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활체육 참가가 여가 및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경북 포항시 20세 이상 남녀를 중심으로

        최윤산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ife-time sport participation by residents of a provincial city on leisure time and life satisfaction. In detail, this study includes the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life-time sports, and leisure time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participation level in life-time sports. Inter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is included as well. Adults over twenty in Pohang city was sampled for this study by random cluster sampling.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is 450. 430 copies among them were collected, and only 400 copies were analyzed except 30 copies with deficient contents.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A, and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ajor result of the study is as below. 1) Sex, age, and family income influenced leisure satisfaction significantly when it was compared depending on back8round variables, while an academic background didn't make a much effect. 2) Academic career, age, and family income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when it was compare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But ag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3) I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and leisure satisfaction, it was examined based on dependent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al, rest, and physiological leisure satisfaction was greater in participants than non-participants. There weren’t meaningful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them.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and life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participant was greater than non-participant. So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5) Considering a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level in life-time sports and leisure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rest, and environmental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frequency, and in psychological, social, and rest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time. In addition,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intensity of participation. 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level in life-time sports and life satisfaction, frequency, time, and intensity of participation were proportional to satisfaction level. However, i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7)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showed that 6 sub-areas of leisure satisfaction all had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 생활체육 중국마라톤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주관적 행복감 및 참여지속 간의 구조적 관계

        팽의 창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체육 중국마라톤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주관적 행복감 및 참여지속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방법을 사용하여 중국 각 지역 생활체육 마라톤참여자 500명을 선정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거나 짧은 기간 동안 분석에 부적합한 자료 100부는 제외한 400부는 최종 분석에 활용했으며. 자료처리 방법은 SPSS. 25, AMOS.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생활만족도와(환경적 만족, 참가자생활만족, 사회적 승인만족)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참여지속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행복감과(생활사건, 성격요인, 활동참여, 주변 환경)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생활만족도는 주관적 행복감(생활사건, 성격요인, 활동참여, 주변 환경)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만족도는 참여지속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주관적 행복감은 참여지속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생활만족도는 사회적 지지와 참여지속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 지지와 참여지속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생활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은 각각 사회적 지지와 참여지속의 관계는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마라톤 참여자가 사회적 지지를 획득하게 되면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주관적 행복감을 통해 참여지속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and Participation Continuity of Chinese marathon participants. The study used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the subjects were 500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daily sports marathons in every region of China. Of the recovered questionnaires, 40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00 copies of insincere or inappropriate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e data processing method is SPSS. 25, AMOS. 23,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participant life satisfaction, social approval satisfaction). Seco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on continuity. Thir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happiness (life events, personality factors, activity participation, surrounding environment). Fourth,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Happiness (life events, personality factors, activity participation, surrounding environment). Fifth,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on continuity. Sixth, subjective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on continuity. Seventh,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Continuity. Eighth, subjective happiness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Continuity. Ninth,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Continuity, respectively.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marathon participants gain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which in turn can promote the continuation of participation through subjective happiness.

