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설계 및 효과 :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를 중심으로

        이경숙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design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concept focusing on「Designing My Home」unit of Technologyㆍ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first grade High School and examine its effects. To accomplish this goal, it developed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teachingㆍlearning process method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concept,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after applying to the class on the improvement of morality as well as perception on the instruction and the degree of universal design demand for living spa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otal 46 with respective 24 female and male students in an academic high school in H gun, Gyeongsangnam-do. The survey subjects for the morality test of pre-and post-class were 46 before class and 43 after class except for 3 who were transferred to another school during the research. The survey subjects for the perception test about the class were 46. The morality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of 6 lessons planned to analyze educational effects of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the impression reports were collected as the data of performance appraisal of post-class. To grasp the perception on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and the degree of universal design demand,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eaching methods, contents, effects, students’ perception of post-class, universal design demand in the future living space as well as the depth interview of six students were conducted to deeply examine students’ perception changes. For the data proces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performed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and t-test by using SPSS 15.0 program, and the content of transcribed data of the depth interview to grasp the class perception deeply was analyzed and students’ impression reports were analyzed by applying KJ method as the data of performance appraisal to know the effects of mora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of this instruction is to apply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newly reconstruct subject contents focusing on practical problems. As the process of solving practical problems, this study focu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onsisting of perception on problems and understanding of contexts, researching of alternatives of problems, and executing of practical tasks considering the results of alternatives, and particularly study materials for the alternative experience program to improve learning effects. In order to apply the alternative experience program to the class easily, it introduced the preparation for experiences, preparation process, and worksheet in detail by means of experience pictures and drawings. Second, the morality score verifying the class effects of the post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overall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pre-class.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sense of community’ and in the detailed items of ‘equalit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a sense of community’ among the sub-areas of mora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class impression reports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morality deeply,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including alternative experience programs made students have consideration about the social weak such as the disabled, children, pregnant women, and old people,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for the old and elders, and it was related to practical actions such as proposing policies to schools and local community for living together. A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depth interview on the perception of the instruction, the students perceived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positively with the interest. In particular, they understood it easily through alternative experience activities, discussion activities, and learning process of sharing information compared to a unilateral knowledge-based instruction method and could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In addition, their perception on housing and living environment of local community was changed, and accordingly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was foun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the class and changes of perception. Universal design demand in the future housing after class was shown to be high overall, which showed the high instruction effects. In particular, the demand of bathroom space with accidents in a house was high. Therefore, universal design and perception on home safety accidents seem to be created so that the perception of what to do for safe and convenient living life is intensifi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with experience programs increased students’ instruction interest, satisfaction, and mortality, and hopefully, various practical problem-focu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by different section of Home Economics subject to develop morality including consideration about others, respect for seniors, equality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a sense of community.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aimed to propose a few suggestions for considerations when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instruction with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concept is used to the school as well as for follow-up studies. First, when developing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of the unit for the practical inference class in the TechnologyㆍHome Economics subject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are required to construct the contents to experience in person for dynamic and self-directed instruction program.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alternative experience program were the lack of relevant development teaching materials, unsatisfactory demand of various experiences, and safety problems of experience activities. First of all,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information for various activities are so insufficient that their development and sharing are urgent. Besides, it fails to respond to learners’ selective demands for the desired experience programs due to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resulted from constraints of time and things, so the countermeasures such as exchanging of teaching materials between neighboring schools are required. In addition, it needs to seek for safe experience methods such as peer teachers or teaching support teams of local community for the safety of experience places expanded to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econd, the morality virtue used in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rality index development of the Korean society, and its virtue and value is so wide that the measurement of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teaching effects can be somewhat insufficient. Therefore, if the questions reflecting the virtue related to education contents of Home Economics subject or reality are constructed,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the instruction effects. Also, regarding the morality response, socially desirable response seems to be high, so it is insufficient to evaluate morality only b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the development of test tool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asurement is required. Universal design is not a limited concept in a major living area, but a concep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areas, so such a perspective can be applied to diverse areas of Home Economics subject, and it is hope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 중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단원을 중심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하고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나의 주거 공간 꾸미기」단원에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수업 적용 후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도덕성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과 수업에 대한 인식과 주거공간에서 유니버설 디자인 요구도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H군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전교생 2개 학급으로 남학생 24명과 여학생 22명의 총 46명이다. 