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리교육기관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웰빙의 조절효과

        전언희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odern society we live in is based on the rapidly developing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fast-changing modern society, the needs of members of society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and the standard of living and income of the people has gradually increased, so that they want to live in a better quality. As a result, the enthusiasm for professional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which is bringing about a great change in the educational market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in order to cultivate talents who can cope with the industrial society by acquiring more practical skills, knowledge, and abilities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the times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s specialized education that can be used directly in the practical field. Was formally introduced in 2015.Introduc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2015), which standardizes the ability to cultivate practical capabilities and apply them directly to the job by arranging skills, knowledge, and attitudes required by field practice by algorithm and level. National policies are in place to strengthen direct and practical capacity-building training available directly from. In addition to professional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such as lifelong education centers, women's human resource development centers, women's cultural centers, department stores, cultural centers and academies, meet diverse learning needs for those who want to learn about employment, start-ups, and self-development. In order to provide abundant learning opportunities, culinary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rovide instructors,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necessary for education to enhance th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Culinary education institutes, which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should provide various educational curriculum and pleasant educational environment to improv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redibility of trainees, promo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inary education institutes, and to meet the high quality level of individual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by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making effor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systematic management of students and facility invest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cooking education institutes and examined the operation method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that can improv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We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one result on participation intent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control variabl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a logical basis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In order to present the logical criteri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on what and how to develop in Seoul.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using a questionnaire for trainees of cooking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do.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actor analysi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was clearly analyzed by dividing the quality of instructors,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educational facilities, accessibility, and staff services. The goal orientation of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not regarded a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content satisfaction, education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intention.In addition, the learning-oriented factor was found to have more influence on all items of education satisfaction than the activity-oriented factor.In addition, education satisfaction was adopted as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inten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 moderating role in activity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ppeared to do. Taken together, these motiv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a significant impact on participation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analysis, we know what direction culinary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have in order to meet national and social needs in the future and to ensure continuous development. We need to secure instructors with a variety of instructors and operate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be used for practical education and on-the-job practices, as well as individual self-development programs. something to do.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는 아주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구조와 과학기술의 발달이 토대가 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의 욕구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국민들의 생활수준과 소득수준 또한 점차 높아져 보다 질적인 삶을 원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사회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자기개발을 위한 교육 욕구가 높아지면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으려는 열기 또한 높아지고 이로 인해 교육시장 환경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도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보다 실무적인 기술이나 지식, 능력을 익혀서 산업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학교에서 배우는 이론 위주의 교육이 아닌 실무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전문교육을 2015년에 정식으로 도입하였다. “현장 실무에서 필요한 기술과 지식, 태도를 산법별, 수준별로 정리하여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바로 직무에 적용 할 수 있는 능력”을 표준화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고용노동부, 2015)를 도입하여 실전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직접적이고 실무적인 능력향상 교육을 강화하는 국가적 정책을 추진 중이다. 전문적인 직업훈련 교육기관과 더불어 평생교육기관으로 평생교육원, 여성인력개발센터, 여성문화회관, 백화점 문화센터와 학원 등에서도 취업과 창업, 자기개발 등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다양한 학습욕구를 충족시키고 새롭고 풍부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조리교육기관에서는 교육에 필요한 강사와 교육프로그램, 교육환경을 갖춰 교육생들의 교육만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조리교육기관은 다양한 교육 커리큘럼과 쾌적한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교육생들의 교육만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조리교육기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여야 하며, 높아진 개인들의 질적 수준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내실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생들의 체계적인 관리와 시설투자 등의 다방면으로 노력을 하여 참여지속의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리 교육기관에 참여 동기를 파악하여 교육생들의 교육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운영방식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가 참여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웰빙을 조절변수로 하여 교육만족 및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수강생들의 교육만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논리적인 근거로 제시하고, 아울러서 조리교육기관의 입장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될 것인가에 대한 전략수립의 논리적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하여 서울. 