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동선수가 지각한 리더십 행동이 팀 응집력, 운동몰입,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명균 東新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중·고등학교 운동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이 팀 응집력, 운동 몰입,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Chelladuri의 다차원적 리더십 모형 이론을 바탕으로 팀 응집력, 운동 몰입, 운동만족도간에 인과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교 운동선수 844명의 설문으로 이루어졌으며 측정도구는 리더십, 팀 응집력, 운동 몰입 및 운동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방법은 변량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각 변인간의 차이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에 비해 리더십 행동 중 하위변인 즉 훈련지도, 민주행동, 사회적지지 행동요인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팀 응집력, 운동에 대한 몰입도, 운동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각 변인간의 차이는 연령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리더십 행동 중 하위 변인 즉 민주행동, 권위행동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팀 응집력에서 하위변인 중 환경만족, 사회승인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운동 경력에 따른 각 변인간의 차이는 운동경력이 3년 이하의 집단이 3년 이상 5년 이하인 집단과 5년 이상인 집단보다 리더십 행동 중 하위변인인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였다. 그러나 운동 몰입에서는 3년 이상 5년 이하인 집단이 3년 이하 집단과 5년 이상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만족도에서도 3년 이하 집단과 3년 이상 5년 이하인 집단이 5년 이상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동종목에 따른 각 변인 간의 차이는 팀 응집력에서 하위변인인 개인 사회요인에서만 단체종목이 개인종목보다, 그리고 만족도는 환경만족에서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사회승인에서는 단체종목이 개인종목보다 높게 반응하였다. 다섯째, 입상경험이 많을수록 지도자의 훈련지도, 사회지지, 민주행동에 대한 지각이 높고, 운동 몰입도 높으며, 운동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입상경험이 적은 집단은 권위적 행동에 대한 지각이 높다. 여섯째, 지각한 리더십 행동이 각 변인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팀 응집력에서는 훈련지도 사회지지 권위행동이, 운동 몰입에서는 훈련지도 피드백이, 운동 만족도에서는 권위행동이 유의한 차이로 영향을 받았다. 일곱째, 지도자의 훈련지도, 긍정적 피드백 행동이 선수의 운동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여덟째, 지도자의 권위적 행동이 선수의 운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아홉째, 지각된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운동 몰입, 운동만족도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따라서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이 운동선수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그러므로 스포츠 경기력 향상을 위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술습득과 경기 전략에 대한 훈련에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이 선수들의 수행력과 운동만족도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선수들의 잠채력을 개발하여 기량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경기력을 최상의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지도자의 역할이 크게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es' leadership behavior by athletes and their psychological factors like the team cohesion, flow, and athletic satisfaction. The leadership behavior were based on the multi -dimensional action theory of Chelladurai(1978). The cause and effect among the variables are analyzed. 844 junior high and high school athletes were us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one way ANOV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the process and the data mentioned above show the followings: First, male athletes have better perception of training, democratic, and social support leadership than female athletes. Also males have higher team cohesion and deeper flow than females. Second, the group that consists of the elder athletes shows better conception of democratic and autocratic leadership, greater team cohesion, and better athletic satisfaction than younger athletes. Third, the group that consists of more experienced athletes shows higher conception of the social support leadership, lager satisfaction of the team, and flow than the group that has less experienced athletes. Fourth, the team sports show greater cohesion and better satisfaction in terms of social acceptance and satisfactory environment. Fifth, the findings also prove that the more experiences of winnings they have, the better conception of training, social support, democratic leadership and athletic satisfaction they show. And the group that has less experiences of winnings shows higher conception of autocratic leadership than the group experienced more winnings. Sixth, it is also found that the team cohesion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training, social support, and autocratic leadership. Seven, the sports concentration of the athletes get greater when the training leadership and positive feedback behavior of the coach are recognized by the athletes. Eighth, the autocratic leadership gives an impact on the self satisfaction. Ninth, there are relationships of the cause and effect among the leadership behaviors, team cohesion, and sports concentration. In conclusion, the behavior of the leader is a critical factor that influence to team members. To achieve a goal of a team and to raise group cohesion, flow and athletic satisfaction, coaches need to know how to employ the different leadership styles on the proper situations.

