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만찬 이해와 한국교회의 예배갱신

        이정주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만찬은 기독교 예배의 절정으로써 예수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셨다. 그러므로 사도들은 예배하러 모였을 때마다 이 예식을 거행하고 주님의 죽으심과 부활을 회상하였다. 이들에게 있어서 성만찬 의식은 집회때마다 행하여져 예수 그리스도의 교훈과 생애와 죽음과 부활을 증거하는 종합적인 의미로 표현하였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10장 16절에서 잔은 그리스도의 피에 참예함이라고 했다. 그 의미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에 참여하는 행위이며 영적으로 교제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은 이 영적 친교의 식사에 참여하는 자에게 그리스도의 평화와 그 영원한 생명을 주신다. "너희가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는 말씀의 의미를 생각하면서 무엇보다도 십자가의 수난을 당하시고 부활하신 주님의 희생을 회상하고 그 부활의 승리와 귀하신 교훈을 되새기는 성례전으로서의 성만찬을 강조하는 것이다. 회상이란 원래 히브리 민족의 사상에서 단순한 기념적 의미만을 갖지 않고 과거에 있었던 사건의 결과를 현재 속으로 이끌어 오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오늘의 단순한 기념적 행위로서의 성만찬 거행에 진지하고 섬세한 신학적 의미를 부여해야 하겠다. 이 성례전을 통하여 주님의 죽으심을 주님이 오실 때까지 전해야 하는 사명을 부여 받았다(고전11:26). 주님께서 성만찬 제정시에 하나의 빵을 쪼개서 나누어 주시면서 하신 "이것은 너희를 위하여 주는 내 몸이니라"는 말씀과 잔을 부어 주시면서 하신 "이것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는 말씀은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죄를 대속하시기 위하여 단번에 드리는 희생제물이 되셨음을 뜻하는 것이다. 우린 그분의 희생에 대해 감사하고 기념하면서 하나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교회와 교회, 나라와 나라들간의 화합과 친교와 섬김이 일어나도록 주님의 만찬에 참여하여야 한다. 그렇기에 성만찬은 하나의 공동체를 이상으로 하는 나눔을 통한 동일성으로서의 무한한 확대와 그리스도의 몸으로 일치되는 하나의 모체성을 가진다. 사도행전 2장에 나타난 초대교회 공동체의 발생과 계속적인 성만찬의 확대는 바로 이런 운동성의 시발점이 되는 것이며, 땅끝을 향하여 확대되어 가는 그리스도의 몸이 구체적으로 사람들의 삶에 진지하게 받아 들여지는 표징들을 보여주고 있다. 예배는 말씀 예배와 성만찬 예배의 올바른 균형을 이룰 때 비로서 완전해 지며 이런 의미에서 한국개신교 공예배는 무엇보다도 설교와 성만찬의 균형이 회복되어져야 하겠다. 그러기 위해선 먼저 성만찬예전에 대한 신학적 사고가 목사는 물론 성도들까지 인식하고 있어야한다. 올바른 예전에 대한 신학적 인식의 확립을 통해 그저 일회적이고 형식적인 이벤트성의 성만찬을 탈피하여 성만찬을 통해 우리에게 임재하시는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에 기쁨과 감격을 만끽할 수 있는 도구로서 열린 지성이 필요하다. 또한 빈도 높은 성만찬시행을 통해 성도가 적극참여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고 시간과 장소에 대한 문제들을 차츰 해결해 나감으로서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은혜의 방편들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주의 할 것은 예배의 갱신은 현대화가 아니고 오히려 성경적, 역사적, 전통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여기에 전통 자체도 성경적 원리로 항상 재조명되어야 하며 기독교 문화와 고귀한 유산을 찾아서 그것을 밑거름으로 하여 균형과 조화와 통일을 이룬 예배로 발전되어져 나가야 한다.

