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녀 중학생들이 지각한 분노유발요인과 분노표현방식에 대한 분석

        김경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유명연예인의 남매가 자살한 사건이 있었다. 또한 통계청에서는 청소년 사망 1순위가 자살로 인구 10만 명당 13.5명이 자살을 한다고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자살생각이 높은 사람은 분노수준도 높고, 분노표현방식 중에서 역기능적인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영주 외 11인, 2006) 그래서 이 연구는 남녀 중학생이 지각하는 분노유발요인이 무엇이며, 분노표현방식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에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남녀중학생이 지각하는 분노유발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분노유발 요인은 어떻게 다른가? 셋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들의 분노표현 방식은 어떻게 다른가? 넷째, 남녀 중학생들이 지각한 분노유발요인과 분노표현방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러한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를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단계, 분노유발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95명의 학생들에게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예비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2단계, 예비연구로서 개발된 예비 질문지를 72명의 학생들에게 예비 질문 실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전문가의 타당도평가 후 본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3단계, 경기도 남양주시의 동부에 위치한 3개 중학교의 2학년 학생 364명을 선정하여 분노유발요인의 질문지, 분노표현척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t검증 실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녀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분노유발요인에는 잠재적으로 대인관계문제, 자기 자신 및 소유물 위협, 욕구불만, 제지, 컴퓨터 문제 등 5개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들의 분노유발요인을 살펴보면, 대인관계문제, 자기 자신 및 소유물 위협, 욕구불만, 제지의 분노유발요인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컴퓨터문제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분노유발요인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분노표현점수는 분노표출점수가 평균 13.26(SD=3.60), 분노억제가 평균 15.19(SD=3.74), 분노조절점수가 평균 17.27(SD=3.70)이었다. 넷째 남녀 중학생들이 지각한 분노유발요인과 분노표현방식은 관계에서는 분노유발 하위요인과 분노표출, 분노억압과의 상관은 .17에서 .38사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분노유발 하위요인과 분노조절의 상관은 -.21에서 -.03사이이며, 욕구불만요인, 제지요인, 컴퓨터문제요인은 분노조절과 부적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를 제외한 대인관계문제요인과 자기 소유 침해요인은 분노조절과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는 남녀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분노유발요인은 대인관계문제, 자기 자신 및 소유물 위협, 욕구불만, 제지, 컴퓨터문제이며, 분노조절, 분노억제, 분노표출 순으로 분노표현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분노유발요인과 관련된 상황을 분노조절프로그램에 활용하여 남녀 청소년들이 분노표현방식 중에서 긍정적인 기능인 분노조절을 많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된다. A famous actor’s sibling recently committed according to the suicid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t is reported that the main cause of the teenagers' death is suicide and 13.5 people out of 100 thousand kill themselves. One of the study shows that a person who thinks about suicide has a higher level of anger, a higher adverse anger restraint and expression of anger among anger expression modes.(Park and 11 more people, 2006). Based on this idea,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at are the anger-induced factors perceived by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nger-inducing factors and ways in which anger is ex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were the anger-inducing factor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what were the anger-inducing factors by sex,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Third, what was the differece in the expression of anger by sex?; Fourth,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ger-induced factors and the expression of anger?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process was divided into 3 steps. For the first step, the researcher develop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this questionnaire was given to 95 students in order to figure out the anger-inducing factors. For the second step, a preliminary survey for pre-study was conducted with 72 students.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perts' validity assessment on the pre-survey, the sample of the real questionnaire was completed. In the third step, 364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hosen from three different middle schools in Nam-yamg-ju city, Kyounggi-Do. They took a questionnaire about anger-inducing factors and took an Anger Expression Scale Test. They also got tes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it first showed that there were five causes for anger-induced factors such as potenti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 sense of threat to oneself and one's possessions, frustration, restraint, and problems relating to computers. Second, when the researcher carefully examined the anger induced factors for both the 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found in the following factors: potenti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 sense of threat to oneself & one's possessions, frustration, and restraint, while differences were rarely found in the factor of problems relating to computers. Third, the average scores of the anger expression perceived by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measured as the following: the average expression of anger was 13.26(SD=3.60), the average of suppression of anger was 15.19(SD=3.74), and the average of control of anger was 17.27(SD=3.70). Fourth, as the researcher looked through the correlation of those factors, if was found that they each had a different correlation depending on the factor. The scores of the correlation of anger inducing sub-factors with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were from .17 to .38. Statistically, the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p<.01). The correlation of anger inducing sub-factors with control of anger were marked between -.21 and -.03. It also showed that the factors of suppression, restraint, and computer problems were significantly not correlated with the control of the anger. Statistically, other factors lik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a sense of threat to oneself and one's possessions didn'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ntrol of the anger.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anger inducing factors perceived by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 sense of threat to oneself and one's possessions, frustration, restraint and problems relating to computers. Students expressed themselves with anger expression modes in the following order: control their anger, suppress their anger, and expression their anger. Therefore, utilizing any situation related with anger inducing factors was needed for the anger controlling program. The researcher strongly suggested that when educating and counseling to students be undertaken, one of the positive factors, control of the anger, should be used to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s an anger expression mode.

