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민의 환경의식과 결속력이 생태관광축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영관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6년 한국 지역축제의 수는 1,176개로 집계되었고 현재 지역축제는 1500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지방 자치 단체가 다양한 축제를 새로 개설하고 주도하는 주된 목적은 지역의 이미지를 고양하고 주민의 자부심을 높이며 지역의 특정 상품을 부각시켜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지여주민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함이다. 하지만 지역민과 괴리된 채로 관주도나 행정편의주의적인 방식으로 축제가 기획 조직되는 점 등이 지역축제 발전에 오히려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지역축제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관광방문자만을 소비자 행동론적 관점에서 이루어졌을 뿐 지역축제의 실질적 주인인 개최지 지역주민의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생태관광축제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의 환경의식과 지역결속력이 축제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생태관광축제 발전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2008년 7월 10일부터 2008년 8월 31일간에 생태관광축제가 개최되고 있는 무주지역과 함평지역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를 SPSS WIN Ver.14.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의식이 높은 지역주민 일수록 축제태도에 긍정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현재 개최되고 있는 생태관광축제가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환경 친화적이며 환경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환경과 공존하는 축제라는 지역주민의 이해 증진은 생태관광축제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지역주민의 결속력이 높을수록 축제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지역주민들의 공동체의식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과 지역의 안정적인 분위기 조성은 지역주민의 생태관광축제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갖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지역주민의 환경의식과 참여의도간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주민의 환경의식이 높을수록 축제에 대한 참여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주민들의 축제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환경의식을 높이는 교육과 홍보 그리고 프로그램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지역결속력이 높은 지역주민일수록 축제에 대한 참여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지역주민이 지역공동체의 주체로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조직이나 시설을 운영하고 지역주민의 안정감을 높이는 다양한 복지시설과 혜택 등의 노력은 지역주민의 축제참가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북무주와 전남함평 지역에서 개최되는 생태관광축제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측정척도가 지역주민이 평가하는 항목에 대하여 완벽한 이해와 평가능력을 가지지 못한 상태에서 측정되어졌을 우려가 존재하므로 향후에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측정척도를 설정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ommunity Solidarity of the Resident on Eco-tourism Festival Attitude The number of regional festival in Korea totaled 1,176 in 2006 and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current regional festival reach 1500. Currently local autonomous entity opens and leads various festivals to improve the image of their region, to enhance the self-confidence of the residents, to attract the tourists by giving prominence to the specific products of the region, and to give a pleasure to the residents. But the situation that the festival is planned and organized only by government office or in a way of administrative opportunism while the residents are detached from the festival becomes an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festival. Although the study, which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residents and regional festival, should be preced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has not been done. So,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ggestion of eco-tourism festival's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resi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community solidarity on the festival based on steadily increasing eco-tourism festival as social interest and importance about environment are increased recently.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a question aimed at the residents of the regions such as Mu-ju and ham-Pyeong where eco-tourism festival is held from July the 10th 2008 to August the 31st 2008 was carried out and it is analyzed by SPSS WIN Ver.14.0 statistics package and the result is like this. First, the result that the bett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residents have, the more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 festival the residents have is showed. Second, the result that the better solidarity the residents have, the more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 festival the residents have is show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an effect betwee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f the residents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e fact that the bett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residents have, the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the residents have is revealed. Fourth, the fact that the better solidarity the residents have, the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the residents have is showed. Becau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aiming at eco-tourism festival which is held in regions such as Jeon-buk Mu-ju and Jeon-nam Hham-pyoeng, there is limit to generalize the result of study, and it is considered that persistent study has to be done by creating more concrete and systematic standard of measurement aimed at the residents in the future.

      •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 동구 주민자치센터 중심으로

        유홍수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 Focusing on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in Dong-gu Gwangju Metropolitan City - Yoo, Hong-Soo Advisor : Prof. Lee, Kye-Man, Ph.D.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olicy, Chosun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realistic way to activate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to take root in the local community and seek for a desirabl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in a long term, with the recognition that so far the center have not carried out its initial purpose of establishment to be the centripetal place of the local community through autonomous activities. For this, the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were analyzed, as they are the main body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who have more interest and influence than ot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In this study,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n the residents' autonomy and residents' autonomy center are reviewed.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in Dong-gu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analyzed to grasp the realities of the opera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that are understood by the immediate participators, to find out good methods to activate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the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are appointed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head of the local community - eup, myeon, and dong - the committee still has a strong character of an organization to make reviews or advise the chief of the local administration - eup, myeon, and dong - on the opera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and this weakens the representative func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for the residents and obstructs the members' autonomous and active participation with their specialties in the operation of the center to be the centripetal body of the residents' autonomy. As ways to help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overcome such limitations and correctly play its role as a centripetal place both in name and reality, the following steps are suggested to be taken. Firstly, the development of new programs are needed to raise the self-recognition of not only the members but also ordinary people for participation and autonomy. The current programs of the autonomy center are mainly those in culture and leisure, and programs on residents' autonomy are hard to see. The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and the people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residents' autonomy center must make efforts to develop program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in and recognition of residents' autonomy. Secondly, a program is needed to be developed to enable the members of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by themselves. If the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only attend the operational meetings and do not participate in other activities, the opera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will be just formal. So a program must be developed to make every member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substantially design the facilities and programs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participate in voluntary services with the residents, etc. Thirdly, The recommendation system of the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needs to be changed. The current system in