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아암환자 가족을 위한 사례관리 실천모형 연구

        홍영수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소아암환자 가족은 3∼5년의 비교적 장기적인 치료기간 동안 의료적·경제적인 욕구 뿐만이 아니라 아동의 교육과 관련된 욕구, 정서적 지지 및 여가에 관련된 욕구, 이용가능한 사회적 서비스에 관련된 욕구 등 매우 다양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욕구의 충족을 위해서는 병원 외에도 후원기관이나 지역사회,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지지망 등으로부터의 포괄적 대응이 요구된다. 사례관리는 이처럼 다양한 욕구를 가지면서도 서비스의 단편성 등으로 인하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과정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사회복지사가 소아암환자 가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실천방법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관리과정을 <접수-사정-지원계획수립-실행 및 점검-평가>의 5단계로 구분하고, 소아암환자 가족에게 사회사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의료사회복지사 20명을 대상으로(전수조사) 소아암환자에 대한 사회사업경력이 4년 미만인 집단과 4년 이상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례관리 과정별 서비스 제공 내용과 방법 등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보다 나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서, 소아암환자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사례관리 과정별 내용과 방법에 대한 실천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경력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의료사회복지사가 치료 전과정에 걸쳐 공식적·비공식적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소아암환자 가족이 갖는 욕구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아암환자 가족을 위한 사례관리 실천모형을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의 효율성은 추후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남는다. A family with a child who suffers from a cancer needs comprehensive services such as education, emotional support, leisure activities, social services and so forth as well as medicine, finance for 3-5 years, a relatively long-term care. To meet these needs, comprehensive cooperation is needed from a hospital, sponsors, community, and clients' social network. Case management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systematic approache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lients who are unable to meet some needs due to the fragmentation of current service system. On this study, case management process is divided imto 5 steps Intake - Assessment - Plan - Coordination & Monitoring - Evaluation. I studied 20 social workers who have served the families with a child who suffers from a cancer. They are divided into 2 groups : one group with less than 4-year-experience, the other group with more than 4-year-experience as a social worker. I studied the differences of these 2 groups' service contexts and approaching methods, then proposed a better way to provide services. As results of the study, I proposed the practice model of the case management that medical social workers can utilize in offering services to meet child and family's needs. This model is planned to meet the needs of the family by social workers' service, regardless of whether social worker's have much experiences or not. The efficiency in applying this model to practice need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처유형

        이영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ar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PICU were in a crisis and their stress and coping may affect their children’s recovery.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level of stress and the coping among the par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PICU).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November 10, 2007 and January 10, 2008 using the Parental Stress Scale: PICU developed by Carter and Miles (1989) and the Parental Coping Scale: PICU developed by Miles and Carter(1985). One hundred twenty parents of children in the PICU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4.0.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ferential statistics such as t-test, ANONA, and correlation were don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1. The level of stress among the par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ICU was 3.32 points on a scale of one to four. The highest scored dimension was the ‘parental role alteration(3.64±0.39)’. 2. The type of coping used by par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ICU were problem-focused coping(3.33±0.39), appraisal-focused coping (3.02±0.40) and emotion- focused coping(2.32±0.39) respectively. The most helpful staff behavior was “Being allowed to stay with my child as much as possible” (3.39±0.25). 3. Mothers with children admitted in a PICU more stressed in the dimension of child’s behavior and emotion than fathers (t=-2.07, p=0.04). Parents who experienced a planned admission were more stressed than those whose child had an unexpected admission in the dimension of procedures(t=2.15, p=0.03). Parents with children who were intubated were more stressed than those with children who were not in the dimension of child appearance (t=2.68, p=0.01). Whereas parents of nonintubated children were more stressed than those of intubated children in the dimension of child’s behavior and emotion (t=-2.74, p=0.01). 4. Parents whose children experienced a planned admission used more appraisal-focused coping and problem-focused coping than those whose children experienced an unexpected admission . 