      • 성만찬에 대한 연구

        유성근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말씀의 선포와 주의 만찬이 매 주일 드리는 기독교 예배의 전통이었다는 사실이 성서적인 증언과 교회전통을 통해서 분명하게 드러났다. 교회 창립 이후, 이 전통이 4세기 말까지 큰 변화 없이 계속 되었음을 이 시대의 교부들이 증언하고 있다. 그레고리 대제 때만 해도 신자들의 기도와 설교가 예배 의식에 남아있었으나, 중세 이후 예배는 화체설의 영향으로 점차 미신화 되었고, 성도의 진정한 참여가 없는 연출미사로 전락되면서 말씀 선포, 성경봉독, 신자들의 기도와 같은 듣는 예배의 성격이 사라지고 말았다. 이와 같은 잘못된 중세 교회의 예배 전통을 사도들의 예배전통으로 환원하려 했던 종교개혁가들은 예배에서 미신적인 요소들을 삭제시키는 한편, 화체설, 봉헌설, 병존설에 반대하였다. 그 대신에 공존설, 영적 임재설, 기념설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개혁가들은 사도들의 전통인 설교와 성만찬의 이중구조의 예배를 완전히 환원시키지 못하고 중세교회의 보는 예배를 말씀중심의 예배로 전락시키고 말았다. 성찬을 받는 횟수를 일 년에 네 차례로 고정시켜버린 츠빙글리의 예배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잘못된 예배 전통으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예배 전통이 결코 본래의 예배 전통은 아니었다. 사도들과 초대교회의 예배 전통은 분명히 말씀과 성만찬이 늘 함께 있어 왔다. 그러므로 말씀이 없는 예배나 성만찬이 빠진 예배는 온전치 못한 예배이다. 예배는 말씀이 육신이 되는 체험이 있을 때에 산 제사가 된다. 설교만으로는 하나님의 삶의 방식인 성육화의 길을 체험할 수 없다. 설교는 영적이고 성만찬은 육적이다. 설교와 성만찬의 관계는 영적인 것과 육적인 것의 조화, 곧 말씀이 육신이 되는 신비의 조화이다. 설교와 성만찬의 관계는 예언자를 통해서 선포된 하나님의 약속이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을 통해서 성취되는 관계, 곧 약속과 성취의 관계이다. 설교가 말로써 이루어진다면, 성만찬은 행동으로써 이루어진다. 설교가 청각을 통해서 인간의 심성에 호소한다면, 성만찬은 미각과 시각과 후각과 촉각을 통해서 인간의 심성에 호소한다. 설교가 세상을 준비시켜 하나님의 백성이 되게 한다면, 성만찬은 교회를 준비시켜 세상에 봉사하게 한다. 그러므로, 설교나 성만찬이 빠진 예배는 미완성의 예배고 불완전한 예배이다. 일찍이 감리교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는 성만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매주일 말씀과 성만찬이 조화된 예배 형식을 취하였다. 웨슬리는 성만찬에의 참여를 권하는 것뿐 아니라 더 나아가서 성만찬을 가능한 자주 받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고무적인 것은 1982년 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모였던 세계교회 협의회의 ‘신앙과 직제위원회’총회에서 세례, 성만찬, 사역이라는 주제의 ‘리마문서를 채택한 것이다. 그 가운데 있는 성만찬의 내용을 예식서로 표현한 ’리마예식서‘는 성만찬을 통한 예배로 세계교회의 일치를 추구하고 있는데, 이는 기독교 역사상 큰 의의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제 예배가 바르게 드려지려면 설교와 성만찬이 함께 행해져야만 함을 전제로 할 때 오늘의 개신교회는 매주일의 공동예배에 있어서 성만찬을 회복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성만찬을 통한 예배갱신에 관한 연구