수업전·후의 도덕성 검사를 위한 조사대상은 수업 전에는 46명이며, 수업 후에는 연구기간 중에 전학한 3명을 제외한 43명이다.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질문지 조사대상은 46명이다.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계획된 6차시의 수업을 전개하기 사전·사후에 도덕성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업후에 수행평가의 자료로 소감문을 수집하였고,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유니버설 디자인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업방법, 수업내용, 수업효과, 수업 후의 학생의 인식정도, 미래의 주거공간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요구도 등에 관한 질문지 조사와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심도있게 알아보기 위한 심층면접을 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질문지 조사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 검증을 하였고, 수업인식을 심도있게 파악하기 위한 심층면접은 전사한 자료를 내용분석하였으며, 도덕성의 효과를 알기 위해 수행평가의 자료로 수집한 학생들의 소감문은 KJ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수업지도안의 특징은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새롭게 교과내용을 재구성하였다는 점이다. 실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으로 문제점의 인식과 맥락의 이해, 문제의 대안점 탐색, 대안의 결과를 고려한 실천과제 실행으로 구성한 수업지도안과 특히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체험 프로그램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대안체험 프로그램을 수업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체험사진이나 그림 등을 통하여 체험준비물, 준비과정 및 활동지를 자세하게 안내하였다. 둘째,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후의 수업효과에서 검증한 도덕성 점수는 수업 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특히 도덕성의 하위영역 중 ‘공동체의식’에서 수업 전·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평등 및 인권존중’과 ‘공동체의식’의 세부문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도덕성의 효과가 심층적으로 파악된 수업소감문 분석에서는 대안체험 프로그램을 포함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장애우, 어린이, 임산부, 노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인권 존중, 노인과 어른에 대한 공경심을 갖게 하며, 더불어 잘 살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에 정책제안을 하는 등 실천적 행동으로 연결되는 수업임이 입증 되었다. 수업에 대한 인식을 질문지 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수업방식과 수업내용에 대해 흥미롭게 생각하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일방적인 지식 주입식 수업방식에 비하여 대안체험 활동과 토론활동을 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학습과정을 통하여 쉽게 이해하였으며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수업 후 주거와 지역사회의 생활환경에 대한 의식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실천적 문제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의 수업 흥미를 높이고 의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수업임이 확인되었다. 수업 후 미래 주택에의 유니버설 디자인 요구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수업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주거 내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욕실공간에서의 요구도가 높았다. 이로 보아 유니버설 디자인 및 가정 내 안전사고에 대한 인식이 함께 형성되어 편리하고 안전한 주거생활을 위해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었을 것으로 유추된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체험프로그램이 설계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이 학생들의 수업흥미도와 만족도를 높였으며 도덕성 향상에도 효과적이었으므로 앞으로 가정교과의 영역별로 다양한 실천적 문제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안이 개발ㆍ적용되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에 필요한 타인배려, 경로효친, 평등 및 인권존중, 공동체의식 등의 도덕성을 발달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을 적용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 학교 현장에 활용될 때 고려해야 할 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실천적 추론 수업을 위한 단원의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 시에는 대안체험 프로그램과 같이 학습자가 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내용을 함께 구성하여 역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수업프로그램이 되도록 한다. 대안체험 프로그램의 실시 시 의 어려웠던 점은 관련 개발교재의 부족, 개별학생의 다양한 체험요구 미충족, 체험활동의 안전문제 등 이었다. 먼저 여러 가지 활동을 위한 교재개발과 정보가 부족하므로 이의 개발과 공유가 시급하다. 또한 물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불충분한 수업교구로 학습자의 희망 체험프로그램 선택요구에 부응하지 못하였으므로 인근 학교 간 교구 교류 등 대책이 요구된다. 아울러 학교나 지역사회로 확대한 체험장소의 안전을 위해 동료교사나 지역사회의 수업지원팀 등과 같은 안전한 체험방법의 모색이 필요하겠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된 도덕성 덕목은 한국사회의 도덕성 지표개발을 위한 것이므로 그 덕목과 가치가 너무 광범위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의 수업효과 측정에 다소 미흡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교과의 교육내용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덕목이나 현실을 반영한 문항으로 구성된다면 수업효과 파악이 더욱 용이할 것이다. 또한 도덕성 응답에서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응답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질문지만으로 도덕성을 평가하기에는 미흡하여 양적, 질적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주생활 영역에만 한정지어진 개념이 아니라 인간 생활의 물리적, 심리적 영역 모두에 해당되는 개념이므로 가정교과의 다양한 영역에 이러한 관점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앞으로 이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다문화실천가의 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훈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문화구성원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이들과의 실천적 관계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전문적인 실천능력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이 바로 문화적 역량이다. 이제 다문화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노력은 피할 수 없는 현실적인 요구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실천가들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이 어떠한 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다문화실천가들이 전문직으로서 갖춰야 할 인식과 태도를 점검하고 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를 설정하여,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의 관계에 대해 실천가가 지닌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훈련의 경험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수집은 서울·경기·인천 지역을 비롯한 전국의 96개의 다문화 관련 기관인 지역복지관, 이주민관련 NGO 기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국인근로자 지원기관, 그룹홈 및 지역아동센터 등에 종사하는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59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9.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 위계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조절적 다중회귀분석(MMR)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문화적 역량의 평균은 4.03(5점기준)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인 문화적 인식(4.36), 문화적 태도(4.22)에 비해 문화적 지식과 기술(3.89)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의 수준을 살펴보면, 전체 몰인종적 태도의 평균은 2.52로 다소 낮게 나타나, 다문화실천가들의 인종적 편견 및 인종주의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우려할만한 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 중에서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는 2.31,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는 2.81로 나타나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인종 차별이나 인종적 특권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체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대부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와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가 클수록 전체 문화적 역량을 비롯하여 문화적 인식, 문화적 태도, 문화적 지식과 기술 등이 모두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문화적 공감능력이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공감능력 중 정서적 공감능력은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역량 하위요소 간 모든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문화적 공감능력 중 인지적 공감능력은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인 문화적 지식과 기술 간에서만 조절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다문화 훈련의 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몰인종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인종차별과 특권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중 문화적 지식과 기술의 관계에서만 다문화 훈련 경험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역시 제도적 차별에 대한 몰이해 정도와 전체 문화적 역량,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인 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시도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문화적 역량을 감소시키거나 증진시키는 주요 영향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국내의 다문화 실천현장에서도 실천가가 어떠한 인종적 태도를 가지느냐에 따라 문화적 역량의 수준이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주지시켜주는 의미있는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사회복지분야에서 인종에 대한 편견 및 인종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몰인종적 태도'라는 개념을 조작화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넷째, 인종적 태도의 부정적 영향력을 완화시키고 문화적 역량의 증진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훈련 경험이라는 긍정적 보호요인들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문화적 역량 증진 전략을 위한 다양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은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토대가 되리라 본다. 