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중 생활습관과 인슐린 저항성의 연관성

        김민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배경과 목적: 전 세계적으로 제2형 당뇨병의 유병률과 조기 사망률 감소함에 있어 비감염성 질환에 대한 예방과 관리는 필수적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 진단이 있기 10~20년 전 선행되기에 제2형 당뇨병 발병을 예측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함으로써 제2형 당뇨병 발병을 예방할 수 있고 잘못된 식습관, 음주, 신체활동 부족, 흡연, 좌식시간 등 생활습관 위험요인들이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많은 연구가 단일 또는 이중 위험요인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과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에, 다중 생활습관 위험요인과 인슐린 저항성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저항성의 영향을 받는 전반적인 생활습관 요인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16-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만 19세 이상 성인 중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은 사람들을 제외하고 최종 분석 대상자 13,994명(남성 5,819명, 여성 8,175명)을 선정하였다. 흥미변수는 5가지 생활습관(수면시간, 좌식시간, 음주, 흡연, 영양섭취) 중 건강하지 못한 생활습관의 수였으며 종속변수는 TyG index을 활용한 인슐린 저항성이고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과 관련된 독립변수를 포함하였다. 다중 생활습관과 인슐린 저항성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초 통계분석,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일반적 특성은 남자의 경우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없는 그룹이 443명(7.6%),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1개인 그룹이 1,735명(29.8%),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2개인 그룹이 2,155명(37%),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3개 이상인 그룹이 1,486명(25.5%)이었다. 여자의 경우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없는 그룹이 1,106명(13.5%),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1개인 그룹이 3,403명(41.6%),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2개인 그룹이 2,787명(34.1%),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3개 이상인 그룹이 879명(10.8%)이었다. 생활습관 위험요인과 인슐린 저항성 간의 연관성을 성별로 계층화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생활습관 위험요인이 2개 이상인 남성이 높은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오즈(odds)가 높았다(2개 생활습관 위험요인: OR=1.45, 95% CI: 1.12-1.88, 3개 이상의 생활습관 위험요인: OR=1.94, 95% CI: 1.48-2.52). 1개 이상의 생활습관 위험요인을 가진 여성은 높은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오즈(odds)가 더 높았다(1개 생활습관 위험요인: OR=1.22, 95% CI: 1.02-1.45; 2개 생활습관 위험요인: OR=1.31, 95% CI: 1.09-1.56; 3개 이상의 생활습관 위험요인: OR=1.57, 95% CI: 1.23-1.99). 또한, 생활습관 위험요인 관련변수를 계층화한 결과에서는 좌식시간이 긴 여성에서만 인슐린 저항성이 높을 오즈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OR=1.21, 95% CI: 1.08-1.37). 현재 흡연자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높은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있었다(남성: OR=1.69, 95% CI: 1.46-1.95, 여성: OR=1.37, 95% CI: 1.05-1.77). 또한 AUDIT-C 점수가 모두 8 이상인 그룹은 남녀 모두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남성: OR=1.54, 95% CI: 1.35–1.77, 여성: OR=1.61, 95% CI: 1.28-2.01). 결론: 이 연구는 한국 성인의 다중 생활습관과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생활습관 위험요인의 수가 많을수록 남녀 모두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졌다. 생활습관 중 과음과 현재 흡연은 높은 인슐린 저항성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고, 앉아있는 시간 또한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당뇨병을 예방하는 국가적 보건 정책은 제2형 당뇨병의 예측인자인 인슐린 저항성을 평가함에 있어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건강에 좋지 않은 생활습관의 수를 고려하여 특정 생활습관 위험요인에 개입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 교수방법이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박정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방법에서 몬테소리 교수방법을 적용하는 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일반통합 교수방법을 적용하는 기관의 유아들보다 기본생활습관 하위항목인 청결, 질서, 예절, 절제점수 모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생활습관점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상생활에서의 자신에 대한 배려, 환경에 대한 배려, 대인관계 형성하기, 기본 동작 익히기 등을 연습하고 문화영역에서 사회속의 인간에 대해 그리고 인간학습의 모든 양상, 습관, 예술, 문학, 삶의 형태들을 배우는 몬테소리교수방법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기본생활습관은 유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올바르게 형성되고, 자율적인 경향을 보인다. 둘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하위요인인 청결, 질서, 예절, 절제 모두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낮은 집단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아서 교사가 학생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할수록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연령과 교수효능감의 상호작용에서 6세는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점수가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4세와 5세는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점수 차이를 보였다. 또한 4세보다는 5세가 많은 점수 차이를 보였다. 즉, 올바른 기본생활습관을 배우기 시작하는 단계인 4세는 교사의 영향을 받긴 하지만 그 영향이 미미하고, 5세는 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기본적인 생활습관이 형성되어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6세는 교사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몬테소리 교수방법을 적용하는 교육기관의 교사들이 일반통합 교수방법을 적용하는 기관의 교사들보다 일반적,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에게 교구를 제공할 때는 영역별로 실시하고 단계적으로 연계성을 지니고 교육하는 몬테소리 교수방법을 적용하는 교육기관의 교사들은 일반통합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기관의 교사들보다 높은 교수효능감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교육방법과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받고 유아의 연령에 따라 향상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몬테소리 프로그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장점을 일반통합 프로그램에도 반영하여야 하며,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령에 따라 교사의 지도방법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에 근거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 중 일부 변인들만을 다루었으므로, 다른 변인들을 고려하여 더욱 포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의 발달적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보다 더욱 많은 연령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의 기본생활습관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연구에서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연구함에 있어, 더욱 포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와 관련된 변인뿐만 아니라 부모와 관련된 변인을 함께 고려하고,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이 유아의 어떤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고려하여 유아의 올바른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가정과 교육기관에서 함께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으면 한다. 