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胡適의 中國新文學에 대한 認識과 實踐

        이정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고는 호적이 중국신문학시기에 신사조로서 유입된 서구문학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그 인식에 따른 실천항목으로서 작품활동을 어떻게 전개하였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서는 호적의 일생을 통하여 활동한 내용과 그가 남긴 작품 및 사상에 대한 연구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호적이 중국신문학을 어떻게 인식하였는가를 의미함과 동시에 필자가 호적이 인식한 바의 신문학에 대한 고찰을 논리적으로 전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동기로서는 중국 내에서 모순되는 역사적 전개를 들지 않을 수 없다. 즉, 중국내부에서 공산주의자들이 명분으로 내세우는 마르크스·레닌주의, 헤겔(Hegel)철학도 전통학문이 아닌 서양학문이면서 호적을 서양학문의 앞잡이며, 매판자본주의자처럼 매도하였는데, 왜 이러한 모순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호적을 비난하였는가 하는 학문적인 갈증 때문이다. 이는 서양으로 인해 생긴 단절된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도 필요한 작업이라고 여겨지며 따라서 이를 해결하게 됨은 중국신문학의 정체성을 찾는 것과도 맥락을 같이하게 된다. 호적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을 보면 호적에 대한 평가절하로 인하여 50년대 공산주의자들의 호적비판으로 이어지다가 서서히 자유의 물결이 일기 시작한 80년대에 들어서면서 호적에 대한 재평가가 시도되기 시작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한국 내에서의 연구동향도 哲學界나 史學界에서 주로 많이 다루어지다가 90년대부터는 문학계에서도 많이 다루어졌다. 본고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호적에 대한 연구방법으로 호적의 관련자료 모두를 대상으로 작가, 작품, 작품사상에 관한 전반적인 것을 다루었으며 기본적 논점은 전통의 현대화에 맞추었다. 즉, 신문학시기의 시대배경을 바탕으로 호적의 일생을 통하여 그가 전통을 어떻게 계승하고 서양문화를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았는가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전통과 反傳統의 충돌사이에서 胡適 이 걸어간 노선과 작품에 비친 내용을 바탕으로 사상을 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로서 중국신문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연구방법은 전통적으로 행하여온 역사적인 시점에 따른 총체적인 방법을 취하였으며 문학이론이나 언어, 사상비평이론과 같은 특정한 이론을 도입하여 이를 기준으로 비평하는 현대적 방법을 배제하였다. 본문에서는 중국신문학에 대한 인식으로서 먼저 전통문학이론의 계승에 대한 인식을 다루었다. 이는 胡適이 중국전통으로부터 무엇을 계승하고 있는 가를 추적한 것으로서 주작인의 강연이 그 단서를 제공하였다. 周作人은 호적이 明末의 公安派이론을 계승하였음을 언급하였는데 사실, 호적의 주장을 보면 그의 계승은 전통적인 유교중심의 古文傳統史를 부인한 것뿐이며, 백화문의 전통은 그대로 계승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胡適은 백화문학사의 전통을 계승하여 明代 公安派, 淸代 維新派를 이어서 내려왔다고 추정된다. 이중에서도 淸末의 梁啓超는 그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쳤음으로 梁啓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탐색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梁啓超는 문학개혁운동으로서 詩界, 文界, 小說界의 혁명을 외쳤는데 당시에는 혁명이었지만 현대적인 관점에서 보면 한계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호적에게로 계승된 후에 훨씬 진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즉, 梁啓超는 中體西用을 주장하였으며 정치적인 계몽을 기본으로 하는 혁명이었으나 호적에 와서는 전면적인 세계화를 선언하면서 문학의 기본적인 문자와 사상의 일체 혁신을 주장한다. 