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참여자 중심 평가의 적용

        신혜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기업가정신교육은 경제 성장의 둔화, 실업 문제 등 현실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경제교육의 일환으로 강조되고 있다. 기업가정신교육은 학교 경제교육에서 생산 요소의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 기관 중심으로 프로그램 형태로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기업가정신교육에 대한 관심과 프로그램 시행이 많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프로그램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프로그램이 어떠한지에 대한 평가적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더라도 참여자 만족도 조사나 효과성 측정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프로그램의 총체적인 이해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정보를 얻는 데 한계가 있다. 교육 프로그램은 개별 학교가 처한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평가는 프로그램 환경의 가치복합적인 실체를 반영할 뿐 아니라 프로그램에 관여하는 이해당사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다. 이러한 점은 프로그램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프로그램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프로그램의 실체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평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이해당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학교에 도입되고 운영되는가, 둘째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경험(이슈와 반응)은 어떠한가, 셋째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경험(이슈와 반응)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Y중학교에서 시행된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을 사례로 하였으며 학교관리자, 담당 교사, 학부모 강사, 학생 등 30명의 이해당사자 인터뷰 및 수업 참여 관찰을 토대로 프로그램 도입과 운영 과정에서의 이슈와 반응을 기술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이해당사자들은 기업가정신교육을 통해 기업가정신이 무엇인가를 깨닫게 되었다. 학생들은 ‘기회 포착’, ‘도전을 위한 준비’, ‘목표 달성 의지’를 깨달았다. 학생들이 경험한 기업가정신은 직업 세계의 이해와 더불어 자신의 진로에 대한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을 키워주었고, 도전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점을 준비하고,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고 뜻하는 바를 이루어내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해 주는 것이었다. 둘째, J교사는 기업가정신교육으로 인해 ‘세상 알기’, ‘교과 전문성 신장’, ‘내 삶의 자세 확립’을 깨달았다. J교사는 기업가정신교육을 통해 학교 밖 세상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기업가정신교육의 사례를 자신의 교과와 접목시키기도 하였다. J교사는 기업가정신교육이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해 주는 교육이라고 밝혔다. 강사들에게 기업가정신교육은 ‘문제 해결 의지’, ‘다음 세대를 위한 나눔’의 의미였다. 강사들은 기업가정신교육을 접하고 나서 자신의 삶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게 되었으며, 나눔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도입 운영 과정에서 이해당사자들의 경험은 ‘프로그램 운영의 일상적 최적화’로 개념화 할 수 있다. K교감은 인적, 물적 자원을 조정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K교감은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학교 수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고, 이를 학교의 인적, 물적 자원과 결합하였다. K교감은 자원 재조정을 통해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을 1학기 방과 후 프로그램, 학부모 진로지도단 교육 그리고 2학기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였다. 프로그램 강사는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강사의 기회를 자기의 역할과 결합시켰다. 강사는 자기 자신에 대한 정체성 갈등, 학교와의 관계에서의 정체성 갈등, B교육기업과의 관계에서 나타난 정체성 갈등을 통해 자신이 프로그램 강사로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를 고민하였고, 전문 강사로서의 역할을 정립하였다. J교사는 프로그램 관련 실무를 담당하게 되면서 새로이 발생하는 업무를 기존 업무처리 시스템과 결합시켜 운영하였다. J교사는 1인 교사가 다양한 업무를 담당해야 하는 학교 환경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운영 전략을 선택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청소년 기업가정신교육을 ‘기업가정신을 깨닫는 것’과 ‘스타트업(Start-up)의 시작과 확대’로 구분 지었다. 기업가정신을 깨닫는 교육으로서의 기업가정신교육은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직업인으로서 생활을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에 초점이 맞춘다는 점에서 스타트업(Start-up)에 필요한 지식을 배우는 스타트업(Start-up)을 위한 교육과 구분될 필요가 있다.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업가정신교육은 기업가정신이 무엇인가를 알릴 수 있는 홍보, 경제교육 차원에서의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은 대상별, 목표별로 구분되어 다루어져야 하며, 경제교육에서 다루는 개념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의 일상적 최적화는 이해당사자가 프로그램에 ‘능동적 관여’를 하는 존재임을 밝혔다는 점, 묵시적 지식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 프로그램을 ‘상호의존적 개체’로 인식 했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존의 참여자 중심 평가에서는 이해당사자가 프로그램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설명이 드러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당사자가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능동적 관여를 하는 존재임을 밝혀 이해당사자에 대한 설명을 보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묵시적 지식은 기존 참여자 중심 평가에서 이해당사자의 자기 결정성에 대한 설명을 보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이 독립된 개체가 아니라 이해당사자들과 상호작용하여 변화하는 상호의존적 개체로의 측면을 드러내어 주었다. 프로그램은 이해당사자들의 일상적 최적화 과정에서 상호의존적으로 개선되고 있었다.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교관리자가 능동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학교 관리자를 위한 연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사례 공유, 학교 컨설팅 등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 수업의 질은 강사에게 달려있는 만큼 전문 강사를 안정적으로 확보, 운영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精神分裂症 患者 再活을 위한 精神敎育的 家族治療 模型 開發에 관한 硏究

