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효지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B, C지역아동센터를 이용 중인 초등학교 5~6학년으로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 중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아동 5명이다. 2009년 10월 27일부터 2009년 12월 04일까지, 주 2회씩 80분간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존중감척도(권영미, 1999)와 또래관계척도(박인숙, 2008)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비모수 검증(nonparametric test)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윌콕슨 부호순위검증(Wilcoxon's signed ranks test)으로 분석하였고, 동적 집․나무․사람(Kinetic House-Tree-Person KHTP)검사에 나타난 그림변화와 프로그램 단계별 아동의 행동변화를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질문지 검사에서 집단원 5명 모두의 점수가 상승되었다. KHTP검사에서도 사전에는 전반적으로 필압이 끊어지고 약하며 그림의 크기가 작고, 그림의 일부에 음영이 칠해져 있었는데 사후에는 필압이 선명해지고 그림의 크기도 커졌으며 누군가와 함께 활동하는 모습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음을 엿볼 수 있었다. 행동관찰에서도 표정이 어둡고 부정적인 자기표현과 작품에 대한 낮은 평가를 보이던 집단원은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표정도 한층 밝아지고 자신의 의사를 분명하게 표현하였고 작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결과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졌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또래관계 전체와 사회적지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질문지 검사에서 집단원 5명 모두의 점수가 상승되었다. 행동관찰에서도 초기에는 부정적인 언어 사용과 경쟁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집단원간에 자연스런 상호작용과 서로간에 칭찬과 격려를 통해 긍정적인 또래관계기술을 익히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부정적인 언어사용의 빈도가 줄어들고 성공적인 또래관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긍정적인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낮은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에게 부정적인 자아상 개선과 성공적인 또래관계 경험을 통해 심리․사회적 안정을 유도하였고 그 효과를 검증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저소득층 아동을 P시에 소재한 아동 5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단일집단설계로 후속연구에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설계로 실시한다면 보다 명백한 효과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the peer relationship of low-income children. The study subject was 5 low-income children, who were 5th o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 C Community Children's Center located in P city. They had a difficulty in peer relationship in the two Community Children's Center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program. For them,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during 12 sessions for 8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rom October 27, 2009 to December 4, 2009. The measurement scale was the self-esteem scale(Kwon, Young Mi, 1999) and the peer relationship scale(Park, In Suk, 2008), which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Nonparametric test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And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pretest and post test was analyzed by Wilcoxon's signed ranks test. The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changes in the pictures in KHTP(Kinetic House-Tree-Person) and for the changes in the children's behavior by steps of thi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self-esteem of low-income children. The scores of all the five group members were increas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In view of KHTP test, the brush pressure was snapped, weak and the picture was small before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And shadow was painted on a part of the picture. However, after this program, the brush pressure became distinct, and the picture size grew bigger. And they played and painted a picture with someone else. It means that their sense of self-esteem was improved. In behavior observation, their face was dark and they expressed themselves negatively. And they made light of their own works. However, as this program went on, their face lighted up, and they expressed themselves positively. And they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ctively, and their satisfaction degree on their works was heightened. Secondly, this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whole peer relationship and the social support of low-income children. The scores of all the five group members were increased. In view of behavior observation, in earlier time of this program, they used negative language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However, as this program went on, they became familiar with a skill for positive peer relationship by way of natural feedbacking activities and praises and encouragement between themselves. Consequently, the frequency of using negative language was reduced. and they experienced a successful peer relationship. In conclusion, it is certain that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e of self-esteem and the peer relationship of low-income childre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provides the children with low self-esteem and negative peer relationship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for the self-image's change from negative to positive and for a experience of successful peer relationship, and furthermore in that it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this group art therapy for the low-income children. However, as the subject was 5 low-income children in P city, it is not easy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ingle group desig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ame group art therapy program by comparison group design in further studies. And then the effectiveness of this art therapy program will be identified more explicitly.

      • 저소득층 여성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식생활 위험요인 분석 :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장희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저소득층 여성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 개선을 위한 식생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7∼2009)를 활용하여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식생활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20세 이상 성인 여성 8,356명을 대상으로 소득계층에 따라 영양상태와 식습관을 비교하였고, 가구소득수준 하위 25%에 해당하는 저소득층 여성 1934명의 식습관 특성을 연령별, 비만기준별, 영양소 섭취수준별로 비교하였다. 영양상태와 식사패턴 분석은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저소득층 여성은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비만율이 높았고, 영양소 섭취상태는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탄수화물 섭취비율은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높았고, 식품 안정성은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낮았다. 식생활지침의 인지율과 실천율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활동 실천율도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소득층의 아침결식율은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낮게 나타나 다른 지표와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저소득층 여성을 연령별로 비교해 보면 65세 이상은 총체적인 영양불량상태이고 50세 이상 65세 미만 연령대는 비만율이 가장 높았다. 20대는 철 영양상태가 불량하고 아침결식률과 저체중 비율이 높아 65세 이상과 함께 가장 영양위험이 우려되었다. 저소득층 여성을 비만기준 집단별로 비교해 보면 저체중군이 영양상태와 식습관, 신체활동 실천면에서 가장 취약하였으며, 비만여성은 저체중군과 정상군에 비해 신체활동 실천률과 아침식사 습관은 바람직하나, 짜게 먹는 식습관이 가장 큰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여성의 탄수화물 섭취비율은 중성지방 농도, HDL-콜레스테롤과 관련이 있어, 탄수화물 섭취비율이 가장 높은 4분위수군은 1분위수군에 비해 대사증후군에 대한 교차비가 1.56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칼슘 섭취량은 중성지방 농도에 영향을 미쳐 칼슘섭취량이 가장 많은 4분위수군은 고중성지방혈증의 질병위험도가 5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여성의 식사섭취패턴은 요인분석을 통해 4가지 패턴이 추출되었다. 