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크로드 영화의 공간에 나타난 향토콤플렉스 연구 : <인생>, <리버 로드>, <깨끗한 물속의 칼>을 중심으로

        스원원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1980년대 이후 실크로드 영화는 주로 역사상의 실크로드 이야기, 실크로드 인물, 실크로드 예술 문화를 표현함으로써, 세계에서 중국 실크로드 문명, 우수한 전통문화, 중국 정신과 실크로드 정신을 전파하였다. 한편, 현대 실크로드 이야기와 실크로드 인물을 표현함으로써 도시화 과정에서 실크로드 주변의 도시와 농촌의 진흥과 새로운 농촌의 이미지를 반영하고 실크로드 주변의 도시 현대화를 반영하여 번창하는 새로운 도시 모습과 발전 추세를 보여주는 영화이다. 21세기에서 실크로드 영화도 그 모습과 내면에 새로운 변화가 생겼다. 21세기의 실크로드 영화는 실크로드 콘텐츠의 유무와 실크로드 주변 지역의 영화업체가 투자하여 촬영하는 것에 구애받지 않고, 영화의 표현 내용, 미학적 특징, 예술적 풍모를 기준으로 삼는다. 중국 실크로드 주변 지역의 문화, 민속, 생활상태를 표현한 영화나, 중국 실크로드 지역의 자연경관과 인문 경관을 집중적으로 표현한 영화, 심지어 실크로드 지역을 이야기의 배경으로 한 영화까지도 실크로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향토 콤플렉스는 중국 문화의 중요한 지점으로 중국인의 집단 무의식으로 맺어지지만 특정 시공간에서는 일종의 집단 의식으로 나타난다. 향토 콤플렉스는 특정 장소, 특정 사람, 사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문화적 바탕에 기초한 정신적 소속으로 사람의 생명 가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징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향토 콤플렉스는 일종의 생명의 기호이자 고향에 대한 감정이며, 민족정신을 구축하고 민족 구심력을 생성하는 아름다운 정신으로 된다. 본 연구는 중국 국경 내부에서 실크로드를 배경으로 한 산시성을 대표하는 영화 <인생(人生)>, 간쑤성을 대표하는 영화 <리버 로드(家在水草豐茂的地方)>, 닝샤 자치구를 대표하는 영화 <깨끗한 물속의 칼(清水裏的刀子)>을 각각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간 서사의 관점에서 이 세 영화의 공통 특징인 향토 콤플렉스를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실크로드 영화 공간 표현에서의 향토 콤플렉스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문화 연구의 관점에서 그 문화적 함의를 간략하게 분석하여 실크로드 영화의 미래 발전 경로를 탐구하고자 한다. 논문은 총 7장으로 나뉜다. 제1장은 서론 부분이다. 본 논문의 주제 선정,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인생(人生)>, <리버 로드(家在水草豐茂的地方)>, <깨끗한 물속의 칼(清水裏的刀子)>의 선정 이유,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관련 선행 연구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지리 공간으로 볼 때 실크로드는 산시성 서안에서 시작하여 200km를 거쳐 간쑤성으로 들어간 다음 허시 회랑을 거쳐 둔황에 이르렀고 둔황에서는 남북으로 나뉘기 시작하였다. 간쑤성와 닝샤 자치구도 지리적 위치 때문에 실크로드의 황금 지역이 되었다. 영화 내용을 보면 <인생>, <리버 로드>, <깨끗한 물속의 칼> 이 세 편 영화는 실크로드의 산시, 간쑤, 닝샤 세 지역에 걸쳐 있는데, 영화에는 각각 중국의 시기별 향토 콤플렉스가 담겨 있다. 제2장에서 제6장까지는 논문의 본문 부분이다. 제3장에서는 공간서사, 영상미학, 향토 콤플렉스 구현 세 가지 방면에서 영화 <인생>의 향토 콤플렉스 분석 집중 분석하였다. 도시와 농촌 간의 장벽과 침투, 현대 문명과 전통 개념의 충돌 등 중국 개혁개방 초기 도시와 농촌의 교차지대의 많은 사회 문제와 모순을 분석합니다. 제4장에서는 공간서사, 영상미학, 향토 콤플렉스 구현 세 가지 방면에서 영화 <리버 로드>의 향토 콤플렉스 분석 집중 분석하였다. 가족 3세대의 다원적 향토와 고민, 향토정신의 단절과 지키는 분석합니다. 전통적인 향토 인륜은 현대의 발전에 따라 많이 달라졌다. 제5장에서는 공간서사, 영상미학, 향토 콤플렉스 구현 세 가지 방면에서 영화 <깨끗한 물속의 칼>의 향토 콤플렉스 분석 집중 분석하였다. 가족 3세대의 다원적 향토와 고민, 향토정신의 단절과 지키는 분석합니다, 전통적인 향토 인륜은 현대의 발전에 따라 많이 달라졌다. 중국식 죽음과 민족적 경지를 구성하기 위해 간결한 표현을 분석합니다. 제5장에서는 실크로드 영화 향토 콤플렉스의 가치와 발전. 제7장은 결론이다. 연구 요약 및 의의, 연구 한계점 및 시사점 두 방면에서 논문 전체를 정리한다. Since the 1980s, Silk Road films have mainly been used to convey Chinese Silk Road civilization,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Chinese spirit and Silk Road spirit to the world by expressing historical Silk Road stories, Silk Road figures.In the 21st century, Silk Road films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 of Silk Road and the investment of film companies and film and television companies along the Silk Road.Films depicting the culture, folklore and living conditions along the Silk Road, films focusing on the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s of the Silk Road, and even films based on the story of the Silk Road region can be called Silk Road films. As an important fulcrum of Chinese culture, the local complex condenses into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the Chinese people, but in a certain time and space, it appears as a "collective consciousness".The "local complex" does not point to a particular place, a particular person or thing. Often, the local complex transcends time and space and becomes a spiritual belonging based on culture and a symbol closely related to the value of human life.Specifically, the local complex is a kind of life brand, is a kind of strong feeling of hometown, but also is a kind of national spirit, the formation of national centripetal force, come down to building a harmonious home. In this paper, Shaanxi film Life on Silk Road, Gansu film Home in a Plenty of Water Plants and Ningxia film Knife in Clear Water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texts.This paper analyzes the local complex in the space expression of film under the background of Silk Road from these aspects, and analyzes its cultural meaning from the angle of cultural research.The following seven chapters are devoted to study.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the research objectives and the necessity of the subject, and the first research, including the present situation of Silk Road film research, film space narration research.In terms of geographical space, the Silk Road originated in Xi'an, Shaanxi Province, entered Gansu via 200 kilometers, then came to Dunhuang via the Hexi Corridor, where it began to divide into two roads.Gansu and Ningxia also became prime areas of the Silk Road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location.From the content of the film, "Life", "Home in a Plenty of Water Plants", "Daozi in Clear Water" and three films span three important areas of the Silk Road, Shaanxi, Gansu and Ningxia. Chapters two to six are the body of the paper.The second chapter is the definition of the rural complex, which is based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rural complex, the expression of the Chinese rural complex and the cultural roots of the Chinese rural complex.The third chapter is the analysis of the local complex of the movie Life.This paper analyzes the social problems and contradictions of urban-rural intersection in the early period of China's reform and opening-up, such as the gap and infiltr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modern civilization and traditional ideas.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local complex of "Home in a Plenty of Water and Grass" from three aspects: space narrative, image aesthetics and rural complex.Analysis of the three generations of multi-native and "nostalgia", the rupture and adherence of the local spirit, the traditional local people's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modernization encountered a dilemma.Chapter five analyzes the local complex of the movie "Daozi in Clear Water" from three aspects: space narration, image aesthetics and rural complex. This paper analyzes the construction of Chinese-style death and national artistic conception by using minimalist expression.The sixth chapter is the value and development of the Silk Road background film. This paper mainly analyzes the image presentation and creativity of Silk Road Scenery in film, the innovative way of Silk Road film telling Silk Road story well in new era, and the spreading way of Silk Road film development in new era. Chapter VII is the conclusion.This paper combs the whole thesis from the aspects of abstract, meaning, limitation and enlightenment.

