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quiry into Heidegger's definition of philosophy as universal phenomenological ontology

        유호정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Being and Time, Heidegger defines philosophy as universal phenomenological ontology. In terms of its object, philosophy is ontology. In terms of its method, philosophy is phenomenology. Yet, there is a tension between these two terms. Philosophy as ontology should raise not just the ontological inquiry into the Being of entities, but the fundamental ontological inquiry into Being in general. However, philosophy as phenomenology is, by definition, a method that starts from entities to reach at most the Being of the entities. Thus, the tension is that phenomenology does not seem capable of attaining the ultimate end of fundamental ontological inquiry, the meaning of Being in general. This paper nevertheless assumes that phenomenology is capable of attaining the meaning of Being in general. In other words, it assumes that universal phenomenological ontology is possible.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paper outlines the two-step procedure of universal phenomenological ontology, which is demonstrated in the fundamental ontology of the subject in Kant and the Problem of Metaphysics and the fundamental ontology of Dasein in Being and Time. To reach the meaning of Being in general, phenomenology has to pursue not just the ontology of any entity, but the fundamental ontology of the transcendental entity. Yet, the two-step procedure reveals that it is not possible to immediately proceed with the fundamental ontology of the transcendental entity proper. The first step is regional ontology. The regional ontology begins with entities that are not the transcendental entity. From the entities, it reaches the Being of entities. From the Being of entities, it reaches the region of Being. Only insofar the region of Being is reached, phenomenological ontology is able to transition from the regional ontology to the fundamental ontology, which is the second step. With the region of Being, fundamental ontology interrogates the transcendental entity that constitutes the region of Being. From the transcendental entity, it reaches the Being of the transcendental entity. Finally, from the Being of the transcendental entity, it reaches Being in general. Ultimately, this paper reveals that the logic that underlies the two-step procedure is a paradigm of philosophy that defines universality as essentially finite. Such a paradigm of philosophy affirms that the finite region of Being which the finite transcendental entity makes possible lays claims to universality. Thus, the universality of universal phenomenological ontology turns out to be universality defined as finite.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철학을 보편적 현상학적 존재론이라고 정의한다. 철학은 그 대상의 측면에서 존재론이고 그 방법의 측면에서 현상학이다. 그런데 존재론과 현상학 사이에 긴장 관계가 있다. 존재론으로서의 철학은 존재자의 존재에 관한 물음을 넘어서 존재 일반의 의미에 관한 물음을 궁극적으로 던져야 한다. 달리 말해 철학은 존재론적 물음을 넘어서 기초 존재론적 물음을 궁극적으로 던져야 한다. 그런데 다른 한편 현상학으로서의 철학은 정의상 존재자에서 시작하여 존재자의 존재에만 도달 가능한 방법이다. 그러므로 긴장관계는 현상학이 기초 존재론의 궁극적인 목표인 존재 일반의 의미에 도달 가능하지 않을 것 같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현상학이 기초 존재론의 궁극적인 목표인 존재 일반의 의미에 도달 가능한 방법이라는 것을 전제한다. 달리 말해 이 논문은 보편적 현상학적 존재론이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한다. 핵심은 현상학이 그냥 존재자가 아닌 다른 존재자의 가능 조건인 초월적 존재자를 현상으로 다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어떻게 초월적 존재자를 현상으로 다룰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상학은 초월적 존재자가 존재자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앞서서, 그 존재자들을 포함하면서도 그 존재자들에 선행하는 어떤 존재의 영역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보편적 현상학적 존재론은 두 단계 구조를 갖는다. 첫 번째 단계는 영역 존재론이다. 영역 존재론은 초월적 존재자가 아닌 존재자에서부터 시작한다. 다음 그 존재자의 가능 조건으로서 그 존재자의 존재를 끌어낸다. 마지막으로 그 존재자의 존재 가능 조건으로서 존재의 영역을 끌어낸다. 현상학적 존재론은 존재의 영역에 도달하는 한 영역 존재론에서 두 번째 단계인 기초 존재론으로 넘어갈 수 있다. 기초 존재론은 존재의 영역을 구성하는 초월적 존재자를 (현상으로서) 다룰 수 있게 된다. 다음 초월적 존재자의 가능 조건으로서 초월적 존재자의 존재를 끌어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초월적 존재자의 존재로부터 존재 일반의 의미에 도달한다. 초월적 존재자가 존재의 영역을 가능하게 하는 존재자이기 때문에, 그 존재의 영역에 속하는 모든 존재자를 가능하게 한다. 하이데거의 <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에서 주체의 기초 존재론과 <존재와 시간>의 현존재의 기초 존재론에서 이러한 두 단계 구조를 찾을 수 있다. 초월적 존재자로부터 초월적 존재자의 존재에 도달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보편성이 본질적으로 유한하다고 정의하는 철학의 패러다임이 이 두 단계 구조를 뒷받침하는 논리임을 보여준다. 이 철학의 패러다임은 유한한 초월적 존재자가 가능하게 하는 유한한 존재의 영역이 보편성을 소유함을 긍정한다.

      • 존재론적 안보 관점에서의 북한 핵무력 개발 정책 분석 ‐ : 주체 내러티브와 존재론적 불안

        김동일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존재론적 안보 관점에서 북한의 핵무력 개발 정책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존재론적 안보 관점에서 북한의 자아 정체성을 분석 하기 위하여 북한의 주체사상을 정체성 내러티브로서 가정하고 분석한다. 이러한 정체성 분석을 통해 주체사상의 반제국주의, 주체성에 대한 추구를 자아 정체성으로 규정하고, 북한의 핵무력 개발을 이러한 자아정체성에 대한 추구로서 설명한다. 기존 연구와의 차별을 위하여 기존의 전통적 안보로서 설명이 힘든 1960-70 년대와 김정은 집권초기와 북미정상회담 이후의 북한 핵무력 개발 시기를 분 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북한의 핵무력 개발 정책은 북한의 주체 정체성에 대한 안보 추구 행위의 결과이고, 이러한 핵무력 개발 정책에 대한 추구는 북한 건국시기부터 현재까지 시대를 불문하고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주요어 : 북한, 존재론적 안보, 주체사상, 핵무력 개발, 자아정체성, 내러티브

