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일 대안학교의 교수이론과 학습에 관한 연구 : 발도르프학교의 외국어교육을 중심으로

        장희정 단국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세계화의 추세에 따라 외국어 교육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그 학습과 교육이론에 있어서도 새로운 방법에 대한 모색이 절실해졌다. 이 글에서는 성공적인 대안교육의 모델로 인정받고 있는 독일 발도르프학교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고찰해 보았다. 발도르프학교의 외국어 교육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것은 슈타이너의 인지학을 비롯한 교육철학이다. 따라서 2장에서는 이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을 세분화해 살펴보았다. 인지학은 육체와 마음과 정신의 인간본질에 대한 인식으로 인간의 의지를 전환하고 내면의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혜를 부여해 준다. 그리고 인간 교육관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기질론과 인간 발달론은 인간본질의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통한 효과적인 외국어 교육을 구성하는 이론적 바탕이 된다. 마지막으로 교육예술론은 전인적 인간형성을 위해 교육이라는 행위가 총체적인 인간이해에서 출발해 예술로 승화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3장과 4장에서는 발도르프학교의 외국어 교육의 전반적인 구조를 연구해 보았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발도르프학교의 외국어 교육과정은 인지학을 바탕으로 아이들의 발달단계에 따라 교과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말하자면 외국어 교육과정에서도 아이들은 의지와 감정 그리고 사고의 발달을 통해 자아를 형성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2) 외국어 교육도 인간 인식에 근거를 두고 있는 슈타이너의 교육예술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예술은 아이들의 개성을 발달시킬 뿐만 아니라 육체와 마음 그리고 정신의 변화와 발달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준다. 더욱이 외국어 교육에서의 교육예술은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과 잠재 능력의 개발을 위한 매개체이다. 3) 우리나라와 발도르프학교에서의 외국어 교육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목표는 의사소통능력의 배양이지만 구축해 가는 과정에서 차이가 난다. 우리나라는 초등학교부터 중 고등학교까지 통합과정으로 구성된 교육체계가 아니다 그래서 외국어 교육의 연계성이 떨어진다. 더욱이 초등학교에서와는 달리 중 고등학교에서는 외국어 교육 또한 평가위주의 현실적인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한 까닭에 본래의 목적이 상실되고 있다. 이와는 달리 발도르프학교는 12년의 통합과정으로 구성된 교육체계로써 일학년부터 고학년까지 연계성 있는 외국어 교육이 가능하다. 외국어 교육은 무엇보다도 해당 외국어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능력을 구축하고 향상시킨다. 더불어 아이들이 세계에 대한 인식능력을 형성하고 확장해 갈 수 있도록 한다. 4) 발도르프학교에서는 초등학교 일학년 시기를 외국어 교육의 적령기로 보고 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모방능력이 가장 왕성한데 특히 발성기관이 유연해서 외국어 발음을 정확하게 모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초등학교 일학년부터 두 가지 이상의 외국어를 동시에 시작한다. 저학년(1-3학년)에서는 특히 입말수업만으로 진행하면서 다양한 문화와의 만남에 중점을 둔다. 아이들은 짧은 노래와 율동을 겸한 시 낭송 그리고 연극 등의 입말수업을 통해 자유로움 속에서 외국어에 대한 낯설음을 최소화한다. 6) 외국어 교육에서 쓰기, 읽기, 문법 등의 글말수업은 인지능력이 생기는 3학년말부터나 4학년 초부터 시작한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모방능력이 감소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글말수업에 대한 수용능력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글말수업에서는 입말수업을 통해 아이들에게 이미 익숙한 학습 자료가 제공된다. 슈타이너는 어떻게 가르쳐야 되는가 하는 것은 인간이 어떤 존재인가를 알 때 가능하다고 하였다. 슈타이너의 원전을 위주로 살펴본 발도르프학교 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외국어 교육의 실제적인 내용이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에 적용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m Zeitalter der Globalisierung erlangt der Fremdspracheunterricht noch gro¨ßere Bedeutung als zuvor. Deswegen sollte auch Didaktik und Theorie des Unterrichts und des Lernens neu u¨berdacht werden. Dieser Arbeit untersucht Theorie und Praxis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in der Waldorfschulen, die als ein Model des erfolgreicher Alternativschule gelten. Die Grundlage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in den Waldorfschulen ist die Anthroposophie von Rudolf Steiner und Erziehung in seinem Sinne. Mit dieser Theorie bescha¨ftigt sich das 2. Kapitel dieser Arbeit. Die Anthroposophie ist die Erkenntnis des Menschenwesens nach Leib, Seele und Geist, sie beeinfließt den Willen des Menschen und fu¨rht ihn zur