경기지역 조리교육기관 교육생을 상대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 기재법으로 380부의 설문을 수렴한 결과 304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육만족에 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사의 자질과 교육 프로그램 등의 교육내용과 교육시설과 접근성, 직원 서비스 등의 교육 환경으로 나누어 각 요인간의 관계를 명확히 분석한 결과 참여 동기의 목표지향형은 교육내용만족, 교육환경 만족,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기각되었다. 또 학습지향형 요인이 활동지향형 요인에 비해 교육만족 모든 항목에서 더 영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만족은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채택되었고, 심리적 웰빙은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채택으로 심리적 웰빙은 참여 동기의 활동지향형과 교육환경 만족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참여 동기는 교육만족에 상당 부분 정의 영향을 미치며, 참여지속의도에도 상당부분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교육만족은 참여지속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은 참여 동기의 하위요인인 활동지향형과, 교육만족의 하위요인인 교육 환경 만족에서만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 동기가 교육만족과 참여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하였고, 더 나아가 심리적 웰빙을 조절인자로서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에 영향을 주는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향이 있다면 가장 큰 요인은 어떤 것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 분석결과를 볼 때, 향후 조리교육기관이 국가,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를 알아서 모든 조리교육기관에서는 국가정책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조리 교육 분야에서 기술과 전문지식을 두루 갖춘 강사를 확보하여 충실한 교육내용과 현장 실무에 바로 활용 가능한 적합한 교육프로그램과 개인들의 자기개발 프로그램도 운용하면서, 개인들의 다양하고 변화하는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조리교육기관으로 지속적으로 발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창업지원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애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속적으로 장기간 계속되는 경기 침체로 직장에 대한 고용불안은 변함이 없고, 신구 인력 채용이 줄어들면서 미취업자들도 점점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실직자, 예비퇴직자, 직장인, 대학생 등 많은 사람들이 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고, 평균 연령의 증가로 인해 평생직장의 개념도 다소 무의미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안정된 경제 활동을 위해 자신들 만의 일을 찾길 원하고 있다 보니 창업과 창업 교육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현재 이러한 경제 현상이 나타나는 가운데 정부는 신규 고용 창출과 국민 개인의 소득 창출을 위한 일환으로 창업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정부에서는 많은 퇴직자들을 지원하고, 개인의 창업을 지원하는 교육 사업도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창업에 필요한 많은 사전 지식도 없고 창업 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무작정 창업을 했고, 그 결과 많은 자영업자들이 성공적인 사업을 이어나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계속되고 있다. 더구나 기존의 경력과 직무를 살리기는 더욱더 힘들다. 올바른 창업교육 없이는 창업에 대한 올바른 의식과 의지가 발생 될 수 있는 창업 교육이 창업 실패를 막을 수 있다. 특히 조리 분야는 가맹점을 통한 창업이나 전문적인 조리기술 분야를 준비 없이 창업을 하다 보니 실패를 보는 경우가 더 많다. 본 연구는 실전 창업교육의 조리 교육환경에 따른 교육만족도와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창업의 성공 요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예비창업자들에게 창업의 실패율을 줄이고 창업의 성공확률을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창업교육의 필요성과 성공창업을 위해 갖추어야 할 요인과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조리교육환경, 교육만족, 창업의도에 대한 문헌들을 토대로 개념을 규명하고, 조리교육환경을 파악하고 교육만족,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 및 창업 의도하기 위한 변수를 추출하여 실증 분석의 자료로 도출하고자 하며, 선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리교육에 있어서 조리환경에 관한 중요한 요인들을 알아보고 그 결과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ooking environment of support for start-up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start-up of those who have received training on the cooking technology map of Gyeonggi-do Support Start-up. In summar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 outnumbered men with 196 (64.9 percent) and men with 106, or 35.1 percent, while women were married with 209 marriages (69.2 percent), 82 unmarried people (27.2 percent), and 11 others (3.6 percent). The number of people in their 40s was 117 (38.7 percent), followed by those in their 30s (26.5 percent), those in their 50s (67 (22.2 percent), and those in their 20s (12.6 percent), and those in their 20s (176 or 48.3 percent) who had cooking-related certificates and those who did not have them (41.7 percent). I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hey have any job experience in cooking, 211 (69.9 percent) and 91 (30.1 percent) had no experience, while in the current field of majors, 95 people (31.5 percent) had the most experience, 88 students (29.1 percent), 45 students (14.9 percent), 35 students who major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37.3 percent) and 14.6 percent of hotels (23.6 percent). In terms of average monthly income, 301-4 million won was the largest with 80 people (26.5 percent), followed by 101-200 million won with 71 people (23.5 percent), 64 people (21.2 percent) with less than 1 million won, 201-3 million won with 58 (19.2 percent), and 29 people with more than 4 million won. Second, the factors analysis conducted to revie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oking environment impact factors of support for start-up and the corresponding variables were eliminated once, and when removing the first variables, four questions with a descriptive power of less than 0.4 were removed and a total of 18 questions were applied to the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cooking environment factors of support for start-up, and the total dispersion capacity was 62.818%. Each factor name was named the practical environment,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the quality of the lecture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The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factor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actical environment was .844;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ctor's quality was .814; the reliability of the administrative service was .771; and the reliability of the lecture quality .817; the reliability of the factors was high. The factors analysis conducted to revie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ducational desirability factors and the corresponding variables were eliminated on a one-time basis four questions extracted from the preceding study. In removing the primary variables, one question with a descriptive power of less than 0.4 was removed and a total of three questions were applied to the factor analysis, with a total dispersion capacity of 65.16%. The factor analysis conducted to review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tart-up intent factors and the corresponding variables was carried out once, and when the primary variable was removed, the two questions with a descriptive power of less than 0.4 were removed and the three questions were applied to the factor analysis, with a total dispersion power of 72.23%.