이중에 특기할 만한 것은 백화문 운동인데 이는 梁啓超 에서부터 불을 당기기 시작하여 범국민적인 운동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이며 이에 앞장선 사람은 당연히 호적이었다. 이를 근거로 胡適은 전통의 계승자라고 추론하였다. 그런데 당시가 서구문명의 이입기로서 피할 수 없는 동서문화의 충돌 속에서 호적의 외국문학 수용에 관한 태도가 문제가 되었다. 중국은 1840년 아편전쟁이라는 서양과의 충돌로부터 근대, 현대라는 단어의 개념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근·현대의 인식도 싹트기 시작하였다. 아울러 서양에서 낳은 진화론의 이론이 유입되어 全世界的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胡適은 全面受容하여 진화론의 신봉자가 되었다. 마르크스주의 경도자들은 進化論을 서구열강이 자기들의 침략을 합리화하고자 하는 이론으로 해석하여 진화론자들을 배척하기 시작하였다. 여기서부터 호적과의 균열이 보이기 시작하여 끝내 마르크스주의 경도자들과 결별하였다. 胡適은 외국문학의 소개로 각종 서양 문학과 이론을 번역하고 더 나아가서는 외국문학 이론을 기준으로 중국문학을 해체하고 재조립하고자 하였다. 胡適의 이러한 사상은 서양사조와 이론의 영향이었지만 실제로 그가 주장한 '八不主義'의 내용과 미국, 일본, 한국에서 비슷한 시기에 나타난 이론들과 견주어 보면 동일하다. 따라서 胡適의 사상은 식민지적 이입이라고 하기보다는 사회사적인 의미에서 현대화로 가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외국문학의 이입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따라서 중국내부에서는 혼란스러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이 시기는 극단적 양분된 모습이 아니라 혼란스러울 정도로 혼재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개인들간에 사상은 다르지만 인간적인 교류관계는 원만하였음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진화론의 '眞理可變說'과 헤겔(Hegel) 철학의 '眞理可變說'은 기본이 달랐다. 이로서 마르크스주의 경도자들에게 배척받은 호적은 '문제와 주의' 논쟁을 통하여 정치적 무정부주의자에서 反마르크스주의자로 가게 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보편적으로 호적은 문학혁명의 창도자, 백화문의 적극적인 창도자, 또한 최초의 신시를 시험한 인물로서 평가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실천항목으로서 이론분야를 詩論, 散文論, 小說·戱曲論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호적은 시론에서 시체의 해방을 주장하였고, 새로운 내용과 새로운 정신의 결합, 풍부한 재료, 정밀한 관찰, 심오한 이상, 語氣의 자연스런 음절 등을 주장하였다. 한국에서 최남선의 신체시와 비견되는 현대 신시의 정종이 되었는데 이는 聞一多 작품을 통하여 파악되었다. 산문에서는 백화문을 사용하여 분명하고 사람을 감동시키는 아름다운 글을 쓸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위인전과 같은 전기문학을 제창하였다. 소설·희곡에서도 외국의 단편소설을 많이 번역·소개하였으며, 중국의 희곡도 서양희곡을 본받아 개량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창작분야에서 胡適은 중국내의 봉건적, 구태의연한 인습 등을 모두 서양의 것을 본받아 바꾸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중국의 잘못된 사고방식을 풍자하고 지적하였다. 胡適의 사상은 서양식 용어로 말하면 도덕주의, 자유주의 및 실용주의로 요약된다. 이를 중국식으로 해석하면 도덕주의는 儒家主義, 자유주의는 증국내의 反傳統主義, 실용주의는 實事求是의 정신과 같다. 이렇게 볼 때에 호적은 중국을 현대화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선진화된 서양 문화를 수입하여 전면적으로 중국을 개량하고자 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胡適은 전통의 斷絶이라기 보다는 현대화로 가는 교량의 역할을 한 人物로서 中國 新文學의 整體性 確立에 기여하였다. ��,g�e�O�i�KN�YUO��-N W��ex[BfgBf_2��v�Pk�ex[�R���X�,