5.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otal score of stress and that of coping. We found that par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PICU had high level of stress regardless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vide children in PICU and their parents with better nursing care, parents should be involved in their nursing care plan. Thus it contributes to developing a effective policy an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parental stress and to facilitate better parental coping strategies. Key word: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PICU), Parents, Stress, Coping 자녀가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것은 부모에게 위기적 상황을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 부모로서 환아를 위한 역할 수행이 원활하지 못하면 스트레스는 가중되고, 상황에 대한 인지 및 대처 능력 부족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는 두려움과 긴장을 더욱 쉽게 경험한다. 중환자실 입원이라는 위기 상황에 부모는 환아와 가족전체가 적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부모를 포함한 간호 계획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유형을 파악하여 환아 부모를 간호사정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포괄적인 가족중심의 아동간호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A병원의 소아중환자실에 2007년 11월 10일부터 2008년 1월 10일까지 입원한 환아의 부모 중 이전에 자녀가 중환자실에 입원한 적이 없는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환자실 입원 24시간 이후 48시간 이내에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Miles와 Carter(1982)가 개발하여 Carter와 Miles(1989)가 보완한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 측정도구와 Miles와 Carter(1985)가 개발한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의 대처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version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 정도는 4점 중 3.32±0.29점이며, 스트레스 영역 중 부모역할 변화(3.64±0.39)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높았다. 2.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유형은 문제중심대처유형(3.33±0.39점), 평가중심대처유형(3.02±0.40점), 정서중심대처유형(2.32±0.39점) 순이었고, 부모에게 도움이 되는 의료진 행위 항목 중 ‘가능한 한 아이와 함께 있게 해 주는 것(3.39±0.25)’이 가장 높았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의 총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의 어머니는 스트레스 하위 영역 중 아이의 행동과 정서에서 아버지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2.07, p=0.04). 계획된 수술 후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의 부모는 예상치 못한 입원을 한 환아의 부모보다 스트레스 하위 영역 중 치료절차 영역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2.15, p=0.03). 기도삽관된 환아의 부모는 기도삽관이 없는 환아의 부모보다 스트레스 하위 영역 중 아이의 외모(t=2.68, p=0.01) 영역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기도삽관이 없는 환아의 부모는 기도삽관된 환아의 부모보다 아이의 행동과 정서(t=-2.74, p=0.01)영역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유형에 계획된 수술 후 입원한 환아의 부모가 예상치 못한 입원을 한 환아의 부모보다 평가중심대처와 문제중심대처 유형을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스트레스 정도의 총점과 대처유형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의 부모는 일반적 특성에 관계없이 자녀의 중환자실 입원 자체로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내며, 스트레스 영역 중 부모역할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가 가장 높았다.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유형 중 문제중심대처유형을 많이 사용하며, 부모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의료진의 행위 항목은 ‘가능한 한 아이와 함께 있게 해 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소아중환자실 간호사는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의 높은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부모의 스트레스를 저하시키며 부모의 역할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해 문제중심적이고 긍정적인 대처를 증진시켜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과 간호중재프로그램이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부모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대처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환아 부모의 간호사정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포괄적인 가족중심의 아동간호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소아중환자실 입원 아동 어머니와 간호사가 인식한 파트너십

        박보배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When child patients are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formation of a partnership based on cooperation is essential between mothers who stay with their child and nurses who are in charge of primary care of children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However, the perception of this partnership can differ depending on previous experiences 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to be further explored. Meanwhile,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as they mainly focused o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eneral wards, and the local community, and investigated either parents or nurses.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 depth the perceptions of the partnership by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and the nurse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perceptions using a qualitative study method through semi-structured and open-ended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2 and March 25, 2017, and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7 mothers of child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for longer than 7 days and 12 nurses who had been working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for more than 2 years e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one-on-one in depth interviews and the duration of interviews was 60 to 90 minutes.