following their shift in perspective, the research participants discarded fixed mental frameworks and embarked on new changes, adopting more positive thinking and attempting a future-oriented transition in their lives. Additionally, they were forging intimacy and pursuing improved lives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Synthesizing these finding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areer-interrupted middle-aged women undergo a transformation in their lives in the process of re-employment, re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and experiencing a transition through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midst these changes. key word: middle-aged women, career interruption Women, reemployment, transformative learning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의 전환학습 경험연구 본 연구는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이 재취업 과정에서 겪은 생애사건과 삶의 맥락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전환학습 경험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놓인 삶의 환경과 맥락은 어떠한가? 둘째, 재취업 과정에서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의 전환학습 경험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셋째, 전환학습 경험 이후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의 삶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과정에서 전환학습 경험의 의미탐색에 적합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유목적적 표집에 의해 결혼 및 육아, 가족 돌봄 등의 이유로 최소 3년 이상 경력단절의 경험이 있는 40~60대 중년기 기혼여성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은 2022년 3월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2022년 5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하였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절차를 거쳐 개념, 범주화, 주제를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독특한 생애주기(결혼, 임신, 육아, 가족 돌봄)에 의해 경력단절을 경험하였으며 경제적 자립과 사회참여, 자기 계발과 자아실현의 욕구, 빈 둥지 증후군 극복, 안정적인 노후 준비 등의 이유로 일터로의 복귀 혹은 새로운 직업을 희망한다고 보고하였다.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은 재취업 과정을 통해 중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변화를 겪으면서 자신의 과거를 되돌아보고 이러한 반성과 성찰의 과정을 통해 대처 능력을 발휘하면서 자아 탐색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들은 재취업 과정에서 다양한 학습 과정을 통해 자격을 획득하고 재취업에 성공하거나 취미 혹은 사회봉사자로 활동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인식 전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기 경력단절 여성은 구직 실패 상황을 자아 성찰과 반성의 기회로 삼았으며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변화가 일어났을 때 역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며 전환학습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이를 삶에 투영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의 전환학습 경험 이후 삶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나눔과 가치를 추구하는 삶’,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도전하는 삶’, ‘타인과의 관계로 향상된 삶’의 세 가지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관점 전환 이후 고정된 틀을 버리고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면서 보다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삶의 전환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 맺음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향상된 삶을 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중년기 경력단절 여성은 재취업 과정에서 삶에 변환을 겪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반성과 성찰을 통해 삶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전환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중년기 여성, 경력단절 여성, 전환학습, 재취업

      • 중년기 여성용 수영복 개발과 착용성 평가

        이미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As swimming became popular among middle-aged women for healthcare and body shape care many swimwear brands are introducing swimwears. However, most of the swimwears are based on women in their 20s and are manufactured by using the grading system so it hardly fits middle-aged women’s body shape. Nevertheless, currentl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wimwear for middle-aged women is insufficient. This research shows both pattern development which considers aesthetic impression, morphological stability, kinetic function, movement function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development of swimwear which considers body shape and type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wimwear for middle-aged women and realize its factors. Moreover, the research focuses to develop patterns that can suit middle-aged women by finding appropriate materials and performing and evaluating wearing experiments. First, swimwear(product C) was select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four swimwears in the market. Secondly, to develop patterns for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were studied. Sliding gauge cross-sectional view, Moire Photography Contour, making of a plaster body, and somatic cell diagram were used in this research. Body surface shell was made and spread, by using the plaster body, to develop swimwear patterns suitable for middle-aged women. Through three times modification Research I swimwear pattern was developed. Wearing experiment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ver.24.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lected swimwears in the market and Research I swimwear which was made through body type analysis was done through a sensory test. To standardize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s body shape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between Research I swimwear, Research II swimwear (abdominal cover type), and Research III swimwear (All-in-one for swimwear). Below was an abstract of the result for the research 1. Through market research, a brand was selected and among its products, four pants with different sizes were chosen. In the research of both the selected pant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for research, it showed that for the size of pants one-third of its original size is suitable. Also, in the case of comfortableness and desig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terials for research and those in the market. 