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공론장 환경에서 공공 위기 사건에 관한 여론 연구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사태를 중심으로

        ZHANG YA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ublic opinion on SNS such as Twitter regarding a public health crisis of the COVID-19 has developed into meaningful clusters of words as the pandemic progressed toward nowhere. I divided the whole period into four significant periods so that any meaningful cluster can be extract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each period. A total of four major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to explore the dynamic process of public opinion reflected on Twitter during the pandemic period. I appli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communication messages on Twitter and derived meanings by analyzi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words that convey messages within the texts on the COVID-19 crisis. I found during the first pandemic, the words such as confirmed cases, Shincheonji, News, Korea, Daegu, new, China, virus, Japan, and patients had a high frequency; during the second pandemic, confirmed, news, sources, government, true, Naver, rally, people, mask, and dissemination showed a high frequency; during the third pandemic, confirmed, Shincheonji, plasma, vaccine, cure, development, Shincheonji Church of Jesus, prayer meeting, test, and real had a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In the final 4th pandemic, I found vaccine, confirmed, vaccination, person, test, with, real, news, Shincheonji, and today had a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Then, I derived a total of five clusters from the first pandemic; risk delivery, national response, convey suspicion, overseas situations, and Shincheonji situations. During the second pandemic, I extracted a total of seven clusters; medical conditions, government responsibility, social life, group spreading, church infection, vaccine development, and democracy. In the third pandemic, I obtained a total of four clusters, which included vaccine development, confirmed covid patient’s situation, national response, and group awareness. Finally, during the 4th pandemic, a total of six clusters, which included information delivery, national evaluation, policy delivery, Shincheonji situation, fact explanation, and risk response, were derived. I interpreted the research findings by considering the centrality and connectedness of major words within each cluster. I also showed the applicability of the public sphere theory to a health crisis event such as the COVID-19 situation. I then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my study. I finally mad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코로나-19 사건은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는 하나의 돌발적인 공공 위기 사태로 공중 여론 파악과 올바른 정책 탐색이 시급하다. 그 동안 언론사들은 대중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 코로나-19에 대해 끊임없이 보도를 해왔지만 이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파악하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그러나 코로나-19 사건에 대한 정책 마련을 위해서는 언론사 및 전문가 의견뿐만 아니라 대중 인식이 내포된 여론의 분위기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SNS 공론장에서 위기 사태에 동반된 다양한 메시지들이 신속하게 퍼져나가면서 코로나 시대의 정보처가 되었다. 이러한 SNS 공론장 안에서는 수시로 여론이 형성되고 또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 공론장에서 여론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트위터 메시지를 통해 공공 위기 사건에 관한 대중 인식의 패턴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과거 정책 연구에서 흔히 적용해 왔던 공론장 이론과 현재의 SNS 다채널 환경을 연관시켜 현재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위기 사건에 대해 대중의 인식 및 여론 지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내용 분석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네트워크 분석 기법인 의미연결망 분석을 사용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은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대상으로 텍스트 내에서 메시지를 형성하는 단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의미를 도출하는 분석방법을 말하며 이를 통해서 메시지 내에 중요한 키워드 및 내포된 생산자의 인식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시기별 트위터 담론의 추이 변화를 살펴보고자 연구기간을 1차 대유행(2020년2월 16일-2020년3월30일) 시기 및 2차 대유행(2020년8월9일-8월31일) 시기, 3차 대유행(2020년11월15일-2021년1월 15일)시기, 그리고 4차 대유행(2021년7월 1일-2020년10월31일)로 나누어 트위터 메시지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1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 신천지, 뉴스, 한국, 대구, 신종, 중국, 바이러스, 일본, 환자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 뉴스, 출처, 정부, 진짜, 네이버, 집회, 국민, 마스크, 확산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3차 대유행 시기에는 확진, 신천지, 혈장, 백신, 완치, 개발, 신천지예수교회, 기도회, 검사, 진짜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4차 대유행 시기에는 백신, 확진, 접종, 사람, 검사, 위드, 진짜, 뉴스, 신천지, 오늘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기별 인식 클러스터의 도출 결과를 살펴보면 1차 대유행 시기에는 위험 전달, 국가 대처, 의혹 전달, 해외 상황, 신천지 상황, 등 총 5개 도출되었으며 2차 대유행 시기에는 의료 상황, 정부 책임, 사회 생활, 단체 확산, 교회 감염, 백신 개발, 민주 정치, 등 총 7개 도출되었다. 3차 대유행 기간에는 백신 개발, 확진 상황, 국가 대처, 단체 인식, 등 총 4개 도출되었으며 4차 대유행 기간에는 정보 전달, 국가 평가, 정책 전달, 신천지 상황, 사실 전달, 위험 대처, 등 총 6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여론 지형의 변화에 있어서 모든 시기에‘정보 전달’프레임의 특성이 대중 인식 클러스터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위험 정보 획득에 대한 대중들의 요구를 보여준다. 또한 2차 대유행 시기에‘책임 귀인’및‘갈등’프레임의 특성이 다른 시기보다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1차 대유행을 극복한 상황에서 다시 나타난 확산 사건에 대해 국민들이 의혹 및 불신을 표현하는 여론의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1차 및 2차 대유행 시기보다 3차 및 4차 대유행 시기에는 국가의 대응 정책 및 백신 접종과 관련된‘위험 대처’프레임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국민들이 위기 해결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슈 중심’프레임의 특성은 1차 및 2차 대유행 시기에 강하게 나타났지만 3차 및 4차 대유행 시기에는 관련 클러스터 개수가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위기 사건에 대한 공론장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위험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시기별 언론 및 담론 변화 연구에 이론적 배경 및 근거를 제공하였다. SNS 환경에서 형성된 대중 인식과 언론 입장 간의 일치성 및 차이성을 제시함으로써 의미연결망 분석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정보 전달의 중요성 인식 및 SNS 공론장에서 대중 인식의 다양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위기 사태 연구 및 공론장 연구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제20대 총선 보도 프레임 연구 : 조선일보, 한겨레, 네이버 블로그를 중심으로

