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와인박물관 관광객의 제약요인과 관광동기가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Liu, XinTong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는 ‘관광의 시대’라 할 정도로 전 세계의 지구촌 사람들은 현재 주거하고 있는 지역에서 더욱더 매력적인 여타 지역으로의 이동을 통해 휴식, 견문확대, 체험 등 다양한 목적의 관광활동을 추구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지역마다 경제발전을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의 핵심산업으로써 관광산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관광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 발전하면서 주요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건강과 행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대인들은 F&B 분야에 있어 와인이 건강과 행복을 선사하는 매우 효과적인 주류라는 인식을 갖게되었고, 와인에 대한 선호도가 급증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중국 와인박물관 방문경험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25일부터 2020년 10월 6일까지 조사하였고, 설문지 376부를 실증 분석에 활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SPSS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하는데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사전연구를 기반으로 설정된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와인박물관 관광객들의 관광동기에 영향을 주는 주된 변수는 내재적제약과 구조적제약이며, 대인적제약이 가장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관광동기가 강할수록 관광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의 도출로, 관광객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와인박물관만이 가진 차별화된 관광속성 개발이 요구된다. 관광객의 높은 만족도는 향후 재방문의도의 증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관광체험의 감정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모두 고려한 컨텐츠 및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심도 있게 개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와인박물관 방문한 관광객의 제약요인은 관광동기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와인박물관 방문한 관광객의 제약요인은 관광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와인박물관 방문한 관광객의 관광동기는 관광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와인박물과 방문한 관광객의 관광만족도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와인박물관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관광동기를 반영한 것은 주로 내재적 제약, 구조적 제약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와인 박물관의 제약요인은 관광객들의 관광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제약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셋째, 관광동기가 강할수록 관광만족도의 영향을 더 많이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방문한 관광객의 높은 만족도는 향후 재방문의도의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와인박물관을 방문한 관광객들의 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제약요인을 최소화함으로써 와인박물관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레저 활동 제약요인에 대한 연구 : 국제적인 정치·경제·문화 측면을 중심으로

        高俊燕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세계화, 지방화가 강조되고 지역주민들의 생활· 교육수준이 향상되어 여가시간의 가치가 커짐에 따라 레저 활동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레저 활동은 인간생활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레저 활동은 건강, 기분전환, 자아실현의 목적뿐만 아니라 인간접근성을 위한 수단으로까지 인식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여가활동으로 각광받고 있다. 레저 활동에서 참여자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요인은 많다. 선행연구에서 레저 활동 참여제약요인은 2가지 있다. 하나는 한국 국내 연구는 주로 나이, 성별, 소득, 직업, 지역별로 레저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유럽이나 미국과 같이 다민족 국가에서는 주로 인종에 따른 레저에 대한 연구를 진행되고 왔다. 그러나 2006년에 오 효위는 나라라는 개념을 초월하여 레저이벤트에서 영향을 미치는 제약요인에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 서로 다른 지역에 연구를 진행되고 왔다. 결론은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에 따라 레저참여 제약요인 중의 한·중 제약요인은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스포츠 강한 레저 활동은 경제수준, 사회체제, 그리고 문화특성도 서로 다른 나라이나 지역에서 참여제약요인도 차이성 있을까?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레저이활동의 제약요인을 다시 규명하며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에 따른 스포츠 성향 강한 레저 참여제약요인 차이성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성향 강한 레저참여 회수는 참여제약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제수준은 상, 중, 하로 나눌 수 있다. 사회체제는 성숙된 민주주의, 사회주의 .초기자본주의로 나눌 수 있고, 문화특성은 종교특성에 의한 단일종교국가, 종교자유국가, 종교2분 국가를 바탕으로 연구하겠다. 따라서 한국. 중국 그리고 몽골을 택했다. 선행연구에 따라서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연구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레저참여제약에 관한 문헌연구와 함께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 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성숙된 민주주의하고 단일종교 선진국가인 한국-춘천. 사회주의 종교자유의 중진국가인 중국-대련 그리고 초기자본주의 단일한 후진국가인 몽골-울라바토르를 선정하여 지역주민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에 따른 스포츠 성향 강한 레저 활동과정에 지각하는 제약요인 중의 내재적 제약요인이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종교에 따라 레저참여 제약요인 중의 인간상호간 제약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종교에 따라 레저참여 제약요인 중의 구조적 제약요인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increasing income while decreasing time, people start to pay more attention on casual life. Casual life will not only enhance the quality of living standards and improve health, but tighten the social relationshipas well. And because of its easy access for the old and young, male and female, it attracts more attention. However, there are some limits in terms of attending outdoor events. Normally, there are two kinds of surveys of the limit impact on outdoor events. In Korea, people will analyzethe limits based on differences of age, gender, income, vocation and region. On the other hand, Europe and USA will proceed the survey based on different races. There are few analysis executed multi-nationally on the limits of outdoor life. However, Mr. Wu Xiaowei launched the research on the limits affecting outdoor events by economy level, social systems and cultural features. He concluded that the limits will var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among economy levels, social system, cultural features. But, will it be that fact that those limits on sporty outdoor events will diversify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So the purposes of this thesis lies as follows: A. Find out the factors which limit the outdoor events B. Differences lie in the factors which limit the sporty outdoor events under the circumstances of different economy levels, social systems and cultural features. C. Survey of limiting factors ontimes of anticipation of outdoor events with strong sporty features. In order to reach the goal of the survey, we classify the economy levels into high, medium and low, and social systems to be democratism, socialism and early capitalism, and cultural features to be mono-religion, multi-religions. We research the articles from Korea, which embraces two types of religions, China and Mongoli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will be the research modes to support the probation. This survey adopts AMOS 4.1 and SPSS13.0 systems to probe the analysis, credit proving, One Way-ANOVA supposing proving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arget citizens for analysis are those in high-level economy power, democratism and two types of religion Korean city Chuncheon, medium economy level, socialism and multi-religion Chinese Dalian, low economy level, early capitalism Mongolian capital Ulan Bator. The survey is carried out by means of questionnaires. There are 522 questionnairesout of total 600, among which 200 for each country, counted to be effective and trustful. The conclusion is listed as follows: A. Initiatives and limiting factors differentiatewith the verified economy levels, social systems and cultural features among the three countries. B. There are more limits on outdoor events with strong sporty feature in the low economy level, early capitalism Mongolia rather than the medium economy level, socialism and multi-religion China. C. There are even more limits on outdoor events with strong sporty features in the high economy level, democractism, duel religion Korea than medium, economy level, socialism and multi-religion China.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Mongolia in this category. D. The interrelationshipamong people and external factors will have impact on times of participation of outdoor casual events among these three countires. There are some impact of external factors on the times of participation of outdoor events with strong sporty features in China. There are some impact of external factors on the times of participation of outdoor events with strong sporty features in Korea. We conclude several points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s above. A. There lies necessity for promoting systematiccasual sport education and training in Mongolia, which is restricted by internal limiting factors. B. There lies needs to enhance the access to casual sport and develop team work to proceed casual sport in Korea, which is restricted severely by interrelationship among people. Disadvantages of this survey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most of the post-graduate students and we simply picked up only one city in one coutry, Furthermore, we select the country at the early period of capitalism to represent a capitalism country. All the factors will have some influence on the result. Survey in the future A. We will make comparison on those countries having huge differences in economy, social systems and cultural features, like European and Asian countries. B. Comparison will be made on different groups of people and regions.

