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原子力發電所가 隣近地域 地價變動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榮光原子力發電所를 中心으로

        여영섭 建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Even though the demand on facilities such as waste water disposal plants, refuse disposal plants, nuclear waste disposal plants, etc. has increased since industrialization, the protection of this industrialized country is becoming harder than ever because of the NIMBY phenomenon. This phenomenon is the result of a complex mixture of political, econom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particular, the decline in the value of adjoining land has been the objection raised by most regional people in terms of the economy. According to the result of my study, although nuclear power plants are regarded as essential facilities for the people, The land value issue is recognized as the most common objection by the people. However the construction of the Yeong-Gwang power plant shows a positive effect on the rise of the land price. I carried out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post- construction price of the area nearby Yeong-Gwang Nuclear power plant and of similar areas to identify how the construction of the power plant affected the nearby land price. To do this, I compared the variation of the land price between 1980 and 2001. I conducted a survey on the variation of land prices all over the country and other regions similar to Yeong-Gwang county. And I also surveyed the differences in the land prices by dividing the region in 3km distance away from the power plant by 9 blocks from 1975 to 2001. As a result of the survey comparing the average fluctuation rate of land prices all over the country with the vicinity of Yeong-Gwang between 1980 and 2001, I found that the rate of change in land prices of Yeong-Gwang county were similar to the average rate of changes in price all over the country and low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within the same province, while the rate of change of land prices in Yeong-Gwang county was the highest among the nearby counties. To explain the rate of change of the same province,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change rate of land prices of 9 blocks within the Yeong-Gwang county between 1975 and 2001, the rate of blocks of land prices in the vicinity of power plant is higher than other blocks. In conclusion, the construc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which Korean people have sought to avoid as a NIMBY region in fact shows just the opposite instead there is a very positive effect in terms of the land price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 of the survey, which reveals higher prices than other regions. This leads us to conclude that the reason why most people psychologically oppose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n their own backyards is not persuasive. In one word,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provides positive benefits to the regional economy in the light of the land price, which is only one factor. So, I would like to have the pooprtunity to study more in depth some other factors like the economic effects, social benefit from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through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 계층화분석법(AHP)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운영 관련 연구개발 우선 순위 설정

        신영균 亞洲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원자력 발전은 우리 나라 전력 생산의 40% 이상을 담당하는 기간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더욱이 발전시장 경쟁 체제에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원자력발전소의 운영이 국가적인 명제인바 이러한 환경 변화 여건을 반영하면서 운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부단한 연구개발과 관련 기획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소는 여러 공학 분야의 기술이 결집된 거대 복합기술 시스템이므로 연구개발의 우선 순위 설정 기준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고 이를 적용하여 연구개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과정이 간단하지가 않고 결과물의 타당성에 대해서 이해당사자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제까지는 소수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접근 위주로 연구개발 기획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에서 발전시장 경쟁 체제에서의 해외의 사례와 국내 여건을 감안할 때 향후 예상되는 원자력발전사업자의 연구개발 전략에 대하여 가설을 수립한 후에 연구개발 방향을 기술 체계를 정립하고 각 기술의 중요도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이 평가 기준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최종적으로는 각 기술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기존의 연구기획 관련 문헌을 모두 조사하여 기술체계를 마련하고 계층화분석법을 (AHP :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이용하여 기술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였으며 비용효과 측면과 원자력발전소 현장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도출한 기술 수요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검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우리 나라의 원자력 발전 종사자들은 경쟁 체제에서의 연구개발 전략 방향에 대하여 유의할 수준의 일관성을 지니는 가운데 안전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안전성과 경제성간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국내 최초로 원자력발전소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시도된 본 연구를 통해서 분석, 평가된 원자력발전소 운영 관련 기술 각각이 지니는 중요도와 분석 방법론은 원자력발전사업자로서는 각 기술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합리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국가차원의 원자력 연구개발 사업이나 원자력 규제 활동에 있어서도 객관적인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가 있으며 사용된 방법론은 원자력 분야 전반에서의 연구개발 정책 기획을 위한 참조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원자력발전소 운영 관리 관련 기술체계는 국내외 최초로 원자력발전소 전체를 대상으로 수요기반형으로 개발된 것이며 향후 지속적 보완을 할 경우 연구개발 전략기획의 기반 문서로 유용할 것이다. Nuclear power plant is a very large system composed of multidisciplinary technologies. R&D prioritization is a not a simple task. Becaus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decision criterion is not well established. The author built a technology classification chart for the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establish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decision criterion and assign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technology at each level.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was used for this purpose and the result was validated with Consistency Index and outcomes of nuclear power plants personnel interview.

