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삶과 적응에 관한 연구

        신예정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북한이탈주민들은 기존에 그들이 생활했던 사회주의 체제와는 상반된 자본주의 체제에서 생활하면서 다양한 차원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낮은 취업률, 불안정한 고용형태, 저임금 및 불안정한 수입원 등을 극복하여 경제적 안정을 이뤄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일체감을 형성해야 한다. 이것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얼마나 잘 적응하고 있는지 적응형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적응실태 및 지원현황을 포괄적으로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사회적응의 다양한 측면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고, 점차 증가하는 가족단위 입국자들의 다양한 특성 또한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 형태와 사회연결망 형태, 가족의 적응 형태를 구체분석하여 그들의 사회적응력을 제고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객관적인 상황과 그에 대한 본인의 주관적 평가를 살펴보고, 그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일차적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력 제고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이차적으로는 한국사람들이 북한이탈주민들을 이해하는데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사회적 삶(경제적 배경, 가족 형태, 사회연결망 형태)에 대한 부분과 사회적응 형태(경제적 적응 형태, 심리적 적응 형태, 사회적 적응 형태)에 관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부분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경제적으로는 주·객관적 모든 측면에서 부적응 형태를 보인다. 특히 여성과 무직자들은 경제적으로 부적응상태에 있다. 반면에 취업자들은 경제적 적응력이 높다. 심리적 측면에서는 매우 안정된 적응 형태를 보인다. 다만 북한에 가족을 두고 온 경우 죄책감으로 힘들어하고 있지만, 부적응이라 판단할 정도는 아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적응과 부적응이 혼재하고 있다. 즉 생활적 측면에서는 적응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중적 의식구조로 인해 의식적 측면에서는 부적응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적응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에서 조직이나 단체에 소속해서 생활해 나갈 때 상당부분 해결이 가능하다. 사회연결망 형태는 이중적이다. 사회구성원들과 외형적 친분관계는 형성하고 있지만 내면적 친분관계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단계이다. 특히 가족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이 폐쇄적인 연결망 형태를 나타낸다. 가족형태는 매우 긴밀하다. 가족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적 적응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사회적 적응과 사회연결망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형태, 사회연결망 형태, 가족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직업유무로 모든 적응형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연결망과 가족형태는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형태와 연관성을 보이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연결망 형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형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연결망이 다양하고 친밀할수록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이 순조롭게 이루어진다. 둘째, 가족형태 중에서도 특히 가족간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가족간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경제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사회적 적응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연결망과 가족형태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즉 가족간 유대관계가 깊을수록 사회연결망은 제한적이고 폐쇄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향은 여성 북한이탈주민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대다수가 가족 동거자인 여성 북한이탈주민들은 가족간의 깊은 유대관계로 인하여 사회연결망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실태별 분석을 통합해본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이 가장 적응을 잘하고 있는 분야는 심리적 측면이다. 특히 가족이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우 매우 안정된 심리상태를 보인다. 반면에 북한이탈주민들의 적응력이 제일 떨어지는 부분은 경제적 적응 분야로, 특히 불안정한 고용상태의 여성과 무직자의 경제력이 제일 떨어진다. 그렇지만 경제적 적응을 취업자들로 한정해 볼 때, 그들은 객관적으로 어려운 경제적 조건을 잘 극복해 나가면서 경제적응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의 조직생활을 통해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력 역시 향상시켜가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비춰 볼 때 북한이탈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취업정보 제공, 직업훈련의 강화, 훈련기간 동안의 경제적 지원 등을 통해 그들에게 직업을 제공해 준다면 그들은 본인의 힘으로 한국사회에 잘 적응해 나갈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 형태와 사회연결망, 그리고 가족의 적응 형태를 실태별로 구체분석 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처해 있는 상황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였고, 그것에 대한 본인의 평가 역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작업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을 위한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조건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는 조사대상의 한계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우 소재파악 및 접촉이 어려우며, 소재파악이 되어도 북한이탈주민이라는 특수한 신분 때문에 응답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본 조사는 소재파악이 가능한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할 수밖에 없었으며, 최종 응답자는 54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는 심층연구를 병행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54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근거로 실태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실태별 구체분석 과정에서 심층연구가 병행된다면 북한이탈주민들이 지니고 있는 이중적인 의식구조나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들까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비교분석을 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후속작업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수준이 비슷한 한국사람들과의 비교, 북한에 있었을 때의 상황이나 경험과 비교한 한국에서의 적응실태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그들의 객관적 현실에 근거한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적응력 제고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obtain the economic stability, first of all, to get used to the Korean society, and further to develop the sense of unity as a Korean. The first task to solve for this purpose is to concretely recognize how well North Korean Defectors adapt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and to identify the factor of affecting their adaptation to the society. However, since existing studies on the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have been mainly focused to explore the status of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well as the status of support in general, they failed to analyze the various aspects of social adaptation in detail and showed the limit in that it failed to consider various features of ever-increasing family-basis entrants.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ir social adaptation ability by concretely analyzing the economical, physical and social adaptation, the social networks and family form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at is, this study explored their objective status and analyzed the variables affecting this result through survey on North Korean Defectors. This tasks will become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enhancing the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firstly, and the reference for Korean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secondly. As a result of study, North Korean Defectors were found not to properly adapt to the society in terms of economy from all the aspects including subject aspect and object aspect. In particular, women and unemployed failed to adapt themselves in terms of economy. To the contrary, employed showed high economic adaptation ability, and showed the status of very stable adaptation in terms of psychology. Provided, however,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left their family behind in the North Korea suffered from guilty, but not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regarded as maladjustment. In social aspects, both the adaptation and maladjustment exist. That is,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harmonious adaptation in term of daily life, but showed the maladjustment in terms of mind-set due to dual ways of thinking. However, North Korean Defectors can solve problems in terms of social adaptation if they live in the organizations or groups for them in Korean. The type of social network is double-faced. Even though they formed the friendship with social members in outward form, but failed to develop it to the internal friendship.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live with their family showed very close connection networks. The family is tightly related and connected. Close relations with the member of family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but negative one on the social adaptation and social network. As a result of combining the analysis per status, it is found out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well been adapted in psychological aspect.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family showed the highly stable mental status. In the mean time, the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the poor performance in adapting themselves in terms of economy. In particular, the unemployed women and the unemployed showed the bad economic ability. However, when we consider the employed only for economic adaptation, they are found not only to overcome the difficult economic conditions, get accustomed to the economic situation, but also to improve their adaptation ability by living at organizations in Korea. Judging from this, North Korean Defectors seem to adapt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by themselves if they are given with economic supports including the supply of various employment information, reinforcement of occupational training and economic support for the training period. That is, to supply the opportunity of employment to North Korean Defectors is judged to be the best way of enhancing the adaptability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conomic,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status, social network and family form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exactly and concretely explored the situation where North Korean Defectors are faced, as well as my judgment on this situ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ill become the reference for exploring the ways of improving the subjective conditions and objective conditions for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ree aspects. First one is its limitation on the target of survey. Sinc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ocation and to make contact with, and even if we found out their locations, they often avoid answering the survey due to their special position as North Korean Defectors. In this circumstances, this study had surveyed only 125 persons whose locations are identified, and obtained the final answerers of only 54 persons. Given thi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 Second, it failed to carry out the in-depth stud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54 North Korean Defectors. If the in-depth study i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in the course of concrete analysis per status, it may successfully recognize extremely personal problems and double-faced ways of thinking that only North Korean Defectors have. Finally, this study failed to carry out various kinds of comparative analysis. If the social and demographic background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compared with those with similar background, status of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ith similar situation or experience are further studied, it may result in the concrete and realistic ways of enhancing the adaptability based on their objective reality.

