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선희 동양대학교 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경제적 자립을 모색하기 위해 결혼이주여성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자립과 직업욕구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지원정책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사항을 분석한 결과를 고찰해 보면, 출신 국적은 베트남이 가장 많았고, 결혼이주 여성의 연령대는 20대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종교는 없는 경우가 많았고, 현재 거주 지역은 시지역이 가장 많았다. 현재 주거형태는 자가가 가장 많았고, 동거가족은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경우와 조부모+부부+자녀로 이루어진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혼 지속 연수는 5년 미만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현재 경제적 수준관련 변인을 분석한 결과, 현재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직장 경험이 있는 경우 직장 경력은 1-6개월 미만이 가장 많아 직장 경력은 길지 않았다. 현재 직장 생활자인 경우 소득은 낮은 수준인 100만원 미만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고용 형태는 계약직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고, 본인의 직업 형태는 주부가 가장 많았으며, 전체 가족의 소득은 100만 원 이상-2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조사되어 전체 가족의 소득 수준 역시 낮았다. 셋째, 이주 경로 및 국적 취득 관련과 관련한 사항은 결혼중개업체의 소개가 가장 많았고, 결혼 동기는 현재의 남편과 함께 하려고 결혼을 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한국 국적이 있는 경우는 전체의 32.9%에 불과하였으며, 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 그 이유로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서 취득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넷째, 정부/지역사회로부터의 지원에 대한 분석결과, 국민 기초생활보장 수급 여부에 대하여 살펴보면, 국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가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정부/지역의 단체로부터 지원받고 있는 내용으로는 한국어 교육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인 중 자신감은 자립의지와 근로의욕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자신감이 높을수록 자립의지와 근로의욕이 높았다. 여섯째, 독립변인요인이 경제적 자립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 관계가 원만하고 정책적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인지하고 있을수록 경제적 자립준비도가 높았다. 일곱째, 독립변인요인이 자립의지와 근로의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신감이 높을수록 자립의지와 근로의욕이 높았다. 반면, 가족관계, 사회적 네트워크, 정책적 지원은 모두 경제적 자립과만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여 가족관계, 사회적 네트워크, 정책적 지원이 높을수록 경제적 자립이 높아졌다. 여덟째, 독립변인요인이 경제적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과 본국 경제적 수준은 낮을수록 학력과 결혼 지속 연수는 높을수록 경제적 자립의지는 높았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적응을 잘하고 가족과의 관계가 원만한 결혼이주여성일수록 생활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하여 경제적 자립에 대한 의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정부와 기관 그리고 사회단체들은 국제결혼을 통해 정착한 이주여성들의 정책지원마련에 있어 현실적인 경제적 자립을 위한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이혼여성의 자립과정에서의 갈등과 대응

        손현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이혼 후 자립과정에 있는 여성들을 중심으로 그녀들의 갈등과 대응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자기 결정권을 가진 여성이 자신의 삶의 과정에서 이혼을 선택하고, 이혼 후 적응하며 자립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혼’이라는 사건에 대응해가는 여성들의 태도가 과거와 같이 전형적이고, 수동적이지 않음을 제시하여 이혼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혼 후 여성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와 갈등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자립과정에서 겪는 어려움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대응하며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홀로서기를 이루어 가는지를 그녀들의 경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30~40대 이혼여성들로 이들은 사회 전반에 걸친 적극적인 참여로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를 일으킨 세대이며, 여성으로서 고등교육의 혜택을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한 세대이다. 따라서 이러한 삶의 경험과 높아진 교육수준이 이혼 후 자립을 이뤄나가는데 그 이전세대와는 달라졌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부장적 인습이 깔려있는 한국사회에서 이혼 후 여성들은 사회적인 편견으로 갈등을 겪게 된다. ‘이혼녀’라는 위치는 결혼제도 속에서 남편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사회관계망으로부터 배제를 경험하게 만든다. 또한 사람들과 관계맺기를 할 때 흔히 사용되고 있는 가족중심의 일상적 대화는 이혼한 여성에게 상처가 되고 자신의 삶이 정상성을 벗어났다라는 생각을 심어주어 사람들 사이에서 괴리감을 느끼게 한다. 한편, 이혼여성들의 경제적 지위 하락은 이혼여성 스스로가 기존의 주변사람들에게서 자신을 멀리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경제적으로 여성들은 이혼 후, 직업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곤이나 생활수준의 저하를 경험하는데 이는 노동시장의 성차별적 구조뿐 아니라 자녀를 양육하는 대부분의 여성이 남편으로부터 ‘위자료’나 ‘양육비’를 거의 받지 못하고 있으며, 그러한 상황에서 보육비와 사교육비의 지출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게하는 가장 큰 원인이었다. 특히 어린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 ‘정확한 출퇴근’, ‘짧은 근무시간’의 선호는 능력개발이나 경제적 소득을 감소시킬 수밖에 없다. 심리적으로 여성들은 홀로 자녀양육을 책임지는 것이 불안감으로 작용하였는데, 이는 자신이 아이를 키울 능력의 부족때문이 아니라 ‘아빠 없는 아이’ 라는 사회의 편견을 넘어야 한다는 강박관념과 ‘어머니로서의 여성의 삶’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응해야 한다는 압력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응하기 위해 이혼여성들은 더 많은 에너지를 아이들에게 쏟아 붓게 되지만 생계와 양육, 어머니와 아버지 역할의 동시감당은 체력적인 한계와 심리적 압박을 느끼게 할 수밖에 없다. 한편, 결혼기간이 오래 지속되었던 여성의 경우는 이혼 직후, ‘상실감’과 ‘외로움’으로 인한 정서적인 어려움을 다른 여성들보다 크게 느끼고 있었다. 