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혈모세포이식 환아 가족의 교육자료 개발

        신희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환아 가족과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식 단계별 교육요구를 파악하였으며,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와 가족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하나로 방법론적 연구를 사용하여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내 1개 대학병원의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 가족 20명과 조혈모세포이식병동 간호사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직접면담과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이영신(2001)이 개발한 골수이식환자 가족의 요구사정을 위한 도구 61문항을 기초로 하여 교육요구와 관련된 문항을 예비조사를 통하여 총 28문항으로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혈모세포이식 환아 가족이 요구하는 교육내용은 이식 단계별로 차이가 있었다. 2. 조혈모세포이식 환아 가족이 요구하는 이식 단계별 교육내용과 조혈모세포이식 병동 간호사가 이식 단계별로 선택하는 교육내용은 차이가 있었다. 즉 환아 가족은 환아의 신체적 간호 및 정보와 관련된 내용이었으며 조혈모세포이식 병동 간호사는 환아의 심리적, 정서적, 영적인 내용도 교육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3. 조혈모세포이식 병동의 간호사가 교육내용에 적절하다고 선정한 교육방법은 소책자법 이었다. 이밖에도 교육목적에 따라 그룹교육, 비디오, 전문가 의뢰, 시범법 등을 선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조혈모세포이식 환아 부모의 교육요구는 이식 단계별로 차이가 있으며, 환아의 부모와 간호사가 요구하는 교육내용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식 병동 간호사가 교육내용에 적절하다고 선택한 교육방법은 소책자법이었으며 본 연구자는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조혈모세포이식 환아 부모를 위한 이식단계별 소책자를 개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methodological study to develop teaching material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SCT). The study was conducted in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identify the areas in need of teaching, 20 families going through and 20 nurses working at the HSCT unit were included. Data were collected a 28-item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C package.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 1. Families of children with HSCT had different teaching need related to the different phase of HSCT. 2. Families focused on patient's medical status, therapies, complications and skills necessary to care for the patients. But, Nurses included the patient'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piritual needs. 3. Nurses preferred a booklet as most effective methods. And other methods group meeting, video, referral to experts, and demonstrations. In conclusion, Families of children with HSCT identified patient's medical status, therapies, complications and skills related to HSCT as areas in need of teaching.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booklet was developed for the pediatric HSCT families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t is suggested that this booklet to be used in other HSCT units. Also, it should be revised to meet specific procedures and regulations of each unit.

      •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수 생착의 조기 예측 지표로서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의 평가

        김남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목적 : 조혈모세포이식은 악성ㆍ비악성 혈액질환의 치료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수 생착 유무가 환자의 치료방향이나 예후에 중요하기 때문에 조기에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수 생착의 조기 예측 지표로서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을 평가하고,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의 판정기준치를 평가하였다. 방법 :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 소아혈액종양분과에서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0세에서 23세의 1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통해 자료를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망상적혈구 지표와 함께 전혈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전체 환자군에서 백혈구 생착일은 12.1±4.3일, 혈소판 생착일은 19.4±11.7일,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이 1% 이상이 되는 날은 9.6±2.6일,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이 3.5% 이상이 되는 날은 10.5±3.0일,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이 5% 이상 되는 날은 11.1±3.6일로 조사되었다.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백혈구 생착일과 미성숙 망상적혈구가 상승하는 날짜를 비교한 결과, 백혈구 생착에 앞서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이 먼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백혈구 생착을 기준으로 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이용한 ROC curve를 확인한 결과 조혈모세포 이식 후 8일째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이 3.5% 이상이라는 기준치를 구하였으며,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6.7%, 82.8%였다. 