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mparative Study on the Osseous Changes of the TMJ and Mandibular Asymmetry after Conservative or Operative Treatment in Condylar Fracture Patients : 하악과두부위 골절환자에서 보존적치료와 관혈적치료 후 측두하악관절 골변화와 하악비대칭에 관한 연구

        유수경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783

        본 연구는 하악과두부위 골절환자에서 보존적치료 또는 관혈적치료 후 측두하악관절의 골변화와 하악비대칭을 비교 관찰함으로써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하악과두부위 골절환자 33명 (남자 26명, 여자 7명) 중 보존적치료를 받은 환자 17명, 관혈적치료를 받은 환자 1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직후와 6개월 이상 추적조사 시의 경두개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과두와 관절융기 후방경사의 골변화를 관찰하였고 후전방두부방사선사진에서 하악의 비대칭지수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측두하악관절의 골변화는 관혈적치료 시보다 보존적치료 시에 그 차이가 적었다. 2. 측두하악관절의 골변화는 보존적치료 시와 관혈적치료 시 모두 이환측이 비이환측보다 그 차이가 많았다. 3. 시간 경과에 따른 측두하악관절의 골변화는 보존적치료 시 비이환측과 관혈적치료 시 이환측에서 그 차이가 인정되었다. 4. 하악의 비대칭지수는 보존적치료 또는 관혈적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치료 직후 각각 5.12, 7.90 이었고, 추적조사시에는 각각 2.39, 3.41 이었다. 그러나 하악의 비대칭 정도는 두 군간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서 측두하악관절에서의 골변화는 관혈적치료 시보다 보존적치료시 그 차이가 적게 관찰되었으며 하악의 비대칭 정도는 두 군간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체외충격파 치료와 보존적 치료가 족저근막염 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

        박종수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83

        이 연구는 유병 기간이 6개월 이상 된 만성 족저근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통증 감소 및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 족저근막염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나누어 운동치료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와 체외충격파를 적용한 실험군, 운동치료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만을 적용한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주 2회씩 8주간 치료를 실시하였다. 단, 실험군에서 보존적 치료는 주2회 적용하였으나 체외충격파 치료는 주 1회만 적용하였다. 통증의 증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측정하였고, 기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Plantar Fasciitis Pain/disability scale (PFPS)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의 VAS 및 PFPS 측정치는 치료 전․후 모두 상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운동 치료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와 체외충격파치료를 병행한 집단은 집단 내 치료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p<.01)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만성 족저근막염 환자들에게 체외충격파치료를 8주간 적용하였을 때 통증감소 및 기능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운동치료 및 보존적 치료만을 적용하였을 때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유병기간이 6개월 이상 된 만성 족저근막염 환자들에게 체외충격파 치료로 인한 추가적인 치료비용의 경제적 부담과 함께 치료의 불편함을 주기보다는 기존의 운동치료 및 보존적 치료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도 유용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The) longitudinal course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lantar fasciitis

