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영전략과 기업수명주기에 따른 관리통제시스템 이용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기업들은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경쟁적 우위를 얻기 위하여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수립된 경영전략에 맞게 MCS를 설계하고 이용한다. 그리고 기업은 수명주기 단계별로 다른 상황에 직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중점적인 관리대상 또는 관리방식이 바뀌게 되므로 MCS의 이용방식도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제조 기업 중심으로 진행된 MCS와 관련된 연구를 서비스기업으로 확장하여 경영전략과 MCS 간의 적합성, 그리고 기업수명주기와 MCS 간의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하나의 연구모형을 통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우위 전략의 이행수준이 높은 기업은 그렇지 않는 기업에 비해 관료적MCS의 이용수준이 높고, 차별화 전략의 이행수준이 높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비관료적MCS의 이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장기 단계의 기업은 성숙기 단계의 기업에 비해 비관료적MCS의 이용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료적MCS의 이용수준에 따른 조직성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관료적MCS의 이용수준에 따른 조직성과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가우위 전략과 관료적MCS의 적합도에 따른 조직성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별화 전략과 비관료적MCS의 적합도에 따른 조직성과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업수명주기와 MCS의 적합도에 따른 조직성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장기 단계에 있는 기업이 비관료적MCS를 많이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재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유연성을 강조하는 비관료적MCS의 이용이 조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차별화 전략을 추구하는 기업은 비관료적MCS의 이용수준을 높여야 성과향상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서비스 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경영전략과 MCS의 적합성 그리고 기업수명주기와 MCS의 적합성에 따라 조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케이블TV사업자의 경쟁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찬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창출하고 기업 성과를 달성하는 특징적 요인을 발견하는 것은 전략경영 연구의 핵심이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동태적 경쟁환경 속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특히 경쟁 증가로 인해 위기에 직면했을 때, 어떤 특성을 가진 기업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그 대응방법을 결정짓는 기업특성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은 기업의 조직효율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강준구·백재승, 2001).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 사업 운영이 가능했던 유료방송시장에서 경쟁이 증가했을 때, 케이블TV사업자의 대응 전략이 어떻게 변화했으며, 전략적 선택의 결과, 기업의 성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경쟁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각 케이블TV사업자는 기업 및 시장 특성에 따라 대응 전략적 선택이 달라져왔기 때문이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내 케이블 산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내 유료방송산업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77개 권역, 89개의 케이블TV사업자를 세부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케이블TV사업자의 경쟁전략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와 그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쟁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Anova test를 수행한 결과, 일부 특성에 따라 전략적 선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기업 규모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MSO와 개별 SO는 가격 전략, 서비스 전략, 콘텐츠 전략, 마케팅 전략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지역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서비스 및 콘텐츠 투자 전략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투자성향에 따른 차이 검증 결과, 서비스 가격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케이블TV사업자의 경쟁전략 행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유료방송산업의 특성상,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는 경쟁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핵심 요소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수록 투자수익률이 증가한다는 것은 유료방송산업의 본원적 경쟁에 집중할 필 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가입자의 경우, 서비스 가격이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서비스 가격경쟁보다는 다양한 서비스 경쟁에 투자하는 것이 오히려 가입자 증가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경쟁기업의 