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지역 추정방법을 이용한 동(洞)단위 구매액 예측에 관한 연구

        안혜영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With the increased competition among large discount stores, the intensity of sales, marketing and location management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interest in marketing in area units which manages customers based on region has subsequently increased. Different from current forms of marketing where the same promotional materials are distributed to all areas, area marketing designs different material for each small area through which the needs of customers within each area can be better satisfied. In order for such marketing to occur, the purchase amount for small areas, such as by town/township (myon)/dong must first be estimated. In order for small area marketing to occur, a collection of required data within the area, such as purchase amount, must first occur. However, the costs required to collect such data on a national level to conduct analysis in small area units can become large. Consequently, it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to develop a method which allows estimations for the purchase amount of small areas as a way to reduce such costs. This study uses national statistical data to conduct estimates on the purchase amount by dong units by using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The MSE (Mean Squared Error) and variance were estimated using the Jacknife method for direct estimator, synthetic estimator, and composite estimator in regards to the purchase amount by each administrative dong unit. The results, based on the RSE and PRMSE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show that synthetic estimator is a more efficient estimation method compared to direct estimator or composite estimator. Consequently, the study shows that purchase amount estimates by each administrative dong unit can be utilized for area marketing activities.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direct estimator, synthetic estimator and composite estimator in order to estimate the purchase amount by each administrative dong unit of large discount stores.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tion and further research into the subject, further studies must be conducted with further categorizes national statistical data and the efficiency of small area estimation methods. 최근 대형 할인점 간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영업, 마케팅 및 입지관리의 강도가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별로 고객을 차등화하여 관리하는 지역단위 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역단위 마케팅(area marketing)이란, 예컨대 현재와 같이 모든 지역에 동일한 전단지를 배포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소지역(small area)별로 서로 다른 전단 내용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고객의 지역별 요구(Needs)를 충족하고자 하는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필히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소지역, 즉 읍·면·동이나 그 이하 단위에서의 구매액에 대한 파악이다. 소지역 단위 마케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렇듯 구매액과 같은 지역내의 관심 데이터 수집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역단위 마케팅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비해 데이터 수집환경은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소지역 단위의 분석을 위해 전국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전체 표본의 크기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이는 많은 비용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적은 비용을 통해 소지역의 구매액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위의 문제를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향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첫째로, 소지역 통계를 생성할 수 있는 이른바 ‘소지역 통계추정’ 방법에 의한 해결이다. 선행 연구에서 언급된 여러 통계량들을 대형 할인점 구매액 추정 데이터에 적용하여 서로 비교하고자 한다. 둘째로, 소지역 통계추정을 위한 보조변수로서 국가통계를 활용하는 것이다. 소지역 단위 구매액 추정은 구매액에 유의미한 보조변수(auxiliary variable)에 의해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 발표하는 소지역 단위의 인구통계학적 변수가 이를 위한 보조변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을 통해 대형 할인점에서 필요한 소지역 구매액 추정을 해결하고자 한다.

      • 주성분 점수를 이용한 혼합선형회귀 모형 기반의 소지역 추정

        박미령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표본조사란 유한모집단의 일부를 조사함으로써 모집단 및 이의 부모집단에 대한 특성을 추정하는 통계분석 방법이다. 하지만 부모집단 추정에 대한 부분이 고려되지 못한 채 표본설계가 이루어지게 되면, 조사 이후 추정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일정수준의 개체수를 확보하지 못한 부모집단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소지역이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소지역에 대한 직접 추정량이 여러 해에 걸쳐 반복적으로 산출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소지역 추정 방안을 고려한다. 동일 소지역에 대한 시점 별 직접 추정량이 누적된 경우, 이를 이용한 안정적인 소지역 추정을 위하여 주성분 점수를 이용한 혼합선형회귀 모형 기반의 소지역 추정량을 제안하였다. 소지역 추정량의 평균제곱오차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의 통계적 성질을 살펴보았다. 제안된 소지역 추정량과 기존 추정량들의 비교를 위해서는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 정권교체와 영남의 소지역주의 변화 : 2000년 총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차정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5