        이승엽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248749

        I. 서론 족저근막염은 후족부에 발생하는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 져 있다. 미국에서는 100만명이 매년 진단받고 있으며, 전체 인구 중 약 10%에서 생존 기간 중 족저근막염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족저근막염의 발생에 대한 위험 인자들의 보고는 다양하게 있으나 치료 반응성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선행 연구가 없어 이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II. 재료 및 방법 전체 임상 사례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단일 기관에서 치료를 시행 받은 429례의 족저근막염을 대상으로 이 중 보존적 치료 (약물치료 및 스트레칭 운동 등)에 치료 1개월 째 반응을 보이지 않은 환자군과 호전이 있었던 대조군의 분석을 통해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중에서 증상이 완전 소실된 경우는 Cox 비례위험 분석을 이용하여 재발 요인 분석을 2차적으로 시행하였다. III. 결과 증상의 완전 소실은 377례(87.9%)에서 이루어 졌으며, 평균 4.4개월이 소요되었다. 최종 추시까지 재발률은 51.0%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좋지 않은 조기 결과에는 나이, 비만도, 양측성, 총 기립시간, 증상 발생 후 치료까지의 기간이 관계하고 있었으며, 재발 분석을 위해 포함된 290례의 분석에서는 총 기립시간 만이 유의한 예후 인자로 확인되었다. IV. 결론 족저근막염의 보존적 치료에서 호전된 조기 결과를 얻고자 하는 데에 비만도, 증상 발생 후 치료까지의 기간, 총 기립시간이 관여하는 바 환자의 교육과 생활 습관의 개선을 통해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재발의 방지를 위해서도 총 기립시간이 유의한 인자이므로 환자의 일상 생활에서의 작업 또는 운동 활동의 조절을 통해 치료 경과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겠다. Introduction: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lantar fasciitis, little is known about the predictive factors for early outcome and recurrence of conservatively treated plantar fasciitis. This study evaluated the predictive factors for early outcome and recurrence during a longitudinal course of conservatively treated plantar fasciitis.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retrospective analysis, 429 feet of 276 patients were included. The unfavorable early outcomes were defined as no improvement in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t 1 month after treatment. Possible predictive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of the unfavorable early outcomes. To evaluate recurrence, 290 feet of the 184 patients who achieved complete remission (CR) of the symptoms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were analyzed using the possible predictive factors. Results: By the last follow-up, CR was achieved in 377 feet (87.9%). The mean time to reach CR was 4.4 months after treatment. The rate of recurrence was 51.0%. An age-matched analysis showed that the body mass index (BMI), symptom duration before treatment, and daily total standing time (TST) wer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an unfavorable early outcome. With regard to recurrence, TST was the only covariate that was significant after the adjustment. TST ≥120 min/day was significant in the analyses of early outcome and recurrence with an odds ratio of 9.256 (95% confidence interval [CI], 4.801-17.844) and a hazards ratio of 2.760 (95% CI, 1.841-4.139). Conclusions: To achieve favorable early outcomes and no recurrence, conservatively treated plantar fasciitis pati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modifiable factors (e.g., lowering their BMI, scheduling early clinic visits before the disorder becomes chronic, and shortening their daily TST).