      • 위험유발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건설업을 중심으로

        허보산 가톨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proper coping measures by finding the elements that could cause risks to the workers of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isk-causing factors and their effects on the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collecting total 400 questionnaires from October 1st to October 31st 2018, total 27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In order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the research variables such as risk-causing factor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ccord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Regarding the age, the personal(accident) experience showed differences in the group of people in their 30s and the group of people in their 30s or up. In the annual salary, the mean value of performance-oriented culture factor was high in the group of annual salary for 40million won or up.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the personal(accident) experience out of risk-causing factor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while the appropriateness of working environment, considerate culture, performance-oriented culture, and equipment training environment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sonal(accident) experience, and job stress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I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hypotheses, in the relation between risk-causing factors and job stress, the personal(accident) experience(t=1.921, p<0.05) had positive(+) effects on the job stress while the appropriateness of working environment(t=-4.617, p<0.001) and equipment training environment(t=-2.130, p<0.05) had negative(-) effects on the job stress. However, the considerate culture and performance-oriented culture did not have effects on the job stress. In the relation between risk-caus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nsiderate culture(t=4.726, p<0.001), performance-oriented culture(t=2.362, p<0.05), and equipment training environment(t=3.915, p<0.001) had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the personal experience and the appropriateness of working environment did not ha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Lastly,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b stress(t=-5.594, p<0.001) had nega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sults, the frequent accidents and indirect experiences could increase the job stress of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case when the appropriateness of working environment and the equipment training environment are good, the job stress could be decreased. The considerate culture, performance-oriented culture, and equipment training environment were the positive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main implication, the equipment training environment out of risk-causing factors is work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this study. This means that the operation of construction-relevant equipments and its training would be important. The safety education including the safe installation, break-up, and operation of equipments should be continuously performed. When the safety education is properly perform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could be increased. Lastly, regarding the limitation and complementation of this study, this study used the risk-causing factors of other industry as there were almost no researches on the risk-causing factors which could be the biggest risk factor of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future, the measurement tool for risk-caus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industry should be developed. Keywords: Risk-Causing Factors,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truction Industry, Equipment Training Environment 건설업 종사자들에게 위험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찾아내서 그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필요로 하는 시기이다. 본 연구는 위험유발요인에 대한 분석과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2018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400부를 설문조사하여 최종 271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한 분석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험유발요인,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등 연구변수들에 대한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령에서 개인(사고)경험에서 30대와 30대 이상 집단에서 차이가 발생했다. 연봉에서는 성과지향문화 요인이 4000만원 이상의 집단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위험유발요인 중 개인(사고)경험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근무환경 적정성, 배려적 문화, 성과지향문화, 장비교육환경은 부(-)의 상관관계, 조직몰입과 개인(사고)경험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의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에서는 위험유발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는 개인(사고)경험은 (t=1.921, p<0.05)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근무환경 적정성(t=-4.617, p<0.001), 장비교육환경 (t=-2.130, p<0.05)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배려적 문화와 성과지향문화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 위험유발요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는 배려적 문화(t=4.726, p<0.001), 성과지향문화(t=2.362, p<0.05), 장비교육환경(t=3.915, p<0.001)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개인경험과 근무환경 적정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t=-5.594, p<0.001)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과를 통해 건설업의 잦은 사고와 이를 간접적으로 경험함으로 종사원들은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근무환경의 적정성, 장비교육환경이 좋을 경우에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다. 조직몰입에도 배려적 문화, 성과지향문화와 장비교육환경은 긍정적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주요한 시사점으로 위험유발요인 중에서 장비교육환경이 본 연구에서는 모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건설에 관련된 장비를 통한 운용과 이에 기반한 중요한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장비의 안전설치, 해체, 운용에 따른 안전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안전교육이 적절히 이루어질수록 종사원들이 조직에 대해 몰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보완점은 건설업의 가장 큰 위험요소인 위험유발요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타 산업의 위험유발요인을 활용하여 연구가 되었다는 것이며 향후에는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한 위험유발에 대한 측정도구가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위험유발요인,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건설업, 장비교육환경