문화적 역량은 실천가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변화노력이므로,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다문화사회복지 실천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As multicultural members in our society have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cultural competence is required as a professional practical ability in actual relation to them. Accordingly, to the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the promotion of cultural competence becomes an inevitable deman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among the service providers and to identify which elements give influence on, and then designs to derive certain positive elements in multicultural settings from examining the cognition and the attitude the service providers have to complete, which can change them as qualified experts. To do this study, Color-Blind Racial Attitudes was set as a main factor which affects on multicultural service providers' cultural competence in order to apprehend its influence on cultural competence. And this study have proceeded to analyze how the service providers'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 have reache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attitude and cultural competence. For this study, data have been collected through making surveys from the service providers engaged in 96 related multicultural organizations; regional welfare centers, immigrants related NGO,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supporting centers for foreign workers , group homes, regional children centers and others in Seoul, Gyeoggi, Incheon and other nationwide regions. Among the designed survey data, 594 papers were utilized for analyzing the final report. The analysis was implemented in using SPSS 19.0 and AMOS 20.0 programs on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MMR) consisted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OVA, and hierarchical analysis. and so on. Results indicate following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the service provid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s 4.03(datum point 5) on average.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 (3.89) rather indicate lower than sub-factors, cultural awareness (4.36), and cultural attitude (4.22). Secondly, multicultural service providers' average level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indicates 2.52. As its result is rather low, their non-understanding on racial prejudice and racialism is not high to some serious extent. Among those, the non-understanding extent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of privilege is 2.31, and of systemic discrimination is 2.81, which is somewhat higher than the former. Thir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on cultural competence shows that total cultural competence and most its sub-factors are subjected to the attentive influence. It shows the trend that as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f racial and systemic discrimination become higher, the extent of cultural cognition, cultural attitude,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become lower. Fourthly, the result of analyzing moderating effect of cultural empathy on in the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attitude and cultural competence shows that emotional competency in cultural empathy have moderating effect on all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and non-understanding on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element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However,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n systemic discrimination, and the general of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cognitive empathy in cultural empathy shows the moderating effect only on between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factor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as sub-factors in cultural competence. Fifth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experience in multicultural training in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shows only in between non-understanding extent to racial discrimination and privilege as the sub-factors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knowledge and technology as sub-factors in cultural competence. Also, there is no moderating effect on between the extent of non-understanding on systemic discrimination and the general and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Consequently, this study attempt and result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following: First, it offers a basic material for significant factors to promote or to lessen cultural competence. Second, it presents very corroborative results making a point that according to a service provider's racial attitud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will be variable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practice. Third, it suggests a theoretical basis that for evaluating racial prejudice and racial attitude in social welfare field, the notion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is able to be manipulated and to be applied. Fourth, it offers various experiential bases on the strategies to promote cultural competence by verifying the moderate effect of positive protection factors which can relieve the negative influence on racial attitudes and which can experience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To sum up, as cultural competence demands to make consistent change efforts, applicative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field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are followings: First, since a service provider operates significantly as a variable medium in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client, his/her effort and reflection on his/her own racial prejudice and attitude is set forth for promoting his/her cultural competence Second, the service provider's positive and practical intervention requires him/her to amplify his/her cultural empathy with a multicultural client. Third, the service providers have continuous opportunities to go through long term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

      •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이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홍미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우리나라 학교교육을 비롯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추구하는 교육정책의 방향은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과 그로 인한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 제고라고 할 수 있다. 즉, 학교교육의 핵심인 수업에서 교사의 역량을 높이는 것이 곧 교육의 질 향상 및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 증진으로 이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수업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관한 연구 및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과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와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practical teaching competence)이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school satisfaction)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을 학생수준과 교사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는 담임교사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교사수준의 변인을 통제했을 때,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검토, 예비검사,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연구에 필요한 5가지 척도를 직접 제작하거나 혹은 기존의 척도를 수정·보완하였다. 직접 제작한 ‘학교교육만족도 척도’의 하위영역은 ‘학교교육환경’, ‘학교교육활동’, ‘학교교육결과’로 구성하였고, 하위영역별로 각각 9, 8, 6문항씩 총 2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내재적 학습동기 척도’와 ‘부모-자녀 관계 척도’는 단일 요인으로 각각 5문항,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실천적 교수역량 척도’는 Baek, et al. (2007)이 개발한 중등교사 교수역량 척도를 활용한 황은희(2008)의 척도를 재구성하여 하위영역은 ‘계획과 조직’, ‘의사소통능력’, ‘학생과의 상호작용’, ‘교수·학습 환경 조성’, ‘성의와 열의’로 구성하였고, 하위영역별로 3문항씩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교수효능감 척도’는 김아영, 김미진(2004) 교사효능감 척도를 재구성하여 하위영역은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과제 난이도’로 구성하였고, 하위영역별로 각각 5, 4, 2문항씩 총 1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다섯 가지 척도 모두 신뢰도(Cronbach's ) 및 구인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H초등학교와 G초등학교의 5, 6학년 담임교사 28명과 해당 반 학생 684명이고, 최종 분석에 포함된 인원은 담임교사 28명과 학생 679명이었으며, 실천적 교수역량 평가자는 해당 학교의 교감 및 부장교사 총 6명으로 구성되어 반별 공개수업을 참관한 후 교사들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분석을 위하여 ① 모형 1(기초모형), ② 모형 2(모형 1에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변인을 추가한 모형), ③ 모형 3(모형 2에 학생 및 교사수준 통제변인을 추가한 최종모형)의 3가지 분석모형을 단계별로 설정하였다. 