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주홍락 釜山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외국의 시장상황과 국내업체의 동향을 파악해본 결과, 체내형 생리대 시장이 향후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급격한 성장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리고 체내형 생리대의 적합한 마케팅전략으로 체험마케팅을 선정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체험마케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체내형 생리대의 소비자 트렌드를 파악하고 생리대 시장 전반에 대한 실태분석과 함께 체험 마케팅에 입각하여 마케팅 믹스 전략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요약해 보면,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마케팅은 개개의 소비자와 그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그 틀은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토대를 이루는 '전략적 체험 모듈(SEMs)과 전술적 도구인 '체험제공수단(Ex Pros)' 두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진다. 제품과 브랜드 그리고 광고, 판촉, 홍보, PR, 인적 판매를 통합하여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토대를 이루는 '전략적 체험 모듈(SEMs)과 전술적 도구인 '체험제공수단(Ex Pros)' 두 가지 차원으로 체험마케팅의 전략적 전개과정은 요약된다. 이러한 체험마케팅에 입각하여 본고의 접근모형이 제시되었다. 둘째, 외국의 시장상황과 국내업체의 동향을 파악해본 결과, 체내형 생리대 시장이 향후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급격한 성장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된다. 이에 기존의 패드형 생리대와 체내형 생리대에 대한 현황분석을 하였다. 현황분석을 하여 본 결과, 체내형 생리대의 체험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데 있어서 가격 및 유통전략도 무시할 수 없는 부문이지만, 제품과 브랜딩 그리고 촉진전략이 보다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셋째, 현황분석 결과 발견한 주요 사실과 체내형 생리대의 체험마케팅믹스 전략의 대안을 본고의 접근모형에 입각하여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요약해보면, 이 논문에서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다분히 탐색적 성격이 강한 체험 마케팅에 관해 나름대로 이론적 고찰을 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현황분석을 통한 전략대안이 제시되었다. 생리대라는 제품의 특성상 초기 투자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사후 관리에는 비교적 비용이 적게 든다. 그러므로 초기 시장 진입 시 소비자의 체험 등 다각적이고 통합적인 차원에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여야 한다. 체내형 생리대의 경우 가치의 변화가 없는 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도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마케터는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사회 문화에 뿌리박힌 성(性)에 관한 소비자의 고정관념을 버리고 보다 편익을 주는 현명한 선택을 하도록 학교에서의 소비자교육과 더불어 기업의 광고, 홍보 등을 통한 설득 노력이 요구된다. Based on my research on the recent trends both of foreign and domestic markets, it is expected that market of tampon will tremendously grow within a few years. This study suggests experiential marketing as the most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n promoting tampon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alternative marketing mix strategy in introducing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by surveying consumer trends of the market of tampons and examining the theories related to the experiential marketing.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 First, experiential marketing heavily relies on psychology of an individual consumer and his social behavior pattern and will be executed on two level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SEMs) and Experience Providers(Ex Pro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SEMs) is a strategy of experience marketing that integrates product strategy, branding, advertising, PR, and sales force. Experience Providers(Ex Pros) is a tactical tool. This study tries to mix these two modules. Secondly, in order to be ready for the explosion of future domestic market for tampon, I analyzed both pad type sanitary napkin and tampons markets. The result is that in promoting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SEMs) of tampons not the price and distribution strategy but quality of the product, branding, and sales strategy are more crucial elements.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I suggest an alternative experience marketing mix strategy for tampons that combines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SEMs) and Experience Providers(ExPros), based on my research on the current market. This thesis is rather an experimental and exploratory study that tries to suggest an alternativ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oretical explorations. Sanitary napkin industry characteristically requires large amount of initial investment but does not cost much in management. Therefore from the initial marketing stage, aggressive efforts to increase market share must be made by utilizing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integrating consumer's experiences. In order to use tampons without reservation, life style change is a prerequisite. It is thus marketer's prime task to educate consumers to get rid of their deep-rooted prejudice toward sex and to actively persuade them through advertising of the product and PR of the company. I hope this study could be a reference for more detailed future research and provide the marketers with new concepts and crucial strategies of experiential marketing.