      • 中國 朝鮮文 新聞의 現況 및 發展方向에 關한 硏究 : 『黑龍江新聞』 事例分析을 中心으로

        허봉자 延世大學校 言論弘報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은 중국의 조선족언론을 대표하는 조선문 신문에 대한 연구로서 조선문 신문의 현황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조선문 신문의 연구와 발전을 추진하고 중국 조선족사회 현황을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의 언론은 마르크스-레닌주의 모택동사상과 등소평의 언론사상의 지도하에 이미 중국 특색이 있는 사회주의 언론관을 확립·형성하였다. 즉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언론관을 중국의 특수한 국가적 목적에 맞도록 성공시킨 것이다. 중국의 조선문 신문 또한 이런 중국의 언론관과 신문이론의 지도하에 한편으로는 사회주의 성격의 언론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의 소수민족신문으로서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아래 언론의 민족성격을 유지해올 수 있었다. 중국은 다민족 국가로서 특수한 형태의 소수민족정책으로 소수민족의 언론과 소수민족의 민족정체성 유지를 허용하고 있다. 그 혜택으로 조선문 신문은 오늘까지 조선족사회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권익을 대변해주며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큰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개혁개방이후 민족사회가 격변기를 겪으면서 심한 충격을 받고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어떻게 이 충격과 도전에 적극적으로 임하여 자생의 활로를 넓히고 격변기의 조선족사회를 올바르게 잘 리드해 나아가는가 하는 것은 민족의 전망에 관계되는 자못 중요한 과제이다. 이런 인식을 배경으로 본 연구는 중국의 조선문 신문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중국의 언론관과 신문이론의 형성·발전을 살펴보았고 다음은 중국의 조선문 신문의 전반적인 생성, 변화, 발달과정을 문헌조사방법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국의 雜居地區의 조선문 신문을 대표할 수 있는 『흑룡강신문』을 사례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그의 구조와 보도내용을 분석, 연구하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결과 현재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신문의 민족성격강화와 회사운영상태개선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국 조선문 신문이 자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중국의 개혁개방의 시장화추세에 적응하여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제를 해결해 나아갈 발전방향을 정부와 민족사회차원에서의 지원, 조선문 신문의 공동협력방안 구축, 신문의 지면개선, 편집의 독립성확보, 독자분석의 활용 등에서 제시해 보았다. This paper is about a Korean-Chinese Newspaper: analyzing the status quo and presenting its future role. We want to project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Chinese society and also help them to develop appropriately. The press in China has developed and grown under the spirit of both President Mo's Marxist Leninism and President Dung's opinion about the press. The Press in China shows an unusual development that is a successful combination of both Communism and China's patriotism. This Korean-Chinese Newspaper also came under this policy, so it was inevitable that it had to choose a communist characteristic. However, the newspaper could retain its ethnicity as a minority due to China's Minority Policy. China is a multi ethnic country and has its own minority policy accommodating the ethnicity of different races. Therefore, the Korean-Chinese newspaper could provide vital information and make a firm plea for Korean-Chinese playing a major role in preserving their ethnicity. However, as China opens up its market and politics, the Korean-Chinese are going through turmoil and are now facing a new challenge. Thus, how they could survive all these difficulties, accepting challenges and side effects without much hurt to the Korean-Chinese is a very important concern for all of us now. The Korean-Chinese society needs to find its own means to prosper, and this newspaper has to play a leading role in this mission. Thus,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we decided to research a Korean-Chinese Newspaper. This research first went through China's own perspective towards the press, its origin, and its development. Then we covered the complete range of Korean-Chinese newspaper elements such as origin, changes, and progress, all based on actual historical documents. Later on during the course of the research, we set "Hei Long Jiang Newspaper" as an exemplary newspaper one that represents a mixed-residential complex and the Korean-Chinese press. Based on this newspaper, we analyzed its structure and contents, and recommended corrections and improvements. Our conclusion: the newspaper is not taking considerable effort to empower ethnicity and to improve poor management. This was an important finding. The task facing the Korean-Chinese newspaper is to overcome its limitations and to adapt China's new economic policy. This research proposed means and methods of approach in various aspects such as governmental and social support, cooperating with our press, better layout of the newspaper, greater independent editorship, and purposeful and communicative feedback from readers.