높은 이혼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 ‘이혼녀’를 바라보는 시각은 과거의 정형화된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혼을 했다는 사실로 인해 이미 여성들은 특별한 대상으로 취급되고 있었다. 특히, 직장이나 주변의 남성들은 그녀들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남편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성적으로 “쉬운 여성”이라는 잘못된 편견으로 대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적인 편견과 차별 등으로 인해 이혼여성들은 주변화를 경험하고, 사회와 갈등하며 심리적, 경제적 어려움과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혼이라는 선택에 책임감을 갖고 자립을 모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고 있었다. 이혼 이후 축소된 사회관계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축해가고 있었는데, ‘남편을 챙겨주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부터의 해방과 시간의 자유로움은 다양한 곳에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특히, 인터넷에 구축되어 있는 ‘이혼자클럽’ 등의 동호회는 이혼이라는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자신들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공감을 형성하면서 삶의 동기부여와 활력을 제공하는 지지기반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경제적으로 여성들은 낮은 소득과 비정규적인 일로 경제적 지위의 하락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그러한 상황에서 탈피하여 보다 안정되고 높은 소득을 얻고자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그들은 현재의 직업과 병행하며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전문적 기술 교육을 받는 등 새로운 직업으로의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었다. 한편, 모자원에 사는 여성들은 가족으로부터 경제적으로나 양육상의 도움을 받기는 어려웠으나, 대신 모자원 거주 기간 동안은 복지 지원을 더 용이하게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동사무소, 복지시설, 여성기관 등에 전화와 인터넷을 통한 주거와 창업문의 뿐 아니라, 자신들의 열악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인터넷 게시판에 ‘글 올리기’ 등 자신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하고 도움을 요청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이혼에 대한 편견과 경제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혼에 대한 만족을 보여주는데 자신의 이혼을 주위에 드러내며, 본인 스스로 ‘이혼에 당당해지기’ 위해 힘쓰고 있었다. 또한, 이혼 후 전남편과의 새로운 관계형성은 자녀들에게 ‘함께 살지만 무서운 아빠’에서 ‘따로 살아서 친밀감 있는 아빠’ 로 전환되었다. 아울러 가족, 특히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지지와 자녀양육에 대한 도움은 여성들의 심리적 안정과 자립에 큰 도움을 주었다. 이혼 후 겪게 되는 사회적 차별과 배제 등으로 여성들은 소외와 갈등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불행한 결혼에서 나와 미래에 대한 ‘희망’을 키우면서 삶의 의의를 새롭게 되찾는다. 또한 ‘부부가 함께 사는 게 정상적인 삶’이라는 인식에서 다양한 유형의 삶의 모습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게 되며, 성역할 고정관념으로 인해 ‘여성의 역할’로 규정되어 있던 젠더화된 역할에서의 해방은 이혼 초기 남편의 부재로 인한 ‘불안감’이 자신과 가족을 스스로 지켜내면서 ‘자신감’으로 변해갔다. 또한, 이혼으로 여성들은 그동안 잊고 있던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면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깨닫기도 하였다. 사실, 이혼한 여성들이 실제 생활에서 느끼는 차별은 통계에서 보여주거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확연히 달라지지 않았다. 단지 자신의 이혼을 바라보는 여성들의 관점이 달라졌으며, 이혼이란 사건에 대처하는 태도가 변했고, 주변의 차별에 대응하며 자립을 이뤄가는 자세가 주위사람들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기재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이렇게 30, 40대 여성들은 그 이전 세대와는 달리 자신들의 교육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자아를 개발하고 새로운 일에 대한 비전을 품으며, 자신의 삶의 결정권자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감당하고 있었다. 그녀들은 어쩔 수 없이 겪어야하는 경제적 하락에 대한 비중보다는 심리적, 사회적인 만족도에 더 큰 비중을 두었으며, 생활의 어려움과 심리적 갈등에서 나오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보여주었다. 이들에게 이혼은 절망보다는 새로운 삶에 도전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고, 이혼을 통한 고통이 새로운 인생에 대한 의지와 다양한 방식의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하였다. 이혼 후 자립을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여성들이 단지 ‘이혼’이라는 사건을 겪었다는 이유만으로 소외받지 않으며, 자기소외를 하지 않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그녀들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 역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일시적인 복지의 혜택이나 금전을 통한 보상이 아닌 장기적으로 홀로서기가 가능할 수 있는 교육이나 직업의 제공 혹은 보육의 사회적인 분담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한 사회의 정책에서 여성이 수혜자가 아닌 권리자로서 당당한 혜택을 누릴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conflicts and the responses of the divorced women who are on the way of independence and reviewed the process of their independence of the women with free will such as opting to divorce, being adjusted to the new life and being self-reliable. Furthermore, this article proposed that the attitudes of the women responding to the event of 'Divorce' are not traditional and passive any more and tried to discover new insight and alternatives to divorc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various problems and conflicts that the divorced women would suffer after divorce. Additionally, the responses of the divorced women to the difficulties that they might have during the process of independence, efforts to find the solutions and the process of independence were looked into in details through their