      • 호텔 직원의 감정노동 유발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천정흔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특 1급 호텔 직원들의 감정노동 유발요인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독립변수인 감정노동 유발요인,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 종속변수인 직무소진과 관련된 속성을 도출하고 총 4개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서울 소재 특 1급 호텔 구성원을 대상으로 총 355부의 설문서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텔 직원의 감정노동 유발요인의 하위요인 중 감정노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인 감정표현빈도, 감정표현주의성, 직무책임감, 직무자율성이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역할과다와 역할갈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감정노동 유발요인 모두 직무스트레스의 역할모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자율성을 제외한 감정노동 유발요인들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인 역할과다와 역할모호성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자율성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직무스트레스의 간접효과를 통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호텔 직원들을 위한 내부 마케팅 차원에서 인사관리를 통하여 감정노동 유발요인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직원들의 감정노동 유발요인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인 서비스 매뉴얼 교육을 시행하여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을 최소화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호텔 내부 각 부서에서는 원활한 소통을 통해 보다 자율적이고 즐거운 조직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하며, 호텔 직원 각 개인 구성원들은 열정을 가지고 매사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하며, 정기적인 휴식시간을 통해 명상이나 스트레칭 등으로 마인드컨트롤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시킬 수 있고 직무소진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호텔 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소진이 완화 된다면, 호텔 직원들의 이직률 또한 낮아지게 될 것이며, 보다 나은 서비스를 통해 고객 감동 및 고객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지게 될 것 이다. 그 결과, 호텔 기업의 좋은 이미지뿐만 아니라 호텔 경쟁우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factor-inducing emotional labor have on job stress and job burnout, and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related job str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ttributes, that include emotional labor induction factors, job stress, and job burnout, were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Moreover, an empirical analysis using a total of 355 questionnaires from the first class hotel workers in Seoul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attentiveness to required display rules, job responsibility and job autonomy among all inducing factors of emotional labor except the emotion effor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ole overload and role conflict of job stress, and all of the inducing factors of emotional labor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ole ambiguity of job stress. Except for job autonomy, emotional labor induction factors were discove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Also, role overload and role ambiguity of job str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On the other han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related stress showed that job autonom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bu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direct effect of work related stress. Therefore, for the effective internal marketing of hotel employees, by continuously managing inducing factors of emotional labor through personnel management and it is important to educate effective service manuals in order to mitigate inducing factors of employee’s emotional labor to minimize job stress and job burnout. To this end, each department in the hotel will need to make changes in order to create a more autonomous and pleasant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Each individual employee of the hotel tries to think positively with enthusiasm, and if hotel employees have meditation or stretching periods through regular break times with mind control, you can cope with effectively with job stress and job exhaustion. If the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the hotel employee are mitigated, the hotel employee's turnover rate will be lowered and the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will be increased through the better service. As the result it will be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hotel's competitive advantage as well as hotel's good image. Keyword: Inducing factor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Job burnout, Hotel Employee.