결론 : 백혈구 생착에 앞서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의 상승이 선행하므로 조혈모세포이식 후 골수 생착의 조기 지표로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을 기존에 다른 지표와 함께 관찰하는 것이 생착을 판단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조혈모세포이식, 골수 생착,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 판정기준치 Background :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SCT) has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hematologic malignant and non-malignant disorders. The success of engraftment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eatment and the prognosis of patients. Various methods of early assessment have been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mmature reticulocyte fraction (IRF) as an early predictor of marrow engraftment and to validate cut-off values for IRF in pediatric patients. Methods :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172 patients including 108 males (62.8%) and 64 female (37.2%) with a median age of 8.3 years who underwent HSCT in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from January 1st, 2005 to December 31st, 2008. Complete blood counts with reticulocyte parameters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Results : Standard neutrophil engraftment occurred after a mean of 12.1±4.3 days following HSCT and platelet engraftment occurred after a mean of 19.4±11.7 days. With regards to IRF, mean rates were as follows: above 1% after 9.6±2.6 days, above 3.5% after 10.5±3.0 days, and above 5% after 11.1±3.6 days. These differences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IRF and platelets when compared with standard neutrophil recovery after HSCT. Following HSCT, the mean day on which IRF was increased above 3.5% preceded the standard neutrophil engraftment day (P<0.001). The predicting cut-off value of IRF was 3.5% (AUC=0.879, 95% CI, 0.759-0.999) at 8 days after HSC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86.7% and 82.8%, respectively. Conclusion : Considering these results of the increase in IRF preceded that of absolute neutrophil count (ANC) or platelets in most cases, IRF was useful as an early indicator of marrow engraftment especially when observed simultaneously with the other parameters. Key words :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Marrow engraftment, Immature reticulocyte fraction, Cut-off value

      • 공고요법까지 관해 상태를 유지한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자가말초조혈모세포이식 치료 효과

        최성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Introduction : In many studies, intensive myelosuppressive therapy is necessary to maximize outcomes and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llo-BMT) is most effective treatment of acute myelocytic leukemia (AML).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uto-PBSCT) is another choice of treatment in patients who do not have a HLA matched donor. But overall results comparing Auto-PBSCT to Allo-BMT and chemotherapy only have been inconsistent. We report the results of autoPBSCT in childhood AML.Methods : From the retrospectively maintained database at pediatric department of Severance Hospital, we identified patients under 15 years of age. They were achieved remission and continuous complete remission during consolidation chemotherapy. They treated with Auto-PBSCT, Allo-BMT or chemotherapy only. Survival rates were estimated by the method of Kaplan and Meier, and confidence intervals were calculated using log-rank test.Results : 16 children with AML who achieved remission and continuous complete remission during consolidation chemotherapy were selected. There were 11 males and 5 females with a median age of 5.5 years. They were eligible for allocation to Allo-BMT (n=7) or to Auto-PBSCT (n=5) or chemotherapy only (n=4). Survival of 3 years is as follows : Allo-BMT, 71.4%±17.1%; Auto-PBSCT, 100%; and chemotherapy only, 25%±22%. Survival in Auto-PBSCT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chemotherapy only (p=0.04). Differences between Auto-PBSCT and Allo-BMT are not significant (p=0.21).Conclusion : When patients with AML who achieved remission and continuous complete remission during consolidation chemotherapy had no HLA matched donor, Auto-PBSCT was more effective therapy than chemotherapy only and was similar effectiveness with Allo-BMT. 배경 :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는 강한 골수억제치료가 필수적이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로 알려져있다. 적합한 조혈모세포 공여자가 없는 경우에는 대안으로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자가조혈모세포이식 치료군과 항암제 단독 치료군의 결과에 대하여 연구자마다 상이하게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적합한 공여자가 없는 경우 시행한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의 치료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진단받은 15세 미만의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대상자는 관해유도치료 및 공고요법을 받은 후 관해상태에서 적합한 공여자가 있는 경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적합한 공여자가 없는 경우 자가조혈모세포이식 또는 항암제 단독요법을 시행하였다.