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연구

        최희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데 있어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지적되어 왔다. 학교 교육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교사가 필요하며, 이는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 음악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총 8개교의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시행되는 교육 과정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 인적 자원부의 「교원 양성 기관 현황」자료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의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기관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음악교육과가 설치된 사범대학 총 8개교의 2003학년도 요람을 수집하여, 대학별 교육 목표의 특징을 파악하고, 교육 과정의 내용을 편제와 내용 현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사범대학의 교육 과정 편제는 교양, 교직, 전공 교육 과정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지며, 교직은 교육 이론 과목과 교육 실습 과목으로, 전공은 교과 내용학 과목과 교과 교육학 과목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 과정 편제에 따라 이수학점의 편성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 인적 자원부에서 고시하고 있는「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및「기본이수과목」규정의 운영 현황과 전공 개설 교과목의 과목 수 및 학점 수 현황 등을 분석함으로써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의 내용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의 분석 결과에 근거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우리 나라의 음악 교사 양성 기관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음악교육과가 설치되어 있는 사범대학이 총 8개교(총 245명), 교직이수 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음악대학이 총 39개교-68개의 전공(총 261명)이며, 일반대학의 음악교육과가 총 1개(총 30명), 교사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이 총 50개교로, 이상 총 98개의 기관에서 음악 교사 양성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2.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목표를 분석한 결과, 모든 사범대학은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음악 교사의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범대학이 음악적 지식과 실기 능력의 배양과 교사로서의 자질과 사명감의 함양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 음악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개인적 자질과 음악적 능력 및 자질 그리고 전문적 자질 등 교사 양성 교육에서 제시하는 교육 목표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편제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교양, 교직, 전공 교육 과정의 이수학점은 대학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교양과 전공 교육 과정의 대학별 이수학점의 차이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 교육 과정 중 교과 내용학 과목의 비중이 컸으며, 반면 전공 교육 과정 중 교과 교육학 과목과 교직 교육 과정 중 교육 실습 과목의 비중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사범대학이 교육 인적 자원부에서 고시한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의 규정은 이행하고 있었으나, 「기본이수과목」의 규정은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교육 과정의 대부분은 교과 내용학 과목으로 되어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교과 교육학 과목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 교육 과정인 교과 내용학의 개설 교과목 수 및 학점 수를 분석한 결과, 전통음악 영역의 교과목은 서양음악 영역의 교과목에 비하여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 교육학의 개설 교과목 수 및 학점 수를 분석한 결과, 음악 교육학 영역의 교과목 과목 수 및 학점 수가 가장 많았으며, 서양음악 영역과 전통음악 영역의 순서로 교과목 과목 수 및 학점 수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이 현재의 교사 양성 교육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It has been pointed out through various researches that the role of a teacher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efficiency of school education, by the well-prepared teacher who can be professional through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 secondary music teacher training analyzing 8 colleges of education in korea. To clarify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rriculum in colleges of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status of training institutions of music teacher based on 『The state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ssued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lso this research analyzed the curriculum into courses and contents, and examined the objects of education of each college through their handbooks of the year 2003. The curriculum in colleges of education consist of liberal arts, major course, and teacher training course; major course consists of regular course subjects and educational course subjects, while teacher training course consists of teaching theory subjects and teaching practice subjects. This research accordingly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credits assigned to the three fields of the curriculum, and studied the fulfillment of the notificatio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the numbers of credits』 and 『General requirements』, and also studied the numbers of major courses and the credits of each college to clarify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music teacher for second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in colleges of music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on the training institutions of music teacher proved that 8 colleges of education opened courses of music education, while 39 colleges of music opened teacher training courses with 68 majors; 1 college opened the major of music education, and 50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licensed teacher opened courses of music education, summed into 98 institutions. Secondly, the study on the objects of the colleges of music education proved that these institutions aimed to train professional and distinctive music teacher, and emphasized the cultivation of musical knowledge and practical techniqu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s and senses of duty for music teacher. However they lacked in the contents of the objective of education presented in teacher training courses, such as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features, and musical ability for preparative teacher. Thirdly, the analysi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rriculum in colleges of education proved that the credits assigned to the three fields -liberal arts, major course, and teacher training course-of the curriculum of each college were out of balance; the disparity of credits assigned to liberal arts and major course was particularly distinctive depending on colleges. Colleges of music education tended to concentrate on regular course subjects, lacking in educational course subjects and teaching practice subjects. Fourthly, the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colleges of music education proved that almost all colleges of music education fulfilled the regulations of 『The subject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the numbers of credits』, while they did not tend to fulfill those of 『General requirement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st of the major courses were regular course subjects, relatively lacking in educational course subjects. Also the analysis on the numbers of regular course subjects and its credits proved that the numbers of traditional music subjects were considerably fewer than those of western music subjects; the analysis on the numbers of educational course subjects and its credits proved that subjects of music education and its credits were followed by those of western music and its credits, and by those of traditional music and its credit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urriculum in colleges of music education examined through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examine the status of teacher training, and to present a new direction in the curriculum for efficient teacher training.