      • 갬블링 레저의 사행성 유발요인과 중독간의 관계에서 사행성향의 매개효과 분석

        박미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2

        최근 레저 측면에서 갬블링 활동의 긍정적 결과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는 갬블링을 하나의 오락 또는 레저산업으로 인정하고 전적으로 규제하거나 금지하는 대신 건전하게 발전시켜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의 일환으로 판단된다. 논의의 핵심은 오락 및 여가 활동으로서 사람들이 어떻게 갬블링 중독에 이르게 되는지, 갬블링 중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와 과정에 대한 변수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사행산업 유병률과 이용실태 조사가 사회학, 문화인류학, 심리학 분야 등에서 수행되었지만 사람들이 중독에 빠지는 원인이나 경로를 분석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병적 갬블러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지다보니, 일반적 이용객이 중독성향 이용객으로 진전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며, 즉 갬블링 중독의 원인변수라 할 수 있는 사행성 유발요인에 관한 연구는 갬블링 중독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과정에서 필수적 연구이다. 갬블링 레저활동에서도 참여과정의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이용객의 갬블 행동수행의 궁극적인 영향요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즉, 갬블링 레저 산업이 사행성의 순기능적인 개념의 놀이 문화적 특성 측면은 배제된 채 도박적 특성 측면에서의 정의만 강조되다 보니 활성화하기 보다는 건전화 정책 하에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어 사행성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제기가 요구되며 이를 유발하는 요인 개발로 인해 갬블링 이용객들이 레저산업에 접근하는 과정에서부터 중독에 빠져드는 과정까지 결정적인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갬블링 레저활동이 성인 놀이문화로써의 역할 및 세계 갬블레저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하기위해서는 사행성에 대한 이론적 정립을 토대로 사행성 유발요인을 파악하여 갬블링에 참여하는 원인변수를 도출하고 사행성향에 의해 이용객들의 이용행태에 따라 갬블링 중독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파악하여 갬블링이 건전한 레저공간으로 자리매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내 갬블링 레저활동 특성에 맞는 사행성 유발요인 지표를 제안하였다. 둘째, 도출된 사행성 유발요인을 통해 갬블링 중독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사행성 유발요인과 갬블링 중독의 영향관계에서 사행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행성 유발요인을 위한 준거로 기술적 개입, 금전적 보상, 외부 접근성 이라는 3가지 지표를 제시하였다. 갬블링 중독에 영향을 주는 원인변수를 파악함으로써 갬블링 중독을 사전에 예방하는 차원에서 적절한 관리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둘째, 기술적 개입은 개인적 자존감과 자신이 스스로 갬블링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자신감 등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갬블링 중독을 직접적으로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즉, 도박자들은 궁극적으로 돈을 딸 수 있다는 스스로의 판단을 합리적인 것으로 지각한 후, 비합리적 기대를 갖고 도박기술을 연마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며, 비합리적 신념이 높아지면 지속적인 손해에도 불구하고 도박에 대한 몰입이 더욱 강해진다는 강화계획이론을 뒷받침해주는 결과이다. 셋째, 사행성 유발요인과 갬블링 중독 간의 관계에 있어 사행성향이 매개 작용을 할 것이라는 예측에 따른 분석결과, 금전적 보상과 외부 접근성은 갬블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고 사행성향에 의해 간접적으로 갬블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갬블링을 할 때 보상비율과 보상금액의 크고, 갬블링 장소의 접근성이 편리하다고 해서 갬블링에 중독이 되기보다는 사행성향 중 도박적 성향이 강화될 때 갬블링 중독이 더 쉽게 일어남을 시사한다. 따라서 갬블러들의 도박적 성향을 부추기는 요인을 감소시키면 갬블링 중독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갬블링 레저활동에서 사행성향 매개효과 영향 모형을 제안하였다(IG-MEDGO: Inducing factor for Gamble Orientation Addiction-Mediating Effects of Disposition of Gamble Orientation). 본 연구의 의미 있는 시사점은 개인적인 기술과 전략을 세워서 게임에 참여하는 것보다 승률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대박의 환상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돈을 직접적으로 따는 목적보다 재미나 즐거움을 위해 갬블링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갬블링 중독에 되지 않기 위해서는 건전한 사행성향이 정립되어야 하는데 이는 갬블링을 일확천금이나 대박을 꿈꾸는 도박적 성향(based on money)이 아니라 건전한 놀이의 하나로 인식하여 게임 자체를 즐기고 여가 선용을 위한 건전한 놀이적 성향(based on pleasure)을 어떻게 바람직하게 성립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건전한 갬블링 레저문화 형성을 위해 놀이적 성향을 중요성에 대한 유용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 서울지역 법인 택시운전기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이 운전스트레스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근무시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민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대 사회에서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특정 직종에 국한되지 않고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직무스트레스는 근무환경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에 의해 촉발되고, 이러한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들은 개인의 발전뿐만 아니라 조직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직무몰입은 조직유효성으로 고려되는 변수 중 하나로서 직무몰입이 증가될수록 생산성은 증가되고 이직률은 감소한다. 또한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은 직종 중 하나로 고려되는 법인 택시운전기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이 운전스트레스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운전스트레스, 직무몰입 관계에서 근무시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법인 택시운전기사 12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 운전스트레스, 직무몰입을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로 측정하였다. SPSS 회귀적 회귀분석에 의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의 하위요인인 조직관련요인, 개인관련요인, 고객관련요인 모두 운전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의 하위요인인 개인관련요인, 고객관련요인은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근무시간이 짧은 근로자는 개인과 고객관련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직무몰입이 증가하였고, 근무시간이 긴 근로자는 개인과 고객관련 스트레스를 받을수록 직무몰입이 저하되었다.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몰입을 저하시킨다는 일반적인 선행연구와는 달리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이 직무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근무시간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근무시간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Job stress experienced by workers in the modern society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ccupation, but is gradually intensified. Job stress is caused by not just working environment, but other various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Job involvement is one of factors considered a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job involvement increases, productivity rises, while turnover rate drops. This study is conducted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arguing that working hou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tres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y impact of factors triggering job stress on driving stress and job involvement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adjusting working hours in relations among factors causing job stress, driving stress and job involvement for corporate taxi drivers, which are considered as one of occupations with the highest level of physical and mental stress. For this goal,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for 123 corporate taxi drivers in Seoul to measure factors causing job stress, driving stress and job involvement. The research results by SPSS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ower factors for causing job stress, including organization-, individual- and customer-related factors, have a positive (+) impact on driving stress. Second, lower factors for causing job stress, including individual- and customer-related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involvement. Third, with the higher level of individual- and customer-related stress, job involvement of workers with short working hours rises, while that of workers with long working hours falls. Unlike general advanced researches saying that job stress factors undermine job involvemen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for verifying that factors causing job stress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involvement and highlights the needs for managing working hours through the effect of adjusting working hours.