      • 北韓民族理論에 관한 硏究 : 社會主義敎育理論을 中心으로

        김남식 檀國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the nationalism of North Korea to light. With the international relation and problems of North Korea, it does not presuppose that unification of South-North Korea at an early or late date. Heterogeneity has descended on both South-North Korea after separation. First condition for unification and dialogue between the South-North Korea is to understand heterogeneity because it is based upon the nation. Nationalism in the capital state is an unwelcome concept that is regarded as totalitalism, resistance or invasion. But they are inclined to nationalism in inner policy today. On the other side, the concept of a nation defined by M-Lenin is denial, and North Korea also denies it but proclaims it to other nations. So this study researches the educational theory in North Korea that aims to bring the nationalism of North Korea to light. Therefore in chapter Communist's nationalism and general nationalism is touched on. A "nation" is formed in history by a common consciousness that is based on natural commonness - territory, economics, and cultural commonness - language, habits, religions. Nationalisim seems difficult to properly define on occount of rariety in the meanings of "nation". As it has varied historically in meaning from state peoples, and nation, so are various the meanings of nationalism - that is nationalism can be summed up in its context as the synthesis of ideas and actual movement into the efforts to direct and encourage a nation's building, independence, unification and development. Marx and Engels did not define nationalism without fragmentary reference. They have a mention derived by capitalism in progressive history. So nationalism is the bourgeoise looking after their own interests. Nationalism is distinguished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from cosmopolitanism, and proletarianclass destroys capitalism and gains the power of political governing and then nation and nationalism is extinguished. Lenin thought deeply about nationalism before the revolution in Russia. His theory is formed by theory of K. Renner and 0. Bauer. He agrees to an opinion that allows profit for revolution, resistant movement or classic profit. It does not important to have national independence but it is important to have the revolutional motivation governed by the bourgeoise. The conception of "nation" in communism defined by J. Stalin, from the view point of its formative factors, can be briefly intrduced as the following; A nation is a historical, linguistic, territorial, economic and cultural community, and thus it is no more than a collective human community based on psychological identity. So nationalism is the concept in the age of capitalism that like capitalism, society in socialism has made a social nation and the nation is destroyed in communism. Nationalism in communism is based on internationalism by labor class not on the nation-state. Therefore the national theory of communists is used to act for realization of communist's ideology. Nationalism is throughly rejected by Marxism-Leninism and Marxist theory must still be internationalism even when particular socialist states are not. In chapter , Nationalism in North Korea is researched. In unfolding of communism in Korea is not the progressional state of history by communism but has the ingredient of an independent movemen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instigated by Commintern. The concept of nation in North Korea is based upon Stalin. But it is emphasized in the language of objective factors.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nationalistic conceptions of North Korea and J. Stalin, the former includes "Bloodlinedge" in their conceptualism from 1973, the latter asserted that a nation is not a communit formed by race or bloodlineage but that a nation it-self is a creature by capitalism according to the historical materialism. On the contray, North Korea asserts that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istic community has been fored through long history even before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The theory of nationalism in North Korea is deeply combined with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and so she has thought that she will achieve the proletarian revolution in Korea, and then can achieve international revolution. And nationalism is used in the following way: (1) To purge out a purgee and establish a "Chuche (self-identity)" in ideology (2) To use in tactical language against South Korea. In chapter, Nationalism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socialism is found out.The Falsehood and tactics of North Korean nationalism is showed in the inner education. Through these principles they educate the people about nation; that is, the purpose of preparation for revolutionary capability in Korea. Nationalism of North Korea does not mean unification and development of nation based upon the long history in a nation but communize throughout Korea by class. North Korea proclaims nationalism on the international side and to South Korea the "Grand Unification of the Nation", but educates by ideology in order to make a proletarian revolution in the inner society of North Korea. In conclusion, we wish to unite and achieve national hamony, and national development. So nationaliam in North Korea has toi nclude no class, but all the nation. Herein we can see the nationalism of North Korea inserted in the nation with "Bloodlineage", that is, the basic strategic position of North Korea. In order to unite through a peaceful method of dialogue for entie the nation, we must deeply study about the truthful nationalism of North Korea, in this meaning, this study has meaning but at this point this study is not fully developed due to the student's intellectual limitation.