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lassic content analysis method by Morse and Field (199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5 common themes were derived from perceptions of the partnership by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expectation of trust, sharing and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n care, equality in relationship, and coordination of opinion. Meanwhile, despite the common themes, there were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mothers and nurses. The categories of the perception of the partnership by mothers included ‘efforts to trust the nurses’, ‘trivial sharing and communication with brave nurses’, ‘common nursing role for my child’, ‘making the position equal’, and ‘continuous coordination of opinion to work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e categories of the perception of partnership by nurses included ‘longing for unquestioning trust from parents’, ‘careful approach for communication’, ‘acceptance of limited nurse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nurse’s judgment’, ‘impartial exchange of information’, and ‘coordination of opinion led by the medical team for the participation of nursing’. The significance of our study results is as follows. This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attempted in Korea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tnership by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and the nurse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In addition,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where the severity of disease is high, recurrent hospitalization of chronic illness children and the care is principally by nurses and that it studied the perceptions of both mothers and nurses. Furthermore, as the severity of disease is high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we found that the partnership is formed in the process of death. This contradicted previous study results claiming that the formation of a partnership is needed for physical recovery of child patients. Therefore, our study uniquely revealed that the formation of a partnership is possible between mothers and nurses even without physical recovery of child patients.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our stud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partnership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ories related to partnership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interven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the partnership. 아동이 소아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되었을 때 주로 아동의 곁을 지키는 어머니와 소아중환자실 내에서 아동의 일차적인 돌봄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파트너십의 형성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전의 경험과 현재의 처한 상황에 따라 파트너십에 관한 서로의 인식이 다를 수 있어 이에 대한 탐구가 요구 된다. 한편 파트너십에 관한 그동안의 선행연구가 아동에 대한 부모의 돌봄이 가능한 일반병동, 신생아중환자실, 지역사회에서 주로 이루어졌고, 그 또한 부모와 간호사의 파트너십을 동시에 탐색한 연구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 입원 아동의 어머니와 간호사의 파트너십 인식이 어떠한지, 나아가 인식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반 구조화된 면담 및 개방형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의 수집기간은 2017년 1월 2일부터 3월 25일이었으며, 연구의 참여자는 7일 이상 소아중환자실 입원 경험이 있는 아동의 어머니 7명과 소아중환자실 근무경력 2년 이상의 간호사 12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자와의 반 구조화된 면담을 통한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고, 면담시간은 60분에서 90분 사이였으며, 수집된 질적 자료는 Morse & Field (1995)의 고전적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소아중환자실 입원 아동 어머니와 간호사의 파트너십 인식은 5개의 공통된 주제로 도출 되었다. 그 내용은 「신뢰에 대한 기대」, 「공유와 소통」, 「돌봄에의 참여」, 「관계의 동등성」, 「의견조율」 이다. 한편, 공통된 주제 임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간호사의 파트너십 인식 내용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파트너십 인식의 상위범주는 ‘간호사를 신뢰하고자 애쓰는 마음’, ‘용기가 되는 간호사와의 소소한 공유와 소통’, ‘내 아이를 위한 공동의 간호역할’, ‘나란한 위치로 자리하기’, ‘함께 하기 위한 지속적인 상호의견조율’ 이다. 반면, 간호사의 파트너십 인식의 상위범주는 ‘부모의 의심 없는 신뢰를 바라는 마음’, ‘소통을 위한 조심스러운 접근’, ‘간호사의 판단에 따른 제한적인 간호참여 수용’, ‘편중되지 않은 정보 나눔’, ‘간호참여를 위한 의료진 주도의 의견조율’ 로 그 내용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 입원 아동 어머니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파트너십에 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가 이루어진 장소가 만성질환 아동의 반복적인 재입원이 이루어지며, 아동의 질병 중증도가 높은 곳으로 간호사의 돌봄이 주가 되는 소아중환자실 이라는 점, 어머니와 간호사의 파트너십에 관한 인식을 동시에 연구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뿐만 아니라 임종과정에서 파트너십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파트너십의 형성이 아동의 신체적 회복을 위해 필요하다는 기존의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이다. 따라서 아동의 신체적 회복이 가능하지 못하더라도 어머니와 간호사의 파트너십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독특한 의미를 지닌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가 소아중환자실에서 파트너십과 관련된 이론 개발과 파트너십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마련에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소아 호스피스의 실내계획에 관한 연구 : 병실 UNIT과 비약물 전환치료를 위한 공간을 중심으로

