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조군아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本论文的研究目的在于开发中国大学选修韩国语教材。 2015年以来,中国很多大学开始停止韩国语专业招生,同时《教育部高等教育司2019年工作要点》对此提出要全面深化大学公选外国语课程改革,在教育环境良好的大学里争取提高第二、第三公共外语教学的实效性,提出了实施针对性授课改革的要求。另外,不断完善大学外语教学体系,大学不仅要构建英语授课体系,还要实施俄语,日语,韩国语,葡萄牙语等公共外语教育。因此作为选修科目的韩国语教育未来将在中国高等教育中得到进一步扩大和发展。 虽然从2018年以来中国国内关于大学选修韩国语教育的研究越来越多,但是选修韩国语教材开发方面的研究仍然非常不足。近年来,针对韩国语专业使用的教材开发相关研究很多,研究主要关注了在韩国开发的优秀韩国语教材以及商务韩国语教材。但是目前中国大学里使用的选修韩国语教材种类少并且存在一些问题,很多教材设计不符合大学选修教育目标,并且普遍存在选修韩国语教材开发初期阶段所需要的有效性基础资料不足等问题。优秀的教材不仅能够传播语言知识也是文化知识的载体,优秀的选修韩国语教材在讲授语言的过程中同样能起到传播韩国文化知识的作用。 根据以上阐述的问题点为基础,本论文探讨了中国国内的选修教育课程和选修韩国语教育课程的目标和内容,并且分析了目前中国现有的选修韩国语教材,然后针对中国大学申请选修韩国语课的学生和讲授选修韩国语课程的教师,以及中国大学与选修韩国语教育相关的行政人员为对象进行了问卷调查,设定了教材的开发方向,并提出了相应的选修韩国语教材实际构成案例。 关键词: 选修韩国语, 通识教育, 教育课程, 课程设计, 教材开发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2010년대 후반기에 들어와 중국에서 많은 대학들이 한국어 전공자의 모집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와 맞물려 중국 <교육부 고등교육사 2019년 사업 포인트(教育部高等教育司2019年工作要点)>는 공공외국어 수업 개혁을 전면 심화하고, 교육 환경을 잘 갖춘 대학에서 제2, 제3의 공공외국어의 실효성을 높이도록 맞춤형 수업 개혁을 실시할 것을 제시했다. 또한 대학 외국어 학습 체계를 보완하고 대학에서 영어 수업 체계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등 공공 외국어 교양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양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앞으로 중국의 대학교육에서 더욱 확대되고 발전될 것이다. 2018년 이후에 중국 내 대학 교양한국어에 관한 연구가 많아졌으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한국어 전공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았지만, 한국에서 개발한 우수한 전문 교재와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수입해 왔다. 그러나 교양한국어 교재는 아직 많이 부족하고 교양한국어 교육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거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초기 단계에 필요한 실효성 있는 기초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경우가 많다. 우수한 교재는 언어 지식을 전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 지식의 수용체여야 하며, 언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 한국사회를 보급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내 교양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검토하고 현재 중국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에서 교양한국어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대학의 행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교재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교양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교재 전체의 단원을 구성한 다음 교양 한국어 교재의 한 단원을 예로 제시하였다.

