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人間卵子의 體外授[실제는 受]精을 위한 程度管理로서 생쥐 着床前 胚芽의 培養에 관한 硏究=

        朴鍾德 全北大學校 1989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development of 2-cell mouse embryos to the blastocyt stage in vitro has been used as quality control for the culture media and supplements employed for huma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IVF-ET). 2-cell mouse embryos were cultured to the blastocyst stage in SECM, Medium 199-Karle’s, Ham’s F-10 I, Ham’s F-10 Ⅱ, Hoppe and Pitts, MEM and HT_6. The protein supplements contained in media were bovine serum albumin, fetal bovine serum and human fetal cord serum. 1. The successful development was 84.3% in Medium 199-Earle’s, 90.9% in Ham’s F-10 I and 97.1% in HT_6. 2. 2-cell mouse embryos developed properly in all supplements but the best devleopment was particularly noted in HT_6 media when HFCS was supplied as protein supplements.

      • 형질전환 소 생산 효율 향상에 대한 연구

        양정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50335

        Recently, the transgenic animal production technique is very important for the production of bio-parmaceutical as animal bio-reactor system. However, the absence of survival evaluation in in vitro produced transgenic embryos has been a problem of the low productivity of transgenic animal because of absent of pre-estimate of pregnancy after transgenic embryos transferred into recipient.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to improve efficiency of transgenic cattle production by transgenic technique. Firstly, this study is to develop transgenic cell line expressing targeted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hGCSF) and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 genes as well as production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embryos derived from co-expressed transgenic donor cells. Constructed pPiggy-mWAP-hGCSF-EF1-GFP vector was chemically transfected into bovine fetus cells and then, only GFP expressed cells were selected as donor cells for SCNT. Cleavage and blastocyst rates of parthenogenetic, SCNT embryos using non-TG cell and hGCSF-GFP dual expressed SCNT embryos were examined (cleavage rate: 78.0±2.8 vs. 73.1±3.2 vs. 70.4±4.3%, developmental rate: 27.2±3.2 vs. 21.9±3.1 vs. 17.0±2.9%). Result indicated that cleavage and blastocyst rates of TG embryo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ose of parthenogenetic and non-TG embryos, respectively. Also, transgenic bovine embryos were produced by injection of FIV-EGFP lentiviral vector into perivitelline space of in vitro matured MІІ stage oocytes, and then in vitro fertilization (IVF) was occured. Normal IVF and EGFP expressing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into recipients. Results indicated that 2 expanded blastocysts (34.7%) transferr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pregnancy rate than 1 expanded blastocyst (26.8%) transferred group. In case of parity of recipient, ET to heifer (34.9%)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pregnancy rate than ET to multiparous recipient (21.2%).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egnancy rate between natural induced estrus and artificial induced estrus group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pregnancy rate was obtained from recipient group which have normal corpus luteum with crown group (34.8%) than normal corpus luteum without crown (13.6%). Additionally, treatment of 100 ㎍ Gn-RH injection to recipient group (38.6%) 1 day before ET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 pregnancy rate than non- Gn-RH injection to recipient group (38.6%). We also transferred 2 EGFP expressing expanded blastocysts to each 19 recipients, 7 recipients were pregnant and finally 5 EGFP transgenic cattle were produced under described ET condition. Therefore, our result suggested that transfer of 2 good-quality expanded blastocysts to 100㎍ of Gn-RH injected recipient which have normal corpus luteum with crown is feasible to produce transgenic cattle. 본 연구는 기존의 낮은 형질전환 소 생산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최적의 조건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세포 복제기술을 이용하여 인간 과립구 집락 촉진인자 (human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hGCSF)와 녹색형광 단백질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하는 형질전환 소를 개발하고자, hGCSF와 GFP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하는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생산효율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발된 pPiggy-mWAP-hGCSF-EF1-GFP 벡터를 소 태아세포에 도입하였으며, 유전자 도입 후 GFP 단백질의 발현유무에 따라 외래 유전자만 도입된 세포를 선별 하였다. 이들 GFP 유전자 발현 체세포는 체외성숙된 소 난자의 핵과 치환하여 체세포 복제기술로 hGCSF-GFP가 동시에 발현하는 형질전환 난자를 생산하였다. hGCSF-GFP가 동시 발현하는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배발달 효율을 일반 소 태아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복제수정란과 단위발생란의 분할율 및 발달율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단위발생란과 일반 체세포 복제수정란은 각각 78.0±2.8%와 73.1±3.2%의 분할율을 보였으며, 배반포까지의 발달율은 각각 27.2±3.2와 21.9±3.1%로써 일반 체세포 복제수정란이 단위발생란에 비하여 분할률과 발달율이 유의차 있게 낮았다(P<0.05). 또한, hGCSF-GFP 동시발현 소 태아세포를 이용하여 생산된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분할율과 배반포율이 각각 70.4±4.3%와 17.0±2.9%로써, 일반 체세포 복제수정란에 비교하여 배반포로의 발달율이 저조하였다(P<0.05). 수란우에 이식되는 확장배반포 수에 따른 임신율을 조사한 결과에서, 임신율은 2개 주입한 것이 1개 주입한 것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수란우의 산차에 따른 임신율을 조사한 결과에 있어서는 미경산우가 경산우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 (P<0.05), 자연발정과 PG 투여에 의한 발정유도에 따른 배반포란의 이식 후 임신율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황체 상태에 따라 임신율을 조사하였을 경우에는 황체가 정상이고 crown이 있는 경우가 황체 크기는 정상이나 crown이 없는 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또한, 배반포 이식 시 수란우에 Gn-RH 투여 여부에 따른 임신율을 조사한 결과에 있어서는 이식전날 (발정 7일째) 100 ㎍ Gn-RH를 근육주사를 하였을 경우가 임신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특히 이러한 이식조건 하에서 19두의 대리모에 각각 2개씩 EGFP 형질전환 확장배반포를 이식하였을 경우에는 7마리가 임신과 성공적으로 5마리의 EGFP 형질전환 소가 생산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수정란 이식시 수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2개의 질적으로 우수한 확장배반포를 crown이 있는 황체를 가진 미경산우에 이식전날 100㎍ Gn-RH 근육주사 후 이식하는 것이 형질전환 소 생산에 효율적이라 것으로 조사되었다.