        한국정치사회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바로 지역주의다. 정권교체가 부재하였던 시절, 지역주의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지역간 정권교체가 실현되면 지역주의가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1997년 15대 대통령선거에서 한국정치사상 최초의 여야간, 지역간 정권교체를 경험한 지금 이러한 기존 연구들의 전망대로 과연 지역주의가 완화되었는가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즉 '왜 유권자들이 지역간 수평적 정권교체 이후에도 지역주의적 투표행태를 지속하는가,' '지역주의의 원인 제공자인 영남패권이 무너졌는데도 왜 지역패권주의는 계속되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정권교체 이후의 지역주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2000년 16대 총선을 대표적 사례로 든다. 16대 총선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한나라당의 ‘영남싹쓸이’ 현상으로 과거 선거에서 볼 수 없었던 영남지역 유권자들의 정치적 결집을 발견할 수 있다. 과거 90%를 넘나드는 호남지역 유권자들의 결집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결집력을 보이던 영남이 정권교체 이후 호남지역과 동등한 정도의 결집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권교체 이후 지역주의 변화를 살피는 데 영남지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 변화, 즉 정권교체 이후 영남지역 유권자들의 정치적 결집 강화현상에 주목한다. 즉 정권교체를 전후로 한 영남지역 유권자들의 투표행태 변화를 고찰하고, '왜 영남 유권자들의 지역주의 투표행태가 정권교체 이후 강화되었는가'를 설명하는 데 초점을 둔다. 정권교체 이전 영남지역 유권자들의 표분산의 결정적 원인은 바로 영남지역 내부에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간의 균열적 소지역주의가 존재했다는 것인데, 정권교체를 계기로 영남은 이러한 균열적 소지역주의를 극복하고 강한 응집력을 갖게 되었다. 영남지역 유권자들의 정치적 결집 강화의 배경은 바로 이러한 소지역간 '균열'이 '응집'으로 전환되는 원인을 밝힘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정권교체 이후 영남의 소지역주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주의에 대한 기존 접근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제 지역주의를 호남의 '소외' 문제로만 바라보던 과거의 접근법에서 벗어나 지역간 권력경쟁이라는 틀 속에서 지역주의를 바라보는 '新지역주의 접근이론'을 발견해 보고자 한다. 정권교체 이후 지역주의 강화라는 현상에 직면하고 있는 지금, 지역주의에 대한 연구도 기존의 연구방법이나 접근주제를 반복하는 데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과 틀 속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One of the largest problem in the political society of Korea is regionalism. At the time when no political power is changed, many studies on regionalism prospected and insisted that "if the political power is replaced among regions, the regionalism will be eased." This thesis origins from the question whether the regionalism was eased as expected by these existing studies at this time having experienced the first political power shifting among the ins and outs and regions in Korea political history. That is, it intends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such as 'why do electors keep casting regional votes even after the horizontal political power shifting among regions?' or 'why does the regional hegemony keep existing when Youngnam hegemony, who is the cause for the regionalism, has collapsed'. The 16th general election in 2000 is the model example to examine the regionalism after the political power shifting. One of the largest characteristics of the 16th general election is the 'Youngnam Cleaning-up' of Grand National Party, in which we can find the unprecedented political combination of voters in Youngnam area. Youngnam, which has showed relatively weaker cohesive force than that of Honam area voters of 90% in the past, demonstrated the cohesive force equivalent to that of Honam area. Therefore, this thesis gives attention to the voting pattern change of voters in Youngnam area, that is, the political cohesive force strengthening phenomenon of voters in Youngnam area while examining the regional change after the political power shifting. That is, it studies the voting pattern change of the voters in Youngnam area and concentrates on explaining 'why the regional voting pattern of Youngnam voters has been reinforced after the political power shifting'. The decisive factor of vote dispersion of Youngnam voters before the political power shifting was that there was cliquish sub-regionalism between TK(Taegu/Kyongbuk) and PK(Pusan/Kyongnam) in Youngnam area, which has been overcome by Young with the political power shifting as a turning point to demonstrate the cohesive power. The background of political concentration of Youngnam-area voters can be explained by clarifying the factor to shift this cliquish 'divisive' into 'cohesive'. This thesis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approach to the regionalism and proposes the necessity to modify it by examining the sub-regionalism change in Youngnam after the political power shifting. Now getting out of the past approach method considering the regionalism as 'alienation' issue of Honam, it intends to discover 'new regionalism approach theory' looking the regionalism in the frame of power struggle among regions. At this time facing with the phenomenon to strengthen the regionalism after the political power shifting, the study on regionalism should be analyzed and solved in the new frame and view, overcoming repeating the existing study method or approach subject.

      • 북중 나선-훈춘경제협력구 건립에 대한 연구 : 소지역경제협력이론 적용의 타당성과 추진전략

        태향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5

        현재 국제 경제 통합과 지역 경제의 통합은 세계 경제 발전의 주요한 추세가 되고 있다. 세계 경제 발전의 국제화에 따라 단일한 국내 범위의 경제발전은 더 이상 세계 경제의 발전 조류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국가의 생산수준, 산업구조, 정치제체 등 면에서 큰 차이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 범위의 경제 통합은 아직도 긴 발전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므로 지역우위와 지역경제 보완성을 기초로 하는 소지역경제협력은 다국 간 경제협력의 한 형태로서 아시아 지역에서 신속한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북한의 나선지역과 중국의 훈춘지역은 인접한 변경지역으로서 자국의 발달한 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자국의 발달 지역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발전하는 것보다 두 지역의 경제보완성, 공간의 근접성, 제도적 안배를 이용하여 소지역경제협력구를 건립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방안이다. 북중 나선-훈춘경제협력구의 건립은 점차적으로 중국 동북지역, 북한 북방지역의 발전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고 두만강지역의 경제발전과 장애를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유엔 두만강지역 국제협력개발을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나선과 훈춘 두 지역은 풍부하고 저렴한 노동자원, 천연자원, 지리적 우위를 가지고 양국의 특혜정책을 받는다. 하지만 아직 경쟁력이 있는 기업전략과 경쟁여건을 갖춘 기업은 적다. 그러므로 두 지역은 이미 주어진 우위산업을 분석하여 산업클러스터를 추진하고 그에 따르는 교통인프라, 인적자원인프라, 금융, 보험자원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러한 것은 정부의 정책적 기획방향과 실행방향을 전제로 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중 나선-훈춘경제협력구의 지방정부 간, 양국 중앙정부의 지원과 협력을 정책 추진의 전제로 하여야 한다. 둘째, 변경경제협력구의 초기 구축을 위하여 통관의 원활화, 공통 인프라 구축, 인력양성의 계획은 정부차원에서 추진하여야 한다. 셋째, 변경경제협력구가 건실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중국 일방의 원조가 아니라 상호 호혜호리, 권리와 의무의 균형 원칙을 준수하고 실천하여야 한다. 넷째, 북중 쌍방의 정책법규 및 개발환경에 대한 상호적인 이해와 행동의 일치를 사전에 조정하는 메커니즘을 구축하여야 한다. 다섯째, 협력개발 사업 중 정부와 민간 사업자간 역할 분담을 명확하게 하며, 정부는 민간의 자율적 참여와 창의적 사업 아이디어 창출을 유도하여야 한다.