2. In order to analyze the body type of middle-aged women plaster body was used. After, the body surface shell was collected to develop a flat pattern. A pattern for a swimwear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elasticity and 10% reduction ratio was applied. Also, Moire photography was used to analyze the middle-aged women’s body type. Moreover, the sliding gauge was used to analyze the sectional shape of the middle-aged women’s body shape. 3. Research I swimwear pattern was developed by repeatedly comparing and modifying for three times both swimwear pattern which 10% reduction ratio was applied and body surface which was developed using a flat surface. 4. A sensory test was done to each observer and wearers for brand swimwear pants in a different size. A(triangular panties), B(20% of its size), C(30% of its size), and D(50% of its size) were used. As a result, satisfaction for armhole dip and leg dip was the lowest while product C received high scores. 5. When sensory test between swimwear C and Research I swimwear was done among observers and wearers Research I came out to be better as exposure on dips of the front neck, front armhole, and waist was lower. 6. Swimwear pattern (Research II) was developed from Research I to cover the abdomen. Also, to make correction effect for middle-aged women All-in-one for swimwear was designed and the pattern was developed to develop swimwear (Research III) which was to wear over Research I.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sensory test for three types of swimwear for research Research II was counted for its covering effect for the silhouette of waist and abdomen. Evaluations were favorable on the overall silhouette for research III which received a high score on the silhouette of waist, abdomen, breast, and hip. Swimwear developed by using patterns made for the research satisfied the outer design of the breast, hip, waist, and abdomen. Also, by minimizing the dip of neck, armhole, and thigh which middle-aged women hesitate to expose, produced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Until now there was no research on swimwear All-in-one pattern development for middle-aged women’s body shap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wimwear All-in-one could have an effect on covering the breast, abdomen, and hip so that it could satisfy the outer silhouette of middle-aged women. In conclusion, swimwear All-in-one was suitable for middle-aged women to wear ahead of wearing a swimwear for the purpose of correcting the typical body type of middle-aged women. This research on swimwear All-in-one pattern and abdomen covering model will be baseline data that could be a reference for swimwear brands. 중년기 여성의 건강관리와 체형관리를 위해 수영이 인기 있는 종목으로 부각되면서 각 수영복 업체에서는 수영복을 시판하고 있다. 그러나 시중의 제품들은 20대 여성체형의 표준화된 체형을 기준으로 그레이딩에 의하여 생산되었으므로 체형이 변한 중년기 여성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체형변화에 따른 중년기 여성의 수영복 개발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의 수영복에 요구되는 심미성, 형태적 안정성, 운동기능성, 동작기능성과 생리적 기능성을 감안한 패턴개발과 동시에 체형을 커버 할 수 있는 수영복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을 위한 수영복 개발의 목적과 더불어 구체적 요소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년기 여성의 체형적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수영복에 적합한 소재의 특성 및 체형을 커버할 수 있는 중년기 여성용 수영복 패턴 개발 및 착의성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대중성이 높은 시판 수영복 4종을 착의성 평가에 의하여 비교분석 후, 시판 수영복(제품 C)을 선정하였다. 연구 수영복 패턴 개발을 위하여 중년기의 신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에 사용된 연구자료는 슬라이딩게이지 단면도, 모아레사진 등고선, 석고체 제작 및 체표셀 전개도이다. 석고체는 기본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체표셀을 제작하여 전개시켜서 중년기 체형에 적합한 수영복 기본패턴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3차에 걸친 수정에 의하여 연구Ⅰ 수영복 패턴을 개발하였다. 착의평가 자료는 SPSS ver.24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선택된 시판 수영복과 체형분석을 통해 개발한 연구Ⅰ수영복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중년기 체형의 특성을 표준화하기 위한 연구Ⅱ 수영복(복부커버)과 연구Ⅲ수영복(수영전용 올인원)을 연구Ⅰ수영복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전반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판 수영복의 시장조사를 통해 선별된 브랜드에서 바지 길이별로 4종과 연구용 소재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바지길이는 3부가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연구용소재와 시판소재는 착용감과 외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 중년기 여성의 체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석고체를 제작한 다음, 체표셀을 채취하여 평면으로 전개시켜 기본패턴을 제작하였다. 수영복 소재는 스트레치성을 감안하여 축률 10%를 적용하여 패턴을 완성하였다. 또한 모아레 사진촬영을 통한 중년기 여성의 체형을 분석하였으며, 슬라이딩게이지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체형단면형상도를 분석하였다. 3. 수영복 소재에서 10% 축률이 적용된 패턴과 평면으로 전개된 체표셀과 중첩 비교하여 3차의 수정을 통해 중년기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연구Ⅰ수영복 패턴을 개 발하였다. 4. 시판 수영복의 바지길이 별로 시판 A(삼각), B(2부), C(3부), D(5부)를 착용 후 관찰자와 착용자 각각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바, 진동파임과 다리파임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바지길이는 3부인 제품C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5. 시판 수영복(시판 C)과 연구 Ⅰ 수영복을 착의 후 관찰자와 착용자를 통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차의 검정 결과, 앞목 파임, 앞진동파임, 등파임의 항목에서 신체노출이 적은 연구 Ⅰ 수영복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연구 Ⅰ수영복에서 중년기 복부커버를 위한 수영복 패턴(연구 Ⅱ)을 개발하였다. 또한 중년기 체형 전반을 보정하기 위한 수영전용 올인원을 디자인하고 패턴을 개발하여 연구Ⅰ수영복에 겹쳐 입은 수영복(연구 Ⅲ)을 개발하였다. 3종의 연구용 수영복을 관능검사에 의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연구Ⅱ 수영복은 허리와 복부부위의 실루엣 커버에 대한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연구Ⅲ 수영복은 허리와 복부 및 가슴, 엉덩이를 포함한 전체 실루엣에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된 연구 수영복 패턴으로 제작된 수영복은 중년기의 체형적 결함부위인 가슴, 엉덩이, 허리, 복부 부위를 외적으로 만족시켰으며, 수영복으로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설계하여 노출을 꺼리는 부위인 목, 진동, 대퇴부다리파임을 완화시킴으로써 노출에 대한 심리적인 면도 만족시켰다. 또한 중년기 여성용 체형에 적합한 패턴개발에 의하여 제작된 수영전용 올인원은현재까지는 연구된 바가 없다. 또한 수영전용 올인원을 착용함으로써 가슴, 복부와 엉덩이 등의 체형을 커버하는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중년기 여성의 외적실루엣도 만족시켰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년기 여성은 체형의 변화로 인하여 수영전용올인원을 착용한 다음, 수영복을 착용하는 것이 체형보정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복부커버형과 수영전용 올인원 패턴은 수영복 제조업체에 새로운 기초자료로 연구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중년기 가계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공교육비지출 유무를 중심으로