      • 연관규칙 분석을 통한 공기지연 유발요인의 주요 특징 분석 연구 : -공기지연 분쟁 판례를 중심으로-

        장세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건설공사에는 다양한 리스크가 내재되어 있으며, 분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지를 지니고 있다. 특히 공기지연은 많은 분쟁사례들과 관련이 있으며, 발생하는 원인과 형태가 복잡하고 다양하다. 공기지연이 발생하면 발주자와 시공사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기지연을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공기지연 원인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지만, 유발요인간의 관계 분석은 미흡하고, 여러 분석기법에 따른 결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인간의 연관성을 도출하는데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연관규칙 분석을 활용하여 공기지연 유발요인들의 연관규칙을 도출하고, 빈도분석과 비교하여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다 판례 데이터를 제공하는 빅케이스에 제시된 공기지연 분쟁사례 데이터를 바탕으로,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관규칙 분석을 통해 연관성 높은 규칙들을 도출하였고, 특징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 연관규칙 257개 중 연관성 높은 규칙 13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공기지연 유발요인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기에, 중점적으로 관리할 공기지연 유발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빈도분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빈도수가 많다고 많은 연관규칙이 도출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어떤 선행 유발요인이 추후 유발요인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 수 있기에 요인간의 우선순위를 세우고 대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을 통해 나타난 특징에 따라 발주자와 시공사 관점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가 공기지연 발생가능성을 줄이고, 건설과 관련된 다양한 분쟁의 연관관계 분석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탁구선수의 탈진유발 요인 구조

