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初等學校 擔任敎師의 性役割態度에 따른 所屬兒童의 性役割態度 硏究

        윤희순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와 아동의 성역할태도가 각각의 변인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밝히고, 성역할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변인 중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성역할태도가 아동의 성역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선행연구 및 본 연구에 따르면 부모와 교사는 아동의 성역할태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교사 스스로의 성역할태도에 대한 진지한 반성과 모색이 필요하며 예비교사들은 교사양성기관인 대학에서 양성평등에 대한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며 기존의 교사들에게는 재교육을 위한 양성평등 연수기회가 심화 확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how how elementary students' sex­role attitude is affected by each variable from the sex­role attitude of their teachers and then reveal how each variable affects the students' sex­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How different are the sex­rol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ir gender, career, marriage status, existence of their child and their child's gender? Second, How are the students' sex­role attitudes based on their gender, and grades? Third, Does it form relation between sex­role attitude of elementary home room teachers and their students' sex­attitude? The sample target is 180 teachers and 454 students at one elementary school in Y city. The study uses a questionnaire method which questions are based on a previous social study, and conducts 45 questions for a teacher and 36 questions for a student. For data processing, t-verification and ANOVA are used for examining how teachers' sex­role attitude changes depending on the each variable. But MANOVA is used for examining how students' sex­role attitude changes depending on the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s: First, teachers' sex­role make different on their role attitude. Furthermore male teachers shows more traditional sex­role attitude than female teachers are. Regarding the difference of sex­role attitude on teachers' marriage status, single teachers are slightly higher than married teachers, but it's not considered as meaningful difference. The result also shows the longer teachers' career is, the more teachers' sex role attitude is fixed. The role attitude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only girl, only boy, and both child. The most flexible attitude comes from the only girl group, the only boy group follows, and the both child group is the most fixed group. Second, sex­attitude based on students' gender shows that a boy group is more fixed than a girl group. And the attitude based on their grade shows meaningful result: the higher the grade is, the more flexible their attitude is. Third, the study reveals that the sex­attitude among students' group contains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lass teacher's sex­role attitude. If the class teacher has flexible sex­role attitude, his students shows more flexible sex­attitude than other students. According to the previous and this study, a parent and a teacher affects a child to decide his sex­role attitude. Particularly an elementary teacher is responsible for the whole class curriculum so that his attitude and value can be reflected to his students with high possibility. As a result, a teacher reflects his own sexual conducts and training opportunity should follow and expanded in order to reeducate the teacher. Furthermore, sex­role model social study can not be explained and revealed with the two variables so that following studies on the age group, mass media, and religion should be carried out.

      • 한국 2,30대 남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 인식

        채민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der-role attitude types on marriage perception. Prior discussions have pointed out deteriorating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women’s opposition to gender inequality in the family as the main reasons behind South Korean young adults’ growing negative perception of marriage. However, this negative perception of marriage is not necessarily invariable among different people. Thus this study raises and empirically validates the argument that perception of marriage depends on the type of gender-role attitude, and that the effect of gender-role attitude type again varies by gender. Many earlier studies have maintained that the "traditional" gender-role norm based on gender division of labor is changing into an "equal" gender-role norm that supports the distribution of roles regardless of gender. They argue that, in cross-national comparison, perception of marriage varies with the degree of change in gender-role norm. In countries where "equal" gender-role norm is established, perception of marriage is generally positive, but in countries where "traditional" gender-role norm persists, it tends to be negative. However, the change in gender-role norm cannot be interpreted simply as evidence of progress from traditionalism to egalitarianism, since the meaning of egalitarianism is different by national context. This study analyzes how South Korea's two institutional contexts, the familial welfare system and the gender-segmented labor market, have constructed gender role norms. South Korean society encourage women to participate in wage labor, and still expect women to take full charge of care work in family. This study also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an attitude divergent from the normative context has emerged among young adult group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Contrary to those in their forties or older, a considerable number of thos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believe that women should enjoy equal rights in the workplace, and that women should not be the only ones who are in charge of care work in the family. Their attitudes differ from the institutional and normative contexts of gender-role division in the family, thus developing a negative perception of marriage. Even when the normative context that imposes double-role on women is accepted, the difficulty of performing the expected dual roles negatively affects marriage perception. The negative effect of gender role is more pronounced in women who have played a main role in the family. The major findings from latent class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Korea General Social Survey 2016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gender-role attitude in both workplace and family, this study reveals that South Korea’s gender-role norm cannot be examined under the dichotomy of traditionalism and egalitarianism. Some refuse to conform to the gender role norm, and even the ones sticking to the norm face conflict between the double expectations on women to take full charge of family care and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Second, this study also figures out the mechanism of gender-role attitude affecting marriage percep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women and 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believe in equal gender-role division, the more negative their perception of marriage becomes This finding reflects that, under the current institutional and normative contexts of South Korea, people expects a low possibility of being able to live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gender-role attitude after marriage. 이 연구는 성역할태도의 유형에 따른 결혼 인식의 차이를 밝히려는 목적을 갖는다. 기존의 논의는 한국 2,30대에서 부정적인 결혼 인식이 확산된 원인으로 사회경제적 조건의 침식 또는 가족 내 젠더불평등에 대한 여성의 반발을 지목해왔다. 그러나 인구 혹은 여성 집단 전체의 결혼 인식이 일관되게 부정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내부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성역할태도의 유형에 따라 결혼 인식이 달라지며, 성역할태도 유형의 효과는 젠더에 따라 다시 달라진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선행 연구는 성별 분업에 기초한 ‘전통적’ 성역할규범이 젠더와 무관한 역할 분배를 지지하는 ‘평등한’ 성역할규범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국가별 변화 정도에 따라 결혼 인식이 달라진다고 논의해왔다. ‘평등한’ 성역할규범이 정착된 국가에서는 결혼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이나, ‘전통적’ 성역할규범이 지속되는 국가에서는 부정적인 경향을 보인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모든 국가에서의 성역할규범 변화를 전통에서 평등으로의 단선적인 진보와 동일시할 수 없으며 평등의 의미는 국가별 맥락에 따라 분화할 수 있다. 일터에서의 성평등을 지지하면서도 가족의무는 여성에게만 배정하거나 여성이 일터와 가정에서 남성과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신 가정에 대한 헌신을 선택할 수 있다는 성역할태도 또한 평등한 것으로 수용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 가족주의적 복지 체제와 젠더 분절적 노동시장을 두 축으로 하는 제도적 맥락이 여성의 임금노동 참여를 장려하면서도 가족 내 돌봄노동의 전담 역시 기대하는 ‘이중역할’의 규범적 맥락을 체현하는 동시에 형성했다고 분석한다. 동시에 이 연구는 한국의 2,30대 일부의 성역할태도가 규범적 맥락으로부터 급진적 변화를 일으켰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한국의 2,30대에서는 여성이 일터에서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누려야하며 가족의무가 여성의 몫만은 아니라고 보는 비중이 40대 이상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다. 이러한 차이는 가족 내 성역할 분배를 둘러싼 기성의 제도적・규범적 맥락과 조응하지 않아 결혼 인식을 부정적으로 만든다. 여성에게 이중역할을 부과하는 규범적 맥락을 수용하는 경우에도 기대되는 역할 수행을 부담스럽게 여겨 부정적인 결혼 인식을 갖는다. 성역할태도의 부정적 효과는 가족 내 역할을 담당해온 여성에게서 더욱 뚜렷하다.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집단분석과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2,30대의 성역할태도는 평등, 이중역할, 전통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각 32%, 42%, 26%를 차지한다. 평등 유형은 동등한 역할 수행을 긍정하면서도 유독 자녀돌봄 부문에서는 여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비율이 높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중역할 유형은 임금노동할 권리가 여성과 남성에게 동일하게 주어진다고 보면서도 가사 및 돌봄노동의 의무는 여성의 몫으로 파악한다. 전통 유형은 남성은 노동시장, 여성은 가족에서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성별분업이 바람직하다는 시각을 취한다. 규범적 필요성과 경제적 편익으로 나누어 측정한 결혼 인식에 성역할태도 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평등 유형은 이중역할 유형에 비해, 이중역할 유형은 전통 유형에 비해 규범적 필요성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 이 영향은 젠더에 따라 달라진다. 여성은 이중역할 유형이 전통 유형에 비해 규범적 필요성을 인식할 가능성이 크게 낮은 반면, 남성은 두 유형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결혼에서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은 평등 유형과 전통 유형 간의 차이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더불어 젠더 차이를 고려한다면 남성은 전통 유형에서 이중역할과 평등 유형에 비해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으나 여성은 세 유형 간 차이가 미미하다. 남성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상용직은 비고용 상태에 비해 전통 유형에서 다른 두 유형보다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시 말해, 남성은 전통 유형에서 다른 두 유형에 비해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은데 상용직이 그 차이를 주도한다는 뜻이다. 비고용 상태의 남성은 생계부양 역할에 대한 부담을 느껴 전통 유형에서 다른 두 유형에 비해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연구의 의의는 한국 2,30대의 성역할태도를 일터와 가정에서의 역할을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유형화하여 전통과 평등의 이분법으로 포착될 수 없는 복합적인 양상을 드러낸 데 있다. 여성이 가족 내 역할을 전담해야한다는 규범은 일부에게는 거부의 대상이 되었고 일부에게는 수용되더라도 여성이 동시에 경제적 역할에도 책임이 있다는 태도와 충돌을 일으킨다. 또한 이 연구는 2,30대의 성역할태도가 결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밝혔다.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역할을 수행해야한다고 믿을수록 결혼 인식이 부정적이라는 분석 결과는 한국의 제도적・규범적 맥락 아래에서 결혼이 지향하는 성역할태도의 실현 가능성을 제약할 것이라는 인식을 시사한다.

