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심리학 관점에서 학교도서관 리모델링 전후 아동 행태 비교 연구 : -서울 우면초등학교 도서관 재구조화 사례연구-

        이소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impact of school library remodeling on children's learning and development, to verify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remodeling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to examine children's behavioral patterns and affordances in different spaces in order to propose future planning directions for school libraries. The main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ibrary remodeling on children's affordanc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changes in affordances before and after the remodeling of the school library, and to analyze how library space design supports children's experiences and learning. The comparison of affordances before and after remodeling showed an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all affordances.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erceived affordances' and 'intentional affordances'. This indicates that the library space provided more affordances to children through remodeling. After remodeling, various new spaces such as step-reading space, hideout space, window reading space, central open reading space, and alcove space were added, and various affordances occurred in these spaces. The added spaces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children's 'perceived affordances', 'social affordances', 'hidden affordances', and 'intentional affordances'. Based on this, we proposed guidelines for library space design to enhance affordances. These results show that library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pporting children's growth and learning.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library remodeling on children's affordances. By comparing the persistent affordances and momentary affordances before and after remodeling, we confirmed that remodeling influenced the increase of children's affordances. After remodeling, only 'hidden affordances' increased in the bookshelf space, while 'intentional affordances' decreased. In the librarian's space, only 'perceived affordances' decreased. In the general reading space, floor seating space, and bench, all affordances decreased. Through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percentage of affordances in the same space elements decreased by a total of 45.41%. The analysis of affordances in the spaces added after remodeling showed that the step-reading space had a frequency of 23.42% of the total affordances, and the hideout space showed a frequency of 19.66% of the total affordances. The window reading space showed a low total affordance ratio of 1.22%, but the average duration of 'intentional affordances' of 'reading' was observed to be high at 27 minutes. The central open reading space showed a low average of 0.6% for all affordances, but the average duration was long for all spaces. The alcove space showed a high social affordance of 2.06%. The increased affordances through the added reading spaces accounted for 53.67% of the total, and all affordances increased as reading spaces were added. Through this, we confirmed that library remodeling influenced the increase of children's affordances.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library remodeling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children's affordances in library design and op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impact of library remodeling on children's affordances and deriving how library space design supports children's behavior and learning. Based on this, we propose a direction for library space planning to enhance affordances. First, spaces that support "perceived affordances" provide a variety of visual stimuli to help children perceive space and support different postures and physical activities. Spaces that utilize level differences in architectural elements, voids, furniture of varying heights, and materials provide a variety of perceived affordances. Second, as a space to enhance 'social affordances', an environment is provided where children can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enhance social affordances. Spaces of various size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various social interactions. Third, as a space to enhance 'hidden affordances', spaces are provided where children can discover and explore new things, stimulating their curiosity and exploring desires. Flexible spaces that allow children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in the space should be provided. Fourth, as a space to enhance 'intentional affordances', it is a space where children can experience affordances intentionally while moving, allowing children to set goals and take the actions needed to achieve those goals. As a direction for subsequent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is study to children of various ages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affordances and space requirements according to age more finel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children's affordances in various spaces outside the library. Through these subsequent studies, we expect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library spaces that improve children's learning environments and support their growth. This is expected to ultimat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children and supporting their growth. 본 연구는 학교 도서관의 리모델링이 아동의 학습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해함으로써, 환경심리학의 관점에서 학교 도서관 리모델링의 효과를 검증하고, 아동의 행동 패턴과 공간별 어포던스를 조사하여 학교 도서관의 향후 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목적은 도서관의 리모델링이 아동들의 어포던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으로 특히 학교 도서관의 리모델링 전후 어포던스 변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서관 공간 디자인이 아동들의 경험과 학습을 어떻게 지원하는지 분석하였다. 리모델링 전후의 어포던스 비교 결과, 모든 어포던스의 총 횟수는 증가하였다. 특히 ‘지각된 어포던스’와 ‘의도적 어포던스’의 증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리모델링을 통해 도서관 공간이 아동들에게 더 많은 어포던스를 제공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리모델링 후에는 계단형 열람 공간, 아지트 공간, 창가 열람 공간, 중앙 오픈 열람 공간, 알코브 공간 등 다양한 새로운 공간이 추가되었고, 이 공간에서는 다양한 어포던스가 발생하였다. 