        곽미라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급속히 성장해온 의학발달의 혜택은 인간의 수명 연장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사망과 직결되었던 치명적 질환을 완치 시키거나, 혹은 병을 가지고 살아가는 생존 기간의 연장을 가져오게 되었다. 현대적 치료가 있기 전 소아암은 당연히 죽음으로 이어지는 질병이었으나 항암 약물 치료나 방사선 치료, 골수 이식 등이 소개된 이후로 점차 낙관적인 치료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으며 소아암의 평균 5년 생존율도 전체 소아암 환자의 절반 이상에 달하고 있다. 이 밖에 에이즈나 심한 뇌성마비 등 조기 사망이 예견되는 질환을 가지고 살아가는 소아 말기 환자의 수도 점차로 늘어가고 있다. 특히 만13세 미만의 아동의 경우 죽음에 대한 인식이 성인과 다르며, 죽음의 질병이 진행되는 동시에 성장, 발달이 진행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성인 말기 환자와 차별화된 치료와 간호가 필요하다. 그러나 의료시설의 현실은 이들 환자를 수용하기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되어 온 말기 환자를 위한 의료 서비스인 호스피스 활동은 대부분 성인과 고령의 말기 환자에게 치중되어 소아 말기환자들은 일반병동에 그대로 방치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활동을 포괄하는 완화치료의 개념으로 장기간 투병 치료를 받아야 하는 소아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신체척인 치료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치료를 도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발전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연구 범위와 방법을 체계화 하였다. 제 2장에서는 본 연구의 바탕이 되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와 소아말기환자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소아말기환자의 특성과 치료특성, 소아말기환자를 위한 비 약물적 요법 중 전환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호스피스 활동과 완화 의료를 통한 치료와 이러한 치료가 이루어지기 위하여 제공되어야 할 물리적인 환경 요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2장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계획 대상을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분석하여 소아환자와 환자의 가족이 함께 지낼 수 있는 공간을 unit화 시킨 병실 계획과 비 약물적 전환치료를 적용한 소아의 발달을 위한 물리적 공간을 계획 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정리, 종합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2세에서 만13세 미만의 소아 말기환자는 성인 말기환자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들을 위한 차별화된 환경이 요구된다. 둘째, 소아 말기환자에게 가정과 같은 아늑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위해서 병실 공간에 가족실, 간이식당, 자연과 직접 접할 수 있는 테라스 등의 공간이 The benefits of development in modern medicine have not only resulted in extending the general life span but also in extending the surviving length of for the patients living with illness and curing lethal conditions which used to be linked to inevitable death. Prior to the advancement of modern therapy children's cancer used to be associated with death. However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herapies such as radiotherapy & marrow transplantation the outcome of the treatments have brought a huge improvement and positive result additionally, more than 50% of the children cancer patients survive for on average of 5 years. On the other hand, increasing of terminal children patient are said to be living with cronic conditions such as AIDS or severe cerebral infantile paralysis associated with death. In particular children under 13 years of age have very different ideas on death and also they are constantly going through growth process. This is why they need to be treated under a different environment to adults. however, the realities of current medical facilities possess many problems & issues to accommodates these patients' needs. The current services and facilities for terminal patients are developed since 1960 and have been focused on adults and elderly patients. As a result children terminal patients have been treated under the same condi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improving the life style of the children terminal patients requiring long term treatment as well as providing a helpful environment for psychological & social treatment.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project. Introduction covers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is project, objectives, area of study and project structure. Section two looks into the literature on the distinctive needs of children terminal patients and the hospice plan, which is the backbone of this study. This section also looks into the ideal treatment environment for the patient with special needs going under palliative medicine k the process for distraction care. Section three relates to the content of section two. A thorough analysis is carried out on the selected plan in order to develop an optimum environment for distraction care plus an ide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growth of the patients. Below is the content of this study in point format, First, children patients aged below 2~13 require tailored environment for various treatment. Second, a homey and cosy atmosphere is needed such as a familyroom, small cafeteria, a verandar with fresh plants. Third, non-medical treatments for controlling/managing pain include "relaxation, distraction, hypnosis, guided imagery, cutaneous stimulation, preparatory information, operant conditioning and any more. The environment for distraction method in particular share many same characteristics as the one for development of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growth. Fourth, this type of medical facilities are expected to bring a very positive outcome on the recovery process of not only the patients with leathal illness but patients under long term treatment. As a result, this study on the internal atmosphere of the children's hospice is expected to fulfill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needs of children patients. Additionally a higher medical service is also expected to be provided.