      • 朝鮮時代 行宮의 風水立地 硏究 : 남한행궁과 북한행궁을 중심으로

        尹海根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행궁은 왕이 지방에 거둥할 때 임시 머물던 곳으로, 왕이 항상 머물면서 국사를 주관하는 정궁(正宮)과는 차이가 있다. 왕은 전란, 휴양, 능원 참배 등의 목적으로 지방에 머물기 위해 별도의 궁을 마련하여 임시 거처로 삼았다. 남한행궁과 북한행궁은 목적상 전쟁과 같은 비상시를 당하여 위급함을 피하고 왕정의 집무를 지속하기 위한 조치였다. 조선시대 행궁은 기본적으로 한양도성의 입지, 경복궁의 입지와 배치 등, 구성 등과 마찬가지로 유교의 예를 따랐다. 그러면서도 행궁의 입지선정과 영건과정에서는 풍수적 논리를 적용했다. 그 결과 행궁의 주변은 사신사 즉 청룡, 백호, 주작, 현무에 성곽을 두르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행궁과 남한행궁은 절차와 방법을 달리했다. 특히 북한행궁은 풍수지사가 행궁의 입지선정과 영건의 전 과정에 관여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남한행궁과 북한행궁은 공통적으로 풍수지리에 의한 전통적인 입지의 원리가 적용했다. 이것은 당시의 인물들이 풍수적 관념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러한 풍수관, 자연친화적인 사고는 삼국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것이었다. 이러한 풍수관념은 조선시대 유교에 매몰되지 않은 점을 보여주며, 그 기층적 사유로서의 기능을 여실없이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The Hanggung is the small regional palace Which is used by the King while he leaves the main palace for conducting regional activity such as recreation, the worship for ancestor's tombs or for the refuge during the warfare. During Lee Dynasty numbers of Hanggung was built for various purpose of King's needs. Namhan Hanggung and Bukhan Hanggung was built for the refuse of emergency situation such as warfare and to continue the affairs of State. The conditions of the location of Lee Dynasty Hanggung follows the same rules of the main palace Kyung Bok Goong in HanYang, the capital city of Lee Dynasty ChoSun, also follows the principles of Poong Soo. Not only the orders of disposition of buildings follows the principles of Poong Soo, but also wall of Hanggung castle is built on the 4 main surrounding mountains (4 Sinsa) - Blue Dragon, White Tiger, Red Phoenix and Black turtle. Namhan Hanggung and Bukhan Hanggung was built under the principles of Poong Soo, which could be ratiocinated by that the location of Bukhan Hanggung was selected by Poong Soo Master and to compare Namhan Hanggung to Bukhan Hanggung. The most important determining factor of the location of the main building is good luck location (吉地) and the other attachment buildings were built by the order of Poong Soo principle centered by main building. I looked into Namhan Hanggung and Bukhan Hanggung by those days' view of Yanggi Poong Soo and try to find the connecting relation between Hanggung and castle's wall. Since castle's wall built on natural mountain ridge there is no uniformed pattern. They have to consider the harmony of the nature and the principles of Yanggi Poong Soo to build the castle wall and Hanggung. The conditions of the location of Namhan Hanggung and Bukhan Hanggung which is considered the harmony of the nature and principles of Poong Soo could be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of Korean Yanggi Poong Soo.

      • 北韓의 對南統一戰略에 관한 硏究

        김진환 仁荷大學校 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論文은 北韓의 對南 統一戰略에 관한 硏究論文이다. 北韓은 分斷以後 「한반도의 공산화 통일」이라는 基本 目標 아래 이를 달성하기 위한 對南 戰略을 추진해 오고 있다. 그들의 對南 戰略은 共産主義 戰略 戰術을 기반으로 하는 人民民主主義革命戰略이 근간을 이루고 있는데 本 論文에서는 對南 人民民主主義 革命戰略을 中心으로 戰術의 표출양상, 戰略遂行에 있어서의 제한점, 해방이후 현재에 이르는 동안 나타난 戰略 戰術의 展開狀況 등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對南 戰略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자 한다. 제1장 序論에서는 硏究의 目的과 硏究의 範圍와 方法에 대해서 밝힌다. 제2장에서는 北韓의 對南 統一戰略의 背景에 대해 살펴 보았다. 分斷以來 南北韓은 현실적으로는 各各 독자적인 國家社會를 이루어왔으나 의식속에는 남북한은 언젠가는 하나로 합쳐져야할 國家라는 생각이 지배적이며 이러한 의식이 바로 統一問題로 귀결되어 南北韓 모두에게 최대의 民族的 課題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統一은 平和를 전제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정당성을 가지고 있으나, 북한측이 주장하는 平和는 혁명임무로서의 統一을 위한 戰略 戰術的 次元에 머무르고 있을 뿐이다. 北韓의 對南 統一戰略은 국가부정론 階級鬪爭論, 폭력혁명론을 기초로 하는 마르크스·레닌주의를 理論的 背景으로 하고 있으며, 對南 統一戰略의 근간이 되는 人民民主主義革命論은 해방이후 소련에 의해 이식된 것으로 점차 南朝鮮 革命을 위한 戰略, 戰術로 정착하게 된 것이다. 제3장에서는 北韓이 해방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개해온 對南 統一戰略의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戰爭以後는 민주혁명기지건설에 몰두했는데 이를 위해 나온 것이 平和統一案의 제안이고 4.19 후에는 聯邦制를 제의했으며, 5.16 직후에는 남조선혁명을 人民民主主義革命으로 規定짓고 4 대군사노선을 채택하였다. 1970년대에는 남북대화에 응했고, 1980년대에 들어서는 다시 고려민주연방공화국을 제안하는 등 人民民主主義革命 路線의 계속적인 추구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제4장에서는 北韓의 對南統一戰略을 자세히 分析하였다. 對南 統一戰略은 레닌·스탈린의 戰略戰術論의 原則에 입각하여 전개되고 있는 것으로 「世界의 共産化」라는 共産主義의 基本目標의 일환으로 「全 한반도의 공산화」를 궁극적인 目標로 삼고 있다. 그러한 목표달성을 위해서 그들은 北韓의 「혁명기지」로서의 能力과 力量을 높이기 위한 北韓의 革命力量强化, 南韓內에서 人民民主主義 革命을 일으켜 人民政權을 樹立하기 위한 南韓의 혁명역량강화, 國際社會에서 北韓의 지원역량을 강화하고 한국의 국제적 고립화를 추진시키기 위한 국제적혁명역량의 강화 등 3대혁명역량의 강화에 힘쓰고 있다. 이 章에서는 특히 對南 戰略의 기조에 해당하는 人民民主主義革命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는데, 그 추진방향은 革命에 의한 現 대한민국 정부의 전복과 人民政權의 수립, 그리고 社會主義 國家로의 전환이다. 革命의 對象은 美國. 日本, 韓國內의 반동세력이며, 그 주도세력은 어디까지나 南 朝鮮 人民이어야 한다는 것을 특히 주장하고 있다. 또한 人民民主主義革命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勞動者, 農民을 中心으로 하는 主力軍을 편성하고, 통일전선을 형성하여 보조세력을 獲得하고 反革命勢力을 약화시킴으로서 혁명여건을 조성하여 결정적 시기를 앞당기는 것이다. 對南 統一戰略을 추진하는 전술전개방식은 통일전선전술, 평화공세전술 등의 平和的 方法과 전면무력남침, 지하공작, 게릴라전 등의 非平和的 方法이 있는데 이것은 시기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여 여러가지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對南 統一戰略이 실현되는데는 對內外的으로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對內的으로는 政治的 不安定에서 오는 권력구조의 不安과 경제적 困難 그리고 이에 따른 군사적 증강의 한계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對外的으로는 소련, 中共의 美國과의 접촉으로 인한 지원약화 가능성, 국제적인 고립화, 美國 '日本의 한국에 대한 지원협력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北韓의 對南 人民民主 主義革命戰略의 성공가능성은 점점 희박해 지고 있다. 