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현대 공동주거 단지계획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김미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한국의 주거문화를 대표하는 공동주거계획에 있어 획일적인 단지계획과 주호계획은 물리적, 정서적으로 삭막한 도시환경을 조성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통성의 현대적 계승과 발전은 보다 나은 한국의 주거환경을 창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마을과 주거건축의 특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사회문화적, 공간구성적, 의장적 특성에 대한 분석 틀을 도출하고, 최근 5년간 한국 전통성을 표현한 공동주거 단지계획의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특성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현대 공동주거 단지계획에서의 전통성 표현방법을 도출하고 향후의 전개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문헌고찰 결과, 현대 공동주거 단지계획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은 다음의 세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세부내용을 파악하였다. 첫째, 사회문화적 특성은 전통사상, 공동체 개념의 공간구성, 지역의 장소성 표현, 둘째, 공간구성 특성은 외부공간 구성특성으로서 영역적 공간구성, 위계적 공간구성, 위요된 공간구성, 내부공간 구성특성은 매개공간 도입, 가변적 공간구성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의장적 특성은 전통구조, 전통수목, 전통문양, 전통색채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2) 현대 공동주거 단지계획에 나타난 한국 전통성 표현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44개 사례 가운데 전통마을의 공동체 개념의 공간구성(42), 전통주택의 외부공간구성(40), 전통시설물(40)과 전통수목(40)을 이용한 전통성의 표현이 가장 많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사상(28)이나 지역의 장소성(25) 도입, 내부공간구성(27), 문양(27) 및 전통구조(25)를 통한 표현이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전통색채(5)를 통한 표현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3) 사회문화적 특성 중 전통사상은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자연숭배사상’의 도입으로 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오랫동안 한국적 자연관으로 맥락을 이어온 주요한 사상의 표현으로 앞으로 환경친화적 주거단지의 개발이라는 시대적 이슈에 부응하면서 지속적으로 시도될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공동체 개념의 공간구성 특성은 대부분의 공동주거단지 계획에서 중앙마당과 어귀마당의 조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공동주택에서 나타났던 이웃간의 단절, 개인주의 심화에 따른 공동생활공간의 축소, 비인간적인 물적 환경의 조성 등에 대한 문제들을 전통마을의 공동체적 공간구성 특성을 도입하여 해결하려는 시도로서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파악된다. 셋째, 지역의 장소성 도입 또한 대부분의 사례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기존 주거단지계획의 획일성에서 탈피하여 지역별, 장소별 주거단지의 개성 및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며 거주자에게 소속감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보인다. 4) 전통마을 및 주택에서 나타난 외부공간 구성방법을 현대의 주거단지 계획에 적용한 시도는 주로 단지 입구를 강화하여 영역성을 표현하거나 위요된 공간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사적 공간, 매개공간의 도입과 전통마을의 동선구성을 적용하여 공간 진입의 연속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공간으로의 급격한 전이에 따른 과정적 공간감의 부족과 공간위계가 명확치 않은 획일적인 공간구성, 다양한 공간체험의 부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보인다. 실내공간 구성에서는 제한된 평면구성과 구조적인 제약으로 전통주택 공간구성의 기본 원리를 적용하는 예가 드물었으며 평면계획의 단순성이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지 내 공용마당의 계획, 단독주택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계획된 마당형 발코니, 1층 전용정원, 툇마루 등 매개공간의 도입 등은 지속적으로 나타나 한국 전통성을 표현하는 전형적인 방법으로 정착되어 감을 알 수 있었다. 5) 의장적 특성에 있어 전통창호 구조와 툇마루 등을 이용한 전통건축 구조의 도입은 최근의 공동주거 계획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건축의 공포구조를 지붕, 캐노피, 대문 등에 적용하는 예가 많았으며, 최상층에 다락방 구조와 전통지붕형태의 적용, 주동 건축물의 저층 부분을 필로티로 계획한 후, 전통 누마루 구조를 적용하는 계획도 나타났다. 이는 주동 일층과 최상층의 미분양 활성화를 위해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전통성의 표현경향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주동 저층부에 전통건축 구조의 도입은 주민 공유공간의 활용, 단조로운 공동주택 건축물 의장에 개성과 변화를 부여할 수 있으며 한국의 독특한 생활양식을 현대의 건축물에 표현한 창의적인 시도라고 판단된다. 6) 전통시설물 요소와 전통수목의 도입을 통한 전통적 외부공간의 조성은 매우 빈번하게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설물의 도입은 주민들에게 소속감과 친근감을 높여주며 공동주택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의 의식 속에 전통에 대한 동경이나 고향의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효과를 줄 수 있어 전통성 표현의 기본 요소로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통수목을 이용한 전통조경요소의 도입은 이전의 공동주거단지 계획에서도 나타나는 특성으로 다른 요소에 비해 시각적인 인지가 용이하며, 전통 주거공간에서 중시되었던 자연성의 강화와 계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요소로서 향후 지속적 도입이 예측된다. 7) 공동주거 단지계획에서의 전통성 표현은 형태 또는 내용의 어느 한 쪽에만 의존하는 방법보다는 두 가지 측면이 조합되어 표현되어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형태나 내용에 의한 표현방법 중 한쪽 면에 국한되지 않는 이중적 전통 표현의 방법은 현대의 포스트 모던 문화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형태의 재현과 변용을 통한 한국 고유의 조형미의 표현과 더불어 사상과 공간구성에 대한 추상적인 표현이 동시에 이루어져야만 대중의 정서와 융합될 수 있는 전통성 표현이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태와 내용에 의한 표현방법이 어느 정도 수준에서 창의적으로 조합되느냐에 따라 다양한 전통성 표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that is, traditionality') are reflected in contemporary multi-housing planning since 1997 and to draw its typical way of expression.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o asses how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raditional philosophy, communal composition and regional traits influence the planning concept of modern multi-housing planning 2) to evaluate features of space planning in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of modern multi-housing planning 3) to find out the orna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structure, facilities, gardening, patterns and colors in the architectural and landscape design of modern multi-housing 4) to classify the types of traditionality and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how to express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multi-housing plan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in which photos, floor-plans, elevations and sketches were used. Forty-four cases of multi-housing planning including exterior and interior were selected for research, in which architects or critics pointed out that traditionality was reflected in their architectural design magazines. Furthermore, all cases were also reconfirmed by the on-the-spot investig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relevant archit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employing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1)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have affected the planning concept of the multi housing planning in the three ways. First, Nature-worship which emphases th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among traditional philosophies such as Yin(-)-Yang(+)and five element theory, Feng-Shui, Astrology and etc., have a great impact on the housing planning and space design. Second, community space has recently become more important in multi-housing planning and thus used various types of public space such as an entrance court, big central court and small court which approach to apartment buildings so as to help close relationships among residents. Third, regional traits such as local history, folk life styles, local material and patterns were used as important motives in multi-housing planning to express the traditionality . 2) Two characteristics of space planning were shown in drawings, sketches and photographs. First, territorial, hierarchic and surrounded spaces which we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pace planning in the traditional house of the Chosun dynasty were considered in space arrangement in the case of exterior space planning. Secon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are to introduce intermediated spaces such as madang on the entrance and balcony, maru, garden and variable space, using flexible door and structure. 3) The following ornamental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and landscape design were found: First, in terms of the architectural structure, most housing planning applied such elements of traditional houses as changs and muns (windows and doors) and tat'maru(a kind of veranda). Second, the traditional landscape was created by using traditional facilities, for example, chung-ja(a kind of arbor), sosul'daemun(a kind of the front gate), doldam(stone wall), bang-a(mill). Traditional patterns were also used and the various kinds of folk trees including evergreen trees, flowering plants and fruit trees which have symbolic meanings such as 'good luck', 'longevity', 'riches and honors' were planted. However, it was unusual that traditional colors such as obangsaek(five basic color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 element theory) and the material color in traditional housing building were insignificantly applied to modern multi-housing color plan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wo types of express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traditionality ). The first is 'concrete planning' which was focused on traditional ornamental elements such as forms and colors. And the second is 'abstract planning' which was focused on the traditional space planning in interior or exterior, philosophy, communal organiza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y interpretation of architects and designers.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bination of two types of the traditionality will be more ideal in multi-housing planning rather than relying on just one type.

