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교사의 확률적 상황에 대한 접근 방식 분석 : 등확률성을 만족하지 않는 상황을 중심으로

        이종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Probability is widely used in real-life situations to deal with uncertainties. As a result, the subject of probability has become a crucial topic i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out history, probability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Probabilit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erspectives in mathematics education: classical probability, frequentist probability, and subjective probability. The goal of probability education is to equip students with the skills to predict the future and make rational decisions through probability literacy. However, school mathematics primarily focuses on the classical perspective of probability, resulting in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probability among students. This is largely due to the ambiguity surrounding the subject, which leads mathematics teachers to also prefer teaching classical probability. It is crucial to study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on probability, as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hey provid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success in grasping the concept. By examining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teachers on probability, it is possible to assess both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proba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probability education in the regular curriculum. The study synthesized the perspectives on probabilit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probability theory and developed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approach to probability. In this study,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teachers on probability were assessed through activities involving the construction of examples and presentation of the meaning of probability. The examination included the process of estimating probabilities in non-equiprobable situations,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frequentist and subjective probability. Additionally, the study evaluated the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to infer the true probability in a given probabilistic situation when presented with additional empirical informatio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ints were found. First,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ed examples of classical probability and there were very few examples of personal belief-type probability that varied from person to person. Second, in the activity of estimating the probability value in non-equiprobable situations, it was observed that different approaches were us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rior information. Third, in the activity of updating the probability value by providing additional empirical data in a probabilistic situation, there was a tendency to believe that a more objective probability was closer to the true probability in the frequentist probability approach. However, in subjective probability, the true probability was not judged to be more accurate based on its objective nature, but rather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individuals deemed relevant to the probabilistic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probability education can be made. First, the new framework for classifying the perspective on probability in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applied. Second, the process of deriving a mathematical model can be used as a usefu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true probability valu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approaches to probability can be analyzed through the use of various theorems in probability theory. 실생활에서 확률은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삶에서 마주치는 불확실성을 해석하고 대처하는 도구로서 확률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확률의 중요도 때문에 학교수학에서 확률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져가고 있다. 확률의 개념이 출현한 후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어 왔다. 수학교육에서 확률은 크게 세 가지 관점인 고전적 확률, 빈도적 확률, 주관적 확률로 나누어진다. 확률교육은 확률적 소양을 갖춤으로써 미래를 예측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기본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이를 위해서는 확률에 대한 세 가지 관점이 조화롭게 다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학교수학에서는 고전적 관점만이 강조되어 확률의 진정한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확률을 실생활에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학교사들도 확률이 가지는 본질적인 애매한 특성 때문에 고전적 확률을 다루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확률교육의 성패는 교사의 질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교사의 확률에 대한 관점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예비교사의 확률에 대한 관점을 살펴보면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서 확률교육의 목표에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교사가 가지고 있는 관점까지 살펴볼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수학교육에서 다루는 확률에 대한 관점과 확률이론에서 다루는 확률에 대한 측면을 종합하며 확률에 대한 접근 방식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도출해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에 대한 예 구성 및 의미를 제시하는 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확률에 대한 관점의 양상이 어떤지 살펴보았다. 특히, 등확률성을 만족하지 않는 상황에서 확률값을 추정하도록 하면서, 빈도적 확률과 주관적 확률에 대한 예비교사의 이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주어진 확률적 상황에 추가적인 정보가 주어졌을 때 확률을 갱신하여 추정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는 대부분 고전적 확률의 상황을 예로 구성하였으며, 개인마다 달라지는 개인신념형 확률의 예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둘째, 등확률성을 만족하지 않는 상황에서 확률값을 추정하는 활동에서 개인이 가진 사전 정보에 따라 다양한 접근 방식을 활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셋째, 확률적 상황에서 경험적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확률값을 갱신하는 활동에서 빈도적 확률에서는 여러 확률 중 개인이 느끼기에 객관적이라고 판단되는 확률일수록 참 확률에 가깝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에 주관적 확률에서는 개인이 느끼기에 객관적인 확률이라고 해서 참 확률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지 않고, 확률적 상황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하는 요소들이 확률값 추정에 많이 고려될수록 참 확률에 가깝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확률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육에서 확률에 대한 관점을 분류하는 새로운 틀을 제시하였고, 그 틀을 실제로 확률적 상황의 예에서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수학적 모델 도출 과정의 절차가 참 확률값을 추정하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틀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확률이론에서 사용되는 여러 정리를 활용하여 확률에 대한 세 가지 접근 방식에 대한 관계를 분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예비 환경 교사 교육 실습 경험의 내용과 의미