생존율 계산은 카프란-마이어 법을 사용하였고, 각 군의 생존율의 비교에 로그-순위 법을 이용하였다.결과 : 대상 환자 16명의 남녀비는 2.2:1이고, 진단 당시 평균나이는 5.5세이며 추적관찰 한 중앙값은 34개월 이였다.자가말초조혈모세포이식 환자 5명은 모두 무병 생존하고 있으며, 항암제 단독 치료 환자 4명의 3년 전체 생존율은 33.3±27.2%로 두 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4).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 7명의 3년 전체 생존율은 71.4±17.1% 이였다. 자가말초조혈모세포이식 치료군과 동종조혈모세포이식 치료군은 전체 생존율에 유의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1).결론 : 공고요법까지 관해 상태를 유지한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적절한 공여자를 찾기 어려운 경우 자가말초조혈모세포이식을 한경우 항암제 단독치료보다 높은 전체 생존율을 보였으며, 동종조혈모세포이식의 생존율과 비교하였을 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표준 및 간호활동 개발

        신현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게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의 질 평가의 근거가 되며 간호사의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표준 및 간호활동 개발하는 것이다.예비업무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문헌고찰을 시행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한 전문가 집단은 조혈모세포이식 간호분야회의 임원으로 임상경력 10년 이상이며 조혈모세포이식 병동 임상경력 3년 이상의 10명으로 구성되었다. 내용 타당도가 검증된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표준 및 간호활동의 임상 수행율을 조혈모세포이식 병동의 경력 2년 이상의 간호사 30인에게 조사하여 간호업무표준의 임상 적합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간호업무표준 및 간호활동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1. 개발된 예비 업무표준은 자료수집, 진단, 계획, 중재, 평가, 윤리, 업무수행 평가, 교육, 연구, 협동, 자원활용, 간호의 질 등 12개 표준과 42개의 기준 및 60개의 지표로 구성된 문항과 각 지표에 따른 228개 간호활동 항목으로 구성되었다.2. 전문가 타당도 검증은 각 문항에 대하여 3점 ‘타당하다’와 4점 ‘매우 타당하다’에 동의한 비율을 구하였으며 문항별 CVI는 전체 228개 문항 모두에서 전문가 합의율 80%이상을 나타내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전체 문항에 대한 CVI(Content Validity Index)는 0.99로 높게 나타났다. 추가할 항목에 대한 전문가 2인의 의견에 대해 간호학과 교수 2인과 논의하에 ‘영양부족’진단과 이에 따른7개의 간호활동을 추가하였다.3. 개발된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표준을 이용하여 실시한 임상 타당도 검증 결과, 전체 238개 간호활동 항목 중 수행율이 100%인 항목은 125개 항목이었으며, 평균 수행율은 93.97% 로 높게 측정되었다. 각 간호업무표준의 수행율은 표준1 ‘자료수집’이 92.0%, 표준2 ‘간호진단’이 96.1%, 표준3 ‘간호계획’이 87.5%, 표준4 ‘중재’가 97.3%, 표준5 ‘평가’가 86.7%, 표준6 ‘윤리’가 88.7%로 측정되었으며 표준7 ‘업무수행 평가’가 94.6%, 표준8 ‘교육’이 91.3%, 표준9 ‘연구’가 82%, 표준10 ‘협동’이 94.2%, 표준11 ‘자원활용’이 95%, 표준12 ‘간호의 질’이 72.4%로 나타났다.4. 전문가 타당도 및 임상타당도 검증을 거쳐 12개 표준과 43개의 기준 및 61개의 지표와 이에 따른 238개의 간호활동으로 구성된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 표준을 개발하였다.개발된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표준 및 간호활동을 바탕으로 조혈모세포이식 간호업무의 교육자료 및 질 평가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전문간호사 제도 및 체계적인 간호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조혈모세포이식 생존자의 사회활동과 삶의 질

        공혜원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연구의 목적은 목적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조혈모세포이식을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의 환자의 사회활동과 사회활동과 사회활동과 삶의 질의 상관 성을 파악하여 파악하여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개발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자료를 제공하는 제공하는 것이다 것이다 . 본 연구는 연구는 서울시내 서울시내 A 병원 임상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임상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임상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임상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임상연구심의위원회로부터 연구 진행을 진행을 허가 받아 2016 년 3월 31 일부터 5월 30 일 까지 S시에 소재한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서 종합병원에서 종합병원에서 조혈모세 조혈모세 포이식 후 외래 통원치료를 통원치료를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1년이 경과한 경과한 환자 120 명 을 대상으로 대상으로 , 연구 참여에 동의한 환자에게 환자에게 설문지를 설문지를 배포하여 배포하여 수거하였다 수거하였다 수거하였다 . 연구 도구는 Syrjala Syrjala (2010)(2010) 의 Social activity log Social activity log Social activity logSocial activity log Social activity log Social activity log 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사회활동을 사회활동을 사회활동을 측정 , 삶의 질은 Ferrans Ferrans 와 Power Power (1985) (1985)가 개발한 삶의 질 척도 (QualityQuality of Life Index: QLI) Life Index: QLI) Life Index: QLI) Life Index: QLI) 를 윤민영 윤민영 , 서순림 서순림 , 최현경 최현경 (2009) (2009) 이 번역한 번역한 도구를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용하였다 . 자료분석은 자료분석은 SPSS 20.0 for Windowsfor Window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이용하였으며 , independent t , independent t , independent t , independent t , independent t-test, one test, onetest, one -way ANOVA, way ANOVA, way ANOVA, way ANOVA, 상관분석을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하였다 . 본 연구 결과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 연구대상자는 연구대상자는 연구대상자는 연구대상자는 연구대상자는 연구대상자는 총 120 명이었으며 이었으며 이었으며 이었으며 , 남자가 남자가 남자가 78 명(65.0%)(65.0%)(65.0%)(65.0%)(65.0%)(65.0%)(65.0%), 여성이 여성이 여성이 42 명(35.0%) 이었다 . 질병을 질병을 진단 받은 후 경과 된 기간 을 보면 , 평균 49.26 49.26 ±33.69 개월이었고, 조혈모세포이식을 하고 난 후 평균 26.9±19.68 개월이 경과하였다. 