추가된 공간들은 아동들의 ‘지각된 어포던스’, ‘사회적 어포던스’, ‘숨겨진 어포던스’, ‘의도적 어포던스’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어포던스를 증진하기 위한 도서관 공간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도서관 공간이 아동들의 성장과 학습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도서관 리모델링이 아동의 어포던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리모델링 전후의 지속적 어포던스와 순간적 어포던스의 비교를 통해 리모델링이 아동들의 어포던스 증가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리모델링 후 서가 공간에서는 ‘숨겨진 어포던스’만 증가하였으며, ‘의도적 어포던스’가 감소하였다. 사서 공간에서는 ‘지각된 어포던스’만 감소하였다. 일반 열람 공간, 좌식 공간과 벤치에서도 모든 어포던스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같은 공간요소에서의 어포던스 백분율이 전체 45.41%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리모델링 후 추가된 공간에서의 어포던스 분석 결과, 계단형 열람 공간은 전체 어포던스의 23.42%의 빈도를 가지며, 아지트 공간은 전체 어포던스의 19.66%의 빈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창가 열람 공간은 전체 어포던스 비율이 1.22%로 낮게 나타났으나, ‘의도적 어포던스’ 중 ‘읽다’의 평균 지속 시간이 27분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중앙 오픈 열람 공간은 모든 어포던스의 비율이 평균 0.6%로 낮게 나타났지만, 평균 지속 시간은 모두 긴 공간으로 나타났다. 알코브 공간은 사회적 어포던스가 2.06%로 높게 나타났다. 추가된 열람 공간을 통해 증가한 어포던스는 전체의 53.67%를 차지하며, 열람 공간이 추가됨에 따라 모든 어포던스가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의 리모델링이 아동의 어포던스 증가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도서관 리모델링 후에는 어포던스 관찰 시간의 비율에 큰 변화는 없었지만, 아동들의 어포던스 관찰 빈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리모델링이 아동들에게 더 많은 어포던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좁은 면적의 열람 공간이 아동들의 '강한 상호작용'을 더 잘 지원한다. 리모델링 전후 모두에서, 좁은 면적의 열람 공간에서 '강한 상호작용'의 빈도와 지속 시간이 증가하였다. 세 번째로, 아동이 영역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이 어포던스를 더 잘 지원한다. 리모델링 후 벤치는 개방된 공간에 배치되어 영역성 확보가 어려워져 어포던스가 감소하였다. 반면, 아지트 공간과 같이 아동이 영역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간에서는 어포던스 관찰 시간이 증가하였다. 네 번째로, 아동들은 입식 열람 공간에서는 똑바로 앉는 것을, 좌식 열람 공간에서는 양반다리로 앉는 것을 선호한다. 다섯 번째로, 입식 열람 공간에서는 주로 정적인 행태를 보였으며, 이 공간에서 지속 시간이 가장 길다. 반면, 아동들은 주로 좌식 공간에서 자유로운 자세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했지만, 지속 시간이 긴 자세는 입식 공간에서의 바른 자세이다. 마지막으로, 아동들은 시각적으로 폐쇄된 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시각적으로 폐쇄된 공간인 벤치나 아지트, 알코브 공간에서 이용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도서관 리모델링이 어린이들의 어포던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통해 도서관 공간 디자인이 어린이들의 행태과 학습을 어떻게 지원하는지 도출해냈다는 점에 있다. 이를 바탕으로, 어포던스를 증진하기 위한 도서관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지각된 어포던스’를 지원하기 위한 공간으로는 다양한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여 아동들이 공간을 인지하고 다양한 자세와 신체활동을 지원한다. 건축적 요소의 레벨차와 보이드 가구, 다양한 높이의 가구, 재료 등을 활용한 공간은 다양한 지각된 어포던스를 제공한다 둘째, ‘사회적 어포던스’를 증진시키기 위한 공간으로는 아동들이 서로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사회적 어포던스를 증진시킨다. 다양한 크기의 공간을 제공하여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원해야 한다. 셋째, ‘숨겨진 어포던스’를 증진시키는 공간으로 아동들이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탐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아동들의 호기심과 탐구욕을 자극한다. 아동이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 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의도적 어포던스’를 증진시키는 공간으로는 아동들이 의도적으로 이동하면서 어포던스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아동들이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후속 연구 방향으로는, 첫째, 본 연구를 다양한 연령대의 아동들에게 확장하여 연령에 따른 어포던스 변화 및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더욱 세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도서관 외의 다양한 공간에서 아동들의 어포던스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통해, 아동들의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그들의 성장을 더욱 돕는 방향으로 도서관 공간의 디자인과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들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고, 그들의 성장을 돕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의 어포던스 특성이 사용자 경험, 플로우, 만족에 미치는 영향

        심효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51

        포켓몬 고 게임의 출시를 계기로 증강현실 게임이 대중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의 어포던스 특성 및 하위요인인 물리적 어포던스,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가 게임 이용자의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를 매개하는 요인들로 플로우, 사용자 만족을 검증하였다. 요인분석에서 물리적 어포던스가 탈락해서 인지적 어포던스, 감각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의 효과만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1) 어포던스 및 하위요인들은 모두 사용자 경험을 높였다. 2) 어포던스는 플로우 정도를 높였는데 감각적 어포던스, 기능적 어포던스만 역할을 한다. 3) 사용자 경험은 어포던스가 플로우에 끼치는 영향을 매개 했다. 4) 플로우는 이용자의 만족을 높였다. 이는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을 중심으로 HCI분야에서 어포던스와 사용자 경험 간의 관계를 밝혔으며 이용자가 실제로 경험한 플로우와 만족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어포던스 양적 연구가 드문 상황에서 본 연구는 어포던스 하위요인들에 관한 실증 연구를 진행했으며 어포던스 이론 적용에 한 발짝 다가섰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증강현실 게임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를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With the launch of Pokemon Go, augmented reality games have become popular. This study identifies affordance and its four subordinate factors, physical affordance, cognitive affordance, sensory affordance and functional affordance how affect user experience in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 and see their mediated effect when the dependent variable is flow or satisfaction. As physical factors were eliminated in the factor analysis, this study only examined the effects of cognitive, sensory, and functional afford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 Both affordance and its subordinate factors increased the user experience. 2) Affordance has increased the degree of flow, and only sensory and functional affordance play a part as its subordinate factors. 3) User experience mediated the influence of affordance on flow. 4) Flow increased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ordance and user experience in the HCI field related to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 and also check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flow and satisfaction experienced by users. At a time when quantitative studies on affordance are rare, this study has led to an empirical study of its subordinate factors, and is one step closer to applying the affordance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nriching further studies in user experience of augmented reality game.