      • 소아치과의원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백선혜 경성대학교 산업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87

        최근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과 진료시설을 이용하는 환자의 수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치의학 분야의 세분화와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진료시 겪게되는 고통과 공포를 호소하고 있다. 그러므로 환자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줄수 있는 편안하고 쾌적한 진료환경의 조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경제 · 교육 수준의 향상과 함께 자녀들의 치아위생과 미용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치과 진료시설을 방문하는 환자 중 소아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소아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전문 치과진료 시설의 부족으로 대부분의 소아 치과환자들은 일반 치과진료 시설에서 어른과 함께 진료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소아는 신체적, 정신적 성장기에 있기 때문에 성인과는 별개의 의료대상으로 다루어져야 하고 그들에게 적합한 진료환경이 요구된다. 소아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한 고통 뿐만아니라 의료환경에서의 불안감과 위압감, 생소함 등을 성인보다 훨씬 민감하게 느끼며 이러한 심리적, 정신적 상태로 인해 소아는 신체증상의 악화를 야기하거나 진료거부등의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소아전문 진료시설은 기능적인면 뿐만 아니라 특히 정서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진에게는 기능적이고 효율적이며, 소아 치과환자에게는 심리적 불안과 고통을 완화시키고 정서적 안정감을 줄수 있는 최적의 소아전문 치과 진료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1 장 : 연구의 목적 및 범위와 방법을 기술한다. 제 2 장 : 소아치과의원의 개념과 특성을 정립하고, 소아치과 내원환자에 대한 심리적 특성과 환경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제 3 장 : 소아치과의 동선계획과 기능별 공간에 대해 분석하고, 사례 조사를 통하여 개선점을 모색한다. 제 4 장 : 이상에서 살펴 본 이론과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소아 치과의원의 대기실 공간을 계획한다. 제 5 장 :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소아치과의원의 실내환경은 모든 사용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특히 소아의 경우 환경에 의한 영향이 더욱 지배적이므로 환자의 행동적 ·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의료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The important purpose of medical institution is to offer good medical care, and for this purpose, good medical environment is necessary. Especially, in case of Dental Clinic, the medical care is highly percise and technical and most patients have anxiety when they come to Dental Clinic, the medical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Owing to the advancements in culture, economics, and education in our society, it is increasingly attracting more attentions to hygienic needs for children's dental clinic. However, regretfully, it is the reality that children are treated the same way the general public is treated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the professionals in the field. Acknowledging that children who are in the stage of developing mentally and physically, we require a special and professional dental care in order to meet children's demand. Pediatric patient is senitive to the environment and has different psychological and physical pecularities from an adult patient, in the medical environment all these factors must be considered. That is, the sufficient consideration in the view point of not only functional but also human and aesthetic aspects are essential. Therefore, the study will try to present an efficient and functional model of dental clinic which can reduce children's uneasineses, pains, and also help children feel emotionally and mentally stale.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follows: In chapter one, the purpose, limit and method for this study are presented. In chapter two, 1.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Children's Dental Clinic. 2.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evelopment. 3.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of Pedodontics. 4.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s for children patients. In chapter three, considering the study of the circulation plan and the space needed, present solution of the problems, a reasonable concrete direction of interior design for the Children's Dental Clinic are suggested. In chapter four, accordingly to the direction of interior design in chapter three, the interior design process of the Children's Dental Clinic takes place. In conclusion, this type of dental clinic unit should be the place which can satisfy children's various interests, for example, physical, mental, and finally intellectual ones. In addition, presupossedly, it should be constructed as an useful space for clinic staff to perform its job more effectively and productively and for those delicate and complicated machineries to be houses to the staff.

      •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아 발달 간호에 대한 역량, 수행정도 및 중요도

        남송이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analysis study whi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on infant developmental care and performance of quality nursing by analyzing competency, performance, importance, and obstructive factors of the infant developmental care of nurse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The study subjects included 51 nurse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nd pediatric cardiac surgery intensive care unit in the S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rom March 22 to April 5, 2017. The questionnaire for infant developmental care competency was modified from the premature baby developmental support care competency tool developed by Jeong soon Kim(2015) to be suitable for our study and the validity of its contents was verified. The questionnaires for the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were developed by referencing relevant literature to collect data, and the questions were modified after consulting with a professor of pediatric nursing and the validity of their contents was verif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 obstructive factors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were examined and analyzed wit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mpetency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of the nurse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was 49.00±4.37 out of a total score of 64 and 3.06±.27 based on a 4 point scale. 