한편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아 기본생활습관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교사의 교수효능감에 향상에 대한 연구 등 실용적 연구가 이루어 졌으면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effects that teaching methods(the Montessori program and the overall integration program) as an environmental factor, the teaching efficacy belief as a teacher's one and age as a personal one have on infants′ basic life habits. Teaching methods,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age were mentioned as factors having influence on infants′ basic life habits by preceding studies. I have studied 29 teachers and 352 infants who are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in Daegu and Kyungbuk with questionnaires. Only 22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240 questionnaires for infants except for uncompleted and insincere ones were used in this study to balance teaching method cases with age cases. I utilized, to measu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belief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hich was developed by Enochs and Riggs(1990), to measure infants′ teaching efficacy belief Pyo Insuk's Research Instrument(2007) which was revised from Lee Bunryu Research Instrument(1998) in order to be used at common nursery schools, and to measure the basic life habit Kim Yongju's Research Instrument(2005) which was revised from The Rating Scale for Teachers(1995)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summar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who are educated in the Montessori program at nursery schools and kindergartens appear to have better marks in subordinate factors such as cleanliness, public order, etiquette and moderation than infants who are done in the overall integration program. infants′basic life habits also seem to be better and better as they grow old. That is to say, by Montessori programs infants are taught the consideration for themselves and nature in everyday life, interpersonal skills, basic human actions, social beings in a cultural side, and all human learning aspects like customs, arts, literatures and ways of life, which helps them build up their basic life habits. And besides, infants tend to acquire the basic life habit rightly and voluntarily as they grow old. Second, infants who are taught by teachers with high teaching efficacy belief appear to have better marks in their basic life habits and subordinate factors like cleanliness, public order, etiquette and moderation than infants who are taught by teachers with low one. In other words, teachers who think they can affect infants′ learning activities with their high teaching efficacy belief have positive effects on infants′ basic life habits. In terms of interaction between age and teaching efficacy belief, while infants who are 6 years old make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high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the group with low one, infants′ who are 4 and 5 years old make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high and low teaching efficacy belief. The difference also appears to be much greater to 5-year-old infants than 4-year-old ones. That is, 4-year-old infants who begin to acquire correct basic life habits are a little influenced by teachers, 5-year-old infants are deeply influenced, and 6-year-old infants who have the basic life habit and do things voluntarily are little influenced. Third, teachers who work at educational institutions applying the Montessori program have better marks in the teaching efficacy belief than teachers who work at educational institutions applying the overall integration program. That is, teachers who work at educational institutions applying the Montessori program, which gives infants teaching tools depending on learning activities and trains them step by step, have higher teaching efficacy belief than teachers who work at educational institutions applying the overall integration program. To sum up these results, infants′ basic life habits are influenced by teachers'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are improved as infants grow old. The good points of Montessori programs which have positive effects on infants′ basic life habits should be also applied to the overall integration program after much further researches. Teaching methods should be also changed depending on infants′ age. This thesis in which I studied firsthand and interaction effects among factors to have influence on infants can give teachers proper teaching methods to build up infants′ basic life hab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ce to be made depending on infants′ age, the education course to teach infants′ basic life habits and fundamental materials to develop teaching methods.