      • 중국-북한 소지역 경제협력구의 가능성 연구

        장함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5

        중국과 북한 쌍방무역은 오래전부터 양국의 대외경제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처해 있었다. 중국은 북한의 가장 중요한 무역국이고 연변의 대북 국경무역 또한 북한의 대외경제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양국의 이러한 대외무역관계는 비록 자신의 특색을 갖고 있지만 일정한 제약 요인도 있다. 세계경제 일체화와 FTA를 비롯한 지역주의라는 대 환경하에 그리고 중국이 동북지역의 경제를 발전시키는 전략과 북한이 경제발전을 위한 일련의 신조치는 본 지역의 경제일체화 발전에 절호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중국은 이미WTO 프레임웍 아래서 소지역 경제협력을 구축하는 것을 주요 전략으로 하고 있다. 북한은 특수한 국정으로 말미암아 빠른 시일 내에는 WTO에 참가할 여건이 되지 않으며 소지역 경제협력구를 체결하는 것이 현재 가장 현실적인 선택이다. 중국-북한 국경지대에 있는 연변지역은 그 특유의 지역적 우위로 말미암아 연변을 중심으로 한 중국-북한 소지역 경제협력구 구축 구상이 현실적인 가능성이 있게 하였다. 본문은 이 구상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하였고 동시에 중국이 동북아경제권 내에 북한이란 최약체를 발전시키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중국-북한 소지역 경제협력구를 구축하는 것은 양국의 대외경제의 협력과 발전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동아경제일체화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서도 엄청난 추진적 작용을 할 것이다. 그리고 종국적으로는 WTO의 다자무역체제에 융합하고 글로벌 무역화를 실현하는데 확고한 한 걸음이 될 것이다. Border trade between China and North-Korea plays a role not to be ignored in the foreign economic development of two countries. China, especially Yanbian, is the most important foreign trade partner to North-Korea. There are certain restrained factors in the trade, as its own features as well. Prospects of world-wide economic integration and FTA concluding is expanding. Meanwhile,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of Flourishing Northeast in China and a series of new economic development initiatives in North-Korea offer a rare opportunity for economic integrated development in the region. China has already taken it as a main strategy that the Sub-region economic cooperation concluding in the frame of WTO agreement so as to break the ice. Meanwhile, North-Korea it is temporarily impossible to satisfy the essential requirements of joining in WTO due to it's special conditions. Therefore, sub-regional economic cooperationdeals is believed as a practical choice for the time being. Yanbian, located in the sub-region area between China and North-Korea,can be served as a part of the sub-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zone under the sub-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zone by virtue of its special regional advantageous. The thesis analyzes the feasibility of the conception and indicates that China plays an active part in starting the weakest link of the economic circle of East Asia. It is thus clear that concluding the sub-region trade between China and North-Korea is bound not only to benefits the cooperation of the two countries to develop economy, but also to brings tremendous immediate and long-term push to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Furthermore, the sub-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zone will be in harmony with WTO trade system. The conception will be surely helpful to make a great stride into global free trade.