      •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진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727

        We must pay attention to senescent marriage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elderly. The reason why the elderly depend on their spouses than anyone else is to satisfy their emotional desires like love or the meaning of life. The harmonious conjugal adaption can be a major factor that gives them individual satisfaction or ego-integrity in the last step of their life. And the quality of senescent conjugal relations will determine the satisfaction of senescent life as the continued extension of senescence. Under the perception of senescent conjugal problems in such modern society,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by verifying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senescent conjugal relation factors. For this, i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attitude, conjug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the namely, come up with measur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can improve senescent conjugal relations by inquiring into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njugal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on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analysis of the effects on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s carried out, summarizing detailed results as follows.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sex for a hypothesis 1-1 -- Is there a difference in sex-role attitud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women have a higher perception of the sex-capacity and -role difference than men. Meanwhile, the preception of the elderly for sex-role attitude showed that for general sex-role attitudes,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under the age of 64 i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age of 65-69, and over the age of 70, which the high age decreases the understanding of sex-role attitud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under 2 survival childr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3-4 survival children, and over 5 survival children, which the low survival children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sex-role attitude.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ore 3 cohabiting famili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2 cohabiting families, and 1 cohabiting family, which the many cohabiting familie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general sex-role attitude, and the long marriage period decreased the general sex-role attitude and sex-capacity perception. The high academic background increased the sex-role attitude of the elderly, and the sex-role attitude of the elderly who have a job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who have no job. Second,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the sleeping in separate bedrooms for a hypothesis 1-2 -- Is there a difference in communica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all groups such as general communication, the elderly of close relationship, the elderly of passive relationship and the elderly of exclusive relationship, communication in the elderly who don't sleep in separate bedrooms is more active than in the elderly who do sleep in separate bedrooms. For academic background,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more than high school graduate was most active, followed by middle school graduate, and under elementary school graduate. For the elderly of close relationship,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under middle school graduate was most active, followed by more than high school graduate, and under elementary school graduate. Third,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age for a hypothesis 1-3 -- Is there a difference in sexual satisfac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the general sexual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in the age of under 64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 the age of 65-69, and in the age of over 70. This phenomenon showed same results in all positive propensity, relationship retention propensity, passive propensity and dissatisfaction propensity groups, which the high age decreased the sexual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of 1 cohabiting famil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n the elderly of more than 3 cohabiting families, and in the elderly of 2 cohabiting families, which living together with a great number of children could improve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healthy elderly could have a high sexual satisfaction. Fourth, a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the sleeping in separate bedrooms for a hypothesis 2 -- Is there a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showed that for the general marital satisfacti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ho don't sleep in separate bedrooms is higher than in the elderly who do sleep in separate bedrooms, which the healthy elderly and the elderly who have a job can have a high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elderly of high academic background could have a high marital satisfaction. Fifth, basic models were designed for hypothesis 3 test to use Chi-square, CFI, TLI and RMSEA for the evaluation of the their fitness, which the their fitness was good. For the pa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factors and between each sub-factors(p<0.01, the sex-role attitude was p<0.05). The path coefficient test showed that a hypothesis 3 is suppor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of senescent marital lif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nfirming that it is important to perceive the male/female role and capacity caused by sex differences in their daily life for their happy marriage until senescence. The additional hypothesis test using modified mediation models for a hypothesis 3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is significant in the path coeffici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ogenous variables and endogenous variables in modified mediation models(p<0.05), while the sex-role attitude are not significant. A hypothesis 3-1 -- the marital satisfaction will depend on the sex-role attitude -- was rejected, and a hypothesis 3-2 -- the marital satisfaction will depend on the communication -- was supported. A hypothesis 3-3 -- the sexual satisfaction will affect the marital satisfaction -- was also supported. Sixth,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xual satisfaction, the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were come up with, and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which are finally applied to this study using the modified exponential models, were designed by additionally putting the parameters, sexual satisfaction variables into basic models to build the model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tness of modified mediation models and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showed that the Chi-square value, significance probability, CFI, TLI and RMSEA are 195.251, 0.000, 0.836, 0.757 and 0.120, respectively, which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are generally fit. In other words, the fitness of modified mediation models was more improved than that of fundamental mediation models. A hypothesis 4 predicted that the sexual satisfaction will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 analysis of the modified mediation models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0.724 and 0.482) is most important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followed by the sexual satisfaction(0.355). Analysis showed that the sex-role perception and conjugal communication of elderly couples have an impa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sexual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And the communication had priority for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which a conjugal active conversation was a top priority for their happy marriage through good conjugal relations in the twilight years of their life. Seventh, the effects such as the indirect, direct and total effects between variables showed that a dependent variable, marital satisfaction receives a direct effect of 0.891 from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0.143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05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and indirect effect of 0.019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737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And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received a direct effect of 0.021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sex-role attitude and 0.827 from an independent variable, communication. Comparing the size