        남윤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예비 환경 교사의 교육 실습 경험을 살펴보고, 그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여 환경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0년 10~11월과 2011년 4~5월에 교육 실습에 참여하여 연구에 동의한 예비 환경 교사 12명의 설문, 실습 소감문, 실습일지와 그 중 연구자와 래포 형성이 잘 이루어졌던 7명의 면담 자료 등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적 연구의 자료 분석 방법 중 전체적인 관점에서 공동적인 속성을 도출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의 방법을 차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65개의 의미 있는 진술을 추출하였고, 19개의 주제, 10개의 주제 모음, 그리고 4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4개의 범주는 교사로 성장하기, 의미 있는 관계 맺기, 나의 환경 수업 만들기, 환경 교과 다시 보기이다. 이 범주를 해석해보면 예비 환경 교사는 다음을 경험하고 있었다. 첫째, 예비 환경 교사는 사전 소문을 듣고 설렘, 긴장 등의 마음으로 시작하여 바쁜 실습 기간을 거치며 ‘교사로 성장하기’를 경험하였다. 둘째, 수업과 학급 생활에서 아이들과 만나 즐거움을 느끼고, 동료 교육 실습생들과 소통․협력하며 ‘의미 있는 관계 맺기’를 경험하였다. 셋째, 학교 환경교육을 처음 경험하며 지도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자기 수업을 준비하며 환경 교과의 특성을 살린 ‘나의 환경 수업 만들기’를 경험하였다. 넷째, 예비 환경 교사는 환경 수업에서 환경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 환경 교사가 되고 싶다는 계기를 마련하는 등 ‘환경 교과 다시보기’를 경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해석하여 드러난 예비 환경 교사의 교육 실습 경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환경 교사는 교사로 성장하는데 인지적 측면 보다는 정의적 측면이 변화가 드러났으며, 직업으로서의 도구적 가치 보다 내재적 가치에서 의미를 찾고 있었다. 둘째, 예비 환경 교사는 학생들과 만남을 통해 자신의 교사상을 탐색하고, 동료 교육 실습생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자신을 발전시키고 있었다. 셋째, 예비 환경 교사들은 자신의 경험 탐색을 통해 내용적으로는 환경 주제 중심의 수업, 방법적으로는 통합적이고 실천적 활동 수업을 경험하였고, ‘내 수업’에 의미를 부여하며 환경 교과 특성을 체험하고 있었다. 넷째, 환경 교과 다시 보기를 통해 환경교육과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예비 환경 교사의 교육 실습 경험은 대학의 양성 과정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예비 환경 교사의 교육 실습 경험과 배움을 높이기 위해 교육 실습 학기에 관련한 수업들을 연계 하거나 교육 실습 강좌를 담당하는 교수님을 지정하여 철저한 사전․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대학은 예비 환경 교사의 신념과 행동에 영향을 많이 주는 지도 교사와 동반자적 협력 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 환경 교사들의 대학 수업 경험이 수업 실습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보다 더 환경 교육적이고 다양한 경험이 있는 대학의 수업이 필요하다. 넷째, 환경과 공개 채용이 생겨 예비 환경 교사들이 환경교육과 학생으로서 몰입하도록 노력하고, 현실적으로 최소한 학급에 배정되는 인원이라도 소수가 될 수 있도록 학교에 요청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예비 환경 교사의 교육 실습 경험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자료를 통해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고, 교육 실습 경험은 예비 환경 교사가 교사로서 성장하는 과정이자 환경교육과 학생으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 교육의 양상 및 개선 방안

        유경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9개정 교육과정은 전 교과목에서 인성을 강조해야하며 체육교과 역시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전 영역에서 전 방위적으로 인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하지만 교육부는 학교체육에서 인성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그러한 주된 원인으로 체육교사를 지목하였다. 교사의 질은 교사교육의 질과 직결된다. 따라서 체육교사가 인성을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양상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가 인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사례연구로 진행된 본 연구의 대상은 사범대학교로서 전통이 있으며 임용합격률이 높은 다섯 학교를 선정하여 각 학교의 스포츠 교육학 교사교육자와 체육교사를 희망하는 3~4학년 예비교사 2명을 추천받아 총 5명의 교사교육자와 10명의 예비체육교사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개방형설문지와 심층면담으로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교사교육의 구성요소인 교사교육자와 예비체육교사의 인식적 측면, 교수-학습적 측면, 교육과정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양상을 살펴보면, 먼저 인식적 측면은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해야 한다.’는 인식과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양립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수-학습적 측면은 학습화, 사회화, 운동화로 나타났다. 학습화는 이야기, 영상, 사례를 통해 인성이 필요한 이유를 머리뿐만 아니라 마음으로 이해시키고 질문, 글쓰기, 인문소양을 통해 자신의 인성을 되돌아보게 하여 성찰시키는 것이다. 사회화는 협동학습, 토론을 통해 성찰한 인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며 인간관계 속에서 교사교육자가 예비체육교사에게 관심 갖기, 관계 맺기, 용기 갖기, 본보기 되기를 실천하여 예비체육교사의 인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운동화는 스포츠 인문적 활동, 인성을 강조한 체육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운동과 함께 인성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적 측면은 교양과목, 전공과목, 교직과목으로 구분되었다. 교양과목은 다양한 학문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공과목은 체육교사전문성을 교직과목은 교사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먼저 인식적 측면은 인성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고정관념, 지식과 인성이 분리된 사고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학습적 측면은 학습화 부족, 사회화 부족, 운동화 부족으로 나타났다. 학습화 부족은 교육내용에 인성이 포함되지 않아 교육방법으로 이해시키기와 성찰시키기가 활용되지 않았다. 사회화 부족은 학습자 중심이 아닌 교수자 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어 실천시키기가 활용되지 않았다. 또한 교사교육자가 인성보다는 지식에 중점을 두어 좋은 인성의 본보기보다 잘 가르치는 교사의 본보기를 보여주었다. 운동화 부족은 운동을 통해 스포츠 문화 속으로 입문시키기보다 더욱 정교한 운동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적 측면의 문제점은 분리교육과 무늬만 위원회로 나타났다. 예비체육교사교육은 교사로서의 지식, 기능, 태도를 따로 가르치며 소수과목에서만 태도를 가르쳤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는 교육과정 위원회는 인성의 개념이 모호하다는 이유로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지 않았다. 셋째,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의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인식적 측면은 인성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인성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교수-학습적 측면은 모든 수업에서 학습화와 사회화를 활용하며 특히 실기수업에서 운동화를 활용한다. 학습화를 위한 방법으로 인성요소 명료화, 인성개념 설명, 영상, 질문, 글쓰기 과제, 인문적 활동 등이 있다. 사회화를 위한 방법으로 협동학습, 토론, 역할부여, 현직교사와 면담, 학생 지도록 작성, 좋은 인성의 본보기 등이 있다. 운동화를 위한 방법으로 스포츠 문화로 입문, 인성을 강조한 체육수업모형(책임감 모형, 스포츠교육모형, 하나로 수업모형)적용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적 측면은 체육교사론, 현장참관, 배운 이론을 실천할 수 있는 과목, 교사로서의 지식, 기능, 태도를 모두 배울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한다.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 및 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을 강화하기 위한 예비체육교사교육은 교사교육자에게 인성교육방법을 제공, 모든 과목에서 교사로서의 지식, 기능, 태도를 통합하여 가르칠 수 있도록 과목을 개설, 교수-학습 동안 적극적인 학습화, 사회화, 운동화의 활용 등이 있다. 둘째,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을 강화하기 위한 후속연구는 예비체육교사교육에서 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교사교육자를 위한 인성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