      •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을 이용한 읍면동 수준 기대수명 산출

        김익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3

        가용한 자료원이 확대되고 분석 방법의 발전에 따라 소지역 단위 건강 수준 산출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소지역 단위 건강 수준 산출은 높은 층위의 지역을 분석 단위로 했을 때 가려지는 지역 간 차이를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어 취약 인구 집단을 발견하고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의 시발점이 될 수 있다. 소지역 단위 분석은 지역에 속한 인구 특성이 비교적 동질적이고 건강 결정 인자들에 대한 폭로가 고르기 때문에 생태학적 오류가 적다. 지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변환 가능 공간 단위 문제(modifiable area unit problem, MAUP) 또한 비교적 적다고 알려져 있다. 소지역 수준 건강 수준 산출은 역학적, 지리적, 통계적 노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소지역 수준 건강 수준 산출에 적합한 자료원 활용과 함께 적절한 소지역 단위 및 건강 수준 측정 도구 선정, 데이터의 희박성을 고려하여 수 년 간의 자료를 합치거나 통계 모형을 이용한 산출 등이 요구된다.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읍·면·동을 분석 단위로 한 소지역 수준 사망률이 측정되어 왔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졌던 읍·면·동 수준 사망률 산출 연구는 다년간의 자료를 합하여 주로 표준화사망비를 산출한 후, 읍·면·동 간 표준화사망비를 비교하였다. 표준화사망비를 이용하여 사망률을 측정한 가장 큰 이유는 선행 연구들에서 이용한 통계청 자료는 읍·면·동 수준에서 연령군별 사망자 수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표준화사망비는 연령군별 사망률 정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산출이 용이하다. 그러나 표준화사망비를 지역 간 사망률 비교에 이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그 이유는 표준인구의 연령군별 사망률과 해당 소지역의 연령군별 인구수의 곱을 모두 합하여 산출하는 표준화사망비의 분모가 소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표준화사망비를 이용하여 지역 간 사망률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가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첫째, 비교하고자 하는 소지역들의 연령 구조가 유사하여야 한다. 둘째, 표준인구 연령군별 사망률과의 비가 연령군 간 크게 다르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두 가지 가정을 동시에 만족할 필요는 없다. 표준화사망비 외에 소지역 수준 사망률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는 비교사망지수와 기대수명 등이 있다. 기대수명은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대중과 정책 결정자들의 이해가 쉽고, 산출 시 표준인구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정보 데이터베이스(건강정보DB)는 우리나라 거의 모든 인구의 성별, 연령, 거주지(읍·면·동)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통계청의 사망통계자료와 연계하여 건강정보DB 대상자들의 사망 여부를 조사할 수 있어 읍·면·동 수준에서 연령군별 사망자 수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다른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를 통하여 다양한 건강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소지역 수준 사망률 산출 시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은 소지역 수준에서 사망률 산출 시의 데이터의 희박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 인접한 지역이나 시간, 연령군 간 사망률의 자기상관성을 고려하여 정보를 빌려서 사용한다.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전통적 기대수명 산출 방법을 이용할 경우 안정적인 기대수명 산출을 위하여 지역당 최소 5,000명의 인구수가 필요하였는데 베이지안 공간 모형을 이용하는 경우 최소 2,000명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을 이용하였을 때 필요한 최소 인구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전통적 기대수명 산출 방법에서는 안정적 인구 집단인 경우 인구수가 5,000명 이상일 때부터 정규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베이지안 계층 모형을 이용했을 때 정규성을 만족하기 위한 최소 인구수는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정보DB를 우리나라 읍·면·동 수준 사망률 산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읍·면·동 간 사망률 비교에 적합한 건강 수준 측정 도구를 탐색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활용한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들 중 우리나라의 지역별 연령 구조와 특성 등을 고려하여 소지역 수준 사망률 산출에 적합한 모형을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우리나라 읍·면·동 수준 기대수명을 산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정보DB의 읍·면·동 수준 사망률 산출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행정안전부의 국가행정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읍·면·동 수준 인구 및 사망자 수, 조사망률, 표준화사망비를 비교하였다. 2014-2017년 연구 기간 동안 건강정보DB를 이용하여 산출한 전체 인구수와 사망자 수는 성별에 상관없이 국가행정자료의 수치와 거의 같았다. 읍·면·동 수준 인구수와 사망자 수 분포 또한 두 자료가 거의 유사하였다. 두 자료의 읍·면·동 수준 인구수와 사망자 수의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크기는 모두 0.996 이상으로 매우 컸다. 읍·면·동 수준 표준화사망비의 피어슨 상관계수 크기 범위는 0.937-0.972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민건강정보DB를 우리나라 읍·면·동 수준 사망률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2013-2017년 국민건강정보DB를 이용하여 표준화사망비와 함께 비교사망지수, 기대수명을 이용하여 읍·면·동별 사망률을 산출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모든 읍·면·동의 연령군별 사망률이 2015년도 전체 인구의 연령군별 사망률과 같다고 가정하였을 때도 표준화사망비는 다르게 측정되었다. 이 때 동 지역은 읍과 면 지역에 비해서 표준화사망비가 높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표준화사망비를 이용하여 매긴 사망률 순위는 비교사망지수, 기대수명을 이용하여 매긴 순위와 차이가 컸다. 순위 차이는 사망률이 높은 지역에서 두드러졌다. 그러나 비교사망지수와 기대수명을 이용하여 매긴 순위는 비교적 차이가 적었다. 비교사망지수와 표준화사망비 간 비는 면 지역에서 변이가 컸는데 특히 인구수가 적은 지역에서 변이가 컸다. 따라서 표준화사망비를 이용하여 전국 규모에서 읍·면·동 간 사망률 비교 시에는 비뚤림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연령군별 사망률의 획득이 가능하다면 표준화사망비보다 비교사망지수와 기대수명을 이용하여 읍·면·동 간 사망률을 비교하여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2013-2017년 통계청 주민등록연앙인구와 사망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소지역 수준 기대수명 산출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을 평가하였다. 우리나라 모든 시·군·구 여성 인구수가 500명, 1,000명, 2,000명, 5,000명, 10,000명, 25,000명임을 가정한 시나리오별로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1,000개의 가상 데이터셋을 생성하였다. 각 시·군·구의 연령 구조는 실제 연령 구조를 유지하였다. 각 데이터셋을 전통적 기대수명 산출 방법, 베이지안 공간 및 시공간 모형들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각 방법의 정확성, 95% 불확실성 구간의 넓이와 함께 참값을 포함할 확률로 정의한 보장률, 정규성 등을 비교하였다.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은 선형 항과 비선형 항의 포함 여부가 다른 세 종류의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베이지안 공간 및 시공간 모형은 전통적 기대수명 산출 방법보다 정확한 기대수명 산출이 가능하였다. 베이지안 공간 모형에 비해서 시공간 모형의 정확성이 더 나았다.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을 이용하여 산출한 95% 불확실성 구간의 넓이는 전통적 기대수명 산출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넓이의 20-60%였고 보장률은 95%를 하회하였다. 전통적 기대수명 산출 방법을 이용할 경우 인구수가 10,000명 이상일 때 정규성을 만족하였지만 베이지안 공간 및 시공간 모형은 인구수가 500명일 때도 정규분포에 근사하였다. 그러나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은 인구수가 많은 시나리오에서는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았다. 따라서 베이지안 시공간 모형을 이용한 지역 간 기대수명 비교 시 정규성을 가정한 비교가 아니라 사후 분포와 절단값 선정을 이용한 비교가 필요하다. 넷째, 이 연구에서 2013-2017년 국민건강정보DB를 이용하여 남녀별 읍·면·동 수준 기대수명을 산출한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도시-농촌 지역 간 기대수명 격차가 나타났는데 여성에 비해서 남성에서 격차가 더 컸다. 지역 내에서도 읍·면·동 간 기대수명 격차가 나타났다. 연구 기간 동안 읍·면·동 수준 기대수명의 중앙값은 남녀 모두 전국 평균 기대수명과 유사한 속도로 증가하였다. 읍·면·동 수준 기대수명의 분산 크기는 미세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연구기간 동안 읍·면·동별 기대수명의 연평균 변화율 산출 결과, 기대수명의 연평균 변화율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크기가 크지는 않았다. 2013년 기대수명과 연평균 변화율 간 관련성 분석 결과에서도 남녀 모두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읍·면·동 수준 기대수명을 산출한 결과, 지역 간 및 지역 내 기대수명 격차가 존재하였지만 연구기간 동안 읍·면·동 간 기대수명 격차의 크기가 뚜렷하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읍·면·동 수준 사망률을 산출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자료원과 적절한 측정 도구를 탐색하고, 데이터의 희박성을 극복할 수 있는 산출 방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실제 읍·면·동 수준 기대수명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정책 결정자나 연구자, 대중들로 하여금 지역 간 혹은 지역 내 사망률 격차를 파악하고, 사망률 변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지역 건강 수준에 대한 이해와 정보에 입각한 정책 결정 및 계획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expansion of available data sources and the development of analysis methods, efforts to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small-area units are increasing. Identifying health levels in sub-regional units can reveal geographical differences that might be masked when high-level areas are used as an analysis unit. The results would discover vulnerable population groups and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policy efforts. In addition, the small-area level analysis has fewer ecological fallacies because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are relatively homogeneous, and exposure to health determinants is even. Identification of small-area health levels requires epidemiological, geographic, and statistical efforts. Specifically, selecting appropriate data sources, analysis units, and health-level metrics is needed. In addition, combining data over several years or using a statistical model is requested, given the sparseness of the data. Previous Korean studies calculated and compared the small area (eup, myeon, and dong) mortality, mainly using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SMR) as the metric and combining data from many years. The main reason for using the SMR was that Statistics Korea restricts the public use of the number of deaths by age group at the small-area level. SMR is 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ge-specific mortality rates. However, it is controversial to compare mortality rates between small areas because the denominator of the SMR, which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product of the age-specific mortality rate of the standard population and the age-specific populations, is different for each small area. Therefore, the following two assumptions should be satisfied to compare SMRs between small areas. First, the age structures of small areas should be similar. Second, the ratio of age-specific mortality rates between standard and study populations should not differ notably between age groups, although simultaneous satisfaction of the two assumptions is not mandatory. Other representative mortality metrics include comparative mortality figures (CMF) and life expectancy (LE). LE is understandable and intuitive not only for researchers but also for the public and policymakers. LE also has the advantage of not requiring a standard populati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of Korea maintains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NHID), which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and place of residence (eup, myeon, or dong) of almost the entire Korean population. In addition, NHID has the advantage of extensionality through linking with other databases in NHIS or death statistics of the Korea Statistics to acquire the individual's death status or additional various health information.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 has been widely used to calculate the mortality rate at the small-area level. Given the autocorrelation of mortalities,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 overcomes the data sparsity by borrowing information of adjacent regions, time, and age group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conventional method requires at least 5,000 people per region to calculate LE stably, but the Bayesian spatial model requires only at least 2,000 people. However, the minimum number of people using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 is unknown. In addition, the traditional method satisfied the normality assumption of estimates when the population was 5,000 or more. Despite this, Bayesian hierarchical models could not reveal the minimum requested popul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ies of using the NHID for mortality estimates in Korea at the small area level and a mortality measure to compare mortality.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possibl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 that calculates LE at the small-area level in Korea through a simulation study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ag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the NHID to calculate the small-area-level mortality by comparing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deaths, crude mortality, and SMR between the NHID and national administrative data (NAD)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opulation and deaths during the study period (2014-2017) using the NHID were almost identical to those of NAD, regardless of gender. Small-area-level population and death distributions were virtually the same in both datasets. The magnitude of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both population and death numbers was above 0.996.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SMRs ranged from 0.937 to 0.972. Based on the results, we considered that the NHID could calculate the mortality rate at a small area level in Korea. Second, this study calculated the mortality at the small-area level using SMR, CMF, and LE using the 2013-2017 NHID and compar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urbanization. Although age-specific mortality of all small areas in Korea was assumed to be the same as the age-specific mortality of the entire study population, the SMR was different for each small area. SMR was higher in urban areas than in other areas. The ranking using SM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MF and LE. Rank differences were more pronounced in areas with high mortality rates.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MF and LE rankings were relatively sma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CMF and SMR was large in rural areas, especially in areas with small populations. Therefore, SMR comparisons among small regions on a national scale may induce bias. CMF and LE should assess mortality based on their age if age-specific mortality is available. Third, this study evaluated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for calculating the small-area level LE using the 2013-2017 Korea Statistics resident registration mid-term population and death data. The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created 1,000 hypothetical datasets assuming that all districts in Korea had female populations of 500, 1,000, 2,000, 5,000, 10,000, and 25,000. The age structure of each district maintains its actual age structure. LE for each dataset was calculated using the traditional, Bayesian spatial and Spatio-temporal models. The precision, 95% uncertainty interval (UI) width and coverage, and normality of each method for each scenario were compared. A 95% UI coverage was defined as the probability of containing the true value in the 95% UI.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 consisted of three linear, nonlinear, and linear and nonlinear mixed mod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yesian spatial and Spatio-temporal models calculated LE more accurately than the traditional method in all scenarios. The 95% UI width using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was 20-60% using the traditional method. The traditional method satisfied the normality assumption when the population was 10,000 or more, but the Bayesian spatial and Spatio-temporal models approximated the normal distribution even when the population was 500. However,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did not satisfy normality in the large population scenarios. The LE calculation using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had the highest data efficiency among the utilized methods. However, when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s were used, the 95% UI interval was narrow, the coverage rate was low, and normality was not satisfied when the population was large. Therefore, when comparing LE between small areas using the Bayesian Spatio-temporal model,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posterior distribution with appropriate cut-off value selection, not the comparison assuming normality. Fourth, this study provided the results of calculating LE at the small-area level using the 2013-2017 NHID.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men and women, but the gap was larger in men than in women. There were also disparities in life expectancy between the small areas within the region. The median LE at the small area level increased during the study period, similar to the national mean LE for men and women. The dispersion exhibited a slight increase. When we calculated the average annual change rate of LE by small area during the study period, the rate varied by region, but the magnitude was moderate.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ssociation with LE in 2013, neither men nor women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a gap in LE between and within regions in Korea, but the magnitude of the gap stagna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is study explored data sources and appropriate measurement tools for calculating LE at the small-area level in Korea. This study also suggested a statistical model that can overcome the sparseness of the data and calculate the small-area-level LE during 2013–2017. The results can assist policymakers, researchers, and the public in understanding the between and within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and the process of mortality changes. It would also help identify local health determinants and inform policy decisions and planning.