      • 中國 建築에 있어 傳統性의 簡約 표현에 關한 硏究

        용영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축가 I .M. PEI 설계한 BEIJING 향산HOTEL 1983 준공이래 중국건축 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원래 중국 디자인 계에서 전통에 관하여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 그중에 나누면 주로 세 가지가 있는데 첫째 전통이 필요 없다, 둘째 전통건축 양식은 그 대로 모방(模倣)하여 현대적인 재료로 표현하면 된다. 셋째 전통적인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을 반대하고 전통건축의 본질, 사상, 이념을 분석해서 그의 정신(精神)과 의 경(意境)을 전달한다. PEI의 향산호텔은 이 문제에 대하여 우리에게 제시해주었다. 제도 이 문제에 대하여 관심이 많다. 특히 요즘에 디자인 경향이 미니멀을 많이 하는 바람에 중국건축에 있어 전통성을 어떻게 미니멀리즘적 표현하느냐에 대하여 주제를 가지고 논문을 진행하기로 한다. 세계화된 미니멀리즘적 디자인추세에서 많은 전통성, 민족성, 지역성을 사라졌다. 따라서 실내설계에서 어떻게 세계발전의 흐름을 따라가면서도 본 민족전통도 살릴 수 있느냐에 대한 연구 즉 실내설계의 중국적 전통성이 미니멀리즘적 재해설한 방법을 연구하여 전통성의 미니멀리즘적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은 이 본 논문의 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과정을 진행하는 방법은 먼저 본 논문의 연구목적을 명확히 가지고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확정한다. 위에 바로 1장내용이고 2장1절,2절에서 주로 미니멀리즘과 중국 건축전통성의 기본적 개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3절에서 사례조사를 통하여 중국 건축에 있어 전통성의 미니멀리즘적 표현 방법을 도출해서 표현방법은 주로 형태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 의하여 도출한다. 세 가지방법을 제시하기로 하는데 모방화 방법, 절충화 방법, 추상화 방법을 도출한다. 이 방법들을 4장 작품계획에서 적용시키겠다. 4장에서 CHINA RESTAURANT 작품계획을 전면적으로 전개한다. 작품계획에서 먼저 계획배경부터 시작하여 남산에 위치한 동보성의 리노베이션을 진행하기로 한다. 동보성은 원래 중국요리 전문점이고 그 위치도 관광구역에 속하고 화교 및 중국대사관이 다 그 주변에 위치한다. 이상의 배경으로 동보성의 사용자를 확보한다. 또한 1977년11월 사용된 동보성은 오래되어 건물구조는 튼튼하지만 디자인이 많이 뒤떨어졌다. 이상의 배경으로 작품계획을 전개하는 기본조건을 갖게 된다. 현지상황을 파악해서 계획을 전개한다. 1장2장에서 연구한 이론을 작품계획에서 적절히 적용시켜 작품을 통하여 전통성의 미니멀리즘적 표현을 시도한다. 4장에서 1장, 2장, 3장의 진행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중국 건축에 있는 공간적, 재료적, 의장적 특징을 충분히 분석해서 단순성, 반복성, 사물성, 환경성을 가진 미니멀리즘적 표현 특성을 이용한 전통을 재해석을 통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고 사용자에게 중국맛이 가진 명쾌하고 우아한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전통건축의 사상, 이념, 본질에서 출발하여 과거 존재하였던 그대로 현대 속에 옮겨놓는 것이 아니고 과거에 존재하였던 것을 새삼스럽게 느끼고 그 것을 시대의 디자인 흐름으로 재해석을 통하여 전통성을 기지면서 시대적인 이미지를 나타나는 공간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특색을 가진 디자인을 되려면 전통을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발전해야한다. 바로 전통은 그대로 모방하면 안되고 전통의 본질정신, 이념, 의경을 분석해서 미니멀리즘적 표현방법을 통하여 전통의 형태 아니 의미를 재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Since Beijing Xiangshan Hotel, designed by architect I.M.PEI, was finished in 1983, it has had many repercussions. The Chinese architectural world holds many different views on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 Generally speaking, there are three views: first, there is no need to succeed tradition; second, using modern architectural materials to copy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dresses up traditional construction; third, analyze the nature, pattern, idea and concep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reinterpret the soul and concep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the skill of modern architectural expression. The Xiangshan Hotel designed by PEI has displayed the possibility of showing traditional characteristics with modern skills to the Chinese architectural world with regard to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 There are many ways to express Chinese tradition. For example, minimalism is one of popular modern designing trends. How to express Chinese architectural tradition by minimalism is under the study of Chinese architectural world. The biggest drawback of minimalism is that it often weaken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 nation and region. The use of minimalism to show both the traditional features of Chinese archite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buildings has remained a problem for architects. Reinterpreting the traditions of Chinese architecture by the way of minimalism is al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According to the points mentioned above, this thesis is doing research following these procedures: Chapter I explains the method and scope of this thesis. Chapter II does research on the minimalism and the basic concept and features of traditions of Chinese architecture. Also from Chapter II Part III, I will illustrate the minimal ways towards the traditions of Chinese architecture and the practical uses of such methods. From the two aspects, form and content, to express these methods: imitation, compromising, abstract, etc. Chapter IV analyzes the design of the China Restaurant, studies all the methods mentioned above and applies them. This design is to reform the interior design of Dongbao City, which is located at the foot of Nanshan Hill. Dongbao City is the original China restaurant. It lies in a sightseeing resort and is close to overseas Chinese residences and the Chinese embassy. This ensures that the customers to Dongbao City are Chinese and Koreans who like Chinese food. China restaurant's interior design is made with regard to their likes. It has been 25 years since Dongbao City was finished in 1977. Its interior and exterior designs can no longer meet the demands of modern people. A display of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ime and Chinese diet, both traditional and minimal characteristics is what this thesis is meant to create. This of course has to do with the basic designing concept and background of restaurants. Chapter IV synthesizes the content of Chapter I, II, III and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By analyzing the space, I get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ing tradition by minimalism and creating new architectural space. Not to copy tradition but to reinterpret tradition by minimalism from the idea, nature and concept of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us create the architecture with the features of both tradition and time. This is what this thesis is going to study. It would be my great honor if this thesis could evoke more new ideas from my associates.