of the total effect, the communication and sex-role attitude had an effect of 0.787 and 0.162 on the sexual satisfaction for the factors affecting a parameter, sexual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the communication of 0.787 had a bigger effect than the sex-role attitude of 0.162 for a dependent variable, marital satisfaction. There are limitations caused by problems in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tools in the processes of this study, which is aimed at improv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by verifying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senescent conjugal relation factors. First, in reference to sampling, there's a limit as to the generalization of findings for the total elderly of our country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Seoul area. Second, there's a limit that controls and explains other variables affecting the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esides variable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contamination effect by these variables could be produced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have a complete control due to the nature of a social survey; they were inquired into only in term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insignificant test values of some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sex-role attitude,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may have an incomplete control of a survey. 노년기 부부관계는 노인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 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노인은 애정이나 삶의 의미 같은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 누구보다 배우자에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조화로운 부부간의 적응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개인의 만족이나 자아통합감을 갖게 하는 주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노년기가 계속 연장되어짐에 따라 노년기의 삶의 만족은 부부관계의 질이 어떠하냐에 좌우될 것이다. 이와 같은 현대 사회에서의 노년기 부부간의 문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들에 대한 상호 역동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노인부부의 성역할태도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성생활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부부간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 성생활만족이 노인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노년기의 부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개인별 특성에 따라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성생활만족에 대한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대해 차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가설 1-1의 개인특성별 성역할태도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성별 능력 차이에 대한 인식 및 성별 역할차이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인의 성역할 태도별로 살펴보면, 전반적인 성별 역할 태도는 64세 이하 노인연령대의 인식력이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65-69세, 70세 이상으로 조사되어 연령이 많을수록 성역할태도에 대한 이해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전반적 성역할태도에 대해 생존자녀수가 2명 이하인 노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3-4명인 노인, 5명 이상의 노인 순으로 나타나 생존 자녀수가 적을수록 성역할태도는 긍정적이라고 해석되어진다. 전반적 성역할태도 정도에 대해 동거 가족수가 3명 이상인 노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2명인 노인, 1명인 노인 순으로 나타나 동거 가족수가 많을수록 성역할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혼인기간이 길수록 전반적 성역할태도 및 성능력 인식력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성역할태도 정도에 대해 학력이 높을수록 노인의 성역할태도 정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업이 없는 노인보다는 직업이 있는 노인의 성역할태도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1-2의 개인특성별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각방 사용유무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의사소통, 긴밀한 관계의 노인, 소극적 관계의 노인, 배타적 관계의 노인 모든 집단에서 각방을 사용하는 노인집단보다 각방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 집단에서 의사소통이 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로는 고졸이상인 집단이 가장 의사소통이 활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졸 집단, 초졸이하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집단의 경우 중졸이하 집단이 가장 의사소통이 활발한 가운데 고졸이상, 초졸이하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1-3의 개인특성별 성생활만족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연령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성생활 만족정도는 64세 이하의 연령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65-69세, 70세 이상 연령대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적극적 성향 집단, 관계유지형 성향 집단, 수동적 성향 집단, 불만족 성향 집단 모두에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 연령이 많을수록 성생활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동거가족수가 1명인 집단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3명 이상인 집단, 2명인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다수의 자녀와 함께 생활하는 것이 노인의 성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해석되며, 건강한 노인일수록 성생활 만족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 2의 개인특성별 결혼만족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각방 사용여부에 따른 평균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결혼 만족정도에 대해 각방을 사용하는 노인보다 각방을 사용치 않는 노인 집단에서 결혼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한 노인일수록 결혼 만족 정도는 높다고 해석된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결혼 만족 정도는 높으며, 직업을 갖고 있는 노인의 결혼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설 3의 검증을 위해 기초모형을 설계하고 모형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카이제곱, CFI, TLI, RMSEA를 이용하였고,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성역할태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간의 관계 및 각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를 살펴보면, 모든 요인간 및 각 하위요인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성역할태도는 p<0.05). 이 경로계수 검증 결과 연구가설 3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 부부간의 생활 중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 특성이 노인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를 통해서 노년기까지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성별 차이로 발생하는 남녀별 역할 및 능력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가설 3의 경우에는 수정 매개모형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가설검증을 한 바, 수정매개모형에서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계수에서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성역할태도는 유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만족도는 성역할태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 3-1은 기각되었고, 결혼만족도는 의사소통에 따라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 3-2는 지지되었다. 또한, 성생활만족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 3-3도 지지되었다. 여섯째, 성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초모형에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 변인을 추가 투입하여 모형을 구축하여 기본 매개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수정지수를 이용한 본 연구에 최종적으로 사용한 수정 매개모형을 설계하였다. 수정된 매개모형과 기본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카이제곱 값은 195.251이며, 유의확률은 0.000으로 나타났으며, CFI는 0.836, TLI는 0.757, RMSEA는 0.120으로써 전반적으로 수정 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기본 매개모형에 비해 적합도가 보다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4는 노인들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생활만족이 매개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측이었으며, 수정매개모형 분석 결과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0.724 및 0.482)이 가장 중요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성생활만족(0.355)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노인들의 성역할 인식과 부부간의 의사소통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생활만족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우선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황혼기의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여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서는 부부간의 활발한 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일곱째, 변인간 간접효과 및 직접효과, 총효과 등 효과를 분해하여 살펴보았으며, 종속변수인 결혼만족도는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으로부터 0.891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고, 독립변인인 성역할태도로부터 0.143, 의사소통으로부터 0.05의 직접효과와 성역할태도로부터 0.019, 의사소통으로부터 0.737의 간접효과를 동시에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은 독립변인 성역할태도로부터 0.021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으며, 의사소통으로부터는 0.827의 직접효과를 받고 있다. 총효과의 크기를 비교해 볼 때, 매개변인인 성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이 0.787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역할태도는 0.162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속변인인 결혼만족도에는 성역할태도 0.162 보다는 의사소통 0.787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들에 대한 상호 역동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진행과정에서의 연구대상, 조사도구 설정 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연구의 표집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서울시 권역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노인에게 일반화하는데 있어서는 한계점이 있을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이외에 노인의 성역할태도 및 의사소통, 성생활만족,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에 대하여 통제하고 설명하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것은 사회조사의 특성상 완전한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들 변인들에 의한 결과의 오염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개인적 특성 범주 내에서만 고찰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성역할태도, 의사소통, 성생활만족, 결혼만족도 특성 중 일부 개인특성 변인들에 대한 검증 결과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도 설문조사의 불완전한 통제의 문제로 사려 된다.