둘째 , 업무나 일상생활을 일상생활을 일상생활을 제외하고 제외하고 , 대상자가 대상자가 일주일 동안 운동 , 외식 , 종교 활동을 포함한 포함한 사회활동의 사회활동의 사회활동의 평균은 4.144.14 일이었 으며 , 85 점 만점에 서 26.71 점이었 다. 비접촉 사회활동인 전화 통화를 통한 사회활동이 94.2%로 가장 많았으며, 다과 모임 참여는 84.2%, 식사 모임 참여는 81.7% 였다. 그리고, 쇼핑 69.2%, 스포츠 경기나 박물관 관람 등은 21.7%, 17.5% 로 나타났다. 셋째 , 대상자의 대상자의 삶의 질을 보면 , 30 점 만점에 평균 18.52 점이었고 점이었고 , 영역별 영역별 삶 의 질 점수 는 각각 가족적 가족적 측면 20.52 점으로 가장 높았고 높았고 , 건강 /기능적 기능적 측면 18.21 점, 정신 /심리적 측면 18.19 18.19점, 사회 /경제적 경제적 측면 16.70 점 순이었다 이었다 . - iii - 넷째 , 대상자의 대상자의 일반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활동과 사회활동과 사회활동과 삶의 질을 확인한 결과 사회 활동은 일반적 일반적 특성에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없었으나 , 삶의 질은 이식 후 직업 유무 (t= -3.683.68 , p<.001), <.001), <.001), 이식 후 직업 복귀 시점 (F=3.006, (F=3.006, p =.041) 에 따라 유 의한 차이가 있었다 있었다 . 또한 대상자의 대상자의 질병 특성에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점수는 점수는 이식 후 이식편대숙주반응을 이식편대숙주반응을 이식편대숙주반응을 경험 유무 (F=11.28, (F=11.28, p <.001), <.001), 진단 후 경과 기간 (F=10.48, (F=10.48, (F=10.48, p <.001), <.001), 이식 후 경과 기간 (F=5.00, (F=5.00, p =.003) =.003)=.003) 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있었다 . 또한 , 이식편대숙주반응 이식편대숙주반응 이식편대숙주반응 증상에 따라 사회활동에 사회활동에 사회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차이가 있 었다 ((F=3.113, ((F=3.113, p=.012 ). 다섯째 , 대상자의 대상자의 사회활동 사회활동 점수가 점수가 높을수록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나 사회활동 과 삶의 질이 유의한 유의한 상관관계를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보여주었다 (r=.393 (r=.393(r=.393 , p <.00 1)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종합해 볼 때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사회활동이 사회활동이 많을수록 많을수록 삶 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나타났으므로 ,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사회활동을 사회활동을 증진시 증진시 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간호중재를 간호중재를 제공한다면 제공한다면 삶의 질이 더욱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 또 한 사회활동 사회활동 증진을 증진을 촉진하기 촉진하기 위해 일반적 일반적 , 질병적 질병적 특징과 특징과 관련성을 관련성을 위한 더 많 은 수의 대상자 확보를 통한 반복 연구를 연구를 제안한다 제안한다 . 주요어 :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조혈모세포이식 , 생존자 생존자 , 사회활동 사회활동 , 삶의 질

      • 조혈모세포이식 후 소아의 성장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수진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소아암의 치료에 있어서 일반적인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조혈모세포 이식이 시행되면서 많은 수의 소아암 환자가 생존하고 있지만, 많은 수의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소아는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조사, 그리고 조혈모세포이식 후 합병증으로 인하여 성장 저하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S병원 소아과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112명을 대상으로 조혈모세포이식 직전과 이식 후 1년 단위로 신장과 체중을 조사하고 조사값과 소아청소년 신체 발육 표준치를 이용해 표준편차점수를 산출하여, 조혈모세포이식으로 인한 성장 저하의 확인과 함께 성장 저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조혈모세포이식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성장 유형의 변화에 대한 통계분석기 법으로 무작위 효과와 고정효과를 결합한 혼합효과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장 유형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가 및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모두에서 신장과 체중의 평균표준편차 점수가 음의 값을 가져 조혈모세포이식으로 인한 성장 저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종이식 보다 자가이식의 경우 신장의 표준편차점수 평균이 더 낮았고(P=0.0008), 체중의 표준편차점수 평균이 더 낮았고 (P=0.0012),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이식 후 신장의 표준편차점수 차이값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위험 인자는 이식 시 나이 (P=0.0251), 이식의 형태 (P=0.0020)로 확인되었다. 동종이식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다변량 분석 결과 스테로이드 사용량이 의미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P=0.0403). 이식 후 체중의 표준편차점수 차이값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위험인자는 이식 시 나이 (P=0.0042), 이식의 형태 (P=0.0035), 총정맥영양의 주입 기간(P=0.0159)으로 확인되었다. 4. 질병의 악성여부, 전처치방법, 이식 횟수, 전신 방사선 조사, 간정맥 폐쇄성 질환의 유무, 급성 혹은 만성 이식편대숙주병의 유무 및 정도 등의 변수들은 신장이나 체중의 변화에 유의한 요인이 아니었다. 5. 6세 미만과 6세에서 12세, 12세 이상의 연령군으로 분류하여 3군 사이의 신장과 체중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총정맥영양 주입기간은 cutoff value를 산출하여 20일을 경계로 20일 미만 사용군과 20일 이상 사용군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20일 이상 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조혈모세포이식이라는 시술이 소아에게 성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이식 시 나이가 많을수록, 자가 이식인 경우, 동종 이식의 경우 스테로이드 사용량이 많을수록 성장 저하가 예견된다. 