      • 광주·전남 체육고 학생들의 운동만족도와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신영금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체육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와 일탈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운동만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운동경험이 3년 미만인 학생이 3년 이상인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입상경험에 따른 운동만족도 결과는 입상경험이 없는 학생이 입상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경기종목에 따른 운동만족도는 신체적 접촉이 없는 비접촉 경기종목 학생이 접촉경기종목 학생보다 운동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성별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운동경력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운동경험이 3년이상인 학생이 3년미만인 학생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입상경험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입상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8) 경기종목 유형에 따른 일탈행동 결과는 신체적 접촉이 있는 접촉선수가 비접촉선수보다 일탈행동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일탈행동중 반사회적 일탈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and deviant behavior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 in athletics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students well, and collect data for their instruc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361 Gwangju and Chonnam Athletics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at rando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rogram SPSS/PC and T-test. The results an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sex, male athletes are higher than female athletes, whic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2)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athletic career, athletes who have more than 3 years' athletic career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not, which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prize career, athletes who have not won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won, whic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4) In the degree of athletic satisfaction by sports event, athletes in noncontact game are higher than ones in contact game, which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5) In the deviant behavior by sex, male athletes are higher than female athletes, which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6) In the deviant behavior by athletic career, athletes who have more than 3 years' athletic career are higher than athletes who have not, which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point of un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level. 7) In the deviant behavior by prize career, athletes who have won prize are higher than ones who have not, which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8) In the deviant behavior by sports event, athletes in contact game are higher than ones in noncontact game, which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 노인여가 복지시설에서의 운동프로그램 만족도와 운동몰입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운동프로그램 이용자의 프로그램 만족도, 운동몰입, 생활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운동프로그램 만족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노인운동프로그램 저변확대를 위한 정책반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는 2018년 11월 서울시에서 운동 프로그램을 가장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복지시설의 노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310부의 설문지를 각 피험자들에게 배포하여 작성하게 하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0부를 제외하고 최종 300명 분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으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독립t검정(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사후분석 : Scheffe test),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분석, 단∙다중회귀분석(simple &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운동교실이용특성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프로그램만족도가 운동몰입의 무아지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휴식적, 신체적 요인이고, 시간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신체적 요인이고, 자기목적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신체적이었다. 셋째, 운동몰입의 무아지경, 시간감각, 자기목적체험 모두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프로그램만족도의 심리적, 휴식적, 신체적 요인이 모두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운동프로그램만족도의 휴식적 및 신체적 요인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무아지경이 부분매개효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운동프로그램만족도의 심리적, 신체적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시간감각은 부분매개효과로 작용하였다. 또한, 운동프로그램만족도의 심리적, 신체적 요인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자기목적체험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 분석

        김현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1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 분석 김 현 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생활체육교육학과 지도교수 이 흥 진 이 연구의 목적은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 분석을 구명(究明)하여 합기도체육도장에서 아동들의 성취목표를 이해하여 바른 무예지도의 방법을 모색하고 지침을 제공하며, 지도자의 전문성 있는 자질과 능력으로 수련생들의 합기도를 통한 운동몰입을 유도하고 운동의 만족감을 이루어짐은 물론 경쟁력 있는 합기도체육도장 환경을 조성하는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현재 인천지역의 합기도전문수련도장인 국민생활체육합기도연합회 소속도장의 초등학교 3학년 ~ 6학년생의 합기도 수련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규정하였다. 표집방법을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사용하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480명의 대상을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 수거하였고, 수집된 자료들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미 기입된 자료, 중복 작성된 자료 및 미회수 된 자료 등 자료로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된 자료를 제외시키고 최종분석에는 452부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각 분야에 선행연구의 근거를 토대로 성취목표지향성은 문현희(2008), 송지훈(2010), 김만근(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사용되었고, 운동몰입은 이종길(1992), 최완욱(2012)의 연구를 기초로 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운동만족도는 이봉춘(2002), 김성관(2008)의 설문지를 발췌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부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구성한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의 21.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기도 수련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과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도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t-test 및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둘째,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합기도 수련생의 운동몰입이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자료처리를 통하여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기도 수련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성(남자), 수련기간(3년 이상), 단(3단 이상)의 집단에서 과제지향성이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합기도 수련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수련목적의 경우 인지몰입에서 성격개발을 목적으로 합기도를 한다는 집단이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합기도 수련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학년(3학년), 수련기간(3년 이상), 단(2단)의 집단이 신체적 만족에서 가장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상관분석을 통해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운동몰입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인지몰입은 과제지향성에서 행위몰입은 과제지향성과 자아지향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합기도 수련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운동만족도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신체적 만족은 과제지향성에서 인지적 만족과 사회적 만족은 과제지향성과 자아지향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일곱째, 합기도 수련생의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신체적 만족과 인지적 만족 및 사회적 만족 모두에서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연구를 종합해보면 장기 수련을 통한 높은 단계의 수련과정에 남자아동들에게서 연습과 노력을 통하여 자신의 기준을 달성하고자 하는 가장 큰 성취목표를 느끼고, 성격개발을 위한 합기도 수련 집단이 행복감, 기대감 및 운동 필요 욕구를 인식하여 그 일에 완전히 흡수되며 신체적 만족에 가장 높은 관심을 갖는다. 