        趙慶珍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iddle-aged households'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grasped the level of living that middle-aged households want to live in the old age, analyzed the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savings of the middle-aged households, and surveyed the living cost preparation for the old age of the middle-aged households. Finally, fou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ousehold related factors, financial factors, the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nd savings that are affecting the preparation of living cost for the old age of the middle-aged households. For these specific research issues, data are from 3rd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surveyed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09. First, this study has selected the household heads in the middle age group(less than 65). Next, among them, household heads with one or more children have been selected. The final samples out of these procedure that had been selected were 757 households, which have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228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s and 529 non-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For the statistics, SPSS program(Version 19.0)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issue. Statistical method using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percentile, Chi-squre test,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85.1% of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s and 86.2% of non-expenditure households answered that they don't want to live together with children at the old age. And the reason for not living together is that they want to have independent life in the old age. The percentile of living together with children in old age was low, in the meanwhile, of which reason was less loneliness and financial difficulty, and it indicates that they are psychological and economic dependent on the children. More than 60% of both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and non-expenditure household wanted to live in the housing, apartment, residential facility for seniors in order. Observing the minimum living cost for the old age and adequate living cost after retirement for individuals and couples, the minimum living cost of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was 1.51 million Won for a couple and 0.96 million Won for individual, and the adequate living cost for old age was 2.20 million Won for a couple and 1.43 million Won for individual. For non-expenditure household, the minimum living cost for the old age was 1.44 million Won for a couple and 0.89 million Won, and the adequate living cost was 2.02 million Won for a couple and 1.30 million Won for individual. The highest percentile that take charge of the preparation for the old age was household head for both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and non-expenditure household. The first object from whom to receive the financial support was government. Also the household head of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and non-expenditure household answered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 is financial problem, health/medial problem, in order. While the most important issues when the society is setting up the preparation for the old age are health/medical problem, financial problem, and employment problem, in order. Second, observing human capital investment for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and non-expenditure household, the annual education expenditur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were 8.60 million Won, 7.28 million Won, and 2.50 million Won respectively for the expenditure household, while the annual education expenditure of non-expenditure household was 2.45 million Won. In the meantime, the number of public education student in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was 1.29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 buying private education was 1.28, while the number of family member buying private education was 1.13 in the non-expenditure household. Also, the percentile of savings in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and non-expenditure household were 30.3% and 28.4% respectively. As for the purpose of savings, on the contrary, the savings for the preparation of the old age in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was 34.4%, while it was 49.6% in the non-expenditure household. The household head’s saving amount of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was higher than that of non-expenditure household, but the household saving amount of public education non-expenditure household was higher than that of expenditure household. Third, the preparation for living cost for the old age, the method preparing for living cost for the old age, preparation type of living cost for old age, adequacy of preparation method of living cost for old age, reason for the inadequacy of preparation method of living cost for old age of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and non-expenditure household were observed. The percentile of living cost preparation for the old age was 55.7% for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while that of non-expenditure household was 47.4%. In the result of driving the preparation method of living cost for the old age into the preparation types, including personal preparation, pension system, and the children and relatives support, it showed 65.4% of personal preparation, 33.9% of pension system, 0.8% of the children and relatives support for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while it was 59.8% of personal preparation, 38.6% of pension system, and 1.6% of the children and intimate relatives support for the non-expenditure household. In the adequacy of preparation method of living cost for the old age, 54.3% of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s was inadequacy, and the reasons were urgent money spending necessity, 72.5%, and no room for preparation for old age, 24.6%. On the contrary, 59% of the non-expenditure households was insufficient, and the reasons why the preparation method is insufficient were no room for preparation for old age, 50.5%, urgent money spending necessity, 45.3%, and out-of-capability for preparation for the old age, 4.1%. Fourth, the logistic regression result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paration status of living cost for the old age is as follows.