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reptozotocin당뇨 유발 흰쥐에서 상엽복합추출물과 운동이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고영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상엽을 비롯한 혈당강하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마치현, 산수유, 귀전우, 옥미수, 산약 및 지모등을 혼합하여 생산된 상엽복합추출물제제를 이용하여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에 10주간 경구 투여하여 사육하며 일부 군에서는 운동을 병용시킴으로써 혈액과 간장 조직내 지질대사와 혈당강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종합적인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중변화에서 STZ-control군, MF-720군, HF-360군, MF-360+exercise군 및 MF-180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체중증가를 나타내었으며 MF-720군에서 가장 낮은 체중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평균 1일 식이섭취량 비교에서 STZ-control군을 포함한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STZ-control군 및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평균 1일 음수량 비교에서 당뇨가 유발된 STZ-control군을 포함한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6배 정도의 높은 음수량을 나타내었으며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로 인한 음수량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둘째, 장기무게를 체중 100g당 무게로 환산하였을 때 신장과 간, 폐 및 심장조직의 무게가 STZ-control군을 포한한 상엽복합추출물제제 (BRM-DM10) 투여군 모두에서 실험 전 기간에 걸쳐 정상군에 비해 상대적 중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간장과 신장의 무게는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췌장과 비장의 무게는 정상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상엽복합추출물제제의 섭취가 당뇨쥐의 내당능에 미치는 영향을 당내성시험 반응에 의해 관찰한 결과 정상군의 경우 15분 후에 혈당이 최고치에 달하였고 60분 후에는 다시 공복 시 혈당수준으로 회복되었으며 STZ-control군에서는 혈당이 60분에 이르러 최고치에 이르렀으며 90분 후에도 공복 시 혈당치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에 머물렀다. 상엽복합추출물제재 투여군에서는 30분대에 가장 높은 수준에 달하였으며 90분 추에는 현저하게 감소되어 거의 공복전의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MF-360군과 MF-360+exercise군에서 가장 좋은 내당능 효과를 보였다. 넷째, 혈 중 포도당 수준은 모든 실험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혈당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실험 6주 까지는 STZ-control군과 상엽복합추출물제제를 투여한 실험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 7주후부터 시작하여 STZ-control군과 비교하여 MF-360군, MF-360+exercise군과 MF-180군에서 유의적인 혈당강하효과를 보이기 시작하여 실험 10주 후에는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혈당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F-360+exercise군에서 가장 좋은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혈 중 인슐린은 정상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현저하게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혈 중 지질과산화 수준은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일곱째, 혈청 중 총 콜레스테를 수준은 STZ-control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상엽복합추출물제재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MF-360+exercise군에서 감소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HDL-콜레스테롤 함량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STZ-control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증가의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에 대한 총 콜레스테롤의 비는 STZ-control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머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토의 비율을 나타내는 동맥경화에 대한 위험성 척도를 말해주는 동맥경화지수 AI(atherogenic index)는 STZ-control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2배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여덟째, 혈 중 Hematocrit치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 중 단백질 농도는 정상군에 비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감소현상을 보였으며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다소 증가함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혈 중 AST 활성도는 STZ-control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77.1%의 유의적친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MF-720군, MF-360군, MF-360+exercise군, MF-180군에서는 STZ-control군에 비하여 각각 3.7%, 12.4%, 17.7%, 7.1%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 중 ALT 활성도도 AST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있으며 STZ-control군에 비하여 MF-720군, MF-360군, MF-180군에서 각각 5.2%, 18.6%, 24.1%, 12.8%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혈중 당화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한 