      • 어포던스 이론을 적용한 졸음쉼터 편의 및 안전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박현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51

        고속도로는 지역간의 연결을 신속하게 통행하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고도의 경제성장에 크게 기여한 만큼 교통수요는 증가하였지만, 많은 운전자들의 사망사고 문제로 인구수 감소 문제를 심화시키면서 현대사회에 해결해야 할 난제로 새롭게 대두되었다. 고속도로 운전 특성상 장시간 동안 장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빠른 통행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기하구조가 단조롭고 주위환경의 변화가 작다. 이와 같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운전을 지속할 경우 피로가 누적되며, 집중력 감소와 인지 및 판단능력이 저하되어 졸음운전을 유발하게 된다. 하지만 고속도로 건설에는 졸음쉼터 설치계획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졸음쉼터의 부지확보에 대한 제한점이 있었고 기능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춘 시설 추가가 지속되었으며, 오히려 졸음쉼터 이용 시 사고에 노출될 우려의 지적이 제기되어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프라 구축을 위해 투입된 비용들은 시설을 일괄적으로 추가하는 데에만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용자들이 실제로 느끼는 서비스의 질은 낮아 감각, 물리, 인지 그리고 기능적 측면을 적용한 환경은 매우 미흡한 현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주체가 되는 관점에서 물리적인 환경에 반응하고 방문 및 체험을 유도하며, 상호작용적인 관계를 지닐 수 있는 이용의 패러다임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속도로 휴게소에 비해 물리적 안전성과 심리적 안정감 측면에서 현저히 열악한 졸음쉼터의 시설현황에 관한 문제점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기존의 획일화된 구조로 단순하게 기능적인 부분에만 치우쳐져 설치된 고속도로 졸음쉼터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어포던스 이론을 도입하고 졸음쉼터 구성요소의 편의 및 안전시설을 감각, 물리, 인지 그리고 기능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공공서비스디자인 측면에서 바라본 졸음쉼터의 환경 개선과 각 졸음쉼터의 차별성을 제공하는 개선방안 및 추후 고속도로 졸음쉼터 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어포던스 이론 기반 학교도서관에서의 아동 행태 특성 연구

        심지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51

        환경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으며, 인간의 생애 주기 동안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에 따라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는 계속해서 이루어져 왔다. 환경 속에서 인간의 행동을 반영한 설계와 계획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과 검증을 위한 학문적 노력이 요구되며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등 다양한 분야를 접목하여야 환경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수는 매우 적다. 따라서 환경 속에서 원활한 인간의 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적 접근인 어포던스 이론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아동은 성인보다 공간의 경험이 적고 주변 환경을 조작하는 힘이 적음에 따라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미래의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학교는 지식을 전달하는 장소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성, 사회성, 정서를 함양하는 장소로 변화하고 있다. 2017년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꿈을 담음 교실(꿈담교실)’이 추진되었으며, 교실, 복도, 도서관, 유휴공간 등 공간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후 2022년에는 158개교가 선정되었으며 6개의 공간 중 학교도서관이 64개교(40.5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는 학교도서관이 과거 단순 소장기능과 대출, 열람과 같은 주요 기능을 넘어 미래 교육에 적합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는 시사점을 보여줌에 따라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어포던스 이론은 인간의 의식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이론으로 국내·외 연구동향을 통해 다양한 실질적 검증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는 이론고찰, 선행연구 검토, 꿈담교실 사례를 토대로 이론적·건축적 분석을 통해 설문조사와 관찰조사를 바탕으로 아동의 행태 특성을 정량적 데이터로 도출하여 물리적 환경이 아동의 행태를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는 다음의 4가지를 목적으로 나누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을 지각하고 반응하는 상호작용을 통하여 교육환경에서 어포던스가 아동에게 일어날 수 있는지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교육환경에서 일어나는 어포던스를 이론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환경지각의 수준에 따른 지각된(perceived), 사회적(social), 숨겨진(hidden), 의도적(intentional) 어포던스로 도출하였다. 둘째, 학교도서관의 사례분석을 통해 어떠한 유형으로 공간구성이 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근 준공된 공간일수록 아동의 흥미 유발과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공간이 나타났으며 사서공간, 열람공간(서가형, 알코브형, 창가형, 계단형, 알코브형, 다락형, 아지트형)과 서가공간으로 학교도서관 공간구성이 되었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공간구성을 도출하여 세부공간을 통해 아동에게 어떠한 어포던스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을 때, 공간 유형별로 나타나는 행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다양한 행동을 지원할 수 있는 어포던스가 많이 나타나는 공간일수록 아동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아동의 우호적 태도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넷째, 실제 학교도서관에서 아동의 좌식 열람공간에서 나타나는 행동 관찰을 통해 공간별 아동의 행태가 다른 것을 알아내었다. 일정 시간 간격마다 나타나는 공간별 누적 이용현황에 따라 모든 공간에서 독서하는 행동이 가장 많이 보였으며, 열람의 행태는 좌식형 열람공간에서는 양반다리를 주로 행하며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에서는 무릎을 세우고 기대며, 다소 개방된 공간에서는 다리를 펴고 기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람하기 위하여 책은 다리에 올려놓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아동의 이용행태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주된 계획 방향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신체적 구조에 맞는 공간구성은 독서행위의 지속시간과 즉각적인 행동반응을 일으킬 수 있었다. 또한 열람면적이 매우 작거나 구조적 요소로 알코브와 같은 공간을 형성하였을 때, 강한 상호작용과 영역성을 지킬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학교도서관에서 비교적 개방된 공간은 아동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처음의 공간적 태도가 우호적이지만, 체류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천장의 높이가 낮은 열람공간의 경우 아동의 공간 이용률이 더 높으며 체류시간 또한 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교적 시선의 차단이 차단되고 천장의 높이가 낮으며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하여 아동에게 아늑함을 줄 수 있는 공간에서 아동의 독서행위와 상호작용 행위가 특히 많이 일어난 것을 통해 아동의 안전을 고려한 일부 시각적 차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아동은 행동의 지속시간이 길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축·공간적 탐색과 교류하기 위해 이동하는 행태가 분석되어 다채로운 공간 설치로 아동의 다양한 행동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상으로 학교도서관에서 아동의 행태특성을 어포던스 이론 기반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학교 재구조화 사업과 ‘꿈을 담은 교실’의 백서를 기반으로 사례를 조사함에 따라 조사의 범위가 서울시로 한정되었으며 실제 건축가들이 설계 전 백서를 참조하는지는 의문이다. 또한 설문조사를 수행함에 있어, 아동에게 다양한 공간제시를 위해 실제 공간의 체험이 아닌 사진을 제시하여 조사함에 따라 색상, 재료 등과 같은 변수가 통제되지 않았으며 문헌 검토를 통한 정형화된 행동으로만 문항을 구성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따라서 행동관찰조사를 수행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으나 관찰조사 또한 한정된 공간과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사진을 활용함에 따라 보다 많은 공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신뢰도와 요인분석을 통해 어포던스의 가설모형의 타당성과 좌식열람공간에서 아동의 행태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의 행태 특성을 이해하여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는 방향을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통해 제시할 수 있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건축분야에서 환경심리행태 중 어포던스 이론 연구에 한정되었으나, 환경심리행태 중 사회적·문화적 연구와 같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법과 관찰법을 사용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지만, 심층면접법과 검사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아동의 나이·성별에 따른 구분을 하지 않았으나 발달에 해당 변수로 인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바, 후속연구를 통하여 보다 심층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보다 많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아동의 심미성 중 색상, 재료 등과 같은 변수 통제를 하지 않았으나 행동 관찰을 통하여 해당 변수로 인하여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바로, 사용 후 평가(POE)를 통해 아동의 심미성과 행태특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가 존재하나,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해 본다. As the environment surrounds humans and continuously interacts with them during the life cycle of humans, discussions on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 on humans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cademic efforts for various analysis and verification are required for design and planning that reflect human behavior in the enviro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s can be explored only when various fields such as psychology, sociology, and anthropology are combined.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 number of studies is very small. Therefore, it is limited to affordance theory, a functional approach to support smooth human behavior in the environment. Children have less experience of space than adults and have less power to manipula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they react immediately. As the society of the future changes, schools are changing from a place of imparting knowledge to a place of cultivating creativity, sociality, and emotions need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ince 2017, the ‘Dream Classroom (Dream Classroom)’ has been promoted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range of spaces such as classrooms, hallways, libraries, and idle spaces is expanding. Later, in 2022, 158 schools were selected, and among the six spaces, school librar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64 schools (40.51%). As this shows the implication that the school library is transforming into a space that supports various activities suitable for future education beyond the past simple collection function, loan, and read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chool library. Affordance theory is a theory directly related to human consciousnes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practical verification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s. Therefore, for various verifications, this study derive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s quantitative data through theoretical and architectural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case of Dream Classroom, and surveys and observational surveys. The main purpose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school library space planning that can properly support behavior.