      • 개혁개방이후 중국신문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옥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0

        1976년 모택동이 사망한 후, 중국은 등소평 체제가 등장하면서 이른바 '역사적인 노선전환'을 선언하였다. 1978년 11기 3중전회에서 등소평은 사상해방과 문호개방, 그리고 체제개혁을 표방하면서 모택동 시대와는 다른 방식으로 경제발전과 근대화를 추진하기 시작함으로써 새로운 실험의 과정에 진입하게 되었다. 중국사회주의는 개혁개방이 시작된 이래 급속한 공업화와 고도의 경제성장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모든 사회영역에서 큰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 시기에 사회의 한 구성원인 신문 역시 큰 변화를 일으켰다. 본 연구는 1978년의 제11기 3중전회를 기점으로 시작한 중국의 개혁 개방정책의 경제적 성과가 중요한 언론매체의 하나인 신문이 어떠한 변화를 수반해 왔는가를 검토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개혁개방 이후 중국 언론정책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개혁개방 이후 중국 신문의 운영 구조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 셋째, 개혁개방 이후 중국 신문의 내용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 넷째, 개혁개방 이후 중국 신문의 지면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 다섯째, 개혁개방 이후 중국 신문의 역할의 변화는 어떠한가? 여섯째, 개혁개방 이후 신문 종사자의 의식변화는 어떠한가? 등 이다. 상기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4개 장으로 구성하였는데, 각 장별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을 서술함으로써 본 논문의 논의를 명확히 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고 중국의 언론관 및 신문이론에 대해 명확히 하였고 개혁개방이후 중국 신문의 발달과정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개혁개방 정책의 특성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개혁개방이후 중국신문의 변화에 관한 선행연구고찰을 진행하였다. 제3장에서는 본 연구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토대를 변화한 중국신문의 변화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개혁개방이후 중국신문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다음 개혁개방이후 중국 신문의 운영 구조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고 개혁개방이후 신문 내용의 변화, 신문 지면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개혁개방이후 중국 신문의 역할의 변화는 어떠한가에 대해 서술하였고 이러한 변화된 신문환경 속에서의 신문 종사자의 의식변화를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중국신문의 문제점과 한계를 조망하여 중국신문의 향후 발전가능성을 분석해 보았다.

      • 한국과 중국 신문 기사에 나타난 한국과 중국의 국가이미지에 관한 연구

        현단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ages of Korea in articles of Chinese newspapers, as well as the images of China in articles of Korean newspaper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we tested six research hypotheses on both nations' country image in the articles of the newspapers.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es, we collected 2,407 articles from the Korean newspapers, as well as 1,772 articles from the Chinese newspapers. Majo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concern on Korean economy and society constantly increased over last 7 years. Second, the increasing pace of Chinese concern on Korean society was more rapid than that on Korean economy. Third, there was no specific pattern over time in Korean concern and evaluation on China.

      • 韓中標題語對照硏究

        조유선 부산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6

        有一句话,“看书先看皮、看报先看题”,这是人们在读书看报的经验中得出来的感性认识。根据人的视觉线位移规律,标题通常是给予读者的先入为主的第一感觉。新闻标题作为新闻的重要组成部分,连同新闻内容一起,共同承担着一篇新闻的导向任务。标题的导向正确,可以帮助读者准确把握、领会新闻的本质含义,导向错误,会妨碍读者对新闻实质的准确理解,甚至会引导读者误入歧途。如此重要的新闻标题,为何出现严重的形式破坏、缩短、省略现象呢?笔者对这个问题根据完句成分进行研究。 本文首先说明标题的定义和特征,再说完句和完句成份的含义。本文主要讨论韩国和中国的新闻标题是否符合完句条件而且通过已翻译的标题是否按照各国新闻标题特征来的表现的。以朝鲜日报和人民日报为对象,锁定从2007年1月1日到15日的标题,不分内容集中对单句形式的标题进行分析。 迄今为止,许多学者之间对完句和完句成分还没有统一的说法。笔者在此按照金延恩写的《对汉语完句成分层次性的考察》对照韩国和中国新闻标题。完句是指满足于句法上,语义上,语用上的语法规则而能够自足的最小的句子。完句成分是指一个公认的能成立的常规句子中除句干之外的不可缺少的成分,也是使句干能够完句的成分。然后在此基础上探讨完句成分的层次性。完句成分可以分为必有的完句成分(语气,指称)和可有的完句成分(相,样相,环境)。 对照分析结果显示,在15天的韩国新闻标题中只有一个完句,而在中国新闻标题中完句所占的比重大约为10%。韩翻中和中翻韩标题的绝大部分符合各国新闻标题特征。本文研究目的在于通过充分掌握两国新闻标题形式和特征能够对标题翻译起到一定的帮助。

