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존주의 관점에서 본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상황 고찰

        장현우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830

        이 연구는 ‘실존주의 관점에서 본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상황 고찰’이라는 주제로, 경기상황 속 선수의 행위에 초점을 두고, 객체로 인 식되고 있는 선수의 실존 규명과 주체성 회복을 위한 것이 목적이다. 이 를 위해 인간을 주체적인 존재로서 바라보고 이 세상을 영위하는 인간 실 존의 본질을 탐색하는 철학 사조인 실존주의 철학자인 독일의 마르틴 하 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와 프랑스의 장 폴 사르트르 (Jean-Paul Sartre: 1905-1980)의 광범위한 내용 중 한정된 텍스트를 토대 로 해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상황 속 에서 드러나는 선수의 행위 중 추월과 견제 행위를 중점적으로 하여 행위 자인 선수의 실존 규명과 주체성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견지 에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는 얼음판-내-존재로서 스스로 물 음을 던질 수 있는 ‘현존재’이자 의식을 가진 ‘대자존재’이다. 그러므로 쇼 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는 경기상황 속에서 실존한다. 둘째, 경기상황 속에서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가 느끼는 불안은 하이데거와 사르트르의 관점에 따라 차이는 존재하지만, 결과적으로 쇼트 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는 경기상황에서 자유롭기에 누구에게도 의지할 수 없는 존재이므로 불안한 기분을 경험하게 된다. 셋째, 순위경기인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은 경기상황 속에서 추월과 견제 행위라는 선택을 바탕으로 상대의 순위를 차지하거나, 자신의 순위 를 지키게 된다. 이러한 추월과 견제 행위는 경기의 주체인 쇼트트랙 스 피드스케이팅 선수의 판단 아래 선택(기투)되며, 이를 통해 경기상황 속에 서 자신의 본질을 형성한다. 넷째,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상황 내에서 발현되는 선택(기투)은 개인과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세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곧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는 본인의 기투한 행위에 막중한 책임이 수반된다. 결론적으로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현존재, 대자존재)는 경기상황 속 에서 주체성을 지닌 존재로서 실존한다. 또한 경기상황 속 선수는 누구에 게 의존할 수 없는 자유로운 존재이기에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이 불안으로 인해 기투(선택)를 할 수 있게 되며, 기투는 경기에서 행위자 의 주관적인 판단 하에 추월과 견제 행위를 수행하게 된다. 더욱이 경기 상황에서 기투는 자기 자신뿐 아니라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세계 전체 영향을 주는 행위이기에 엄중한 책임감이 요구된다.