      • 중국사범대학 축구선수 육성 방안 연구

        장국경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중국사범대학 축구선수 육성 방안은 학생들의 학습 효과와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사범대학 축구선수를 육성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6개 중국사범대학에서 소속되어 있는 모든 축구선수와 코치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배포한 설문지 중에서 회수되지 않았거나 부적절한 설문 응답을 제외한 코치 98개, 축구선수 432개로 총 530개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사범대학 축구선수 육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축구선수와 코치의 육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코치와 대학 축구선수는 축구 경기의 변화에 ​​대해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축구선수의 경기 수준 증진을 위해서는 축구 경기 능력에 대한 학생 선수의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코치가 학생 선수에게 고급 축구 개념을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 축구선수와 코치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그들의 발전에 대한 5가지 차원의 연구를 통해, 다른 학년, 다른 운동 등급, 다른 전공의 개인의 차이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중국사범대학이 고학력, 고수준 코칭 및 고수준 운동등급을 갖춘 코치를 영입하고 육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셋째, 대학 축구선수와 코치의 육성 상황에 기여하는 각 요인들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생모집 및 팀 구성, 문화 교육, 경기 운동 수준의 변화, 경기 운동 수준의 영향 요인, 훈련 보장 및 전체 교육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학 축구선수의 전반적인 육성, 학생모집 및 팀 구성, 문화 교육, 경기능력 및 훈련에 상당히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중국사범대학 축구선수 육성 프로그램은 주로 학교, 정부, 학생 선수의 3가지 측면으로부터 고려되고 제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학교 행정, 지원, 축구선수의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처럼 중국사범대학의 축구선수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정책, 교육 환경, 사회적 영향 등 다양한 변인에 ​​따라 육성 방안을 적시에 조정해야만 축구 인재 육성 목표에 보다 정확히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Promotion of Soccer Players in China Normal University Zhang,guoqing Major in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The Chinese Normal University soccer player development pla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learning effect and development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ways to foster Chinese professional soccer players. To achieve that goal, all soccer players and coaches from 26 Chinese Normal Universities were surveyed and Delphi surveyed by a group of 10 experts. A total of 53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udy, with 98 coaches and 432 soccer players excluding unrecovered or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o find ways to foster Chinese Normal University soccer players. The conclusion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a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college soccer players and coaches shows that coaches and college soccer players have different perceptions of changes in soccer games. The study identifi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performance of college football players, it is necessary for the coach to communicate advanced soccer concepts to student players while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their ability to play soccer. Second, through a five-dimensional study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footballers and coaches and their development, we confirmed tha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in different grades, different athletic grades, and different majors. It is very important for Chinese Normal University to recruit and nurture coaches with high education, high-level coaching and high-level athletic grades. Third,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contributing to the nurturing situation of college footballers and coaches has shown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tudent recruitment and team building, cultural education, changes in athletic levels, impact