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성인애착 및 공감능력에 따른 부모-자녀관계 연구

        오진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o find out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n adult attachment and an empathy ability of a mother, and to provide an efficient plan for improving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that is an essential factor for children to have a healthier life within a family members. The subject were 440 elementary school parents from the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 evaluation tool used for the study is called an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 (ECRS)" developed by Brennan et al. in 1998 and translated by Kyeong-ok Hwang in 2001 in order to estimate the adult affection of the mother. Also, in order to estimate the empathy ability, an empathy ability scale developed by Kyeong-il Shin in 1994 based on the emotional empathy scale by Mehrabian and Esptein and the personal distress scale (EC) by Davis was used. Also, in order to estimate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the writer of the study revised and translated a document called the "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 (NRI)" by Furman (1985) translated by Jong-hye Han in 1996, through a content validity conducted by professional and two docto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AS statistics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Cronbach's α was calculated.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 verification, one-way ANOVA,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ocial support and intimacy were different in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dult attachment type of the mother. A group with a stable attachment showed higher social support and intimacy compared to a group with a fear attachment. Second, the social support and intimacy were different in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ccording to a level of the empathy ability of the mother. A group with a higher empathy ability showed higher social support and intimacy compared to a group with a low empathy ability. Third, as a result of an interaction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on the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ability of the mother, although the adult attachment and empathy ability were effective on the social suppor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two factors. Also, only the empathy ability was independently effective on the intimacy factor.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on the social support and intimacy in th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dult attachment type and empathy ability that a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Accordingly, the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e efficient plan for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공감능력에 따라 부모-자녀관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아동이 가족 내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조건인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3곳의 어머니 440명 이었다.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하여 Brennan 등(1998)이 개발하고 황경옥(2001)이 번안한 ECRS(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을 사용하였으며,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Mehrabian과 Esptein의 정서적 공감 척도와 Davis의 개인적 고통 척도(Personal Distress Scale; EC)를 기초로 하여 신경일(1994)이 개발한 공감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모-자녀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Furman(1985)의 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NRI)를 한종혜(1996)가 번안한 것을 본 연구자가 전문가 및 박사 2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부모용으로 수정,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른 부모-자녀관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공감능력에 따른 부모-자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성인애착과 공감능력의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성인애착유형에 따라 부모-자녀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와 친밀이 다르게 나타났다. 안정형 애착집단이 두려움형 애착집단에 비해 사회적 지지와 친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공감능력의 정도에 따라 부모-자녀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친밀이 다르게 나타났다. 공감능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 지지와 친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공감능력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공감능력은 사회적 지지에 각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두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밀에서는 공감능력만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인 성인애착유형과 공감능력에 따라 부모-자녀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친밀에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성인애착과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

        조태현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인애착과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 조 태 현 전남대학교대학원 심리학과 (지도교수 : 노안영)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정서조절양식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공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소재의 4년제 대학의 재학생 238명과 인터넷 패널의 대학생 199명을 합한 437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정서인식의 명확성, 공감, 정서조절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성인애착과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불안애착과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불안애착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불안애착과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회피애착과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다섯째, 회피애착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회피애착과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관계에서 정서적 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성인애착, 정서인식의 명확성, 공감, 정서조절

      •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이 불안정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문선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이 불안정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과 불안정 성인애착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40세의 초기성인기 남녀 14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을 통해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자료는 SPSS 28.0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초기성인기 남녀의 불안정 성인애착,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 내면화된 수치심은 어떠한가?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 내면화된 수치심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불안정 성인애착에 미치는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넷째,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이 불안정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위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없었다. 둘째,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변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각 변인의 하위요인 간에도 정(+)의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불안정 성인애착에 미치는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간 외상경험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이 불안정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불안정 성인애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과 불안정 성인애착 간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착의 수준이 높다면, 아동기 대인간 외상경험이 많고, 내면화된 수치심의 수준도 높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상담자는 실제 상담 현장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을 보이는 내담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으며, 상담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아동기에 경험한 대인간 외상의 유무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사실 등의 치료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insecure adult attachment.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on 142 men and women living in Korea through non-face-to-face online. The age of the participant ranged from 19 to 40. To analyze the given research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8.0.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by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internalized shame hav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internalized shame? Third,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internalized shame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influence of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when the study perform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o find out if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variables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As a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and there is also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Third,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looking at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internalized shame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the explanatory power appeared in the order of internalized shame and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Four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1986)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the effect of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on insecure adult attachment. The result revealed that internalized sham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insecure adult attachment.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if the level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is high, there is a lot of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could be high.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can help counselors broaden their understanding clients who show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rovide therapeutic foundations in establishing counseling plans in that the understan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personal trauma and internalized shame can be helpful.