      • 몽골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ORJSUGDEG DAVAAKHISHIG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Study on the influence of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of Mongolia on life satisfaction DORJSUGDEG DAVAAKHISHIG (Advising professor : Hee Nyeon Ki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rapidly increases in Mongolia. Especially,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for satisfaction in daily life and health promotion increases. So, the good quality of leisure activities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of them is required. This study was willing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ho live in the city of Ulaanbaatar metropolitan city, Mongolia and examine the differences of life satisfaction along the leisure activity type of them.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leisure activities in the public organizations of 3 districts in Ulaanbaatar metropolitan city in their 60's and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2 months from November 2014 to January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if looking into the status of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by the object for investigatio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ies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most appeared to be hobby and refinement activities with the average of 3.15. It appeared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ies as the ones they did not participate in most with the average of 2.82. Second, as the results of t-test and ANOVA analysis against life satisfaction along independent variables, it was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was high as the education level of the elderly was high and health status was good. And it appeared that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r the religion was the highest for Catholic and it appeared high as the monthly income was high, but their life satisfaction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along sex, age and presence of spouse. Third, it appeared that the participation in service, religious activity, hobby and refinement activity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 as following. First, the activ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participation in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ies and hobby and refinement program, the active review and improvement of current leisure program are required by policy. Second, life satisfaction if the elderly should be raised by carrying out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program, service and religious activities, programs of hobby and refinement activities and service activity programs for socialization of the elderly human resources by the government. Third, a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managing leisure facilities was recognized in this study, the leisure activity facilities and programs that are inexpensive and suitable for physical property of the elderly should be supported institutionally. Key words : Life satisfactio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he elderly of Mongolia 국문초록 몽골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ORJSUGDEG DAVAAKHISHIG (지도교수: 김희년) 인제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몽골은 현재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의 만족과 건강 증진을 위해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양질의 여가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 울란바토르특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정도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란바토르특별시의 3개구의 공공기관에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으로 자료의 수집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월말 까지 2개 월 동안에 걸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여가활동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참여하는 여가활동 유형은 취미·교양 활동으로 평균 3.15로 나타났다. 노인들이 가장 참여하지 않는 활동은 봉사·종교 활동으로 평균 2.82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들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t-검증과 ANOVA 분석한 결과, 노인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교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천주교가 제일 높게 나타났고 월수입이 높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성별, 나이, 배우자 유무 등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셋째,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로는 봉사·종교 활동 참여, 취미·교양활동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책적으로 봉사·종교 활동 참여 및 취미·교양 활동프로그램의 적극적 개발과 보급, 그리고 현행 여가프로그램에 적극적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에서 노인복지관을 만들어 여가활동 프로그램과 교육, 봉사·종교 활동 참여 및 취미·교양 활동 대한 프로그램, 노인 자원의 사회화를 위한 봉사활동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이도록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여가시설 개발과 운영의 중요성을 확인한 만큼 저렴하고 노인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여가활동시설과 프로그램 실시를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생활만족도, 여가활동 참여, 몽골 노인

