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심혈관질환 위험 노인의 탄성밴드 및 유산소 복합운동이 체력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농도에 미치는 영향

        조은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탄성 밴드 및 유산소 복합운동이 심혈관질환 위험 노인의 체력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으로서 심혈관질환 위험군 20명과 대조군 20명으로 구분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12주간 주 3회의 빈도로 60분 탄성 밴드 및 유산소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분석항목은 신체 구성, 체력, 혈중 지질변인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농도를 분석하였는데, 신체 구성은 체중, 근육량,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WHR 등을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악력(좌)·(우), PEI, 윗몸일으키기, 등 뒤에서 손잡기(좌)·(우), 아령들기(좌)·(우), 눈뜨고 외발서기(좌)·(우) 보행 8자, 부분거리 보행, 의자 앉았다 일어나기, 보행테스트 및 TUG 등을 측정하였다. 혈중 변인은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TC, TG, LDL-C, HDL-C), 사이토카인 농도(CRP, TNF-α, IL-4, IL-5, IL-6) 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LDL-C 혹은 TC에 의한 10년 후 심혈관질환 위험률을 산출하였다. 측정결과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그룹의 측정치 평균±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그룹과 시기에 따른 유의차 검정을 위해서 two-way repeated ANOVA를 적용하였으며, 그룹과 시기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날 경우 사후검정으로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을 적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신체구성의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는 운동 후 두 그룹 모두 감소하였으며,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운동 후 체중,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심혈관질환 위험군의 수축기 혈압은 그룹 간 비교에서 운동 전 유의차(p<.01), 운동 후 유의하게(p<.05)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완기 혈압은 두 그룹 모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력에서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PEI에서 시기 간 유의차(p<.05)가 나타났다.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등 뒤에서 손잡기(좌)는 운동 후 시기 간 유의하게(p<.01) 감소하였으며,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운동 후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1) 낮았다. 등 뒤에서 손잡기(우)는 그룹 간 비교에서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운동 전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1) 높았다. 아령 들기(좌)는 두 그룹 모두 시기 간에서 운동 후 유의차(p<.05)가 나타났다. 아령 들기(우)는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운동 후 유의차(p<.01)가 나타났으며 대조군에서도 운동 후 유의차(p<.05)가 나타났다. 눈 뜨고 외발서기(우)는 그룹 간 비교에서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운동 후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5) 낮았다. 부분거리 보행은 대조군이 시기 간에서 유의차(p<.05)가 나타났으며, 그룹 간 비교에서는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p<.05) 높았다. 의자 앉았다 일어나기는 두 그룹 모두 시기 간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p<.001) 높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룹 간 비교에서는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p<.05) 높았다. TUG는 두 그룹 모두 시기 간에서 유의한(p<.001)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룹 간 비교에서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운동 전·후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5) 높았다. 혈중 지질 변인의 TC는 두 그룹 모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감소하였다. LDL-C는 두 그룹 모두 운동 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C는 두 그룹 모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운동 후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 농도에서 CRP는 두 그룹 모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운동 후 심혈관질환 위험군에서 감소하였다. TNF-α와 IL-6는 두 그룹 모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운동 후에 감소하였다. IL-4는 그룹 간 비교에서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운동 후 유의하게(p<.05) 낮았다. IL-5는 시기 간에서 대조군이 운동 후 유의하게(p<.05) 감소하였으며, 그룹 간에서는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운동 후 유의하게(p<.0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DL-C을 이용한 10년 후 심혈관질환 위험률에서 운동 전에 대조군은 7.33%,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14.55%, 운동 후에 대조군이 7.55%,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14.22%로서 운동 전과 운동 후 모두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유의하게(p<.05) 높았다. TC을 이용한 10년 후 심혈관질환 위험률은 운동 전에 대조군은 6.56%,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12.73%, 운동 후에 대조군은 7.18%, 심혈관질환 위험군은 12.67%로서 운동 전과 운동 후 모두 심혈관질환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p<.05)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탄성 밴드 및 유산소 복합운동은 심혈관질환 위험 노인의 체력, 하지근기능 및 보행능력 향상에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혈중 지질 변인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농도, 심혈관질환 위험자의 10년 후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률 등에 관해서는 분명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lastic band and aerobic combined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inflammatory cytokine concentrations in elderly subjects a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subjects were elderly women aged 65 years or older, and were divided into 20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s and 20 control groups. As for the exercise program, 60-minute elastic band and aerobic combined exercise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As for analysis items,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profiles and inflammatory cytokin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For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muscle mass, BMI,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and WHR were measured. Grip strength with left and right, lifting dumbbells with left and right,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open (left and right), 8 figure walking, partial distance walking, sitting down and rising from a chair, gait ability and TUG were measured. Blood variables were measured such as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TC, TG, LDL-C, HDL-C) and cytokine levels (CRP, TNF-α, IL-4, IL-5, IL-6). Based on this, the risk rate of cardiovascular disease by LDL-C or TC was calculated after 10 years. For the measurement result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ment values ​​of each group was calculat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wo-way repeated ANOVA was applied to te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and time, If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group and time appeared,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applied as post hoc test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The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of body composition decreased in both groups after exercise, and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body weight, body fat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increased after exerci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ystolic blood pressure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exercise (p<.01) and after exercise (p<.05)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hysical fitness,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periods in PEI.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holding hands behind the back (left) decreased significantly (p<.01) between time after exercise, and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p<.01)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exercise. In the group comparison of holding hands behind the back (right), the risk group for cardiovascular disease was significantly (p<.01)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efore exercise. Lifting dumbbells (lef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fter exercis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after exercise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for lifting dumbbells (right),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fter exercise in the control group.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open (right) was significantly (p<.05) lower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exercise. Partial distance walk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ime in the control group, and in a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 risk group for cardiovascular dis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p<.05) after exercise than the control group. Sitting and rising from a chair showed a significantly (p<.001) higher result after exercise between time in both groups.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p<.05) higher after exercise than before exercise. TUG showed a significant (p<.001)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in the group compariso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p<.05)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both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C of blood lipid variables in both groups, but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increased and the control group de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DL-C after exercise in both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DL-C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increased after exercise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blood inflammatory cytokine concentration, CRP was decreased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after exercis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NF-α and IL-6 decreased after exercise,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L-4 was significantly (p<.05) lower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after exercise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IL-5 was significantly (p<.05)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after exercise, and between groups,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p<.05) lower after exercise than the control group.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rate after 10 years using LDL-C was 7.33% in the control group before exercise, 14.55%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7.55% in the control group, and 14.22% in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after exercise.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p<.05) high in both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rate after 10 years using TC was 6.56% in the control group before exercise, and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showed 12.73%. After exercise the control group showed 7.18%, and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showed 12.67%.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significant (p<0.05)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both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elastic band and combined aerobic exercise were effective in improving physical strength, lower extremity muscle function, and walking ability in the elderly a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no clear effects were found on blood lipid profiles, inflammatory cytokine concentrations, and the risk of developing cardiovascular disease after 10 years in those a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와 심혈관질환의 연관성