      • 생명과학 실험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시선 공감 사례연구

        고경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사가 학생의 관점에서 학생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이를 언어적, 비언어적인 행동으로 공감을 표현한다면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촉진되고 학생의 학업발달과 자아개념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최근에는 교사의 공감과 관련된 교수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교사의 말하기와 듣기와 같은 언어적인 행동보다 시선이나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인 교수행동이 강조되고 있다. 비언어적인 교수행동 중에서도 시선은 공감과 관련이 깊은데, 이는 시선은 개인의 생각이나 감정과 같은 인지적, 정서적 상태를 표현하고 추론할 수 있으며 친사회적 요소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고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은 교사의 공감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특히 실험 수업에서는 교사의 통제와 지시가 많아 교사의 공감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그리고 교사 공감에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수업상황이 아닌 상담과 같은 특수한 상황으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선추적(Eye Tracking)을 활용하여 생명과학 실험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시선을 통하여 시선 공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시선이 갖는 공감의 요소와 기능을 확인한 후 시선 공감의 정의와 시선 공감의 조작적 정의를 내렸다. 또한 교수-학습 환경을 시선 공감에 기반하여 상·하위 관심영역(AOI)을 설정하고, 상·하위 관심영역에 따라 생명과학 실험 수업에서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시선이동을 추적하고 시선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학생중심의 수업을 하는 교육경력 6년인 경력교사 2명과 수업경험이 없는 예비교사 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약 1개월에 걸쳐 총 5회의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그 중 1회의 수업에서 교사들의 시선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업이 끝난 뒤 학생들이 실제로 교사와 공감을 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시선 공감 검사지와 학생이 느낀 교사의 공감 검사지를 작성하게 하였고, 교사와 학생 모두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수업 중 교사의 시선데이터를 분석할 때에는 총 시선방문 횟수, 총 시선고정 개수, 총 시선고정 지속시간, 평균 시선고정 지속시간을 상·하위 관심영역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가 학생에게 고르게 시선을 배분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교사별로 분산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평균을 비교하였고, 학생 자리 배치별 시선고정 횟수 비율도 교사별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생명과학 실험 수업에서 학생을 중요한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경력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 학생영역의 총 시선방문 횟수, 총 시선고정 개수, 총 시선고정 지속시간이 높다. 이를 통해 경력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 학생과 더 많은 횟수, 긴 시간동안 시선 공감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예비교사는 경력교사에 비해 학습도구의 총 시선고정 개수와 총 시선고정 지속시간이 많아 학습도구에 더 많은 시선을 자주 오랫동안 주고 있기 때문에 학생과 시선공감이 상대적으로 적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평균 시선고정 지속시간도 예비교사가 경력교사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길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예비교사는 모든 영역의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어려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력교사와 예비교사의 시선데이터를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하면, 경력교사는 학생 신체의 총 시선방문 횟수, 총 시선고정 개수, 총 시선고정 지속시간이 높다. 이를 통해 경력교사는 학생 신체에 더 많은 횟수, 긴 시간동안 시선 공감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험수업에서 학생들의 실험 수행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험 행동 파악이 목적이기 때문에 주로 학생 신체를 통한 시선 공감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비교사는 실험도구의 총 시선고정 개수와 총 시선고정 지속시간이 가장 높고 경력교사에 비해 학생 얼굴의 총 시선방문 횟수, 총 시선고정 개수, 총 시선고정 지속시간이 높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는 실험도구에 시선을 더 많이 오랫동안 주고 있으며, 경력교사에 비해 학생 얼굴에 더 많은 횟수, 긴 시간동안 시선 공감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비교사의 면담을 통해 실험도구의 조작이 미숙하고 다루기가 어려워서 실험도구에 시선을 더 많이 오랫동안 주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 수업에서 학생의 흥미와 이해도 파악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주로 학생 얼굴로의 시선 공감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 AOI내 경력교사의 분산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평균이 예비교사에 비해 낮았다. 이는 경력교사는 학생들에게 시선을 골고루 보았고, 학생들을 바라보는 시간도 고르게 배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생 자리 배치별 시선고정 개수 비율을 확인해보면 예비교사는 시선이 특정 학생에게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시선추적방법을 통해 생명과학 실험 수업에서 교사의 시선 공감을 분석하였다. 경력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 학생과 더 많이 긴 시간동안 시선 공감을 하였는데 시선 공감의 특징은 달랐다. 경력교사는 학생 신체를 중심으로 시선 공감을 하였고, 예비교사는 학생 얼굴을 중심으로 시선 공감을 수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생명과학 실험 수업에서 예비교사의 수업행동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도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초 중등 예비교사들과 현장교원들의 인식 분석

        하예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예비교사들과 현장교원들의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에 근거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즉, 초등 예비교사들의 성별⋅학년별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과 공감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즉, 중등 예비교사들의 성별⋅학년별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과 공감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초등학교 현장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즉, 초등학교 현장교원들의 성별⋅직위별⋅경력별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과 공감정도는 어떠한가? 넷째,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중학교 현장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즉, 중학교 현장교원들의 성별⋅직위별⋅경력별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과 공감정도는 어떠한가? 다섯째,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고등학교 현장교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즉, 고등학교 현장교원들의 성별⋅직위별⋅경력별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과 공감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설문조사 대상은 교육대학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253명,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804명, 그리고 초․중․고등학교 현장교원 1,492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들과 초․중․고등학교 현장 교원들의 수업사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부록 1-1, 1-2)이 사용되었다. 