한편 검사 실시 후, 연구 대상 중 일부 5, 6학년 담임교사 및 실천적 교수역량 평가자를 대상으로 사후 면담을 실시하여 연구 결과 해석에 참고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1(기초모형)을 분석한 결과, 교사별 평균 학교교육만족도()에 대한 신뢰도(reliability)는 0.624이고, 교사별 학교교육만족도 평균의 범위(plausible range of means)는 약 1 표준편차 범위 내에 나타나며, 집단 내 상관계수(ICC)값이 0.064로 담임교사에 따라 학생들의 학교교육만족도가 차이가 실질적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교사 간 차이가 설명할 수 있는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 최대 변량이 6.4%이고, 나머지 93.6%는 동일한 교사 내에서 개별 학생 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 2(모형 1에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변인을 추가한 모형)를 분석한 결과, 학생수준 변량의 1%, 교사수준 변량의 99.8%, 전체 변량의 7.2%가 설명되어 실천적 교수역량 변인이 교사수준의 변량 대부분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이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0.426, p<.001). 셋째, 모형 3(모형 2에 학생 및 교사수준 통제변인을 추가한 최종모형)을 분석한 결과, 학생수준 변량의 51.9%, 교사수준 변량의 91.6%, 전체 변량의 54.4%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교육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학생수준의 변인은 성별, 내재적 학습동기, 부모-자녀 관계(=0.148, 0.327, 0.214, p<.001)이고, 교사수준의 변인은 교직경력, 교수효능감(=-0.007, -0.108, p<.05) 및 실천적 교수역량(=0.291,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학생의 내재적 학습동기와 부모-자녀 관계 정도가 높을수록, 교사의 교직경력과 교수효능감이 낮을수록,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이 높을수록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는 담임교사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학교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교사 수준의 변인을 통제했을 때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 및 교사 연수 프로그램 제공 등과 같은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중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업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안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교에서 대부분의 학습 경험은 단위 교과의 수업 시간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업을 계획 및 조직하고 실행하는 주체인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이때 실천적 교수역량은 교사가 학습자를 동기화시켜 교수․학습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시키는 것과 관련되기 때문에, 학습자의 수업참여를 높이고, 더 나아가 학업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선행 연구들은 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실천적 교수역량의 하위 요소와 수업참여도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그리고 수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의 개별 관계를 살펴보았을 뿐, 실천적 교수역량,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이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변인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과목별 수업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과목별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학생의 수업참여도는 과목별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실천적 교수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과목별 수업참여도가 매개 역할을 하는가? 이 연구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및 전문가 검토를 토대로 ‘중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 척도’와 ‘수업참여도 척도’를 제작하였다. ‘중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 척도’는 ‘계획과 조직’, ‘의사소통 능력’, ‘학생과의 상호작용’, ‘교수․학습 환경 조성’, ‘성의와 열의’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업참여도 척도’는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두 척도 모두 구인타당도와 신뢰도(Cronbach's )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K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404명으로, ‘중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과 ‘수업참여도’는 국어, 수학, 영어 과목별로 각각 측정하고, ‘학업성취도’는 1학기 중간고사 성적을 과목별로 수집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학생의 수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보고된 ‘사회경제적 지위(SES)’를 통제하기 위해 부모의 최종 학력과 월평균소득을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은 수업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 실천적 교수역량과 수업참여도의 상관은 국어, 수학, 영어 과목이 각각 .674, .624, .535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국어, 수학, 영어 과목에서 실천적 교수역량이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가 각각 .765, .710, .58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둘째, 학생의 수업참여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참여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계수는 국어, 수학, 영어 과목이 각각 .265, .339, .410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국어, 수학, 영어 과목에서 수업참여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각각 .272, .378, .47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셋째, 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은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 결과 국어, 수학, 영어의 모든 과목에서 실천적 교수역량이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표준화계수가 각각 .208, .269, .27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이때 실천적 교수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수업참여도가 두 변인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학생이 지각한 실천적 교수역량이 수업참여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때 수업참여도가 두 변인을 완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생의 수업참여도가 중요하며, 이러한 수업참여도를 촉진하기 위하여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실천으로서 스포츠의 내재적 선에 대한 탐구

        강성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Sport is a practice, which presents the life of a human be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A sporting practice is a form of the human activity, including its own end as well as its tradition. The end of sport is its internal good that is the basis upon which sport stands. To illuminate the internal good to sport is to discover the end of spor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port and to retain the integrity of sport. This work explored the internal good to sport through the object of excellence in sport, employing MacIntyre’s notion of a practice. Following Aristotle’s ethical point of view, the virtue theory of MacIntyre places a practice and its internal good as well as virtue in an important position. A practice as a coherent and complex form of socially established cooperative human activity involves its internal good. At the same time, the internal good presents the genuine meaning and end of the practice, both in this relationship suggest the reason for each being. In addition, a practice has the standards of excellence and its internal good presents the object of excellence. A human being may achieve the internal good to the practice on the way to reaching the standards of excellence. Sport is a socially valued practice, which involves the coherent and complex form of skill limited within rules, and where an internal good to sport is achieved in process of reaching the standards of excellence. The excellence in sport signifies the physical excellence of a human being that meets the end of a sport. The physical excellence implies the excellence in physical ability, which is the ability for having good command of demanding skill. Such an ability explains the highly developed physical skill, achieved through training and learning. The highly developed physical skill is interpreted as physical prowess. That is, the excellence in sport is the excellence in physical prowess, and the internal good to sport is physical prowess. Sport as a practice pursues physical prowess for the sake of sport. Based on the concept of a practice and the internal good to sport, sport is a practice that implies a form of socially established cooperative human activity, which involves the coherent and complex form of skill limited within rules, and where physical prowess is achieved through the human will and ability to reach the standards of excellence. At this point, physical prowess can be realized through a human body within the conditions of competition by one and the other, and of the rules institutionalized under the authority of an institution. The physical prowess may be achieved in a moral way when one possesses and exercises the virtue, which a sporing community aims for. Considering physical prowess as the normative criterion of a sporting practice, moreover, chess, baduk, cybersport, equestrian sport, and motorized sport may not be within the realm of sport while archery and shooting sport are sports. A sporting practice is recognized as a socially valued human activity when it is not considered as the means of something else but as the end of itself, which is accomplished by achieving the internal good of physical prowess. Importantly, physical prowess takes precedence over others such as money and fame when dealing with sport as a practice. It is because physical prowess, simple but fundament, is the internal good to sport, which is the genuine end of sport. Therefore, a sporting community ha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nternal good of physical prowess as the end of sport. A sporting practice will continue to exist when inculcating the value of its end i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Furthermore, the possession and exercise of fair-play and sportspersonship is necessary to achieve physical prowess. 