전통적인 균형식 특징을 가진 패턴 1 ‘흰쌀류 -두류-종실류-채소류-김치류-과실류-어패류-해조류-조미료류’ 은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서양식 특징을 가진 패턴 2 ‘밀가루 및 빵류-전분류-버섯류-육류-난류-유류-유지류-음료-주류’ 는 공복혈당, 중성지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식생활지침 순응에 따른 질병과의 위험도를 비교해 본 결과, 식생활지침 항목 ‘짠 음식을 피하고 싱겁게 먹자’ 의 실천은 비만에 대한 질병위험도를 30% 감소시켰고, ‘음식을 위생적으로, 필요한 만큼 준비하자’ 의 실천은 대사증후군에 대한 질병 위험도를 50%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소득층 여성은 비만 및 대사증후군 예방과 영양적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수화물 의존도를 낮춘 균형된 식사패턴을 유지하고 나트륨 섭취수준을 낮추며, 칼슘 섭취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etary risk factors related to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low-income women, analyzing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Participants were 8,356 women over the age of 20.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level. The nutritional status of women in lowest 25th percentile of household income were compared by age and obesity indices. Dietary data from 24-hr recall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pattern. The obesity rate among the low-incom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es of other income groups.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low-income group was worse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percentage of carbohydrate in total energy intake was higher and food security status was lower in the low-income group than in other groups. Awareness and adherence to dietary guidelines and physical activity were lower in the low-income group, as well. However, the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among low-income group participants was lower than that of others. Among age groups, malnutrition was the highest in women over 65, while the highest obesity rate was observed at ages 50-65. It appeared that young women, aged 20-30, as well as women over 65, were the highest risk group in terms of nutritional status. Among low-income women, the underweight group exhibited inadequate nutritional status and lower physical activity. Overconsumption of salty foods appeared to be the major nutritional problem of low-income obese women despite maintain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lower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The percentage of carbohydrate in total energy intake in low-income wome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rum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 the highest quartile group of carbohydrate intake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OR 1.56, 95% CI 1.06-2.28, p for trend=0.019). Calcium intak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riglyceride : the highest quartile group of calcium intake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hypertriglyceridemia (OR 0.49, 95% CI 0.27-0.87, p for trend=0.039). Four dietary patterns were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Pattern 1 was characterized by a balanced traditional Korean diet 'Rice-Legumes-Nuts-Vegetables-Kimchi-Friuts-Fish-Seaweeds-Seasonings'. This pattern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of total cholesterol and an increase of HDL-cholesterol. Pattern 2 was characterized by western diet 'Breads-Starches-Mushrooms-Meats-Eggs-Dairy products-Oils-Beverages-Alcohols'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of fasting blood sugar and triglyceride. Adherence to a dietary guideline of avoiding salty foods and trying to eat foods with bland taste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obesity (OR 0.70, 95% CI 0.54-0.89, p for trend=0.005). Adherence to a dietary guideline to prepare food to meet hygienic needs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OR 0.50, 95% CI 0.26-0.98, p for trend=0.044). This study suggests that low-income women should maintain a balanced dietary pattern, including a variety of food groups, and practice dietary guidelines, especially, avoiding salty foods and trying to eat foods with bland taste, to prevent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Moreover, women in low-income class should decrease the percentage of carbohydrate in total energy intake and increase calcium intake to improve diet quality and nutritional balance.

      •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 시행시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최적화 계획에 관한 연구 : 지원비용 및 난방 가스 에너지 소비량을 중심으로

        최세영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low income bracket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ject」improves energy efficiency of basic livelihoods and supports low-income households by improving insulation work, windowing work, heating systems, and high-efficiency appliances. In general, partial construction is carried out rather than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all insulation and windows related to heating of each household, as the support amount for th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ject is limi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most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doing business on a limited budget as it is today. In this study, the present status and system of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jects carried out for low-income households and, under the current budget conditions, the government intends to derive alternative solutions by applying genetic algorithm for the economic feasibility of support costs along with quantitative review of the latent period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heating energy simulation, along with the insulation and window projects of each unit project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low-income households. This study was execut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scope and methods of the study related to th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ject of the low-income bracket. Chapter 2, we drew the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looked at the status and systems of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projects. We also looked at the genetic algorithm and the parretto best theories and features applied to derive the study analysis and optimization alternatives for confidentiality in existing homes and conducted a review of the optimization tools. Chapter 3, an optimization model was developed for the assessment of heating energy needs for low-income households. Performance improvement plans were drawn for each unit project at the time of project execution, and a design builder model was prepared for analysis by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unit project. Chapter 4, optimization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genetic algorithms. In addition, the optimal design results were derived for each construction site by process, and energy savings by support amou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Chapter 5, The conclusions of the resulting optimization alternatives are described. By presenting basic data to help low-income people's energy efficiency projects more efficiently, the government aims to improve thermal comfort for low-income people and contribute to reducing the nation's greenhouse gas emissions.