inneren Erkenntnis. Die Temperamentlehre und Entwicklungslehre in der anthroposophische Menschenkunde sind Grundlage der Erkenntnis des Menschenwesens und gleichenmaßen eines erfolgreichen Fremdspracheunterrichts. Die Erziehungskunst betont, dass Erziehung und Unterricht dazu dienen sollen, einen vollsta¨ndigen Menschen aus dem Menschen zu machen. Fortdauernde Erziehung und Unterricht mit dem Ziel, den Menschen als Ganzes zu erfassen, sollte ku¨nstlerisch gestaltet werden. Unter diesem Aspekt wird im Kapitel 3 das Konzept des Fremdspracheunterrichts in Waldorfschulen untersucht. Dieser Arbeit kommt zu folgenden Ergebnissen. 1) Das Fremdspracheunterricht in Waldorfschulen basiert auf den Anthroposophie, welche die ko¨rperliche und geistige Entwicklungs von Kindern beru¨cksichtigen. Der Fremdspracheunterricht geht davon aus, dass die Kinder auch durch das Erlernen einer Fremdsprache Wille, Gefu¨hl und Denken entwickeln und dann das Ich bilden . 2) Der Fremdspracheunterricht gru¨det sich auf eine Erziehungskunst, der wiederum die Erkenntnis des Menschwesens zugrunde liegt. Die Erziehungskunst entwickelt nicht nur die Individualita¨t des Kindes entwickeln, sondern beeinfließt Vera¨nderungen von Leib, Seele und Geist. Die Erziehungskunst im Fremdspracheunterricht ist Tra¨ger und Anlaß zum Lernen und ruft verborgene Fa¨higkeit hervor. 3) Beim Fremdsprachenunterricht in Korea geht es im Wesentlichen darum, die Fa¨higkeit zur Komunikation herauszubilden. Aber im Fremdsprachenunterricht in Waldorfschulen geht es daru¨ber hinaus auch darum, Wahrnehmungsfa¨higkeit von der Welt heraus zu entwickeln. Die Kmunikationsfa¨higkeit ist eine notwendige Bedingung, unter welcher die Menschen in Beziehung zueinander treten ko¨nnen und welcher sich kuturelles Versta¨ndnis ausbildet. Fremdsprachenkentnisse kulturelles Versta¨ndnis bilden diese Fa¨higkeit aus und erweitern sie. 4) In Waldorfschulen geht man davon aus, dass die Kinder im ersten Schuljahr besonders gut geeignet sind, eine Fremdsprache zu lernen. In diesem Alter ist ihre Nachahmungsfa¨higkeit besonders ausgepra¨gt. Auch ihre Sprachwerzeuge sind noch sehr elastisch, weswegen sie mit Leichtigkeit neuer Laut und Lautkombinationen erlernen. 5) In Waldorfschulen werden ab dem ersten Schuljahr zwei Fremdsprachen gleichzeitig angeboten. Im unteren Klassen (1-3 Klasse) erhalten die Kinder nur mit mu¨ndlichen Unterricht. Dabei u¨ben sie sich im Nachsprechen, in pantomimischer Bewegung, in chorischer Rezitation, im Rollenspiel, im Gesang und im Tanz. Im Fremdsprachenunterricht der unteren Klassen liegt Schwerpunkt auf interkulturellen Versta¨ndnis. Auch soll bei den Kindern eventuelle Hemmungen vor einer Fremdsprache abgebaut werden. 6) Schriftriche Unterrich, dazu za¨hlt Screiben, Lesen und Gramatik wird erst ab Ende der 3. Klasse oder ab Anfang der 4. Klasse. In diesem Alter sind die Kinder in der Lage, Regelma¨ßigkeiten in der Formenwelt der Sprache zu entdecken und zu beschreiben, und vor allem auch damit zu spielen. An die Stelle einer sich verlingerden Nachahmungsfa¨higkeit tretten bei den Kindern jetzt selbsta¨ndige Ta¨tigkeit ein. Dieser U¨bergang bedeutet, dass die Kinder jetzt in der Lage sind. Dabei werden vom mu¨ndlichen Unterricht her schon bekannte Unterrichtmaterialien weiterhin verwendet. Rudof Steiner ging davon aus, dass die Erkennung des Menschwesens auch Hinweise auf Unterrichtsmethoden liferte. Die Interpra¨tation der Erziehung in Waldorfschulen und die theoretischen und praktischen Inhalte des Fremdsprachenunterrichts basiert auf Origienatexten von Rudof Steiner. Nach meine Meinung liefert sie auch Hinweise auf den Fremdsprachenunterricht in Korea.