또한 성취목표와 운동몰입, 성취목표와 운동만족도,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의 관계는 성취상황에서 자신의 내적동기 증가에 인한 발전은 운동 자체를 목적으로 동기화 되어 재미와 만족을 느껴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자기실현의 욕구와 타인에 대한 존중 및 융합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상관관계는 합기도 수련을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right way of coaching martial arts and provide guidelin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achievement goal at a hapkido studio by studying the analysis of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consequent on hapkido trainee's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also to provide practical materials that make it possible to foster the environment of a competitive hapkido studio, let alone inducement of exercise commitment through trainee's hapkido based on a leader's professional quality and ability and achievement of exercise satisfaction. In an effort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defined the hapkido trainee's between the 3rd graders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t the National Hapkido Association of Sport for All-affiliated hapkido studio which is the specialized hapkido training studio in Incheon as of the year 2014 as its population.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is study got research subjects to make an answer in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collected questionnaires, among which this study excluded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judged to have no data value such as those in unfaithful answers, non-entry data, overlapped entry data, and non-collected data, etc. and used the final 452 copies of questionnaires for research work. As a tool for collecting data,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in each field, us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earch by Moon, Hyun-hee(2008), Song, Ji-hoon(2010), and Kim, Man-keun(2012) for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used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earch by Lee, Jong-kil(1992), and Choi, Wan-wook(2012)for exercise commitment while using the organized questionnaire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excerpt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Lee, Bong-chun(2002) and Kim, Seong-kwan(2008) for exercise commitment in line with the research purpose. As for data processing in this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data using Window SPSS 21.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and its concrete data processing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ducted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n order to study out the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consequent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hapkido trainee. Second,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hapkido trainee's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study out the influence of a hapkido trainee's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on exercise commitment and influence of a hapkido trainee's exercise commitment on exercise satisfaction. Through such a research method and data processing, this study drew the result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consequent on a hapkido trainee's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First,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consequent on a hapkido traine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it was found that task directivity of the group of gender(male), training period(more than 3 years) and grade(more than 3rd grade)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difference in exercise commitment consequent on a hapkido traine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the group who was alleged to do hapkido for character development from cognitive commitment in case of training purpose, was found to the highest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exercise satisfaction consequent on a hapkido traine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the group of a grade(3rd grade), training period(above 3 years) and grade(2nd grade) was found to show the highest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atisfaction. Fourth,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 hapkido trainee's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Fifth, the verification results of significance in a hapkido trainee's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exercise commitment indicated that task directiv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gnitive commitment while task directivity and self-directiv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commitment. Six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in a hapkido trainee's achievement goal directivity and exercis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ask directiv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 satisfaction while task directivity and ego-directiv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gnitive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Seven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in a hapkido trainee's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phys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Hitherto research taken together, it is believed that male children in their training process at a higher level through a long-term training felt the biggest achievement goal aiming to attain their own standard through practice and efforts while the trainee group doing hapkido for character development was completely absorbed in that work through the perception of a sense of well-being, expectation and desires of the need for exercise and consequently had the highest interest in physical satisfaction. In addition,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and exercise commitment,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and exercise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the development by the increase in one's internal motive in the circumstances of achievement is motivated with exercise itself as a purpose to be linked to the feelings of fun and satisfaction, finally making it possible to achieve the desire for self-realization, respect for others and a merging with others. Therefore, such a correlation has a very important influence on trainee's physical, mental, social development through the hapkido training.