      • 여자 대학생의 결혼의향에 관한 연구 :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을 중심으로

        김현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대학생들의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교의 재학·휴학 중인 여자 대학생들의 결혼의향의 차이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설문대상을 여자 대학생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의 연령은 20~29세에 해당되며, 2020년 1월 18일부터 2월 18일까지 구글 폼을 이용하여 32일간 총 227명의 설문지를 제출받았다. 이 중 표본으로 적합하지 않은 대학원생의 자료 1부를 제외한 226명의 자료를 SPSS 22.0 버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여자 대학생의 전반적인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 결혼의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여자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요인에 따라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여자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요인에 따라 결혼의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여자 대학생의 결혼의향과 관련 변인 간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에 투입된 변수인 사회인구학적 변수 중 학년은 4학년 기준으로 4개의 변수로 더미 처리 후 사용하였고, 출생순위는 장녀를 기준으로 3개의 변수로 더미 처리를 하였으며, 현재 이성친구 유무는 있다 를 기준으로 1개의 변수로, 전공계열은 문과계열을 기준으로 2개의 변수 더미 처리 후 분석에 투입하였다. 다섯째, 여자 대학생의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전 회귀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한 Durbin-watson 검증을 실시한 결과 1.89~1.89로 나타나 잔차 간 자기상관은 없었으며, 회귀모형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VIF 값은 1.05~1.60으로 다중공선성의 문제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는 더미변수 변환 후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대학생의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 결혼의향의 전반적 경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성역할태도가 19.57점, 성차별경험이 46.94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는 평등적 성역할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대부분 성차별을 경험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의향에 대한 전반적 경향은 전혀 없다 16.4%, 없다 24.8%, 보통이다 24.8%, 그렇다 18.1%, 매우 그렇다 15.9%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2.92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 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따라 결혼의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여자 대학생의 출생순위와 현재 이성교제 유무에 따라 결혼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 대학생의 결혼의향과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결혼의향과 상관이 있다고 나타난 변수는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 외동변수, 이성교제유무였다. 이는 성역할태도가 평등적일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외동보다 장녀일수록 이성교제를 하지 않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아지는 것을 뜻한다. 다섯째, 여자 대학생의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인구학적변수를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모델의 설명력은 약 20%, 27%, 28%로 나타났으며, 성역할태도와 성차별경험은 결혼의향에 비슷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변수 중 학년, 전공, 거주형태, 막내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녀변수, 외동변수, 현재 이성친구 유무, 성역할태도, 성차별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녀와 외동보다는 장녀일수록, 현재 이성친구가 없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아지며, 성역할태도가 평등적일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에서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가정’이라는 분야의 감소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그와 관련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제언을 통하여 변화하는 여성의 가치관을 사회와 결혼제도가 따라잡지 못하고 있어 평등적 성역할태도를 지닌 여성들이 긍정적 결혼의향을 가지고 있더라도 실제 결혼까지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결혼제도의 변화를 위하여 양성평등적 결혼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등교육과정과 대학 내에서의 지속적인 성교육과 가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혀냄에 있어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유아·부모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임옥경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유아·부모 대상 성교육 프로그램과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간 관계를 밝힘으로써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2.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3. 유아·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4. 유아대상, 부모대상, 유아·부모대상 성교육 프로그램 중 유아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변화에 가장 큰 효과를 미치는 것은 어느 프로그램인가?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울산광역시 중구 소재 H병설유치원과 P병설유치원 만 5세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 2, 3과 통제집단 1의 4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 1에는 유아·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집단 2에는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집단 3에는 유아 성교육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아무 변인도 가하지 않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아 성교육 프로그램은 성교육 교사용 지도지침서(교육인적자원부, 2001)와,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기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정민자, 2000)에서 제시한 내용을 본 연구대상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지도교수를 포함한 유아교육 전문가 3인에 의해 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연구의 유아용 성역할 측정도구는 Marantz & Mansfield(1977)의 아동용 성고정관념 측정도구를 기초로 김정래(1988), 전숙희(1987), 정선숙(1991) 등이 사용한 질문지와 아동놀이에 대한 연구, 교과서에 나타난 성차에 관한 연구 등을 참고로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가설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얻은 성역할태도 득점간의 평균차와 표준편차를 구하고, .001 유의수준에서 paired-t 검증을 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고, 실험집단1, 2, 3과 통제집단간의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에게만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과 부모에게만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 그리고 유아·부모 모두에게 성교육 프로그램을 교육시킨 집단은 .00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통제집단은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유아기의 양성적 성역할태도 변화를 위해서는 유아에게만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도, 유아의 부모에게만 프로그램을 적용해도 프로그램의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가장 큰 프로그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유아와 부모에게 성교육을 함께 병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 결과를 통해서 성역할태도 변화는 사람, 사회, 문화 등 환경의 특정 측면에 대한 지향성과 관계되므로 환경적 변화나 교육적 개입을 통한 변화가 가능한 것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a sex-education program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is related with influential upon their sex role attitudes, and provide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basic materials of helping children shape their desirable sex role attitude. In order to get these goals, the questions run as follows; 1. How does a sex-education program of children change their Androgynous Attitude? 2. How does a sex-education program of their parents change their Androgynous Attitude? 3. How does a sex-education program of children and their Androgynous Attitude? 4. Which program is more influential on children's Androgynous Attitude, roles, sex-education programs of children, parents or children-parents? The experimentalists of this study are 60 children of H kindergarten and P kindergarten in Ulsan, Jung-gu. 5 years old. I had divided them into 4 groups. Three groups ar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 is a controlled one.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had taken a sex-education program of children-parents, the second had one of parents, and the third had one of children. The controlled group had no program. In order to meet the experiment to the experimentalists' educational level, I used new sex-education programs which were reconstructed on the base of the teacher's guide to sex-education(the educational human resource department, 2000) and a sex-education program of children's parents(Jeong Min-Ja, 2000), and verified their validity by 3 specialists of the Early Child Education. I had surveyed children's thoughts for sexual roles by a new method which were reconstructed on the base of Marantz and Mansfield's(1977), and helped by question papers of Kim Jeong-Rae's(1988), Jeon Suk-Hee's(1987) and Jeong Seon-Suk's(1991). I also was helped by their studies on children's plays and the sexual discrimination that could be found in the texts. I used SPSS PC.+100 program for the data processing. I had surveyed each group's attitudes toward sex role before the experiment and after it, and calculated their average deviatio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m. I had studied them by the paired t-inspection(p< .001). I had took the one-way ANOVA in order to compare experimental effects of three experimental groups with one of the controlled. To sum up their results as follows; The sex-education program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had some effect on their attitudes toward sexual roles in only three experimental groups(p< .001). But there was no change of the controlled group's sexual attitude. If children take a sex-education program or their parents take it, they can change children's attitudes toward sexual roles. But in order to have much more effect of it,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should take a sex-education program. We can also see that a child's attitude toward sexual roles is related with his close persons, communities, cultures and environments. Therefore, if he experiences changes of his environment and a new education, he can change his attitude toward sexual roles.