인간의 살아있음은 움직임을 통해서 증명되며, 스포츠는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 인간의 살아있음을 극명하게 증명하는 실천(a practice)이다. 실천으로서 스포츠는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인간 활동의 형식으로 그 역사적 전통뿐만 아니라 자신의 근본 목적을 지니고 있다. 실천으로서 스포츠의 근본 목적은 스포츠의 내재적 선으로, 이는 스포츠의 근간을 유지하고 스포츠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그러므로 실천으로서 스포츠의 내재적 선을 밝히는 것은 스포츠가 지니고 있는 의미와 목적을 찾는 일이며, 스포츠의 규범적 준거를 제시하여 스포츠의 개념을 밝히고 여타활동으로부터 스포츠의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스포츠의 근본 목적으로 스포츠의 내재적 선을 상정하고, MacIntyre의 실천 개념을 스포츠에 적용하여 탁월성의 대상으로서 스포츠의 내재적 선을 파악하였다. Aristotle의 윤리학적 관점을 이어받은 MacIntyre의 덕 이론은 행위 중심의 규범윤리학과 달리 인간됨, 즉 덕을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의 이론에서 덕과 함께 실천과 내재적 선은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사회적으로 성립된 인간 활동의 일관되고 복잡한 형식으로서 실천은 내재적 선을 지니고 있고, 내재적 선은 실천의 목적으로 그것의 성취는 실천 본래의 모습을 유지시켜 주며, 이러한 관계 속에서 양자는 상호 자신의 존재 이유를 제시한다. 그리고 실천이 지니고 있는 탁월성의 기준에 도달하려는 인간의 의지와 능력의 발현에 의해 내재적 선이 성취되고, 그 내재적 선은 탁월성이 대상하는 바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 스포츠는 사회적으로 가치 부여된 인간의 활동으로 규칙에 의해서 한계 지어지는 기술의 일관되고 복잡한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탁월성의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인간의 능력과 이해가 발현되어 내재적 선이 실현되는 실천이다. 실천으로서 스포츠의 탁월성이란 운동 경기의 목적에 부합하는 것으로, 신체적 탁월성을 의미한다. 신체적 탁월성은 규칙에 의해서 제시된 행위의 형식에 기초하여 인간의 능력이 그것에 도달하고자 할 때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운동 경기의 과정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천으로서 스포츠는 자신이 목적하는 바인 내재적 선을 추구하기 위해 신체적 탁월성이 실현되는 과정이며, 스포츠의 내재적 선은 스포츠가 지향하는 신체적 탁월성의 대상이다. 신체적 탁월성은 탁월성에 도달할 수 있는 신체적 능력의 탁월성이며, 신체적 능력이란 경기에 목적에 부합하는 신체적 기술에 대한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신체를 움직이는 능력이 아니라 오랜 시간 훈련과 학습에 의해 구조화되고 조직화된 신체적 기술에 대한 능력으로 수준 높은 신체적 기술에 대한 능력, 즉 고도의 신체적 기능이다. 스포츠에서의 탁월성은 고도의 신체적 기능에 대한 탁월성이며, 고도의 신체적 기능은 스포츠의 내재적 선이다. 즉, 스포츠는 자신의 근본 목적인 고도의 신체적 기능이라는 내재적 선이 성취되는 실천이다. 스포츠는 실천이라는 규범적 틀과 자신의 준거인 내재적 선을 통해 다음과 같이 개념 규정될 수 있다. 스포츠는 사회적으로 가치 부여된 인간의 활동으로 규칙에 의해서 한계 지어지는 기술의 일관되고 복잡한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탁월성에 도달하려는 인간의 의지와 그 가능성으로서의 인간 능력이 발현되어 경기의 과정과 결과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수준 높은 신체적 기술에 대한 능력, 즉 고도의 신체적 기능이라는 내재적 선의 성취를 목적으로 하는 실천이다. 이때 고도의 신체적 기능은 나와 타자에 의해 구성되는 경쟁과 제도화에 의해 권위를 부여 받아 표준화된 규칙의 기반 위에서 인간의 신체에 의해 실현되며, 고도의 신체적 기능이라는 스포츠의 내재적 선은 스포츠 공동체가 추구하는 덕의 함양을 전제할 때 올바르게 성취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고도의 신체적 기능이라는 스포츠의 내재적 선을 근거로 하여 스포츠 논쟁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체스, 바둑, e-스포츠는 고도의 신체적 기능의 성취 자체가 경기의 과정과 결과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그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활동이다. 그리고 양궁과 사격의 경우 비록 신체적 노력의 정도가 타 스포츠에 비해 적을지라도 고도의 신체적 기능이 경기의 과정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그것의 성취 자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승마와 동력경기는 인간의 신체적 탁월성을 실현하는 활동으로 간주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그러한 활동이 스포츠의 내재적 선이라는 목적을 지향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스포츠라는 실천은 자신의 근본 목적에 부합하여 나아가야만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으로 인식될 수 있다. 수단이 아니라 목적 자체로서 스포츠를 구현하기 위해 내재적 선의 성취가 우선되어야 한다. 스포츠의 내재적 선인 고도의 신체적 기능은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 현대 프로스포츠계의 고질적인 병폐를 바라본다면, 스포츠 공동체에 그 단순함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고도의 신체적 기능이라는 스포츠의 내재적 선을 통해서 스포츠의 근본 목적을 상기해야 하며, 스포츠 공동체가 그것을 지향해 나갈 때 실천으로서 스포츠는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인간 활동으로 존속할 수 있다. 그리고 스포츠의 내재적 선을 통해 스포츠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현시키기 위해 스포츠 공동체가 추구하는 페어플레이와 스포츠퍼슨십과 같은 덕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 실천공동체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경기도 A고 학부모회

        정재은 경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인들이 학부모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제도적으로 마련된 학부모회에의 참여를 통해 실천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학습의 관점에서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A고 학부모회 참여 경험의 사례를 학습의 관점에서 해석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학부모들의 학부모회 참여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회 참여를 통해 경험하는 것들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셋째, 학부모회 참여를 통한 자신과 공동체의 정체성에 대한 변화는 어떠한가? 이에 연구자는 연구자가 2016년부터 삼년 째 참여해온 A고등학교의 학부모회를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한 해 동안 완전한 참여자로서 현장을 관찰했다. 이러한 내부자로서의 완전한 참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실천들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탐색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심층면담과 수시로 이루어진 전화면담 그리고 참여관찰의 자료들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근간이 되었다. 연구 사례에 대하여 연구자가 분석하고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회를 실천공동체로 규정할 수 있는 근거를 호혜적 관여와 공동업무 그리고 공동자산이라는 실천공동체의 속성에서 찾았다. 둘째 실천공동체를 통한의미형성에 의한 학습측면이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참여와 객체화의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생성되는 의미의 경험들에 의한 학습양상을 실천공동체론을 근거로 설명하였다. 셋째 정체성 경험에 의한 학습양상이다. 그것은 역량에 의한 정체성의 경험과 실천으로서의 비참여에 의한 정체성 경험 그리고 경계 구축과 공동체간의 연계로서의 정체성 경험에 의한 학습의 측면에 대한 것이다. 상기의 분석과 논의를 거쳐 연구자는 다음의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7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이나 경제활동과 관련 없이 고등학교 학부모회에 참여하였으며 그 참여는 각자의 맥락에서 그들의 아이를 위한 것이었다. 그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그들이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많이 배웠다고 스스로 이야기 한다. 고등학교 학부모회에 참여한 7명의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이나 경제활동과 관련 없이 단순히 아이를 위해 각자의 맥락에서 공동체에 참여했다. 그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스스로 많이 배웠다고 이야기 한다. 둘째, 매년 3월 학부모 총회를 통해 합법적 주변 참여를 시작한 연구 참여자들은 임원회의와 월례회를 통해 서로 관계 맺기를 하면서 실천공동체를 형성해 간다. 그들은 제도상 이름만 있던 대의원회를 직접 소집하고, 학교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교육청 컨설팅을 자발적으로 신청하는가 하면, 과거와 달리 운영위와의 간담회에서 학부모회가 보다 주도적으로 이끌고 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명시적 지식뿐 아니라 암묵적인 지식도 터득해 가면서 스스로 예전과 다른 것들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상황 속에서 알아차린다(Wenger, 2007). 셋째, 지역의 단위학교의 학부모회에 참여하여 학부모들이 그 공동체의 공동업무를 통해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은 그 전과는 다른 새로운 정체성을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부모회 실천공동체의 멤버십의 획득은 다른 공동체나 지역사회와의 관계 또한 재수립되는 계기로도 작용하여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하게 한다. 이 연구는 실천공동공체에의 참여로 부터 학습이 일어난다고 보는 실천공동체론에 관심을 갖고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일상에 편재해 있는 학부모회 실천공동체를 상황학습의 시각으로 탐색해 봄으로써 학습의 개인적인 차원 보다는 공동체의 상황적 맥락에서 진정한 학습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학습을 전제로 하지 않은 실천공동체에서 학습을 논했다는 점과 공동체에 참여한다는 의미를 학습이라는 프레임으로 재해석해봄으로써 학습의 확장성을 경험하게 해 준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상황학습, 실천공동체, 학부모회, 사례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community of practice from the learning point of view by participating in institutional parent associations in which adults have parental identities. The researcher presented three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high school parent association the perspective of Situated learning.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high school parents’participation in parent association? Second, what does it mean to be experienced through participation in parent association? Third, how i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and itself changed through participation in parent association? to be. Therefore, the researcher selected the parent association of A high school, which the researcher has participated for three years since 2016, as a case study, and observed the community as a full participant for one year from March 2018. This full participation as an insider not only helped to contextually understand and explore the practice of research participants, but also became an important basis for analyzing the data of in-depth interviews, occasional telephone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The researcher analyzed and discussed the research cases as follows. First, the basis for defining the parent association as community of practice was found in the nature of the communities of practice such as mutual engagement, a joint enterprise and a shared repertoire. Second, it is the aspect of learning by forming meaning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Her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aspect of learning by the experiences of meaning generat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and reification based on communities of practice theory. Third is learning by identity experience. It analyzes aspects of identity experience by research participants' ability, experience by non-participation as practice, and learning by identity experience as boundary building and community linkage. After analyzing and discussing the above, the researcher make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even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high school parent association regardless of occupation or economic activity, and the participation was for their children in their own context. In the process, participants tell themselves that they have learned a lot, though not intended.