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스포츠 참여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선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is to investigate the study between sports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development. In order to meet this purpose, the following four subsequent research questions were analyzed and these were : 1) study between sports participation and social development 2) study between sports participation item and social development. 3) study between sports participation form and social development. 3) study between sports participation level and social development. The number of subjects for this study was 862 (437 male; 425 female non-athletes at middle schools). The data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responses to items constructed to represent each variable. They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ANCOVA,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s of sports participation among youth had postive effects on social development 2) Participation in team spor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ominance and participation in individual spor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stability. 3) Participation in organized sport programs revealed the higher social development compared to participants in organized programs. 4) There existed significant causal study between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ociality, and between participation dur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 대학생들의 무도 스포츠 참여기피요인, 장애요인에 대한 극복과의 관계

        박수근 호서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무도 스포츠 참여기피요인, 장애요인에 대한 극복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심으로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대상을 표집 하였다.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불성실한 자료와 누락기제 된 47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서는 총 353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작성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의 자료처리는 각 응답 내용을 코드화한 후 Windows용 한글 SPS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 및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 스포츠 참여기피요인과 장애요인 간에는 변인 간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극복요인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참여기피요인이 높을수록 장애요인은 높아지며 참여기피요인, 장애요인이 높을수록 극복요인은 낮아진다. 둘째, 무도 스포츠 참여기피요인과 장애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도 스포츠 참여기피요인의 흥미 요인은 시간장애, 개인장애, 사회장애, 경제장애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힘듬 요인은 시간장애, 사회장애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타인의식 요인은 개인장애, 사회장애, 경제장애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으며 시설 요인은 개인장애, 경제장애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무도 스포츠 참여기피요인과 극복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도 스포츠 참여기피요인의 에너지 충전, 동반자탐색, 인식변화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흥미 요인이나 체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나고 있으며 인식변화요인에는 타인의식요인과 시설요인만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장애요인과 극복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장애요인은 에너지충전, 동반자 탐색, 인식변화, 자신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개인장애 및 시간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반자 탐색은 사회장애에 영향을 미친다.

      •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 사례연구

        김민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not only to discuss how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is being actually conducted at every middle school in South Korea since the second semester of 2012 but also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this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as the study analyzes perceptions and types of students and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the class. This class has been basically practised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by strengthen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 study appli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selecting three schools (a boys’ middle school, a girls’ middle school and a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as research participants based up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rganization. The study, then, analyzed various cases of how each school is actually conducting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looking into perceptions and types of the students and the instructors joining the cla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second graders and the third graders answered the open questionnaire. The study used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of those loyal respondents, eight students from each school were determin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re, what the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was that in which grade the students’ are, how their P.E. grades are, gender, types of the instructors and lastly, the students’ likes and dislikes for physical activities. In terms of the instructors as in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study selected sports instructors, P.E. teachers and even those teachers who teach other subjects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se people appeared to be in charge of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targeting thos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 study gathered basic referenc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 basic references were processed with the open cod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basic referenc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hree participating middle schools increased and secured lesson hours for the ‘2013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as they added som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to