2. The performance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of the nurse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was 39.39±3.70 out of a total score of 52 and 3.03±.28 based on a 4 point scale. The importance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was 43.90±4.36 out of a total score of 52 and 3.37±.34 based on a 4 point scale. Hence, importance showed higher scores than performance. 3. Competency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of the nurse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degrees (t=-2.330, p=.024), total clinical experience (F=5.194, p=.004), and clinical experience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F=4.678, p=.006).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4. The correlations among competency,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of the nurse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showed that competency and performance (r=.362, p=.009) as well as performance and importance (r=.408, p=.003)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competency and importance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r=.183, p=.198). 5. The obstructive factors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of the nurse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were personal factors (lack of knowledge, education, and experience), environmental factors (limited visit time, safety issues, lack of equipment), political factors (issues of insurance and fees, lack of manpower, lack of time caused by workload), and other factors (pressure of new nurses, lack of understanding by other medical personnel). These results indicated correlations that the nurses with high competency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had high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increased as its importance increased. Therefor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nursing guidelines for infant developmental care that can be used during the performance of everyday nursing are required in addition to continuous and effective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 work system of infant developmental care needs to be reevaluated based on the obstructive factors so that quality nursing can be performed. 본 연구는 소아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영아 발달 간호에 대한 역량과 수행정도, 중요도, 장애요인을 조사하여 영아 발달 간호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질적인 간호 수행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S 상급 종합병원 소아중환자실과 소아심장외과중환자실 간호사 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3월 22일부터 2017년 4월 5일까지 설문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수집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영아 발달 간호 역량 설문지는 김정순(2015)의 미숙아 발달지지 간호역량 도구를 토대로 하여, 연구 내용에 맞게 수정한 후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고 사용하였다. 영아 발달 간호 수행정도와 중요도 설문지는 연구에 앞서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될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아동간호학 전공 교수의 자문을 구하여 문항을 수정한 후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고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와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영아 발달 간호의 장애요인을 알아보았고,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아 발달 간호 역량은 총점 64점 만점에 49.00±4.37점, 평점 4점 만점에 3.06±.27점으로 나타났다. 2.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아 발달 간호 수행정도는 총점 52점 만점에 39.39±3.70점, 평점 4점 만점에 3.03±.28이며, 영아 발달 간호 중요도는 총 점 52점 만점에 43.90±4.36점, 평점 4점 만점에 3.37±.34로 수행정도보다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아 발달 간호 역량은 학력(t=-2.330, p=.024), 총 임상경력(F=5.194, p=.004), 소아중환자실 임상경력(F=4.678, p=.006)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아 발달 간호 수행정도와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가 없었다. 4.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아 발달 간호 역량, 수행정도 및 중요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역량과 수행정도(r=.362, p=.009), 수행정도와 중요도(r=.408, p=.003)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역량과 중요도(r=.183, p=.198)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5. 소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영아 발달 간호 장애요인은 개인적요인(지식/교육 부족, 경험부족), 환경적요인(면회시간 제한, 안전문제, 장비부족), 정책적요인(보험/수가문제, 인력부족, 업무부담으로 인한 시간부족), 기타요인(신규간호사의 눈치, 타 의료진의 인식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영아 발달 간호 역량이 높은 간호사일수록 수행정도가 높고, 영아 발달 간호 중요도가 높을수록 수행정도도 높아지는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영아 발달 간호 수행 증가를 위해 일상적인 간호 수행 시에 활용할 수 있는 영아 발달 간호 가이드라인과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요인을 바탕으로 영아 발달 간호의 업무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개선하여 질적인 간호 수행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小兒患者에서 分離된 Enterococcus의 Aminoglycoside에 대한 高度耐性

        차인아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8671