      • 참느릅나무를 이용한 4기 욕창의 보존적 치료

        강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17

        욕창은 신체의 일정 영역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주어져 혈액순환의 장애가 유발되어 조직의 손상이 일어난 것을 의미한다. 욕창은 일단 발생하면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치료에 필요한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이에 저자는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고 값이 저렴하며,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상처치료에 사용되어 온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Jaca Var. coreana Uyeki) 근피(root bark)를 욕창의 보존적 치료에 이용하여 그 효과를 습윤거즈 드레싱과 비교하였다. 대상 욕창은 모두 14례로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NPUAP, 1989)에 제시한 기준에 근거하며 모두 4기였다. 참느릅나무 드레싱을 8례에 적용하여 실험군으로 하였고, 습윤거즈 드레싱을 6례에 적용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각 욕창은 2주 간격으로 검사하였고 12주간 추적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욕창의 크기는 참느릅나무 드레싱 군의 경우 치료 시작 시 73.35±46.28㎤ (8례, Mean±S.D.)에서 12주 후 8.14±13.17㎤(7례, Mean±S.D.)로 개선되었고 습윤거즈 드레싱 군은 치료 시작 시 62.10±44.89㎤에서 12주 후 36.69±36.23㎤ (6례, Mean±S.D.)로 개선되어 참느릅나무 드레싱 군이 습윤거즈 드레싱에 비해 유의하게 욕창의 크기가 감소되었다(p<0.05). 2. 욕창의 기는 치료 시작 시 모두 4기였으나 12주 후 측정한 결과 참느릅나무 드레싱 군 8례 중 완치 2례, 2기 3례, 4기 2례로 나타났으며, 습윤거즈 드레싱 군 6례 중 완치된 욕창은 없었고 2기 1례, 3기 1례, 4기 4례였다. 참느릅나무 드레싱 군은 치료 시작 후 10주 후에 의미있게 욕창 기가 감소했으나(p<0.05) 습윤거즈 드레싱 군은 의미있는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3. 참느릅나무 드레싱은 욕창의 농이나 삼출물을 흡수하고 괴사조직을 녹여내어 깨끗한 욕창으로 유지할 수 있었다. 4. 일부 욕창에 습윤거즈 드레싱에서 나타나는 홍반이나 부종, 침연, 육아조직의 과형성 등의 부작용이 참느릅나무 드레싱에 의해서도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느릅나무 드레싱은 습윤거즈 드레싱에 비해 욕창의 치유에 효과적이었으며, 욕창의 보존적 요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sure ulcer is defined as a defect of an area of unrelieved pressure over a specific area resulting in ischemia, cell death, and tissue necrosis. Pressure ulcer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particularly for persons with impaired sensation, prolonged immobility, or advanced a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lmus dressing,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wound management in Korea, on the pressure ulcers. Wet gauze dressing was used as control group. Forteen pressure ulcers on stage IV (accordirg to the M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1989) were enrolled and 8 cases were dressed with Ulmus and 6 cases were dressed with wet gauze. The sizes and stages of pressure ulcers were evaluated in every 2 week for 12 weeks. 1. After 12 weeks, size of pressure ulcers were decreased from 73.35±46.28㎤(mean±S.D., n=8) to 8.14±13.17㎤(mean±S.D., n=7) in Ulmus dressing group, whereas from 62.10±40.87㎤ to 36.69±36.23㎤(mean±S.D., n=6) in cases of wet gauze dressing group. Size of pressure ulcers were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p<0.05) in Ulmue dressing group than wet gauze dressing group. 2. After 12 weeks , 8 cases dressed by Ulmus were changed to 2 cases completely healed, 3 cases on stage II, and 2 cases on stage IV, whereas 6 cases dressed by wet gauze there were no case completely healed, 2 cases on stage II, one case on stage III, and 4 cases with stage IV. Stages of pressure ulcers were changed after 10 weeks(p<0.05) in Ulmus dressing group but,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wet gauze dressing group. 3. Ulmus maintained pressure ulcers clean by absorbing pus and exudate well liquefying necrotic wound debris, 4. Side effects of Ulmus dressing such as erythema, edema, maceration, and excess format ion of granulation tissue were occurred as in wet gauze dressing cas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Ulmus dressing is more effective in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than wet gauze dressing, and suggest that Ulmus can be used as useful method of conservative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 객혈환자의 보존적 치료에서 corticosteroid의 효과

        권지숙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8

        Backgrounds : Hemoptysis is an important one among respiratory symptoms, and has been commonly due to bronchitis, in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nd its complications, and bronchiectasis. Antitussive and antibiotics with bed rest is used as conservative treatment for these diseases related to respiratory tract inflammation. I studied the effect of corticosteroid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in conservative treatment of hemoptysis due to these diseases. Methods : From February, 2005 to August, 2006, I studied 78 patients that visited emergency roo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 cause of hemoptysis, excluding patients with hemoptysis due to suspicious lung cancer,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nd pneumonia. I randomly divided 78 patients into corticosteroid medication group(n=37) and control group(n=41), and observed clinical progres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treatment except corticosteroid between two groups. Results 1) There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between steroid medic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at age, sex, etiology, SAPS score and clinical presentations.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t average control time of hemoptysis, which was 3.7±1.92 days in steroid medication group, 5.5±4.44 days in control group (p=0.031).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t average in-hospital days, which was 5.7±2.14 in corticosteroid medication group, 7.9±4.95 in control group (p=0.029). 4) There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t rebleeding or complication during in-hospital days. Conclusion : Corticosteroid makes improvement of symptoms and reduces in-hospital days without additional risk of complication in the management of hemoptysis due to bronchitis, in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and its complications, and bronchiectasis