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tudy into the following four purposes, and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interaction of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the environment,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to see if affordance could occur to children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ffordances that occur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derived as perceived, social, hidden, and intentional afforda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environmental perception through the review of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Second,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school library, we tried to figure out what type of space was formed. The more recently completed spaces, the more diverse types of spaces that arouse children's interest and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appeared. Hideout type) and bookshelf space have become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school library. Third, when analyzing what affordances appear to children through detailed spaces by deriv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chool library, it was found that the behaviors appearing by space type were different. The more affordances that can support children's various behaviors, the higher the children's preference, and it was expected that the use rate of the school library could be increased based on the children's friendly attitude. Fourth, it was found out that the behavior of children in each space was different through the observation of behavior in the sitting reading space of children in the actual school library. According to the cumulative usage status of each space at regular intervals, reading behavior was the most common in all spaces, and reading behaviors were mainly cross-legged in sedentary reading spaces, and in comfortable spaces, bending over with knees raised. , in a somewhat open space, it was analyzed as stretching and leaning on the legs. Books appear to be placed on a bridge to be read. Through the above analysis, based on the usage patterns of children, we tried to present the spatial planning direction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 main planning direction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child's physical structure could cause the duration of the reading act and immediate behavioral response. In addition, when the reading area is very small or when a space such as an alcove is formed as a structural element, it can be used as a space that can maintain strong interaction and territoriality.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relatively open space in the school library aroused children's curiosity, so the initial spatial attitude was friendly, but the stay was not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reading space with a low ceiling height, the space utilization rate was higher for children and the stay time was longer. Third, in a space where the line of sight is relatively blocked, the height of the ceiling is low, and soft materials are used to give children a sense of coziness, children's reading and interaction are particularly frequent, which is why some visual and Blocking is considered necessar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duration of the child's action was not long,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pace that can support various actions of the chil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colorful spaces by analyzing the behavior of moving to interact with architectural and spatial exploration. Abov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 school library were examined based on the affordance theory. As this study investigates cases based on the Seoul school restructuring project and the white paper of the ‘Classroom with Dreams’,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is limited to the city of Seoul, and it is questionable whether actual architects refer to the white paper before designing. In addition, in conducting the survey, a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presenting photos rather than actual space experiences to present various spaces to children, variables such as color and material were not controlled, and questions were answered only with standardized behavior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mposition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refore, we tried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by conducting a behavioral observational survey, bu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observational survey also targeted limited spaces and school libraries. However, as photos were used, more spaces were investigated, and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model of Affordance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the sitting reading spac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present the direction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by understand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Finally,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limited to research on affordance theory among environmental psychological behavior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bu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social and cultural research among environmental psychological behaviors. Second, although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the observa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analyze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and the test method. Third, this study did not classify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of the child, but since there is likely to be a difference in development due to the variable, a more in-depth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follow-up research. Fourth, in order to collect more data, this study did not control variables such as color and material among children's aesthetics, but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due to the variables through behavioral observation, through post-use evaluation (PO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aesthetic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should be identified. Although there ar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basic data for space planning of school libraries based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 어포던스 개념을 적용한 지능공간 디자인 방법 연구

        양영훈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51

        The smart space is the convergent one with the preexisting physical space and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The smart space is an intelligent one which helps human and space interact without limit of time and space, and helps human live in convenience as well. In earlier days(1990s), the smart space was considered from the technology-centered perspective, but today the human-centered design perspective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by degrees. That is to say, in designing the smart space, the harmonious satisfaction of the user's needs and behaviors is desirable rather than the indiscreet application of high technologies to the smart space.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base for the human-centered design methodologies in the smart space. First, this study drew and systematized the affordance atrributes, the influential elements on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mart space. And,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and the utility of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in the smart space design. This analyzation included not only the design phase before the construction, but also the post-design phase, because the active life cycle management is important in the smart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ffordance is a useful concept in seeking methodologies for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The affordance, the supportiveness for the user's behaviors, affects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mart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gram the affordance acceptable to the user in design in order to create the smart space the user would be satisfied with. Second, there are three elements which affect on form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smart space; smart space, user, and interaction between them. On the basis of three elements above, the criteria of classify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are as follows; the target user, the contents, the place, the time, and the providing process of the smart services. Third, this study classified the affordance attributes into 18 categories, and then into 49 attributes. This classification was resulted from the analyzation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at is, this study reviewed the writings containing discourses on the smart space, and then drew the contents on the affordance attributes. Thereafter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contents, and then categorized and systematized the conceptualized contents. Meanwhile, the affordance attributes support the user's behavior process; interpretation-planning-execution-result.