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은 기초생활수급권자와 기초생활보장의 사각지대에 있는 빈곤층인 차상위 계층 가구에 대해 단열공사, 창호공사, 난방기기, 고효율기기 등을 지원하여 저소득층 가구 거주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노후된 주택의 단열 성능을 개선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의 지원금액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업을 시행할 경우, 각 가구당 난방과 관련한 모든 단열과 창호 공사를 전체적으로 시행하기 보다는 부분적인 공사가 이루지는 경우가 일반적 예이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한정된 예산으로 사업을 시행할 경우 비용대비 가장 효율적인 대안을 찾을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의 현황 및 제도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와 같이 한정된 예산의 조건하에서 저소득층의 에너지효율개선을 위한 각 단위 사업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건물의 단열 및 창호 사업과 함께 틈새를 통한 침기 개선사업을 대상으로 난방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량적 검토와 함께 지원비용의 경제성에 대해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화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제 1 장에서는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과 관련한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차별성을 도출하였으며,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의 현황 및 제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 주택에서의 기밀성 관련 연구 분석 및 최적화 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적용되는 유전 알고리즘과 파레토 최적의 이론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최적화 도구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제 3 장에서는 저소득층 난방 에너지 소요량 평가를 위한 최적화 모델 개발을 실시하였다. 사업 시행시 각 단위공사별 성능개선안을 도출하였으며, 각 단위공사별 공사비용 산정을 통해 해석을 위한 디자인빌더 모델을 작성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세스별 시공부위 선정 최적 설계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지원금액별 에너지 절감효과 비교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 5 장에서는 도출된 최적화 대안의 결과 분석을 통한 결론을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사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저소득층의 열적 쾌적성 향상과 함께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都市低所得層 就業主婦의 家庭內 役割에 關한 硏究 : 役割認知.役割修行.役割評價를 中心으로

        정진희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취업률이 증가하고 있고, 저소득층 취업 주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현시점에서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인지도, 가정내 역할수행, 가정내 역할 평가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밝혀보고, 또한 이들이 독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정내 역할인지도, 역할수행, 역할평가도 간에 어떠한 상호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며,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를 규명함으로써, 그들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인지도는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가족환경적 변인( 연령, 학력, 가족형태, 결혼지속년수, 자녀수 ) 및 심리적 변인( 경제적 만족도, 부부간 의사소통 만족도, 직업만족도, 성역할태도 )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수행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가족환경적 변인 및 심리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평가도는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가족환경적 변인 및 심리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인지도, 가정내 역할수행, 가정내 역할평가도 간에는 상호관련이 있는가? 다섯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인지도, 가정내 역할 수행, 가정내 역할평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들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가정내 역할인지도, 가정내 역할수행, 가정내 역할평가도, 경제적 만족도, 부부간 의사소통 만족도, 직업만족도, 성역할태도, 일반적 사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로 한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327부 이다. 표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F-test, Pearson 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회귀분석등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인지도는 평균 3.45점으로 중간점인 3점에 가까우므로, 저소득층 취업주부들은 대체로 가정내 역할들을 부부 공동의 역할로 인지하고 있었고,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인지도는 결혼지속년수 (P<.05) 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수행은 평균 3.62점으로 가정내 역할인지도 평균 3.45점에 비해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층 취업주부들은 가정내 역할을 부부 공동의 역할로 인지하는데 비해, 실제로 역할을 수행할 때는 부인의 수행이 더 많음을 시사해 준다. 또한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수행은 부부간 의사소통 만족도(P<0.01)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들은 경제적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고, 가사담당자 역할, 아내 역할, 어머니 역할, 대외적 역할순으로 평가도가 낮아졌다. (p<.00l) 또한 경제적 만족도, 부부간 의사소통 만족도, 직업만족도가 높을수록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들의 가정내 역할평가도는 높게 나타났다.(P<.001) 넷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인지도와 가정내 역할 수행만이 P <.001 수준에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상관 관계의 정도는 낮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r=.32) 다섯째,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인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역할태도(β= -0.14), 다음이 자녀수(β= 0.10), 직업만족도 (β= 0.10), 부부간 의사소통 만족도 (β= -0.10) 의 순으로 나타났고,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수행에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부간 의사소통 만족도 (β= -0.225), 성역할태도(β= 0.15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도시 저소득층 취업주부의 가정내 역할평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부간 의사소통 만족도 (β= 0.349), 다음이 경제적 만족도 (β= 0.124), 직업만족도 (β= 0.99)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 (1) to identify the overall levels of household role perception, household role performance, and household role evaluation of the low-income employed wives residing in the city,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household role perception and household role performance of the low-income employed wives, (3) to examine the factorsaffecting the househole role perception, the household role performance, and the role evaluation of the low-income employed wives. Also, it is to provide some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helps to eleva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oor family residing in the c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selected the samples from the low-income employed wives living in the poor areas of Seoul and engaging in the poor jobs. Among a total of 500 respondents, 327 low-income low-income employed wives were finally selected as the data sources, and the others were discar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he factor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household role perception score for the low-income employed wives is 3.45. This implies that they recognize a household role as a co-role between husband and wife. This role perception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marriage. (2) The household role performance score for the low-income employed wives is 3.65. This implies that they recognize a household role as a co-role between husband and wige, but in fact the wife's performance exceeds the husband's This household role performance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communicative satisf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3) The urban low-income employed wives have evaluated that they do their best in the economic role. The household role evaluation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economic satisfaction, the communicative satisfa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4)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household role perception and the household role performance of the low-income empolyed wives (5) The household role perception of the low-income employed wives is independently affect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in order : sex role attitudes, the number of children,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ve satisfa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variables which independently affect the household role performance of low-income employed wives are independently influenc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in order: communicative satisf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sex role attitudes. The household role evaluation is independently affected by the following variables in order : communicative satisfa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economic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After all, the communicative satisf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s observed to have the significant factor among the variables which are related to the household role.