      • 고혈압 환자에서 건강생활습관과 혈압 조절 여부

        허남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인의 사망원인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생활습관병(life-related disease)은 생활습관변화, 즉 건강행태(health behavior)를 변화함으로 인해 충분히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고혈압은 생활습관 개선과 같은 비약리적인 방법을 통한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하다는 많은 연구 결과에 따라 생활습관 개선은 고혈압 치료에 있어 가장 먼저 시작되는 치료법이지만 생활습관 개선을 통한 혈압 강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여전히 논쟁적이며 특히 약물 치료를 시작하면 이와 같은 비약리적인 방법에 대해 다소 소홀하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과천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고혈압 진단자 중 약물 치료 중인 사람들에 대해 혈압 측정 결과 고혈압 조절군(233명)과 고혈압 비조절군(209명)으로 나누어 이들의 건강관심도와 고혈압 치료에 대한 태도 및 건강생활습관 실천 여부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약물치료 중에도 건강생활습관이 혈압 강하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관심도와 고혈압 치료에 대한 태도 결과를 살펴 볼 때 고혈압 비조절군의 경우 건강검진과 같은 실제적인 행위는 보다 적으면서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는 보다 건강한 것으로 인지하고 있었고 고혈압 치료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고혈압 치료법에 대해서는 보다 많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고혈압 치료에 대해서는 신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이와 같은 건강인지나 치료에 대한 태도등이 환자들의 건강 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운동, 체중조절, 저식염섭취, 금연, 절주 등의 건강생활습관 실천이 각 군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운동과 체중조절, 저식염섭취 등을 고혈압 조절군에서 평균 10%가량 더 많이 실천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에 대해서만 보정하였을 때는 고혈압 조절군에 속할 가능성이 운동의 경우 1.4배, 체중조절 1.6배, 저식염섭취 1.7배였으며 연령, 성, 직업, 주요 이용 의료기관에 대해서 보정하였을 때는 고혈압 조절군에 속할 가능성이 운동의 경우 1.4배, 체중조절 1.5배, 저식염섭취 1.6배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이 고혈압 조절군의 운동, 체중조절, 저식염섭취 등과 같은 건강생활 실천율이 고혈압 비조절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약물치료 중에도 생활습관행태 변화가 혈압 강하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일개 지역사회 주민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적절한 표본추출을 통해 실시한 조사였기 때문에 대표성을 지녔다고 보며 이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Life-related diseases account for the biggest portion of death causes in today's society. Thus they can be prevented and managed enough by giving some changes to everyday healthy lifestyles.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saying that hypertension can be prevented and man aged through non-pharmacologic therapies such as improving healthy lifestyles. improving healthy lifestyles are, in deed, the very first step of hypertension treatment. But the effects of improvement in healthy lifestyles on dropping high blood pressure are still controversial, and this kind of non-pharmacologic therapy can often be neglected by the patient once a pharmacologic therapy begins.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drawn from the residents of Gwachoen City. Those resid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hypertension and were under medic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the 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233 persons) and uncontrolled hypertension group(209 persons). They were investigated to see if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m in terms of health concern, attitude toward hypertension treatment, and practice of healthy lifestyles. The research efforts were aimed to examine if healthy lifestyles could influence blood pressure dropping even during medicat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health concern and attitude toward hypertension treatment; in the aspect of interest in health, the un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turned out to conduct less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getting a check-up but be in a greater tendency to think they were healthy. As for the attitude toward hypertension treatment, the same group answered they knew more of hypertension treatment but had less faith in it. It was concluded that awareness in one's health and attitude toward treatment can affect a patient's practicing health behaviors. Practices of healthy life habits including exercising, weight control, dietary salt in take, no smoking, and temperance were applied to both the groups to find out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showed about average 10 percent higher rate in practicing the healthy lifestyles of exercising, weight control, dietary salt intake than the uncontrolld hypertension group.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result. Adjusted for age, the possibility that the group still made the 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was 1.4 time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in terms of exercising, 1.6 times in weight control, and 1.7 times in dietary salt intake. And adjusted for age, sex, occupation, and prefered medical facility, the group showed 1.4 times higher possibility to still belong to the 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than the other group in terms of exercising, 1.5 times in weight control, and 1.6 times in dietary salt in tak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hort, the 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had a higher rat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acticing healthy lifestyles such as exercising, weight control, dietary salt intake, meaning that changes in lifestyles have something to do with blood pressure dropping even during medication. The study extracted proper samples from the whole group of residents in a city and thus can be assessed to be representativ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is representation.