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start-up drivers, the reliability of start-up drivers is high at .804. Third, only the quality of instructors and quality of lectures among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factors of start-up suppor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refore,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Therefore,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Hypothesis 2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Thus, hypothesis 2 was adop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is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ulinar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support for start-ups. Through the education students and graduates of institutions that educate cooking, certain components of education environment factors are considered important a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is also determined. It will ]als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institutions that educate cooking and use it as a mean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econd, among the factors in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supporting start-ups, the quality of instructors and the quality of lectures were shown to affect education satisfaction. They also said that cooking education graduates affect their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based on their satisfaction with education. In other words, this can affect the intention of starting a business by satisfying education and satisfy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cooking education for supporting start-ups. Therefore, the ability of the heads and instructo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the facility environment and equipment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also needed. Be f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Cooking Technology Guidance Program for Start-up Support of Gyeonggi-do, and was conducted within a limited scope. Therefore, it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Second, it can be considered a limited scope of research since it limited the factors to practical environment, instructor 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and lecture quality as factors in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supporting start-ups. This is a research project in this study.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urvey and the areas of the survey. Second, the post-hyang study will need to supplement not only the four factors, but also the various factors that may affect educational satisfaction, so that more systematic research on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supporting start-ups will be carried out.

      • 직업전문 교육기관의 조리교육 프로그램이 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안응자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람이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일을 해야 하며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은 교육과 직업교육을 통하여 개발 되어 진다. 그러나 우리 국민의 정서는 고학력과 학벌을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로 인하여 직업교육이 다른 학문보다 등한시 되어왔다.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정보화 시대의 도래, 규모의 팽창으로 인하여 인력이 부족해지면서 기능 인력을 중시하는 사회·경제적 욕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직업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재인식되어 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과정 개설 및 직업학교 육성 등이 연구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우리나라 경제는 IMF를 기점으로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실업률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많은 실업대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그 실효는 매우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정부의 다양한 실업대책 중 하나인, 재취업 교육에서도 다양한 조리 관련 직종이 생겨나 많은 직업전문학교에서 관련 학과를 개설하여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하지만 실제 업계에서 원하는 자질을 갖춘 인력을 배출하기는 앞으로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전문학교에서 조리교육과정을 이수한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조리교육프로그램의 유익성과 만족정도를 측정하고, 조리교육프로그램과 교육환경, 그리고 만족도와 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파악하고자 하기 위해 조리교육프로그램이 교사의 스킬, 교육시설, 성과 만족도, 성취도와 어떤 관련을 가지는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리교육과정을 이수한 교육생의 조리교육프로그램과 성과 만족도, 성취도 사이에 교사의 스킬과 교육시설의 만족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유익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교사의 스킬과 교육시설의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기프로그램에 대한 유익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스킬과 교육시설의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전문학교 교육프로그램은 교육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스킬이 높을수록 훈련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시설이 좋을수록 훈련생의 만족도와 성취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전문학교의 교육환경은 성과 즉, 훈련생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실기 프로그램에 대한 유익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훈련생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기 교육프로그램과 훈련생 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들을 비롯한 조리사 희망자들에게 조리 분야별 정확한 수행업무 및 필요한 요건 등을 정확히 인식하게 하여 조리 분야를 선택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더 나아가 분야를 선택한 사람들에게 분야별로 정규 과목 외에도 조리 분야별 직업에 맞는 교육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People have to work to live a happy life, and the ability to work is developed by the educations and vocational educations. But the vocational education has seriously neglected by our social sentiment that education background and being highly educated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As the industrial society has developed, and the Information Age has came over and it's scale has expanded, it was highl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skilled workers because of the shorted of skilled workers which is needed by the social and economic part. Additionally, as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vocational education has broken out, A new trend of research was started to cultivate skilled workers by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education course and by the flourish of vocational school. But the unemployment rate has increased because of economic adversity around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period of Korea. To breakthrough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conducted many unemployment policy. But it doesn't make good result as we expected. the re-employment education course, which is one of many measures of unemployment policy b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cooking-related occupations and many students has graduated from the vocational school. But the actual qualified staff which is needed by industrial field will not be easy to be seen in the short future. is required. 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 regular education course, the appropriate educational training that is suitable for their own occupations should be conducted to the one who have determined their cooking subject.