        권길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심혈관질환은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고혈압,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을 포함하는 질환으로 전세계적인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심혈관질환의 위험 요인은 연령, 남성, 흡연, 당뇨, 가족력, 비만, 운동부족,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이 그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최근 콜레스테롤 농도비가 각각의 콜레스테롤보다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인 인슐린저항성이나 허혈성심질환에 대한 관련성이 더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이 연구는 한국인 성인에서 죽상경화증과 인슐린 저항성과 강한 연관성을 보이는 단순지표인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와 심혈관 질환과의 연관성을 보고자 한다.단면 연구로 2005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령인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진조사와 보건의식행태조사가 완료되고 신체검진 및 혈액검사 항목에 누락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50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 및 생활습관 변수는 건강면접조사와 보건의식행태조사 항목에 포함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심혈관질환에 대한 변수 정의는 WHO의 기준에 따른 심혈관질환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자료에서는 의사 진단에 의한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뇌졸중,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을 변수로 정하였다.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에 대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를 이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모두 만족시키는 임계치(혹은 기준점, Cutoff point)을 구하였다. 또한 개개인에서 있어서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측력을 가장 잘 나타내는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대사지표를 찾기 위해 ROC curve를 사용하였다.연구 대상자는 총 5028 명으로 남성이 2075 명, 여성이 2953 명이었다. 남성에서 심혈관 질환에 대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의 예측 기준치는 3 으로 민감도 61.4%, 특이도 56.2% 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심혈관 질환에 대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의 예측 기준치는 2.2 로 민감도 69.4%, 특이도 63.7%로 나타났다. 여성을 폐경 전후로 분류하여 측정하였을 때 폐경 전 여성에서는 심혈관 질환에 대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가 1.9로 낮아졌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는 2,7로 상승되었다. 남성에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 기준치인 3으로 두 군을 분류했을 때 3 이상인 군에서 3 이하인 군에 비해 심혈관 질환에 대한 비차비가 1.57 배 높았다. 여성에서는 2.2 이상인 군이 2.2 미만인 군에 비해 심혈관 질환의 비차비가 1.90 배 높았다. 남성의 경우 당뇨유무와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의 구분에 따른 위험비를 보면 TG/HDL ratio가 3 미만이고 당뇨가 없는 군에 비해 TG/HDL ratio가 3 이상이고 당뇨가 있는 군에서는 비차비가 3.28배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95% CI : 2.09-5.12). 폐경 전 여성에서는 당뇨유무와 TG/HDL ratio의 구분에 따른 위험비를 보면 TG/HDL ratio가 1.9 미만이고 당뇨가 없는 군에 비해 TG/HDL ratio가 1.9 이상이고 당뇨가 있는 군에서는 3.69 배 증가하였고 폐경 후 여성에서는 4 배 증가하였다. 심혈관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지질 지표들을 평가하기 위해 본 ROC curve 에서 남성, 여성 모두에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와 중성지방 곡선은 다른 두 지질비에 비해 진단적 유용성이 크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폐경 전 여성에서는 남성과 같이 중성지방 단독이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에 비해 약간 높은 면적을 보였으나 폐경 후 여성에서는 거의 비슷한 정도이긴 하지만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가 중성지방에 비해 더 높은 수치의 면적을 보여 좀 더 좋은 표지자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는 심혈관질환에 대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다. 또한 예측력이 좋은 표지자를 보면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측력이 좋은 표지자는 남성과 폐경 후 여성에게서는 중성지방과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로, 폐경 전 여성에서는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 중성지방으로 나왔다. 지질비와 심혈관질환과의 더 정확한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후 인슐린저항성과 지질비간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 combination of high fasting plasma triglyceride (TG) concentration and a low high-density cholesterol (HDL-C) is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Moreover, the TG/HDL-C ratio is considered as a relevant CVD risk facto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TG/HDL-C level predicted CVD and to assess cutoff point of predictive value in Korean adults.This data was based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05 carried by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2075 men and 2953 women without missing data. Cardiovascular disease was defined as hypertension, stroke, angina or myocardiac infarction which were had ever diagnosed from doctor.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used to identify the best variables that predicted CVD.Adjusting of age, body mass index, smoking, alcohol, physical activity and regression, TG/HDL ratio had a positive linear association with CVD. Fasting plasma triglyceride, TG/HDL ratio were the most useful varialbes for predicting CVD. The optimal cut-off point of TG/HDL ratio were 3.0 for men, 1.9 for premenopausal women, 2. 7 in postmenopausal wome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cut-off point of TG/HDL ratio were 61%, 56% in men and 68%, 59% in premenopausal women and 58%, 63% in postmenopausal women. For men, under the receiver-operative characteristic curve of TG/HDL ratio for predicting CVD was 0.613 which is slightly lower than TG.In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G/HDL ratio is associated with CVD and may be a applicated simple. Therefore TG/HDL ratio might be a the best factor to predicting CVD. Furth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identify if TG/HDL ratio may b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여학생대상 학교기반 보건교육의 효과 : Effect of School-based Health Education for High School Girls to Prevent Cardiovascular Disease