      • 성인시범단의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범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에서는 성인시범단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운동만족도에 관한 요인을 분석해보고,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시범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성인시범단의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운동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성인시범단의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아 성인시범단의 운동만족도의 필요요인을 알아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특성,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운동만족도의 4가지 항목에 걸쳐 총 5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현재 태권도시범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성인들을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나, 이중응답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58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42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최종분석에 선정된 342부의 설문지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상관관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운동만족도의 결과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배경변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는 성별, 학력, 소속시범단, 시범경력, 보수여부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배경변인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성별, 학력, 소속시범단, 시범경력, 보수여부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배경변인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의 차이는 선수생활만족에서 성별, 소속, 해외시범경력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시범단의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지지 변인 중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요인이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변인 중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 요인이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시범단의 사회적 지지가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지지 변인 중 정서적지지 요인이 외부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변인 중 평가적지지 요인이 선수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시범단의 자아존중감이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변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 요인이 외부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 변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 요인이 운동만족도의 선수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을 국내 20세 이상 태권도시범단원으로 하였으나 전국의 태권도시범단원 전체를 모집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일반화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국 시범단원들로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국내 성인시범단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태권도시범단 운영과 발전에 있어 요구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었으나, 태권도와 태권도 시범의 발전을 위해 타 요인들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otor satisfaction of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nd to find out whether social support has an influence on self-esteem and moto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self-respect, and athletic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group, and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group's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athletic satisfaction, we want to provide basic data to identify the necessary factors of the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group's athletic satisfaction.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and consisted of a total of 56 questions across four categories: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otor satisfaction. It selected adults who are active in taekwondo demonstration teams in 2019 and us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ut 342 were used for this study, except for 58 that were deemed to have received double or unfaithful responses. The questionnaire of part 342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 23.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one-way vari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ocial support, self-respect, and mot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variable were found to be partly different. Th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based on the nature of the background variable was found to b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gender, academic background, affiliation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demonstration experience and remuneration. Next,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based on the nature of the background variable was found to b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gender, academic background, affiliation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demonstration experience and remuneration. Finally, the difference in athletic satisfac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variable is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groups depending on gender, affiliation and overseas demonstration experience in player life satisfaction. Second, a study of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adult teakwondo demonstration team on self-esteem showed tha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factors among social support variables affect positive self-esteem, while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actors influence negative self-esteem among social support variables. Third, a study of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adult teakwondo demonstration team on sports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at the factors of emotional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transformers affect extern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of evaluated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transformers affect player life satisfaction. Fourth, a study of the effects of tekwondo demonstration team self-esteem on sports satisfaction of self-esteem showed that positive self-esteem factors among self-respecting variables affect external environment satisfaction, while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factors among self-esteem variables affect athlete satisfaction of sports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study as a whole because although they were selected as members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ged 20 or older in Korea, they did not recruit all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nationwide. Therefore, future research requires an attempt to generalize the study by expanding the target to national demonstration team members. Second, the purpose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in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athletic satisfaction of the domestic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but it is believ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other factor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taekwondo and taekwondo demonstrations.

      • 중국대학 태극권 수업참여자의 운동만족도,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한 연구

        슝시룽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1