factors, training guarantees, and overall education. Fourth,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fostering of college soccer players, student recruitment and team formation, cultural education, competitive skills, and training. Fifth, the Chinese Normal University football player development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and enacted mainly from three aspects: school, government, and student athletes. This requires first,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and a shift in soccer players' thinking. In order to develop soccer players at Chinese Normal University, the goal of fostering soccer talent will be more accurately achieved only when various variables such as national policy,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cial impact are adjusted. Keywords: Chinese Normal University, University Footballer, Training Plan, Delphi Techniques

      • 중등영어과 임용시험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타당성 분석

        신혜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와 교사선발시험인 임용시험이 시대 흐름에 따른 변화된 영어교사의 역할을 수행해 낼 수 있는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고 선발하기에 적절한 교육과정과 시험으로 이루어져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을 영어기능, 영어교육, 영어학, 영미문학, 영미문화의 5개 영역으로 전공교과목을 분류·분석하고, 개선되어 실시된 2009학년도와 2010학년도 임용시험을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하여 이 둘 사이의 연관성을 찾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한 10개의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은 영어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과목수를 개설하여 교사양성이라는 목표에 맞게 사범대학의 전문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 변화된 교사의 역할을 고려해 보았을 때, 낮은 영어기능영역과 높은 영미문학영역의 전공교과목 비율은 이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영어기능영역에 더욱 많은 전공교과목을 개설하고, 영미문학영역의 과목 수를 줄이거나 영미문학관련 과목들을 영어교육영역과 연계하여 통합된 과목을 개설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임용시험의 개선이 이루어진 이후 치러진 2009학년도와 2010학년도의 임용시험을 분석해 본 결과, 영역별 출제문항의 비율이 두 해 동안 큰 차이 없이 출제되고 있어 개선이 이루어진 이 후 안정적으로 시험제도가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험문항의 내용도 전공지식과 관련된 문항뿐 아니라 일반영어실력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항들도 출제되고 있어 영어를 구사해 낼 수 있는 인재를 양성을 목표로 하는 변화된 교사역할에 맞게 예비교사들의 기본실력을 측정해 낼 수 있는 타당한 평가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평균비율과 개선된 임용시험의 영역별 평균비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교육과정과 임용시험 사이에 영어교육영역과 영어학영역처럼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는 영역들도 있었으나, 영어기능영역과 영미문화영역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는 둘 사이의 연관성이 낮음을 보여 주고 있다. 임용시험에서 먼저 변화된 시대에 따른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 제도나 시행방법 등의 부분에서 보완되고 개선이 이루어져 정착되고 안정화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 변화는 아직 미흡한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수한 영어 교사를 양성해 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 사범대학 학생의 교육과정 선택 경험에 나타난 학생 주도성의 의미

        신다연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래 사회에서는 교수자의 가르침을 받아 적는 수동적인 학습자가 아닌 수업의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나가는 주도적인 학습자가 요구된다. 이런 요구를 반영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주도성을 바탕으로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대학생, 그중에서도 사범대학 학생들은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 교과목으로 인해 교육과정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지 않은 실정이다. 대부분의 사범대학 학생들이 교직 진출을 희망하는 예비교원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들이 반성적이고 책임감 있는 행위 주체로 학습할 수 있도록 대학의 교육과정에서부터 주도성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 주도성에 기초한 사범대학 학생의 교육과정 선택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사범대학 학생의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주도성 경험을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선택과 관련하여 사범대학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생 주도성의 의미와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현행 대학 교육과정에서 사범대학 학생의 주도성은 어떤 양상으로 구현되고 있는가? 