제5장 結論에서는 北韓의 對南統一戰略에 대한 내용을 再檢討하고, 그리고 이에 대해 우리가 취해야 할 자세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unifying strategy of Korean Peninsular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Since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r the North has been developed their unifying strategy against the South with the basic object of "the communistic unification of the Peninsular." The roots of their unifying strategy are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strategy based on Soviet Communists' strategy and tactics theory. In this paper the writer is to present more precisely the strategy by revealing the manner of tactical operation, the limits of strategical deployment and the proceedings of the. strategy and tactics up to the present day since 1945. In Preface the object,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will be discussed. In the Second Chapter the background of the unifying strategy of the North will be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r,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Korean regimes, in fact, have been founding their own proper social and political system respectively. But in consciousness, the idea has been prevailed that both divided sides of the Peninsular must be, some other day, united as one unitary State. This conception results in the very Unification Problem as one of the most critical national tasks of Korean people both in the South and in the North. Moreover, while the achievement of Unification must be justified in a Peaceful Way, the Peace for which the North has been advocated remained in the level of revolutionary strategy and tactics as the essential means of Unification. The Unification dogma of the North against South is based on Marxism-Leninism which emphasizes the class-state theory, proletariat dictatership, violent revolution. The first phage targe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t world revolutionary movement,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was transplanted by the Soviet communists during their military occupation of the area after 1945 and was increasingly settled in as the revolutionary strategy and tactics against the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r. In the Third Chapter, aspects of North Korea's unifying strategy against the South from the liberation day to present are reviewed. As the North had been occupied themselves with founding the basis of democratic revolution since the end of Korean War, they had proposed peaceful unification plan: after 19, April federation plan; and immediately after 16, May adopted the Four Great Military Line setting forth the south Korean Revolution as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In 1970's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sat at dialogue table, and in 1980's the North proposed again Koryo democratic. Federal Republic plan. In those regards the writer has to suggest that the North has been continuing to pursue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line. In the Fourth Chapter a more detailed and sophiscated analysis of the, theme will be, discussed. The unifying strategy of the North is to be favonred on the principles of Leninist-Stalinist revolutionary strategy and tactics, and the ultimate object of the unification of the Peninsular of the North might be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st regime in Korea, which would be linked to the basic object of international communist's movement, the world communist revolution. To achieve this object the North has been endevouring to strengthan the Three Great Revolutionary Potentialities : to strengthan revolutionary potentialities as a revolutionary basis of the North, to strengthan revolutionary potentialities in order to establish people's regime and bring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into the South and to strengthan international revolutionary potentialities to push forward the supporting forces of the North and to encourage the international isolation of the South. In this chapter the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as a Kernel of the revolutionary strategy against the south is discussed in detail, and the points are. the revolutionary overthrow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establishment of people's regime and the immediate transformation of the regime into a socialist state in the South, The object of the revolution, they especially insist is the reactionary forces in the U.S., Japan and South Korea and the main bearers of the revolution should be thoroughly south Korean people. To attain to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main forces should be regimented mainly by labourers and peasants and united fronts be formed to win reserve forces and to weaken anti-revolutionaries, With these revolutionary situations fomented the decisive monent will be followed precipitantly. There are two forms of tactics to actualize the unifying strategy of the North: One is peaceful means such tactics as united fronts, peaceful coexistence, etc, the other is non-peaceful means such as military invasion, underground operation, guerrilla warfare, etc, These forms will be transformed according to time and situation, presenting a variety of aspects . The actualization of the unification strategy of the North will be qualified by a number if circumstances, domestic and foreign. In domestic therms there emerge a lot of problems of unstable power structure and difficult economic situation, derived from political instability and limited capacity to increase military power therewith. In foreign terms the capability of successful actualization of the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strategy is increasingly faded away by reason that: the support from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might be decreased when their contact with America becomes to be increased; North Korea's international isolation might be intensified; the support and collabora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ward South Korea would be expanded. In Conclusion, responding to North Korea's Unifying strategy of the Peninsular, accomplishment of anti-communist measures and arrangements, political and economical stability, and intensification of diplomatic activities are discussed.