        손연경 한국체육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는 탁구선수가 경험하는 탈진유발 요인을 탐색하고 탐색한 요인을 구조화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탁구선수의 탈진유발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2010년 대한탁구협회에 등록된 탁구선수 720명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결과를 토대로 귀납적 범주화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원자료는 326개, 세부영역 14개, 일반영역 5개에서 추출된 49문항으로 예비조사 설문지를 제작, 탁구선수 88명 대상으로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을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거친 28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탁구선수 220명에게 진행한 결과 경기력 침체(performance stagnant), 부정적 생활인식(negative life awareness), 주요타자와 갈등(main people conflict)의 총 3개의 요인, 1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요인구조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12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설문지를 탁구선수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고, 설문결과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확인적요인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3개의 요인 모두 적합도 지수에 가능한 범위로 양호하게 나타나 탁구선수의 탈진유발 요인구조로 경기력 침체(performance stagnant), 부정적 생활인식(negative life awareness), 주요타자와 갈등(main people conflict)의 3개 요인으로 구조화되었다. 탁구선수의 탈진유발 요인은 자신의 열정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력이 향상되지 않았을 때 탈진이 유발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강제적인 훈련과 휴식 없이 진행되는 시스템으로 항상 반복되는 일상에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생활이 반복되면서 생활의 무료함을 느끼게 되어 자유롭지 못 한 자신의 생활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수들에게 주요타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지도자의 행동에서 영향을 받는 선수들은 지도자에게 민감하게 반응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옥태주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1

        오늘날 우리 사회는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사회의 변화속에서 사람들은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삶을 산다. 최근 현대사회에서는 본격화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글로벌화로 인하여 다양한 지식의 중요성은 날로 커져만 가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서비스를 개발하고 공급할 수 밖에 없다. 중소기업 특히, 창업 7년 이하의 창업기업들의 경우 신제품 개발, 연구 개발 등 혁신에 투자할 수 있는 기업의 자원은 제한적이고, 기업 경쟁력에 맞는 조직구성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창업기업의 경우 불안정한 요소와 급격하게 변화하는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기업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임원이나 그 외적인 부부을 담당하는 직원들 또한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에 대한 실증적 효과를 검증하고 이에 대한 관련 연구의 확장과 더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작성되었으며,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직무만족, 직무몰입에서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수도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창업기업 종사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는 SPSS 22.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감정고갈의 매개 역할 검정을 위하여 Baron & Kenny의 매개효과 검정 방법인 3단 회귀분석 매개 검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실증분석을 토대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은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은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 시사점은 직무적인 측면과 환경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이루어졌던데 반해 본 연구는 창업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여 연구관점의 범위를 확장하며 이론적으로 기여하였고, 감정고갈이 높아지면 직무몰인과 직무만족이 낮아진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정하였으며, 감정고갈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며 창업가적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새로운 변인들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실무적 시사점은 창업기업 종사자의 창업가적 성실성과 일-가족의 균형을 지킬 수 있다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몰입이 더욱 향상 될 수 있다는 점과 창업가적 성실성과 일-가족의 균형이 높을수록 감정고갈이 적어지고 감정고갈이 적어질수록 직무의 몰입과 만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Today, our society is exposed to more diverse and complex environments. In these changes in society, people experience various stresses and live a life that is not free from stress.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various knowledge is increasing day by day due to the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arnest. Therefore, in order for companies to be competitive, they have no choice but to develop and supply new technologies, products, and services. It is true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specially start-ups with less than 7 years of start-up, have limited resources for companies that can invest in innovation such as new product development and research development, and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organize an organization suitable for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start-up companies have many unstable and rapidly changing factors, so executives in charge of the company's major tasks or employees in charge of other couples are also likely to be exposed to various stresses. This dissertation was prepared to verify the empirical effect on entrepreneurial stressor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related research,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tressors,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in job commitment.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of start-up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for factors and reliabilit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using Baron & Kenny's mediating effect test method, a three-stage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test, to test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ion.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tress-inducing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 stress-inducing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tress-inducing factors and job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 stress-inducing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ommitment.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tress-inducing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tress-inducing factors and job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that existing studies were conducted in job and environment, while this study contributed theoretically by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perspective and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loss and new variabl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ed that if entrepreneurial integrity and work-family balance of entrepreneurial workers can be maintained,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at the higher the entrepreneurial sincerity and work-family balance, the less emotional and satisfaction.