      •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정책과 일본어 교육의 방향

        양지승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1. 문제제기 현재 세계 정세의 흐름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이 초강대국으로서 세계를 주도하고 있지만, 지역별로는 유럽연합과 같은 블록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당연히 해당지역에서는 각 지역의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다양한 언어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외국어 교육을 개시하는 연령도 점차 조기화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은 영어 일변도로 질주하고 있다.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지 못하면 마치 세상에서 살 수 없기라도 한 듯이 압박을 가하고 있다. 당국자들은 학교에 제공되는 외국어의 수가 증가되어 왔음을 들어 외국어 교육이 확대되었다고 하지만 내용을 보면 영어 집중현상 만이 확대되고 다른 외국어 교육은 오히려 축소되었다고 해도 좋을 만큼 심각하게 왜곡되고 있다. 영어로만 외국어 교육이 획일화되었을 때, 사회와 문화 또한 획일화되어 영어권에 종속될 위험성이 크다. 외국어 교육은 다양화되어야 한다. 다양한 언어의 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섭취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게 지원하고 사고의 폭이 넓은 인간, 조화로운 인간이 될 수 있게 한다. 본고는 영어에 집중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현황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외국어 교육정책을 위한 개선점을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학생과 교사에 대한 설문결과를 토대로 일본어 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해서도 몇 가지 제안을 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바는 주로 정책적인 측면이며 우리나라의 제2외국어 교육이 본격화하는 고등학교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2.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정책의 변화와 현황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국가의 교육과정이다. 1954년에 제1차 교육과정이 제정되어 현재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지만, 그동안 우리나라의 외국어 교육은 외형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왔다. 학교에 제공되는 외국어의 수도 1차 교육과정기의 4개(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에서 8개(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로 늘었으며, 각 과목은 Ⅰ,Ⅱ등으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수-학습 분량의 적정화와 의사소통 활동중심의 외국어 교육, 문화이해 교육의 중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활동의 강조, 과목별 내용체계의 유연성을 강조하는 등 상당부분에서 바람직한 변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제2외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고교 2학년이 되어서야 실시할 수 있게 한다든지, 학생 자유선택제로 한다든지 하여 오히려 교육환경이 열악해졌고, 그나마 대학입시에 거의 반영하지 않음으로써 학교에서의 제2외국어 교육은 파행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외국어 교육의 조기화와 다양화, 그리고 실질화를 추구하고 있는 여러 다른 나라들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이며, 국제 경쟁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는 위험한 부분이다. 3. 일본어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본고는 우리나라 일본어 교육에 대한 관계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어 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일본어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본어 학습환경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생의 압도적인 다수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로 교사들은 일본어를 입시에 반영하는 대학이 많지 않다는 것을 들었고, 학생들은 영어 위주의 외국어 교육정책을 들었다. 이에 따라 일본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학생들은 한일교류를 지원하고 일본어 학습시설을 보강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교사들은 대학입시에서의 반영 및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일본어의 대학 입시 반영도가 낮아서 학생들의 관심이 적어지고 결국 고교의 일본어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학생들은 대학 입시부담이 없을 경우, 일본어를 적극적으로 공부하고 싶다는 뜻을 드러내어 현행 입시제도가 일본어 학습의 큰 장애가 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대부분 일본어를 가르친다는 사실에 만족을 표시하면서도 정부의 제2외국어 교육정책에 대해서는 커다란 불신감을 나타내었다. 4. 결 론 영어교육에 집중된 외국어 교육정책은 다른 외국어 교육의 파행을 초래한다. 그동안 제2외국어 교육이 확대되어 왔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도입된 외국어의 수만 늘었을 뿐, 교육과정이나 선택제도의 문제로 인해 제2외국어 교육은 오히려 축소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우리 사회는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을 상실하고 영어권에 종속되는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정책은 다언어주의, 다문화주의 가치관에 맞추어 제2외국어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언어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정책 가치관을 재정립하고, 제2외국어 교육을 사실상 제한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재편성하며, 학생에 의한 선택제도를 재고하여 다양한 언어들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입시에서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반영률을 확대하거나 필수화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제2외국어 교육의 정상화는 현실적으로 대학입시에서의 반영여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등학교 수준에서의 실질적인 외국어 전문학교 개설도 고려해봄직한 일일 것이다. 또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일본어 교육이 발전하기 위한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해 보면, 우선 대학입시에의 반영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 한일교류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일본어 학습시설을 설치하는 등 일본어 학습지원체제를 보강해야 한다는 것, 또 의사소통 기능중심의 현행 교수-학습 과정에 대해 재고가 필요하며, 가능한 한 중학과정부터 필수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일본어 교육은 일본어 교육 자체의 발전 뿐 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지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 問題提起 現在世界情勢の流れには大きい變化が現われている。アメリカが超大國として世界を主導しているが、地域別ではヨ一ロッパ連合のようなブロック化現象が著しい。當然該當地域では各地域の言語を利用した意思疎通の必要性が增大されている。これによって世界の多くの國國は多樣な言語敎育に心血を傾けているし、外國語敎育を開始する年齡も徐徐に早期化している。 しかし我が國の外國語敎育は英語一邊倒で疾走している。英語が上手に驅使することができなければまるで世の中で住むことのできないように壓迫を加えている。當局者たちは學校に提供される外國語の數が增加されて來たことを持って外國語敎育が擴がったと言うが、內容を見れば英語集中現象だけが擴がって他の外國語敎育はむしろ縮まったと言っても良いほど深刻に歪曲されている。英語にだけ外國語敎育が劃一化された時、社會と文化も劃一化されて英語圈に從屬する危險性が大きい。 外國語敎育は多樣化されなければならない。