experience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divorced women had sufferings from the preoccupation of the society after divorce in Korean society patriarch convention is prevalent. The status of 'Divorced Woman' made them experience alienation from the social network that focused on her husband in the system of 'Marriage'. Everyday conversations highlighting family that are frequently used to make friends and to make new relations hurt them and made them feel separated because those conversations made them feel that they did not live a normal life. Although they did have jobs, they would experience poverty or degraded life financially after divorce. It is partially because of the structure of labor market which discriminates against women and partially because they did not receive alimony or children nurturing allowance from their ex-husbands. In this situation, private education and child care expenses are the biggest reason to cause the financial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e preference to 'Fixed dismissal time' and 'Short working hours' because of young children interfered capability development and reduced their prospect income. Psychologically, divorced women had anxiety about being a single mother and solely responsible for the nurturing of their children. It is not because of their incapacity to rear children but because of the obsession that they should overcome the preoccupation of the society such as 'child without father' and the pressure to respond to the social requirements to live 'a live as a mother'. On the other hand, women with longer period of marriage had bigger emotional difficulties because of 'loneliness' and 'sense of loss' after the divorce. Additionally, regardless of high rate of divorce, people had a paradigm on divorced women and they dealt with divorced women differently. Especially, men around the divorced women in their work or neighborhood tended to have wrong conception that they are sexually "easy women" because they did not have husbands. Second, regardless of social preoccupation, discrimination, and soci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difficulties they ha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option of divorce and actively responded to new life to search for their self-reliance. The contracted social network after divorce became expanded to a new network centering themselves. The liberation from the burden that ‘They are the ones who take care of their husbands' and more free time gave them more opportunities to make new relationship with others in various places. Especially, the communities such as 'Divorced Club' on Internet acted as supporters to motivate them and provide energy by sharing the same experience such as divorce, confessing their difficulties and composing sympathy. Although many women experienced the degradation of economic class because of low income and irregular work, they tried to find changes to avoid those situations such as entering graduate school or getting professional skill training to get more stable and higher income yielding jobs. On the other hand, women who stayed in 'Mother and Children's Center' who used to have difficulties in getting economic and nurturing supports from their families made most of welfare supports, such as asking about housing and incubation supports from local government, welfare facilities and various associations to let the people know their poor situations and get aids from them through publishing their opinions on Internet. Third, the subjects of the studies showed substantial satisfaction on the divorce regardless of the preoccupation of the society and economic distress. They tried to be 'confident' in their lives revealing the fact of 'Divorce' not being ashamed of. Additionally, psychological supports and help for child care from family members especially from mother gave the divorced wome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reliance. Although they experience alienation or conflicts because of the social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fter divorce, they have 'hope' for their future escaping from unhappy marriage and try to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again. Additionally, they recognize the value of various different lives escaping from the paradigm that the only normal life is married life. The liberation from the fixed sex role changed her 'anxiety' from the absence of her husband after divorce to 'confidence' that she can protect herself and her family. Furthermore, they realize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developing their capabilities that they have long forgot in their married life.