      • 맞춤형 중국어 학습을 위한 ICT 활용 방안 설계 및 개발 연구 : 챗봇을 중심으로

        고권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63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COVID-19로 인한 갑작스러운 온라인/비대면 수업의 활성화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이 중심이 되는 중국어 학습에 제약이 많이 따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비대면 상황에서 중국어 학습자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적합한 교수-학습법인 ‘개별화 맞춤형 학습’과 ‘과업중심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챗봇을 활용한 맞춤형 중국어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ICT 활용한 외국어 교육 방법과 외국어 교육에서 챗봇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또 중국 내에서의 챗봇 관련 연구 또한 살펴보았다. 중국어 교육과 관련된 챗봇 연구가 전무하였기 때문에 영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챗봇을 활용한 교수-학습방안 연구 사례들을 분석하여 중국어 교수-학습방안을 설계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맞춤형 학습법과 과업중심 교수학습법을 활용하였고, 챗봇을 활용한 맞춤형 중국어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전문가인 교수자들이 다양한 챗봇 플랫폼을 사용하여 쉽게 중국어 교육용 챗봇 개발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챗봇을 활용하기 적합한 중국어 교수-학습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기존의 ICT를 활용한 외국어 교육 방안은 무엇인가, 그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셋째, 외국어 교육에서 챗봇을 활용한 사례는 무엇인가, 그 현황은 어떠한가? 넷째, 중국 내에서 챗봇을 활용한 교육 사례는 무엇인가, 어떤 추세로 나타나고 있는가? 다섯째,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의 설계 원리와 개발 절차는 무엇인가? 여섯째,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의 기능과 대화 모델 유형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일곱째,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의 개발 및 구현 방안은 무엇인가? 여덟째, 개발한 챗봇의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 절차 모형은 무엇인가? 아홉째, 개발한 챗봇의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 교수-학습 프로세스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개발한 챗봇의 프로타입을 활용한 교수-학습 과정 세부 계획안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토대로 한 연구 진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 프로토타입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미래 외국어 교육은 학습자를 중심이어야 한다, 학습자 개인이 좋아하고 즐기는 분야를 찾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개인적 기호를 반영하여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이해하고 적용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제 중심의 언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실행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챗봇을 활용한 맞춤형 중국어 학습을 위한 챗봇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중국어 교육용 챗봇 프로토타입의 개발 절차는 ‘개발에 관련된 선행 연구 고찰, 선행 연구를 통한 기존 챗봇의 특징과 장단점 분석, 교과 과정을 기반으로 한 챗봇 기능 구성, 챗봇의 기반이 될 서책 분석, 챗봇 개발, 챗봇 프로토타입 완성, 챗봇 프로토타입 수정 및 보완, 챗봇 프로토타입 테스트’ 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챗봇 프로토타입의 설계 원리는 기존의 대화형 챗봇 개발 원리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중국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안을 고려하고, 챗봇 개발 목적에 부합하는 알고리즘의 선택하였고, 그리고 외국어 학습의 관점에서 개발할 챗봇의 유형을 선택하고, 관련 개발 원리를 도출하였다.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챗봇 개발에 유의한 플랫폼을 ‘카카오톡’, ‘Closer.ai’, ‘Google Dialogflow’로 선정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복잡하고 어려운 코딩을 하지 않고도 직관적이고 쉬운 챗봇 제작 방안을 제시하고 그 구현한 결과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 언어기능별로 구현 결과를 챗봇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을 설계할 때 활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구현 결과물과 함께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수자가 중국어 교수-학습방안을 설계할 때 언어기능별로 도입부에 대한 예시를 보고 챗봇과 학습자가 간의 대화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챗봇들을 활용한 중국어 수업 방안을 과업중심 교수-학습법을 중심으로 수업 절차 모형을 개발하고 교수-학습 프로세스를 수립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한 세부계획안을 1차시-2차시로 나누어 상세히 서술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을 예시로 구현하였으며, 국내 대학의 중국어 전공 회화 수업 중 초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 챗봇을 활용한 과업중심 수업 절차 모형이 어떻게 적용되고 운영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제 국내 대학의 초급 중국어 회화수업을 예시로 들어 상세 교수 학습과정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국어 학습 목적형 챗봇을 활용하는 교수학습방안과 세부 교육계획안 및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중국어 교육에서 챗봇을 활용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영어 교육에 비해 챗봇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에 관한 관심과 연구는 활성화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가 중국어 교육에서 ICT 활용방안 연구의 시작점이 되어 향후 활발한 연구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In line with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sudden activation of online/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are putting a lot of restrictions on Chinese learning, centered on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in online/non-face-to-face situations. To this end, we tried to design a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plan using chatbots by applying 'individualized customized learning' and 'task-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are suitable teaching-learning methods. First, the exist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method using ICT and cases using chatbot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addition, research on chatbots in China was also examined. Since there was no chatbot study related to Chinese education, Chinese teaching-learning plans were designed by analyzing exampl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using chatbots centered on English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used customized learning methods and task-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designed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plans using chatbots. Finally, non-experts instructors introduced how to easily develop chatbots for Chinese education using various chatbot platform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a Chinese teaching-learning plan suitable for using chatbots? Second, what are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plans using existing ICT, and what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Third, what are the examples of using chatbot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is the current status? Fourth, what are the examples of education using chatbots in China and what trends are emerging? Fifth, what are the design principles and development procedures of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chatbots? Sixth, how can the functions and conversation model types of chatbots for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be organized? Seventh, what are the ways to develop and implement customized Chinese language education chatbots? Eighth, what is the Chinese class procedure model using the prototype of the chatbot developed? Ninth, what is the Chinese teaching-learning process using the prototype of the chatbot you developed? Finally, what is the detailed plan fo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using the chatbot's profile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based on such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a chatbot prototype for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was designed and developed. Future foreig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on learners, helping individual learners find areas they like and enjoy, and through this, task-oriented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understand, apply, and solve problems by reflecting personal preferences. As a way to implement this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chatbot prototype for customized Chinese learning using chatbots. In this study,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a chatbot prototype for customized Chinese education is It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consideration of prior research related to development,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ros and cons of existing chatbots through prior research, composition of chatbot functions based on the curriculum, book analysis based on chatbot, chatbot development, chatbot prototype completion, chatbot prototype revision and chatbot prototype test." First, the design principle of the chatbot prototype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existing interactive chatbot development principl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hinese education were considered, algorithm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hatbots were selected, types of chatbots to b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related development principl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significant platforms for chatbot development were selected as 'Kakao Talk', 'Closer.ai', and 'Google Dialogflow'. Using this, we tried to present an intuitive and easy chatbot production method without complicated and difficult coding and explain the implementation results.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results for each language function were explained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results that can be used when designing Chinese classes using chatbots. Through this, when the instructor designs a Chinese teaching-learning pla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flow of conversation between the chatbot and the learner by looking at an example of the introduction for each language function. Finally, a Chinese teaching method using chatbots developed in this study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developed focusing on the task-oriente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stablish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was established. In addition, detailed plans using this were divided into 1st and 2nd sessions and described in detail. In particular, this study implemented actual classes as an example, and presented how the task-oriented instructional procedure model using chatbots is applied and operated in classes for beginner-level learners during conversation classes in Chinese majors at domestic universities. In fact, a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as produced using beginner Chinese conversation classes at domestic universities as an example. This study examin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tailed education plans, and utilization plans using chatbots for Chinese learning purposes that can be used in the Chinese education field of universities. Research using chatbots in Chinese education is still only in its infancy. Compared to English education, interest and research on Chinese education using chatbots were not activated.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the starting point for research on how to use ICT in Chinese education, and an active research environment will be created in the future.