      • 존재 최소주의와 합리적 존재론: 신카르납주의 메타존재론

        조승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n ontological deflationism called rational ontology and an existence deflationism called contextual minimalism about existence. Rational ontology is a Neo-Carnapian conception of philosophical ontology, according to which ontology is a practical inquiry rather than a theoretical inquiry. More specifically, the rational ontologist construes the nature of philosophical ontology as follows: ontology is largely a matter of linguistic choice governed by practical rationality. Rational ontology is a form of ontological deflationism, but differs from extant forms of deflationism in the following point: rational ontology is a normative deflationism, whereas the existing forms are descriptive in character. In other words, contemporary deflationists stress the importance of describing actual features of our languages for resolving ontological questions, whereas rational ontologis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ormative questions about our linguistic choices. What rational ontologists pursue is to improve our linguistic frameworks in accord with their principles of practical rationality, and to ask existence questions within such reformed frameworks. However, if existence is a metaphysical concept, the project of rational ontology may lose its plausibility from the beginning. This is because if existence is nothing but a metaphysical concept, any existence question would have a metaphysical import. Thus, it seems required for rational ontologists to adopt a deflationary conception of existence to enhance their plausibility. In this paper, I will show that the rational ontologist has fair reasons to adopt Thomasson’s existence minimalism. In particular, combining Thomasson’s existence minimalism with Horgan’s contextual semantics, I will formulate and defend a contextualist version of existence minimalism. According to contextual minimalism, an existence sentence ‘A exists’ is true in a context iff semantic conditions that a linguistic framework functioning in the context assigns to ‘A’ are fulfilled. Since rational ontology as suggested in this paper is based on existence minimalism, rational ontology is also a normative version of easy ontology. This paper consists of 6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in which I formulate existence minimalism and ontological minimalism each of which constitutes a main theme of this paper. Chapter 2 is devoted to the Quine-Carnap debate. It is important to have a grasp on the Quine-Carnap debate since the debate certainly parallels and is the origin of the contemporary metaontological debate. I will offer some critical remark on Carnap’s metaontology, and argue that existence minimalism is required for rational ontologists. In chapter 3, I will describe and criticize contemporary ontological deflationism, that is, Hirsh’s, Hofweber’s, and Thomaasson’s deflationism, each of which deserves the label “Neo-Carnapian.” I will argue that Thomasson’s existence deflationism is the most useful for rational ontologists among the three forms. Chapter 4 and chapter 5 constitute the core of this paper. In chapter 4, I will formulate and defend an existence minimalism called contextual minimalism about existence. In chapter 5, I will formulate rational ontology and then criticize the inflationist pos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ational ontologists. Chapter 6 is a conclusion in which I briefly remark on the further applicability of the rational ontologist’s idea. 본 논문의 목표는 내가 “합리적 존재론(rational ontology)”이라고 부를 존재론적 축소주의와 “맥락적 존재 최소주의(contextual minimalism about existence)”라고 부를 존재 축소주의 입장을 제안하는 것이다. 합리적 존재론은 철학적 존재론을 이론적 탐구라기보다 언어 선택에 대한 실천적 탐구로 이해하는 카르납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한, 신카르납주의 메타존재론의 한 입장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합리적 존재론자는 철학적 존재론의 본성을 다음과 같이 이해한다: 존재론은 주로 언어 선택의 실천적 합리성에 관한 문제다. 합리적 존재론은 기존의 “기술적(descriptive)” 존재론적 축소주의와 달리 “수정적(revisionary)” 축소주의이다. 즉, 기존의 축소주의자들이 존재론을 수행함에 있어 언어에 대한 기술적 탐구를 강조하는 반면, 합리적 존재론자는 언어에 대한 규범적 탐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합리적 존재론자는 우리가 가진 언어적 틀을 여러 실천적 합리성 원리에 따라 개선한 뒤, 그러한 언어적 틀 내에서 존재 질문을 던지려고 한다. 하지만 만약 존재가 형이상학적 개념이라면 합리적 존재론 입장은 위협받는다. 이는 만약 존재가 그 자체로 형이상학적 개념이라면 모든 존재 질문은 형이상학적 질문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리적 존재론자는 형이상학적으로 축소적인 존재 개념의 채택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합리적 존재론자는 토머슨의 존재 최소주의를 채택할 이유가 있음을 보일 것이다. 특히 나는 존재 최소주의에 호건의 맥락 의미론을 결합한 맥락적 존재 최소주의를 정식화하고 옹호할 것이다. 맥락적 존재 최소주의에 따르면, 한 맥락에서 존재 문장 ‘A가 존재한다’는 그 맥락에서 작동하는 언어적 틀이 표현 ‘A’에 부과하는 의미론적 조건들이 충족될 경우, 그리고 오직 그러한 경우에만 참이다. 이처럼 합리적 존재론은 존재 최소주의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합리적 존재론은 규범적 버전의 쉬운 존재론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서론으로, 1장에서 나는 앞으로의 논의를 위해 필요한 두 핵심 입장, 즉, 존재 축소주의와 존재론적 축소주의를 정식화한다. 2장에서는 콰인-카르납 논쟁이 다뤄진다. 콰인-카르납 논쟁은 현대 메타존재론 논쟁의 연원일 뿐만 아니라, 현대의 콰인주의자와 카르납주의자 간 논쟁과 평행을 이루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후 나는 카르납의 메타존재론을 평가하고 합리적 존재론자에게 존재 축소주의 입장이 요구됨을 주장할 것이다. 3장에서 나는 신카르납주의로 분류될 만한 허쉬, 호프베버, 토머슨의 존재 축소주의와 존재론적 축소주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나는 세 입장 중 토머슨의 존재 축소주의가 합리적 존재론자에게 유용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4장과 5장은 이 논문의 핵심이다. 4장에서 나는 존재 축소주의의 한 입장인 맥락적 존재 최소주의를 정식화하고 옹호할 것이다. 5장에서 나는 합리적 존재론을 정식화한 뒤, 합리적 존재론의 입장에서 기존의 팽창적 입장들을 비판할 것이다. 6장은 결론으로, 합리적 존재론 아이디어의 확장성에 대해 짧게 논의된다.

      •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와 무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영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6

