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범계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성숙과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종합교원양성대학을 중심으로

        윤창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공선택동기 이론에 바탕을 두고 진로성숙의 하위요인, 취업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범계 대학생의 성별, 전공계열에 따라서 전공선택동기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교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부생 303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전공선택동기 측정도구, 진로태도성숙도 검사지, 스트레스 측정법(Conell Medical Index :CMI)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성별에 따라서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공에 따라서는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보다 예‧체능 계열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결정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동기는 독립성, 목적성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재적 동기가 높아질수록 결정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재적 동기가 높아질수록 독립성, 목적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선택동기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환경 스트레스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동기는 취업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재적 동기가 높아질수록 학업 스트레스나 학교환경 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자면, 스스로 적성과 흥미에 맞는 전공을 선택한 동기가 진로성숙의 긍정적인 정서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배제하고 주변의 권유 및 사회적 이미지만을 고려한 대학 전공 선택이 진로성숙 발달에 저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부적 요인에 의하여 전공을 선택한 동기가 취업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진로상담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 한국적 맥락의 공직선택동기 탐색 : 민간 영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현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통적으로는 인간 노동에 대한 임금을 비용으로 인식하였으나 최근 인간을 투자의 대상인 자본으로 인식하여 ‘인적 자원(human resource)’ 또는 ‘인적 자본(human capita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가적 차원에서 인적 자원 관리라고 한다면 국민들이 각자 자기 역할에 맞는 일터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치로 발휘하여 국가에 보탬이 되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영역 적합성(person-sector fit)에 따라서 어떤 사람이 어떤 고용 영역에 들어가면 좋은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많이 연구되어 온 것이 공직선택동기(Public Sector Motivation)이다. 공직선택동기란 공공 영역을 선택하는 동기이다. 공직선택동기로서 가장 주목받으면서 연구되어온 것으로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가 있다. 그러나 공공봉사동기 개념은 미국에서부터 발전한 것으로 한국적 맥락에서 적용이 가능한지 연구를 통해 밝혀낼 필요가 있다. 한국적 맥락에서 공직선택동기로서 학자들에 의해 추론되고 있는 것은 출세 동기나 권력 동기, 직업안정성 동기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어떤 직업선택동기가 공공 영역을 선택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한국적 맥락의 공직선택동기를 탐색해보았다. ASA(Attraction-Selection-Attrition) 모델에 입각하여 공공 영역에 매력을 느끼고 준비하는 시점, 그리고 실제로 공공 영역에 입직하는 시점, 입직 이후 매력을 느끼게 된 원인 동기가 만족되는 시점을 중심으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특정 직업선택동기가 공공 영역에 선호하는 데에, 그리고 이후 지속적 노력을 하여 입직을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 입직 이후 해당 동기가 기대했던 대로 공공 영역에서 충족되었는지를 본다는 것이다. 공직 ‘선택’동기를 살펴볼 때 ‘선택’의 시점을 두 가지로 나누었다. 취업을 준비하는 시점에서 자신이 어떤 영역을 가고 싶은지 선택하는 ‘선호’의 측면과, 취업을 실제로 하여 고용된 영역을 의미하는 ‘입직’의 측면을 보기로 한다. 취업 준비 할 때(t-1연도)에 ‘선호’하는 영역과 실제로 취업이 된 해(t연도)에 ‘입직’한 영역을 2X2 표를 통하여 4개의 집단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로, 각 직업선택동기가 4개의 집단에 속하는 것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선호와 입직이 모두 상반되는 1집단(공공 선호-공공 입직)과 4집단(민간 선호-민간 입직)을 비교한 결과에서 공공봉사동기가 높았을 때 1집단에 속할 확률, 즉 공공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진 걸 확인하였다. 이로써 한국에서도 공공봉사동기가 공직선택동기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권력 동기 또한 유의미하게 영역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외재적 권력동기로 보았던 타인에 대한 영향력 동기와 내재적 권력 동기 중 하나인 성취 동기가 공공 영역을 선택할 확률을 높였다. 그러나 내재적 권력동기중 하나인 지적 추구 동기는 민간 영역을 선택할 확률을 높였다. 또한 경제적 보상 동기가 높을수록 민간 영역을, 신체활동 기피 동기가 클수록 공공 영역을, 남성에 비해 여성이 공공 영역을, 아빠 학력이 높을수록 공공 영역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졌다. 그러나 직업 안정성 동기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두 번째로 입직 이후 각 동기에 대한 만족도가 4개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지 분산 분석과 Tukey 분석을 하였다. 선호에 차이가 나는 그룹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오지 않았고 입직 영역이 다른 경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동기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조직 영역이 해당 동기 요인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높아질 수 있음을 유추해보았다. 앞서 첫 번째 분석에서 영역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던 공공봉사동기 만족도와 권력동기 만족도에서 영역 간 차이가 나타났다.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만족도와 권력동기 만족도 모두 공공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직업안정성과 조직근로환경 등 직업안정성과 심신의 안녕에 대한 만족도도 공공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공공 영역에서 민간 영역에 비하여 조직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동기 요인은 공공봉사동기와, 권력 동기, 직업안정성과 심신의 안녕 동기임을 알 수 있었다. 