多樣な言語の敎育は學生たちが多樣な文化を取って利用することができる能力を取り揃えるように支援して思考の幅が廣い人間、調和な人間にな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する。 本稿は英語に集中されている我が國の外國語敎育現況を考察して望ましい外國語敎育政策のための改善點をいくつか提案しようとする。また學生と敎師に對するアンケ一ト結果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の改善方向に對してもいくつか提案をして見ようとする。本稿で論議することは主に政策的な側面や我が國の第2外國語敎育が本格化する高等學校に對する考察を中心に敍述することにした。 2. 我が國の外國語敎育政策の現況と問題點 我が國の外國語敎育政策の變化と現況を一番よく現わすことは國家の敎育課程である。1954年に第1次敎育課程が制定されて現在第7次敎育課程が施行されているが、その間我が國の外國語敎育は外形的に大きな成長を成し遂げて來た。學校に提供される外國語の數も1次敎育課程期の 4個(英語、ドイツ語、プランス語、中國語)から8個(英語、ドイツ語、プランス語、中國語、日本語、スペイン語、ロシア語、アラビア語)に增えたし、各科目は Ⅰ、Ⅱなどに細分化された。 また 7次敎育課程では敎授-學習分量の適正化と意思疎通活動中心の外國語敎育、文化理解敎育の重視、學習者中心敎授-學習活動の强調、科目別內容體系の柔軟性を强調するなど相當部分で望ましい變化を成していることに評價される。 しかし第2外國語敎育においては高校2年生になってから實施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するとか、學生自由選擇制にするとかしてむしろ敎育環境が劣惡になったし、それさえも大學入試にほとんど反映しないことで學校での第2外國語敎育は破行に至るようになった。 このような狀況は外國語敎育の早期化と多樣化、そして實質化を追い求めている他の國國とはよほど對照的な姿であり、國際競爭力の低下をもたらすこともできる危ないどころである。 3. 日本語敎育の現況と問題點 本稿は我が國の日本語敎育に對する關係者たちの認識を把握して、これ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の改善方向を提案するために、日本語敎師と學生たちを對象でアンケ一ト調査を實施した。 日本語學習環境に對しては敎師と學生の壓倒的な多數がよく揃っていないと回答したし、その理由として敎師らは日本語を入試に反映する大學が多くないということを擧げたし、學生たちは英語を主とする外國語敎育政策を指摘した。 これによって日本語學習を效果的に支援するために必要なことで、學生たちは韓日交流を支援し,日本語學習施設を補强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回答したし、敎師らは大學入試での反映及び活用度を高めなければならないと回答した。また敎師らは日本語の大學入試反映度が低くて學生たちの關心も低くなって、結局高校の日本語授業が正常的に實施されることができないと指摘した。 そして多數の學生たちは大學入試負擔がない場合、日本語を積極的に勉强したいという意志を現わして現行入試制度が日本語學習の大きい障害になっていることを確認させてくれた。 最後に敎師らは大部分日本語を敎えるという事實に滿足を表示しながらも政府の第2外國語敎育政策に對しては大きな不信感を現わした。 4. 結論 英語敎育に集中された外國語敎育政策は他の外國語敎育の破行をもたらす。その間第2外國語敎育が擴がって來たと言うものの、實際では導入した外國語の數が增えただけで、敎育課程や選擇制度の問題によって第2外國語敎育はむしろ縮まったと言っても過言ではない。こんな狀況が持續すればうちの社會は言語と文化の多樣性を喪失して英語圈に從屬する最惡の事態にあうこともできるだろうと思う。したがって外國語敎育政策は多言語主義、多文化主義の價値觀に合わせて第2外國語敎育を活性化させる方向に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 この爲に、言語の多樣性を重視する方向に政策價値觀を再確立して、第2外國語敎育を事實上制限している敎育課程を再編し、學生による選擇制度を見直して多樣な言語が學校現場で敎育され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また入試での活用方案を硏究して反映率を擴大するとか必須化しなければならない。我が國で第2外國語敎育の正常化は現實的に大學入試での反映によって左右されるからである。そして中等學校水準での實質的な外國語專門學校開設も考えられることである。 また、アンケ一ト結果を土臺にして日本語敎育が發展するための方向をいくつか提示して見れば、まず大學入試への反映擴大のために努力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韓日交流に對する支援をふやし、日本語學習施設を設置するなど日本語學習支援體制を補强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と、また意思疎通機能中心の現行敎授-學習過程に對して再考が必要であり、できるだけ中學過程から必須化を推進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點などを擧げ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と思う。それによって日本語敎育は日本語敎育自らの發展だけでなくうちの社會の多樣性を守ることにも寄與することができるだろうと思う。

      • 글로벌무역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윤창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급속히 변화하는 세계경제 속에서 우리나라의 교역량은 날로 증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환경 아래 우리나라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역량 있는 무역전문인력 양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무역전문인력 양성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 기존 무역교육의 획기적인 변화라 할 것이다. 한편, 글로벌 시장에서 무역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외국어 구사능력이 요구되는바 외국어교육은 무역교육과 함께 학습해야 하는 필수조건 중의 하나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은 외국어교육에 대한 교과과정을 재편성하고, 기업은 외국어교육에 있어 재교육 시간과 비용에 대한 낭비요인을 제거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무역학과 졸업생의 취업 및 무역실무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수급을 위하여 글로벌무역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 대학에서의 외국어교육 강화 및 중요성에 중점을 둠으로써 무역교육이 획기적으로 변화해야만 하는 시대적 당위성에 입각하여 논술하였다. 본 연구의 실질적인 목적은 기존 무역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통하여 FTA 시대를 맞이하는 무역교육의 틀을 바꾸는데 있다. 또한 무역교육에 있어서 외국어교육 중요성을 인식하여 대학과 기업에서 효율적으로 외국어교육을 시행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역량 있는 무역전문인력 양성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당면과제를 도출하여 보면, 실무중심의 무역교과과정이 편성되어야 하고, 실용회화 중심의 외국어교육이 확충되어야 하며, 현장실습 교육 및 취업 프로그램이 확대 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역학과에 원어민 교수의 확충이 시급하고, 산학협동사업의 정부지원 확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외국어회화의 실용성을 높이고 수준 높은 콘텐츠 개발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아울러 외국어의 문화이해 학습방법 개발 및 제2외국어 수업 신설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무역학과의 학과명칭 통일이 필요하다. 이렇게 도출된 당면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어교육 프로그램의 혁신적 개발이 필요하다. 특정 학년에 편중된 외국어교육을 전 학년으로 확대시켜야 하고, 수요자 맞춤형 외국어 콘텐츠 제작 및 비즈니스 E-mail & Writing 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원어민 교수를 확충해야 하고, 외국어교육에 있어 문화이해 학습방법 개발과 제2외국어 수업을 확대하며, 외국어 능력 자격취득을 졸업과 연계된 프로그램으로 마련해야 한다. 또한 대학의 무역학과 교과과정을 전면적으로 개편해야 한다. 대학의 무역학과의 교과과정 개편을 위해서는 수업이 실무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실무경험이 있는 교수를 확충해야 하고, 실무위주의 교재 사용을 확대하며, 무역학과의 학과 명칭을 통일해야 한다. 