the class. There, the schools operated the class focusing on a type of a sport. However, in 2014, the schools would either increase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r change the class to P.E. class as the class is operated not focusing on a type of a sport but by class. The decrease in the budget to support labor costs on sports instructors is considered the biggest cause for this change. Meanwhile, the students had four positive ideas and five negative ideas about this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As for the positive ideas, they perceived the class as ‘a chance to get rid of stress’, ‘a chance to cooperate with others’, ‘a chance for advanced learning’ and ‘a chance to experience sports’. Regarding the negative ideas, the students seemed to wonder ‘if anyone cares about anybody else’, ‘if we have any place to run or play as much as we want’, ‘if anyone listens to what we think’, ‘if there is any professional instructor’ and ‘if there are any fixed standards’. When it comes to the types of students joining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the study categorized the students into six types which were ‘the warrior’, ‘the fish in water’, ‘the one who only cares about what one likes’, ‘the get-together’, ‘the one-sided love’ and ‘the one who seems uninterested in whatsoever’. As to the perceptions of the instructors towards the school sport club activities class, the study investigated how each of them, the sports instructors, the P.E. teachers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other subjects, would think about the clas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ports instructors was observed to include three topics which were ‘improving the drive to realize one’s dream’, ‘preventing and reducing school violence’ and ‘the absence of evaluation: running the class at the discretion of the instructor’. The negative perception was dealt with under these four topics which were ‘the equivocal relation of the class with the regular P.E. class’, ‘the difficulties with running the class’, ‘the sports instructors’ training programs focusing only on theories’ and ‘the doubts about the instructor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E. teachers was divided into two topics which were ‘the class to be conducted flexibly’ and ‘the positive changes in the students’. For the negative perception, one topic was extracted, and that was ‘the demand to change the class to the regular P.E. class’.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teachers teaching other subjects included two topics which were ‘preventing and decreasing school violence’ and ‘having a chance for new experiences’. Other two topics were drawn from the negative perception, and they were ‘the difficulties with running the class’ and ‘the doubts about the existence of the class’. The types of the instructors in charge of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were grouped into three types which were ‘the introspective’, ‘the judge’ and ‘the permissive’. What the study has found so far will be used by any following research as a basic reference when this research tries to talk about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class, and tha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is class as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the class in the real field, school. 본 연구는 ‘인성교육 강화를 통한 학교폭력 예방’을 구현하고자 2012년 2학기부터 전국의 모든 중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그에 따르는 학생과 지도자의 인식 및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구성 특성에 따라 세 개의 중학교(남자중학교, 여자중학교, 남녀공학중학교)를 편의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학교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다양한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그에 따르는 학생과 지도자의 인식 및 유형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 중 학생은 2, 3학년 학생들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배포하여 성실하게 답한 학생 중 학년, 체육성적, 성별, 지도자 유형, 신체활동에 대한 호불호를 고려하여 유목적적 표집방법에 의해 각 학교별 여덟 명의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중 지도자는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스포츠강사, 체육교사, 일반교과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문서자료 조사, 심층면담,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한 기초자료를 개방적 코딩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 개의 연구 참여 중학교는 2013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시수를 창의적 체험활동을 순증하여 확보하였으며 종목 별로 운영하였다. 그러나 2014년에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순증하거나 체육시수로 전환하여 시수를 확보하였고, 종목별이 아닌 반별로 운영하고 있었다. 이는 스포츠강사의 인건비 지원 예산의 감축이 큰 요인으로 사료된다. 한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스트레스 해소의 장’, ‘협력의 장’, ‘심화학습의 장’, ‘스포츠 체험의 장’의 네 가지 주제로 긍정적 인식을, ‘배려는 어디에’, ‘우리가 뛸 곳은 어디에’, ‘우리의 의견은 어디에’, ‘전문 지도자는 어디에’, ‘기준은 어디에’의 다섯 가지 주제로 부정적 인식을 도출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학생 참여 유형은 ‘전사형’, ‘물 얻은 고기형’, ‘편식형’, ‘정모형’, ‘짝사랑형’, ‘강 건너 불구경형’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은 지도주체별로 스포츠강사의 인식, 체육교사의 인식, 일반교과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스포츠강사의 긍정적 인식은 ‘꿈을 향한 의지 고취’,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효과’, ‘평가의 부재: 자유로운 수업 운영’의 세 가지 주제로, 부정적 인식은 ‘정규체육수업과의 불분명한 관계’, ‘수업 운영의 어려움’ ‘이론적인 스포츠강사 연수프로그램’, ‘지도자에 대한 의문’의 네 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체육교사의 긍정적 인식은 ‘유연한 운영이 가능한 수업’, ‘학생의 긍정적 변화’의 두 가지 주제로, 부정적 인식은 ‘정규체육수업으로의 전환 요구’의 한 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일반교과교사의 긍정적 인식은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 효과’, ‘새로운 경험’의 두 가지 주제로, 부정적 인식은 ‘수업 운영의 어려움’, ‘존립에 대한 의문’의 두 가지 주제로 구성하였다.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의 지도자 유형은 ‘자기반성형’, ‘심판원형’, ‘자유방임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에 관한 후속연구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고 보다 질 좋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수업이 학교 현장에 정착하는 데 일조하리라 기대된다.