      • 원자력발전소 조직의 팀 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교대근무팀과 일근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태영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Impacts of Nuclear Power Plant's Team Characteristic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Comparison of Shift Work Team and Daily Work Team - TAE-YOUNG, LE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Recently, Japan's nuclear reactor core meltdown accident has an enormou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among the accidents occurred in nuclear power plants and made the Japanese people as well as nuclear plant workers aware of the fact that it is a disaster that will never be recovered to its original state decades later from now. The risk of accidents inherent in the midst of so many advantages of nuclear power plant is subject to the initial immediate action. In the earlier time of accident, primary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belongs to the team of work shift who are working to control and operate the power plant 24/7. Therefore, the shift work team is the most important group who are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the plant and thus management plans to maximize their ability are required. This work compared shift workers and daily workers in order to make effective management plan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hift workers and make them feel passionate about the power plant. For this purpose, this work compared shift workers and daily workers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nuclear plant shift work team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urvey of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shift work team employees and daily work team employees who worked in each place of business and main offi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work. In summary, first, it was appeared that the team characteristics of nuclear power plant organization(group cohesiveness, group-efficacy, and trust between team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both shift work team employees and daily work team employees in a similar way. Second, it was found that group cohesiveness was the biggest variable in affecting group validity among many other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team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hift work team employees and daily work team ones in the organizational team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validity. In other words, all employees involved in the nuclear power plant organization should cooperate together and trust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types of team and participate in the task accomplishment as a member of organization, when is the moment that the organization's validity maximizes itself and develops more and more. Finally, it could be found that among the demographic factors, the higher rank demonstrated the higher group-cohesiveness,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effective management plans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t nuclear power plant are as follows: First, ongoing interests in increasing group cohesiveness, group-efficacy, and trust between teams are required. When a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gradually increased based on organizational sense of belonging, trust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s, and trust on the organization's ability, it will be born again as the world's best nuclear power plant organization. Further, it is one of our challenges to find out a way to increase organizational validity by identifying detail factors that ma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who occupy the largest por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workers. 원자력 발전소 조직의 팀 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교대근무팀과 일근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경영학과 이 태 영 指導敎授 최 정 일 최근 일본원전에서 발생한 원자로 노심 용융사고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사회경제적, 환경적 피해는 엄청나며 그 영향은 수십년이 지나도 이전의 모습으로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된다는 것을 원자력 종사자는 물론 국민들에게 인식시키는 사건이었다. 원자력발전의 수많은 장점들 속에 내재된 사고에 대한 위험성은 발생 초기 즉각적인 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는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사고 초기에 1차적 책임과 권한은 24시간 교대근무를 통해 발전소를 통제하고 운전하는 교대근무팀에 주어져 있다. 그러므로 발전소 교대근무팀은 발전소의 안전을 책임지는 가장 중요한 조직이며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대근무자들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발전소에 대한 애착심을 갖게 하기 위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일근자들과 비교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해 조직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원자력발전소 조직의 팀 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대근무자와 일근자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원자력발전소 각 사업소 및 본사에 근무하는 교대근무팀 직원과 일근팀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원자력발전소 조직의 팀 특성(집단응집력, 집단효능감, 팀간 신뢰)이 교대근무팀 직원과 일근팀 직원 모두 동일하게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의 팀 특성 중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은 집단응집력이 가장 큰 영향 변수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직의 팀 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은 교대근무팀과 일근팀 직원 모두에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원자력발전소 조직에 속해 있는 모든 직원은 팀 유형에 관계없이 서로 협동하고 신뢰하며 조직의 일원으로 과제수행에 참여할 때 그 조직의 유효성은 극대화되고 더욱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직위가 높을수록 집단응집력,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원자력발전소 조직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직의 집단응집력과 집단효능감, 그리고 팀 간 신뢰를 높이는데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조직에 대한 일체감, 조직 구성원간의 신뢰, 조직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조직성과를 높여갈 때, 세계 초일류 원자력발전소 조직으로 재탄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종사자 중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직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적인 요인을 찾아내어 조직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에 있어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마진수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원자력발전소는 심층화재방어 개념에 따라 화재 발생시 발전소 외부로 방사능 누출을 억제하고, 발전소의 안전정지 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계, 건설, 운영되어야 한다.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방호 규제도 건축적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원칙에 근거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각국의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 설계기준에 대한 법률적 적용범위와 규제항목을 연구방법 및 범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 적용 법률인 원자력법과 소방관계법에 대하여 설계요건, 방화관리 항목 등을 상호 비교, 분석하여 비합리적인 규제 요인을 도출하고, 효율적인 화재방호 규제의 개선방안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소방관계법에서 원자력발전소를 동사무소, 오피스텔과 같은 일반 업무시설로 분류하여 연면적 및 층수기준에 따른 규제요건을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2.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규정이 원자력법을 중심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화재예방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이 과학기술부 고시로 발행되어야 한다. 3. 화재위험도분석에 관한 과학기술부 고시(고시 제2003-20호)에 따라 화재하중에 따른 화재위험도분석 결과가 설계에 반영되었다면 화재방호설비는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4]”의 소방시설 설치기준의 예외항목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4. 법률의 일관된 적용을 위해 현재와 같이 소방관계법에서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설비를 규제하여야 한다면, 원자력발전소의 특수성이 반영된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의 신규 제정이 필요하다.