      • 성역할태도가 가사노동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혼인상태의 조절효과 검증

        김종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성역할태도가 가사노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대표성을 확보한 자료를 통해 검증하는 것과,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 참여 간 관계에 성별과 혼인상태가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참여에 대한 연구들은 성역할태도가 현대적일수록 가사노동참여는 적극적이었고, 성별과 혼인상태가 둘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성역할태도가 현대적일수록 가사노동참여가 적극적인 정도는 남성의 경우가 여성의 경우보다 더 현저하였고, 또한 기혼자의 경우가 미혼자의 경우보다 더 현저하였다. 본 논문은 성별과 혼인상태가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참여 간 관계에 영향을 주는 조절요인임을 강조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05년 KGSS(Korean General Social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태도가 현대적일수록 가사노동참여는 적극적이었다. 둘째, 성역할태도가 현대적일수록 가사노동참여가 적극적인 정도는 남성의 경우가 여성의 경우보다 더 현저하였다, 셋째, 성역할태도가 현대적일 수록 가사노동참여가 적극적인 정도는 기혼자의 경우가 미혼자의 경우보다 더 현저하였다.

      •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지체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은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를 파악하고 일-가족 전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역할태도와 일-가족 전이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체계와 직장지지체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결혼적령기에 속하는 20대부터 퇴직 직전인 50대에 해당하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월 20일부터 3월 8일까지 온라인 설문이 실시되었으며 총 203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성역할태도와 일-가족 전이 경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성역할태도가 일-가족 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태도의 일-가족 전이의 하위차원들에 대한 영향은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가족지지와 직장지지 모두 일-가족 전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성역할태도와 일-가족 전이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한 일·가정 양립을 위해 성역할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프로그램은 성역할태도와 일-가족 전이 정도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으므로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시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족과 직장에 대한 실질적인 지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가족의 차원에서는 결혼 전 예비부부들과 그 부모님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과 가족들의 지지를 받는 것이 어려운 맞벌이 부부들에게 외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가사도우미, 가족상담 등의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 직장의 차원에서는 가족친화제도를 이용함으로써 개인이 불이익을 얻지 않도록 직장에서 필수적으로 제도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하며, 직접 현장에 속해 있는 맞벌이 부부들의 환경과 처지를 확인하여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셋째, 일-가족 전이에 대한 후속연구들의 방향이 한쪽에만 치우지는 것이 아닌 폭을 넓혀 갈등과 향상 전체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으며, 일과 가족의 방향성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gender role attitudes of dual-income couple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work-family transition.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amily support system and the workplace support syst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spillover.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dual-income couples in their 20s, who are of marriageable age, and in their 50s, just before retiremen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from January 20 to March 8, 2021, and a total of 203 copie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spillover experience according to gender. Second, it was found that gender role attitud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ork-family spillover. The influence of gender role attitude on the subdimensions of work-family spillov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hird, both family support and work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work-family spillover, and they had a moderating effect on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spillover relationship.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according to changes in gender roles for healthy work-family balance. In particular, the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separately for men and women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in the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degree of work-family spillov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families and workplaces. At the family level, there is a program for prospective couples and their parents before marriage, and guidance on programs such as housekeeping helpers and family counseling so that dual-income couples who find it difficult to get support from their families can get external help. At the workplace level,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use the system in the workplace so that individuals do not suffer any disadvantage by using the family-friendly system.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by checking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of dual-income couples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the field. Third,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scope of follow-up studies on work-family spillover, rather than focus on one side, and focus on conflict and improvement as a whole, and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research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work and family.

      • 女大生의 性役割態度에 따른 自我實現性에 關한 硏究 : 光州市를 中心으로

        김효심 全南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9726

        本 硏究는 女大生의 自我實現性이 性役割態度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 것으로서, 이를 通해서 性役割態度에 關한 바람직한 敎育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本 硏究의 意義를 두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硏究問題는 다음과 같다. 첫째, 女大生이 가진 性役割態度는 일반적인 경향이 어떠하며, 年齡, 出生順位, 宗敎, 社會經濟的 地位(SES) 및 職業指向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女大生이 가진 自我實現性은 일반적인 경향이 어떠하며, 年齡, 出生順位, 宗敎, 社會經濟的 地位(SES) 및 職業指向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세째, 女大生의 自我實現性은 性役割態度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本 硏究에서는 質問紙法을 사용하여 女大生의 性役割態度와 自我實現性을 조사하였다. 性役割態度에 關한 것은 Mason과 Bumpass의 性役割態度 문항을 기초로 하여 14문항으로 구성된 設問紙를 이용하였고, 自我實現性에 關한 것은 金在恩, 李光子가 표준화한 自我實現檢査紙를 이용하였으며, 光州市內 4년제 大學에 재학중인 420명의 女大生을 對象으로 하여 資料를 수집하였다. 그 중 319부를 分析資料로 삼았으며, 統計方法은 빈도, 백분율, 산술평균, t검증, F검증을 적용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女大生의 性役割態度는 일반적으로 近代的인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職業指向에 따라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P<.001), 年齡, 出生順位, 宗敎, 社會經濟的 地位(SES)에 따라서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女大生의 自我實現性은 전체의 72.1%가 正常型으로 나타났으며, 年齡에 따라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5), 自我實現性의 下位尺度別로 볼 때 年齡은 時間性(P<.05), 指向性(P<.05), 自我實現性(SAV) (P<.01), 自己肯定性(P<.05), 自己受容性(P<.01)에서, 社會經濟的 地位(SES)는 實存性(P<.05)에서, 그리고 職業指向은 自我實現性(SAV) (P<.01)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인데 반해, 出生順位와 宗敎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째, 女大生의 自我實現性은 性役割態度에 따라 집단별로 보았을 때, 近代的인 性役割態度를 가진 집단의 自我實現性이 더 높았으며 (P<.001), 自我實現性의 下位尺度中에서도 指向性(P<.001), 自我實現性(SAV) (P<.05), 感受性(P<.05), 自發性(P<.001), 自己肯定性(P<.05), 包容性(P<.001)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結果를 通해 볼 때, 近代的인 性役割態度를 가진 집단이 傳統的인 性役割態度를 가진 집단 보다 自我實現性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性役割의 명백한 구분을 指向하기 보다는 融通性을 指向할수록 自我實現性이 높았다. 따라서 변화하는 現代社會에서는 性에 의거한 명백한 역할구분 보다는, 男女 각자의 多樣한 能力에 따라 女性의 性役割이 변화할 必要가 있으며, 女性의 自我實現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家庭, 學校, 社會에서 바람직한 性投割態度에 관한 敎育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women's Sex-Role Attitudes and Self-Actualization. Furthermore, it is my hope to provide some basic materials for making a desirable program for the Sex-Role education. The measuring tools for this study are Self-Actualization Test, which was designed originally by Shostrom and standardized to be suitable for Korean society by Kim Jae Ean and Lee Gwang Ja and a qestion ire about Sex-Role Attitudes based on Mason and Bumpass'. Sex-Role Attitudes and Self-Actualization are investigated into five contents, age, birth order, religion, SES(Social Economic Status), and expectation of career for the futur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ile, arithmetic mean, and analysis of variances(t and F values) a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st of college women have nontraditional attitudes toward Sex-Role. 2. According to expectation of career for the future, Sex-Role Attitude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3. 72.1% of college women achieve normal degree of Self-Actualization. 4. According to age, Self-Actualization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5). 1) According to age, TC (P <.05), O/I(P <.05), SAV (p <.01), SR (P <.05), SA(P <.01)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2) According to SES, TC (P <.05)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3) According to expectation of career for the future, SAV (P <.05)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5. According to Sex-Role Attitudes, Self-Actualization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and O/I (p <.001, SAV (P <.05), FR (P <.05), S (p 〈.001), SR (P <.05), C (P <.001), too.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 college women with the nontraditional Sex-Role Attitudes have higher degree of Self-Actualization than those with the traditional Sex-Role Attitudes do.