      • 학습 동기와 외국어 불안이 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지역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동효령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63

        This thesis aims at finding out the influences of emotional factors, such as learning motivations and foreign language anxieties of Korean language majors, on their motivated behaviors in the learning environment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taking 850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as objects (with 699 valid samples after deleting invalid ones) and with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as the base of the motivation theory, measures the foreign language anxieties of students during their learning of the Korean language with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scale (FLCAS). After the data collection, SPSS 22.0 and AMOS 20.0 a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to explore the factors leading to learning motivations and foreign language anxieties and the variants caused by genders and grades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s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s and foreign language anxieties on motivated behaviors, and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s and foreign language anxie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reveal that the learning motivation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composed of three parts: Ideal L2 Self, Ought L2 Self and L2 Learning Experience, which proves that L2 Motivational Self System is applicable to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and foreign language anxieties are composed of the three factors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lassroom anxiety and comprehension anxiety. Secondly, the analyses of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Ought L2 Self there are more variants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As far as the grade is concerned, junior students have the lowest indexes in Ideal L2 Self and L2 learning experiences, and there is no apparent changes in the indexes of Ought L2 Self. In the part of foreign language anxiety,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genders and anxieties, and there is no apparent difference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he distribution of the grade, the junior students have higher indexes than postgraduate students at the level of classroom anxiety, and freshmen have higher indexes than seniors at the level of comprehension anxiety.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interview are made with six Korean teachers and 14 Korean language major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prove the above-mentioned results. At the same time, it is pointed out that foreign language anxiety also has some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motivated behaviors. In particular, interviews with students reveal that there are more positive influences than negative influences. In addition, with interviews with both teachers and students some strategies and suggestions are put forward. It is hoped that some new ideas will be provided to Korean language teacher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learning motivations and foreign language anxietie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eaching Korean. Key words: L2 Motivational Self System; foreign language anxiety; motivated behavio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외국인을 위한 역사문화 체험학습 방안 연구 : 부산지역 역사문화를 중심으로

        유혜정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foreigners to learn Korean history and culture by experiencing the old ways of Korean people's lives wit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will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current and old life styles of Korean people. The study focuses on the regional history and culture of Busan, and in addition to that, it extends its focus into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Experiential Learning for history and culture is necessary in the aspect of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experiencing the actual life of Korean people, and improving Korean language. When foreigners grasp historical events and emotions of Korean people relating to the events, their understanding about Korea will increase, at the same time, their apprehension about Korea will decrease. Experiential learning which includes all activities to absorb knowledge that they learn in books can be an excellent opportunity for learners to internalize the knowledge with full of excitement to learn. History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part which can provide the total way to 1) learn Korean language 2) understand history itself and 3) have activ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y and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strategy with consideration of these three. In chapter 2, the study presents the present condition of cultural learning activity given by Korean language schools in univers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in Busan and organizes its characteristics by different institutions. In chapter 3, the study presents different types of events in Busan, which are made for educating Korean history to learners, and historical sites. In addition to that, the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xperiential leaning activi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s and historical sites in Busan. In chapter 4, the study focuses on educating Korean language and suggests the learning example for high-level Korean speaking students. The learning example is based on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y of history and culture, and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Korean historical event called "Chosun Tong Sin Sa" which is the Korean historical event happened during Chosun Dynasty sending diplomats to Japan to mak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Chosun and Japan better. The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y will be conducted with 50 minutes, 4 lessons and the activity will be different from the morning and afternoon class.