필라테스 운동이 성인여성의 생리통, 신체균형, 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송보화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생리통 완화에는 약물요법과 함께 다양한 보존적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보존적 방법들 중 다양한 운동요법이 생리통 정도를 완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 중 필라테스의 생리통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2주간의 필라테스 운동이 성인 여성의 생리통 완화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필라테스의 생리통 완화 효과가 신체 불균형, 유연성 및 근력의 향상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COVID-19의 영향으로 본 연구는 예비연구로 실시되었으며, 2021년 4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생리통을 겪는 여성 10명을 모집하여 필라테스군(n=5)과 무처치 대조군(n=5)에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피험자는 서울특별시에서 거주하는 만 20세∼40세의 가임기 여성으로 당근마켓, 인스타그램, 페이스 북 등의 SNS를 통해 모집되었으며, 의료적 치료가 필요한 자궁의 질환이 없는 자로 제한하여 모집하였다. 총 18인이 지원하였으며, 지원 탈락한 8인 중 3명은 시간 조건의 불합치로, 나머지 5명은 자궁 질환 보유로 인해 탈락하여 최종 10인이 선정되었다. 필라테스군에서는 복부와 골반 근력을 강화하는 필라테스 운동을 회당 50분씩 주 2회, 12주간 총 24회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12주 무처치 기간 동안 평소와 같이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후 2021년 8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필라테스군과 동일하게 보상하였다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사전과 12주 후 생리통 정도는 visual analogue scale (VAS)로, 또한 생리 중 겪는 월경곤란증은 Cox menstrual symptom scale의 한국어 버전으로 평가하였고, 생리전증후군은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 (PSST)의 한국어 버전으로 평가하였다. 근력검사는 고관절 굴곡, 신전과 외전 시 대퇴부 근력을 디지털 소형 근육 측정기로, 요부 유연성은 좌전굴로, 신체 좌우 불균형 정도는 어깨와 골반의 좌우 높낮이 차이를 각도계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시 자료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는지를 검정하였으며,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닐 경우에는 집단 간 차이 또는 집단 내 차이가 유의한지를 비모수 검정인 Mann-Whitney U test 또는 Wilcoxon signed-rank test로 검정하였다. 정규분포 시 집단 간 차이 또는 집단 내 차이가 유의한지는 독립 t-test 또는 종속 t-test으로 검정하였고, 측정 시기와 처치에 따른 변화의 유의성은 반복측정 이원분산 분석으로 검정하였다. 일반적 특성, 생리 관련 특성과 사전 측정값의 집단 간 차이를 검정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측정이원분산 결과에서 VAS로 측정한 생리통 강도(p<.001) 및 월경곤란증 빈도(p = .07)와 정도(p = .09)는 사전·사후 변화정도가 집단 간 다르게 나타났다. 각 집단 내 변화가 유의한지에 대해 종속 t-test를 실시한 결과에서는 필라테스군의 경우 사전과 비교하여 12주 후 VAS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경곤란증 빈도(p=.07)와 정도(p=.06)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필라테스군의 PSST 단계 분포가 중등도 또는 중증에서 정상/경증 또는 중등도로 감소하였다. 반면 대조군은 VAS 및 월경곤란증의 빈도와 정도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견봉의 좌우와 전상장골극의 좌우 대칭 정도를 나타내는 어깨 경사와 골반 경사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어깨 경사와 골반 경사 측정치는 정규분포를 따르고 있지 않아서, 각 집단 내 변화의 유의성을 Wilcoxon signed-rank test로 검정하였다. 대조군은 사전·사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 필라테스 군에서는 어깨 경사(p < .05)와 골반 경사(p < .05) 모두 12주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어깨와 골반의 좌우 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셋째, 유연성은 필라테스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12주 후 사전·사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고관절 등척성 근력의 경우, 필라테스군에서 굴곡 시 측정한 오른쪽 대퇴 근력(p < .05)과 외전 시 측정한 왼쪽 대퇴 근력(p < .0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필라테스 프로그램은 생리통 정도와 월경곤란증의 완화에 효과적이고 어깨와 골반 좌우의 균형과 고관절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필라테스 프로그램으로 인한 신체 균형과 근력 향상이 일정 부분 생리통 완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또한 본 연구는 생리통 완화에 코어와 골반 근육의 강화가 도움이 된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에 신체의 균형과 하지근력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추가함으로써 생리통 완화에 더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ilates is effective in alleviating menstrual pain and menstrual difficultie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econd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ief of dysmenorrhea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postural alignment, pelvic muscle strength, and back flexi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with small sample size because the recruitment process of study subject was expected to have difficult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en women with menstrual pain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Pilates experimental group (n=5) and the untreated control group (n=5). The Pilates group had a total of 24 Pilates sessions for 12 weeks. The Pilates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and consisted of a series of mat exercises designed to strengthen abdominal and pelvic muscles. At baseline and after 12 weeks, menstrual pain intensity and difficulties during menstruation (dysmenorrhea) were assess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Cox menstrual symptom scale (Cox), respectively. Premenstrual symptoms was measured by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 (PSST). In addition, shoulder and pelvic balance and back flexibility were assessed. The maximal isometric muscle strength during hip flexion, extension, and external rotation was evaluated using hand dynamomet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 between and within the groups was tested using 2-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nd paired t-test. When data was not normally distribute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within-group difference and Mann-Whitney U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between-group differenc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pilates group, pain intensity measured by VAS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frequency and degree of dysmenorrhea tended to decrease. In addition, the severity of premenstrual symptoms in the Pilates group de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AS, Cox frequency and degree, and PSST score. Shoulder and pelvic height differenc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12 weeks of intervention in the Pilates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suggesting improvement in shoulder and pelvic balance. Additionally, after 12 weeks back flexibil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both Pilates and control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the hip joi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right hip flexors and the left hip external rotators in the Pilates group after 12 weeks. In the control group, all measures of muscle strength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he 12-week pilates exercise seems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menstrual pain and menstrual difficulties improving misalignment of the body and muscle strength of hip joint.