      • 노년기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조 석 미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노화 현상에 따라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노년기는 그 어느 발달단계보다 심리적 적응이 요구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신체적 기능과 더불어 인지적 기능이 쇠약해지고 가족과 지인들과의 사회적 관계도 소원해져 무력감과 고립감, 우울감 등 부정적 정서로 인해 정신건강에 취약해진다. 이는 일상에서 스트레스원이 되는 문제상황에 대해 부적응적 사고로 나타나며, 생활만족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 65세 이상 노인 404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노년기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자원으로서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성별과 연령, 최종 학력, 건강 상태, 거주 형태, 수입 및 여가, 자녀 유무와 같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노년기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 여가활동 참여, 사회적 지지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노년기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가족 스트레스, 경제문제 스트레스, 건강문제 스트레스는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실 스트레스는 생활만족도와의 영향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노년기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 중 가족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으며, 노년기 가족에 대한 의존성이 강해짐에 따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노년기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가족 스트레스, 경제문제 스트레스, 건강문제 스트레스는 여가활동 참여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상실 스트레스의 영향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년기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 중 경제문제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노년기 여가활동 참여에 경제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노년기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가족 스트레스, 경제문제 스트레스, 상실 스트레스, 건강문제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지지에서도 경제문제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어 사회적 관계망의 축소에 경제적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여가활동 참여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영향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여 노년기 스트레스의 대처자원으로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사회적 지지 또한 노년기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영향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여 노년기 스트레스의 대처자원으로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스트레스는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가족 구성원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가족 스트레스는 노년기의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생활만족도 증진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예방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노년기 스트레스는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지지를 위축시키는 부정적인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경제문제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분석되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복지지원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지지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처자원으로서 유의미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여가활동 참여와 사회적 지지는 노년기 스트레스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여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노년기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여가활동 참여, 사회적 지지와 관련한 후속 연구를 위해 상실 스트레스의 척도 개선과 여가활동 참여 지원 복지프로그램 참여자 대상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 생활체육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병학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lifestyle,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recreational sports. For this purpose, 365 sets of data from participants of life sports in public sports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style. Secon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Thir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gender, age, marriage status,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lifesty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The sports-focused and self- focused lifestyles affec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leisure-focused, goal-oriented, sports-focused, self-focused, and health-focused lifestyles affe c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 leisure-focused, goal-oriented, sports- focused, self-focused, and health-focused lifestyles affected educational sati sfaction. Biologic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 focused, leisure-focused lifestyles. Rest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health-focused, leisure-focused, spots-focused, and goal-oriented lifestyles. Psychologic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health-focused, leisure- focused, spots-focused, and goal-oriented lifestyles. Rest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focused lifestyles, and soci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health-focused, sports-focused, leisure-satisfaction, and self-focused lifestyles. Fifth, the lifestyles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ially signif 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sports-focused and self-foc used lifestyles affected life satisfaction. Sixth,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of life sports had a part 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st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affected life satisfa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만족 그리고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생활체육참여자들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이 질문지를 대상자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직접 응답하게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0년 3월 1일부터 2010년 3월 30일까지 약 1개월간에 걸쳐 이루어 졌다. 이러한 과정으로 총 400부의 질문지를 배포하여 390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39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5부를 제외한 365개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방법은 t-test와 one-way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절차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결혼유무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모든 라이프스타일 하위변수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연령에서는 50대가 건강관리추구형과 스포츠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월소득에서는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건강관리추구형과 스포츠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학력에서는 대학원졸업 이상에서 자아추구형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연령과 월소득에서는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자아추구형에서, 학력에서는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스포츠추구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여가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결혼유무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연령에서는 50대가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월소득에서는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여가만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과 학력에서는 여가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변인(성별, 연령, 결혼유무, 월소득, 학력)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월소득에서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가 생활만족도를 높게 지각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보였다. 그러나 성별과 연령, 학력에서는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이 없었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여가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만족에는 스포츠추구형과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적만족에는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스포츠추구형, 자아추구형 그리고 건강관리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다. 생리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여가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지향형과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심리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스포츠추구형, 목표지향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휴식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 자아추구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회적만족에는 건강관리추구형, 스포츠추구형, 여가추구형,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이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은 생활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포츠추구형과 자아추구형 라이프스타일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건겅관리추구형, 여가추구형, 목표지향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여섯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만족은 생활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적만족과 휴식적만족, 사회적만족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적만족, 생리적만족, 심리적만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생활체육활동이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일반인들이 여가활동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관련시설 등을 설치, 운영 등 노력과 함께 관련 생활체육프로그램의 보급 및 지도자 양성이 필요하고 아울러 홍보도 함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생활체육 활동과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이에리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생활체육 활동과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분석 규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생활체육 활동과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에 대한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생활체육 참가경험이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참여집단내에서 참가정도가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에 부가하여 생활체육 참가와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1996년 현재 대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체계적집락표집법(systematic cluster sampling)을 이용하여 참가집단 450명, 비참가자 463명 총 913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는 생활체육 참가와 직장인의 여가몰입,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에 관한 설문지로서 신뢰도 검사 결과 a=.665~.883으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타당도는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연구 목적 및 변인에 적합하게 작성된 질문지에 대한 응답결과를 자료로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기법은 공변량 분석과 단계별 중다회귀분석 및 경로분석 등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는 여가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집단이 비참가집단에 비하여 여가몰입이 높다. 2)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집단이 비참가 집단에 비하여 여가만족이 높다. 3)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는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집단이 비참가 집단에 비하여 생활만족이 높다. 4)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빈도 및 기간은 여가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빈도 및 기간이 높을수록 여가몰입이 높다. 5)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빈도 및 강도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빈도 및 강도가 높을수록 여가만족이 높다. 6)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기간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 기간이 길수록 생활만족이 높다. 7)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는 생활만족의 향상에 기여한다. 즉 직장인의 생활 체육 참가는 생활만족의 향상을 매개하는 여가몰입 및 여가만족을 통하여 생활만족을 향상시키는 간접적 인과관계가 있으나 여가몰입 및 여가만족은 생활만족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nd life satisfaction. Special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ticipants in sport for all on flow exper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degree in partipation on flow exper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in ,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mpoyee by a hypothetical model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port for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Subjects of this study are divided by two groups ; 450 participants and 463 non-participants by the systematic cluster random sampling. Statistic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MC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Based on the procedures and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warranted : First, the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of the employees has a influence on the flow experience. That is, the participants in sport for all of the employees is higher than nonparticipants in flow experience. Second, the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of the employees has a influence on the leisure satisfaction. That is, the participants in sport for all of the employees is higher than nonparticipants in leisure satisfaction. Third, the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of the employees has a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That is, the participants in sport for all of the employees is higher than nonparticipants in life satisfaction. For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has a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the higher flow experience. Fif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has a influence on the leisure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the higher leisure experience. Six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has a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degree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Seventh,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increases life satisfaction. That is, participation in sport for all have an indirect effects by increasing flow experi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mediating life satisfaction.