      • 실크로드 악기의 기원과 중국 전파에 관한 연구 : 오대(五代) 영릉(永陵) 24기악(伎樂)을 중심으로

        대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고는 영릉 24기악(永陵二十四伎樂)을 연구 대상으로 외래 악기의 기원과 전파에 대해 고증을 진행하였다. 문헌 자료와 역사적인 문화재 및 도상(圖像) 자료를 종합 정리하여 영릉 24기악 가운데 서아시아·인도·구자 및 주변 소수민족에서 들어 온 악기를 고증하였다. 또한, 실크로드 악기의 문화적 교류와 융합 및 영향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본고는 모두 7장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논문 주제 선택의 이유와 의의를 서술하였고,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으며, 아울러 연구방법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영릉 24기악의 대략적인 상황을 서술하면서 영릉의 역사와 묘 주인인 왕건(王建)의 생평 및 영릉 24기악의 악기 명칭·석각 내용·악대의 편제 및 연출 내용에 대해 논하였다. 제3장은 실크로드를 통한 악기의 동쪽으로의 전파 배경을 대내외적 환경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제4장은 서아시아에서 전해진 악기에 관해 서술하고, 사현곡항비파(四弦曲項琵琶)와 수공후(豎箜篌) 및 동발(銅鈸)의 기원과 전파에 관해 고증하였다. 제5장은 인도에서 전해진 악기를 소개하고 나패(螺貝)·정고(正鼓)·화고(和鼓)·모원고(毛員鼓)·답랍고(答臘鼓)와 갈고(羯鼓)의 기원과 전파에 대해 고증하였다. 제6장은 구자(龜玆)와 주변 소수민족에서 전해진 악기를 소개하고, 필률(篳篥)·제고(齊鼓)·계루고(雞婁鼓)·박판(拍板) 및 취엽(吹葉)의 기원과 전파에 관해 서술하였다. 제7장은 실크로드 악기의 동쪽 전파로 인한 중국과 한국 및 일본에 대한 영향을 서술하였다. 동양 음악문화의 발전사는 실크로드 음악문화의 교류사(交流史)이며 융합사(交融史)이고 전파사(傳播史)라 할 수 있다. 실크로드의 개방·포용·인정 및 다원적인 정신이 찬란한 동양 음악문화를 이룩하였다. 모든 국가와 지역의 전통음악은 원래부터 모두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문화는 모두 끊임없이 서로 전파·침투·융합하면서 건전하게 성장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중국 전통음악도 민족 전통음악을 발전시키면서 외래 음악을 수용하고 참고하였다. 그러므로 음악문화의 교류와 동시에 자기를 잃지 않고, 자체 문화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문화적 자신감을 가지고 외래문화의 정수(精髓)를 흡수하였다. 1.1. This article takes Yongling 24 Jiyue as the research object, and textualizes the origin and spread of foreign musical instruments.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documents, historical relics and image data has verified the musical instruments from West Asia, India, Qiuci and surrounding ethnic minorities in Yongling 24 Jiyue. Explains the exchange and integration of musical instrument culture on the Silk Road and its far-reaching influence. 1.2. There are seven chapters in this article. In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chapter, the reason and significance of the selected topic are introduced, the prior research is sorted out, and the research method is introduced. The second chapter introduces the overview of Yongling 24 Jiyue, expounds the history of Yongling, the life of Wang Jian, the owner of the tomb, and the name of the instrument, stone carving content, band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content of Yongling 24 Jiyue. The third chapter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background of the eastward 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s on the Silk Road from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external environment. The fourth chapter introduces the musical instruments from West Asia, and textualizes the origin and spread of the four-stringed pipa, the vertical Konghou and the copper cymbal. Chapter 5 introduces the musical instruments from India, and examines the origin and spread of shellfish, Zhenggu, Hegu, Maoyuangu, Talagu and Jiegu. Chapter 6 introduces the musical instruments from Qiuci and the surrounding ethnic minorities, and examines the origin and spread of Bili, Qi drum, Jilou drum, clapper and leaf blowing. Chapter 7 introduces the influence of the Silk Road Musical Instrument East on China, Korea and Japan. 1.3.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oriental music culture is a history of cultural exchange, blending and dissemination of Silk Road music. The spirit of openness, tolerance, recognition, and diversity of the Silk Road has created a brilliant oriental music culture. The traditional music of each country and region is not immutable. They are constantly spreading, infiltrating, and blending with each other in different cultures, thus thriving. The same is true for traditional Chinese music.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music, there is also the absorption and reference of foreign music. Therefore, at the same time of music and cultural exchanges, one should not lose oneself, and should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itself, insist on cultural self-confidence, and absorb the essence of foreign culture.