연구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서울 소재의 A 대학에 재학 중인 사범대학 학생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는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면담은 교육과정 선택에서 학생 주도성은 어떠한 의미와 특징을 가지는지, 학생 주도성이 발휘되는 양상은 어떠한지, 학생 주도성 경험 증진을 위한 개선 과제는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실시된 면담은 녹취하여 전사 자료를 만들었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범대학 학생에게서 발견되는 학생 주도성의 가장 큰 특징은 ‘선택과 결정의 주체’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선택과 결정의 주체가 자기 자신이라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타인보다 자신의 생각과 판단이 가장 많이 반영된 교육과정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을 뜻한다. 또한 학생들의 교육과정 선택은 행위 자체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특히 교육과정 선택에 반영된 사범대학 학생의 주도성에서 목적의식, 성찰, 책임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각자의 목적의식에 따라 교육과정을 선택하였으며, 자신의 학습 과정에서 자신의 목적과 행동, 선택과 방향성이 올바른지 스스로 되돌아보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함께 자신의 선택한 교육과정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해 책임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지고자 하였다. 이처럼 사범대학 학생들에게 학생 주도성에 기초한 교육과정 선택은 단순히 선택이라는 의미 자체로만 인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 주도성을 예비교원인 사범대학 학생에게 더욱 필요한 주요 역량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대부분의 사범대학 학생이 교직 진출을 희망하는 예비교원이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주도성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대학 교육과정에서 스스로 주도성을 경험하고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교사가 학생들이 주도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삶을 선택해나가는 과정에서의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사범대학 학생들의 주도성은 교육과정의 여러 범주에 따라 서로 다른 발현 양상을 보였다. 학생들은 전공 선택에서 주도성을 가장 크게 발휘하고 있었으며 교과보다는 비교과 활동에서 주도적인 선택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해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교과목이 대부분 정해져 있는 사범대학의 교과 교육과정 특성에서 기인한 결과이다. 또한 수업 내용을 주도적으로 선택한 경험은 많지 않았으며, 소수의 경험도 수업 중 진행되는 토론이나 논술문의 주제 선택, 수업 시연 등에 그치고 있어 수업 전반의 내용을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사범대학 학생의 교육과정 선택에서 주도성 발휘의 장애 요인은 교원자격증 취득과 관련된 규정으로 인한 ‘제도적 요인’과 정보의 부족에 따른 선택의 어려움이라는 ‘개인적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사범대학 학생은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해 요구하는 기준을 따라야 하므로 학생들은 자신이 이수할 과목을 주도적으로 선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범대학 학생들은 주어진 교육과정 내에서 제한된 선택을 보이며 소극적으로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문과 수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수업 내용을 선택하는 것에 부담감을 가지고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사범대학 학생의 주도성에 기초한 교육과정 선택은 자신의 생각과 판단이 가장 많이 반영되며, 선택이라는 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닌 목적의식, 성찰, 책임감을 수반하고 있었다. 이러한 주도성은 전공, 과목, 비교과 활동, 수업 내용 선택에 있어 다른 양상으로 발현되고 있었다. 또한 예비교원인 사범대학 학생에게 주도성은 중요한 역량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해 요구되는 기준과 정보의 부족에서 오는 선택의 어려움은 사범대학 학생이 주도성을 발휘하여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데에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사범대학 학생의 학생 주도성에 기초한 교육과정 선택 경험에 대한 탐색을 통해 학생 주도성이 가지고 있는 특징, 주도성의 발현 양상, 주도성 발휘의 장애 요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사범대학 학생의 주도성에 대한 탐색을 통해 예비교원으로서 사범대학 학생의 주도성 경험을 증진하기 위한 교원양성기관(대학)의 교육과정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수학교육과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범대학 위기론에 대한 고찰

