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신중기의 아연 및 철분 영양상태와 임신 결과

        김명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임신부의 아연 및 철분 영양상태가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모체의 아연 및 철분 영양상태가 제대혈 성분의 수준 및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이화여대 부속 목동 병원의 산부인과 외래에 방문한 24-28주의 임신부 248명을 대상으로 식이 섭취 실태와 혈액 성분을 측정하였고, 이 중 69명의 산모에게서 제대혈을 수집하였으며, 185명의 산모에게서 임신 결과를 조사하였다. 임신부의 영양상태와 제대혈 성분의 수준, 임신 결과는 모체의 혈청 아연과 헤모글로빈 농도를 기준으로 사분위에 의해 나눈 그룹(Q_(1).Q_(2 ·3),Q_(4))에 따라 비교하였고, 제대혈청의 아연 및 철분 농도는 모체의 영양상태 및 임신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임신부의 영양상태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6), 비타민 C의 섭취량은 권장량을 충족하였고, 에너지, 칼슘, 아연, 철분, 비타민 B_(2), 엽산 섭취량은 권장량에 미달되었다. 조사 대상자의 철액 성분을 분석한 결과, 혈청 알부민,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아연 수준과 면역물질인 IgA, IgG의 농도는 정상범위였으나, 혈청 철분, 트렌스훼린 포화도, 헤모글로빈 농도와 혈청 C_(3)수준은 정상범위보다 낮았고, TIBC 농도는 정상범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신부의 혈청 아연 농도에 따른 모체의 영양상태와 임신 결과를 비교하였다. 혈청 아연 농도가 가장 낮은 그룹인 ZnQ_(l)군은 당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면역물질인 IgG의 농도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모체의 혈청 아연 농도가 가장 낮은 ZnQ_(l)그룹은 아프가 지수 1분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임신 중 체중 증가량과 출생시 신장 및 체중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제대혈청의 아연 농도는 모체혈청의 아연 농도에 비해 154.7% 증가하였다. 제대혈청의 아연 농도는 모체의 에너지 섭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p<0.05), 아프가 지수 1분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5). 헤모글로빈 농도가 가장 낮은 HbQ_(l)군은 총 식품 섭취량과 동물성 식품, 식물성 식품, 과일류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에너지와 단백질, 철분, 엽산의 섭취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HbQ_(l)군의 모체 알부민 농도와 트렌스훼린 포화도는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TIBC 농도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혈청 IL-2 농도는 HbQ_(l)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HbQ_(l)군은 재태연령과, 출생시 신장 및 체중, 아프가 지수 1분과 5분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제대혈청의 철분 농도는 모체혈청의 철분 농도에 비해 183.2% 증가하였다. 제대혈청의 철분 농도는 모체의 동물성 식품 섭취량, 에너지 및 철분 섭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제대혈청의 철분 농도는 모체의 TIBC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p<0.01)가 있었고, 모체의 헤모글로빈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 조사 대상자의 혈청 아연 수준은 정상 범위였고, 혈청 아연 수준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사 대상자의 철분 영양상태는 매우 불량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모체의 철분 영양상태는 임신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임신부의 철분 영양상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ternal zinc and iron status on pregnancy outcome. The study subjects were 248 pregnant women of 24-26 wks of gestation. Cord blood was collected from subgroup of 69 women and pregnancy outcome data were obtained from 190 newborn infants. Anthropometry measurement, dietary intakes by 24h recall method, and blood profiles of pregnant women were measured. Also, cord blood profiles, and birth height and weight, and apgar score at 1 min and 5min of newborn infants were assessed. Maternal serum Zn and hemoglobin concentrations were classified intoquartiles. The data were assessed by quartile of serum Zn or hemoglonin levels. Intakes of protein,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6), and vitamin C met Koran RDA, but intakes of energy, calcium, zinc, iron, vitamin B_(2), and folic acid didn't. Serum levels of albumi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Zn, IgA, and IgG of pregnant women belonged to normal range. But, Levels of serum Fe, transferrin saturation, C_(3), and hemoglobin of pregnant women were lower than normal range and TIBC were higher than normal range. Maternal serum Zn concentrations of the lowest quartiles of serum Zn levels (ZnQ_(1)) belonged to normal range. ZnQ_(1)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maternal serum IgG levels (p<0.05) than others group. Newborn infants from mothers of ZnQ_(1)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apgar score at 1 min (p<0.05). There was a tendency of lower pregnancy weight gain and birth height and weight of newborn infants from mothers of ZnQ_(1) group, even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cord serum, Zn levels were about 154.7% of maternal serum levels. Cord Zn level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ergy intake of pregnancy (p<0.05)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pgar score at 1 min of newborn infants. Maternal hemoglobin concentrations of the lowest quartiles of hemoglobin levels (HbQ_(1)) belonged to iron deficiency status. HbQ_(1)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intakes of total food, animal food, plant food, and fruits than others group (p<0.05, respectively). In HbQ_(1) group, T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and TIBC was higher(p<0.05). Newborn infants from mothers of HbQ_(1)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gestational age, birth height and weight, and apgar score at 1 min and 5 min (p<0.05). Cord serum Fe levels were about 183.2% of maternal serum levels. Cord Fe concentrations was positively correlate with consumptions of animal food (p<0.05), energy(p<0.01), and iron(p<0.01). But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cord Fe levels and pregnancy outcome. At this study, Maternal serum Zn levels belonged to normal range and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y measure of pregnancy outcome. We found that fetal iron status was affected by maternal iron status and maternal iron deficiency had an effect on pregnancy outcome. We suggested that maternal iron status during second trimester predict pregnancy outcome.