경쟁전략 행위가 중심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비록 가설은 기각되었으나, IPTV사업자의 서비스 가격이 증가할 수록 케이블TV사업자의 ROI가 증가하는 것은 전반적으로 유료방송산업이 가격 경쟁에 집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쟁기업의 경쟁전략행위가 중심기업의 경쟁전략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IPTV사업자의 경쟁전략 행위가 증가할수록 케이블TV사업자의 경쟁전략행위도 증가한다는 분석 결과는 곧 경쟁기업의 전략적 행위가 중심기업의 전략적 행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방송사의 경쟁전략과 경영성과와의 관련성 연구는 극히 미미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는 유료방송산업에서의 경쟁이 증가할 때,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경쟁 전략 유형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경 영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기업의 경쟁전략과 경쟁기업의 경쟁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특히 본 연구결과로 케이블TV사업자의 성과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략으로 인식되어왔던 원가전략은 일부 유용할 수는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차별화 전략 및 집중화 전략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였는데 이는 정책적 및 산업적으로 큰 시사점을 갖는다. 즉, 경쟁환경이 불확실한 국내 유료방송 산업에서 차별화 전략(서비스 및 콘텐츠)에 집중하여 경쟁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유료방송산업의 경쟁정책 및 전략이 저가 가격정책 및 전략에서 벗어나 차별화 정책 및 전략으로 경쟁의 질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존재한다. 본 연구는 케이블TV사업자를 중심으로 경쟁사업자(IPTV)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으나, 현 시점에서 유료방송산업 내 경쟁관계를 적절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OTT 등 다양한 사업자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측정변수의 제한으로 인해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존재하며, 본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은 전략적 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전략을 개별 상품 또는 유사 상품, 대응상품별로 출시시기를 구분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존재하며, 서비스 출시시기는 전략적 대응시기를 의미하고 대응 시기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추가 연구에서는 대응시기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전략의 적합성이 기업특성과 정보기술 도입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임길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기업의 경영전략과 정보화 전략은 상호연계가 이루어져야 기업의 성과가 향상될 수 있다는 국외의 연구결과는 오래전에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관점에서의 국내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보기술의 도입 및 확산 요인이 도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기업의 경영전략과 정보화 전략의 적합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정보기술도입 및 확산 요인과 도입성과 간의 조절적 역할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보기술의 도입 및 확산 요인으로 과업특성, 조직특성, 환경특성을 제시하고 각 요인별로 하위변수를 정의하였으며, 도입성과는 비 재무적 성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특성의 정보 제공정도, 시스템 품질, 지각된 효과, 환경특성에서는 경쟁정도, 외부압력, 환경 불확실성 요인은 모두 도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조직특성에서는 기술지원/전담인력, 사용자 IT역량, 교육/훈련은 도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으나, 조직의 구조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변수들이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조직 내 구성원의 예산 설정 권한, 부서의 의사결정의 자율성, 상사의 업무 지시정도, 의사결정 권한이 소수 개인에게 집중된 정도 등으로 정의된 조직의 구조는 정보기술 도입 및 확산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수로 분석되어 조직의 구조는 정보기술과 같은 혁신기술의 도입 및 확산에는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임을 밝혀 낼 수 있었다. 둘째, 기업의 경영전략과 정보화 전략의 적합성 요인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검증을 하였는데, 검증 결과 전략의 적합성 요인은 과업특성의 시스템 품질, 지각된 효과, 조직특성 변수에서는 기술지원/전담인력, 사용자 IT역량, 교육/훈련, 환경특성에서는 경쟁정도, 외부압력, 환경 불확실성 등의 변수와 도입성과 간에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전략의 적합성이 과업특성의 정보 제공정도, 조직특성의 조직의 구조와 도입성과 간에는 조절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경영 전략 수립, 정보화 전략 수립, 정보기술 도입 및 확산을 담당하는 경영기획, 정보화기획 담당자들이 실무적으로 참고하여 국내 제조 및 서비스 업체들의 정보기술 도입 성과가 증가하기를 기대한다.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 전략 사용 분석 연구