      • 부모애착 및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성인애착과의 관계성

        선상화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및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성인애착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성별에 따른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대학생의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대학생의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7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342부의 설문지만을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부모애착을 측정하기 위하여 Armsden 와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와의 애정척도」 75문항 중 정정숙(1994)이 번안한 28문항을 사용하였고,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을 측정하기 위해 J.A.Hoffman(1984)「부모자녀 관계에서 독립의 4가지 차원」128문항 중 정은희(1993)가 번안한 30문항을 사용하였다. 성인애착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lins & Read(1990)의「자기보고식 성인애착(RAAS)」척도를 김은정, 권정혜(1998)가 번안한 18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v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s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부모와의 애착이 잘 될수록 중요한 타인에게 의존하는 것에 대해 편안함을 쉽게 느끼며, 모애착이 잘 형성될수록 이성이나 친구관계에서 쉽게 접근하고 친해지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부모와의 애착이 잘 형성될수록 이성 및 또래 관계에서 친밀한 관계를 편안하게 느끼며, 사랑받지 못하거나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간에 차이가 없었다. 즉 남녀 모두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높을수록 이성 및 또래와의 관계에서 쉽게 친해지며 편안함을 느끼고, 쉽게 의존하고 기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사랑받지 못하거나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중 아버지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성인애착 불안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이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을 예측하는 주요 예측변인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다. 남녀 모두 아버지와의 애착, 어머니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의 정서적 독립이 낮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이 높았다. 넷째, 부모애착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성인애착에 함께 영향을 미치는 점에서는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성인애착의 의존과 불안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있었다. 성인애착 의존에서 남학생은 부모애착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주요예측 변인이었으며, 여학생은 아버지로부터 갈등적 독립이 이성 및 또래관계에서 쉽게 기대고 필요할 때 곁에 있어줄 수 있는 의존성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었다. 성인애착 불안에서 남학생은 부애착, 모애착, 아버지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이 주요예측 변인이었으며, 여학생은 모애착, 아버지로부터의 갈등적 독립, 어머니로부터의 정서적 독립이 이성 및 또래와의 관계에서 버림받거나 너무 가까워지는 것에 대한 불안을 예측하는 주요변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부모애착 및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성인애착간의 관계에 있어 서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간에 남녀 간의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가정에서 현재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 미래의 성인애착을 예언가능하게 하고, 상담현장에서는 내담자의 성인애착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성인애착과 자기효능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경숙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dult attachment and self-efficacy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affect their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et up the issues of discussion as follows: First, how does adult attachment affect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ly, how does self-efficacy affect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ly, how do adult attachment and self-efficacy affect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o examine the issues, this work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including adult attachment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with 333 male and female students going to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who were in dating relationship. Based on the samples of 333 study subject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use of SPSS 17.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adult attachment g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the sub factors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gave a bigger influence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attachment avoidance. It indicates that the more attachment anxiety the students have, the lower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y have. Secondly,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self-efficacy g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the sub factors of self-efficacy,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ha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ith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task difficulty’ had nothing to do with it. It indicates that the more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the students perceive, the more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y experience. Thirdly,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and self-efficacy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adult attachment and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indicates that the more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the students have, the lower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y have.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identified the influence of the adult attachment and self-efficacy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 on dating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refore, this work suggests methodological aspects for being helpful to smooth dating relationship through creation of stable attachment and high self-efficac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인애착과 자기효능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인애착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자기효능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성인애착과 자기효능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경기도 지역의 대학교 재학생 중 현재 이성관계를 맺고 있는 남, 여학생 333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33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 17.0을 이용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인애착은 이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의 하위요인 애착 회피와 애착 불안 중 애착 불안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며 이는 애착 불안이 높은 개인이 이성관계에서 만족이 낮을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이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은 부적 상관이 높았으나 ‘과제난이도 선호’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이 지각하는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을수록 이성관계에서 더 많은 만족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성인애착과 자기효능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성인애착과 자기효능감은 이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의 애착 회피와 애착 불안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이성관계에서 만족이 낮을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인애착과 자기효능감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안정적인 애착형성과 높은 자기효능감 수준의 형성으로 원만한 이성관계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법적인 면을 시사하고 있다.