      •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부모지지유형에 따른 심리적영향

        이현성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99

        본 연구는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부모지지 유형과 부모지지 유형에 따른 심리적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6년 대한빙상경기연맹에 등록된 17세 이상 남,녀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운동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선수들은 부모로부터 어떠한 지지를 경험하고 이러한 부모지지를 통해 미치는 심리적영향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반구조화 된 개방형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따라서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 선수들의 부모지지 유형에 대한 237개의 원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따르는 심리적영향은 262개의 원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원자료는 연구자 및 참여자의 확인을 거쳐 내용 의 유사성에 따라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하고 최종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부모지지 유형으로는 용품지원, 훈련경비지원, 시간투자, 교통이동지원, 주거환경조성, 컨디셔닝, 평가지지, 격려, 긍정피드백, 존중, 관심 등의 11개의 세부영역을 통해 경제적지원, 운동환경조성, 경기력향상조력, 심리적안정지원 등 4개의 일반영역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의 운동지속을 위해서는 경제적인 원초적지원이 필수요소이다. 운동환경조성과, 경기력향상조력은 선수들이 운동을 지속하고,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심리적안정지원은 선수가 앞선 3가지의 지원유형과는 다르게 언어적인 요소를 포함한 부모와의 정서적 교류를 경험하는 부모지지유형이다. 연구결과 둘째,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부모지지 유형에 따른 심리적영향으로는 감사함, 죄송함, 존경심, 목표의식강화, 운동몰입증진, 부담감, 분노와짜증, 재미와즐거움, 편안함 등 9개의 세부영역을 통해 공경심유발, 운동동기강화, 부정정서유발, 긍정정서유발 등 4개의 일반영역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이 부모로부터 경제적지원에 따라서는 공경심유발이 가장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정서유발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운동환경조성에 따라서는 공경심유발이 가장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정서유발과 긍정정서유발은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력향상조력에 따라서는 공경심유발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정서유발이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안정지원에 따라서는 운동동기강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정서유발이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들은 경제적지원, 운동환경조성, 경기력향상조력, 심리적안정지원 등 4개의 부모지지 유형을 통하여 부모지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부모지지 유형에 따라서 부모에 대한 감사함과 죄송함, 존경심을 느끼도록 하는 공경심유발, 목표의식을 강화하거나 운동몰입을 촉진시키는 운동동기강화, 그리고 부담감, 분노와짜증을 유발하는 부정정서유발과 재미와즐거움, 편안함을 느끼도록 돕는 긍정정서유발 등 4개의 심리적영향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부모지지와 사회적지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논의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 환경에서 선수가 바라보는 부모지지에 주목하고 이에 따른 마음을 탐색하여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부모지지유형과 이에 따른 심리적영향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모지지에 대한 선수의 심리적 행보를 조망함으로써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심리기술 향상에 원조(援助)하길 기대해본다. ABSTRACT The Types of Parental Support in Psychological Influence for Short Track Speed Skating Athletes Hyeon Sung Le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effect on skaters depending on type of parental support. For this purpose, male and female skaters registered under the Korea Skating Union over the age of 17 were targeted for the survey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per the following: First finding was that there were total 11 subcategories in types of support provided by the parents which included equipment supply, monetary support for training, time committed, transportation support, living arrangement, maintaining athlete's condition, providing criticism, morale support, providing positive feedback, respect, and paying attention to athlete's progress. Parental support for the athletes also can be categorized in 4 general types, which included financial support, building athletic environment, assistance in performance enhancement,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uilding athletic environment and the assistance in athletic performance can be regarded as essential factors for the athletes to continue the exercise and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Unlike the three previous support types, psychological stability support is a type of parental support where athletes experience emotional interactions with parents, including linguistic elements. Second finding, psychological effect of parental support provided ranges from thankfulness, remorseful, respectful towards their parent, aspiration, increased concentration, being pressured, anger and annoyance, joyfulness, and relaxedness. Total 9 sub categorized emotional status led to 4 general areas of effect such as show of respect, motivation to become more athletic, creating negative attitude, and development of positive attitudes.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were shown to effect athletes most in raising their respect for their parents however it had little effect on creating positive attitudes. I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support, the motivation enhance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and positive emotional induction had the least effect. In conclusion, short track speed skaters had some sorts of parental support through 4 main stream of activities which included, financial support, provision of athletic environment, assistance in performance enhancement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skater's perspective of what parental support meant and how it affected their emotional status and overall on their performance.

      • 우수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발목관절 근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 발달 특성