        강민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여학생대상 학교기반 보건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 설계 연구(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서울시 소속 학교에 재학중인 고등학생 169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실험군은 연구원이 보건교사로 소속되어 있는 1개 고등학교이고 대조군은 실험군과 특성이 유사한 1개 고등학교로 배정했다. 방법: 8주 동안 실험군에게는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지식과 심혈관질환 예방 활동, 건강행동 실천에 대한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심혈관질환 예방 보건교육 유인물이 제공되었다. 사전·사후 검사는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실험군에게는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이 진행되기 전과 후에 각각 수행되었고 대조군도 실험군과 같은 시기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심혈관 예방을 위한 지식, 심혈관질환 예방 행동실천 자기효능감, 심혈관질환 예방 행동실천 수준의 항목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2022년 10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되었다. 결과: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지식과 심혈관질환 예방 행동실천 자기효능감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행동실천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심혈관질환 예방 학교기반 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지식과 행동실천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행동실천 수준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에 체험이나 실습과 같은 효과적인 전략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완된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정규 보건 교육과정에 적용한다면 고등학생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심혈관질환에 대한 업무상재해 인정기준 연구

        현일섭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Study on the approval criteria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due to occupational cases Hyun, Il-sop Department of Industrial Rel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s one of the 3 death causes in Korea and it is recognized as the serious social problem. For common people, in an occurrence of disease, an individual and family bear the economic expenses with the social insurance support which is a health insurance. But in case of workers who provide labor under a business proprietor 's command and supervision are provided by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IACI) which is a considerably high level economic supporting system, the disease is acknowledged by occupational disease if related with their work. Because an attack of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s highly occurred from the head of a family according to our employment structure and this disease reaches to results such as death, a long period medical treatment or a serious physical disability-it remains incomparable serious aftereffects physically and mentally to workers and their family- the life quality of workers and their family is clearly divided by the fact whether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s a subject to IACI benefits under the circumstance of occupational disease or not. Here the importance of the approval criteria is based on recognition of an occupational disease.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s affected by specific risk factors as well as the health status of individuals, foundations of disease, lifestyle habits and family history, so it is not easy indeed to make a conclusion of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work. With a specific quality of an attack of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problem of social agreement to set the approval criteria and the issue of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caused by the ambiguity of the approval criteria make a heavy confusion to the central operating body of the IACI as well as workers. According to these reasons, disputes related with the approval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due to occupational cases are endless. This study researches the occupational criteria which is 'actually' excluded from IACI benefits by the intolerant approval criteria of the occupational disease among the many problems and its purpose is contribute to improve the approval criteria of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as the occupational disease also applied equally to those occupational criteria. Through the reanalysis of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Labor and Labor Welfare Corporation about the rate of an attack and approving ratio of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entire industry from 2001 to 2004, while the transportation business is confirmed as the highest rate of an attack of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t has the lowest approving ratio. Moreover,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formal objection cases against the Ministry of Labor and Labor Welfare Corporation about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d 28 judicial precedents in case of transportation business from 2002 to 2008 specifically on bus drivers and taxi drivers, even though they are in the high-risk of an attack of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caused by chronic long labor, Day-Night shift work, or every other day shift work, and the constant tension and stress in dangerous traffic accidents, th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s not confirmed by the reason that these risks are not recognized as reasons for the approval criteria of the approval occupational disease. Therefore, I reviewed former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 workers' risk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transportation business. They are in certain situation where causes exist such as working long hours, shift works, tension by driving a vehicle and lack of exercise due to working conditions. And the disease occurrence rate is significantly high. In addition, Health Act for the protection workers' health defines working long hours, shift works including night shifts, and full-time driving job as high stress tasks. When the workers are engaged in those business, Government and business proprietor are regulated to manage the health circumstances properly. It also shows that those tasks are in the high risk of an attack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research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workers in the transportation business are in the high-risk of an attact of cerebrovascular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 proven rate as the occupational disease from those disease is the lowest comparing to other workers while the disease occurrence rate is the highest. The fundamental cause is that the approval criteria of occupational disease is biased and unclear. I suggest a few alternative plan from the actual experiences that I gain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occupational disease approval criteria as well. When setting the approval criteria of the occupational disease, various elements must be considered. The in-depth research from every aspect is necessary to set up the criteria for accepting those elements. This essay discusses about the approval criteria of cerebrovascular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s occupational disease in terms of the occupational quality(environment). However, a reexamination about the adequacy from the view of epidemiology, industrial medicine is needed. Based on this process, the reasonable approval criteria of cerebrovascular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will be set up. Key word: cerebrovascular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occupational disease, the approval criteria, overwork, occupational stress, bus driver, taxi driver. 국 문 초 록 뇌심혈관질환은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의 하나로써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일반인들의 경우 질병의 발생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은 건강보험이라는 사회보험의 지원을 받아 개인과 가족이 부담하지만, 사업주의 지휘․감독 하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에 있어서는 업무와의 상당한 연관성이 있으면 업무상재해로 인정하여, 이들에 대하여는 산재보험급여의 지급이라는 다른 사회보험과는 다른 상당히 높은 수준의 경제적인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의 취업구조상 가장(家長)에게서 뇌심혈관질환이 발병하는 비율이 높으며, 대개의 경우 발병 시 사망 혹은 장기간의 요양기간과 중대한 신체장애를 남긴다는 점에서 - 다른 어떤 질병보다 근로자와 그들의 가족들에 있어서 물질적․정신적으로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는 점에서 - 뇌심혈관질환이 업무상재해로 인정되어 산재보험급여의 대상이 되느냐의 여부에 따라 근로자와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은 극명하게 구분된다. 바로 여기에 업무상재해의 인정기준의 중요성이 있다. 한편, 뇌심혈관질환의 경우 발병특성상 업무관련 유해요인 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상태, 기초질환정도, 생활습관, 가족병력 등에 따른 영향을 동시에 받기 때문에, 업무와의 인관관계를 판단하는 일은 실로 용이한 것이 아니다. 이러한 뇌심혈관질환의 발병특성상의 문제와 더불어 인정기준의 설정에 있어서 사회적인 합의의 문제, 인정기준의 모호성으로 인한 해석․적용의 문제 등은 산재보험을 운영하는 운영주체나 산재보험의 보호대상 근로자 모두에게 혼란을 가중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뇌심혈관질환에 대한 산재인정과 관련한 분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문제점 중에서도 업무상재해 인정기준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산재보험급여로부터 ‘사실상’ 배제된 직업군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이들 직업군에 대하여도 고루 적용되는 뇌심혈관질환의 업무상재해 인정기준의 개선안 마련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의 전체 산업에 있어서 뇌심혈관질환의 산재신청현황과 산재인정율에 대하여 노동부와 근로복지공단의 통계를 수집하여 재분석한 결과, 운수업의 경우 뇌심혈관질환의 발병율과 산재신청율이 가장 높은데 비하여, 산재인정율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2002년부터 2007년까지의 운수업, 특히 버스운전직과 택시운전직의 뇌심혈관질환에 대하여 근로복지공단과 노동부에 이의신청된 사례와 판례 28건을 분석한 결과, 만성적인 장시간근로, 주․야 혹은 격일의 교대근로, 교통사고위험에 따른 상시적인 긴장과 스트레스 등으로 뇌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상당히 높았음에도 업무상재해 인정기준에 부합하는 발병위험이 아니라는 이유로 인정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운전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뇌심혈관질환의 ‘업무상 발병위험’이 어느 정도 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장시간의 근로, 교대근로, 차량운전에 따른 긴장, 근무여건에 따른 운동부족 등의 요인을 모두 갖고 있는 운전업무 종사자의 경우 뇌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다른 업무종사자들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산업보건법령상에서도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장시간 근로, 야간작업을 포함한 교대작업, 전업차량운전 등을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작업이라고 정의하여 이들 업무에 근로자를 종사하게 하는 때에는 여러 건강상의 조치를 하도록 국가와 사업주에게 권고하고 있어 뇌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높은 업무로 인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 운전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업무자체에 내재된 뇌심혈관질환의 발병위험이 높고, 실제 발병률에 있어서도 다른 직업에 비해 가장 높은데 비하여, 업무상재해 인정율은 가장 낮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그 원인을 무상재해 인정기준 자체의 편협함과 불명확성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와 더불어 연구자의 실무경험에서 느낀 업무상재해 인정기준의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대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뇌심혈관질환의 업무상재해 인정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요소는 매우 다양하며, 이를 모두 수용하는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뇌심혈관질환에 대한 업무특성에 따른 업무상재해 인정기준에 대하여 다루었으나, 역학적, 산업의학적인 관점에서의 타당성에 대하여는 재검토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뇌심혈관질환에 대한 합리적인 업무상재해 인정기준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주 요 어 :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업무상재해, 인정기준, 과로, 직무스트레스, 버스운전자, 택시운전자.