        최지은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을 위해 언어 학습 전략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여성결혼이민자가 언어 학습 전략을 사용한다면 어떤 언어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지, 학습자 변인과 학습 전략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조사한 언어 학습 전략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습 환경을 살펴보아 학습자의 특수성에 맞는 전략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초급반, 중급반의 여성결혼이민자와 경기도 의정부에 있는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실의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 서울 소재 대학 내 복지센터의 한국어 교실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여 총 77명을 설문조사하였다. 또한 설문지의 객관식 문항으로 알 수 없는 사항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2개의 주관식 문항을 추가하였으며 질적 분석을 위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선행 연구, 연구 방법의 내용을 기술하였다. 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언어 학습 전략의 정의, 분류, 언어 학습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술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측정 도구로 사용한 R. Oxford(1990)의 언어학습전략목록(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SILL)을 기준으로 삼았던 선행 논문들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학습 전략 사용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주제로 쓴 논문들을 읽고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 학습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Ellis(1994)의 요인 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학습자의 개인적 요인’,‘상황적 요인’,‘사회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각각의 요인들 중 설문지라는 한정된 틀 안에서 조사할 수 있는 변인들을 선별하여 설문지의 기초조사 부분을 구성하였다. 또한 3장의 내용은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 환경을 이해하는 자료로 주관식 문항 응답과 질적 분석을 위한 면담 자료 분석에 참고하였다. 4장은 1장에서 언급하였던 연구문제와 가설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구체적인 연구 설계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분석 방법은 수집한 설문지를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수거한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학습자 변인에 해당하는 기초조사 부분의 빈도와 비율를 알아보았으며 전략별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F-검정,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후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5장에서는 앞서 분석방법에서 제시했던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전체 신뢰도 분석 결과 0.831의 신뢰도 계수를 나타냈으며, 기초 조사의 빈도 및 비율은 설문지를 구성할 때 선별한 10개 문항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 학습 전략 사용빈도에서는 전략별 기술통계, 문항별 기술통계량을 제시하였으며, 여성결혼이민자의 상위 10가지 전략문항과 하위 10가지 전략문항을 알아보고 분석하였다. 변인에 따른 차이검정은 기초조사응답내용과 전략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 국적, 직업 유무, 한국 생활 만족도에서는 특별한 유의 확률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력, 한국어 수준, 한국거주기간, 한국어학습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식 응답은 설문지의 2개 주관식 응답에 대한 사례수와 응답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위 연구 결과를 여성결혼이민자 4명의 인터뷰 면담을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정리하였다. 6장에서는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결론을 정리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를 배워야 하는 목표를 분명히 가질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하며, 한국어를 공부했을 때 한국 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을 알려주어야 한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줘야 한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쓰기 영역의 경우 실생활에서 한국어 쓰기를 전이시킬 수 있는 활동들로 구성해야한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어 어휘를 학습할 때 어휘를 공부하는 다양한 전략을 함께 학습해야 한다. 다섯째, 초급 수준의 학습자부터 언어 학습 전략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한국어 교실 수업에서 체계적으로 전략들을 적용한 학습 과정을 구성해야 한다.

      • 經營戰略과 情報戰略 連繫方安의 發展的 方向에 관한 硏究

        金順日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업들은 급격한 환경 변화와 무한 경쟁 시대 속에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증가 및 생존경쟁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경영전략을 3~5년 단위로 수립하고 있다. 경영전략과는 별도로 정보전략을 수립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정보전략은 기업의 정보환경 구축과 기업의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경영전략과 반드시 연계되어야 하고, 많은 기업에서는 연계를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고 연계하려는 노력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영전략이 먼저 수립되고 정보전략 수립 시 경영전략을 이해 및 분석 . 