      • 레저스킬과 레저활동제약에 관한 연구 : Outdoor Competition 게임을 중심으로

        金起徹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레저활동의 동향은 과거의 단순한 독서나 TV시청, 또는 경승관람과 같은 靜的인 레저활동의 형태로부터 관광지에 체류하면서 그 곳 위락시설을 이용하거나 스포츠 성향이 강한 레저활동에 참여하는 등, 動的인 레저활동의 형태로 그 활동의 패턴이 변화되고 있다. 아웃도어 레저활동 중에서 스포츠피싱과 같은 스포츠 성향이 강한 動的레저활동은 장비나 기술등의 레저스킬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레저활동에 관한 선행연구에서의 레저스킬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희박한 실정이며, 관련연구에서는 레저제약요인과 레저활동 참여와의 확실한 관계규명을 위해서는 보다 세분화된 표본조사를 통한 구체적인 시장접근방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스포츠성향이 강한 레저활동중 스포츠피싱 레저활동 참여자들에게 레저제약요인이 레저스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레저제약요인과 레저활동 참여와의 관계규명을 밝힘으로써 레저활동 참여를 극대화하고 나아가 레저활동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연구를 실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와 선행연구 및 관련 분야연구를 바탕으로 문헌 조사와 현지 설문조사 및 자료의 통계적 처리를 통한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레저활동 제약요인이 레저스킬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독립변수별로 개인적 제약요인과 인간상호적 제약요인, 총제약요인이 레저참여자의 레저스킬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구조적 제약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는 레저스킬수준은 구조적 제약요인인 시설, 경제적 요인들보다 개인의 시간, 관심, 정보등 개인적인 요인과 레저활동을 함께하는 인간상호간 제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저활동 제약요인과 레저활동 참여횟수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독립변수별로 개인적 제약요인, 인간상호적 제약요인, 총제약요인이 레저활동의 참여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구조적 제약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는 레저스포츠 참여 제약조건으로 시설, 경제적 요인들보다 개인의 시간, 정보와 함께 신체 및 정신적요인이 레저활동 참여에 주된 걸림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스포츠피싱 레저참여자의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레저스킬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레저스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적 성향이 강한 레저활동을 할 때 기술, 테크닉, 운동신경 등으로 레저스킬에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일수록 레저스킬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이는 미혼의 경우 놀이문화, 데이트 코스 등 다양한 레저활동을 이용하는 반면, 기혼의 경우 다양한 레저활동보다는 본인이 선호하고 관심 있는 레저분야 위주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레저스킬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출, 연령, 학력, 소득, 거주지에 따라 레저스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오직 지출정도에 따라 레저스킬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레저관련 지출이 많을수록 정기간행물이나 장비구입, 레저활동 참여 횟수 등이 크기 때문에 레저스킬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동반유형에 따른 레저스킬수준의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 기타(동호회), 혼자, 친구/동료, 연인, 가족/친지 순으로 레저스킬 수준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호회원들과 함께 레저활동에 참여하게 되면 레저스킬과 관련한 정보나 기술 등을 쉽게 익힐 수 있으며, 적극적인 참여태도를 보이는 반면 가족/친지와 함께 레저활동 참여시에는 가족이나 친지와의 놀이문화의 일종으로 레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참여태도에 있어 적극성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레저제약의 세부적 요인중 개인적 제약요인과 인간상호적 제약요인이 레저스킬과 매우 유의한 상관성을 갖는 요인임을 밝혀 내었으며, 레저제약요인이 레저활동 참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결과는 관련 선행연구 Carroll & Alexandris(1997) 와 이승구(2002)의 연구와 매우 유사함을 보여 개인적 제약요인과 인간상호적 제약요인이 레저활동 참여에 매우 중시된 세부요인임을 입증시켜 주었다.