      • 성인애착과 관계중독 성향의 관계에서 자비불안,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오진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mechanisms. It verifies that mercy anxiety and self-sufficiency act as regulatory effects between the two, thereby alleviating relational addiction.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s an online survey of 355 un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40s nationwide. This study uses 4 tools, such as ECR-R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Revi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Compassion Scales,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and the RAQ-30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30) to analyz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tata 16 statistical program, which includ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secure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fear of compassio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s study controls the effectiveness of other variable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relationship addiction. Attachment anxiety and fear of compass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addiction, while attachment avoidance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relationship addiction, and self-compassion i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addiction. In other words, anxiety and avoidance, which are two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can form different inner working models, meaning that they can affect relationship addiction in different way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whether the influenc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relationship addiction depends on fear of compassion, verifying that its moderating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insecure adult attachment has limited influence on relationship addiction through the control of fear of compassion. Third, this study verifie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and showed that self-sufficiency was not significant as a moderating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at the counseling site are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symptoms of relationship addic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dimensions within the type of insecure attachment. Therefore, a counselor may establish counseling goals and counseling strategies, considering that a client may have different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that depend on each typ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valu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relationship addiction, which can be controlled through psychological mechanisms by fear of 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So far, previous researches on relationship addiction have focused primarily on what factors mediate and influence it.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serve as buffer materials to alleviate relational addiction, and based on this, provides basic data for more practica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during consultation. Finally, this study states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본 연구는 불안정 성인애착과 관계중독 성향의 관계에서 심리적 기제로서 자비불안, 자기자비가 조절효과로 작용하여 관계중독을 완화할 수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40대 미혼 성인남녀 35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성인애착 척도(ECR-R)와 한국판 자비불안 척도들,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관계중독질문지(RAQ-30)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Stata 16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자비불안, 자기자비, 관계중독 간의 단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이후 다른 변인들의 효과를 통제하고 각각의 관계중독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는데, 애착불안과 자비불안은 관계중독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고, 애착회피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이 나타났으며 자기자비는 관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불안과 회피는 서로 다른 내적작동모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관계중독에 각기 다른 경로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의 관계중독에 대한 영향력은 자비불안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것은 자비불안의 수준이 낮을수록 불안정 성인애착의 관계중독에 대한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자기자비가 조절변인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밝히는 의의 및 상담 현장에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계중독 증상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볼 때, 불안정 애착유형 내에서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차원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상담자는 각 유형에 따라 내담자가 관계에서 봉착할 수 있는 어려움이 다를 수 있음을 다루어 상담목표를 합의하고 상담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를 자비불안, 자기자비라는 심리적 기제를 통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간에 관계중독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어떠한 요인이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가에만 주로 초점이 있었는데, 관계중독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재 역할을 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상담장면에서 좀 더 실질적으로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김나경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ffect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The mediator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296 college students. Major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showing better fit were the model in which partial mediated model is not set, a direct path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 the result indicated all path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e path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Third, after testing the significance of each mediator effect,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and anxious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were confirmed. Specifically,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 mediated between avoidan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while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ully mediated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o understand the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it showed that in counseling session with students who experience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or cognitive and emotional involvement could be helpful.