소아의 조혈모세포이식 후 올바른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성장 저하가 우려되는 환자를 식별하고, 적절한 평가지침과 중재는 간호의 필수 분야로 수행되어야 하겠다. In recent years, high dose chemotherapy and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HSCT) have increasingly been performed for the trea tment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with poor risk factors and resulted in a large number of long-term survivors. Growth fail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late complications in these survivors. This study investigated development of height and weight before and several years after HSCT in children to identify growth patterns, to find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growth pattern after HSCT. Between 2005 and 2007, 112 children with malignant and hematological diseases received either autologous or allogeneic HSCT in S Medical Center. All children without a relapse and had more than 1 year of follow-up after HSCT were included. Standard deviation scores(SDS) for height and weight of patients were calculated from the standard measurements in normal children,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s in 2005. To analyze the growth patterns after HSCT mixed-effects model was used to include random and fixed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DS of height and weight were negative values in both autologous or allogeneic HSCT, showed HSCT had a negative impact on growth in children. 2. The mean value of SD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utologous transplantation group by height(P=0.0008) and weight (P=0.0012). 3. Significant factors on changes of SDS of height growth were age at transplantation (P=0.0251), autologous transplantation (P=0.0020) and total dose of steroid in allogeneic transplantation (P=0.0403) and age at transplantation(P=0.0042), autologous transplantation (P=0.0 035), and duration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 (P=0.0159) for weight growth. 4. Other factors including malignancy, type of conditioning, veno-occlusive disease, acute or chronic GVHD were not the significant factors on both height and weight changes. 5.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growth patterns after HSCT. The cut-off value in duration of TPN was 20 days which showed a trend for negative impact of TPN more than 20 days after HSC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pediatric HSCT patients are at risk for growth due to the aggressive therapy used to treat their diseases. Nurses must learn to recognize children predicting growth impairment after HSCT. More researches regarding nursing assessment guidelines and interventions should be conducted in the care of these children, especially with autologous HSCT.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생착과 관련된 인자들에 관한 연구

        정기주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목적: 조혈모세포이식은 혈액종양질환의 표준 치료뿐만 아니라 고형암, 선천선 대사이상장애, 면역결핍, 자가 면역질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식치료 중 발생하는 골수의 기능저하는 질병의 이환률, 사망률, 재원일수등과 관련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악성 혈액질환과 진행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조혈기능의 회복과 연관된 인자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방법: 자가 말초혈액조혈모세포 이식환자 112명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환자 43명으로 총 155명의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성별, 나이, CD34양성세포수, 전처치 항암제, 이식 방법 등 조혈기능의 회복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CD34양성세포의 수는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백혈구생착일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 = -0.334, P < .05), 자가 말초혈액조혈모세포를 이식한 군에서는 백혈구(r = -0.219, P < .05), 혈소판의 생착일수(r = -0.278, P < .05)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계가 있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전처치 항암제의 경우는 Melphalan을 사용하는 군에서 BEAM (BCNU, etoposide, cytosine arabinoside, melphalan) 혹은 BEAC (BCNU, etoposide, cytosine arabinoside, cyclophosphamide) 나 BuCy(buslfan, cyclophosphamide)을 사용하는 환자보다 백혈구 생착이 빨랐으며(P < .05) 고형암의 경우 혈액종양질환보다 혈소판생착이 빨랐으며, CD34세포수가 5.0 X 106 이상인 군에서 백혈구 혈소판 모두에서 생착이 빨랐다. 다변량 분석결과 조혈모세포의 이식방법, 질환, 전처치 약물등에 따른 차이는 조혈기능의 회복과 관련이 없었으며, CD34양성 세포수 5 X 106/kg 이상시 와 자가 말초조혈모세포 이식시 동종조혈모세포 이식보다 백혈구생착과 혈소판생착이 빨랐다 (P < .05).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조혈모세포이식시 CD34양성세포수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백혈구와 혈소판의 생착일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CD34양성세포수 5 X 106/kg 이상의 경우 조혈모세포이식에서 백혈구와 혈소판의 조기생착을 기대 할 수 있으며, 조혈기능의 회복과 관련되어 질병의 예후, 치료효과, 생존율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Background: Stem cell transplantation has been widely used to treat different types of malignant and nonmalignant hematologic disorders as well as metabolic disease and congenital immunodeficiency disease. Hematopoietic recovery is important that a prolonged duration of neutropenia, thrombocytopenia can b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infection, bleeding, treatment related mortality. Many studies have been made about the factors which are affecting hematopoietic