      • 부산의 마을 만들기 사례를 활용한 베트남 다낭의 관광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 선짜군 토꽝동을 중심으로

        응웬 티 히엔 르엉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에 접어들어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진 삶과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근로생활 변화로 인해 여가생활의 중요성이 늘어남에 따라 관광은 양적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그 이유로 현대적인 관광 콘텐츠 대신 일상생활을 즐기면서 체험할 수 있는 베트남 어업마을을 관광문화 콘텐츠로 만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낭 3군(Sơn Trà. 선짜군)에 속해있는 발전된 다른 마을들과는 달리 낙후된 채로 방치되어있는 토꽝동(Thọ Quang)을 보며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다낭은 바다 바로 옆에 위치한 동네들이 대부분 발전을 하고 있는데 그 중간에 위치한 토꽝동은 방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꽝동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문화콘텐츠로 만들고 특색적인 관광 콘텐츠를 입혀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부산의 문화마을 만들기 사례를 통해 베트남 다낭의 관광문화콘텐츠 활용 방안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전체적인 구성과 주요 내용은 논문의 서론을 구성하는 제Ⅰ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대상과 방법 그리고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Ⅱ장에서는 ‘관광문화콘텐츠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마을 만들기 기반 관광문화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것을 짚어보며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부산 감천문화마을과 깡깡이예술마을 만들기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시사점까지 정리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앞에서 분석하였던 장단점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다낭 토꽝동의 관광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부산의 성공적인 문화마을 사례를 분석하는 기준과 구체적으로 감천문화마을, 깡깡이예술마을을 중심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 후 본 연구가 부산의 마을 만들기 사례를 5가지 요소 분석틀로 만들고 분석하기로 했다. 그것은 바로 장소성, 역사성, 문화가치, 경제성과 지속가능성이다. 분석틀에 따라 관광문화콘텐츠를 형성한 후 시사점과 발전과제까지 동시에 보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베트남 다낭과 한국 부산은 같은 해양도시이며 많은 유사성도 가지고 있으니 관광문화콘텐츠를 활용할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외에 부산의 마을 만들기 사례를 분석한 후 발전한 과제와 보완점을 같이 살펴보고 참고하여 최대한 같은 문제를 발생 시키지 않도록 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다낭시 선짜군 토꽝동 희망마을 만들기 사업을 대상으로 부산의 문화마을 만들기 사례를 통해 관광문화 콘텐츠 사업의 지원방안 현황과 보완점을 분석하고 참고하여 마을 만들기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사례를 통해 장점과 보완점을 아직 분석하지 못하거나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있어 한계가 있다. 본 연구 결과가 베트남 다낭 선짜군 토꽝동의 쾌적하고 매력적인 주거환경 조성과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가 있는 마을 만들기 방안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베트남과 한국의 문화적 교류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In the 21st century, tourism is expanding dramatically as the importance of life. Today, people have greater disposable income, travel has become cheaper, easier, and more over most people would like to expand their knowledge about the world. For this reason, instead of modern tourism content, we would like to find the way to make Vietnamese traditional fishing villages as tourism and cultural contents where anyone can enjoy and have experiences about them. Unlike other developed villages belonging to the Da Nang 3rd district (Son Tra district) with natural features and developed level. This study began by looking at Tho Quang sub-district where was left underdeveloped. In Da Nang, most of the neighborhoods located right next to the sea are developing, and Tho Quang which located in the middle of it, is neglected, so this study's purpose that making the value of Tho Quang that from traditional fishing village to a cultural content and add unique tourism content. Moreover, this study is a plan to utilize tourism and cultural contents in Da Nang, Vietnam, referenced the case of creating a cultural village in Busan. The overall composition and main contents of the paper were examined in Chapter I, which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of the paper, an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In Chapter II is the concept and type of tourism and cultural contents based on village creation were examined. Chapter III will be analyzed the creation of Gamcheon Culture Village and Kangkangee Culture Village in Busan, and summarized the implications. Chapter IV presented a plan to development of tourism and cultural contents in Tho Quang up-district based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implications analyzed above. The criteria for analyzing is the cases of successful cultural villages in Busan, representative of that are Gamcheon Culture Village and Kangkangee Culture Village. After collecting the data, this study is decided to make and analyze the case of Busan's village construction into five elements analysis frameworks. It is place, historical, cultural value, economic and sustain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after forming tourism cultu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 implications and development tasks can be seen at the same time. Vietnam's Da Nang and Korea's Busan are the same marine cities and have many similarities, so effective results can be expected to utilize tourisms and cultural contents. In addition, after analyzing the case of village creation in Busan, we will examine and refer to the developed tasks and supplementary points together to prevent the same problem as possible. This study is strongly showed about current statu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tourism and cultural contents project, according to the case of Busan's cultural village creation for the Hope Village Creation Project in Son Tra district, Danang city.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advantages and complements have not yet been analyzed or achieved through cases. Based on above statemen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pleasant and attra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creation of a village with cultural value and economic value in Tho Quang up-district, Son Tra, Da Nang, Vietnam, and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promote cultural exchanges between Vietnam and Korea.