      • 다크투어리즘 목적지 방문객의 방문동기와 제약요인이 브랜드자산 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중 기념관의 비교

        왕길 강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2

        관광의 목적과 여행객의 욕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다크투어리즘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관광이 등장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다크투어리즘 행사가 열릴 만큼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인식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한국의 경우 일제의 식민 감정, 6.25전쟁과 같은 비극적인 역사를 지니고 있어 다크투어리즘의 높은 성장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확대와 다크투어리즘으로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컨텐츠와 공간은 다크투어리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미디어 또는 인터넷을 통한 각종 재난과 사고에 대한 빠른 정보전달은 재난지를 직접 방문하고자 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유발시켰으며, 특히 죽음, 전쟁, 그리고 파괴와 관련된 이야기가 기록되어있는 장소에 대한 방문을 증가시켰다(장혜원, 2012). 다크투어리즘은 감성적 유대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 감정이 죽음, 학살 등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표현의 집중이기 때문에 관람객들이 몰입하기에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이는 자연스레 재방문의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하며, 아픈 과거를 관광상품으로 만들어 관광객들에게 제공한다는 것이 지나친 상업주의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주기도 한다. 한국에는 임진왜란, 일제강점기, 6.24전쟁, 민주화 운동 등 다크투어리즘 자원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의 다크투어리즘이 활성화되었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특히 북한과 관련한 사건들은 과거 다크투어리즘의 형태로 활성화되었다 현재에는 낮아진 인지도와 이데올로기의 변화로 침체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승복 기념관도 그런 관광지 중 하나로 최근에는 다크투어리즘을 통해 침체된 이승복기념관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아직 이승복기념관은 인지도와 역사성이 낮고 초기 개발단계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다크투어리즘 성공사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승복기념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기념관을 방문한 방문객들을 중심으로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 기념관을 참관한 방문객들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통해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김하나, 2014). 다크투어리즘 목적지 방문객들의 방문동기 요인들이 브랜드자산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한 영향관계 검증, 방문객들의 방문동기 요인들이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영향관계 검증, 다크투어리즘 목적지 방문과 관련한 제약요인이 브랜드자산 가치와 관광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크투어리즘 목적지를 방문한 중국과 한국 관광객들의 방문동기, 브랜드 자산과 제약요인에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크투어리즘 목적지를 방문한 중국인과 한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13일부터 12월 30일까지 약 2개월 간 총 700부를 배포하여 이 중 609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과제 1의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크투어리즘 목적지 방문객들의 방문동기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교육, 역사인식, 장소매력, 친목도모 등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고 브랜드 자산가치의 요인분석 결과로는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등 4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제약요인의 요인분석 결과 내재적 제약, 인간상호적 제약, 구조적 제약 등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연구과제 1의 가설은 모두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설 1, 3, 4, 6은 채택되었고, 가설 2는 교육적 동기와 친목도모 요인이 기각되어 부분 채택되었다. 가설 5는 제약요인이 브랜드자산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연구과제 2의 다크투어리즘 목적지 방문객의 방문동기, 브랜드자산 가치와 제약요인의 차이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적에 따른 차이분석에 있어 방문동기의 구성요소는 교육성과 친목도모를 제외한 역사인식, 장소매력 요인들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중국관광객이 한국관광객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 ‘중국 남경 대학살기념관’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이 ‘이승복 기념관’을 방문한 한국관광객보다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가 높음을 보였다. 셋째, 국적에 따른 차이분석에 있어 제약요인의 구성요소는 인간상호적 제약을 제외한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중국관광객이 한국관광객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progress, tourism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people's life. With the time of travel experience, the requirements of tourists' personality and experience have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tourism types are also more diversified, a variety of special tourism welcome and sought after by tourists have grown. As the classic representative of the special tourism, dark tourism is different from many other forms of tourism which only pursue the travel experience. Dark tourism brings an alternative travel experience to tourists by showing death, disaster and tragedy. It can satisfy tourists' curiosity and let them better understand black events and educated the tourists. This new trend is drawing attention to the dark tourist attractions due to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transubstantiate the spaces worth grave consideration into a cheap group sight spot and that it could allow undistorted understanding of brutalities committed on the spot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dark tourism as a new source of tourism by conducting the following analysis on the worshipers in Memorial of Korea and China.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motivation and constraints of visitors to dark tourism on the brand equity, the study tested the causal relation of the three. In addition, it also conducted an other test to know the impact of the factors of constraints on their motivation. Furthermore, it studied the impact of the motivation, constraints and the brand equity of the visitors to visit a dark tourist sight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 Las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constraints, motivation and brand equ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s who visited the Memorial, which a Chinese and Korean dark tourism destin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2 months from November 13, 2015 to December 30, 2015. Among the 7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650 copies were collected and 609 copi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Analysis with SPSS 18.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0.0 were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e obtained 4 dimensions of motivation, which are education, historical recognition, deviation and areal attraction factor from factor analysis. Secondly, The hypotheses of Research Project 1 consist of six parts, Hypothesis 1, 3, 4, and 6 were all adopted. In Hypothesis 2, educational motivation and friendship factors were partially dismissed. Hypothesis 5 suggests that the constraint factors are not related to brand equity. Research project 2 has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brand equity and intrapersonal constraints of the tourists who has visited dark tourism destination, the result is shown as below. Firstly, variance analysis of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was conducted, w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onents of visit motivation(education, friendship, historic recognition and place attraction),and figure of Chinese tourists is higher than Koreans. Secondly, comparing with Korean tourists who has visited Leeseungbok Memorial,the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brand loyalty of Chinese tourists who has visited Nanjing massacre museum is higher. Thirdly, according to the variance analysis of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w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onents of constraint factors(interpersonal constraints, intrapersonal constraints and structural constraints), and figure of Chinese tourists is higher than Koreans.