        박인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대학구조조정이 대두되면서 청년실업이라는 사회현상을 반영한 취업률 중심의 대학평가제도를 실시하였다. 1995년 5월 31일 교육개혁안이 발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설립준칙주의가 도입됨으로써 대학 설립과정의 간소화가 실현되었다. 이로 인해 대학의 수가 급증하여 현재 대학구조조정이라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저출산이라는 사회현상으로 인해 고등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대학구조조정은 불가피한 선택이 되었다. 그로 인해 교원양성이라는 특수 목적의 대학인 사범대학은 일반대학에 비해 현저히 낮은 취업률이 나타나면서 대학구조조정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이는 사범대학의 존폐위기로 다가왔다. 앞에서 언급한 대학구조조정뿐만 아니라 사범대학의 문제점은 근대적 사범교육이 시작된 이래 계속 나타났으며, 현재 사범대학의 문제점들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주요한 사범대학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통해 나타났던 문제점을 찾아보았고, 현재 신규교원임용제도가 도입되기까지의 과정과 오늘날 사범대학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사범대학의 문제점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었던 기존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의 위기에 대해 언급만 하는 것으로 그쳤으며, 위기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김병찬(2003)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기존 연구보다 구체적이고 각종 최근 자료와 설문지를 통해 문제점과 위기요인을 제시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첫째, 사범대학의 문제점이 갑자기 불거져 나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범대학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오늘날 사범대학의 문제점을 수학교육과의 관점에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교육과정, 불분명한 목표 등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현재에 처한 사범대학의 위기요인을 수학교육과의 관점에서 대학구조조정, 전임교원 부족현상, 약한 정체성, 기피현상, 정체된 교육과정 등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위기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등학교 학급당 학생수의 절감, 교육과정의 변화, 특화된 평생교육사 양성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관점에서 논의를 하였지만 이는 사범대학 전체의 위기로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문제점을 살펴보고, 위기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사범대학의 위기를 인식하여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Recent college restructuring emerged as the center of the employment rate reflecting the social phenomenon of youth unemployment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was carried out. University of restructuring was announced May 31, 1995 Education reform. Attention, the university established standards, has been introduced. Therefore, the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e University of restructuring issue occurred. University of restructuring was announced May 31, 1995 Education reform. Based on this, the University Established Normativsystem has been introduced. So,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ollege, college restructuring has occurred. In addition, due to the low birth rate, while reducing high school population the college restructuring was inevitable. As a result, all the schools are trying to escape from the Stale college, and the College of Education is no exception. Normal University, the special purpose of teacher training, but due to a significantly lower employment rates compared to the general university, college restructuring being considered. It Came to a crisis of survival, of the College of Education. College restructuring, as well as problem of College of Education, continuously appear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teacher education. The current problems of the University are being discussed. In this study, I looked for problems through a major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about college of education. I presented the course until the teacher recruitment system introduced, and today's problem of college of education. Existing research were a lot of discussion abou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but attempted about Byeong Chan Kim(2003) study crisis could not be found except. This researcher presented problem specifically, the various recent materials and through a questionnaire. That problems propose, an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curriculum, unclear goals. And through this propose new crisis factors. That crisis propose, university restructuring, full-time faculty shortage, weak identity, phenomenon evasion, and a stagnant curriculum.