      • 도시저소득층의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신우식 단국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807

        人口와 産業이 都市에 集中함에 따라 都市에는 交通難, 住宅問題, 公害 등 많은 都市問題가 제기되고 있지만 특히 低所得層의 住居環境問題는 傳統的인 都市問題로서의 住宅問題의 핵심을 이루면서 社會的으로도 커다란 波及效果틀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住宅問題가 國家政策의 次元에서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제1차 經濟開發5個年計劃이 수립된 1962년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의 住宅政策은 주로 中産層 이상을 대상으로 한 住宅의 量的인 供給의 增大에 치중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本 論文에서는 中小都市에 있어서의 低所得層의 住居實態의 特性을 도출하고 福祉國家의 實現이라는 國家目標의 대전제 아래 都市低所得層의 양적인 住宅問題를 해결하고 질적으로 일정한 住居水準을 確保할 수 있는 方案을 모색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제2장에서는 住宅問題의 本質과 低所得層에 대한 一般理論을 體系化하고 低所得層의 住宅問題에 대한 政府介入의 論議 및 外國의 事例分析을 통하여 이론적 틀을 構築하였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住宅問題의 現況 및 住宅政策의 변천과정을 분석함으로써 都市低所得層을 위한 住宅政策의 問題點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人口 7만의 中小都市인 牙山市(舊 溫陽市 地域)를 事例로 設問調査를 통하여 주택의 立地特性, 內部構造, 物理的 特性, 生活便益施設에의 接近性 등에 관하여 低所得層과 一般家口사이의 特性을 비교분석 하였는바 大都市에서의 低所得層의 住居實態와 同一한 樣相이 觀察되었다. 제5장은 이상에서 分析한 結果를 토대로 政策的인 代案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住宅의 所有槪念에서 住居의 槪念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社會住宅의 供給量을 확대하고 供給體系를 整備해야 한다. 현재의 永久賃貸型 住宅은 지역간의 需給의 均衡, 지역 및 입주대상자의 社會經濟的 特性을 고려한 賃貸料의 差等化, 철저한 事後管理, 입주자 選定方法의 合理化, 보증금없는 賃貸住宅의 供給 등으로 供給量을 전체 住宅在庫의 10%수준까지 늘려야 한다. 또한 長期賃貸住宅은 受惠對象을 差等化함으로써 永久賃貸住宅의 공급체계에 흡수시키고 勤勞者住宅政策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나 영구임대형태의 社員賃貸住宅으로 特性化해야 한다. 둘째, 小型分讓住宅의 供給을 擴大해야 한다. 國民住宅規模의 개념을 18평이하로 再調整하여 規模別로 金融, 稅制上의 지원정책을 差等化하고 民間部門의 小型住宅建設比率을 上向調整하며 公共部門에서는 공급량의 대부분을 小型住宅으로 해야 한다. 셋째, 住宅價格의 安定과 供給量 擴大를 위한 저렴한 宅地의 공급을 위해 宅地開發方法의 多樣化, 公營開發시 賃貸住宅用地에 대한 供給價格의 引下, 임대주택용지 買入에 대한 세제상의 지원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賃貸住宅의 공급은 長期的으로는 民間 賃貸住宅市場의 메카니즘에 의해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賃貸住宅産業의 育成, 月貰賃貸住宅의 공급, 민간임대주택건설에 대한 民營住宅資金 金利의 差別化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저소득충의 住居安定을 위해서는 住宅價格의 안정과 賃借人을 保護하기 위한 制度的인 裝置의 보완이 필요한데 賃貸料의 物價上昇率과의 連動化, 旣存入住者 優先契約權, 賃貸住宅의 수리 및 보수에 대한 법제화, 公正賃貸料制度의 導入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여섯째, 安定的인 住宅金融 擴大를 위해 公共資金의 投資增大, 住宅金融市場의 개방, 高所得者의 여유자금의 住宅資金化, 抵當貸出 流動化制度의 도입, 住宅金融機關의 多元化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住宅金融의 運用면에서 需要者의 所得水準, 住宅類型, 주택규모 등에 따라서 融資條件을 差等化하고 中古住宅에 대한 資金支援을 확충하며 住宅生産部門에 대한 金融支援이 擴大되어야 한다. 일곱째, 住宅關聯 稅制는 保有課稅 위주로 전환, 課標의 現實化 등으로 住宅生産을 확대하고 住宅消費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基本方向을 설정하여야 한다. 여덟째, 社會住宅投資에 대한 財源이 부족하고 住宅普及率이 낮은 현실을 감안할 때 旣存의 不良住宅을 最低住居水準 이상으로 改良하거나 再築하는 방법을 積極的으로 誘導해야 한다. According to the centralizition of population and industry into city, there arize so many urban problems such as traffic mess, housing shortage and polusion. The problem of dwelling environment of low-income bracket, in particular, became a core of traditional housing problems in city, and also makes socially great effect. It was from 1962 when the First Five-Year Plan for Economic Development was established that housing problem was raised in Korea in terms of national policy, which, however, has weighed upon the increase of housing supply for the middle-class or its above. With respect to it, this study aims to draw out the features of dwelling reality of low-income bracket who live in small-and-medium cities, and to seek for some measures which could solve quantitative housing problems for them under the assumption of national goal to realize welfare country and may secure certain level to live in. In the second chapter, I systematized general theories on the nature of housing problem and dwelling reality of low-income bracket, and built up a frame focusing on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on the problem. In the third, I considered the vecissitude and result of housing policy for the bracket by each age, proposed some problems through analysing foreign cases,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to introduce into Korea. In the fourth, through asking questionaire on the residents of Onyang city which is a small town whose population are 70 thousands. I compared and analyzed the features between low-income and common households about and the character of house location, interior, material element, and approach to facilities. I found a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fifth, I proposed several political alternatives on the base of results analysed above, and its important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pply of rental houses which equip with certain standard should be increased not to let the low-income bracket feel dwelling anxiety even without possessing their own house. Second, for the civil rental houses which take an important part in present housing market, some measures should be made up for such as prior contact right of existing hirer, disposal for increasing rent, etc. Third, several systemical devic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supply of small-scale houses of 7-12 pyong, and to lot out to houseless person. Fourth, until social houses will be secured enough, a method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improve by repairing public facility rather than to break down all of the existing unlicensed houses. Fifth, it is required to arrange a division for housing policy and to train professionals.