        권유승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verage frame by media for the 20th General Elec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e issues emphasized by each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of frames accordingly, to investigate the orientation and ideological implication of each media and to compare the agenda setting of the press and social media. As an analysis process for this, two media Chosun Ilbo and Hankyoreh with certain political tendencies and Naver Blog with a characteristic of journalism were selected, and the total analysis period (Jan. 15, 2016-Apr. 13, 2016) were divided into four periods, focusing on the election schedule and issues. Next, this study collected articles and posted materials related to the 20th General Election, and after the classification of morphemes and the refinement, this study presented the relationships and meanings of the key words of the analyzed contents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tical method based on the generated matrix.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in frames between the media. First, it was found that frames changed in Chosun Ilbo and Hankyoreh by period, and similar core frames were formed usually, but the properties that constituted the frames formed differed between the two newspaper companies. Mainly, Chosun Ilbo brought the issues of the ruling party into relief while Hankyoreh brought the issues of the opposition parties. In addition, Hankyoreh tended to mention the events in the opposition parties struggling against the ruling party more importantly. Second, there were common parts in the core frames between Chosun Ilbo and Hankyoreh, whil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t frames. Especially, frames centered around ‘popular sentiment and judgment’ did not appear as the main frame of Chosun Ilbo, but they were those that consistently appeared in Hankyoreh. Third, it was found that Chosun Ilbo and Hankyoreh differed in the words and frames presenting regions. Mostly, Chosun Ilbo mentioned Seoul while Hankyoreh mentioned Honam and Yeongnam. Judging from the results of this General Election in which Saenuri Party mostly won in the Yeongnam area; the Minjoo Party of Korea, in the capital area; and the People's Party, in the Honam area, it is inferred that they mentioned the influential areas of the competing party in regional aspect. Fourth, it turned out that core frames appearing in Naver Blog by period were similar to the main frames formed in Chosun Ilbo and Hankyoreh. The result of the preceding studies that the press and social media set up similar agendas was confirmed in this study as well. Fifth, despite core frames appearing in Naver Blog were similar to those formed in Chosun Ilbo and Hankyoreh, it was found that the words that constituted the frames appeared with more diverse expressions than those in newspaper companies. Sixth, it was found that in Naver Blog, frames that were not formed as the main frames in Chosun Ilbo and Hankyoreh appeared. These are mainly frames concerning the progress and circumstance of issues. Seventh, Naver Blog brought words and issues into relief, which did not appear as keywords and issues in Chosun Ilbo and Hankyoreh. Especially, the press brought issues, focused on certain figures into relief, while the blog brought more macroscopic aspects into relief in various ways. Eighth, it was found that in Naver Blog, issues using metaphorical gossip words were brought into relief further and lasted long. 본 연구는 제20대 총선에 대한 매체 별 보도 프레임에 관한 연구이다. 매체 별로 강조하는 핵심 쟁점들과 그에 따른 프레임 형성의 특징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매체 별 지향점과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살펴보고, 더불어 언론사와 소셜 미디어의 의제설정을 비교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한 분석 진행 절차로, 특정 정치적 성향을 갖고 있는 두 개의 언론사 <조선일보>, <한겨레>와 저널리즘 성격을 지닌 주요 소셜 미디어 <네이버 블로그>를 선정하였고, 총 분석 기간(2016.01.15.~2016.04.13.) 중 선거일정 및 쟁점위주로 4시기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제20대 총선 관련 기사 및 게시물 자료를 수집하였고, 형태소 분류 작업과 정제작업 후, 생성 된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의미연결망 분석법을 통하여 분석 내용의 주요 단어들의 관계와 의미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매체 간 프레임의 차이와 특징이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시기별로 프레임이 변화였고, 핵심적인 프레임은 대체로 비슷하게 형성되었지만, 형성 된 프레임을 구성하는 속성은 두 신문사 간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조선일보는 여권 쪽 쟁점을, 한겨레는 야권 쪽 쟁점으로 부각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한겨레에서는 여권에 대항하는 야권에 대한 사건을 더욱 중요하게 언급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핵심 프레임이 공통적인 부분이 있는 반면, 상이하게 나타내는 프레임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민심, 심판’ 중심의 프레임 등은 조선일보에서 주요 프레임으로 나타나지 않지만 한겨레에서는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프레임인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지역을 나타내는 단어와 프레임에서도 상이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주로 조선일보는 서울, 한겨레는 호남, 영남 중심으로 언급하였다. 이번 총선 결과로 봤을 때, 주로 영남권은 새누리당, 수도권은 더불어민주당, 호남권은 국민의당이 차지한 것으로 보아, 지역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경쟁 당의 유력 지역을 언급했음을 유추 할 수 있다. 넷째, 네이버 블로그에서 나타난 시기별 핵심 프레임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에서 형성된 주요 프레임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과 소셜 미디어가 비슷한 의제를 설정한다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가 본 연구에서도 확인되었다. 다섯째, 네이버 블로그에서 나타난 핵심 프레임이 조선일보와 한겨레에서 형성된 프레임과 비슷할지라도, 신문사보다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더욱 다양한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조선일보와 한겨레에서는 주요 프레임으로 형성되지 않은 프레임들이 나타남을 확인되었다. 이는 주로 쟁점의 진행과 정황에 관한 프레임들이다. 일곱째,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조선일보와 한겨레에서 주요 단어와 쟁점으로 나타나지 않은 단어와 쟁점들이 부각 되었다. 특히, 언론사에서는 특정 인물들을 위주로 쟁점을 크게 부각시키는 반면, 블로그에서는 보다 거시적인 측면으로 다양하게 부각시킴을 나타냈다. 여덟째,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비유적인 가십성 단어를 사용한 쟁점을 더욱 부각시키며 오래 지속되는 점이 파악되었다.