which the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are appointed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chief of 'dong' can raise question on the member's eligibility to represent the residents. The appointment system must be reformed to a direct election system or a recommendation system by the residents' autonomy organization and a certain number of the residents. Fourthly, the extent and quality of the residents'(members') participation in the operation of residents' autonomy center must be reinforced. The system needs to be changed from one that makes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an advising body on the operat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to the one that guarantees it to have a real decision-making right on major issues for the operation. Fifthly, programs closely related to the resident's actual living must be developed to let the residents have an easy access to the operation of the center and use the programs. Considering these factors, the operation system of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will have to be changed from an administration-driven system to a privately-driven system. The government needs to empower the members of the residents' autonomy committee with authority and autonomy to encourage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and active service, and, as a result, to expedite local development and improve the welfare of residents 지방자치의 실시로 지역주민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고 지역공동체를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고 이에 대한 주민의 참여와 관심이 점차 높아져 왔다. 주민자치센터는 이러한 주민의 참여를 더욱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지역에서의 주민참여를 실천하기 위한 장으로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주민자치센터는 지역주민이 스스로의 참여를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주민공동체 형성의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자치 및 주민자치센터에 대한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살펴봄과 함께, 실질적으로 주민자치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주민자치위원들을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와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주민자치센터 운영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주민자치센터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찾아보았다. 연구의 결과 광주광역시 동구 주민자치센터 운영실태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민의 참여와 자치에 대한 의식을 제고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주민자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더불어 지방자치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수적이다. 실제 주민자치센터는 문화·여가를 위한 프로그램이 대다수이고 주민자치를 위한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점은 '광주광역시 동구 주민자치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에서 명시되어 있는 '주민자치기능을 강화하여 지역공동체 형성에 기여한다'는 운영 목적에도 맞지 않다. 따라서 주민자치위원은 물론 주민자치센터 활동에 참여하는 주민들이 주민자치에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인식을 갖도록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지방자치 및 민주주의에 관한 기본적 소양교육과 함께 구체적인 지역 현안을 행정 기관과 지역 주민이 함께 해결해 보는 프로그램 등을 통한 주민자치 훈련이 있다. 둘째, 주민자치위원이 직접 참여해 활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해당 동주민센터 및 주민자치위원회에서 주민자치위원들로 하여금 주민자치센터 운영 및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노력이 부족할 경우 주민자치위원회는 형식적인 운영에 머무를 수밖에 없으므로 각 주민자치위원이 실질적으로 주민자치센터 시설 및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자원봉사를 통하여 주민과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주민자치위원 위촉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광주광역시 동구 주민자치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의 제17조(구성등)에서 주민자치위원은 동장의 위촉을 통해 선출하도록 되어있다. 조례의 관련 항에는 각계의 전문가나 후보자, 공개 모집 방법 등을 규정해 인적 구성의 다양화를 위한 규정이 있으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지 못하고 사적인 인연, 지역유지 등으로 범위가 한정되어질 가능성과 우려가 있다. 이러한 위촉제도는 실질적인 주민대표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점진적으로 주민자치위원 위촉방법을 주민 직선 또는 주민자치조직 및 주민 일정수의 추천 등의 방법으로 제도 개선이 되어야 한다. 넷째, 주민자치센터 운영에서 주민(위원)의 참여의 폭과 질을 높여야 한다 현재 주민자치센터에는 담당공무원이 있어 주민자치센터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일을 거의 처리하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는 주민자치위원들은 피동적인 입장에서 참여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센터 운영에 대한 자문기구적 성격에서 운영에 관한 주요 문제들에 대해 실질적인 의결권을 보장하는 등으로 제도가 점진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주민의 실생활의 이해와 밀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민들이 센터운영에 친숙하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위원들이 주민자치센터의 기능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아서라기 보다 아직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이 주민들의 실제 생활에 밀접하게 자리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주민들의 생활에 이익이 되는 교육프로그램이 실행된다면 이러한 결과는 크게 달라질 것이다. 나아가 광주 동구는 물론 전국적으로도 주민자치센터의 시설이나 프로그램이 중산층 이상의 생활 수준자를 중심으로 설치 및 운영되어 온 현실을 감안한다면 지역 내 저소득계층, 노인계층 및 독거노인, 등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주민자치의 형태는 주민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주민자치에 참여하는 주체들이 지방자치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지역공동체 문제에 참여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는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주체인 주민 자치위원들이 그러한 인식을 가지고 적극 주민자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시행해야 한다. 나아가 지방자치단체는 아직까지 주민의 실생활에까지 밀접하게 자리 잡지 못한 주민자치센터에 대해 주민들이 쉽고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해야 한다. 광주동구 주민자치센터 운영 역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아직은 행정동원형 주민참여의 수준에서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주민자치센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관리하고 정리하는 사업을 주민자치센터 담당 공무원 중심으로 주로 수행되어 왔으나 이 과정에서 주민자치위원 및 주민들도 주민자치센터 운영에 대한 일정 정도 경험을 축척하였고 이제는 단지 문화·여가 프로그램의 수혜자 차원이 아닌 운영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주민자치센터 운영 방식은 행정주도형에서 민간주도형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주민자치위원회에 권한과 자율성을 부여하여 위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활발한 활동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지역 발전과 주민들의 복지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정책의 변화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 주민주도형 마을만들기 사업 활성화방안 : 전남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방길현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의 대표적인 사업이라 할 수 있는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은 정부가 2004년부터 시작하여 2017년까지 전국 1,000개 권역을 대상으로 마을의 경관개선, 생활환경정비 및 주민 소득확충 등을 통해 ‘살고 싶고 찾고 싶은’ 농촌정주공간을 조성하여 농촌에 희망과 활력을 고취함으로써 농촌사회 유지를 도모할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주민들 스스로 예비계획서를 작성하여 사업을 신청하는 상향식 공모에 의한 사업선정방식으로, 예비계획서 작성 단계에서부터 주민스스로 마을발전에 필요로 한 사항을 설문조사를 통해 수렴하여 예비계획서에 반영하는 등 예비계획서 작성과 기본계획수립 등 사업추진 단계별로 주민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주민참여는 대부분 추진위원 등 주민대표 몇 명만이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민참여의 장애요소로는 주민들이 본 사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지금까지 관주도로 추진한 하향식 사업방식에 익숙해 있다 보니 주민들은 피동적으로 참여하면서 ‘관에서 알아서 해주겠지’ 하는 인식과 주민과 지자체 등의 파트너십 부족을 들 수 있겠다.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상향식 사업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스스로 참여할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역량강화 교육과 선진지 견학 등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하겠으며, 주민들도 마을 발전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이고, 선행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고 적극적 참여의식과 함께 마을을 위해 헌신봉사 할 수 있는 마을 리더를 육성하여 리더를 중심으로 마을을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역량을 결집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주민과 지자체, 전문가 집단의 확고한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사업추진은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 사업에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Abstract> Rural Clustered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roject by local residents, is to support and to keep the rural society from 2004 to 2017. This program is to establish the rural settlement place to live and to visitthrough improving the region environment and living condition and increasing the residents' income. The residents draw up the preliminary report and applied for the project. As the residents surveyed the required items to develop the region by themselves, they participated in each step to establish the project. However,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s limited by the representatives of the residents. The restrict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is caused on the partnership between the residents and local governments. The people did not understand this program well and were accustomed to the project by the government.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people to enhance the recognition of the upward project and to participate by themselves in order to establish the residents-centered village. It should require the sustainable leading such as education for local capacity enhancement and tour for advanced places. The residents also need to learn what to do for their villages and to take part in those projects positively. They also should bring up the leader who will deserve the development of their villages. Finally, they should establish the partnership between the residents, local government, and experts related in the projects promotion in order to make the residents-centered village.