결과, STZ-control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42.7%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아홉째, 간 조직의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STZ-control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28.1%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MF-720군과 MF-180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각각 4.5%, 8.0%의 감소를 나타내어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MF-360군과 MF-360+exercise군에서 각각 11.2%와 13.0%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 중 중성지방 수준은 STZ-control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MF-720군, MF-360군, MF-180군에서 STZ-control군에 비하여 각각 6.2%, 11%, 10.9%, 3.8%씩 다소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열째, 췌장조직의 광학현미경 소견을 H&E 염색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군의 췌장소도는 췌장에 산재성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췌장의 외분비부와 뚜렷이 구분되었고 대부분 구형과 타원형을 나타내었다. STZ-control군에서는 전체적으로 췌장소도가 위축된 소견을 보였으며 췌장 외분부와 뚜렷이 구분되어 있지 않았으며 췌장소도가 불규칙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어느정도의 췌장소도의 위축이 관찰되었으며 STZ-control군과 유사하게 췌장소도와 외분비부와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았으나 췌장소도에서의 공포변성이나 모양이 정상군에서와 비슷한 소견을 보였다. 열한째, 췌장조직의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 정상군에서 insulin 면역반응세포는 주로 췌장섬의 전반에 걸쳐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며 산재되어 관찰되었으나 STZ-control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췌장소도의 주변부위에서 중심부위에 이르기까지 인슐린에 양성으로 반응하는 beta 세포의 소실이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분포가 불규칙적이었다. 반면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는 STZ-control군에 비하여 면역반응세포가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8-10). Glucagon 면역반응세포의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 정상군에서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주로 췌장섬의 전반에 걸쳐 산재되어 관찰되었으며 가장자리 부문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STZ-control군에서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주로 가장자리 부근에서 많이 관찰되었으며 심한 탈과립을 나타내는 상태로 세포들의 윤곽만 관찰되고 중심부분에서 매우 적게 관찰되었다.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는 STZ-control군에 비하여 glucagon 면역반응세포들이 중심부분에서 일부 관찰되어 상대적으로 분포가 많아진 양상을 보였을 뿐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열두째, PAS 염색에 의한 심근조직의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정상군의 근섬유들은 명확하게 구분되었고 횡문들도 규칙적으로 잘 관찰되었다. STZ-conof군에서는 심근 근섬유의 위축과 소실, 섬유화 소견등이 관찰되었으며 근섬유들의 수종성 변화와 더불어 심근벽의 섬유와 섬유 사이에서 PAS 염색에 진한 핑크 빛으로 양성 반응소견을 보이는 부위가 많이 관찰되었다.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는 심근섬유의 위축과 소실, 섬유화 소견 등이 어느정도 관찰되었으나 STZ-control군에 비하여 PAS 양성 반응소견은 약하게 관찰되었다. 열셋째, 간조직의 광학현미경직 소견을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중심정맥 주변부와 문맥 주변부의 간세포에서 세포질이나 세포핵 및 동양모세혈 관등에 병리학적인 소견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간세포대의 배열도 매우 규칙적이였으나 STZ-control군은 간소엽의 중심대와 일부 중간대의 동양혈관이 확장되었고, 중심정맥 주변부 간세포대의 배열이 불규칙해졌으며 간세포들에서 세포질 내 공포가 관찰되었다.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는 STZ-control군에 비하여 간세포대의 배열이 비교적 균일해졌으며 세포질 내 공포도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H&E 염색 소견에서 볼 수 없는 간세포 내 다당류의 대사를 관찰하기 위하여 PAS 염색을 시행하여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서 중심정맥과 문맥 주변부 간 세포질 내에 붉은 보라색의 PAS 양성 과립이 조밀하게 분포하여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STZ-control군은 중심정맥 근위부에서부터 원위부에 이르기까지 전소엽에 걸쳐 약한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들이 분포하였고 전체적으로 저장 다당류가 소실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는 중심정맥과 문맥 주변부에서 정상군에서와 같은 강한 PAS 양성반응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STZ-control군에 비하여 중심정맥 근위부에서 원위부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강한 PAS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열넷째, 신장조직의 H&E 염색 결과, 정상군에서는 신소체에서 뚜렷한 Bowman's space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STZ-control군에서는 사구채의 비대가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한 신소체 내의 Rowman's space가 감소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는 STZ-control군에 비하여 사구체의 비대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Bowman's