      • 한국과 일본의 가족가치 : 성별 코호트별 차이를 중심으로

        사사노 미사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6

        후기 산업 사회에서는 ‘재생산 위기(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서구에서는 먼저 경험한 가족의 구조적 변화-만혼 및 미혼 증가, 만산화 및 저출산, 이혼의 증가, 무자녀 부부의 증가 등 일련의 가족 형태의 다양화-가 동아시아에서도 1990년대부터 뚜렷하게 관찰되기 시작했다. 서구에서는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가치관 변화를 중요한 설명변수로 여기고 이론화시켜 왔으며 남녀역할 변동에 따른 규범적 변화에 초점을 맞춰 성역할 태도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한 상관관계를 연구해 왔다. 기존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사회의 낮은 출산율에 대해 가족주의적 복지 체제와 젠더 불평등한 역할분업, 유교 가부장적 가족가치 등 공통적 배경으로 지적해 왔다. 그런데 오늘날 한국의 ‘출산율 하락 속도’에 주목하면 한일 간의 차이를 기존 이론이나 분석모형에서 제대로 설명할 수가 없다. 출산율 하락은 일본이 먼저 경험했는데 왜 한국이 빠른 속도로 일본을 추월해 세계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는가? 본 연구는 ‘한국의 출산율 하락 속도는 왜 일본보다 빠른가?’라는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가족가치 변동’에 초점을 맞춰서 접근하고 국제사회인식조사(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2012년 자료를 분석해 양국 간 차이를 비교하는 것으로 한국의 특징을 부각시켰다.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전략을 취했다. 첫째, 가치관이 사회발전에 따라 이론적으로 전통에서 진보를 향해 선형 이행해 간다는 이분법적인 시각을 넘어 가치관의 다원적 양상을 포착하고 비교분석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했다. 가치관은 가치측면에 따라 상이하고 때로는 모순적인 복잡한 가치구조를 가지는 다원적 구성물이기 때문이다. 둘째, 방법론적으로 연구대상을 거시적 시각에서 하나의 집단으로 간주하여 평균값을 사용해 사회전체 동향을 비교하는 방법을 취하지 않고 집단 내부 차이(코호트 간 및 코호트 내부 차이, 성별 차이)를 분석했다. 한국처럼 ‘압축적’ 사회변화를 경험해 온 사회에서는 코호트에 따른 가치관 차이가 큰 것으로 예상되는데 평균값 비교에서는 그러한 편차가 사라져 버리기 때문이다. 오늘날 가족가치에는 어떤 코호트에서 어떠한 차이가 벌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부 집단 차이를 포착할 필요가 있다. 셋째, 방법론적으로 가족변동의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 온 가치 측면을 보다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가족가치를 성역할태도-결혼가치-자녀가치의 세 가지 측면에 대해 비교분석한 후 각각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했다. 기존연구는 성역할태도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해 주로 다루어 왔으며 결혼가치와 자녀가치는 따로 분석되어 왔는데 본 연구는 가족가치의 다양한 측면과 그것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으로 가족가치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했다. 나아가 가족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수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밝혔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역할태도에 있어서는 한국이 일본에 비해 어머니 취업에 대해 부정적이면서 여성에게 경제적 기여 책임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이 코호트별로 변화의 속도가 빠르며 여성을 중심으로 젊을수록 성역할 분업보다 평등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급진적인 가치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남녀평등지향적 가치와 근대가족 지향적인 가치가 결합한 일본형 평등이라고 부를 수 있는 형태의 남녀평등지향이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여 특히 젊은 여성 사이에서 그러한 가치규범이 강화되고 있었다. 이 유형의 특징은 남녀역할분업을 부정하면서 여성에게 가계 기여 책임의식을 부여하지 않고 전업주부를 지지하는 점에 있으며 일본 기혼여성의 취업형태가 대부분 파트타임 노동으로 유지되는 구조적인 배경이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회귀분석결과를 비교해 보면 성역할 분업보다 평등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은 집단은 한국에서 대졸자, 미혼, 1986-1995년 코호트에서 나타났고 성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일본에서도 대졸자, 미혼, 여성, 1986-1995년 코호트에서 성역할 평등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남녀 평등지향적인 가치가 지지되었다고 해도 한국과 일본에서 추구하는 평등의 형태에는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중요한 발견이다. 이 결과는 성역할규볌 변화가 전통에서 평등으로 단선적으로 변해가는 게 아니라 평등의 의미는 그 나라가 처한 갖가지 상황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양국에서 지지되는 성역할 평등 형태는 공사 영역을 포함한 역할분담에서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그것은 양국 사회에 남녀가 배치된 구조와 그 변화가 반영되어 있었고 양국이 서로 비슷하면서도 매우 다른 형태의 성역할평등을 향하고 있음이 부각되었다. 결혼가치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한국이 일본에 비해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공유하고 있으나 젊은 세대에서는 덜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됨이 확인되었다. 한국의 결혼가치는 성역할태도에 비해 급진적인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애정을 느끼는 사람과 함께 생활하기 위해서는 동거가 아닌 결혼을 해야 하며 결혼한 사람이 더 행복하다고 믿는 태도가 일본에 비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본에서는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규범이 오히려 강화되었으며 동시에 결혼에 대해 큰 가치를 두지 않은 집단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같은 세대 내에서 변화의 방향이 양극으로 갈라지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일본에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강화되었다는 기존연구의 논의를 뒷받침하는 결과가 나왔으나 젊은 세대 전체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아니었다. 일본의 결혼가치는 젊은 여성 절반에게는 결혼이 더욱 더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나머지 결혼 자체에 큰 가치를 두지 않는 집단도 증가하고 있었다. 자녀가치에 있어서는 한국이 일본에 비해 자녀 양육으로 초래되는 부담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에 대한 시간적, 경제적, 커리어적인 측면에서 기회나 자유가 제한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국에서는 자녀가치에서도 급진적인 변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코호트별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국에서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자녀가치가 급진적으로 약화된 추세에 있는 것에 비해 일본 젊은 여성 사이에서는 자녀를 더욱 더 가치있는 존재로 여긴다는 대조적인 가치변화의 방향성이 부각되었다. 한국에서는 여성의 경제적 기여책임이 기대되고 본인의 직업적 성취도 추구해야 하는 오늘날 고등교육까지 받은 젊은 여성들에게는 자녀양육의 책임이 여성에게 있는 상황에서 본인 커리어를 희생해서까지 우선시 해야 하는 강도 높은 어머니 노릇은 처음부터 매력적인 선택으로 느껴지지 않았을 것으로 보여진다. 반면 일본에서는 한국의 젊은 여성과 대조적으로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자녀를 더욱 더 가치있는 존재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경향이 젊은 여성 사이에서만 확인된 경향이었으며 남성은 그렇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잠재가치구조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세 가지 가치 측면에 대한 유형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은 성역할태도와 결혼가치, 성역할태도와 자녀가치, 결혼가치와 자녀가치의 모든 유형간 교차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유의한 결과를 보인 유형 간 관계는 대부분 전통적인 가치는 전통적인 가치 (성역할 ‘분업지지’, ‘결혼긍정’, ‘자녀선호’ 유형) 유형와 진보적인 가치는 진보적인 가치(성역할 ‘평등’, 결혼 ‘중도’, 자녀 ‘불필요’ 유형) 유형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가치를 가지는 유형은 진보적인 가치를 가지는 유형과, 진보적인 가치유형은 전통적인 가치유형과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세 가지 유형 간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떤 성역할태도 유형에 속해도 특정한 결혼가치나 자녀가치 유형이 될 가능성이 없으며 마찬가지로 어떤 결혼가치 유형에 속해도 어떤 자녀가치 유형이 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출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는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가치관은 한국에서는 다른 가치 측면과 연동하는데 비해 일본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간 상관관계를 성별 및 코호트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은 코호트가 젊어질수록 성역할태도가 평등지향적인데, 흥미로운 점은 성역할태도가 평등지향적인 젊은 사람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가 그다지 약화되지 않았음에 비해 자녀가치는 급진적으로 하락하고 있었으며 결혼가치와 자녀가치가 같은 속도로 함께 변화해 가는 것이 아님이 밝혀진 점에 있다. 한국의 젊은 여성사이에서 급진적으로 진행되는 가족가치 변화는 성역할태도와 자녀가치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으나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는 다소 약화된 것 뿐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한국에서는 결혼을 한다고 해도 꼭 자녀를 낳을 생각이 있는 것이 아니며 결혼가치보다 자녀에 대한 부담감과 부정적인 생각이 먼저 확산되어 있으므로 한국에서는 앞으로 빠른 속도로 유배우 출산율의 하락이 예상된다. 한국에서는 결혼을 안하고 미혼으로 사는 것보다 결혼은 하고 자녀를 낳지 않는 무자녀 부부로 사는 삶을 보다 더 선호하는 태도가 관찰되기 때문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성역할태도 및 결혼가치와 상관없이 어떤 유형에서도 자녀지향적인 가치를 공유하고 있음과 동시에 결혼에 대한 가치와 함께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가족형성 지향적인 가치가 강화되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일본은 서로 다른 가족가치를 지향해 왔으며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가치의 변화 방향이 갈라진 모습이 확인되었다. 한국은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성역할태도가 급진적으로 평등 지향이 확산되고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에서 벗어나는 경향도 확인되었으나 일본에 비해 결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결혼가치규범을 유지한 채 자녀에 대한 긍정적 가치가 먼저 급하락한 점이 발견되었다. 반면 일본은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을 높이며, 가족형성에 대한 지향적인 태도가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강회되었다는 한국의 젊은 여성과 대조적인 방향으로 가족가치가 변화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한국에서는 자녀가치보다 결혼에 더 가치를 두고 있음에 비해 일본에서는 결혼보다 자녀에 더 가치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가족가치는 시간 흐름에 따라 보수-진보로 단선적인 선형 이행을 그리는 게 아니라 성역할태도 평등의 의미가 각 사회 맥락에 따라 다르듯이 자녀에 대한 부담이나 불필요성의 의미 또한 서로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 한국과 일본의 출산율 하락을 둘러싼 가족변동은 현상으로 나타나는 양상은 비슷하더라도 젊은 세대가 가족을 바라보는 가치관이 서로 전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In post-industrial societies, we can observe a phenomenon deemed the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From around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estern countries have experienced a 'family structural change' through diversification of family identity caused by an increased frequency of late marriages, more individuals remaining single, higher divorce rates, an increased number of childless couples, and lower birth rates. East Asian countries have also begun to experience similar trends since the 1990s. Western-oriented theoretical discussions theorized that changes in family values are an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the change in fertility rates, so their studies focused on finding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 towards gender roles and fertility rates.