      •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활성화 방안 : 사천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조영주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하는 예산의 주인은 세금을 내는 국민이기 때문에 국민은 예산이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알 권리가 있으며, 자신이 낸 세금을 어디에, 어떻게 쓸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에 참여할 권리가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예산편성이나 집행과정에서 납세자들이 최소한의 알권리를 보장받거나 참여할 방법이 없었다. 이 같은 문제의식으로부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예산편성과정에서부터 주민들이 참여해서 사업의 필요성과 타당성, 예상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 주민들의 입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예산이 배분되고 그 결과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재정운영의 투명성과 공공성을 제고하고, 재정민주주의 이념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정부는 2003년 출범 이후, 참여정부가 추구하는 가치이자 기본방침으로 ‘분권과 자율’을 집권 이데올로기로 내세우고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을 국정 12대 의제 중 하나로 선정하였다. 또한 ‘정부혁신ㆍ지방분권위원회’를 중심으로 지방분권화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는 등 실질적인 지방분권정책을 추진하였다. 참여정부가 제시한 분권화의 방향은 선분권 후보완의 원칙, 보충성의 원칙, 재정분권 등 실질적인 지방분권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런 가운데 지방분권과 관련하여 가장 큰 변화를 나타낸 것이 바로 ‘재정분권’이다. 참여정부는 재정분권의 추진원칙으로 재정운영의 자율성 확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규모 확충, 과세 자주권의 확대라는 3대 정책과제를 선정하였다. 참여정부 출범이후 ‘참여정부 지방분권 추진 로드맵’을 통해 제시된 ‘참여적 지방재정 운영’을 위한 여러 제도적 장치 중의 하나로 지방자치단체의 예산편성과정에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 도입이 추진되었다. 실제로 ‘참여정부’는 2004년 지방예산편성지침으로 예산편성 전에 주요사업에 대하여 인터넷 설문조사, 공청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 절차를 이행하도록 하는 주민참여형 예산편성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도록 지방자치단체에 권고하였다. 또한 ‘참여정부’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의무적으로 도입하는 내용을 담은 지방재정법 개정 법률안을 2004년 정기국회에 제출했으며, 국회는 2005년 6월 29일 지방재정법 개정법률안을 처리했다. 한편 사천시는 2007년 2월에 ‘주민참여예산제 운영 조례(안)’을 만들어 의회에 상정하였으나 의회 통과를 못해 주민참여예산제를 아직 시행하지 않고 있다.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도입은 지방분권화 시대에 들어맞는 제도이다. 하지만 시행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주민참여의 이론과 기능 및 참여형태에 관하여 알아보고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국내의 운영사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사천시의 특성에 맞는 모형이 어떤 것인지를 선정해 보고, 또한 동 제도에 대해 사천시 공무원들이 어떻게 기대하고 있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도입해 시행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사례를 비교분석한 결과 ① 소극적 민ㆍ관 협의형, ② 적극적 민ㆍ관 협의형, ③ 소극적 민ㆍ관 협치형, ④ 적극적 민ㆍ관 협치형으로 모형화 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선진적인 모형은 ④ 적극적 민ㆍ관 협치형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은 주민들이 예산운영의 범위와 대상에서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와 예산편성권한을 공유하며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결정하는 주민참여예산제도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아직 주민참여예산제도를 도입하지 않았거나 도입했더라도 이 제도에 미치지 못한 지방자치단체들이 수용해야 할 가장 이상적인 제도는 ④ 적극적 민ㆍ관 협치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의식조사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이해정도와 의식수준이 기대보다 낮은 편이기 때문에 이상적인 모형인 ④ 적극적 민ㆍ관 협치형을 처음부터 도입하기보다는 시정 현실과 재정자립도 등을 고려하면 모형 ①로부터 모형 ④로 단계적 발전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사천시 공무원의 인지도와 기대도는 다음과 같다. 1)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사천시 공무원의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 제도에 대한 교육정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천시 공무원들은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해 인지하고는 있으나 정식 교육을 받은 적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이해도의 차이는 연령, 직급, 근무연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높을수록 또한 근무연수가 길수록, 직급이 높다고 할 수 있으므로 직급이 높을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3)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사천시 공무원의 기대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기대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 직급, 근무연수, 직렬, 근무기관과 기대도와의 분산분석 결과 모든 항목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역기능에 대해서는 사천시 공무원들이 상당히 많은 우려를 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주민참여 확대에 따른 주민들의 지방재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신속한 의사결정이 저해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예산배분을 둘러싸고 집단간 갈등이 심해지고 특정개인이나 집단의 편파적인 이익 투입 정도가 심해진다고 판단하고 있다. 6)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역기능에 대한 분석은 성별, 연령, 학력, 직급, 근무연수, 직력, 근무기관과 역기능과의 분산분석 결과 모든 항목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 사천시 공무원들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성공요인으로 공무원의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관리 역량 정도, 동 제도에 대한 지방공무원의 긍정적인 태도,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관심도, 공무원의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활동 정도 등을 꼽고 있다. 이를 종합적으로 보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성공요인으로 공무원들의 동 제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8) 연령과 직급이 높을수록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관심도, 공무원의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관리역량 차이, 중앙정부의 지원활동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 제도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요인들과 제도정착을 위한 중점과제 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등을 활용하여 제도 및 운영시스템 개선, 그리고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홍보활동 강화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노력을 체계적으로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문제에 관한 연구 : 인권적 차원에서의 지원 방안를 중심으로

        곽해룡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최근 그 수가 급증하면서 사회적 관심을 모으고 있는 국내외 북한이탈주민의 지원 및 적응 문제를 인권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현지조사(field study)를 비롯한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발생에서 제3국에서의 체류를 거쳐 한국에 입국하고, 정착까지의 전과정이 긴밀히 연결된 하나의 과정임을 인식하고 이들에 대해 종합적이고 연계된 관점에서 지원 방안이 강구됨으로써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에의 성공적인 정착을 유도하는 것이 남북한 사회통합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소중히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북한 이탈주민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이러한 과정들의 연결고리를 연구하지 못하고 개별적인 과정들로 분리하여 연구하였다. 국내에 있는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 수용정책 및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온 데 반해서 국외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참상과 그 인권적 침해를 국내에 소개하는 폭로성 기사 및 조사보고서가 주류를 형성하였다. 여러 가지 현지 연구조사의 제약성으로 말미암아 재외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사회과학적인 조사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물이 미흡한 실정이다. 정책대안을 강구하고 제시하는 연구물의 경우도 남북한 당국의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정책적 무관심 내지는 소극적인 태도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의 인권침해를 해결하려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제안되거나 실행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해결방안 연구물들이 현실 가능성이 적은 난민인정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대해,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제시 등 연구의 폭을 확대할 필요성에 기인하여 가능한 다양한 방법들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국제사회로부터 난민인정을 위한 노력과는 별개로 절실하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북한 이탈 주민을 탈북 이전부터 남한에 정착하기까지 하나의 과정임을 인식하고 관련된 제 요인을 보편적 가치인 인권적 차원에서 검토하며, 북한이탈주민들의 단계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하였는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재외 북한이탈주민의 규모 및 인권실상, 최근의 탈북 양상 둥을 살펴보았다. 