      • 중국의 신해상실크로드 정책 추진에 따른 광시 북부만항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차오양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신해상실크로드 정책의 본격적인 추진으로 광시성지역 국제 무역량의 확대와 북부만항만의 물동랑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광시 북부만항만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신 해상 실크로드 정책 추진에 따른 광시 북부만항만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광시 북부만항만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 광시 북부만항만의 발전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2차 자료들을기초로 하여 북부만항만과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정책과의 상호연관성을 비교 분석 광시 북부만항만의 발전방안을 분석하였다. 우선 관련 선행연구들과 2차 자료들을 분석한 후 광시 북부만항만들을 방문하고 관련 당사자들을 인터뷰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후 광시 북부만항만의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belt and road’(the Silk Road Economic Belt and the 21-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of China which proposed in 2015 provides a new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Guangxi Beibu Gulf Port. Guangxi Beibu Gulf Po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the new Maritime Silk Road with the new Silk Road Economic Belt.Based on the Beibu Gulf Port, Guangxi Province takes a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belt and road’ Strategy.Since many countries can participate in the new Maritime Silk Road strategy, the important role of Guangxi Beibu Gulf Port for boosting the strategy is getting momentum higher and higher. Therefor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elt and road strategy the harbor cargo volume of goods handled through the Guangxi Beibu Gulf Port will be expected to increase greatly.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Guangxi Beibu Gulf Port should improve the appropriate infrastructure.This study discusses vitalization plan of Guangxi Beibu Gulf Port based on the new Maritime Silk Road strategy. This paper proposer several ways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Guangxi Beibu Gulf Port under the new Maritime Silk Road.

      • 한중일 다큐멘터리『신(新)실크로드』의 테마와 기법에 관한 연구

        마남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1979년 일본과 중국은 처음으로 실크로드 소재의 다큐멘터리 『실크로드』를 합작 제작했다. 당시 중국은 개혁개방 시기를 맞아 선진적 촬영 경험과 기술을 긴급히 도입할 필요가 있었다. 2005년, 중국과 일본은 다시 한번 합작에 나서 두 번째 실크로드 관련 다큐멘터리 『신실크로드(新シルクロード, 新絲綢之路)』를 찍는다. 이 작품은 러우란(樓蘭), 투루판(吐魯番), 초원의 길(草原之路), 허톈(和田), 구자(龜茲), 둔황(敦煌), 칭하이(靑海), 헤이쉐이청(黑水城),카스(喀什), 시안(西安) 등 10개 지역을 선정해서 촬영을 진행했다. 한편 중국 CCTV, 일본 NHK, 한국 KBS는 편집을 통해 각자 다른 3개의 판본을 만들어내기로 결정한다. 당시 NHK와 KBS는 합작 관계에 있었으므로 KBS는 프러덕션 과정에 참여하지 않고도 NHK가 제공하는 소스를 받아서 완성물을 내놓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실크로드를 소재로 한 한중일 다큐멘터리 중 걸작품인 ‘신실크로드’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중일 실크로드 소재 다큐멘터리의 발전 배경에 대해 서술한 후 제3장에서 테마와 기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술하였다. 테마 부분은‘불교와 도시’라는 두 가지 주제를 통해, 불교와 도시에 대한 형상화를 어떤 방식으로 전개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중일 제작 기법을 비교하여 각각의 편집본이 지닌 장점과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중일 판본의 특징을 문화적 요인과 비문화적 요인으로 구분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중일 다큐멘터리 ‘신실크로드’는 세 나라의 정치경제적, 역사문화적 그리고 과학기술의 차이 등에 의해 차이가 생겨나게 났음을 지적하였다. In 1979, Japan and China jointly produced silk Road, a documentary film on the silk Road for the first time. In the period of reform and opening up, China urgently needs to introduce advanced photography experience and technology. In 2005, China and Japan worked together again to produce the second Silk Road documentary, The New Silk Road. Loulan (Hulan River), Turpan (Turuyi), The Long Grass Road station on the Grassland), Xuhe Tiantian (Qiuci Qiuci), Dunhuang (Dunhuang), Qinghai (Qing Hai), Haishecheng (Heilongjiang Province), Kashi (Kashgar), and Xi 'an (Xinhua) were selected as 10 locations for the film. Meanwhile, China Central Television (CCTV), Japan s NHK and Korea s KBS will edit and produce three different versions. At that time, NHK and KBS had a cooperative relationship, so KBS could produce the finished product without participating in the promotion process by obtaining sources provided by NHK. This paper analyzes the new Silk Road, one of the masterpieces of the Trilateral documentary on the Silk Road. The specific content is: first of all,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the Documentary on the Silk Road theme of Korea, China and Japan is described, and then the theme and techniques are elaborated in the third chapter. The theme part analyzes how to visualize Buddhism and the city through the two themes of "Buddhism and the city". Chapter four compares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finds out the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ective editions. In chapter 5,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Japanese and Chinese versions are divided into cultural and non-cultural factors. Finally, the documentary "The New Silk Road" points out the differences in politics, economy, history, 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the three countries.