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이해하기 위해 성인애착, 거부민감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모형비교를 통해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델을 탐색하였고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대학생 296명이었고,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은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간의 직접 경로를 설정하지 않은 부분매개 모형이었다. 둘째, 애착회피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애착회피와 사회불안, 애착불안과 사회불안 간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애착회피과 사회불안 사이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하였고, 반면 애착불안과 사회불안 사이에서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각각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사회불안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담 장면에서 사회불안을 느끼는 대학생들에게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이중매개효과

        노현승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multidimensional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it was verified whether rejection sensitivity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ce avoidance have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angwon-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and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1.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multidimensional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since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was established, both showed good suitability, and the final model was selected through χ² difference verification. As a result, the model that bes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was a competitive model that did not establish a direct path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rejection sensitivi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was partially mediated.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multidimensional experience avoidance was partially mediated.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oci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ce avoidance were double-mediated. Through this,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was expand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jection sensibility as a mediator and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ces avoidance were partially mediat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alleviate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 거부민감성, 다차원적 경험회피, 사회불안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다차원적 경험회피가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 12개의 4년제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분석은 SPSS 25.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성인애착, 거부민감성, 다차원적 경험회피, 사회불안은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비교한 결과 둘 다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기 때문에 χ² 차이검증을 통해 최종모형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성인애착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은 애착회피와 거부민감성 간의 직접 경로를 설정하지 않은 경쟁모형이었다. 셋째, 애착불안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하였다. 넷째,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다차원적 경험회피가 부분매개하였다. 다섯째, 애착불안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다차원적 경험회피가 이중매개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매개변인인 거부민감성과 다차원적 경험회피가 부분매개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성인애착 안정,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민희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애착 안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의 매개효과를 보고 이 매개효과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20대에서 50대까지의 성인 남녀 393명이며, 성인애착 척도, 고독 동기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 후 조건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때, 각 단계별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안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성인애착 안정이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를 매개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 안정이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를 매개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성인애착 안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의 매개효과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따라 달라지며 자기결정적 고독 동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애 조절되는 것으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연구 의의,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성인여성의 애착유형과 중독성향간의 관계

        유성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attachment types and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difference in Internet addiction, Shopping addic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according to each attachment type, and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addiction tendency. The subjects were 706 adult women from the Seoul and Kyunggi region. Measurements for Adult attachment types, Internet addiction, shopping addic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were used, along with consumption behavior for tobacco and alcohol.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attachment types and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706 adult women revealed that 176 (24.2%) were categorized as dependent types, 61 (8.6%) as anxiety types, and 474 (67.1%) as intimacy types. Attachment types according to age distribution showed that dependent and intimacy types were found in higher number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compared to women in their 40's and 50's. Conversely, anxiety types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women in their 40's and 50's compared to those in the 20's and 30's category. Result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revealed that students or graduates of university and/or post-graduate program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nxiety type, whereas difference was minimal for dependency type and intimacy type compared to the other demographic groups. Smoking according to attachment types showed that among a total of 90(12.7%) smokers, anxiety type showed the highest number, whereas dependent types, although moderately higher than intimate types showed lower numbers. Alcohol consumption according to attachment types revealed that anxiety types consumed alcohol more frequently than dependent or intimate types,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ypes and the amount of consumption was found. Reason for alcohol consumption according to attachment types revealed that "forming friendship" accounted for 65.5% and 69.8% for dependent types and intimate types, respectively, followed by "habitual consumption". For anxiety types, "stress" constituted 26.2%, showing a relatively high number.    