      • 대응일치 분석을 이용한 부산지역 중소기업 구인 구직 불일치에 대한 연구

        이길문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63

        It i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 examine the Jobs Mismatch of SMEs in Busan, using the ‘Correspondence Analysis’. In this study it utilized three steps practical research methode. First, through a survey of the two parties it identified the perceptions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Secondly, through the results, it analyzed the character of formations of the Job mismatch in two groups(male & Female) and causes and solution be examined by managements and sociological aspects. Finally, a fundamental reason of the Job mismatch analyz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and recruitment. And these findings to all be applied 'correspondence Analysis’. This methode is a statistical analysis to illustrate the internal structure or pattern between variables the relationship by displaying a low dimension (2-D or 3-D) to determine the factors by distance job and wishes. As a resul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mpanies requested capabilities and job seekers recognitions. The overall summary of key factors of the mismatch are as follows. ① Manufacturing: All job seekers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preparations to get a job is to participate in special lecture. But women job seekers to look for the fame of company, when selecting a manufacturing company. That means they select the manufacturing company if the name of the company is widely known. ② Services: The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active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y, but men and women job-seekers was pointed out language skills as the main ability. For the language ability it needs more financial investment for young job seekers. So Busan Government must consider to this point to settle the politics. ③ Building and Construction Contracting Services: Both men and women job seekers and companies did not have too close to the construction-related factors.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rais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work in various directions. ④ Distributions & vendors: Requirement & qualifications of the distribution & vendors, which is the popular to present young job-seekers, has to match the overall factors. However, women are thinking about job experience and language skills as a key competence. Company women's side, on the other hand, sees the most important job qualifications are practical experiences and volunteer experiences. Here showed a big difference. ⑤ Oceanography and fisheries: This industry is also supported by the city government, as special sector in Busan. However, job seekers are to fairly consider the working area. On the other hand, on the company's job qualifications are experience, competence and conscious. Thus the seekers are in the situations that can not be easily employed.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10만여 중소기업의 구인 조건과 청년 구직자의 구직 조건 불일치(불일치)의 문제점을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고찰하여 유형별로 분석한 후 대안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방법을 중점으로 현실적 문제를 고찰한다. 첫 번째는 설문조사를 통한 당사자들의 인식과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두 번째로 이 결과를 통해 구인 구직의 불일치는 어떠한 유형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남, 여로 구분하여 파악하여 그 문제의 원인과 해결점을 경영학과 사회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취업과 채용에 대한 인식의 조사를 통해 보단 근본적인 불일치의 문제점을 천착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조사 결과를 ‘대응일치 분석법‘에 적용해 보았다. 이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차원 (2차원 또는 3차원)에 표시함으로써 변수들 간의 내적 구조나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는 통계적 분석 기법인데, 이를 통하여 구인과 구직의 요인별 거리를 측정하여 어떠한 요인들이 서로 근접해 있으며, 어떠한 요인들이 서로 소원한가를 측정하여 구이구직 불일치의 유형을 구체화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그 결과 구인 기업과 구직자가 인식하고 있는 요구 역량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부산 지역 내 구인 기업과 구직자 상호 간의 요구 조건이 차이가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체적으로 일치 불일치의 핵심 요인들을 업종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제조업: 남녀 모두 그리고 구인구직 모두 특강을 통한 입사 준비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반면 여자 구직자들은 제조업 회사를 선택할 때 회사명성을 중요시 하여 여자 구직자들은 제조업을 기피하지만 회사의 이름이 널리 알려진 경우라면 선택한다는 중요한 특징을 알아내었다. ② 서비스업: 서비스업의 발전을 부산시에서 적극 지원하지만 구직자 남녀 그리고 구인자 여성은 어학능력을 주요 역량으로 지적하였다. 이것은 어학능력을 키우기 위한 투자, 즉 경제적 부담이 많아 부산시정부의 정책 수립 시 반드시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③ 건설 및 건설관련업: 전통적으로 남성의 직업이라고 생각하는 관념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을 분석할 수 있었다. 즉, 구직자들은 건설업관련 요인들이 매우 거리가 멀었고, 구인자 역시 남녀 모두 건설업 관련 근접한 요인들은 없었다. 이에 따라 건설업 취업의 질을 다양한 방향으로 높여야 한다. ④ 유통판매업: 현재 청년 구직자들에게 인기가 많은 유통판매업은 전반적으로 자격증 등의 요건 일치는 보이지만 구직 여성들은 경험과 어학능력을 주요 역량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정작 구인 측의 여성들은 자격증과 봉사활동 경력을 역량으로 본다고 하여 큰 차이를 보였다. ⑤ 해양수산업: 부산지역의 특별한 업종인 해양수산업은 시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하지만 정작 구직자들은 근무지역을 상당히 고려하여 관련 업종의 구인난이 심화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회사의 구인 측에서는 자격증, 경험을 역량으로 중요시하여 구직자들이 쉽게 취업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구직자들의 근무지역 요구에도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다.