        이영호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examined to develop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which comprehensive skills that include family individual counseling, psycoeducaion, group therapy and self-help group, case management are applied systematically to overcome limitation of brief family education which provide simple imformation and in rehabilitation course of patient to therapeutic function of famili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sed family educations based on actual experiences. And applied in clinical setting up to now and review about. And family members enforce two functions to change in coping style of families and emotional support level that control their emotional expresses and overcome patients' stress-vulnerability based on representative four kinds of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which have been used in Western countries, and make a model for help of patients' rehabilitation. And this study model is applied to 11 schizophrenics' families for 9 month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to contribute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to changes in coping style of families, depressive tendency, emotional support level and to changes in patients's depressive tendency by changes of famil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is model which applied on this study was proved that have effects on schizophrenics' families used much more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and coping style that persue social support belongs to active coping style than they used before. Second, this model on this study was distributed not only reducation of chronic depressive tendency through change of coping style of schizophrenics' families their own selves but conversion to postive attitude for patients' rehabilitation Third, this model have effects on coping style and chronic depressive tendency of schizophrenics' families, through this changes, patients perceived much better emotional support than before, at same time their chronic depressive tendency was reduced. Thus, the effect on this study was proved that was affected through a chain path within families system. This result suggest that if had change a coping style of families through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it would be help continuous rehabilitation of patients to perceive stable at home environment and reduce chronic depressive tendency. From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has a conclusion that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which which applied five skills that family individual counseling, psychoeducation, group therapy, self-help group, case management based on stress-vulnerability theory, expressed emotion theory and social learning theory, family system theory, expressed emotion theory and social learning theory, family system theory would be effect on change of families' coping style, reduce chronic depressive tendency, provide stabled emotional support and therefore reduce chronic depressive tendency of patients. So the author suggests as following that applied plan of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as intervention method for families of schizophrenia on actual clinical setting. First of all,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would applied any mental health setting as a unit family which unwilling to participation at group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after intensive evaluation about family function. Especially, the author believe firmly that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would have very applicable, because this model fully considered the whole include patient and family, as stage of recovery of patients' function, family intervention will be controlled. This study is an effective therapeutic model that it contribute to stability of family environment which is essential for rehabilitation by empowerment of families' function for patients' rehabilitation. Therefore, in the near future, if multidisciplinary professional empower families' function by fully perceiveing importance of families, this model will have practicality. And also if mental health professional with psychiatric hospital,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y used this model through mutual cooperative team-work, it will have good results.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necessary that social worker should be necessary that social worker should participate and carry out his role throughly with team work. But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is not easy to practice in fact. Thus as it demand professional quality based practical experience through intensive clinical knowledge and training, we should considered a training plan for professional. Also, as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edel have effective to families who have high expressed emotion especially, we should be studied systematically about development of scale for families' expressed emotion in our culture. At the same time, this psychoeducational family therapy model will be fully applied to many families in mental health setting and the defects are supplemented. And it should be studied for developing as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in our families and culture. Finally,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to extend families who have participant both patient and relative and families who have other disease, con be solved in the future study.