      •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습관과 건강 체력평가(PAPS)와의 관계

        정기복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습관과 건강 체력평가(PAPS)와의 관계 정 기 복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초록- 본 연구는 성장기에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학생건강 체력평가 측정기록을 토대로 신체적 발육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생활습관과 건강 체력이 초등학생의 성별과 비만유무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강원도 소재 Y군 초등학생 재학 중인 고학년 307명(남학생155명, 여학생152명)을 대상으로 건강 체력을 측정하고 질문지를 분석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Window용 SPSS/PC+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성별에 따른 생활습관과 건강관련체력평가(PAPS), 비만 유,무에 따른 건교차분석과 독립 t-test를 실시 하였다. 생활습관, 건강관련체력평가(PAPS)과의 관계와 비만유무와 건강관련체력(PAPS)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상관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운동생활습관과 일상생활습관, 식생활습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운동생활습관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녀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일상생활습관의 차이를 알아보면, "학교는 걸어서 간다.", "가까운 거리는 차를 타지 않고 걸어서 간다." 의 항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늦은 시간까지 TV를 보거나 컴퓨터를 한다.”는 항목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녀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식생활습관의 차이는 "남들보다 음식을 먹는 속도가 빠르다.",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 푸드를 즐겨 먹는다." 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 음식을 좋아한다.”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PAPS항목 결과에서는 오래달리기걷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PAPS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악력(p=.503)과 50m달리기(p=.587), BMI(p=.295)에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생활습관과 PAPS와의 관계 생활습관과 PAPS항목의 상관분석 결과 생활습관 중 식생활습관이 오래달리기걷기, 50m달리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만과 정상 집단 간 PAPS항목에서, 오래달리기걷기, 악력, 50m달리기, BMI 비만과 정상 집단 간 PAPS항목에서 비만이 정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다시 검증한 결과 오래달리기걷기, 악력, 50m달리기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Ki Bok Ju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ports and Education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grasp the growing student lifestyle factors that affect physical growth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lelated physical fitness evaluation and measurement records, these lifestyle and health fitness is to investigate whestigate whether gender and obesity presence and has no relation elementary and Gangwon Province material group 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higher grades 307 students(boys 155, girls 152 ) target to measure the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and questionnaireslt was analyzed. Statistics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PC+18.0 Window program for research purposes to achieve. Data processing methods lifestyle and health-related fitness assessment based on gender (PAPS), obesity, oil,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non-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Lifestyl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ssessment(PAPS)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 presence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PAPS)were carried out wi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ercise habaits and everyday litestyle according to gender, look at our eating habits are as follws. Exercrse habits of boys was higer than girls according to gender. Look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ily habits of boys and girls based on gender elementary school, "School goes foot","go walk without a close distance car ride. of girl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s in this topic, "watching TV until late, and a computer."The topic was significantly higher male than female. gender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of boys and girls elementary school is "faster speed than other students eating","eat your favorite junk fook or fast food."lt showed that girl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s in the items "like sweets."The boys significantly higher than girls. Secind, in the long run PAPS item results according to gender to walk, sit-ups in the future boys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irls in the boys and girls of PAPS items in Bend. Girp strength(p=.503)and 50m run(p=.587),BMI(p=.295)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observed. Third, lifestyle and relationship with PAPS lifestyle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dietary habits of walking and long run PAPS items, significant effects at 50m running. fourth, in obese and normal students between PAPS items, walking and long run, grip strength, 50m run, BMI between obese and normal group showed significantiy higher in obese than in normal PAPS item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verity the result of a long running again walk, grip strength, a 50m run variables found to be significant.

      • 초등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기본생활습관 조사 연구 : 청결 및 정리·정돈 중심으로

        박수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기본생활습관을 청결 및 정리․정돈 중심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 5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조사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초등학교 교사 5인과 교수 1명의 검토를 거쳐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는 평균(M), 표준편차(SD), 분산분석, 중다구간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청결 및 정리․정돈에 관한 기본생활습관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학년이 4, 5, 6학년에 비하여 기본생활습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학년이 낮을수록 더욱 강조해서 지도되어야겠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기본생활습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 지도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은 학년과 성별을 고려해서 지도되어야 하겠다. 둘째, 청결에 관한 기본생활습관 중 ‘신체청결’은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각 학년간의 구간검증 결과 3, 4학년 보다 학년이 높은 5, 6학년이 신체를 더 청결히 하는 생활습관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3학년에서 신체청결 교육이 더욱 강조되어야겠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청결이 낮게 나타내었으므로 남‧여학생 간의 차별성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정리․정돈에 관한 기본생활습관 중 ‘의복 정리․정돈’은 3학년 보다 4, 5, 6학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학년부터 의복 정리․정돈에 대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제7차 교육과정에서 축소된 실과 교과가 3, 4학년에 다시 교육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 보다 의복을 정리․정돈하는 습관이 낮으므로 학교와 가정에서 스스로 옷을 정리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지도하여 의복 관리 습관을 지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기본생활습관, 의복 청결, 정리․정돈, 의복 관리, 의생활교육