        The primary aim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Heidegger's thought of Being as the thought of ontological difference and of nothing. This work consists of dividing Heidegger's thought into the earlier period and the later period, and of explicating it on the ground of the immanent continuity between two period. This interpretation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his thought of Being as that of becoming based on the absence. The preceding interpreters take the conversion(Kehre) in Heidegger's thought of Being as a discontinuity drawing a line between his earlier and later thought. Some of them hold that his earlier thought stands on the modern metaphysics of subjectivity(in case of W. Schulz, W. Richardson, K. Held, A. Rosales). Others take it that the metaphysics of subjectivity, which is regarded as characterizing his earlier thought, can be overcome when truth of Being is thought from Being itself after the conversion. Since the problem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is dealt with within the scope of that of Being, the foregoing interpretations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share the following presuppositions: In Heidegger's earlier thought, the ontological difference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world and beings. Also, world is the product of being-there(Dasein)'s constitution. Based on the subject's constitution, beings can be. On the other hand, the ontological difference in Heidegger's later thought indicates the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beings and beings can be in virtue of Being itself. The interpretation that Heidegger's later thought is the thought of Being itself is employed as the ground for the critical opinion raised by J.-L. Marion and J. Derrida. According to them, Heidegger's later thought of Being is the thought of the One or the same, which is nothing but God in the tradition of the western metaphysical thought.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show the following: the preceding studies presuppose that being-there and Being itself are respectively taking the center of Heidegger's earlier and later thought on the ontological difference. This presupposition can imply that being-there in the earlier period of his thought is the only ground of meaning of Being, and that Being itself in his later period is the external cause and the ground such as God. According to this the external or internal cause. Consequently this view fails to explicate the givenness of Being in terms of the earlier though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s, that is, the change of becoming and extinction based on the internal rela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in terms of Heidegger's later thought. The ontological difference is Heidegger's own concept as the counterpart to the ontological distinction(die ontologische Unterscheidung) between essence(essentia) and the real(existentia) in the traditional western metaphysical thought. In his earlier philosophy, the ontological difference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world and beings. The matter of existence and of who being-there is has become major issues in the ontological difference. According to some of the aforementioned interpret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world and beings, world is regarded as the product of subject's constitution. But these interpretations have difficulty giving a decisive understanding of the givenness of Being and of the difference between authentic and inauthentic being-there, which cannot be reduced to the constitution of subject. Concerning this issue, this thesis shows that the givinness of Being is one of the intrinsic issues of the earlier period of Heidegger's phenomenology, and that it can be elucidated through the finitude of being-there's freedom in being-there's transcendence into world. In Heidegger's later thought, the ontological difference emerges as a pivotal notion, which is a notable change compared with its status in his earlier thought. Being and beings are different.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one and the same. But this interpretation faces some objections. According to them, Heidegger makes a central issue not beings but Being. Also, he takes the Being itself as being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western metaphysics. But we should not overlook that Being is not external to or behind beings just as the highest beings is. This thesis elucidates that Being and beings are different and also the same, by focusing on non-metaphysical meaning of relation between them. For metaphysical thought, the rela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is interpreted within the frame of causal meaning based on the ontic making or ontic doing. For example, the rela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in the ancient philosophy and the medieval theology was thought as 'the relation between creator and creation'. Moreover, for Hegel, as the consolidator of western metaphysics, the relation was elucidated through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highest cause grounding(die Gründung) the beings-in-their-totality and an absolute foundation(die absolute Begründung) of ontic making of God. Also, when it comes to the technological era, which is rooted in the western metaphysics about the rela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human beings has the position of forming all creation. In this case, Being is the highest cause in the sense of ontic making(Machen) and in the sense of the transcendental enabling(das Ermöglichen). As the result, the beings-in-their-totality becomes the products of the causal doing by God or the Same. Furthermore, I showed that nothing is regarded as the non-beings, as long as beings-in-their-totality is interpreted as the products of ontic making by the highest cause, and that the interpretation of nothing in the western metaphysics leads to nihilism or overcoming nihilism(in case of Nietzsche) as its conclusion. Meanwhile, for Heidegger's later thought, the difference of Being and beings has non-causal meaning of "Letting(das Lassen)". The ontological difference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mutual and internal way unfolding the twofold of Being and beings, on the one hand, and world and things, 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differentiation(Unter-shied) is not the third thing mediating the twofold of world and things later, but the mutual and internal way of being conjoining the twofold of world and things, that is, "letting" such as the being apart(das Aus-einander) and the being toward each other(das Zu-einander) of world and things. Moreover, I clarified the relation between beings and Being in connection with the unity of the beings-in-their-totality. Heidegger shows that the unity of the beings-in-their-totality is not founded on the highest cause or the transcendental ability of human intelligence, but is grounded on the autogenous play(Spiel) of beings and Being. From this, I interpreted the ontological difference as letting and giving/givenness in the internal connection with difference and the sameness of Being and beings. Moreover, this thesis interprets nothing in connection with the ontological difference. Nothing in Heidegger's earlier philosophy is dealt with in the context of being-there's relevance to world and being-there's existence. Also, nothing in Heidegger's later thought means the extinction, absence, or emptiness. Consequently, noth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ground of unfolding of differentiation itself. At last, the issue of this thesis is the relation itself between the ontological difference and not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tological difference and nothing are disclosed when they are considered together. Moreover, the reason I focus on the relation itself is that it makes possible to affirm becoming in the sense of non-causal meaning of lett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ay of the western metaphysics. If noth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absence and extinction of beings, and if it is also understood as the ground of unfolding of differentiation itself, we can infer the thought of 'becoming in the extinction", that is, becoming based on the absence. Based on this, I argued that the thought of becoming regarding absence as the essential ground of it can present the introspection about way of well being.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표는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존재론적 차이와 무의 문제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하이데거의 사유를 전기 사유와 후기 사유로 나누고, 전·후기 사유 간의 내재적 연속성에 근거해서 해명된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사유의 고유성을 부재에 근거하는 생성의 사유로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많은 하이데거 연구자들은 전·후기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의 전회(Kehre)를 불연속적인 관계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들 중 몇몇의 연구자들은 전기 하이데거의 사유를 근대 주체성의 형이상학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전회 이후 존재 자체로부터 존재 진리가 사유될 때 전기 하이데거의 사유를 규정하는 주체성의 형이상학이 극복되는 것으로 논의한다. (W. 슐츠, W. J. 리처드슨, K. 헬트, A. 로잘레스의 경우) 존재론적 차이의 문제는 존재 사유의 문제 범위 내에서 다루어지는 것이기에, 존재론적 차이에 대한 기존의 많은 해석들은 다음의 입장을 공통적으로 전제한다. 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는 세계와 존재자의 차이를 말하며, 세계는 주체로서의 현존재의 구성의 산물이며, 존재자는 그것의 본질을 세계로부터 규정받는다. 한편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와 존재자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존재자는 존재 자체로부터 있다. 무엇보다 후기 하이데거의 사유를 존재 자체에 대한 사유로 해석하는 입장은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입장(J. 데리다, J. 마리옹 등)의 주요 논거로 작용해 왔다. 이들에 따르면 존재 자체를 강조하는 후기 하이데거의 사유는 결국 서구 형이상학적 사유 전통에서와 같이 신과 같은 일자나 동일자에 지나치게 경도된 존재 사유이다. 이 논문은 존재론적 차이에 대한 기존 해석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앞서의 선행 연구들은 전·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를 각기 전기 사유에서의 ‘현존재’와 후기 사유에서의 ‘존재’를 중심으로 해석한다. 그런데 이러한 해석은 하이데거의 전기 사유에서의 현존재를 존재의 유일한 의미의 근거로, 후기 사유에서 존재 자체를 신과 같은 존재자 외부의 원인이자 근거로서 해석하는 시야를 전제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의미를 부여하고 의미가 부여된 것 간의 관계로, 그리고 작용의 원인과 그러한 원인으로부터 결과지어진 것 간의 관계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하여 존재자 전체는 외적인 원인 혹은 내적인 원인의 작용의 산물로 간주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해석은 전기 사유의 견지에서 주체의 구성의 산물로 환원될 수 없는 존재의 소여성, 즉 세계 자체의 개방성과, 후기 하이데거의 사유의 견지에서 존재와 존재자의 내적 관계에 기초한 퓌시스의 생성과 소멸의 운동을 해석하는데 실패한다. 존재론적 차이는 ‘본질(essentia, 존재)’과 ‘실제(existentia, 존재자)’의 구별이라고 하는 전통 형이상학의 존재론적 구별에 대당하는 하이데거의 고유 개념이다. 하이데거의 전기 사유에서 존재론적 차이는 세계와 존재자의 차이를 가리킨다. 그리고 세계와 존재자의 차이에서 실존과 현존재의 누구임이 중심적인 문제로 등장한다. 앞서 언급한 연구자들에 따르면, 존재론적 차이는 세계와 존재자의 차이를 가리키며, 세계는 주체의 구성의 산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전기 하이데거의 주체인 현존재의 구성의 산물로 환원될 수 없는 본래적/비본래적 현존재 사이의 차이와, 무엇보다 본래적 현존재로부터 개방되는 존재의 소여성에 대한 결정적인 해석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고는 이와 관련하여 존재의 소여성은 전기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세계 자체의 개방성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이는 전기 하이데거의 핵심적인 문제 중에 하나이며, 이는 본래적 현존재의 세계 초월에서 현존재의 자유의 유한성의 문제와 관련해서 해명되는 것임을 보인다. 후기 하이데거에게 존재론적 차이는 전기 사유에서 이 문제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서 보다 핵심적인 문제로 등장한다. 후기 하이데거에 따르면,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와 존재자의 차이를 말한다. 그러나 동시에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와 존재자가 동일한 것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나 존재와 존재자가 동일한 것을 가리킨다는 해석은 당장 반론에 부딪힌다. 하이데거는 존재자가 아닌 존재를 사유했으며, 그것도 서구의 형이상학적 사유 전통과 다르게 존재 자체를 줄곧 물어 왔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하이데거에게 존재 자체는 존재자 외부나 배후에, 마치 보다 상위의 존재자와 같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존재와 존재자가 차이나면서 동일한 것이라는 사태를 양자의 관계에 대한 비-형이상학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해명한다. 서구 형이상학의 사유 전통 내에서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존재자적 제작함(ontisches Machen)과 존재자적 함(ontisches Tun)의 의미에서의 인과적 사유의 틀 내에서 해석되어 왔으며, 이것은 현대 기술 사회에서 제작의 형이상학(Metaphysik des Machenschaft)의 형태로 정점에 달한다. 단적으로 고·중세 시기,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로 사유된다. 이 속에서 존재는 존재자적 제작함의 성격을 갖는다. 나아가 서구 형이상학을 종합하고 완성한 헤겔에게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존재자 전체를 야기하는 제일 원인과 정초하는 사유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해명된다. 이 속에서 존재는 초월론적 의미에서의 사유의 정초의 산물이 된다. 나아가 서구 형이상학의 사유 전통에 뿌리를 두는 기술 사회에 이르러, 인간은 존재자 전체를 제작하는 형상의 자리에 들어서고, 만물은 인간의 제작의 산물이 된다. 결과적으로 존재자 전체의 생성은 신 혹은 동일자의 작용과 제작의 산물이 된다. 더욱이 존재자 전체를 원인으로부터의 존재자적인 제작의 관점에서 해석했을 때, 무는 어떠한 원인으로부터 있는 것이 아닌 한에서 비-존재자로 간주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서구 전통 형이상학의 존재론적 구별과 무의 관계에 대한 해석이 허무주의로 귀결되거나 혹은 허무주의의 극복의 시도(니체의 경우)로 귀결됨을 보이고자 했다. 반면 후기 하이데거에게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는 ‘허락함(Lassen)’이라고 하는 비-인과적 의미로 해석된다.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와 존재자의 이중성의 펼침으로부터, 나아가 세계와 사물의 내적인 상생의 존재방식으로부터 해명된다. 무엇보다 차-이(Unter-schied)는 세계와 사물 양자의 관계를 추후에 매개하는 제삼의 것이 아니라, 세계와 사물의 서로-나뉨(das Aus-einander)과 서로에게로-향함(das Zu-einander)의 내적 통일을 허락하는 것 이외의 다른 것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아가 본 논고는 존재와 존재자의 관계 문제를 존재자 전체의 통일성의 문제와 함께 해명한다. 하이데거는 존재자 전체의 통일성을 최고의 원인으로부터 주어진 것으로도, 지성의 초월론적 통일 능력 의해 정초될 수도 없는 것으로, 존재와 존재자의 자생적 놀이(Spiel)의 법칙에 근거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로부터 본 논문은 존재론적 차이를 존재와 존재자의 차이와 동일성의 내적 관계 속에서 허락함(Lassen), 줌/주어짐(geben)의 상생의 놀이로 해석한다. 나아가 본 논고는 존재론적 차이를 무와의 관계에서 해석한다. 본 논문은 전기 하이데거 사유에서 ‘무’를 존재론적 차이와 관련하여 현존재의 세계 연관과 실존 방식과 관련해서 논구한다. 이와 관련하여 후기 하이데거에게 무는 소멸, 부재, 혹은 비어있음으로 해석되고, 이러한 무가 차-이 자체의 전개 운동의 근거로 해석될 수 있음은 하이데거의 텍스트에 대한 내재적 해석을 통해 입증된다. 이로부터 본 논고는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에서 존재론적 차이와 무는 함께 논의될 때 각각의 독특성이 분명하게 제시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마지막 주제는 존재론적 차이와 무의 문제를 양자의 관계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는 것이다. 본 논고가 차이와 무의 관계 자체에 주목하는 것은, 그로부터 현사실적 삶, 즉 생성을 서구 형이상학적 사유 전통과 다르게 긍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기 때문이다. 만일 무가 퓌시스와의 관계에서 존재자의 부재와 소멸로서 해석될 수 있고, 나아가 부재와 소멸이 차이 자체의 전개의 근거로서 이해될 수 있다면, 존재론적 차이와 무의 관계는 ‘소멸 속에서의 생성’ 즉 부재에 근거하는 생성의 사유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부재를 생을 지탱하는 근거로 간주하는 생성의 사유야말로 잘 사는 법에 대한 성찰을 선사하는 것으로 제시한다.