      • 朴在森 詩의 ‘傳統性’ 硏究

        한승주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박재삼 시에 나타나는 전통성을 주제, 소재, 표현 면에서 1950년대의 정신사적 문제와 어떻게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박재삼은 1955년 문단에 나온 이후 “가장 슬픈 것이 가장 아름답다”라는 시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시를 “좋은 시와 나쁜 시” 로 구분하는 시관(詩觀)을 갖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시 창작 의식을 바탕으로 당대에 유행했던 시적 경향을 의식하지 않고 전 생애 동안 일관되게 전통지향의 시를 써왔던 것이다. 그것은 그의 시의 대부분의 주제가 ‘한’을 노래하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1950년대 한국 전후 시단의 재편이 전통주의적 경향의 시와 모더니즘 경향의 시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고, 1950년대의 전통지향의 시들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통하여 전통의 본질과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전통성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1950년대의 전통 지향시는 김소월에서부터 시문학파의 순수 서정시로 이어지고, 생명파, 청록파 시인들에 의해 정점을 이루다가 1950년대를 맞이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지향의 시는 ‘후반기’ 동인들에 의해 도전을 받는다. 당시 모더니스트들은 전통지향의 시의 주된 특징인 리리시즘, 운율, 감정의 중요성을 부정하고 모더니즘, 이미지, 지성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이들은 전통지향의 시가 현실에 대한 수동적 태도로 일관하면서, 개인의 생존 방식에 따른 집착을 보이고, 현실을 일탈한 채 자연 관조의 세계, 목가적인 리리시즘, 감상주의에 빠져 있다고 비판한다. 또한 1950년대 전통지향의 시는 앞선 세대인 조지훈의 ‘자연관’이나 서정주의 서정적인 시정신의 정신세계에 영향을 받았다. 이 시기의 전통지향의 시인들로는 김관식, 이동주, 박재삼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박재삼은 서정주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Ⅲ장에서는 박재삼 시의 전통성을 중심으로 논의를 하였다. 1절에서는 그의 시에 일관된 소재로서의 ‘자연’을 바탕으로 전통성을 파악하려 하였고, 2절에서는 ‘이별’과 ‘한’의 문제를 전통 미학과 연관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주제에 드러난 박재삼 시의 전통성은 결국 삶의 근원적 문제라 할 수 있는 가난과 허무를 표현한 데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 정서인 설움의 감정을 현대시로 창작함으로써 고전 시가 등의 정서의 맥을 잇고 있는 것이다. 3절에서는 설화 수용을 통한 전통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는 고전 속의 인물을 포착하고 수용하여 이를 재창조하는 과정에서 한국적 언어의 발전과 민족적 정서를 자연이라는 소재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4절에서는 표현 면에서의 전통성을 찾고자 하였다. 그의 독특한 ‘시적 구성 방식’을 ‘전통적 율격의 변주’로 보고, ‘구문 형태와 의미의 조형’에서 ‘접속어’, ‘가정문’, ‘감탄구’ 등이 전통적인 언어 표현의 계승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논문은 박재삼 시에서 찾을 수 있는 전통성을 주제, 소재, 표현 면에서 접근하여 ‘자연관’, ‘한의 미학’, ‘설화 수용 태도’, ‘언어 표현’ 등에서 찾고 이를 보완하여 종합적인 연구를 하려 한다.

      • 중식 레스토랑의 전통성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지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이 레스토랑을 디자인할 때 그들의 전통성을 어떻게 현대화하여 표현하고 있는지 그 실태와 방법을 파악하고 이들 연구의 결과가 한식 레스토랑의 현대화에 응용될 수 있다면 그 방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 조사연구로 조사대상 공간은 홍콩에 소재한 현대화 된 중식 레스토랑 25곳이고 조사방법은 현지 방문조사로 2009년 12월 20일~ 2010년 01월 20일까지 약 한달 간, 홍콩 현지에서 각 레스토랑을 직접 방문하여 준비해 간 조사표에 파사드와 내부 공간구성요소의 세부적 실태와 나타난 전통적 특성을 기입하였으며 각 부분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지에서 일차적으로 판별하였으며, 판별이 불분명하거나 부족한 부분은 재차 방문하여 확인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먼저 전통성 표현방법을 전통재현 방법, 전통변형 방법, 전통재해석 방법으로 분류하여 판별하였고 구성요소별로 전통성 표현의 양 또는 현대적 표현의 양을 5점으로 측정하였다. 점수는 현대주조(현대 90-100%+전통 0-10%):1점, 현대주조+전통보조(현대 70-90%+전통 10-30%): 2점, 전통과 현대 동일비중(현대 40-60%+전통 40-60%): 3점, 전통주조+현대보조(현대 10-30%+전통 70-90%): 4점, 전통주조(현대 0-10%+전통 90-100%): 5점으로 전통성 비중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전체공간의 전통표현 비중은 이를 합하여 최종 판별하였다. 이상과 같은 기준과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레스토랑의 공간구성요소별 전통성 표현비중을 분석한 결과, 파사드에 전통성을 강조하여 입구에서 먼저 중식 취급 레스토랑이라는 것을 알리고 내부로 들어가면 비교적 먼저 눈에 들어오지 않는 바닥, 천장 등의 실내 구조요소는 현대화하고 눈에 들어오는 벽과 창/문은 전통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여기에 전통 그대로의 장식품을 적소에 배치함으로서 전통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었는데 이로써 전통성 표현은 공간의 배경보다는 포커스로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각 구성요소별 전통성 표현방법을 분석한 결과, 전통재현 방법은 곳곳에 배치한 장식품에 가장 많았고 로고·심벌의 서체와 벽 및 창/문에도 다수가 적용되어 있었다. 전통변형 방법은 공간의 각 요소에 고루 적용되었는데 창살의 변형이 가장 많았고, 파티션, 서체, 문양, 홍등, 가구 및 장식품의 변형, 그리고 전통재료를 현대 재료로 바꾸는 등 다양한 변형방법이 적용되고 있었다. 전통재해석 방법은 상호와 내부 바닥이나 천장에는 거의 없고 벽과 창/문, 조명과 가구에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었는데 대부분 형태를 재해석하고 여기에 변형된 문양을 첨가함으로써 전통을 연상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에 사용된 전통성 표현방법은 세 가지 모두 활발하게 적용되었고 그 방법 또한 다양하였다. 셋째, 각 구성요소별 전통성 비중 점수로 구분한 Traditional Modern Style(TM유형)과 New Modern Style(NM유형)에서 전통과 현대의 비중이 비슷한 TM유형은 전통재현과 변형방법이 많고 현대주조로 이루어진 NM유형은 전통변형 및 재해석방법의 사용이 많았다. 여기에서 이들 유형의 디자인성을 보면 TM유형은 대부분 과도한 양의 장식이나 전통색인 고채도 빨강색의 넘치는 사용으로 또는 다양한 종류의 장식품을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산만하거나 통일감이 떨어지는 사례가 많았다. NM유형은 공간구성요소의 다수를 현대적이거나 자세히 보지 않으면 현대로 판단되는 전통재해석 방법으로 처리하고 여기에 직접적인 전통재현 또는 전통을 바로 짐작할 수 있는 전통변형 방법을 소수 적용하여 주목성을 높이고 있었다. 따라서 공간구성요소의 다수에서는 전통이 직접 드러나지 않고 간접적 또는 은유적으로 표현되며 소수에서만 전통성이 나타남으로써 전통이 공간의 포커스 또는 Impact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들 유형의 색채는 모든 사례에서 전통 색상이 나타났으나 TM유형은 고채도색이나 빨강색, 황금색을 많이 사용하였고 NM유형은 채도가 낮은 색상을 주조색으로, 빨강색이나 황금색은 강조색으로 사용하여 중국의 전통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한식 레스토랑의 현대화에 적용시킨다면 전통성의 양은 과도하지 않게, 또는 소수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도할 때에는 중성색이나 낮은 채도의 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함으로써 색에 의해 압도당하거나 시선이 분산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현대적 공간에서 전통을 직접적으로 느끼게 하려면 전통재현이나 전통변형 방법을 과하지 않은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현대적 공간에서 전통을 간접적으로 느끼게 하려면 전통변형이나 전통재해석 방법을 역시 과하지 않은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전통색을 사용하되 채도를 낮춘다면 전통을 표현하면서도 세련된 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여기에 채도 높은 전통 색을 강조색으로 사용해도 무방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methodology involved in the ways the Chinese heritage was modernized in the designs of Chinese restaurants and to explore the ways the results could be appli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As a case study, the study examined 25 modernized Chinese restaurants in Hong Kong for about a month from December 20, 2009 to January 20, 2010. The investigator personally visited each of the restaurants, entered information about the detailed states and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ir facades and interior spatial elements on the checklist prepared by her, and took pictures of each part. The gathered data were primarily judged on the field, and the ones that were impossible to judge or lacking were checked and confirmed through a revisit. Then the data were categorized and examined according to the ways heritage was expressed, which included reproduction, transform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heritage. Each of the components was measured for the amount of heritage or modernity expression on a five-point scale. The five-point scoring system put an emphasis on heritage; one point was given to principal modernity(modernity: 90-100% + heritage: 0-10%), two points were given to principal modernity + auxiliary heritage(modernity: 70-90% + heritage: 10-30%), three points were given to the same ratio between heritage and modernity(modernity: 40-60% + heritage: 40-60%), four points were given to principal heritage + auxiliary modernity(modernity: 10-30% + heritage: 70-90%), and five points were given to principal heritage(modernity: 0-10% + heritage: 90-100%). The percentage of heritage expressed in the overall space wa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scores. The analysis performed according to those criteria and methodologi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and conclusions: First, the percentage of heritage expressed in each of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subject restaurant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y emphasized heritage on the facade to inform that they ran a Chinese restaurant to customers entering the restaurants. Entering inside, they modernized such interior structural elements that relatively failed to attract the first impression from the customers as the floor and ceiling and emphasized heritage in the walls and windows/doors that were more visible. In addition, they placed traditional ornaments at proper locations to put more emphasis on heritage. Those results indicate that heritage was expressed as a focus rather than a background in the given space. Second, the ways heritage was expressed in each component were also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heritage was most reproduced in the ornaments placed all over the restaurant and applied to the writing styles of the restaurant logos and symbols, walls, and windows/doors in a big number. The methodology of transforming heritage was evenly applied to each of the spatial components. With the most transformations occurring to the lattices, there were many different ways to transform heritage including the partition, writing style, pattern, red lantern, furniture and ornament, and traditional materials that were turned into modern ones. Few examples of reinterpreting heritage were observed in the restaurant titles, inside floors, and ceilings, but plenty of examples were found in the walls, windows/doors, lighting, and furniture in a range of ways. Most of them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forms and added altered patterns to them to remind customers of heritage. In short, all of the three ways of expressing heritage were actively applied to each component in an array of ways. Finally, two styles emerged according to the heritage scores of each component, and they were the Traditional Modern Style(TM style) and New Modern Style(NM style). The TM style, in which heritage and modernity each claimed similar percentage, usually adopted re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of heritage, whereas the NM style, in which modernity was principal, usually did transform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heritage. As for the design attributes of the styles, the TM style had many examples that were distracting or lacked unity by using an excessive amount of ornaments, putting in an excessive amount of red of high chroma, or placing ornaments of various kinds all over the place. In the NM style, they processed a majority of the spatial components as modern or reinterpretation of heritage, which would be easily considered to be modern without careful observation, and applied a small amount of direct heritage reproduction or heritage transformation, which gives out a direct hint at heritage, to attract more attention. Many of the spatial components did not express heritage directly, expressing it indirectly or metaphorically. Heritage was expressed in a small number of the spatial components, thus serving as a focus or impact point in the given space. The traditional colors were found in all the cases with the TM style using high-chroma red and gold a lot and the NM style using low-chroma colors as the primary ones and red or gold as highlight colors and accordingly displaying the Chinese heritage indirectly. If those findings are appli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it will be desirable to apply a proper amount of Korean heritage to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When there is an excessive amount of heritage expressions, it will be wise to use neutral or low-chroma colors as primary ones so that customers will not be overwhelmed by the colors or have their attention scattered all over the place. It is effective to apply a proper amount of heritage reproduction or transformation in having customers feel heritage in a modern space directly and to apply a proper amount of heritage transformation or reinterpretation in having customers feel heritage in a modern space indirectly. A sophisticated space that expresses heritage can also be designed with traditional colors if their chroma is lowered. In such a case, high-chroma traditional colors can be used as highlight colors.