      • 연구 목적의 난자 기증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H. Jonas)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이종민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17629

        오늘날 세계 곳곳에서 ‘생명의 존엄성’이 경시되고 인권이 유린되는 일이 비일비재(非一非再)하게 자행되고 있다. 이는 과학기술, 특히 인간의 생명을 지키고 보호해야 할 생명의료 분야 안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을 위한다는 목적으로 인간의 인권을 침해하고 생명마저 위협하고 있다. 이는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명예나 상업적인 이익을 목표하기 때문이다. 생명과 인간의 존엄성은 어떤 가치보다도 우선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과학의 발전이나 개인 또는 집단의 이익이나 명예를 위해서 파괴되거나 훼손되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편향된 가치 추구로 말미암아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와 인류의 존재 자체를 위협하는 상황까지 온 것이다. 인류에게 편익을 제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과학기술이, 동시에 인류와 생명체를 위협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윤리학의 틀로는 현대과학기술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제는 과학기술이 가져온 편익의 이면에 가려져 있던 위험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으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윤리가 우리 사회 안에 필요하다. 우리의 행위와 지식을 올바르게 이끌어 줄 수 있는 새로운 윤리로서 한스 요나스의 책임윤리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스 요나스의 책임윤리이론을 바탕으로, 기증된 난자로 이루어지는 연구의 윤리적 문제점과 위험성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새로운 윤리를 통해서 현재 지구상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생명을 보호해야 하고 미래의 인류가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책임이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한스 요나스의 책임윤리이론은 연구목적으로 기증된 난자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관련된 윤리적인 문제들의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앞으로 인류에게 닥칠 수 있는 위험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우리 인간뿐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하며, 과학기술이 가져오는 희망보다는 그 이면에 숨어 있는 위험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모든 생명체와 인간 그리고 미래의 세대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도록 한다. Today it is very common to neglect 'dignity of life' and infringe human rights all over the world. It is true of scientific technology, especially the biomedical field which should keep and protect human's life. Among others, researches in embryonic stem cells violate human rights and threaten life on the pretext of protecting human's dignity and life. It does not aim at human's dignity and life, but honor or commercial profits. Although life and human's dignity should precede any other value, it is easily destructed or defamed for scientific growth or individual or group benefits. Human's such biased pursuit of value leads to a situation which threatens the existence itself of all creatures and human beings. Technology which provides us with facility and improves our quality of life comes to a threat to human beings and all creatures simultaneously. However, many difficulties appear to solve structural problems caused by modern technology within the traditional frame of ethics. It is now necessary to make risk hidden in the back of facility given by technology as the subject of discussion and seek for new ethics to overcome thi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of H. Jonas as new ethics that can guide our behaviors and knowledge correctly. Based on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of H. Jonas, this study aims to analyze ethical problems and risk of researches conducted by donated eggs and examine solution. Also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at we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protecting life and helping human beings enjoy happy life through the new ethics.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of H. Jonas can help solve ethical problems related to researches in embryonic stem cells using donated eggs for research. Furthermore, it is beneficial that we recognize that we are the only one to prevent risk threatening human beings in the future, feel fear of risk caused by technology rather than hope, and take the responsibility of all creatures, human beings, and the future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