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living cost preparation for old age were life satisfaction, total household income, existence of financial assets, and economic independence status for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while they were total household income, existence of financial assets, economic independence, existence of household savings, adequate living cost(for individual) for the old age in the non-expenditure households. Comparing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living cost preparation for the old age between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and the public education cost non-expenditure household, in the meanwhile, total household income, existence of financial assets, and economic independence have influenced both groups. The variables appeared significantly only for the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household were household head's life satisfaction and annu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those for the non-expenditure household were existence of household savings and adequate living cost(for individual) for the old age. 본 연구는 중년기가계의 노후준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개인 및 가계의 노후준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중년기가계의 인적자본 투자의 중요성에 기초하여 교육비지출이 노후생활비 준비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가계관련 요인, 재정관련 요인, 인적자본 투자와 저축관련 요인 등을 선정하였다. 구체적 연구문제로, 중년기가계가 노후에 원하는 생활실태를 파악하였고, 중년기가계의 인적자본 투자 및 저축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중년기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 실태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중년기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가계관련 요인, 재정관련 요인, 인적자본 투자 및 저축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조사한 제 3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KReI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기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에 초점을 두었으므로, 가구주가 중년기(64세이하)에 속하면서 자신이 노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가계를 선정하고, 그 중에서 인적자본 투자와 저축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1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선정된 최종표본은 757가계이며, 인적자본 투자의 기준으로 정한 공교육비 지출유무에 따라 공교육비 지출가계 228가구, 공교육비 비지출가계 529가구로 구분하였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Version 19.0)을 이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에 앞서 기초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 가계인 중년기가계를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공교육비 비지출가계로 구분하여, 각 가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가계관련 요인 및 재정관련 요인, 인적자본 투자요인 및 저축관련요인 등의 단순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 검정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중년기가계가 노후에 원하는 생활, 필요노후생활비, 노후대책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및 교차분석과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중년기가계의 인적자본 투자 및 저축수준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공교육비 비지출가계의 연간교육비, 공교육비, 사교육비, 공교육비 대상자수, 사교육비 대상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t 검정을 수행하였다. 중년기가계의 노후준비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노후생활비 준비여부와 노후생활비 준비방법, 노후생활비 준비유형, 노후생활비 준비방법 충분성, 노후생활비 준비방법의 불충분 이유 등의 단순빈도와 백분율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공교육비 비지출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사용된 변수들의 다중공선성을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비지출가계가 노후에 기대하는 생활을 파악하기 위해 노후 자녀동거여부, 동거이유, 비동거이유, 노후 거주유형을 살펴 본 결과, 공교육비지출가계와 비지출가계 모두 자녀동거를 원하지 않는다가 각각 85.1%, 86.2%였으며, 동거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노후에 각자 생활을 유지하여 독립적 생활을 하고 싶기 때문이다. 한편 노후에 자녀동거를 원하는 비율은 낮았지만, 주된 동거이유는 외로움이 덜하고 경제적 능력이 없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중년기가계가 원하는 노후 거주유형으로는 공교육비 지출과 비지출가계 모두 60%이상이 단독주택이었고, 다음으로 아파트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에 요구되는 주택수요 전망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개인과 부부기준의 최소노후생활비와 적정노후생활비를 보면,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최소노후생활비는 부부기준 평균 151만원, 개인기준 평균 96만원, 적정노후생활비는 부부기준 평균 220만원, 개인기준 평균 143만원이었다. 또 비지출가계의 부부기준 최소노후생활비는 평균 144만원, 개인기준 평균 89만원, 적정생활비는 부부기준 평균 202만원, 개인기준 평균 130만원이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부부기준 최소노후생활비와 적정노후생활비는 개인기준의 2배보다 적으며, 부부기준의 적정노후생활비는 최소노후생활비의 1.5배, 개인기준의 적정노후생활비도 최소노후생활비의 1.5배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즉, 노후에 표준생활을 유지하려면 최저생활의 1.5배정도의 노후생활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후대책의 가장 주된 역할담당자는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비지출가계 모두 본인이라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경제적 도움을 받고 싶은 1순위는 정부, 2순위는 첫째 자녀로서, 가족보다 제3자인 정부에 의존하였다. 또,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비지출가계의 가구주는 본인이 노후대책을 세울 때 가장 중요한 문제가 경제적 문제, 건강․의료문제라고 한 반면, 사회가 노후대책을 세울 때 가장 중요한 문제를 건강․의료문제, 경제적 문제, 일자리 문제라고 하여, 개인과 사회의 노후대책에 대한 역할범위를 보여 준다. 둘째,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비지출가계의 인적자본 투자실태를 보면, 지출가계의 연간교육비, 공교육비 및 사교육비는, 각각 평균 860만원, 평균 728만원, 평균 250만원을 지출하였고, 비지출가계의 사교육비를 의미하는 연간교육비는 평균 245만원을 지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자녀를 두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학등록금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공교육비 대상자수는 평균 1.29명인 반면 사교육비 대상자수는 평균 1.28명이었으며, 비지출가계의 사교육비 대상자수는 1.13명이었다. 