      • 실크로드 세계유산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 시안 유적을 중심으로

        백국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시안은 중국 황하 중류에 위치해 있으며, 찬란한 역사와 풍부한 문화적 자원을 지니고 있는 중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고대도시이다. 2014년에 시안에 속한 한나라 장안성 미앙궁유지, 당나라 장안성 대명궁유지, 대안탑, 소안탑, 흥교사탑 5개 전통문화 유적지가 '실크로드: 장안-천산 회랑 노선망'에 의하여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본 연구는 이 5개 유산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구체적 문화원형, 공간구성 및 현존 콘텐츠 활용 상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시안에 있는 실크로드 세계유산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안은 역사상 주나라, 진나라, 한나라, 당나라 등 13개 왕조의 수도였고, 고대 중국의 발전 역사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였다. 시안과 실크로드의 관계는 우선 역사적 차원에서 시안은 실크로드의 출발점으로 한나라 때 실크로드가 개척된 이후, 제반 유리한 조건으로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고, 당나라에 와서 국제적 대도시로 부상하게 되어 동서양의 교류와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오늘날 시안은 실크로드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후에 실크로드의 상징 도시로서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신실크로드와 일대일로 전략을 추진함에 따라 시안에 있는 실크로드 세계유산에 대한 활용이 도시 전체적 발전에도 큰 의미가 있다. 미앙궁유지, 대명궁유지, 대안탑, 소안탑과 흥교사탑은 한나라·당나라의 궁전 유적과 건조물 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세계유산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특히 미앙궁유지는 실크로드의 구체적 시작 장소로 추정되어 있어 독보적 가치와 의미가 있다. 따라서 전체적 활용 및 구체적 콘텐츠 개발에 있어 유산의 진정성과 완전성 유지를 전제로 해야 한다. 세계유산의 보존과 활용 기준에 따라 문화콘텐츠 차원에서 사실적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고, 이런 콘텐츠는 대중들이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시안에 있는 5개 실크로드 세계유산은 현재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명궁유지는 대명궁국가유지공원으로, 소안탑은 소안탑 관광지구로, 대안탑은 대안탑 관광지구로, 흥교사탑은 불교사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미앙궁유지는 현재 국가유지공원으로 개발하는 과정에 처해 있다. 각 유적지 활용에 있어 전시, 영상, 공연, 축제, 광장, 지역문화공원, 교육, 체험 등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졌다. 특히 축소 경관, 고고탐색중심, 대명궁IMAX영화관, 천복사 안원 피영희 등 콘텐츠는 문화원형에 맞게끔 창의적 이념으로 참신한 콘텐츠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대안탑은 '문화+도시+여행'이라는 '곡강모델'의 첫 시도로 선구자적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에 있는 다른 유적지의 개발이나 지역의 발전에 중요한 참고 가치가 있다. 그러나 상당히 좋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아직 부족점이 있고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 특히 면적이 넓은 미앙궁유지와 대명궁유지의 경우 가시적 경관의 결여, 문화원형의 재현, 콘텐츠의 부족 등 문제가 있다. 대안탑은 시안 가장 중심 자리에 있고 도시의 상징이라 찾아가는 관광객이 많으므로 과도한 상업화라는 지적이 많다. 소안탑은 시안박물원의 성장에 따라 콘텐츠 부족 문제를 많이 해결하였으나, 시안박물원 관리 시스템에 속해 있기 때문에 소안탑 가치에 대한 발굴이 부족하여 이미지 약화라는 결과가 초래된다. 흥교사탑은 2013년에 발생했던 '흥교사사건'으로 인하여 현재 순수한 불교사원으로 활용되는 것은 유적지 보호에 기여하고 있으나, 흥교사탑이 가진 가치와 의미를 널리 알리지 못한 것은 아쉽다. 따라서 여러모로 시안에 있는 실크로드 세계유산에 대한 활용에 부족함이 많아 제반의 콘텐츠 개발과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안에 있는 실크로드 세계유산에 대한 구체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 원명원유지, 수원화성, 통도사 네 개 사례의 성공적 경험과 융합하여 관련 활용 대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실크로드 세계유산은 본질적으로 문화경로 유산이기 때문에 전체적 공간구성에 의한 노선형 콘텐츠 개발을 해야 한다. 이는 실크로드 유산이 다른 유적지와 구별되고 참신한 콘텐츠 창출에 가장 좋은 선택이라 할 수 있다. 노선 설계를 통하여 모든 유적지를 연결하게 될 것이고, 실크로드 관광 인증서와 각 유적지의 로고 및 스탬프 이미지 설계를 통하여 유적지 정체성을 보여주고, 관광객에게 재미있고 신선한 체험을 주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미앙궁유지와 대명궁유지는 한나라 장안성과 당나라 장안성의 황궁 유적지로 우리가 한나라, 당나라 때의 미앙궁과 대명궁을 상상하기가 매우 어렵기에 문화원형의 디지털 복원이 필요하다. 또한, 각 유적지는 문화원형 소재를 바탕으로 구체적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본 유적지만의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5개 유산의 문화원형에 관한 풍부한 인물 소재와 사건 소재가 있으므로, 이러한 소재를 바탕으로 적당한 공간에서 사실적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전시, 체험, 공연 등 장르의 콘텐츠가 개발된다면 유적지 활성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요컨대, 시안에 있는 실크로드 세계유산은 시안이라는 도시의 중요한 전통적 역사문화자원으로 역사상 커다란 역할을 하였듯이 오늘날 중국에서 신실크로드와 일대일로 건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현실적 가치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문에서는 시안의 5개 실크로드 세계유산 활용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하여 문화콘텐츠라는 차원에서 관련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에 관한 실제적 활용이 가능해진다면 각 유적지만의 발전은 물론이고, 지역적 전체의 발전을 추진할 수 있는 동시에 시안이라는 도시의 이미지 정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Yellow River, Xi’an is known for its splendid history and rich cultural resources,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ncient capitals of China. In 2014, five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in Xi’an were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under the “Silk Roads: Initial Section of the Silk Roads, the Routes Network of Tian-shan Corridor”. In this paper, the five cultural heritage sites in Xi’an are mainly concerned with specific and detailed analysis from three perspectives: cultural archetypes, spatial composi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use. Afterwards, a specific plan for their use is proposed from the overall perspective of the world cultural heritage at the Sites of Xi’an. The Site of Daming Palace in Chang’an City of Tang Dynasty has been developed into a national heritage park; Great Wild Goose Pagoda and Small Wild Goose Pagoda form a scenic area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the Xingjiaosi Pagoda, located inside the Xingjiao Temple, is still in use as a Buddhist monastery; and Site of Weiyang Palace in Chang’an City of the Western Han Dynasty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and will be built into a national heritage park. In the process of concrete utilization, each site has developed various types of cultural content, such as exhibitions, videos, performances, festivals, squares, historical and cultural parks, experiences, education and other cultural content. But, in spite of the excellent results that have been achieved in the use of the sites, there are still many shortcomings that need to be continuously improve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World Heritage Sites of Xi’an, with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Routes of Santiago de Compostela, the Old Summer Palace Ruins, the Hwaseong Fortress, and Tongdosa, enables us to propose concrete solutions for the promotion of Silk Road World Heritage at the Sites of Xi’an. First of all, as the Silk Road heritage is essentially a cultural route heritag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cultural content of the route, which will become a new form of cultural content for the Silk Road heritage enough to distinguish itself from other heritage, by connecting each site to the development of route products. Secondly, with regarding the Site of Weiyang Palace and the Site of Daming Palace as the palace ruins of Chang’an City in the Han and Tang dynasties, it would be difficult to imagine the past from the current state of the ruins alone. Thu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prototypes. In addition, each site needs to develop multiple types of cultural content through specific narrative research, starting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In short,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Sites of Xi’an, as an important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the city,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istory, beating important practical value and significance in actively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the New Silk Road and One Belt and Road. This paper has proposed the relevant application schemes from the cultural context approach through the specific analysis of the five World Heritage sites in Xi’an. The substantive application of these schemes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sites themselves, as well as enhance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region, particularly help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better urban image of Xi’an.