      • 농촌관광자 관광동기와 관광만족 간의 관계 : 제약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Wang, Qiu-Wen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중국의 경제 성장에 따라 국민소득 수준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국민 소득 증가와 함께 현대인들은 바쁜 도시 속에서 비롯된 스트레스도 증가하였고 이는 도시민들에게 큰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도시민들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도시가 아닌 자연에서 체험할 수 있는 관광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관광 중에서 농촌관광은 자연 친화적이고 주말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과 적은 비용을 통해 편하게 여행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도시민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중국은 농촌관광을 단순한 관광산업이 아니라 농촌발전에 있어 중요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 관광자들은 지속적으로 도시민들의 관심을 유발하고 농촌관광을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세부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농촌관광자의 관광동기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관광동기와 관광만족의 관계에서 제약요인의 조절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20년 11월 11일부터 15일까지 진행하였고 표집대상은 중국 농촌관광을 참여했던 방문객 350명을 임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중에서 321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농촌관광자의 관광동기의 세부요인인 추진동기와 유인동기는 관광만족의 하위 요인인 내용만족도와 운영만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농촌관광자의 관광동기와 관광만족의 관계에서 제약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관광동기(추진동기)와 관광만족(내용만족도, 운영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제약요인(내재적 제약, 구조적 제약)은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관광동기(유인동기)와 관광만족(내용만족도, 운영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제약요인(대인적 제약)은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농촌관광의 운영 및 발전에 있어서 이론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농촌관광 방문객의 제약요인을 최소화하여 관광만족을 향상시키고 중국 농촌관광을 발전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apid growth of China's economy, the national income level ha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at the same time, the fast-paced urban life and the increasing pressure of work have made every urbanite exhausted, which has led to the fast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with purposes of leisure. Against this background, rural tourism is attracting large numbers of urbanites with its accessibility to nature, low consumption, short distance and d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using weekends for sightseeing. This paper therefore studies the influence of tourism motivation on tourism satisfaction of rural touris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traint factors on the influence of tourism motivation on tourism satisfaction. The research models and hypothesis are set and the questionnaire is mad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11 November 2020 to 15 November 2020.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350 tourists who participated in rural tourism in China. Of these, 321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26.0 statistical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fluence of tourism motivation on tourism satisfaction of Chinese rural tourists. The push factor and pull factor of the tourist motivation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content satisfaction and operational satisfaction of the tourist satisfaction.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s of constraint factors are: Constraint factors (intrapersonal constraint, structural constraint) play a negative (-)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motivation (push factors) and tourist satisfaction (content satisfaction, operational satisfaction). Constraint factors (interpersonal constraint) play a negative (-)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motivation (pull factors) and tourist satisfaction (content satisfaction, operati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theories and enlightenment can be provided for the futur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Besides, it can minimize constraint factors of rural tourists, improve tourism satisfaction and provid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China.

      • 웰니스관광의 제약요인이 웰니스관광 태도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희숙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Wellness tourism was recognized as an even more important trip as COVID-19 developed with the purpose that it is a trip to enhance health, such as rest, meditation, and exercise in a pleasant and tranquil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straint factors that cause avoidance of wellness tourism in order to revitalize wellness tourism, to understand what are the main elements in alleviating constraint factors to enhance wellness tourism attitude and intention to visi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omponents of constraint factors on wellness tourism consisted of intrinsic constraints, interpersonal constraints, and structural constrain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45 days from July 4 to August 19, 2022, targeting all age groups from 20s to 60s or older who are aware of wellness tourism or have experienced wellness tourism, and collected 400 copies but used 294 copies, the number of final valid copies for the analysis, excluding invalid 106 copie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value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tems. In addition, the causal relationship was verifi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shows followings. First, it was adopted as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constraint factor on wellness tourism in Hypothesis 1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ellness tourism attitud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traint factor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constraint factor on wellness tourism in Hypothesis 2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as intrinsic,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it was partially adopted as a positive (+) influence. It was adopted as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wellness tourism attitude in Hypothesis 3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The suggestion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mply are as follows. As the effects are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intrinsic constrain and interpersonal constrain of the wellness tourism constraint factors, the lower the tourism attitude and intention to visit, and the higher the tourism attitude even with the higher structural constraints, it is interpreted as a result that the specialty of wellness tourism is emphasized and it is judged the relevant results should not wind up with the conclusion that the structural constraint factor should be strengthened. The relevant result means that in designing wellness tourism products, product development need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the group that pursues specialty and super luxury and the needs of the group that considers popularity. Therefore, in the development of wellness tourism products, product development customized for a more detailed market, based on the motivation and expectation level of the demand group is required. The research analysis is hopefully to help revitalize and develop wellness tourism by allowing related organizations that promote wellness tourism to identify what the constraint factors are that cause avoidance of wellness tourism in order for wellness tourism to be established as a high value-added tourism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웰니스관광은 쾌적하고 조용한 장소에서의 휴식, 명상, 운동 등의 건강증진을 위한 여행이라는 취지가 COVID-19를 보내면서 더욱더 중요한 여행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웰니스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웰니스관광을 꺼리게 되는 제약요인을 확인하고, 웰니스관광 태도와 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한 제약요인을 완화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웰니스관광 제약요인의 구성요소를 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웰니스관광을 인지하고 있거나, 웰니스관광 경험이 있는 20대부터 60대 이상의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4일부터 8월 19일까지 45일간 조사를, 실시하여 400부를 회수하였으나 유효하지 않은 106부를 제외한 최종 유효본수 29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 및 Cronbach‘s alpha 값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가설1의 웰니스관광의 제약요인은 웰니스관광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 영향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2의 웰니스관광의 제약요인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영향관계에서 제약요인을 내재적, 대인적, 구조적 제약으로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으로 부분 채택되었다. 가설3의 웰니스관광 태도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 영향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가 의미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웰니스관광 제약요인의 내재적 제약과 대인적 제약이 높아질수록 관광태도와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효과와 구조적 제약이 높아짐에도 관광태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검증됨에 따라 웰니스관광의 특별함이 강조된 결과로 해석되며, 해당 결과가 구조적 제약요인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결론으로 귀결되어서는 안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결과는 웰니스관광 상품을 구성하는데 특별함, 초호화를 추구하는 집단의 요구와 대중성을 고려하는 집단의 요구가 동시에 고려된 상품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웰니스관광 상품개발에 있어 수요층을 동기와 기대 수준에 기반한 보다 더 세분화한 시장에 맞는 맞춤화된 상품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웰니스관광을 추진하는 관련 기관은 웰니스관광이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으로 정착하기 위하여 웰니스관광을 꺼리게 되는 제약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게 해줌으로써, 웰니스관광 활성화와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合理的 政策決定에 관한 硏究 : 制約要因을 中心으로