      •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정혜순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7

        본 연구는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자립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소재한 13개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 15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온라인 설문지와 종이 설문지를 병행하여 전수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의 자립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에게 성공경험 제공으로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필요가 있겠다. 자기효능감은 과거의 성공경험에 의해 강화되므로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이 비교적 쉬운 과제인 단순 기술습득 위주의 직업훈련에서 성공을 누적하여 경험하게 하고, 점진적으로 과제 난이도를 높여 취업연계를 이루어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부모시설은 만 2년 이상 거주 후 퇴소자에게 정액 지급되는 자립정착금 제도를 개선하여 자격증 취득 등의 성취수당으로 적절하게 차등 보상되면 더욱 적극적인 자립훈련에 참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에게 성공적인 대리경험을 제공함으로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필요성이 있겠다. 자기효능감은 다른 사람의 성공을 지켜보는 대리경험을 통해서도 상승될 수 있으므로 자신과 처지나 환경이 비슷하지만 끊임없이 노력하여 장애물을 극복하고 성공한 사례를 롤모델로 접하며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겠다. 예를 들어 맞춤형 부모교육이나 상담을 통해 성공적인 부모역할을 지지하는 훈련이 적극적으로 필요하겠다. 셋째,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이 겪은 실패 경험과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여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필요성이 있겠다. 자기효능감은 성공이나 실패 경험에 의해 강화되거나 약화될 수 있고, 또한 주위 사람들을 통해 듣게 되는 언어적인 설득을 통해 영향을 받게 된다. 또 한부모 및 한부모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의 자기효능감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이것을 해소할 홍보 및 인식개선 캠페인, 반편견 교육이 필요하겠다. 넷째,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의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신체건강 증진사업과 스트레스 및 부정적인 정서를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모색되어야 한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능력과 기능에서 부족 현상을 깨닫는 정서상태일 때 영향을 받게 된다. 이는 한부모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한부모시설 입소자의 가족생활 안정 및 조기자립을 위해 입소자 상담지원사업을 제공되고 있지만 대부분 시설퇴소와 함께 지원도 중단되므로 한부모시설 거주 여성에 대한 심리치료 지원이 퇴소후에도 연계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f single-parent women living in single-parent facilities on their will to be Self-reliance. For this purpose, 150 women living in 13 single-parent facil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were surveyed by conducting a survey on online questionnaires and paper questionnaires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single-parent women, the higher the will to self-reliance. Based on this, the following are the ways to inspire the to be will self-reliance of women living in single-parent facili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self-efficacy by providing successful experience to women living in single-parent facilities. Self-efficacy is strengthened by past success experiences, so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and experience success in simple skill acquisition-oriented vocational training, which is a relatively easy task for single-parent facility residents, and gradually increase the difficulty of the task to improve self-efficacy by linking employment. To this end, the single-parent facility is expected to participate in more active self-reliance training if it is properly compensated for achievement allowance such as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by improving the self-reliance settlement system, which is paid to the person who has been living for more than two year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self-efficacy by providing successful proxy experience to women living in single-parent facilities. Self-efficacy can be increased through proxy experience to watch other people's success, so that self-efficacy can be improved by seeing the case of overcoming obstacles and success as a role model by constantly trying to overcome obstacles and environment. For example, training to support successful parental roles through customized parent education or counseling is needed actively.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self-efficacy by solving the failure experience and social prejudice experienced by single-parent living women. Self-efficacy can be strengthened or weakened by success or failure experiences, and also influenced by verbal persuasion heard through people around them. In addition, social prejudice against single parents and single parents is a factor that weakens the self-efficacy of single-parent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promote publicity and awareness improvement campaigns and anti-bias education to solve this problem. Fourt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mprove physical health and reduce stress and negative emotions that can increase self-efficacy of single-parent living women should be sought. Self-efficacy is affected when it is an emotional state that realizes the shortage of individual ability and function. This suggests that single parents should be healthy physically and mentally. In addition, although counseling support projects for residents are provided for the stability of family life and early self-reliance of single-parent facility residents, most of them are suspended along with the discharge of the facility, so psychological treatment support for women living in single-parent facilities should be linked to the post-remission.