      • 서하(西夏)의 실크로드 무역 연구

        유나나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서하(西夏) 서하(西夏) 왕조는 AD 1038년에서 1227년까지 티베트 계통의 탕구트(党項, Tangut)족이 중국 서북부의 오르도스(Ordos)와 간수(甘肅) 지역세 세운 나라이다. 서하는 동서교역을 매개하며 유목과 농경, 불교 문화가 결합된 독특한 문화를 발달시키며, 내몽고에서 둔황(敦煌), 난주(蘭州)에 이르는 지역을 차지했다. 그후 서하는 1207년 몽골에 복속된 후 1227년 징기스칸의 공격을 받아 멸망하였다. 이제까지 서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서하 문자와 불교 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서하의 실크로드 무역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과 중국의 기존 연구를 기초로 하여 서하 실크로드 무역의 전모를 밝혀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당시 실크로드 무역에 관해 알 수 없었던 부분을 밝혀내 세계 실크로드 무역사 연구에 일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하의 교통로를 서하가 실크로드를 장악한 전후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서하가 실크로드를 장악하기 전에는 영주(靈州)․하주(夏州)․경원(涇原)․진주(秦州) 4개의 교역로가 있었고, 실크로드를 장악한 후에는 청당로(靑唐路)가 있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서하의 중계 무역과 교역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술하였다. 무엇보다 서하의 물품이 어떻게 중계 무역의 방식으로 실크로드 상의 무역이라는 경제 행위에 참여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였다. 또 서하와 실크로드 연선 국가와의 무역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서하는 전반기에 주로 북송과 무역을 하였고, 후기에는 금나라가 중요한 무역 대상이었다. 무역 형식은 각장(榷場) 무역․조공(朝貢) 무역․화시(和市) 무역․밀무역으로 나누어서 서술하였다. 한편 서하는 주변의 송․요․금과 교역한 것 외에, 대식(大食)과 회골(回鶻) 등 서역과의 교역을 중시하여 특별한 우대 정책을 실시하였다. 또한 서하와 고려와의 교역에 대해서도 서술하였다. 본 논문은 수집한 자료를 통해 서하와 고려가 교역했을 가능성에 대해 초보적인 분석하였다. The western xia dynasty was founded between 1038 and 1227 in Ordos and gansu regions of northwest China on the basis of the tanggut people.The western xia was the medium of east-west trade, breeding a unique combination of nomadic, agricultural and buddhist cultures, which included Inner Mongolia, dunhuang and lanzhou.Thereafter, the western xia was destroyed by the attack of genghis khan in 1227. But the study of the silk road trade in the western xia dynasty is still in its infancy.Based on the studies of Japan and China, this paper intends to summarize the overall picture of the silk road trade in the western xia dynasty.Through these, we can find out what we could not understand about the silk road trade at that time, so as to help us study the history of the world silk road trade. This paper describes the traffic situation in xixia.It describes the traffic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of the silk road by the western xia dynasty.Before the western xia took control of the silk road, there were four roads, lingzhou, xiazhou, jingyuan and qinzhou The first half of the western xia mainly traded with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the later jin dynasty was an important trade object.In terms of the form of trade, it can be divided into market trade, tribute trade, market trade and smuggling trad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paper makes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transactions between tangut and koryo.