      • IPA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관리자가 인식하는 스포츠강사 제도

        우푸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국문초록> IPA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관리자가 인식하는 스포츠강사 제도 우 푸 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는 스포츠강사를 직접 운영하면서 초등학교 관리자들이 인식한 스포츠강사 제도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스포츠강사 운영방안과 스포츠강사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학교체육수업의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관리자의 대상설정에 있어 2014년 강원도 지역의 스포츠강사를 운영하고 있는 초등학교 관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은 전수조사법( complete enumeration)을 이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127부 중 무기입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6부를 제외한 121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측정도구의 준거관련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를 적용해 내적 일치도 계수인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은 SPSS Window ver 18.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과 t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IPA(Importance-Perform ance- Analysis)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관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스포츠강사 제도의 중요도와 성취도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관리자가 인식하는 스포츠강사 제도의 5개 영역 중 체육수업지도범위, 수업영역효과, 스포츠강사의 자질 및 능력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았고, 근무활동범위와 학생영역의 효과에서 중요도가 가장 낮았으며, 성취도에서는 체육수업지도범위, 수업영역효과가 가장 높고, 근무활동범위와 학생영역의 효과와 스포츠강사의 자질 및 능력이 가장 낮았다. 전체 25개 항목 중 교사와의 상호관계의 중요도와 정규체육수업 보조의 성취도가 가장 높았으며, 학생부진아경감의 중요도와 성취도가 가장 낮았다. 초등학교 관리자의 성별, 직위, 교직경력에 따른 중요도 차이와 초등학교 관리자의 교직경력, 학교급지에 따른 성취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포츠강사 제도로 운영되는 체육수업 참여권유 여부를 조사한 결과 권유하겠다는 관리자들이 더 많았으며, 학교체육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제도 선택을 조사한 결과 스포츠강사 제도보다 체육전담교사 제도를 선택한 관리자들이 더 많았다. 둘째, 초등학교 관리자가 인식하는 스포츠강사 제도의 중요도와 성취도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IPA를 이용한 영역별 중요도와 성취도 차이 분석 결과,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높아 현 제도를 유지해도 되는 Ⅰ사분면(현상유지)에는 체육수업지도 범위, 수업영역 효과가, 중요도는 높지만 성취도가 낮은 Ⅱ사분면(집중개선지향)에는 스포츠강사의 자질 및 능력이, 중요도와 성취도가 모두 낮은 Ⅲ사분면(열등순위)에는 근무활동범위와 학생영역 효과가 나타났으며, 중요도는 낮지만 성취도가 높은 Ⅳ사분면(과잉노력지양)에 해당되는 영역은 없었다. 스포츠강사 제도의 전체 항목에 대한 분포 현황은 체육활동시범, 교구준비?정리, 체육에 대한 관심도, 현장수업 보조능력 등 전체 25개 중 13개의 항목이 Ⅰ사분면에 나타났고, Ⅱ사분면에는 체육수업 전문성 확보, 강사로서의 적성(자질), 초등체육에 대한 이해력(교육과정, 교수법)이, Ⅲ사분면에는 체육교구 및 시설관리,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업무지원, 학생안전지도 및 관리, 학생체력향상, 운동기술향상, 학습부진아경감이, Ⅳ사분면에는 체육행사지원, 방과후체육활동지도(방과후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준비?정리운동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관리자가 인식하는 스포츠강사 제도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관리자들은 현재의 스포츠강사들의 고용안전과 신분보장, 정규직화, 체육수업전담권 보장, 학생이해 부족, 초등교육과정의 이해 부족을 개선점으로 제시하였고, 체육전담교사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지만 제도적 검증을 통한 선발과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통해 초등학교 관리자들의 스포츠강사 제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스포츠강사 운영방안과 스포츠강사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학교체육수업의 활성화 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Sports Lecturer System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Managers Examined with IPA Pu-reum Wu Abstract Physical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the sports lecturer system perceived by managers of elementary school who run the sports lecturer system, and examine efficient ways of managing sports lecturer system, and ways to improve the system to make it settle down stabl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such research aim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elementary school managers who were running the sports lecturer system in Kangwon province in 2014. The sampling method was complete enumeration. Out of all the 127 copies of questionnaire, 121 copies were used in analysis excluding 6 which were not filled out sincerely by respondents. Data analysis method this study used was Cronbach’s α,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was calculated us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measuring scales. Using the SPSS Window Version 18.0,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ere performed. Data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the sports lecturer system depending on the variables on demographic attributes of elementary school managers are as follows. Among the five domain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managers attach relatively more importance to the following three domains ― physical education guide scope, teaching area effect, and quality and capacity of sports lecturers. They put less importance on working activity scope and effect of student area. The achievement levels were higher in physical education guide scope and teaching area effect, and lower in working activity scope, effect of student area, and quality and capacity of sports lecturers. Among the 25 items, respondents put the highest importance on mutual relations with teachers, and the highest achievement on assistance of regula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levels were the lowest on reduction of slow learn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mportance depending on gender, position, teaching years, and in the level of achievement depending on teaching years and school location level. On the question on whether school managers will recommend sports lecturer system to others, there were more managers who said positively. On the question asking their preference fo a system to activate school physical education, more respondents preferre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system to the sports lecturer system.