      • 농촌지역 노인의 생활습관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권인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with a purpose to develope a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elevat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in the agricultural area, and accordingly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to establish social welfare policies, which is related with developing an integrated resource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And all these were enabled with identifying health improvement factor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effect of living habits of elders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the agricultural area. Therefore, the study was carried out ahead to determin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health condition depending 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nior population, and at the next step the relationship of living habit and health condition was analyzed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of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To carry out the analysis total 290 subjects spreaded around 10 villages in 4 counties of Jeonlabukdo province were interviewed from July 8 to August 10, 2007, and among them informations of 289 subjec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general features of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area appeared as follows: men are 33.6%, women are 66.4% which is twice as much as men, and among them 70-74 year old women are the most by 30.1%. In the matter of presence of spouse, 48.1% of subjects had spouse, and 51.9% didn't. And 48.1% of subjects had no formal education, and 70.9% were having religion. In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sufficient was 41.5%, and insufficient was 59.5% indicating more subjects think they are economically difficult. The analysis for the differences in health condition depending on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resulted as follows: First,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nior citizens' depression level, were age, presences of spouse and religion, experience of education, and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That is, people who do not have a spouse appeared significantly depressed comparing to ones do, likewise, groups having no religion significantly depressed to those have, groups having no formal educational experience significantly depressed to those have, and groups economically insufficient significantly depressed to those sufficient. In terms of age, late six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late seventies and over eighties, respectively, in the depression level. Seco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enior citize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educational level, age, presences of religion and spouse among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In detail, spouseless groups show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gnificantly low comparing to spoused group, as such, groups without a formal educational experience significantly low to groups with, and groups regarding themselves poor significantly low to those don't. In terms of age, all three age classes, late sixties, early seventies, and late seven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ver eighties, and late six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late seventies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ird, characteristics exhibi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ronic disease rate are sex, presence of spouse, age, educational experience, and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In detail, women are significantly higher with chronic disease rate than men, as such, spouseless groups significantly higher than spoused groups, economically insufficient groups significantly higher than sufficient groups, and groups without a formal educational experience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s with. Age group of late six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late seventies and over eighties, respectively, and that of early seven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older than eighties in chronic disease rate. Finally, the relationship of senior citizens' living habits and their health conditions, which is the major subject of the research, was analyzed. At first, two models were constituted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a dependent variable. In the first model,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with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of the study subjects by deleting control variables. In the second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habits and dependent variables was analyzed with controlling the sociological variables of population. The reason of establishing the analytical process with two models is because individual living habits and health conditions previous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of the study subjects. Study results of the second model with controlling the sociological factor of population are as follows. Firstly, living habits exert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nior citizens' depression were dietary habit, stress management habit and exercise habit. The degree of depression decreased significantly as individual living habits, which are dietary habit, stress management habit, and exercise habit, improved. Secondly, the living habit show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nior citizens' daily living activities appeared exercise habit. As exercise habit deteriorated, senior citize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clined as well. Thirdly, living habits hav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hronic disease rates were appeared drinking and exercise habits. As drinking and exercise habits became worse, chronic disease rates resulte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search resulted as above might lead to propose practical and political suggestions, and implicate significant meanings. Firs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analyzed on the basis of experience to determine if the living habit might cause mental and physical diseases of elders, the living habit turned out to affect mental health of elders significantly in addition to physical health. Because of the reason, social servic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physical health of senior citizens, but an effort to accomplish a unified approach must be made towards inter-connecting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the future. That is, an examination of depression should be carried out when physical examination is performed in the health center.