      •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물리적 교육환경을 조절효과로

        이동숙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는 산업구조가 고도화되고 산업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며 사회구성원의 욕구가 다양하게 표출되는 사회로,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직업훈련 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자아실현의 욕구충족은 물론 실무에 바로 적응할 수 있는 인재양성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정부에서도, "현장에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산업별, 수준별로 정리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바로 직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표준화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고용노동부, 2015)를 2015년도에 정식으로 도입하여 시행하게 하는 등 직접적이고도 실무적인 능력향상교육을 강화하는 국가적 정책을 추진 중이다. 그러므로 직업훈련을 실시하는 각 분야의 모든 교육기관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육프로그램과 그에 적합한 시설과 환경을 제공하여 직업교육을 실시해야 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이렇게 높아지고 다양해진 수준의 교육욕구를 달성하는데 다소 미흡한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조리교육기관 또한 취업, 창업, 자기개발 등 다양한 교육생의 요구와 “즉각적인 현장실무투입”이라는 국가정책을 반영할 수 있는 창의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쾌적한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교육함으로서 교육생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해당 조리교육기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케 해야 하겠지만, 높아진 수준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내실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나 교육생의 체계적인 관리, 시설투자 등의 면에서 다소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이 현실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리 관련 교육기관에서 교육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서비스품질의 운영방식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물리적 교육환경을 조절변수로 하여 교육서비스품질의 운영이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서 교육생들의 교육만족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논리적인 근거로 제시하고, 아울러 조리교육기관의 입장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수립의 논리적 준거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교육서비스품질에 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사의 자질, 교육내용, 교육 서비스 등의 각 요인간의 관계를 명확히 분석할 수 있었는데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하여 조리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운영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나아가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강사의 자질, 교육내용은 교육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교육 서비스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육생의 교육만족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이를 선순환(feed-back)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는데, 위의 결과는 결국 교육서비스품질의 요인 중에서는 강사의 자질적인 면과 교육내용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서비스품질과 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는 강사의 자질, 교육내용 및 교육서비스 등 모든 구성요소가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건강하고 긍정적인 교육서비스품질의 제공으로 교육기관운영의 지속성을 확보해야 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육만족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러한 결과의 의미는 교육생의 교육만족이 교육기관을 선택하고 추천하는 등의 행동의도에 반영됨을 인지하여, 교육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노력이 제고되어야함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만족은 물리적 교육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측해 분석한 결과 보았으나 교육서비스품질 중 교육 서비스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교육 서비스가 교육만족에 영향을 미칠 때 물리적 교육환경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사의 자질과 교육내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조절역할의 의미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기관의 하드웨어적인 환경 즉 장비 및 외형적 시설, 기자재나 실습재료와 이미지 등의 물리적 교육환경이 행정직원의 친절도나 편의제공 등의 교육서비스제공으로 학습자의 교육만족을 높이는 역할에 조절효과로써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이상의 연구 분석결과를 볼 때, 모든 조리교육기관에서는 국가정책을 올바르게 이해한 가운데, 조리 분야에 대한 기술과 전문지식을 두루 갖춘 강사를 확보하고, 창의적이고 충실한 교육내용과 현장 즉응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용하며, 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교육서비스와 교육만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물리적 교육환경 등을 제공하여줌으로써 조리교육기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조리전공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조리전공 학생들의 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민 지도교수 : 김희기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조리교육전공 본 연구에서 조리를 전공한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리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설정함에 따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설정된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진행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임의로 선정된 조리를 전공한 고등학생, 2·4년제 대학생(졸업생포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00부의 표본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성 및 타당성 검토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SPSS/WIN 통계프로그램 Ver.22.0으로 여러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현 연구에서 교육환경의 차별성이 각각의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교육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질 높은 교육환경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가 54.0%로 과반수 이상이었고 연령은 20대가 84.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대졸/재학중이 82.3%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이 87.0%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학년은 4학년이 54.0%로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출신 고등학교 유형은 일반계 고등학교가 71.