오미자차와 건강차의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 함량 비교
본 연구에서는 식약공용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오미자와 건강을 대용차로 음용 시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변화를 비교하였다. 오미자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을 건강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6-gingerol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정량하였다. 오미자와 건강의 원산지별 생리활성 물질 함량을 메탄올 추출로 확인한 결과 오미자는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합이 국산 오미자 11.4 mg/g, 수입산 오미자 10.1 mg/g로 국산 오미자가 더 높았고(p<0.05), 건강은 6-gingerol 함량이 국산 건강 6.8 mg/g, 수입산 건강 6.6 mg/g으로 함량 차이가 없었다. 오미자차의 1회 분량인 오미자 1 g을 물 100 mL에 추출형태(원형, 분말), 추출온도(26℃, 60℃, 100℃), 추출시간(26℃: 10분, 30분, 6시간, 12시간, 24시간/ 60℃와 100℃: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을 달리해 추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6℃ 침출에서 분말형태 오미자차 추출물의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함량은 24시간(5.54 mg/g) 이상 침출에서 다른 추출시간과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왔고(p<0.05), 원형 오미자차 추출물은 모든 추출시간에서 0.1 mg/g 이하의 함량을 나타냈다. 60℃ 열수 추출에서 분말형태의 오미자차 추출물은 추출시간 5분(2.94 mg/g)을 제외하고 모두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함량이 4.50 mg/g 이상이었고, 원형 오미자차 추출물은 모든 추출시간에서 0.3 mg/g 이하였다. 100℃ 열수 추출에서 분말형태의 오미자차 추출물은 모든 추출시간에서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함량이 5.10 mg/g 이상이었고, 원형 오미자차 추출물은 1.0 mg/g 이하였다. 건강차의 1회 분량인 건강 1 g을 물 100 mL로 추출형태(절편, 분말), 추출온도(60℃, 100℃), 추출시간(60℃와 100℃ :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을 달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60℃ 열수 추출한 분말형태의 건강차 추출물의 6-gingerol 함량은 추출시간 10분을 제외하고 3.80 mg/g 이상이었고, 절편 건강차 추출물은 1.01 mg/g 이하였다. 100℃ 분말형태 건강차 추출물은 10분 이상 추출 시 6-gingerol 함량이 4.40 mg/g 이상이고, 절편 건강차 추출물은 2.84 mg/g 이하였다. 시중에 유통되는 가공차(오미자차와 생강차)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도 비교한 결과 가공차(오미자차)의 생리활성물질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함량은 고형차 평균 0.58 mg/1회 제공량, 액상차 평균 0.77 mg/1회 제공량이며, 가공차(생강)차의 생리활성 물질 6-gingerol 함량은 고형차 평균 1.80 mg/1회 제공량, 액상차 평균 2.80 mg/1회 제공량 이었다. 오미자차와 건강차의 생리활성 물질 함량을 추출조건에 따라 비교해 본 결과 오미자차는 오미자를 분쇄하여 24시간 이상 26℃ 침출 했을 때 생리활성물질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함량이 가장 높았고, 건강(생강)차도 분쇄하여 100℃ 30분에서 1시간 사이 열수 추출 시 생리활성물질 6-gingerol 함량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났으며, 분말형태의 오미자와 건강을 이용해 차로 추출 할 경우 평균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가공차보다 높은 오미자의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과, 건강의6-gingerol을 추출하여 음용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at the time of drinking Schisandra fruit and Ginger as the substitute teas. For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of the Schisandra fruit, schizandrin, gomisin A and gomisin N were measured, and for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of Ginger, 6-gingerol was measured with liquid chromatography. When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contents by the place of origin of Schisandra fruit and Ginger were checked with methanol extract, the total sum of schizandrin, gomisin A, and gomisin N for domestic Schisandra fruit was 11.4 mg/g and imported Schisandra fruit was 10.1 mg/g that the domestic Schisandra fruit was higher(p<0.05), and for Ginger, the 6-gingerol content for domestic Ginger was 6.8 mg/g and imported Ginger was 6.6 mg/g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s of the two. The result of extracting 1 dose of the Schisandra fruit tea, which is 1 g of schizandra fruit, in 100 mL of water by differing the extraction typ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are of the followings. The total contents of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of powder type in 26℃ leaching was the highest(p<0.05) as the leaching content of 24 hours(5.54 mg/g) showed difference with different times, and the contents of raw type Schisandra fruit tea was less than 0.1 mg/g in every extraction time. The powder type Schisandra fruit tea in 60℃ heating extraction was over 4.50 mg/g contents except the 5 minute(2.94 mg/g), and the raw Schisandra fruit tea was less than 0.3 mg/g. For 100℃ hydrothermal extraction, the powder type Schisandra fruit tea showed over 5.10 mg/g of contents in every time zone, and the raw type Schisandra fruit tea was less than 1.0 mg/g. The result of extracting 1 dose of Ginger tea, which is 1 g of Ginger, in 100 mL of water by differing the extraction typ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are of the followings. The 6-gingerol contents of powder type Ginger tea in 60℃ heating extraction was over 3.80 mg/g contents except the 10 minute, and the slice type Ginger tea was less than 1.01 mg/g. The 100℃ powder type Ginger is over 4.40 mg/g when extracted more than 10 minutes, and the slice type Ginger tea was less than 2.84 mg/g. When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of processed tea on the market was compared, the total content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s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of processed Schisandra fruit tea was the 0.58 mg/serving size of the powder tea and 0.77 mg/serving size of the liquid tea, and the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6-gingerol contents of process(Ginger) tea was 1.80 mg/serving size of the powder tea and the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6-gingerol of processed tea(Ginger) was 1.80 mg/serving size of the powder tea and 2.80 mg/serving size of the liquid tea. When contents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of Schisandra fruit tea and Ginger tea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extraction condition, the contents were higher in average than the processed tea on the market. For Schisandra fruit tea, the total contents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shizandrin, gomisin A, and gomisin N were highest when Schisandra fruit was grinded and leached in 26℃ for over 24 hours, and when Ginger tea was grinded and extracted in hot water of 100℃ from 30 minutes to an hour, the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 6-gingerol contents showed highest result.