      • 지역사회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관리방법의 효과분석

        최종춘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사회 심혈관질환 예방사업이 효과적인 가를 평가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인 고혈압, 고지혈증, 운동부족, 비만, 당뇨 등의 문제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건강식이 실천, 규칙적 운동을 중심으로 중재 내용을 구성하고, 기존 면대면 직접 교육방법과 전화 및 교육매체 발송을 통한 원격관리법의 형태로 중재를 제공하였다. 서울시 J구에 거주하는 심혈관질환 고위험자 성인을 선정하여 직접관리군과 원격관리군, 대조군 세 그룹으로 나누어 3개월 간 중재를 제공하고 중재 후 변화를 사회 심리 상태, 운동 및 식이 습관, 생리적 지표 변화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직접관리군(35명)에서는 총 36회의 집단강의와 개별상담 및 교육을 실시하였고 원격관리군(40명)에서는 4회에 걸쳐 우편홍보물을 제공하고 전화상담을 하는 방법으로 중재를 하였으며 대조군(44명)은 3개월 후에 원격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성과 연령을 통제한 후의 두 가지 중재방법이 가지는 중재효과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접관리군이나 원격관리군에서 중재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심혈관질환 예방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운동횟수 및 생리학적 지표를 개선시키는 결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유의수준을 5%에서는 저지방식이, 규칙적 운동, 체중조절 및 절주를 실천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과 운동횟수 그리고 체중감소 및 허리/키 비에서 중재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의수준을 10%로 하였을 경우에는 이들 지표이외에 규칙적 운동에 대한 지각된 이익이 증가하였고, 저염식이, 운동시간부족, 혈압측정의 어려움과 관련된 지각된 장애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재효과는 대부분이 직접관리군에서 관찰되었지만 규칙적 운동에 대한 지각된 이익과 허리/키 비의 개선효과는 원격관리군에서 관찰된 것이다. 연구 설계 및 중재방법 등에서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결과가 지역사회 중심의 심혈관질환 예방사업에 시사하는 점은 크다고 본다. 무엇보다도 짧은 기간이라도 소규모의 면대면 중재를 통해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우편물 발송과 전화상담을 병행하는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중재효과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보건소의 사업전략으로 활용할 가치가 큰 것으로 여겨진다. This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explore intervention effects community-based cardiovascular diseases prevention program. Two types of intervention methods were employed to provide the program in which practices of healthy diet and regular exercise were mainly emphasized for those who recruited from an adult group of age of 40 years and older in a community in Seoul, Intervention methods consist of face-to-face method (FTF) and tele-method (TM). During a study period of 12 weeks knowledges, attitude change and skills required to practice their healthy diet behavior and exercise regularly were provided in group lectures of 36 times and individual counselling through FTF. Printed materials consisting of same contents as provided in FTF were mailed to a group of subjects assigned to TM who were followed by telephone counselling and support once a three weeks. These w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were provided same prevention services after intervention. Intervention effete were evaluated among three groups, FTF(N=35), TM(N=40), and control(N=44) in terms of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costs, behaviors of healthy diet and exercise,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sex and age being coordinates showed intervention effect in some response variables. They are self-efficacious in low-fat diet, regular exercise, weight control and drinking in moderate, frequency of exercise, and waist-hip ratio at significant level of 0.05. In addition to them, at significant level of 0.10 intervention effects were observed in increase of perceived benefit of regular exercise, decrease of perceived costs in low salt diet, lack of exercise time, and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The intervention effects were observed in both FIT and TM with latter being only in perceived cost in regular exercise and waist-hip ratio.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community-based cardiovascular diseases at health center were discussed.