        이정호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만찬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것으로 사도들은 예배하러 모였을 때마다 이 예식을 거행하고 주님의 죽음과 부활을 회상하였다. 이들에게 있어서 성만찬 의식은 집회때마다 행하여져 그리스도의 교훈과 생애와 죽음과 부활을 증거하는 종합적인 의미로 표현하였다. 즉 그 때 성만찬 의식을 빼놓으면 그들의 예배는 무의미하였다 왜냐하면 성만찬은 그리스도의 속죄와 구원에 대한 새 언약이요 보증이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초대교회에서는 성만찬 의식을 예배의 한 요소로써 설교나 찬송을 뺄 수 없었던 것과 같이 받아들여져 말씀을 중심한 성만찬 의식을 거행하여 예배를 종결지었다. 이렇게 된 예배의 전통이 한 때 중세기에 와서 성만찬이 예배의 중심부 위치에 놓여져 굴절된 현상이 있었으나 종교개혁자들에 의해서, 예배에 있어 말씀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설교를 중요시했고 동시에 초대의 사도시대의 전통을 회복하였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개혁자들의 의도와는 다르게 후에는 계절마다 한번씩 거행되었고 이것이 오늘에 와서는 일년에 한 두번으로 줄어들어 성만찬 의식이 상실되었다. 그리하여 개신교에서는 성만찬의 의의와 중요성이 사라져 가고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과 은혜의 상징적인 체험을 알지 못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의 한국교회는 잃어버리고 있는 성만찬의 의미를 다시 찾아 초대교회가 보유하고 있었던 아름다운 균형과 조화를 이룬 예배로 돌아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목회자들의 충분한 신학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성만찬 준비와 그 순서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며 교회의 규모나 성도들의 자세 상황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 또한 성만찬에 대한 신자들의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철저하고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없이 시행되는 성만찬이 얼마나 효과적이고 의미를 줄 수 있는지는 회의적이다. 그러므로 신자들에 대한 철저한 훈련과 의식을 고취시켜 성만찬을 통해 보여지는 그리스도의 구속의 은총을 느끼게 해야 할 것이다. 성만찬은 믿는 이들이 함께 하는 축제의 성격이 있다. 초대교회에서 행하여졌던 성만찬을 보면 그 성만찬을 통해서 옛 아람어의 호소 마라나타(Maranatha), 곧 “주여, 어서 오시옵소서”라고 기도하면서 (고전 16:22), 주님의 재립과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대망했음을 기억하게 된다. 우리는 그들의 생활에 있어서 성만찬이 얼마나 큰 활기를 북돋우어 주었는가를 면밀히 통찰할 필요가 있다. 성만찬 안에서 그들은 성부께 감사하고 그리스도를 회상하고 기억하는 일을 계속했다. 그들은 만민을 구원하시는 주님께 복종했고, 주님의 성역을 연장하기 위하여 성령의 역사와 은사를 힘써 구했다. 그들은 성만찬 안에서 주님과 화해하고 하나님과 언약하는 일을 계속했고 또한 갱신하였다. 거기에서 그들은 성도의 교제를 두텁게 하였고, 희생과 헌신의 다짐을 계속했다. 그들은 성만찬을 받으면서 자신을 주시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배우고 부활의 기쁨을 함께 나누었다. 그런데, 한국교회는 단지 일년에 몇차례 성만찬을 실시하면서도 그 의미를 되새기지 못하고 있다.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갱신이 이루어져야 참다운 예배를 드릴 수 있다. 그런데 성만찬 예배를 주저하는 데는 신화적인 이해 부족과 함께 예배시간의 문제도 포함되어진다. 따라서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정규 성만찬 예배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간략한 새로운 성만찬 모형도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민정서에 부합하는 토착화에 대한 관심도 가져야 한다. 