      • 도시재생의 존재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안승용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6

        Study on ontological approach applicable to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identity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ontological approach to the human subject, questioning the core essence of why urban regeneration is pursued. The field of urban regeneration has emerged as a practical discipline in recent years, often focusing on methods and analyses for business purposes, neglecting the essential question of the role of people in urban regeneration, despite it being inherently for human benefit. The absence of the question "why" has naturally led to this oversight. The human being is the core agent of urban regeneration. To state it explicitly, the sustained vitality of a city is driven by the desires of its inhabitants. The sharp dichotomy betwee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is fundamentally rooted in the relationships dictated by desire. Starting with this awareness, the study derives the validity of urban regeneration's existence by examining the manifestation of human desires through a subjective human existence-centric approach. Analyzing our representation system shaped by these desires, the research investigates various elements originating from the human unconscious as the axis of the study's direction, considering them as potential causes for desires. Examining the historically significant existentialism in traditional ontology that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physical formation of cities and architecture, the study then delves into Heidegger's ontology as an alternative viewpoint, offering a horizon for understanding the basis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era of late capitalism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By providing a framework to explore the roots of human desire through the theories of Freud and Lacan, the study investigates the individual existence of each of us. Drawing from Yuval Noah Harari's "Sapiens," which reflects on human history, keywords such as power, integration, and happiness are extracted as essential elements for human survival, forming the basis of desires. Humans coexist with others through two desires: emotion and reason. Ultimately, this coexistence ensures the guarantee of individual survival and operates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collective us. The city accumulates history based on these basic desires and gradually reshapes its structure according to the transition of desires. From a temporal historical perspective, the history of desires common to humanity reveals two structures of compulsion and hysteria recurring over cycles. There are cases of conflicting desires in the human unconscious, and the feeling of happiness, a significant fulfillment that can enhance human survival while maintaining the community, is considered crucial. Considering that happiness is more about frequency than intensity and that happiness derived from relationships with others is the highest form of happines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research question of why urban regeneration is pursued ultimately leads to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cities to facilitate the experience of happiness. Approaching urban regeneration as a role that can positively generate human desires in the direction of happiness highlights the need to create a value structure that can be considered the highest value in urban regeneration.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ot only pouring out a myopic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does not confine itself to buildings or cities. Activities such as urban regeneration campaigns that guide the enjoyment of the city through reflection on diverse layers of the city, establishing organic connections with other fields, and attributing meaning to the city we live in are essential for the expansiveness of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 transition to Meta Urbanism, a hypothetical field that embraces a unified fractal structure instead of a perspective of subject and object. 도시재생의 존재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왜 도시재생인가라는 회귀적 물음을 통해 도시재생의 주체인 인간의 존재론적 접근을 통해 도시재생의 정체성을 탐구한다. 도시재생 분야는 근래에 태동한 실용적 학문이다. 그러다 보니 사업을 하기 위한 수법이나 분석을 통한 활용에만 집중하게 되었고 사람을 위한 도시재생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중요한 사람에 대한 물음은 소외되어 있다. 이는 왜라는 질문의 부재에서 비롯된 당연한 결과이다. 도시재생을 하는 주체는 사람이다.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도시가 지속해서 유지되는 동력은 사람들의 욕망이다. 도시재생 시 보존과 개발이라는 양립 구도로 첨예한 양상을 보이는 것도 그 근본 원인은 욕망의 관계에서 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출발해 주체적 인간 존재를 중심으로 인간 욕망의 발현과의 연관성을 통해서 도시재생의 존재근거에 대한 타당성을 도출한다. 이런 욕망을 가지게 된 우리의 표상 체계를 분석해 보고 그의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인간의 욕망에 대해 인간의 무의식에서 오는 여러 가지 요소를 진행 방향의 축으로 삼아서 연구를 진행한다. 현재까지 도시나 건축의 물리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전통적인 존재론을 역사적으로 고찰해 보고 이의 대안으로 초자본주의, 과학기술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있어서 도시재생 분야와의 관점의 지평을 넓혀 줄 수 있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통해 도시재생의 존재근거를 파악해본다. 인간 욕망의 근저를 살펴볼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프로이트, 라깡의 이론을 통해 우리 개개인의 존재 자체를 탐구한다. 우리 인간은 절대 혼자 살 수 없는 만큼 공동체가 함께 해온 인간의 역사를 고찰한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의 저작을 통해 추출해 볼 수 있는 키워드인 힘, 통합, 행복감이라는 세 가지 요소는 인류의 기본적인 생존을 위한 차원에서 볼 때 기본적으로 욕망의 토대에서 이루어졌다는 특성을 보이는바 존재론이 인간의 욕망을 통해 어떻게 관계 맺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로 진행된다. 인간은 감성과 이성의 2가지 욕망을 통해 타자와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궁극적으로는 나의 생존력을 보장받는 것이며 우리라는 공동체가 성립되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작동한다. 도시는 이러한 기본적인 욕망부터 충족시키면서 구축됐던 역사의 축적물이며 욕망의 전이에 따라서 도시구조도 점차 재편됨을 전제로 한다. 통시적 역사관으로 볼 때 인간 공통에서 나타나는 욕망의 역사는 강박증과 히스테리의 2가지 구조가 주기를 거듭하여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인간 무의식의 대립하는 욕망도 충족과 불 충족되는 경우가 있는데 공동체를 유지하면서 인간의 생존력을 늘릴 수 있는 중요한 충족의 느낌이 바로 행복이라는 감정이다. 행복은 특성상 강도보다 빈도가 중요하다는 것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오는 행복감이 가장 최고의 행복이라는 점에 근거해본다면 왜 도시재생인가에 대한 물음에 관한 연구는 결국 행복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도시를 만드는 방향으로 재편해야 한다는 점은 더욱 자명해진다. 인간 욕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행복을 자주 느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존재로의 접근방법을 도시재생 최고의 가치로 여겨질 수 있는 가치구조를 만들 수 있다면 건물이나 도시 자체에 매몰되어서 근시안적인 물리적 환경만을 천편일률적으로 쏟아내지 않는 환경을 만드는 역할을 함에 주목해야 한다. 도시의 다양한 층위에서의 고찰, 타 분야와의 유기적 연계성 확보, 우리가 사는 도시에 대한 의미 부여를 통해 향유 하는 법을 인도해주는 도시재생 캠페인의 활동이 도시재생의 확장성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다. 주체와 대상의 관점이 아닌 통합적 프랙탈의 구조가 될 수 있는 가칭 메타도시학(Meta Urbanism)으로 전이를 위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비추어 본 미술감상 수업과 존재물음의 회복 : 자전적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최병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미술교사인 연구자의 감상 수업을 돌아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연구자는 학생들이 미술을 향유하고 즐길 수 있기를 바라며 감상 수업을 해왔다. 우연히 가상현실(VR)을 이용한 감상 수업을 하였을 때, 작품을 감상하는 학생들의 새로운 모습을 보게 되었다. 학생들은 낯선 가상세계에 몰입하면서 자신과 작품의 ‘있음’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연구자의 특별한 수업 경험을 성찰하는데 하이데거의 철학인 존재론은 열쇠가 되었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의 존재를 망각한 채 살아간다. 일상에 내맡겨진 채 자신의 존재의미를 찾으려 하지 않는다. 망각된 존재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존재물음을 던져야 한다. 하이데거는 존재망각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예술작품의 감상에서 찾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전적 내러티브로 기술한 연구자의 감상 수업을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비추어 성찰한다.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미술감상에 관한 문헌은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된다. 2015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행한 감상과 2016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행한 감상을 ‘일반적인 미술감상 수업’으로 묶어 내러티브를 작성하고, 2018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행한 감상을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감상 수업’으로 묶어 내러티브로 작성하였다.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되, 기술한 내러티브는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분석틀로 활용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미술감상 수업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이다. 해당 내러티브에서 도출한 4가지 의미 구조는 수업에서 교사의 주도성이 강했다. 첫째, 모방(미메시스)에 기반하여 아름다움과 관계하는 것으로써 학생들이 작품에 공감하도록 도왔다. 둘째, 형식과 양식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작품을 분석하고, 정확한 맥락을 반영한 대상으로 작품을 이해하도록 학생들을 도왔다. 셋째, 작품의 맥락을 담은 평가 문항을 활용하여 풍성하게 사유하도록 학생들을 도왔다. 넷째, 다양한 발문으로 소통하면서 생각을 명료하게 하도록 학생들을 도왔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일상적 환경에서 작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감상 방식이나, 시험을 치르는 방식, 고정된 작품의 가치를 학생이 깨우치도록 학생과 소통하는 방식은 작품을 존재자로 대하는 태도이다. 작품의 존재를 망각하는 태도이며 올바른 감상 방식이 아니다. 이어서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비추어 가상현실을 이용한 미술감상 수업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이다. 해당 내러티브에서 도출한 4가지 의미 구조는 수업에서 학생의 자발성이 강했다. 첫째, 학생들은 현실과 차단된 낯선 세상으로 들어가 새로운 시공간을 경험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능숙하게 다루면서 탈은폐하는 기술과 자유로운 관계를 맺었다. 셋째, 학생들은 낯선 세상에서 만난 작품을 배려하고 세계와 교섭하면서 존재하였다. 넷째, 학생들은 일상과 다른 세계를 경험하면서 자신과 세계에 대한 존재물음을 던졌다. 내러티브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미술교육에 던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미술교육에서 감상을 위해 새로운 도구를 활용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다룰 때 학생들은 수업을 주도해나갔다.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삶의 일부분으로 기능하는 현대기술 도구를 활용한 미술감상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기술과 자유로운 관계를 맺도록 할 것이다. 둘째, 작품을 마주하는 태도의 변화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작품을 각각의 요소로 뜯어 보고 다시 조합하는 분석과 해석은 작품을 지적인 대상으로 전락시키는 일이다. 작품 감상은 감상자의 존재가 작품을 통해 생기하는 작품존재와 만나기 일이다. 학생들은 일상적인 세계에서 벗어나 가상세계에서 작품을 마주하면서 작품을 새로운 태도로 바라보았다. 작품을 체험하고 향유하기 위해서 감상 태도가 변화해야 한다. 셋째, 미술감상을 통해 학생들이 존재물음을 회복하고, 삶을 변화시키기 위한 교사의 새로운 교육적 역할이 요구된다. 교사는 작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발문을 던지고 평가를 시행하는 것보다 학생 스스로 작품에 관해 물음을 던지면서 작품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미술교사는 고정된 작품의 정보와 가치를 안내하는 역할이 아닌, 감상자인 학생이 작품존재를 온전하게 만나고 보존할 수 있도록 돕는 자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한 감상 수업 내러티브를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비추어 성찰하면서 새로운 감상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본 점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가 학생의 참된 미술감상을 돕고자 하는 미술교사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더불어 작품 감상을 통해 학생과 교사 모두 자신의 고유한 존재 사실에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