      • 도시저소득층 지역 공부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김정희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사회의 도시저소득층은 1960년대부터 시작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형성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무자본, 저학력의 영세이농민 출신이어서 저소득으로 인한 생활고에 시달리며 힘겹게 살아가야 했다. 따라서 그 자녀들은 부모로부터 방치되어 안전사고와 탈선의 위험에 노출된 채 성장하게 된다. '도시저소득층지역 공부방'은 이같은 현실에 처한 청소년들에게 가정과 학교에서 결핍된 교육환경을 보완해 주기 위해 학습지도 및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려는 취지에서 시작된 것이다. 공부방은 주로 민간단체나 종교단체 중심으로 이루어진 비영리적 성격을 띤 사회교육의 한 형태이다. 공부방은 재정적인 영세성과 사회적인 법적 정당성을 지니고 있지 못한 이유로 많은 어려움과 한계를 갖고 있지만 절실한 필요성 때문에 도시저소득층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부방이 도시저소득층 청소년을 위한 교육활동으로서 사회적인 신뢰성을 담보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부방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질적 향상이 중요하다는 가정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부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공부방 인식과 그들의 자아존중감은 어떤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공부방 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인 효과를 평가해 보고 공부방 교육활동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전국의 도시저소득층지역에 있는 공부방을 모집단으로 하여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있는 25개 공부방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청소년 469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와 통계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저소득층지역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공부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공부방의 설립 연한과 운영 주체,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공부방 참여동기와 만족도 그리고 공부방 참여 연한에 따라 공부방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빈도 분석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둘째, 도시저소득층지역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성별과 연령, 가정 결손 유무와 학교성적 그리고 공부방 참여 연한과 공부방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지 빈도 분석 방법과 t-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도시저소득층지역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공부방 인식 정도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 공부방 참여 연한에 따른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공부방에 대한 인식에 있어 공부방의 설립 연한과 운영 주체 그리고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참여동기와 공부방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서 뚜렷하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참여 연한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성별과 연령, 공부방의 참여 연한과 공부방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정 결손 여부와 학교성적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공부방에 대한 인식 정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있어서 전체적인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공부방 인식 가운데 다양한 교육경험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이 뚜렷이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공부방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인다. 첫째, 공부방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더욱 특성화되어야 하겠다. 공부방은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정서적, 심리적 발달을 돕기 위해 그들 환경에서 결핍된 교육경험을 보완해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것이 그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상관성이 있다는 이 연구의 결과는 공부방 운영에 있어서 학습 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강화시켜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부방의 특성화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계속 개발하고 전문화시켜 나가기 위한 구체적인 시도가 필요하겠다. 둘째, 공부방의 교육활동에 있어서 학습지도와 학습외 인성교육을 균형있게 조율해 나가야 하겠다. 공부방은 대부분이 학습지도 중심의 운영형태로써 학습지도와 더불어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결과에서는 학습지도를 통한 교육 효과보다 학습 외 교육활동을 통한 교육 효과가 더 나타났다. 그러나 공부방 참여 청소년의 공부방 인식에서 학습지도에 대한 기대가 크게 나타난 점과 학교성적이 이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부방의 학습지도 방법에 있어 더욱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공부방 운영에 있어서 공부방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공부방 실무자나 자원교사와의 관계, 선후배나 또래와 맺는 관계가 그들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겠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간의 상관성에 있어서 공부방에서의 다양한 교육경험에 비해 공부방에서 맺는 대인관계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에 있어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청소년기에 자아존중감의 형성에 있어서 가족 이외의 청소년들에게 의미있는 주위 사람들의 반응과 평가가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된다. 곧 교사나 선후배, 또래관계에서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자신의 가치를 존중받는 체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해 나간다는 것이다(Coopersmith 1967, Rosenberg 1986). 그러므로 공부방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나 또래와의 관계에서 서로 존중하며 개별적인 관심과 사랑을 체험할 수 있도록 공부방의 분위기 조성과 프로그램 운영에 더욱 주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공부방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교육효과에 대한 평가를 다양하게 시도해야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공부방 교육활동의 효과를 저소득층 청소년에게 결핍 가능성이 많은 자아존중감을 평가 준거로 삼아 공부방 인식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성을 횡단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에 대한 측정으로는 한계성을 지닌 연구였다. 그러므로 후속연구로써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인별 종단적인 연구방법이라든가 공부방의 청소년들과 유사한 환경에 있는 타 집단과의 비교를 통한 연구 등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그밖에도 다양한 평가준거로 공부방 교육활동의 평가를 시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평가를 통해 교육의 결과를 가늠하고, 그 평가를 바탕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실행할 때 진정으로 교육의 질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부방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전문화를 위한 노력이 궁극에는 공부방활동의 활성화와 지속성을 유지시키며 사회적으로는 공부방활동의 정당성을 확보해 나가는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In Korea, there is a small income urban class, which has been made up wit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since 1960s. Those who belongs to this class, are mostly former petty farmers gave up farming. With no capital, insignificant school career and small income, they suffer hardships of life and have a difficulty in making their living. Accordingly, Their children are likely to be brought up deprived of proper concern of the parents, and exposed to danger of safety accident and deviation in their dwelling and education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o create appropriate education environment lacks in home and school. To provide study guidance and various humanity education programs to these children, Study Rooms have been founded under the leading role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religious bodies in small income urban region. Study Rooms, as a kind of social education, are nonprofit. Although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and limits due to the insufficiency of finance and the deficiency of lawful grounds, Study Rooms are under the steady course of settlement and promotion for its own necessi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conception tha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in Study Rooms to bring a social reliance to Study Rooms as a educational activity for young people of a small income urban class. So,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the speciality and the orientation of the Study Rooms activity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estimat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udy Rooms educational programs by knowing that how the Study Rooms educational programs is recognized by the juveniles concerned and what correlations is there between the recognition about Study Rooms and their self-esteem. This study, using questionnaires, takes as population, Study Rooms of nationwide small income urban regions and as sampling, 469 juveniles in 25 Study Rooms in Seoul and other cities ranging between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en years old)and third grade of high school(seventeen years old). The issue and method of statist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want to know how Study Rooms educational programs is recognized by the juveniles in the small income urban regions. To do so, frequency analysis method and dispersion analysis(ANOVA) is used to know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self-esteem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from its establishment, the management in charge, a motive of participation, the rate of satisfaction and the number of years from their participation. Secondly, in order to know what condition their self-esteem is in, frequency analysis method, t-verification and dispersion analysis is used to investigat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self-esteem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nd age of the juveniles concerned, deficient family or not, their school record, the number of years from their participation and the rate of satisfaction about Study Rooms. Thirdly, correlation analysis is used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recognition about Study Rooms and their self-esteem, and the relation between their recognition about Study Rooms and their self-esteem according to participation years. Followings are conclusions induced from study results. First, with respect to recognition of participating juveniles about Study Rooms, there are distinctive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from the establishment of Study Rooms, the management in charge, a motive of participation and the rate of satisfaction, while not a distinctively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from their participation.