검토하는 단계에 포함되긴 하지만 현재까지는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을 동시에 수립하는 사례를 찾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을 효율적으로 연계 수립할 수 있는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중복투자를 배제할 수 있고,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의 일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를 진행시키기 위해 저자는 기존의 관련 문헌들을 분석 . 검토하여 경영전략과 정보전략 연계의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저자가 과거 27년간 공공기관에 근무하며 관찰하였던 바를 참고하여 공기업인 A 공사 사례연구를 통해 효과성을 입증하고 결론을 도출하는 연역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을 연계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문헌을 연구, 분석 한 바 여러 가지 방안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의 연계방안으로 제시한 Luftman, Lewis. Oldach의 융합연계 프레임워크 네 개 분면의 구성을 바탕으로 Cresap, McCormick &Page사가 제시한 정보전략과 경영전략의 연계성을 높이는 연결요소로 ➀ 경영계획 내에 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포함시키는 경우 ➁ 정보시스템 계획 수립 시 경영전략을 포함시키는 경우 ➂ 정보시스템계획을 경영계획과 비교하여 세밀하게 체크시키는 경우 ➃ 현업부서 경영자들이 정보시스템 계획 수립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우 ➄ 경영계획과 정보시스템 계획의 일정을 잘 조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들 각각의 연결요소들이 정보전략과 경영전략을 수립할 때 어떻게 적용되었는가, 수행과정상에서 내용상, 시기상, 인적자원을 어떻게 적용하여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을 연계하였는지 공기업인 A 공사의 사례에서 살펴보았다. 그 연구 결과 A 공사를 Luftman, Lewis. Oldach가 제시한 융합연계 프레임워크 네 개 분면의 구성을 바탕으로 Cresap, McCormick & Page사가 제시한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의 연계요소에 대한 분석을 하여 본 결과 A 공사는 정보전략 수립 시 경영전략을 참조하는 형태를 적용하여 연계하였다. 정보전략 수립 시 경영전략의 이해를 위하여 경영현안 및 방향에 대한 경영진들의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총 12부처 47개 팀을 대상으로 현업 인터뷰를 실시(총 96명)하고 필요시에는 각 업무 담당자들과 상세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A 공사는 전 부서 50개 팀을 대상으로 총 382건의 설문 등을 통하여 시스템 현황 및 요구사항을 어느 정도는 수렴하였으나 완전히 수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른 연계요소들을 분석 해 본 결과 경영전략 내에 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포함시키는 형태는 중장기경영전략이 수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정보전략이 수립되게 되었고 중장기경영전략은 매년 수정이 되고 있어 시기적으로 포함시킬 수 없었고, 정보전략을 경영전략과 비교하여 세밀하게 체크하는 형태는 기 수립된 중장기경영전략 중 정보전략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을 거쳤으므로 이 형태의 일치에 대해서는 최다한 노력을 했다고 할 수 있다. 현업부서, 경영진들의 정보전략 수립과정에 참여 형태는 체계적이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라기보다는 정보시스템 부서 주도하의 수동적 참여 형태로 이루어지긴 했으나 사용자 참여과정은 적극적이라고 할 수 있다.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의 일정 조화시키는 형태는 중장기 경영전략이 기 수립되어 운영 중에 있어 수립시점이 달라 조화시키기가 어려웠다. 기본적으로 정보전략 수립 시 경영전략을 연계하고자 하였으나 그 수립시점상의 상이로 인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경영전략 반영을 이루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의 수립에 공동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기업의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을 연계될 수 있는 방향과 모델을 제시하였고, 급변하는 환경변화 속에서 경영전략을 매년 수정할 때마다 정보전략 도 수정하고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의 수정 연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게 되면 경영전략과 정보전략의 수립시기상의 일치가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경영전략과 정보전략 연계를 시도하는 기업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저자의 바람이며, 향후 같은 주제로 연구하는 분들에게 진일보된 결과를 부탁합니다.

      • 중국의 전략적 내러티브 연구 : - 일대일로 전략에 대한 유럽 국가들의 대응을 중심으로 -

        김양업 국방대학교 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내러티브연구(Narrative Study)에 기초하여 일대일로 전략이라는 중국의 전략적 내러티브가 어떻게 형성되고, 국제사회에 투사되었으며, 유럽국가들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과정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1세기 들어 Joesph S. Nye가 고안한 ‘소프트파워’는 국제정치 분야에서 점점 더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소프트파워 개념의 세 가지 원천은 국가의 문화와 구성원들의 정신적 가치, 외부에 정당하게 비쳐지는 외교정책인데, 외교정책에 대한 국내외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수단으로 설득력 있는 전략적 내러티브(Strategic Narratives)의 활용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중국을 그들이 생각하는 아시아 최강국이라는 역사적 위치로 복귀시키려는 ‘중국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일대일로 전략’이라는 전략적 내러티브를 형성하였다. ‘일대일로 전략’은 서양을 포함한 국제적 청중들에게 ‘신 실크로드’로 홍보되고 있는데, 이는 국제정치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공동의 의미를 구성함으로써 중국과 일대일로 전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추구하기 위해 실크로드의 공유된 의미를 활용한 것이다. 