      • 방송심의 의미연결망 연구 : 언론보도와 학술논문의 의미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성미경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26

        Recently, there are variety of discourse about a current broadcasting deliberation. While public attention and discussion on the broadcasting deliberation in 2008 launched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began in earnest. This discussion and criticism of intellectual and academia as well as civil society about the nature and status, the role of the early days of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have been made. In actual fact, such criticism has expectations for the new broadcasting deliberation system for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vergence era exists a certain part. However, recent decisions of broadcasting deliberation to outcomes of the broadcasting program is also a social issue and the subject of academic research.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semantic structure of broadcasting deliberate attention to this social phenomenon and wanted to explore the direction to be broadcast-oriented deliberations are based on it. This paper selected in the reports of media and newspaper and academic research papers for the past 10 years for it to broadcast deliberations were divided into five phases tried semantic network analysis each time. Overall view of the deliberations watching this broadcast media reports and academic papers and admission interest in applying common standards and fairness was shown to be similar in the two sectors were the most significant. Followed by discussion on the subject and consider the need for improved systems, content regulation measures, such as the changing environment for media launch of comprehensive channels, has emerged as press freedom, independence and democratic development is important for discourse. Looking a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the first phase was the period was the launch of a social debate on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i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vergence era, this discourse was driven institutional changes in our society. However, worries and philosophy for broadcasting its deliberations at this time appeared to have been insufficient. Phase 2 is <PD Note> to report on CJD(mad cow disease) relevant stakeholders when we debate about broadcasting deliberate decision to deliberate opposition to the report, the fairness of media coverage this discourse has emerged. Also exposed the politicized issue of Paradoxically,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hearing. Three phase lasted a discussion of the Cheonan falls,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prescribed period subsequent to the sidewalk caused the social repercussions of <60 Minutes>. Another human rights violations and the emerging ethical issues, such as youth protection was an elegant discussion of broadcasting began in earnest. The fourth aspect of TV channels comprehensive programming were broadcasting with the dignity of the deliberations of the bombard rough words. Polarization emerging as the front of the discourse, while broadcasting countries, issues of fairness media and channel discriminatory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hearing has emerged as a buzzword. Consideration of the fairness issue showed that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hearing system shows improvement in this period led to the scientific study of the review for organizations of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and system configuration and deliberation. Last, Phase 5 is aspects could see that Sewol ferry sank and spread fear of MERS as a political agenda to overcome the bias of the broadcast deliber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criteria to ensure their independence seriously injured. These social dicourse and academic researches are orientation of our society to be broadcast deliberations over the semantics of discourse-oriented procedural requirements were strengthen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nfigurations and the deliberations of the commission as a principal consideration. In sequence, the fairness conduct norms must be established as the behavioral norm and not the control that it broadcasts must meet the principled support for institutional deliberations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healthy public sphere of civil society. Finally, it will change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he type of media audience viewing behavior. Whatever, terrestial broadcasting channel and payment cable channel as TV channels comprehensive programming are applied of equal standards out of the discriminative between the hearing suggested the need to apply the same content regulation principle. 우리나라의 방송심의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논의는 2008년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초창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성격과 위상, 역할에 대한 학계와 시민사회의 토론과 비판이 있어왔다. 이러한 비판에는 방송통신융합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방송심의에 대한 기대가 일정 부분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 방송심의 제재조치 처분이 법원 판결에서 취소되는 상황이 왕왕 존재하고 있으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심의와 결과는 사회적인 쟁점이 되기도 하고 학술 연구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방송심의의 의미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방송심의가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방송심의에 대한 언론보도와 학술논문을 수집하여 5개의 국면으로 분류하였고 각 시기별 의미연결망 분석을 시도하였다. 전체적으로 언론보도와 학술논문이 바라보는 방송심의에 대한 시각과 입장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두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공정성 기준과 적용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심의주체와 제도의 개선 필요성에 대한 논의, 종합편성채널 출범과 같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내용규제 방안,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언론의 자유와 독립성 확보가 중요한 담론으로 부상했다. 각 국면별 특징을 살펴보면, 1국면은 방송통신융합담론이 우리 사회의 제도적 변화를 추동하던 시기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출범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있던 시기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 방송심의 자체에 대한 고민과 철학은 부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국면은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에 대한 심의결정으로 방송심의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논쟁이 대립했던 시기로, 언론보도의 공정성 담론이 대두되었다. 또한 역설적으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의 정치화 문제를 노정하였다. 3국면은 <추적 60분>의 천안함 후속보도가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던 시기로 객관성과 공정성 규정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었다. 또 인권침해와 청소년 보호와 같은 윤리성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방송의 품격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4국면은 종합편성채널이 개국하면서 막말․편파 방송에 대한 심의와 함께 방송의 품위가 담론의 전면으로 급부상했고, 매체와 채널별 차별적인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의 공정성 문제가 화두로 등장했다. 심의의 공정성 문제는 심의위원회 구성과 심의체계에 대한 학술적 연구로 이어졌고 이 시기에 방송심의제도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국면은 세월호 침몰과 메르스 공포가 정치적 의제로 확산되면서 방송심의의 편향성을 극복하고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의 확립이 중요하게 부상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학술담론의 의미구조를 통해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방송심의의 지향점은 심의주체로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구성방식과 심의의 현실화를 통한 절차적 요건 강화였다. 다음으로 공정성이 통제규범이 아닌 행위규범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방송심의는 시민사회의 건강한 공론장 형성을 위한 본래의 제도적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과 시청자의 시청유형에 적합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기존의 방송 채널간 차별적 심의에서 벗어나 동등한 내용규제 원리를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공공도서관 관련 뉴스 프레임 분석 : 국내 일간지 기사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김지혜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논문은 공공도서관에 대한 신문 보도기사의 프레임 경향과 사회 의제 의미화 과정을 분석한 연구이다. 1963년 도서관법 제정 이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수많은 정책과 제도가 신설·정비되고 다양한 이슈들이 논의되어 왔으며, 그 결과 독서실 기능에서 벗어나 대중의 지식향상과 복지구현을 위한 문화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특히 지식정보사회의 도래로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시점에서, 언론이 공공도서관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화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공공도서관 정책의 현 주소를 고찰하고 더 나아가 우리 사회와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1990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8개 종합일간지(경향신문, 국민일보, 내일신문,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기사의 제목과 부제를 수집하여 10년 단위로 의미연결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수집한 기사 수는 347개였으며, 분석 단어 수는 929개였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은 우리 언론을 통해 시대별로 특정한 역할과 이슈들이 강조되고 의미화 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1990년대는 도서관 정책이 문화 정책의 한 분야로 확장된 시기로, 언론은 공공도서관을 ‘문화시설’로 프레이밍(‘문화부’, ‘문화’, ‘사랑방’)하고 지역 사랑방으로서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동시에 자료 보존중심에서 벗어나 자료 열람중심으로의 기능을 부각시켰다. 둘째, 2000년대는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정책들이 수립되고 법과 제도가 전면적으로 정비된 시기로 이러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국민 독서 운동이 활발히 추진되었다. 언론은 공공도서관을 ‘독서 운동 중심 기관’으로 프레이밍(‘국민’, ‘운동’, ‘독서’)하며 다양한 책 읽기와 캠페인 사업들을 보도하였다. 또한 공공도서관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면서 공공도서관 이용 에티켓 및 제재 방안에 대한 이슈들이 함께 부상하였다. 셋째, 2010년대는 도서관 정책이 확대되고 세분화된 시기로, 언론은 공공도서관을 ‘평생학습 및 인문정신문화 진흥 기관’으로 프레이밍(‘행사’, ‘프로그램’, ‘인문학’)하고 평생학습 프로그램, 인문학 사업들을 보도하였다. 이 시기에는 공공도서관을 둘러싼 갈등 이슈들이 많았는데 특히 언론은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일원화 및 민간 위탁 경영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해관계 간 갈등을 다루었다. 본 논문의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30여 년 간 언론에서 다양한 공공도서관 의제들이 다루어졌으나 인프라 확충과 같은 외연적 이슈에 집중되어 있어 공공도서관의 다변화된 서비스와 역할이 대중에 전달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발전의 핵심 주체이자 전문 인력인 사서에 대한 필요성과 정책 이슈들이 거의 논의되고 있지 않아, 이를 사회적으로 의제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전국 공공도서관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사업과 서비스들이 언론에 많이 보도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공공도서관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바꾸고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공공도서관의 활동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홍보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frame tendency of newspapers articles about the public library and the process of semanticization of social agenda. Since the enactment of the Library Act in 1963, numerous policies and systems on public libraries have been newly legislated and amended and various issues have been discussed. Consequently, it has been developed beyond the reading room and became a cultural center to enhance knowledge of the public and to realize welfare.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esent address of the public library policy and to propose strategies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our society, when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attracts attention of people with the arrival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o this end, we collected titles and subtitles of articles on the 8 domestic daily newspapers (Kyunghyang Shinmun, Kukmin Ilbo, Naeil Shinmoon, Munhwa Ilbo, Seoul Shinmun, Segye Times, The Hankyoreh and Hankook Ilbo)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17 and tried to analyze semantic network of each decade. The number of articles collected was 347 and the number of analyzed words was 929.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pecific roles and issues of public libraries had been emphasized and signified through the media. First, in the 1990s, library policy was extended to an important part of cultural policy. The media framed public libraries as "cultural facilities(‘The Ministry of Culture’, ‘Culture’, ‘Cultural Center’)" and paid attention to their role as cultural centers. At the same time, they focused on the function of data reading rather than data preservation. Second, in the 2000s, the national reading campaign was actively promoted based on the infrastructure that the government built with comprehensive policies and the fully restructured law and system. The press framed the public library as a "center for reading movement(‘Nation’, ‘Movement’, ‘Reading’)" and reported various book reading campaigns and projects. In addition, as the use of public librari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issues related to etiquettes and sanctions have emerged. Third, in the 2010s, as the policies of the library expanded and became departmentalized, the media framed the public library as a "Lifelong Learning and Humanities and Cultural Promotion Agency(‘Event’, ‘Program’, ‘Humanities’)“ and reported lifelong learning programs and humanities projects. At this time, there were many issues surrounding public libraries. In particular, various conflicts of interest related to the unification of public library administration system and civil trust management were dealt with in depth. The meaning of this paper is reviewed and proposals for the future studies are made like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s to let the public know about the diversified services and roles of public libraries because the articles focused on external issues such as infrastructure expansion, although the media had dealt with various public library issues for more than 30 years. Second, it seems that little discussion related to librarians has been made although they are key players in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t is deemed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ocially formulate the issue. Third, various projects and services promoted by national public libraries had not been reported in the media. In order to change public perception on public libraries and attract social attention to them, it is necessary to have good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o publicize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 트위터를 활용한 저출산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연결망 분석