그리고 취업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중심교육을 확대해야 하며, 대학이나 기업 그리고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학생들 모두가 산학협동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의 통합시스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무역특성화 대학의 정부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FTA 확산에 따른 글로벌 무역전문가의 수요증대에 따라 해외대학과 연계하여 교과과정을 세분화 시키고, 전공별 취득학점 및 외국어 능력 우수인력에 대하여 조기졸업제를 시행하는 등 현실성 있는 정부의 지원이 요구 된다. The volume of Korean international trade has increased by the day i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economy. It has been urgently required to train competent global n necessarily be accompanied in training global trade experts. However, not etrade experts for developing Korean global trade more consistently than one developed with its competitor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foreign language fluency canough attention has been pai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amongst experts in academic fields. Having this critical awareness, the curr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iciency level of global trade educ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make recommend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global trade education in Korea. Foreign language fluency at a high level in global trade has been one of the requirements considered to be learned in global trade education. The University should reorganize programs of the department relate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us it could remove factors that misuse time and cost needed for reeduca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more personnel needed in the business field. In addition, these are the main factors needed to foster talents competent at the working-level were drawn as well as the excellence of a workforce who have graduated from the competitiv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skills needed to train global trade experts is to be stressed by placing emphasis on the strengthening and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The following imperative tasks were drawn from results of the survey. First, the need for organization of a program of trade education based on business practice.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practical conversation. Furthermore, an on-the-job training and job qualification program requiring expansion. Also, there is a need for the urgency of increasing the number of native-speaking instructors. Also, the expansion of government support for industry and education cooperation needed to be certain. Importance needed to be placed on increase of practicality in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and development of high-quality contents. Lastly, it wa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of learning cultural understanding of a foreign language and to newly establish classes for a second foreign language, and to standardize many different department names that refer to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The improvements needed to solve the imperative tasks are as follow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innovative program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expanding ‘biased subject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an entire garde level. Moreover, it is essential to produce foreign language contents and to develop business E-mail and writing subjects that is customized for the ‘demander’. Also, it is evident that the number of native-speaking instructors have to be expand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of learning cultural understanding and class expansion for a second foreign language with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inally. it was essential to prepare programs that qualification of foreign language skills was connected with graduation. It was also necessar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at the college in full measure. That is, the necessity to proceed a class on the basis of business practice, to expand instructors with business practice based experience and to us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business practice. There is a need for establishing a unity of department names that refer to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in order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ommerce and Trade at the University. Also, there is a need to expand on-the-job training to strengthen job competency.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have a program integrated system that will strengthen industry and school cooperation for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 college or filed placement.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have government support for University specialized in trade. As the given factors which have specialized in global trade increased in accordance to the expansion of FTA, it was necessary to connect courses of foreign University to subdivide and to implement the early graduation system in relation to acquired credits by major and a workforce that is highly competent at foreign language skills. Overall, realistic government support is required.

      • 몰입식 외국어교육의 이론과 한국 초등영어교육 적용방안

        임 혜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7