      • 임신기와 수유기 여성의 철, 엽산 및 일부 미량 무기질 영양상태

        이종임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807

        빈혈은 세계적으로 가장 빈발하는 영양문제 중의 하나이다. 전세계적으로 임신부의 빈혈률은 10-33%정도에 이른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문헌에 따라 적용한 빈혈 기준치에 차이가 있으나, 임신부의 빈혈률은 17-33%로 보고되었고 수유부의 경우도 19%정도의 높은 빈혈률을 보이고 있다. 임신 또는 수유 여성의 빈혈이 태아 또는 모유를 섭취하는 유아의 성장 및 건강상태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생각할 때 이에 관한 연구는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임신부와 수유부의 빈혈에 대한 연구는 주로 횡단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철 결핍성 빈혈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따라서 철 이외에 조혈작용을 수행하는 무기질에 관한 연구나 거대 적아구성 빈혈을 야기시키는 엽산에 관한 연구는 드물었다. 또한 임신기간 중 이들 조혈 영양소의 섭취상태 변화를 종단적으로 구명한 연구도 거의 없었으며 더우기 분만 후의 변화까지 조명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빈혈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조혈 영양소의 영양상태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임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일은 임신기와 수유기의 빈혈 발생의 원인을 밝히고 나아가 예방책을 강구하는데 있어 필요한 내용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차로 임신기간 중 임신 여성의 철, 엽산, 구리, 망간 및 크롬 영양상태의 변화를 횡단적 연구로 살펴보았고 이차로 임신기와 분만 후 6개월까지의 변화를 종단적 연구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제대 혈에서 이들 영양소의 영양상태를 분석하여 모체 혈과의 관련성을 살펴 보았고, 모체 혈과 제대 혈의 이들 일부 조혈 영양소의 영양상태가 임신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횡단적 연구에 참여한 32명의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7.8±2.8세이었고 이들의 체위는 한국인 여자 성인 표준치와 유사하였다. 임신이 진행되면서 모체 혈의 적혈구(RBC) 수, 혈색소(Hb) 치, 및 적혈구 용적비(Hct)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혈청 철과 페리틴 농도도 감소하였으며 총 철 결합능과 혈청 수용성 트렌스페린 수용체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임신기간 중 빈혈률이 증가하고 철영양상태가 불량해짐을 보여준다. 종단적 연구에 참여한 6명의 연구대상자는 평균 연령이 29.7±1.0세이었고 이들의 체위 역시 한국인 여자 표준치와 유사하였다. 이들의 임신기간 중 혈청 철 농도, 트랜스페린 포화도 및 페리틴 농도는 유의성은 없었지만 임신이 진행되면서 감소하는 추세였고 분만 후 1개월에는 회복하는 추세였으나 이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혈청 수용성 트랜스페린 수용체 농도와 페리틴 농도의 비율은 임신기간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분만 후 1개월과 3개월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가 이후 증가하는 추세였다. 이러한 결과는 임신기간 중 철영양상태는 횡단적 연구에서와 같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고 분만 후에는 일시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나 다시 불량해짐을 나타내 준다. 모체 혈의 적혈구 엽산 농도는 임신기간 중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혈청 엽산 농도는 임신이 진행되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망간과 크롬 농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분만 후에는 혈청 구리 농도는 1개월과 3개월에 감소하였고 이후 증가하는 추세였다. 혈청 망간 농도는 1개월과 3개월에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는 추세였으며 혈청 크롬 농도는 분만 후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모체 혈의 철영양상태가 불량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제대 혈의 철양양상태 지표들은 모두 정상 범위에 있었다. 에너지를 비롯한 영양소 섭취량은 임신이 진행되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권장량에 미치지 못했고 수유기간 중에도 권장량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철과 엽산의 섭취량이 임신 및 수유 전 기간 동안 권장량에 비해 특히 낮았다. 횡단적 연구에서 임신 삼삼분기 모체 혈과 제대 혈의 Hb 농도는 신생아의 출생 시 체중과 양의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제대 혈의 적혈구 엽산 농도는 신생아의 출생 시 신장 및 체중과 양의 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임신 기간이 경과하면서 모체의 철영양상태가 점차 불량해진다는 점을 밝혀주었다. 임신 후반기에 들어 대부분의 연구대상자가 권장량 이상의 철 보충제를 섭취하였음에도 이러한 결과를 나타낸 점은 흥미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생리적인 것인지 아니면 철 보충제 섭취량이 부족해서 나타난 결과인지 추후 연구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 한편 엽산영양상태는 전반적으로 크게 불량하지 않았으며 임신 후반기에 엽산 보충제를 섭취하면서 양호해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임신 중 혈청 엽산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적혈구 엽산 농도는 증가하지 않아 이들의 엽산 섭취량이 엽산의 체내 저장량을 증가시키기에는 부족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모체 혈과 제대 혈의 철 및 엽산영양상태가 태아 성장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제대 혈의 철 또는 엽산영양상태가 모체 혈의 이들 영양소 농도의 영향을 유의하게 받지 않은 점은 태아 성장을 위한 보호기전에 따른 현상으로 이해된다. 한편 구리, 망간 및 크롬의 영양상태는 임신 및 수유기간 중에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아 이들 영양소의 영양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임신 기간이 경과하면서 혈청 구리 농도가 증가된 현상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분만 후 모체의 철 및 엽산영양상태는 회복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이 추세가 지속되지 않고 다시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수유기 여성의 철과 엽산영양상태가 불량해질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분만 후 일시적인 회복 현상이 영양상태의 회복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혈장량의 감소로 나타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Anemia is the most commonly occurring nutritional problem throughout the world. The worldwide prevalence of anemia in pregnant women is estimated at 10-13%. In Korean study, the estimated prevalence of anemia during pregnancy is 17-33%, and that of anemia during lactation is 19%. Anemia during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s of low birth weight and preform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status changes of iron, folate, copper, manganese, and chromium indice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in a cross sectional study and longitudinal study, and to determin the relationship of hematological status between maternal and cord blood,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iron status markers and folate status on pregnancy outcome. In a cross sectional study, Maternal RBC number, Hct, and concentrations of Hb, serum iron, and ferrit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pregnancy. But, Maternal total iron binding capacity(TIBC) and soluble transferrin receptor(sTfR) were increased during pregnancy. In the serum concentrations of folate and copp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pregnancy, but whole blood folate, erythrocyte folate, serum manganese, and chromium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pregnancy. In a longitudinal study, Maternal RBC number, Hct, and concentrations of Hb, serum iron, and ferritin were decreased during pregnancy as in a cross sectional study, and increased until 3 month, and decreased over 6 month postpartum. But, Soluble transferrin receptor(sTfR) and the ratio of sTfR : ferrit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pregnancy and decreased over 6 month Postpartum. Maternal serum folate and copper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pregnancy and decreased over 6 month postpartum. But, whole blood folate, erythrocyte folate, serum manganese, and chromium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Dietary intakes were low compared with Korean current recommendations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especially intakes of iron folate were very low. In the third trimester, maternal Hb and ferriti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ron supplement intakes in a cross sectional study. The levels of serum iron, TS, and ferritin in cord blood were found to be elevated relative to the corresponding maternal bloo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Hb level in the third trimester and Hb level in cord blood and infant's birth weight. And, erythrocyte folate level in the cord blood was associated with infant's birth weight and height. In conclusion, Maternal iron nutritional status is depleted during pregnancy and plasma volumn expansion dilutes the hematological variables causing them to reduce in concentration. Intakes of folate supplement during pregnancy ensure maintenance of adequate folate nutrition status.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iron and folate in maternal and cord blo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n active process of transfer for iron from mother to the fetus, and this tranport is independent of fetal erythropoiesis. Maternal iron and folate nutritional status during postpartum were to be elevated relative to them during pregnancy, but is not to be continued.