        김규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98

        이 연구는 국내 우수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을 대상으로 발목관절 배측굴곡 및 저측굴곡, 내번 및 외번의 근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의 발달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로서 우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 양성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계획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대한 빙상 경기연맹에 등록되어 2006년 현재 경기에 출전하고 있는 16명의 남자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트 경기 선수들로서 국가대표선수군 8명(국내랭킹 1위~10위), 대학선수군 8명(국내랭킹 11위~25위)으로 분류하였다. 발목관절의 배측굴곡 및 저측굴곡, 내번 및 외번의 근기능 측정은 Isokinetic Equipment (Cybex HUMAC NORM)을 사용하였고, 무산소성 파워 측정은 Wingate (MONARK Ergomedic 894 E)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기력 수준에 따른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발목관절의 저측굴곡과 배측굴곡의 등속성 근기능은 국가대표선수군이 대학선수군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저측굴곡과 배측굴곡의 상대최대근력과 ,배측굴곡(좌·우)의 상대평균파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2. 경기력 수준에 따른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발목관절의 내번과 외번의 등속성 근기능은 국가대표선수군의 대학선수군보다 더 크게 나타 났으며, 내번의 최대근력과 외번의 상대평균파워, 외번(좌·우)과 오른쪽 내번의 상대총일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3. 경기력 수준에 따른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무산소성 파워는 total work(W)를 제외하고, 모든 검사에서 국가대표선수군이 대학선수군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mean power(W), mean power(W/kg), peak power(W), peak power(W/kg)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별에 따라 발목관절의 배측굴곡·저측굴곡 및 외번·내번의 근기능과 무산성 파워는 차이가 있으며, 특히 발목관절 배측굴곡·저측굴곡 및 외번·내번의 근기능은 클랩스케이트의 개발로 인해 스케이팅 시 빙판을 밀어주는 힘과 각도는 경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므로 우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 양성을 위한 근력증진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t is assumed tha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speed skate are subjects to isokinetic ankle joint muscle' functions and anaerobic power. Thus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aimed to characterize the isokinetic ankle joint muscle‘ function of short distance speed skaters based on their performance level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results of study will be applied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levels and fitness train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le short distance speed skaters registered in KOREA SKATING UNION who are participating in games as of 2006.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national team group of 8 skaters (ranking of 1~10) and the university team group of 8 skaters (ranking of 11~25). Cybex HUMAC NORM was employed to measure isokinetic ankle joint of plantarflexion & dorsiflexion, inversion & eversion muscle' functions employed. For measurement of anaerobic power, Wingate MONARK Ergomedic 894 E analyzer was employed. According to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sokinetic ankle joint of plantarflexion & dorsiflexion muscle' functions of short distance speed skaters based on performance level were higher in the international team then in the university te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arflexion & dorsiflexion muscle' peak torque by %BM and dorsiflexion muscle(left ·right) average power by %BM(p<.05). 2. Isokinetic ankle joint of inversion & eversion muscle' functions of short distance speed skaters based on performance level were higher in the international team then in the university te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version muscle' peak torque, Eversion muscle'(left·right) average power by %BM, eversion(left·light) and right inversion total work by %BM(p<.05). 3. Anaerobic power based on performance level was higher in the international team than in the university team, except for total work(W).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power(W), mean power(W/kg), peak power(W), peak power(W/kg) (p<.05). In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 there exist a difference in isokinetic ankle joint of plantarflexion & dorsiflexion, inversion & eversion muscle' functions and anaerobic power of short distance speed skaters according to performance level. Especially Isokinetic ankle joint of plantarflexion & dorsiflexion, inversion & eversion muscle' functions are grabbing more attention due to the advent of the klap skate, since the power and angle that push off the ice have a great effect on performance improvement in skating. This also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muscular strength is required for training elite speed skaters.