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and Japan, have always been examined using the same factors, gender inequality, patriarchal family values, and inadequate government support for working mothers (due to a Familialism welfare system). But if we pay attention to the speed of family change, especially the pace of fertility declines in Korea and Japa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not be explained through existing theories or analytical models. Considering that Japan first experienced a decrease in its fertility rate decades before Korea, it is unclear as to why Korea has overtaken Japan so quickly and fallen to the lowest fertility level in the worl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of why fertility rates are falling faster in Korea than in Japan,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family values' and analyzed data from the 2012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ISSP). This study described Korean trends in fertility through a comparative soci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re is a noticeable attitude change regarding family values between Korea and Japan that has not yet been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used three strategies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 speed of fertility declines in Korea regarding changes in family values. First and theoretically, I challenged the dichotomous view that family values undergo a linear transition towards gender equality depending on social development. Family values can be viewed as a multilevel concept, and these different levels may not always be aligned. Second, I do not analyze only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I focused on intragroup differences between and among cohorts and gender. For countries that have experienced rapid social changes and educational advancement like Korea, although the family value deviation among different generations of people is significant, this variation disappeared when comparing overall values. Third, I systematically examined family values that have been analyzed separately in previous research; three aspects of family values include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s, the value of marriage, and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Moreover, I investigated correlations among these three aspects of family values. Furthermore, I investigate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eople belonging to different latent classes through a 3-step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speed of family change' in Korea systematically by approaching changes in family values through the above research strategy.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Korean people have a more negative view of working mothers, even though women in Korea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amily economically. In Korea, support for gender equality was clear among the young cohort born between 1986 and 1995. This is a radical contrast from the older cohort who preferred a more defined ‘division of labor' among genders and were less inclined to support gender equality. Conversely, most Japanese people especially the young cohort support gender equality and modern family values, which deny divisions of labor based on gender, but do not emphasize the need for women to contribute economically to the household. In addition, young women accepted and valued the role women as housewives and were less inclined to suggest that women needed to work outside the home fulltime.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group that was more likely to support ‘gender equality’ than 'division of labor' groups consisted of the 1986-1995 cohort, college graduates and single people. In Japan, it was also found that college graduates, singles, women, and the 1986-1995 cohort were more likely to support ‘gender equality' than 'division of labor'. However, an essential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in Korea and Japan, despite support towards gender equality evident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in both countr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der role equality supported in the two countries in the division of roles, including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This study shows Korea and Japan are heading towards different gender equality. In terms of marriage values, Korea overall has a more positive view of marriage than Japan. Compared to Japan, Korean people have a strong belief that married people are generally happier than unmarried people. In addition, Koreans believe it is important to get married before living with the person you love, in contrast to Japanese people, who believe it is acceptable to live with a romantic partner without getting married. These factors contribute to pro-marriage values being higher in Korea than in Japan. However, the number of Korean people who can be classified as 'pro-marriage' has gradually decreased among the young cohort, especially among young women in Korea. On the other hand, while it was observed that the number of young people who were 'pro-marriage' in Japan is over 50%, especially among young women, the overall number of young women who do not view marriage as a necessity is increasing. Among the young Korean cohort, no significant change was confirmed in marriage values compared to the shift in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s. Nonetheless, among young women in Korea, marriage values are moving in a direction that is somewhat less pro-marriage than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in Japan, more than half of the young women studied think of marriage as a valuable life choice, although an increasing number of Japanese women do view marriage as a necessity. As for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it was found that Koreans in all cohorts feel a more significant burden raising children than people in Japan. Specifically, Koreans think that in terms of time, economic security, and career aspirations, opportunities and freedoms are limited by having children. This view is strongest among the young cohort in Korea and especially young women. In contrast to the notable increase in the number of young Korean women who do not view having children as a necessity, having children is recognized as being important to Japanese young women and thus, the number of young Japanese women indicating a necessity for having children was much higher than Korea and even higher than the older cohorts in Japan. It seems that demands of motherhood, which often require women to give up their careers, is not an attractive choice for young, educated women in Korea. In contrast to young women in Korea, having children is perceived as more important and more valuable among Japanese women. These results support the claim that younger generations in Japan are more conservative in terms of family values by accepting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the necessity of having children. However, in terms of having children, such a trend was confirmed only among young women, not young men. Finally, I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aspects of family val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Korea,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all aspects including: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s and the value of marriage,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s and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and the value of marriage and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Among Korean respondents, correlations with significant results were primarily found in the traditional family value class (‘Gender specific labor division', 'Positive view of marriage', 'Necessity of having children') and the progressive family value class ('Gender equality regarding division of labor,’ ‘Median view of marriage', ‘Children viewed as a non-necessity’) had a positive (+) correlation. Similarly, each aspect of the traditional family value clas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ach aspect of the progressive family value clas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and progressive family value classes in Japan as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s were unlikely to influence the values of marriage value or the values of having children. Through an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gender and cohort, the younger Korean cohort shows more support for gender equality and view having children as unnecessary, However, this cohort still exhibited a positive view of marriage. This revealed that, among young Koreans, the value of marriage and preference for having children was not decreasing at the same rate. A notable change in attitudes supporting increased gender equality and the belief that having children is not a necessity was evident among young Korean women, while a positive view of marriage slightly decreased. From the above results, getting married does not equate to having child in Korea. Since the value of having children is decreasing at a faster rate than weakening beliefs in the necessity of marriage, it is expected that the fertility rate among married couples in Korea will decrease rapidly. In contrast, in Japan, regardless of attitudes towards gender equality and the necessity of marriage, a preference for having children is shared by all generations and is especially strong among young Japanese women. These research findings confirmed that Korea and Japan are exhibiting different attitudes towards family values. Among young generations, especially among young women in Korea, support for gender equality regarding division of labor is increasing rapidly, while the desire for having children is falling sharply, as positive attitudes towards marriage are decreasing gradually compared to Japan. In contrast, Japanese young women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having children and marriage compared to Korea. Thus, while Koreans value marriage more than having children, Japanese women value both marriage and having children, but compared to Korea, Japanese value having children more than marriage. Still, the fertility rate is decreasing in Japan due to the inability of young Japanese women to find suitable marriage partners in the current economic environment. It appears that although the low fertility phenomena we can observe today is similar in Korea and Japan, each country has different reasons for this phenomenon in terms of family values.