      • 中國朝鮮文 新聞의 機能變化에 관한 硏究 : 黑龍江新聞의 內容分析을 中心으로

        박문봉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2447

        중국의 신문 이론에서 뉴스의 가치판단은 공중(公衆)이 알고자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회주의 체제 유지와 공산주의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언론을 통제하고 있는 당국의 판단에 의해 공중이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것에 그 기준을 두어 왔다. 그런데 개혁·개방이 되면서 그와 같은 도식적인 언론기능 주장에 많은 수정이 이루어졌다. 개혁·개방이후 중국 사회는 제한적이나마 적지 않은 부문에서 정치적 합리성에로 전환을 하였고, 그리고 생산력 발전에 따른 제한적 자유화 성향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전환과 성향은 곧바로 언론체계의 자율성 확대에까지 이어졌다. 정치, 이데올로기적 교의에 의한 구속력이 떨어지면서 상업적인 시장의 힘이 중국사회를 움직이는 중요한 힘의 원천으로 작용하기 시작하였다. 언론체계의 자율성 확대에서의 핵심은 언론의 기능이론에 대한 재확립이었다. 중국 언론을 지배해왔던 정치선전 기능이 급격히 약화되면서 시장 메커니즘과 경제원칙에 입각한 운영의 기능이 점점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비록 당의 대변자 기능과 같은 중국의 정통 사회주의 언론기능 주장이 폐기된 것은 아니지만 시장경제의 급속한 성장, 정치체제의 지속적인 개혁과 더불어 언론체계가 분화하는 과정에서 서구의 기능이론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탈 중앙집권화, 탈 이데올로기화, 문화적 다원주의 등 자유화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러한 경우 중국 언론의 한 구성 부분으로서 소수 민족지인 조선문 신문의 기능변화에 대한 연구는 그간 중국 신문의 기능변화 상황을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더욱 중요하게는 소수 민족지로서 조선문 신문이 이런 중국 언론의 기능이론 변화에 힘을 입어 새 시기 조선족의 이익을 잘 대변하는 진정한 민족지로 언론기능을 변화·조정해 가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상과 같은 현실적 과제에서 출발하여, 첫째는 중국 언론의 한 구성부분인 조선문 신문이 이러한 중국 언론의 기능이론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둘째는 소수 민족지로서 새 시기 소속민족의 이익을 잘 대변하는 민족지로 거듭나기 위하여 언론기능을 어떤 방향으로 조정·확대해 가야 하는가 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조선문 신문은 역사가 90여 년 되지만 그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는 기본적으로 언론사적 정리가 아니면 언론매체의 현황에 대한 일반 상황연구에 머물고 있었다. 신문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선행 연구결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와 같은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또 공백을 메우기 위해 그 대안적 시각으로 중국·조선문 신문의 언론기능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중국의 사회주의 기능이론 관점에 이론적 배경을 두었으며 조선족 사회의 대표적인 신문인 흑룡강신문의 기능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특정 시기내의 기사에 대한 사례(내용)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문 신문 제작자(기자)들의 신문기능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역사적 고찰결과 중국의 조선문 신문은 민간지로 출범하여 광복 전에는 민족의 독립을 추구하는 반일(反日) 신문으로 민족 성격의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광복 후 공산정권이 수립되어서는 사회주의 성격의 국영지(國營紙)와 기관지로 개조되어 당국의 후설(喉舌)기능, 정치투쟁의 도구기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신문의 기능은 개혁·개방을 맞으면서 변화를 가져왔는데 특정 시기내의 기사에 대한 사례 분석결과 당성을 비롯한 사회주의 성격의 기능은 개혁·개방 초기, 중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면서 변화가 매우 뚜렷한 것으로 분석되었어나 민족 성격의 기능은 상대적으로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선문 신문의 기능에 대한 신문제작자(기자)들의 태도는 설문인터뷰결과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민족 성격의 기능 위주의 언론으로 조정해 갈 것을 희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hinese newspaper theory, the news- worthiness has to do with the maintenance of socialist system not with people's right to know. This, however, has been changed by reformation and opening of the Chinese society. Political rationality and economic liberalism have appeared as new characteristics of rapidly changing Chinese society. This change, in turn, has encouraged autonomy of the press. The increasing autonomy of the Chinese newspapers has led us to redefine social functions of the press in Chinese society. The free market economy has become basic principle of the Chinese press instead of once dominated function of political propaganda. Although traditional function of communist propaganda has not totally disappeared, it is quite obvious that decentralization and cultural pluralism have appeared as the dominant characteristics of the pres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 of all, aims to understand the changing function of Chinese newspapers through examining how a minority Korean newspaper has coped with new environment of the Chinese society. Second, this study also tries to examine the proper functions of the minority newspapers in Chinese society for the sake of minority people. Although the Korean newspapers have existed for more than 90 years in China,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them. Even those limited number of works that take on the Korean minority newspapers have remained basic level, largely focusing on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s or descriptive aspects of the newspaper. There has been no in-depth analysis of the functions of the paper in minority community. The lack attention to the Korean minority newspapers is a clear blindspot in the study of newspaper in China. This study tries to overcome such oversights in previous research. Theoretical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socialist functionalism. And methodologically this study analyze how the function of a Korean minority newspapers in China, HOUG-RYOUNG-KANG has historically changed. An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ception of reporters as to the function of the paper they work for. This study suggests that in its function the Korean minority newspaper has been historically changed, from anti-Japanese nationalist position to socialist political tool. And since the recent reformation of China the socilaist nature of the newspaper has been dramatically decreased while nationalistic nature remains same.