      • 하이데거의 存在論 : 「존재와 시간」§7.을 중심으로

        김인석 崇實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806

        Ⅰ Eine Auseinandersetzung mit Husserls Wahrheitslehre vom Begriff der Selbstgegebenheit, dem>Sich-Zeigen< des Seinden ausgehen, Tatsa¨chlich liegt hier die ungelo¨ste Frage, vom woher die Selbstgegebenheit eigentlich elmo¨glicht ist. Heidegger bringt die Problematik auf die Alternative, ob die Selbstgegebenheit der Sach Selbst(Wahrheit) vom BewuBtsein oder vom Sein des Seienden ero¨ffnet ist. Ist diese Frage vielleicht auch lediglich als vorla¨ufig anzusehen, so zeigt sie doch die Unklarheit on, wieso die Volle U¨bereinstimmung der Erfu¨llungssynthesis transzendentalgenetisch u¨berhaupt mo¨glich ist. Die Diskussion dieser Frage fu¨hrt zu dem Ergebnis, daB der Bereich mo¨glichen Erfu¨llung bereits unthematisch bekannt sein muβ. Das Sichzeign (Gegebenheit) der Sach selbst bleibt aus ontologischen Perspektive bei Husserl fu¨r Heidgger also ungekla¨rt, Es moB eine Offenbarkeit der Sache selbst geben auf derer die Erfu¨llungssynthesis u¨berhaupt mo¨glich ist. Es ist also eindeutig Heidegger Selbstversta¨ndnis, daB or durch Akzeptierung und ontologische Problematisierung des Husserlsche Wahrheitsversta¨ndnisses auf den >Weg der Seinsfrage< gebracht worden ist. Erst damit ist die entscheidende Ebene von Heideggers neuer Fragestellung erreicht die spezifisch >pha¨nomenologische< Thematik wird nicht nur dadurch radikalisiert, daB 1. Gegebenheitsweisen des innerweltlich seiendem u¨ber den Bereich des Gegenstandlichen erweitert werden, und nicht nur dadurch, daB 2. auch nach der Gegebenheitsweise des Konstituierenden BewuBtseins gefragte und dessen sein nicht selbstverstandlich als gegensta¨ndliches vorausgesetzt wird, sondern insbesondere dadurch, daB jetzt 3. uberhaupt nicht mehr nur nach den verschiedenen Gegebenheitsweisen von seiendem gefragtt wird, sondern danach, wie so etwas wie > Gegebensein< u¨berhaupt moglich ist. Heidegger substituiert Hasserls >Gegebensein< durch den Terminus >Begegnung< Ⅱ Das >eigentlichIntendierte< (S.25) der Seinsfrage im Sinne Heideggers ist gerade das Sein, sondern dasjenige, wodurch Seiendheit und Seiendes erst bestimmt werden Ko¨nnen, der Sinn von Sein als das Erfragte. Die hier liegende Differenz zwischen Seiendheit (Sein) und Sinn von Sein, die Heidegger Selbst "transdenzhafte" oder ontologische Differenz im Weiteren Sinn nennt, lieβe sich daher als transzendental-ontologische Differenz bezeichnet. Aber fu¨r Heidegger ist die Husserlsche Fragestellung eine Kategoriale. Von einer ontologischen Differenz Kann bei Husserl nicht gesprochen werden. Der in der kategorial-ontologischen-Dif-ferenz von Husserl Vorausgesetzte Seinsbegriff, wonach Sein das in aller Variation als invariant Sichtbare des Seiendem (Eidos) ist, wird durch Heideggers Frageansatz gerade der Kritik unterzogen. Ⅲ Heidegger verwendet den Begriff in einem gegenu¨ber der Tradition erheblich formaleren Sinne >das Hemeneutikche< meine, als Beiwort zu Pha¨nomenologie gebraucht , nicht wie u¨blich die Methodenlehre des Auslegens, sondern dieses selbst (US,S.120; vgl, 97f) so wie Heidegger mit den Begriffen "Ontologie",Pha¨nomenologie", "Existenz" usw. Keine historishe Rezeption indizieren will, muB auch bei dem Begriff "Hermeneutik" jede gela¨ufige historische Deutung zuna¨chst ausgeklammert werden. Die Auslegung bezieht sich auf den Sinn von Sein; die Aufgabenbestimmung der Hermeneutik ist eine ontologische. Das eigentlich mit dem Begriff "Hermeneutik" vorgetragene Neue ist die Aufgabe, daβ dem daseinsma¨βigen Seinsversta¨ndnis der eigentliche Sinn von Sein erst noch Kundgegeben werden muβ. Damit zeight sich formal, daβ "Hermeneutik" nicht nur irgendein methodisches Attribut fu¨r die ontologische Aufgabe ist son dern daβ es sich um den methodologischen Grundbegriff der Ontologie schlechthin handelt. Da die Sache schon immer im "Dasein" "da" "ist", kann Methode nur die Form einer Herauslegung des Sache des Dasein fu¨r das Dasein selbst durch das Dasein haben. Der Begriff der "Hermeneutik" Kennzeichnet Begriff und methodische Funktion des gesuchten Apriori, das formal als transzendental-ontologische Synthesis fungiert.