recovery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Methods: We investigated variable factors influencing hematopoietic engraftment in 155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and solid tumors who received either autologous (N = 112) or allogeneic (N = 43) stem cell transplantations retrospectively. Hematopoietic engraftment was determined by absolute neutrophil count (>500/μL), platelet count (>20,000/μL) without transfusion. We investigate sex, age, CD34+ cell number, conditioning regimens, hematologic malignancy versus solid tumor, allogeneic versus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neutrophil and platelet engraftment. Result: The median number of CD 34+ cell was 5.59 X 106/kg (range 0.71-77.10). Post-transplant neutrophil engraftment (>500/μL) was requiring a median of 12 days (range 6-50 ). it was 14 (range 0-78 ) days for platelet engraftment (> 20,000/μL). In autologous peripheral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infused CD34+ cell/k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ime to neutrophil (r = -0.219, P = .003) and platelet (r= -0.278 ,P = .005) engraftment. and, In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fused CD34+ cell/k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ime to neutrophil engraftment (r = -0.334 , P = .046). In univariate analysis, the factor which affect hematopoietic recovery positively were; conditioning regimens as BEAM (BCNU, ethoposide, cytosine arabinoside, melphalan) or BEAC (BCNU, etoposide, cytosine arabinoside, cyclophosphamide) versus BC (buslfan, cyclophosphamide), solid tumor versus hematologic malignancy, CD34+ cell number. In multivariate analysis, CD34+ cell number (>5.0 X 106/kg)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r neutrophil and platelet engraftment in both allogenic and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P <.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asurement of CD34+ cell count would be a sufficient parameter to predict the engraftment rate in stem cell transplantation

      • 조혈모세포이식을 경험한 혈액암 환자의 대처, 회복력과 삶의 질

        황유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조혈모세포이식을 경험한 환자는 일상생활 및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는 그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 때 부정적인 심리반응에 대한 대처 방식은 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영역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 때 회복력은 문제를 해결하고 이겨내며 삶을 이어 나갈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혈모세포이식 과정에서의 대처, 회복력과 삶의 질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 및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 자료 수집은 2019년 9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S시에 소재한 Y대학병원의 조혈모세포이식 병동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기로 동의하여 입원한 환자와 이식을 진행한 후 외래에서 추후 관리를 받고 있는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혈모세포이식 중인 환자의 대처는 5점 만점에 평균 2.99±0.50점, 회복력은 4점 만점에 평균 2.74±0.50점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질은 4점 만점에 평균 2.65±0.47점으로 나타났다. 2. 조혈모세포이식 과정 중 시기에 따른 환자의 대처와 회복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삶의 질 중 신체 상태 (p=.004) 및 BMT 하부영역 (p=.045)이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해 입원하여 퇴원하기 전 시기의 환자보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100일이 경과한 외래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대처, 회복력과 삶의 질에서 1) 대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교육 정도가 대졸이상인 대상자가 고졸 이하인 대상자보다 (p=.04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회복력은 남성이 여성보다 (p=.045), 직업이 있는 대상자가 직업이 없는 대상자보다 (p=.012), 가족의 월수입 300만원 이상인 대상자가 300만원 미만인 대상자보다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직업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p=.042)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에서는 대상자가 지각하는 자신의 건강관리 능력 정도를 ‘부족하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보통이다’, ‘충분하다’라고 응답한 집단 (p=.001)이, 가족을 통해 건강관리를 도움 받는 정도에서 ‘충분한 도움을 받는다’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도움을 받지 않는다’라고 응답한 집단 (p=.041)의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삶의 질은 문제 중심 대처 (r=.272, p<.05), 회복력 (r=.395, p<.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조혈모세포이식을 경험한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력(β=.281, p=<.05), 대상자가 지각하는 자신의 건강관리 능력(β=.110, p=<.001), 조혈모세포이식 과정 중 시기 차이(β=-.294, p=<.01) 순이었으며,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약 45.9%로 나타났다. 조혈모세포이식을 경험한 환자의 대처, 회복력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력, 대상자가 지각하는 자신의 건강관리 능력 정도, 조혈모세포이식 과정의 시기 차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해 입원한 후 무균실에 입실하여 조혈모세포이식을 진행하고 있거나 이식 후 면역력이 저하된 시기에 준무균실에서 퇴원을 준비하는 환자 군에 좀 더 초점을 두어 조혈모세포이식 과정의 시기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간호중재가 이루어져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조기에 사정한 환자의 대처 양상과 회복력을 바탕으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대상자가 지각하는 자신의 건강관리 능력 정도를 높여 전체적인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간호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에서 진료량과 진료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문희경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6