방철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Psychophysiological detection of deception (PDD) is a traditional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 widely used by Korea’s 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However, Korean courts have not recognized the admissibility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aspects of PDD tests, reviewed the negative stance of academia and courts in Korea towards the admissibility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and presented a new perspective for the evidential value of PDD test results. First, academia has raised concerns regarding the absence of legal relevance of PDD tests. However, when PDD tests are conducted based on the active request or voluntary agreement of the subjects, it is difficult to argue that their human dignity, personality rights, and right to silence are infringed. Provided that this condition is met, this study recognizes the validity of approving the legal relevance of PDD test results. Second,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addressed the issue regarding the absence of factual relevance of PDD test results. Aside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Supreme Court of Korea mistakes issues on probative power for those on admissibility of evidence, this study analyzes that it is valid to approve factual relevance of PDD test results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is generally accepted in psychology that lying inevitably causes complex changes in a psychological state, such as fear of being caught, guilt, and pleasure derived from deceiving others. Second, researchers found that changes in a psychological state caused by lying led to a serie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such as respiratory, cardiovascular, and electrodermal reactions, which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honest individuals. Finally, several empirical studies reported that PDD test results showed high accuracy of approximately 90%. Recently, multiple cases showed that courts of lower instance adopted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of guilt. It is analyzed that such changes in the evaluation of evidence by Korean cour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creased reliability of PDD test, which resulted from constant long-term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DD test measurement methods and technology. PDD tests have been recognized as a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 and widely applied to solve criminal cases. In this regard, there is no reason for maintaining an excessively negative stance towards the admissibility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Rather, Korean courts must apply admissibility of evidence to PDD test results when PDD test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ctive request or explicit agreement of the subjects and when these tests satisfied certain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cognition of the admissibility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does not harm justice since the probative value of evidence shall be subject to the discretionary judgement of a judg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ree evaluation of evidence. Thus, this study recommends that Korean counts must approve PDD test results as scientific evidence instead of unconditionally ignoring their status as eviden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Korean courts must determine the use of PDD test results as evidence by examining the evidential value of these test results in each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of PDD test results as legal evidence, thereby providing practical support rational judgment of judges, promoting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and enhancing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for the public. 심리생리검사는 전통적인 과학수사 기법 중 하나로, 검찰, 경찰, 국방부, 국정원 등의 국가기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법원에서 그 검사 결과의 증거능력은 부정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심리생리검사 전반에 대해 개관하고, 심리생리검사 결과의 증거능력에 대한 학계와 법원의 부정적인 입장을 재검토한 후, 그 증거적 가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학계에서 제기하는 ‘법적 관련성 결여’ 문제와 관련하여, 피검사자의 적극적인 요구 내지 자발적인 동의에 의하여 검사가 실시되는 한, 인간의 존엄성이나 인격권, 진술거부권 등이 침해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심리생리검사의 법적 관련성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로, 대법원에서 제기하는 ‘사실적 관련성 결여’ 문제와 관련하여 - 대법원이 증명력의 문제를 증거능력의 문제로 오인한 점은 별론으로 하더라도 - 거짓말을 하면 필연적으로 발각에 대한 두려움과 죄책감, 속이는 즐거움 등의 복잡다기한 심리상태의 변동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심리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점, 거짓말로 인한 심리상태의 변동은 호흡 반응, 심혈관 반응, 피부 전기 반응 등 일련의 자율신경계 반응으로 이어져 진실한 사람들의 생리적 반응과 큰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이 연구 결과에 의하여 확인된 점, 다수의 실증적 연구에서 심리생리검사 결과가 90% 상당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심리생리검사의 사실적 관련성 역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최근에는 하급심 법원에서 심리생리검사 결과를 유죄의 인정 증거로 채택하는 사례도 다수 확인되고 있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검사 방법이나 측정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선⋅발전됨에 따라 검사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어 법원의 심증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결과로 생각된다. 심리생리검사가 과학적 수사기법으로서 인정받고 다양한 범죄 사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측면을 고려할 때, 검사 결과의 증거능력에 대하여 지나치게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오히려 피검사자의 적극적인 요청 또는 명시적인 동의에 의하여 검사가 실시되고 대법원에서 제시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였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증거능력을 부여하여야 한다. 심리생리검사의 증거능력을 인정하더라도 그 증명력에 대한 판단은 여전히 법원의 자유심증에 맡겨져 있으므로 정의가 훼손될 우려도 없다. 