재중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규모와 인권실상을 분석하였는데 그중 난민 협약에 따른 정치적 난민 인정여부와 관계없이 생명의 위협과 고문이 존재하는 곳으로의 강제송환이 금지되어야 하는 근거를 파악하였다. 최근의 탈북양상은 식량난 초기의 절박한 식량구입을 위한 양상에서 벗어나 보다 나은 경제적 생활을 위한 특정을 보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유형별, 단계별 과정에 따른 지원방안의 강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로 재외 북한이탈주민의 유형별, 단계별 과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탈북은 체류기간에 따른 유형을 보면 6개월 이상 장가 채류를 할수록 북한으로의 자발적 귀환이 어려워지고 강제송환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가족을 통반한 탈북의 경우 은신이 용이하지 않아 검거되기 쉽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안전한 재 정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단계별 탈북과정에서 나타난 탈북이전 단계의 북한사회 구조적 요인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관련국가의 입장을 살펴보았고 특히 중국이 WTO가입과 북경 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국제사회에서의 국가 위상변화를 추구하기 때문에 과거보다 상대적으로 신축성 있는 태도를 보일 가능성도 없지 않으나 명백한 태도 변화에까지 이르기는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탈북단계 및 제3국 체류단계와 한국 입국 단계의 요인들을 연계선상에서 분석하였다. 셋째로 재중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지원사업 주체별 역할 및 난민적용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난민협약에 따른 정치적 난민 인정여부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일시적 보호(Temporary Protection)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난민인정에 있어 관건은 중국당국으로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관된 난민인정 거부와 불법월경자로의 취급은 변화될 가능성이 희박하다. 난민인정 보다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일시적 보호인데 이것 역시 중국당국의 동의가 있어야 하며 일시적 보호기간이 경과한 후에 자발적 귀환을 전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넷째로 국내 북한이탈주민 현황 및 적응 상태를 살펴보았다. 재외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에 입국하여 처음으로 받게되는 사회적응 교육으로 하나원 교육의 특정과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사회의 기본적 이해 및 사회적응 능력을 제고시킴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하나원 교육은 기초 직업훈련이 편성되어 있지만 실제 현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제2의 하나원 설립을 통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직업교육을 시도하며, 지역 자치단체와 각종 북한이탈주민 지원단체가 연결망(network)을 형성하여 생활안정과 사회적응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다섯째로 대안적 측면에서 종합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이주민에 대한 해외이주사례를 검토하였다. 동서독 통합과정까지 이르는 동안 동독인의 이주에 관한 서독의 정책과 이스라엘 건국이후 지금까지 지속해온 이주민 정책의 특징 및 베트남 통일 이후 대량으로 발생한 베트남 난민 처리과정에서 나타난 UNHCR과 베트남정부의 협력과정 및 정착방안을 검토하여 북한이탈주민 정착방향 설정에 참고하였다. 앞서 기술한 북한이탈주민의 유형별, 단계별 탈북과정에 따른 정책대안을 탈북단계, 제3국 체류단계, 한국입국 및 정착단계별로 제시하고 전반적으로 북한이 탈주민에 대한 정책을 효율적으로 진척시키기 위한 제도적 변화를 기술하였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주민 문제해결에 있어 시간이 촉박한 가운데 현실의 실현가능성이 희박한 난민협약에 따른 국제사회의 난민인정에만 주력하기보다는 유형별, 단계별 과정에 따른 일시적 보호(Temporary Protection), 자발적 귀환을 포함하는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다양한 방안제시를 통해 국제사회로부터 난민인정을 위한 노력과는 별개로 해결방안의 폭을 확대하였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느냐 하는 것이 앞으로의 남북한 사회통합의 시금석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the Situations and Problems of North Korean Defectors -focused on the aid measures in view of human rights Kwak Hae Ryong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hin YuI) This paper considers synthetically in view of human rights and analyzes with proofs from field study and the like the problems of helping and adapting North Korean defectors inside and outside of South Korea who are interesting the public as the number has been being increased recently. We should realize that the whole process from the defectors' generation, to their staying in a third nation, to entering South Korea and to settling there is closely connected single one, and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the defectors settle successfully in South Korea by taking connected and synthetic measures to help them in that we can accomplish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ore easily in this way. However, until now, the studies on the defectors have mostly not dealt - 173 - with this connected ring, but with individual processes separately. In the studies on the defectors staying outside South Korea, the main stream has been reports and researches revealing their miserable situations and violated human rights ,while they have been mostly on the defectors' adaptation to societies in South Korea, focused on the policies to accomodate them, indicating the problems, suggesting alternative measures. Weare deficient in materials from the social scientific researches and studies on alternative policies because of restrictions on field study. Also in studies searching for and presenting alternative policies, we can't find any measure to solve the violation of the defectors' human rights owing to the indifference to policies and passive attitude toward the defectors. Therefore,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defecters, this study examines a variety of measures possible assuming that we need to extend the range of the study in order to show more realistic and concrete ones while they focused on 'the international authorization of refugees' which has little possibility. In fact, this study investigated all the factors of the whole process from before their escaping from North Korea to settlement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 and analyzed if we can feedback every process of aiding the defectors inside and outside South Korea with the experiences. The main points are as followed. First, this study scrutinized the number of the defecters, the conditions of their human rights and how they have escaped from North Korea recently. This analyzed mainly the number and the conditions of the defectors staying in China. We noticed why they must not be sent forcibly back to the place in which there are the risk of death and torture regardless of the authorization - 174 - of political refugees according to ' the refugee contracts'. The recent defectors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they seek better economic life rather than only the food in the early urgent stages. So we should work out the aid measures according to the types or steps of the defectors.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ectors in each type and step. The longer they stay over 6 months,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them to return voluntarily to North Korea, and the higher chance there is for them to be sent back forcibly. And for the defectors accompanied by their family members, it is not easy to hide safely and they are likely to be captured, so first of all we should help them settle in secure places. This study scrutinized the structural factors in North Korea which appeared before defecting and the positions of the concerned nations. Especially China has joined WTO and will hold the Olympic Games in Beijing, so it is probable for them to show more flexible attitudes than ever before because they pursue the change of their statu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But it is thought that it takes time and efforts for them to reach obvious change of their attitude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together on the same line in the steps of their escaping from North Korea, of staying in a third nation and of entering South Korea. Third, this analyzed the role of each supporting group and the problems of authorization of refugees. Thi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of authorization as political refugees and of 'temporary protection' being suggested as its alternative. China has the initiative to decide on the authorization of refugees for the defectors in China, and until now they have consistently refused to authorize them as refugees but regarded them as - 175 - trespassers who illegally crossed the border. There is little or no possibility of change in this attitude. 