      • 人性敎育으로서의 선비精神 敎育의 效果的 實踐 方案 : 榮州地域을 中心으로(Focusing on Yeongju Area)

        權宅鎭 동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주지역을 중심으로 선비교육의 실례와 이에 대한 교육내용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선비정신의 올바른 의의를 규명하고 선비정신교육의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특히 인성교육차원에서 선비정신 교육의 효과적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선비정신의 교육적 의미를 기존의 문헌과 선행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선비정신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영주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설정하고 사례지역의 초등, 중등, 대학교와 자치단체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선비정신의 교육적 의미의 고찰은 선비정신의 의의, 사회적 역할, 전통적인 교육과 현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여 영주지역의 특성과 선비정신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선비정신교육의 효과적인 실천 방안으로 학교와 지역을 연계한 선비정신 교육과 초등, 중등, 대학교를 연계한 선비정신 교육이 중요한 방안으로 제시되었고 선비정신교육의 효과적인 확대방안으로는 첫째, 전국의 선비정신 교육자료를 분석하여 선비정신 교육지역을 지정하고 둘째, 그 지역에서는 자치단체와 학교가 공동으로 교육자료와 체험학습장을 개발하며 셋째, 지역 내 각급 학교나 교육청이 밀접히 연계된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 이러한 과정에서 선비정신 교육자료와 관련시설이 체계화되어야 하고 다섯째, 이러한 지역을 수학여행 및 수련활동의 장으로서 선비정신체험 탐방코스로 개발하고 지정하는 것 등이 제시되었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 of seonbi spirit, and to establish a plan of activating seonbi spirit training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ases of seonbi training around the Yeongju Area, and their contents.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eonbi spirit was consider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research, to find a plan of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eonbi spirit training as a character education. A case study was performed on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schools, and self-governing communities around Yeongju Area, which was selected as a subject area because it had emphasized seonbi training.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seonbi spirit, the implication and the social role of seonbi spirit, traditional education and its contemporary necessity were expla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Yeongju Area and cases of seonbi spirit train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eonbi spirit training would be effectively implemented when schools are linked to local communities and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schools are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o expand seonbi spirit training effectively, first, it is necessary to analyze materials on seonbi spirit education throughout the country, and to designate seonbi spirit education areas. Second, it i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to develop, jointly, educational materials and field training plac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integrates closely schools and the educational office in a given area. Fourth, materials and facilities related to seonbi spirit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zed. Finally, these areas may be developed as places for school trips, training activities, and seonbi spirit experiences.