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self-esteem of Study Rooms participating juveniles, it shows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and age of the juveniles concerned, the number of years from their participation. the rate of satisfaction about Study Rooms, while do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school record and whether they belong to deficient family or not. This verifies that two factors of their school record and whether they belong to deficient family or not have a primary effect on their self-esteem. Thirdly,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recognition for Study Rooms and the self-esteem, there is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Especially among those various kinds of recognition for Study Rooms, mutual 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for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self-esteem is come out obviously. On the ground of this study result, to make some suggestion on the management of Study Rooms educational programs. First is the specialization of the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e assistance in developing the emotional and mental ability of small income class juveniles, Study Rooms have managed various programs to provide them with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experience lacked in their existing environment, and this is proved to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ir self-esteem by this study result, which, with respect to future management of Study Rooms, strengthen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various education programs besides learning programs. Secondly,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al activity, there is a need to considerate the balance and the tuning between a curriculum learning and a humanity education. Most of Study Rooms mainly focused on curriculum learning but also there are the programs for humanity education. However,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education, the education activity except learning is superior to curriculum learning, as turned out in this study result. In addition, an recognition inquiry of Study Rooms students indicates the necessity and anticipation for curriculum learning. So, there is a need to attempt to bring a resolute change in the method of curriculum learning in Study Rooms with full efficiency and creativity. Thirdly, with respect to management of Study Room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s the participating juveniles with the persons in charge, its volunteering teachers and their peer groups in Study Rooms for effecting their self-esteem. Because it is important the relationships with the significant others, teachers or peer groups, for juveniles' self-esteem formation. By this study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for Study Rooms' programs and the self-estee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s in Study Rooms and the self-esteem is low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fo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self-esteem. Therefore it need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this point. Fourth suggestion is for the evaluation of effect of education programs executed in Study Rooms. This study takes self-esteem as a measure of evaluation on the effect of education activity in Study Rooms. But strictly to say, with regard to quantitative measurement of self respect, there is a obvious limitation premised. This wants individual-based vertical study method and other studies like on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groups in similar environment executed in the near future. In addition, studies with various measures are required for evaluation of education activity in Study Rooms. We do believe that such an attempt to accomplish quality improvement and specialization of Study Rooms education activity is ultimately will be an important footing to maintain the activation and assure social justification of Study Rooms activity.

      •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에 관한 연구

        김은경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요인을 살펴보고 사회적 관계망의 영향을 분석한 다음 사회복지가 사회적 지지로서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우리 사회는 가족을 사적인 영역으로 한정하기 때문에 가정 내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제는 가족에 대한 공공의 관심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대두됨에 따라 전통적인 가족 규범과 사회규범 의식도 변화가 필요하다.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결혼생활과 이혼 이후의 삶을 통해, 지속적인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산물인 불안과 우울로 대표되는 심리적 디스트레스로 작용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사회적 관계망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혼의 원인이 되는 결혼생활의 스트레스와 이혼 후의 스트레스를 분석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복지 관계망이 가족의 갈등상황에 개입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분석하기 위해서 질적 분석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신림 10동 영구임대 아파트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층 면접과 한부모 가정 자녀 참여관찰, 그리고 사회복지기관 실무자의 집단 면접을 통하여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원과 사회적 관계망을 분석하고 범주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장배경, 가족 규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결혼생활과 이혼 이후의 생활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가정의 갈등 상황 극복과 이혼 이후의 심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밝혔다.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결혼생활에서 이혼의 원인이 되는 스트레스는 남편의 불성실한 생계부양자 역할로 인한 경제문제, 남편의 심리적 억압, 남편의 폭력, 그리고 시집과의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따라서 결혼생활의 문제를 스스로 조정할 수 없을 때 사회복지의 개입을 통해서 적응력과 대처방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건강에 대하여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함을 밝혔다. 대개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 가구주는 혼자서 생계부양자의 역할과 자녀 양육, 그리고 가사노동을 책임지면서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함께 건강문제를 갖고 있다. 그런데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건강에 문제가 생기면 생계부양자의 역할을 못하게 되면서 경제적인 문제가 심각해지고 그에 따라 빈곤층으로 빠르게 유입되면서 만성적인 빈곤상태가 되고 심리적 디스트레스 역시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의료 사회복지의 활성화로 건강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사회복지 정책은 저소득층이 빈곤선에 떨어졌을 때 안전망의 기능으로 개입하는 잔여적 성격을 띠고 있다. 빈곤선에 떨어지기 전에 기본적인 지원을 강화하여 빈곤을 예방하는 제도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비공식적 관계망 확대를 위한 사회복지 관계망의 개입이 필요함을 밝혔다.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는 이혼 이후 사회적 관계망이 축소되므로 사회복지 관계망은 이들에게 중요한 관계망이 된다. 실제로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사회적 지지는 이들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사회복지 관계망은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유효 관계망 확대를 위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과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그리고 자조 모임을 활성화해야 한다. 넷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 본인의 문제해결을 위한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밝혔다.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는 열악한 가정환경이라는 성장 배경으로 인해 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가정폭력으로 인한 심리적인 상처를 갖고 있었다. 