        박건남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8702

        本 硏究의 目的은 政府가 讀求하는 目標를 合理的 또는 效率的으로 達成하는데 制約이 되는 要因이 무엇인가를 살펴봄으로써 더 나아가 合理的 政策決定의 方向이 무엇인가를 究明하는데 一助가 되고자 함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行政學에 있어서 政策決定에 關한 理論的 硏究는 極히 初步的인 段階에 있기 때문에 合理的 政策決定을 爲한 理論의 展開에는 많은 制約이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지금까지 政策學의 觀點에서 提示된 政策의 定義와 合理的인 政策決定을 爲한 諸 理論模型에 있어서의 限界點을 살펴보고, 보다 바람직한 方向으로 政策이 形成되기 爲한 先決問題로서의 制約要因을 綜合的으로 살펴보았다. 政策決定過程에 制約要因으로 作用하는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는 政策決定權者에 內在하고 間의 合理性의 制約과 價値觀 및 달라질 수 있는 點 等이 다. 둘째는 政策決定構造에 있어서의 制約點이다. 여기에는 우선 公式化된 政策決定節次는 急激한 政策의 變化를 막게 되며, 先例가 行動代案을 制限하고, 權力의 集中이나 意思傳達體系의 不備 等을 들 수 있다. 세째는, 政治環境으로부터의 制約이다. 政策決定體制를 둘러싼 外部의 政治文化가 하나의 制約點으로 作用하게 되는 것이다. 네째는 政策決定過程上의 制約이다. 政策問題에 대한 認識이 올바르게 行해지지 않거나, 問題解決의 諸段階마다 行하여지는 政策分析이 非合理的 이라는 點이다. 다섯째로 物的 資源의 不足, 情報 및 知識의 不足, 社會的 規範이나 慣習의 影響을 들 수 있으며, 政策問題나 目標自體가 지나치게 複雜多樣하다는 것도 制約點으로 指摘될 수 있겠다. 그러나 政策決定에 있어서 疎策決定者, 過程, 行政構造 및 環境 等이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해도 가장 합리적인 政策決定이 이루어진다는 保障도 없는 것이다. 따라서 決定者에게 選擇·選好의 問題가 그대로 남게 되며, 決定의 基準으로서 公益의 問題가 重要한 變數로 取及되어야 할 것이다. 아무리 愼重한 考慮를 하여 最善을 다해도 人間의 未來를 내다본 決定의 合理性의 程度는 想像外로 큰 制約이 있는 것이 事實이며, 이 問題는 結局 더 많은 硏究와 努力을 通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課題인 것이다. 政策이 媒介的 價値를 志向하다는 點에서 앞으로의 政策科學은 手段的, 技術的 價値에 關한 知識과 關聯되는 技術科學의 性格에 限定될 수 만은 없고, 보다 積極的으로 目的價値의 選擇에 공헌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政策科學의 課題는 지금까지의 社會科學과는 本質을 달리하는, 훨씬 實踐的인 方向으로 展開되어야 하며, 政策問題에 接近하는 思考의 方式은 훨씬 科學的이며, 合理的이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serving as aid for finding a reasonable direction of policy-making by examing various factors restricting rationadl or efficient attainment of object of Government. However, it is current situation that, in public administration, theoretical study on decision of policy is still in its early stage, and so, such theoretical development for rational decision of policy is being much restrained. Accordingly,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definition of policy which has been presented at viewpoint of science of policy, and the uppermost limit of various theoretical model for reasonable policymaking, and also to generally examine various factors restricting which shall be preconsiderations to be settled for formation of policy toward much more desirable direction. Matters which are functioned as restricting factor in process of policymaking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restriction in policy-maker can be mentioned. In this case, the point of view to problems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restriction of man's rationality, view on value and attitude. Second, restriction on policy-making structure can be mentioned. In this case, first of all, formulated procedures for policy-making is functioned to prevent rapid changes of policy, precedents restrict alternative plan for action, and also, centralization of power or deficiency of communication system can by mentioned. Third, I would like to mention restriction by political environment. In this case, external political culture around policy-making system acts as a restricting factor. Fourth, restriction in process of policy-making can be mentioned. In this case, right recognition to problem of policy is not made, or analysis of policy to be made every stage for settlement of problem is found to be irrational. Fifth, lacks of material resources,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effect of social rule and custom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another restriction factor is that problem of policy or object itself is found to be so complicated and diversed. However, the most rational decision of policy is not assured to be made without fail, though matters on policy-maker,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surroundings, etc., are made desirably. Accordingly, matters on selection and preference remain to be solved by policy-maker, and also, problem on public interest as basic for policy-making shall be treated as a key variable. It is a matter of fact that, though man does its best with careful consideration, the rationality of man's decision of policy with its future vision has been restricted unimaginab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our valuable task to be solved by further study and efforts. Accordingly, policy sciency shall not be limitted only to characteristic of technical science related to knowledge on values of means and technique, on ground that policy is aimed at intermediary value. So, policy sciency in the future shall contribute much to selection of value of object more actively than ever before. Today, the essense of policy science shall be different from that of Social science, and also, various problems on policy science shall be developed more practically, and then, our way of thinking for approaching to matters on policy is requested to more scientific and rational than ever before.