      • 스피드 스케이팅 세부종목별 적정 무산소성 파워검사 시간

        박정석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51

        이 연구의 목적은 윈게이트 테스트를 사용한 무산소성 파워 측정시 스피드 스케이팅 세부 종목별 시간 간격(30초, 45초, 60초)에 따른 적정 무산소성 파워 검사 시간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국내 우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27명(국내랭킹 15위 이내 선수)을 세부종목별(500m, 1000m, 1500m)로 나누어 선정 하였으며, 적정 무산소성 파워 검사 시간을 규명하기 위해 30초, 45초, 60초 윈게이트 테스트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세부 종목별 무산소성 파워 검사를 실시한 결과 최고 파워(Peak Power)는 30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주종목 5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45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p<.01), 주종목 10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p<.01), 주종목 5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세부 종목별 무산소성 파워 검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 파워(Average Power)는 30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주종목 5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45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p<.01), 주종목 10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p<.01), 주종목 15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세부 종목별 무산소성 파워 검사를 실시한 결과 피로 지수(Fatigue Index)는 30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주종목 15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45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p<.01), 주종목 5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60초 윈게이트 테스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p<.01), 주종목 500m 선수들에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스피드 스케이팅 무산소성 파워 검사 시 경기 종목의 특이성이나 피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37초 내외에서 경기가 종료되는 500m 경기에서는 30초 윈게이트 테스트를 실시하고, 1분 10초 내외에서 경기가 종료되는 되는 1000m 경기에서는 45초 윈게이트 테스트를 실시하고, 1분 50초 내외에서 경기가 종료되는 1500m 경기에서는 60초 윈게이트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이 무산소성 운동능력을 측정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to the appropriate examination time of anaerobic power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30sec/45sec/60sec) of the assessed events of speed skating when measuring anaerobic power with Wingate test. As objectives of this study, domestic superior 27 speed skating athletes, who are above ranking 15th)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assessed events. (500m/1000m/1500m) After testing with Wingate of 30sec, 45sec, 60sec to research the appropriate examination time of anaerobic power, the result was obtained as followings. First, as the result of testing the anaerobic power according the assessed events of speed skating athletes, in the Wingate test of 30sec the peak power 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 peak power of 500m is the highest. In the Wingate test of 45sec the peak power 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1)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peak power of 1000m is the highest. In the Wingate test of 60sec the peak power 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1)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 peak power of 500m is the highest. Second, as the result of testing the anaerobic power according the assessed events of speed skating athletes, in the Wingate test of 30sec the average power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1)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 average power of 500m is the highest. In the Wingate test of 45sec the average power 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1)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 average power of 1000m is the highest. In the Wingate test of 60sec the average power 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1)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 average power of 1,500m is the highest. Third, as the result of testing the anaerobic power according the assessed events of speed skating athletes, in the Wingate test of 30sec the fatigue index 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 fatigue index of 1,500m is the highest. In the Wingate test of 45sec the fatigue index 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1)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fatigue index of 500m is the highest. In the Wingate test of 60sec the fatigue index has significant differences (p<.01) among the groups and It shows that the athletes’ fatigue index of 500m is the highest. Considering collectively the results above, it was found from the results that when performing the anaerobic power test of speed skating in view of characteristics of each event and subject, it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the anaerobic power to perform Wingate test of 30sec in 500m race which finishes in about 37sec and Wingate test of 45sec in 1000m race which finishes in about 45sec and Wingate test of 60sec in 1,500m race which finishes in about 1min. and 50sec.

      • 스피드스케이팅선수 경기력 방해요인의 시계열적 경향성

        최은경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35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hindranc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game ability of speed skating athletes and examine the time-series tendency of such factors. In order to extract the hindranc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game ability of speed skating athletes, an open-type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e athlet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university, and business teams registered at Korea Skating Union, as a result of which 1,489 factors affecting their game ability were collected and then an inductive category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inductive category showed that the hindrance factors influencing the game ability of speed skating athletes were divided into the four general categories of mind-sets, conditions, personal relations towards others, and environments, and each category was classified into the 21 detailed areas of a sense of restlessness, a sense of burden, a sense of oppression, a sense of anxiety, stress, decreased desire, sleeping disorder, distraction, poor conditions, decreased physical strength, injury, body control, food taking-in, conflicts with family members, conflicts with leaders, conflicts with rivals and colleagues, training situations, game situations, equipments, stadium environments, and living circumstances. The tendency of the hindrance factors affecting the game ability of speed skating athletes revealed that the factor of mind-sets was on the gradual decrease as the slope of regression line along X and Y Axis was -0.236, the factor of conditions was on the gradual increase as 1.011, the factor of personal relations with others was on the gradual decrease as -0.025, and the factor of environments was on the gradual decrease as -0.752. In addition, if the factor of mind-sets went up, the factor of conditions went down and vise versa, which showed a conflicting trend to each other. Like this, the hindrance factors negatively influencing the game ability of speed skating athletes were shown in various forms and they showed an unexpected tendency. It is believed that the hindrance factors were drawn from not only training situations but daily life, personal relations with important people and environments. 본 연구는 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방해요인을 추출하고, 방해요인의 시계열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방해요인을 추출하기 위하여 대한빙상경기연맹에 등록된 중, 고, 대, 실업팀 선수를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실시한 결과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1,489요인을 수집하여 귀납적범주화를 실시하였다. 귀납적범주화 결과 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방해요인은 마음가짐, 컨디션, 대인관계, 환경의 4개 일반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의 세부영역은 긴장감, 부담감, 압박감, 불안감, 스트레스, 의욕저하, 수면장애, 주의산만, 컨디션난조, 체력저하, 부상, 몸 관리, 음식섭취, 가족과의 갈등, 지도자와 갈등, 경쟁자 및 동료와 갈등, 훈련상황, 경기상황, 장비, 경기장 환경, 생활환경의 21개영역으로 나타났다. 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방해요인의 경향성은 마음가짐요인은 X와 Y축에 따리 회귀선의 기울기가 -0.236으로 점차 감소, 컨디션요인은 1.011로 점차 증가, 대인관계요인은 -0.025로 점차 감소, 환경요인은 -0.752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음가짐요인과 컨디션요인은 마음가짐이 높아지면 컨디션이 낮아지고, 컨디션이 높아지면 마음가짐이 낮아지는 서로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스피드스케이팅선수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방해요인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생각과는 다른 경향성이 나타났다. 이는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방해요인이 훈련상황 뿐 아니라 일상생활, 주요타자와의 관계, 환경 등에 의해 도출된 결과라고 사료된다.