        송민호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4

        본 연구는 트위터에서 추출한 저출산 관련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저출산 관련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2015년 10월 16일부터 2017년 11월 15일까지 트위터에 등록된 11,984건의 저출산 관련 메시지를 대상으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상위 빈출 단어 110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상위 110개의 단어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저출산 상황이 개인의 자발적 선택의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출산 장려 정책과 관련한 단어의 언급은 상당히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콘커 분석을 통해 각 단어 간의 의미 연결 구조를 살펴본 결과, 상위 110개의 단어는 총 8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각 그룹별 단어는 저출산 현황에 대한 자신의 주변 상황 및 인식, 가치관의 변화, 결혼과 임신, 출산에 이르는 다양한 걱정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출산장려 정책에 대한 제언을 담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of messages related to low fertility on Twitter to contribute to policy-making of the government. This study selected top 110 words from 11,984 messages, which are posted on Twitter from 16 October to 17 November 2017, based on the result of the morphological analysis. These top words, then, were investigated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se examinations, the majority of tweets point out that spontaneous choice is the main reason for low fertility. Meanwhile, the quantity of tweets about childbirth promoting policies is significantly small.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top 110 words are divided into eight groups. Respective groups of words represent various issues lead to low fertility, such as negative perceptions toward the environment, changed worldview, avoid getting married, and concerns about pregnancy and childbirt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o promote childbirth policies based on these results.

      •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에 대한 뉴스기사와 블로그의 프레임 및 네트워크 의제 설정 연구 : 토픽 모델링과 의미연결망을 중심으로