성물이나 토착적 음악예배도 관심을 가져야 할것이다. 설교가 위축되지 않으면서 성만찬이 축제적인 의미로서 행해질 수 있어야 한다. 이 예배가 바르게 원형을 회복하여 균형있게 드려져야만 예배를 통해서 하나님의 만남을 경험하고 참다운 결단을 행하여 이 역사속에서 빛으로 참다운 그리스도의 증인이 될 것이다, 말씀과 성만찬의 신화적인 균형이야말로 기독교 예배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될 때 성도들은 하나님을 섬기는 구체적인 방법과 기쁨을 날마다 경험하게 될 것이며 거기에서 받은 말씀으로 새롭게 성장하며 성숙하게 될 것이다.

      • 웨슬리의 성만찬 연구

        최준수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만찬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제정하신 성례전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카톨릭의 많은 성례전들을 수용하지 않는 개신교에서도 세례와 성만찬만은 주님의 명령으로서 엄수하는 전통을 갖고 있다. 성만찬은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서 예수의 죽으심을 선포하는 것이다. 이 전통의 기원은 예수께서 십자가의 수난을 당하시기 전날 밤에 그의 제자들을 모으시고 유월절을 지켰던 저녁 식탁, 최후의 만찬(마태복음 26:26-29, 마가복음 14:22-25, 누가복음 22:15-20, 고린도전서 11:23,26)에서 기원 되었다. 실제로 이것은 예수께서 돌아가시기 전날 밤에 자신의 몸이 찢겨지고 피를 흘려야 하는 대속의 죽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시며 주신 교훈에서 유래된 것이다.예수께서 유월절을 언급하면서 행하신 저녁식탁에서 떡과 포도주를 돌리시면서 “나의 몸, 나의 피”라고 말씀하심으로써 자신을 유월절 어린 양과 관련된 희생 제물로 표현하셨다. 이것은 십자가상의 죽음이 온 인류의 죄를 대속하고 구원에 이르는 행위임을 나타내신 것이었다.예수의 뜻을 따라 제자들은 한자리에 모여 빵을 나누는 예식을 거행하였고, 성만찬은 처음에는 배를 채우기 위한 단순한 식사였지만 성례전 의식으로 발전 했다. 예수는 제자들과 만찬을 나누면서 제자들에게 이런 만찬을 행하여 자신을 기념하라고 명하셨다. 전통적으로 개신교는 유월절 만찬을 성만찬의 근원으로 받아들였지만, 근래에 와서 어떤 학자는 키디쉬(kiddush)라고 불리는 유대인들의 랍비와 제자들이 전통적으로 가졌던 식탁에 관한 것을 성만찬의 근원에 두는 견해가 있다. 이 키디쉬는 일반적으로 유대인들의 선비인 랍비와 그의 제자들이 안식일이나 특별한 명절을 종교적 차원에서 준비하기 위하여 식탁을 함께 하면서 모였던 것이다. 이때 이들은 간단한 식사로써 빵을 먹었으며 포도주에 물을 섞어서 서로 돌려가면서 마셨고 그 후에 기도를 하였다. 이러한 모임은 주로 메시아를 기다리는 무리들에게 경건한 생활의 지속을 위하여 행하여진 것이었다.유월절 만찬과 키디쉬의 식사비교는 다음과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위의 표에서 보듯이 최후의 만찬이 형식에 있어서 키디쉬에 가까운 것이라 할지라도 내용에 있어서는 유월절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최후의 만찬의 역사적 기원을 한 견해로 확정시켜 주장하는 것은 무리이다. 중요한 것은 주님이 어떤 형태의 식탁을 이용했던지간에 분명히 성례전으로서 성만찬을 제정하셨다는 사실이며 그 식탁 위에서 제자들과 함께 단순한 식사만을 나눈 것이 아니었고, 그것을 하나의 성례로 제정된 최후의 만찬이었다는 사실이다. 쿨만(P. Cullmann)에 의하면, 원시 교회에는 하나님을 예배하는데 말씀과 더불어 두 가지 의식인 공동 식사와 세례가 있었다. 공동 식사에는 떡과 포도주가 준비되었고 떡과 포도주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받게 하고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세워진 계약을 확인케 하고 영원한 삶을 얻게 하였다. 고대 교회에서는 그리스도교의 내용을 신비로움과 결합시킨 행동, 표징, 형식을 성례(sacrament)라고 불렀다.