      • 영상물을 이용한 정신교육과 강의방식의 정신교육이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효과 비교

        김동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물을 이용한 정신교육과 전통적 강의 방식의 정신교육이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효과 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 그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57명에게는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 해소 목적으로 제작된 영화를 보여주고 다른 50명에게는 그 영화의 내용을 강의 방식으로 교육 한 후 교육전, 교육 직후, 6개월 후에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1) 교육전, 교육 직후, 교육 6개월 후에 각각 측정한 편견 척도에서 영화 상영군과 강의 교육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영화 상영군과 강의 교육군 양군에서 교육 직후에는 교육 전에 비하여 편견 척도의 모든 문항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지만 교육 6개월 후에는 교육전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영상물 방영 방식의 정신교육이 전통적 강의 방식에 비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 해소 면에서 차이가 없다는 본 연구 결과는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 해소에 필요한 자원이 부족한 국내 현실에서 그것을 극복 할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정신장애인 가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안금숙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가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가족교육의 어떠한 면에서 어떤 효과가 있어 태도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해결하고자 순수 실험설계 연구방법을, 정신장애인가족의 태도 변화에 미친 구체적인 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심층면접 연구방법을 결합하여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을 시도하였다. 먼저 순수 실험설계 연구를 위해 충북 소재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장애인 가족교육 참여자 10명과 가족교육 비참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가족교육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동질적 경향은 가족교육에 대한 이해, 태도, 임파워먼트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가족교육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이질성 경향은 가족교육에 대한 이해, 태도, 임파워먼트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실험집단의 사후평균이 통계적으로 높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가족교육 프로그램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전·사후 차이는 가족교육에 대한 이해, 태도, 임파워먼트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사전보다 사후평균이 통계적으로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가족교육 자체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가족교육에 대한 이해, 태도, 임파워먼트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보다 사후평균이 통계적으로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심층면접 연구를 위해 충북 소재 사회복귀시설에서 가족교육을 받은 정신장애인 주보호자 7명을 심층면접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인 가족교육 전·후에 그들의 부양부담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보호부담변화를 가져온 구체적인 요인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종적으로 72개의 하위개념, 12개의 하위범주와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5개 범주의 구체적 내용은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 ‘효과적인 약물관리를 위한 가족역할’, ‘남아있는 증상관리를 위한 가족역할’, ‘사회적 지지의 원천’, ‘심리정서 상태’,이다. 주보호자들은 가족교육 후, 지역사회 중심치료를 받으면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올바른 방법으로 대처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특히 이러한 긍정적 변화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한 것은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설에서 제공되는 가족교육과 같은 가족외적인 공적자원의 활용이다. 이러한 가족교육이 주보호자들에게 과중한 보호부담을 덜어 주었으며, 정신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게 해주었고, 정신질환을 둘러싼 가족갈등의 완충 역할을 해 주었다. 또한 가족외부의 지지자원으로부터 부족한 사회적 지지를 보충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지역사회 정신보건시설과 같은 자원 활용을 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 주었다. 보다 구체적인 요인을 살펴보면, 정신질환에 대한 전문적 지식,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커피·담배·술·한약 등 기타불법약물의 영향, 남아 있는 증상관리, 보호자의 상담, 정신보건시설의 전문 인력인 사회복지사의 도움과 지지 등의 다양한 서비스(인적·물적 지원)제공이 중재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와 같은 긍정적인 보호부담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교육과 관련한 부정적 경험도 나타났다.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동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진행 시간을 주말에 실행하지 않았던 점과 주보호자의 우울은 가족교육 이후에도 크게 감소되지 않은 점, 체계적인 가족교육의 지속적인 제공 부족 등이 나타났다. 이상의 순수 실험설계 연구와 심층면접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 가족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정신장애인 가족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뒷받침할 만한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ositively analyze the effect of mentally disabled people's family education program.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study, true experimental design methodology was attempted to establish and solve four study problems about in what aspect of family education were there effects to the attitude change, and mixed methodology that combined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was attempted to deeply grasp specific factors that affected the attitude change of mentally disabled people's family. To begin with, for true experimental design study, 10 participants of mentally disabled people's family education of rehabilitation centers located in Chungbuk and 10 non participants of family education were set as subjects. First, the homogeneous tendency of family education program'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comprehension, attitude, and empowerment of family education, which proved homogeneity. Second, heterogeneous tendency of family education program'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ad the control group's after mean statistically higher in all of comprehension, attitude, and empowerment of family education,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in before and after difference of family education program'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ad statistically higher after mean than before mean of experimental group in all of comprehension, attitude, and empowerment of family education,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comprehension, attitude, and empowerment of family education, family education's own program effect had statistically higher after mean than before mean of experimental group,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and proving that there is effect. Next, 7 main guardian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family education in rehabilitation centers located in Chungbuk