        ABSTRACT A Study on Immersion Program Theory and Its Application to Korean Elementary School Im, Hye-hyun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immersion education as if began in Canada and discuss it as a new English teaching approach through the cases of several countries, including Korea. This study deals with the immersion programs of Hungary, Finland, Japan, Hong Kong and Singapore as foreign cases and also deals with the immersion programs of Yeounghoon Elementary School and Minjoksagwan High School in Korea. Following immersion program procedures of suggested in previous research, the researcher developed classroom activities for an immersion program, designed lesson plans and selected stories for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tualize an immersion program in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there are some conditions required. First,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y the community an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re needed. Secon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epare a gradual approach for introducing an immersion program. First of all,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is necessary. Then, when the students are well adapted, early total- immersion programs can be started as research suggests. Third, teacher training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ers who can teach each subject in English, three kinds of training is required. They are an ESL program, a TESOL program and programs for teaching subjects in English for immersion education. Fourth, an immersion program text should be developed specifically for Korean students. It should include inter-cultural concepts, relating curricula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 teacher's manual will also be required for all level's. As well, evaluation must be clear to gauge each student's level. The questions should demand creative thinking from the students. Fifth, Some support systems are necessary. Each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should be reduced. The government must support the immersion program teachers with native speaking English teachers. A test for native speaking English teachers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supply good immersion program teachers. Sixth, an English environment is needed. Students need to experience English speaking countries first hand.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lesson plans of elementary 3rd grade students only. After this study, deeper study at all grade levels is needed.

      • 중국 중·고등학교 제2외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Ma, Cuipi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다국어는 정보화가 발달한 시대에 필수적인 생활 기능이 되었다. 이어서 여러 나라 사람들이 다국어를 제2외국어로 배우고 있고 세계 여러 나라 사이에 활발하게 교육되고 있다. 중국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다국어를 적극적으로 배운다. 한·중 수교 후 한류 열풍이 거센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간 중국의 한국어 교육은 양과 질이 모두 급속한 발전 하고 있다. 양국 간의 교육도 끊임없이 확대되고 있는 편이다. 최초 수교 이후 한국어 교육에 관련하여 한국어 수업이 대학교에만 설립됐는데 최근 몇 년간은 중·고등학교에서도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한 수업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중국에서 중·고등학교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재는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주로 중국 중·고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2외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경제, 과학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사회생활도 심각한 변화에직면해 왔다. 신시대 사회의 주요한 모순을 직면하고, 국민 전체의 자질과 인재육성의 질 향상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맞이하며, 중국교육부는 2013년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개선하였다. 외국어 수업은 영어뿐만 아니라 일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등 제2외국어 과정을 개설하고 학습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제2외국어 교육의 상황과 학습 환경에 따라 중·고등학교 학습자를 한국어교육 내용 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여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국 중·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재 개발 방안을 살펴보았다. 1장은 서론 부분이다. 이 부분에서 본 연구의 연구 목적 및필요성을 제시하고 중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2외국어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했으며, 연구 방법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2장은 해외 및 중국 국내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육 현황을 나누고 살펴보았다. 3장과 4장은 중국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과 중등학생 대상 한국어 교재의 분석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중국 중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을 자세히 제시하고 마지막 6장은 각 장의 결과를 제시한다. Multilingualism has become an indispensable function of life in the era of information development. Then many people in many countries use the second foreign language to learn many languages and educate them actively among the countries of the world. The Chinese are also active in learning multilingualism. The survey showed that the Korean current boom was fier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recent year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Korean education in China are developing rapidly. Edu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also expanding. After the initial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Korean courses were only offered in universities, and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courses in secondary schools using Korean as the second foreign language. But so far, there are no teaching materials suit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hina. This study mainly takes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object, and puts forward the development scheme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life is also facing serious changes. In the face of the main social contradictions in the new era and to meet the new requirement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eople and the quality of personnel train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improved the general high school education curriculum in 2013. Outside Mandarin courses not only include English, but also offer Japanese, French, Russian, Spanish and other second foreign language courses, students are free to choos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this paper wants to select junior middle school students as the object of Korean education. In this study, there are 6 copies, which are the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middle school, and the development scheme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is studied.