space도 STZ-control군에 비하여 일정하게 관찰되었다. PAS 염색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사구체간질(mesangium)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고 신장 사구체에서 균일한 두께의 사구체 기저막이 잘 관찰되었다. STZ-control군은 사구체 맥관막세포(mesangial cell)의 증식과 PAS염색에 강한 양성을 보이는 사구체간질의 증가를 동반하여, 사구체 기저막의 광범위한 비후가 관찰되었으며 신세뇨관의 위축과 간질 섬유화의 증가 등과 같은 당뇨병성 사구체 병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엽복합추출물제제 투여군에서는 사구체 기저막의 비후가 전반적으로 관찰되지 않고 어느 정도 완화되어 있음이 관찰되어 있었으나 STZ-control군에 비하여 뚜렷하게는 구별되지 않았으며 PAS염색 양성을 나타내는 사구체간질의 증가가 뚜렷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upplementation of multi-extracts of mori folium (MF) and of exercise on plasma glucose, lipid profiles and tissue differentiation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rats. Eight male Sprague-Dawley rats,4 weeks old,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nd were raised in the laboratory for 10 weeks. The animal groups consisted of a normal-control group, a STZ-control group, three STZ-induced diabetic groups supplemented ad libitum with various amounts of MF extracts (MF-720, MF-360, and MF-180 groups), and a STZ-induced diabetic group supplemented with MF-360 combined with exercise. In the normal-control group, glucose tolerance tests resulted in the peak blood glucose level being achieved in 15 minutes and a fasting blood glucose level being achieved in 60 minutes, In the STZ-control group, the peak blood glucose level was reached after 60 minutes and, even after 90 minutes, blood glucose shown at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compared to the fasting levels. In the groups supplemented with MF extracts, the blood glucose level peaked after 30 minutes of glucose challenge, and returned to the fasting level after 90 minutes; the MF-360 and MF-360+exercise groups showed the best levels of glucose tolerance. Blood glucose levels in the STZ-induced diabetic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normal-control group. However, after 7 weeks of supplementation with MF extracts, a significant lowering of blood glucose levels was observed in all groups supplemented with the MF extract. The best effect was observed in the group given MF extract combined with exercise. Compared to the normal-control group, blood insul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ll STZ-induced diabetic groups; however,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insulin was observed in the groups given MF extracts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The MF supplement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F supplementation group compared to STZ-control group. The ratio of HDL-cholesterol to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F supplementation group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The Atherogenic Index (AI) values in the MF supplementation group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STZ-control group. Serum AST and ALT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in the MF-supplementation groups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Total cholesterol level in the liver tiss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F-360 group and in the MF-360+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pancreatic islets of the MF-supplemented groups,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insulin-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In the MF supplementation groups, Bowman's capsules were clearly observed as hypertrophy of the glomeruli was not obvious. In the MF supplementation groups, a relative reduction in the hypertrophy of the basement membrane of the glomeruli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esangium were observed compared to the STZ-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upplementation of MF extract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has beneficial effect in improving plasma glucose, lipid profiles and tissue differentiation.