      • 임신 오조증의 임상 특성과 분만 결과

        오선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구 배경: 임신 오조증은 임상적으로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임신의 경과와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오조증의 임상 특징과 임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을지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오조증으로 입원 치료를 하고, 본원에서 분만한 산모 52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대조군 으로는 본원에서 임신 초부터 산전검사를 받고 분만한 임신부 중 임신 오조증을 호소하지 않은 경우로 하였다.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여 인구학적 특성, 입원 시 임상 양상과 검사실 검사 결과, 삼중 표지물질 검사(triple marker test), 임신 합병증, 분만 결과, 신생아에서 선천성 기형과 질환 이환 여부와 종류를 조사하였다. 통계 방법으로 Student's t -test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p -값이 0.05이하일 때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다고 하였다. 결과: 임신 오조증으로 입원한 임신부의 비율은 1.2%였다.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임신 오조증군의 평균 연령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29.8±0.5 vs. 31.2±0.3years, Mean±SE), 평균 신장은 유의하게 크고(1.63±0.01 vs. 1.61±0.00m), 신체질량지수는 유의하게 낮았다(20.2±0.3 vs. 21.0±0.2 kg/m2). 모든 임신부가 임신 14주 이전에 임신 오조증을 진단받았고 평균 5.4일 동안 입원하였다. 임신 전과 비교한 평균 체중 감소는 2.6Kg이었고, 혈중 전해질 농도의 평균치는 나트륨(sodium)이 136.8mMol/L, 칼륨(potassium)이 3.7mMol/L, 염화물(chloride)이 100.1mMol/L로 정상 범위내의 수치였다. 검사실 검사 수치의 비교에서는 적혈구 용적률만이 임신 오조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35.4±0.4 vs. 34.3±0.2%). 임신 중기에 시행한 삼중 표지물질 검사 결과에서는 비결합 에스트리올(unconjugated estriol; uE3)이 임신 오조증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1.336±0.055 vs. 1.126±0.034 MoM). 임신 합병증의 비교에서는 임신 일 삼분기의 질 출혈이 16.4%로 대조군의 4.7%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 분만 시 임신 주수, 출생체중, 신생아 성비(남:여), 아프가 점수(apgar score), 조산아와 저체중아의 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생아에서 선천성 기형과 질병 이환의 빈도와 종류에 관한 비교에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임신 오조증은 상대적으로 키가 크고 마른 임신부와 더 젊은 임신부에서 잘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전해질 이상이나 주요 장기의 기능 이상보다는 탈수를 반영하는 검사 결과를 보였다. 비결합 에스트리올의 유의한 상승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로 원인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임신 일 삼분기 질 출혈이 임시 오조증군에서 더 흔히 발생하였으나 임신의 결과는 차이가 없었다. Background: It is controversial that hyperemesis gravidarum has adverse effect on pregnancy or n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gnancy outcomes among women with hyperemesis gravidarum. Methods: We identified 55 who was treated as inpatients for hyperemesis gravidarum and had delivered babies in Eulji General Hospital between Jan. 2001 and Oct. 2004. The control group was 128 women who didn't suffer from hyperemesis gravidarum and had delivered babies in this hospital.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Obstetric and Pediatric medical records. We analyzed the data using Student's t -test and Chi-square test and p-value < 0.05 was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proportion of women treated as inpatient for hyperemesis gravidarum was 1.2%. The average height(162.5 ± 0.6 vs. 160.6 ± 0.4 cm, Mean ± SE)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average pre-pregnancy BMI(20.2 ± 0.3 vs. 21.0 ± 0.2 kg/m2) and maternal age(29.8 ± 0.5 vs. 31.2 ± 0.3 yea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yperemesis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average weight loss was 2.6kg and the average hospital stay was 5.4 day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erum electrolytes were within normal limits. The hematocrit(35.4 ± 0.4 vs. 34.3 ± 0.2%) and unconjugated estriol (1.336 ± 0.055 vs. 1.126 ± 0.034 Mo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yperemesis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Vaginal bleeding during the first trimester was more common in hyperemesis group(16.4 vs. 4.7%). Pregnancy outcomes between hyperemesis and control group were similar for average gestational age, average birth weight, Apgar scores, sex ratio, congenital malformation and neonatal morbidity. Conclusion: Pregnant women with hyperemesi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matocrit, unconjugated estriol and vaginal bleeding during the first trimester compared to control group, but had similar pregnancy outcomes.