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who began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at the Parent General Meeting in March form the community of practice by conne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executive meetings and monthly meetings. They held a system-specific parent Representative Council on their own, voluntarily applied for consultations conducted by Office of Education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the school, and, unlike the past, parent association led the way in meetings with the Steering Committee. In this process, research participants realize in their situation that they are doing things differently than they did before, not only with explicit knowledge but also with tacit knowledge (Wenger, 2007). Third, participating in parent associations of local school units and interacting with parents through the community's joint enterprise means experiencing a new identity unlike before. In addition, gaining membership in the parent associations’ communities of practice also serves as an opportunity to reestablish relationships with other communities, allowing them to experience a change in identity. This study began with an interest in communities of practice that learning occurs from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The researcher explored the parents association’ community of practice, which is ubiquitous in everyday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situated learning, and found out that true learning takes place in the situated context of community rather than the individual dimension of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experienced the extensibility of learning in that it discussed learn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that did not presuppose learning and by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in the frame of learning.

      • 공공기관 종사자의 실천학습공동체(CoP)활동이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미정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at have been introduced in public affairs on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achievements for the survive of organizations and the raise of competitive power in rapid changing societ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 of the level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amine the issues practically, team leaders and members who participated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mong employees at agencies under A Office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a sample group. 280 questionnaires with 66 questions were distributed and 24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inally, 223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valid samples except some questionnaires that had lack of trust and difficulties to deal with. Window SPSS 12.0, a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process data and trust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embers at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t- test and post-hoc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thleticism and differential analysis were condu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social capital, and systemic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een below; First, the activity level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for employees at public institutions with regard to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little bit higher in men than wome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activity level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with regard to ages were higher in 30's and 50's, 20's showed the lowest level in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statistically. 7 grade employees showed the lowest participation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while 5 grades showed active participation in intellectual, justice, and social realms with regard to their status. With regard to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ees who had more than master's degree showed the most active participation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in intellectual, justice, and social realms while a group of people who graduated from 4- year college showed the lowest participation. Statistically, a significant result with 5 % was observed only in social realm. With regard to the tenure of office, employees who had short work experiences from 1 to 5 years showed the highest average in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in intellectual, justice, and social realms and a group of employees with 11 to 15 year work experience showed the lowest ave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With regard to positions at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 team leader showed higher participation rates in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than other team members. Especially, differences in intellectual and justice realm between team leaders and team members were observed in the average of participation and it is a significant result with 5% level. Second, considering the influences of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on social capital, every variabl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1% level and social realm is followed by intellectual realm and justice realm. As a result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realm was a key factor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the establishment of social capital was greatly influenced by network, and social realm had a great influence on value share. Third, according to the influences of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on organizational achievement, social realm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as followed by social capital and social realm.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social capital on systemicity and the whole, trust was the most leading factor that has a positive correlation as followed by friendly standards, value share, network, and participation of citize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ortant issues in the operation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by employees at public institutions were noticed. In order to do that, the conclusions are shown below; First, as collecting the results of fundamental statistic analysis, male employees in 50's and team leaders who had 5 grade status and had more than master's degrees showed the high participation rate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On the other hand, female employees in 20's who had 7 grade status, graduated from 4 year college, and had 11 to 15 years work experiences showed the lowest participation rate. The problem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way to increase the involuntary participation rate in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for employees at public institutions.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involve and support on organizational matters with team leaders who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rate, are in 50's, have 5 grade status, have more than 16 years work experiences. It coincides with trust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achievement. It team leaders' behavior has influences on the member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and increases the trust toward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it means that organizational achievement increases. Based on that, clear and active strategies to increase organizational achievement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activities of practical learning community for employees at public institutions.