      • 그리스도교 일치를 위한 성만찬(Eucharist)의 공동이해 : 리마문서를 중심으로

        박종훈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history of the Church's dissolution suffer the difficulty at proclamation mission of whole Christian. However the ecumenical movement which begins in 19th century have been processed so that it is more active as to approach 20th century towards 21st century. The Lima Document(BEM), which the office organization committee presented in 1982 in Peru Lima with the faith, is a document hitherto discussed and inquired onto theology differences of each churches as have been researched. About the two kind problem, the transubstantiation and sacrificial rite, which appeared in Lima document can be re-access again through a development of the analytics and sense of faith. If looking into this such two side at forth, Holy Communion anymore a passive transitions of free grace for the given salvation but is granted grace through a personal friendship of Christ himself. Jesus personally in relation to his disciple exemplified the crucifixion at the last supper, and the Church corresponds to his order to recollect, and through the Holy Spirit and the Sacraments within Christ's personal relation memorializes this and accomplishes it. The Bread and wine through Holy Spirit in his personal relation changes with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This substance transformation of the bread and wine through words of Christ with an ability inside of Holy Spirit retrieves ultimate true natural norms which bears a eschatological meaning. Therefore the bread and wine in here change in an ontological dimension and as this is in a realistic sense. The existential interpretation about the Eucharist as such casts off from the position which is the existential and symbolistic, as then, this could be evaluated as a common understanding which can go out to the vivid recognition of Holy Communion. The concept of anamnesis needs to pay attention again about the problem of the sacrificial rite. An anamnesis concept is the kind of starting point of an analytics course. This is in fact because the human understands and also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past of affairs in his/her own existential situation and applies it. The solitary sacrifice of Jesus Christ invokes true meaning of our own existential situation, thus we confess and become the thing to live the meaning at same time by the decision of the faith. Therefore the affair of the crucifixion is historically cannot be repeated in such meaning, but are reappeared in an accomplishment of the sacraments. The church to hold therefore the Eucharist becomes the thing to participate in the sacrifice of Christ. The Eucharist is consequently the rite to fulfill the sacraments. And it is the involvement to be the recollection as a accomplishment of sacraments,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cross of Christ. A theology work of the Eucharist in the text of Lima document,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a common understanding of Holy Communion, stays at the point to be a mature theological consideration about the ecumenism. While sects interval, the approach through the method of a alternative or multiple conversation which is used for a theological agreement was risen to new methodology to advance toward a theological correspondence. However what is important for consideration must be to understand each other through the conversation among theological differences that each sects have expressed about their traditions. Therefore mutual acknowledgement about theological differences as in result is most important issue to advance towards the ecumenism. However, various such differences can not be understood easily at an one particular moment as been self evident. The faith and office organization committee recognized this through the response of churches. Moreover this various differences must make efforts to be understood in a new theological and approachable method. The sacrifice rite with the transubstantiation, which is part of the censure issue of the Eucharist, must not be explained as the localization in the understanding plane of the past in explaining its vocabularies. We must watch the meaning of this two vocabulary to newer understanding technique of modern stage. We can form new understanding plane about the Eucharist in the advancement through a existential reason and sense of faith in the form of analytical method. Through this reasonal approach as to avoid what protestants criticized in the past of the eucharist as superstitious and incantatory practice could be solved, and also simultaneously which the Catholic criticizes to be the symbolic can become the key to solve. This approach of understanding are one attempt for the synergic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 and also will become the starting point toward the religious harmony. The effort therefore of such harmony is to become important subject of the tomorrows church to conduct much more research and various theological trial is in fact exact. The history of the Church's dissolution suffer the difficulty at proclamation mission of whole Christian. However the ecumenical movement which begins in 19th century have been processed so that it is more active as to approach 10th century towards 21st century. The Lima Document(BEM), which the office organization committee presented in 1982 in Peru Lima with the faith, is a document hitherto discussed and inquired onto theology differences of each churches as have been researched. About the two kind problem, the transubstantiation and sacrificial rite, which appeared in Lima document can be re-access again through a development of the analytics and sense of faith. If looking into this such two side at forth, Holy Communion anymore a passive transitions of free grace for the given salvation but is granted grace through a personal friendship of Christ himself. Jesus personally in relation to his disciple exemplified the crucifixion at the last supper, and the Church corresponds to his order to recollect, and through the Holy Spirit and the Sacraments within Christ's personal relation memorializes this and accomplishes it. The Bread and wine through Holy Spirit in his personal relation changes with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This substance transformation of the bread and wine through words of Christ with an ability inside of Holy Spirit retrieves ultimate true natural norms which bears a eschatological meaning. Therefore the bread and wine in here change in an ontological dimension and as this is in a realistic sense. The existential interpretation about the Eucharist as such casts off from the position which is the existential and symbolistic, as then, this could be evaluated as a common understanding which can go out to the vivid recognition of Holy Communion. The concept of anamnesis needs to pay attention again about the problem of the sacrificial rite. An anamnesis concept is the kind of starting point of an analytics course. This is in fact because the human understands and also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past of affairs in his/her own existential situation and applies it. The solitary sacrifice of Jesus Christ invokes true meaning of our own existential situation, thus we confess and become the thing to live the meaning at same time by the decision of the faith. Therefore the affair of the crucifixion is historically cannot be repeated in such meaning, but are reappeared in an accomplishment of the sacraments. The church to hold therefore the Eucharist becomes the thing to participate in the sacrifice of Christ. The Eucharist is consequently the rite to fulfill the sacraments. And it is the involvement to be the recollection as a accomplishment of sacraments,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cross of Christ. A theology work of the Eucharist in the text of Lima document,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a common understanding of Holy Communion, stays at the point to be a mature theological consideration about the ecumenism. While sects interval, the approach through the method of a alternative or multiple conversation which is used for a theological agreement was risen to new methodology to advance toward a theological correspondence. However what is important for consideration must be to understand each other through the conversation among theological differences that each sects have expressed about their traditions. Therefore mutual acknowledgement about theological differences as in result is most important issue to advance towards the ecumenism. However, various such differences can not be understood easily at an one particular moment as been self evident. The faith and office organization committee recognized this through the response of churches. Moreover this various differences must make efforts to be understood in a new theological and approachable method. The sacrifice rite with the transubstantiation, which is part of the censure issue of the Eucharist, must not be explained as the localization in the understanding plane of the past in explaining its vocabularies. We must watch the meaning of this two vocabulary to newer understanding technique of modern stage. We can form new understanding plane about the Eucharist in the advancement through a existential reason and sense of faith in the form of analytical method. Through this reasonal approach as to avoid what protestants criticized in the past of the eucharist as superstitious and incantatory practice could be solved, and also simultaneously which the Catholic criticizes to be the symbolic can become the key to solve. This approach of understanding are one attempt for the synergic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 and also will become the starting point toward the religious harmony. The effort therefore of such harmony is to become important subject of the tomorrows church to conduct much more research and various theological trial is in fact exact.