      • 실크로드와 일대일로의 비교연구

        조군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rigin of Silk Road can trace back to the 5th century BC. It was the major pathway for communication and trade between the Europeans and Asians at that time. On 7th September 2017, China's President Xi noted in his speech at Kazakhstan Nazarbayev University that to build the Silk Road Economic Belt together. In October the same year, he again noted the initiative of building the 21st-Century Maritime Silk Road together during his visit to Central and Southeast Asia, which gained extensive international attention. Later, these two concepts “Silk Road Economic Belt” and “21st-Century Maritime Silk Road” were combined and known officially as the B&R (the Belt and Road) national strategy. Same as the Silk Road concept from ancient time, B&R strategy focuses on linking the Eurasia and the Ocean roads. Although B&R strategy gained many positive reaction international wide, however the New Criticism had challenged it with its domination right issue.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B&R to better understand it. The article starts with the origin and current progresses of the ancient Silk Road and the B&R strategy. Following with an analysis of the basic concept, geographical range and trade relating issue of both ancient Silk Road and the B&R. The analysis shown that the ancient Silk Road is the backbone of the B&R, yet is was not efficiently used for econnmic development nor for efficiently gaining trade benefits by China, but was mainly used by Persian and Arabs from Central Asia. With the geographical range and trading strategy of the ancient Silk Road aspects, it was restricted by lacking of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technology. Today, B&R had overcame those problems with the support of great industri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global logistic system. It adheres the spirit of ancient Silk Road: friendship and sharing. It lays out five major goals to build shared future with related countries. Through facilities connectivity, unimpeded trade, financial integration, and people-to-people bonds, to achieve a better world peace and rapid development worldwide. 실크로드의 역사적인 뿌리는 기원전 5세기에서 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실크로드는 유럽과 아시아 민족의 교류와 교역의 중요한 통로였다. 15세기 유럽이 바다를 통한 대항해에 나설 때까지 이 실크로드는 문명과 물자의 가장 중요한 교류통로였다. 그로부터 500년이 지난 오늘날 중국은 ‘일대일로(一带一路,One Belt and One Road)’를 제시하였다. 고대 실크로드처럼 ‘일대일로’ 전략은 유라시아와 대륙을 내륙과 해양으로 각각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고대 실크로드와 일대일로는 많은 점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동서양의 교류 그리고 교역루트 등에서 많은 측면에서 중복되고 있다. 경제교류뿐만 아니라 문화 및 정치적 교류 등을 포괄하고 있는 점도 유사하다. 그런 한편 시대적 배경과 포괄범위 그리고 교류와 교역의 내용 등에서 차이도 적지않다. 고대 실크로드는 왕정지배하의 고대적 질서에서 주로 사치품을 중심으로 교역이 이루어진 반면 일대일로는 현대의 매우 발달된 경제를 배경으로 다양한 상품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험하고 위험한 육로와 해로를 따라 교역과 이동이 이루어진 반면 오늘날에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고속도로와 철도가 교역과 소통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아울러 고대의 실크로드가 주위의 국가들의 성쇠에 따라 부침을 겪었다면 일대일로는 참여하는 국가들의 공동번영과 공통이해를 바탕으로 좀 더 항구적인 교역과 교륙의 길을 추구하고 있다. 나아가 일대일로 전략은 많은 생활필수품과 경제건설에 필요한 물자이동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과거 실크로드보다 훨씬 심대한 영향을 각 나라에 줄 것이 예상된다. 과거 실크로드의 경우 주로 사치품의 이동에 국한되어 각국의 경제구조에 심대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일대일로는 다양한 수송수단에 의해 많은 물자들이 한꺼번에 이동함으로써 경제구조에 매우 큰 영향을 줄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일대일로를 통해 관련 국가들의 경제구조 및 산업은 새로운 단계로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 西北絲綢之路茶文化的發展和向後展望 : ——以中亞茶文化為中心