      • 원자력 발전소 주변지역 피해발생가능성 저감에 관한 토지이용계획적 접근

        하동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원자력 발전은 우수한 장점을 가진 발전 방법이다. 하지만 지속되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원자력 발전이 높은 잠재적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와 곳곳에서 발생하는 지진들로 인하여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기존의 자연재해를 뛰어 넘는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인지하고 사고예방을 위한 안정성 증대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재해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는 없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줄이는 방안 역시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계획을 통해 원자력 발전소 주변지역에서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저감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를 핵심 피해로 상정하고 국내 원자력 발전소 주변지역들에 대한 인구변화를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국내 원자력 발전소 지역 중 고리원자력 발전소만이 주변지역에서 지속적인 인구증가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발에 의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노후화, 주변 대도시권을 인접하고 있다는 지리적 특징들로 인하여 고리원자력 발전소는 매우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성이 증대하고 있는 고리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에 대해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토지이용계획을 적용한 방안들을 시뮬레이션 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를 바탕으로 모델링 진행과 토지이용계획적 접근 방안을 적용한 시나리오 구축 및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토지이용계획을 적용한 시나리오에는 용적률과 건폐율의 제한, 녹지면적 확보, 용도지역 변경 금지라는 방법들이 포함되었다.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토지이용계획을 활용한 시나리오들은 인구증가를 억제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원자력 발전소 주변지역에 대해 토지이용계획을 통한 원자력 발전소 사고 피해 저감 방안을 적용할시 예상되는 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지속적으로 증대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위험 속에서 토지이용계획을 통한 원자력 발전소 사고 피해 저감 방안은 훌륭한 방재정책이 될 것이다. Nuclear power is a generator of development with excellent advantages. However, th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have shown that nuclear power generation has a high potential risk. In addition, natural disasters due to climate change and earthquakes occurring in many places are increasing the risk of nuclear plant accidents. Nuclear power plant accidents should be ensured of safety because they cause damage beyond the existing natural hazards. Recognizing this, many research to enhance safety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are being studied. Howev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fully prevent all disasters, measures to mitigate damag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to mitigate damag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the nuclear power plant’s area through a land-use planning. This study assumed the loss of life in the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as a key damage and looked at population changes in areas surrounding the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through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This confirmed that only Kori Nuclear Power Plant’s areas have continued population growth in the surrounding areas.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develop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has a very high risk due to its geographical features that adjacent metropolitan areas and its aging problem. In this study, the effects were analyzed by simulating measures to apply a land-use planning to mitigate the risk in the accident to the Kori Nuclear Power Plant’s area, where the risk is increasing. Based on System Dynamics, the scenario was constructed by land-use planning approaches and simulated using modelling. Scenarios applying the land-use planning included limiting the floor area ratio and the building coverage ratio, constructing the green area and regulating the change of the land use area. Simulation results using system dynamics show that scenarios using land-use planning have mitigated population grow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imulations, the expected effects of applying the land-use planning were identified. Because of the increasing risk of nuclear power plants, the measures to mitigate damage from nuclear accidents through land-use planning will be a good anti-disaster policy.