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In this part, we put forwar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put forward the research methods and contents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in Chinese middle schools. Chapter II, Korea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overseas middle schools in China I shared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put forward the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in Chinese middle schools and the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fifth chapter puts forward in detail the scheme of developing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Finally, the sixth chapter puts forward the results of each chapter.

      • 드라마를 활용한 일본어 듣기·말하기 교육 : 「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를 중심으로

        박미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71

        (Abstract) Since globalization has been occurred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has been emphasized today, foreign language learning became one of the necessary things to do in this modern society. By knowing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people’s interests in Japanese has been grown up as well. There are many reasons why people learn foreign languages; the baggiest reason must be to communicat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 communicative Japanese language class, teachers firstly need to know learners’ interests, and learners should have desire for their learning. Thus, deliberating learners’ interests before learning is important. Through drama as teaching materials learners can experience Japanese culture and understand social phenomenon, ways of thinking, and habits by communication situations that are found in a real daily life provided in the drama. Moreover, learners’interest in Japan can be transferred to Japanese language learning so that it enhances learners’ willingness to learn as well as helps learners whose level is aboveintermediate level improve their listening ability and speaking usability. Through precedence studies, it has been revealed that foreign language classes using drama have shown many positive effects not only to teach four skills in language learning; listening, speaking, writing, reading, but also to instruct culture. Even though people know that using drama in a Japanese classroom is effective to make students interested and feel confident, many of studies about specific Japanese lesson plans for drama teaching have relied on English Education ones, due to the lack of Japanese studies’ relatively. In addition, even in English education studies, most of them deal with lesson plans which only concern with the drama itself, but do not suggest lesson plans that can improve learner’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drama, Crying Out Love in the Center of the World, in education aspect, examines what kind of educational effects can be found, and based on the educational effects found, suggests lesson plans that can improve learner’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The reasons why the drama, Crying Out Love in the Center of the World has been chosen among lots of Japanese dramas in this study, are that it meets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s, as well as, in linguistic aspect, it presents personal pronouns, sentence ending particles, exclamations, abbreviations, inversions, repetitions, and so forth, just as an actualdaily life does. Thus, it is thought that through using this drama in a Japanese classroom, students can learn real spoken Japanese language. To make students enable to talk freely and naturally in Japanese, students should learn not only honorific speech but also intimate one. In this way, the drama, Crying Out Love in the Center of the World shows lots of intimate conversations, and also uses simple and easy expressions. Besides, speaking speed and pronunciation are appropriateand background music is not so often performed while characters talk, so it makes students learn listening and speaking effectively. Learning effects expected by Japanese TV drama, Crying Out Love in the Center of the World, are spoken language appearing, for example, personal pronouns, sentence ending particles, exclamations, abbreviations, inversions, repetitions, and cultural aspects, like Kimono, Shinto shrines, お寺, funerals, scenes about eating, appearing, that help learners vividly see the social-culturalinformation. In addition, for a class using drama, specific listening and speaking lesson