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needs to be provided by establish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center and the mental health center. Second, the senior citizens' drinking habit appeared to be linked with chronic disease rate. Due to the reason, it is urgent to put an effort for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area to change from the old drinking habit and to develope an educational program coping for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caused by drinking alcohol. Third, the depression level appeared significantly low as more exercise, stress management and dietary habits were improved. This is such a result of study showing that living hab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 important indicator of senior citizens' mental health, and that an approach to the senior citizens' health care needs to be started from the management of daily living. That is, it is needed to execute the living habit improvement program along with not only a supporting program of stress management and leisure activity but also a supporting program of nutrition and exercise for managing physical health. Fourth, a social welfare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which supports and activates a self-help group for emotional support and exercise management to assist weak senior citizens having a unbalanced dietary habit and no regular exercise.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pecial measure to improve health of a group exposed to habitual weak health under a poor economic condition after the spouse passed away. And not only an intensive management of bed ridden elders, but a management of elders who can have activities to improve their health even though they have serious health problems, are needed to be taken place at the same time. Fifth, the class with weak social support and poor economic condition among farm elders had a higher chronic disease rate and a lower activity of daily living. It is natural for farm elders with a greater poverty to show a decreasing rate of receiving health service. Therefore, it is needed to carry out actively a management service and a support of medical fee to the person with low social support and economic difficulties. Especially in order to change the disadvantage of agricultural area which may lack of contacting health information, and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comparing to the urban area, a strategy should be made through supporting an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ing the elders' house in the town, and through social support from civilian experts should be provid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Sixth,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elders to develop a motivation of improving living habit for themselves, even though establishment of a service system for senior citizens in the agricultural area is important. That i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terest to mental health as well as physical health, to help them know health problems originated from the distorted living habits through education, and more over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living habits from the worse. Further- 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ducational and the public information programs to improve their living habits for the class of younger generation who did not settle with firm living habits yet. Because this is also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the increasing burden of medical expenses, an integrated political plan should be proposed for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in the extended perspectives for nation's health.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생활습관이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건강증진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농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나아가 보건 및 복지서비스의 통합적인 자원개발과 관련된 사회복지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인의 생활습관과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노인의 우울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생활습관은 식생활, 스트레스 관리, 운동 및 활동 습관이었다. 즉 식생활, 스트레스 관리, 운동 및 활동 습관 등이 개선될수록 우울정도가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노인의 활동수행능력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생활습관은 운동 및 활동습관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 및 활동습관이 악화될수록 노인의 활동수행능력 또한 유의미하게 악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세 번째,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생활습관은 음주, 운동 및 활동습관으로 나타났다. 즉 음주습관과 운동 및 활동습관이 악화될수록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실천적, 정책적 제언 및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생활습관이 노인의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존의 서비스는 노인의 신체적인 특성에만 집중함으로써 정신건강 측면에 대한 지역사회내 개입프로그램 개발 및 관심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건강에 대한 이분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신체 및 정신건강을 연결하여 이해히고 고려되는 통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시 우울에 대한 선별검사를 함께 실시해야 하며, 보건소와 정신보건센터간의 긴말한 연계를 통하여 건강관리에 대한 통합적인 사례관리 서비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의 음주습관이 반성질환 유병률과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농촌노인들의 음주습관의 변화를 위해 음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위험에 대한 교율 프로그램과 함께 우리의 친교를 위한 습관성 음주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히 요구된다. 셋째, 노인 정신건강의 중요한 지표인 우울정도는 식생활, 스트레스 관리, 운동 및 활동 습관 등이 개선될수록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인의 건강에 대한 접근은 일상생활에 대한 관리로 부터 출발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노인우울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스트레스관리 및 여가활동 지원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신체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및 영양관리 지원프로그램 등 생활습관 개선프로그램이 병행되어 샐시될 필요가 있다. 넷째, 농촌노인을 위한 이러한 서비스 체계구축도 중요하지만 이와 함께 노인 스스로가 생활습관 개선에 대한 동기를 갖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올바른 개념 정립으로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노인상을 확립시켜줌으로써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생활습관이 고착되지 않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생활습관개선을 위한 홍보 및 교육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점차 증가하는 노년층에 대한 의료비 부담가중 및 개인의 삶의 질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국민의 건강에 대한 장기적인 시각에서 보건 및 복지에 대한 통합적이 정책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유치원 기본생활습관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홍성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 입학하여 5여 개월을 유치원 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기본생활 수행 정도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치원과 가정에서 약속이나 규범이 잘 지킬 수 있도록 상황에 따라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어떤 상황에서도 다른 사람에게 피해주지 않는 것을 생활화하여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생활습관 태도를 길러주며, 더욱 더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지도 중 청결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지도 중 질서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지도 중 예절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넷째, 유아 기본생활습관지도 중 절제지도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상남도에서 거주하는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유치원에서 하고 있는 기본생활교육의 영역별 수행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지를 부모와 교사에게 배포한 자료를 근거로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빈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검증을 실시하여 유의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결부분에서는 교사는 손 씻기가 잘 된다고 생각한 반면 학부모는 콧물이나 침 처리하기가 잘 된다고 결과가 나왔다. 