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조리기능사 관련 자격증 취득 여부는 1개가 43.7%로 과반수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환경과 교육만족도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조리교육환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의 경우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재학생 유지충원의 어려운 상황에서 조리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 재학 및 졸업생을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둘째, 조리교육환경, 교육만족도와 진로진비행동의 변수를 가지고 동시에 영향관계를 파악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셋째, 조리를 전공하여 배우는 학생들의 학교에 대해 조리교육환경이 학생들에게 지각되는 교육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간의 영향관계에 기본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 교육에 있어 교수자 자질과 적절한 교육과정, 최신식 실습실로 인한 교육의 만족도를 확보하면 내가 관심을 가지는 적성 또는 직업에 대해 다양한 체험과 정보를 누적 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질 것이다. 둘째, 교육환경 요소를 개선하여 학생들이 좋은 환경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사료되며, 대대적인 개선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셋째, 각 학교들의 학생상담센터에서의 진로상담 또는 지도교수 관리 아래의 모의면접시스템을 도입하여 보다 질적인 진로준비행동의 대한 보완 또는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본 연구는 긍정적인 시사점들을 제시함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을 가진다. 첫 번째, 본 연구는 표본 추출에 있어 광주, 전남, 전북의 일부지역 학생들을 위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전국적인 학생들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일반화 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두 번째, 본 연구에 대상자들은 소속되어 있는 교육기관의 교육환경만을 접했을 뿐 타 교육기관의 교육환경에 대해 모른채로 진행되는 연구에서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전국의 조리교육환경이 갖추어진 대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본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학교들과 비교하여 차별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본 연구는 아직 현장에 진입하지 않은 조리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리교육환경(교수요인, 교육프로그램, 교육시설), 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함에 있어 측정 문항에 제한적으로 한계점이 있으며 대상자들의 특성에 맞는 측정도구에 대한 개발의 필요함이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oking Major Students Lee, Joung Min Advisor : Kim, Hee Kee Culina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Nambu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establish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re verified as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was hypothesiz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entering on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In order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randomly selected high school students and second- and fourth-year college students (including graduates) and verified the hypothesis based on a total of 300 sample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Ver.22.0. This researcher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into a systematic and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by analyzing whether the differenti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ach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general matters, men accounted for 54.0% of the gender, more than a majority, and those in their 20s were overwhelmingly high at 84.0%.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overwhelmingly high at 82.3 percent for college graduates/secondary students, and 87.0 percent for unmarried students. As for the grade, 4th graders accounted for 54.0% of the total, and general high schools accounted for 71.7% of the types of high schools they graduated from. As for whether to obtain a certificate related to cooking technicians, one was 43.7%, showing a majority.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Fourth,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and graduates in the current difficult situation of maintaining students. Second, it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conducted research at the same time with variables of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ogression flight. Third, it is considered valuable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ived by students for schools that learn by majoring in cook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results of the study secure the teacher's qualifications, appropriate curriculum, and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rough the latest laboratories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it will have a direction to accumulate various experiences and information about the aptitude or job I am interested in. Second, it is believed that the element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so that students can take classes in a good environment, suggesting that extensive improvement is an important task. Third,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or improve more qualita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introducing a mock interview system under the management of career counseling or guidance professors at each school's student counseling center. Despite presenting positiv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because i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nationwide as research is conducted mainly on students in some regions in Gwangju, Jeollanam-do, and Jeollabuk-do. Second, in order to draw a clear conclusion from a study conducted without know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randomly select universities with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s across the country and recognize the difference compared to the schools to which this study belongs. Third, this study has limited limitations in measuring the cooking education environment (teaching factors,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al facilitie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students majoring in cooking who have not yet entered the field.