      • 급성 단독 후방십자인대 손상의 보존적 치료

        서희수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7

        Purpose: We investigated acute and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treated conservativel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1999 and October 2006, w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results of acute,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treated conservatively. The subjects consisted of 21 patients. At initial and follow up visits physical examination, KT-2000TM arthrometer and MRI were performed to assess improvement on the knee stability and continuity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knee scoring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were also checked in all population. Comparing the results of initialand follow up examinations we assessed the natural history of acute,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treated conservatively.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2.7 months. Results: The posterior drawer test showed 14 cases of Grade I, 6 cases of Grade II and 1 case of Grade III progressing 18 cases of Grade I and 3 cases of Grade II. The mean difference of 5.7mm by KT-2000TM arthrometer was changed into 2.7mm and the continuity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itially checked by 48.1% on MRI increased to 69.7%. The mean quadriceps muscle strength was grade 'Good' and mean IKDC knee score was nearly grade 'A'.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patients with acute, isolated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treated conservatively may get good clinical outcomes on clinical situation and MRI.

      • 소아 신우요관이행부폐색의 치료에서 연령에 따른 장기간 임상 경과

        김범수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1

        Purpose: There is no agreement in the management of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 (UPJO) in children. I reviewed the experience over 10 years for UPJO pediatric patients to analyze the natural progression and desirable treatment modality by long term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I hav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80 consecutive children with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 surgically or medically managed between December 1994 and November 2004. There were 67 boys and 13 girls. A total of 94 kidneys in 80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urinalysis, ultrasonography, diuretic renogram and 99mTc-DMSA renal scan, and natural progression, management method and perioperative outcomes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Results: Of the 80 patients, prenatally diagnosed by fetal hydronephrosis or diagnosed younger than 1 year accounted for 50 (group A), and diagnosed by clinical symptom or urinary tract infection (UTI) over 1 year accounted for 30 (group B). In group A, 18 patients underwent dismembered pyeloplasty before 1 year (A1) and 2 patients underwent nephrectomy due to severe deterioration of renal function (<5%). The other 30 patients were managed conservatively at first, but pyeloplasty was performed in 20 patients due to recurrent febrile UTI or aggravated hydronephrosis or deterioration of renal function (A2). The last 10 patients in group A had spontaneous regression of obstruction by medical treatment (A3). In group B, 22 patients underwent pyeloplasty directly (B1), and the other 8 patients were initially managed conservatively, but they underwent pyeloplasty because of recurrent febrile UTI or aggravated hydronephrosis (B2). In the comparison of renal function change among group A, A1 had better renal functional improvement than A2 and A3.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1 and B2.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groups. Conclusions: Although spontaneous regression of UPJO in children can be expected if the febrile UTI and hydronephrosis is not so severe and the renal function is well-maintained, I think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renal functional improvement to perform the early operation in the patients diagnosed younger than one year old.

      • Efficacy of conservative treatment on prevention of exacerbation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김수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411