그러므로 심리생리검사 결과를 증거로서의 자격을 무조건적으로 박탈하기보다는 과학적 증거로 인정하되, 개별 사건에서 증거로서의 가치를 검토하여 증거 사용 여부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심리생리검사가 법정증거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법원의 합리적인 판단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실체적 진실 발견과 국민의 인권보호에 더욱 크게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가 비행청소년들의 신체·심리 및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추언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들에게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Social Engagement System, SES) 무용동작치료(Dance Movement Therapy, DMT)를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교정교육 현장의 여자 및 남자 비행청소년들에 있어 프로그램이 갖는 신체·심리와 생리적 연관성 및 프로그램이 소년원 환경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총 세 차례의 실험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차례의 사전연구와 한 차례의 본 연구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남자 비행청소년에게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SES-DMT)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신체·심리적 경험을 자기보고 형식의 사례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프로그램을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추후 연구를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데이터의 필요성과 여자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어서 두 번째 실험으로 여자 비행청소년들의 심리 및 수용생활기간에 따른 생리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그들의 주된 심리적 정서와 상관관계가 있는 적혈구(reb blood cells, RBC), 혈소판(platelet),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백혈구 내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의 기능을 3개월 전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 모두 특별한 프로그램을 하지 않고도 3개월 후에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p<.001, p<.05). 이는 여자 비행청소년들이 신체·심리적 활동이 제한되거나, 우울함이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적혈구와 헤모글로빈, 혈소판이 유의하게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몸과 내부를 연결하고 신경을 안정화시켜 미주신경을 활성화하는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DMT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여자 비행청소년들에 적용해봄으로써 신경생리학적, 심리치료적인 효과를 증대시키고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한다.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은 여자 비행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 8명과 대조군 8명으로 나눠 매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신체·심리적 변화는 Beck의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와 동작·심리변화분석으로 알아보았으며, 생리적 변화는 백혈구 내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의 기능과 세로토닌(serotonin), 코티솔(cortisol)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Design 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의 BDI는 사전에 매우 심한 우울상태였으나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사후 BDI 평균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사전과 사후에 매우 심한 우울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동작·심리변화 분석결과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 신체 중심(core)에 힘이 생겨나 스스로를 주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호흡의 안정화, 눈빛과 표정의 변화, 비언어적-언어적 긍정적 자기표현, 그룹원과 직, 간접적 상호작용 활동, 새로운 신경경로 활성화를 통한 교감신경의 안정화로 이완되고 자유로운 신체적 움직임 등의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식균작용을 하여 몸의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백혈구 세포 및 아형의 분석결과는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전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개입 이후 실험군의 호산구(eosinophil), 호염구(basophil) 및 호중구(neutrophil)의 수는 감소하여 통계적인 유의차가 발생하였다(p<.05). 실험군의 단핵구(monocyt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보이지 않았으나, 대조군의 단핵구는 사전보다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1). 넷째, 실험군의 세로토닌의 수준은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되었고(p<.05), 대조군은 전보다 후에 세로토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3개월 후의 세로토닌 수준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다섯째, 실험군의 코티솔은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개입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고(p<.05), 대조군은 전보다 후에 코티솔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적용 후에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p<.05). 결론적으로 신경생리학적 사회참여시스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여자 비행청소년의 우울과 신체 및 정서적 안정화, 정서조절, 사회적 관계 등의 심리적 요인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었으며, 백혈구 내의 아형(WBC cell and subtypes)들과 세로토닌, 코티솔의 신체·생리학적 요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백서 척수 후근 신경절에 존재하는 mechanosensitive two-pore domain potassium 통로의 전기생리학적 특성
최근 10여 년간 molecular cloning 기법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이온통로의 분자생물학적 특성이 많은 부분 밝혀졌다. 포타슘 이온의 항상성과 세포의 용적조절,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 분비, 세포막의 흥분성 조절에 관여하는 포타슘 통로의 경우 소듐과 칼슘통로에 비해 훨씬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포타슘 통로는 2개 혹은 4개, 6개, 8개의 transmembrane segments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Pongs, 1992; Wei et al.,1996). 구조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포타슘 통로는 포타슘 이온의 선택적 투과성에 관여하는 pore-forming domain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Heginbotham et al., 1994; Doyle et al.,1998). 가장 최근에 발견된 포타슘 통로는 두개의 pore-forming (2P) domain과 4개의 transmembrane (4TM) segments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Goldstein et al., 1996,1998; Lesage et al., 1996a; Wei et al., 1996; ). 최근 몇 년간 포유동물 세포에서 수종의 2P/4TM 포타슘 통로 (KCNKx)가 발견되었다. 클론된2P/4TM 포타슘 통로 중 몇 가지는 Xenopus oocytes 혹은 포유동물 세포주에 transfection 시킬 경우 기능성 포타슘 전류를 형성하며 이들은 주로 background 포타슘 전류의 특성을 보였다 (Fink et al., 1996, 1998; Lesage et al., 1996a; Duprat et al., 1997; Leonoudakis et al., 1998; Reyes et al., 1998; Chavez et al., 1999;). 일부 세포막에 발현되지 않는 것들은 세포내 기구에 존재하거나 발현되기 위해서 다른 요소들이 필요한 약리학 및 기능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esage et al., 1997; Pountney et al., 1999). 이종 세포에서 발현된 포타슘 통로들에 의해 나타나는 포타슘 전류는 전 범위의 막전압에서 활성화되고 매우 빠른 activation과 deactivation 과정을 보이며 시간에 따른 inactivation은 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러 종류의 조직에 분포하고 있는 양상으로 미루어 이들의 생리학적 기능 중에 하나가 세포의 안정막 전압을 유지하는 데 관여하리라 본다. 그러나 이들의 다양한 전기생리학적 및 약리학적 특성과 조절 양상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생리학적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2P/4TM 포타슘통로는 일차적인 구조와 아미노산 배열의 동일성, 전기생리학적 특성 등에 따라서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1) 전류-전압 곡선이 약한 inward rectification을 보이는 TWIK(Tandem of P domains in Weak Inward Rectifier K+ Channel TWIK-1, TWIK-2) 그룹(Lesage et al., 1996a, 1997; Chavez et al., 1999). 