다음으로,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비지출가계의 저축 비율은 각각 30.3%, 28.4%를 보여 지출가계의 저축 비율이 더 높았다. 이는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가구주 연령이 비지출가계보다 낮고 가구주 중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높아 소득관리에 따른 저축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저축목적은 노후대비 저축이 34.4%인데 반해, 비지출가계는 49.6%였다. 특히 공교육비 지출가계는 노후생활대비 목적뿐 아니라 불의사고․질병예방, 인적자본 투자를 위한 자녀교육비 마련의 목적도 있어 저축목적이 분산되어 있지만, 비지출가계는 주로 노후대비 저축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가구주저축은 비지출가계보다 많았으며, 비지출가계의 가계저축이 지출가계보다 더 많았다. 이처럼 비지출가계에 비해 가구주저축액이 높은 것은 가구주의 연령이 낮고 취업률이 높아 저축할 여력이 있기 때문이며, 비지출가계의 가계저축이 높은 것은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 그간 축적된 자산에 기초한 가계저축이 더 많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비지출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실태를 보면, 지출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비율은 55.7%, 비지출가계는 47.4%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방법의 1순위는 근로활동이 가장 많았고, 본인․배우자의 공적연금, 일반적금 및 예금의 순이었으며 비지출가계는 본인․배우자 공적연금이 35.9%, 근로활동, 일반적금․예금의 순이었다. 다시 노후생활비 준비유형으로 구분한 결과, 공교육비 지출가계는 개인적 준비가 가장 많아 65.4%, 연금제도 활용 33.9%, 자녀 및 친지지원 0.8%, 비지출가계는 개인적 준비 59.8%, 연금제도 활용 38.6%, 자녀 및 친지지원 1.6%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저축목적 중에 자녀교육비 마련 목적의 비율이 비지출가계에 비해 높고, 공교육비 비지출가계의 저축목적 중에 노후준비 목적의 비율이 높은 점과 관련이 있다. 한편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방법의 충분성에서 충분하지 않은 경우는 54.3%였으며, 그 이유는, 시급하게 쓸 돈 필요 72.5%, 노후준비의 여유가 없음 24.6%였다. 이에 비해 비지출가계에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59%였으며, 불충분한 이유로는, 노후준비 여유 없음 50.0%, 시급하게 쓸 돈 필요 45.3%, 노후대비 생각 못함 4.1%이었다. 즉, 공교육비 지출가계는 자녀교육비 지출과 같이 시급하게 쓸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노후생활비 준비방법이 불충분하며, 비지출가계에서는 노후준비를 할 경제적 여력이 없어 불충분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비지출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공교육비 지출가계에서는 가구주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가계총소득이 많을수록, 금융자산을 보유할 때, 경제적 독립성이 있을 때, 사교육비를 많이 지출할수록, 노후생활비 준비를 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 비지출가계에서는, 가계총소득이 많을수록, 금융자산을 보유할 때, 경제적 독립성이 있을 때, 가계저축이 있을 때, 노후에 기대하는 적정생활비(개인)가 높을수록 노후생활비 준비를 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공교육비 지출가계와 공교육비 비지출가계의 노후생활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비교해 보면, 가계총소득, 금융자산 유무, 경제적 독립여부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공교육비 지출가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가구주연령, 연간사교육비였으며, 공교육비 비지출가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가계저축 유무, 노후적정생활비(개인)였다. 특히 공교육비 지출가계에서 사교육비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난 것은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학령기자녀가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육열에 의한 사교육비 지출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공교육비 비지출가계에서 가계저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가구주 연령이 높고, 자녀교육비 지출이 끝난 상태이기 때문에 재정상태의 여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공교육비 지출가계의 인적자본 투자와 비지출가계의 저축요인이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중년기에 나타나는 가정의 위기와 극복을 위한 방안연구

        윤기덕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정과 교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중년 기인들의 위기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중년기는 인생주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중년의 정의와 증상들을 알아보았으며 무엇 보다 교회내의 중년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하면 가장 중요한 단계에 있는 이 시기의 위기를 극복할 것인가 생각해 보았다. 그리스도인들이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개별화 내지 개성화를 통하여 위기를 극복하는 것과 가족관계를 통하여 극복하는 것과 목회자를 통하여 교회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여러 가지 위기 극복 방안을 연구하였다. 중년기의 사람들은 대부분 가정, 사회, 직장에서 중요한 책임을 맡은 자들이며, 영향력을 많이 행사할 수 있는 자들이기에, 바른 자아관, 바른 자존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개인뿐만 아니라, 가정, 사회에까지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중년기의 여성들의 경우, 자아정체감, 묻혀있던 자아출현에 따른 욕구, 변화하는 역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갈등으로 많은 우울증과 위기감을 느끼며, 중년기의 남성들은 직업의 성공을 통해 자아성취와 자존감의 고취, 심리적인 만족감을 가지지만, 배우자의 의존성이 감소됨에 따라, 자신이 가진 정체성을 이룰만한 기회를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이 중년기의 위기감은 성별간의 심리적 특성뿐 만이 아닌, 신체적, 생물학적 특성, 가족관계, 사회 경제적 특성, 부부관계 등 다양한 변인들을 가진 복합적인 양상이다. 이런 중년기의 문제는 비단 비기독교인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중년기 기독교인들은 가정, 사회, 직장, 교회에서 비중 있는 책임과 위치에 있기에 압박과 부담을 느끼고, 완전히 치유받지 못한 상태에서 치유자로 서야 하기에 많은 스트레스와 상실성, 위기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년기의 상실성과 위기감을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자는 기독교적인 가정사역의 사례를 주로 참고 하였으며, 개인적인 연구로는 사역자로서 교회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역방안 및 자세에 대하여 다루었다. 앞에서 우리는 중년기의 위기를 예방하고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방안들을 검토해 보았다. 부부관계를 촉진시키고, 중년기의 상실감과 위기감을 극복하기 위해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효과를 발휘한다는 점을 인정할 수 있다. 각 교회에서도 이러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중년기 위기의 극복 방안에 대한 성경적인 예비책은 체계적으로 세워져 있지 못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끊임없는 연구와 적용을 통하여 올바른 모델들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각 교회에서는 잘 훈련된 기독교적 가정사역을 위한 지도 자의 배출이 시급한 과제이다. 또한 앞의 연구에서 제시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이 교회의 형편에 따라 지혜롭게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러한 프로그램이 완벽한 것이 아니며, 완전한 극복방안이 아니라, 중년 위기를 극복하는 다양한 접근이라는 것이다. 중년기의 기독교인은 하나님에 대한 일대일의 인격적인 관계를 성립하여, 그 관계를 바탕으로 부부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때 가정과 교회, 사회에서 자신의 위기와 상실감을 훌륭하게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인은 가정 사역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나에게 주어진 달란트라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여러 사람들과의 상담을 통해 비교적 좋은 성과들을 거두었다. 항상 좋은 결과가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그러한 과정들을 통하여 더욱 준비되어 감을 느낀다. 긍정적인 사고와 깊은 이해의 마음, 성실함과 인내로서 하나님의 선하신 뜻을 이루어 가고 싶다. 대학원 과정을 생각하면 시간이 빠르게 지나갔음을 느꼈다. 생각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고, 많은 도전들이 나에게 다가왔다. 개인적으로 부부관계에 적용을 통하여 친밀감 있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중년이 위기를 잘 극복해 나가기를 간절히 소망하게 되었으며, 또한 나에게 닥칠 중년의 위기에 대해서도 준비할 수 있는 마음을 갖게 되었다. 앞으로도 중년의 위기에 대해 더욱 관심 있는 연구를 시작하는 기점이 될 것이다.