        Enterococci는 세계적으로 그 감염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최근에는 고농도 aminoglycoside에 내성인 enterococci, 즉 beta-lactam/aminoglycoside 병합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enterococci에 의한 감염이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Enterococci는 소아환자에서도 균혈증과 심내막염, 요로감염등의 주요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의 균혈증 및 뇌막염의 집단발생이나 영아 수술병동에서의 aminoglycoside고도내성 enterococci균의 빠른 전파등의 병원감염에 대한 보고들이 있다. 따라서 소아환자에서 enterococci에 의한 중증의 감염에 대한 치료 지표로서 aminoglycoside 내성균빈도 및 내성균주를 보유하게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저자는 소아환자에서 분리된 56주의 enterococci에서 고농도-aminoglycoside, 즉 gentamicin(500ug/ml), kanamycin(2.000ug/ml), streptomycin(2,000ug/ml)에 대한 내성을 단일 농도 한천 희석법으로 검사하여 그 빈도를 조사하고 대상 환아들에서 임상적 특징들을 분석하여 다음의 성적을 얻었다. 1. 분리된 Enterococcus species중에서 세가지 aminoglycoside 중 하나 이상에 고도내성을 보이는 경우는 48주로서 전체의 85.7%였다. 내성 양상은 세가지 항균제에 모두 내성인 경우가 30주(53.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gentamicin 과 kanamycin에만 고도내성을 보이는 경우로 12주(21.4%)였다. 2. 각 항균제별로는 gentamicin에 76.8%, kanamycin에 83.9%, 그리고 streptomycin에 62.5%의 고도내성을 보였다. 3. 세가지 항균제에 전부 내성을 보이는 enterococci균이 분리되는 환자의 경우 입원기간이 72시간 이상인 경우가 많았다. (p<0.05) 4. 대상환자들을 신생아군과 소아환자군으로 나누어 배양전 입원기간 72시간을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을때 배양전 입원기간이 72시간 이상인 신생아군에서 분리된 enterococci는 72시간 미만인 경우에 비해 aminoglycoside에 대한 고도내성이 의의있게 높은 반면, 소아환아에서 분리된 enterococci는 입원기간별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소아환자에서 분리되는 Enterococcus species에서 고농도 aminoglycoside 내성빈도는 85.7%로 높았고, 특히 병원입원 기간이 72시간 이상인 신생아군에서 매우 높았다. 따라서 소아입원환자의 중증 enterococci감염증에 있어서 고농도 aminoglycoside내성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In recent years, increasing numbers of enterococcal isolates have acquired high-level resistance to aminoglycoside. High-level resistance to aminoglycoside is clinically relevant in that it eliminates the synergism between cell wall- active agents and aminoglycoside against enterococ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its risk factors of high level resistance in Enterococci isolated from pediatric patients. Fifty six enterococcal strains isolated from pediatric patients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and Kwang-Ju Christian Hospital were examined by single-concentration agar dilution method for resistance to gentamicin (500 μg/ml), kanamycin (2,000 μg/ml), and streptomycin (2,000.μg/ml). High-level resistance rate to one or more aminoglycosides was 85.7% (48/56); 30 strains (53.6%) showed resistance to all three aminoglycosides and 12 strains (21.4%) to gentamicin and kanamycin. Resistance rates to kanamycin, gentamicin, and streptomycin were 83.9%, 76.8%, and 62.5%, respectively. Longer hospital days (more than 72 hours) prior to culture was the on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high level aminoglycoside resistance of enterococci in neonates.

      • 소아암환자 가족의 위기와 사회복지요구

        정송숙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grasps the situations that the children Cancer properties, family of the patient' emotional state, social and economical properties, also I examined examples of main cases which the patients' family are affected by production of the Children Cancer. In this paper, I pointed out problems of supporting of the Social welfare and suggested alternative proposals of the Welfare policy for family whose child has the Children Cancer in Korea. The followings are summaries about the circumstances of the Children Cancer's family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questions and interviews. First, more boys than girls have the Children Cancers, and the leukemia occupied a large of number among the Children Cancer, also showed various kinds and properties different from the Adult Cancers'. The circumstance of family showed that the houses are low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distribution of parents age is from 31 to 35, they have a monthly income of a milion won. Second, they have a solution for financial difficulty as they borrow money from someone or some places except itself solution. They are assisted by the Social Welfare Organ or the Specific Organization. The rate is 22%. While 30% rate is that they don't have any assists, 6% rate is that they don't know the assistant system.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the family which has financial difficulty need the financial assistances from the Soccial Welfare organ or some organization. Third, through the investigation, we assume serious aspect such as emotional state, change of heart-string of patients' brothers and sisters, and change of relation of married couple among the Children Cancer family. Forth, it shows that they are assisted medical fee by camouflaged divorce and got possession of the first degree of protection in order to solve the financial problems. Fifth, the tendency of camouflaged divorce gradually enlarged among the patient' parents. In case of this ward, two of 29 in patient got possession of the first degree of prot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terview, I figure out the problem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suggest the proposal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system in Korea. First, there is impractical Social Welfare Policy and no financial supporting for the Children Cancer patients' family in Korea. - Government may examine the conditions of possession of the first degree of protection and may make special conditions for the Children Cancer patients' family. Second, Government has the lack of the Social Welfare budget and has difficulty for the fund insurance for Welfare associations. - Government may support sufficient financial backing to private associations, through insurance of the Social Welfare budget. Third, there is lack of public relations in Government and other Social associations. - Government and other associations must try to recognize make use of so called mass media and public relations the fact that the problems of the children Cancer patient's family with gravity of the camouflaged divorce is social issue rather private issue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