2) 세포외 pH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TASK(TWIK-related Acid-Sensitive K+ Channel, TASK-1, TASK-2, TASK-3) 그룹(Duprat et al., 1997; Reyes et al., 1998; Kim et al., 1999, 2000). 3) 전신마취제의 일종인 halothane에 의해 통로의 활동도가 억제되는 THIK (Tandem pore domain Halothane Inhibited K+ Channel, THIK-1, THIK-2) 그룹(Rajan et al., 2000). 4) 불포화 지방산과 세포막 신장에 의해 활성화되는 TREK(TREK-1 및 TREK-2; TWIK-related K+ Channel, TRAAK TWIK-related Arachidonic Acid-stimulated K+ Channel) 그룹(Fink et al., 1998; Maingret et al., 1999a, b; Bang et al., 2000) 등이다. 2P/4TM 포타슘 통로 계열 중에 TREK 그룹은 세포막 신장 (stretch)과 free fatty acids에 의해 활성화된다. 이들은 신경세포 및 심장, 평활근 등에서 발견되는 native mechanosensitive 및 fatty acid-sensitive 포타슘 통로와 동일한 것으로 생각된다. Native mechanosensitive 포타슘 통로는 1995년 Kim 등에 의해 hypothalamic neurons에서 처음 보고 되었으며, 전류-전압 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3가지(outwardly rectifying, linear, inwardly rectifying)로 구분하였고 이중 inwardly rectifying 전류가 가장 많이 기록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Kim et al., 1995). 이들은 세포막 신장과 낮은 세포내 pH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이들 포타슘 통로 중 outwardly rectifying 특성을 보이는 것은 TREK-1, inwardly rectifying 특성을 보이는 것은 TREK-2와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클론된 2P/4TM 포타슘 통로들에 대한 전기생리-약리학적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포막 신장 이외에 세포내 pH변화 및 높은 온도(Maingret et al., 2000), Riluzole(Duprat et al., 2000) 등에 의해서는 통로의 활동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인 docosahexaenoic acid와 linolenic acid을 사용한 실험에서 허혈시 발생되는 뇌조직 손상 방지에 TREK-1 및 TRAAK 통로의 활성화가 관여 할 수 있다(Lauritzen et al., 2000)는 것 이외에 아직 이들이 어떠한 생리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점이 많다. 클론된 이온 통로를 포유동물 세포주나 Xenopus oocyte에 발현시켜 전기생리학적 특성을 관찰하는 것은 새로 발견된 이온통로를 연구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사용하는 세포주나 oocyte에는 발현시키는 이온 통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들의 조절기전을 연구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새로 발견된 이온통로의 조절기전 및 이들의 생리학적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온 통로가 발현되는 세포를 찾아서 직접 이온 전류를 기록하고 그 조절기전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척수 후근 신경절세포는 그 동안 이들의 생리학적 역할에 대해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고 또한 세포의 크기에 따른 생리학적 역할 또한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Bevan & Yeats, 1989; Menon-Johansson & Dolphin, 1993; Fan & Crain, 1997; Jordan & Devi, 1998). 그러므로 척수 후근 신경절에 이들 포타슘 통로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그 존재 양상이 세포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면 이들 포타슘 통로의 생리학적 기능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native 세포에 존재하므로 실제 세포내에서 작용하는 여러 가지 조절기전에 관해서도 좀 더 실제적인 접근이 이루어 질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포의 크기에 따라 그 생리학적 기능이 어느 정도 밝혀진 척수 후근 신경절 세포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에서의 2P/4TM 포타슘 전류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들의 전기생리-약리학적 특성을 관찰함으로써 지금까지 알려진 이들 세포들의 생리학적 기능과 연관하여 이들 포타슘 통로들의 생리학적 역할을 밝히는데 있다.
심리생리검사 증거능력 부여에 관한 연구 : 숨김정보검사 기법을 중심으로
김태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기술력의 발달은 과학수사의 발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중요한 사항이다. 더 나아가 법의 개정을 통하여 발전된 기술을 바탕으로 과학수사에 힘을 실어주는 것 또한 필요한 방안 중 하나이다. 어떤 특정 범죄 상황에서 증거 등이 불충분한 경우 용의선상에 오른 피의자들의 진술 확보는 상당히 중요하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용의선상의 피의자가 거짓 진술을 행할 경우 수사단계에서는 방향을 잘못 잡는 등 오류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며 이는 금전적 혹은 인적 자원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진화된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높은 정확도의 심리생리검사 기법 및 기기 개발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현대사회의 과학기술 발달은 인간의 심리적 기능과 신체 및 생리적 기능의 연관성을 밝혀주는 데 이바지했으며, 이 연관성을 토대로 심리생리검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심리생리검사는 검사 기법에 따라 사용 목적이 뚜렷하다. 특히 국내에서는 수사 절차상의 이유로 사건의 유형을 가리지 않고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한 비교질문검사 기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진술을 확보하고 그 진위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어떠한 증거능력으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수사에 있어 증거 등의 부족으로 용의선상에 오른 피의자들의 진술을 기반으로 수사가 진행되어야 하는 경우 진술의 진위를 가리는 일은 상당히 중요하다. 비교질문검사 기법을 통해 진술의 진위를 가려내더라도 이는 대한민국의 사법체계 내에서 증거로 활용될 수가 없는데, 그 이유는 여러 학설의 찬반이 여전히 충돌하고 있으며, 법관들이 판례에서 제시하고 있는 심리생리검사가 증거능력을 지니기 위한 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선 탄탄한 과학적 이론들이 뒷받침해 주어야 하나 비교질문검사 기법의 경우 여러 단점을 지적하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2000년도 초부터 새로운 검사 기법인 숨김정보검사 기법이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이 기법의 경우 탄탄한 선행 연구들과 이론이 뒷받침하고 있으며, 비교질문검사 기법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숨김정보검사 기법은 범죄 정보에 대한 기억을 탐지하는 기법으로서 비교질문검사 기법과는 다른 성질과 목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생리 변화를 측정한다는 이유로 거짓말탐지 목적인 비교질문검사 기법과 같은 틀에 갇힌 채 거짓말탐지검사라고 불리며 역시 법적 증거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숨김정보검사 기법의 개념을 명료히 밝혀 보고자 했다. 이를 토대로 가까운 미래에는 과학기술의 인증과 적법한 절차 및 진정성의 입증 등이 이루어져 법적 증거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현대사회의 범죄를 척결하는 데 적극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the key player related to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investigation. Moreover,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investigation with the advance technology through the revision of the law is the one of necessary points. In certain cases,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from suspects is critically important when the evidence is insufficient. However,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because suspects might give false statements during the investigation. This can easily lead to a misdirected investigation; which result in loss of time and resource. To overcome these problems, development of the PDD techniques and apparatuses, which can show high accuracy with advanced scientific technology, are still on the proces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has contribute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psychological func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 In addition, it has led to PDD based on this correlation. PDD has defined purpose depending on