단위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수업사태(9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과 현장 교원들의 인식 조사용 설문항은 국어, 영어, 사회, 수학, 과학, 실과․기술․가정, 음악, 미술, 체육 교과별 학습과제를 4과정의 수업사태로 재구성하여 총 36문항을 완성하였다. 재 구성된 수업사태 4과정은 ①학습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②학습과제(자료)의 제시 또는 공부할 문제 제시하기, ③학습안내 & 유도 그리고 강화하기, ④성취행동의 평가와 그 적용하기였다. 설문에 대한 응답은 ‘매우 공감한다-공감한다-그저 그렇다-공감하지 않는다-잘 모르겠다’로 구분하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s)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배포 부수는 초․중등 예비교사용 1,109부, 현장 교원용 1,690부였다. 초등 예비교사에게 배포된 설문지는 진주교육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2, 3, 4학년에게 274부를 배포하였고, 중등 예비교사에게 배포된 설문지는 국립경상대학교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2, 3, 4학년 835부를 배포하였다. 초등학교 현장 교원용 설문지는 35개 학교에 750부를 배포하였고, 중학교 현장 교원용 설문지는 41개 학교에 495부를 배포하였으며, 고등학교 현장 교원용 설문지는 23개 학교에 445부를 배포하였다. 응답 자료의 분석은 교육대학에 재학중인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중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초등학교 현장 교원들의 인식 분석, 중학교 현장 교원들의 인식 분석, 고등학교 현장 교원들의 인식 분석으로 구분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의 통계적 분석은 교차분석(검정)과 차이분석(t검정), 그리고 분산분석(F검정)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차분석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초․중등예비교사들의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과 현장교원들의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을 검정하였다. 차이분석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들과 현장교원들의 수업사태에 대한 성별 공감정도를 t검정하였다. 분산분석은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들의 수업사태에 대한 학년별 공감정도와 현장교원들의 수업사태에 대한 직위별․경력별 공감정도를 F검정하였고, Tukey 검정으로 다중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 분석 프로그램은 SAS 9.2이었고, 모든 자료 분석의 유의 수준은 ɑ=.05, .01, .001이었다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초․중등 예비교사들의 성별 인식 분석 결과,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교과별 수업사태는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예비교사들의 경우에 영어․음악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과학수업에서 성취행동 평가와 그 적용하기이였고, 여자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실과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 시도하기이었다.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체육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고, 여자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교과별 수업사태가 없었다. 초․중등 예비교사들의 학년별 인식 분석 결과,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교과별 수업사태는 교육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의 경우에 국어․실과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사회․실과․미술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국어․사회․수학․체육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음악․미술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국어․과학․실과․미술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국어․영어․사회․실과․미술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미술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수학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사범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국어․영어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영어․미술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영어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국어․영어․사회과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과학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영어․수학․체육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의 경우는 과학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사회․과학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국어 수업에서 성취결과의 평가와 그 적용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현장 교원들의 성별 인식 분석 결과,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교과별 수업사태는 초등학교 남자 교원들의 경우에 미술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 시도하기, 영어․사회과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이였고, 여자 교원들의 경우는 수학 수업에서 성취결과의 평가와 그 적용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중학교 남자 교원들의 경우는 사회과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미술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에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고, 여자 교원들의 경우는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기술․가정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활동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남자 교원들의 경우는 과학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에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고, 여자 교원들의 경우는 수학․체육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현장 교원들의 직위별 인식 분석 결과,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교과별 수업사태는 초등학교 관리자들의 경우에 국어․수학․실과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영어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이였고, 부장교사의 경우는 수학․체육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사회과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에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1급 정교사의 경우는 영어․수학․실과․미술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수학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으며, 2급 정교사의 경우는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교과별 수업사태가 없었다. 중학교 관리자들의 경우는 기술․가정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국어․영어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국어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이였고, 부장교사의 경우는 영어․음악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미술․체육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에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1급 정교사의 경우는 음악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영어․사회․음악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미술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이였고, 2급 정교사의 경우는 영어․사회․음악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체육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사회과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관리자들의 경우는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교과별 수업사태가 없었다. 