      • 중년기 주부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족생활교육 요구도 분석

        예창명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년기 주부가 중년기의 위기감을 수반하는 이 시기를 잘 적응하도록 하고 더 나아가 보다 생동감 넘치게 생활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한 가족생활교육내용과 실시방법에 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중년기 주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년기 주부의 가족생활교육내용과 실시방법에 관한 요구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취업여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가족생활 교육내용이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여 보다 실제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수행을 위하여 가족생활교육의 원리 및 가족생활교육 개발을 위한 개념틀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가족생활교육내용 척도와 가족생활교육 실시방법에 관한 척도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배경 변인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며 중학생 이상의 자녀를 둔 40-59세의 중년기 취업주부 및 비취업주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질문지는 취업주부 336부, 비취업주부 292부로 총 628부이다. 표집된 자료는 SAS Program Package를 사용하여 신뢰도, 요인분석, 문항분석, 빈도, 백분율, 평균, x²-test, ANOVA, t-test를 구하여 유의도 검증 및 사후검증법(Duncan's Multipul Range Test)등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주부의 대부분이 가족생활교육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생활교육내용 요구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다음과 같이 조사되었다. 중년기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가 가장 원하는 부부관계영역에서의 가족생활교육내용은 '자녀양육을 중심으로한 부모역할에서 부부생활을 중심으로한 남편과 아내의 역할로의 전환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내용'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영역에서는 '질병에 대한 지식과 가족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에 관한 내용'이었다. 그리고 의사소통영역에서는 '효율적으로 대화하는 방법에 관한 내용'이며 가정경영영역에서는 '노후를 위한 경제적인 계획에 관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관계영역에서 취업주부가 가장 원하는 교육내용은 '부모와 자녀사이에 갈등이 있을 때 이를 잘 해결해 나가는 것에 관한 내용'이었으며 비취업주부는 '자녀의 진로지도에 관한 내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여부에 따른 중년기 주부의 가족생활교육내용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부모-자녀관계영역 및 의사소통영역 그리고 가정경영영역의 일부 문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즉 부모-자녀관계영역의 '자녀를 잘 독립시키는 것에 대한 교육내용'과 의사소통영역의 '의사소통 장애요인에 관한 교육내용'에 있어서 비취업주부에 비해 취업주부가 더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 이에 반하여 취업주부가 더 높은 요구도를 보인 문항은 가정경영영역에서의 '만족스러운 구매결정 및 구매 정보의 습득에 관한 교육내용'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취업주부의 가족생활교육내용 요구도는 배경변인 종교에 있어서 자아통찰영역과 대인관계영역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활동참여도는 대인관계영역과 가정경영영역에서, 건강상태는 부부관계영역과 자아통찰영역, 대인관계영역, 가정경영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즉 종교가 기독교인 취업주부가 개인내적영역과 대인관계영역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건강상태가 좋은 주부의 경우 부부관계영역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 비취업주부의 가족생활교육내용 요구도는 종교와 자녀수 그리고 건강상태 배경변인이 부모-자녀관계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소득은 자아통찰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사회활동참여도는 가정 경영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건강상태가 좋은 편이거나 보통인 경우는 부모-자녀관계영역에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다섯째, 취업여부에 따른 중년기 주부의 가족생활교육 실시방법에 관한 요구도는 과거의 교육참여여부와 프로그램 참여의사 그리고 교육실시기관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과거의 가족생활교육 참여여부와 앞으로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사는 비취업주부에 비하여 취업주부가 더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실시기관은 취업주부가 기업이나 직장단체에서의 교육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비취업주부는 전문연구단체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중년기 주부들이 가족생활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무척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아울러 중년기 주부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난 가족생활교육내용 및 실시방법을 기초로 하여 중년기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거의 모든 중년기 취업주부들(91.3%)은 가족생활교육을 간절히 받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생활교육 실시기관으로 가장 요구도가 높았던 것은 바로 직장의 연수원에서 교육받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각 기업에서는 가정생활의 원활함은 직업능률화와 직결되므로 직무능력 향상교육의 일환으로 가족생활 교육을 정규교육화하여 실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any middle aged wives can experience a mid-age crisis while they are going through the changes psychologically, physically and also in the family relationships. However, they have difficulty finding the right place to resolve their conflicts and their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family life education can help the middle aged wives to resolve their problems and to keep their lives healthy. The purpose can be detailed as follows : First, the study will explore the needs and the application method that the middle aged wives want from this family life education and then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s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wives. Second, I will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needs among the middle aged working wives based on the variables such as religion, number of children, health condition, income, and frequency in social participation. Third, I will als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needs among the middle aged non-working wives based on the same variables mentioned earlier. For this purpos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628 persons whose ages fell between 40 to 59,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questions in this questionnaire were categorized into 7 areas; spousal relationship, parent-child relationship, interpersonal relationship, health, home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self-insight. Be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he factor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mean, t-test, chi-square,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rough the SAS program package. Major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First, the most demanding education content in the area of the spousal relationship was the helping program to smooth out the role change from parent-child relationship focused to spousal relationship focused. In term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working wives demanded conflict resolution skill training program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ile non-working wives showed the highest interest in guiding their children's future. Study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wives in the area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communication, and home management after the review of the need assessment for family life education. In detail, working wives showed higher interest in educating the children more independent than non-working wives. Working wives also showed higher interest than non-working wives in the education content about the factors for communication problems in the communication area. About the application method in the family life edu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wives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the problem solving method or follow-up meeting in the family life education,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t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and the education setting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wives. That is, working wives participated in the past education program more than non-working wives, and they have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program than non-working offered by their own company, while non-working wives preferred the professional agency for this purpose. Second, after the review of the differences based on the variables(religion, number of children, income, frequency in social participation, health condition), the needs on family life education among working middle aged w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elf-insight and interpersonal area depending on their religion. That is, the working wives whose religion is Christianity showed higher interest in terms of self-insigh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needs also varied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ome management depending on their frequency in social participation. The more frequent social participation, the higher interest in the area of home management. The working wives who maintained relatively good health, displayed higher interest in the spousal relationship Thir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eds depending on variables such as religion, number of children, and health condition in term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mong non-working wives. That is, the higher needs were addressed by the non-working wives whose religion were Christianity and Buddhism and who have 2 children in the area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his study, about 91.3% of middle aged working wives expressed that they want the opportunity for family life education. The program setting which was preferred was their own work environment. Thus, the companies should consider about having a regular program for family life education in the work place for the job efficiency sake since good home life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job efficiency. I strongly believe that this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needs of middle aged wives will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lives and they will experience self-growth through this family life education.