      •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스피드스케이팅 스트로크 자동 측정 방법 : 출발 후 직선 100m 구간

        문지연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Using MediaPipe, we aim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stroke count of a skater in the straight 100m section following the start in speed skating. For each frame in the video, we track the actual movement of the skater, detecting key body joint coordinates. We calculate body angles, including angles from shoulders to knees and from pelvis to ankles, derived from the detected major joint coordinates. Additionally, we introduce the concept of General Labeling Logic (GLL) from angle data to calculate an index, aiming to quantitatively represent the skater's movements. We also plan to employ Gaussian filtering to eliminate noise and measure the stroke count by computing the inflection points of the filtered GLL signal. The automated method for measuring speed skating strokes starts by preparing a video of the straight 100m segment after the start. Then, it prompts the user to input the Region of Interest (ROI) in the form of a bounding box using a computer mouse, focusing on the athlete whose stroke count needs to be measured. The identified object is tracked in each frame using the OpenCV tracker, and the image is cropped to retain only the object of measurement. MediaPipe Pose is used to extract the landmark x, y, z coordinates from the cropped image, and these 3D coordinates are employed to calculate body angles necessary for measurement, such as pelvic and knee angles. GLL is computed using these angles and stored per frame. This process iterates over all frames of the user video, creating a list of GLLs, which undergo noise removal through Gaussian filtering. Each GLL value in the list is processed into a continuous signal with frame numbers on the time axis. Finally, stroke count i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inflection points in the noise-filtered signal. The proposed system is primarily designed for videos shot from the front, demonstrating outstanding accuracy of 99.91% in front-facing videos. It successfully tracked all subjects except for a single instance out of 1170 strokes. This system allowed for automatic stroke measurement in speed skating events and offered higher consistency compared to manual measurement, enabling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and providing athletes with rapid feedback during training. When applied to the 500m actual race of Short Track Female Athlete A in the 2022-2023 international competitions, it was observed that the fastest 100m record corresponded to the highest stroke count, validating the efficacy of the method. By continuously improving the system to enhance accuracy, reduce side noise, and ensure its independent usability, it is anticipated to establish an effective on-field game analysis system using the innovative technology of image recognition for automatic stroke measurement. 본 논문에서는 MediaPipe라는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스피드스케이팅 출발 후 직선 100m 구간에 대한 스트로크 횟수를 자동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영상 속 각 프레임에 대해 선수의 실제 움직임을 추적하고, 주요 신체 관절 좌표를 감지하여 어깨부터 무릎까지의 각도와 골반에서 발목까지의 각도를 포함하여 신체 각도를 계산하고, 이와 함께 각도 데이터에서 파생된 핵심 지표인 일반 라벨링 논리(GLL)을 도입하여 지수를 계산함으로써 선수의 동작을 양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 가우시안 필터링을 사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필터링 된 GLL 신호의 변곡점 수를 계산하여 스트로크 수를 측정하고자 한다. 스피드스케이팅 스트로크 자동 측정 방법은 먼저 스타트 직후 직선 100m 구간의 비디오를 준비한다. 