위 분석을 통하여 한국적 맥락의 공직선택동기로 주목받을 수 있는 항목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던 공공봉사동기의 적실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더불어 권력동기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공공 영역에서는 국가직무능력검사, 인성 검사 등을 통하여 공공 영역에 맞는 인재를 채용하려고 하고 있다. 이것은 조직의 입장뿐만 아니라 청년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적성과 맞는 영역에 들어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국가 전체적 관점의 인적 자원 관리를 함에 있어서 청년들의 적성을 찾아주고 이끌어주는 데에 본 탐색적 연구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추후 보다 정밀한 연구 설계를 통하여 보완한다면 한국적 맥락에서 공직선택동기를 제대로 알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인적자원관리가 중요하게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선택을 시점에 따라 선호와 입직으로 나누어 본 것을 보다 정교화하여 개념 정립을 하는 연구, 두 번째로, 보다 긴 시점을 선택하여 공공 영역에서 권력 동기, 출세 동기가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ASA 모델과 조직 내 사회화까지 보는 연구, 세 번째로, 개인-영역 적합성(person-sector fit)을 넘어서 개인-직무 적합성(person-job fit)을 중심으로 사람 중심(person-centered) 분석 연구 등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전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성의 매개효과

        노은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산업현장 전문가의 양성을 목적으로 실무 중심의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전문대학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전문대학의 설립목적이 직업교육에 있지만,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성적에 맞추어 입학하거나 진학 후 전공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학생들의 전공과 진로를 분석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전공선택의 동기와 진로정체성이 진로결정수준을 결정하는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진로정체성은 전공선택동기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연구의 결과가 보고되었다. 선행연구의 조사내용에서 유추해 보면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2개 전문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자료분석에 230부가 활용되었다. 그리고 이들에게서 수집된 데이터로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진로정체성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와 확신수준 간의 관계에서는 내재적동기의 부분매개가 검증되었고,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상태 간의 관계에서는 내재적동기의 완전매개가 검증되었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는 내재적 동기의 완전매개가 검증되었다.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상태 간의 관계에서는 내재적동기의 완전매개가 검증되었지만, 전공선택동기와 확신수준 간의 관계에는 관여재검토의 매개효과는 기각되었다. 그리고 이 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안되었다. 첫째, 전문대학생들은 일반대학 졸업자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입직시점이 빠르다는 점에서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지원제도가 필요하다. 둘째, 많은 전문대학에서 진로교과를 정규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효과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담당전문인력의 확보, 취업중심의 진로지원 프로그램이 요청된다. 셋째, 전문대학생들을 위한 높은 수준의 직업 기초역량 교육이 제시되어야 한다. This study selected students from junior colleges that offer practical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industry experts as research subjects. Although vocational education is primarily aimed at the establishment of junior colleges, in fact, many students may not be able to adapt to their majors after entering or advancing to grades. Many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students' majors and careers indicated that the motivation and career identity of the majors ar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addition, the results of a study in which career identity was determined by major selection motivation were reported. Inferring from the research content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role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could be raise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enrolled in two colleges located in Gyeonggi-do. And 23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n,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them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of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the confidence level, and the complete mediation of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status. Second, the complete medi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Third, the complete mediation of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the career decision status, b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volvement review was dismis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confidence level. And the implications for this result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need to have a systematic career support system because they have a relatively quick starting point when compared to general university graduates. Second, many colleges run career courses as regular courses and comparative courses, but they do not function as effective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ecure a professional manpower in charge and a career-oriented career support program. Third, a high level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presented.