      •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용환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방호 설계 기본개념은 심층방호개념(Defense in Depth)에서 비롯된다. 심층방호개념이란 가능하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 및 관리하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속히 탐지하여 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만약 소화에 실패하더라도 원자력 발전소 안전정지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심층방호개념은 일반 건축물의 화재방호 설계개념과 상이한 것으로, 방사능물질을 이용하는 원자력발전소의 특수한 설계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방호 규제도 원자력발전소의 특수성을 유지하면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원칙에 근거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각국의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 설계기준의 적용범위와 규제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 적용 법률인 원자력법과 소방관계법에 대하여 분석하여, 효율적인 화재방호 규제의 개선방안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방호 효율화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 국내 원자력발전소는 국내 소방관계법에서 단순 업무시설로 분류되어, 원자력발전소만의 특수성을 유지하는 화재방호 설계를 적용할 수 없다. 2. 국내 원자력발전소는 원자력법과 소방관계법을 동시해 적용받고 있으나, 상호 모순된 기준이 존재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3. 해외 원자력발전소의 사례에서 보듯이 국내 원자력발전소도 원자력발전소만의 특수설계를 위하여 성능위주설계를 법제화 하여야 한다.

      • 原子力 發電所의 環境法的 理解 : 榮光原子力 發電所를 中心으로

        김동주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ppraisal system for how radia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the preparatory stage, when the nuclear power plant is under construction. The administrative agency should take charge of making out the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radiation aid be able to gather not only the opinions of civil environmental entities. It should readjust the system to observe the cont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 Of course the neighboring residents are at odds with th mobilized construction crew due to the bad effects of as noise, vibration, dust and so on during constructionand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due to accumulated bad effect. Consequently, we need to analyze whether we should keep to a strict the level of radiation dicharge or not. 3. The atomic waste does not come under the rule of waste countrol but of atomic energy control. Due to the insufficiency of regulations about the safty of atomic waste and proper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have stricter atomic waste control administration. 4. There are no regulations on heat pollution under our environmental law at this time. Therefore, we need legislation about heat pollution including the matter of discharge water from an nuclear power plant. 5. Countermeasure are necessary for closed-down nuclear reactors. Technical know-how concerning this is not sufficient on the international level. Related legislation is also need.