다음, 사용자에게 입력 장치인 컴퓨터 마우스를 통해 bounding box 형태로 측정 대상의 관심 영역(ROI)을 입력하도록 요청하며, 이때 측정 대상은 스트로크 횟수를 측정하려는 선수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객체는 OpenCV tracker를 사용하여 각 프레임마다 추적되며, 이미지는 측정할 객체만 남도록 자르게 된다. MediaPipe Pose를 활용하여 잘린 이미지에서 대상의 랜드마크 x, y, z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3D 좌표는 대상의 측정을 위해 필요한 골반 및 무릎 각도와 같은 몸의 각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각도를 사용하여 GLL(Generic Labeling Logic)이 계산되고 프레임에 저장된다. 또 이 작업은 사용자 비디오 입력의 모든 프레임에 대해 반복되어 GLL 목록이 생성되고, 가우시안 필터링을 사용하여 노이즈가 제거되며, 이 과정에서 목록의 각 GLL 값은 시간 축으로 프레임 번호를 갖는 연속 신호로 처리된다. 마지막으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에서 꼭지점의 수를 계산하여 스트로크 횟수를 측정하게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로 정면에서 촬영된 비디오로 설계되었으며, 따라서 정면 촬영 비디오에서 99.91% 뛰어난 정확도를 보였다. 1170번의 스트로크 중 단 1회만 제외하고 측정 대상을 모두 추적할 수 있었으며,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스피드스케이팅 종목에서 스트로크 측정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사람이 수동으로 측정하는 것보다 높은 일관성을 제공하여 측정값을 표준화할 수 있으며, 선수들이 훈련하는 동안 빠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해준다. 2022-2023 국제 대회에 출전한 단거리 여자 A 선수의 500m 실제 경기에 적용시켜 스트로크 횟수가 가장 높을 때, 100m 기록이 시즌 기록 중 가장 빠르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미지 인식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실제 경기에 적용했으며, 측면에서의 노이즈 개선 및 정확도 향상과 시스템의 독립적인 이용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해 나아간다면 현장에서 활용되는 효과적인 경기분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복합 트레이닝이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의 경기력과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최윤숙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ffect of Complex Training(EG: The group gave more weight on endurance training, PG: The group gave more weight on power training.) on Power, Strength, endurance and Skating performance of Sprint Speed Skating Player. 9 Sprint Speed Skating Players were recruited, but 2 players were excluded because of injury and private schedule. So, 7 players participated the test. 500n, 1,000m recoads, 100m, the starting zone of 500m, 200m, the starting zone of 1,000m were applied for Skating performance measuremen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kating performance and Power, strength, endurance were applied for measurement Wingate test, on the lower limbs Isokinetic Strength test and shuttle-run test. In the data, SPSS statistical package(version 12.0) were used to figure out th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and time, two way repeated ANOVA was applied.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kating performance and Power, strength, endurance, Peason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up as α= 0.05. The following results were proven through the study: 1. Even though the average record and best record of two groups showed shortening the timing, EG(The group gave more weight on endurance training) had the better performance than PG(The group gave more weight on power training). 2. According to the average and best record of 100m, the starting zone of 500m, of the two group, PG got the better record-reduction than EG. 3. Both group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cords of 500m, 1,000m and power. However, there was the higher correlation shown at PG. 4. Both group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cords of 500m, 1,000m and strength. However, there was the higher correlation shown at PG.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both endurance focused complex training and Power focused complex training were all effective for the sprint speed skating players to reduce the recor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record reduction for the starting zone in sprint speed game, power focused training method can be more effective. However, due to the long period of the season, repeated intensified activities are demanded. Therefore, the endurance training must be carried out as well as power training.