      • 조리실기교육방법의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의 비교 연구

        강재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조리실기교육에 있어서 어떤 교육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 실험대상 집단에 따라 교육방법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 조리전공대학 2학년 학생과 조리실기교육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학습자요인과 실험대상자 선정, 실험메뉴 선정, 집단간 동질성 확인을 위한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설문조사를 통해 실험대상자를 선정한 다음 조리실기교육방법의 유형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조리실기수업을 실시하고 학습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학습자요인으로는 원격교육 의미에 대해 일반인과 학생 모두 80% 이상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원격수업 경험여부는 과반수 이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컴퓨터 활용 정도는 일반인과 학생 모두 보통 이상으로, 원격매체를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대상자 선정을 위한 사전 기초조리 관련 지식 정도를 검사한 결과 전체 평균 9.27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교육의 경험이 있으며, 컴퓨터 활용 정도와 기초조리 관련지식을 묻는 문항에서 평균 점수 이상인 일반인과 학생을 각각 60명씩 실험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메뉴는 ‘호박떡’과 ‘쇠갈비 구이’를 가장 배우고 싶다고 응답하여 2종을 선정하였으며, 조리지식의 사전동질성 검증에서는 일반인과 학생 집단간 동질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각 집단별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기대도와 실험진행과정 평가 점수는 일반인 집단이 학생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생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는 일반 집단과 학생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 차이로 비교하였으며, 두 집단모두 조리지식이 향상되었다. 넷째, 조리실기교육방법의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면대면 학습방법에서는 학생집단이 학습기대도, 조리진행과정평가 점수, 조리지식의 변화, 학습만족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혼합식 학습방법에서는 학습기대도, 조리진행과정평가 점수, 조리지식의 변화는 일반인 집단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학습만족도는 학생 집단이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원격 학습방법에서는 학습기대도와 조리진행과정평가 점수, 학습만족도는 일반인이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지식의 변화는 학생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실험대상 집단과 조리실기교육방법의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반인 집단과 학생 집단의 학습기대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반인 집단에 비해 학생 집단이 기대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그에 비해 조리실기교육방법의 유형에 따른 학습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면대면 학습방법과 혼합식 학습방법의 경우 일반인 집단과 학생 집단 모두 학습기대도에 비해 만족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격 학습방법의 경우는 일반인 집단은 학습기대도에 비해 만족도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집단의 경우는 학습기대도에 비해 만족도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조리실기교육에 있어서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보다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덜하고 수업에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혼합식 수업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면대면 수업방법의 보조적인 교육방법으로 원격 교육방법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전이 및 학습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가치의 조절 효과

        이송이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전이 및 학습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각된 가치의 조절변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학습전이가 학습자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 응답은 모바일 및 설문을 이용한 자기기입법으로 실시하여 조리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울·수도권 소재지 위주로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표본자료를 기초로 하였고, 타당성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BM SPSS Ver. 25.0의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표본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은 여성이 남성보다 3배 이상 많았으며, 거의 모든 연령대가 조사에 참여했으며 50대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교육의 목적으로는 취미가 가장 많았고, 취업, 창업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으며,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을 신뢰성, 유형성, 확신성, 공감성, 반응성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관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 중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반응성은 학습전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감성은 학습전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자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 결과 교육서비스품질 중 확신성, 유형성, 반응성이 학습자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자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표준화 계수를 바탕으로 크기를 독립변수인 교육서비스품질이 종속변수인 학습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품질 중 반응성 > 확신성 > 유형성의 순서로 학습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의 학습전이가 학습자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 결과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습전이가 높을수록 학습자만족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학습전이는 학습자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넷째, 가설 4의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전이 간의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확신성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조절변수의 값이 커질수록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약하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유형성의 경우 유의하였으며 지각된 가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단계에서 조절효과 상호작용 유의성 검증 결과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어 신뢰성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조절변수의 값이 커질수록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약하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감성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응성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단계에서 반응성과 지각된 가치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단계에서 조절효과 상호작용 유의성 검증 결과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실증 분석한 후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은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때문에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에 있어 학습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요소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되며, 학습전이는 학습자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변수로 확인 되었으며, 교육서비스품질 중 신뢰성과 확신성은 학습전이 사이에서 지각된 가치가 조절 효과가 없는 결과가 도출되었었는데 강사는 학습자에게 신뢰성과 확신성을 주지만 현장경험이 부족하여 학습전이 사이에서 지각된 가치는 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과 학습전이, 학습자만족이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조절효과의 검증결과는 조리교육기관 대상의 지각된 가치 연구에 기초적인 선행 자료를 제공하였다. 