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is the basic concept for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methodology which supports user's needs and behaviors. Fourth, the smart space design using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has a utility in creating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which brings satisfaction of the user. The smart space design process presented in this study is a form organically integrated the physical space design process and the virtual space design process. 'The smart service design', the main element in the smart space design, is the process planning the contents and the providing way of the intelligent service which satisfies user's needs and supports user's behaviors. 'The affordance programming', the element supporting the intelligent service design, is the process which plans the affordance attributes specifically of the intelligent service. This study divided the basic process of the affordance programming into the following 3 steps; setting up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intelligent services, survey on the user's requirements on the affordance attributes, final decision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This process could apply consistently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and could program the affordance attributes that the user would prefer. This study implemented the intelligent service design and the affordance programming which were the main elements of the smart space design. Therefore, they were proved useful in creating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Fifth, it is helpful for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the smart space to apply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to the post-design of the smart space. There are 3 steps in the post-design phase; case study(completed smart space analysis), PDE(post-design evaluation), and redesign. The affordance attributes could be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affordance in the created smart space. And then, in the phase PDE, the examination thruough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could reveal the user's satisfaction and new reuirements with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smart space in use. And the results of PDE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affordance programming in the phase redesign. Besides, PDE and re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could contribute to the upgrade and the remodeling which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smart space continuously as well. Therefore, PDE and redesign have an economic benefit, because they coul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in reconstructing the smart space.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on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methodology using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This study systematized the affordance attribut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arlier researches on the affordance of the smart space are in little progress. This study identified the applicability and the utility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system, which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with the smart space, to the smart space design. It is only more necessary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method in analyz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The smart space is a one invigorated with the affordance which supports user's behaviors. Therefore the affordance is the subject of research helpful for the humanization of the smart space. It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that various research methods should generalize the theory of the affordance in the smart space design and should systematize practicable methodologies of the smart space design using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 전시공간에 나타난 관람자를 위한 어포던스 특성 연구

        김보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51

        디자인은 세계관과 한 시대의 사회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모더니즘의 배경에서 다양화, 다변화를 중요시 하는 문화, 환경, 정보 사회로 새로운 디자인의 변화가 배경을 이루고 있다. 오늘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보급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양적, 균형적 사고보다는 질적, 안정의 의미 등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그 결과 나타난 변화로 인하여 인간과 디자인 간의 커뮤니케이션 환경도 인간의 자율성과 창조성이 개입되는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으로 변모되어 가기 시작 했다. 이에 따라 전시공간에서도 사용자의 정신적, 행태적 가치가 디자인의 중요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람자를 그 중심에 두고 관람자의 전시물에 대한 지원성과 전시환경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전시 공간의 디자인을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이수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nd apply it to 5-year-olds to test whether it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mot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s.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to develop an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1-1. What is the purpose and goal of the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How to set it up? 1-2. How will the themes and contents of the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be organzed? 1-3. How will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be organized? 1-4. How will you evaluate the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affordance- based media- 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2-1. What is the effect of the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on early childhood's environmental sensitivity. 2-2. What is the effect of the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on early childhood'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In this study, related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were analyzed to develop an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a proposal for this program was developed. The details of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using affordance based media is to promote children'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develop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mote pro-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Specific goals for achieving these goals are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and interested in nature', 'develop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based on love and aesthetics for nature', and 'promot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through information that induces behavior'. The subject of this program was largely divided into natural objects, ecosystems, natural phenomenon,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presented in detail, and the contents that match the subject were classified into environmental attitude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environmental behavior, and details for each category were presented. Teaching-learning methods consist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eaching-learning media, and the role of teacher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s a process of being interested in nature, experiencing nature, choos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promoting and practicing the intention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consists of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through perceptual activities reflecting emotional affordance, supporting emotional responses through integrated approaches, inducing specific actions using media, and interacting through participation, cooperation, and sharing. Teaching-learning media were largely divided into traditional media and new media, and detailed types were presented. The role of teachers was motivation and engagement inducement,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providers, acceptance and encouragement, interaction and educational activity proponents, and exploration activities and thinking facilitators. The evaluation consists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teacher evaluation, and program evaluation. From April to June 2023, a research program was conducted on 50 5-year-old children (2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in the comparative group) at D kindergarten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the affordance-based media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pre-tests were conducted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of the two groups of early childhood,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same inspection tool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on early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in sensitivity, aesthetics and emotional stability, sympathy, and compassion, which are sub-factor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seen as effective in improving early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on children'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sumer behavior, physical behavior, learning behavior, and interaction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seen 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intention of pro- environmental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affordance-based media-based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This program is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and it is meaningful in suggesting how to apply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with educational value. 