      • 중국 파견 교환학생 지원·관리 방안 연구 : 부산외국어대학교 사례를 대상으로

        최선진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63

        Global universities are running exchange student programs among nations for enhan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is regard, most countries have been studying domestic programs to attract and manage foreign students, but exchange students dispatched to other countries are not properly managed. Now, it is time to activate the exchange student programs more and manage them systematically and qualitatively, based on experiences and stories of dispatched students. Prior to the study, the history of the exchange student agreements, the number of Chinese exchange students and the number of exchange students dispatched to China at 9 universities were examined, and finally,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because it has the longest history of the exchange student agreement and the biggest number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is running diverse education programs, such as TANDEM and E-TANDEM for Chinese students and exchange students dispatched to China and possesses environments and accumulated data, which suit the topic of this study. In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exchange students, who were dispatched to China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and ended the second semester program in 2019,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motives to participate in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ex ante-ex post differenc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change students,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where students were dispatched on the improvement in linguistic abilities and students’ views on exchange student management.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mixed research methods us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Chapter 2 explains the history of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between the researched university and the Chinese university, the researched university’s regulations regarding exchange students and the status of management(selection of students, recognition of credits and student management). Chapter 3 describe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using questionnaires) on exchange student program experiences. The research result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ver.25), and ex ante-ex post differences in students’ participation experiences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improvement in linguistic abilities were analyzed. Chapter 4 indicates students’ views on exchange student management that were collected through a narrative inquiry. Chapter 5 deals with problems revealed in the results of Chapter 3 and Chapter 4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This chapter then provides a program model required for efficient exchange student support and management. Lastly, Chapter 6 finalizes this study by drawing a conclusion on the discussions of the paper and making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focusing on exchange students dispatched to China, unlike the existing studies, but it may not be hard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for all universities, since this study lacks samples and only targeted a specific university. Nevertheless, it is anticipated that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design suggested by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so students taking part in the exchange student program can learn a high level of language and culture.

      • 지역문화의 체험학습을 통한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 부산지역 동래민속예술축제를 대상으로

        양신월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在当今社会,韩国文化教育作为韩国语教育的重要组成部分,其地位及影响力日益凸显。通过对韩国文化的理解与学习,学习者不仅能够提高自身的韩国语文化素养,深层次地了解韩国,还能在学习过程中有效地提高自身的语言沟通能力,实现韩国语教育的最终目标。所谓语言沟通能力,不仅仅指的是学习者在实践中正确地使用韩国语语法以及词汇的能力,还包括在与韩国语使用者沟通交流时,能正确地理解对方所传达出来的文化信息的能力。 通常,外国人韩语学习者在学习韩语时,虽然有对于新鲜事物的好奇心与兴趣,但受母国文化的影响,还会对第二语言有一定的排斥感。因此,为了帮助外国人韩语学习者,开发探究有效的学习方法很有必要。 本论文以釜山东莱地区的民俗艺术祝祭为中心,以在韩中国人高级水平韩语学习者为对象,采用现场体验学习的方法,进行韩国文化教育方案的探究。 地域祝祭,作为韩国文化的重要组成部分,不仅能够体现出韩国的民族文化特性以及地域文化特性,而且,还能使地域居民在参与祝祭活动的同时,拉近彼此间的距离,产生民族共同体意识。同时,地域祝祭在传承和发展民族文化方面,也具有很大的价值和意义。本论文综合考虑现场体验学习的难易度,距离、时间、经费以及地域祝祭的趣味性,文学价值,教育价值等多方面的因素,选取釜山东莱民俗艺术祝祭为体验学习对象,使学习者通过现场体验学习,不仅能够深入学习了解韩国的地域文化,同时还能进一步地理解韩国文化,提高自身的语言理解能力以及语言使用能力。 第一章绪论部分主要阐述了研究的目的和方法,同时,还总结归纳了韩国文化教育方面的有关论文。第二章,按照祝祭的素材,祝祭的开展目的以及祝祭的项目类型,对韩国釜山地区的地域祝祭进行分类整理,并总结出不同分类基准下,各种祝祭的特征。同时,还详细分析了釜山地域祝祭在教学大纲的地域化,地域社会教育以及体验学习教育方面的价值和意义。第三章综合考虑体验学习教育的价值,趣味性,难易度,以及距离、时间、经费等因素,具体阐述了选取东莱民俗艺术祝祭为体验学习对象的原因。同时,考虑到中国人高级水平的韩国语学习者的韩语学习能力,选取东莱祭地神以及东莱野游为重点体验学习对象,构建出了韩国文化体验学习的教育模型。第四章,以东莱祭地神以及东莱野游为中心设计了具体的教育方案。考虑到东莱祭地神以及东莱野游与韩国文化的相关性,重点选取了通过东莱祭地神的体验学习进行的韩国岁时风俗和民谣教育,以及通过东莱野游的体验学习进行的韩国民俗剧教育,按照第三章设计的教育模型制定出具体的体验学习教育方案。第五章结论部分对整体的研究内容进行了总结,并且对今后的研究方向提出了建议。 本论文选取具体的地域祝祭为对象,阐述了具体的教育模型以及教育方案。但是,该方案并未运用到实际的韩国文化教育中,方案的可行性,以及在实际韩语教育中的价值都有待进一步的考察与研究。