      •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에 대한 전기고혈압(prehypertension)의 위험도에 관한 연구

        안진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남자의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에 대한 전기고혈압 (prehypertension)의 위험도(risk)를 확인하여 건강증진 교육의 목표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에 따라서 전기고혈압과 고혈압인 대상자의 연령별 유병률을 측정하고, 정상혈압, 전기고혈압 그리고 고혈압인 대상자의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기고혈압과 고혈압의 심혈관질환의 사망률에 대한 위험도를 비교하고 전기고혈압인 대상자중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높은 집단을 선별하였다. 연구 자료는 의료보험관리공단의 코호트자료이다. 연구대상자는 의료보험에 가입 하고 1990년과 1992년의 건강검진에 참여한 35-59세의 남자 103,909명이었다.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사인은 제9차와 제10차 개정된 국제질병분류 (I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코드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한국표준 질병사인분류를 참고하였다.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으로는 고혈압과 관련된 질환, 심근경색 및 허혈성심장질환, 심전도장애와 관련된 심장질환, 뇌졸증, 동맥혈전을 포함한 동맥경화증, 그리고 원인미상의 급사를 포함하였다. 대상자의 사망기록은 1993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추적되었으며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아닐 경우에는 중도절단된(right censored) 자료로 처리되어 그 사망 시점 까지의 생존 인-년이 계산되었다. 전기고혈압의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에 대한 위험도는 시간의존형 콕스모형(time-dependent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을 이용하였으며 사망이 있기전 전기고혈압 및 고혈압은 1년, 3년 그리고 5년의 시차를 두어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 전기고혈압과 고혈압의 연령별 유병률에서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전기고혈압에서 고혈압으로 변화되는 연령효과(age effect)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상혈압, 전기고혈압 그리고 고혈압인 대상자의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의 사망률을 비교하였을 때 십만명당 정상혈압군은 31.3, 전기고혈압군은 54.4, 고혈압군은 171.1로 혈압이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기고혈압에서의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40-44세에서만 정상혈압군보다 2.1배(95% CI, 1.09-4.1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있기전 평균 1년전, 3년전, 그리고 5년전의 혈압범주가 동맥 경화성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사망이 있기전 3년전에 측정한 혈압범주가 전기고혈압인 경우가 정상혈압인 경우보다 위험도가 1.4 배(95% CI, 1.12-2.02)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한편 측정된 혈압 범주가 고혈압인 경우는 정상혈압인 경우보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각각 2.8배(95% CI, 1.90-4.06), 3.6배(95% CI, 2.57-4.90), 그리고 3.0배(95% CI, 2.15-4.25) 높았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기고혈압인 대상자중 심혈관 질환 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높은 집단을 선별하기 위하여 혈압범주와 흡연, 고지혈, 고혈당, 과잉체중의 네가지의 위험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전기고혈압과 고혈압은 네가지의 위험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이 없이 독립적으로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의 사망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위험도는 정상혈압의 범주에 비해서 전기고혈압에서는 1.51배(1.14-2.01), 고혈압에서는 3.84배(2.98-5.05)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 전기고혈압은 약물 치료가 필요한 수준은 아니지만 개인의 차원에서 혹은 건강증진사업의 기획 차원에서 적어도 3년 정도 후에 나타날 수 있는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을 예측하고 전기고혈압에서 고혈압에 이르게하는 위험요인들을 조절하여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을 수 있도록 혈압을 조절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건강증진사업의 기획에서 혈압관리는 적어도 3년전부터 측정된 혈압을 참고하여 체계적이면서도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실천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sk posed by prehypertension on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SCVD) in Korean men between the ages of 35 and 59 in order to provide healthcare providers base-line data to assist them in develop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was estimated within 5-year age groups (35-39, 40-44, 45-49, 50-54, 55-59), and the mortality rate caused by ASCVD among the subjects in normotension,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was compared. Secondly, the risk ratio of mortality rates of ASCVD in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with time-flow was compared. And finally, the group with a high ASCVD risk in prehypertension was determined. The research data used in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initial physical examination of this study was 103,909. This study used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 to determine if the death was related to ASCVD. This document is based on the revise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Ninth and Tenth Revision. The definition of ASCVD included hypertensive diseases, ischemic heart diseases, and conduction disorders including heart failure, cerebrovascular diseases, diseases of arteries, arterioles and capillaries, and unknown causes of sudden death. Death certificates of the subjects were pursued from January 1, 1993 to December 31, 2003. The cause of death, other than ASCVD or dropped cases, was treated as censored data. Censored data were calculated person-year up to the point of being classified censored. In order to analyze the risk of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on ASCVD, subjects with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prior to deaths were analyzed with one-year, three-year, and five-year time lag using the time-dependent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ge effect was linked to moving subjects from prehypertension towards hypertension. Mortality rates of ASCVD among the subjects in normotension,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showed 1.3 in normotension, 54.4 in prehypertension, and 171.1 in hypertension per 100,000 person-year,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ed that the mortality rate of ASCVD was increased as the blood pressure increased. However, the mortality rate of ASCVD in prehypertension in ages of 40 through 44 was 2.1 (95% CI, 1.09-4.12) times greater than that of normotension. The time-dependent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risk ratio of average blood pressures measured during the previous one-year, three-year and five-year to the deaths caused by ASCVD. The result showed that when the measured blood pressure indicates prehypertension, the risk of ASCVD mortality in one, three and five-year lag time was 1.1, 1.4 and 1.4 times greater than that of normotension respectively; however, only the measured blood pressure in three-year lag tim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other hand, if the measured blood pressure indicates hypertension, the risk of ASCVD death is 2.8, 3.6, and 3.0 times greater than that of normotension respectively, and showe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determine the high risk group on ASCVD death among prehypertension, well-known four ASCVD risk factors such as current smoking, high cholesterolemia, high fasting blood glucose, and overweight were included in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Also included was the determination if there was any interaction of the covariates. The result showed that prehypertension was strong independent predictor of ASCVD death without any interaction with the covariat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ehypertension has characteristics of other chronic diseases where there are many other complex risk factors involved and may take years to progres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individual health by controlling blood pressure, all healthcare provid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ag-time on blood pressure measures and refer to the patient’s history of measured blood pressure which may indicate prehypertension. In conclusion, although antihypertensive therapy is not recommended for prehypertension, this study shows that individuals with prehypertension need to be monitored and managed in order to reduce the increased risk of hypertension and ASCVD. This study indicates that if the measured average blood pressures are within prehypertension range, healthcare provider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encourage their patients to control the risk factors that lead to hypertension and ASCVD. An individual or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may also be effective in accomplishing this objective. Additionally, to maintain and promote healthy lifestyles, the program should include intermediate and long-term goals, as well as continued monitoring.