'Temporary protection', a more realistic alternative than the authorization as refugees, also needs China's approval, and has the problems that they must return voluntarily after the temporary protection periods. Fourth, thissetting up of the policies on the settlemen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Presenting the alternative policies step by step, that is, escaping from North Korea, staying in a third nation, and entering and settling in South Korea, this study described the systematic changes to help make progress effectively with the policies 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conclusio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defectors, instead of applying our main efforts only to international authorization of the defectors as political refugees with no time to waste, which has little possibility, this study widened the solving measures by presenting realistic measure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ir types and step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ocial integration of two Koreas in the future depends on whether we succeed in dealing with the defectors I problems. -111-

      •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공무원의 역할

        김영수 안동대학교 행정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ole of public servants for encouragement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local self-government era. Our society is a rapidly changed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 Specially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local government has been altered to satisfy resident's demand, through the local election which held on 27th June, 1995. The local government tries to reflect the various request of residents in process of the policy making or performing.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point of localization era is the expans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to develop the autonomy administr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ree major research topics: (1) the degree of public servant' recognition, (2) change of public servant' behavior, and (3) improvement of public administrative institution, for encouragement of residents participation. A 24-item survey of six local governments(in the northern part of the Kyungbuk province) was administered to 277 public servants. The research data is analyzed using both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s statistical methods. Both research methods are useful in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on their actual efforts for the residents participat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ost significant causes to encourag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re following strategies ; First, the public servants' perception to the residents participation should be changed positively. The local government provides continuous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change it effectively. Second, the public servants need to improve their efforts in view point of their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se efforts are related to their professionalism or consciousness based on publicness. Third, the public servants need to induce mor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ctively through various ways; openness of public administration's information to their residents, publicity of local policies, strengthening actual opportunities for their participation, etc.. On the other hand, as new ways for residents' participation, the local government need to consider some alternatives like an operation of the city home page or a cyber library on public administration. Finally, the resident participation is necessity for arran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or revision of municipal laws, development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or citizen protection organization, and so 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presents an important research source for further research on encouragement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local self-autonomy.

      • 한국 지방거버넌스 권력구조와 주민조직 : 주민참여 행정의 상징화 메커니즘 탐구

        안민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discourse of “Symbolic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in the real society and the academic field. The research tries to show the mechanisms of symbolic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on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exploratorily theorize the empirical evidence. Much of the prior research in this field focused little attention on citizen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through the lense of local governance power structure. The current study places emphasis on the connectedness between citizen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ance power structure. In particular, in the theoretical aspects, it draws on the theoretical works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theory to explain the symbolic aspects of citizen participation administ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s the key theoretical explanation reviewed in the article. Firstly, co-optation, which was first formulated by Selznick (1948), is the concept that could explain the local government's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Local government brings community organizations into policy processes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In particular, when local government conflicts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it coopts the community organizations as a strategic purpose. However, local government shares the responsibilities of power, not the power itself. Second, from a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the organizational field of local government's citizen participation gains legitimacy by adopting participatory programs in local government. At the same time, actors in the field decouple organizational operation from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s accept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however, to relieve the institutional pressures, these organizations use the decoupling strategy. Actors try to minimize the external evaluations and ceremonialize adopted programs. Thir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relationship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s are affected by the path dependency of the relationship. They rely on the stable relationship they have formed since the 1970s.