조리 교육기관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어야 하며, 학습전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높일 수있는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셋째, 조리교육기관의 트랜드한 조리교육 마케팅 방안 계획을 수립하는 것과 더불어 현장형교육 개발과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활용을 하는 데 있어 다양한 요인을 수용한다면 조리 교육기관은 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조리교육기관의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단순한 인과관계에 의한 영향요인을 도출하려 하기보다는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객관성을 확보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학습자 측면, 조리교육기관 측면 등 다양한 시점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및 웹 기반 조리실습 교육자료 개발 : 우리나라 전문계 고등학교 조리과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강경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k an activation method of culinary education by making culinary practic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Web that reflect the recognition survey about culinary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616 students and 44 teachers of the 9 culinary high schools of the 7 cities and provinces(Chungnam, Busan, Incheon, Daegu, Jeonbuk, Kyeongbuk and Gwangju). After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the recognition survey about culinary practice, the materials of teach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by using SPSS 14.0(SPSS Inc, Chicago, USA) a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aterials of students were found out and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the significance among groups classified by questions.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classified by related variables (gender, grade, type of establishment, location and record) of the students about all the question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by the Likert scale, and Scheff verification was conducted as a follow-up comparison verification. In addition, culinary practic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Web that reflected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survey about culinary practice were made, and these materials were made centering on basic contents and were managed as a demonstration and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materials was raised by constantl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the Web materials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stud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survey about culinary practice, the degree of interest in culinary practice and the degree of demand for learning were high, and they hoped that theory class, practice demonstration and video education were conducted in order to raise the effects of culinary practice education, and many answered that actual objects and textbooks (culinary books) were needed, and what they wanted to practice was craftsman cooking. Second, the ratio of who answered that culinary practice education was helpful for the enhancement of practice ability and by conducting culinary practice they became confident about culinary practice and received useful aid in choosing career and the interest in cooking increased and the dream of being employed in a field related to cooking became firm. Third, for an effective culinary practice a Web site related to cooking is needed, and they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diverse materials and detailed explanation and culinary videos in the Web site related to cooking and many answered that the most wanted contents were detailed explanations about various cuisines and the basic knowledge related to cooking. Fourth, the ratio of who wanted to enter a college related to cooking was the highest and the reason for entering the college was to become an expert in the field of cooking and one reason with the highest ratio among the reasons for wanting to be employed was because they were not interested in learning. Fifth, in order to develop culinary practice education materials based on the Web that reflected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survey about culinary practice, materials such as recipes related to craftsman cooking, cuisine photographs, terminology related to cooking in the original language, basic knowledge related to cooking, photographs related to cooking, pictures, animations, videos and so on were collected and in 2008 the domain name (yoribaksa.com) was obtained and the operation of the Web site started. The developed materials based on the Web are composed with the basic of cooking, the reality of cooking, knowledge related to cooking, performance evaluation, resource center and so on, and about 570 pieces of materials are loaded and are being constantly upgraded.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use of this Web site is so high that one or two people are joining the Web site every day and the average frequency of connections per day is over 100 times and these materials are being diversely utilized as teaching materials and thereby are playing a big role for the activation of culinary education.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or the culinary practice education diverse methods such as making the actual object (practice work) about technician cooking, utilizing it as teaching material before the culinary practice, reservation of a practice assistant teacher or a assistant professor to supplement difficulties about culinary practice, making a video or study materials that can replace the practice when it is hard to practice and so on need to be pursued. It was said that the culinary practice education helped the enhancement of practice ability and increase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ooking at home and enhanced self-confidence and increased the interest about cooking and therefore the opportunities to vitalize the school education and real lives of students through a more lively culinary practic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t any time. The Web-based culinary practice education materials(http://yoribaksa. com) developed by this research are made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perception survey of students and teachers of nationwide culinary high schools, and also reflecting most opinions about culinary practice such as the degree of interest and demand, the actual condition of culinary practice, the demands of Web sites related to cooking and utilization and dealt with not only the basic of cooking but also the reality of cooking, various theories related to cooking, knowledge materials, evaluation management and so on and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this Web-based education materials is very high (more than 100 accesses per day on average) and those are by no means inferior as the materials for the vitalization of culinary education. From now on the value as the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raised by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through a constant upgrade such as rais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actice materials and making and loading the curriculum materials that can conduct culinary practice after all of the theory education, video education and practice demonstration. 