      •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심박동변이

        김대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질병 및 사망 원인의 하나이며, 이 질병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시간적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안게 되었다. 또한 이 질환은 높은 사망률과 치명률을 나타내므로 치료보다는 예방이 더욱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심박동변이(heart rate variability, HRV)는 심장의 자율기능을 반영하는 것으로 심질환 환자의 심혈관 질환의 예측인자로 유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심박동변이의 분포를 살펴보고,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심박동변이의 관련성을 알아보며, 심박동변이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2001년 7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건강검진을 실시한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는 NCEP에서 제시한 나이, 흡연력,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 고혈압 유무,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을 측정하여 각각을 심박동변이와 분석하였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수에 따라 저위험군, 고위험군, 최고위험군으로 층화하였고, Framingham score를 측정하여 심박동변이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에서는 NCEP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중 나이, 가족력, 고혈압,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는 위험인자가 있는 군에서 심박동변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으며, 기타 위험인자에서는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심박동변이가 유의하게 작았다. 여자에서는 NCEP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고혈압은 위험인자가 있는 군에서 심박동변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으며, 기타의 위험인자는 공복혈당과 중성지방이 위험요인이 있는 군에서 심박동변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NCEP의 세 개의 위험군과 심박동변이를 분석한 결과 저위험군, 고위험군, 최고위험군에서 심박동변이의 평균이 세 개의 군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결론적으로, 성별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심박동변이가 관련성이 있었고, 세 개의 심혈관질환 위험군에서 심박동변이가 유의하게 차별성을 보였으므로, 심박동변이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대한 비침습적인 주요한 표지자가 될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Background : Cardiovascular diseases are a multifactorial pathology with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and therefore importance has been stressed on its preventi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reflects cardiac autonomic function and has been accepted as a useful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Method : From July 2001 to Feb. 2002, 105 persons who took the routine medical checkups were recorded. The CHD risk factors were age, cigarette smoking, family history of premature CHD, hypertension, low HDL cholesterol.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D risk factor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isk factor and HRV and the differences in HRVs in the three Categories. Result : In male, HRV of the group who had the CHD risk factors as age, family history of premature CHD, hypertension, HDL cholesterol were fewer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emale, HRV of the group who had the CHD risk factors as HDL cholesterol, HTN were fewer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ategories which represented the number of CHD risk factors. Conclusion : HRV showed a relationship with the CHD risk factor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ategories which represented the number of CHD risk factors. HRV are possible as a clinical marker and follow-up instrument for CHD.

      • 심혈관질환에 대한 산재보상 청구자료 실태 및 특성 분석 : 24시간 격일제 아파트 경비원을 중심으로

        김형현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0년 뇌심혈관질환으로 산재보상 청구한 24시간 격일제 아파트 경비원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업무상 질병 승인 여부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201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근로복지공단에 뇌심혈관질환으로 산재보상 청구 후 승인여부가 결정된 사례 2,780건 중 24시간 격일제 근무, 아파트 경비원 요건에 해당되는 305건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자료내용이 부실하여 분류가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한 215건의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 연구논문과 문헌자료를 통해 아파트 경비원 및 업무상 뇌심혈관질환의 인정기준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였고, 업무상 질병으로 승인된 뇌심혈관질환과 승인되지 못한 뇌심혈관질환 사이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위험요인으로 추정되는 변수별로 뇌심혈관질환의 승인과의 상관관계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아파트 경비원이 뇌심혈관질환으로 산재보상 청구한 사례 214건 가운데 승인된 건수는 13건으로 승인율은 6.1%였다. 연령과 승인여부를 비교한 결과, 50-59세 50건 중 9건(18.0%), 40-49세 9건 중 1건(11.1%), 70세 이상 27건 중 1건(3.7%), 60-69세 126건 중 2건(1.6%)이 승인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사업장 규모와 승인여부를 비교한 결과, 규모가 확인되지 않은 135건(63.1%)을 제외하면 50인 이상 사업장이 1건 중 1건(100%), 5인 미만 사업장이 39건 중 3건(7.7%)이 승인되어 평균 승인율(6.1%)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발병 전 24시간 내 급격한 작업환경의 변화여부별 승인현황을 보면, 급격한 작업환경의 변화가 있는 경우가 54건 중 9건(16.7%)이 승인된 것에 비해 변화가 없는 경우가 160건 중 4건(2.5%)이 인정되어 급격한 작업환경의 변화여부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5). 자문의 소견별 승인현황을 보면, 자문의가 과로를 인정한 경우 13건 중 8건(61.5%), 불인정한 경우 194건 중 3건(1.5%), 자문의가 서로 다른 의견인 경우 4건 중 2건(50%)로 승인되었으며, 자문의 소견별 승인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수면시간별 승인현황은 수면시간을 파악할 수 없었던 119건(55.6%)을 제외하면 수면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 4건 중 1건(25%), 수면시간이 1-2시간인 경우 12건 중 3건(25%)이 승인되어 동일한 승인율을 보였으며, 4시간 이상인 경우 28건 중 2건(7.1%), 2-3시간인 경우 25건 중 1건(4.0%)이 승인되었으며, 수면시간별 승인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The study was conducted for cases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laimed for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pproval of the claimed cases as compensable occupational diseases. The target cases of this study was cases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laimed for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mong apartment guards who worked for 24 hours every other day in 2010. These cases were found 305 cases. After reviewing the records, 215 cas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90 cases were discarded because of poor records. Selected cases were analyzed between the possible contributing risk factors and approval rate.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 1. Thirteen cases were approved as the compensable occupational diseases among 214 cases. Thus, the approval rate was 6.1 percent for the cases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laimed for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mong the group of apartment guards. 2. Approval rates by the age group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ge group of 50-59 showed highest the approval rate(18%). Approval rates for the age group of 40-49, 60-69 and >70 were 11.1%, 1.6% and 3.7% respectively. 3. It was assumed that sudden changes of working conditions and/or work environments might affected the approval rate for the compensable occupational diseases since the approval rates were shown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y the presence of sudden changes of working conditions and/or work environments before the incidence of the diseases. The approval rate in the group who had sudden changes was 16.7% but the other group who had no changes showed 2.5%. 4. It was found that the medical doctor’s comments or opinion on the records especially for the fact that the patient was suffered over-work or over-exertion might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approval. The approval rate in the group who had the medical doctor’s comment on the over-work or related comments was 50% and in the compared group having no comments it was dropped to 1.5%. 5. Sleeping duration time may be considered as another affecting factor. The approval rate for the 4 groups having sleeping for less than 1 hour, 1-2 hours, 2-3 hours and more than 4 hours during 24 work shift were found 25%, 25%, 4% and 7.1%.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t is still highly uncertain since the number of case was extremely small.