      • 우리나라와 북한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비교 분석

        김상종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detailed in comparing the reference book for teachers in North Korea with our 2015 Mathematics Amended Curriculum, the mathematics textbook of our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with that of North Korean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their high school, which are used now in 2018, and our guidebooks for teachers with the reference book for teachers in North Korea as well. The table of contents which can be referred to the curriculum are being compared.. Moreover, the system of organization, style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in each section in textbook are also compared. The way the section of function is developed in each textbook,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contents in each textbook, the difference in number of contents or how contents are introduced in textbooks, problem and repetition centered curriculum in common, the similarity that both focus in graph on the part of function section, and the fact that we use deductive approach while inductive approach is used in North Korea are made up as follows. In terms of curriculum, both aimed the enhancement of thinking ability, the sequenced relationship with related subjects, and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through mathematics. However, our country has more emphasized ability-focused education on 6 parts of ability. Notwithstanding recent educational changes in North Korea, North Korea is putting emphasis on political ideas on education and construction of powerful nation by fostering people in Communism. In terms of purpose and methods in evalu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valuation style of North Korea where capacity is not stated is similar in the aspect of contents with that of our capacity-focused style which mentions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in study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purpose of students’ mathematics studying and the purpose of betterment in teaching method, self-evaluation, evaluations of discussion and presentations, and essay evaluation. In the system of organization for textbook chapters, the fact that North Korea is categorizing Units and Lessons due to lack of Chapter, utilizing storytelling in the introduction, offering practices and repetition for each Lesson,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enhancing ability to think is similar with ours. However, North Korea proceeds to the next less on without providing repetition practices in the introduction part while we do. Moreover, there are differences in usage of words though the meanings can be guessed by reading the words due to the feature of this subject. When our guidebooks for teachers ar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book for teachers in North Korea, it is found that our books are much more specific than that of North Korea, in that the contents for improving the ability to think such as utilizing engineering tools and using theore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are mentioned.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deducted through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extbooks and guidebooks for teachers of our country with those of North Korea. Due to the special feature of Mathematics,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practices are the highest, offering supplementing data relating to the lessons and information of mathematician and history is similar between the two countries. It is similar that both provide the part of summarizing the lesson, the way they summarize is different. We use the way of filling the blanks while North Korea applies ‘Algorithm’ in this part. In the chapter of ‘Function’, we use rational function while North Korea uses fractional function which are same concepts. Also, the differences are in the fact that North Korea does not deal with composite function, learning exponential function and logarithmic function before beginning the chapter of ‘Function’. We state the standard form of function graph in the title while North Korea approach function graph from the basic form even though the way both introduce the concepts is similar. Difference also lies on how to use the guidebooks for teachers. In our case, the guiding role of teachers regarding to 2015 Mathematics Amended Curriculum is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makes use of the guidebooks to nurture students for building Socialist Korea and despotic monarchy. In addition, the guidebooks of ours can be regarded different with those of North Korea in the way that we are offering various information for our teachers such as methods of evaluation per units, the background of the concept for units, and examples in the course plan of teaching and studying. 본 연구는 북한의 교수참고서를 우리나라의 2015 개정수학과교육과정과 비교하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과 북한의 동일 학년에 해당하는 고급중학교 1학년 학생이 2018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학교과서와 교사들이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교사용 지도서, 북한의 교수참고서를 비교하였다. 교육과정에 유사한 목차에 해당하는 내용을 비교하였고, 교과서의 구성체계와 형식, 문항 개수 및 영역별 문항 개수의 비교, 동일 단원에 해당하는 함수단원의 교과서 전개방향, 교과서의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 단원의 목차의 개수의 차이나 도입의 차이점, 문제와 복습 중심의 공통점, 함수 단원에서의 그래프 강조의 공통점과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연역적 접근, 북한의 귀납적 접근과 같은 교과서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의 성격은 양측 다 수학 과목을 통하여 사고력 향상, 인접과목과의 계열성, 사회생활 능력 함양과 같은 부분은 유사하였지만 우리나라는 6가지 역량에 대하여 역량중심 교육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북한은 최근의 교육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교육에 정치적인 사상이 주체사상의 강조, 공산주의적 인간의 육성을 통한 부강조국 건설을 본질적으로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다. 평가의 목적 및 방법에서는 학습 욕구 향상, 학생의 수학 학습 및 교수방법 개선의 목적의 유사성과 자기평과와 토론과 발표 평가, 논술평가를 언급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역량중심 평가와 역량을 명시하지 않은 북한도 내용상으로는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교과서의 단원구성체계에서는 북한은 우리나라의 대단원에 해당하는 부분이 없이 중단원과 소단원을 분류하고 있는 점, 도입부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다는 것, 단원별로 연습문제, 복습문제를 제공하는 것, 사고력을 증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의 유사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복습문제를 제공하고 있는데 북한은 단원을 시작할 때 복습문제를 제공하지 않고 바로 해당 단원의 진도를 나가는 점과 수학이라는 과목의 특성상 내용을 보면 용어를 유추할 수 있지만 용어의 차이점도 있었다. 우리나라의 지도서를 북한의 교수참고서와 비교해보면 공학용 도구의 활용, 이론적 배경 및 역사적 배경의 활용과 같은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기술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교사용 지도서가 북한에 교수참고서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점이 있었다. 우리나라와 북한의 수학교과서, 지도서를 비교분석한 결과 몇 가지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수학이라는 과목의 특성 상 교과서에서 문제의 비중이 가장 높다는 것, 단원과 관련된 보조자료인 수학자나 단원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을 제공하는 것은 유사하다. 단원을 마무리하고 정리하는 부분을 제공하는 것은 유사하지만, 방법을 보면 우리나라는 빈칸을 채우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북한은 ‘알고리듬’을 활용하는 방법의 차이가 있었다. 함수 단원에서는 개념의 도입은 유사하지만 우리나라의 유리함수를 북한은 분수함수로 표기하는 것, 북한은 합성함수를 배우지 않는 점, 함수 단원을 학습하기 전에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를 학습하는 것, 우리나라는 함수의 그래프 단원에서 일반형의 꼴을 제목에 제시하고 있지만, 북한은 기본형으로부터 귀납적으로 함수의 그래프를 접근하는 점의 차이점이 있다. 지도서에서는 사용 방법의 차이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지만 북한은 사회주의강성조선, 부국강성국가를 위한 학생 육성을 위해 지도서를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도서가 단원별로 평가방법의 제시, 단원의 배경의 제시,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의 제시 등 우리나라의 교사들이 지도서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의 차이점이 있다.