      • 임신 후기 칼슘 섭취와 출산 후 골밀도 및 신생아의 출생 결과의 상관관계

        전한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임신 후기 모체 골격에서 태아로 칼슘 이동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임신 중 적절한 영양 섭취가 중요하다. 임신 후기 영양소 섭취와 출산 후 골밀도 그리고 신생아의 출생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다룬 국외 연구의 결과들이 상반되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 단태아를 임신한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임신 후기 영양소 섭취와 출산 후 골밀도 그리고 신생아의 출생 결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식품섭취빈도조사법과 식이 보충제 설문을 통해 총 에너지 섭취량과 22가지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DXA)를 사용해 출산 후 1달 이내에 골반과 요추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신생아의 출생 시 길이(BL)와 백분위수(BL%), 출생 시 체중(BW)과 백분위수(BW%), 머리둘레(HC)와 백분위수(HC%)를 측정했고 BL와 BW을 이용하여 폰더럴 지수를 계산하였다. 임신 후기 영양소 섭취와 출산 후 골밀도 그리고 신생아의 출생 결과의 상관관계 확인은 일반선형회귀모델로 비교하였다. 연령, 임신 전 체질량 지수, 임신 중 체중 증가량, 골밀도 측정 시기, 질병 및 합병증 유무, 재태 기간, 출산력, 마지막 수유로부터 본 분만까지의 기간, 임신 전 체중, 신생아 부모 각각의 신장, 신생아 성별, 에너지 섭취량에 대해 보정하였다. 선형회귀 분석 시 임신 후반기 영양소 섭취량과 출산 직후 골밀도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의 권장섭취량 이상으로 철을 섭취할 경우 요추 골밀도가 높았으며 리보플라빈, 철, 칼슘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할 경우 출산 직후 골밀도가 더 낮았다. 신생아 지표와 관련하여 BL는 임신 중 철, 리보플라빈 섭취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BL 백분위수는 철 섭취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이섬유, 칼륨을 권장 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했을 때 BL와 BL 백분위수가 낮았으며 BL 백분위수는 에너지 필요량과 철 상한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했을 때에도 더 낮았다. BW와 BW 백분위수는 일반선형회귀모델에서 신생아 지표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철 상한 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했을 때 더 낮았다. 폰더럴 지수는 식이섬유 섭취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칼슘을 권장 섭취량 미만으로 섭취했을 때 출산 후 골밀도가 더 낮지 않았지만 평균 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했을 때 출산 후 요추 골밀도가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칼슘을 부족하게 섭취하면 출산 시 골밀도가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출산 후 골 건강 그리고 신생아의 건강에 대한 임신 후기 영양소의 적절한 섭취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 대상자와 장기간 추적이 필요하다. The associations of calcium intake during late pregnancy with postpartum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neonatal outcomes are conflicting, and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n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rd trimester nutrient intake, postpartum BMD and newborn birth outcomes in 30 Korean pregnant women carrying singletons. Food intake was assessed us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hile supplement intake was assessed by interview. Total intake was analyzed for energy and 22 major nutrients. Maternal lumbar spine, femoral neck, trochanter, and intertrochanter BMD were measure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within 1 month after delivery. Neonatal length, birth weight, head circumference, and 1-min/5-min apgar scores were collected immediately after birth.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correlate nutrient intake with maternal BMD and neonatal outcomes. Models were adjusted for maternal ag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BMI), pregnancy weight gain, time of DXA measurement, pregnancy complications, gestational age, parity, period from last breastfeeding to this delivery, maternal height, and paternal height. Nutrient intake was also categorized based o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No association between nutrient intake during late pregnancy and postpartum BMD was observed using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Women consuming calcium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but not recommended nutrient intake(RNI)) had lower lumbar spine BMD. Women with iron intake above the RNI had higher lumbar spine BMD than women with lower intakes.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iron or riboflavin intake and birth length were found. Dietary fiber intak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onatal ponderal index. On the other hand, birth weight and birth weight percentile were lower when pregnant women consumed more iron than its upper limit (UL). Birth length was shorter when the mother consumed more than the RNI of dietary fiber and potassium during the late pregnancy, and birth length percentile was lower when mothers consumed more than one's energy requirements, RNI of dietary fiber or potassium or the UL for iron. Women with low (<EAR) intakes of calcium or high intakes of iron during the third trimester had lower lumbar spine BMD. Neonatal birth length and birth weight were not associated with maternal calcium intake bu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ternal iron intake. Low calcium intake may be deleterious to maternal bone bur not affect neonatal outcomes.