        중국 대학 태극권 수업참여자의 운동만족도,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한 연구 제 출 자: 슝시룽 지도교수: 정남주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 태극권 수업참여자의 운동만족도, 신체적 자기효 능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를 알아보는 것에 연구의 목 적이 있었다.관련 이론과 연구를 종합하여 태극권운동, 운동만족도, 자기효 능감과 행복감 등의 방면에서 이론적인 분석을 하였다.연구결론은 대학생 태극권과목의 설계와 전개에 리론적근거와 실천적근거를 제공하였으며 대학 생의 심신건강과 행복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실제적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중국 대학 재학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Cronbach's α값을 추출하였고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서술 통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 출하였다.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생 태극권 수업을 통한 운동만족도가 신체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운동만족도가 개인의 신체 자기효능감에 현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발견은 신체의 자기효능감 의 구성과 영향요인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개인의 신체 자 기효능감 향상을 촉진하는 새로운 시각과 가능한 개입방향을 제공한다. 둘째, 대학생을 통한 태극권 수업의 운동만족도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운동만족도가 개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현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행복감의 구성과 영향요 인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개인의 행복감 향상을 촉진하는 새로운 시각과 가 능한 개입방향을 제공한다. 셋째, 대학생을 통한 태극권 수업의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개인의 주관적 행복감에 현 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행복감의 구성과 영 향요인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돕고, 개인의 행복감 향상을 위한 새로운 시각과 가능한 개입방향을 제공한다. 주제어: 태극권, 운동만족도, 신체적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

      • 씨름선수가 지각한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와의 관계

        김정훈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 the wrestlers perceive and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Specifically,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1)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depending on the team, athletic career, weight, individual score within 1 year, and team scores within 1 year? 2)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leadership behavior and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3) What effect do leadership behavior and team cohesion have on exercis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be analyzed by targeting the pro-wrestlers of 25 wrestling business team nationwide and 630 university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leadership behavior perceived by the wrestler,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eam, athletic career, weight, individual score within 1 year, and team scores within 1 year, One-way ANOVA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leadership behavior and team cohesion on exercise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Depending on the team, the difference analysis of sub 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 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such as authority behavior, training and guidance, and democratic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 factors of team cohesion such as group integration - social dimension and group integration - task level and un the sub factors of exercis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2.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 sub 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depending on care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sub factors, including in authority behavior, training and guidance, positive feedback, and democratic behavior and in sub factors of team cohe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ntegration - social dimension, group integration - task dimension, and the personal charm - social dimension. In the sub factors of exercis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gicant differenc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exercise satisfaction, and social approval. 3.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 sub 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depending on weight divi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thing. 4.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 sub 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depending on individual score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support which is a sub factor of leadership behavio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ntegration - social dimension and group integration - task level which are sub factors of team cohesion.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exercise satisfac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xercise satisfaction. 5.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the sub 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depending on team score showed that 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 factors of leadership behavio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integration - social dimension and group integration - task level which are sub factor of team cohesion.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exercise satisfac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xercise satisfaction. 6. In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and team cohesion,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only in the training leading factor of leadership behavior and group integration - social dimension element of team cohesion. 7. In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and exercise satisfaction, all elements had positive relationships. 8. In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eam cohesion and exercise satisfaction, all elements had positive relationships. 9. Leadership behavior and team cohesion both had an effect on exercise satisfaction. 본 연구는 씨름선수들이 지각한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 소속팀, 운동경력, 체급, 1년간 개인전성적, 1년간 단체전성적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2)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는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가? 3)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은 운동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25개의 씨름실업팀의 직업씨름선수와 대학교, 고등학교 학생 6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소속팀, 운동경력, 체급, 1년간 개인전성적, 1년간 단체전성적에 따른 씨름선수가 지각한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각각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속팀에 따른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 하위요인 차이분석에서 리더십행동 하위요인인 권위행동, 훈련과지도, 민주적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팀 응집력 하위요인인 집단통합-사회차원, 집단통합-과제차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만족도 하위요인인 환경적 만족, 운동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경력에 따른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 하위요인 차이분석에서 리더십행동 하위요인인 권위행동, 훈련과 지도, 긍정적 피드백, 민주적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팀 응집력 하위요인인 집단통합-사회차원, 집단통합-과제차원, 개인매력-사회차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만족도 하위요인인 환경적만족, 운동만족, 사회승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체급에 따른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 하위요인 차이분석에서 모든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개인성적에 따른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 하위요인 차이분석에서 리더십행동 하위요인인 사회적 지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팀 응집력 하위요인인 집단통합-사회차원, 집단통합-과제차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만족도 하위요인인 운동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단체성적에 따른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 및 운동만족도 하위요인 차이분석에서 리더십행동 하위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팀 응집력 하위요인인 집단통합-사회차원, 집단통합-과제차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만족도 하위요인인 운동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과의 상관관계는 리더십행동의 훈련지도 요인과 팀 응집력의 집단통합-사회차원 요인에서만 부적관계가 나타났다. 7. 리더십행동과 운동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모든 요인에서 정적관계가 나타났다. 8. 팀 응집력과 운동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모든 요인에서 정적관계가 나타났다. 9. 