      • 기능주의의 존재론적 문제 : 김재권의 기능적 환원론을 중심으로

        최이선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6

        Philosophy of mind has long dealt with the problem of how to place mental properties within the natural world. This problem was focused on whether to reduce mental properties to physical properties or not. The purpose of this theses is to investigate where functionalism posits itself within such ontological problem. Kim's Mind in a Physical World(1998) points out this problem effectively. His claim is that the ontological position of functionalism is reductionism. This is called 'functional reduction'. Functional reduction is the thought that functional property is identical to physical property. This is a strong kind of reductionism that shows the character of property monism. Even though the existing functionalism was appropriate as a method to studying mental states, its ontological standpoint was not clear, and therefore receives this kind of criticism. How functionalism in general will respond to Kim's ontological criticism must become an issue. Is a reductionistic conclusion satisfying for functionalism as in Kim's conclusion? Functional reduction asserts that a functional property is not an existing 'property' but only a 'concept'. In the standpoint of functional reduction, the standpoints of functionalism which proved itself as an appropriate means as an analogy on mental states, will be replaced by neurophysiological problems. It seems that functionalism should not be easily content with such sort of reduction. Functionalism should express a standpoint of non-reductive ontology which shows a direction towards which the sort of reduction by Kim is prevented from being derived. Even though functionalism did not express an ontological standpoint, there are ontological backgrounds which bring about functionalism. We must look into those points of existing ontological standpoints which were dissatisfying, and therefore induced functionalistic standpoint to be brought up.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investigates such ontological background of functionalism. Especially, we point out the limitation of behaviorism and type-identity theory which made a decisive influence on bringing about functionalism. And, we examine what kind of methodological, metaphysical claims were made by functionalism. In chapter 2, we point out the problem that arises when mend-body relation is explained, which is ac ontological question. We examine the limitation and tension revealed by the supervenience thesis and the resulting standpoint of property dualistic thinking and the principle of causal exclusion. As Kim has long carefully presented, supervenience can be considered as a theory with explanatory power. Although, on the whole, supervenience has been thought of as a dependence or determination relation, supervenience by itself can only express the covariance between physical property and mental property. Covariance does not exclude mutual dependence nor mutual determination. Because supervenience does not have explanatory power, it is compatible with emergentism, epiphenomenalism, or type-identity theory, which are on a different standpoint concerning the mind-body relation. However, the more problematic situation is about how property dualism which is established by models like supervenience can be compatible with the principle of causal exclusion which has long been presented by Kim. If mental property is acknowledged its existence as a property which exhibits causal power, the problem is in what way can this be compatible with the causal exclusion principle which only acknowledges the causal power of physical property. In this thesis, we consider such problem situation as that which requires a new kind of ontological establishment by Kim. Although Kim's functional reduction can occupy a position as a criticism of functionalism, conclusively, it has taken the role of giving up property dualism within the problem situation of choosing between property dualism and the principle of causal exclusion. In such situation, in order for us to maintain the intuition that what is mental is distinguished from what is physical, it is our task to introduce a causal power which is distinguished from physical causal power. Our task is to present causal compatibilism. In chapter 3, we examine the steps functional reduction takes and proceeds. And in so doing, we examine on what premise the causal exclusion principle which made identifying functional property merely as physical property a definite problem has proceeded. In the existing functionalism, functional property was defied logically; second-order property which has been used as the definition of functional property was presented as a property in which physical property was existentially quantified. Kim's criticism points out that one cannot claim that it exists, merely by being existentially quantified. However, logical relation does not completely exclude relation within the real world. It is necessary for functionalism to bring the logical definition out into the world and have it positively verified. In so doing, what becomes the problem is causal effectiveness. Many philosophers including Kim suggest some sort of causal power as the basis of existence. Kim has long pointed out that non-reductionist will be unable to solve the problem of mental causation. I this thesis, we think that the principle of causal exclusion, by its nature, possesses the premise which acknowledges only deductive explanation as explanation, and only linear causation as causation. However, deductive explanation cannot exclude non-deductive explanation a priori, and linear causation cannot exclude non-linear causation a priori. The success of the effort to introduce a distinguishable property from physical property ca be said to depend on how non-linear causal power can be interpreted so as to be acknowledged as causal power. This is the way to avoid the devastating consequence of the principle of causal exclusion on the mental property. In chapter 4, we think about in what way non-reductive functionalism has to be transformed. We examine in what sense the multiple realizability argument which has become the motto of non-reductionism becomes a burden to non-reductionism. And, in order to overcome this, we look at in what way functionalism can be naturalized and win causal effectiveness. The decisive reason why multiply realizability cannot be a strong suggestion for non-reductionism is that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property possessing radically heterogeneous realizations cannot be excluded. Property possessing radically heterogeneous realizations is criticized as an artificially suggested category rather that a property existing in the natural world. Whit only multiple realization argument, such criticism cannot be avoided. The criticism that functional property is a mere concept is reinforced by the fact that multiply realizability which gave rise to functionalism can be criticized in the same manner. It seems that the task of the functionalist is to present some sort of constraint on multiple realizability in order to place functional property within the natural world.