      • 한국 실내건축에서 전통성 고찰과 수용에 관한 연구

        이종엽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5

        한국 현대건축에서 '6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전통성 표현에 대한 시도는 그후 계속된 기념적 공공건물에 있어서 민족 주체성의 확립이라는 관 주도의 문화정책에 따라 더욱 비중이 높아졌으나 '66년 구국립중앙박물관, '67년 부여박물관, 최근의 독립기념관과 예술의 전당 등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전통성의 해석과 그 표현결과, 전통표현의 필요성과 가치에 대하여 심각한 견해차가 노출된 바 있으며, 이러한 논쟁은 아직도 그 해결책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에게 있어 전통성의 표현과 관련되어 남아 있는 과제는 전통의 실체가 무엇이며 어떠한 방법으로 전통의 맥을 수용, 계승시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실내건축에 있어서의 전통논의는 건축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건축과 실내건축의 관계가 '60년대만 하더라도 건축에 종속된 관계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왔으며 '80년대에 접어들면서 독립된 영역확보가 달성되기 시작했으나 건축이라는 커다란 테두리 안에서 끊임없이 연관되어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건축에 대한 전통추구는 1940년대 후기의 민족 자각의식의 대두와 함께 구체화되기 시작했으며 지금까지 많은 논란과 실천적 작품을 통하여 전통에 대한 의식을 정립하고자 노력하였던 것을 역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건축과 실내건축과의 관계는 60년대 이전에는 건축이 실내나 가구에 미치는 일방적인 관계였으며, 건축에 종속된 위상속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그후 60년대 초를 시점으로 하여 본격화된 산업화와 더불어 국민소득의 개선은 실내건축을 필요로 하는 요소, 즉 상업공간이나 전시공간 등의 수요를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점차 다원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제시대와 한국전쟁 이후 무비판적으로 유입된 국제주의 양식은 전후 복구사업에 일익을 담당했던 것이 사실이지만, 우리사회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안정되어 가면서 단절되었던 전통문화에 대한 욕구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50년대부터 일기 시작한 지역주의 건축운동은 60년대 이후 현재까지 전통표현에 대한 많은 주장과 견해를 표출시켰다. 이러한 논의는 주로 고건축에 내재된 사상·이념적 요소, 공간체계, 의장적 요소 등에 관한 것으로 과연 어떠한 것이 올바른 전통계승 혹은 전통성표현의 방법인가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논의에 대한 특징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면, 첫째, 고건축의 사상·이념을 적용하는 것으로 전통의 외형적 요소보다는 정신의 계승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풍수지리사상, 음양오행설, 인간의 척도개념 등이 예시되고 있다. 그러나 정신 혹은 사상을 형태화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공감대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둘째, 고건축의 공간 체계를 전통성 표현 요소로 삼는 것인데 고건축의 공간체계를 현대건축의 기능과 구성방법에 응용하는 것으로 전통성 계승의 한 방법이 될 수 있겠지만, 현대의 밀집된 도시구조와 변화된 생활양식을 고려할 때 실현시키기 어려운 점이 많고, 일반대중에게 공감될 지의 여부도 의문시 된다. 셋째, 고건축의 형태를 모방·답습하는 것으로 고건축 양식을 직설적으로 모사 또는 복사하는 방법과 고건축 양식의 디테일을 단순화하여 건물의 각 부분에 장식적으로 도입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일반 대중으로 부터 쉽게 공감을 얻어낼 수 있지만 현대적 기능 수용의 문제점과 창조성이 간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창의성을 발휘하면서도 대중의 정서와 융합되어 전통성을 표현할 수 있다는 데서 전자보다는 발전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 실내건축에서 많이 응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표현의 한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넷째, 고건축의 분석적 방법을 통해 응용하는 것으로 고건축 원형의 변형문법으로, 또한 창의적 수단의 한 방법으로 높이 평가될 수 있으나 너무 암시적이고 은유적이기 때문에 그 형태가 갖는 전통성이 대중들에게 쉽게 이해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전통의 계승과 표현의 주류는 주로 전통양식의 재현 내지 변형이라는 작업을 통해 추구되어 왔다 이러한 작업들의 배경에는 한국건축의 진수가 그 양식에 있다고 보고 그것의 재현 내지 변형을 통하여 한국적 표현을 모색해 나가고 그것을 이 시대의 새로운 형태언어로서 정착시키려는 시도였다. 또한 그동안 전통에 대해서 논한 많은 사람들이 올바른 전통추구의 방법으로 결론지은 전통건축에 내재되어 있는 자연관, 인간관 등의 철학과 건축적 사상, 질서를 탐구하여 이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적용한다는 주장은 건축이 구체적이고 물적 현실로서 구현되는 것이며 물리적인 형식으로 표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통의 정립이 정확히 이루어지지않은 현시점에서 내면의 사상 또는 정신을 형태화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작가의 주관에 치우칠 우려가 있다. 그동안 전통수용 방식으로 표현된 많은 작품들이 시도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방향조차 제대로 확립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이론적 근거에 의해 전통을 수용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외래문화로 부터의 탈피, 문화적 열등감과 결부된 보수적 승계의 의미로 해석되어 졌기 때문에 지역성, 시대성, 풍토성 보다는 외국문화와 구별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강박과념으로 작용했던 것이 하나의 이유이다. 따라서 전통을 수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한국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이론적, 사상적 이해의 기반위에 우리의 생활에 맞는 건축과 실내건축의 창출에 의해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까지 제시되고 있는 전통성 표현방법들을 계속 발전시키고 연구와 논의를 지속적으로 펴나가는 것이 전통계승이라는 목표에 접근해가는 방법이 될 것이다. 한편 전통계승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는 공감대 형성에 관한 것으로 전통성 문제는 한국인의 후천적 가치기준을 충족할 수 있어야 하며 대중적이고 공감적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진정한 전통계승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허종수는 한국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한 방법으로 한국적 언어에 의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한국적인 말과 한국적인 정신은 서로 긴밀하게 얽히어 왔으므로 우리 토박이 말이 중심이된 한국적인 미적 표현언어를 추출하여 건축언어와 연결시킴으로해서 건통표현의 한국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는 접근방법의 제시는 의미있는 것이라 여겨진다. Our society has come to require the high cultural level by achieving the great growth of income along with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and further more valuable building structure. It is accompanied by a strong desire for the building structure with Korean subjectivity, and people have come to have a deep consciousness of the introduction of conventionality. The social desire for this building and the critical sense of the opening of the market with the UR negotiation have become an opportunity for renewing the awareness of our things even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Attempts to represent conventionality, beginning from the early part of the 1960s, have continued to occupy further weight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led cultural policy of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of the Korean people in the monumental public buildings continuing ever since. But the serious difference of opinions is exposed as to the interpretation of convertionality and the result of its expression as shown in the construction of the old National Central Museum on 1966, the Buyeo Museum on 1967, recent Independence Commemoration Hall and the Art Hall. The present situation is that this debate is not still resolved. The task to remain to us in connection with the expression of conventionality is what is the entity of the convention or tradition and how the context of the tradition or convention can introduced and succeeded. Accordingly, this thesis attempts to inquire into the nature of the tradition or convention, the essential concept, and our proper thought and the original traditional characteristic based upon it, beginning from the import of attempting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convention or tradition in relation to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And it attempts to prob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ion toward the objective of succeeding to the tradition in the future by making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works, in which conventionality is expressed, that is reflected in modern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based upon the concept of the convention or tradition discussed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The concrete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of all, chapter 2 provides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the convention or tradition through its opinions of several scholars, and attempt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the future discussion over the tradition or convention by reexamining the traditional thought in the old building. Chapter 3 deals with an attempt to grope for both the direction toward the expressive method of conventionality by grasping the background of thought in the early 1960s when the awareness of the convention or tradition originated and an attempt was made to express conventionality and the attitude and problem of introducing the convention or tradition into architecture that found ex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heory on conventionality afterwards. Chapter 4 discusses ar attempt to suggest the direction toward the future expression of conventionality by classifying and analyzing by type the·expressive method of the conventionality of the works that have attempted to express conventionality actually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expressive method of conventionality so far discussed.