부장교사의 경우는 과학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음악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기술․가정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기술․가정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에 통계적 의미가 있었다. 1급 정교사의 경우는 기술․가정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음악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체육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에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고, 2급 정교사의 경우는 사회과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음악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과학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과학․미술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 활동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교과 수업사태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원들의 경력별 인식 분석 결과,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교과별 수업사태는 초등학교 10년 이상 경력 교원들의 경우에 국어․수학․기술-가정․음악․미술․체육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미술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음악․미술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수학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이였고, 5년 이상~10년 미만 경력 교원들의 경우는 수학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에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5년 미만 경력 교원들의 경우는 과학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기술․가정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중학교 10년 이상 경력 교원들의 경우는 과학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 국어․음악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에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5년 이상~10년 미만 경력 교원들의 경우는 기술․가정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이었고, 5년 미만 경력 교원들의 경우는 기술․가정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10년 이상 경력 교원들의 경우는 국어․기술-가정․체육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사회과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기술․가정 수업에서 학습안내와 수행유도 그리고 피드백을 통한 강화 시도하기, 수학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에 통계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5년 이상~10년 미만 경력 교원들의 경우는 수학 수업에서 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수학 수업에서 성취결과 평가와 그 적용하기이였고, 5년 미만 경력 교원들의 경우는 기술․가정 수업에서 학습과제자료 제시하기 활동에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압축하면, 초․중등 예비교사들의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과 공감정도의 인식 순위는 학습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성취행동 평가와 그 적용하기, 학습과제 제시 또는 공부할 문제 제시하기, 학습안내와 유도 그리고 강화시도하기 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장 교원들의 수업사태에 대한 공감비율과 공감정도의 인식 순위는 학습목표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학습과제 또는 공부할 문제 제시하기, 성취행동 평가와 그 적용하기, 학습안내와 유도하기, 그리고 강화시도하기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관련 자료들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내적 학습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과 수업사태는 학습과제 또는 공부할 문제의 분석을 바탕으로 학습목표를 설정하되, 성취행동 평가와 그 적용하기를 고려한 주의집중 유도하기, 그리고 학습안내와 성취행동 유도하기, 피드백을 통한 강화시도하기의 순으로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육상수업에 대한 가치인식 형성과정

        김민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육상수업에 대한 가치인식의 형성과정 분석에 관한 연구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예비체육교사들에게 육상수업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지속적 노력이 수반되는 육상수업에 대한 가치인식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이해 및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연구로서 우선 연구 참여자 선정은 질적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준거 지향적 선택방법에 근거한 의도적 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참여자 선정방법은 예비체육교사로 육상수업에서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학년별 1, 2, 3학년에 3명씩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와 의사전달이 명확하다고 판단되는 학생과 육상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중 능동적이며 연구의 방향에 맞게 가치를 이해하고 적극적 참여를 보이는 예비체육교사 9명을 연구 참여자로 개인의 특징을 익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으로 대표적인 질적 연구방법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문서자료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Spradley(1980)의 문화 기술학분석방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사례기록 중심으로 개인종합프로파일을 작성하였고, 영역분석과 분류분석 성분분석 주제 분석 순으로 작성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에서는 연구의 진실성과 윤리성에 의한 지속적으로 검증을 받았다. 이를 통해 분석과 해석한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결론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육상수업을 통한 가치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적, 교육적, 지도자, 개인의 신념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우선 환경적인 요인은 주변인 영향과 육상수업에 대한 날씨와 시설요인으로 환경적인 영향과 개인적 환경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교육적 요인은 교육적 필요성에서 흥미위주의 스포츠만 우선시 되고 있지만 자아실현과 타 스포츠의 전이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교육적 유용성은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변수를 육상을 통하여 학생을 수행능력과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현장교육 적용의 중요성을 스포츠의 기본으로 육상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경쟁영역의 느낄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임용고시 위주의 수업은 예비체육교사들이 교육자로서 다양한 육상종목을 경험하고 교사가 된다면,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오랜 시간이 필요한 수업은 중·고등학교 학생을 가르치는 현장에서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예비체육교사들은 육상에 대해 절차적으로 하나하나 동작을 배우고, 현장 실제 수업에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반복적인 지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전문성 확보로서의 수업은 경험에서부터 예비체육교사로서 지식 구조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요인 중 교사가 힘들어 하는 육상수업에서는 중·고등학교에서는 육상수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육상수업의 교수자 노력으로써 교육과정에서 도전영역 중 기록도전인 육상에 대한 가치를 알고, 중·고등학교에서 지도 한다면, 학생들의 육상에 대한 인식도 또한 조금씩 변화할 것으로 기대가 된다. 개인의 신념은 교사로서의 신념에서는 예비체육교사로서의 교육적인 신념보다는 임용고시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육상수업에 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체육교사로서 현장실습의 중요성으로는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이 되면서 중·고등학교 수업현장에 나가게 됨에 따라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육상수업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생겨나면서 육상에 대한 신념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육상수업을 통한 가치인식 형성과정은 탐색기, 경험기, 형성기로 분류되었다. 탐색기에서는 대학 지원동기에서는 주변인 영향으로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고등학교에서 배우지 못한 육상수업의 첫 경험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육상수업 중 링겔만 효과도 같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경험기에서는 예비체육교사가 육상수업 중 종목의 유용성, 임용고시 위주의 수업, 육상종목 동작 익히기, 육상수업에서 전문성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형성기는 중·고등학교에서 육상적용의 중요성인식, 교사로서 필요한 육상수업능력, 교사로서 육상수업에 대한 신념으로 나타났다.