      • 상엽의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쥐에 대한 항비만 효과 : 항비만 효과

        한희정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791

        요 약 상엽의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쥐에 대한 항비만 효과 목표 Sprague Dawley Rat를 대상으로, 4주간 고지방식이와 함께 상엽을 투여하여 항비만 효과를 체중, 복부 지방크기, 부고환 지방크기, 랩틴, SOD 수치를 통해 알아본다. 실험방법 실험에서 사용된 상엽은 경희의료원 한방병원에서 구입하여 동결건조 분말을 얻어 사용하였다. 3주령 수컷 Sprague Dawley Rat로 4주간 사육하였으며, 정상군, 대조군, 절식군, 상엽 투여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10마리를 배정하였다. 정상군은 일반식이를, 정상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은 고지방식이를 투여하였다. 4주간의 고지방식이 및 상엽투여 후 실험군의 체중, 복부지방 및 부고환지방 크기를 측정하고, 실험 종료 후 Leptin, SOD 를 측정하여 각 군의 수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1. 30%절식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 억제 효과가 있다. 2. 상엽은 대조군에 비해 복부 지방 증가 억제 효과가 있다. 3. 상엽은 대조군에 비해 부고환 지방 증가 억제 효과가 있다. 4. 상엽은 대조군에 비해 랩틴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5. 상엽은 대조군에 비해 SOD 증가 효과를 나타낸다. 결론 상엽은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쥐 실험에서 복부 지방 크기 증가, 부고환 지방 크기 증가 및 랩틴 증가를 감소시키고, SOD함량을 증가시키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낸다. 키워드 : 항비만, 상엽, 고지방식이, 체중, 복부 지방, 부고환 지방, Leptin, SOD Abstract Anti-obesity effect of mori folium in obesity induced SDrats by high fat diet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Mori Folium on high fat diet treated rats. Mori Folium is a herbal remedy prescribed for edematous conditions and diabetes-like symptoms in traditional medicine, Methods Lyophilized Mori Folium extract was prepared by the pharmacy department of Kyung-hee oriental medical center. Three weeks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purchased and left undistrubed for a week in the animal facility. Rats were assigned to normal, high fat diet fed control, 30% caloric restriction fed with high fat diet(RD), and Mori folium treat with high fat diet (MF) groups. Each group was consisted with 10 animals each and dietary as well as Mori folium was given orally for 4 weeks.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as monitored weekly through the experiment. changes of abdominal and epididymal fat, serum Lepin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levels were measured after 4 weeks of treatment. Results Oral administation of Mori folium extract for 4 weeks showed following effects. 1. Reduced the volume of abdominal fat cells. 2. Reduced the volume of epididymal fat cells. 3. Decreased serum leptin concentration. 4. Increased serum SOD concentration. Also caloric restriction for 30% effectively reduced body weight gain compared to high fat diet treated control animals.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findings, Mori Folium extract has an anti-obesity effect on high fat diet treated rats. This effect is associated with fat mass, leptin serum levels reduction and increase of SOD serum levels. Keywords: anti-obesity, mori folium, high-fat diet, leptin, superoxide dismutase(SOD), body weight, abdominal fat tissue, epididymis fat tissue.

      • 상엽추출물이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흰쥐의 혈압, 혈당, 인슐린 및 대동맥 조직에 미치는 영향

        김인섭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727

        Objective Obesity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and coronary heart diseas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with mulberry leaves(Mori Folium) on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insulin levels and aortic endothelium in obesity induced SD rats by high-fat diet. Methods The extract from Mori Folium was made by the pharmacy department of Kyung-hee oriental medical hospital. The author raised Sprague Dawley male rat aged 3 weeks and classified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and the Mori Folium group. Each group has 10 rat. The normal group was administered normal rat food, but the others were administered high-fat diet. We measured blood pressure once a week. After 4 weeks we compared serum glucose, insulin and total lipid level, and evaluated aortic vascular(endothelial) pathologic changes. Results 1. Mori Folium has more inhibitory effect of hypertension(both of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an the control group. 2. Mori Folium has increased serum glucose and insulin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3. Mori Folium has no effect on endothelium of aorta. Conclusion The extract of Mori Folium has hypotensive effect on obesity progressing rats with high-fat diet. Key Words : Mulberry leaves, Mori Folium, Hypertension, Glucose, Insulin, High-fat diet. 목표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 질환 등과 많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상엽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고지방 식이로 비만유도된 흰쥐의 혈압, 혈당, 혈중 인슐린 농도, 대동맥 벽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실험에 사용된 상엽은 경희의료원 한방병원에서 구입하여 동결건조 분말을 얻어 사용하였다. 3주령 수컷 Sprague Dawley Rat로 4주간 사육하였으며, 정상군, 대조군, 상엽추출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10마리를 배정하였다. 정상군은 일반식이를, 정상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은 고지방식이를 투여하였다. 4주간의 고지방식이 및 상엽투여 후 실험군의 1주일에 한번 씩 혈압을 측정하였고, 실험 종료 후 혈당, 혈중 인슐린 농도, 대동맥 벽을 측정 및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 상엽추출물은 고지방식이 흰쥐에 대하여 혈압강하 작용을 보였다. 2. 상엽추출물은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당과 혈중 인슐린 농도를 높혔다. 3. 상엽추출물은 대동맥 혈관벽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상엽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되고 있는 흰쥐에 대하여 혈압강하 작용이 있다. 키워드 상엽, 고혈압, 혈당, 인슐린, 고지방식이