      • 한국 현대 주거용 가구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

        박소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현대 주거용 가구 중 전통성이 표현된 가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여기에 사용된 전통 요소와 표현 방법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9월에 출시된 옷장과 거실장이 대기업 9업체, 중소기업 12업체에서 총 374개 선정되었다. 전통성이 표현된 한국 현대 주거용 가구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 현대 주거용 가구는 모더니즘에 입각한 현대적 디자인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전통성을 표현한 가구 중에서는 대기업이 서양 전통의 디자인을 받아들이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에서는 한국 전통성을 적용한 가구 디자인을 보이는 등 독자적인 디자인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많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업에서 생산되는 현대 가구가 가지는 인지도와 유통되는 가구의 수를 고려한다면, 아직도 우리 실생활에서 한국 전통성이 적용된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 현대 주거용 가구의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한국 전통성이 표현된 가구의 수는 53개로 나타났다. 여기에 나타난 전통 요소와 표현 방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내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전통성이 나타난 현대 주거용 가구 53개에 전통 요소는 295번 나타났으며, ‘문양’과 ‘비례 및 구성’이 많이 사용되었다. ‘문양’은 현대 가구에 표면 장식만으로 전통성을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용이한 전통 요소이다. 또한 전통 문양은 가구 디자인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많이 활용되는 전통 요소로 이를 통해 일반인들이 한국 전통성을 쉽게 인지하기 때문에 많이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비례 및 구성’의 요소는 가구의 전반적인 구성체계이므로 이를 통해 가구에서 전통성을 표현하기 용이할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외에도 한국 가구의 전통성표현에는 ‘결구법’이나 ‘금구장식’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현대적인 응용이나 개발이 요구된다. 2) 한국 현대 주거용 가구에 나타난 전통 요소는 ‘전통의 재현’ 방법에 의해 표현된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는 전통 요소를 있는 그대로 모사하여 재현함으로써 보다 쉽게 전통성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전통의 변형’ 이나 ‘전통의 응용’과 같이 전통 요소를 응용하는 경우는 그 수가 작은 것으로 보아, 전통 요소를 현대적 디자인과 같은 맥락에서 추상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성이 나타난 현대 주거용 가구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4가지 유형은 <유형 1> ‘한국 전통 가구의 모사적 표현’, <유형 2> ‘한국 전통 가구의 절충적 표현’, <유형 3> ‘한국 전통 가구의 현대적 표현’, <유형 4> ‘한국 전통 가구의 추상적 표현’ 등이다. 이 중 <유형 1>과 <유형 2>는 ‘한국 전통성의 형태적 표현’이, <유형 3>과 <유형 4>는 ‘한국 전통성의 개념적 표현’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 두 가지 방법은 현대 가구에서 한국 전통성의 계승을 위해 모두 필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현재 가구 업체에서는 전통성을 주로 전통 요소의 형태만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모더니즘의 디자인이 주류를 이루는 현시점에서 한국 전통성을 개념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현대적으로 표현하는 가구 디자인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trend of Modern Korean Residential-Furniture in which way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re visually expressed. Sample furniture of 374 pieces made by 21 manufacturers, which have been shown in the market in September 2000, are select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data for find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expressions, frequency, percentage and content analysis are used. The result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1) The major trend of design in Modem Korean Residential-Furniture is modem style based on Modernis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endency while large firms add western traditional elements in their furniture, small manufactures are trying to develop original furniture design which expresses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t mean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design characteristics are not widely spread yet. 2) There are 53 pieces of Modern Residential-Furniture out of 374 samples that show Korean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ways. 3) The traditional elements appeared 295 times in 53 pieces of residential-furniture, and most of them are "motives" and "proportion & composition". It would be easy to use "motives" as external decoration to express traditional characteristics while maintaining modern furniture structure. "Proportion & composition" is also commonly used since it is easy to show the traditional elements by following th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On the contrary, "joints" and "metal ornaments" are shown seldomly in modern furniture. 4) The ways of expressing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Modern Residential-Furniture are classified as four types; <type1> is "Duplicating Traditional Elements", <type2> "Changing Traditional Elements", <type3> "Modernizing Traditional Elements", <type4> "Abstracting Traditional Elements". Type 1 and 2 are mostly involved with shapes, while type 3 and 4 concentrated more on concept.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36 pieces of furniture are in type 1 and 2, and 17 pieces are in type 3 and 4. It means that much more furniture designs are focused on expressing traditional elements by shap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on the modernized traditional furniture based on the traditional concepts.