      • 북한의 교예(巧藝)를 통해 본 민족공통성 연구

        이영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Ethnicity Commonality through Gyoye(North Korea Circus) Lee, Young Ho Humanities for Unifica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A circus has been rooted in our national culture from a long time ago in various forms of traditional plays. But once the Western-style circus, Gokmadan’s performance, was introduced to Chosun along with Japan’s invasion of its national sovereignty, it was replacing our traditional plays our ancestors had been with for long and settling down fast. In the meantime, our traditional play troupes including Namsadang were losing their place gradually, and some ended up being absorbed into Gokmad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Gokmadan created a cause for collapse forming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 other traditional play troupes, but the members of traditional plays absorbed into it and the contents influenced South · North Korea’s circus and Gyoye directly after the emancipation. After the emancipation, South · North Korea that failed to have a unified state came to walk through a different path as South Korea named Gokmadan’s circus as ‘a circus’ and North Korea as ‘Gyoye’. Although South Korea’s circus had its golden days in the 1960's,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spectacles like a TV, it went into decline losing the people’s attention gradually. Once, there were up to 20 or so circus troupes in South Korea, but they disappeared failing to get over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Now, there is only one circus troupe, Dongchun Circus. However, in 1952, during the war, North Korea founded Pyeongyang Gyoyedan aggressively mobilizing those who once had worked for Gokmada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established Pyeongyang Gyoye School specialized in cultivating the actors of Gyoye. In this way, Gyoye became sublimated to the state of art and equipped with its current world’s highest level. While the circus faced ups and down here in South Korea, Namsadang-nori, talchum, or Sandae-nori which was separated from traditional plays and came close to being discontinued due to Japan’s colonialism and rapid modernization became designated as one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o be preserved and transmitted in 1962 whe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was established. On account of that, the value of traditional plays was recognized whereas they were trapped into the frame of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which produced a barrier in the freedom of contemporary creation or development. In the meantime, new forms grounded on traditional plays appeared such as madang-geuk or samul-nori, and they were excavated as the elements of ethnic commonality based on traditional plays differently from those of North Korea. After the emancipation, South Korea’s circus and North Korea’s Gyoye started from an identical point; however, the outcomes were not any similar. In North Korea, Gyoye received wholehearted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was recognized as an area of art. The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was added to it, and now, it is positioned as a field of art winning fame globally. South Korea’s circus, however, had to suffer from the capitalistic market logic. After the 1970's, with people’s indifference, serious lack of awareness of the circus, and failure in cultivating followers, it ended up becoming what it is now. Although South Korea’s circus and North Korea’s Gyoye are in different situations now, we can still find a common element from both that they have been transmitted until now grounded on traditional plays and fork plays. South Korea’s circus still has events that transmit our traditional plays, Nongwhan and Sotdaetagi. For North Korea’s Gyoye, they created the Gyoye-style folk play by adopting elements from traditional plays and call it as ethnic Gyoye. Particularly, <Neoldduigi> created in 1957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ethnic Gyoye works is a Gyoye-style folk play grounded on traditional folk plays and is equipped with deep ethnic color in terms of contents, music, and actors’ costume as well. Still, these days, North Korea is constantly creating ethnic Gyoye works grounded on traditional plays and amusements such as <Ggotjul-nori> and <Sangmo-nori>. In our history, our traditional plays were desirably combined with overseas play culture introduced from countries aroun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to produce our own new ones. Due to this tradition, ours are never exclusive but flexible in absorbing others’. Compared to North Korea’s Gyoye, South Korea’s circus now barely exists. Therefore, for mutual exchange or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e should employ the circus and Gyoye and also the elements of traditional plays, too. Also, the exchange needs to be extended further to something that can form a regional bond of sympathy such as masques like Bongsan-talchum, Eunyul-talchum, or Bukcheongsaja-nori, Namsadang-nori, and Sandae-nori. After the national division, South and North Korea have been with different systems and cultures and now have different values from each other. In this situation, it seems to be a good means of communication to do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various types of amusem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rooted in traditional plays to find our ethnic commonali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lay meaningful roles not only in the improvement of political, diplomatic, and military areas but also in the exchange of social, cultural, and art areas in private sectors, too, which con contribute to integrating the systems and forming a community. Currently, the global trend of circuses is to take the new form of an art circus substituting the conventional circus in the past. To keep pace with it, in North Korea, <Chunhyang-jeon> was performed as a Gyoye-geuk applying the Gyoye style multilaterally and adding ethnic storytelling, too. If North Korea’s world-famous Gyoye is reborn through exchange with diverse cultural contents in South Korea,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n internationally noted creation equipped with our ethnic sentiments. 이 논문은 북한의 대표적인 공연 예술인 ‘교예’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전통연희의 수용 양상을 분석하면서 민족공통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남북통일의 과정에서 문화 통합의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연희문화는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 문화 속에 다양한 방식으로 뿌리내려왔다. 그러나 일본의 국권 침탈과 함께 조선에 들어온 서양식 서커스인 곡마단 공연은 도입되자마자 오랜 기간 우리 민족과 함께 했던 전통연희를 대체하며 빠르게 정착해 간다. 이 과정에서 남사당을 비롯한 전통연희패들은 점차 설자리를 잃게 되었고 일부는 곡마단으로 흡수된다. 일제강점기 곡마단은 전통연희패와는 경쟁관계를 형성하며 몰락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이들이 흡수한 전통연희자와 내용은 해방 후 남북한의 서커스와 교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해방 이후 하나의 통일된 국가를 건설하지 못한 남북한은 곡마단의 곡예를 남한은 ‘서커스’로 북한은 ‘교예’로 명명하며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북한은 전시 중이던 1952년에 일제 강점기 곡마단에서 활동하던 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평양교예단을 창단하였고 교예배우를 전문 육성하는 평양교예학교를 설립하는 등 교예를 예술로까지 승화시키며 현재의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하게 되었다. 반면 남한의 서커스는 1960년대의 전성기를 맞기도 했으나 TV의 등장 등 다양한 볼거리의 등장으로 점차 대중의 관심에서 벗어나 침체의 길을 걷게 된다. 