안 되는 부분에선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옷을 단정하게 입기가 잘 되지 않는다고 결과가 나온 것을 보면, 청결 부분에서는 유아들에게 옷 입기 지도가 제일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같은 경우는 유치원에서 손 씻기 지도가 매일 이루어지고 유아들도 손을 깨끗이 해야 한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질서 덕목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신발 바르게 신기가 잘 되고 있다고 생각한 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교사는 사용한 물건 제자리에 정리하기이며 학부모는 입었던 옷 정리하기로 나왔다. 유아들의 인지 능력이 향상되고 교사나 부모가 반복하여 신발을 신을 때 주의를 주고, 바르게 신발 신을 때는 걷는데 불편을 느끼지 않아 유아들이 바르게 신발을 신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예절 덕목에서는 음식물을 손으로 먹지 않기가 교사와 학부모 모두가 잘 된다고 생각하였고, 유치원에서는 밥알을 남기지 않고 깨끗하게 먹기가 잘 안되며 학부모는 입 안에 음식물을 넣고 말하지 않기가 잘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유치원에서는 급식 시 음식을 남기지 않고 조용히 먹도록 주의를 주는 반면 가정에서는 자유롭게 음식을 섭취하므로 입에 음식물을 넣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절제부분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물을 사용한 후 잠그기가 잘 된다고 생각한 반면, 교사는 상황에 따라 목소리 조절하여 이야기하기가 잘 안된다고 하였고 학부모는 함께 사용하는 물건 아껴 쓰기가 안 된다고 하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학부모는 절제, 질서, 예절, 청결 중에서 청결 덕목이 제일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질서덕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는 청결이 제일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절제 점수가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하지만 각 영역에서 높은 점수가 많이 나오지 않는 것은 아직도 유치원과 가정에서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부족한 것으로 생각되어 기본생활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부모의 바람직한 지도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서 등이 개발되고 그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효과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basic life habit guidance for Kindergarteners whom have been in Kindergarten class for 5 months or more. In order to reach the goal for this report, the following inquiries have been researched. First, is there a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hen educating Kindergarteners about cleanliness? Second, is there a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hen educating Kindergarteners about orderliness? Third, is there a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hen educating Kindergarteners about behaviors? Fourth, is there a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hen educating Kindergarteners about self-control? In order to reach the goal for this report, a consensus about parents and teachers in Gyungsangnamdo has been researched. The SAS program was used to administer the basic life habit guidance consensus documents and surveys from the teachers and parents. To organize the frequency difference, x2 verification was enforced and the results have been analyz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from the research. First, in the cleanliness research, teachers thought the children were washing hands well but parents thought they were not doing it well especially when they have a runny nose. Both parents and teachers thought the children were not wearing their clothes right, and thus they need to be taught to wear clothes correctly. Second, in the orderliness research, both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wearing shoes was being taught well, but on the other hand, teachers thought the children were not organizing materials correctly and parents thought the children were not doing well with organizing their clothes. Third, in the behaviors research, teachers and parents both thought the childrenw ere doing well with not eating food with their hands. In Kindergarten class, the children were not doing well with eating all of their food and parents thought they were not eating with their mouth closed. Fourth, in the self-control research, both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the children turn off water after they use it, but teachers thought they do not control the loudness of their voice in different situations and parents thought they do not save their materials with necessities.

      • 만2세아 기본생활습관 실태에 대한 연구 : 부모와 교사의 반응 비교

        서미경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혼여성의 사회역할이 증가함과 동시에 유아교육기관의 역할이 커짐에 따라 부모의 역할과 함께 교사의 만 2세아의 기본생활습관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조사가 절실함에도 그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에 문제를 제기 하였다. 부모와 교사의 만 2세아의 기본생활습관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고, 만 2세아 기본생활교육의 영역별(예절, 질서, 청결, 절제)목표 및 교수방법 설정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만 2세아의 기본생활교육의 필요성 및 인식의 우선순위, 기본생활교육의 영역별(예절, 질서, 청결, 절제) 수행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지를 부모와 교사에게 배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부모와 교사 모두 만 2세아의 기본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기본생활교육에 있어 중요성과 그 일차적 담당자가 부모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본생활교육의 어려웠던 점으로 부모는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답했고, 교사는 부모와 의사소통 부족이라고 답하였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만 2세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돕기 위해 부모와 교육기관의 긴밀한 상호협조체계의 구축과 함께 학부모 대상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연구·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만 2세아를 위한 기본생활습관 및 교육에 있어 평정자의 특성에 따른 별도의 설문지 제작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만 2세아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해 부모와 교사가 상호 협력적 관계 아래 유아의 개별특성, 과거경험 또는 습관 등을 긴밀히 공유하고, 교사는 부모를 위한 기본생활교육의 지도목표와 방법들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 촛점을 두어 논의되었다. Even though the study about acknowledgement and attitude of 2-year old toddlers' basic life education is important with the increase in women's social role who have babies, there has been no systematic research of it. This study was done to observe parents' and teachers' attitude of toddlers' basic life education and to use its result as fundamental data for subdivided goals by fields such as courtesy, order, cleanness and moderation in the toddlers' basic life education. Both parents and teachers rated the importance of 2-year old toddlers' basic life education high and thought that parents must be the person in primary charge of the education. Most difficult point in toddlers' education was the ignorance of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 for parents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for teacher. This means that close cooperative system between parents and teacher and various program for parents are required to support 2-year old toddlers' basic life habit formation. It is required that separate evaluation items of toddlers' behavior be developed for teachers and parents each. Also, for toddlers' stable and systematic basic life habit formation,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and parents share toddlers'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particular experience and teachers provide parents with instructional goal and method of basic life education.