      • 韓國 建築의 傳統性에 關한 硏究 : 60年代以後 住居建築을 中心으로

        김흥수 慶北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791

        오늘날 우리사회는 政治, 經濟의 變貌와 아울러 많은 經濟成長을 이룩함으로써 높은 文化水準의 營爲와 함께 질 높은 建築物을 要求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식,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韓國建築에서 傳統收容이라는 큰 課題를 가지게 되었으며,建築創作에 있어서는 傳統性의 表現이라는 不在를 낳게 된 것이다. 이에 本 硏究는 韓國 現代建築에 나타나고 있는 傳統性 表現에 대한 考察로 그 意味를 世界 現代建築 脈絡下에 살펴보고 1960年 以後 博統性이 表現된 住宅들을 調査, 分析, 解析하고 그 形態的 類型別 特性에 따라 3가지 表現方法에 의하여 分析하여 보았다. 1) 직설적인 表現 方法 傳統建築을 全體나 部分에 있어서 過去의 形態를 그대로 模倣한 方法 2) 은유적인 表現 方法 배치나 평면, 진입과정 등에서 傳統的 空間槪念을 사용하며 작품의 全體나 部分에 있어서 形態要素를 現代化 한 方法 3) 개념적인 表現 方法 傳統民間信仰, 儒敎, 佛敎, 道敎,등의 思想을 現代建築에 接目 시키려는 方法 傳統性의 相互分析을 통하여 實際的으로 現代建築에 適用되고 있는 類型別 特徵을 분류 평가 함으로 앞으로 指向하여야 할 傳統表現 方法및 傳統收容을 위해 定立되어야 할 傳統性의 繼承方法을 定立하여 보았다. 그리고 實際的이고 具體的인 分析과 對案 제시를 통해 韓國傳統建築이 世界的인 建築으로 發展 할 수 있는 方向을 제시하였다. Todays, We have come to require the high quality of architecture with a high cutural level, by achieving of great economic development increasingly the change of economic development increasingly the change of economy and politics. We have got a big assignment, the acception on the tradition of Korean architecture as the level of consciousness and economy grow, and in the creation of architecture we are short of the expression of tradition. So, in this study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expression on Korean tradition in Korea modem architecture, I investigated the meaning through the wherence of world modern architecture, and analyzed houses expressing our tradition since 1960 and devided into three expression methods by the formal characteristics. 1) Indicative expression method. The method to imitate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the past form partially or entirely. 2) Metaphor expression method. The method to modernize the formal element in the part or the whole of the work using the traditional concept of space in arrangement, plane, admission process. 3) Conceptual expression method. The method to graft the thoughts such as the traditional faith of the people, Confucianism, buddhism or taoism into a modem archictecture. By reviewing kinds of their characteristics which should be pointed in the future and which are adapted practically in modem architeture through the traditional analysis mutually. I summarized the successive method of tradition to be set thesis for traditional expression and acception way. And presented the way tha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can be developed as world-wide architecture through the practical and concrete analysis and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 향교 유림의 재전통화와 실질적 전통성 : 수원향교의 사례연구