      • 케이블TV 광고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광고검색 융합서비스에 관한 연구 : 부산·울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김호영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케이블TV광고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케이블 TV방송은 1995년 첫 방송을 개시한 이후 약 20년간 그 문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 가입자 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 15,076,585명을 정점으로 2014년에는 14,676,658명으로 399,927명이 감소하였으므로 전체적으로 가입자 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또한 매출액의 경우, 2008년 7,909억 원에서 2010년 9,301억 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내림세로 돌아서 2015년에는 IPTV에도 뒤처진 7,506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다. 이러한 현상은 모바일 및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광고시장의 매체가 변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케이블TV 광고는 지역에 특화된 광고로 주요 광고주는 광고지역에 기반을 둔 사업체, 개인, 공공기관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 맞춤형 광고를 통해 광고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광고의 높은 노출빈도로 인지도를 향상하게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상파TV광고에 비해 저렴할 뿐 아니라, 비용 대비 명확한 대상을 설정하여 맞춤형 광고제작이 가능하여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도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상파 중심의 전국구 광고, 모바일 및 인터넷 중심의 뉴미디어 광고로 인해 지역 광고시장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TV광고의 경우 광고효과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미비하였고, 광고제품에 대한 질적개선, 다단계 성격의 영업방식과 이로 인한 단가체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황 문제점을 정밀히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총정리 하였으며,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케이블TV 광고시장에 대한 최초의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실증분석을 위해 수집된 광고 건수는 모두 10,428개로 3개 지역방송사에서 송출된 11년간의 광고를 전수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TV광고제품군, 광고주 성격, 광고유형 등을 분류하고 체계화시킬 수 있었다. 또한 부산지역에서 15년 이상 광고대행 및 제작을 하고 있는 매출액 기준 상위 3개 업체를 대상으로 678건의 광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자료분석을 통해 부산지역의 16개 구 및 군별로 광고상품군 및 광고유형, 광고주 성격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이는 곧 부산지역의 케이블TV광고시장에 대한 지도를 그려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부산․울산․경남지역의 케이블TV 광고시장 참여자 97명을 대상으로 지역 광고시장에 대한 현황 및 전망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고종사자와 광고주는 지역 케이블TV가 가지고 있는 광고미디어 매체로서의 영향력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위에서 언급된 지역 케이블TV광고시장의 문제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케이블TV광고시장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지역광고를 활성화하는 방안 중 하나로 지역광고의 모바일 광고검색서비스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대안의 기대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인과지도를 통해 케이블TV광고시장의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크게 5가지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케이블TV광고시장의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가중 이동평균법(Weighted Moving Average)이라는 예측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가중 이동평균법의 가중치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5가지 요인들을 정량적 요인과 정성적 요인으로 분류하고 다속성의사결정방법론 중 하나인 MADM(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방법론을 적용하여 모든 요인들을 규준화(normalization)한 뒤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가중 이동평균법을 통한 케이블TV광고시장의 전망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정량적・정성적 요인 모두 향후 10년간 케이블TV 광고시장의 전망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 주었다. 본 결과는 광고시장참여자가 케이블TV광고시장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기 보다는 부정적 인식이 더욱 큼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바일(인터넷) 광고검색서비스와 융합된 케이블TV광고에 대해서는 시장 전망이 향후 7년간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과거 케이블TV광고의 10년간 지속적 성장세가 이어질 수 있음을 뜻한다. 지금까지 국내 케이블TV광고뿐 아니라 모든 지역광고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존 연구가 정책적 제안과 현황에 대한 인식조사에만 그쳤다면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적 방법을 통해 이를 실증규명하고 시뮬레이션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TV 광고 제작이 TV라는 단일 매체를 통해서만 노출되었고 모바일 및 인터넷 광고도 별도로 제작되었다. 이는 두 광고매체가 융합 및 결합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광고시장으로 인식됐으며 광고주로서는 각각의 광고를 내기 위해 완전히 다른 광고 프로세스를 거쳐야 했다. 광고의뢰 및 제작, 광고단가 및 비용, 광고 노출 방식 등이 모두 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융합 비즈니스 모델에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able TV commercials and suggest solutions for the problems. Korea’s cable TV has been in service since 1995 for about 20 years. However, the number of subscribers has been continuously dropping. There was a drop of 399,927 subscribers from the peak at 15,076,585 in 2010, to 14,676,658 in 2014. In terms of sales, after taking a peak at 790.9 billion won in 2008 it took a downward trend and in 2015, it is expected to record 750.6 billion won, which is lower than the sales of IPTV commercials. This phenomenon reflects the change in advertisement market, with the arrival of new media, mobile and internet. Cable TV commercials are region-specific advertisements and the target advertisers are businesses, individuals, and public institutions. It has the advantages of raising concentration through region-specific commercials and improving awareness level through frequent exposure of commercials. Also, it is cost effective as it costs less than terrestrial TV commercials and it can produce customized commercials with clear targets and low cost. Despite these characteristics, local advertisement market is shrinking due to nationwide advertisements centered on terrestrial TV and advertisements through new media such as mobile and internet. In case of cable TV commercials, there has been lack of scientific validation for advertising, a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dvertising products and to break from the business method centered on multi-level marketing and improve unit price. In order to analyze these problems in detail, this study analyzed relevant documents in and out of Korea and conducted the first positive research on cable TV commercial market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The number of advertisements collected for the positive research was 10,428 in total and advertisements transmitted by 3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for 11 yea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data, groups of TV commercial products, personality of the advertisers, types of advertisements were categorized and systematized. Also from the top 3 companies in sales that have been in advertising and production for over 15 years, 678 advertising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groups of advertising products, types of advertisements, and personality of the advertiser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for 16 boroughs and districts in Busan. Then targeting 97 people involved in the cable TV commercial market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ir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local advertisement market and future prospect.