      • 사회적지지가 학습된 무기력을 매개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천보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자립을 통해 가정폭력으로부터 벗어남에 있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그들의 자립의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무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자립의지를 고양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적 자료 분석을 통해 이러한 가설에 근거한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이를 토대로 사회적 지지, 학습된 무기력, 자립의지, 인구사회학적 속성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가정폭력 쉼터여성 53명, 일반 가정폭력 피해여성 101명이었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적 지지는 학습된 무기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된 무기력은 다시 자립의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립의지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즉 사회적 지지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무기력을 감소시켜 자립의지를 높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매개효과 외에도 자립의지를 직접 높여주는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부부관계를 종식시키고자 하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상담할 경우에는 피해여성의 무기력의 정도를 확인하여 무기력의 정도가 높다면 사회적 지지를 높이도록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즉 위기에 활용할 수 있는 공식적, 비공식적 지지 망을 연결하고 확충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일차적 피해자인 가정폭력 피해여성뿐 아니라 자녀들까지 보호받도록 하여 폭력의 세대 간 전달을 막고 무기력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스스로 사회적 지지자를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담자 자신이 사회적 지지자가 되어줄 필요도 있다. 사회적으로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쉼터와 같은 시설이나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지지 망을 확충할 수 있도록 도와주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This study intended to seek a measure to enhance the self-reliance will of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that are concerned with their relief from domestic violence through self-relia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assumed that social support may reduce the helplessness of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eventually enhance their self-reliance will to prov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aforementioned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empirical data based on this assump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ceding literatures were examined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support, learned helplessness, self-reliance will, and sociodemographic attributes. 53 women in the shelter for domestic violence and 101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ere examined. The assumption of the study was verifi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ed helplessness showed negative effects on self-reliance. Also, social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elf-reliance.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reduces the helplessness of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o increase their self-reliance and also directly increased the self-reliance will in addition to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study results, it is advised to examine the degree of helplessness of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guide them to increase social support for them if the helplessness is intensive when counselling victims who intend to end their marital relations. In other words, they need to be guided to connect and expand official and unofficial support networks that they can use during emergency. Also, it is necessary to protect not only the primary victims, the women suffering from domestic violence, but also their children through social support in order to prevent the inheritance of violence to the next generations and help victims to relieve themselves from helplessness. The counsellor needs to become a social supporter if it is difficult for the victims to find a social supporter by themselves. Society also needs to make efforts to help the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o expand social support network through facilities such as the shelter for domestic violence and regional network.

      • 脫 성매매 여성들의 자립 지원에 관한 연구 : 선도보호시설을 중심으로

        이영현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01

        우리 사회는 1980년대 이후 퇴폐, 향락 산업이 팽창하면서 성 산업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퇴폐적이며 향락적인 산업이 확산하게 되면서, 성매매 여성들에 대한 수요 또한 확대되어 가고 있 다. 이로 인해 여성들의 향락 산업으로의 유입은 여성을 곧 상품화를 하는 현상을 초래하고 "인신매매(人身賣買)"라는 반사회적이며 반인륜적인 사건들까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성매매에 유입이 되었던 여성들이 완전한 탈 성매매 할 수 있도록 행하여지고 있는 자립 지원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성매매 여성들을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 선도보 호시설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지원 현황과 시설 내 생활의 만족도와 문제점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한다. 또 성매매 여성을 성매매 행위자 또는 요보호자라고 하여 도덕적으로 비난하는 반면, 성을 사는 행위 를 한 사람은 성매매 행위의 상대방으로만 생각하고, 성매매 여성들을 비난과 처벌, 선도의 대상으로만 보고 었는 현행 윤락행위등방지 법의 문제점도 알아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선도보호시설내에 거주하고 있는 성매매 여성들이 완전한 脫 성매매를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성매매 경험에 대한 개입 노력을 강화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도 개발해야 한다. 또한 보다 직접적인 개입과 사회적인 지원과 자활 준비를 위한 기본 토대를 마련하는 프로그램을 실시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 기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을 설정, 기본적인 서비스 및 프로그램 수준을 평준화하고, 시설별 프로그램의 다양화 ·특성화를 유도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성매매 여성의 인권 유린을 막고 성매매 산업의 확산을 막기 위하여는,성 판매자에 대한 비난과 처벌을 앞세우는「윤락행위등방지법」 의 기본 전제를 버리고, 성매매 여성의 인권 유린과 자기 정체성 상실의 고통에 공감하는 데서 「성매매 방지법」 으로 출발하는 법안으로 계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Our society was corrupted after 1980's, and it was suddenly increased by the prosperity that enjoyment was industrial anger industry. While it is scattered, it is a number about prostitution women, and this industry that it decadent, and is an enjoyment enemy will be expanded too. As for He influx for enjoyment industry of women, phenomenon to commercialize a woman immediately was aroused by this, and it was occurred by antisocial accidents called "human traffic". Is going to study this study on the independence assistance that is done so that the women whom influx became in prostitution can do perfect mask prostitution. First of a life in facilities done in the guidance protection facilities which are supporting prostitution women in order to be able to become independent and is going to examine on a problem.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guidance protective facilities must step up an effort to intervene in the experience of sex transaction and develop a variety of new-type programs to enable prostitution women to completely evade sex transaction. Also, speci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further direct intervention and of these people's adaption to society, and it is required to concentrate on carrying out programs to arrange for a basic foundation aiming at social support and self-support Preparation such as a remedial program, a basic scholarship or a course quest while maintaining the present frame, to establish a program, which needs to be essentially offered. to equalize the level of a basic service and program, and to aim at inducing diver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grams by facilities. Additionally,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 infringement upon personal rights and the diffusion of prostitution industry, it is required to give up a basic premise of 「Anti-Prostitution Law」that gives priority to blame and punishment for a sex seller, and to revise it as a bill, which starts from sympathizing with a prostitution woman's pain in an infringement upon personal rights and in self-identity loss.