      • 桑葉 추출물이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이지은 暻園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95

        연구목적: free radical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들에 의한 산화작용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고 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항산화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桑葉 추출물의 항산화작용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총항산화능을 알아보고자 TAC(Total antioxidant capacity), TAR(Total antioxidant response)을 시행하고, 총페놀함량(Total phenolic content),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효과,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 총항산화능 측정 결과 TAC, TAR는 5 mg/ml 농도의 桑葉 추출물에서 각각 1.61 과 1.24 mM Trolox equivalents를 나타냈다. 2. 총페놀함량은 5 mg/ml 농도일 때 1.70 mM gallic acid equivalent를 나타냈다. 3. DPPH 소거활성은 50 %의 radical 소거활성에 필요한 桑葉 추출물의 농도는 2.29 mg/ml로 나타났다. 4. 10 mg/ml 농도의 추출물 첨가시, 무첨가에 비해 TBARS 농도가 감소하였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5. ROS의 측정 결과 추출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CF 형광도는 감소하여 ROS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이상의 실험결과 桑葉은 유의한 항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Mori Folium extract. Methods: Total antioxidant status was examined by total antioxidant capacity(TAC) and total antioxidant response(TAR) against potent free radical reactions. Total phenolic content, concentration of Mori Folium extract at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n lipid peroxidation, The effect of Mori Folium extract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was examined, too. Results: 1. TAC and TAR of Mori Folium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5 ㎎/㎖ were 1.61 and 1.24 mM Trolox equivalents, respectively. 2. Total phenolic content of Mori Folium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5 ㎎/㎖ was 1.70 mM gallic acid equivalent. 3. Concentration of Mori Folium extract at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hibited by 50 % was 2.29 ㎎/㎖ as compared to 100 % by pyrogallol solution as a reference. 4.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 on lipid peroxidation was examined using rat liver mitochondria induced by FeSO₄/ascorbic acid. Mori Folium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10 ㎎/㎖ significantly decreased TBARS concentration. The extract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5. The effect of Mori Folium extract o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was examined using cell-free system induced by hydrogen peroxide/FeSO₄. Addition of 1 ㎎/㎖ of Mori Folium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dichlorofluorescein (DCF) fluorescence. The extract caused concentration-dependent attenuation of the increase in DCF fluorescence, indicating that the extract significantly prevented ROS generation in vitro. Conclusion: Thus antioxidant effects of Mori Folium extract seem to be due to, at least in part, the prevention from free radicals-induced oxidation, followed by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 Whitening Effects of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after Fermentation and Heating :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의 발효 및 열처리 후의 미백 효능에 관한 연구

        Park, Seo-Young The Graduate School of Daegu Haany University 2009 국내석사

        RANK : 247673

        Objectives: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are all from Morus alb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effects of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after fermentation and heating. Methods: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respectively; no-fermentation and no-heating, no-fermentation and heating, fermentation and no-heating, fermentation and heating. We examined tyrosinase activity, DOPA oxidation and melanin contents to compare the effects among groups. Results: In tyrosinase activity, DOPA oxidation and melanin contents, heating and fermentation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main. Especially, melanin contents of fermented and heated sample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blank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with fermentation and heating methods can be used for the better whitening effects in abnormal skin pigmentation diseases. 목적: 상지, 상백피, 상엽은 모두 뽕나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의학에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왔다. 최근 이들의 미백효능이 발견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 침착은 자외선에 대한 정상적인 방어기전이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색소침착은 심각한 미용적 문제를 가져온다. 최근 약침이 피부 미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발효와 열처리는 최신의 미백화장료의 경향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이 발효와 열처리 후에 피부 미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상지, 상백피, 상엽을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1) 비발효, 비열처리, 2) 비발효, 열처리, 3) 발효, 비열처리, 4) 발효, 열처리. 이들의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가 대체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결론: 주근깨, 흑색종, 간반(肝斑) 등 비정상적인 색소 침착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 제조에 있어, 발효 및 열처리 방식을 적용하면 보다 나은 미백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상엽의 기능성 물질 이용과 식품화