리더십행동과 팀 응집력은 운동만족도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 퍼스널 트레이너의 공감능력과 PT참여자의 트레이닝 만족도, 운동만족도, 운동지속의사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민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퍼스널 트레이너(PT 트레이너)의 공감 능력이 참여자의 트레이닝 만족도, 운동 만족도, 및 운동 지속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피 트니스 센터에서 PT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성인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SPSS 28.0 및 AMO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CFA),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PT 트레이너의 정서적 공감 능력은 트레이닝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참여자의 운동 지속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적 공감의 경우 운동 지속 의사와의 총 효과와 간접 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T 트레이너의 두 가지 차원(인지적·정서적)의 공감 능력이 PT 참여자의 운동 지속 의사에 어떤 경로를 통해 영향을 주는 가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여자의 운동 경험 과 건강 증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가 지각한 코치 신뢰와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운동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양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99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들의 감독에 대한 신뢰,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변수들 사이에 직접과 간접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더 검증하는 것이다.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훈련 방법과 운동 성적의 향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국 배드민턴 스포츠에 참고할 수 있는 경험 모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중국의 여러 대학교의 468명의 배드민턴 학생선수를 선정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18부를 제외한 45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코치 신뢰를 독립변수로,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SPSS 25.0과 Amos 24.0 소프트웨어를 통한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Bonferroni 사후검정(post-hoc), 탐색적 요인분석, Amos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코치에 대한 신뢰의 차이는 연령, 학년 및 운동경력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높았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높다. 운동 경험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높았다. 운동에 대한 자신감은 연령, 학년, 주당 운동 횟수 및 운동 경험에서 모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어린 집단이, 고학년 집단보다 저학년 집단이, 주중 운동 횟수가 적은 집단이 많은 집단보다, 운동 경험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많았다. 운동몰입에 대한 결론에 의하면 연령, 학년, 운동 경력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학년이 높은 집단보다, 운동 경력이 많은 집단이 연령이 적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만족도 역시 연령, 학년, 운동 경험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운동을 많이 한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운동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신체 및 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 지지 성향이 운동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신체 및 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 지지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운동몰입 하위요인 인지몰입, 행위몰입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은 코치 신뢰와 운동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중개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between coach trust, sports confidence, sports engagement and sports satisfaction. Specifically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 trust and sports confidence, sports flow, and sports satisfaction in Chinese badminton player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the training method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Chinese college badminton play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empirical model for Chinese badminton sports. To this end, 468 badminton players from many universities in China were selected. After data verification, 450 samples were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coach trust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exercise confidence, exercise engage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25.0 and Amos 24.0 software,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verification. ,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trust of coache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Groups with more sports experience are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e conclusions on sports confidence and confidence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weekly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upper-grade group, the group with less weekly exercise is higher than the group with more,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than the group with less. The conclusion of sports investmen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higher grade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than the younger group. The conclusion of sports satisfaction shows that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For groups with little sports experience. Second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elf-confidence. Third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the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investment. Fourth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Fifthly, the confirmation of badminton players' sports self-confidence sub-factor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coac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investment. Sixthly, the confirmation of badminton players' sports self-confidence sub-factor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coac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Seventhly, it shows that cognitive investment and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f badminton players' sports investment sub-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Eighthly, Sports confidence, athletic immersion,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immersion have a partial intermediation effect between coach trust and athletic satisfaction.

      • 노인 근력운동 참여가 운동만족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정현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686

        노인 근력운동 참여가 운동만족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 정 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는 노인의 근력운동 참여가 운동 만족도와 주관적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4년 5월 첫째 주부 터 넷째 주까지 근력운동에 참여한 노인 중 설문조사에 동의한 330명을 대상으 로 모바일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330부의 유효 설문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근력운동 참여가 운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근 력운동 참여는 운동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노인의 근력운동 참여 기간과 강도가 증가할수록 운동 만족도가 높아 진다는 점을 시사하며, 노인의 운동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근력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운동 만족도가 주관적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동 만 족도 요인 중 신체적 및 심리적 혜택에 대한 만족은 주관적 인지기능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정신적 혜택 및 대인관계 증진 요인에 대한 만족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운동 만족도가 높을 수록 노인의 주관적 인지기능 또한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주관적 인 지기능 향상에 있어 정신적 혜택에 대한 만족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 다. 셋째, 근력운동 참여가 주관적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근력 운동 참여는 주관적 인지기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근력운동의 참여 기간과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관적 인지기능 또한 향상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노인의 주관적 인지기능 향상을 위해 적절한 근력운 동 참여가 유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근력운동 참여가 주관적 인지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근력운동이 인지기능 유지 및 치매 예방에도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는 노인의 인지 건강을 위한 근력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노인, 근력운동, 운동만족도, 주관적 인지기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