가구주의 이러한 심리적인 문제는 자녀문제와도 연결되는데, 기존의 사회복지는 한부모 가정 자녀에 중점을 둔 아동복지 차원에서의 접근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제는 저소득층 한 부모 가정 가구주의 경제문제, 자녀문제, 심리적 문제에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족복지 차원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 가구주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완화와 사회적 관계망 활성화를 통해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이 건강한 가족이 되게 하는 사회복지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er, to analyse the influence of their social network and to consider the appropriate approaches to the social welfare programs as social supports for the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In Korea, the active intervention in the family matters by the institutions is inclined to be avoided since Korean society considers family as a private sphe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pand public interests in family matters and to change the traditional standards of family. This study concerns not only the causes of psychological distress of the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er like anxiety and mental depression, which is caused by the stress during marriage and after divorce, but also the influcence of social network they involved in. Particularly through the analyzation of the stress from marriage life and from divorce, this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networks in the family matters and in the conflic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chooses the qualitative method to analyse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the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er, especially of those who living in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houses in Shillim 10 dong. And this study adopts the private interviews in dept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 group interviews with the staffs working for the institutions of social welfare. Based on these interviews, observ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s of the interviewees' growth, their family standards, normal family ideology they have, and their stress before and after divorce, this study categorizes the causes of the interviewees'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ir social networks and analyzes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from the networks on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ly, various counselling programs are required to overcome the conflictual situations of the low-income families and to solve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single-parents. The divorce of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er is usually the result of the economical problem caused by husband's unfaithful support, oppressive attitude, violence and the conflict with family-in-laws. Thus when the problems of marriage life are not sorted out by the family members themselves, the counselling programs can help to manage and cope with those situations. Secondly,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e health problems of the single- parents in a preventive way. In fact, most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ers have health problems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distress since they are responsible for the economical support for the family members, raising children, and houseworks all by themselves. When health problems occur, the single parents cannot work any more and it causes the economical problems as well. In that situation, the single-parent families suddenly fall into the poverty group and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also deepe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ir health problem by reinforcing the social welfare system which now do not operates until the low-income people go down to the poverty line. Basic institutional supports should be introduced to prevent poverty. Thirdly, the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networks is needed to expand the inofficial networks of relationships in which the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ers are involved. After divorce, the low-income single-parents' social networks reduces, so social welfare networks can be the alternative ones for them. In fact, the social supports through the social network loosens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In that sense, social welfare networks should activate the program for enhancing 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and the self-help group. Forthly, approaches in depth are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ow-income single parents themselves since they used to have the psychological wounds caused by their backgrounds of upbringing involving the violence in family.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single parents extend to the problems of their children, but the existent social welfare system approaches them only in the viewpoint of children's welfare. Now the family's welfare programs are required to approach the economial problems, the child-care problems, and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er. This study can contribute as a basic material to decide the social welfare policy to make the single-parents' family happy and healthy ones through loosening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and reactivating their social networks.

      • 저소득층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탐구교실의 효과 분석

        공지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탐구교실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과학탐구교실이 저소득층아동의 과학과 관련된 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자기유능감,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과학탐구교실을 수료한 저소득층아동 224명과 과학탐구교실 경험이 없는 저소득층아동 208여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저소득층아동은 과학탐구교실을 통해 과학과 관련한 태도, 자기 유능감, 창의성 영역에서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자아존중감 역시 평균점수 향상 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수준의 근소한 차이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둘째, 과학탐구교실을 수료한 저소득층아동은 과학탐구교실 경험이 없는 저소득층 아동과 비교해 볼 때, 과학탐구교실을 통해 과학과 관련된 태도의 평균점수가 향상되긴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두 집단 간 하위 요소별 차이를 살펴보면, 과학자들의 규준, 과학 직업에 대한 관심 요소에서 과학탐구교실을 수료한 저소득층아동의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과학탐구교실을 수료한 저소득층아동은 과학탐구교실 미경험 저소득층아동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두 집단 간 하위 요소별 차이를 살펴보면, 총체적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자아존중감 요소에서 과학탐구교실을 수료한 저소득층아동의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과학탐구교실을 수료한 저소득층아동은 과학탐구교실을 통해 자기유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다섯째, 과학탐구교실을 수료한 저소득층아동은 과학탐구교실 경험이 없는 저소득층 아동에 비해 창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두 집단 간 하위 요소별 차이를 살펴보면, 과학탐구교실을 수료한 저소득층아동이 과학탐구교실 경험이 없는 저소득층아동에 비해 호기심을 제외한 독창성, 인내심, 융통성, 다양한 흥미 네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ffects on science inquiring program for low-income family children about the children's attitude related to science, self-esteem & self competence and creativity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cience inquiring program and in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cience inquiring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rough the science inquiring program, the 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verage points of attitude related to science, self-esteem and creativity increased meaningfully. Average points of self-esteem increased. But Those are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Second, through the science inquiring program, the 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verage of attitude related to science increased compared with in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cience inquiring program. But Those are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Third, through the science inquiring program, the 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verage of self-esteem increased meaningfully compared with in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cience inquiring program. Fourth, through the science inquiring program, the 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verage of self competence increased meaningfully compared with in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cience inquiring program. Fifth, through the science inquiring program, the 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verage of creativity increased meaningfully compared with in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cience inquiring program. Like this, experienced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n science inquiring program were influenced positively by the science inquiring program.