한때 20여 개에 이르렀던 남한 내 서커스단은 극심한 경영난을 이기지 못한 체 사라지고 현재는 동춘서커스만이 유일한 서커스단으로 남게 된다. 남한에서 서커스가 부침을 겪는 동안 일제강점기와 급속한 근대화 속에 그 맥이 끊길 위기를 겪었던 남사당놀이, 탈춤, 산대놀이 같은 전통연희들은 1962년 수립된 문화재보호법 시행으로 중요무형문화재에 지정되어 보존, 전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전통연희의 가치가 인정받을 수 있었던 반면 원형 보존이란 틀 안에 갇혀 현대화된 창작의 자유와 발전을 가로막는 문제점이 되기도 한다. 그런 와중에서도 마당극이나 사물놀이 같은 전통연희에 바탕을 둔 새로운 형식의 등장은 북한과는 또 다른 형태의 전통연희를 바탕으로 한 민족공통성 요소로 발굴이 된다. 해방 이후 남북한의 서커스와 교예는 동일한 출발점에서 시작하였으나, 결과는 결코 같지 않았다. 북한의 교예가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과 예술의 한 분야라는 인식 속에 전문적인 교육 시스템이 더해져 현재의 세계적인 명성과 예술의 한분야로서의 위치에 서게 되었다면, 남한의 서커스는 자본주의적 시장논리에 의해 1970년대 이후 대중의 무관심과 서커스에 대한 뿌리 깊은 인식 부족 그리고 후진 양성의 실패 속에 현재 상황에 이르게 된다. 그렇지만 서커스와 교예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일정 부분 전통연희와 민속놀이를 바탕으로 맥을 이어왔다는 공통적 요소를 찾을 수 있다. 북한의 교예에는 전통 연희적 요소와 민속놀이를 교예적으로 창작하여 민족교예라는 형식으로 이어오고 있다. 특히 1957년에 창작된 <널뛰기>는 대표적인 민족교예 작품으로 전통 민속놀이를 교예화한 것으로 내용은 물론 사용하는 음악과 배우의 의상까지도 민족적 색채가 짙은 작품이다. 북한은 최근에도 <꽃줄놀이>, <상모놀이>와 같은 전통연희와 전통놀이를 바탕으로 한 민족교예를 꾸준히 창작하고 있다. 북한 교예에 비해 그 흔적은 적지만 남한의 서커스에서도 전통연희인 농환과 솟대타기를 계승한 종목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역사 속에서 우리의 전통연희는 전승 과정에서 주변국으로부터 유입된 외래 연희문화를 적절히 결합하여 우리 것으로 새롭게 탄생시킨 전통이 있어 결코 배타적이지 않은 유연한 흡수성을 지니고 있다. 현재 북한의 교예에 비해 남한의 서커스는 존재감마저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남북한 간의 상호교류와 협력을 위해서는 서커스와 교예는 물론 전통연희적인 요소와 지역적인 공감대를 이룰 수 있는 봉산탈춤이나 은율탈춤, 북청사자놀이 같은 가면극이나 남사당놀이, 산대놀이 등의 교류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는 분단 이후 다른 체제와 문화 속에서 살아오며 상이한 가치관을 갖게 된 남북한 상황에서 전통연희의 뿌리를 둔 다양한 남북의 연희물의 교류와 협력은 민족공통성을 찾기 위한 소통의 수단으로 적절해 보인다. 또한 정치 · 외교 · 군사적인분야에서의 관계 개선과 함께 체제 통합과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민간차원의 사회 · 문화 · 예술의 교류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전 세계 서커스는 기존의 정통서커스를 대처하여 새롭게 아트 서커스라는 형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북한은 이에 발맞춰 여러 분야의 교예형식을 포괄하면서도 민족적 스토리텔링이 가미된 교예극 <춘향전>을 공연한 바 있다. 만약에 북한의 세계적인 교예가 남한의 다양한 문화적 콘텐츠를 바탕으로 한 교류가 현실화될 경우 민족적 정서가 담긴 세계적 창작물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 북한 농업개발을 위한 NGO의 역할 연구

        임철형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지금까지 국제사회와 개별정부 그리고 국제NGO와 한국NGO의 대북사업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UN국제기구를 비롯한 국제NGO등의 국제사회와 한국정부 그리고 한국NGO의 대북지원사업의 내용들을 분석하고, 한국NGO의 외형적인 성장과 함께 질적 내용이 어떠한 성과를 거두었고 한계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런 이후 북한농업부문 국제개발NGO와 한국NGO의 사업방식과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NGO가 지원사업에서 보완할 점과 북한농업개발지원에서 더 나은 단계의 사업방식 개선모색은 없는지 또한 그에 따른 NGO의 새로운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북한농업개발지원에 초점을 맞추어서 한국정부 및 한국NGO의 대북사업의 평가와 그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그 대안과 개선방안을 통일 대비적 개발지원으로 전개하여 이에 맞은 ‘한반도형 지속가능한 개발지원’의 단계에 새로운 NGO의 역할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농업 현황과 식량문제의 요인을 먼저 분석해 보았다. 북한의 식량난과 북한농업을 종합한 결과 북한은 단기적 지원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북한농업개발을 해야만 하는 중요성에 대해 살펴본 후 국제사회의 농업부문 대북사업의 활동과 내용을 정리하였다. 국제사회를 크게 개별국가, UN국제기구, 국제NGO 로 구분해서 국제사회에서의 대북내용과 활동을 분석함으로 단순지원에서 개발지원으로서의 접근을 강조하고 또한 국제사회의 대북사업의 한계와 과제들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그런 후에 한국정부와 한국NGO의 농업부문 대북사업의 활동과 내용을 정리하여 한국정부가 북한의 식량난 해소를 위해 인도적 지원 사업을 하였던 지난 1995년부터 현재까지의 내용과 대북사업의 전개과정을 간략히 살펴보고 한국정부의 대북사업의 평가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NGO의 대북사업에서의 의의와 중요성 그리고 전개과정들을 살펴보고 각 한국NGO의 사업내용과 활동을 분석하고 또한 그에 따른 한계를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한국NGO의 향후 과제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한국NGO들의 평가와 분석들을 정리하여 북한농업개발면에서 국제NGO들과의 사업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한국개발NGO의 사업을 위한 과제와 역할이 어떠한 모습이 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전개했다. 또한 농업부문에서 대북지원을 하는 개별국가, UN, UN국제기구, 국제NGO 등의 사업내용에 대한 평가와 한계를 통해 한국NGO에게는 어떤 시사점이 있고 향후 어떤 활동과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정리하여 ‘한반도형 지속가능한 개발지원’적 관점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리하여 현재 농업부문 대북사업을 하고 있는 한국NGO들이 대북사업과정에서의 새로운 단계로 접근하기 위해 효율적인 개발사업의 역할과 이후 ‘한반도형 지속가능한 개발지원’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설명하고, 한국개발NGO뿐만 아니라 한국정부에게도 효율적인 북한 농업개발지원사업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 집행하는 한국NGO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 북한이탈주민의 직업교육만족도가 이직의도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원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to help settlement in South Korean society and financial independen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on turnover intention and resilience. As of June 2015, the Ministry of Unification reported that there are over 28,000 North Korean refugees entering South Korea(The Ministry of Unification's website, 2015). North Korean refugees to enter South Korea will continue to increase. For North Korean refugees to break the habit of relying on the state under the socialist system and to adapt well to South Korean society, it is required to seek a method helpful i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Developing proper turnover intention and improving resilience, based on employment-linked vocational educa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lifelong education and is their task. The research problems for achieving this study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and resilien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refugee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on turnover intention? Third, what is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on resilience? This study targeted North Korean refugees with experience in receiving vocational education all over the country.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March 22 to April 10 2015 and 182 ones were used for analysis. As major analysis methods,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were conducted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in educational contents and instructors was higher in females and satisfaction in educational facilities and institutions was higher in males. North Korean refugees under the age of 35 and those with no experience in living in a third country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Also, North Korean refugees, who graduated from colleges and entered South Korea after 2011,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In addition, satisfaction in educational contents, instructors and educational facilities was higher in North Korean refugees with an income of one million won, satisfac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higher in those with an income of 1.01 to 1.50 million won and those in a permanent position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In terms of gender, resilience was higher in females. In terms of age, hardiness, dream and goal and patience were higher in North Korean refugees under the age of 35, intimacy was higher in those under the age of 45 to 50 and social support was higher in those under the age of 40 to 45. North Korean refugees with no experience in living in a third country showed a higher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as higher in the group that is going to graduate school, or graduated.