      • 성만찬 예식에 대한 연구

        장진환 한신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 성만찬의 기원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성만찬 예식에 관한 역사와 그 예식 안에 포함되어 있는 신학적 이해들, 그리고 성만찬 예식을 통해 기대해 볼 수 있는 효과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제 결론을 통해 성만찬 예식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성만찬은 예수께서 우리에게 주신 크신 선물이고, 또한 막중한 의무이다. 왜냐하면 먼저 예수께서 자신의 죽음으로 인해 세상의 구원을 이루시는 희생제물이 되셨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님의 사랑은 어떤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귀중한 선물인 것이다. 그렇지만 성만찬이 선물로 그쳐서는 안 된다. 예수께서는 "이 떡은 내 몸이니 받아 먹어라, 이 잔은 너희를 위해 흘리는 나의 피이니 받아 마셔라"라고 말씀하신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바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자신의 몸과 피를 모두 내어 놓으셨듯이 우리도 마찬가지로 주님의 말씀을 받고 나 자신과 세상을 품을 수 있는 존재가 되라고 하신 것이다. 즉, 주님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직접 본보기가 되어 주시고 그것대로 행하라는 명령을 내리신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이것은 주님께서 베푸신 생명의 잔치가 오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장차 도래하실 주님의 천국의 잔치로서 받아야 할 것이다. 성만찬은 초대교회부터 예배의 핵심적인 부분이었다. 말씀으로 시작된 예전은 다락방 예배라 불리는 성만찬에서 그 절정을 이루게 되었다. 이 잔치에는 세례를 받고서 그리스도의 사람으로 인침을 받은 사람은 누구나 이 성만찬의 식탁에 의무적이면서도 특권적인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 이 성만찬을 통해 그리스도의 공동체인 교회는 지금까지 들었던 하나님의 말씀을 눈으로 보고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다시 한 번 경험하게 되었다. 이런 성만찬은 초대 교회에서 매주 드려졌었는데, 애찬이라고 알려진 공동식사를 나누었고, 애찬이 끝날 무렵 주님의 만찬이 이어졌다. 그리고 특별한 은사 체험으로 예언과 방언의 모임이 이루어 졌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 애찬과 은사 체험이라는 요소는 2세기 중반쯤에 기독교 예배의 주된 흐름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이 중에서 애찬에 중요성을 두고 싶다. 애찬을 할 때면 그들은 그리스도를 회상했고, 또한 감사했으며, 벽을 나누었다. 그리고 예수께서 식탁의 주인이셨다는 것을 잊지 않았다. 이런 애찬을 오늘날 교회의 모습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흔히 예배가 마친 후 이어지는 공동식사가 그것이다. 물론 초대교회처럼 떡과 포도주를 나누는 것이 아니지만, 함께 식사를 하며 준비된 손길에 감사함으로 함께 둘러 앉아 그날의 말씀을 되새기며 성토의 교제가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교회에서 행해지고 있는 성만찬은 개신교의 전통을 이어 받아 말씀의 예전에 중점을 두어왔다. 이로 인해 온전한 예배의 모습에서 벗어나 있지만 이런 상황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이 있다. 참다운 예배의 모습은 바로 말씀의 예전과 성만찬의 예전이 함께 이루어 진 것이라는 것을 앞에서 다루었다. 즉 말씀과 행위의 균형 잡힌 예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통을 항상 염두에 두고 주일 예배시 설교와 성만찬이 동시에 선포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이를 실행해야 하며 개인주의를 벗어나는 공동체성을 강조하고, 예배의식과 예배신학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성만찬 집례의 횟수에 있어서도 개혁교회의 전통은 연 4-5회를 실시해오고 있지만, 적어도 한 달에 한번 이상은 지켜져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예배 갱신을 무리하게 시행하는 것은 성도들로 하여금 거부감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성만찬 갱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도급 평신도들의 예배 갱신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성만찬 도구의 사용에 있어서는 각각의 지역과 시대, 전통에 따라 바뀌어 졌다. 이렇게 성만찬 도구의 채택과정은 문화적인 흐름과 신학 사조의 영향이 크게 작용이 되어왔다. 그러므로 기존의 성만찬의 집기들이 제공하는 상징성은 예배 안의 연설로서의 말씀의 영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문화 안에 들어가서는 자칫 외래적 상징으로서 역기능을 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한국은 뛰어난 예술성을 지닌 도예의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그리스도교 정통의 성만찬 집기를 한국적인 정서에 맞게 신학적 의미를 부여하여 한국적 성만찬 집기의 활용 또한 기대해 볼만할 것이다. 또한 성만찬을 통해 온전한 예배의 회복과 그 예식 속에서 베풀어지는 살아있는 말씀의 능력을 온 몸과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자주 베풀어지는 사랑의 만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시는 은혜를 체험하고, 세상에 나가 전하는 사도적인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현대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성만찬은 이제 나만을 위함이 아닌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우주 안에 있는 생명과의 상호 연대성을 지닌 유기적인 관계를 회복해 나가도록 도와주는 하나의 살아있는 말씀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성만찬은 과거의 선행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 바르게 사는 것이 무어냐 하는 것에 대한 모델인 것이다. 필자는 지금까지의 성만찬에 관한 연구를 헨리 나우웬의 시를 나누고 마치고자 한다. : "먹고 마시게, 내 몸이고 내 피이니‥‥ 그대들을 위한 나를 먹고 마시게나. 내가 그대들을 위해 장만한 것이니 더 먹게. 내가 거기 있는 건 그대가 즐기라는 것, 힘을 얻으라는 것, 내가 그대들을 얼마나 사랑하는 지 느끼라는 것이오."