had in-depth interview for study. I deeply analyzed what change took place in their burden of supporting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nd what were the specific factors that brought the change. As a result, finally 72 subordinate concepts, 12 subordinate categories and 5 categories were deducted. Specific contents of the 5 categories were 'comprehension about mental disease', 'family role in effective drug management', 'family role in managing remaining symptoms', 'source of social support', and 'state of psychological emotion'. As a result of analysis, main guardians mostly showed change in positive experience that can take measures with proper method when problem that can appear in central treatment in local community occurs in members of mentally disabled people's family after family education. What especially ac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is positive change was the use of public resources outside family such as family education provided in community's mental health centers. Such family education lessened heavy protection burden of main guardian, gave them mental composure, and played the role of buffing family conflict around mental disease. Also, it replenished the lacking social support from support resources outside family, and raised awareness that using resources such a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can be an alternative and a good method. To look into more specific factors, it appeared that providing various services (manpower and material resources) such as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mental disease, knowledge about antipsychotic drugs along with effects of coffee, cigarettes, alcohol and herbal medicine and other illegal drugs, management of remaining symptoms, counseling of guardian, and help and support of social welfare workers that are professional manpower of mental health centers acted as arbitration factors. However, despite the positive change in protection burden, negative experiences related to family education also appeared: the fact that education time was not set on weekends to provide equal opportunity of education to working people, the fact that depression of main guardians did not decrease greatly even after family education, and the lack of continuous provision of systematic family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above experimental design study and in-depth interview study, specific practical implication was presented that can support in seeking the program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mentally disabled people's family education.

      • 國民精神敎育의 敎育哲學的 考察

        하연구 慶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e national mentality education is to make the individual participate in and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his nation. That is likely to be what interferes with the original thinking-mechanism of the individual's, which may be an obstacle. And, therefore, it disagrees with essential purpose of education, through which we want to tap the individual to strengthen his personality and to enlighten his potentials. Something.special and significant lies in it. Tracing the history, we can find the spring of the national mentality education from the civism education in Athens and the soldier education in Sparta, in Korea, from K~narangdo in the Silla kingdom, Buddism as the idea of defence of the fatherland in Koryo Dynasty and patriotism, filial piety and ardor for husband, which are transformed in Sungkyunkwan as national university in Chosun dynasty. In the modern times, An-Changho ~aho had established an idea of education for the national mentality education, demonstrated that the national mentality education should be an impetus on mo rals and autonomous behaviors of human beings obeying his belief. Fichete, a German philosopher of education advocated that it should point mainly at patriotism. The educational composition of the national mentality education bases its principle on the nationalism, which is to instruct the individual to be required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through the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control. In the West, education for nationalism has been mainly subjected to enlargement of public education, unification of view to word nation and enlightenment of tradition. In Korea, however, the governers have controlled and taken advantage of education to the attainment of her aim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has set Doduk in the primary school and Kukminyunli - nation ethnics -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o establish view of nation. The principal goals of the national mentality education are spirit of host, spirit of glory, spirit of morals as a personal code of conducts : and spirit of cooperation, spirit of callings, spirit of obeying laws as a social code of conducts. In addition, as a national code of conducts patriotism, anticommunism, will of unification. These goals are based on idea of education of nationalism, which are subjected to be an obstacle in the growth of mentality and in the freedom of behaviour. These goals must keep paces with the periodic and environmental changes, which is referenced by the openness, the flexiblity, the relativeness and the timing. Education in democratic society, first of all, must guarantee the esteem for personality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behaviour. For these reason, the goal of the national mentality education need have a good amendment kept with the periodic demand. Although the national mentality education must be required as one of education subsystems, it has no reason to bound the growth of mentality of the individual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behaviour. We, therefore, have to set up an universal goal accordant with essential purpose of education. What we call education, at any times and anywhere at all, must be what enables the individual to carry on humane life of his own. No one should take advantage of, for any reason other than itself's, educaticn that is a gifted right of human beings.