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 조직의 생존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공공부문에서 최근 도입하고 있는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이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한다. 또한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정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실천학습공동체가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표본 집단은 A 교육청 직속기관 종사자 중 실천학습공동체를 활동하고 있는 팀장 및 팀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총 66문항의 280부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240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부분적인 반응을 보인 것, 응답의 신뢰성이 결여된 것, 기타 처리하기에 불가능한 것을 제외한 최종 유효 표본은 203부로 약 73% 회수율을 보였다. 연구방법은 자료처리를 위해 Window SPSS 12.0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활동성과 차이분석을 위해 Mann-Whitney와 Kruskal-Wallis 검정 등 비모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천학습공동체 활동, 사회적 자본, 조직성과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정준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 교육청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의 성별, 연령, 직급, 교육수준, 재직기간, 실천학습공동체 내 위치 등 개인별 특성에 따라 실천학습공동체 활동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천학습공동체 내 위치에 의해서만 실천학습공동체 활동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팀장이 전반적으로 팀원들에 비해 높은 참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인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서 팀장이 팀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참여도를 보였다. 둘째,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의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은 사회적 자본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의 활동에 적극적 일수록 네트워크, 가치공유, 시민활동 참여, 신뢰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공공기관 종사자의 실천학습공동체 활동과 조직성과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 등의 실천학습공동체 활동 변인이 조직성과 변인 중 특히 직무성과와 관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신뢰, 호혜적 규범, 시민활동 참여, 가치공유, 네트워크 등의 사회적 자본 변인이 직무프로세스와 직무성과, 조직문화 등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이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천학습공동체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자본에 의해 완전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천학습공동체 활동이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사회적 자본 형성을 통해 조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습실천공동체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호혜적 규범, 신뢰, 시민활동 참여를 완전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힌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 중학생의 로하스 의식 함양을 위한 교수ㆍ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김명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ltivate awareness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LOHAS(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and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cultivating awareness of LOHAS after extracting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LOHAS from a unit of 'choice and control of clothing' in the 2nd grade, selecting the learning subjects, developing the practical problems based the learning-teaching process plans for class model and applying it. The practical problems based learning-teaching process plans that is developed over an attempt of 5 times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learning subjects was applied to the students in 8 classes of the 2nd grade over 40 times in total, 5 times in each of classes in Shiheng City, Gyeonggi-do from 26, August to 11, September, 2009. 280 answer sheets were analyzed with win spss 1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arning subjec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was chosen by analyzing the unit contents of 'choice and control of clothing'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10 authorized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Upper learning subject was choice of clothing and consumption of LOHAS and lower learning subject was consumption and awareness of LOHAS, clothing consumption of LOHAS and organic fashion, clothing consumption of LOHAS and natural fiber, clothing consumption of LOHAS and recycled material fashion, and clothing consumption of LOHAS and natural dyeing. The selected practical problem was 'what should I do for cultivating awareness of LOHAS and practicing consumption of LOHAS in choice of clothing'.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over 5 times for solving five subordinate practical problems. Each of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is composed of an introduction stage with perception of problems, deployment stage with choice and search of information, and arrangement stage with the practical reasoning. At the lst attempt, 10 materials were produced by being aware of consumption concept of LOHAS and awareness of LOHAS, finding a method to realize it and focusing on a mind to realize it. At the 2nd attempt, produced 5 materials about organic fashion in clothing consumption of LOHAS. At the 3rd attempt, produced 9 materials about natural fiber in clothing consumption of LOHAS. At the 4th attempt, produced 5 materials about recycled material fashion in clothing consumption of LOHAS. At the 5th attempt, produced 5 materials about natural dyeing in clothing consumption of LOHAS and focused that the students perceive it, realize a need, find a method to practice it and have a mind to practice it. At the 5th attempt,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includes 34 leaning materials(16 individual activity papers, 4 group activity papers, 10 reading materials and 4 teacher supporting materials). As a result of applying it to the class, awareness of LOHAS was more meaningfully cultivated into the general awareness of LOHAS and choice of clothing related awareness of LOHAS after the class than before the class. As the total average was 4.0 point out of 5.0 point in the effects of the class for cultivating awareness of LOHAS, the class was helpful for cultivating awareness of LOHAS. Thus, awareness of LOHAS was reflected to an attitude and thought about consumption life related to choice of clothing, a change in the embodied attitude and thought appeared in a reality of life and an image of effort was shown so it is found that awareness of LOHAS is helpful. Besides, this class is helpful for raising an interest in a subject of home economy. In a result of this study, LOHAS is suitable for educational contents of clothing and consumption life in home economic education. The applied practical problems based class model is also suitable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home economic education, it is found that a home economic education grows the practical ability, which can satisfy contemporary requirements that is thinking of heath, environment and society by applying the practical problems based class model for cultivating awareness of LOHAS. This study has an educational meaning in term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 in national social current and have a disposition of the consumer that the society requires. Howev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oward a certain grade in some locals, the further study is necessary in a domain of a variety of home life, a wider local and grade. Actually, a development of the wider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including a stage from awareness of LOHAS being moved to activities to a process of apprising these activities is expected. 본 연구는 중학생의 로하스 의식 함양에 목적을 두고, 중학교 2학년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로하스 관련 교육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수업 모형으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로하스 의식의 함양 효과를 살펴보았다. 선정한 학습 주제를 토대로 총 5차시에 걸쳐 개발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은 2009년 8월 26일부터 9월 11일까지 경기도 시흥시 소재 중학교 2학년 8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별로 5차시씩 총 40차시 적용한 후 설문지 280부를 win spss 1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적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학습 주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의복의 선택과 관리’ 단원 내용 분석과 제7차 교육과정의 검인정 교과서 10종 분석을 통해 선정하였다. 