classification of test techniques. Especially, CQT technique has applied as a standard technique in Korea because of investigation procedure. CQT has some strengths that investigators can apply this technique to wide range of crime patterns and directly judge the truth of the statement; however, CQT has never admitted as an evidence in the court. In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six requirements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law for being treated as evidence have suggested several times. Unfortunately, CQT has not been enough to meet these requirements because of the CQT’s limitations. CIT has been spotlighted since early 2000s. This technique complements the weakness what CQT has and there are lots of advanced researches which can explain the CIT mechanism. Even though, CIT has another purpose that investigators detect the memory about clues at the crime scene from the suspects, not just for judge the truth of the statement, judiciary has regarded CQT and CIT as a just same PDD without classification of the techniques. As a result, CIT result also has never been considered as evidence by judiciary in the court. Therefore, I hope that this dissertation will transform judges’ awareness of CIT and provide a chance to reevaluate its value as legal evidence. Then CIT will be used as an active method to eradicate the modern crime challenge in the near future.
운동습관에 따른 노인의 생리학적 떨림, 악력, 인지기능에 대한 비교
김복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좌업생활을 하는 노인 집단과 신체활동을 하는 노인 집단의 생리학적 떨림과 악력, 인지기능 및 기능 체력을 비교하고, 생리학적 떨림과 인지 기능 및 악력과 인지 기능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65세 이상의 노인 24명을 대조군(Sedentary) 집단 12명과 신체활동이 활발한 노인(Physically Active) 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각 집단은 인지 능력 평가 설문지(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를 작성하였으며, 생리학적 떨림(physiological tremor)측정 방법은 가속도계를 양손 모두 안정 시, 1000g 아령을 측정할 손바닥 위에 올려 둔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시간은 안정 시, 1000g 아령 모두 1분 동안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체력 요인을 측정하였다. 체력요인에는 악력(grip strength), SPPB((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6분 걷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Physically Active 집단은 Sedentary 집단보다 안정 시 및 1000g 좌, 우측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3, P=.001, P=.002, P=.001). 악력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Physically Active 집단이 Sedentary 집단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인지 능력 평가는 Physically Active 집단이 Sedentary 집단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더 높았다. 인지 능력과 좌, 우측 악력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나(r=.117, r=.23; P=.585, P=.279), 좌, 우측 안정 시 및 1000g 아령 손목 생리학적 떨림 모두 인지 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524; r=-.508; r=-.505; r=-.458; P=.009, P=.011; P=.012; P=.025). 좌측 악력과 좌, 우측 안정 시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고(r=-.113; r=-.147; P=.599; P=.492), 좌측 악력과 1000g 아령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102; r=-.213; P=.635; P=.317). 오른쪽 악력과 좌, 우측 안정 시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고(r=-.067; r=-.164; P=.756; P=.443), 오른쪽 악력과 1000g 아령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r=-.137; r=-.334; P=.525; P=.111). [결론] Physically Active 집단은 Sedentary 집단보다 안정 시 및 1000g 좌, 우측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이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인지 평가 점수에서도 Physically Active 집단이 Sedentary 집단보다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인지 능력 평가와 안정 시 및 1000g 좌, 우 손목의 생리학적 떨림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생리학적 떨림과 인지기능의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고하였고, 생리학적 떨림은 추후 노인의 인지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용어: 노인, 신체활동, 생리학적 떨림, 악력, 인지 기능
중국 여성 생리대 브랜드의 새로운 패키지디자인 제안 : 한·중·일 생리대 패키지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In China, along with social progress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e social status of women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demand for aesthetics is also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the sanitary napkin industry is rapid, and the brand is divers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pack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isual element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s and to study the current brand status. is to presen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visual elements of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by selecting the top 5 sanitary napkin brands for 2020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proposed a new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Using the mind map, he created a new brand called 'Cledevie'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brands in terms of design, and suggested a package design with a clear brand strategy and direction.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nsumers living in first-tier cities, and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s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Likert scale, and cross-analysis, and the final proposal for the sanitary napkin package design was sele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sanitary napkin brands lack brand identity due to the conflict between modernity and conservatives. Second, according to the consumer surve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rand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purchasing behavior. It was also confirmed that color and illustration were two important factors in the package when purchasing a sanitary napki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onsumers prefer the image expression of 'Clear', 'Elegant' and 'Natural' more. Third, looking at the final package design proposal, the brand logo used sans serifs to mainly use English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as auxiliary formats to improve readability and internationality of Chinese brands. In order to