      • 感覺敎育을 통한 重度 精神遲滯 學生의 音樂 基礎槪念 形性에 관한 연구

        김찬수 단국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감각교육을 통하여 중도 정신지체 학생에게 음악 기초개념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시각, 청각, 촉각, 운동감각을 활용한 감각교육을 통하여 중도 정신지체 학생에게 음악 기초개념인 셈여림, 가락, 음색에 대한 개념을 형성시키고 중재 후 유지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학부에 재학 중인 중도 정신지체 학생 4명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교육부(1998)의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MMCP 음악교육 모형을 참고하여 개발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음악활동은 시각, 청각, 촉각, 운동감각을 활용하는 감각교육을 통하여 중도 정신지체 학생에게 음악 기초개념인 셈여림, 가락, 음색에 대한 개념을 형성시키고자 강약활동, 고저활동, 음색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의 반전 설계 중 ABAB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단계(A), 중재 단계(B), 기초선 단계(A'), 중재 단계(B'), 유지 단계의 수준을 알아보았다. 측정은 매 회기마다 학생이 수행한 결과를 점수화 하여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으며, 활동과정을 기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중재의 효과인 음악 기초개념의 형성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시각적 분석법을 통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화 기록법을 통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교육은 음악 기초개념 형성 과정에서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자극하였다. 학생들은 시각, 청각, 촉각, 운동감각 등을 활용할 수 있었지만, 음을 성질에 따라 변별하고 분류하는 과정에서 두 음의 차이를 정확하게 변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반복되는 감각적 자극과 활동을 통하여 점차 변별능력과 분류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음악 기초개념인 셈여림개념, 가락개념, 음색개념이 형성되고, 유지되었다. 학생들은 예비실험과 기초선 단계에서 악기소리를 듣고도 음을 성질에 따라 적절하게 변별하지 못하여 음악 기초개념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재 단계, 유지 단계를 거치는 동안 음악 기초개념이 점차 형성되고 유지되었다. 셋째, 학생들은 강약활동, 고저활동, 음색활동 과정에서 즐거운 마음과 태도로 임하였지만, 산만한 행동, 위축된 행동, 주의 집중력 부족 등의 행동을 보였으며, 악기의 속을 들여다보거나 외형을 관찰하는 등 청 감각을 통하여 분류하기보다는 시 감각을 통하여 분류하려는 행동을 보였고, 음악 기초개념 형성에서 개인 내 차이와 개인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생들은 활동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강약활동 8.02점, 고저활동 7.40점, 음색활동 7.56점으로 나타나 음의 강약에 대한 개념이 가장 높게 형성되었으며, 고저에 대한 개념이 가장 낮게 형성되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개인 내 차이, 개인 간 차이, 활동별 차이에서 다른 특성을 보였지만, 반복적인 감각교육을 통하여 중도 정신지체 학생에게 음악기초개념인 셈여림개념, 가락개념, 음색개념을 형성시키고 유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중도 정신지체 학생의 음악 기초개념 형성에는 감각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으며, 특수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음악 기초개념을 지도할 때 셈여림개념을 먼저 형성시키고, 음색개념, 가락개념의 순으로 형성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format of basic musical concepts through senso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mental retard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ormat and maintain of dynamic concepts, melody concepts, timbre concepts through senso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mental retardation. It was to make distinct activity of strength-weakness sounds(dynamic activity), height-low sounds(pitch activity) and timbre sounds(timbre activity) to 4 stud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mental retardation who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Music activities for students were in the format of basic musical concepts(dynamic, melody, timbre) through sensory education using visual, auditorial, tactual, kinesthetic. The methods of study applied the ABAB plan in reversal planning of single subject research. The results of study analyzed with visual analysis methods and anecdote recording methods. Study results were as fellow. Firstly the sensory education stimulated the students effectively from basic musical concepts formation process. The students were able to use visual, auditorial, tactual, kinesthetic, but they could not able to accurately classify and discriminated ifference of two sound natures in the music activity process. But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e activity were gradually improved through repeated sensorial stimulations and activities. Secondly the score of basic musical concepts were improved. In the reserve test and baseline test, students could notable to accurately classify and discriminated ifference of two sound natures in the music activity process, it was insufficient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re was basic musical concepts. But in the arbitration phase, while passing by a general anger phase, the basic musical concepts were gradually formed and maintained. Thirdly students participated with joyful mind in music activity. But some students diffuse acts, shrink acts, attention deficit acts while musicbeing active were appeared. And students frequently appeared to look into or observe external forms the musical instruments, and classified and discriminated by visualacts than auditorialacts. there were difference in students, individually and personal differences for students in basic musical concepts formation. Fourthly students shower visibled ifference in three activities(dynamic activities, pitch activities, timbre activities). Average scores of three activities were 8.02 for dynamic activities, pitch activities 7.40 and timbre activities 7.56. Therefore the concepts of dynamic activities were high most and the concepts of pitch activities was low most. Looking at the results, music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mental retardation had a difference between inside the individual,between the individual, between the three activities. Stud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mental retardation formed and maintained dynamic concepts, melody concepts,timbre concepts by repeated sensory education activities. Consequently, sensory education gives an affirmative effectto basic musical concepts of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mental retardation. Inconclusion,we must make effort to raise efficient characteristics,to development the latent of music abilities, activate the senso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profound mental retardation. When teaching basic musical concepts in special school, we must teach to format dynamic