        강윤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4

        기업이 사회공동체의 희생을 담보로 재무적 성과를 개선시키고 있다는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기업은 사회의 다양한 환경적, 경제적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및 윤리적 소비, 착한 소비를 이끌 수 있는 다양한 기업 활동에 대해 소비자들도 주목하고 있다. 특히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은 기업의 핵심적 역량을 기반으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기업의 이윤 추구를 가능하게 하는 경영 전략으로 기업의 경쟁력 확보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보다 기업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반 공중에게 기업 활동에 대해 명확하게 인지시키고 소통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일반 공중에게 명확히 인지된 이슈는 사회에서 활발한 논의를 일으키고, 다양한 의제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국내의 사회적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유가치창출과 같이 경제적 이슈는 가시적이지 않아 일반 공중이 직접 경험하거나 인식하기 힘들며 전문성을 요구하는 개념이다. 즉, 전문가의 해석 없이는 적절한 이해 방식을 찾기 어려운 분야인 것이다. 특히 공유가치창출은 CSR, 코즈마케팅, ESG과 같이 유사한 개념들과 함께 논의된다. 또한 다양한 사회, 경제, 환경 이슈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뉴스기사와 같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 외에 다른 정보 출처를 찾는 것이 어렵다. 결국 일반 공중은 전문가의 해석이 반영된 뉴스기사에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일반 공중에게 다소 어려운 경제적 이슈가 어떤 식으로 전달되고 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의제가 형성되는지에 대한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경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유가치창출 관련 키워드들이 어떠한 프레임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전달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공유가치창출 개념이 등장한 2011년 이후부터 2021년 9월까지 10년간 공유가치창출이 뉴스기사와 블로그에서 각각 어떠한 내용이 중점적인 의제로서 전달되고 있는지를 탐색했다. 미디어 환경에서 기업 활동은 뉴스기사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데, 소셜 미디어의 경우 소비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내용이 직접 게시되기 때문에 기사에서 제공하는 프레임과는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공유가치창출의 경우 경제적 이슈이므로 일반 공중이 상세한 정보를 직접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기사의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여 인식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뉴스기사와 블로그에서 나타나는 키워드들이 어떠한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키워드가 어떠한 맥락에서 사용됐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만들고 키워드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했으며, 뉴스기사 내용과 블로그 내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분석 도구로서 R studio를 이용하여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기사와 블로그 텍스트 자료들에서 각각 어떠한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텍스트 자료에 존재하는 단어들 간의 의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사와 블로그 텍스트의 프레임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사에서 형성된 의제가 블로그에 전이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QAP 상관분석 및 MR-QAP 회귀분석을 실시해 뉴스기사와 블로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뉴스기사와 소셜미디어 간의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공유가치창출 관련 뉴스기사의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12개의 의제를 기반으로 총 6개의 프레임이 나타났다. 첫째, ‘코즈마케팅’, ‘봉사 및 기부’와 같이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유사 개념 혼용 프레임, 둘째, ‘공유가치창출로의 전환’, ‘공유가치창출 평가’ 등 공유가치창출 발전 필요성 프레임, 셋째, ‘글로벌 트렌드’, ‘지속가능경영’ 의제 논의를 통해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발전 논의 프레임이 나타났다. 넷째, ‘중소기업 해외지원’, ‘동반성장’ 의제를 통해서는 중소기업 협력 및 지원 프레임이 나타났다. 다섯째, ‘노령층 일자리 지원 모델’, ‘교육 관련 사업’ 등을 통해 사회적 소외계층 문제 해결 프레임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외 지역 협력’, ‘국내 지역 협력’ 의제를 통해 지역사회 상생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공유가치창출 이슈의 논의시기를 3개로 구분하여 뉴스기사 토픽 모델링을 추가 분석하였다. 그 결과 1시기(2011-2013), 2시기(2014-2018), 3시기(2019-2021)의 토픽 변화 양상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유가치창출 이슈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전적 논의로 진행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블로그 게시글에서는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8개의 의제를 바탕으로 총 4개의 프레임이 나타났다. 첫째, ‘CSR과의 비교’, ‘CSR개념 혼동’, ‘CSV 이슈 소개’ 등은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개념적 설명과 관련된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국내 환경에 적합하게 공유가치창출 활동을 적용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CSV에 대한 발전적 논의 프레임이 나타났다. 셋째, ‘CSV 성공 사례’, ‘기업 환경 변화’ 등을 통해 공유가치창출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프레임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업 활동 전환’과 ‘지속가능성 확보’ 의제를 통해 ‘경쟁력 확보 전략’에 대한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뉴스기사와 블로그 토픽 모델링 프레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뉴스기사와 블로그 게시글에서 3개의 유사한 프레임이 나타났다. 뉴스기사의 유사개념 혼동 프레임은 블로그 게시글의 공유가치창출 개념적 설명과 유사했다. 뉴스기사의 공유가치창출 발전 필요성 프레임은 블로그의 공유가치창출 필요성 프레임과 같았고, 뉴스기사와 블로그 모두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발전적 논의 프레임이 나타났다. 그러나 뉴스기사의 경우 중소기업 협력 및 지원, 사회적 소외계층 문제 해결, 지역사회 상생과 같은 실제 사례 관련한 프레임이 나타났고, 블로그의 경우는 경쟁력 확보 전략 프레임이 나타났다. 의미연결망을 통해 공유가치창출 관련 뉴스기사와 블로그에서 활용된 단어들이 어떠한 맥락에서 다루어졌는지를 살펴보았다. 4개의 주요 중심성 지표를 통해 살펴 본 결과, 뉴스기사에서는 ‘기업’, ‘사회’가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노드로 나타났다. 해당 노드들의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이 모두 높았다. 또한 뉴스기사 의미연결망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의 기본적인 정의 관련 단어들이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뉴스기사의 네트워크 군집 분석 결과, 총 7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군집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네트워크 내의 주제는 ‘공유가치창출 개념’, ‘기업과의 상생’, ‘지역사회 지원’, ‘사회적 공헌 활동’으로 나타났다. 블로그의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4개의 주요 중심성이 높은 노드는 ‘사회’, ‘기업’으로 나타났다. 특히 블로그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이 어떠한 개념인지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단어들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공유가치창출과 관련해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블로그의 네트워크 군집 분석 결과, 총 10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군집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네트워크 내의 주제는 ‘공유가치창출의 지속가능성 및 경쟁력’, ‘코즈마케팅’, ‘공유가치창출의 개념 및 정의’로 나타났다. 공유가치창출 관련 뉴스기사와 블로그 게시글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비교한 결과, 모두 공유가치창출이 어떠한 활동인지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논의를 하고 있었다. 또한 군집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하위 주제들 또한 뉴스기사와 블로그 게시글이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뉴스기사와 블로그 각각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QAP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뉴스기사에서 나타난 의제와 블로그의 의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R-QAP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뉴스기사에서 나타난 의제는 블로그에서 나타는 의제에도 영향을 미쳐, 네트워크 의제설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사에서 나타나는 공유가치창출 관련 의미연결 구조는 블로그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뉴스기사의 내용이 블로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이용해 대량의 뉴스기사 및 블로그를 기반으로 경제적 이슈에 대한 프레임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의제설정 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통해 뉴스기사와 블로그 모두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개념적 설명과 방법론들을 주로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그러나 공유가치창출이 우리 사회에 필요한 이유,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심화된 논의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뉴스기사와 블로그의 의제와 프레임이 유사하다는 것을 파악하였고, 뉴스기사의 의제가 블로그로 전이되는 관계를 확인하였다. 뉴스기사의 의제설정이 일반 공중의 인식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결과는 공유가치창출 이슈가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명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더욱 활발하게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존에 휴먼 코더들을 통해 이루어지던 내용분석 방법에서 보다 객관성을 확보한 방법론을 통해 점차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경제적 이슈를 대상으로 미디어 효과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프레임과 의제설정 연구의 범위와 대상을 확장시키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 미세먼지 이슈에 대한 미디어 간 네트워크 의제설정 연구 : 언론사 보도와 네이버 블로그를 중심으로