      • 윤리적 생애사건으로서의 임신중지 : 한국 여성 가톨릭 신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강석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termination of pregnancy experience means to women and demonstrate that it is an ethical event that penetrates women’s lives by conducting an in-depth exploration of Korean female Catholics’ experience of pregnancy termination and their opinions on it. Many women terminate a pregnancy in their lives; however, the stories and voices of women who have faced or are grappling with decisions on the subject remain rare. To improve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this study involves direct encounters with women who have terminated a pregnancy while keeping their Catholic faith. By demonstrating the agency of women who lead their lives independently while dealing with the dilemmas presented by the experience of termination of pregnancy, this study challenges the social discourses that describe termination of pregnancy as unethical and immoral, such as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Catholic Church. Until the abortion crime law was deemed unconstitutional and abandoned in Korea, the Catholic Church had been at the forefront in opposition of the abolition of the law and prevented women from securing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Many Catholic women have had to terminate a pregnanc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y make meaning out of the experience. It has remained a buried topic within feminist as well as religious discourse. Feminism and women’s movements have focused on conceptualizing and theorizing to make termination of pregnancy part of women’s reproductive activities and create a legal basis for reproductive rights. In contras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ontext and process of women’s pregnancy termination and the ethical and religious struggles they undergo afterwards. This study approaches the ethical problems that women experience in termination of pregnancy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and reveals the agency that women exercise in their lives as they undergo the process. The study employ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 experienced the conflict due to unintended pregnancy as an ethical dilemma and coped with it until they resolved it through the decision and experience of pregnancy termination. From the moment they became aware of the unexpected pregnancy, women accepted it as their responsibility alone, not attributing it to someone else or seeking a solution in others’ help. Despite the revelation of the duality of sexuality norms and the asymmetry of gender power with respect to failed contraception, which led to termination of pregnancy, women felt responsible for the areas where they could have done better within such structural conditions. Women dealt with their unexpected pregnancies by trying to ease their sense of confusion and engaging their male partners in the process in the situations where they could not expect any emotional support from them. With the conflicts around pregnancy, women considered the life and developmental stage of the fetus, the life prospects of those around them, and the resources and opportunities available to them before choosing termination of pregnancy as their best option. They endured the anxiety around the instability associated with the medical system during pregnancy termination, and they were unable to relieve their physical and emotional pain during and immediately after termination of pregnancy. Second, women wrestled with the dilemma associated with termination of pregnancy not only during but also after termination of pregnancy to convince themselves that it was a good decision. They developed their reasoning with abstract concepts such as life, relationships, and pain and pluralistic perspectives without ignoring complex emotions and moral conflicts about termination of pregnancy. For them, monitoring their termination of pregnancy again served as a process in which they exercised their agency in realizing their moral ideal to be true to themselves. Through this process, women confronted their need to integrate their self-identity and could move forward toward accepting and encouraging themselves. As the women came to see the event of pregnancy termination as a result of self-alienation in intimate partnerships with men, they identified problem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relationships and attempted to restore their relational selves. Moreover, as they positioned the pregnancy termination experience on the reproductive spectrum, they practiced solidarity and caregiving by expanding their perspective toward the lives of other women. They became sensitized to the hidden pain of others as they reflected on their experience and turned it into one that could benefit others by drawing the positive from their pain. Third, the women had to reflect on their agency more extensively due to greater ethical and religious dilemmas regarding termination of pregnancy associated with their religious environment. They did not avoid introspection or abandon their faith by being overwhelmed with a sense of contradiction that they terminated their pregnancies as Catholics. By constantly striving to reconcile their experience and its meaning in their religious life, they were able to engage in deep meditation o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and better reflect on their pregnancy termination experience while doing so. Given the patriarchal and sexually oppressive culture of the Catholic Church, the women constantly experienced identity crisis; however, they accomplished religious and ethical growth by utilizing the abundant spiritual resources in the Catholic Church. They reflected on their experiences while actively adopting and utilizing religious opportunities and rituals such as the sacrament of confession, prayer rituals for the dead, spiritual discipline, and retreats after abortion, which are traditions in the Catholic Church. While maintaining a critical stance on the Catholic Church’s anti-abortion campaigns, the women retained the autonomy and power to avoid sabotaging their faith. Furthermore, they did not give up their expectation for the Catholic Church to be inclusive for the sake of the dignity of all living beings. To sum up, termination of pregnancy was an experience that required the women to find a solution through ongoing struggle and reflection while confronting dilemmas in making decisions on pregnancy termination and their lives during and after the event. Women are bound to reveal their determination and agency in this life journey. By demonstrating the women’s struggles to reconcile their pregnancy termination with their faith while exercising their agency through their body and life based on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pregnancy termination, this study created an epistemological path for the view of termination of pregnancy as an ethical life even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By taking a life course approach to capture life at both the time of termination of pregnancy and afterward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ermination of pregnancy is not a one-time tragedy but an ongoing major ethical event in women’s lives, thus debunking the myth that abortion is an outcome of immorality and promiscuity. The dichotomy of the patriarchal sexual moral discourse toward women provided the grounds for the views of women’s experiences associated with sexuality as unethical and the perspectives on reproduction as a realm of nature and medicine. This led to the eradication of moral and ethical reflection on women’s bodies, sexuality, and reproduction. This study is a feminist correction of the male-centered moral and ethical theory. This study goes beyond conventional discourses that portray women who have terminated a pregnancy as perpetrators of fetal murder, victims of social structure, or passive individuals in need of healing. The study establishes the women as individuals with the autonomy and power to make their own decisions, carry out their actions, and make constant ethical growth while confronting their scars. The “abortion politics” have convinced people that the experience of pregnancy termination is an outcome of a woman at the opposite end of the life of the fetus, realizing her rights in a selfish way in isolation. By presenting women’s experiences and voices to shake up the discourse structure, this study discovers an ethical foundation for women’s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가톨릭 신자 여성들의 임신중지 경험과 목소리를 깊이 탐구하는 것을 통해 여성에게 임신중지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임신중지가 여성의 생애를 관통하는 윤리적인 사건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임신중지는 어떤 여성이든 삶에서 사실 겪을 수 있는 일이지만 과거에 임신중지를 경험했거나 현재 임신갈등 상황에 처해 있는 당사자 여성들의 이야기와 목소리는 여전히 잘 들리지 않는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 개입하기 위해, 임신중지를 경험한 여성 가톨릭 신앙인들을 직접 만났다. 임신중지 경험이 일으키는 딜레마들과 씨름하며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가는 여성 당사자들의 행위성을 가시화함으로써, 가톨릭교회의 공식 입장 등 여전히 임신중지를 비윤리와 부도덕의 결과로 표상하는 사회 한 편의 담론에 도전하였다. 한국의 낙태죄가 위헌성을 인정받고 효력을 잃기까지 법 폐지를 가장 반대하며 여성 시민들이 성과 재생산의 권리를 확보하지 못하도록 막아온 사회조직은 가톨릭교회였다. 가톨릭 신자들 중에도 임신중지 경험이 있는 여성들은 많지만, 이들이 자신의 임신중지 경험을 의미화하는 방식이 어떠한지 거의 알 수 없다. 여성 가톨릭 신앙인의 임신중지 경험은 자신의 종교 안에서뿐 아니라 페미니즘 담론 속에서도 소외된 주제였다. 그동안 페미니즘과 여성운동은 임신중지를 여성의 재생산 활동의 하나로 포괄하기 위한 개념화, 이론화 작업과 재생산 권리 보장을 위한 제도적 요건 마련에 중점을 두었다. 임신중지를 경험하는 여성들이 실제 임신중지를 하게 되는 맥락과 그 과정 및 이후의 윤리적, 신앙적 고투에 대한 관심은 매우 부족했다. 이 연구는 여성이 경험하는 임신중지라는 사건에 내포된 윤리적 차원의 문제를 페미니즘 관점에서 전유하면서, 여성들이 임신중지라는 사건을 통과하며 생애 안에서 지속적으로 발휘하는 행위성을 읽어냈다. 이를 현상학적 질적 연구와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에게는 뜻하지 않은 임신으로 인한 갈등 상황 자체가 윤리적 딜레마로서 경험되었으며, 임신중지 결정에 이르기까지의 대처와 임신중지 체험이 그 딜레마를 일차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이었다. 여성들은 예상치 못했던 임신을 확인한 순간부터 이를 자신의 오롯한 책임의 영역 안의 일로 받아들이면서 그 원인을 남에게서 찾거나 해결 과정을 누구에게도 위임하지 않았다. 임신중지로 이어진 피임 실패 문제에서 섹슈얼리티 규범의 이중성과 젠더권력의 비대칭이 드러났지만, 여성들은 그러한 구조적 조건 안에서도 자신이 개선시킬 여지가 있었던 부분에 대한 책임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여성들은 자신의 혼란스러운 감정을 스스로 잠재우고 남성 파트너의 정서적 지지를 전혀 기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남성에게 역할을 부여하며 뜻하지 않은 임신에 대처했다. 임신갈등 상황에서 여성들은 태아의 생명과 발달 단계를 고려하고 자신을 둘러싼 주변 사람들의 생애 전망 및 가용한 자원과 기회를 모두 숙고한 뒤 최선이라 생각되는 행동 양식 중 하나로서 임신중지 결정에 이르게 되었다. 의료 체계의 불안정성 속에서 모든 불안감을 감내하며 임신중지를 체험했고, 임신중지 과정과 직후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위에 내색할 수 없었다. 둘째, 임신중지가 일으키는 딜레마와의 씨름은 임신중지를 경험한 그 시기에 국한되거나 종료될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다. 여성들은 임신중지가 좋은 결정이었는지를 스스로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작업을 임신중지 이후에 하게 되었다. 이들은 임신중지에 관한 복잡한 감정과 도덕적 갈등들을 덮어두지 않고 생명, 삶, 관계, 고통 등의 개념들을 다원적인 가치체계를 동원하여 다각도로 고찰해냈다. 임신중지라는 사건 자체를 다시금 모니터링해보는 것은 여성 주체가 자기 자신에게 진실되고자 하는 도덕적 이상을 실현하는 과정이었다. 이를 통해 여성들은 자아정체성 통합의 욕구를 직면하였고 임신중지한 나를 수용하며 격려하는 단계로 나아갈 수 있었다. 여성들은 남성과의 친밀한 파트너십 안 자기소외의 결과로 임신중지라는 사건을 이해하게 되면서 이성애적 관계맺음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내었고 자신의 관계적 자아를 복구해내고자 하였다. 또한 재생산 스펙트럼의 하나로 임신중지 경험을 위치짓게 되면서 다른 여성들의 삶을 향해 시선을 확장하며 연대와 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들은 임신중지 경험 성찰의 과정을 거치면서 타인의 숨겨진 고통에 민감성을 가지게 되었고, 자기 아픔을 승화하여 남에게 도움이 되는 경험으로 바꿔내고 있었다. 셋째, 임신중지를 경험한 가톨릭 신앙인 여성들에게는 자신이 놓인 종교적 환경으로 인해 임신중지에 관한 윤리적, 종교적 딜레마가 매우 심각하게 제기되는 상황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자기 행위성을 성찰해내야 하는 과제가 부과되어 있었다. 이들은 가톨릭 신자로서 임신중지를 했다는 모순된 상태 그대로에 매몰되어 자아성찰의 작업을 회피하거나 자기신앙을 버리지도 않았다. 그녀들은 자신의 임신중지 경험과 그것의 의미를 신앙생활 안에 조율해내기 위해 부단히 애를 쓰는 과정에서 신과의 관계에 대한 깊은 묵상이 가능했고 그 안에서 자신의 임신중지 경험을 더욱 잘 되돌아보게 되었다. 이들은 가부장적이고 섹슈얼리티 억압적인 가톨릭교회 문화 안에서 임신중지 경험자 여성 신앙인으로서 정체성 소외의 위기를 끊임없이 겪어 왔지만, 가톨릭교회 안 풍부한 영적 자원들을 활용하며 스스로 신앙적, 윤리적 성숙을 이뤄내고 있었다. 이들은 가톨릭교회 안에 제도적 유산으로 마련되어 있었던 고해성사, 죽은 이를 위한 연도, 영신수련, 낙태 후 치유 피정 등의 종교적 계기와 형식을 능동적으로 채택하고 활용하면서 자신의 임신중지 경험을 스스로 치유해내고자 노력하였다. 여성들은 가톨릭교회의 낙태죄 폐지 반대운동을 비판적으로 목도하면서 동시에 자기 신앙심은 훼손시키지 않는 자율성과 힘을 갖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생명을 갖는 모든 존재를 존엄하게 포괄하는 포용적인 공동체성의 회복을 가톨릭교회에 기대하는 마음을 포기하지 않고 있었다. 정리하면, 임신중지는 여성이 그것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서뿐 아니라 그 경험을 가진 이후에도 계속되는 그녀의 삶과 생애 안에서 여러 가지 딜레마를 마주하게 만들면서 끊임없는 고민과 성찰을 통해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내도록 요청하는 경험이었다. 이러한 인생의 여정에서 여성들은 윤리적인 결단력과 행위성을 반복해서 드러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자신의 임신중지 경험에 관한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자기 몸과 삶에 있어 주체성을 발휘하면서 이를 신앙과 통합시키고자 한 여성들의 고투를 가시화하고 그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여성의 임신중지 경험을 윤리적인 생애사건으로 바라볼 수 있는 인식론적 경로를 만들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임신중지 당시와 그 이후의 삶을 한꺼번에 담아내는 생애 과정적 접근을 취함으로써 임신중지가 특수하고 일회적인 단발성의 비극이 아닌, 여성 삶에 있어 지속적으로 중요하고 윤리적인 사건일 수밖에 없음을 드러냈다. 이를 통해 ‘낙태’를 비도덕성과 문란함의 결과로 여전히 재현하는 통념이 사실이 아님을 밝혔다. 그동안 가부장적 성도덕 담론의 여성을 향한 이분화 속에서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여성 경험 자체가 비윤리적으로 표상되고, 재생산의 경우 자연이나 의학의 영역으로 보는 시선이 팽배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성의 몸, 섹슈얼리티, 재생산에 관련된 도덕성과 윤리적 숙고라고 하는 것은 철저히 지워져 왔다. 이 연구는 남성 중심적 도덕⋅윤리 이론의 페미니스트적인 수정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는 임신중지 경험자 여성을 태아 생명에 대한 가해자 혹은 사회구조의 피해자 내지 치유받아야 할 수동적 존재로 표상하는 기존 담론을 넘어서서, 스스로 결정하고 행위하며 또한 자신의 상처와 맞서 싸우면서 끊임없이 윤리적 성장을 이뤄내는 자율적 힘을 가진 존재로 이들을 자리매김하였다. 그동안의 ‘낙태 정치’ 속에서 마치 태아의 생명과 대척점에 있는 여성이 고립된 상태에서 자신의 권리를 이기적인 방식으로 실현한 결과가 임신중지 경험인 것처럼 많은 사람들의 상상이 유지되어 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담론 구도를 깨부술 근거를 여성들의 실제 경험과 목소리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여성의 성과 재생산 권리의 윤리적 기초를 찾아낸 출발점이다.