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legacy of community organizations, that were established by the Korean authoritarian regime in the 1970s and 1980s continues to, constra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s. So-called Government-Initiated Community Organizations(GICOs) have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and these are now called "National Movement Organizations"(NMOs). Local governance power structure theories are interested in which actors are involved in decision-making, how these actors form coalitions to achieve their goals, consequently what quantities of resources are allocated to which actors? etc. In particular, these theories explain the long-term patterns of coalitions or relationships between actors in the field.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the main actors in the citizen participation field. Methodologically, the research uses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s. Interviewees include twelve main actors within local governance such as the mayor, local congresspeople, bureaucrats, community leaders and local politicians. Furthermore, to rais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it tries to triangulate in-depth interview data, survey data and some hard data from the local government. First, the research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of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in two research areas. The numbers and contents of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of local government are similar in the two regions. However, types, sizes, and subsidies of community organizations that participate in policy processes of local government show some commonalities and variations. Additionally, the analysis shows the influences of each type of community organization on the two most well-known participatory programs of local governance in Korea: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PBC) and the Community Center Committee (CCC). As a result, influences of each type of community organization in the two regions show the common pattern and differences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categorizes community organizations into five types: National Movement Organization (NMO), Civic Movement Organization (CMO), Education And Volunteer Organization (EVO), Disabled-Support Organization (DSO), and Culture And Arts, Et cetera Organization (CAE). In region A, there ar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CMO and, CAE. Region B shows greater numbers of EVO, CMO, and CAE because of i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Regarding organizational size, which is measured by the percent of membership in an organization, region A's community organization membership consists of 73 percent NMO. In contrast, the membership in region B consists of 53 percent EVO and 33 percent NMO. In terms of subsidy quantity, in both regions A and B, NMO receives 45 percent of subsidies in each local government, followed by EVO, which receives 24 percent of the subsidies in each local government. In region A, both in PBC and CCC, NMO shows the highest influence. In region B, in CCC, NMO demonstrates greater influence than other community organization type. However, in PBC, EVO is the most influential organization type. In comparison between PBC and CCC, PBC is more competing participation program among community organizations than CCC. Second, the research constructs perspectives of local governance actors in observing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ment programs. First of all, the local governance power structure is analyzed with structured sets of questionnaires. The mayor is at the top of the local governance power hierarchy. The mayor is followed, in order, by local congress, higher level government, community organizations and local bureaucrats. Particularly worthy of the analysis is the finding that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show greater influence than local bureaucrats in policy processe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reveals that NMOs and related GICOs have high levels of impact in local governance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mayor, who has the highest power in local governance, adopts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governance around local public policy. He or she accepts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for the normative reasons that citizen participation has higher values such as civic education, democracy building, etc. Moreover, through the participatory programs, the mayor could gain substantial political support. Second, local bureaucrats perceive citizen participation, mainly the participation of NMOs or related GICOs. As street-level bureaucrats, they know the problems and realities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also perceive the structural dilemma of citizen participation in policy processes which is described as "lack of participation". Third, local congresspeople think that citizen participation as a member of a community organization is one way to debut in the local political arena. Local congresspeople place greater importance on the political aspects of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in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local congresspeople perceive that increases in participatory programs in local government could constrain the power of the local congress. The normative superiority of participation programs lowers the ability of the congress to monitor the administration's policy-making and budget allocations. Fourth, on the one hand, community organizations empower themselves and attempt to strengthen self-governing authority. In this sense, community organizations are actively cooperative with the programs of local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y show rent-seeking behavior in relation to the resources of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Triangulating the previous analysis, regions A and B are similar cases in terms of the local government's co-optation strategy and the resource dependence of community organizations, and adopting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to gain legitimacy and the decoupling strategy of actors. First of all, local public administration actively co-opts the community organizations. And community organizations rely on the cap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for their organizational resources. In addition, local public administration co-opts community organizations not only in strategic situations such as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s, but also in the daily work of local government. Community organizations are additionally dependent upon local government in resource mobilizing, and this also involves rent-seeking behavior. Secondly, in