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achievement levels of the sports lecturer system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managers are as follows. The IPA analysis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levels per domain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physical education guide scope and teaching area effect belong to Quadrant Ⅰ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where both importance and achievement levels are high; quality and capacity of sports lecturers belongs to Quadrant Ⅱ (orientation toward focused improvement) where importance level is high, but achievement level is low; working activity scope and effect of student area belong to Quadrant Ⅲ (inferiority rank) where both importance and achievement levels are low; no domain belongs to Quadrant Ⅳ (avoidance of excessive efforts) where importance level is low, but achievement level is high. The distributive situations of all the items on the sports lecturer system are as follows: 13 items among all the 25 items such as physical activity demonstration, teaching tool preparation, interest in sports, and capacity to assist school teaching, etc. belong to Quadrant Ⅰ; Securing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specialty, aptitude (talent) as lecturer, understanding o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educational process and teaching method) belong to Quadrant Ⅱ; maintenance of physical education tools and facilities, support on PAPS works, student safety guide and management, improvement of student physical power, sports technique improvement, and reduction of slow learners belong to Quadrant Ⅲ; support for sports events,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guidance (after-school class, school sports club), and warm-up and warm-down exercises belong to Quadrant Ⅳ. Third, the ways to improve the sports lecturer system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managers a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managers suggested the following as what should be improved: job security and identity guarantee of sports lecturers, their promotion to regular teachers, guaranteeing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y responded that, though the possibility of their being promoted to regular teachers is open, selection and education of lecturers through systemic test should be considered first of all. The above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managers on the sports lecturer system and the discussion on the ways of improving the system to make it settle down stably will help activat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스포츠 지도자의 암묵적·명시적 코칭과 학생선수의 라이프스킬 및 전이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오세용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지도자의 암묵적·명 시적 라이프스킬 코칭과 라이프스킬 및 전이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 는 고등학교 학생선수들 332명(남자=259명, 여자=73명)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는 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 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묵적 라이프스킬 코칭은 스포츠 라이프스킬 개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가설 1-1, 3-1 채택). 하지만전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가설1-2, 3-2 기각). 둘째, 명시적 라이프스킬 코칭은 스포츠 라이프스킬 개발에 정적인 영향 을 주었고(가설 2-1, 3-3 채택) 전이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가설 2-2, 3-4 채택). 셋째, 스포츠 라이프스킬은 전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 으며(가설 1-3, 2-3, 3-5 채택) 암묵적·명시적 라이프스킬 코칭은 스포츠 라이프스킬을 매개하여 전이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가설 3-6, 3-7 채 택). 따라서 코치들은 학생선수들의 스포츠 라이프스킬 개발과 전이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스포츠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분들이 실현된다면 우리나라의 스포츠 발전과스포츠를 통한 PYD의 현실화를기대할 수있을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and explicit life skills coaching of sports leaders, life skills, and life skill transfe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 athletes.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32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male=259, female=73) in Seoul and Gyeong gi-do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ddi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with using Bootstrapp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ly, implicit life skill co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life skill development, bu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ransition. Secondly, explicit life skill co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life skill development and transition. Thirdly, sports life skill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kill transfer. Furthermore, implicit and explicit life skill co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kill transfer by mediating sports life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coaches should plan and apply life skill coaching actively for development and transfer of sports life skills in student athletes. Therefore, this will contribute to help positive youth development of student athletes in sport field.