        류심죽 목포대학교 대학원 국제차문화과학협동과정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실크로드’라는 개념은 독일의 지리학자 페르디난트 폰 리히호펜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다. ‘실크로드’는 장안에서 시작하여 간쑤(甘肅), 신장(新疆) 등 중국 을 거쳐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및 유럽을 통해 서쪽 끝 로마(羅馬)까지 미쳐 있다. 이 길은 ‘육로 실크로드, 즉 ‘서북 실크로드’ 라고도 불린다. ‘실크로드’는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나뉘는데, 넓은 의미로는 ‘육상 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로’ 나뉘며, 좁은 의미로는 장건(張騫)이 개통한 ‘서북 실크로드’、‘초원 실크로드’、 ‘남방 실크로드’, ‘해상 실크로드’가 있다. 장건(張騫)이 ‘실크로드’를 개척면서 중요한 국제무역통로가 열렸다. 중국의 특산품인 실크、찻잎、자기 등이 이 길을 따라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유럽으로 운송되었다. 중앙아시아의 서아시아와 유럽 지역 상품도 이 경로를 따라 중국으로 운송되면서 각 지역의 선진 생산기술과 문화, 사상 등이 서로 교류되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배경, 연구목적, 연구의의, 기존연구현황과 본 고와의 차이점, 연구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고대 실크로드’의 노선과 그 형성을 살펴봄과 동시에 ‘서북 실크로드’, ‘초원 실크로드’, ‘남방 실크로드’, ‘해상 실크로드’의 4가지 주요 노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 3장에서는 본 논문의 주요 코스인 ‘서북 실크로드’를 부각시켜 ‘서북 실크로드’의 형성과 발전을 왕조 순으로 기술하였으며, 이 중 ‘위진남북조 시대’와 ‘수당 시대’를 중심으로 서술함과 동시에 ‘서북 실크로드’ 차 문화가 어떻게 전파되었는가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인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전파된 차문화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차와 차 문화는 ‘서북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 5개국’으로전파되었으며, ‘중앙아시아 5개국’에 새로운 음료 경험을 가져다 주었고 차는 중앙아시아 지역 사람들에게 큰 환영을 받았다. 중국의 차 문화와 중앙아시아의 민속과 풍습, 식습관이 어우러져 중앙아시아 고유의 차 문화를 형성하게했으며 중앙아시아 차 문화는 세계 차 문화에서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자산이 되었다. 제5장에서는 주로 중앙아시아 지역의 차 문화에 대한 향후 전망과 정책을 건의하였다. 이 장에서는 ‘서북 실크로드’의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차 문화의 새로운 시사점을 기술하였는데, 여기에는 ‘일대일로’(一帶一路)의 구축과 시대적 가치가 포함됐다.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통해 중앙아시아의 경제、문화 등이 함께 발전하고 번영했다 제 6장에서는 본문을 요약함과 동시에21세기 차 문화의 발전 방향과 ‘서북 실크로드’의 문화 정책,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서북 실크로드’의 차 문화 교류방안을 서술하였다. ‘서북 실크로드’의 발전은 ‘중앙아시아’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중앙아시아’의 발전은 ‘실크로드’와 상호 보완하면서 발전했다. 중국의 차 문화는 ‘서북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로 전파되고 지역 문화와 융합하여 새로운 중앙아시아만의 혁신적인 ‘중앙아시아 차 문화’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세계 차 문화 발전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키워드: ‘서북 실크로드’, ‘차 문화’, ‘중앙아시아 지역’, ‘일대일로’, ‘실크로드 경제벨트’, ‘중앙아시아 차 문화’있다. <Abstract> The concept of the“Silk Road” was first introduced by the German geographer Ferdinand Paul Wilhelm Freiherr von Richthofen, and began in Chang'an, with a route from Gansu, Xinjiang and other areas of China to Central Asia, Western Asia and Europe. The western route extends to Rome in Europe. This route is also known as the 'Land Silk Road', or the 'Northwest Silk Road'. The Silk Road is generally divided into a broad and a narrow sense, with the broad sense being divided into the Land Silk Road and the Maritime Silk Road, and the narrow sense being divided into the "Northwest Silk Road", the "Grassland Silk Road", the "Southern Silk Road" and "Maritime Silk Road". With the opening of the Silk Road by Zhang Qian in the Western Han Dynasty, an important international trade route was built. The Silk Road was the route along which Chinese products such as silk, tea and porcelain were shipped to Central Asia, Western Asia and Europe, while goods from Central Asia, Western Asia and Europe were also shipped to China along this route.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the route of the Ancient Silk Road, including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and its cultural significance, then the routes are divided into the 'Northwest Silk Road', the 'Grassland Silk Road', the 'Southern Silk Road', and the 'Maritime Silk Road', these four routes are described in detail. The Silk Road and tea culture were inextricably linked, and tea culture was spread further and further along the Silk Road, evolving and changing. Chapter 3 highlights the main route of this thesis, the 'Northwest Silk Road', and describes the changes in the formation of the 'Northwest Silk Road' in the order of dynasties. Among the dynasties, the ‘Wei’ and ‘Jin’ dynasties, and the 'Sui’ and ‘Tang’ dynastie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periods,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At the same time, it also describes how the tea culture was spread along the Northwest Silk Road, including the "Ancient Tea Horse Road" and the "Ten Thousand Mile Tea Road". Chapter 4 begins the central study area of this thesis - the 'Central Asian reg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Central Asian region, 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Central Asian region. In order to make the names of the countries more intuitive and easier to understand,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of Uzbekistan, Kyrgyzstan, Tajikistan, Turkmenistan and Kazakhstan ar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entral Asian region. The story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se five countries and the Silk Road, as well as the spread of Chinese tea and tea culture to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through the Northwest Silk Road. Chinese tea and tea culture brought a new beverage experience to thes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and tea was greatly welcomed by the people of Central Asia, and Chinese tea culture and the folk customs and eating habits of Central Asia fused with each other, thus forming a unique Central Asian tea culture and Central Asian tea rituals. This has led to the formation of a unique Central Asian tea culture and Chinese tea rituals, making the tea culture of Central Asia an indispensable and valuable asset to the tea culture of the world. Chapter 5 is devoted to the future outlook of tea culture in Central Asia, including the age values of the "One Belt, One Road" . Through the Silk Road Economic Belt, the Central Asian region will develop and prosper together economically and culturally. Since China proposed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many countries have responded positively. Given that the geographical advantage, coupled with its long-standing relationship with the Silk Road, the Central Asian region has made exchanges and development more convenient. Chapter 6 focuses o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21st century. Besides, the cultural policy direction and the tea culture proposals of the "Northwest Silk Road" are the key issues explored in this chapter. In this thesis, in choosing the topic of the thesis, I found that there are many scholars who have studied the Silk Road, but there are very few scholars who have subdivided the topic into "tea culture of the Northwest Silk Road". There are even fewer writings on "tea culture in Central Asia" and "tea culture in Central Asia", and there is not even a single relevant master's or doctoral thesis on the China Knowledge Network. After reading the results of the search, I was deep in thought, what is the reason for this situation? "The development of the Northwest Silk Road is inseparable from the Central Asian reg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entral Asian region is inseparable from the Silk Road. The two complemented each other and contributed to each other's success. The tea culture of China was spread to Central Asia through the Silk Road and fused with the local culture to form a new and innovative "Central Asian Tea Culture", which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the world. With this belief in mind, I have chosen the topic of ‘ The Development and Prospect of Tea culture along the Northwest Silk Road——Centered on Tea culture in Central Asia ’ for my research. I hope that in my study can enrich the related research, so that the Central Asian region and its tea culture can be taken seriously and more and more scholars can discover this treasure of Central Asia as an important region. Through a stud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Northwest Silk Road and the route of the Northwest Silk Road, the analysis of the expanded route is followed,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ea and tea culture along this route is written, and the new experience and changes tea culture has brought to people's lives along the route through the Northwest Silk Road are analyzed, followed by a section highlighting the future outlook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ea culture in Central Asia. The subsequent section of the study highlights the future outlook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ea culture in Central Asia, with chapters on the inspiration of tea culture for the new era of the Northwest Silk Road and the contemporary values of the Belt and Road,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advancement of tea culture along the Northwest Silk Road in the 21st centur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ea and tea culture, the historical status and value of the Northwest Silk Road in the ancient Silk Road is restored,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rthwest Silk Road and the tea culture of Central Asia is affirmed. It also looks forward to a brighter future for tea culture in Central Asia. Key words: ‘Northwest Silk Road’, ‘tea culture’, ‘Central Asia’, ‘One Belt, One Road’, ‘Silk Road Economic Belt’, ‘Tea Culture in Central Asia’.

      • 중국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 연구 : 경제확장 전략인가? 해양안보 전략인가?