      • 서비스업통계 작성을 위한 소지역 추정모형

        유혜영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791

        통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다 좁은 영역이나 세분화된 단위의 통계에 대한 통계이용자들의 요구가 많아져 통계의 정확도와 조사비용은 유지하면서 정도 높은 소지역 통계수치를 얻기 위한 노력으로 소지역 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어져오고 있다. 서비스업조사는 지역별·산업별 매출총액에 대한 통계를 매년 작성하고 있는데, 소지역 추정방법으로 추출가중치를 적용한 직접추정량을 이용하고 있다. 직접추정량은 표본크기가 작을수록 분산이 커져 신뢰도가 낮게 나타나는 추정법으로 서비스업조사의 산업분류별 표본이 크지 않은 것을 감안할 때 추정치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것이 우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업조사의 산업분류별 추정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다른 소지역 추정모형을 적용해보았다. 자료기반추정법인 직접추정법 외에 모형기반추정법인 회귀추정법, 그리고 직접추정법과 회귀추정법을선형결합한 복합추정법을 적용하여 각 산업분류별 매출총액에 대한 추정량을 구하고 각 추정량을 MSE를 통해 비교하였다. 회귀추정량을 구하기 위한 모형의 설명변수는 서비스업조사항목 내에서 매출액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종사자수 변수를 이용하였다. 산업분류별 자료의 수가 1개 이상인 크기 1000개의 표본을 뽑는 과정을 10000번 반복하여 직접추정량, 설명변수를 종사자수로 하는 회귀추정량, 직접추정량과 회귀추정량을 선형결합한 복합추정량을 구하고, 각 추정량의 전체평균, 분산, 그리고 원자료를 모수로 가정하여 편향(bias)을 구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비교통계량 MSE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분산, 편향(bias), MSE를 통해 이들 추정량을 비교하였다.