      • 유아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이자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investigat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and to suggest basic data necessary for Korea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o seek more efficient and practical direc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The study subjects corresponding with the purpose of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bou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2. What abou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3. What abou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along with the perception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targeted total 410 student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children education department in 3-year colleges and 4-year colleges in Seoul, the number of questionnaire used for data analysis is 364. As the research tools, the questionnaires used by Hongseon Seo(1995), Jiyoung Kim(1996), Hyejung Park(2002), Haknim Kim(2003), Kyunghye Yun(2005) were used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o research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The content of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otal 27 questions, i.e. 13 questions for the perception of reunification, 14 question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Also, in order to investigat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used by Ayoung Kim(2006), Eunseon Jung(2010) were used after being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The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otal 15 questions, i.e. 3 questions for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2 questions for necessity, 1 question for goal, 1 question for content, 5 questions for teachers' role and teaching method, 3 questions for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 To investigat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long with corresponding questions by using SPSS 17.0,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the result of analysing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First a considerable number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Besides,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North Kore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he majorit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hat North Korea introdu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s necessary. Second, they looked the direc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as the formation of the recognition that South and North Korea are one community, also, the majority of opinion showed that the content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should be implemented without any hostility or prejudice. Also, as the teaching method, conversation activity and field trip were showed in the highest rate of response. Third, with regard to the difficulty expected when implementing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the selection and the scop set-up of educational contents as well as the lack of reunification educational material were recognized as the biggest difficulty. Also, as the requirement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the majority of opinion displayed that teachers' preparation through the opportunities as training, etc. should be a priority.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ey appeared to have slight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their knowledge level appeared normal. Also,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eff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ppeared to try to recognize cultural differenc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people from other cultural community. Second, with regard to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whol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ppeared to recogniz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Also, a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highest opinion showed the recognition of the equality regardless of race or obstacle, and as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highest rate of opinion showed that the contents of cultures and races should be included. Third, as the teachers' role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acting role with preschoolers showed the highest poin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as recognized proper to be implemented in one unit intensively or to be implemented whenever necessary situation. Also, as the teaching metho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trip and participation activity appeared to be the highest rate of opinion, and the utilization of instructional media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audio-visual materials (video materials). Forth, a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ation plan, induction of preschoolers' attention and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omo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nts and scop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ppeared to be the highest. Also, as the requirem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highest rate appeared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suitable for Korea situation should be develope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along with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p group with high recogni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slightly higher perception of necessity in reunification education than subgroup. Also,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of North Kore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top group showed higher perception in introducing North Korea than subgroup.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education implementation for preschoolers in college curriculum along with the perception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p group appear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in college curriculum higher than subgroup.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oblem when implementing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along with the perception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both top group with high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bgroup with low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in the opinion of insufficient perception of necessity of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Also, as the requirement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for preschoolers, the majority of both top group and subgroup coincided in the opinion that teachers' preparation through training is necessary.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우리나라 예비유아교사들을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현실성 있는 유아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통일교육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다문화교육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에 따른 유아통일교육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3년제 대학교와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와 아동학과의 재학생 총 4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364부이다. 