      • 산악관광 방문객의 제약요인과 관광동기가 관광만족에 관한 연구 : 태백 매봉산을 대상으로

        쪼우타오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대인들은 건강한 삶을 위하여 도시를 떠나 대자연을 찾기 시작한다. 산악관광은 이러한 현대인들에게 최고의 자연장소를 제공하여 이미 사람들의 일상에 레크리에이션(Recreation)으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하여 지구환경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금, 산지는 산악관광자원의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현재 산악관광객들이 널리 이용하는 자원이기도 하다. 전국 산림면적의 21%를 차지하는 강원도의 산지는 관광객들에게 아주 좋은 산악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보전가치가 우수한 산악지역의 방문객이 매년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산악관광 관심의 증가로 산악관광 개발을 위해 여러 가지 환경보호 규제들이 완화되는 추세이기에 산지를 이용하는 관광객을 중심으로 산악 관광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제약요인)이나 관광동기부여 등의 영향요소를 파악하여 산악관광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제약요인(내재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 관광동기(화합동기, 탈출동기, 매력동기, 취미체험) 및 관광만족(정보접근, 편의시설, 콘텐츠)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이에 맞는 산악관광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태백 매봉산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회수된 설문지 356부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백 매봉산의 방문객 제약요인과 관광동기의 영향관계이다. 먼저 제약요인 중 내재적 제약은 관광동기의 하위요인별인 화합동기를 제외한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제약요인 중 대인적 제약은 관광동기의 하위요인별인 화합동기와 정(+)의 영향을 미치고 탈출동기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매력 동기와 취미체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제약요인 중 구조적 제약은 관광동기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백 매봉산의 방문객 제약요인과 관광만족의 영향관계이다. 제약요인 중의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은 관광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지만 제약요인 중의 대인적 제약은 관광동기의 하위요인별인 정보접근과 콘텐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태백 매봉산의 방문객 관광동기와 관광만족의 영향관계이다. 관광동기 중 화합 동기는 관광만족의 하위요인별인 정편의시설과 콘텐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그 외 나머지 관광동기 중 탈출동기, 매력동기, 취미체험은 모두 관광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산악관광 방문객의 관광동기 및 관광만족에 있어 제약요인을 최소화하여 산악관광의 활성화방안과 마케팅전략을 도입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 more and more people like to find a healthy life out of town for Mother Nature. Mountain tourism is considered as one of the best nature place for people, who already established it as an reaction in their daily life. In particular, due to the changing of climate, global environment issues are emerging currently. As mountainous area is a major component of the mountain tourism resource, mountain visitors plan to use the resources as widely as possible. It is stated that forest surface of Gangwon Province, which count for 21 percent of national forest surface is providing a nice mountain environment for tourists.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the visitors who prefer to visit nice mountain areas is increasing rapidly in every year. It seems to provide a conservation value for government to pay much attention in these areas. However, mountain areas will often be damaged, when they are developed as tourism attractions improperly. To increase mountain interest recently, various environmental protection regulations have been improved. This lead to a big influence on tourists who use the forest areas, such as constraint factors, motivation factors and the others. According to analyze those factors, we could conclude the mountain tourism activity measures. Therefore, to write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constraints (intrapersonal constraint, interpersonal constraint, structural constraint), tourism motivation ( harmony motivation, escape motivation, attraction motivation, interest experience) and tourism satisfaction (information access, convenient facilities, contents) which ar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what is more, according to grasp the relationship among them, mountain tourism activity measures can be shown clearly. Th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investigating some visitors who went to Taebaek Maebongsan Mountain in Gangwon Province, At last we made 365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m by actual proof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which I have talked about above. By the way of the project of statistic analysis SPSS 22.0, we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is study’s result come as follow.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aints and tourism motivation of tourists who visited to Taebaek Maebongsan Mountain showed that intrapersonal constraint and tourism motivation has a (–) effect except the harmony motivation which is contained in tourism motivation. And the interpersonal constraint has a (+) effect on harmony motivation and a (-) influence on escape motivation, but shows no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on motivation and interest experience. In the end it turned out that structural constraint and tourism motivation has a (-) relationship.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aints and tourism satisfaction of tourists who visited to Taebaek Maebongsan Mountain drawn that intrapersonal constraint and structural constraint have a (-)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However, interpersonal constraint has no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access and contents. Third, we conclud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motiva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of tourists who visited to Taebaek Maebongsan Mountain is (+), but harmony motivation and convenient facilities showed no relation. Finally, we discussed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views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ults we have obtained.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constraints we can improve the tourism satisfaction of mountain tourism tourists, it will be regarded as a basic and useful material while tourism mountain activity measures and marketing strategies are made.