      • 자궁외임신의 위험인자에 대한 분석

        정수호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자궁외임신은 가임기 여성에 있어서 흔히 발생하는 응급 질환 중의 하나로 최근의 임상 통계적 고찰을 통하여 자궁외임신의 위험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순천향대학교부속 부천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자궁외임신으로 진단 및 치료 받은 85명의 환자와 이 기간에 분만으로 입원한 산모 20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의무기록과 전화 상담 및 설문지를 이용하여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궁외임신의 위험 요소는 연령, 사회 경제적 상태, 결혼 여부, 임신력, 첫 성교 연령, 성교 상대자 수, 지속적인 하복부 통증, 골반염 과거력, 유산, 복강내 수술 받은 과거력, 자궁외 임신 과거력, 불임 치료 그리고, 피임 방법 등으로 이에 대한 위험도를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자궁외임신의 발생율은 7.9분만 당 1건이었다. 위험 요소로 판단 할 수 있는 것은 (1)30세에서 40세(비교위험도: odds ratio, OR= 2.4), (2)미혼(OR=17.1), (3)세 번 이상의 임신(OR=48.3), (4)첫 성교 연령이 10세에서 19세(OR=1.8), 그리고 (5)다수의 상대와의 성관계 (OR=3.6)를 가졌던 경우에서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피임 방법 으로 콘돔을 사용하였던 경우(OR=3.7)에 의미 있는 증가 소견을 보였다. 반면에 사회 경제적인 상태와 피임 방법으로 자궁내장치를 사용 하였던 경우와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였던 경우에는 자궁외임신의 위험 인자로 의미 있는 수치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자궁외임신의 발생에 의미 있는 증가를 가져오는 위험인자로 연령, 결혼여부, 임신력, 첫 성교 연령, 성교 상대자 수, 지속적인 하복부 통증, 골반염 과거력, 유산, 복강내 수술 받은 과거력, 자궁외임신 과거력으로 나타났다.