      •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 작품론 :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젠더 갈등의 양상

        오상은 濟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232287

        다무라 도시코는 메이지 유신 이후 제도적으로 정립된 현모양처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일본사회에서 여성의 목소리로 여성의 자립과 섹슈얼리티를 당당하게 주장한 보기 드문 작가이다. 도시코 작품 속의 여주인공들은 강렬한 자아의식을 지녔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고는 견고한 가부장제로 표상되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당당하게 낸 도시코의 작품을 여성주의 관점에서 고찰했다. 도시코는 작품에서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정신적인 일을 직업으로 선택해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고정적 젠더역할에 대한 도전이며 이로 인해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었던 도시코의 삶을 투영했다고 보았다. 도시코가 창출한 여성들의 자아의식은 때로는 미숙하기도 하지만 당시로서는 새로운 자아개념을 정립하고자 분투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도시코 작품의 주제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연애와 결혼을 둘러싼 갈등이 중심적인 축을 이루고 있다. 도시코는 자신을 비롯한 주변의 신여성들의 삶을 관찰하여 작중에서 실험하고 있음에도 주목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 여섯 편을 선정하여 주인공의 삶과 의식의 발전 단계를 연대기적으로 추적하여 젠더 갈등의 양상을 도출했다. 첫 번째 작품 『생혈(生血)』은 미혼 여성이 처음으로 성적 체험을 한 이후 겪게 되는 내면의 복잡한 심리를 그린 작품이다. 메이지 말기부터 대두된 청년들의 자유연애와 성에 관한 담론을 소재로 남성과 여성간의 불평등한 젠더 위상에 대해 고발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작품 속 여주인공의 의식은 주위의 시선을 부단히 의식하고 있어서 전근대적이라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음을 도출했다. 두 번째 작품『미라의 입술연지(木乃伊の口紅)』는 오랜 연애기간을 거쳐 결혼에 이른 근대적인 부부의 생활을 그린 작품이다. 미노루와 요시오는 결혼 이후 요시오의 작품이 팔리지 않아 경제적으로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 때 남편 요시오가 제시한 방책은 결별이라는 수순이다. 이에 반해 아내 미노루는 자신이 돈을 벌면 되니까 결별할 수 없다고 단호한 의지를 보인다. 여기서 남성의 무능과 비겁한 자세가 부각된다. 요시오는 저널리즘 시대의 도래로 여성 문인들도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생긴 것을 기민하게 포착한다. 미노루는 요시오의 권고로 현상공모에 소설을 투고하여 당선된다. 여성도 전통적인 젠더역할의 제약에서 벗어나 지적인 일로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준 작품이라고 보았다. 작품의 마지막에 나오는 미라 꿈은 이를 상징적으로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작품『여작가(女作者)』는 문필업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작가 부부가 등장인물이다. 여작가는 일상에 찌든 속악한 마음으로 글쓰기를 하는 것은 예술에 대한 모독으로 생각하는 진지한 인물이다. 순수한 예술혼을 지닌 소설가로 변신하기 위해 정성스럽게 화장을 하고 창작에 임하게 되는데 이것은 예술에 대한 진지한 태도에서 나온 하나의 성스러운 의식이라고 보았다. 또한 이 작품에 나오는 부부 갈등은 아내의 예술에 대한 남편의 몰이해이며 가치관의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도출했다. 남편과의 갈등의 골을 메울 수 없으면서도 결별을 하지 못하는 것은 첫사랑이라는 주박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작가는 별거 결혼이라는 결혼형태를 제시하고 당시로서는 최선의 형태로 주장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작품『포락지형(炮烙の刑)』은 여성의 불륜에 대해서만 제도적으로 강하게 처벌하는 불평등한 법제도에 도전장을 내민 작품이라고 보았다. 이 작품의 여주인공은 남편이 있음에도 다른 남성을 사랑하는 행위에 대해 인정해 줄 것을 당당하게 주장한다. 여주인공 류코에게서 비정상적으로 과잉된 자아의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남성에게는 여러 명의 처첩이 용인되지만 여성에게는 그것이 왜 불가능한지 항의하는 도발적인 문제제기라고 도출했다. 다섯 번째 작품『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은 도시코의 실생활과 합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험을 시도한 작품으로 보았다. 여주인공 마사코는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으로 살면서 자유롭게 자신의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인물이다. 그러던 중 여성을 독립된 자아로서 인정하고 자아실현을 하는 데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남성을 만나 결혼한다. 이 약속은 결혼 이후 지켜지지 않는다. 이것은 인습적인 가부장사회에서 젠더 구조를 바꾼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를 말해준다. 결국 여주인공이 현실과의 타협점으로 찾은 것은 ‘사랑의 힘’ ‘사랑의 신앙’ 이라는 정신승리이다. 이 작품은 그 당시 여성들이 처한 딜레마를 대변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여성 스스로가 근대적 자아의식과 더불어 양성평등이라는 젠더의식을 지니지 않는 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작가가 역설하고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 작품『파괴하기 전(破壊する前)』은 도시코 부부상극의 마무리라 할 수 있는 작품이다. 쇼교와 결별을 결심하고 에쓰를 선택하는 과정을 면밀히 그리고 있다. 『파괴하기 전』의 ‘파괴’는 F와의 결혼생활에 대한 종지부를 의미하고 있다고 보았다. 여주인공 미치코는 남편에게 끌려 다니고 억압 받던 끝에 심신이 피폐해진 인물이다. 이 때 나태와 방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진심 어린 충고를 해주는 인물 R이 나타난다. R의 진심 어린 인간애에 마음이 움직이게 된 미치코는 거듭나게 되고 타성적으로 살아온 남편과의 생활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등장인물들의 연대기적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마지막 작품이 『파괴하기 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것처럼 다무라 도시코의 문학은 자신의 결혼생활을 기저로 하여 다이쇼기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한 젠더의 위상과 여성의 자립이라는 문제를 주제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Toshiko Tamura was an exceptional novelist who confidently advocated women’s independence and sexuality in the voice of a woman in Japanese society, dominated by the ideology of “wise mother and good wife,” a concept which was institutionally established following the Meiji Restoration. The heroines in her works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all have a strong sense of self.