Next, looking into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attachment types among adult women, dependent types and intimate types, classified as stability attachment typ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addiction, shopping addic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Comparison between dependent types and intimate types further revealed that dependent types have a low correlation with addictive tendencies Correlation analysis for each attachment types with their subordinate factors revealed that, although not on a significant level, dependent typ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ordinate factors for Internet addiction such as "loss of control for Internet usage", "compulsive thoughts or expectations", "shopping addiction", "relationship addiction", and "people addiction", differentiating it from intimacy types.   Lastly, correlation between each addiction revealed that "inability to cope with everyday life following Internet addiction", "loss of control", "compulsive thoughts or expectations", "shopping addiction", "relationship addiction", "love addiction", "sex addiction", and "people addiction" all share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on a significant leve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ubordinate factors for all addiction were significant within 0.1 significance level. This study reveals that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attachment types d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early attachment for adult women. Further,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addiction tendencies, the study can prove useful for raising awareness of addiction, allowing women to identify their addiction tendencies and prevent undesirable outcomes.  Moreov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reference in a counseling setting, enhancing responsiveness for patients that are not aware of their own addiction tendencies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애착유형에 따른 인터넷중독, 쇼핑중독, 관계중독 정도 및 그 하위요인의 차이, 그리고 각 중독성향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성인여성의 애착유형에 따른 중독성향을 파악하여 초기에 주 양육자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초기애착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중독성향간의 관계를 입증하여 성인여성의 중독예방과 상담 장면에서 중독에 대한 인지를 확장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성인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따라 애착유형과 중독성향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성인여성의 애착유형에 따라 인터넷중독, 쇼핑중독, 관계중독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그리고 셋째, 각 중독간의 관련성이 존재할 것인가? 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를 중심으로 성인여성 7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흡연여부와 음주성향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여 성인애착유형척도, 인터넷중독척도, 쇼핑중독척도, 관계중독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고,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자료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따라 애착유형과 중독성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총 706명의 성인여성 중 애착유형은 의존유형 171명(24.2%), 불안유형 61명(8.6%), 친밀유형은 474명(67.1%)으로 분류되었다. 연령별 애착유형의 분포는 20~30대 여성들이 40~50대 여성들보다 의존유형과 친밀 유형이 높게 나온 반면, 40~50대의 여성들은 불안유형의 분포가 다른 유형들에 비해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학력분류의 결과를 보면, 다른 학력들에 비해서 대학교, 대학원 재학 또는 졸업대상들의 불안유형의 분포가 높았고 그 외 학력과의 비교에서 의존이나 친밀애착유형의 구분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애착유형에 따른 흡연여부의 결과는 전체 응답자 중 흡연자가 90명으로 12.7%를 차지하였고 각 애착 유형별 흡연여부의 차이를 보면, 불안유형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의존유형이 다소 높기는 하였지만 친밀유형과 함께 낮은 수치의 결과를 나타냈다. 애착유형에 따른 음주성향의 결과는 불안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더 자주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고 애착유형과 한 번에 마시는 술의 양과는 밀접한 관련이 없음으로 나타났다. 애착유형별 음주의 이유는 의존유형과 친밀유형은 친목도모가 각각 65.5%, 69.8%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습관적인 이유가 그 다음을 차지한 반면, 불안유형은 친목도모 이외에 스트레스가 26.2%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성인여성들의 애착유형에 따라 중독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안정애착유형으로 분류되는 의존유형과 친밀유형은 인터넷중독, 쇼핑중독, 관계중독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이고, 불안정애착으로 분류되는 불안유형은 인터넷중독, 쇼핑중독, 관계중독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존유형과 친밀유형의 비교에서는 의존유형이 친밀유형보다는 다소 중독성향과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각 애착유형과 중독의 하위요인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의존유형은 인터넷중독의 하위요인 중 인터넷 사용의 조절능력 상실, 강박적 생각 혹은 기대감, 쇼핑중독, 관계중독에서 사람중독과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어서 친밀유형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각 중독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중독에 따른 일상생활 부적응. 조절능력상실, 강박적 생각 혹은 기대감, 쇼핑중독, 관계중독에서 사랑중독, 성중독, 사람중독간의 상관은 매우 높은 수준에서 유의미함이 나타났고 모든 중독의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01 수준에서 유의미함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성인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따라 애착유형에 차이가 있었고 그에 따라서 중독성향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불안유형으로 분류된 성인여성들은 다른 애착유형의 성인여성들에 비해서 흡연율과 음주빈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고 음주이유 중에 스트레스로 인하여 술을 마신다는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성인여성들의 애착유형에 따라 중독성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애착이 안정적일 수록 중독성향이 낮게 나오고 애착이 불안정 할수록 중독성향이 높게 나타나 성인여성들에게 초기애착의 중요성을 부각시켜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각 중독간의 상관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이는 중독에 대한 인지를 확장시켜 성인여성 스스로 자신의 중독성향을 예방하고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나아가 상담 장면에서 자신의 중독성향을 인지하지 못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보다 자극적이지 않고 수용 가능한 상담환경을 제공하는 바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