        특발성 척추측만증의 연구자들은 척추측만증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여러 비수술 요법을 제안했으나, 현재의 척추측만증 치료법은 여전히 다수의 경우에 적절하지 않으며 척추측만증의 유병률이 또한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에 대한 현실적인 치료 방법인 보존적 치료를 제시하고, 특히 한국 및 기타 국가에서 청소년 척추측만증의 유병률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브 각도가 10도 이상인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를 모집하였으며, 이후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 연구를 위해 157명의 청소년 환자를 선정하였다. 연구는 코브 각도에 따라 경도군 (10o ≤ 코브 각도 ≤ 25o), 중도군 (25o < 코브 각도 ≤ 40o) 및 고도군 (코브 각도 > 40o)의 3개 환자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군은 물리요법, 운동요법, 도수요법 및 가정운동을 포함한 보존적 치료의 처방을 받았다. 환자 치료는 병원으로 내원하여 10주 동안 주2회 수행되었으며, 치료기간 동안 1일 20분, 주 3회 집에서의 운동을 동반하였다. 치료에 대한 결과로 보존적 치료 전후의 코브 각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특발성 척추측만증에 대한 모든 환자군에서 코브 각도, 흉추 및 요추 각도의 평균 변화는 각각 5.91 (표준편차 5.46), 4.23 (표준편차 3.40) 및 3.96 (표준편차 3.61)로 나타났다. 경도군에서 평균 변화는 각각 3.18 (표준편차 2.58), 4.49 (표준편차 2.14) 및 3.28 (표준편차 2.10) 이었으며, 중도군에서 각각 7.19 (표준편차 4.71), 5.51 (표준편차 3.21), 5.43 (표준편차 3.28), 고도군에서 평균 변화는 각각 6.97 (표준편차 6.52), 3.82 (표준편차 3.55) 및 3.67 (표준편차 3.98)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존적 치료로 인한 모든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들에 대한 전반적인 코브 각도의 감소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든 환자에 대한 보존적 치료 전후의 흉추, 요추 및 총 코브 각도의 변화는 유의하였다. 또한 보존적 치료는 코브 각도가 큰 중도군이나 고도군에서 치료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보존적 치료는 모든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나타났다. 즉, 척추측만증의 조기 진단 직후 즉시 보존적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특발성 척추측만증의 적절한 치료방안으로 추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존적 치료는 심하게 진행된 척추측만증에 대해서도 불필요한 수술을 예방하는 대안적 방법으로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으며 또한 10도 이하의 경미한 증상에 보존적 치료를 적용 시 척추측만증의 전체 유병률도 낮출 수 있다고 보여진다.