      • 중등 영어교원 임용시험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강세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교원임용시험의 영어과 문항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영어교사의 양성과정과 임용이 얼마나 잘 연계되어 있는지를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중등 영어교원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영미문화 영역의 5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위와 같이 5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비중을 살펴본 후, 위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영어교원 임용시험 1차 문항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0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최근 5년간 실시된 중등 영어교원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연도별로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영미문화의 4대 영역으로 정하고, 출제 비율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5개년의 평균 비율을 산출 결과, 일반영어는 35.5%, 영어교육학은 34.6%, 영어학은 18.0%, 영문학은 9.7%, 영미문화는 2.2%의 비율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등 영어교원 임용시험이 일반영어 영역에 가장 높은 비중을 두고 출제되는 것으로 보아, 임용시험이 영어교사의 영어구사능력을 중요시하는 평가제도임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영어교육학 영역도 일반영어 영역 다음으로 높은 출제 비율을 보이고 있어, 이는 임용시험이 영어교육과의 전문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교수 능력을 중요시 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임용시험 제도가 개편된 2009학년도부터 출제 영역별 비율은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으로 나눠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2014학년도 개편된 임용시험 또한 이 비율을 비교적 맞추고 있었다. 따라서 출제 비율은 일정하지만 임용시험 제도가 자주 개편되므로 안정적인 임용시험 제도가 필요가 있다. 둘째, 전국의 광역시에 위치한 주요 국립대학교 3곳을 선정하여 A, B, C대학으로 정하여 각 학교별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영역을 분석하였다. 각 영역은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영미문화의 5개로 나누어 각 대학의 영역별 평균 비율을 분석한 후, 3개 대학교의 영역별 비율의 전체 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어교육학은 28.4%, 일반영어는 25.5%, 영문학은 24.0%,영어학은 19.2%, 영미문화 영역은 2.9%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면, 교육과정에서 영어교육학 영역과 일반영어의 비중이 다소 높은 것으로 보이나 영어교육과의 특성상 당연한 결과로 보이며 이는 영어교육과의 목표가 유능한 영어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두고 있어, 학부 교육과정 중 영어학, 영문학, 영어교육학 영역의 학습을 장려하고 있다. 즉, 영어교육과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기본 영어실력이 높을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일반영어 영역의 비율이 다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전문적인 영어교사의 실제 영어구사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으므로, 일반영어 영역의 비율이 높은 것은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영문학 영역의 비율이 높고 교과목들이 대부분 기본적인 이론 중심이며 영어영문학과의 교과목들과 겹치고 있는데, 영어교육과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기본 이론뿐만 아니라 교실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영어교육학과 접목시킨 영문학 영역의 교과목을 개설 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중등 영어교원 임용시험 문항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영미문화, 영어학, 영어교육학 영역은 비교적 연계성이 높은 편이었으나 영문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은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다. 이는 전국 광역시 소재에 있는 주요 국립대학교 3곳의 사범대학 교육과정 비율과 임용시험 문항의 비율,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전체 평균 비율과 임용시험 문항의 비율 간의 분석과 상응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수치상으로만 보이는 것이므로, 각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전반적인 특징이나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 및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력 있고 전문성 있는 영어교원 양성과 예비교원의 확충을 위해 중등 영어교원 임용시험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에서 개선하여야 할 점과 이 둘 사이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임용시험의 영문학 및 영미문화 영역에서는 각 영역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져야 풀 수 있는 문항, 또는 다른 영역과 구별되는 독창적인 특징을 가진 문항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영문학 영역의 이론 위주 교과목들의 비중은 줄이고, 2014학년도부터 변형된 답안 제출 유형에 맞추어 근∙현대 작품을 읽고 작문연습까지 해 볼 수 있는 교과목을 신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영어교육과의 특성에 맞게 영문학 영역의 교과목을 실제 교실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일반영어 영역이 중등 영어교원 임용시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더 심화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중국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 발전방안 연구

        강영실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적격하고 우수한 음악교사 양성은 사범대학 음악교육의 목표로서 음악교사에 대한 높은 자질 요구는 결국 교육에 대한 높은 요구이다.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의 필수 과목은 ‘피아노’ 이며, 피아노는 초·중교 음악수업에서 가장 기본적인 교육 수단이다. 따라서 사범대학교 음악교육 교과과정의 개혁에서 피아노 교육은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이에 본 논문에서 피아노 교과과정 발전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를 시작으로, 본 논문은 사범대학 피아노 교과과정 개혁의 필요성, 피아노 교과과정의 현황, 교과과정 발전방안에 대한 세 가지 부분을 연구하고 서술하였다. 먼저 호남사범대학(湖南师范大学), 수도사범대학(首都师范大学), 통화사범대학(通化师范学院), 동북사범대학(东北师范大学) 등 네 곳의 사범대학 교과과정과 교육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사범대학 피아노 교육의 기본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통화사범대학(通化师范学院), 서부사범대학(西部师范大学), 상해사범대학(上海师范大学) 등 세 곳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100명의 학생에게, 피아노 교과과정, 수업내용과 방식 등 세 분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현 상황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의 본론으로, 중국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의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모든 교과과정은 ‘반드시 학생을 근본으로 삼는다.’