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resilience depending on the year of entranc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imacy depending on the level of income and resilience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an income of 1.01 to 1.50 million won. In relation to the types of employment, North Korean refugees in a permanent position showed a higher resilience. Second, in regression analysis to see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2.4%,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 In regression analysis to see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on resilie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29.6%,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resilience.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resilience and resilie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North Korean refugees find jobs suitable for their aptitudes and settle down in South Korean society by demonstrating the differences in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resilience among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nd resilience and suggesting the directivity of continued and proper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직업교육만족도가 이직의도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현재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은 2만 8,000여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고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주의 사회에서 국가에만 의지하여 생활하였던 습관을 버리고 남한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취업과 연계된 직업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이직의도와 적응유연성을 키워주는 것이 평생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이며 그들의 과제이기도 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교육 만족도, 적응유연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교육 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교육 만족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직업교육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선정하였으며 2015년 3월 22일부터 4월 10까지 설문지 230부를 배포하고 18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에 기초하여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클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교육내용과 교수자 만족도는 여성이, 교육시설과 교육기관의 만족도는 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35세 미만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3국에서 거주한 경험이 없는 북한이탈주민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대졸학력이, 입국연도에 따라 2011년 이후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따라 교육내용과 교수자, 교육시설은 100만원 이하, 교육기관은 101∼150만원 이하, 근무형태에 따라서는 정규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은 성별에 따라 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강인성, 꿈과 목표, 인내심은 35세 미만의 북한이탈주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밀감은 45세∼50세 미만, 사회적 지지는 40세∼45세 미만의 북한이탈주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3국에서 거주한 경험이 없는 북한이탈주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원 재학 및 졸업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국연도에 따라서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따라서 친밀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1∼150만원 집단의 적응 유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형태에 따라서 교육내용과 교수자 만족도, 교육시설과 교육기관의 만족도 모두 근무 형태가 정규직인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유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교육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교육만족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9.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교육만족도와 이직의도 및 적응유연성과 정(+)의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응유연성은 이직의도와 정(+)의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북한이탈주민의 직업교육만족도와 이직의도 및 적응유연성의 차이를 파악하고 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이며 올바른 교육을 진행하여 그들이 자기의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 남한사회에 정착하는데 도움을 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 북한의 대미인식과 갈등행태 연구

        장원만 북한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북미관계는 근본적으로 대결과 불신의 관계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북한은 탈냉전 이전부터 반제국주의 노선의 가장 중요하고 구체적인 대상국가로 미국을 지목하고 적대적으로 상대하여 왔으며, 미국은 본능적으로 사회주의에 대해 경계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북한의 적대적 이미지는 쉽게 생산될 수 있었다. 기존의 연구가 대미전략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져왔다면, 본 논문은 북한의 대미인식과 인식을 통해 나타나는 갈등행태에 대한 연구이다. 그래서 북한의 대미인식을 고찰하고 인식을 토대로 한 행태를 구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냉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북한의 대미 갈등을 분석하기 위해 인식의 개념을 도입하여 대미인식이 대미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시기를 냉전, 탈냉전, 부시정부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대미 인식과 행태를 살펴보면, 대미 적대적 인식의 지속, 탈냉전 이후 협상상대로의 인식, 그리고 맞대응 전략으로 이야기 될 수 있다. 여기서 맞대응 전략은 탈냉전 이후부터 시작된 북한의 대미전략으로 냉전기에는 대미 강경책이 주를 이루었다. 그리고 북한의 대미인식 형성 배경을 살펴보면 체제ㆍ이념요인, 한국전쟁, 국제질서의 변화, 미국의 대북정책 등을 들 수 있다. 체제ㆍ이념요인과 한국전쟁은 냉전시기 대미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국제질서의 변화와 미국의 대북정책은 탈냉전기 대미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이렇게 발생한 대미 인식은 대미 정책에 영향을 주고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미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북한이 미국에 대하는 태도, 즉, 북한의 대미정책이 변화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에 대한 적대적 인식이 해소되어야 한다. 인식과 정책의 상관성 입장에서 대미인식의 변화는 대미정책의 변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North Korea-U.S. relationship is not basically escaping from the one of confrontation and distrust. North-Korea spotted U.S. as the most important and specific country of anti-imperialistic line before the post-Cold War era and has dealt with it hostilely. And North Korean hostile image can be easily produced because U.S. was being instinctively wary of socialism. If the existing studie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strategy toward U.S., this paper is the study on North Korean perception of U.S. and its conflict behavior shown by it. So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tudy North Korean perception of U.S. and the behavior based on it. To analyze conflict between North Korea and U.S. from the Cold War until now, the effect of perception of U.S. on the policy toward it was examined introducing the concept of perception . For thi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the Cold war, the post-Cold War and the Bush government. North Korean perception of U.S. and its behavior based on them can include continuation of hostile perception of it, perception of it as the negotiation counterpart after the post-Cold War and the recrimination strategy. Here, the recrimination strategy is North Korean strategy toward U.S. which has begun after the post-Cold War and it was mainly the hard-line policy toward it during the Cold War era. And the background that North Korean perception of U.S. was formed includes the factors of system and ideology, the Korean War, the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order and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by U.S. The factors of system and ideology and the Korean War had the direct effect on perception of U.S. in the Cold War era and the changes of the international order and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by U.S. had the direct effect on perception of it in the post-Cold War. perception of U.S. which occurred like this has the effect on the policy toward it and is affecting U.S. and North Korea as the conflict factors. To solve conflicts between North Korea and U.S., the attitude on U.S. by North Korea, that is, North Korean policy toward U.S. should be changed. For this, hostile perception about U.S. by North Korea should be solved. It's because the change of perception of U.S. is connected to the change of the policy toward U.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lations between perception and th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