      • 중년기부부 위기극복을 위한 목회적 돌봄

        김민철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한국 사회는 산업화 이후로 전통적 가족관계가 점점 붕괴됨으로써 당위성에 의한 부부관계를 더 이상 유지하기 힘든 상황에서 중년기 부부는 여러 가지 갈등으로 인하여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중년기 부부의 위기는 성경에 등장하는 위기의 부부들이 위기상황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는가 하면, 위기를 잘 극복하지 못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 것처럼 부부가 중년기에 나타나는 여러 증상이나 사건을 어떻게 이해하고 느끼느냐에 따라서 부부관계가 더 성장 혹은 성숙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퇴보나 심지어 파경으로 갈 수도 있다. 점점 더 복잡해진 사회구조 속에서 중년의 위기를 겪고 있는 부부에게 훈련된 본 교회 목회자는 교인과의 관계에서 새벽기도, 주일, 수요예배, 속회 등 많은 시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교인의 생활양식과 가치관, 인간관계에서 겪는 갈등과 위기상황에 대하여 잘 알고 있으며 교인들이 신뢰하며 상담할 수 있는 관계라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훈련된 본 교회 목회자는 중년기 부부의 위기 상담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연구자가 교회에서 실시한 가정생활 프로그램이 갈등을 겪고 있는 중년기 부부들에게 위기를 극복하는데 많은 영향과 도움을 준 사실이 연구 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다. 더 나아가 교회 내의 갈등을 겪고 있던 부부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나서 또 다른 위기 부부들을 돕는 가정 사역자가 된다면 더 많은 중년의 위기 부부들이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게 되리라 확신한다.

      • 중년기 퇴직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경력성공의 매개효과 및 지속학습활동의 조절효과

        홍성은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문개요(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퇴직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지속학습활동의 조절효과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중년기 퇴직불안으로 인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에서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만 40세~만 65세까지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IBM SPSS 26.0과SPSS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였다. 5.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년기 퇴직불안이 주관적 경령성공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중년기 퇴직불안이 높을수록 주관적 경력성공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독립변인인 중년기 퇴직불안은 우울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지만 반면에 매개변인인 주관적 경력성공은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경력성공은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중년기 퇴직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관적 경력성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학습활동은 주관적 경력성공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중년개 퇴직불안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지속학습활동의 조절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와 실무적인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과제를 위한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주제어 : 중년기 퇴직불안, 주관적 경력성공, 지속학습활동, 우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on the effect of middle-aged retirement anxiety on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effect of controlling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on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on middle-aged adults from 40 to 65 years old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in Korea. IBM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4.1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t was analyzed using 5.0 statistical programs and amos 26.0.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retirement anxiety in middle ag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alarm success,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was fou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er the retirement anxiety in the middle age, the lower the level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independent variable, middle-aged retirement anxi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 parameter,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Subjective career succ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career succ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in middle age on depression.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ies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xiety in middle-aged dog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cademic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necessity for subsequent research projects was discussed. Key words : Retirement anxiety, Middle age retirement anxiety, Depression, Subjective career success, Learning Activity

      •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이보은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e ageing era, elders who faced old age without preparation are causing various social problems and ways of preparing for old age are emerging as important social issues. However, middle-aged adults who need to prepare for their later life are having difficulty in preparing for their own later years due to the increased period of supporting parents and excessive education expenditure of their children.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burdens on middle-aged people’s preparation for later life, this study surveyed the middle-aged people between 40 to 59 years of age living in Seoul from Jun 25 to Aug 16, 2018, and used total 286 copies excluding the ones with unreliable response on the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most people had college graduation or further degrees, and highest percentage for occupation was unemployed(including housewife). Many people had 2 children, and 4~4.99 million won was the highest fo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Child support expense and supporting expense of parents showed a considerable difference as less than 500,000~1 million won was the highest for child support expense and less than 500,000 won was the highest for supporting expense of parents. Secondly, for degree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the respondents, most people believed that they need to prepare for their later life and believed that 40’s was the most appropriate time to start preparing for their later life. Less than 200,000∼500,000 won(33.9%) was the highest for monthly saving for later life and pension, 58.3% responded that retirement saving they were preparing for was inadequate, and national pension was the highest for preparation method for later life(31.9%). The overall preparation score for later life was 48.26 out of 100. Thirdly, according to the burden of family support of the middle aged, it was identified that people feel more burden by child rearing than supporting parents as the average of child rearing burden was 3.07 points and burden for supporting parents was 2.65 points. Fourthly, for degree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2.99 pts) was being prepared well followed by preparation for leisure(2.96 pts), economic preparation(2.85 pts), and social relationship(2.83 pts) in later life. Fifthly, parenting burden in middle a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ge, career, and child rearing expense; female, 40s, unemployed (including housewife), and higher child rearing expense showed higher burden for child support. On the other hand, it was identified that female, unemployed (including housewife), and higher parent child support expense showed higher burden for supporting parents as a sense of burden for supporting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career, and parent support expense. Sixthly,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middle aged peop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at is, those who were older, with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higher monthly household income prepared better for later life.