본 연구의 목적은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환경 감수성 향상과 친환경 행동 의도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 검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1-1.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1-2.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주제 및 내용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1-3.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1-4.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떻게 할 것인가? 연구문제 2.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본 프로그램의 시안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의 목적은 유아가 환경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환경 감수성을 기르며 친환경 행동 의도를 증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환경에 대한 이해와 자연에 관심을 가진다’, ‘자연에 대한 친애와 심미감을 기반으로 환경 감수성을 기른다’, ‘행동을 유발하는 정보를 통해 친환경 행동 의도를 증진한다’ 이다. 본 프로그램의 주제는 크게 자연물, 생태계, 자연현상, 환경보전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제시하였고, 주제에 부합되는 내용은 환경 태도, 환경 지식, 환경 행동으로 내용 범주를 구분하고 범주별 세부내용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방법은 교수-학습 과정, 교수-학습 전략, 교수-학습 매체, 교사의 역할로 구성된다. 교수-학습 과정은 자연에 관심 가지기, 자연 체험하기, 친환경 행동 선택하기, 친환경 행동 실천하기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교수-학습 전략은 감성적 어포던스를 반영한 지각 활동을 통한 직간접 체험하기, 통합적 접근을 통한 감성적 반응 지원하기, 미디어를 활용한 특정 행동 유도하기, 참여, 협력, 공유를 통한 상호작용하기로 구성된다. 교수-학습 매체는 크게 전통적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로 구분하여 세부적인 종류를 제시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동기 및 참여 유도자, 정보 및 환경제공자, 수용하기 및 격려자, 상호작용 및 교육 활동 지지자, 탐색 활동 및 사고 촉진자이다. 평가는 유아 평가, 교사 평가, 프로그램 평가로 구성된다.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23년 4월부터 6월까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을 대상으로 연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전 두 집단 유아의 환경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의도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후 동일한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환경 감수성 총점과 환경 감수성의 하위요인인 민감성, 심미감과 정서안정, 동정과 연민 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 감수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 행동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 행동 의도 총점과 친환경 행동 의도의 하위요인인 소비자 행동, 육체적 행동, 학습 행동, 상호작용 행동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친환경 행동 의도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포던스 기반 미디어 활용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과 친환경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유아교육현장 적용에 적합한 것이며, 교육적 가치가 있는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 적용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핵심어 : 유아환경교육 어포던스((affordance) 전통적 미디어 새로운 미디어 환경 감수성(Environmental Sensitivity) 친환경 행동 의도(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 어포던스 이론에 기초한 중국 특수유아원의 자폐아 교육 공간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초림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51

        매년 자폐 아동이 증가하고 있으나 중국의 자폐 아동들을 위한 교육 환경은 여전히 열악한 상황이다.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경우 교육을 통한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자폐 아동의 교육 환경에서는 교육, 치료 서비스, 간호 등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중국의 자폐 아동관련 교육 서비스 환경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폐 아동을 위한 전문적인 유치원의 교육 공간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ffordance theory’를 기반으로 자폐 아동을 위한 유치원 공간의 배치, 재료, 규모 등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어포던스 디자인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자폐 아동을 위한 공간 디자인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어서 중국 산둥성 지난시에 있는 자폐 아동을 위한 특수 유치원을 대상으로 자폐 아동 교육공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수 유치원의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각 요소별 공간 어포던스에 대한 자폐 아동의 행위 반응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폐 아동의 교육 공간은 자폐 아동이 긍정적인 행동과 정서를 가질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어포던스 이론을 통해 자폐 아동을 위한 공간 디자인 요소와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어포던스 이론에 따른 자폐 아동 공간 평가 프레임과 공간 디자인 점검표를 제시하였다 현재 자폐 아동의 교육 공간과 자폐 아동 사이의 상호 작용과 자폐 아동을 위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한국과 중국에서 모두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실무에 적용시켰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해외 선행 연구에 중에서 사례 분석을 시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연구에서 대상 특수 유치원과 학교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디자인 방안을 도출했다는 점에 있다. 해외 논문의 경우 자폐 아동에 대한 연구와 어포던스를 활용한 공간 디자인 방향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본 연구는 다양한 선행 연구를 통해 현재 자폐 아동을 위한 공간 디자인 방향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제시함에 따라 이후 연구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디자인 방안은 중국의 자폐 아동을 위한 특수 유치원의 교육 공간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자폐 아동의 경우 질병의 조기 개입을 통해서만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자폐 아동에 대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자폐 아동을 위한 공간 디자인을 개발하여 특수 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구체적인 점검표를 제시하였다. 교육 공간과 공공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공간 디자인 요소와 어포던스 이론과의 연결, 연구 목표를 결합한 점검표를 제시함으로써 자폐 아동을 위한 특수 유치원 내 공간 디자인 실무자가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나아가 이로써 자폐 아동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개선하는 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numbe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increasing every year, bu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na is poor.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reatment should be provided through education, s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integrated with education, treatment services, and nursing. However, research on the educational service environment related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na is current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gning educational spaces for special nursery school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arrangement, material, and scale of nursery school spac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affordance theory. First,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space design standard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affordance design. Subesequentl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educational spac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identified targeting special nursery school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Jinan City, Shandong Province, China. In this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parents of special nursery school, then behavioral respons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spatial affordance for each element was observ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Considering that the educational spac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hould be able to induce autistic children to have positive behaviors and emotions, spatial design elements and pla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proposed through affordance theory. Finally, by synthesizing the analysis results, the spatial evaluation frame and spatial design checklist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the affordance theory were presented. Currently,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educational spac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he development of design for them in Korea and China.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on this and applied it to practical use. In addition, the design plan was derived through specific cases by selecting a special nursery school and school for the target from a representative study that is attempting case analysis among previous overseas studies. In the case of overseas papers, research o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spatial design directions using affordance are being conducted in various ways, s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as research trends on the current spatial design direc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re presented through various preceding studies. Along with this, the specific design plan of this study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educational spaces of special nursery school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na.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t can only be alleviated through early intervention of the disease. Therefor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presented a specific checklist as a way to develop a spatial desig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this situation and apply it to special school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guidelines for spatial design practitioners in special kindergarte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y presenting a checklist that combines spatial design elements applicable to educational and public spaces, the connection between affordance theory, and research goal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improve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 이너뷰티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어포던스 패키지디자인 연구