      • 초등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간의 상관관계

        장유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직입문을 고려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동기요인으로 교직을 선택했을 때 높은 직무만족도를 느끼고 훌륭한 직무수행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있을지를 안내하고, 지속적인 교사연구에 보탬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교직경력에 따라 교사들의 교직선택 동기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별, 교직경력에 따라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들의 교직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위와 같은 문제를 연구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 10여개의 공립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201부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설문지는 Likert의 5단계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들의 성별 및 교직경력 등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조사와 교직 선택 동기에 관한 설문 16문항, 직무만족도 측정에 관한 설문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교직선택동기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교직선택동기 중 능동적 동기가 가장 높으며, 수동적 동기가 가장 낮았다. 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직선택동기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물질적 동기와 수동적 동기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교직선택동기에 대해 살펴본 결과, 21년 이상인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능동적 동기가 높으며, 11~20년인 교사는 다른 교사보다 수동적 동기가 높았다. 둘째,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직무만족도 중에는 인간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고, 사회적 대우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교사들의 성별과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직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는 경력이 11~20년인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근무환경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보상체계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직선택동기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능동적 동기가 높은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인간관계 만족도가 높으며, 능동적 동기 수준이 높은 교사일수록 근무환경과 보상체계, 전문성 신장, 사회적 대우, 전체적인 만족도,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물질적 동기 수준이 높은 교사일수록 인간관계와 근무환경, 보상체계, 전문성 신장, 사회적 대우, 전체적인 만족도, 그리고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나 직무내용에 대한 만족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교사들의 능동적 교직선택 동기와 물질적 교직선택 동기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수동적 동기는 보상체계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전체적인 만족도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 있어 전체적인 만족도는 낮았다. 교사가 된다는 것은 인간의 인성과 기본적인 생활습관이 형성되는 결정적인 시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치에 선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에 앞서 직업을 선택하여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한 개인으로서 만족스러운 교직생활을 영위하려면, 다른 사람의 추천이나 조언에 전적으로 의지하거나 진학 성적에 따르는 것보다 자신의 흥미․적성과 직업으로서의 교직의 물질적 요소 여러 요소들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결정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교직선택동기, 직무만족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teachers'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o their job satisfaction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to people considering becoming a teacher on what kind of career motivation could lead to strong job satisfaction and splendid job performance and on relevant future research effort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teachers in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according to gender and career? 2.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teacher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career? 3.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0 teacher in about 10 public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answer sheets from 201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a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program.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employed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consisted of 34 items involving 16 about general background and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34 regarding job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the most prevailing motivation was positive one, and the least dominant motivation was passive one. When their motivation was checked by gender, material motivation and passive motivation were more common among the female teachers than the males. When their motivation was investigated by career, positive motivation was more dominant among the teachers with a career of 21 years or more, and passive motivation was more prevailing among the teachers whose career was between 11 and 20 yea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job satisfaction, they didn't express a lot of job satisfaction. To be specific, they were most contented with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y were most dissatisfied with social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gaps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career. By career, the teachers with a career of 11 to 20 years were more gratified with working environments than the others, and the teachers with a larger career were more contented with the compensation syste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teachers who had been more affected by active motivation were better satisfied with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ose teachers were more gratified with the working environments, compensation system,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ocial treatment as well. In addition, their overal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teachers who had been more influenced by material motivation were better contented with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orking environments, compensation system,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ocial treatment, and their overall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others. But material motivation had nothing to do with their satisfaction with job content. The teachers who had been more impacted by positive motivation and material motivation expressed better job satisfaction. The passive motiv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satisfaction with the compensation system but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o overall satisfaction. So passive motivation led to lower overall satisfaction. Being a teacher denotes being in an important position that has a huge impact on students who are in a critical period for personality building and basic life habits. Yet a teacher is also an individual who tries to satisfy his or her own needs by choosing the occupation, and it's advisable to carefully think about one's own interest and aptitude and the teaching profession from various angles to lead a satisfactory life as a teacher instead of just following advice from others or making a decision based on their academic standing only. Keywords: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job satisfaction.