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of Toshiko Tamura, who had a voice with confidence as a woman in a male-centered society represented by a solid patriarchal syste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n her novels, Toshiko Tamura demonstrates that women, just like men, can choose a job requiring mental intelligence and, as a result,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Not only is this a challenge to the rigidly fixed gender roles of women, but it can also be seen as a reflection of Toshiko’s life, in which she was bound to have conflicts. Although the self-awareness of the women created by Toshiko Tamura is sometimes immature, the traces of struggles to establish a new self-concept in those days can be found. The main theme of Toshiko’s works is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love and marriage between men and women in a male-centered society. This paper also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author observed the lives of modern women, including herself, and experimented with her observations in her works. This paper selects six of her representative novels that encapsulate what Toshiko Tamura was trying to say and chronologically traces the lives and development stages of consciousness of the protagonists to draw the aspects of gender conflicts. Ekichi (Lifeblood: 生血), the first novel this paper deals with, portrays the mixed emotions that a single woman feels after having her first sexual experience. With the discourse on free love and sex among young people as its subject, which started to emerge from the end of the Meiji era, she tries to report the unequal gender statu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the novel still shows the limitation of being old-fashioned as the heroin is constantly conscious of how others around her think about her. The second novel, Miira no Kuchibeni (Rouge-lipped Mummies: 木乃伊の口紅), depicts the life of a modern couple who got married after dating for a long time. Since Minoru and Yoshio got married, the couple has faced financial difficulties as Yoshio’s works have not sold well. Against this backdrop, the solution that Yoshio, the husband, comes up with is to divorce. On the other hand, Minoru, the wife, shows a firm determination that she won’t separate from him because she thinks that she can earn money. In the scene, men’s incompetence and cowardly attitude are highlighted. Yoshio swiftly detects that female writer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make money thanks to the advent of journalism. Yoshio recommends Minoru to submit her fiction to the contest for money and she ends up winning the prize. It is considered to be a work that shows the confidence that women can gain from becoming economically self-sustaining by engaging in intellectual work, breaking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traditional gender roles. The mummy’s dream at the end of the novel conveys it symbolically. Onna Sakusha (A Woman Writer: 女作者), the third novel, features a couple who earns a living by writing literary works. The woman writer is a serious person who thinks that writing with a vulgar mind, exhausted from everyday life, is an insult to art. In order to transform into a novelist with a pure artistic spirit, she engages in writing after carefully putting on makeup, and she regards it as a sacred ritual born out of her sincere attitude toward art. In addi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arital conflict shown in this novel stems from the lack of the husband’s understanding of his wife’s art and the difference in values that each pursues. The reason why the wife’s not able to separate from her husband even though she cannot fill the chasm of conflict with her husband is that she’s still bound to the fact that he is her first lov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woman writer suggests a marriage where they don’t live together and still argues that it is the best option at the time. The fourth novel, Horaku no Kei (The Torture of Hot Pillar: 炮烙の刑), is a work that challenges the unequal legal system in which only women receive severe punishment for infidelity. The heroine of this novel boldly demands that her husband