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suppose the causal power expressed by functional property as the kind of constraint given to the realizations. In this thesis, we suppose 'structural cause' as the causal power expressed by functional property. Structural cause is the leading power and constraining power that arranges physical realizations. This causal power is that which is effective in the causal process of realizations, which does not compete with causation of physical realizations. Supposition of such causal power requires a conversion in the way function is understood in existing functionalism. Although existing functionalism expressed interest in the multiply-realized internal physical state within the causal specification, functional property that expresses structural causation defines function as the process which makes it possess the causal specification. Here, we suppose 'structuring' as the definition of function. Ultimately, the discussion of this thesis is presented as an preliminary work to construct the ontology of non-reductive functionalism. We have tried to illuminate function in terms of structural causation, or structuring as the point of discussion for non-reductionism and reductionism of functional property and mental property. For such discussion, we must deal with in detail how non-linear explanations occurring in contemporary science can be explained philosophically. The important issue here is how to set up a model of philosophical discussion in order to deal with such discussion. Ontological model like supervenience makes it impossible to deal with the concept of structural causation and structuring. This is because supervenience cannot distinguish between whether the property supervenient on physical property is that which was established by some effective power or that which appeared by chance without any effective power. Structural cause, or structuring is constraining power preempted in the supervenience relation. The remaining problem is to construct a systematic argument for the basic model which can reveal structural causation as an alternative to supervenience theory. 심리 철학은 자연 세계 내에서 심적 속성을 어떻게 존재시킬 것인가에 대하여 오랫동안 문제 삼았다. 이 문제는 심적 속성을 물리적 속성으로 환원시킬 것인가, 아닌가에 집중되어왔다. 본고의 목적은 기능주의가 이러한 존재론적 문제에 어떠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김재권의 「물리계 안에서의 마음(Mind in a Physical World, 1998)」은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의 주장은 기능주의의 존재론적 입장이 환원주의라는 생각이다. 이를 ‘기능적 환원’이라 부른다. 기능적 환원은 기능적 속성이 물리적 속성과 동일하다는 생각이다. 이것은 속성 일원적 성격을 드러내는 강한 종류의 환원주의이다. 기능주의는 심적 상태를 연구하는 방법론으로서 적절하였으나, 존재론적 입장이 분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비판을 받게 된다. 기능주의가 김재권의 존재론적 비판을 어떻게 논의할 것인가가 문제시되어야 한다. 기능주의는 김재권의 결론처럼, 환원주의적 귀결이 만족스러운가? 기능적 환원은 기능적 속성이 존재하는 ‘속성’이 아니라 ‘개념(concept)’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기능적 환원의 입장에서는 심적 상태에 대한 유비로 적절한 방식을 드러내었던 기능주의의 입장들이 신경생리학의 문제로 대체될 것이다. 기능주의는 이러한 종류의 환원에 쉽게 만족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기능주의는 김재권 식의 환원이 도출되지 않는 방향을 제시하는 비환원적 존재론 입장을 나타내 주어야 한다. 기능주의가 존재론적 입장을 나타내지 않았다고 해도, 기능주의를 발현시키는 존재론적 배경들이 있다. 기존의 존재론적 입장들에서 어떠한 점이 만족스럽지 않았기에, 기능주의의 입장이 제기되었는지를 알아보아야 한다. 본고의 Ⅰ장은 이러한 기능주의의 존재론적인 배경에 대하여 알아본다. 특히 기능주의를 발현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행동주의와 유형 동일론의 한계를 지적한다. 그리고 기능주의가 방법론적으로, 형이상학적으로 어떠한 주장을 해왔는지를 살펴본다. Ⅱ장에서는 존재론적 물음인 심신 관계를 설명할 때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특히 김재권에게서 나타나는 존재론적 문제점을 살펴본다. 이것은 수반과 수반이 나타내는 속성 이원적 사고와 인과 배제의 원리라는 입장에서 나타나는 한계점과 긴장관계이다. 김재권이 오랫동안 조심스럽게 제시하듯이, 수반은 설명력 있는 이론으로 자리 잡기보다는, 문제 상황을 기술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수반이 의존이나 결정관계로 인식되어왔지만, 수반 자체로서는 물리적 속성과 심적 속성의 공변(covariance) 정도만을 제시할 수 있다. 공변은 상호의존이나 상호결정을 배제하지 않는다. 수반이 설명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심신 관계에 대하여 다른 입장을 나타내는 창발론이나 부수현상론, 유형 동일론 등과 양립한다. 그러나 더욱 더 문제되는 상황은 수반과 같은 모델이 설정하는 속성 이원론과 김재권이 오랫동안 제시해왔던 인과배제의 원리가 어떠한 방식으로 양립가능한가이다. 심적 속성이 인과력을 나타내는 속성으로서 실재성을 인정받는다면, 물리적 속성의 인과력만을 인정하는 인과 배제의 원리와 어떠한 방식으로 양립할 수 있느냐는 문제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 상황이 김재권에게 새로운 방식의 존재론적 설정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라고 본다. 김재권의 기능적 환원은 기능주의의 비판으로 자리 잡을 수도 있지만, 결정적으로 속성 이원론이냐 아니면 인과 배제의 원리이냐의 문제 상황에서 속성 이원론을 포기하는 역할을 낳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심적인 것이 물리적인 것과 변별적인 것이라는 직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인과력과 변별적인 인과력을 상정하는 것이 과제이다. 인과 양립주의(causal compatibilism)를 나타내는 것이 과제이다. Ⅲ장에서는 기능적 환원이 어떠한 단계를 밟아 진행되는 것인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능적 속성이 단지 물리적 속성으로 판명되는 데에 결정적인 문제인 인과 배제의 원리가 어떠한 전제에서 진행된 것인지를 살펴본다. 기존의 기능주의는 기능적 속성에 대해 논리적인 정의를 사용해왔다. 기능적 속성의 정의로 사용되었던 2차 속성은 물리적 속성을 양화한 속성으로서 제시되었다. 김재권의 비판은 단지 양화한다는 것만으로 실재한다고 말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논리적 관계가 완전히 존재 세계의 관계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기능주의는 논리적인 정의를 자연세계로 갖고 나가서 적극적으로 검증받아야 할 필요성을 가진다. 이 과정에서 문제되는 것은 인과적 효력이다. 김재권을 비롯한 많은 철학자들이 실재성의 기준으로 모종의 인과력을 제시한다. 김재권은 오랫동안 비환원주의자들이 심적 인과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해왔다. 본고에서는 인과 배제의 원리가 성격상 연역적인 설명만을 설명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선형적인 인과만을 인과로 인정하는 전제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연역적인 설명이 비연역적인 설명을 선험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며, 선형적인 인과가 비선형적인 인과를 선험적으로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변별적인 속성을 상정하기 위한 노력은, 비선형적인 인과력을 어떠한 식으로 해석하여 인과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인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인과 배제의 원리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다. Ⅳ장은 전반적으로 비환원적 기능주의가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해야 하는 지를 생각해보았다. 비환원주의 모토가 되고 있는 복수실현성 논변이 어떠한 의미에서 비환원주의에 부담이 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능주의가 어떠한 방식으로 자연화 되며, 인과적 효력을 획득할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결정적으로 복수실현성이 비환원주의에 대한 유력한 제안이 될 수 없는 이유는, 기능적 속성이 극단적으로 이질적인 실현지들을 가질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극단적으로 이질적인 실현지들을 갖는 속성은 자연세계에 있는 속성이기보다는 인공적으로 상정된 범주일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복수실현성 논변만으로는 이러한 비판을 피할 수가 없다. 기능적 속성이 개념일 뿐이라는 비판은 기능주의를 유발한 복수실현성이 이러한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데에 힘을 얻는다. 기능주의자들의 과제는 기능적 속성을 자연세계에 위치지우기 위해서, 복수실현성에 모종의 제약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실현지들에게 부여되는 모종의 제약을 기능적 속성이 나타내는 인과력으로 상정하는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기능적 속성이 나타내는 인과력을 ‘구조적 인과’로서 상정한다. 구조적 인과는 물리적 실현지들을 배열하는 주도력, 제약력이다. 이 인과력은 물리적 실현지들의 인과와 경쟁하지 않으면서, 실현지들의 인과 과정에 효력을 나타내는 인과력이다. 이러한 인과력의 설정은 기존의 기능주의에서 기능을 이해하는 방식에 인식 전환을 요청한다. 기존의 기능주의는 인과적 명세(causal specification)에서 복수 실현되는 내적 물리적 상태에 관심을 표명하였지만, 구조적 인과를 나타내는 기능적 속성은 인과적 명세를 갖게 만드는 것 자체에 기능의 정의를 부여한다. 따라서 기능의 정의를 ‘구조화’로서 상정한다. 본고의 논의는 궁극적으로 비환원적 기능주의의 존재론을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서설적 작업으로 제시된 것이다. 구조적 인과, 구조화로서의 기능을 기능적 속성/심적 속성에 대한 비환원주의와 환원주의의 논쟁점으로 조명해 보았다. 이 논의를 위해서는 현대 과학에서 나타나는 비선형적 설명들에 대해 철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를 세밀히 다루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문제는 이러한 논의들을 다루기 위한 철학적 논의 모델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이다. 수반과 같은 존재론적 모델은 구조적 인과, 구조화라는 개념을 다룰 수 없게 만든다. 수반은 물리적 속성에 수반하는 속성이 어떠한 작용력에 의해 설정된 속성인지, 아니면 어떠한 작용력도 없이 나타난 우연한 속성인지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조적 인과와 구조화는 수반 관계에서 선취된 제약력이다. 남은 문제는 수반론에 대한 대안으로서, 구조적 인과가 드러날 수 있는, 심신의 체계적인 기초 모델 논의를 구성하는 것이다.