상위 학습 주제는 의복의 선택과 로하스 소비이며, 하위 학습 주제는 로하스 소비와 로하스 의식, 로하스 의복 소비와 오가닉 패션, 로하스 의복 소비와 천연·자연소재 섬유, 로하스 의복 소비와 재활용 소재 패션, 로하스 의복 소비와 천연 염색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의 실천적 문제를 ‘의복의 선택에 있어 로하스 소비를 실천하도록 로하스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정하고 하위 다섯가지 실천적 문제 해결을 위한 총 5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각 교수·학습 과정안은 문제 인식의 도입 단계에서 정보 탐색 및 정보 선택을 하는 전개 단계를 거쳐 실천적 추론을 하는 정리 단계로 구성이 되었다. 1차시는 로하스 소비 개념과 로하스 의식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실현하는 방법을 알고 실현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갖는데 중점을 두어 10개의 자료를 제작하였으며, 2차시는 로하스 의복 소비로 오가닉 패션에 대해 5개의 자료를, 3차시는 로하스 의복 소비로 천연·자연소재 섬유에 대해 9개의 자료를, 4차시는 로하스 의복 소비로 재활용 소재 패션에 대해 5개의 자료를, 5차시는 로하스 의복 소비로 천연 염색에 대해 5개의 자료를 제작하여 학생들이 이에 대해 인식하여 필요성을 깨닫고 실천하는 방법을 알고 실천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갖는데 중점을 두었다. 5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은 총 학습 자료 34개(개별 활동지 16개, 모둠 활동지 4개, 읽기 자료 10개, 교사 도움 자료 4개)의 다양한 학습 자료를 포함한다. 수업 적용 결과 로하스 의식은 일반적인 로하스 의식과 의복의 선택과 관련한 로하스 의식 모두 수업 전보다 수업 후 유의미하게 함양되었다. 로하스 의식 함양을 위한 수업의 효과에서도 문항 전체 평균이 5.0점 중 4.0점으로 높은 수업 효과를 보여 본 수업이 로하스 의식 함양에 도움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의복의 선택과 관련한 소비생활에 대한 생각과 태도에도 반영되어 구체화되면서 생각이나 태도 변화가 실생활에 나타나고 이를 위해 노력하고자 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등의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수업이 가정과목의 흥미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로하스는 가정과 교육에서 의생활 및 소비생활 교육내용으로 적합하며, 적용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모형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절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정과 교육에서 로하스 의식 함양을 위해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가정과 교육이 건강과 환경, 사회를 생각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길러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로하스 소비라는 국가 사회적 흐름에 동참하며, 사회가 요구하는 소비자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 특정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폭넓은 지역과 폭넓은 학년, 다양한 가정 생활 영역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적으로 로하스 의식이 행동으로 옮겨지고 그 행동에 대해 평가하는 과정까지 포함하는 폭넓은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의 영향력 확인을 중심으로

        변주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and agency level indicators factors on client-centered practice of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3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of social workers in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of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it was foud that relig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ient-centered practice. Third, the relevance and extent of client-centered practice, social worker's and agency factors, and control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religion, social welfare value suitability, creativit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client-centered practice. In addition, social welfare qualification criteri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client-centered practic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the higher the religious practitioners, the more appropriate the social welfare values, the more creative the social welfare values, the better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Fourth, as a major problem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jecting demographic, social worker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to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client-centered practice. In the final analysis model 3, 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the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were shown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person in charge.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better the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communication skills, the more significant the client-centered practice, the mor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super vision should be supported to enhance social welfare workers' communication skill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higher the degree of client-centered practice, it suggests the need for experience and leadership education that can promote creativity to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alize flexible thinking and ideas. Third, it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users, ethical attitudes, education and self-development on the identity and responsibilities of social workers, and systematic super vision should be actively attempted based on social welfare values. 본 연구는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이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내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의 평균 차이를 확인한 결과, 종교 유무가 이용자 중심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이용자중심실천, 독립변수인 실무자 요인 및 조직요인, 통제변수 간 관련성 여부와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인 종교와 독립변수인 사회복지 가치적합성, 창의성, 대인의사소통능력,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계, 혁신적 조직문화가 이용자중심실천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제변수인 사회복지 자격기준은 이용자중심실천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종교를 가진 실무자일수록, 1급 사회복지 자격기준을 갖출수록, 사회복지 가치와 적합할수록, 창의적일수록,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수퍼바이저와 관계가 좋을수록, 혁신적 조직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문제로서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이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인구사회학적 요인, 실무자 요인, 조직 요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분석 모델3에서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는 실무자 요인의 대인의사소통능력과 조직 요인의 혁신적 조직문화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무자의 의사소통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수퍼비전을 지원해야함을 시사해준다. 둘째, 혁신적 조직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 정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토대로, 유연한 사고와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창의성이 촉진될 수 있는 경험과 리더십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셋째, 사회복지가치를 기반으로 이용자에 대한 이해, 윤리적 태도,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책무성에 대한 교육과 자기개발, 체계적인 수퍼비전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 교사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확장학습 경험 사례연구 : 교사선교회(TEM)를 중심으로

        이상수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사실천공동체의 성장과정과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확장학습의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교사실천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공동체 내에서 활동체계를 확장시켜 사회적 참여까지 나아간 확장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교사선교회(Teachers Evangelical Mission, 이하 교사선교회로 표기)’사례를 통하여 실천공동체로서의 성장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구성원들의 확장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선교회 사례를 통해 본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독특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은‘관계 맺기’경험을 통하여 양육 모임 안에서 학습 주체로 깨어나고 있었으며, 분화된 다양한 활동의 참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있었다. ‘관계 맺기’경험은 순수한 한국적 정(情)과 기독교 신앙을 공감영역으로 하여 개인과 공동체가 본질적인 자기다움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둘째로, 교사선교회의 리더들은 새로운 지역과 영역에서 양육 모임을 실천하였고, 그 경험을 공동체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였다. 다른 구성원들은 그 경험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확대 재생산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함께 배우기’경험은 교사선교회의 구성원들이 공동체의 유지와 성장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났으며, 가치 지향적이고, 수평적 참여의 특징을 보였다. 셋째로, 교사선교회의 구성원들은 그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활동체계를 뛰어 넘어 교육마을이라는 새로운 활동체계를 만들었다. 이는 공동체 내부의 문제 해결과 사회적 필요의 접점을 찾는‘경계 넘기’경험이었으며, 공동체의 가치를 외부 세계로 확장하려는 시도였다.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확장학습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관계 맺기’경험은 자기다움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구성원들은 기독교 신앙, 직업, 일상적 삶을 하나로 통합시키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학습 주체로 성장하였으며, 타인과 연결되었다. 이는 개별적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둘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함께 배우기’경험은 문제해결에 있어 수평적 참여를 특징으로 하였다. 이는 수평적 참여를 하나의 중요한 가치로 지향함으로써 신뢰 관계와 역량을 강화시키는 공동체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셋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경계 넘기’경험은 공동체의 사회적 참여 과정이었다. ‘좋은 교사’운동과의 연대, 교육마을 만들기 등은 사회의 변화를 일으키는 학습 역동으로써 사회적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교사선교회의 학습 경험은 모험을 감수하는 일련의 확장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관계 맺기’경험과‘함께 배우기’경험은 실천공동체 내부에 구심적 학습 역동을 제공하였다. 반면‘경계 넘기’경험은 공동체의 외부를 향한 원심적 학습 역동을 제공하였다. 교사선교회의 학습 경험은 원심적 학습 역동과 구심적 학습 역동이 균형을 이룰 때 활동체계의 확장적 전환을 이루고 있었다. 주제어 : 실천공동체, 교사실천공동체, 확장학습, 관계 맺기, 함께 배우기, 경계 넘기, 매듭 엮기(knotworking), 자기 생성적 참여구조, 학습 역동, 공동 주체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