      • 한우 암소의 임신기간 및 생시체중에 관한 연구

        김대중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gestation length (GL), birth weight (BW) and reproductive traits (RT) to improve the reproductive efficiency of Hanwoo cows. A total of 5,181 calving records obtained from three Hanwoo breeding farms and one Hanwoo farm with emphasis on reproduction in Jeonbuk Province from 2006 to early 2020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gestation length and calf birth weight, reproductive traits such as year of birth, season of birth, parity of dam, and sex of calf were analyzed by farm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w GL and calf BW. GL and BW data were analyzed by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and compared by using Scheffe metho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GL and BW.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BM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GL of breeding cow. In this study, the average BW of calves was 28.29kg (SD=4.40), and the average GL was 286.59 days (SD=5.9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L (F=4.431, p=0.005) and BW (F=14.202, p<0.001) for each farm. In this study, the mean GL was 284.84 days (SD=5.87) in 2006-2008, 286.20 days (SD=6.05) in 2009-2011, 287.19 days (SD=5.43) in 2012-2014, 286.97 days (SD=5.72) in 2015-2017, and 286.60 days (SD=6.28) in 2018-2020, respectively. The each mean BW of calves was 26.69kg (SD=4.56) in 2006∼2008, 26.78kg (SD=4.30) in 2009∼2011, 27.40kg (SD=4.26) in 2012∼2014, 28.52kg (SD=3.82) in 2015∼2017 and 29.82kg (SD=4.58) in 2018∼2020.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L (F=17.215, p<0.001) and BW (F=94.232, p<0.001) by YB under the significance level of 5%. In particular, calf BW tended to increase as the YB was more recent. The mean GL by season of birth (SB) was 287.35 days (SD=5.67) in 'spring', 284.74 days (SD=6.01) in 'summer', 287.16 days (SD=5.98) in 'autumn', and 286.81 days (SD=5.68) in winter. In addition, the average BW of calves was 28.83kg (SD=4.36) in 'spring', 27.49kg (SD=4.11) in 'summer', 27.93kg (SD=4.45) in fall, and 28.79kg (SD=4.45) in 'winter'. SD=4.60). Under the significance level of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L (F=56.629, p<0.001) and birth weight (F=29.867, p<0.001) by SB. As a result of Scheffe's method for multiple comparisons, the shortest GL was 284.74±6.01 days when the season of birth was summer. And the BW of calves in summer and autumn was smaller than spring and wint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L and BW under the significance level of 5% by the parity of dam (PD) in the gestation length (F=21.261, p<0.001) and birth weight (F=64.323, p<0.001). As a result of Scheffe's method for multiple comparisons, the GL of 1st parity was shorter than 3th parity whereas cows in 7th parity had longer GL than 1st and 2nd parity. Calves from 1st parity dam had the lightest BW. The mean BW of female calves was 27.17kg (SD=4.03) and male calves mean BW was 29.39kg (SD=4.47) and the average GL conceiving female calf was 286.06 days (SD=5.90) while the mean GL conceiving male calf was 287.11days (SD=5.90). Bull calves were carried longer (p<0.05) in utero and its BW was heavier (p<0.05). BW by GL is 25.50kg (SD=5.09) when GL is 270 days or less, 24.79kg (SD=4.59) for 271∼275 days, 25.73kg (SD=3.94) for 276∼280 days, 27.30kg (SD=3.83) for 281∼285 days, 28.67kg (SD=3.96) for 286∼290 days, 30.13kg (SD=4.34) for 291∼295 days, 31.77kg (SD=4.71) for 296∼300 days and 30.77kg (SD=5.75) for above 301 days. Under the significance level of 5%, BW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118.804, p<0.001) by GL and calf's BW tended to increase as GL increased.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reproductive traits affecting BW were YB (B=0.295, p<0.001), SB (summer) (B=-0.737, p<0.001), SB (fall) (B=-0.689), p<0.001), PD (B=0.475, p<0.001), SC (female) (B=-2.046, p<0.001), and GL (B=0.220, p<0.001). BW increased by an average of 0.295kg with the passing of one year in the YB and 0.475kg as the PD increased by 1 parity. The average BW of male calves was heavier by 2.046kg than female calves. The average BW increased by 0.22kg as GL was longer by one day. The factor affecting calf's BW was the GL (β=0.296), followed by the YB (β=0.258), SC (β=-0.232), parity (β=0.208), SB (summer) (β=-0.072) and SB (autumn) (β=-0.066).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GL and BW.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cluding conception and calving data from other regions for providing criteria for the reproductive capacity of cows, to help in selection super cow.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expected delivery date more accurately, and analyze the calf's BW and weaning weight and consequently it will be helpful to improve reproductive efficiency and prevent reproductive disorders.