      •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위험지수와 체력변인 간의 연관성 : - 제 6~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2019) 대상으로 -

        우승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Cardiovascular Disease(CVD) means a group of disorders of heart and blood vessels. It leads 32% of the death in the world, and 44% of the death in Korea. Primary preven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CVD, CVD risk rates can help the importance of CVD and prevention, classify serious patients and treatment. In this study, for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VD risk factors/risk rate and Physical Fitness(PF), Framingham Risk Score(FRS) that Framingham Heart Study developed was used in Korean. For identify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PA) and Resting Heart Rate(RHR) in FRS model, PA regarded as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RHR regarded as a cardio-fitness combined with Grip Strength(GS) for Total Fitness(TF). Subjects were 29,607 people(male: 44.2%, male: 55.8%) who participated in 6th to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HANES), 20 years to 79 years and did not have any CVD. Obesity, Blood Pressure(BP)(systolic & diastolic), Fasting Glucose(GLU), Triglycerides(TG),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were selected as CVD risk factors, FRS model(2008) that is suggested by Framingham Heart Study was used for FRS and risk rates. For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PF and CVD risk factors/rate, on-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performed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performed to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F and CVD model. Age, drinking,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moderate to vigorous PA, sedentary were seleted as confound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PA was valid variable that could classify the CVD risk factors except for diastolic BP in both gender, and according to level of PA, statistic significance was found in FRS and risk rate. Second, RHR was valid variable that could classify the CVD risk factors, but had less correlation with the FRS and risk rate. Third, GS was valid variable that could classify the CVD risk factors, and had correlation with the FRS and risk rate. Fourth, according to level of TF, RHR and GS had does response relationship with FRS and risk rate in male, the lowest RHR and the highest GS group had the lowest risk rate in female. To sum up, PA and PF had close relationship with CVD risk factors and risk rate. Although RHR had less relationship with FRS rate, it was confirmed that PA and RHR were useful indicators to distinguish CVD risk factors. In addition, when applying FRS to Korean,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using the basic model,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PA and RHR, it was particularly more applicable to men. Additional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to improve the accuracy and validity of the CVD risk model and to better predict women's CVD. Through this,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find a model applicable model to Koreans and at the same time find potential factors related to CVD as well as PA and PF.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은 심장과 혈관 쟁애를 의미하는 포괄적인 질환으로 전 세계 사망 중 약 32%를 차지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사망률의 44%를 차지하고 있다. CVD는 무엇보다도 1차 예방이 중요하며, 그 일환으로 CVD 위험지수는 CVD의 중요성 및 예방을 알리고,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를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인원을 대변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체력과 CVD 위험요인 및 위험지수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Framingham Heart Study에서 제시한 Framingham Risk Score(FRS) 및 위험지수를 국내인원에 적용해 보았다. 분석과정에서 선행연구의 제언에 따라 신체활동을 인구학적 특성 변인으로서의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안정시 심박수를 심폐 체력으로 하여 악력과 함께 종합 체력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FRS 모델의 적용과 심혈관질환 위험지수 모델에서 신체활동과 체력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8기 참여인원 중 건강설문조사 및 검진조사에 참여한 심혈관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성인 만 20~79세 총 29,670명(남자: 44.2%, 여자: 55.8%)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만, 혈압(수축기, 이완기), 공복시 혈당,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을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는 Framingham Heart Study에서 제시한 Framingham Global Score(2008)를 활용하여 FRS 및 위험지수를 산출하였다. 신체활동 및 체력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위험지수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으며, 체력과 CVD 위험지수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적용하여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혼동변수로 연령, 음주, 교육수준, 개인소득, 중고강도 신체활동, 좌식신체활동를 보정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은 남·여 모두 이완기 혈압을 제외한 CVD 위험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유용한 변인이며, 신체활동에 따른 CVD 위험점수 및 위험지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안정시 심박수는 남·여 모두 모든 CVD 위험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유용한 변인이지만, CVD 위험점수 및 위험지수와는 연관성이 적었다. 셋째, 악력은 남·여 모두 모든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유용한 변인이며 CVD 위험점수 및 위험지수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력 수준 조합에 따른 CVD 위험지수를 살펴본 결과 남자에서 안정시 심박수와 악력 모두 양적반응관계를 보였으며, 여자의 경우 안정시 심박수가 낮으면서 악력이 높은 그룹이 가장 낮은 위험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체활동과 체력은 CVD 위험요인 및 위험지수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안정시 심박수의 경우 CVD 위험지수와 연관성이 적었지만, 신체활동과 안정시 심박수는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RS를 국내인원에게 적용할 때 기존 모델을 사용하기 보다 일반적인 인구학적 변인과 함께 신체활동과 안정시 심박수를 활용하게 되면 특히, 남자에게 잘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VD 위험모델의 정확도 및 타당도 향상과 여성 CVD 예측을 위하여 향후 추가적인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국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찾음과 동시에 신체활동 및 체력뿐만 아니라 CVD와 연관이 있는 잠재적 요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심혈관질환자의 재입원 관련 요인