      • 성만찬의 선교신학적 의의에 대한 연구

        진영채 장로회신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만찬은 교회의 표지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요즘의 한국교회에서 성만찬은 매우 낯설다. 매주 많은 교회에서 말씀 선포는 이루어지지만, 매주 성찬을 하는 교회는 드물기 때문이다. 효율과 편의를 외치고 있는 현대 사회에 발맞추어 성만찬마저 유명무실한 것으로 치부되고 있다. 최근 교회 일치 운동의 일환으로 ‘예배갱신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교회가 갖고 있는 예전의 불균형을 세계의 많은 교회들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성만찬에 대한 성경적이고, 역사적이며, 하나님의 선교적 관점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나의, 보편적이고, 거룩한, 사도적 교회’의 지표가 바로 성만찬이기 때문이다. 초대교회로부터 시작된 성만찬은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 지금껏 끊이지 않고, 세계의 교회로 뻗어나가는 것과 동시에 교회를 하나로 묶어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 교회를 포함한 세계의 모든 교회는 선교에 대한 재고(再考)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동안의 제국주의적이고, 문화사대주의적이고, 식민지주의적인 선교 방법의 위험성에 대해 절감하고, 선교의 주체이신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해야 한다. 왜냐하면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에 응답하는 객체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성만찬의 선교신학적 의의를 찾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가 성만찬으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먼저는 선교와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성경적, 역사적, 현대적 이해로 나누어 다룬다. 이후, 성만찬이 갖고 있는 선교적 역할에 대해 본격적으로 나누고자 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회개와 성령을 통한 공동체의 연합, 그리고 하나님의 창조적 속성을 닮아 새로운 공동체로 발돋움하게 하는 성만찬에 대해 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선교 안에서의 성만찬에 위치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오늘날 한국교회 안에 필요한 회개와 연합, 그리고 새로운 교회 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한 대안으로 성만찬을 제시하며 논문을 마무리할 것이다. The Eucharist is one of the Church's signs, but it is unfamiliar with in the Korean Church’s context. Many Churches preach a proclamation of the Word every week though, there are just few churches that have Eucharist. In line with modern society, which is shouting for efficiency and convenience, it is regarded as an unnecessary to have Eucharist. As part of the campaign to Ecumenical movement recently, the movement of the renewal of worship is spreading. It was because many churches around the world have experienced the imbalance of liturgy. There is a tendency to have a lively studies about Eucharist of biblical, historical, and view of the Mission of God. Because the signs of “One, Catholic, Holy, and Apostolic church” are Eucharist. The Eucharist, which was initiated by the Early Church, has never ceased to exist in the mission of God from now on. It has been tied to the “One Church” and spreaded out to the churches around the world. Every Church in the world, including the Korean Church, needs to reconsider mission. The Church should realize keenly the riskiness of imperialism, cultural toadyism, colonial missions, and take part in the Mission of God, the subject of Mission. This is because the church is an object that responds to the mission of the Trinity God. This thesis focuses on finding the missionary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Eucharist. This is because the mission of the Trinity God is embodied in the Eucharist. First,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mission and the Eucharist is divided into biblical, historical, and modern understandings. After that, we will share the missional role of the Eucharist in earnest. We will discuss repentance through Jesus Christ, the unity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Holy Spirit, and the Eucharist, which is shaped like a creative community of God, to become a new community. Finally, we will focus on the position of the Eucharist in the mission of God, and suggest the Eucharist as an alternative to the need for repentance, unity, and new church community in the Korean church’s context today.

      • 성만찬 연구를 통한 개신교 예배갱신을 위한 연구

        전재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Words courtesy and the Lord's Supper courtesy is a important subject to treat in worship. These subjects have accomplished harmony and balance in histo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search the specific gravity of the Lord's Supper in a worship renovation and to suggest a device for worship renovation in Protestantism. Worship renovation of Protestantism has been insisted constantly as one of the movements of church renovation. But it has been lacking the study of how to do actual adjusting for worship time. The point of this paper is that there is no better material in worship renovation than the Lord's Supper. Because the Lord's Supper has a specific gravity, therefore the Lord's Supper is essential to the worship renovation. Today, the problem of Protestantism is a lack of thankful expression for the event of restriction of Jesus Christ. It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worship. Although the church is a community, it is concentrated to individual interest. Creatures of God, nature and neighbor, they have lost morality and so, the order of creation has destroyed. Appreciation of worship, community worship, ecological worship, all of these are the traits of the Lord's Supper. Their adjusting will make restoration the essence of the lost worship and the order of creation. And the community of the church will make Christians with responsibility in this world. 예배에 있어서 말씀예전과 성만찬예전은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주제다. 이 주제는 역사적으로 볼 때 조화와 균형을 이루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배갱신에 있어서 성만찬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살펴보고, 개신교 예배갱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개신교 예배갱신은 교회갱신운동의 일환으로 끊임없이 강조 되어왔다. 그러나 예배가운데 실질적인 적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자 한 점은 예배갱신에 있어서 성만찬만큼 좋은 소재는 없다. 왜냐하면 성만찬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 때문이다. 따라서 예배갱신에 있어서 성만찬은 빼놓을 수 없다. 오늘날 개신교의 문제는 예배의 본질인 예수그리스도의 구속적인 사건에 대한 감사의 표현들이 부족하다. 교회는 공동체 예배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인 관심에 집중되어 있다. 하나님의 피조물인 자연과 이웃에 대한 윤리성이 상실되어 창조질서가 파괴 되고 있다. 성만찬의 특성들인 감사예배, 공동체예배, 생태예배의 적용으로 잃어버린 예배의 본질과 창조질서를 회복하고 교회공동체는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책임 있는 삶을 살아가게 할 것이다.