plans focused on improving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are suggested. Lesson plans for improving listening skill presents correcting abbreviation, listening and correcting underlined words, talking in a whisper, watching the drama and solving true or false questions, sequencing conversations, listening and answering, partial dictations and whole dictations; these plans are designed to be used practically. Lesson plans for improving speaking skill contains talking by using exclamations, learning ending particles, explaining stopped scenes, describing pictures, talking about the role-played content after a role-play, imagining the content after only listening, imagining the content of the drama after only watching it, making one group only hear sound and the other group only watch scenes, writing for a radio DJ and presenting the writing, rewriting the ending of the drama, that can help learners more freely talk in Japanese. Lesson plans using drama introduc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students who are above intermediate level, improve their Japanese communication ability. However, even though lesson plans using drama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effects and how much they would be successful in an actual classroom are not yet proved. Thus, the effects that can be observed in an actual classroom setting adaptation will be remained for further studies. (초록) 현대 사회는 국제화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 국가 간의 교류가 빈번해져서 외국어 습득은 현대인에 있어 필수 요수 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외국어 습득의 필요성과 더불어 제 2외국어로 일본어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외국어를 습득하는 데는 다양한 목적이 있겠지만, 대부분은 원활한 의사소통이 큰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일본어 수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교사는 우선 학생들의 관심과 하고자 하는 욕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학습 전에 흥미유발을 도모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이런 학습자들을 위한 일본어 학습 자료로 드라마를 이용하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현재 실생활에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장면이 제공되므로 일본문화를 접하게 되어 일본의 시대에 따른 사회 현상, 사고방식, 습관 등을 알 수 있으며, 일본에 대한 관심이 일본어 학습으로 전이되어 학습의욕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중급이상의 학습자들에게는 듣기 향상 및 회화 운용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드라마를 이용한 수업은 외국어 교육에서 언어의 4기능인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뿐만 아니라 문화지도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학생들에게 외국어 교육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지만, 드라마를 이용한 구체적인 수업지도방안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영어교육에 관한 것이었고 일본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영어에 비해 미비한 편이라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교육에 있어서의 드라마를 주제로 한 논문에서도 대부분 드라마 기법을 이용한 수업방안에 대해 연구한 것이었고 단순히 드라마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듣기ㆍ말하기를 향상시키는 수업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본 TV드라마 「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 1話~ 11話를 중심으로 그 교육적 측면에서 분석해보고,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고 그 교육적 효과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향상을 위한 듣기ㆍ말하기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많은 일본 TV드라마 중 「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를 선택한 이유는 고등학생의 순수한 사랑이야기가 주 내용이고 다양한 일본문화가 나오므로 학습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언어적 측면에서도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인칭대명사, 종조사, 감동사, 축약, 도치, 반복 등이 많이 나타나서 학습자들에게 구어체 표현을 학습시킬 수 있는 교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연스러운 일본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정중체외에도 보통체도 학습시켜야하는데 TV드라마 「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는 보통체 표현이 많이 나와 보통체를 학습하는 교재로 유용하며 전체적인 어휘 사용이 어렵지 않고, 등장인물들의 말하는 속도와 발음도 적당하며 배경음악은 거의 등장인물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동안에 나오지 않으므로 듣기 학습과 말하기 학습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 TV드라마 「世界の中心で愛をさけぶ」에서 기대되는 일본어 학습효과로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구어체 표현의 출현이 많았는데 그 중 인칭대명사, 종조사, 감동사, 축약, 도치, 반복 등이 많았고, 문화면에서도 기모노, 神社、お寺、장례식, 식사장면 등의 일본인의 일상생활을 생생히 볼 수 있는 사회 문화적인 정보가 많이 나왔다. 드라마를 이용한 수업에서는 드라마에 출현하는 구어체 표현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말하기ㆍ듣기능력의 향상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듣기ㆍ말하기 지도방안을 고안하였다.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으로는 축약형 맞추기, 듣고 줄친 단어 고치기, 귓속말로 전달하기, 드라마 시청하고 질문에 ○ㆍX로 답하기, 뒤섞인 대화 바로 맞추기, 듣고 질문에 대답하기, 부분 받아쓰기, 전체 받아쓰기를 제시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안으로는 감동사 넣어 말하기, 종조사 익히기, 정지화면 내용 말하기, 사진 묘사하기, 역할극 후 내용에 대해 말해보기, 소리만 들려주고 내용 상상하기, 영상보고 드라마 대화 내용 상상하기, 한 그룹엔 소리만 다른 그룹엔 화면만 보여주기, 라디오 DJ에게 쓸 내용 적고 발표하기, 드라마 결말 바꾸기 등을 제시하여 자연스러운 일본어 회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문화 지도방안으로는 드라마 장면을 시청하고 나서 식사장면과 연중행사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문화와 토론하면서 하는 구체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드라마를 이용한 수업 지도방안은 일본어를 공부하는 중급이상인 학습자들의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드라마를 이용한 수업방안은 제시했으나 직접 수업에 도입하여 효과를 검증한 것이 아니므로 실제 수업 현장에 도입했을 때, 이 수업방식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지 알 수 없다. 따라서 현장 수업에서 실제로 드라마를 활용한 수업을 적용했을 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기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