      • 신문을 활용한 중국어 학습 방법 연구

        김원관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447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기존의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중국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통해 중국어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보다 다양하고 흥미로운 학습 소재를 제시할 것을 권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은 교과서 위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교과서 이외의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활성화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현실 속에서 신문을 수업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방법을 제안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 신문 활용 교육의 정의, 신문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 교재로서의 신문의 가치, 신문 활용에 대한 교사의 준비, 우리나라에서의 신문 활용 교육, 외국어 교육과 신문 활용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신문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에 대해 제시하였다. 중국어 교육에서의 신문의 유용성을 고찰한 후 신문 자료의 교재 선정 방법과 신문 활용 수업의 적절한 수업 형태인 협동 학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외국어 고등학교 교과서인『경경송송』을 보조할 자료로, 신문기사, 사진, 만화, 광고 등을 활용하여 중국어 수업에 활용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신문은 저렴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매체자료이다. 또한 풍부한 정보를 전달해 줄 뿐 아니라 글로벌 시각과 국제적인 감각을 키워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로서 그 안에 담고 있는 자료의 성격과 형식이 다양하여 중국어 교육에서의 응용 잠재성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신문을 수업에 활용하면 학생들은 신문 속에 등장하는 중국의 사회, 문화와 그들의 사고방식, 생활양식을 접할 수 있고, 다양한 사회 현상의 최신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사고력이나 이해력이 빠른 학생들에게는 신문 활용 수업은 신선하고 생동감 있는 학습활동이겠지만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들에게는 교과서 내용도 이해가 어려운데 부가적인 학습과 새로운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가 있다. 교사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학생들의 수준차를 고려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수업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신문이라는 교재와 더불어 수업활동에서도 다인수학습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소집단 활동을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참여기회를 최대한 부여하고, 개별화 학습에도 도움이 되는 등 교육효과가 촉진될 것이다. 신문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통합하여 수업 현장에서 생동감 있고 흥미 있는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문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은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지닌 수업 방안이며 신문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이 정착된다면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are induced to have interest in Chinese language and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to understand and express Chinese language based on learner-centered education, not on the existing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it is advised to use more diverse and interesting learning materials. Since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high schools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extbooks, however, lessons us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but textbooks cannot have been invigorated. Thus, this study suggested a way of improving students' ability to learn Chinese by using newspapers in lessons under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Chapter I stated the necessity and method of this study. In Chapter II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was introduced including definition of education using newspapers, effects of education using newspapers, values of newspapers as learning materials, teachers' preparation for lessons using newspapers, education using newspapers in Korea,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using newspapers. In Chpater III Chinese language lessons using newspapers were presented. After usefulness of newspapers in Chinese language education was considered,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ways of selecting newspapers and cooperative learning as a proper learning method in lessons using newspaper. Then, a Chinese language lesson plan was suggested using newspapers, photographs, cartoons, and advertising as auxiliary materials for "Gyounggyoung Songsong", a textbook used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Newspapers are cheap and easily available. In addition, not only do they provide rich information, but they are also effective data which enable students to cultivate global viewpoints and international senses. The features and types of data in the newspapers are so diverse that they can be used in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inexhaustible ways. If newspapers are used in lessons, students can experience Chinese society, culture, way of thinking, and life styles. Moreover, since they have the latest information about various social phenomena, they can attract students' interest. To students who are good at understanding and thinking, the lessons using newspapers can be new and vivid learning activities, while they can be additional learning and psychological burden in addition t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extbooks when it comes to those who do not have enough ability to understand the lessons.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eachers need to develop diverse and systematic lessons considering difference in students' levels. If small group activities can be applied to lessons with newspapers in order to supplement problems of large-group learning, educational effects would be promoted including maximiz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lessons and helping individual learning. Newspapers can be used as vivid and interesting educational materials in lessons by integra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various ways. Therefore, Chinese language lessons using newspapers are a teaching method with infinite potentials. If the Chinese lessons using newspapers take root, they will contribute a lot to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s.