      • 스포츠 팬덤(fandom)의 문화개혁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프로야구 L구단 팬클럽 및 서포터스를 중심으로

        이보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스포츠 팬클럽 및 서포터스들이 기존 스포츠문화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조직적으로 저항하는 움직임을 고찰해봄으로써 스포츠 팬덤의 적극적 문화 실천 및 문화개혁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 연구방법은 참여관찰(observation)과 심층면담(interview)이었다. 그밖에 일반서적, 신문기사, 세미나 관련 스크립트, 인터넷 게시판 자료 등을 보조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L구단이 운영하는 사이트의 팬클럽 모임, 다음(Daum)카페, 서포터스 중에서 회원수 50명 이상인 클럽을 선택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구성원 12명을 심층면접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팬클럽 및 서포터스는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적극적 소비자이자 생산자임을 알 수 있었다. 팬클럽은 수동적 소비자를 넘어 구성원들이 기존문화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조직적으로 대항하고, 모순을 바로 잡으려고 하는 움직임을 스스로 보임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문화운동과 문화개혁의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팬덤의 문화개혁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스포츠 팬은 팬클럽 및 서포터스에 가입하게 되면서 스포츠 팬덤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스포츠 팬덤은 정서적 연대와 비판의식, 정보의 확장과 생산을 통하여 스포츠의 생산적 소비자가 된다. 이러한 생산적 소비자는 더 나아가 문화 실천 및 개혁운동으로 이어지고 비로소 스포츠의 문화개혁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팬클럽 및 서포터스는 흔히 알려진대로 과도한 열정으로 인해 부정적인 성격만 지닌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문화운동 또는 문화개혁으로 이행될 수 있는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ports fan club members and supporters' organized resistance to the wrong aspects of the conventional sports culture and thereby, explore the way to help the sports fandom practice and reform the sports culture positively. For this purpose,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used, while books, newspaper reports, records of seminars and Internet bulletins were reviewed. For this study, fan club website operated by 'L' baseball team, Daum cafe and supporters were surveyed and thereupon, a club with more than 50 members was sampled, and 12 members were selected for the in-depth interview.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fan clubs and supporters are not simple consumers but positive consumers and producers. Fan clubs resist in an organized way to the wrong aspects of the conventional sports culture, just beyond being passive consumers, and even try to correct any problem. Such findings suggest that it should be possible for fan clubs to stage a new cultural campaign or reform the sports culture. The cultural reform processes by sports fandom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Sports fans begin to form a sports fandom since they join a fan club or supporters. Then, sports fandom become productive consumers of sports through emotional solidarity, criticism, expansion and production of information. Such productive consumers proceed to practice a desirable sports culture or reform the conventional sports culture. The result will be a reform of the sports culture. Such fan clubs and supporters do not behave negatively, as known usually, but they tend to form a new community for a new cultural campaign or reform.

      • 종합형스포츠클럽 정착을 위한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황수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글로컬캠퍼스)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rehensive-type sports club which are demonstrated by the government and propose the improvement element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by analyzing the issue of facilities, programs, leaders and memb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eighteen comprehensive-type sports club which are demonstra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Korea Council of Sports. The analyzed items are selected by facilities, programs, leaders, and members of the clubs. More specifically, the analysis of facility unit are the form of operation and the acquisition of the club house. The program unit are the number of program and the number of member each programs. The leader unit are the type of employment and the number of volunteers. The member unit are the number of total member and the ratio of youth memb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rrent states of three clubs(DaeJeon, JeonBook, GwangJu) are very excellent in terms of the lo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installation. Sports clubs need to have their own complex sports facility rather than single installation so that they can manage various programs in the same place. Secondly, most programs lean too much on the specific program. Comprehensive-type sports clubs need to provide with various programs for all generations and classes but the result shown all the clubs don't have enough programs compared to the standard. Thirdly, most leaders of the clubs are well qualified. Moreover, they recruited a lot of volunteers and especially these five region: Jeonbook, Busan, Sacheon, Songdo, and Osan were outstanding. All the sports club need enough volunteers to prepare for the lack of budget after the suspension of the government support. Finally, we concluded that three clubs in Jeonbook, Inchen Namgoo, Suwon have excellent ration of the youth members. Sports club can reach to self-viable club when they obtain the secure facilities, activate the various programs and have enough leaders and members. In order to obtain this goal, the local government, the club operator, and the members are need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ir sports club system. 