시진핑은 중국외교전략의 최고 설계자로서 국제무대에 중국의 가치관과 이익이 반영된 ‘일대일로 전략’이라는 전략적 내러티브를 제시함으로써 이를 통해 국제사회에 중국의 영향력을 유지 및 확대하고자 한다. 중국은 서방국가들이 주도하는 국제 미디어 환경에서 중국의 의견이 올바르게 전달이 되지 않거나 왜곡되고 있다는 인식 하에 소프트파워 강화와 동시에 국제홍보능력 강화와 외교내러티브체계 구축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일대일로 전략의 세부 진행 과정에서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틱톡, 위챗으로 대표되는 자국 소셜네트워크 앱의 개발, 외국 언론사에 대한 거대 자본의 투자로 중국 중심의 미디어 환경 구축 등 다방면으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이미지는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대해 다른 국가들은 중국과의 협력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이익과 자국의 존재론적 안보의 보장 여부에 따라 대중국 전략을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특히 유럽에 주목하여 그 구체적인 사례로 영국, 이탈리아, 리투아니아 세 국가를 분석한다. 국제관계와 의사소통의 연결고리로서 ‘일대일로 전략’이라는 중국의 전략적 내러티브는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고, 투사되며, 수용되는지에 대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strategic narrative of Belt and Road Initiative was formed, projected in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ccepted by European countries based on the narrative study. In the 21st century, the "soft power" devised by Joseph Nye is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 three sources of the concept of soft power are the culture of the country, the mental value of its members, and foreign policy that is justified by the outside, and the use of persuasive strategic narratives is drawing attention as a means to elicit domestic and foreign support for foreign policy. In particular, China formed a strategic narrative called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as a concrete way to realize “China's dream” of returning to its historical position as Asia's strongest countr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is being promoted to international audiences, including the West, as a "New Silk Road," which uses the shared meaning of the Silk Road to pursue positive perceptions of China and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by constructing a common meaning for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As the top architect of China's diplomatic strategy, Xi Jinping aims to maintain and expand China's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presenting a strategic narrative called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that reflects China's values and interests on the international stage. China has been pushing to strengthen its soft power and strengthen its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capabilities and establish a diplomatic narrative system under the recognition that China's opinions are not properly conveyed or distorted in an international media environment led by Western countries. However, China's imag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despite its large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development of its own social network apps represented by TikTok and WeChat, and its investment in foreign media companie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analyzes the three countries, United Kingdom, Italy, and Lithuania, especially focusing on Europe, as a specific example, claiming that other countries are forming a strategy for China based on the economic benefits expected from cooperation with China and their ontological security. As a link betwee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China's strategic narrative of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how it is formed, projected, and accepted.