        나맹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89

        This thesis explores the status of hyanggyo(향교) in modern Korean urban society 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on Suwonhyanggyo(수원향교), which constitutes a typical case to demonstrate the socio-historical complexity of Korean hyanggyo tradition. Apart from its well-known function as cultural property or modern Confucian temple, I mainly focused on the local hyanggyo tradition and the citizens' subjectivation as the guardians of tradition. I rediscovered the vitality and vulnerability of hyanggyo tradition by analyzing the long-term social interaction centered on Suwonhyanggyo among different social actors, yurim's response to exigencies caused by COVID-19, and the patterns of life and generational practices of yurim(유림) individuals. Within the interwoven history of de-traditionaliztion and re-traditionalization, I found that the substantive traditionality regenerated in hyanggyo and incarnated into yurim, who subjectvated as the guardian of tradition, can serve as a mirror to reflect on the notion of 'the invention of tradition.' First, I reviewed the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re-traditionalization of Suwonhyanggyo to reveal the conditions of the guardian's subjectivity. Suwonhyanggyo was relocated to the south foot of Paldalsan Mountain(팔달산) at the same time as Suwon Hwaseong Fortress(수원화성), a new cit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정조), was created. Subsequently,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hyanggyo tradition has been accompanied by the urbanization of Suwon. Its re-traditionalization, which began in the late 1950s, reproduced the central-local, government-scholar-folk dual structure modeled on the Joseon Dynasty. This restructuring has been realized through interaction among the collective actors, including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 central yurim of Sungkyunkwan(성균관), the local elites, and the ordinary citizens. More specifically, it resulted from the historical-moral knowledge production led by the central yurim, the reconstruction of hyanggyo landscape of jangeui(장의) organization supported by local elites, and the heritage and tourism movement promot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By utilizing the resources provided by the collective actors above-mentioned, Suwonhyanggyo formulated its politics. Hyanggyo yurims have been cultivating gurdian subjects and constructing yurim's identity connected to local hyanggyo tradition and its traditionality, with a series of pedagogies including historiography, the embodiment of the placeness, and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forms. Next, I examined the logic of hyanggyo yurim's subjectivation as guardians through concrete historical events. Tension is inherent in the dual structure of re-traditionalization, and in the COVID-19 crisis, it was aggravated surrounding the traditionality of hyanggyo's property and ritual. In the face of exigencies such as distrust in the government, financial difficulties, and organizational vulnerability, yurim attempted to reappropriate the tradition established by King Jeongjo. They were engaged in the political-economic system they had neglected and took responsibility for the disgraceful collective memory and property issues related to Japanese colonialism. In another case, as the gathering was prohibited, they rearranged the etiquette systematized by Seonggyungwan and performed the 'Simplified Seokjeonrye(약식 석전례).' The traditionality of this ceremony was secured by ritualizing one's sincerity('jeongseong', 정성) and communication with the ancient sages through pre-ceremony speeches, writing standardized prayers, and quoting Confucian classics. Articulated with history and morality through the mediation of traditions, they actively pursue the continuity of the local Confucian tradition in a series of discontinuities and become subject to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s guardians of tradition. Finally, I attempted to discover the logic of the regeneration of substantive traditionality by inquiring into the individual and generational life of hyanggyo yurim. Most of the yurims were seniors over 70, and they shared a narrative pattern of historicizing their life and returning to tradition after retirement. Those who had experienced de-traditionalization tended to overcome the discontinuities of their lived experiences with traditionality. Studying('gongbu', 공부) the tradition evoked their sentimental emotions towards the past and made them value their connections with the practice. Thus, they have been trying to maintain balance in the situation of the religiousization movement led by the central yurim, the intensifying gender contradiction, and the generation gap regarding the literacy of Chinese characters. Their intentionality towards an imagined distant essence in their memory and the order of things were revealed in the fusion or coexistence with other religions, female counterparts, and young generations, where they also promoted the de-traditionalization within the Hyanggyo tradition. As these patterns of social practice and individual life continuously reproduced, the regeneration of substantive traditionality became sustainable in the fluid Confucian community of urban society. It is modernity that prioritizes the younger generation's resistance to the past. The life and practice of yurim with complex historical consciousness emerged as the other to us. Their return to the local tradition may continue to be a unique cultural pattern in the future aging society and serves as a vital object for anthropologically approaching the ways of life. 본 논문은 수원향교를 한국의 향교(鄕校) 전통의 사회역사적 복잡성을 드러내는 전형적 사례로 설정하여 그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를 통해 현대한국 도시사회에서 향교의 위상을 고찰한다. 문화재 또는 유교 교단으로서의 향교를 넘어 지역적 향교 전통 및 전통 수호자로서의 시민들의 주체화에 착안한다. 이를 중심으로 수원향교를 둘러싼 각 집단행위자 간의 장기적 상호작용과 코로나19에 따른 위기에 대한 대응, 개별행위자들의 삶의 방식과 세대적 실천에 주목함으로써 향교 전통의 생명력과 취약성을 재발견한다. 아울러 다차원적으로 교차하는 탈전통(de-traditionalization)과 재전통화(re-traditionalization)의 역사적 과정에서 전통의 수호자로서 주체화된 향교 유림의 삶의 방식인 실질적 전통성(substantive traditionality)을 검토하여 그들을 거울로 삼아 `전통창출론'을 성찰하여 현대한국에서 전통이라는 범주의 의미를 재조명한다. 본 논문은 우선 수원향교 재전통화의 역사적 맥락과 수호자 주체성의 조건을 정리하였다. 수원향교는 정조 시대의 신도시인 수원화성이 조성됨과 동시에 팔달산 남쪽에 옮겨 세워졌단. 그때부터 지역적 향교 전통은 수원시의 도시화와 동반해 왔다. 195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향교 유림의 재전통화는 ①국가와 지자체, ②성균관의 중앙 유림, ③지역사회의 유지, ④일반 시민 간의 상호작용에서 조선시대와 유사한 중앙-지방, 관-학-민 이중구조를 재생산하였다. 이는 중앙 유림이 주도하는 역사·도덕 지식생산, 향교 경관과 장의(掌議) 조직에 주력한 유지들의 향교 중건, 그리고 국가와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관광화와 문화재화 등 운동들이 교차하는 과정이다. 그 와중에 수원향교도 자기만의 정치를 형성하였으며, 다방면의 집단행위자에게서 받은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역사 편찬과 장소성 체현, 전통문화 재현 등 다양한 교수법(pedagogy)으로써 향교 전통의 수호자 주체를 육성하면서 전통성에 결부된 향교 유림이라는 정체성을 구성해 왔다. 이어 본 논문은 구체적 사건을 통해 향교 유림이 수호자로서 주체화되는 논리를 검토하였다. 향교 재전통화의 이중구조에는 긴장이 내재하며 코로나19 위기에서 향교 재산과 의례의 전통성 문제를 둘러싸 격화하였다. 정부에 대한 불신과 재정 곤란, 조직의 취약성 등 위기에 당면한 향교 유림은 일제강점기 이래의 치욕적 집단기억과 재산 문제를 책임지었다. 그들은 경시하였던 도시사회의 정치경제에 새롭게 투신하면서 정조에서 비롯된 전통을 재점유하도록 하였다. 또한, 집합이 금지된 상황에서 그들은 성균관에서 체계화된 예법을 개편하여 `약식 석전례(略式 釋奠禮)'를 봉행하였다. 식전 연설과 축문 쓰기, 경전 인용 등 수단으로 자신의 정성과 성현과의 소통을 의례화하여 석전의 전통성을 확보하였다. 담론과 실천에서 전통을 중개로 역사와 도덕을 긴밀히 맺음으로써 그들은 불연속에서 창발적으로 향교 전통의 연속성을 추구하여 책임감이 더욱 강한 전통 수호자로서 주체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향교 유림의 개인적·세대적 삶을 고찰하여 실질적 전통성이 재생되는 논리를 검토하였다. 향교 유림은 대부분 70대 이상의 고령자로서 삶을 서사적으로 역사화하여 노후의 인생에서 전통으로 회귀한다는 공통의 패턴을 보였다. 탈전통을 겪은 세대에 속한 그들은 전통성을 통해 삶의 불연속을 연속시키고, 전통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향교 전통에 감정을 이입하거나 가치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중앙 유림이 주도하는 종교화 운동과 치열해진 젠더 모순, 그리고 한문에 관한 세대 차이에서 공부 실천으로 화합과 균형을 이루도록 지속해왔다. 타 종교와 여성, 젊은 세대와의 융합이나 공존에서 그들은 향교 전통 내의 탈전통을 추진하면서 계속 기억에서의 더 먼 과거와 사물 질서에서의 더 본질적인 듯한 존재를 지향하여 실천해 왔다. 이러한 집단적 실천의 패턴이 개인들의 삶의 방식과 일치함에 따라 도시사회의 유동적 유교공동체에서 실질적 전통성의 재생이 가능해졌다. 현대성은 과거에 대한 미래 세대의 저항을 우선시한다. 이 와중에 역사의식이 복잡한 시니어 세대에 속하는 향교 유림의 삶과 실천은 중요한 타자로 부각한다. 향교 전통으로 향하는 그들의 회귀는 향후 노령화 사회에서 계속 주목할 만한 문화적 패턴일 수도 있고, 인류학적으로 전반적 삶의 방식에 접근하는 데에 중요한 사례가 될 수도 있다. 本文将水原乡校视作可反映韩国乡校传统的典型案例,通过对其进行民族志调查,考察了当代韩国城市社会中乡校的实际地位。本文不仅着眼于乡校的文化遗产或儒教教坛功能,更着重分析了地方社会的乡校传统与地方市民的传统守护者主体化,从而通过阐释水原乡校相关社会行动者之间的互动来重新发现乡校传统的生命力与脆弱性。由此本文讨论了“去传统化”(de-traditionalization)和“再传统化”(re-traditionalization)反复交织的历史过程中主体化为传统守护者的乡校儒林们的“实质传统性”(substanive traditionality)——一种“生”之方式,以此为鉴反思“传统发明论”并重新审视现代韩国社会“传统”这一范畴的意义。 本文首先整理了水原乡校再传统化的历史脉络与守护者主体性之条件。随着朝鲜正祖年间新城市水原华城落成,水原乡校也移建至八达山南麓。自此,地方乡校传统便与水原的城市化始终相伴。20世纪50年代后半,乡校儒林们兴起再传统化运动,在国家与地方自治团体、成均馆的中央儒林、地方社会有志以及一般市民的互动之下,与朝鲜时期类似的中央-地方、官-学-民的二重结构得以再生产。这是中央儒林主导的历史·道德知识生产、有志们投身的乡校景观与掌议组织重建、以及国家和市民社会主导的旅游开发和文化遗产运动交织的过程。其间,水原乡校利用各方提供的资源开始经营自己的政治。乡校儒林们通过编纂历史、场所性具身化、传统文化呈现等诸多教学法(pedagogy)培养乡校传统的守护者主体并建构作为儒林的身份认同。 由此本文通过记述具体事件探讨了乡校儒林主体化为守护者的逻辑。实际上,乡校再传统化的二重结构中本就内含张力,而这一张力更是于新冠疫情期间随着乡校财产和仪式传统问题而浮上水面。乡校儒林们面临着财政困难、组织羸弱和对政府的不信任等危机,决心积极解决财产问题,承担起日本殖民时期的屈辱的集体记忆与历史责任。他们重新投身城市社会的政治经济体制中,意图重新占有正祖时期的历史传统。此外,面对疫情期间的禁止聚集政策,他们改编了成均馆系统化的礼法、奉行“略式释奠礼”,通过式前演讲、祝文写作、经典引用等手段来表达自己的“精诚”并仪式化与圣贤的沟通,从而确保了自身的传统性。在这些话语与实践中,历史和道德经由传统而紧密结合,乡校儒林们也在断裂中创造性地追求着乡校传统的延续,主体化为更具责任感的传统守护者。 最后,本文通过考察乡校儒林个人与世代的人生模式,探讨了实质性传统再生的逻辑。乡校儒林们大部分年逾七旬,他们将自己的人生叙事历史化地阐释,并展现出一种让后半生向传统“回归”的模式。作为历经“去传统化”的一代人,他们通过实现传统性来弥补自身人生历程的断裂,又在“工夫”传统的过程中对其注入情感、赋予价值。由此,他们试图通过“工夫”实践来化解中央儒林主导的儒教“宗教化”运动、愈演愈烈的性别矛盾以及关于汉文使用的世代差异,以此求得平衡。在与异教、女性和青年的融合与共存之中,他们也推动了乡校传统内部新的“去传统化”,始终朝向自身人生中更久远的过去与事物秩序中好似更本质的存在而实践。这种集体实践与个体人生的模式相耦合,使得实质传统性得以再生于城市社会的这一流动的儒教共同体中。 现代性始终更重视未来世代对过去的抵抗。对此,历史意识更为复杂的旧世代的乡校儒林们的“生”与实践构成了重要的他者。朝向乡校传统的这种“回归”不仅是日后老龄化社会中值得持续关注的文化模式,也将会是人类学迈向全面考察“生”的重要案例。