종합형스포츠클럽 정착을 위한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정부에서 시범운영 중인 종합형스포츠클럽 18개소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시설, 프로그램, 지도자, 자원봉사자 등과 관련된 문제점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스포츠클럽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종합형스포츠클럽과 관련된 서적, 문헌 및 웹사이트 등에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종합형스포츠클럽 관련 워크숍 및 세미나 등에 참석하여 2014년 종합형스포츠클럽 18개소의 운영현황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세부 분류 항목은 시설의 경우 운영 안정성, 운영시설의 형태, 클럽하우스의 확보 상태로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은 종목의 내실화와 전체 운영 프로그램 수, 지역특수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뉴스포츠 프로그램, 생애주기 프로그램 운영 여부를 파악하였으며, 지도자는 정규직, 계약직, 자원봉사자의 확보 상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우수’, ‘양호’, ‘미흡’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시설간의 지리적 거리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넷 포털 사이트 다음(Daum)에서 제공하고 있는 길 찾기 및 거리측정, 이동 소요시간 서비스를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에 의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3개 스포츠클럽(대전대덕·전북·광주빛고을)은 운영 안정성 확보 및 운영시설의 형태, 클럽하우스 확보 요소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형스포츠클럽은 클럽하우스가 구성되어있으며 독자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클럽체육시설이 필수적이며 분산시설형태보다는 복합 및 혼합시설형태의 체육시설을 갖추어 한 장소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종합형스포츠클럽은 복합·혼합시설형태이며 클럽하우스가 구성되어있고 독자적 운영이 가능한 클럽체육시설을 충분히 확보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모든 클럽이 특정 종목에 편중되어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형스포츠클럽은 다계층·다연령 회원에게 다종목·다수준의 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하는데 이러한 사업목적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종합형스포츠클럽은 사업 목적에 맞게 지역사회 주민들이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참여할 수 있는 선택적 개별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하며, 뉴스포츠 종목·생애주기프로그램·지역특수성을 반영한 종목 선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지도자를 분석한 결과, 정규직·비정규직·자원봉사자의 확보가 우수한 클럽은 5개소(전북·신나는사상·사천·부산송도마린·오산물향기)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자 확보는 국가에서 지원이 종료되는 시점 이후 자생력을 갖추기 위한 필수적 요소이므로 모든 스포츠클럽에서 충분한 자원봉사자 확보 및 활용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회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3개의 스포츠클럽(전북·인천통통통남구·코리아하이파이브수원)에서 회원 수를 포함한 성인 및 청소년 회원 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형스포츠클럽 사업지침에서 언급하는 “성인 및 청소년의 회원 비율을 각각 30%씩 최대한 유지하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스포츠클럽이 성인 및 청소년 회원 비율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 추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종합형스포츠클럽은 자생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무엇보다도 클럽 운영 주체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와 정부는 종합형스포츠클럽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한장애인체육회 출범 전후 장애인스포츠 기사 분석

        곽수정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대한장애인체육회(이하 ‘대장체’라 한다) 출범 10주년을 맞이하여 최근 14년(2000∼2013년) 동안 주요 서울 종합일간지를 통해 장애인스포츠 관련 기사를 435개 수집하였다. 질적 분석 자료 방법인 Nvivo10을 이용하여 내용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전문체육의 기사량이 80%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생활체육 및 대장체 관련 홍보였다. 둘째, 전문체육에서도 패럴림픽의 기사량이 가장 많고 아시아장애인게임 및 스페셜올림픽 그리고 전국장애인체육대회 순이었다. 셋째, 1001자 이상의 大기사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중기사와 소기사는 비슷한 분포율을 보였다. 이는 장애 선수들의 장애를 극복하는 영웅적인 모습을 강조하거나 장애인스포츠 종목 설명을 위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장체는 생활체육의 활성화 및 전문체육 지원 육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어졌다. 그러나 전문체육이 대다수 언론에 노출되어 있고 생활체육도 국민생활체육대축전이라는 대회관련에 대한 내용으로 집중되어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인스포츠는 생활체육과 전문체육이 함께 공존하는 특수한 분야 이다.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고 재미있는 내용으로 기사를 구성하여 보도하는 방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종합일간지와 지역신문의 장애인스포츠 기사의 차이를 연구하거나 대한체육회와 홍보 관련 비교 연구 그리고 외국의 장애인스포츠 대중매체의 홍보 관련 등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스포츠모델의 효율적인 광고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제문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43

        오늘날 스포츠선수는 이제 하나의 광고 개체요, 수단으로서 가장 각광 받는 매체가 되어 가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효과적으로 브랜드와 제품의 이미지를 극대화시킬 수가 있는가,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대두된다. 이에 연구자는 '스포츠선수를 모델로 한 광고의 효과'를 조사 분석하는데 목표를 두고, 스포츠 선수를 모텔로 한 광고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광고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소비자 설문조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스타들의 광고모델 출연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서는 '긍정적이다'라는 응답이 44.7%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포츠 스타들의 광고출연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광고에 출연한 스포츠선수 중 기억나는 스타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있다'는 응답이 74.4%, '없다'는 응답이 24.6%로 스포츠 스타를 활용한 광고가 사람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억하는 스포츠모델이 어떤 제품에 출연했는지를 기억하게 한 결과, '기억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80.4%로 대다수가 스포츠 선수와 광고제품을 연계 시켜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선수가 모델이 되는 광고에 대해 '인상적이다'는 항목의 평균이 3.22로 가장 높고, 주의를 끌고 기억에 남으며 호감이 간다고 응답함으로써 스포츠모델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선수가 등장하는 광고를 보고 구매의도가 발생하는지를 질문한 견과, 비교적 새롭게 보이기는 하나, 스포츠선수가 모델로 등장한다고 해서 특별히 좋아보이지는 않는것으로 응답했으며 구매한 싶은 생각에 까지는 이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스타가 출연한 광고와 선수의 이미지가 어울리는 정도를 평가 한 결과, 안정환이 3.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동국(3.8), 고종수 (3.67), 김병지(3.64) 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박세리, 박찬호, 김미현, 우지윈, 김병현 등 약간 어울리는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승엽은 2.95로 다른 스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조사결과, 소비자들은 스포츠스타들이 광고모델로 등장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그로 인해 제품구매를 결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은 스포츠선수마다 차별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어 모델 로 출연하는 광고가 스포츠선수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지 아닌지를 평가하고 있으며, 자신이 선호하는 스포츠선수가 출연하는 광고에 대한 기억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모델 광고는 인지도 및 주목율에 있어서는 효과가 높으나 제품구매에까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내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미지 적합성만 확정 된다면 스포츠모델 광고는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관건은 스포츠선수와 기업의 이미지간 합치성에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기업 이미지에 맞는 종목선택이 스포츠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스포츠선수의 상품성을 개발하는 것은 선수 그 자신의 몫이 아니라 그 선수를 관리하는 팀이나 매니저 그리고 후원하는 회사이다. 