      •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과 지역사회 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전보성 대구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interpersonal social function-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social competence and community adaption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selected 102 middle·high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ttending Y special schools at A City, in Kyungbuk and B special school, in D city,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t random in consideration of their chronological age, gender, mental age and social maturity age. One is a control groups, the other is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on interpersonal social function-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d it.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study practiced Three Way-ANOVA as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groups(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mental age(5age, 7age)·gender(male, female) and as dependent variables the social competence and community adaption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personal social function-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social competence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group comparisons with social competence among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finding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nterpersonal social function-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activities were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age, the mark in 7age is high than 5age and in gender, the mark in female is higher than male. Especially, there were many effects, in 7age, female,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e other group. Second, the interpersonal social function-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community adaption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groups comparison with community adaption skills among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finding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nterpersonal social function-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activities were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age, the mark in 7age is high than 5age and in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ark between male and female. Especially, there were many effects in 7ag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other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cial competence and community adaption skills are so important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o live independently in their community as well to successfully move from schools to society. In field, it should be needed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o serve interpersonal social function-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And when drawing up IEP fitting to current levels of individual students, in case of making composition to a long-term object and a short-term object together with an interpersonal social function-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think that the effects of education will be elevated 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focused upon an analysis study on sub-domains of 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up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ransition program working togethe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이 연구의 목적은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과 지역사회 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북 A시의 Y특수학교, 대구광역시 B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중·고등부 학생 중 생활연령, 성별, 정신연령, 사회성숙연령 등을 고려하여 무선으로 10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과 지역사회 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정신연령(5세, 7세)·성별(남, 여)을 독립변인으로 사회적 능력과 지역사회 적응기술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삼원변량분석(Three Way-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의 집단 비교에서는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이 매우 높다. 연령별에서는 7세가 5세보다 효과적이고,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효과적이다. 이것은 실험집단의 7세 여학생의 훈련이 다른 연령대의 남학생과 여학생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지역사회 적응기술에 뚜렷한 향상을 보이고 있다. 정신지체학생의 지역사회 적응기술은 집단 비교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효과가 높으며, 연령별에서는 7세가 5세보다 효과적이고, 성별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차이가 없다. 이것은 실험집단의 7세의 훈련효과가 큰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결과를 볼 때, 사회적 능력과 지역사회 적응기술은 정신지체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살아가거나 학교에서 사회로의 전환에 매우 중요한 능력 요소이다. 