      •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따른 레저이벤트 참여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 국제적인 관점에서

        吳曉煒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이미지 제고 및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역축제를 포함한 각종 레저이벤트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하지만 그 동안 지역에서 개최된 대다수의 레저이벤트는 공급자 중심의 주최측만의 이벤트 이거나 일회성의 전시용 행사이벤트로 실질적인 행사주최자인 지역주민의 호응을 얻지 못하는 이벤트로 점철되어 왔다. 지역주민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할 수 있는 수요자(방문자) 지향적인 접근방안 제시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지역레저이벤트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레저이벤트 참여제약요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에서 연령, 가정생활주기 등 인구학적 변인은 레저시간, 레저의 동기, 레저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대 사회의 경제적 풍요, 문화의 확산 등으로 거의 모든 사람이 다양한 형태의 여가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계층 요인이 레저 활동에 영향력이 감소되었다는 견해도 있으나 지금까지 사회계층, 직업, 소득, 교육수준 등의 사회경제적 변인을 레저 활동과 관련을 갖는 것으로 꾸준히 발견되어왔다. 한편, 유럽이나 미국과 같이 다민족 국가에서는 주로 인종에 따른 레저에 대한 연구를 진행되고 왔다. 나라라는 개념을 초월하여 경제수준 서로 다르며, 사회체제도 차이가 있으며 문화특성도 서로 다른 지역이나 나라에서 이러한 요인들이 레저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레저이벤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이 참여 제약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레저이벤트 참여 제약요인을 중심으로, 중국 항주와 한국 춘천 지역주민을 연구대상으로 레저이벤트 참여의 실제문제를 제출하며, 레저이벤트 참여제약요인 모델을 다시 검증하며, 또 나라라는 개념을 초월하여 경제수준 서로 다르며, 사회체제도 차이가 있으며 문화특성도 서로 다른 지역이나 나라에서 이러한 요인들이 레저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는 현실에서 레저이벤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이 참여 제약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레저참여제약에 관한 문헌연구와 함께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레저이벤트의 참여 제약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실증분석에서 검증해야 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정,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지역에서 개최된 지역축제를 포함한 각종 레저이벤트로 한정하였고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한국의 레저도시인 춘천시와 중국의 휴한도시인 항주시를 선정하여 지역주민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적용한 내재적 제약, 인간상호간 제약, 구조적 제약에 관한 변수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하였던 레저참여 제약요인들은 중국 표본으로 연구했을 때 요인분석을 통해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셋째,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에 따라 레저참여 제약요인 중의 내재적 제약요인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에 따라 레저참여 제약요인 중의 인간상호간 제약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수준, 사회체제, 문화특성에 따라 레저참여 제약요인 중의 구조적 제약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constraints of leisure events and social & economical factors in one model, as not only developing the relevant theory but also activating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s suggesting the ways to lead to the leisure even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Both an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 concerned about leisure constraints and social and economical factors and the empirical study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survey, a model of leisure event constraints was induced and according to this model, a hypothesis to be examined with empirical analysis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valuate the suggested hypothesis, this investigation uses SPSS 12.0 as a tool of analysis. These tools enable us to analyse and examine the credibility of exploratory factors, confirmatory factors, correlations and covariance structure. This study focused only on leisure events including local festivals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exclusively limited to the residents of ChunCheon City in KangWon-Do, Korea and HangZhou City in ZheJiang Province, China. A total 40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61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319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a 7-point Liket Scale, yielding 79.8%, a response rate. 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show that the theory of leisure constraints can be applied to not only in democratic state as Korea, but also in socialism state as China. With this study, except the intrapersonal constraints, both the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conomic standard level,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trait. On the basis of the result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this can be used as an available documents to lead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as reducing the constraints which they may go through with several leisure event. This not only can meet the residents' cultural needs but can improve their life quality and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can also accomplish the original purpose of opening the leisure events.