      • 경쟁전략과 조세전략이 원가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양성직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기업경영에 있어서 생존을 위한 또한 기업고객에 대한 가치사슬 측면의 대표적인 경쟁전략을 차별화전략기업과 원가우위전략기업으로 분류하고, 기업의 외부에 대한 영향의 대표적인 정부측면의 법인세에 관한 조세전략으로서 조세부담에 직접적인 영향을 보이는 조세혜택의 많고 적음과 추가적으로 법인세율 인하에 대하여, 즉 경쟁전략과 조세전략이 원가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경영의 미래에 대한 예측유형인 낙관적인 상황과 비관적인 상황에서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인건비 등의 원가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거나 코스닥시장에 등록되어있는 1999년부터 2013년 까지 총 15년간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표본을 선정하였다. 경쟁전략은 평균 5년을 기준으로 측정하였고, 조세혜택은 평균 3년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이며, 경쟁전략은 11,319개 기업-년도, 조세전략은 5,275개 기업-년도를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인건비 4개 항목 원가의 비대칭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설명변수로는 경쟁전략, 조세혜택 및 법인세율 인하를 사용하였고, 일반통제변수로 최대주주지분율, 외국인투자지분율, 유형자산집중도, 부채비율을 사용하여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인건비 등 4개 원가항목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방법으로 통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본 분석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건비를 제외한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에서 기업의 매출감소시 차별화전략기업의 하방경직성이 원가우위전략기업보다 강화된다. 본 연구에서 기업의 R&D, 종업원, 매출성장, 순자산 등에 투자에 대하여 5년 평균치를 기준으로 배점이 높은 기업이 차별화전략기업으로, 배점이 낮은 기업은 원가우위전략기업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차별화전략기업의 특성인 설비용량자원 등 차별화를 위하여 각종 투자를 원가우위전략기업보다 많이 하게 되어, 매출감소시 인건비를 제외한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에서 차별화 전략기업이 원가우위전략기업보다 하방경직성을 강하게 나타냈다. 둘째, 기업경영의 낙관적인 상황에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에서 차별화전략기업이 하방경직성이 강화되었고, 기업경영의 비관적인 상황에 총원가, 판매관리비에서 하방경직성도 강화되었다. 따라서 차별화전략기업이 원가우위전략기업보다 낙관적 상황 또는 비관적 상황에 불구하고 하방경직성이 강화되는 결과를 보이는 것은 차별화전략기업이 원가우위전략기업보다 기업의 차별화를 위한 투자를 하고 있다는 분석을 더욱 강건하게 한다. 셋째, 조세혜택은 법인의 투자와 고용 등과 관련한 사항이 대부분으로 조세혜택이 많은 기업의 경우 매출감소시에 투자관련 유지비용과 조정비용 중 유리한 비용을 선택할 것인데, 이미 투자가 많이 이루어진 상황이므로 유지비용을 선택할 것이며, 검증결과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에서 하방경직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의 조세혜택은 장기투자나 고용 등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업의 일시적인 매출 감소로 기업이 투자를 중지하거나 고용을 축소 하면, 조세혜택이 취소되거나 중지된다. 이 경우 정부로부터 가산세 부과 및 감면취소 등 정부의 규제가 따르며 유효세율이 증가하여 원가부담이 가중된다. 따라서 일시적인 매출 감소로 조세혜택을 취소하는 의사결정은 곤란하므로 유지하는 결정이 예상된다. 그런데 경영상황이 낙관적인 경우 본 분석에서는 유의성이 없었고, 비관적인 경우 총원가, 매출원가, 판매관리비에서 하방경직성이 강하게 나타나 일부에서 판단이 곤란하다. 다섯째, 조세혜택이 많은 기업의 법인세율 인하 직전년도에 하방경직성이 강화되고, 법인세율 인하 및 기타 연도보다 하방경직성이 완화될 것으로 보았으나, 법인세율 인하 직전년도, 기타 연도와 관계없이 하방경직성이 강화됨을 보여주고 있어, 법인세율 인하에 따른 이익조정으로 인한 원가의 비대칭성을 발견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 성과는 경쟁전략과 조세전략으로서 조세혜택과 법인세율 인하가 원가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경영학과 원가회계 및 세무학 분야를 접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의료기관 관계인이 지각하는 러시아?중앙아시아 의료관광 마케팅 전략에 관한 IPA 연구 : - 인천?부천지역 의료기관 관계인을 중심으로 -

        강형범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료기관 관계인이 지각하는 러시아⦁중앙아시아 의료관광 마케팅 전략에 관한 IPA 연구 - 인천⦁부천지역 의료기관 관계인을 중심으로 - 인천·부천지역의 러시아·중앙아시아 외국인 환자 유치 업무를 담당하는 인·부천 소재 대학병원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료관광 마케팅 믹스 전략을 러시아·중앙아시아 외국인환자 유치 마케팅 요소 인지도, 병원서비스, 병원수가, 의료기관의 위치 등, 의료기관 프로세스 등, 물리적환경 등, 정부 및 지자체 차원의 광고 등, 판매촉진전략, 온라인 마케팅, 유치대행사 수수료에 대한 총 80문항에 대한 실무 전문가들이 평가하는 중요도-만족도를 분석결과를 토대로 높은 중요도-만족도를 보이는 문항을 제외하고 높은 중요도에 비하여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문항에 대하여 인천·부천지역 러시아·중앙아시아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한 마케팅 믹스 전략에 대한 의료관광 마케팅 전략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지도의 개선이다. 대한민국 국가의 의료관광 인지도에 대한 중요성은 높으나 만족도는 떨어진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인천·부천 지역의 의료관광 메카 및 의료기관 인지도가 중요성 보다 만족도가 현저히 낮아 이에 대한 지자체 관광공사, 의료기관이 협조하여 인지도 상승을 위하여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활동이 요구된다. 둘째, 국제수가(외국인수가)의 국제 경쟁력 확보이다. 러시아·중앙아시아 외국인환자 유치를 위한 병원수가 관련하여 의료기관 국제수가(외국인수가) 및 국제경쟁력에 대한 중요성은 높으나 만족도는 현저히 떨어진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으며 경쟁 국가인 독일, 이스라엘, 훌륭한 의료진, 서비스, 저렴한 진료비, 휴양관광, 쇼핑이 발달한 싱가포르, 태국 보다 인·부천지역으로 의료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하여는 의료기관들의 국제수가(외국인수가)에 대한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국가차원의 국제수가(외국인수가)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세분화된 의료관광 상품 개발과 국제수가(외국인수가)의 조정이 필요하다. 