        박정아 단국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4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ckage design that adopts affordance methodology as a way to construct differentiation strategies for competitiveness in health functional food package design reflecting the needs of inner beauty consumers, and further to seek direction of design. As a methodology, affordance factors affecting consumer behaviors is separated and extracted to elicit detailed items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literature data analysis, and FGD for experts, and the resultant evaluation items is quantified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n other word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HP,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s measured and the criteria for measuring the value of the design affordance factors is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a quantified module for qualitative value standards in the design field is proposed to present a quantified design value scale to induce consumer behaviors in the inner beauty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The marketing environment, which has to face the unique circumstances of general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stability, linked with ever-diversifying market environments, rapidly changing trend cycles, and unpredictable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has also brought many changes to consumer's needs throughout their lives, including an escalating need for safety, the spread of contactless lifestyles, and etc. With a view to analyzing the market condition of inner beauty foods,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the market in inner beauty product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reports of corporate health functional food development, domestic and foreign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condition of reliable institutions, and consumers research analysis data. Inner beauty foods are items that must meet the functions of cosmetics at the same time along with categoric characteristics as health and functional foods, requiring more multilateral and complex factor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research subjects, and thereby determine whether affordance factors are valid as a methodology for differentiating package design. It is also an examination into the fundamental problem-solving methods for the direction of design,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determined by quantitatively measuring priorities through the importance analysis over affordance elements of package design. The research subject in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ways how to build competitiveness through package design in the marketplace by presenting a quantitative value measurement method for usefulness and design valuation as a communication medium that can understand the new market circumstances and appeal to consumers afresh. In order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oncept of affordance, the meaning of affordance, which is the underlying concept of this research, and the need to apply package design have been briefly set out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of several preceding researchers.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cessity to bring affordance elements into package design, the functions of package design that expand and evolv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ffordance elements have been inquired into through practical cases in the package design field. In an aim to verify the research subjects based on forgoing respective contents, a research design has been proceeded focusing on solving the entire research subjects, and the overall research process has been conducted to effectively verif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results, such as basic surveys,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eliciting evaluation items through affinity diagrams, pairwise surveys and subsequent analysis. In particular, the AHP conducted to build reliability in this study is the one and only existing method that can clearly distinguish between multilateral relationship indicators and quantify hierarchy relationships. The AHP analysis is a kind of design and feasibility survey to schematize qualitative values and convert them into quantitative indicator, and thereby, it has been intended to derive fair value.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AHP, in the importance of affordance package design elem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ner beauty foods, the top ranking 20 items have been revealed that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sensory elements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physical and functional elements. However, as a whole, it has been tallied at a similar ratio between the two aspects, com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two should be in balance. In an item of inducing physical and functional behavior, the information delivery section has been evaluated as the most important item. The linkage with digital devices and the use of new technologies, new functions of package design exp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public interest consumption such as environmental issues, structural packaging, sizes and shapes, have been evaluated relatively low in importance. However, noteworthy is that the new way that adopts affordance elements has a comparative advantage as a differentiator of design, over the traditional package design elements. The importance of advertising and promotion focusing on user’s experience, and the brand awareness have been reveal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inducing cognitive and sensory behaviors, but as new brands have not sufficient these brand equity, brand design strategie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items are needed. Through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the inner beauty foods should prioritize psychological and cognitive effects such as information, identification, and intuition over playful and cognitive factors such as amusement, reversal, and metaphoric elements. Throu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various design processes that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sensible or intuitive in the design field have been verified as objective quantitative indicators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 importance of package design elements. It is expected that those analysis processes can be put to good use in practical arena of design. 본 연구는 이너뷰티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지 디자인의 경쟁력을 위한 차별화 전략 구축 방법으로 어포던스 방법론이 적용된 패키지 디자인 연구와 디자인 방향성 모색을 주요 연구 문제로 하고 있다. 방법론으로는 선행연구 및 문헌 자료 분석, 전문가 대상 FGD 등을 통하여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포던스 요소를 분리, 추출하여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행동 유도 평가항목들을 AHP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한다. 그리고 AHP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요소별 중요도를 측정하여 디자인 어포던스 요소의 가치 측정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분야의 정성적 가치 기준에 대한 정량화된 모듈을 제안함으로써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 시장 내의 소비자 행동 유도를 위한 정량화된 디자인 가치 척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변화되는 시장 환경, 급격하게 변화되는 트렌드 주기,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예측하기 힘든 외부요인 등과 맞물려 일반 소비자의 구매 의지와 구매 안정성이라는 독특한 환경에 부딪혀야 하는 마케팅 환경은 안전에 대한 욕구의 증대, 언택트 라이프 스타일의 확산 등 생활 전반에 걸친 변화에 소비자 요구에도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 이러한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의 시장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업의 건강기능식품 개발 리포트, 공신력 있는 기관의 국내외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과 소비자 리서치 분석 자료 등을 근거로 이너뷰티 제품의 시장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너뷰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과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카테고리의 특성과 더불어 코스메틱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품목으로 좀 더 다각적이고 복잡한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의 특성을 반영하고 패키지 디자인의 차별화를 위한 방법론으로 어포던스 요소가 유효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패키지 디자인의 어포던스 요소들의 중요도 분석을 통한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관습적으로 결정해온 디자인의 방향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는 새로운 시장 환경을 이해하고 소비자에게 새롭게 어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매개로서 어포던스 디자인이 유용성과 디자인의 가치 평가에 대한 정량적인 가치 측정 방법을 제시하여 시장에서의 패키지 디자인을 통한 경쟁력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포던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 선행 연구자의 연구 내용을 근거로 연구의 기본 개념인 어포던스의 의미와 패키지 디자인 적용의 필요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패키지 디자인에 어포던스 요소 적용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대 흐름에 따라 확장, 진화하는 패키지 디자인의 기능을 알아보고 패키지 디자인의 사례를 통하여 어포던스 요소를 고찰하였다. 위의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전체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설계를 하였고, 연구 프로세스에 따라 기초설문조사, 전문가 심층 면담,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한 평가항목 도출, 쌍대 설문 조사, 분석 등 연구 결과의 실효성 있는 내용 검증을 위하여 전체적인 연구 과정을 진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신뢰성 구축을 위하여 실시한 AHP 분석은 다자간의 관계 지표를 명확하게 구분 짓고 하이어라키(hierarchy 계층 관계)를 정량화할 수 있는 검증된 분석 방법이다. AHP 분석은 정성 가치를 도식화하여 정량 지표로 환산하기 위한 설계 및 타당성 조사로 이를 통하여 공정한 가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플래그쉽 스토어의 어포던스(Affordance) 요인이 브랜드 가치인식과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스포츠 브랜드를 중심으로