      • 중국 현대 회화에 있어서 신문인화(新文人畵)의 사의(寫意)적 표현 연구 :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예술장(藝術場)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왕보동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447

        예술은 필연적으로 동시대 시대상의 반영이다. 중국의 많은 평론가들이 말하듯이, 중국의 현대예술은 서양과 중국의 예술이 서로 부딪치고 융합된 산물이다. 중국의 현대예술은 하나의 예술 형식일 뿐만 아니라 사회사상의 표징이다. 유화를 예로 들면, 유화가 중국에 전해진 때부터 시작하여 중국의 예술가들은 유화의 민족화(民族化)라는 문제에 직면했다. 특히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종합적인 국력이 상승하면서 국민들의 민족문화 의식이 각성되기 시작했고, 유화가들이 의도적으로 사의(寫意)정신 혹은 의경(意景) 등 중국적 요소를 유화창작에 융합해 중국의 정취가 담긴 유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소위 중국적 요소에서 문인화(文人畵)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문인화는 중국 고유의 회화 형식이며 송원(宋元) 이후 계속해서 중국 회화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청대(靑代)이후로 점차 쇠퇴해갔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문인화를 되살리려 하는 신문인화의 흐름이 있었다. 즉 유화를 중국의 현대적 정서에 맞게 표현하고자 하는 탐색이 그것이다. 현대 유화에서 신문인화의 흥미로운 표현방식은 매우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중국 현대사회의 예술적 표징으로서 중국 문인화에 대한 유화의 표현 형식은 기법의 구현과 이론적 사고를 겸비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현대 중국 문인화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탄탄하지 않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현대 중국 신문인화의 이론적 토대로 프랑스 사회학자이자 참여지식인인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의 장(場)이론을 끌어오고자 한다. 부르디외에 따르면, 예술작품의 창조성은 작가의 순수한 창의력의 산물이라기보다는 작가 자신이 속한 사회적 관계의 체계에 의해 영향 받은 것, 즉 ‘지적 장의 구조로부터 창작자의 위치’에 의한 것이다. 예술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예술장(藝術場)이라는 공간에서 장소(위치)들의 변용은 계급투쟁에 의한 결과이다. 이처럼 예술장 역시도 더 커다란 사회의 장의 변화와 움직임에 영향을 받게 된다. 연구자가 부르디외를 주목한 부분도 바로 연구자가 관심을 갖는 문인화의 장의 변화가 현대의 새로운 장으로 성립될 수 있음을 보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부르디외의 예술사회학에서의 장이론을 토대로 중국 문인화의 변화 및 발전 과정에 대입하여 최종적으로 연구자의 회화창작 방법론을 구축하고 연구자의 작품이 신문인화(新文人畵)의 예술장에 위치하고 있음을 말한다. 본문은 문인화의 이론과 기법, 이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는데, 특히 기법에 있어서는 역사적으로 문인화의 장에서 이루어진 표현 방식을 다루고 있다. 첫째, 이론 측면에서는 부르디외의 예술장과 관련된 이론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문인화 ‘장’에 대한 세 가지 중요한 내용인 ‘구성(construction), 아비투스(habitus), 자본(calpital)’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아비투스란, ‘구조화된 사회적 습성’ 즉 특정한 환경에 의해 형성된 성향이나 사고, 인지, 판단과 행동체계를 가리킨다. 이 세 가지 주요 내용을 통해 중국 문인화의 범위, 발전 동력, 양식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다. 둘째, 기법의 측면에서는 전통 문인화와 현대 유화 모두 전통에 질의하는 자세로 역사적으로 이어져 왔음을 기술하고, 그 두 가지 모두 필기성(붓의 운용 능력)을 제창하고 회화에서 필묵의 정취와 화면의 의경 표현을 중시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전통 문인화와 신문인화에서의 이러한 공통성은 연구자의 창작 언어의 영감이 된 소재이다. 특히 창작자의 감정표현, 화면의 형식감각, 사실주의를 배제하고 추상성을 부각시킨 점 등은 모두 연구자가 유화기법을 통해 현대 중국 신문인화의 장을 나타내고자 하는 착안점이다. 아울러 신문인화를 개척하는 연구자의 유화 창작은 중국 전통 문인화의 회화표현과 대결하면서도 계승·발전시키는 면을 지닌다는 점 또한 주요한 논점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 논문의 핵심은 중국 동시대 예술장에서 전통 문인화의 정신을 어떻게 하면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투사한 연구자의 작품분석에 놓여 있다. 연구자의 작품은 현재 중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신문인화가들의 회화표현들로부터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에 소개되는 신문인화가들은 서양의 현대예술언어를 참고하면서 중국 전통문화의 사의적(寫意的) 표현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의 회화 언어와 표현은 의심할 여지없이 우리에게 중국의 문인화 정신이 여전히 현재 살아있음을 일깨워준다. 