        전재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3

        최근 몇 년 사이 미세먼지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였다. 미세먼지가 각종 질환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영역까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미세먼지에 대한 언론과 공중의 관심과 주목 또한 높아져 왔다. 본 연구는 시기별 미세먼지 관련 보도에 드러난 프레임 유형을 의미연결망 분석기법에 의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의제설정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간 의제설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대상으로 언론의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고려하여 네 가지 매스미디어(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와 하나의 소셜 미디어(네이버 블로그)를 선정하였다. 분석기간은 미세먼지 문제가 중요하게 등장하기 시작한 2013년 10월부터 2019년 3월까지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세 시기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미세먼지 이슈와 관련된 언론사 보도와 블로그 게시글을 수집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제작업을 거친 후 동시출현 빈도수를 기준으로 단어를 추출하여 매트릭스를 생성하였다. 의미연결망 기법을 통해 시기별로 관련 단어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의미 구조를 구성하는지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시기별로 주요 단어가 속한 토픽을 분류하여 프레임 유형을 파악하였다. 같은 시기에 미세먼지를 보도하는 데 이용된 프레임 유형을 매체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미디어 간 의제설정 효과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QAP분석 기법을 통하여 각 시기별로 미디어 간의 의제설정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매스미디어에서 사용한 프레임은 시기와 관계없이 대체로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스미디어는 미세먼지 이슈를 논의하면서 ‘단순 정보 제공 프레임’, ‘건강 피해 프레임’, ‘대응 프레임’, ‘원인귀인 프레임’을 이용하여 관련 속성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응 프레임’의 중심이 1시기 ‘개인적 대처 프레임’에서 2시기와 3시기 ‘법적·제도적 대처’로 전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강 피해 프레임’의 사용비중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단순 정보 제공 프레임’에 속한 주요 단어가 지속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여 관련된 정보 제공이 일상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 미디어에서 시기별 사용된 주요 프레임을 통해 매스미디어와 유사하게 나타나 미디어 간 의제설정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먼저, 네이버 블로그에 나타난 ‘대응 프레임’은 매스미디어와 달리 대부분 개인적 측면에 집중하였다. 또한 매스미디어에서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은 ‘경제적 결과 프레임’이 보다 뚜렷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의 자기 표현적, 관계 지향적, 참여 지향적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사적 속성이 블로그 공간에서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블로그에서는 개인적 측면에 집중하여 공중 이슈를 논의한다. 셋째, QAP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미디어 간 의제설정의 상관관계와 프레임의 연관성을 검증한 결과, 미디어 내부와 미디어 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제설정과 프레임 연관성이 나타났다. 또, MR-QAP 회귀분석을 통해 의제설정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의제가 미디어 내부에 지속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 분석 :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을 기반으로