the field of local governance's citizen participation, actors in the field adopt the programs and decouple them from their original manuscripts. Actors ceremonially adopt the programs into their organizations and moreover, they ceremonially implement the participatory programs with symbolic manners. However, in terms of historical legacy, the two regions show some differences within similar cases. In region A, NMO shows a high level of influence on both participatory programs, PBC and CCC. However, in region B, not only NMO but also EVO and CMO show strong impacts on local policy making processes. Through the above evidence, symbolic aspects of citizen participatory mechanisms are conceptualized as an "interdependence model of community organization and local government". At first, local government co-opts the community organization not only in strategic situations but also in daily local government programs. At the same time, community organizations are dependent on local government resources. The relationships they have formed are greatly affected by historical paths. Now, community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 have a symbiotic relationship in which the organizations help each other when one needs assistance. Secondly, in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s, community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 respond to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decouple at the same time. From a managerial perspective, actors in the field de-couple new institutions from their original purposes to stabilize the operation of organizations and sometimes perform rent-seeking behavior in a negative way. 본 연구는 주민참여 행정이 형식적으로 운영된다는 비판적 선행연구와 현실에 주목했다. ‘왜 주민참여 행정은 형식적이며 상징적인 수준에 머무는가? 주민참여 행정이 상징화되는 조직 수준의 메커니즘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주민참여 행정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지방거버넌스 권력구조와의 관계에서 주민참여 행정을 바라보는 시각이 적었다. 이 연구는 주민참여 행정이 지방거버넌스 권력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전제를 강조했다. 지방거버넌스 권력구조의 시각에서 주민조직과 주민참여 행정을 바라보아야 주민참여 행정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주민참여 행정의 이론적 논의에 있어서는 그동안 간과해왔던 선행연구들을 주목했다. 특히, 조직론적 관점에서 주민참여 행정의 형식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들을 주민조직과 지방정부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주민조직과 지방정부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논의는 첫째, 포섭(co-optation)으로써의 주민참여이다. 지방정부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주민조직을 정책과정에 끌어들인다. 특히, 주민조직과 갈등적 관계에 있을 때, 전략적인 측면에서 포섭한다. 하지만 권력 그 자체를 분산하기 보다는 권력에 따르는 책임을 분산한다. 둘째, 지방정부와 주민조직은 제도적 환경의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주민참여 행정 조직장(organizational field)을 통해 다양한 주민참여 제도와 문화를 받아들인다. 하지만 조직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디커플링(decoupling)을 통해 주민참여 제도를 수용하되 전략적으로 활용한다. 또한 제도적 환경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 외부의 평가를 최소화하고 의례화(ceremonialize)한다. 셋째, 행정과 주민조직은 경로의존 한다. 지방정부와 주민조직은 오랜 기간 그들이 맺어온 관계 방식을 유지하고자 한다. 한국은 권위주의 정권 시절 탄생한 여러 관변단체들이 있는데, 이러한 조직들의 역사적 유산이 여전히 지방정부와 주민조직 간의 관계를 제약하는 하나의 힘이다. 관변 주민조직은 지방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재는 국민운동조직으로 불리고 있다. 연구 방법은 주로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면접 기법을 이용해 A 지방자치단체와 B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행정을 분석했다. 면접 대상자들은 지방거버넌스의 주요 행위자인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 지방관료, 지역활동가, 주민조직 위원, 정당인을 포함한 12명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하드데이터(hard data)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연구의 타당성을 강화하기 위해 심층면접 자료, 설문조사 자료, 하드데이터를 삼각화(triangulation)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 지역의 주민참여 제도 및 조직에 관한 실태조사를 했다. 주민참여 제도의 내용과 수에서 두 지역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행정과정에 참여하는 주민조직의 종류, 규모, 보조금 내역, 주민자치위원회와 주민참여예산에서 각 주민조직이 갖는 영향력을 비교해본 결과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난다. 주민조직은 국민운동 조직, 시민운동 조직, 교육 및 봉사 조직, 장애 조직, 문화예술 및 기타 조직으로 나누었다. B지역은 지역의 역사적,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인해 A지역에 비해 교육 및 봉사 조직, 시민운동 조직, 문화예술 및 기타 조직의 수가 많고, 그 영향력도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 주민조직의 규모(인원)에서는 A지역은 국민운동 조직이 전체 주민조직 규모의 약 73%를 차지했다. B지역은 교육 및 봉사운동 조직이 약 53%, 국민운동조직이 약 33%를 차지했다. 보조금의 경우, A지역과 B지역 모두 국민운동조직이 전체의 약 45%의 보조금을 수령했고, 교육 및 봉사조직이 약 24%의 보조금을 수령했다. 지방정부의 대표적인 주민참여 제도인 주민참여예산과 주민자치위원회에서 각 주민조직이 갖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A지역은 주민참여예산과 주민자치위원회 모두에서 국민운동 조직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B지역은 주민자치위원회에서는 국민운동 조직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주민참여예산에서는 교육 및 봉사 조직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주민참여 제도별로 비교하면, 주민참여예산제가 주민자치위원회보다 주민조직들 간의 경쟁성이 높다. 다음으로, 주민참여를 보는 지방거버넌스 주요 행위자들의 관점을 구성했다. 먼저, 지방거버넌스 주요 행위자들의 정책과정에서의 영향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방자치단체장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행사했고, 다음으로 지방의회, 상위정부, 주민조직, 지방관료 순이었다. 지역기업, 지역언론, 시민단체는 매우 낮은 영향력을 행사했다. 주민조직의 경우 오히려 지방관료 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심층면접 결과, 주민참여 행정에서 국민운동조직을 비롯해 직능단체로 불리는 주민조직들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탐색적인 지방거버넌스 권력구조 실증조사를 바탕으로, 지방거버넌스 주요 행위자가 주민참여 행정을 바라보는 관점을 구성했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장은 주민참여 행정의 규범적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 또, 실질적으로는 각종 주민참여 제도를 통해 정치적 지지를 획득한다. 둘째, 지방관료는 주민참여 행정을 주로 ‘직능단체’내지는 국민운동조직의 참여로 묘사했다. 이들은 주민참여 행정의 실태와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고 동시에‘저조한 참여’라는 주민참여 행정이 처한 구조적 딜레마도 인식하고 있다. 셋째, 지방의원은 주민참여 행정을 지역정치에 진출하는 통로 중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었다. 주민참여 행정의 정치적 측면을 강조한 것이다. 또한. 주민참여 행정이 때로는 지방의회의 권한을 제약한다고 본다. 주민참여 행정의 규범적 우위성으로 인해 지방의회의 원활한 견제능력이 저하된다고 지적한다. 넷째, 주민조직은 한편으로는 주민참여 제도를 통해 역량감 및 자치권을 강화하고자 한다. 주민조직은 지방정부의 정책사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조하면서, 동시에 자신의 목소리를 내면서 역량감과 자치권을 강화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은 주민참여 행정의 자원에 대해 지대추구 행위(rent-seeking behavior)를 하기도 한다. 분석을 종합하면, A지역과 B지역은 행정의 포섭과 주민조직의 자원의존, 주민참여 행정의 수용을 통한 정당성 획득과 디커플링의 측면에서는 유사한 사례이다. 첫째, 행정은 주민조직을 포섭하고 있고, 주민조직은 행정에 자원의존하고 있다. 행정은 주민조직을 전략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포섭하고 있다. 동시에, 주민조직은 행정에 자원의존하고 있으며 때로 지대추구 행위를 한다. 둘째, 주민참여의 조직장에서 지방정부와 주민조직은 다양한 참여제도를 받아들이고 동시에 디커플링(decoupling)한다. 주민조직과 지방정부는 주민참여 제도를 의례적으로 채택하는 것을 넘어서서 때로 의례적으로 실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주민조직의 역사적 유산의 측면에서는 유사한 사례 안에서(within)차이점도 드러난다. A지역은 국민운동조직이 매우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경론의존성을 가진다. 반면, B지역은 지역의 역사적 특성으로 인해 국민운동조직 뿐만 아니라 교육 및 봉사 조직과 시민운동 조직의 영향력도 강했고, 주민조직들 간의 경쟁성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참여 행정의 상징화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주민조직과 지방정부는 조직간 관계의 관점에서 상호의존적 공생 관계를 맺고 있고, 이 관계는 제도적 환경과 상호작용한다. 첫 째, 지방정부는 주민조직을 전략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적 상황에서 포섭한다. 이 때, 포섭의 관계는 관변 조직의 역사적 유산에 경로의존 한다. 동시에 주민조직 또한 지방정부와의 지속적인 자원의존 관계를 끊지 않고 공생관계를 맺는다. 둘 째, 이러한 관계적 구조 속에서, 지방정부와 주민조직은 다양한 주민참여 제도를 받아들여서 주민참여 행정의 정당성을 획득하고, 동시에 디커플링한다. 주민조직과 지방정부는 관리적 관점에서 조직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디커플링을 하기도 하며, 때로는 일탈적인 지대추구행위를 하기도 한다.