        정태요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0

        How would the Chinese dream of 'the great renascence of the Zhonghua minzu' presented by Xi Jinping(習近平) Chinese president be realized? What proposals would China suggest to the neighbors and the world to secure international voice, at this important point when China is emerging? "China's Belt and Road Policy" may be regarded as the answer to the above questions.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Central Diplomatic Work Conference as the supreme policy decision making body in Chinese diplomacy announced 10 diplomatic thoughts of Xi Jinping at the conference held in Beijing on June 22. Here, the proceeding of the "China's Belt and Road Policy" was included. This shows the weight of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China's Maritime Silk Road Initiative) as one axle of the "China's Belt and Road Policy", within the Chinese diplomacy. Then, is the "Chines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a strategy for economic expansion, or the strategy to establish marine security? This may be regarded as the query in this thesis. The precedent studies have focused on whether "Chines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is the response to the Asia rebalancing policy of U.S. or to the Trans-Pacific economic partnership (TPP). Also, the studies queried on whether China is challenging on the hegemonic position of U.S. in Asia Pacific region, and whether the aim of "21st Century Marine Silk Road Strategy" is political or economic.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presented by China is in fact the strategy to establish Chinese marine security. China intends to proceed the project to purchase ports to secure energy transportation path and construction of ocean Naval base, under th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Even though there are opinions that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is a strategy for economic expansion, the view that it is the strategy to establish marine security is more persuasive. In other words, China proceeds "Maritime Silk Road Strategy" to secure energy transportation path and construction of ocean Naval base with survival of the country as the supreme objective. Securing rights and military interest at the sea is the core factor in emergence of China. Recently China is endeavoring on development of North pole sea route as well, calling herself as a North pole country. Through North pole sea route, China would be able to secure natural gas. If the sea route connecting Europe-Bering Strait-Dalien port in East Sea, the North pole natural gas could be transported to China within 10 days. In comparison to 20 days in total in case of transportation from Europe to Strait of Malacca, this shall be acknowledged as an astounding development. However, th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has limitations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ly, within China, the conflict among the Navy, Air Force and the Army is continuing. Even though the role of Chinese Navy is getting further important and the necessity to protect Chinese marine interest is further imminent, still there are arguments that the power of Army shall be further enhanced. Representatively, Qiao Liang argues that China still need to strengthen the power of Army than Navy. Secondly, in comparison of comprehensive national power of U.S. and China in Asia Pacific region, still comprehensive national power of U.S is in advance to that of China, in both aspects of economy and military. In case Chinese Navy expands assignment of forces in the Indian and Pacific Ocean under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U.S. Navy is anticipated to respond under the following way. Firstly, U.S. Navy will often appear within the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and nine dash line within East China Sea to confuse the Chinese. Secondly, U.S. is anticipated to enhance joint marine maneuvering exercise with alliances in the Asia Pacific region. Thirdly, U.S. is expected to assign more troops in this region. There are numer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course of proceeding Chinese strategy. First is i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omestic policies. The emergence of "Maritime Silk Road Strategy" attracted attention from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ecialists. As interpretation by each country differs, it is not easy to derive any unified opin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situation, each province of the mainland is endeavoring not to be alienated in the process of "Maritime Silk Road Strategy" and secure benefits therefrom. Secondly, limitation comes out of insufficient confidence between some countries and China. Some countries, though active in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cooperation areas with China, still are suspicious on the project to establish Chinese marine security. And there are many countries that are in alliance with U.S. along the lines of "marine silk road", often these countries had to study the face of U.S. to see if U.S. feels uncomfortable. Thirdly, there are risks in investment and financing in the course of proceeding "Maritime Silk Road Strategy". Fourth, there are problems that could emerge in the course of corporate's advancement overseas. Corporate would have to confront the issue of unfair competition and subsidy in overseas market, and they have resolve the problems emerging in the course of such issues. Also, corporate shall be mindful to avoid any conflict with local resident, in the course of proceeding overseas business.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제시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은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까? 중국이 부상하는 이 중대한 시기에 국제적인 발언권을 확보하기 위해 주변과 세계에 어떤 제안을 내어놓을 수 있을까?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라고도 할 수 있다. 중국 외교의 최고 정책결정기구인 중국공산당 중앙외사공작회의는 지난 6월 22일 베이징에서 열린 회의에서 시진핑 외교사상 10가지를 발표하였는데, 여기에는 “일대일로 전략”의 추진도 포함되었다. 이는 “일대일로 전략”의 한 축이 되는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이 중국 외교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중국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은 경제 확장을 위한 전략인가? 아니면 해양안보 구축을 위한 전략인가? 이것이 이 논문의 질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중국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이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대한 대응인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대한 대응인지에 대해 집중되고 있다. 또 중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패권적 지위에 대한 도전을 하는 것인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의 목표가 정치적인 것인지, 경제적인지 것인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있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이 제시한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은 사실상 중국의 해양안보 구축을 위한 전략이다. 중국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하에 에너지 수송로 사업과 원양해군 기지 건설을 위한 항구 매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이 경제 확장을 위한 전략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이보다는 해양안보 구축을 위한 전략이라는 시각이 더 설득력이 있다. 다시 말해, 중국은 국가의 생존과 이를 위한 에너지 수송로 확보, 원양 해군기지 건설을 위해 “해상 실크로드 전략”을 추진한다. 해양에서의 권리 확보와 군사적 이익 확보는 중국의 부상에 핵심적인 요인에 해당한다. 중국은 최근에는 자신을 북극국가라고 칭하면서, 북극항로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북극항로를 통해 천연가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데, 유럽-베링해협-동해-다롄(大连)항으로 이어지는 노선을 이용하면 열흘안에 이 지역의 천연가스를 중국까지 운송할 수 있게 된다. 유럽에서 말라카해협까지 총 20일이 걸렸던 것에 비하면 이는 굉장한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먼저 중국내부에서는 해군과 공군, 육군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비록 중국 해군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해상에서 이익을 보호해야할 필요성이 강해졌지만, 여전히 육군의 세력을 더 증강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대표적으로 차오량은 중국은 아직 해군력보다는 육군의 세력을 더 증강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째,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의 종합국력을 비교했을 때, 아직까지 미국의 종합국력은 경제, 군사 방면에서 모두 중국을 앞서고 있다. 중국 해군이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을 통해 인도양과 태평양 지역에서 해군 배치를 원활화하게 되면, 미국 해군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미국 해군은 동중국해 방공식별 구역과 구단선내에 종종 나타남으로써 중국을 혼란스럽게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미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동맹국들과 해상에서의 합동 훈련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미국은 이 지역에서 더 많은 군사를 배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진과정에서도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첫째, 국내정책 설계와 실행의 문제점이 있다. “해상 실크로드 전략”이 제기되자 국내외 많은 이목이 집중되었다. 각국의 해석도 모두 달라서 국내외적으로 통일된 의견을 만든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둘째, 몇몇 국가들과 중국간의 신뢰부족으로 인한 한계가 존재한다. 몇몇 국가들이 중국과의 경제협력 분야에서는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면서도 중국의 해양안보 구축을 위한 사업에는 여전히 의구심을 지니고 있다. 셋째, “해상 실크로드 전략” 추진과정에서 투자 및 자금조달의 위험이 있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해상 실크로드 전략"은 성공하기 힘들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