      • 생활체육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건강관련체력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안시 광장무 중년여성 참여자를 중심으로

        류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양화⋅고도화되는 중국 광장무 중년여성 참여자들의 광장무 참여동기와 건강관련체력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광장무 중년여성 참여자들의 보다 나은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는데 도움을 주고, 광장무라는 생활체육을 바탕으로 신체적, 심리적 차원의 학문적 가치와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체육의 중요성을 한층 더 심화할 수 있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중국⋅섬서성 서안시 지역의 광장무 중년여성 참여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21년 7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약 3개월간에 걸쳐 총 600명을 대상으로 단순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중 응답이 총 문항의 10% 이상 누락한 경우와 실제 분석에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불성실한 설문지 27부를 제외하여 총 573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장무 중년여성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건강관련체력 및 생활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참여자들의 연령에는 참여동기의 여가선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생활만족도에서는 열성, 책임감, 긍정성, 성취감, 생활만족도 전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생활만족도의 열성, 책임감, 긍정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월평균 수입에서는 참여동기의 가족지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건강관련체력에서는 신체질량지수(BMI)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경력은 참여동기의 사교지향, 여가선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건강관련체력의 근력, 유연성, 지구력, 신체질량지수(BMI), 건강관련체력 전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빈도에서는 참여동기의 자기개발, 여가선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건강관련체력의 근력, 유연성, 지구력, 건강관련체력 전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시간에서는 참여동기의 가족지향, 여가선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건강관련체력의 근력, 유연성, 건강관련체력 전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의 성취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장무 중년여성 참여자들의 참여동기는 건강관련체력에 영향을 미쳤으나,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다르다. 참여동기 하위요인 중 건강지향은 근력, 지구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교지향은 근력, 유연성, 지구력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개발은 근력, 유연성, 지구력에 영향을 미쳤다. 여가선용은 근력, 유연성, 지구력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가족지향은 건강관련체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장무 중년여성 참여자들의 참여동기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참여동기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다르다. 참여동기 하위요인 중 건강지향은 낙관적 태도에 영향을 미쳤고, 사교지향은 열성, 책임감, 긍정성, 낙관적 태도, 성취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개발은 책임감, 낙관적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가족지향은 열성, 긍정성, 성취감에 영향을 미쳤고, 여가선용은 열성, 책임감, 긍정성, 낙관적 태도, 성취감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건강지향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장무 중년여성 참여자들의 건강관련체력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관련체력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다르다. 근력은 열성, 책임감, 긍정성, 낙관적 태도, 성취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연성은 열성, 책임감, 긍정성, 낙관적 태도, 성취감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구력은 열성, 책임감, 긍정성, 낙관적 태도, 성취감에 영향을 미쳤고 신체질량지수(BMI)는 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광장무는 중년여성 참여자들의 보다 나은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는데 도움을 주고, 생활체육을 바탕으로 한 신체적, 심리적인 차원의 학문적 가치와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체육의 중요성을 한층 더 심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in China, which are diversified and advanced, and to help them enjoy better life sports, and to enhance the academic value and quality of life. For this research purpose, middle-aged female participants in Square Dancers in the Focusing on middle-aged women in Xi' an City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samples were taken from a total of 600 people over a period of about three months from July 2021 to September 2021. Among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s, a total of 573 copies were made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cases where more than 10% of the total questions were omitted and 27 unfaithful questionnaires deemed inappropriate for actual analysis.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random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2.0.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motivation, health-related fitness,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female participants in Square Dancers. Specif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of participants in the use of leisure motiv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n overall enthusiasm, responsibility, positivity, sense of achiev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nthusiasm, responsibility, and positivity of life satisfaction. In the average monthly inco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orientation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dy mass index (BMI) in health-related fitness. In terms of participation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orientation and leisure us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endurance, body mass index (BMI),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velopment and leisure motiv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endurance, and health-related fitness overall. In the participation ti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orientation and leisure motiv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health-related fitnes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iddle-aged female participants in Square Dancers influenced health-related fitness, but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s different. Among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health orientation affected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and social orientation affected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endurance. Self-development also affected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endurance. Leisure use affected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endurance.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family orientation did not affect health-related fitness. Third,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iddle-aged female participants in Square Dancer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but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s different. Among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health orientation influenced optimistic attitude, social orientation influenced enthusiasm, responsibility, positivity, optimistic attitude, and achievement, and self-development influenced responsibility and optimistic attitude. Family orientation influenced enthusiasm, positivity, and sense of achievement, and leisure use influenced enthusiasm, responsibility, positivity, optimistic attitude, and sense of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health orientation did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Fourth,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of middle-aged female participants in Square Dancer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but the relative influence of health-related fitness sub-factors is different. Muscle strength affected enthusiasm, responsibility, positivity, optimistic attitude, and sense of achievement, and flexibility affected enthusiasm, responsibility, positivity, optimistic attitude, and sense of achievement. In addition, endurance was found to have affected enthusiasm, responsibility, positivity, optimistic attitude, and sense of achievement, and body mass index(BMI) had an effect on sense of achievemen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middle-aged female participants enjoy better life sports, and Square Dancers can enhance the academic value and quality of life a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level based on life sports, as well as deepen the importance of life sports.