본 연구는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반영한 Web 기반 조리실습 교육자료를 제작함으로써 조리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충남, 부산, 인천, 대구, 전북, 경북, 광주의 7개 시도에 위치한 9개 전문계 고등학교 조리과 학생 616명과 조리교사 44명으로,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투입한 후, spss 14.0(SPSS INC, USA)을 이용하여 교사간의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비교․분석하였고, 학생간의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문항별 집단 간의 유의도 측정을 하기 위하여 -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조리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반영한 Web 기반 조리실습 교육자료를 제작하였으며, Web 기반 조리실습 교육자료는 기초적인 내용을 위주로 제작하여 시범 운영을 하였고,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의견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Web 자료를 수정․보완하면서 자료의 완성도를 높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조리실습에 흥미도와 학습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실습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론수업과 실습시연, 동영상교육이 실시되기를 희망하였고, 실물과 교과서(요리책)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희망하는 실습내용은 기능사요리라고 하였다. 둘째, 조리실습교육이 실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조리실습을 함으로써 조리실습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고 진로선택에도 많은 도움이 되며, 조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조리 관련 분야의 취업 꿈이 확고해졌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조리실습교육을 위해 조리 관련 웹 사이트가 필요하고, 조리 관련 웹사이트에서 다양한 자료와 자세한 설명, 요리 동영상 자료 등에 가장 만족하고 있었으며, 꼭 다루어지기를 원하는 내용으로 다양한 요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조리 관련 기초 지식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넷째, 조리 관련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 진학 이유는 조리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였고 취업하고자 하는 이유는 학업에 흥미가 없어서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조리실습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반영한 Web 기반 조리실습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기능사요리 관련 레시피와 요리사진, 원어로 된 조리 관련 용어, 조리와 관련된 기초지식, 요리 관련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2006년 요리박사(yoribaksa.com)라는 도메인명을 얻어 운영을 시작하였다. 개발된 Web 기반 자료는 ‘요리의 기초’. ‘요리의 실제’, ‘요리관련 지식’, ‘수행평가’, ‘자료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570여개의 자료가 탑재되었고,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또한 본 Web 자료는 일주일에 1~2명 정도 가입을 하고 있으며, 매일 평균 접속횟수가 100회를 넘고 있을 정도로 이용 빈도가 높아 교육 자료로 다양하게 활용됨으로써 조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조리실습교육에 있어서는 기능사요리에 대한 실물(실습작품)을 제작하여 조리실습에 들어가기 전 수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실습에 대한 애로사항을 보완하기 위한 실습보조교사나 실습조교의 상비, 실습에 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실습을 대체할 수 있는 동영상이나 학습자료의 제작 등 다양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조리실습교육은 실기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가정에서의 조리 참여도를 증가시키고, 자신감 향상과 조리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다고 하였으므로, 더욱 활성화된 조리실습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학교교육과 실생활에 있어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기회가 수시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Web 기반 조리실습 교육자료(http://yoribaksa.com)는 전국의 전문계 고등학교 조리과 학생과 조리교사의 조리실습관련 인식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제작된 것으로, 조리실습의 흥미도와 요구도, 조리실습 실태, 조리 관련 Web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점 및 활용성 등의 조리실습에 대한 거의 대부분의 의견들이 반영되어 제작되었고, 요리의 기초뿐만 아니라, 요리의 실제와 각종 요리 관련 이론 및 지식 자료, 평가 관리 등을 다루고 있어, 본 Web 기반 교육자료의 활용성은 매우 높은 편이며, 조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자료로서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실습 자료의 비중을 높이고, 이론교육과 동영상교육, 실습시연이 모두 이루어진 후 조리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과지도 자료를 제작하여 탑재하는 등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한 질 향상으로 교육자료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관계몰입의 매개효과

        안소윤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부환경과 소비 형태, 생활양식, 근로환경 등이 변화하고 있다. 비대면 수업이 흔하지 않게 진행되는 요즘 대면수업이 필요한 실습의 주가 되는 조리교육의 특성상 교육생들의 감소를 줄이기 위해 본 연구는,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서비스 관계몰입의 요인을 매개효과로 하여 요인간의 상호 영향 정도를 논리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조리교육기관의 경영(운영)자에게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서울·경기·인천 소재지 위주의 조리 교육기관에서 수강 경험이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404부를 배포하여 분석에 유효한 372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 IBM SPSS Ver.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을 교육프로그램, 교육환경, 교‧강사의 역량으로 한정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방법은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의 탐색적 요인분석과 변수를 구성하는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 계수를 확인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서비스 관계몰입의 매개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교육프로그램, 교육환경, 교·강사의 역량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논리적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인 교육프로그램, 교육환경, 교·강사의 역량이 서비스 관계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논리적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서비스 관계몰입은 교육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논리적으로 분석되었고 나아가 서비스 관계몰입도가 높을수록 교육성과가 높아지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리교육기관에서의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관계몰입의 매개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조리교육기관에서 교육 수강 경험이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의 객관성이 다소 미흡하다고 판단됨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조리교육기관을 유형별로 설정하여 표본 수를 충분히 확보 후 본 연구와 같은 방법과 절차대로 연구해봄으로써 본 연구 결과를 재확인해볼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둘째, 조리교육기관에서의 교육서비스품질과 서비스 관계몰입의 매개효과영향 관계의 선행연구는 다소 미비하다고 판단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조리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성과, 매개변수인 서비스 관계몰입의 영향 관계를 분석해 각 변수의 영향 관계가 결과적으로 유의한 관계에 있음을 논리적으로 입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관련 분야에 관한 긍정적인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를 한정하였는데, 좀 더 세부적으로 다수요인을 구성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으며, 매개변수인 서비스 관계몰입을 포함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한다면 객관적으로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유효한 자료의 제공으로 연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분석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조리교육기관이 현장에서도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개발과 이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법의 개발, 교육내용에 적합한 실습시설 등의 설비, 교육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는 방안 등 조리교육기관의 자생력 강화를 모색하는 방안에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