      • 대선 총선의 공간적 패턴과 지역 아이덴티티 : 충남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김용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88

        After the pro-democratic resistance movement in 1987, while the authoritative government being eliminated and the political procedures being democratized, regionalism has been raised as a new issue in the elections instead of democratization. Since then, a lot of studies have been done to figure out what causes regionalism and how to solve the problems originated from regionalism. The studies about the elections in Korea, mostly set the provincial level regions like si and do as an analyzing unit. They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general tendency of the elections and its underlying caus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make an error, indifferenciating the results, which are obviously different in the locality than the provincial level regions. This calls for a study about the election results based on the local units. This study aims to show the spatial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elections in local units and to examine how local identity is reflected in political identity. For this, it analyzes the results of 13th to 17th presidential elections and 13th to 18th general elections in each eup, myeon, dong in the west area of Chungnam by mapping them. This analysis assures the spatial difference in each election using the relative voting rates between the political parties, z-scores of the voting rates, an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Each si, gun shows different types of clusters depending on the types of elections, presidential or general. Uni-core clusters formed in all elections in Yesan-gun and Taean-gun show that the same political identity was built up in these. Multi-core clusters in all elections in Boryung-si show that the political unification was not so strong. In the other si and gun, uni-core and multi-core clusters take turns and it means that the political unification is expanded or shrunken depending on the elections. Supports for the political part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orts of elections and regions. In Yesan-gun, invariant support is given for conservative parties in the presidential elections, in Taean-gun, the clusters backing up reformative parties are formed in all elections, and in the other regions, depending on the elections, the clusters backing up different parties are formed.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political support in the presidential elections and that in the general elections. The continuous support for conservative parties is seen in Boryung-si, Hongsung-gun, Yesan-gun, and Chungyang-gun and while Boryung-si, Yesan-gun, Chungyang-gun presents stronger support for the United Liberal Democrats, Hongsung-gun backs up the Grand National Party. The Democratic Party takes continuous support in Teaan-gun. This party is also dominant in most areas of Seosan-si near Teaan-gun but a cluster formed in Unnsan-myeon, Haemi-myeon of Seosan-si backs up the United Liberal Democrats. To put all results together, although the voting based on regionalism happens in the west area of Chungnam, it is clear that various spatial cluster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types and timing the elections and that the range of the clusters is expanded or shrunken(contracted) centering around eup, myeon and dong. The spatial difference of the election results is not only a reflection of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systems of the present but also it comes from the different local identity developed by different geography, culture, and history of the locality. The case analysis of Hongsun-gun, Chunyang-gun, Yesan-gun, Dangjin-gun, Seosan-si, Taean-guna confirms that life zone, geographical, cultural, and historical features influence on building up the local identity. Natural circumstance, as an obstacle in human life at the same time as an interchange passage from the past, is the basis of framing life zone. In spite of traffic development, natural circumstance gives an effect on building up the local identity. Although the life zone formed by the geographical features from the past has gradually been being expanded owing to the traffic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the group unification is built up well within the boundary where the group members can communicate directly each other. Life zone takes eup, myeon, the centers of lower function as a minimum boundary and expands to si, gun, the centers of higher function. The uni-core clusters reflecting the spatial difference between each si or gun are mostly consistent with the life zone. It is well-exampled with two cases. One is the clusters in Jangpyung-myeon and Chungnam-myeon of Chungyang-gun in the 14th presidention election and the 18th general election; Both are included in Buyeo life zone. The other is the phenomenon that the cluster supporting Lee Hoi-chang expanded to some parts of Chungyang-gun and Asan-si in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The culture and history take a main role in building up local identity. In places where the offices of past administrative divisions like hyun were or symbolic cultural or historical scenes are well-reserved, the bond among the local people remains strong. Old Hansan-hyun and old Haemi-hyun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that the local identity through the culture and history is linked to the vote. the local identity which has been formed through historical people, human landscape or place names is getting strengthened by a local government or local newspaper, influences on the political unification in si or gun in presidential election. This is seen clear in the case of Hongsung-gun. They make an effort to build up the local identity by using Hongju-eupsung, the birth place of Manhae Han Young-un. Humans have raised a sense of community or group awareness through building up villages on the land, creating or developing their culture and history. Election is the process for achieving individual or group benefits by each voter's individual decision. At the moment when the voter applies his or her will to the election, the group awareness, which is inherent in each group members, is simultaneously reflected in the election. Consequently, for a detailed study for the results of elections, the study units needs to be limited to the local unites where the same group awareness is developed and the geographical, cultural and historical approach is also necessary.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 정치는 권위주의 정부를 청산하고 정치적 절차의 민주화를 이루지만, 선거에서는 민주화 쟁점이 사라지면서 지역주의가 새로운 쟁점으로 자리하였다. 이후 지역주의의 발생 원인과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우리나라의 지역주의 선거 연구의 대부분은 광역시·도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이는 일반적인 선거 경향과 원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소지역의 선거결과를 등질화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실제 선거결과는 소지역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나기 때문에 소지역을 분석단위로 하는 선거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지역의 선거 결과의 공간적 차이를 밝히고 소지역의 아이덴티티가 정치적 아이덴티티로 발현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서부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각 읍·면·동의 13대 ~17대 대선과 13대 ~18대 총선 결과를 지도화하여 분석하였다. 선거 결과의 분석은 정당 간 상대적 득표율, 득표율의 Z값, 공간적 자기상관을 이용하여 각각의 선거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차이를 확인하였다. 각 시·군은 대선과 총선에 따라 다른 형태의 군집을 형성하였다. 매 선거에서 단핵형의 군집이 형성되는 시·군은 예산군과 태안군으로 이들 지역은 선거에서 동일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였다. 보령시는 매 선거마다 다핵형의 군집을 형성하여 정치적 결집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 외의 시·군은 단행형과 다핵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 선거에 따라 정치적 결집의 확대와 축소를 보여준다. 특히 총선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후보자의 출신지를 중심으로 다핵형의 군집이 형성되었으며, 16대 총선부터 선거구의 통합이 이루어진 시·군은 단행형의 군집 형태를 보여 시·군 간의 대결구도를 잘 보여준다. 정당 지지에 있어서도 선거 종류 및 소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대선에서 지속적인 보수정당 지지를 보인 곳은 예산군이며, 태안군은 민주계 정당을 지지하는 군집이 선거마다 형성되었다. 그 외의 시·군은 선거에 따라 정당 지지를 달리하는 군집이 형성되었다. 총선의 정당 지지의 결과는 대선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보수 정당 지지의 지속형을 보인 곳은 보령시, 홍성군, 예산군, 청양군이며, 이 중 보령시, 예산군, 청양군은 자민련 계열 정당의 지지가 우세하며, 홍성군은 한나라당 계열 정당의 지지가 우세하였다. 민주계 정당의 지속형은 태안군에서 나타났으며, 인접한 서산시는 대체로 민주계 정당을 지지하며, 서산시의 운산·해미면을 중심으로는 보수정당(자민련 계열)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연구지역에서도 지역주의 투표 현상은 발생하고 있지만, 선거의 종류 및 시기에 따라서 투표 결과는 다양한 공간적 군집을 형성하고, 읍·면·동을 중심으로 군집 범위의 확대/축소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거 결과의 공간적 차이는 현재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구조의 반영인 동시에 소지역의 지리적, 문화적, 역사적 차이에 따른 지역 아이덴티티의 형성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홍성군, 청양군, 예산군, 당진군, 서산시, 태안군의 사례 분석은 지형적 요인, 생활권, 문화·역사적 요인이 소지역 아이덴티티 형성 과정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해 준다. 자연환경은 과거부터 인간 활동의 장애물인 동시에 교류의 통로로 이용되어 왔으며, 생활권 형성의 기초가 된다. 오늘날 교통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자연환경은 여전히 지역 간 교류의 장애요소로서, 지역 아이덴티티 형성에 영향을 준다. 지형적 요인에 의해 과거부터 형성된 생활권은 교통 및 정보 통신의 발달로 점차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지만, 집단의 결속은 집단 구성원 간 직접적인 교류가 가능한 범위에서 잘 형성된다. 생활권은 읍·면 단위의 저차 기능의 중심지를 최소 범위로 하며, 고차 중심지인 시·군으로 확대된다. 연구지역에서 각 시·군의 공간적 차이를 반영하는 단핵형의 군집은 생활권과 대체로 일치하며, 행정구역을 달리 하는 시·군이 실제 생활권인 곳은 동일한 시·군 행정구역과 다른 선거 결과를 보여준다. 14대 대선, 18대 총선에서 청양군의 장평면, 청남면(부여생활권)의 군집이나, 16대 대선부터 이회창 지지의 군집이 청양군, 아산시 일부로 확대되어 형성되는 현상이 그 예이다. 지역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있어 문화와 역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거 현의 치소가 있던 곳이나, 상징적인 문화·역사 경관의 잘 보존된 곳은 지역민의 유대감이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다. 구 한산현, 구 해미현의 지역은 문화와 역사를 통한 지역 아이덴티티가 투표로까지 이어진 대표적인 곳이다. 오늘날에는 역사적 인물, 인문경관, 지명 등을 통한 지역 아이덴티티의 형성은 지방자치 정부나 지역신문에 의해 강화됨에 따라 대선에서 시·군을 단위로 하는 정치적 결집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홍성군에서 잘 나타난다. 홍성군은 홍주읍성, 만해 한용운 생가를 이용한 지역 아이덴티티가 확립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의 홍성군 군정계획에서 잘 들어난다. 또한 지명인 ‘홍주’의 역사를 재조명함으로써, 군민의 결속을 강화하고 있다. 인간은 지형의 밑그림 위에 촌락을 형성하고, 문화와 역사를 창조·발전시키기는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 집단의식을 형성해 왔다. 선거는 유권자 개인의 의사 결정으로 유권자는 개인 또는 집단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한 과정이다. 동시에 선거는 유권자 의식의 반영으로 유권자는 자신이 속해 있는 집단의식을 선거에 반영한다. 따라서 선거 결과의 세밀한 연구를 위해서는 집단의식이 형성되는 소지역을 단위로 하는 지리적, 문화·역사적 접근이 필요하다.