      • 색조화장품 구매장소가 제품선택 및 구매유발요인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여성 중심으로

        홍영지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색조화장품의 구매와 사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계층인 20∼30대 여성들의 색조화장품의 구매장소, 제품선택, 구매유발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색조화장품 구매장소가 제품선택 및 구매유발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색조화장품의 구매장소가 제품선택 및 구매유발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색조 화장품 구매장소를 백화점·대형마트·방문판매·드럭스토어·면세점·홈쇼핑·인터넷쇼핑몰·로드샵·미용실·피부관리실·약국·병원으로 세분화하여 조사하였다. 연령층에 따라 선호하는 구매장소와 제품선택, 구매유발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상되어 20대 여성과 30대 여성을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색조화장품 소비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연령, 직업, 최종학력, 결혼여부, 월 평균 소득 등의 요소가 구매장소, 제품선택, 구매유발요인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색조화장품, 구매행동, 구매장소에 관련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628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test, ANOVA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20대 여성은 대부분 100만원 미만의 월 소득이 있는 미혼의 학생으로서 대학교 재학·졸업의 학력이 많았다. 30대 여성은 200만원 이상에서 300만원 미만의 월 소득이 있는 미혼의 전문직이 많았고 전문대 재학·졸업과 대학교 재학·졸업의 학력이 같은 비율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색조화장품 구매장소, 제품선택, 구매유발요인의 차원을 알아본 결과, 구매장소는 전문가 추천 중시형이 높게 나타났고 제품선택은 기능성 고려형이 높게 나타났다. 구매유발요인은 20대 여성은 서비스 및 신뢰 중시형이 높게 나타났고, 30대 여성은 광고 및 서비스 중시형이 높게 나타나 20대와 30대 간의 차이를 보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장소, 제품선택, 구매유발요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20대 여성의 구매장소와 제품선택에서 결혼여부와 월 평균 소득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구매유발요인은 최종학력, 직업, 결혼여부, 월 평균 소득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여성의 구매장소는 최종학력, 직업, 결혼여부, 월 평균 소득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선택은 월 평균 소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구매유발요인은 결혼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색조화장품 구매장소가 색조화장품 제품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20대 여성과 30대 여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색조화장품 구매장소가 색조화장품 구매유발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20대 여성과 30대 여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색조화장품의 구매장소, 제품선택, 구매유발요인의 차원을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구매장소, 제품선택, 구매유발요인의 차이와 색조화장품 구매장소가 제품선택 및 구매유발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20∼30대 여성의 색조화장품 구매 시 중요시하는 요소들을 적용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편리한 소비를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색조화장품 시장의 발전을 위하여 여성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This study purpose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urchase induction factors such as purchasing place, selecting product to 20∼30 female who have used and purchased the color cosmetic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department stores, hypermarkets, door-to-door sales, drugstore, duty-free shop, home shopping, online shopping mall, road shops, beauty salons, skin care, pharmacies and hospital. It was expected the difference into the factors according to an age group therefore, it was progressed as dividing the age group. Then, studied the theories that relevant with purchase behavior and place about color cosmetics, and looked into the difference on purchase, selection and purchase induction factor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or cosmetic customers like age, occupation, final education, marital status, average of monthly income. The subjects were consisted by 628 females of 20∼30 who live in Seoul and capital area. The researched data was analyzed as frequency analysis, prima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by SPSS 21.0 program, and the result i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ost of 20 age females were single who graduate or undergraduate and, having income less than a million won. In 30 age, most of them were also single but having a professional job with over 2 million and less 3 million income, the most of them were both undergraduate or graduate in college and undergraduate or graduate in university as same late. Second, as a result of buying color cosmetics of the subject, purchasing place got high to a type of important on expert recommendation and selecting items got high to type of considered on function. In the factor of purchasing induction, the research had different as that oriented trust·service type got high to 20 age, oriented advertisement and service type got high to 30 age. Third, as a result of purchasing place, selecting items and factor of purchasing indu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20 age females, marital status and average of monthly incom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to purchasing place and selecting items, but, factor of purchasing induction was not. In 30 age females, the all of these like final education,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average of monthly income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urchasing place. Selection items had significant difference at average of monthly income and factor of purchasing induction also had significant difference at marital status. Fourth, as a result of that purchasing place influence to selecting items about color cosmetics, both 20 and 30 age females significant effected statistically. Fifth, as a result of that purchasing place influence to factor of purchasing induction about color cosmetics, both 20 and 30 age females significant effected statistically. The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nderstand the purchasing place, selecting items and factor of purchasing induction, difference of these and, influence of purchasing place to selecting items and factor of purchasing induction about color cosmetics.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data for reasonable and convenient consumption to apply oriented factors in the purchasing a color cosmetics. Furthermore, it hopes to help to be satisfied female customer’s desire for advance a market of the color cosm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