      • 원자력발전소 Near Miss / Low Level Event 관리체계 분석 및 개선방안 고찰

        권대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에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보고서에서 제시한 사고근접사례(NM: Near Miss), 저수준사건(LLE: Low Level Event) 우수관리 내용과 현재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NM / LLE 관리현황, 발전소 종사자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관리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중대사고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면서 중대한 사고 예방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NM과 LLE 관리는 중대사고 예방의 첫걸음이다. 국내외 원자력 유관기관들은 NM / LLE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내 원자력발전소에 지속적으로 관리개선을 권고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에서 보고되었던 NM 사례들을 연구 분석해 본 결과 IAEA와 한국수력원자 력(주)에서 제시한 NM 정의에 부합되지 않는 보고 내용들이 다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 다. NM 관리시스템의 경우, 최근 재정비를 하여 해외 우수 원자력발전소와 비교해도 될만큼 많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설문조사 결과 발전소 종사자들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고 NM에 대한 개념과 정의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NM에 대해 전반적으로 관심이 부족하고 지속적으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NM / LLE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종사자들이 NM 보고 및 관리 중요성을 인지하여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조직 내에서는 동료 실수에 대한 비난 문화를 개선하고 성숙한 공정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종사자들이 자발적인 보고를 많이 할 수 있게 되고 정확한 원인분석으로 교훈을 배워 발전소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성공적인 NM 관리로 국민의 신뢰를 받고 세계 최고 수준의 원전운 영을 인정받아 세계로 뻗어 나가는 원전 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원자력발전소의 계측제어기기에 대한 전자기적합성에 관한 연구

        민문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디지털제어기술과 반도체기술 등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발전소의 계측제어기기 및 시스템 관련기술은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계측제어기기의 전기전자장치는 소형화, 고속화되어 가고 있으며, 적은 구동에너지에도 동작될 수 있게 되어 디지털 계측제어기기는 미소한 전자기파장해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기기의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및 출력에 관련된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의 신호를 왜곡시켜 발전소의 중요 제어시스템에 오동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미국 원자력발전소의 운전경험보고서에 따르면, Carolina 원전에서는 라디오 전자기파장해에 의해, First energy 원전에서는 무전기 전자기파장해에 의해, Rochester 원전에서는 용접기 전자기파장해에 의해, Greenville 원전에서는 자속에 의한 전자기파장해에 의해 발전소의 기기가 불시에 정지했다. 원자력발전소에서 계측제어시스템은 아날로그 계측제어시스템에서 경제성과 효율성이 우수한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으로 설치되거나 교체되고 있으나,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은 빠른 프로세싱과 낮은 문턱치 전압을 가진 프로세스 기반으로 인해 아날로그 계측제어시스템에 대비하여 전자기파 장해에 취약하다. 원자력발전소의 계측제어기기 및 시스템에 대한 국내외 전자기적합성(EMC) 평가는 기기가 발전소에 설치상태(Site-specific test)에서 검증시험을 하지 않고, 발전소에 설치되기 이전에 계측제어기기 및 시스템을 실험설비(Test facilities)에서 검증시험을 하고 있다. 실험설비에서의 전자기파장해 검증시험은 계측제어기기 및 시스템의 품질 관리하는데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지만, 계측제어기기 및 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조명, 릴레이 동작, 통신 장비, 스위칭 등 의도되지 않은 다양한 전자기파 발생원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설치상태의 전자기적합성 검증시험은 실험설비상태에서의 전자기적합성 검증시험과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원자력발전소에서, 안전 및 비안전 관련 계측제어기기에 대한 전도성 및 방사성 전자기파를 측정하여, 측정된 전자기파의 방출크기를 안전관련 계측제어기기의 플랜트 방출 한계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전자기파 방출이 클 것으로 추정되는 특고압 변압기 지역의 코로나방전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에 대한 계측제어기기의 여유도를 평가했다. 둘째 원자력발전소의 비안전관련 계측제어기기에 대한 전기장 방사성전자기파 내성에 대한 시험치를 제시했다. 안전관련 계측제어기기에서 전기장 방사성전자기파 내성시험은 필수요건이지만,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비안전 계측제어기기, 감시 및 지시로 사용되는 비안전관련 계측제어기기에서 전기장 방사성전자기파 내성시험은 발전소 운영자의 선택사항이다. 비안전관련 계측제어기기의 전기장 방사성전자기파의 내성 시험치는 별도의 내성 시험치가 없으며, 필요할 경우 안전관련 계측제어기기의 전기장 방사성전자기파 내성에 대한 시험치와 동일한 시험치를 사용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에 비안전관련 계측제어기기를 설치할 경우, 전자기파 발생원에서 수신 안테나까지 거리, 전자기파 발생원에서 계측제어기기까지 거리, 여유도를 고려한 비안전관련 계측제어기기의 전기장 방사성전자기파의 내성에 대한 시험치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