      •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미희 신한대학교 생활문화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기본생활습관과 또래관계 형성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은 유아의 또래관계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경기도 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D어린이집의 만 3세 유아 15명을 실험집단으로, E어린이집의 만 3세 유아 15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실험 집단에서는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기본생활습관과 또래 관계형성에 대한 연계 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서는 어린이집의 기본 표준교육과정이 진행되었다. 이 연구애서 사용한 도구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평가하기 위헤 강해주(2014)가 국립교육평가원(1995)의 평가도구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한 ‘유아 기본생활습관 평가도구(교사용)’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LaFreniere와 Dumas(1995)가 개발한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SCBE)를 안라리(2005)가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참고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총 13회기의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고 t검증을 통하여 사전-사후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하위영역인 청결, 질서, 예절, 절제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생활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활동이 기본생활습관지도에 있어서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고, 프로그램 적용기간 내내 유아들의 동기유발이 무척 용이 했으며 또래 관계에서도 친근감을 가지고 다가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보았으며,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생활그림책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써 그 활동 범위와 교육적 효용가치는 높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on the survey on a three-year-old infant how practical use of daily realistic fiction book through sharing story has an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 and basic life habi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research established following subject of study First, is the activity of daily realistic fiction book through sharing story effective on forming a life habits ? Second. is the activity of daily realistic fiction book through sharing story effective on making relationship of a group of infant of that age ? To inspect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e have selected 15 infants who are three years old in D kindergarten located in Yang-ju city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s a comparison group ( 15 infants ) which is in E kindergarten located in Yang-ju city. In experimental group, basic life habits with daily realistic fiction book and activity connected with peer relationship are carried out. On the contrary in comparison group, a standard curriculum of the kindergarten i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infant's basic daily habits. research tool which is used is 'evaluation tool of standards for infant's daily life ( teacher's manual ) ', which is amended and supplemented by Hae Ju Kang(2104) who uses evaluation tool of National Institu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1995). Also to evaluate the peer relationship, this study refers to a research tool which i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SCBE) developed by LaFreniere and Dumas(1995) translated by LaLi Ahn(2005) To verify the hypothesis, sharing the stories with daily realistic fiction book is conducted two times a week all 13 times.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s managed statistically using SPSSWIN 19 program, and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execution are compared through t verification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haring stories through daily realistic fiction book has positive effect on cleanliness, order, moderation which are subgroup of basic life habits. This fact shows the effect of instruction on basic life habits. Throughout experimental period, the infants have motivation themselves. And they get to know each other with affection .Second, The research results have a higher utility value and  the wide application range on the peer relationship and life habits with practical use of daily realistic fiction book through sharing story.

      •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엄세진 고려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라는 문화적 맥락과 아동기라는 특정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기본생활습관을 구성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본생활습관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측정도구 개발 연구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첫째, ‘구인의 탐색과 추출’에서는 전통 아동 교육서 및 ‘효’ 연구, 초등학교 교재, 기본생활습관에 관한 국내외 척도 그리고 사회의 일반적인 지각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자료를 통합하여 제작한 기본생활습관 척도 예비문항은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 그 내용을 검토 받았다. 둘째, 예비조사에서는 문항양호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본생활습관 예비 척도를 10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셋째, 본조사에서는 37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요인분석과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를 구하였다. 또한 84명의 자료를 가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을 구성하는 예비 요인은 14가지 구성개념 즉, 인사, 언어, 수신, 신의, 정직, 청결, 자율, 책임, 정리정돈, 절약, 건강, 효도, 규칙, 그리고 애국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집단의 의견통합과정을 통해 내용 타당도와 사회적 타당도의 증거가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죄종 46문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를 대표하는 요인으로는 질서, 정리정돈, 신의와 책임, 예절, 건강, 청결, 그리고 자율로 정리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내적합치도, 반분신뢰도, 그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Basic Life Habits Inventory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the preliminary Basic Life Habits Inventory composed of 142 questions which were developed through overall literature review of basic life habits and survey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basic life habits. Second, the preliminary Basic Life Habits Inventory(142 questions) were revised into 104 questions through two groups of experts’ consensus-seeking twice. Third, the preliminary Basic Life Habits Inventory of 104 questions administered to 1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pilot study. As the result of pilot study, 69 questions were selected. Fourth, the Basic Life Habits Inventory of 69 questions administered to 3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46 questions obtained. Factor analyses, Cronbach Alpha, split-half reliability, test-retest reliability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1. The preliminary Basic Life Habits Inventory were consisted of 14 subconstucts: Greeting, language, discipline, faithfulness, honesty, cleanliness, self-independence, responsibility, organization, frugality, health, filial piety, rule observation and patriotism. 2. Content validity and social validity were confirmed by two groups of experts. Construct validity of the Basic Life Habits Inventory were supported by the factor analyses. As its results, seven new constructs emerged: ‘Order-manners’, ‘organization’, ‘faithfulness and responsibility’, ‘manners’, ‘health’, ‘cleanliness’, and ‘self-independence’. 3. Reliability of the Basic Life Habits Inventory were examined by using Cronbach Alpha, split-half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reliability of the Basic Life Habits Inventory were ranged from .675 to .922 and the statistical index can therefore be considered to be large. These results confirmed the Basic Life Habits Inventory a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Korean Children’s Basic Life Hab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