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hows that workers in advertising and advertisers perceive the influence of cable TV as an advertising media to be high, while clearly understanding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of cable TV commercial marke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mobile searching service for local advertisement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cable TV commercial market and promote local advertisements. In order to verify the expected effect of the suggestion, using the causal loop map of System Dynamics,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spects of cable TV commercial market were divided into 5 groups. Based on this the effects on the prospects of cable TV commercial market were analyzed and a prediction method called Weighted Moving Average was applied. In order to improve accuracy of the added value of Weighted Moving Average, the 5 factors were divided into qualitative factors and quantitative factors, and using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method, all the factors were normalized and weighting factors were deduced. The result of simulating the prospects of cable TV commercial market using Weighted Moving Averag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actors showed downward turn in the market prospect for the following 10 years. The result reflects generally negative perception of advertisement viewers about the prospects of cable TV commercial market. However, the cable TV commercials combined with mobile(internet) advertisement searching service showed upward trend in the market prospect in the following 7 years. It implies the past 10-year long growing trend of cable TV commercials can continue.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on domestic cable TV commercials that focused on policy suggestions and surveys on perception of current statu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used scientific method and simulation for verification. Until now, TV commercials were produced through a single media and mobile and internet advertisements were made separately. So despite the high possibility that the two medias can be combined, the two were recognized as separate markets, and advertisers had go through totally different process to run ads. It was because commission and production of advertisement, advertising costs and expenses, and advertisement exposure scheme were all different. In contrast, the convergence business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use both TV and mobile medias with one production of advertisements. Through this, advertisers, wh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advertisement market, can cut down costs, time, and production process and can have convenience and cost saving effect. Meanwhile, advertisement agencies and production companies can have increased sales along with increasing production of advertisements. Also, advertisement agencies and production companies can be open market mediators for the convergence service of TV and mobile ads and new mediating service can be created. Applying methods of producing advertisements and techniques that can be applied to both TV and mobile, it will be possible to diversify and differentiate ad productions.

      • 부산 지역 한국어 학습자의 부산 방언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20대 부산 방언 화자의 발음을 중심으로

        응웬 마이 뀐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study investigate how international students of Korean language living in the area of Busan perceive the pronunciation Busan inhabitant's aged 20s. Compared to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Seoul), the Busan dialect has some uni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foreigners who are used to Korean national language for instance Seoul find it more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Busan locals. This would be a significant obstac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start a life here. Studies on the Busan dialect mostly focus on examining and analyzing the traditional aspects of Busan language. To serve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research in question, section 2 provides a review of literature and summarizes, the pronunciation features of the Busan dialect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of section 2, the purpose of the section 3 is to consider whether the traditional features are still used by people in the age of 20 on a daily basis or not.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recorded date, local people in Busan aged 20s tend to pronounce vowels and consonants similarly to Standard Language. n section 4, a survey was carried out online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on 97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currently living in Busan about how they perceive the local dialect in this area, especially the pronunciation of people aged 20s. To some extent, personal experience of a person would attribute to the formation of his/her language awarenes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enhance the adaption process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Busan dialect, Korean language programmes in the local area should arrange introductory classes as a mean to introduce Korean culture as well as their language to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research on local dialects in general and serves as a reference document for researchers who share the same interest in the subject in particu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