        왕리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49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the consumption pattern has changed from marketing purely for the purpose of sales to consumer-centered experience marketing. However, the flagship store that conveys brand image to consumers through display and experience plays an indispensable role in brand shaping, recognition and promotion. Ecological psychologist Gibson(1979) defines affordance as "all the stimuli provided around the human environment". It predicts how people will feel and what behaviors will occur in the environment. In order to guide consum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patial behavio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ffordance of space in relation to consumer behavior.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impact of user-centered affordance essentials on brand value perception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by examining Chinese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It identifi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in China, and sets the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programs for sports brand flagship store design. For the purpose of empirical analysis, we conducted prior research on theories related to flagship stores, affordance factors, brand value perception,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a total of eight flagship stores of sports brands i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and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on 553 Chinese consumers who have long been patronizing the flagship stores, to verify the hypotheses, and came up with the following meaningful results. First of all, Chinese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through the affordance of design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 experience, combine the brand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concept and create a diverse shopping space through multimedia video presentations, display exhibits, POP advertising and other elements. By means of creating a design that meets the psychological needs of consumers, the brand is closely connected to consumers, which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value perception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Chinese sports brands, the design of affordence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Secondly, sports brand flagship store affordance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value perception. Among them, sensory and relational properties have the most influence on brand image. Cognitive property has the most influence on brand awareness, and functional property has the most influence on perceived qualit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rough the elements of merchandise display, mannequins, multimedia installations, etc., stores create to create a dynamic, diverse spatial atmosphere and stimulate consumers' visual, auditory, tactile and other multi-senses in order to bring a pleasant, immersive shopping experience. Consumers fully perceive the brand image in the shopping process. Ultimately, the affordance of sensory element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Chinese sports brands. Thirdly, sports brand flagship store affordance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mong them, cognitive property has the highest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cognitive elements of flagship store affordence can effectively convey the connotation of sports brands, highlight product characteristics, and facilitate consumers to recognize brand and product information. It increases consumers' recognition and trust of the brand and induces purchase desir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cognitive property of affordance. Fourthly, brand value cognition of Chinese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mong them, brand image in brand value cognition has the highest impact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according to the theory of affordance, the theme space can be created through the design elements such as merchandise display, mannequins and multimedia video. It can effectively convey the brand image, making consumers feel the value of the goods in the experience. It increases satisfaction with the brand and enhance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inally, it was determined that affordance factors positively influence brand value perceptions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Therefore, Chinese sports brands effectively guide user behavior through user-centered affordance theory whe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Consumers, products and environment are closely linked. The product interacts with the consumer through the environmental elements in a multi-dimensional way to evoke the consumer's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and maximize the sales of good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academic research and strategic countermeasures on the design of Chinese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Keywords: Flagship Store, Affordance, Brand Value Recogniti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Chinese Sports Brands 사회경제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소비패턴은 단순한 판매 목적인 마케팅에서 소비자 중심의 체험형 마케팅으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전시, 체험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형성, 인지 및 홍보에 무시할 수 없는 역할이 되었다. 생태심리학자 깁슨(1979)은 어포던스가 인간이 환경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고 어떤 행동을 하는지 보여주었다고 하였다. 소비자가 공간적 행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공간과 소비자 행동 사이의 관계 공급 어포던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사용자 중심의 어포던스 요인을 고찰하여 브랜드 가치 인식과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진행하였다. 현재 중국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를 위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플래그쉽 스토어, 어포던스 요인, 브랜드 가치 인식, 소비자 구매 의도에 관한 이론을 각각 선행 연구하여 중국과 외국 8개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보다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위한 실증분석으로 플래그쉽 스토어를 장기간 방문한 중국 소비자 5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는 등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는 어포던스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의 경험 요구를 충족시켰다. 멀티미디어 동영상 연출, 전시진열, POP광고 등의 요소를 통해 다양한 쇼핑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소비자의 심리적 요구에 맞는 디자인을 만들고 브랜드와 소비자를 밀접하게 연결하며 브랜드 가치 인식과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스포츠 브랜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어포던스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의 어포던스는 브랜드 가치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 중 감각성과 관계성은 브랜드 이미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인지성은 브랜드 인지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기능성은 지각된 품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상품진열, 마네킹, 멀티미디어 장치 등의 요소를 통해 역동적이고 다양한 공간분위기를 조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소비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과 같은 다감각을 자극하여 즐겁고 몰입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며 소비자는 쇼핑 과정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어포던스의 감각성 요인은 중국 스포츠 브랜드의 가치 인식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의 어포던스는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인지성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플래그쉽 스토어의 어포던스 인지성 요인이 스포츠 브랜드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제품 특성을 강조하며 소비자가 브랜드 및 상품 정보를 쉽게 식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와 신뢰감을 높이고 구매 욕구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어포던스 인지성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넷째, 중국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가치에 대한 인식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그 중 브랜드 가치에 대한 인식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을 밝혔다. 위의 결과는 어포던스 이론에 따라 상품 진열, 마네킹, 멀티미디어 동영상 등의 디자인 요소를 통해 테마 공간을 만든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브랜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소비자는 체험에서 상품의 가치를 느낄 수 있으며 브랜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포던스 요인이 브랜드 가치 인식과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국 스포츠 브랜드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사용자 중심의 어포던스 이론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해야 한다. 소비자, 제품 및 환경을 밀접하게 연결하여 제품은 환경 요소를 통해 다차원적으로 소비자와 상호 작용하며 소비자의 마음속에 소속감과 정체성을 일깨우고 상품 판매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중국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 디자인에 대한 학술 연구와 전략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제어: 플래그쉽 스토어, 어포던스, 브랜드 가치인식, 소비자 구매의도,중국 스포츠 브랜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