        우리나라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은 1983년 3월 형제간 이식을 최초로 시술한 이후 1992. 10. 1부터 보험급여 대상으로 인정되었으며, 2000년을 기준으로 총21개의 의료기관이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 실시기관으로 인정 되고 있다. 조혈모세포이식술을 비롯하여 개심술,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등과 같이 고도의 의료기술과 시술자의 전문성 및 숙련도를 필요로 하는 의료서비스의 경우 시술자의 시술횟수가 많을수록 숙련도와 전문성이 축적되어 환자의 진료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1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의한 우리나라 조혈모세포이식 실시기관의 이식시술 현황 조사결과에 의하면, 년 평균 진료량(혹은 시술량)과 환자의 생존율 등에 있어 기관간에 상당한 변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 환자의 진료결과에 미치는 이식 실시기관 특성 중 실시기관의 진료량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1998년에서 2000년 3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한 21개 전체 의료기관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 급성임파구성백혈병, 만성골수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상병으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결과, 조사대상 1,052명 환자 중 752명의 자료가 회수되었다(수집률:71.6%). 조사대상 의료기관 중 조사기간 동안 단 1건을 시술한 기관이 있는 반면 약 500건을 시술한 기관이 있는 등 그 변이가 상당히 컷으며, 분석 목적 상 50건 미만 시술기관을 ‘저 진료량기관’, 50건 이상을 ‘고 진료량 기관’으로 구분하였다. 급성골수성백혈병 및 급성임파구성백혈병, 만성골수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의 세 환자군 각각에 대해 이식 후 100일 생존여부와 1년 생존여부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는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다변량 분석결과, 급성골수성백혈병과 급성임파구성백혈병(100일 생존:RR=2.653, 95% CI =〔0.883∼7.974〕, 1년 생존 : RR=2.039, 95% CI =〔0.882∼4.713〕), 만성골수성백혈병(100일 생존 : RR=5.037, 95% CI =〔0.780∼32.543〕, 1년 생존 : RR=3.690, 95% CI=〔0.810∼16.804〕)의 두환자군 경우에는 고 진료량 시술기관에서 시술 받은 환자의 100일 또는 1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군의 진료량의 경우에는 100일 생존율은(100일 생존 : RR =1.086, 95% CI =〔0.113∼10.392〕)유의하게 높으나 1년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에는 1년 생존율은 급성골수성백혈병과 급성임파구성백혈병환자에서 여자가 더 높았고, 연령별로는 만성골수성백혈병과 재생불량성빈혈환자에서 40세 미만일때 1년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밖에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환자 특성으로서, 환자와 공여자의 관계가 형제,자매의 혈연관계일 경우, 이식 전 질병상태가 급성골수성백혈병과 급성임파구성백혈병은 첫 번째 완전관해일 때, 만성골수성백혈병은 첫 번째 만성기일 때, 100일과 1년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고, 재생불량성빈혈은 이식 전 질병상태가 과중증상태 보다 중증 상태인 경우에 1년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대학병원, 서울지역 소재 병원에서 생존율이 높았으며, 내과·소아과 전문의 수와 경력, 숙련된 간호사, 코디네이터 유무에 따라 생존율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에서 이식 실시기관의 진료량과 진료결과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 현행 보험급여 인정기준은 시술실적이 년 3인 이상일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현행 인정기준의 적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는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100일 및 1년 생존여부를 진료결과로 측정하였으나 혈액종양의 완치기준을 3년간으로 볼 때 장기적인 결과를 측정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술의 진료성과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진료결과 지표를 이용한 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환자의 질병 경중도에 대한 보정을 시도하였으나,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실시기관간 환자 구성상태(case-mix)차이에 대한 충분한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제한점이 있어, 향후 연구에 의해 진료결과의 주요 영향인자가 진료량인지 아니면 선택적 의뢰 (selective-referral)때문인지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In Korea, the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was first applied between siblings on March, 1983, and has been acknowledged as an insured treatment since Oct. 1, 1992. In 2000, a total of 21 medical institutions are validated as official institutions that can provide this treatment. In case of the medical service that requires higher medical technology and the expertise or proficiency of the provider, such as open heart surgeries, percutaneous coronary angioplasties as well as stem cell transplantation, more experiences of the provider are known to affect positively the result of the treatment due to the accumulation of his/her proficiency and specialty. A survey was conducted in 2001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this treatment in the institutions in Korea that perform stem cell transplanta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institutions in the average annual treatment volume (or application volume) and the survival rates of the patients.