      • RISS 인기논문

        들뢰즈의 생성의 존재론과 삶의 미학

        안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6

        In this dissertation, I aim to clarify the mode of aesthetics in the ontology of Deleuze and to argue that this aesthetic mode represents the unique and singular point of his ontological thought. Deleuze discovers the clue to overcoming the ontology of substance from aesthetic thought. Through the transcendental aesthetics, he reconfigures his ontology from an innovative point of view. Aesthetic thought does not only nourish his endeavor to construct his ontology of becoming and creation, apart from traditional ontology but also plays the normative role to develop its structure on the whole. Deleuze transforms the being of self-identical substance with the essential property into multiple being that is becoming through its constant production of difference. This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being implies a few philosophical features that represent his ontological thought. Deleuze first replaces the place of the form or the essence, which functions a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in relation to the transcendent universal being, with “difference,” and next convert the horizon of ontology into the field of “immanence” by excluding thoroughly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This process of his ontological reconfiguration relocates the ontological discourses to the realm of becoming and creation, rather than the representation of the form or the essence, as well as extends the issues of artistic creations and experiments toward the realm of our lives. The goals of Deleuze’s ontology are to disclose the ontological conditions of becoming and creation and to explicate the subjective creation involved in the individuals’ courses of life within such conditions. In dealing with the issues of becoming and creation, Deleuze takes “transcendental empiricism” as central to his early philosophical constitution. Transcendental empiricism aims to substitute the conditions of “real genesis” for the conditions of possible experiences, suggested by Kant’s transcendental idealism. Deleuze discovers the initial instance of genesis from the sublime of Kant’s aesthetics, and reorganizes the realms of thoughts and beings in terms of the way of this genesis. Through this process, he replaces Kant’s position of categories and common senses, which are both the foundations and principles of possible experiences, with “difference,” the principle of real genesis, and further presents the procedure of the ‘genesis’ of individual beings by the actualization of the virtual. While the early Deleuze concentrates on presenting the actualization of the virtual in dealing with the issue of becoming by “difference” and “genesis,” his later philosophy rather focuses on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and the virtual by considering the issue of becoming in terms of “the field of immanence” and its “affect.” This turn is related to the escape of the individual beings, who are already the actual, away from their fixed boundaries. By deterritorializing from their own territories, the individual beings are to form a block with the different beings. This mode of symbiosis is his key to resolve this issue of becoming, which is the becoming as the affect of the self. The discourse of “immanence” enables Deleuze to provide the field of life, which is ontologically horizontal, and to reveal by the body without organs the inorganic vitality that escapes from the organic construction. Moreover, his discourse discusses the movement for arranging the life through the notion of the Abstract Machine, the operator of the immanent becomings. Upon the ontological conditions of difference and immanence is established the issue of creating the subjectivity, which converges into the issue of the lives of individual finite beings. The process of one’s individual life is rather that of shaping it as a crystal as a sensible being through one’s aesthetic configuration. By contracting one’s spatiotemporal circumstances, one forms the rhythms of living that empower the construction of one’s territory. In this territory, one’s aesthetic practices advance the process of life to end up with creating one’s ethos. The modes of aesthetic practice are well represented by such concepts as Devenir, Ritournelle, and Nomadology that Deleuze coined in his later philosophy. Devenir is concerned with the issue of sensible becoming through percept and affect, and Ritournelle deals with the ethical practice for forming one’s ethos. Nomadology delves into the political issue of distributing the spaces of life. These modes of becoming are jointly manifested in the theme of an aesthetic life that creates and constitutes the unique subjectivity. In this dissertation, I show that through aesthetic thought, Deleuze transforms the traditional ontological discourse on being into the realm of becoming and creation, and further that he drives the life of the individual beings into the realm of aesthetic practice. In this regard, taking the medium of creative force, In this regard, taking the medium of creative force, life and art, as well as ontology and aesthetics, are intermingled to form the zone of their cohabitation. This transformation opens up diverse possibilities in the topography of aesthetics. Deleuze’s reconstruction of aesthetics onto the ground of ontology presents the potentiality to synthesize the realms of art and sensibility in the lives of the individuals, and also unfolds a new domain for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various issues of contemporary aesthetics, such as percept and affect, ethical practice, political distribution, which has been independently studied. 본 논문의 목표는 들뢰즈 존재론의 미학적 양상을 밝히고, 그것이 들뢰즈 존재론의 고유한 지점임을 보이는데 있다. 들뢰즈는 실체적 존재론을 넘어서는 실마리를 미학적 사유 속에서 발견하고 초월론적 감성론을 통해 존재론을 재구성한다. 미학적 사유는 들뢰즈가 생성과 창조의 존재론을 형성하는데 자양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들뢰즈 존재론 전반을 이끌어가는 규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들뢰즈는 본질적 속성을 지닌 자기동일적 실체로서의 존재를 끊임없이 차이를 만들어내며 생성되어가는 다양체적 존재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존재 개념의 변화에는 들뢰즈 존재론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몇 가지 특징들이 함축되어 있다. 들뢰즈는 초월적 보편자와의 연관 속에서 개체화의 원리로 기능했던 본질이나 형상의 자리를 ‘차이’로 대체하고, 초월성을 철저히 차단함으로써 존재론의 지평을 ‘내재성’의 장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존재론적 담론을 본질과 형상의 재현이 아닌 생성과 창조의 영역으로 옮겨내고, 예술적 창조와 실험의 문제를 삶의 영역으로 연장시킨다. 들뢰즈 존재론의 핵심 문제는 생성과 창조의 존재론적 조건을 밝히고, 이러한 조건 위에서 개별적 존재자들의 삶의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주관적 창조를 서술하는 것이다. 생성과 창조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 들뢰즈의 전기 철학은 ‘초월론적 경험론’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초월론적 경험론은 칸트의 초월론적 관념론이 제시한 가능한 경험의 조건을 실재 ‘발생’의 조건으로 대체하는 작업이다. 들뢰즈는 칸트 미학의 숭고에서 발생의 최초 사례를 발견하고 이러한 발생의 방식을 통해 사유와 존재의 영역을 재편한다. 이를 통해 가능한 경험의 근거이자 원리인 범주와 공통감의 자리를 실재 발생의 원리인 ‘차이’, 즉 ‘감성적인 것의 존재’로 대체하고, 잠재적인 것의 현실화를 통해 개별적 존재자들의 ‘발생’ 과정을 제시한다. 들뢰즈의 전기 사유가 ‘차이’와 ‘발생’을 중심으로 생성의 문제를 다루면서 잠재적인 것의 현실화를 제시하는데 집중했다면, 후기 사유는 ‘내재성의 장’과 그것의 ‘변용’을 중심으로 생성을 다루면서 현실적인 것이 잠재적인 것과 맺는 관계를 해명하는 일에 보다 집중한다. 이는 이미 현실적인 것인 개별적 존재자들이 자신의 고착화된 틀을 벗어나는 것과 관계가 있다. 자신의 영토로부터 탈영토화하여 이질적인 것과 블록을 이루는 것, 이러한 공생의 방식을 통해 생성의 문제를 다룬다. 이는 스스로의 변용으로서의 생성이다. 들뢰즈는 ‘내재성’의 담론을 통해 존재론적으로 수평적인 생명의 장을 마련하고, 이러한 존재론적 평면 위에서 기관 없는 신체를 통해 유기적 조직화를 벗어나는 비유기적 생명성을 드러내며, 내재적 생성의 작동자인 추상기계를 통해 생명의 배치 운동을 다룬다. 차이와 내재성이라는 존재론적 조건 위에서 주관성의 창조 문제는 개별적 유한 존재자들의 삶의 문제로 집약된다. 개체적 삶의 과정은 미학적 구성을 통해 삶을 하나의 결정체로, 감각 존재로 만드는 과정이다. 자신이 처한 시공간적 환경을 수축하여 삶의 리듬을 만들고 자신의 영토를 구축하며 그 안에서 자신의 에토스를 형성해 나가는 삶의 과정은 미학적 실천들로 채워진다. 들뢰즈가 후기에 창조한 되기, 리토르넬로, 노마돌로지 개념들은 미학적 실천의 양상들을 잘 드러내준다. 되기는 지각과 감응을 통한 감각적 생성의 문제를, 리토르넬로는 에토스를 형성하는 윤리적 실천의 문제를, 노마돌로지는 삶의 공간을 새롭게 분배하는 정치의 문제를 통해 미학적 생성의 양상을 구체화한다. 이 생성의 양상들은 고유한 주관성을 창조하고 형성해 나가는 미학적 삶의 테마 안에서 결합된 형태를 띠며 나타난다. 본 논문은 존재론적 담론을 생성과 창조의 영역으로 옮겨 내고 개체적 존재자들의 삶을 미학적 실천의 영역으로 만든 들뢰즈 존재론의 작업들이 미학적 사유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이제 삶과 예술, 존재론과 미학은 창조적 힘을 매개로 공동의 지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미학의 지형에도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 존재론적 층위에서 미학을 다시 세우는 작업은 감성의 영역과 예술의 영역이 개별자의 삶 속에서 종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뿐 아니라, 그동안 분과학문으로 연구되던 지각과 감응, 윤리적 실천, 정치적 분배라는 현대미학의 다양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