      • 원위 요골 골절 보존적 치료 시 이차 전위에 대한 예측 인자

        정호욱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96

        국문요약 원위 요골 골절은 상지 골절 중 약20%를 차지하는 흔한 골절이며 과거에는 주로 보존적 치료가 시행되었다. 원위 요골 골절에서 불안정성의 유무를 예측하는 것은 향후 치료의 결정에 중요하다. 안정적인 골절은 보통 보존적으로 치료가 되지만 불안정한 골절은 때로 수술적 치료를 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저자는 초기에 정복 소실로 인한 부정유합으로 진행을 예측하여 치료 방침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위 요골 골절의 보존적 치료시 환자의 나이, 초기 골절의 전위 정도, 골간단의 유리 골편(floating fragment) 등을 분석하여 보존적 치료 후 방사선학적 계수를 측량하여 정복의 소실과 관련성을 찾는데 있다. 200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원위 요골 골절로 치료 받은 환자 193명 중 보존적 치료로 6개월이상 추시했던 환자 13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18세 미만, 동반된 요골 또는 척골 간부의 골절이 있었던 경우, 일차적으로 수술이 시행된 환자는 제외하였다. 처음 내원했을 때부터 유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방문 시마다 수근관절의 전후 및 측면 방사선 사진이 촬영 되었으며, 초기 방문 및 정복 후, 이후 첫 외래 내원(수상 후 1주), 유합 (수상 후 8주 이상) 후의 방사선 사진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각, 척골 변이, 골간단 분쇄 유무 등이 계측되었다. 후방 피질골 분쇄는 측면 사진에서 후방 피질골의 유리된 골 조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추시 중 이차 전위는 정한 방사선학적 계수 범위를 벗어난 경우 또는 유합 전에 수술이 시행된 경우로 하였으며 첫 외래 내원 시에 이차 전위가 확인되거나 14일 이내에 수술적 치료로 전환된 경우는 조기 이차 전위(early secondary displacement)로, 첫 외래 내원 이후에 발견된 이차 전위나 14일 이후에 수술이 이루어진 경우는 후기 이차 전위(late secondary displacement) 로 정의하였다. 추시 중 이차 전위 및 방사선학적 계수의 변화를 골절의 전위 정도, 후방 피질골의 분쇄 유무, 환자의 연령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에는 SPSS ver 14.0 이 이용되었으며 범주형 변수의 비교에는 chi-squared test, 연속형 변수의 비교에는 Mann-whitney test가 사용되었다. 각 군간의 평균값의 비교를 위해서는 선형혼합모델(linear mixed model) 이 이용되었다. p 값이 0.05 이하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령 분포는 21세부터 89세까지 평균 58.0 세였다. 요골 경사각, 요골 길이, 전방 경사각, 척골 변이는 정복 직후 각각 평균 21.8°, 11.5mm, 11.1°, 0.31mm, 1주 후 외래 추시 시에는 20.6°, 10.8mm, 9.6°, 0.70mm 였으며, 유합 후 최종 추시 시에는 18.9°, 9.2mm, 8.4°, 1.70 mm였다. 최초 골절의 전위 정도가 이차 전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 관계가 있었으며, 환자 연령은 후기 이차 전위와 연관 관계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계수에 대한 나이, 후방 분쇄, 초기 골절 전위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요골 경사각에 대해 나이, 후방 분쇄, 초기 골절 전위가, 요골 길이 및 전방 경사각, 척골 변이에 대해서는 나이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였다(p<0.05). 연구 결과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의 최초 방사선 사진에서 골절에 전위가 심할수록 이차 전위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환자 연령이 많을수록 후기 이차 전위가 병발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골절의 초기 정복 이후 방사선학적 계수의 악화 인자로 환자의 연령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그러므로 노인에서 초기 전위가 심한 경우 이차 전위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요하며 정복 소실의 발생시에 회복 후 활동에 대한 기대 정도를 고려하여 수술적 치료로 전환 등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심 단어: 원위 요골, 골절, 후방 피질골 분쇄, 보존적 치료, 이차 전위 영문요약 Fracture of the distal radius is most common fractures in upper extremity (about 20%). In the past, conservative treatment is preferred. To predict instability in the distal radius fractures is important to make decision for treatment. Stable fractures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but unstable fractures often need operative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dicting factor for collapse and malunion in distal radius fracture in advance. We included the age of patients, intitial displacement of fractures, floating fragment in metaphysis of distal radius as variables. Among 193 patients who underwent treatment for distal radius fractures in Asan Medical Center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11, 132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6 months and included in our retrospective study.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if they were under the age of 18, had combined radial/ulnar shaft fractures, underwent primary operative fixation.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were performed during follow-up, at presentation, at first clinic visit (1 weeks post-injury), and after healing of the fracture (at least 8weeks after immobilization). Radial inclination, radial length, volar tilt, metaphyseal comminution, ulnar variance were assessed.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was determined by free-floating bone fragment at dorsal cortex in lateral radiograph. In following up, secondary displacement was defined as a fracture that healed with radiographic parameters outside the acceptable range. Fractures also were considered to have displaced if they underwent surgery before this healing occurred. Early secondary displacement was defined as displacement within 14 days, were as late secondary diplacement was defined as displacement after 14 days. And the rate of displacement was analyzed by the fracture displacement (displaced vs minimally displac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dorsal comminution, and patient demographics. The average age was 58.0(range 21-89) years. Average radial inclination, radial length, volar tilt, ulnar variance was 21.8°, 11.5mm, 11.1°, 0.31mm at just after reduction , 20.6°,10.8mm, 9.6°, 0.70mm at first clinic visit, 18.9°, 9.2mm, 8.4°, 1.70mm at after healing of the fracture,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itial fracture displacement and secondary displacement. And age of patients has relation with late secondary displacement. In the radiographic parameter after healing of fracture, age of patients, dorsal comminution, initial fracture displacement to radial inclination, age of patient to radial length, volar tilt, ulnar variance have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conclusion, considerable displacement in the initial radiograph of distal radius fracture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displacement, in the older patients, the occurrence rate of late secondary displacement was increased. Also, old age was a deterioration factor in radiographic parameter after reduction. Therefore, when there was severe initial displacement in the distal radius fracture of older patients, close observation is needed. And in the situation of reduction loss, it is necessary to change to more aggressive treatment in the consideration to activity after healing of fracture. Key words : distal radius, fracture, dorsal metaphyseal comminution, conservative treatment, secondary displa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