특히 의료기관의 종합검진 상품의 경우 국가별, 상황별, 타깃별 시장세분화를 통한 차별화된 종합검진 상품과 이에 맞는 고 수가 전략과 저 수가 전략을 탄력적으로 운영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온라인마케팅 활동의 강화이다. 대한민국, 인·부천지역, 의료기관의 인지도 상승을 위하여는 국가, 지자체 차원의 의료관광객 유치활동에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의료기관에서는 정보, 인력, 비용 등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기관, 지자체 등과 적극적인 공동 프로모션이 필요하며, 의료관광 증대를 위한 광고 및 홍보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유치대행사 수수료 개선이다. 의료기관의 국제수가와 유치대행사에게 지급하는 외국인환자 유치 수수료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정부 및 보건산업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유치대행사 지급하는 수수료에 대한 권장 수수료율이 있으나 국내 및 해외 유치대행사 수수료는 유치대행사와 의료기관간의 상호 협약하고 있다. 높은 유치대행사 수수료 지급은 의료기관별 국제수가(외국인수가)의 책정 시 반영될 수 있어 대한민국 의료기관들의 국제수가(외국인수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여섯째, 중증환자 유치전략이다. 인·부천지역의 대학병원들은 암, 뇌·심혈관계 수술 등의 전문진료분야에서도 인정받고 있고 최첨단 진료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경쟁국가 독일, 이스라엘, 태국, 싱가포르 등의 의료관광 선도국에 비해 아직은 인지도 및 가격경쟁력이 부족하다. 국내에서는 서울, 경기, 부산 등 타 지역과의 경쟁시 인·부천지역 및 의료기관 브랜드 인지도가 떨어지고, 국제수가(외국인수가)의 가격경쟁력과 시장규모가 작으므로 이에 대한 정부, 인·부천 지자체, 의료기관의 공동프로모션 개발을 통한 인지도 상승이 이루어져야 한다.

      • 전략적 연계를 통한 기업변신에 관한 연구

        이석인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세계는 심각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기업 환경의 변화는 기업에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가져다 준다. 생존하기 위해서 기업은 변신해야 한다. 기업변신의 목적은 도전을 통제하고 기회의 우위를 얻는 것이다. 정보기술의 역할이 지난 몇 십년간 상당히 변화해 왔다. 정보기술의 역할이 전통적인 지원 역할을 넘어서 전략적 역할로 발전하고 있다. 조직에서 정보기술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략의 연계가 필요하다. 전략연계 모형은 기업의 성공이 기업 전략, 정보기술 전략, 조직 하부구조, 그리고 정보시스템 하부구조의 연계에 달려있다고 본다. 이 연구에서는 전략연계 프레임웍을 개발하여 기업변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전략연계 프레임웍은 전략연계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전략연계 모형은 기본적으로 수직적 연계와 수평적 연계의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은 전략적 적합과 기능적 통합이라 하며, 이 두 차원을 통해 전략연계를 진단한다. 진단 결과를 분석하여 전략 방향을 수립한 후 구체적인 방법론을 적용한다. 전략연계 프레임웍의 유용성을 지원하는 방편으로 광주은행의 기업변신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odays's world is experiencing profound changes which give organization challenges as well as opportunities. To survive, business should be transformed. The objective of the business transformation is to control the challenges and take advantage of the opportunities.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significantly changed over the last decade. Information technology has evolved from its traditional orientation of administrative support toward a more strategic role within an organization. The effective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an organization requires strategic alignment. Strategic alignment model posits that the success of an organization depends on the alignment across business strategy, information strategy, organization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systems infrastructure.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a strategic alignment framework to help effective business transformation. This framework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trategic alignment model. The strategic alignment model is consists of two dimensions: vertical alignment and horizontal alignment. These are called strategic fit and functional integration respectively. If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strategic alignment along these two dimensions, concrete methods can be applied to determine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business transformation. This study, using the strategic alignment framework, analyzes a business transformation case of the Kwangju Bank. As a result, the usefulness of the strategic alignment framework is strongly supported.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in the e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