      • 여성근로자의 성역할태도가 육아휴직이용에 미치는 영향

        안수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6

        육아휴직제도는 대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과 영세기업에도 법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음에도, 제도이용률이 낮고 기업규모별로 이용 격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도 자체를 쓸 수 없는 환경에 있는 근로자의 제도 사각지대 문제도 중요하지만, 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개인의 어떤 태도가 제도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게 하는지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한국복지패널(KoWePs)’2006~2016 자료를 활용하여 여성근로자의 전통적이거나 평등적인 성역할태도에 따라 육아휴직제도이용여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기업규모와 성역할태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인별 육아휴직이용여부 분석에서는 소득이나 학력수준이 높거나 평등적 성역할태도를 가진 사람이 육아휴직제도를 이용하는 비율이 낮았다. 이는 조직 내 경쟁적 위치에 있는 여성근로자가 제도 이용 이후 승진 상의 불리함, 남성과의 조직 내 경쟁에서의 뒤처짐 등을 이유로 제도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육아휴직 이용의 영향요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용직보다 임시일용직이 육아휴직제도를 이용할 가능성이 낮았다. 본인소득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을수록 육아휴직제도를 이용할 가능성이 낮았다. 고용지위가 불안정한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계약기간에 육아휴직을 이용했을 때 계약연장의 불이익 등의 문제로 인해 제도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인소득비중의 경우 본인의 소득이 가구 생계를 책임지는 상황인 사람이 육아휴직급여가 소득을 충분히 대체하지 못해 제도이용을 포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성역할태도와 기업규모는 개인 및 가족요인과 경제활동요인만을 통제했을 때는 육아휴직제도이용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그러나 성역할태도와 기업규모의 상호작용항을 분석한 결과,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세기업에서는 성역할태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소기업과 대기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을 뿐 아니라 성역할태도에 따라 육아휴직제도 이용 가능성이 대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대기업에 속한 여성근로자는 전통적 집단보다 평등적 집단이 육아휴직제도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중소기업에 속한 여성근로자는 평등적 집단이 육아휴직제도를 이용할 가능성이 더 낮았다. 육아휴직제도는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이용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조직의 문화나 역량에 의해 이용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 제도를 모든 사람이 이용하지는 않는 상황에서, 특정 기업 환경에 따라서도 이용여부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육아휴직제도는 가정의 책임을 여성에게만 지우지 않고 남녀근로자 모두의 지속적 경제활동과 일가정양립을 돕는 제도이기 때문에 성평등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제도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비우호적 기업환경은 근로자가 성평등적 태도를 가지고 있더라도 그 태도를 실현할 수 없게 만든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같은 기업규모 수준을 가지고 있더라도 성역할태도에 따라 육아휴직제도를 이용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면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제도의 실효성을 제약하는 제도에 대한 비우호적 조직문화를 정책적 차원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