연구도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관한 인식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홍선(1995), 김지영(1996), 박혜정(2002), 김학님(2003), 윤경혜(2005)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통일에 대한 인식 13문항, 유아통일교육에 관한 14문항으로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아영(2006), 정은선(2010)이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3문항, 필요성 2문항, 목표 1문항, 내용 1문항, 교사의 역할과 교수법 5문항, 문제점 및 개선방향 3문항 등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유아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SPSS 17.0을 이용하여 해당 문항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다중응답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통일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상당수가 유아통일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기관에서 북한 소개에 대한 필요성 역시 예비유아교사의 과반수이상이 유아교육기관에서 북한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유아통일교육의 방향으로 남북한이 공동체라는 인식을 형성하고, 유아통일교육의 내용은 적대감이나 편견이 개입되지 않아야 한다는 견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통일교육의 교수방법으로 이야기 나누기와 견학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통일교육 실시 시 예상되는 어려움으로 교육내용 선정 및 범위 설정의 문제와 통일교육 자료가 부족한 점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였으며, 요구사항으로는 연수 등의 기회를 통해 교사의 준비가 우선되어야한다는 견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은 가지고 있으나, 지식 정도는 보통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으로 다른 문화 공동체의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할 때 문화적으로 다른 점을 인정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체 예비유아교사의 대다수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목표는 인종, 장애와 관계없이 평등성을 인식시킨다는 것이 가장 높았으며, 다문화교육의 내용으로는 문화와 인종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에서 교사역할은 유아와 상호작용 하는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문화교육은 한 단원에서 집중적으로 실시하거나 필요한 상황일 때 마다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교육의 교수방법으로 견학 및 참여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수매체활용은 시⦁청각 자료(비디오 자료)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범위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도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다문화교육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는 견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에 따른 유아통일교육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다문화교육 인식이 높은 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유아통일교육이 필요하다고 약간 더 높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에서 북한 소개에 대한 필요성 역시 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북한을 소개해야 한다고 더 높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육과정에서의 유아통일교육 실시에 대한 필요성을 살펴보면 다문화교육 인식이 높은 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대학교육과정에서 유아통일교육이 필요하다고 더 높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통일교육을 실시할 때의 문제점으로 다문화교육 인식이 높은 상위집단과 다문화교육 인식이 낮은 하위집단 모두 유아통일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와 더불어 유아통일교육의 요구사항으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모두 연수를 통한 교사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견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학습에 관한 인식 조사

        유지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에서 탐구학습의 중요성에 비추어,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학습에 관한 인식과 예비 교사 교육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소재 대학교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교육 전공 1~4학년 19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검사지 문항에 대한 객·주관식 답변을 토대로 분석한 자료와 예비 과학교사들에 대한 면담을 녹음하여 얻은 전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학습에 관한 정의는 다양하였으며, 이것은 학자마다 탐구와 탐구학습을 다양하게 정의한 것과 비슷한 양상이었다. 현재 과학교육에서 탐구학습의 비중이 30%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주로 간단한 실험이나 확인 실험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응답하였다. 탐구학습의 장점으로는 고등정신 능력의 신장, 단점으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적 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탐구와 탐구학습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구성은 과학학습을 탐구적으로 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탐구 학습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으로는 과학에 대한 흥미나 호기심 유발, 과학 지식의 습득을 들어 탐구를 동기 유발 차원으로 보거나 과학 지식 습득을 위한 방법의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이 불충분하거나 내용 구성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생각할 때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사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예비 과학교사들은 주로 분단별 탐구실험을 선호하였으며, 실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도 함께 평가하겠다고 했으나 구체적인 탐구 수업 과정을 개발하는 능력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구 학습의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는 탐구수업 보조 자료의 체계적인 개발과 보급의 부족, 대학 입학 전형 제도, 교사들의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 부족, 탐구학습의 필요성 거부, 학생들의 탐구학습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을 들었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학부 1학년 때부터 탐구와 탐구 과정, 탐구학습 방법 등에 대해 배우고 있어 탐구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나 현장에 나갔을 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강의를 원하였다. 즉, 예비 과학교사들은 이론뿐만 아니라 직접 탐구학습을 진행해 볼 수 있는 강의, 탐구수업을 진행하는 방법 등에 대한 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In this research, as the importance of inquiry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is being magnified, it tries to analyze education for pre-teachers and the recognition on inquiry learn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analyze this, from 1st grade to 4th grade 195 the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 in physics, chemistry, biology, or earth science in Chung-buk were selected. Analysis data based on multiple choice and short-answer response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materials transcribed the response content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finitions about inquiry learning showed as various forms similar to each scholars’ various definitions on inquiry and inquiry learning. In current science education, respondents answered that importance of inquiry learning appeared by 30%, and those responses were based on simple experiments or checking experiences in their middle or high school days. At the most high rate responses of advantages of inquiry learning were developments of high level mental, and those of shortcoming were necessities of many time and efforts. In other word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quiry and inquiry learning, but they thought the contents compositions presented in current textbooks were not suitable for enquiring science learning. Consideration factors to inquiry learning were triggering interest or curiosity and acquiring science knowledge, they said. So,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at inquiry just had a function of triggering motivation or a vehicle for acquiring science knowledge. Also, they expressed their opinions, if some factors were defected in textbooks, or the constituents were in wrong order, they would reconstruct the contents. Mos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resented the evaluation should be included each groups’ inquiry experiments and not only results but also processes, though their ability to develop concrete lesson processes left much to be desired. Besides, they mentioned most marked hindrance factor of inquiry learning was the shortage of supply and systematic development of inquiry learning support materials, the system of admission to the college, lack awareness about teachers’ inquiry learning, denials the necessity of inquiry learning, students’ negative cognition on inquiry learning, and so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anted helpful lectures for current school class because they studied inquiry, inquiry process, and inquiry learning method since their first grade in university, so they alrea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quiry. That is, they thought not only the theory but also the lecture which enable to do directive inquiry learning and to know processing method of inquiry were needed to them.