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effect of the treatment volume, among all the institution characteristic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utcome of the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Korea. In all the 21 medical institutions that have provided the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Korea for three years from 1998 to 2000,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all the patients who received this treatment for acute myelocytic leukemia (AML), acute lymphocytic leukemia (ALL), chronic myelocytic leukemia (CML) and aplastic anemia (AA). Out of 1,052 patients, 752 subjects returned the survey (return rate: 71.6%). The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the treatment: While there are institutions that performed only one treatment for the whole period studied, there are also those that provided about 500 treatments. Based on the purpose of analysis, the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into 'low volume' (less than 50 treatments) and 'high volume' institutions (50 treatments or more). To each of the three patient groups - acute myelocytic and lymphocytic leukemia (AML & ALL), chronic myelocytic leukemia (CML) and aplastic anemia (AA),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urvival rates for 100 days and for a year after transplantation as the two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urvival rates for both 100 days and a year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received the treatment in the high volume institutions in the following two patient groups: AML & ALL (100-day survival rate: RR=2.653, 95% CI=〔0.883∼7.974〕, one-year survival rate: RR = 2.039, 95% CI=〔0.88 2∼4.713〕), and CML (100-day survival rate: RR=5.037, 95% CI=〔0.780∼32.543〕, one-year survival rate: RR=3.690, 95% CI=〔0.810∼16.804〕). On the other hand, in the AA patient group, the treatment volum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100-day survival rate - that is, the 'high volume' institutions have a higher rate (RR=1.086, 95% CI= 〔0.113∼10.392〕), but not on the one-year survival rate. Compared by gender, one-year survival rate was higher in the female subjects with AML & ALL. CML&A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younger than 40 years of age. In addition, the following patient characteristics also affect the survival rates: both 100-day and one-year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recipient and donor were siblings; the pre-transplant condition was the 1st complete remission with acute myelocytic and lymphocytic leukemia, or the 1st chronic stage of chronic myelocytic leukemia. Besides, in case of aplastic anemia, one-year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severe rather than very severe conditions before transplantation. In addition, survival rate was higher in university hospitals and the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made by the number of specialists in internal medicine and pediatrics, their experiences, and the presence of experienced nurses and coordinator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olume and the outcome of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the medical institutions providing this treatment. The current Korean standard for granting insurance payment requires the medical institutions to have more than 3 treatments annually.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andard should be improved in terms of its appropriateness, based on the study result. Meanwhile,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100-day and one-year survivals after the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based on the outcome of examination. But, seen from the fact that the standard for a complete recovery from blood cancer is three years, the study has a limitation - it didn't determine more longer-term outcomes. Therefo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using the indexes of long-term treatment outcomes in order to determine more accurately the treatment outcomes of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hough this study attempted to adjust the degree of disease severity, lack of data obstructed sufficient adjustment of the differences in the case-mix of the patients between the medical institutions providing the treatment. So,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future studies to analyze clearly the major factor of the treatment outcome - if it's a treatment volume or selective referr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