그런 면에서 전문적으로 선수를 관리하는 선수 매니지먼트 회사 곧 에이전트들의 등장이 필수 불가결한 것이며 이들을 통한 스타 선수의 발전이나 성장은 스포츠가 마케팅으로서 성공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에 기업과 에이전시는 스포츠스타의 조기발굴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스타 만들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기업의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조사를 실시해 기업이미지 컨셉을 명확히 하고, 철저한 수용자조사를 통한 이미지파악을 통해 합일점을 모색해야만 원하는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포츠 모델을 이용한 광고의 핵심은 '살아있는 스포츠' 이미지 구현에 있다. 모델의 움직임을 통해 동적인 현장감을 표현해야 한다. 이러한 역동적인 모습 이 비대칭구조이며 긴장감있는 메시지 전달로 스포츠광고의 컨셉과 일관성 있는 매시지를 최대한 유지시켜 준다, Nowadays, sport players are becoming one of the most remarkable media as a commercial individual and method. Then, it becomes influential how we can make brands and image of products the greatest efficiently. Thus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inquiry and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advertisement which sport players are staring in' and surveyed on how the sport player modelled advertisement. And we studied about the effects of actual advertisement through questionnaires focused on consumers. Followings are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First, to the question asking opinions about the sport players' appearance on stage as a advertisement model, 44.7 percents of the people answered 'positive' and it's shown that most of people regard the sport players' appearance on stage as a advertisement model positive. Second, to the question whether they remember any sport star among sport players who starred in any advertisement, the answer 'yes' was 74.4% and 'no' 24.6%, which means the recognition of the advertisement which made the most of sport star. Third, to the question whether they remember for which advertisement the sport player played, 'yes' was 84.0%, which means most people remember the sport player and the advertisement connected to each other. Fourth, about the advertisements which sport players are staring in, the item 'impressive' showed the highest average of 3.22, and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it attractive, remains in their memories and favorable, which means the general attitude toward the sport players' appearance on stage as a advertisement model is positive. Fifth, to the question about the occurrence of intention to buy the products after watching the advertisement which sport players are advertising,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it looked new, but even though sports model appears in the advertisements, it doesn't mean that the goods are good, which means that it doesn't lead to a motive to buy the products. Sixth, according to the result asking about the harmony between the advertisement which the sport player advertised for and the image of the player, Jung-hwan, An showed the highest average of 3.84. Se-ri, Park, Chan-ho, Park, Mi-hyun, Kim, Ji-won, Woo and Byung-hyun, Kim were evaluated to be suitable for the advertisements. But Seung-yup, Lee showed average of 2.95, which is rather lower than the other sport sta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s shown that many people regard the sport players' appearance on stage for a advertisement positive but they are not likely to buy the products because of it. Above all things, the consumers have distinctive images for each sport player so that they judge whether the image of the player matches the advertisement which the sport star is advertising for and the degree of memorization of the advertisement which their favorite sport players are advertising showed high degree. Therefore, the sport model advertisement is very effective in the degree of awareness and attention, but it can't be defined that it influences buying the products. But if the image fitness is ensured, the sport models' advertisement is evaluated to be effective so that we can say that the key point is the consensus between the image of the sport star and the company. Accordingly, choosing an item that best suits the image of the company can lead to the best efficiency. Developing the commodity of sport player is not the player's portion but the team, manager or supporting company's. For such reasons, the appearance of player management company, so to speak agents to manage the players is necessary, and through it, excavating and developing a star player can be very important factor for sport to succeed into marketing. For this, companies and agencies should pay a lot of attention to make stars through early excavation and continuous management. In addition, by conducting consumer analysis about the image of the company, they should try to clear up the concept of the company's image and through image seizing by thoroughgoing consumer survey, they should grope for union to achieve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they need. The kernel of the advertisement making the most of sport star is realizing the image of 'alive sport'. Through the motion of the model, the active sense of actual spot should be described. Such energetic appearance is a non symmetrical expression, and through tense delivery of a message, it can maintain the concept and the consistent messages of the sport advertisement.