      • 교육실습경험이 예비음악교사의 교육실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교육실습 상황을 중심으로

        고유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on students’teaching satisfaction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have attended untact teaching practi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4 pre-service music teachers (n=104) who participated in teaching practice in 2020,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is study. SPSS 25.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ategorized by topic after organizing the responses into words or sent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rganized by the differences in the untact teaching practice, students’teaching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Further, they considered the correlation between untact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and students’teaching satisfaction, as well as the effects of untact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on students’teaching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students’teac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revealed a difference in the teaching period, training schools, and music educ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The difference in the teaching period (two weeks, four weeks) showed that regarding “lesson plans”teachers having experiences four weeks of practice wrote a higher number of lesson plans. As a result of training schools (middle and high school), the average number of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practiced in middle school was higher in the “teaching practice and observation classes.” Specifically, i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ic educ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The more pre-service music teachers exhibited curriculum satisfaction with music education, the more positive their experiences of students’teaching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s. Among the elements of untact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the average number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was higher in the “guidance teacher relationship,” “student relationship,” and “teaching practice and observation classes.” Second, untact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and students’teach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However,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untact teaching practice and career decision levels, “student relationships,” and “teaching practice and observation classes,” only two out of four factors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ird, the factor affecting untact teaching practice only showed effectiveness in the interaction with “guidance teacher relationship,” and “teaching practice and observation classes.” However, untact teaching practice did not affect career decision levels. Fourth,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pre-service music teachers aimed to form a sympathy bond with the guidance teachers for practice satisfaction, citing guidance teachers’incentive system. Thus the active interest of guidance teachers is required to improve the practice satisfac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This study shows that meeting with students in a novel manner requires communication using a new platform, and the school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on such a platform. Further, it needs to provide a program allowing the practice of the online class format in advance to ensure more opportunities to prepare lesson plans and practical experience for pre-service teachers. Additionally, class observation was conducted to observe students' reactions and new lesson plans for preparing for online classes. I hope that this study and its analysis results will enable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 untact teaching practice to receive more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실습을 다녀온 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실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교육실습 경험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예비음악교사들 중 2020년 이후 교육실습을 다녀온 104명(n=104)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의 내용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5.0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으며 심층면담은 응답하는 단어나 문장으로 정리하여 주제별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는 예비음악교사의 일반적 사항에 따른 비대면 교육실습·교육실습만족도·진로결정수준의 차이, 비대면 교육실습경험에 따른 교육실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상관관계, 비대면 교육실습경험이 교육실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은 교육실습 기간, 실습학교, 음악교육전공 수업만족도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실습 기간(2주, 4주)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수업지도안 작성’ 부분에서 4주간 교육실습을 다녀온 예비음악교사들의 평균이 더 높았고, 실습학교(중학교, 고등학교)에 따른 결과는 ‘수업 및 참관실습’ 부분에서 중학교에서 실습을 실시한 예비음악교사들의 평균이 더 높았다. 또한 음악교육전공 수업만족도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음악교육전공 수업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교육실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비대면 교육실습 경험의 요소 중에서 ‘지도교사와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 ‘수업 및 참관실습’에서도 음악교육전공 수업만족도에 높은 만족도를 보인 예비음악교사들의 평균이 더 높았다. 둘째, 비대면 교육실습경험과 교육실습만족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비대면 교육실습경험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상관관계는 비대면 교육실습경험 4가지 중 2가지 경험인‘학생관계’와 ‘수업 및 참관실습’에서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비대면 교육실습 경험이 교육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지도교사와의 관계’와 ‘수업 및 참관실습’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대면 교육실습경험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음악교사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교육실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지도교사와의 긍정적 관계형성을 언급하였는데, 이에 대한 방법으로는 간단한 면담을 통한 공감대 형성 및 지도교사의 인센티브 제도를 언급했다. 그리고 기존과 달라진 학생들과의 만남은 새로운 플랫폼을 통한 소통이 필요했으며 수업실습에서는 실습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 및 온라인 수업 플랫폼을 미리 예비음악교사들에게 알리기를 바랬다. 참관실습에선 예비음악교사들은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태도 및 반응을 가장 궁금해하며, 온라인 수업이더라도 학생들과 선생님의 상호작용하는 법을 보기를 원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수업을 대비한 새로운 지도안 작성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비대면 교육실습을 경험하는 예비음악교사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예비체육교사의 교직인성 차이 분석

        정성진 인천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의 개인특성(성별, 진로의 방향, 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과 교육특성(교원양성기관 유형, 재학기간, 교육실습 경험 유무, 교육봉사 경험 정도)에 따른 교직인성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사범대와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체육교사 206명을 편의표본추출법으로 표집하였고, 교직인성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예비체육교사의 교직인성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이는 체육계열 교원양성기관의 남성중심문화로 인해 여성 예비체육교사가 갖는 부정적이고 소외적인 경험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진로의 방향에 따른 예비체육교사의 교직인성은 교사를 희망하는 예비체육교사가 교사를 희망하지 않는 예비체육교사보다 교직인성이 높았다. 이는 교사를 희망하는 예비체육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예비체육교사들 보다 교직인성 함양을 위해 더 노력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예비체육교사의 교직인성은 스포츠 활동 참여를 주 3회 이상 하는 예비체육교사가 참여하지 않는 예비체육교사보다 높았다. 이는 스포츠 활동 및 체육활동을 교과 내용으로 학습하는 예비체육교사들에게 스포츠 활동 참여가 교직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