      • 도시형 한옥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연구 : 1950년대 서울시 마포구 개량한옥을 중심으로

        송동준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788

        본 연구는 “도시형 한옥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연구”로서, 도시형 한옥은 그 형식이 과거 우리나라의 주거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산업화를 겪으며 전통적 요소가 유입문화(Migrant Culture)와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난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혼화(Mixed)된 모습으로 지속/변화하고 있다. 도시형 한옥은 한국주거문화의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는 주거의 유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이러한 특징을 중심으로 도시형 한옥의 지속/변화를 분석하여 발전 가능한 요소를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나아가 전통성을 반영한 주거계획 시, 주(住) 공간의 융통성 있는 발전 가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도시형 한옥으로서 마지막 세대에 해당하는 1950년대 이후 개량한옥을 중심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Ⅰ장,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설정하고, Ⅱ장에서는 주거문화의 전통성과 변천/변화에 대한 고찰로서, 연구의 개념적인 틀과 주거문화의 개념, 주거문화의 전통성과 현대화의 관계를 정의하고, 시대별 주거문화의 변천과정 및 변화를 정리함으로써 각 시대별 주거문화의 변화요인을 파악하였다. Ⅲ장에서는 도시형 한옥의 형성배경과 의미, 도시형 한옥의 공간특성을 파악하여 전통 한옥과의 차별되는 점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분석을 위한 틀을 설정하고, 방문조사를 통해 도면분석, 관찰조사,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결과를 종합하여 도시형 한옥의 변화와 지속의 경향과 특성을 밝힌다. Ⅴ장은 이상의 연구에 대한 결과를 종합한 결론으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문화의 전통성은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이 있다. 가시적인 것에는 구법, 재료, 의장요소, 공간구조, 가구, 등이 있고, 비가시적인 것에는 생활양식과 이에 영향을 주는 시대정신, 가치관 등이 있다. 둘째, 전통성이라는 것의 개념은 오랜 세월을 통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원형적 요소로, 자연히 현대와 결부되어지며, 그것을 논하는 시점에서 소급(遡及) 되어지는 ‘시간성’과 생활로서 체험되고 공감되는 ‘공간성’이 동시에 논의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현대화란 서구화 또는 선진화를 의미하지 않고 생활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때 지속적인 것과 변화되는 것이 있고, 이는 생활에서의 요구와 필요에 영향을 받는다. 넷째, 도시형 한옥의 각 영역과 실들의 규모, 위치 및 공간구성의 변화라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기술, 사회/교육제도, 생활양식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서 거주자들의 요구에 의한 공간의 확장, 평면의 변화에 따른 채의 배치유형의 변화가 나타났다. 공간의 구성변화로는 기존의 실의 구성을 유지하면서 일부 공간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 실의 병합, 실을 완전 재배치 한 경우가 나타났다. 특징적인 것은 외부로부터 닫힌 면이 많을수록 주거조정 행위 또한 활발해 지는 특성을 나타냈다. 다섯 째 도시형 한옥의 지속요인으로 경제/기술적요인, 법제도적 요인, 전통생활양식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변화를 억제하며 도시형 한옥의 전통성을 유지에 역할을 하고 있다. 도시형 한옥의 지속에 대한 요인은 각각 별개의 요소들을 가지는 것이 아닌 요인의 중첩으로 지속과 변화의 저해요소를 결속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도시형 한옥의 변화성과 지속성에 관한 본 연구는 우리의 주거문화의 전통성을 반영한 주거계획 시 그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조사한 바와 같이 거주자들의 다양한 생활변화에 따른 주거조정 행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주 공간을 융통성 있게 변화시켜 전통성을 유지 발전 할 수 있는 주거공간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Urban Traditional House,’ and urban traditional house reflects Korea’s residential culture of the past, and has continued and changes in mixed form according to various social demands emerged as traditional elements interact with Migrant Culture experiencing industrialization. Urban traditional house has important meaning as a type of residence maintaining tradition of Korean residential culture, and it is the study’s first goal to derive developable element by analyzing continuity and change of urban traditional house focusing on such a feature. And furthermore, the study intends flexible developable suggestion of residential space for residential plan reflecting tradition. This study performed study focusing onto improved traditional houses after 1950, which are relevant to the last generation of urban traditional house. For structure of this study, Chapter Ⅰ, establishes the goal and range of study, Chapter Ⅱ, as inquiry on tradition and transition/change of residential culture, defines conceptual formality, concept of residential culture, relation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zation of residential culture and arrange transition process and change of residential culture of each period to grasp change factor of each period’s residential culture, Chapter Ⅲ, examines distinctions of urban traditional house with traditional house by grasping forming background and meaning of urban traditional house, and spatial feature of urban house, Chapter Ⅳ, establishes formality to analysis, and performed plan analysis, observation survey, and in-dept interview through door-to-door survey, and clarifies trend and characteristic of urban traditional house’s continuity and change by integrating the results, and Chapter Ⅴ, is results integrating the above studies, and its summary are as follows: First, tradition of residential culture has visible and invisible features. For visible feature are ancient law, design element, spatial structure, furniture, etc, and for invisible feature are lifestyle, and the sprit of the time, values, etc influencing it. Second, the concept of tradition is a original element handed down to the present time through long times, and naturally combined with the present, and ‘time’ retroacted at the point of discussion and ‘space’ experienced as life and sympathized have to be discussed simultaneously. Third, modernization does not mean westernization or advancement, but change in life. Here are continuous thing and changing thing, and they are influenced by demands and needs in life. Fourth, characteristic of changes in each scope of urban traditional house, scale of room, and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were discovered. Such changes are due to changes in technology, social and educational system, and changes in lifestyle, and expansion of space by resident’s demand and changes of arrangement of building by change of plane were shown. For structural change of space, when changing the use of partial space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existing room, cases of combining rooms, or complete rearrangement of room were shown. One of their characters is that the more closed surfaces from the exterior, the more active acts of residence adjustment. Fifth, continuing factors of urban traditional house have close correlations with economical/technological factors, law system factor, and traditional lifestyle. These suppress change and maintain tradition of urban traditional house. Continuing factors of urban traditional house are not about having each individual factor but superposition of factors and function to unite obstruction factors of continuity and change.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on continuity and change of urban traditional house can reflect characteristics of urban traditional house when planning residence reflecting tradition of our residential culture, and as seen in research, will be able to suggest appropriate possibilities of residential space that can sustain and develop tradition as residents actively deal with residential adjustment acts according to various changes in lifestyle and change residential space flexi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