      • 우수 남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주요관절별 등속성 근기능 발달 특성

        서호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86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he elite 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Isokinetic function of the muscles in the parts of the skaters' ankle joints, knee joints and hip joints was compared and analysed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the muscular function of the major joint parts and then based on this information we attempt to offer resourc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training for enhanced performance and physical strength.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male skaters who are registered with Korea Skating Union and competed at the first tournament for selecting national athlete in 2007.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One was the elite group where the members'ranking ranged from the 1st to 12th and the other was the second best group where the members ranking ranged from 13th to 24th. The equipment which was used to measure the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of ankle, knee and hip joint was Cybex HUMC NORM. Using the said equipment, peak torque, agerage power, fatigue index, ipsilateral balance ratio, and bilateral balance ratio were obtained. After the measurement of each variants, we obtained final results. The elite group showed higher average power of the ankle joint in the dorsiflex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positive(p<.01). The elite group showed higher peak torque in the right extention, higher %peak torque in both left and right extention a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p<.01)(p<.01)(p<.01). The elite groups showed higher average power in the right flexor and left extention and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p<.05)(p<.05). The elite groups also showed higher relative average power in both the right and left flexor and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p<.01)(p<.01).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atigue index of the left flexor. The elite group showed notable difference in the bilateral balance ratio for the right, and ipsilateral balance ratio in the left(p<.05)(p<.05). The elite group showed higher relative peak torque of flexor in the lower back joints and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1). The elite group showed higher extention average power and extension relative average power and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5)(p<.05). The elite group showed higher flexor fatigue index and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1). As we analysed the above mentioned results, we found out that our elite male short track speed skaters showed difference in the muscular performance in the knee and hip joints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level, which reminds us again of the importance of the muscular function of knee and hip joints. We believe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level, the muscular function of the knee and hip joints should be strengthened. 이 연구는 국내 우수 남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을 대상으로 발목관절, 무릎관절, 고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을 비교· 분석하여 선수들의 주요 부위별 근기능 발달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로서 쇼트트랙 선수들의 경기력 증진 및 체력 보강 훈련에 적용할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 하였다. 이 연구의 진행에 참가한 연구 대상자는 대한 빙상경기연맹에 등록되어 경기에 출전하고 있는 남자선수들로서 2007년 1차 국가대표선발전의 등위와 관련하여 1위~12위는 최우수선수집단, 13위~24위는 우수선수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발목, 무릎 및 고관절에 사용된 장비는 등속성 근기능 측정기기인 Cybex HUMAC NORM을 이용하여 최대근력, 평균파워, 피로지수, 동측·양측근력비율을 검사하였다. 각 측정변인의 측정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목관절의 평균파워는 왼쪽 배측굴곡에서 경기력 수준이 더 높은 집단이 크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2. 무릎관절의 최대근력에서 오른쪽 신근력, 상대 최대근력에서는 오른쪽 신근력, 왼쪽 신근력에서 경기력이 높은 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p<.01)(p<.01). 평균파워에서는 오른쪽 굴근력과 왼쪽 굴근력에서 경기력 수준이 높은 집단이 더 크게 나타 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p<.05). 상대 평균파워는 오른쪽 굴근력, 왼쪽 굴근력에서 경기력 수준이 높은 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p<.01). 피로지수는 왼쪽 굴근력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근력균형비율에서 오른쪽, 왼쪽 동측근력비율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p<.05). 3. 허리관절의 상대최대근력은 굴근력에서 경기력수준이 높은 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신근력 평균파워와 굴근력 상대평균파워는 경기력수준이 높은 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p<.05). 굴근력 피로지수는 최우수선수 집단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이상과 같은 결과를 분석할 때 우리나라 남자 우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트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라 발목관절, 무릎관절과 고관절의 근기능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무릎관절과 고관절의 근기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경기력과 관련하여 무릎관절과 고관절의 근기능 강화는 필히 이우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