      • 측정오차 공변량을 고려한 포아송 소지역 모델의 계층적 베이즈 추정

        남영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27

        소지역 추정에 대한 Fay-Herriot 모형은 다양한 형태로 많이 제안되었다. 큰 표본 크기에서 관측된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인 경우 포아송 소지역 모델의 추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지역 평균을 추정하기 위하여 포아송회귀모형을 기반으로 공변량의 구조적 층적오차가 존재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 추정을 위해 M-H 알고리즘(Metropolis–Hastings algorithm)과 깁스표집(Gibbs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고, 계층적 베이지안 모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구조적 측정오차가 없는 포아송 소지역모형과 비교하여 우리의 제안모형인 측정오차 공변량을 고려한 포아송 소지역 모형의 적합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에서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연구보다 본연구의 모형의 적합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The Fay-Herriot model for small area estimation is a method that is often proposed in various forms. Estimation of the Poisson small area model may be necessary if the observed data at large scales are slightly numbers in succession. Therefore, in this paper, a model with structural and stratified errors of covariates is presented based on the Poisson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small-regional mean. For model estimation, the Metropolis–Hastings algorithm and Gibbs sampling were used to extract them, and a hierarchical Bayesian model was us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imulated analysis to compare the simulated analysis with the Poisson subregion model without error, confirming the following results of our proposed model, the Poisson subregion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measurement error covariate In addition, by using data from the 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an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was verified rather than existing studies.