        김용택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15

        최근의 양잠산업이 누에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개발에서 점차 뽕잎이나 오디 등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개발로 확대되면서 뽕나무의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노력이 배가되고 있고, 다양한 천연물에 대한 최근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안전성, 기능성, 안정성을 지닌 식품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지만 건강기능식품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은 쉽지 않다. 이에 뽕잎에 다양한 추출방법을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품첨가제로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였으며 관능평가와 식품첨가제로서의 뽕잎추출물에 대한 실용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추출방법에 따른 뽕잎농축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pH 5.0 내외의 약산성을 띤 연녹색의 추출물로서 주정추출물의 경우는 밝은 연녹색이나 열수와 당첨가추출 방법의 경우는 약간 어두운 연녹색이었다. 뽕잎냄새 정도는 20% 희석물 이상의 경우 대체로 뽕잎 냄새가 느껴지므로 제품 제조시 유의하여야 했으며, 추출 방법에 따른 회수율은 당첨가 추출법이 6.2cg/g로서 가장 높았다. 2. 열수추출방법으로 추출한 뽕잎농축액을 첨가하여 만든 우동면과 아이스크림의 관능평가결과 모두 3% 첨가구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제품의 기호도를 결정짓는 인자는 ‘색상’과 ‘조직감’이었다. 3. 주정추출방법으로 추출한 뽕잎농축액을 첨가하여 만든 우동면과 아이스크림의 관능평가 결과는 모두 2% 첨가구의 선호도가 높았는데 이는 뽕잎냄새가 타 추출법에 비하여 높았기 때문이라 판단되며, 제품의 기호도를 결정짓는 인자는 ‘색상’과 ‘외관’이었다. 4. 당첨가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뽕잎농축액을 첨가하여 만든 우동면과 아이스크림의 관능평가 결과는 주정추출법과 마찬 가지로 모두 2% 첨가구의 선호도가 높았다. 그리고 자체내의 당성분으로 인하여 첨가제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시럽 같은 제품으로 이용가능하다는 판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제품의 기호도를 결정짓는 인자는 ‘색상’과 ‘맛’이었다. The recent development of healthy supplementary foods using silkworm has expanded in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using mulberry leaves or mulberries, which has led to the increase in the efforts for effectively using the useful elements of mulberry trees; furthermore, the demand for safety and functional foods h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onsumers’ preference level of various natural substances, but developing functional food materials that satisfy the conditions of healthy functional foods is quite difficult. ?In response, functional foods were manufactured to sound the possibility of the sampling as a food additive after extracting the mulberry leaves, and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lberry leaf extracts as food additives were studi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The results of study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liquid of mulberry leaves acquired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turned out to be bright lime-green extracts with an acidity level of about 5.0 pH. The alcohol extract was bright lime-green in color but the extracts of hot water or sugar additives were slightly dark lime-green in color. The smell of grass can usually be smelt when the level of dilution is 20% or more, thus thi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manufacturing products, and the retrieval rate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was highest for sugar additives with 6.2cg/g. 2. The preference level of 3% additives of noodles and ice cream made of mulberry leaves concentrate acquired through the hydrothermal extraction method was high, and the decisive factors for the product’s preference level were "color" and "sense of organization." 3.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preference level of 2% additives of noodles and ice cream of mulberry leaves concentrate acquired through the hot water extraction method was high because of its relatively high grass smell compared to other extraction methods. The factors that decided the preference level of the product were "color" and "exter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