이런 능력이 체계적인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길러진다는 것을 볼 때, 학교 현장에서 정신지체 학생에게 다양한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 교육 계획(IEP)을 수립할 때, 대인·사회적기능 중심의 전환교육계획을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의 하위영역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분석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며, 아울러 비장애아들과 통합된 교육 장면에서 실시할 수 있는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 정신지체인의 성행동 실태와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현혜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xual behaviors and the sexual assaults of the mentally retarded, to develope a sex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the survey of the sexual behaviors, to carry out the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mentally retarde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2 mentally retarded who attended special schools or workshops for the handicapped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242 parents of the mentally retarded, and 176 teachers of special schools or community houses for the handicapped. The subjects were questioned on the sexual behaviors and sexual assaults of the mentally retarded. The sex educ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on 52 mentally retarded teenagers attending special schools, the mentally retarded undergraduates, or adults from workshops for the mentally retarded through 5 groups(10 sessions/80 min. each). To verify its effects, pre and post test were conducted on 37 subjects with the organized questionnair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verbal/non-verbal responses, and changes of the subjects were also carried out. For correct sexual knowledge and proper sexual attitudes of the mentally retarded, this sex education program has 6 sections; my precious body, adolescence, dating and marriage, pregnancy, sex roles, and sexual assaults.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it uses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teaching tools, games, actual practices, situation dramas, role playings and free conversations. For data analysis, SPSS PC+ 9.0 was used to calculate the respons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t-test and the 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amo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ntal retardation reported such a sexual behavior as kissing, hugging, petting, viewing pornographies, touching genitals, sexual intercourse, strippings, masturbations. Parents and Teachers reported to have been embarrassed or troubled by the improper sexual behaviors of the mentally retarded. Masturbation was the most frequent regardless of the degree of mentally retarded, age or sex. 2. Sexual behaviors of the mentally retarded took place most frequently in his/her room or livingroom at home and classrooms or retired places at the schools. Over the half were reported to show sexual behaviors in a week, meaning that sexual behaviors were frequent. Males showed much more frequent sexual behaviors than females, and among all age groups,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most frequent sexual behaviors. Parents and teachers reported the same responses to the sexual behaviors, which were 'to admonish' or 'to divert his/her attention'. 3. Parents and teachers reported that the sexual assaults of the mentally retarded. Most of the victims were females, teenagers or females with 2nd~3rd degree of mentally retarded. Teachers reported that most of the assaulters were males, over 20, or with 3rd degree of mentally retarded and most of the victims were his friends. Parents' responses to the sexual behaviors were mostly 'to support him/her emotionally' or 'to caution' and teachers' responses were mostly 'to protest to the assaulter' meaning that overall reactions to the sexual assault were passive. 4. After conducting this sex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both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were improved. Thus the effectiveness of this sex education program was proved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mentally retarded would have more accurate sexual knowledge through sex educations and their improper sexual behaviors would diminish. 5.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sections such as my precious body, pregnancy, adolescence, sexual assaults but in sex roles or dating,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parts, the period and processes of pregnancy, parturition, the physical, emotional and sexual changes of adolescence, what is masturbation and how to clean up after masturbation, why females menstruate and how to use sanitary supplies, the importance of adequate behaviors in public or private places and the notion, cases, types and managing of sexual assault were most effective sub-sections of this program. 6.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id not appear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ntally retarded, sex or age. Through this sex education program all of the mentally retarded regardless his/her degree of mentally retarded, sex or age could improve his/her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except profound and juveniles under the age 13. 7. Though a little difference with each person, most of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showed a lot of interest in sex education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refore both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s were improved in every participant. Among various methods of educations, actual practices, participation and audiovisual materials were effective for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ex education is the caring and sympathizing attitudes of the educators. With those attitudes, rapport would be built up and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would be elevated. In conclusion, researching the sexual behaviors of the mentally retarded, developing a sex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carrying out the program,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study ma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sexuality of the mentally retarded better and recognize the necessity of sexual education for them. This study was also effective for the mentally retarded to improve the sexual knowledge and the sexual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