      • 충청권 소지역주의와 투표 행태에 관한 연구

        박철준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726

        충청지역의 중심인 내포권역은 지금까지 내포 지역이라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의 지리경계를 구분하여서는 깊이 연구되지 못하였다. 충청권에 대한 정의 또한 연구가 소홀한 상태로서 정치영역에서 다루어진 사례가 부족하다. 충청권의 민심은 충청의 내포권에서 중심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포권을 지배하고 있던 호족세력의 결심에 의하여 백제가 멸망하였고, 신라의 삼국 통일, 백제부흥운동, 왕건의 고려 건국 등의 역사적 사건의 발단이 되었다. 특히 충청지역은 대통령 선거에서 캐스팅보터(casting voter) 역할을 하였다.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충청권의 선택은 정당 간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영남과 호남의 경쟁구도 속에서는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 오다가, 최근의 투표결과에서는 국가 및 지역사회 이슈들을 반영한 선거결과가 국가 전체의 결과를 대표하는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다. 전통적인 충청권은 아산만과 삽교천 중심의 내포권역이다. 지역 정체성과 지역주의 등을 고려 시 고유의 전통적 충청권은 아산만과 삽교천 일대를 거점으로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내포권역 중 충청의 내포권은 경기도의 평택을 제외하고 천안, 아산, 당진, 서산, 태안, 홍성, 청양, 예산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들 지역이 충청도 양반문화의 고유한 기질과 독특한 언어와 풍습을 유지하고 있는 중심지역으로 확인된다. 한국의 지역주의는 후진성의 정치행태와 공존하며 지역균열과 갈등이 충청권의 지역주의를 강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1980년대 전두환 정부와 1987년 민주화 이후 노태우, 김영삼 정부에서도 호남 배제론이 나왔으나 노무현 집권 이후부터는 오히려 역차별이 심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충청도는 더욱더 배제되었고 또 다른 형태의 충청 지역주의를 형성한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 분야에서의 의한 지역주의 및 지역갈등은 대부분 내포권역의 생존경쟁에서 시작되었다. 지역발전의 틀에서 지역의 수입이 역외로 유출되는 문제 등에 대하여 충청권 전체가 집단으로 반발하고 있으며, 상대적인 박탈감으로 생존에 대한 절박함이 지역 여론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지역주의와 지역균열, 지역갈등, 지역분쟁으로 발전되고 있음이 관측되었다. 지역 정당이 사라진 김대중 정부 이후 충청권의 민심 및 투표결과는 점진적으로 전국 평균치와 일치하는 추세를 알 수 있었다. 지역의 이해관계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지역주의를 형성하며, 주요이슈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과 첨예하게 대립하여 지역갈등과 충돌이 심화할 경우 충청남도 지역과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등에서 소지역주의적 정치 현상을 확인하였다. 충청권 지역주의는 충청권의 독자적 실리를 위한 사회 정체성을 가진 소지역주의 형태로 구현됨이 확인되었다. 정치적 상황이나 지역의 이슈 등 당시 국가적 상황 등의 선거 유형에 따라 충청의 지역주의적 투표 행태에서 강약이 다르게 나타났다. 패권 지향적이지 않고, 다만 캐스팅보트로서의 전략적 성격이 나타났다. 또 보수?진보 등 이념 갈등과 중첩되기보다는 지역발전이라는 실리적 측면이 강하여 무색무취의 유연성을 특징으로 하였다. 지역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가 백년대계와 국가의 균형발전이라는 합리적인 이슈, 이념의 발전을 위하여 중앙정부와 기득권 세력의 편견 없는 역할이 요구된다. To date,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on the center of the Chungcheong Naepo area region that forms the geographic boundaries of it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Further, there are few studies concerning the definition of the Chungcheong region, and there is a lack of case studies that address this topic in the political domain.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public sentiment in Chungcheong has been developed from Chungcheong’s Naepo region. Baekje collapsed due to decisions made by the ruling class of the Naepo region, followed by the unification of Silla’s three kingdoms, the Baekje revival movement, and Wang Geon’s establishment of Koryo. Choices made in the Chungcheong region had played a pivotal role?particularly as a casting vote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t even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outcomes between par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Chungcheong had played the role of casting a vote within the competitive structure of Gyeongsang (southeast) and Jeolla (southwest). However, in recent voting results, it has been acted as a barometer in which election results that reflect national and local issues represent the results of the country as a whole. The traditional Chungcheong region comprises the Naepo area surrounded by the Asan Bay and the Sapgyo Stream. The traditional Chungcheong region contains the inherent local identity and regionalism of the Naepo region and is based around the entirety of the Asan Bay and the Sapgyo Stream. Within the Naepo region, Chungcheong’s Naepo region can be defined as Cheonan, Asan, Dangjin, Seosan, Taean, Hongseong, Cheongyang, and Yaesan?excluding Hwaseong and Pyeongtaek of Gyeonggi Province. These were the central areas that maintained the unique character of the Chungcheong Province’s aristocrat culture and its distinctive language and customs. Korea’s regionalism coexists with a dark history, and regionalism and regional fissures have reinforced regionalism in the Chungcheong region. Jeolla’s exclusion came about in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in the 1980s and even in the Roh Tae-woo and Kim Yeong-sam administrations following democratization in 1987. However, reverse discrimination deepened after Roh Mu-hyun’s ascent to power. In this process, the Chungcheong Province became further excluded and is creating yet another form of Chungcheong regionalism. Regionalism and regional conflict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primarily began in a struggle for existence in the Naepo region. In the framework of regional development, the entire Chungcheong region collectively opposes the flow of local incomes out of the area, and a sense of urgency around survival due to feelings of deprivation creates local public opinion. These phenomena are developing in the form of regionalism and regional fissure, conflict and conflict. It was confirmed that a new form of regionalism based on local interests was being created, as the public opinion and voting results of the Chungcheong region without a leader from Chungcheong or without a specific political party gradually showed a tendency to match the national averag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Chungnam, Daejeon Metropolitan City, Sejong City, etc., a political phenomenon in which regional conflicts and conflicts intensify due to the rapid confrontation of Korean narrow regionalism over major issues with other reg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hungcheong's regionalism was embodied as a new form of new regionalism with social identity for the independent interest of the region. The dynamics of political and regional issues in Chungcheong's regional voting behavior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ion and the national situation at any given time. This means that the Chungcheong area is not hegemonic but has a strategic character as a casting voter. Moreover, rather than overlapping the conflict between conservative ideology and progressive ideology, the practical aspect of regional development stands out and is characterized by party-neutral flexibilit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gionalism, a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with future-looking national policies such as recruitment of people and economic equity that secures regional interests is needed. In ad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is ideology, the unbiased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political elites is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