should accept the fact that she loves another man, even though she’s a married woman. An abnormally excessive sense of self can be seen from Ryuko, the heroine. However, it is concluded that the author raises a provocative question to protest why women are not allowed to have several husbands and male concubines, while men are allowed to do so. The fifth work, Kaisetsu Saegusa Kazuko (Her Daily Life:彼女の生活), is viewed as an experimental work in that it doesn’t match Toshiko Tamura’s real life. Masako, the female protagonist, is a person who wants to lead her own single life freely, without getting married. However, she meets and marries a man who recognizes that women are independent beings and who tells her that he will actively help her to realize herself. However, he fails to keep his promise after marriage. This tells people how difficult it is to change the gender structure in a traditional patriarchal society. In the end, what the heroin finds as a compromise with her reality is the spiritual victory of “the power of love” and “the faith in love.” It can be said that this novel represents the dilemma women faced at that time. As such, the author emphasizes that such a dilemma cannot be resolved unless women themselves have modern self-awareness along with a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last novel that this thesis covers is Hakai Suru Mae (Before the Fall: 破壊する前), and it can be said to be a work that concludes the conflict between Toshiko Tamura and her husband. The fiction describes how the protagonist decides to break up with Shokyo and chooses Etsu in detail. It can be seen that the “fall” in Hakai Suru Mae represents the end of the marriage with character F. Michiko, the heroine, is a person who is physically and mentally exhausted after being dominated and oppressed by her husband. Appearing then is a character R, who gives her sincere advice so that she can break from indolence and self-indulgence. Michiko, whose heart was touched by R’s sincere love for humanity, is finally reborn and puts an end to her life with her husband, who had been controlling her. Hakai Suru Mae can be said to be the last work showing the chronological growth process of the characters. As discuss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oshiko Tamura’s literature, based upon her own marriage, deals with the unequal gender status of men and women and women’s independence during the Taishō period.

      • 여성장애인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은주 慶尙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2255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fluenced factors (personal, family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will of self-reliance of the wom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his study is conducted by the survey on 104 handicapped females. Personal factors include quality of life, sex role attitude, independent living skills and the health condition, family factors include the number of the family, the economic level and social factors include the social support, the perceived social stigm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s of using multiple-regression analysis, personal factors affect significantly on the will of self-reliance by 36.7% explanatory power. The most powerful personal factors on the will of self-reliance are sex role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The higher quality of life is and the less the traditional sex role attitude is, the higher the will of self-reliance is. 2) Family factors affect significantly on the will of self-reliance by 13.0% explanatory power. The fewer family number is and the higher economic level is, the higher the will of self-reliance is. 3) Social factors affect significantly on the will of self-reliance by 26.3% explanatory power. The most powerful social factor on the will of self-reliance is social support. 4) Of all variables, social support, sex role attitude, health conditions and economic level affect significantly on the will of self-reliance. In the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this study recommends the program focused on social support, and job training: Social workers especially, to reinforce the will self-reliance, should help the clients recognize their unique qualities and strengths, rather than being constrained by traditional sex r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