remind consumers of the brand image and to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 brands, one of the English letters was modified with a leaf illustration. By embodying health and nature, consumers' empathy can be increased. T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with the brand, a harmonious tone-on-tone was used similar to the logo color, and the effect of color combination enhances the texture and vitality of the product, which helps to visually enhance the brand's appeal. In the illustration, we used the illustration of flowers and leaves on the front of the package, giving it a high-quality and healthy brand image. The image of flowers is closer to the tastes of female consumers, and intimacy with the brand is also increased. In the layout, a simple left and right arrangement was u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brand logo was applied to each side of the product to enhance brand power so that product information, functions, and size can be seen at a glance. The package container part was opened left and right using LDPE vinyls. It has the storage and practicality of the product itself as well as aesthe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female consumers place importance on sanitary napkin brands. At present, in a situation where foreign brands are leading the Chinese premium market,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promote the brand with a clear brand image so that new brands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in order to quickly occupy the marke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roduct that meets the needs of female consumers by segmenting the market, while constantly developing the package design of the product and identifying social phenomena and consumer trends to form a differentiated brand. Existing domestic sanitary napkin brands in China have not yet formed a prosperous identity and quality, but in a period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continuous growth of the premium market, if companies can seize the opportunity,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market competitiveness and gain opportunities for growt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value in terms of design when Chinese sanitary napkin brands enter the premium market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selected only 15 brands of sanitary napkin brands, and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were excluded, so the scope of the study wa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women were not considered, future research needs to further broaden the scope of the brand. 중국은 사회의 진보 및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 이에 따라 심미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 과학 기술의 발전에서는 생리대 업계의 발전이 신속하고 브랜드가 다양해 지는 동시에 패키지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 은 한· 중· 일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파악하고 현재의 브랜드 현 황을 연구하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고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생리대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 구는 한· 중 ·일 3국의 2020년 상위 5개 생리대 브랜드를 선정해 생리대 패 키지디자인의 시각요소를 비교 분석하며, SWOT 분석과 STP 전략 분석법 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통해 뉴 브랜드의 포지셔닝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새로운 생리대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해 디자인 측면에서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Cledevie'라는 뉴 브랜드를 만들었고 브랜드 전략과 방향성이 뚜렷한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1선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프로 그램을 활용해 빈도 분석, 리커트 척도, 교차 분석에 따른 소비자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생리대 패키지디자인 최종 제안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생리대 브랜드는 현대와 보수의 충돌로 브랜드 및 제품의 정 체성이 떨어지고 브랜드 차별성도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표현 방식 이 비슷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부족하다. 둘째, 소비자 조사에 따라 브랜드가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 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색채와 일러스트가 생리대 구매 시 패키지에서 중 요하게 여겨지는 두 가지 요소임이라는 것도 확인하였다 . 또 소비자들이 'Clear(깨끗함 )', 'Elegant( 고급스러운 )'과 'Natural(자연스러운 )' 의 이미지 표현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최종 패키지디자인 제안을 보면 , 브랜드 로고는 가독성을 높이고 중국 브랜드의 국제성을 높이기 위해 산세리프를 이용하여 영문문자 위주 로 하고 한자를 보조형식으로 사용하였다. 소비자들이 브랜드 이미지를 연상시키고 다른 브랜드와 차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영문 자모 중 하나에 나뭇잎 일러스트레이션을 변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건강과 자연을 구현하여 소비자의 공감을 높일 수 있다. 제품 색채는 브랜드와 일정한 연관성이 갖기 위해 로고 색채와 비슷하게 조화로운 톤온톤을 사용했으며, 색채 조합 의 효과로 제품의 질감과 생동감을 높여 시각적으로 브랜드의 매력을 높이 는 데 도움이 된다. 일러스트에서는 패키지 앞면에 꽃과 잎의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했고 고품질과 건강한 브랜드 이미지를 주었다. 꽃의 이미지가 여 성 소비자의 취향에 더욱 가까워지고 브랜드와의 친근함도 더해진다. 레이아웃에서는 앞면에 간단한 좌우 배치를 사용하였고 브랜드 파워를 높이기 위해 제품의 각 측면에 브랜드 로고를 적용하여 제품 정보와 기능, 사이즈 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패키지 용기 부분은 LDPE 비닐류를 이용 해 좌우로 열리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제품 자체의 수납성과 실용성은 물론 심미성까지 갖추고 있다. 결과에 따르면 여성 소비자들은 생리대 브랜드에 중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중국 프리미엄 시장은 외국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뉴 브랜드가 빠르게 시장을 점유하기 위해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확실한 브랜드 이미지를 갖고 효과적으로 브랜드를 홍보해야 한다. 시장 을 세분화하여 여성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만드는 한편 제품 의 패키지디자인도 끊임없이 개발하고 사회 현상과 소비자의 트렌드를 파 악하여 차별화된 브랜드를 형성해야 한다. 중국의 기존 국내 생리대 브랜드 는 아직은 성속한 정체성과 품질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지만 급속한 경제발 전 및 프리미엄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기에서는 기업들이 기회를 잡을 수 있다면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성장의 기회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를 통해서 향후 중국 생리대 브랜드가 프리미엄 시장으로 진출할 때 디자 인 측면에서 참고가치가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그렇지만 본 연구는 생리대 브랜드의 종류 중 15개 브랜드만 선택했으며 미국과 유럽 국가의 브랜드들은 제외되어 연구의 범위가 축소되었다 . 또한 중국 여성의 문화적 인 특성은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범위를 더욱 넓 혀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