        김현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Aging due to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westernized lifestyle changes are increasing the incidences of cardiovascular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is characterized by the difficulty of curing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exposure to the disease,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it after onset. As the treatment technology develops, the rate of death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is decreasing but because the effect of initial treatment is getting better, the number of chronic patients is increasing. Therefore,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is increasing in the course of treatment, and readmission increases the expenditure of medical expen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as well as the family. However, studies have shown that proper exercise, eating habits and lifestyle improvements can reduce readmission and manage disease effec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admission related factors considering various aspects such as lifestyle. This may provide an effective approach to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For this, secondary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readmi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collected from 2007 to 2014 was conducted. Through review of preliminary studies, factors related to readmission were categorized as demographic facto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ctors, and lifestyle factors. Extracted demographic factors include ag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number of family members, economic activity status, occupation type, income level (individual / household), and insurance type,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ctors include hypertension, dyslipidemia, diabetes, renal disease, thyroid disease, arrhythmia, depression, and level of stress, and lifestyle factors include smoking (direct/ indirect), drinking, 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weight control efforts, maintenance of hypertension medication, and maintenance of hyperlipemia med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readmi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 was most commonly due to a disease of the same family and within cardiovascular disease of the same family, myocardial infarction and angina pectoris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hospitalization. Thus it was found that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has high likelihood of requiring continuous therapy including repeated hospitalization due to chronicity of the disease. In readmission related factors, economic activity, individual income level, dyslipidemia, and depression were selected in the final model. The main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income level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had significant relation and that socioeconomic status indicat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admi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It is believed that the economic level influences the incidence of readmission due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erms of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nd medical use, and because economic burden of readmission may play a role in subsequent managem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health care direction that can help practical difficulties in the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for economically vulnerable classes that can be placed in blind spots. Also, it is thought that nursing approach to establish a health care plan for preven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disease including lifestyle habit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subjects is importa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 attempt to research readmission related factors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readmi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causality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readmission related factors because of the use of data collected by cross–sectional surve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alysi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readmission in the future and it will be important to reduce the burden of medical fees for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as reducing readmission and ultimately improve quality of life through diverse research on cardiovascular disease readmission. 사회구조 변화로 인한 고령화와 서구화된 생활습관의 변화는 심혈관질환의 발병을 증가시키고 있다. 심혈관질환은 질병에 노출되면 완치가 어렵고 여러 합병증이 동반되기 쉽다는 특성이 있어 발병 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때문에 치료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비율은 감소추세이나 초기치료 효과가 좋아지면서 오히려 만성질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치료과정에서 입원이 반복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재입원은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환자 뿐 아니라 가족의 삶의 질 저하가 동반되기도 한다. 그러나 적절한 운동, 식습관 및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재입원 감소 및 효과적인 질병관리가 가능하다는 연구가 있다. 따라서 생활습관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재입원 관련 요인 분석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심혈관질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접근 방향을 제시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심혈관질환자의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수집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심혈관질환자의 재입원 관련 요인에 대한 2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재입원 관련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신체ㆍ정신건강 요인, 생활습관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결혼상태, 교육수준, 거주 지역, 가족구성원 수, 경제활동상태, 직업형태, 소득수준(개인/가계), 보험형태를, 신체ㆍ정신건강 요인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신질환, 갑상선질환, 부정맥, 우울증, 스트레스 정도를, 생활습관 요인은 흡연(직접/간접), 음주, 체질량지수, 체중변화, 체중조절 노력, 고혈압약제 복용 유지, 고지혈증약제 복용 유지 항목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심혈관질환자의 재입원은 동일계열 질환으로 인한 재입원이 가장 많았고, 동일계열인 심혈관질환 내에서는 심근경색, 협심증이 가장 많은 입원 사유로 나타났다. 즉 심혈관질환에 이환되면 질환의 만성화로 인해 반복입원을 포함한 지속 치료가 요구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재입원 관련 요인은 경제활동상태, 개인소득수준, 고지혈증, 우울증이 최종 결과로 선택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주요한 의미는 경제활동상태 및 소득수준이 관련이 큰 요인으로 나타나, 심혈관질환자의 재입원에 사회경제적지표가 중요하게 관련된다는 것이다. 경제수준은 심혈관질환의 정보 및 의료이용의 접근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관리에 관여하여 재입원 발생에 영향을 주고 재입원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감이 이후의 지속적 관리에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심혈관질환 관리에서 의료이용의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는 경제적 취약 계층의 현실적 제한을 도와줄 수 있는 건강관리 방향이 필요하다. 그리고 생활습관 등을 포함한 질환 정보를 대상자의 눈높이에 맞게 제공함으로써 예방에 근접한 건강관리 계획을 마련하는 간호학적 접근 방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자의 재입원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상황에서 재입원 관련 요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단면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재입원 관련 요인에서 인과관계를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재입원 위험 요인 규명에 대한 분석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심혈관질환 재입원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재입원을 감소시킴으로써 심혈관질환자의 의료이용비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