      •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이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

        고아라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이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해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을 파악 및 분석하여 올바른 윤리의식의 확립과 이에 따른 해결 방안을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댄스스포츠 프로페셔널 결승 진출자들을 대상으로 성인 남·여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해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구에 진실성과 신뢰도를 위해 구성원검토법, 삼각검증법, 동료검토법, 내용타당도를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이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올바른 윤리의식이 확립되지 않은 댄스스포츠지도자들로 인해 금품수수와 승부조작이라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선수들은 스포츠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페어플레이 정신을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수들이 경기 참여권을 박탈당하거나 운동을 포기하게 되는 사례로 이어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지도자의 지도라는 명목하에 폭력(성, 언어, 처벌)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신적 피해를 얻은 선수들은 선수 생활을 중도 포기 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금품수수, 승부조작, 폭행, 비윤리적인 행위로 구분 지을 수 있었다. 셋째,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에서 금품수수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장 목격 시 바로 신고를 해야 하며, 그에 따른 처벌을 받는 게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승부조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지도자가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해 공정한 심판을 하고, 결과지를 공개해야 하며, 심사의 기준이 명확하고 선수들이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협회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지도자의 올바른 인격 성립을 위해 폭력과 성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 시키고, 전반적인 윤리 자격증을 이수해야 한다고 하였다. 비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과도한 승리지상주의를 지양하고, 지도자와 선수가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해서 긍정적인 환경을 실현해 나아가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기존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댄스스포츠지도자와 선수의 관계가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가를 규명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고,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에 대한 양적, 질적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 되고, 또 댄스스포츠 선수들이 지도자가 되었을 때 똑같은 전철을 밟지 않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다. 따라서 지도자의 자질과 올바른 윤리의식을 갖춘 댄스스포츠지도자가 필요하며, 이 연구를 통해 댄스스포츠지도자의 윤리의식 소양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sports leaders' ethical consciousness on athletes, discover and analyz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improve dance sports leaders' ethical consciousness, and provide basic dat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even adult men and wom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finalist study specializing in dance sport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one-on-on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a member review method, a triangular verification method, a peer review method, and content validity were used for the stud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survey of the impact of dance sports leaders' ethics on players showed that dance sports leaders who did not have the right ethics were causing bribery and match-fixing, causing players to lose the most important fair play spirit. This is interpreted as leading to cases in which players are deprived of their right to participate in the game or give up their exercise. One the other hand, violence (sex, language, punishment) occurs in the name of leadership, and mentally damaged players give up their careers in the middle. Second, factors that influenc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dance sports leaders can be classified into bribery, match-fixing, assault, and unethical behavior. Third, in the improvement plan that can improve the ethical consciousness of dance sports leaders, it is said that it is effective to report immediately when witnessing the scene as a way to prevent bribery. As a way to prevent match-fixing, the association's need has been raised to establish correct values, make fair judgments, disclose results, have clear screening standards, and allow players to represent their voices. As a way to prevent violence, it is said that violence and sex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further expanded and overall ethical certificates should be completed to establish the right personality of leaders. And it is also argued that he expects to realize a positive environment by avoiding excessive victoryism and maintaining horizontal relations between leaders and players as a way to solve unethical problems. Therefore,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ance sports leaders and athlete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gles, and it was an opportunity for dance sports players not to follow the same Track. Therefore, a dance sports leader with the qualities of a leader and the right ethics is needed, and this study aims to support dance sports leaders to have a sense of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