      •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김재형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주민참여예산제도는 지방자치단체가 선도적으로 정책을 도입하였고, 주민자치의 우수사례로 타 지방자치단체에 전파된 제도로서 재정분야의 대표적인 정책확산 사례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채택한 것이 정책확산이론의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 사건사분석을 통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 메커니즘이 외부적인 요인에 있는지, 내부적인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정책확산이론의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에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은 정책확산의 현상적 특성인 시간적 차원의 특성, 공간적 차원의 특성, 내용적 차원의 특성을 만족하고 있었다. 사건사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적 요인으로서 정책을 먼저 도입한 인접 자치단체의 수적 증가와 국가의 제도 도입압력이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책채택에 모방과 압력 메커니즘이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내부적 요인인 전년도 재정자립도와 단체장의 정치성향이 정책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합리주의 메커니즘도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제도 도입 후 실제 운영과정에는 전년도 노인인구비율과 단체장 선거시기, 단체장의 정치성향, 지방의회의 정치성향이 영향을 미쳐 내부적 요인에 의한 합리주의 메커니즘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근거로 정책의 확산이 마무리 된 이후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의 주민참여예산제도를 검토해 보려고 한다. 제도 도입과 제도 운영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은 다르게 나타나는데 지방자치단체들의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제도의 도입 이후 운영에서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제도 도입 시기에는 조례에 따른 유형분류가 있지만 운영과정에 있어서는 자율성을 주게 되어 같은 제도이지만 적용은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확산요인의 분석결과를 근거로 특징을 잡고 기준을 세워 지방자치단체를 분류하면 그 분류기준은 광역과 기초, 도시와 농촌 이 두 가지이다. 기준으로 분류하여 실제 운영사례를 분석해보면 분류된 유형은 도시형 광역자치단체, 도시형 기초자치단체, 도농형 광역자치단체, 도농형 기초자치단체로 나누어진다. 사례를 통해 본 운영의 특징은 2가지 형태의 주민참여예산제 운영과, 주민참여 예산범위의 다양화, 주민참여예산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소극적 태도, 주민참여예산위원회 운영의 양극화, 도농형 지방자치단체의 열악한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여건, 주민참여예산 담당자의 업무과중 등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참여대상과 참여범위의 확대가 필요하고 온라인을 통한 시공간적 제약의 극복, 공모사업의 규모 및 유형의 다양화, 광역과 기초간 연계·협력등이 필요하다.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a system that has been proactively introduced by local governments and spread to other local governments as an excellent example of resident autonomy, and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policy spread in the financial sector.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adoption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by local governments can be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diffusion theory, and analyzed whether the diffusion mechanism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due to external or internal factors. The results of the case histor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that first introduced policies as external factors and the pressure of the state to introduce institutions had an effect on the adoption of local governments' polici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imitation and pressure mechanisms work in policy adop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nalist mechanism also works as internal factors such as fiscal independence in the previous year and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influence policy adoption. Thir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nalist mechanism due to internal factors strongly influenced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group leader election period, group leader political orientation, and local council political orienta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 will review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of local governments currently in operation after the spread of the policy is complet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system appear differently, but local governments have different situations,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have different forms of opera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At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ere is a classification of types according to ordinances, but the same system is applied differently because autonomy is given in the operation proces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pread factors, local governments will be classified by setting characteristics and standards, and ways to improve the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 will be examined through case studi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classified into two criteria: metropolitan and basic, and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 actual operational cases are analyzed, and the classified types are divided into urban and rural local governments, urban and rural local governments. The two types of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s, diversificat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ranges, passive attitude of local governments toward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systems, polarization of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committees, poor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conditions, and work of resident participation budget managers.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target and scope of participation, overcome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online, diversify the size and type of public offering projects, and link and cooperate between metropolitan and basic areas.

      • 지식정보화사회의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김대현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주민의 참여요구는 오늘날 세계 도처에서 강화되고 있는 추세다. 우리 나라도 주민참여의 요구가 점증하다가 1990년대 초 지방자치가 부활되면서 더욱 커지고 있다. 이처럼 주민참여의 요구가 커지고 있는 이유는 대의제에 대한 불신, 권력의 중앙집중 거부, 전문가집단에 대한 회의, 정책결정 및 집행과정의 불투명성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주민의 요구에 따라 주민참여의 범위가 확대되고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우리 나라의 주민참여 방식으로는 반상회, 공청회, 위원회, 민원 및 청원, 주민감사청구, 의정감시활동, 시위와 집단민원, 주민투표, 주민발의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간헐적으로 워크샵, 특별위원회, 자문그룹, 우편설문조사, 의견투고의뢰, 일상적 주민접촉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민참여의 방식들이 예상했던 만큼의 기대효과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시간과 비용상의 한계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게다가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화사회로의 전환은 사상과 가치체계는 물론이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상상을 초월하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새로운 형태의 주민참여가 모색될 것이 요청되고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주민참여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민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고 있다. 제 1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 2 장에서는 목적을 중심으로 지식정보화사회의 주민참여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제 3 장과 제 4 장에서는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주민참여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5 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연구결과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주민참여와 관련된 문제점으로는 새로운 주민참여 방식, 주민참여의 의식 부족, 정보의 민주화 미흡, 주민의 정보이용 능력 부족 등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주민참여 방식 개발, 주민참여의식 강화, 정보의 민주화 제고, 주민의 정보이용 능력 향상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귀결되었다. The demand of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ir community has been increasing in the world. In Korea, the demand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it is increasing even more since the local self-governments were revived since the early 1990s. The reasons why the demand of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ir communities are as follows: the mistrust of representation, the rejection of government-centered power, mistrust of experts, policy decision-making ambiguity and the enforcement procedures. According to the demand of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ir communities, there were many ways developed which expanded the scope of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The approach taken for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are as follows: Bansangwhae, public hearings, commissions, civil applications and petitions, requests of residents' inspections, monitoring of legislature, demonstrations and public hatred, public vote, and the residents' initiation. In addition, there are also public forums such as workshops, extraordinary committees, advisory organizations, survey of mail, requests of contribution opinion, and meetings with the residents. However, these ways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Time and financial limitations are believed to be the key factors in the cause of the low turno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many changes of opinions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knowledgeable informed society as well as in the political, the economical, and cultural aspects of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which caused residents to not participate in the Knowledgeable and informed society and to suggest different methods of encouraging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ir communities. The documentary survey was used and the content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e purpose, the scope, and the method of study were in the first chapter. In the second chapter, the residents principles of participation in the knowledgeable and informed society were arrang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the problems related to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knowledgeable and informed society and suggeste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n the fifth chap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described the problems, which were based on a lack of new methods of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a knowledgeable and informed society, the residents' lack of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the insufficiency of democratization of information, and residents' inability to use the information effective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new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enforce the residents' consciousness and participation levels. In addition, the democratization of information should be reconsidered. The residents should also try to enhance their ability to use information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