      • 임신 중 체중변화와 임부 및 신생아 상태에 관한 연구

        박광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임신 중 체중변화와 임부 및 신생아 상태에 관한 본 연구는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를 기준으로 임신 중의 체중변화를 조사하고 임부의 불편감, 합병증 및 신생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임부의 적절한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중재에 활용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2000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울시에 소재 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분만을 위해 입원한 37주 이상 42주 미만의 단태임신 임부로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의 참여를 승낙한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연구자가 관련문헌을 참조로 하여 작성한 일반적 배경, 임신 전 체중과 신장, 신체적 불편감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설문지와 산과력, 입원당시 임부의 체중, 고위험임신, 분만형태, 혈색소치, 신생아 아프가 점수, 신생아 체중으로 구성된 조사지로 이루어져 있다. 신체적 불편감은 김혜원(1996)의 신체적 불편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전산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부의 임신동안 평균 체중증가량은 13.8kg이었으며 최소 3kg에서 최대 26kg의 체중변화를 보였다. 152명의 대상자 중 80명(52.6%)은 임신동안 체중증가량이 정상범위 안에 있었고 37명(24.3%)은 과소 증가되었으며 나머지 35명(23.0%)은 과다 증가하였다. 2. 임부의 체중변화와 불편감에 대한 조사에서 전체 대상자의 신체적 불편감 점수는 중간정도였고 과다체중증가군의 신체적 불편감이(총점 44.06점) 과소체중증가군의 신체적 불편감보다(총점 42.73점) 약간 컸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F=0.234, p=0.791). 한편 식욕부진은 과소체중증가군이 심했으며(평균 2.08점, F=5.923, p=0.003) 손·발 부종은 과다체중증가군이 심했다(평균 2.54점, F=16.942, p=0.000). 일반적으로 전체 임부가 가장 많이 호소하는 불편감은 소변의 자주 마려움(평균 2.59), 피로감(평균 2.34), 메스꺼움·구토(평균 2.11) 순이었다. 임부의 체중변화와 고위험임신에 대한 조사에서 임부의 체중변화는 고위험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F=0.509, p=0.477). 임부의 체중변화와 분만형태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체중변화는 분만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X²=3.825, p=0.148). 임부의 체중변화와 분만 후 혈색소치 변화량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임부의 체중변화는 분만 후 혈색소치 변화량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고 과다체중증가군의 분만 후 혈색소치 변화량이 가장 컸다(F=3.062, p=0.05). 3. 임부의 체중변화와 신생아의 아프가 점수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임부의 체중변화가 신생아 1분 아프가 점수(F=0.157, p=0.855), 5분 아프가 점수(F=0.030, p=0.970)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의 체중변화와 신생아 체중에 대해 알아본 결과 임부의 체중변화가 신생아 체중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F=5.465, p=0.005) 임부의 체중변화량이 많을수록 신생아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0.256, p=0.001).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임부의 임신동안 체중변화가 과거보다 증가했으며 개별적인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에 따른 임신 중 체중변화는 임부의 분만 후 혈색소치 변화량, 신생아 체중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임부의 신체적 불편감, 고위험임신, 분만형태, 신생아 아프가 점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를 기준으로 임신동안 이상적 체중증가량을 제시한 권고안은 미국의 여성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임신 전 신체질량계수에 따라 임신동안 이상적 체중증가량을 제시한 우리나라 임부 대상의 권고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research is to study about the weight-change of a pregnant woman, conditions of the woman and an infant. The weight-change of a mother during pregnancy was observed and that was expressed as the basis on the body mass index of a mother before pregnancy. The effects of weight-changes on both the discomfort, complications of pregnant mother and the condition of an infant were also investigated. Thus we set a purpose that this study would help pregnant woman and an infant to maintain and enhance their health conditions by proper weight control through nursing medi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 certain hospital of university in seoul from Feb. 1. 2000 to Mar. 31. 2000. We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e hospital institution and obtained consent of investigation. 152 inpatients who were in condition from PA 37 weeks to PA 42 weeks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earch materials were made through documents. This research materials was consisted of question paper that inpatients make answer by themselves and investigation paper. The question paper was about general background, weight and height before pregnancy and discomfort of the physical degree. And the investigation paper was about parity, maternal weight (late pregnancy), high pregnancy, delivery method, hemoglobin level, Apgar score, fetal weight. Physical discomfort was measured using the implement made by Kim hae won(1996) (chronbach's α=0.85). SPSS was used to do statistics for managing and analyzin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ke followings. 1. The mean value of gained weight during pregnancy was about 13.8 kg within from 3 kg to 26 kg. Among 152 research candidates, the gained weight of 80 (52.6%) candidates remained within an ideal range. But that of 37 candidates (24.3%) became less than the ideal range. Also that of 35 candidates (23.0%) became over than the ideal range. 2. In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weight change of a pregnant woman and her condition, the scores to represent physical discomfort were middle in all candidates. And the physical discomfort of over weight-gained group was more than that of low weight-gained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atistics(F=0.234, p=0.791). The loss of appetite that is one detail for measuring the physical discomfort was highest in low weight-gained group (average=2.08, F=5.923, p=0.003). Extremity edema was severe in over weight-gained group (average=2.54, F=16.942, p=0.000). Also types of discomfort that the woman feel severly and often were an urge to urinate (average=2.59), fatigue (average=2.34), the feeling of vomiting and emesis (average=2.11) in order. The weight-changes of pregnant woman didn't have an influence with the high risk of pregnancy (F=0.509, p=0.477). Also, the weight-changes didn't have an influence on delivery method (X²=3.825, p=0.148). However, in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weight-change and hemoglobin level, the change of hemoglobin level was highest in over weight gained group (F=3.062, p=0.05). 3. In the investigation of the weight-change of pregnant woman and the condition of infant, the weight changes didn't have an influence on both 1 min Apgar score (F=0.157, p=0.855) and 5 min Apgar score (F=0.030, p=0.970) of infant. Also, in the investigation of weight-change of a pregnant woman and weight difference of a infant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weight-change of a pregnant woman affected vastly the weight of a infa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re pregnant woman gained in weight, the more did gain weighty infants. This relation was in net proportion (r=0.256, p=0.001).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ight-changes during pregnancy in Korea women of these days are more increased than that of the past days and individual variation in weight-changes is very high. Als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d hemoglobin level of a mother and weight of an infant were meaningfully affected by the weight-changes of a pregnant woman during pregnancy. However, the physical discomfort of a pregnant woman, the high risks of pregnancy, the delivery method and Apgar score of an infant were not affected by the weight-changes during pregnancy. Because the recommendation suggesting the ideal weight-change, used this study, is basis on the subject of American women, therefore,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e necessity of such recommendation which is subject to Korean women.

      •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황인명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환자 대조군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대전 소재 1개의 대학병원과 1개의 산부인과 병원 1개의 내과 병원 외래를 방문한 임부 중 임신성 당뇨병 임부 49명, 정상 임부 51명이었으며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8월부터 2019년 1월이었다.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대상으로 먼저 자료수집을 시작한 후 연령, 임신주수, 출산 횟수를 matching하여 정상 임부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주관적 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피로, 수면의 질은 임신스트레스 설문지, 우울 측정도구, 피로 측정도구 수면의 질 측정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객관적 스트레스 지수, 객관적 피로 지수는 Canopy 9 professional 4.0 (IEMBIO, Gangwondo, Korea)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24.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wo sample t-test와 x2-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중 제 1 부가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임신 후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t=3.113, p=.002). 2) 제 1가설 중 제 2 부가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임신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505, p<.001). 3) 제 1가설 중 제 3 부가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스트레스 지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350, p<.001). 4) 제 2가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우울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4.564, p<.001). 5) 제 3가설 중 제 1 부가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주관적 피로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3.709, p<.001). 6) 제 3가설 중 제 2 부가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객관적 피로 지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t=2.377, p=.019). 7) 제 4가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수면의 질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본 연구 결과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피로는 정상 임부보다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수면의 질은 비슷하였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위한 산전 관리에서 스트레스, 우울, 피로를 사정하기 위한 개별적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이 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과 간호 중재프로그램이 마련되어 태아와 임부의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