      •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 및 자아실현에 관한 연구

        왕녕 신한대학교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adjustment, colleg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actualization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Research Hypothes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ype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n college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test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o check the normality of the variables, skewness and kurtosi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and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screte-valued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variables of college adjustment, quality of life, self-actualiza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university environmental adaptati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gender.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ade, age, and time spent in Korea on the four facto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has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quality of life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actualizati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iffers depending on the frequency, time, and duration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Grade/Gend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iversity environmental adjustment,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actualization according to grade/gender and time of residence in Korea'. Improv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nd quality of life can enhance their self-actualization.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 자아실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가활동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 점을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신뢰도 검사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습니다. 대학적응, 삶의 질, 자아실현, 대학만족의 네 가지 변인 간의 이산값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공적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대학 환경 적응, 대학 생활 만족도, 삶의 질, 자아실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학년, 연령, 한국 거주 기간이 네 가지 요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항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에게 정(+)의 영향을 미친다’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삶의 질은 자아실현에게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여가활동 참여 유형은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도에서 조절효과가 있다’ ‘여가활동 참여 특셩(빈도/시간/기간)은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삶의 질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다’ ‘학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라 네 변수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다’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한국에서 거주 시간에 따라 네 변수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

      •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영실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인 기술인 리더십생활기술에 관심을 두었으며, 리더십생활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 고찰 및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청소년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개발과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의의를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57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SAS 9.1.3 XP플랫폼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계수(Cronbach`s Alpha), 분산팽창계수(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고, 티 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던컨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다소 많았으며, 학년별로는 고른 분포를 보였다. 성적은 중위권이 절반 이상이고, 리더십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절반에 가까웠다. 또한 심리적 변인에 있어서는, 5점 만점으로 하였을 때 자아존중감이 평균 3.54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3.68점, 상대적 생활수준 비교감은 평균 3.33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생활만족도의 일반적 수준을 살펴보면,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은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70.2점으로 양호한 편이며, 생활만족도는 평균 75.25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생활만족도 가운데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리더십생활기술과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적이 높을수록, 리더십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과 생활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의사소통기술에서만 여학생의 수준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생활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년에 따른 차이는 둘 다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심리적 변인에 따른 리더십생활기술과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상대적 생활수준 비교감이 높을수록 리더십생활기술 수준과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으나 자기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은 자아존중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에 따라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심리적 변인, 리더십생활기술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리더십생활기술은 생활만족도에 대한 다른 변인들에 추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특히 자기이해기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오히려 청소년들의 자기이해기술수준은 인간관계기술이나 의사소통기술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자기이해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중에서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는데, 이를 높여줄 수 있는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여긴다. 셋째, 성적과 더불어 리더십교육 경험은 리더십생활기술 수준과 생활만족도를 모두 높여줄 수 있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업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인 리더십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넷째,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이나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은 사회적 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다문화가정이나 시설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리더십생활기술 수준과 생활만족도를 측정하는 후속 연구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자아존중감 역시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으므로 청소년들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갖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한편, 경제적으로 생활수준을 낮게 지각하는 청소년들의 리더십생활기술과 생활만족도가 낮다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들에 대한 다각적인 관심과 대책 마련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다섯째,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에 대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 외에 리더십생활기술 변인을 추가하였을 때 설명력이 더욱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리더십생활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청소년의 생활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특히 청소년 시기에 높은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을 바탕으로 형성된 생활만족도는 일시적인 만족으로 그치지 않고, 성공적인 성인기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해주며, 생애 전 기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의 리더십생활기술 수준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청소년들이 더욱 주체적이고 긍정적으로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바람직한 관계형성과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리더십생활기술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모든 생활에서 만족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를 기대한다. Adolescence is a critical time for developing leadership. Developing leadership in adolescents can serve as a springboard for successful adultho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duce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development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and to examine positive variables that can enhanc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leadership life skills on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600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576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data screen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2.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d direct influence on adolescents`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These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comparatively important determinants of leadership life skills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leadership programs to enhanc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