      •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

        오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예배의 영성 회복으로 성만찬의 필요성에 대해 신학적으로 이해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 연구는 현대 개신교회의 상징성이 있는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을 시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전제한다. 본 논문은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 가능성에 대해 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에 성서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예배와 성만찬 이해와 성만찬과 예배의 영성의 관계에 대해 신학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오늘날 현대 개신교 예배의 특징인 다양성 안에서 성만찬이 예배의 영성 회복으로서의 역할과 비중이 앞으로 커지게 될 것이고 다양한 활용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한다. 예배의 영성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성만찬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중심으로 고찰해 본 결과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적 결론들을 도출해 낸다. 첫째로, 예배와 영성은 연결 되어 있다. 둘째로, 예배에서 설교와 성만찬은 상호보완적이다. 셋째로, 예배의 영성으로 성만찬의 상징성은 행동하게 하는 매개체가 된다. 넷째로, 예배와 성만찬은 공적예배이다. 다섯째로, 예배의 영성은 예수님을 따라가는 삶이다. 여섯째로,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은 섬김의 패러다임을 감당한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음을 찾아 볼 수 있다. 첫째로, 예배에서 성만찬의 교육 부실로 영성 있는 진행을 제대로 못한다. 둘째로 상징성 있는 예전적 예배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로, 성만찬의 인식 부족으로 자주 진행하는데 시도의 모험과 용기가 따른다. 넷째로, 성만찬에 대한 지도자와 회중의 신학적 이해가 필요하다. 초대교회 공동체는 성만찬 공동체였음을 기억해 볼 때,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 회복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해 본다. 첫째로, 하나님의 임재가 있는 예배가 가능하다. 둘째로, 성만찬과 같은 상징성 있는 예배는 삶으로서의 예배로 행동력을 높인다. 셋째로, 예전적 예배 회복으로 연결한다. 넷째로, 설교와 성만찬의 조화를 한다. 다섯째, 회중이 참여할 수 있는 예배를 기획한다. 여섯째, 공적예배로서 공동체성의 회복으로 관계 회복으로 연결한다. 일곱째, 성만찬을 통한 예배의 영성으로서 섬김의 패러다임으로 실천할 수 있는 영역을 계발할 수 있다. 성만찬은 교회가 개신교인들에게 하나님과 깊은 만남을 주고 회중이 함께 참여하여 표현하고 움직임으로서 공동체로서 하나님과 성도간의 관계를 회복하는 큰 힘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배를 설교와 함께 성만찬을 통해 자주 연출하고 가시화시키고 보여줌으로써 세상에 나가 말씀으로 살겠다는 결단을 하게 한다. 따라서 성만찬은 예배의 영성 회복으로 사려 깊게 고찰되고 앞으로 더욱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Holy Communion in terms of theology through recovering the liturgical spirituality. This study presumes that there is a need to try to restore the spirituality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that symbolizes contemporary protestant church. Based 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biblical ground of the possibility of the spiritual restoration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this study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worship and the Holy Commun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Communion and the spirituality of worship.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Holy Communion should play a greater role in restoring the spirituality of worship in diversity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 Protestant worship, and be an important factor for various applications. Consideration of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ity of worship and the Holy Communion leads to following several spiritual conclusions of worship through Holy Communion. First, worship and spirituality are connected. Second, preaching and the Holy Communion are complementary in worship. Third, the symbolism of the Holy Communion as a spirituality of worship becomes a medium to act. Fourth, worship and the Holy Communion are public worship. Fifth, the spirituality of worship is a life that follows Jesus. Lastly, spirituality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carries the paradigm of service. Despite this positive evaluation, some problems still remain. First, it fails to make spiritual progress in the worship because of the insufficient education of the Holy Communion. Secondly, researches are needed to develop a symbolic ritual worship. Third, adventure and courage should follow to attempt the Holy Communion frequently because of the lack of awareness of it. Lastly,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leaders and congregations is needed about the Holy Communion. Remembering that the early church community was that of the Holy Communion, some alternatives are suggested for spiritual restoration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First, it is possible to worship with God's presence. Second, the symbolic worship such as the Holy Communion should enhance the acting power by worship as a life. Third, it should be connected to the restoration of ritual worship. Fourth, the sermon and the Holy Communion should be harmonized. Fifth, the worship service for the congregation to take part should be planned. Sixth,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as public worship should lead to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 Lastly, a practicable realm can be developed with the paradigm of service as a spirituality of worship through the Holy Communion. The Holy Communion should become a great power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saints as a community as the church provides Protestants with deep fellowship with God, and the congregation participates, expresses, and moves together. Therefore, frequent performance and visualization of the Holy Communion together with the sermon in worship service should lead to the resolution by congregation to go out into the world and live by the Word. In conclusion, the Holy Communion should be thoughtfully considered as the restoration of the spirituality of worship, and studied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