      • 저소득층과 북한이탈주민, 조선족 밀집 주거지 내 근린환경 인식 차이

        이유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으로 이주해오는 북한이탈주민과 조선족 인구가 증가하면서 이들과 한국인 주민 간의 사회적 화합이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이주는 통일이후 지역사회의 변화를 예측가능하게 하는 단초적인 현상이며, 재한등록외국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선족의 지속적인 이주 또한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북한이탈주민과 조선족은 경제적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으로 이주해 온 집단이다. 따라서 한국사회에서 이들의 경제적 지위는 높지 않으며 이들에 대해 ‘저소득층’이라는 사회적 낙인(Social Stigma)이 존재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한국인의 부정적인 선입견은 북한이탈주민과 조선족이 한국사회에 수용되기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과 조선족의 실재와 사회적 선입견 간에는 괴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단순히 낮은 경제적 지위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 사회가 이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은 경제적 지위가 동일하게 낮은 한국인 저소득층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즉, 이들 집단에 대해 저소득층이라는 경제적 낙인 이외에 이질적인 성장 배경으로 인한 사회문화적 낙인이 동시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낙인이 아닌 사회문화적 낙인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저소득층, 북한이탈주민, 조선족 집단에 대한 사회문화적 낙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로써 타 문화 집단에 대해 존재하는 불필요한 인식을 해소하고 이들의 사회적 수용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저소득층 밀집거주지와 북한이탈주민 및 조선족 밀집거주지에 대해 존재하는 부정적인 인식을 설문으로 조사하고, 각각 비교 및 대조함으로써 이들 집단에 대해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경제적 낙인효과를 통제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은 저소득층과 북한이탈주민, 조선족 밀집 거주지 주변에 거주중인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지역 인식 조사와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세 집단에 대해 존재하고 있는 사회적 인식을 다섯 가지 범주 내에서 정리하여 총 16개 설문문항을 선정하였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실재하는 인식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부정적 인식에 대한 정보는 요인분석을 통해 ‘문화적 차이와 불쾌감’요인, ‘범죄와 안전’요인의 두 가지로 축약되었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두 요인이 ‘지역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세 집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역주민의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동일한 저소득층이지만 문화적 성장 배경이 다른 세 집단에 대해 각각 다른 사회적 인식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저소득층에 대해 ‘문화적인 차이로 인해 불쾌’하며, ‘범죄 발생빈도가 높아 위험’하다는 인식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문화적 차이와 생활불쾌감’요인이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저소득층 밀집지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며 조선족 밀집지에서도 부정적인 영향력을 가지지만 북한이탈주민의 밀집지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음을 밝혔다. 따라서 근린생활에 지속적이고 간접적인 피해를 주는 요인에 대해서는 타 문화집단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더 관대함을 알 수 있었다. ‘범죄와 안전’요인은 저소득층을 제외한 나머지 두 집단의 밀집거주지에서만 거주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주민들이 타 집단의 문화적인 차이에 대해서는 잠재적이고 직접적인 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제적 지위가 같은 집단이라도 사회문화적 인식은 차이를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주민의 거주만족도를 제고하고 타 문화 집단 주민을 사회에 성공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부분을 고찰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저소득층 주거지원 프로그램별 주거만족도와 주거안정성 분석

        박서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저소득층 주거지원 정책은 주거 복지적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 국가 예산이 상당부분 증가·투입됨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의 주거실태는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매우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초생활보장금 내 통합급여 형태로 존재하던 주거급여가 2015년부터 분리·지급되었다. 이에 따라 주거급여를 받는 대상과 금액이 증가하였다. 특히 과거 공공임대주택 건설로 대표되던 공급자 위주 주거지원 정책이 수요자 중심 주거지원 정책으로 변화하여 주거복지 패러다임의 전환도 서서히 진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가 시행 중인 저소득층 주거지원 정책이 저소득층의 주거만족도와 주거안정성 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해 시기별(2010년, 2016년), 지역별(서울, 경기·인천, 광역시, 기타지역)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만족도를 주거환경만족도와 주택만족도로 분류해 살펴보면, 2010년에 비해 2016년에 기타지역 주거환경만족도만 제외하고 모두 상승했다. 2010년 대비 2016년 주거안정성을 살펴보면 저소득층 자가 가구는 PIR이 증가해 주거비 부담이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 임차가구는 같은 기간 RIR이 감소해 주거비 부담이 완화되었다. 2010년 대비 2016년 지역별 자가가구 PIR은 전 지역에서 증가했고, 특히 광역시에서 큰 폭으로 증가해 주거비 부담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지역별 임차가구 RIR은 기타지역에서만 증가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모두 감소해 주거비 부담이 완화되었다. 둘째, 앞서 살펴본 시기별, 지역별 변화가 주거지원 프로그램으로 인한 영향인지를 살피기 위해 수급집단과 비수급집단을 나눠 가설을 세워 비교했다. 저소득층 프로그램 중 주거만족도와 임차가구 주거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은 공공임대주택으로 나타났다. 자가가구 주거안정성은 구입자금 대출이 효과적이었다. 주택 점유 형태 변화에서 공공임대주택 수혜 집단은 하향이동이 두드러진다. 이는 불가피하게 하향 이동을 할 시, 공공임대주택을 활용할 수 있어 주거 안전망으로 역할 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주거급여 수급은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수혜집단 주거만족도와 주거안정성이 향상시켰다. 지역별 임대료 차이로 인해 임대료가 저렴한 지역은 구입대출 지원을 받아 내 집 마련을 실현할 수 있지만, 임대료가 높은 지역은 전세대출 지원을 선호했다. 중복수혜로 인한 주거만족도 상승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주거안정성은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며 주거급여를 수급하는 집단이 크게 상승했다. 이는 주거급여가 임대인 계좌로 바로 입금되기에 주택바우처 성격을 띤다. 이 중복수혜의 경우는 주거급여가 가구주에게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보다 바우처로 지급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장기공공임대주택이 주거만족도를 크게 향상시켰지만, 다가구임대·기존주택 전세임대가 주거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다수 공공임대주택이 노후화하여 향후 관리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혜율이 매우 낮다. 저소득층에게 다양한 경로로 정보를 제공해 수혜율을 높여야 한다. 둘째, 저소득층 자가가구 비율이 매우 높은 것에 비해 지원이 미비하다. 저소득층 자가 비율은 과반을 차지하므로 이들을 위한 지원책도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저소득층 내에서도 분위나 소득군에 따라 선호하는 프로그램이 상이하다. 따라서 현행 일괄적인 기준보다는 세부화된 소득별 기준으로 차등을 두어야 한다. 넷째, 지역별로 선호하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상이하므로 지방자치단체 맞춤형 정책을 시행하고 중앙정부는 지자체에 예산을 교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온정주의적 저소득층 주거지원 정책을 지양한다. 저소득층 주거지원 프로그램 간 산발적 정책 시행보다는 정책 목표 공유를 통해 유기적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저소득층이 선호하고 주거만족도와 주거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 프로그램은 공공임대주택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욱 일관된 공공임대주택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적극 펼쳐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