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pact of mismatch lesion on long-term outcome of intravascular ultrasound guid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han, Tan Quang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33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참조혈관 크기와 목표병변의 혈관크기가 다른 불일치병변 (mismatch lesion)이 혈관내 초음파를 이용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위해 하였다. 연구방법 참조혈관 크기와 목표병변의 혈관크기가 다른 불일치병변은 근위부와 원위부 참조혈관 내강이 최소 1.0 mm 이상 또는 가장 작은 참조혈관 내강이 30 %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는 불일치혈관군(mismatch group)으로 하였고, 차이가 없었던 군은 일치혈관군 (non-mismatch group)으로 하였다. 총 1,706 병변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불일치혈관군 411 병변과 일치혈관군 1,295 병변으로 나누었다. 성향점수분석 (Propensity score matching) 후 최종 분석을 위해 각 군에서 397 병변을 선택하였고, 주요 심장 사건으로 사망, 심근 경색 및 목표병변 재개통술을 평균 5년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군의 임상적 특성 및 혈관 조영 특성은 성향점수매칭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일치혈관군과 비교했을 때, 불일치혈관군은 시술 시간이 더 길었고 (53.8±16.2 vs. 45.2±10.7 분, p<0.001), 조영제 사용량 (179.6±53.2 vs. 161.4±31.2 ml, p<0.001) 과 스텐트의 수(1.19±0.43 vs. 1.07±0.25, p<0.001) 가 더 많았다. 불일치혈관군은 스텐트시술후 추가적인 풍선확장술 최적화 치료가 더 많은 경우에서 필요하였고 (79.6% vs. 53.9%, p<0.001), 풍선확장시간이 길었으며 (2.98±1.75 vs. 1.91±0.92, p<0.001) 및 사용한 최대압력이 (19.5±3.9 vs. 16.7±3.7 atm, p<0.001) 더 높았다. 관동맥 중재술 동안, 불일치혈관군은 주요 합병증이 (7.8% vs. 4.3%, p=0.037) 더 높았고, 시술 성공률이 낮았다 (91.4% vs. 95.5%, p=0.022). 최종 혈관조영상에서, 불일치혈관군은 최소 내강 직경 (2.62±0.45 vs. 2.90±0.57 mm, p<0.001)이 작았고, 잔존 협착이 더 높았고 (11.3±4.5% vs. 9.4±6.2%, p<0.001), 시술 성공률이 낮았다 (93.2% vs. 96.7%, p=0.023). 최종 혈관내초음파에서 불일치혈관군은 최소 스텐트 면적이 더 작았고 (6.39±2.09 vs. 6.93±2.77 mm2, p=0.002), 불완전한 스텐트 밀착 및 스텐트 가장자리 박리가 (6.3% vs. 3.0%, p=0.029 and 2.5% vs. 0.8%, p=0.045)을 더 많았다. 하지만 스텐트 혈전증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317). 추적 관찰 결과 불일치혈관군은 심장사망 (HR: 2.54, 95%CI:1.36-4.75, p=0.003)과 목표혈관 재개통술 (HR: 2.73, 95%CI:1.59-4.71, p<0.001)에 주로 기인한 주요심장사건(HR: 2.23, 95%CI:1.56-3.12, p<0.001)의 위험이 더 높았다. 결론 불일치 혈관병변은 관동맥 중재술이 가능한 병변이지만, 관동맥 중재술에 혈관내초음파를 사용하는데도 바람직하지 않은 시술결과와 나쁜 임상경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협착형태에서 불일치 혈관병변의 영향을 분석하였고, 적절한 접근법을 찾기 위해 전향적 연구에서 검증이 필요하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impact of mismatch lesion on the outcome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with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guidance. Material and Methods Mismatch lesion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ximal and distal reference lumen diameters (RLD) of ≥1.0 mm or ≥30% of the smallest RLD. Total 1,706 lesion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411 lesions in Mismatch group and 1,295 lesions in non-mismatch group.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397 lesions in each group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was the composite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 and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TLR). Results The baseline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ere well balance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Compared with non-mismatch group, mismatch group PCI needed more procedure time (53.8±16.2 vs. 45.2±10.7 minutes, p<0.001), contrast amount (179.6±53.2 vs. 161.4±31.2 ml, p<0.001) and number of coronary stent (1.19±0.43 vs. 1.07±0.25, p<0.001). Mismatch group also required more frequently use of post-stenting optimization (79.6% vs. 53.9%, p<0.001) with more inflation times (2.98±1.75 vs. 1.91±0.92, p<0.001) using higher maximum pressure (19.5±3.9 vs. 16.7±3.7 atm, p<0.001). During PCI, mismatch group encountered more major complications (7.8% vs. 4.3%, p=0.037) and lower procedure success rate (91.4% vs. 95.5%, p=0.022). On final angiogram, mismatch group had smaller minimum lumen diameter (2.62±0.45 vs. 2.90±0.57 mm, p<0.001), higher residual stenosis (11.3±4.5% vs. 9.4±6.2%, p<0.001) and lower angiographic success rate (93.2% vs. 96.7%, p=0.023). On final IVUS, mismatch group achieved smaller minimal stent area (6.39±2.09 vs. 6.93±2.77 mm2, p=0.002) along with higher rate of incomplete stent apposition and stent edge dissection (6.3% vs. 3.0%, p=0.029 and 2.5% vs. 0.8%, p=0.045, respectively). Follow-up data during median of 5 years showed that mismatch group had higher risk of MACE (HR: 2.23, 95%CI:1.56-3.12, p<0.001), mainly driven from cardiac death (HR: 2.54, 95%CI:1.36-4.75, p=0.003) and TLR (HR: 2.73, 95%CI:1.59-4.71, p<0.001). Conclusions Mismatch lesion posed significant challenging during PCI that led to unfavorable procedural results and worse clinical outcomes even with IVUS guidance. These results need to be validated in prospective studies to determine the role of mismatch lesion in stenosis morphology classification and to find the suitable approach to deal with this lesion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