      •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이지애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적응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둘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 적응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4개 특성화고등학교 남, 여학생 426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07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er.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적응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성별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즉 여자보다는 남자가 전공을 선택할 때 외재적 요인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낮을수록 전공선택동기가 높고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며 사회적 측면을 중요하게 여겼고 학년이 높을수록 직업을 선택할 때 가정요인에 대한 고려가 많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 적응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전공선택동기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직업 선택 및 직업결정요인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공선택동기와 학교생활적응에서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과 학교생활적응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전공선택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생진로지도는 물론, 학부모와의 상담, 부모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며 특성화 고등학교의 정책 수립과 진로지도에 필요한 여러 가지 대안과 자료를 제시해보았다.

      • 한국어 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효언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들이 교직을 선택하게 된 동기가 교사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교사 교육 및 재교육에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외식관련학과 재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인식도와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정용화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employment aptitude behavior of related majors in the study of the majors and the study of the majors and the influence of the majors in the preparation of the majors. For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50 students through random sampling from September 1, 2016 to October 1, 2016 for the students of the department of food service related subjects at Gyeongbuk 4 year university (91.27% response rate). The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by modifying the existing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SPSS. WIN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ood service related classify motivation for selection into two dimension factors such as internal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The major cogni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such as subject satisfaction, practice content, and social recognition, and the effect on the preparation behavior was examined. First, in Hypothesis 1, subject satisfaction and practi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jors '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and majors' recognition (subject satisfaction, practice, social awareness) Motivation does not affect social recognition. Second, Hypothesis 2 shows that intrinsic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whereas external motivation does not affect job preparation behavior. Third, in Hypothesis 3, the perception of major that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food-related depar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s such as satisfaction with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social awareness, but did not affect job preparation behavior appea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my aptitude and interest are the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y motivation for selecting my major, This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awareness of the major by enhancing the participation in the class and the aggressiveness in the school life in the university life. Therefore, before choosing a major, you should be a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at your aptitude, interest, and talent are, not just by the simple fashion or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s, and to choose your major.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educate major and profession from high school before entering college, a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in college. Second, the interest, aptitude, and talent of the person affects the preparatory a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bility to prepare for employment through the additional qualification class, language class program, or employment club activity, So that they can grow up, At the university, active support is needed. Third, social awareness and subject satisfaction have an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s, but they did not affect job preparation behavior. This is because the practices practiced at the school are focused on the basic period that can not be used in practice.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you should create a program from beginner to hands-on practice so that students also have practical training to influence the preparation for work, It is desirable to actively carry out on-the-job training in industry and to emit talent suitable for practical work. 본 연구는 외식관련학과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통해 관련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 행동요인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경북 4년제 대학교 외식관련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일부터 2016년 10월 1일까지 무작위 표본추출을 통해 3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91.71% 응답률). 측정도구는 기존 문헌의 설문도구를 수정하여 개발하였으며, 설문지는 SPSS. WIN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관련학과 학생들이 전공선택동기를 내적동기, 외적동기 등 2개 차원요인으로 분류하였고, 전공인식을 교과만족, 실습내용, 사회적 인식 등 3개 차원요인으로 분류하여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였다. 첫째, 가설1의 경우 외식관련학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전공선택동기 내적동기, 외적동기가 전공인식(교과만족, 실습내용, 사회적 인식)에 교과만족과 실습내용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적동기는 사회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의 경우 내적동기는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외적동기는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의 경우 외식관련학과 학생들이 인식하는 전공인식이 취업준비 행동교과만족과 사회적 인식등은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습내용은 취업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본인의 적성과 흥미가 전공선택동기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이는 대학생활에 있어 성실한 수업참여와 학교생활에 적극성을 높여 전공인식을 높여 주게 되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전공을 선택하기 전 시대의 단순유행이나 사회적 분위기에 의해서가 아닌 본인의 적성과 흥미, 재능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판단하고 전공을 선택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대학에 진학하기 전 고등학교때부터 전공과 직업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이고, 대학에서도 고등학생들을 상대로 전공의 홍보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인의 흥미와 적성, 재능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흥미를 느끼는 전공에 대해 정규 수업 외에 취업역량을 높일 수 있는 추가 자격증반이나 어학수업프로그램 또는 취업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취업준비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하며, 대학에서도 이에 맞는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 인식과 교과만족은 