      • 학생골프선수들의 선수활동 제약요인 탐색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인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necessary information about making better education environment and exercise environment by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restricted factors of athlete 's activity of student golf player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thods for each restricted factors. To achieve this goal, we applied 'Qualitative Inquiry and Mix Methods Design' as a mixed methods research of Morse (2003) to this research, sub-categorized the details of contents to be searched by 250 athletes through the open questionnaire. And then we had interviewed with 13 research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to search restricted factors of athlete's activity of student golf players and present improved methods for the restricted factors.  First of all sub-categorized results of restricted factors of athletes' activities by student golf players through the open questionnaire of 250 subjects were found to be four factors: school-related restricted factor, family-related restricted factor, practice-related restricted factor, and administrative-related restricted facto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ha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3 research participants and presented sub-factors and improvement proposals for each sub-categorized factor. The final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chool-related restricted factor appeared to be 'problems related to training and participation in the tournaments due to attendance at school' and 'problems related to declining in the academic ability'. To improve this, internet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applied to the athlete's students.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students' entrance rate in the open high school is that they can use the internet education system to study at the desired time without attendance at the school. It is considered to be a more realistic alternative to compulsory attendance in school classes because it is possible to study subjec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level to student-athletes.  Second, the family-related restricted factor appeared to be 'economic problem' and 'family conflicts'. To improve 'economic problem', there is a suggestion for regular lectures for student golfers who are not affordable to take private lessons by inviting competent golf instructors by regional golf associations and Korea Golf Association(KGA). Considering that student golfers can't use in golf facilities and instructors in the school, so they need to rely on externally. It causes to take a lot of costs to the student golfers and their parents. That's why we suggest that Korea Golf Association(KGA) and regional golf associations invite competent golf instructors to provide good quality of golf lesson to students who are not affordable to take a private lesson by public budget.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helpful to improve. Most of the family conflicts should be solved within the family, but the problem of parental irritability and violence is a problem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Considering that student golfers usually stay outside of the school rather than school, student's golf federations or Korea Golf Association(KGA) need to educate not only a compulsory education of golf rules but also the education that helps parents and student golfers to harmonize together and to form a right personality of the students. It also needs to be made it mandatory.  Third, the practice-related restricted factor was 'golf skills related problem' and 'instructor selection and lessons related problem'. It is difficult to find an improvement plan for improving the golf skill because the individual talent differences are related to the golf performance and the results. However, we suggest opening after-school activities using screen golf for the enlargement the base to find a student who has an excellent talent for the golf. It provides the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talent before they start the athlete. It is also difficult to find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election of the instructors and lessons for student golfers. It is necessary to put a lot of effort into improving the competence of the golf instructors by adopting the education system in the Korea Golf Association(KGA) and holding the seminars of the continuous education and the interested instructors. It is essential to focus on enhancing the instructor's ability by adopting such educational programs and seminars as those for the instructors who are teaching general student-athletes, not only focusing the teaching on exceptional players, such as the members of Korea National Golf Team.  Fourth, the administrative-related restricted factor appeared to be ' the restrictions of the participating tournaments related problem' and 'unrealistic administrative policies related problem'. We suggest that internet education system which is mentioned as a way to improve the school-related restricted factor. If the student-athletes use the internet education system, they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learn at the time you want. If the student-athletes do not understand what they learn, they can repeat the lecture; It is a much more realistic alternative than enforcing class participation. This internet education system can be applied not only to student golfers but also to all athletes of other sports in Korea. The schools provide education supervision to ensure that the student-athletes study properly, the teacher can advise and teach the students at the off-line. It is the true guarantee of learning right. If the internet education system is adopted in this way, it doesn't need to be limited the number of the tournaments to participate, and we can expect student-athletes to devote themselves to practice and training as much as possible. 본 연구는 학생골프선수의 선수활동 제약요인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각각의 제약요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보다 나은 교육적 환경 및 운동 환경을 만드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Morse(2003)의 통합적 연구방법 중 ”질적연구 중심설계“를 본 연구에 적용하여 개방형 설문지를 통하여 선수 250명을 조사 대상자로 하여 탐색하고자 하는 내용의 세부적인 내용을 범주화 하고, 그 후 심층면담을 위한 연구 참여자 13명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학생골프선수들의 선수활동 제약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통합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250명 조사대상자의 개방형 설문지를 통한 학생골프선수의 선수활동 제약요인의 하위범주화 결과는 학교관련 제약요인, 가정관련 제약요인, 연습관련 제약요인, 행정관련 제약요인의 4가지로 탐색되었다. 그리고 위의 탐색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 13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각각의 하위범주별 관련요인들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최종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관련 제약요인은 ”학교출석에 따른 훈련수행 및 경기 참여에 관한 문제“와 ”학력저하에 관련된 문제“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운동부 학생들을 위한 인터넷 원격교육을 실시하는 부분이다. 학생들이 방송통신고등학교 진학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학교에 출석하지 않고도 인터넷 원격교육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에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알아듣지 못하는 내용은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수준에 맞는 과제물을 제출할 수 있고 수준에 맞는 시험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에 대놓고 학교수업참여를 강요하는 것보다 훨씬 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가정관련 제약요인은 ”경제적인 문제“와 ”가정에서의 갈등관련 문제“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각 시도골프협회 및 대한골프협회 차원에서 역량 있는 골프지도자를 초빙하여 레슨을 받지 못하거나 스윙관련 강의에 관심이 있는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정기적으로 강연을 하는 부분을 제안 할 수 있다. 학교에서 골프연습을 할 수 없고 시설과 지도자 모두 외부에 의존해야하기 때문에 훈련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을 감안한다면 책임 있는 관련기관의 공적자금을 이용하여 수준 높은 골프지도자들을 초빙하여 학생들이 필요한 양질의 교육을 시키는 부분은 국내골프 수준을 향상 시키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가족 간의 갈등부분은 대부분 가족 내부적으로 해결되어야 하지만, 특히 부모의 짜증과 폭력성으로 인한 문제는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이다. 학생골프선수들이 학교가 아닌 외부에서 많이 생활하는 부분을 생각하면, 이것도 협회 및 연맹 차원에서 골프규칙만 의무 교육을 시킬 것이 아니라 부모와 자녀가 함께 화합하는데 도움이 되고 바른 인성형성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의무적으로 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연습관련 제약요인은 ”골프실력에 관련된 문제“와 ”지도자선정 및 레슨관련문제“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골프실력과 성적에 관련된 부분은 개인차가 뚜렷이 있기 때문에 실력증진을 위한개선방안을 찾기는 힘들지만 골프에 대한 소질이 있는 학생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저변을 확대하는 부분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스크린 골프를 활용한 방과 후 특별활동 등을 확대하여 골프를 쉽게 접하고 이를 통하여 골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본인의 소질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지도자 선정 및 레슨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대한골프협회에서 지도자에 대한 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지속적인 교육과 관심 있는 지도자들의 세미나를 개최하여 지도자들의 역량을 높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대한골프협회와 같은 기관에서 국가대표나 상비군 등 초 엘리트 선수 훈련과 더불어 일반적인 학생골프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과 세미나와 같은 시스템을 도입하여 일반학생선수들을 지도하는 지도자의 역량을 높이는데도 힘써야 할 것이다. 넷째, 행정관련 제약요인은 ”참여할 수 있는 경기의 제한과 관련된 문제“와 ”현실성 없는 행정정책“에 대한 문제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학교관련 제약요인에서 개선방안으로 언급된 인터넷 원격교육을 실시하는 부분이다. 인터넷 원격교육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학생선수들이 원하는 시간에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알아듣지 못하는 내용은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수준에 맞는 과제물을 제출할 수 있고 수준에 맞는 시험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에 무턱대고 학교수업참여를 강요하는 것보다 훨씬 더 현실적인 대안이다. 이러한 인터넷 원격교육 시스템은 골프선수 뿐만 아니라 국내의 모든 운동선수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학교에 출석해서는 제대로 교육이 진행되는 지 교육 감독을 하고 오프라인에서 모르는 부분을 담당 교사와 학습할 수 있는 형태의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학습권보장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출전경기수를 제한하지 않아도 되며 학생운동선수는 마음껏 연습 및 훈련에 정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