를 교육 이념으로, 피아노 교육은 학생 중심 수업으로 학생들의 개성과 발전이 존중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는 피아노의 기본 연주와 이론적 기초지식 교육뿐 아니라 학생의 심미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춰 연주의 미적 감각을 끌어내며 피아노 연주능력도 높여야 한다. 피아노 교과과정을 최적화하는 방안으로는 첫째, 실기 지도의 다양화다. 개인 레슨, 그룹 레슨, 단체 실기수업 등 세 가지 유형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수업형식을 제안하였다. 세 가지 실기 지도 유형에서 교사가 탄력적으로 선택하여 학생들의 다차원적, 다방면의 지식을 끌어내도록 한다. 둘째는 피아노실기 교과목의 다양화이다. 피아노는 서양음악사, 중국근대음악사, 반주수업, 사상정치 등 다른 과목과 연계하여 작품의 내재된 의미 및 연주 기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예술실천수업, 피아노 교육 실천수업, 초·중교 음악교재 노래와 피아노 반주 등 실천과목을 개설하여 사범대학생의 무대 표현력, 수업능력, 초·중교 과정 적응능력을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는 피아노 교육방법의 다양화로서 상황교육법, 상상력을 키우는 교육법 등 혁신적인 교육법과 전통 교육법을 접목해 교육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새로운 교과과정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피아노 교재의 다양화와 피아노 교육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제안하였다. 중국의 사범대학 음악교육전공 피아노 교과과정의 개혁은 한 번에 이루어질 수는 없다. 하지만 지속적인 개혁을 통해 국가와 사회가 원하는 훌륭한 초·중교 교사를 잘 육성해 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goal of the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s training student as qualified and excellent music teacher. Piano class is the compulsory course for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it is also one of the most basic educational means of music clas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refore, piano class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reform of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is thesis is intended on the study for the better plan of piano curriculum for music education. Starting with studying previous researches, this thesis provides the researches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the necessity of piano curriculum reform in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present status of piano curriculum in China and its restructuring pla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Honam College of Education, Sudo College of Education, Tonghua College of Education, and Northeast College of Education are analyzed. Also, the questionnaires on the piano curriculum,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in classes are surveyed to the students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ree colleges of education; Tonghua College of Education, Western College of Education, and Shanghai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restructuring plan of piano curriculum in music education major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China is presented. All courses should take “student-centered” as the educational concept with respecting students’ personality and interest. In addition, teachers should not only teach basic piano technique and music theory, but also focus on improving the student's aesthetic ability, so as to give the aesthetic sense in piano performance, which will make students improve their piano performance. The essence of this research is to optimize the piano curriculum. Firstly, diversify piano lessons. It is suggested to combine the 1 on 1 private lesson, group lesson and class lesson effectively. The teachers should choose these three types of lessons flexibly in order that the students can acquire multi-level and multi-dimensional knowledge. Secondly, diversify piano curriculum. The piano is closely related with western music history, modern Chinese music history, and piano accompaniment. The students can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ntrinsic meaning and performance techniques of musical works. Meanwhile, it is suggested to set up new practical courses, such as practical course in art, practical course in piano education, singing with piano accompaniment of music teaching materials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hese will help students to improve stage performance, teaching ability, middle school curriculums adaptability. Thirdly, diversify teaching methods. The teachers can combine the innova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situational teaching method and imagination-led teaching method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o improve teaching effect. Finally, in order to make these curriculum work on smoothly, it is suggested to enrich the piano teaching materials and to establish the database of piano education materials. The reform of piano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major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n China can’t be accomplished by one attempt. However, through continuous reformation, it is hoped that qualified and excellent music teachers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ill be fostered for the country and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