취업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실습내용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는 학교에서 행해지는 실습들이 실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기본기에 치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급에서부터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정도의 실습까지 프로그램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실습 또한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해야 하며, 산업체 현장실습을 적극적으로 운영하여 실무에 적합한 인재를 배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항공 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시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spite of the economic downturn, the airline industry is continuing to grow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has risen sharp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low-cost carriers on the basis of 2000, and domestic airlines have demanded more cabin crews accordingly. Increasing the flight attendants demanding,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departments that focus on aviation and tourism, and the number of departments that the department of aviation service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 corresponding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ir motivation for choosing their major, build expertise and prepare them for career opportunities in various fields related to aviation and tourism, as well as cabin crew. However, studies related to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re insufficient at present, and related studies should be continu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on their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o open better department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nd to present efficient directions in the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which is a step for future career goals and preparation. First, based on prior research,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re to be examined for definition and measurement tools and present their implications. Second,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was to find out how it affected the major satisfaction. Third, find out how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ffect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urth, find out how the Major Satisfaction affects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ifth, find out how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s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we explored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s hypotheses, and conducted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design,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cope of the study was centered on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Aviation Services. In summary,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Major Selection Motivation of Airline Service Students, the more likely it was to affect the Major Satisfaction. It has been shown that personal motivations of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ir majors, but social motivations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major for an aviation service major, the more a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affected. It has been shown that personal motivations as independent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dependent variable selection and the future plan, but the independent variable social motiv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arget sele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his or her major, the mor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his or her major, the more significant the activity was, and the results of the test of the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job preparation activity showed that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ull-scale job preparation 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ir service students, the more they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only the future pla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independent counsel,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formal and preliminary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intended to use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majors in college entrance exams as important data to identify students' motivation, values, and aptitude so that students can live a smooth college life and achieve their desired jobs after admission. Also, I think schools should try to secure a better and better employment rate by laying the groundwork for students to choose their majors wisely. In future research, since employment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related departments is getting harder and harder, the department believes that based on this prior study, it should be able to provide students with factors that can improve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s, such as various education programs and employment-related programs. I think more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경제의 불황 속에서도 항공 산업은 끊임없는 성장선을 이어가고 있으며 2000년을 기반으로 저비용 항공사의 설립 이후 항공 여객 수의 급격한 증가로 국내 항공사에서는 이에 따른 더 많은 객실 승무원을 요구해 왔다. 항공 승무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대학에서는 항공과 관광에 초점을 맞춘 학과를 설립하여 항공 서비스 관련 학과 역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꾸준하게 인기 있는 항공 서비스 관련 학과는 과잉 설립으로 모든 학생을 전공 관련 직종으로 취업시키지 못하는 난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 역시 본인의 적성이나 흥미,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높은 취업률만을 고려하여 학과를 선택하고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항공 서비스 관련 학과는 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를 고려하여 이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객실승무원 뿐만 아니라 항공, 관광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전문 지식을 쌓고 진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재 전공선택 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는 아주 미흡하여 관련된 연구도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 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각 개념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실증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더 나은 학과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해주고 미래의 진로 목표와 준비를 위한 단계인 취업 준비과정에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의 개념들을 정의와 측정 도구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전공선택 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셋째, 전공선택 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넷째,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가설로 설정한 후 연구모형과 연구설계를 시행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 범위는 항공 서비스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실시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 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 서비스 전공학생의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사회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 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높을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개인적 동기는 