        당약함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3

        In the late 1980s, the concept of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was discussed as an extens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initial definition is closely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is about finding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destruction, poverty, and excessive consump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mankind. Due to these positive effec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has begun to receive attention. Afterwards, the term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was introduced in tourism science to which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applied. The goals of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re diverse, but the ultimate goal is to minimize damage to the environment while promoting economic benefits from tourism in common. In the field of tourism studies, extensive discussions are being made on related research in order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Research trends show that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has become the focal point of tourism research. Nevertheless, the paradigm of the tourism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but the discussion on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s not keeping up with the pace.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comes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being actively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renewable energy, recycling and smart city planning. Through this, new attempts are needed to explore and expand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by identifying the knowledge structu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search. In previous studies,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s such as expert interview, Delphi technique, bibliographic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have been use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However, these research methodologies have many disadvantages, such as increased time and economic costs, and the reflection of expert subjective opinions, since researchers must read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the text mining technique, which is a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can be utilized. Text mining can help the literature review analysis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by objectively evaluating a vast amount of research. In addition,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comprehend the relationship structure and patterns between research topics by composing a network between keywords. Therefore, in this study, text mining technique was implement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onnectivity between texts. To this end, this paper reaffirmed its commitment to sustainable development at the UN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June 2012, re-emphasizing its responsibility to solve global problems such as economic crisis, social instability, climate change and poverty eradication, and urged.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paper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are reviewed in depth for 10 years from 2012 to 2021, an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by year and academic journal are reviewed. Then, key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and the subject trends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research field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the result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the structures and themes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Finally, it was attempted to classify into clusters through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echniqu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Through this, the results obtained by intuitively grasping the structure and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and looking at the research direction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by year, there were a total of 1,783 published paper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research for 10 years from 2012 to 2021, and a total of 692 published papers related to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research. As the number of papers on sustainable development began to increase rapidly after 2016, the gap between the number of papers on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gradually widened. After the adop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2015, research on sustainable development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The status of each journal was found to be mostly biased towards journal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economics, urban studies, geography and social sciences, which are consistent with the scope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search. In addition, the field of focus of the top 20 published academic journals showed that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s not only an important part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search, but also attracts a lot of attention from the aspect of environmental scienc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deal with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s a field closely related to business administration, economics, geography, and sociology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Second, key word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research were identified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After comparing 50 key words each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research, 24 identical key words were derived. Among the key words,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cluded energy, climate change, and ecological environment. Research on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s considered to be mainly related to tourism attractions, tourism services, awareness of effects of local residents, and poverty reduction. Third, when the four clusters of each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studies were compar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key words of the three groups were the same except that the key words of the first subject group were different. When CONCOR analysis of semantic network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research was conducted, the only different topic from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research was 'sustainability threat'. This confirms the lack of research on climate change, resilience, energy emission, carbon footprint, land pollution and biodiversity related to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Fourth, potential future research area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were explored through the overall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topic of 'Tourism market strategy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rational development of tourism destinations was presented and the conservation of tourism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were emphasized. Through this, future research on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s expected to focus on a series of issues such as preventing overdevelopment and resource degradation. The research topic of ‘Triple Bottom Line Convergence’ showed that an appropriate balance must be established between these three dimensions to ensure long-term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aspects of tourism development.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the triple bottom line sustainability approach applied to the relationship of inclusion or exclusion that tourism destinations face after development. In the research topic of ‘Cooperation and Roles of Stakeholders’, the active roles of stakeholders such as local governments, local communities, businesses, and tourist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were presented.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inal effect that can be obtained by combining the strengths of each stakeholder. The research topic of ‘Resident Empowerment and Welfare’ revealed that community-based tourism is always connected with tourism planning, development, management and benefit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require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nd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the quality of life, welfare, and livelihood of local residents. The research topic of ‘threat to sustainability’ showed that developing economy and technology using energy related to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will inevitably threaten humans and nature. In particular,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change will potentially affect ecological and nature-based tourism destinations, as well as increase the cost of energy use, affecting the profitability of the industry. Accordingly, for future research, it is urgent to discuss appropriate risk management measures to cope with threats such as climate change, greenhouse effect, and land pollution caused by economic activities in the tourism secto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four research structure areas were identified through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trend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urism development. Through this, a research direction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n potential research areas was suggested. Through this, future research will form a richer discourse in understand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in-depth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1980년대 후반, 지속가능한 개발의 연장선상에서 논의되어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초기의 정의는 지속가능한 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인류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환경파괴, 빈곤, 과소비 등 다양한 문제에 관심을 두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개발의 긍정적 효과로 인해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이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관광학에서 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이 적용된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이라는 용어가 도입되었다.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목적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관광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을 증진하는 동시에, 환경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관광학 분야에서도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개념의 중요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동향은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이 관광연구의 구심점이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광산업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대한 논의는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개념과 정의는 지속가능한 개발에서 비롯되며, 지속가능한 개발은 재생 에너지, 재활용 및 스마트 도시 계획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 연구에 대한 지식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잠재적 연구방향을 탐색하고 확장하는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도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 인터뷰, 델파이 기법, 계량서지학적 분석, 내용 분석 등의 문헌검토 연구 방법을 활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방법론들은 많은 양의 문헌을 연구자가 직접 읽어야 하므로 시간 및 경제적 비용이 증가하고, 전문가의 주관적 견해가 반영되는 등의 많은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문헌검토 연구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은 방대한 양의 연구를 객관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에 대한 문헌검토 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의미연결망 분석은 주제어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연구 주제들 간의 관계 구조와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에 대한 연구동향 비교분석을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실시하고 텍스트 간의 연결성을 파악하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12년 6월 유엔 지속가능발전회의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여 경제위기, 사회 불안정, 기후변화, 빈곤퇴치 등 범지구적 문제 해결의 책임을 재강조하고 각국의 행동을 촉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과 관련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논문을 심층적으로 고찰하여, 연도별 및 학술지별 현황에 대한 결과를 살펴본다. 그 다음에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주요 핵심어를 추출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 연구 분야의 주제 추이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에서의 구조와 주제를 분류하여 학문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기법을 통해 군집형태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에 대한 구조와 맥락을 직관적으로 파악한 후 연구방향을 살펴봄으로써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현황을 살펴보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지속가능한 개발 연구와 관련된 발표 논문은 총 1,783편이며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연구와 관련된 발표 논문은 총 692편으로 집계되었다. 2016년 이후 지속가능한 개발에 관한 논문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의 논문 수 사이의 격차가 점차 확대되었다. 이와 같은 현황은 2015년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s)가 채택된 이후,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구가 크게 늘어나기 시작했다. 학술지별 현황은 지속가능한 개발 연구의 범위와 일치하는 경영학, 경제학, 도시학, 지리학 및 사회과학과 같은 학술지에 대부분 편향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판된 상위 20개 학술지의 초점 분야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이 지속가능한 개발 연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일 뿐만 아니라 환경과학측면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은 학술적인 관점에서 경영학, 경제학, 지리학, 사회학 분야와 밀접한 영역임을 다루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해 사회발전과 환경보호에 큰 의미를 두고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 연구와 관련된 핵심어에 대하여 파악하고 이에 따른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 연구에 대하여 각각 50개의 핵심어를 비교한 후 24개의 동일한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핵심어 중에서 지속가능한 개발 관련 연구는 에너지, 기후변화, 생태환경 등의 내용임을 확인하였다.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관광 매력물, 관광 서비스, 지역주민의 효과인식 및 빈곤 감소 등의 내용에 관한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 연구 각각의 4개 군집을 비교했을 때, 첫 번째 주제 그룹의 핵심어가 차이를 가지는 것 외에 세 개 그룹의 핵심어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 연구에 대한 의미연결망의 CONCOR 분석을 실시했을 때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연구와 유일하게 다른 주제는 ‘지속가능성 위협’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관련한 기후변화, 회복력, 에너지 배출, 탄소 발자국, 토지오염 및 생물 다양성 등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총체적인 결과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대한 향후 잠재적인 연구 영역을 탐구하였다. ‘관광시장 전략 개발’의 연구주제를 통해 관광 목적지에 대한 합리적인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관광자원 보전 및 환경보호를 강조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대한 향후 연구는 과잉개발과 자원퇴화를 예방하는 방안과 같은 일련의 문제에 중점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트리플 바텀라인의 융합’의 연구주제에서는 관광 개발의 환경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측면과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선 이 세 가지 차원 사이에 적절한 균형이 수립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 이후에 관광목적지가 직면하는 포용 혹은 배제의 관계에 적용되는 트리플 바텀라인 지속가능성 접근 방식을 추가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해관계자의 협력 및 역할’의 연구주제에서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한 지방정부, 지역사회, 기업, 관광객 등 이해관계자의 적극적인 역할이 제시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들 각자의 강점을 결합할 때 최종적으로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주민 임파워먼트 및 복지’의 연구주제에서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대해 지역사회 기반형 관광이 항상 관광 계획, 개발, 경영 및 혜택과 연결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향후 연구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이 임파워먼트의 영향을 받아 지역주민에 대한 삶의 질, 복지, 생계에 미치는 관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위협’의 연구주제에서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분야와 관련한 에너지를 사용하여 경제와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은 필연적으로 인간과 자연을 위협하게 될 것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기후 변화와 환경 변화는 잠재적으로 생태 및 자연 기반 관광 목적지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 비용을 증가시켜 산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는 특히 관광분야에서의 경제활동으로 발생한 기후변화, 온실화, 토지오염 등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적절한 위기관리 방안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광개발의 동향에 따른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각각 4가지 연구 구조 영역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잠재적인 연구 영역에서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심층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연구의 지식구조를 이해하는데 있어 더욱 풍성한 담론을 형성할 것이다.