신문인화의 정신은 필묵과 색채, 기운이라는 표현방식으로 나타나며, 연구자에게는 터치, 색채, 구도, 기운, 기호의 스타일로 새로운 ‘장’으로서 형성된다. 이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중국 현대회화에서 전통 문인화와 현대회화의 이론 및 방법론적 접점을 고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연구자 작품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고 향후 진행될 연구자의 작품에 대한 방향성을 정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신문인화의 장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화가들에게도 참고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Art is inevitably a reflection of aspects of the times. A number of Chinese critics say contemporary Chinese art is the product brought about when it is in conflict or accord with Western art. Contemporary Chinese art is not only an art form but also a sign of social thought. For example, Chinese artists have been faced with the problem of how to make oil painting art intrinsic to Chinese people’s art since oil painting was introduced to China. As China’s national power has comprehensively grown since the Chinese economic reform and opening-up in1978, Chinese people’s consciousness of national culture began being awakened. Oil painters intentionally brought Chinese elements such as their spirit, meaning, and artistic conception to their practices. As a result, oil paintings imbued with Chinese style and elegance were produced. Literati paint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t forms of China. Intrinsic to China, this painting style has remained the mainstream of Chinese painting since the Song and Yuan period. And yet, there was a tendency to revive literati painting which went downhill after the Qing dynasty. This tendency was about how to create oil paintings to reflect contemporary Chinese sensibilities. The new literati painting way of expression in contemporary oil painting is worthy of notice. The expressive way or style of oil painting in Chinese new literati painting is well equipped with its technical and theoretical bases. All the same, no theoretical study on contemporary Chinese literati painting has been solidly conducted so far. This study is intended to bring French social scientist and intellectual Pierre Bourdieu’s field theory to contemporary Chinese new literati painting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It considers that creativity in an artwork is not merely a result of an artist’s creative ability but one influenced by the artist’s social relation or its system, that is, “the position of the creator in social or intellectual fields.” Any transposition in the field of art, in which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n artwork is made, is the result of a struggle of classes. The field of art is also subordinate to the larger field of power and class relations. The reason why this study takes note of Bourdieu and his field theory is that literati painting could be achieved as a new contemporary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