종속변수인 목표선택과 미래계획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독립변수인 사회적 동기는 목표선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 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목표선택과 미래계획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 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독립변수의 유의성 검증 결과, 본격적 취업준비행동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항공 서비스 전공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독립변인의 하위요인인 미래계획만 비공식적 및 예비적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으로는 대학 입시 시 전공선택 동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지원동기와 가치관, 적성 등을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사용하여 입학 후 학생들이 원만한 대학 생활을 하고 희망하는 직업을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현명한 전공 선택의 발판을 마련하고 학교는 학생을 위한 기반을 잡아 점점 나아지는 취업률을 확보해 나가는 데 힘써야 한다고 생각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항공 관련 학과는 증가하지만 관련 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의 취업은 점점 어려워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학과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취업 관련 프로그램 등 취업준비행동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선숙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선 숙 현 지 도 교 수 : 전 현 진 (논문개요)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 4년제 대학의 뷰티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전남지역 뷰티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예비조사는 뷰티전공 여대생 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04월 05일 ~ 04월 09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21년 4월 13일부터 5월 17일까지 300부를 배포하여 수집된 설문지 중 276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SPSS 21.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의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의 2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업가치관은 외재적 직업가치관, 내재적 직업가치관, 자아가치관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뷰티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전공선택동기 중 개인적 동기가 직업가치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이는 전공선택에 대한 개인적 동기가 높을수록 직업가치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뷰티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결정, 진로미결정의 2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전공선택동기도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뷰티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전공선택동기는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이는 전공선택동기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셋째, 뷰티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의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고, 전공선택동기는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뷰티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전공선택동기 중 개인적 동기가 전공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이는 전공선택에 대한 개인적 동기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넷째, 뷰티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의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고, 직업가치관은 3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뷰티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이는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가치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뷰티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의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도는 단일차원으로 분류되었고, 진로결정수준은 2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뷰티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이는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뷰티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직업가치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1, p<.001). 즉, 전공선택동기 중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내재적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인 외재적 직업가치관, 내재적 직업가치관, 자아가치관에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뷰티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01). 즉, 전공선택동기 중 사회적 동기는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 중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가 전공만족도를 매개하여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진로결정, 진로미결정에는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통해 COVID-19로 인해 취업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공선택동기가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전공만족도가 부분적으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호텔·관광경영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영원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요약 호텔·관광경영학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의존도가 높은 호텔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정부의 적극적인 호텔·관광산업의 활성화 방안으로 인해 다양한 컨셉과 규모의 호텔과 리조트 단지들이 오픈하는 상황 에서 대규모 인력채용과 호텔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전국의 2년제, 4년제 각 대학마다 호텔·관광 관련학과를 추가로 개설하고 정원을 늘리고 있다. 이에 대학에서는 전문적인 서비스 인재를 육성·교육하고 학생들이 졸업 후 첫 사회생활을 준비하는 단계인 취업 준비과정을 통해 성공적인 취업이 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취업지도와 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호텔 취업을 준비 중인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의 호텔·관광경영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13일부터 3월 31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총 42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 응답 및 미회수 설문지를 제외한 유효자료 총 345부를 분석에 활용하여 호텔 취업 전 호텔에 대한 직업선택 동기를 알아보고 직업선택 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해 연구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해 관련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직업선택 동기를 독립변수, 취업준비행동을 종속변수, 자기효능감을 조절변수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직업선택 동기의 요인인 직업 장래성, 전공 적합성, 직업적 혜택, 흥미추구 중 전공 적합성과 흥미추구는 취업준비행동의 요인인 예비적 취업준비행동과 본격적 취업준비행동 중 예비적 취업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 적합성과 직업적 혜택은 본격적 취업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업선택 동기의 전공 적합성과 직업적 혜택이 예비적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추가적인 연구에서 성별(남학생, 여학생)과 학제(2년제, 4년제)로 나누어 직업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 자기효능감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취업준비행동(예비적 취업준비행동, 본격적 취업준비행동)을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열심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년제 대학 학생이 2년제 대학 학생 보다 직업선택 동기의 흥미추구를 더 높게 지각하는 반면, 2년제 대학 학생이 4년제 대학 학생 보다 직업선택 동기의 전공 적합성과 직업적 혜택을 높게 지각하고 본격적 취업준비행동을 더 열심히 하며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학교측에서는 단순한 정보제공이나 행동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여주고 눈높이에 맞고 현실적인 취업정보 제공과 상담 및 호텔과 연계하여 실습과 인턴쉽 과정을 많을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직업에 대한 신념과 자부심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인지적인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며, 제한적이고 한시적인 취업지원 서비스가 아닌, 학생 취업에 대한 관심과 다양하고 지속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성공적인 취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호텔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적인 교육을 강화함으로써 학생들의 취업준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호텔 취업을 준비하는 호텔·관광경영학 전공 대학생들에게 효율 적인 취업준비행동을 위한 취업지도 자료를 제공하고, 호텔기업의 인력 채용에 참고 자료가 되었으면 하며, 향후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에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 직업선택동기, 예비적 취업준비행동, 본격적 취업준비행동, 자기효능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