      • 코로나19 시기 관광 연구와 언론보도의 키워드 변화 : 의미연결망 분석에 대한 결합체사회학적 해석=

        이준안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3

        이 연구는 코로나19가 관광 현상의 변화를 불러왔을 것이라는 주장을 전제로 코로나19 전후 단어의 의미연결망 분석에 대해 Elias의 결합체사회학 이론을 적용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은 첫째, 결합체사회학이 관광 현상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고 이론적 토대로 적합한가, 그리하여 새로운 관광 현상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가? 둘째, 결합체사회학의 관점에서 코로나19 전후 관광 현상의 변화는 무엇이며, 관광의 미래 모습을 예측할 수 있는가? 셋째, 코로나19와 관련한 관광 연구와 이를 반영하는 뉴스 기사의 차이를 구별하여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가? 넷째, 결합체사회학이 제시한 관광 현상의 전체상을 의미연결망을 활용해 실증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가 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학문적 측면에서 코로나19 시기 전후 연구목적과 방법, 결과의 차이와 시사적 측면에서 뉴스 기사의 동향 차이를 상호 비교하는 방법론적 전략을 채택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시기 1년 전인 2019년부터 2022년 말까지의 관광 논문 1,602편과 관광 뉴스 기사 11,528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은 NetMiner 4.5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핵심어 분석, 주제적 특성 도출의 토픽모델링, 핵심어의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 Norbert Elias의 결합체사회학이다. Elias 결합체 사유의 기초는 이분법적 개념인 인간과 사회의 극복이었다. 이를 위해 결합체 개념은 인간 상호작용의 중요성과 문명화 과정, 힘의 균형을 포착한다. 사회는 Elias가 결합체 개념을 제안한 단순한 인간 행위자 간의 연결망뿐 아니라, 인간과 구조 내 개별 단위의 연결망이 점차 밀도가 높아지고 다층화하며 긴밀해졌다. 상호작용은 항상 상호의존성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이런 네트워크에 내재해 있다(Mennell, 2015). 관광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할 때도 관광 행위 주체와 그를 둘러싼 환경, 그리고 제 조건들의 네트워크구조와 실재와 행위를 드러내는 단어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관광 주체의 상호작용을 단어 간 의미연결망으로 분석할 때 단어와 단어의 연관 의미를 규명함으로써 현상의 실체에 접근할 수 있고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관광 현상의 변화가 다양한 형태로 진행 중인 과정에 있어서 이것이 규범적 아비투스로 전환될 것인지 주목된다. 코로나19 시기 전후 4년간의 논문과 뉴스 기사 빈도수 증감을 분석한 결과 전환형, 회복형, 진행형의 세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존의 관광 연구에서 결합체사회학적 속성을 담지하고 있으며 향후 관광 연구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연구목적에서 설정한 관광결합체적 범주의 속성으로서 탈국가화, 탈물질화, 개인화, 네트워크화는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기술화, 서사화, 개인화, 양극화로 본질적 전환이 있음을 확인했다. 기술화 시대에 대규모의 말뭉치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이론적이며 개념적인 관광 현상 연구에 있어서 지식의 확장과 연구방법론의 진전을 이뤘음은 중요한 학문적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의 시간적 범위에서 4년간의 추이를 살펴본 것이어서 장기적 과정에서 형성되는 결합체의 모습을 확정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Elias는 과학적으로 실증되지 않는 사회학은 사회학이 아니라고 비판하였다. 향후 결합체적 속성을 담지한 기존 관광 연구의 이론적 범주 안에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연구 결과를 구체화하고 유용성을 검증해 나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pplies Norbert Elias's theory of figurational sociology to the analysis of semantic networks of words before and after COVID-19, premising that COVID-19 would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tourism phenomena. The research aims are: First, is figurational sociology suitable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mprehensively explaining tourism phenomena and applicable to new tourism phenomena? Second, what are the changes in tourism phenomena before and after COVID-19 from the perspective of figurational sociology, and can it predict the future shape of tourism? Third, can it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tourism research related to COVID-19 and news articles reflecting it, and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urth, can it empirically clarify the overall phenomenon of tourism proposed by figurational sociology using semantic networks? This study adopts a methodological strategy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research purposes, methods, and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eriod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and trends in news articles from an implication perspective. For this, 1,602 tourism papers and 11,528 tourism news articles from one year before the COVID-19 period, 2019 to the end of 2022,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pecific text analysis used the NetMiner 4.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keyword analysis, topic modeling to derive thematic characteristics, and centrality of keywor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is Norbert Elias's figurational sociology. The basis of Elias's figurational thinking was to overcome the dichotomous concept of humans and society. For this, the figurational concept captures the importance of human interaction, the process of civilization, and the balance of power. Society, as proposed by Elias's figurational concept, is not just a network of simple human actors, but the network of individual units within humans and structures has gradually become denser, stratified, and tightened. Interaction is always inherent in such a broader network that includes interdependence (Mennell, 2015). Whe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ourism phenomena, it can only be expressed in words that reveal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conditions surrounding the tourism actor and its existence and behavior. When analyzing the interaction of tourism subjects through semantic networks between words, it will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and approach the essence of the phenomenon by clarifying the associated meanings of words and words. The research results are: First, it is noted whether the change in tourism phenomena will be converted into normative habitus in the process of various forms of progr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increase and decrease of papers and news articles for four year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eriod, three types of transition, recovery, and progress were derived. Second, existing tourism research contains figurational sociological attributes and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future tourism research.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ssential transition to technization, narrativization, individuation, and polarization through the COVID-19 period in the attributes of the tourism figurational category set in the research purpose. In the age of technologization, the expansion of knowledge and advancement of research methodology in theoretical and conceptual tourism phenomenon research using computing technology to provide data from large corpus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academic implication.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it cannot definitively present the appearance of the figuration formed in the long-term process because it looked at the trend for four years in the temporal range of the research. Elias criticized that sociology that is not scientifically proven is not sociolog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cretize the research results and verify their usefulness through empirical research within the theoretical category of existing tourism research that contains figurational attrib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