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preparation for later life, it was identified that age, academic backgrou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burden for child rearing made significant effects on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number of childre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burden for child rearing on preparing for social relationship in later life; and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and child rearing burdens on preparation for leisure. Those who were female, older, had higher academic background and higher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had fewer child and lower child rearing burdens showed higher degree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verified child rearing burdens and burdens for supporting parents of middle-aged people at the same time. Also, this study has verified by subdividing preparation for later life into physical, financial, social relationship, and preparation for leisure. Suggestions for social welfare alternativ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reduce child rearing burden of middle-aged people,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education policy that can reduce burden of expense by child rearing and to develop a variety of jobs and employment education for adult children. Also,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for systematic preparation for later life needs to be developed and conducted on middle-aged people, and requires social attention such as campaign for preparation for later life. Moreover, design program for preparing later life is considered necessary for various social classes such as people just starting out in their career and newlyweds early to prepare for aging period that became longer. Lastly, it would be necessary to balanc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child rearing and to put effort to raise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later life. Keywords: middle-aged people, family support burdens, child rearing burdens, parent support burdens, preparation for later life 고령화 시대에 준비되지 않은 노후를 맞이한 노인은 여러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후를 준비하는 방법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자신의 노후를 준비해야 할 중년기들이 부모 부양 기간의 증가 및 자녀의 과다한 교육비 지출 등에 대한 부담으로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59세의 중년층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25일부터 8월 16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8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학력의 경우 전문대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직업에서는 무직(주부 포함)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명의 자녀를 둔 경우가 많았으며, 월 평균 가구 소득은 400만원-499만원인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녀양육비에서는 51-100만원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 부양비에서 50만원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자녀양육비와 부모 부양비는 대조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노후준비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면, 대부분 노후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노후준비 시작연령은 40대가 가장 적절하다고 하였다. 월 노후준비 저축 및 연금은 20-50만원 미만(33.9%)이 가장 높았으며, 58.3%가 현재 준비하고 있는 노후자금이 불충분하다고 답하였고, 노후준비 방법으로는 국민연금이(31.9%) 가장 많았다. 전반적인 노후준비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48.26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에 대해 살펴보면, 자녀양육부담은 3.07점, 부모부양부담은 2.65점으로 부모부양보다는 자녀양육에 부담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후준비를 살펴보면, 신체적 노후준비(2.99점)가 가장 잘 이루어지고 다음으로 여가생활 노후준비(2.96점), 경제적 노후준비(2.85점), 사회관계 노후준비(2.83점)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기의 자녀양육부담은 성별, 연령, 직업, 자녀양육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자, 40대, 무직(주부 포함)이며, 자녀양육비가 많을수록 자녀양육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부모부양부담은 성별, 직업, 부모부양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자, 무직(주부 포함)이며 부모부양비가 많을수록 부모부양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년기의 노후준비는 연령, 학력, 월 가구소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연령과 학력이 높고, 월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노후준비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적 노후준비에는 연령, 학력, 월 가구소득, 자녀양육부담이, 경제적 노후준비에는 성별, 연령, 학력, 자녀 수, 월 가구소득이, 사회관계 노후준비에는 성별, 연령, 학력, 월 가구소득, 자녀양육부담이, 여가생활 노후준비에는 성별, 연령, 학력, 자녀양육부담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수가 적을수록, 자녀양육부담이 적을수록 노후준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년기가 가지고 있을 자녀양육부담과 부모부양부담을 동시에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노후준비를 신체적, 경제적, 사회관계, 여가생활 노후준비로 세분화하여 검증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기의 자녀양육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녀양육으로 발생하는 비용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현실적인 교육정책과 성인 자녀의 취업을 위한 다양한 일자리 창출 및 취업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년기를 대상으로 하여 체계적인 노후준비를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야 하며, 노후준비 캠페인 등 사회적 관심이 요구된다. 더불어 길어진 노후기간을 대비하기 위해 일찍부터 노후준비를 시작할 수 있도록 사회 초년생, 신혼부부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노후설계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노후준비와 자녀양육 간의 균형을 맞추고, 노후준비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 중년기, 가족부양부담, 자녀양육부담, 부모부양부담, 노후준비

      •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 사례연구

        이미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년기는 ‘제2의 사춘기’로, 심리적 공허감과 신체적 무력감을 느끼는 시기이며, 중년기의 위기를 지혜롭게 대처하는 것은 중요한 이슈이다. 또한 갱년기 증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중년기 여성이 삶의 전환기에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자신을 재평가하며, 새로운 변화에 대해 인식함으로써 미술치료를 경험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이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서 자기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보다 성숙한 자기를 발견하기 위해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반응 및 삶의 질에 대한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중년기 여성이 미술치료에서 경험을 통한 자기이해에 대한 심리·정서적 변화 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 참여자는 갱년기 증세가 높은 중년기 여성(만 46세)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2회, 회기별 90분씩 총12회기로 진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구성은 3단계로, 초기단계(1회기~3회기)에는 라포형성 및 자기탐색에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고, 중기단계(4회기~7회기)에는 자기이해 및 자아통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후기단계(8회기~10회기)에는 자기성장 및 미래 비전 대한 자기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스트레스 척도 검사 및 삶의 질 척도검사를 통해 스트레스 정도와 삶의 질을 측정하고 프로그램 사전·사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양적 변화 비교 뿐 아니라 연구를 보완하고자 HTP(집-나무-사람) 사전·사후 심리검사로 심리·정서적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미술치료 작품에 나타난 그림의 표현, 상징과 사후 질문, 활동 소감문, 발표 내용, 행동관찰일지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의 변화에 대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는 자기이해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감소 결과를 보였다. 또한 삶의 질은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 전에 비해 증가하였다. 둘째, 자기이해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따른 중년기 여성의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환경의 변화가 보였으며, 특히 심리적·정서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삶에 대한 욕구로 미래에 대한 계획과 희망이 많아졌다. 미술치료 활동과정을 통해 작품의 상징적인 투사되는 결과에서 심리적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의 느낌을 경험하는 과정은 정서적 감각을 재탄생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이와 같이 중년기 여성의 자기이해 증진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갱년기 증상 및 심리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와 건강한 질적인 삶을 영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