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교회를 위한 신학적 성찰 : 성장에서 성숙으로의 전환을 위한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의 재구성을 통하여

        윤충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가 번영신학에 의해 왜곡되고 있음을 밝히고 성찰신학의 필요함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으로 번영신학을 비판하고 한국기독교에 실천적으로 적용하고자 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논리적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우선, 번영신학이 한국기독교에 쉽게 뿌리내리게 된 그 근원적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번영신학의 근원적 뿌리가 신화론적 세계관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논증하고, 그 본격적인 성장은 20세기 미국의 실용주의의 영향하에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로 퍼졌음을 비판했다. 또한, 번영신학이 한국기독교의 역사적 배경과 맞물려 더욱 쉽게 수용되었음을 논증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은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이 루터의 ‘오직 믿음,’ 자유주의 신학의 역사비평학,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철학의 사상적 구성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이 세 가지 사상적 특징들이 탈신화화론을 구성하기 위해 서로 역설적으로 그러나 상호 구성적으로 조화를 이루었음을 논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탈신화화론의 사상적 배경을 통해 실존론적 신학의 목적과 의도를 더욱 명확히 전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존론적 신학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동시에 한국기독교에 만연된 번영신학의 특징들을 비판하면서 실존론적 신학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 적용을 위해 실존론적 신학의 변증법적 주제인 시간성, 존재론, 자유를 재구성하여 번영신학을 비평하고, 성찰신학의 정의와 필요성을 주장하며 실존론적 신학을 성찰신학의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 문제의 현안이 번영신학에 있음을 밝히고, 그 문제점을 비평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을 성찰신학으로서 적용하였다. 이는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이 현대 신학의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한국기독교를 위해 성찰신학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존론적 신학이 빠른 현대적 시대의 흐름 속에서 성장주의를 외치는 한국기독교에 더욱 날카로운 신학적 반성과 깊은 성찰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실존론적 신학이 한국기독교에 신앙하는 실존적 인간의 본질성을 제시하고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회복시키는 신학적 대안임을 제시하였다.

      • 한국교회 회복을 위한 하나님 중심적인 회개설교 연구

        권순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제안으로서 효과적이고 설득력 있는 회개설교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 한국교회는 세속화와 이교화, 번영신학의 영향으로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 및 기능과 역할이 흔들리고 있다. 이에 우선적으로 강단이 회복되어야 하는데, 그 가운데 회개설교가 시급하다. 특히 성도가 죄의 문제를 해결하고 바른 신앙과 삶으로의 회복을 위해 선포된 회개설교가 그 목적과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하나님 중심적 설교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하면 회개설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님 중심적 설교를 접목하여 회개설교를 준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논문의 목적에 따라 2장에서는 회개에 대한 어원과 신학적 의미를 찾고, 회개설교의 필요성을 세속화와 이교화, 지나친 청중의식과 번영신학으로 제시한다. 한국교회의 세속화 현상은 교회성장주의와 개교회주의를 말하고, 이교화는 기복주의와 신유, 기적을 신앙의 최우선으로 여기는 것이다. 그리고 설교자의 지나친 청중의식은 청중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설교를 태동시키고, 건강과 부, 명예와 성공, 행복을 추구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번영신학은 성경과 신앙을 왜곡시키며 왜곡된 복음을 전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이상의 네 가지는 회개설교의 필요성을 증명한다. 이어서 3장은 성경에서 회개설교의 근거를 찾아본 것이다. 구약 선지자의 선포는 심판과 회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심판 선포의 목적은 회복과 소망에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관심과 사역의 목적도 죄인을 불러 회개에 이르게 하는 것이고, 사도 바울역시 하나님께 회개하고 그리스도께 믿음으로 나아가도록 하기 위해 회개설교를 전했다. 이렇게 성경은 죄에 빠진 자들에게 회개를 촉구하는데, 회개설교의 필요성이 성경을 통해서도 확인되는 것이다. 4장은 본 논문의 핵심으로서 효과적인 회개설교를 위해 하나님 중심적 설교 방법을 연결해 본 것이다. 먼저 하나님의 뜻과 의도를 드러내는 하나님 중심적 주해는 회개설교를 준비하는 설교자가 빠질 수 있는 두 가지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나는 본문을 바르게 주해했지만 해석의 결과를 왜곡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설교에서 전하려는 내용을 확정한 후에 주해를 그 근거로 삼기 위해 자의적 해석을 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는 설교자가 설교의 주체이기에 발생하는데, 하나님 중심적 주해는 하나님의 뜻과 의도를 밝히는 것이 중심이 되어서 두 위험 요소를 예방한다. 그리고 하나님 중심적 적용에서 제안하는 네 가지는 회개설교에서 적용을 찾을 때 도움이 된다. 첫째, 바른 적용은 충실한 주해를 토대로 하는데 적용을 미리 결정하지 않게 하며 치는 설교를 피하게 한다. 둘째, 실제적인 필요를 채우는 적용은 청중의 요구보다 하나님의 관점을 더 중요하게 여겨 참된 필요를 선포하게 한다. 셋째, 복음적 적용은 날마다 회개가 필요한 청중에게 죄로 단절된 하나님과 화목을 이루는 복음으로 회복을 돕는다. 넷째, 구체적이고 적실한 적용은 청중에게 무엇을 회개하고 어떤 변화를 실제화해야 하는지 제시하는 것으로 청중의 삶의 현장과 연결되어야 하고, 설교 본문의 범위에서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중심적 전달에서는 수사학과 청중분석, 동일시 효과와 설교 실제에서의 표현력을 중심으로 회개설교의 전달의 측면을 고찰해 보았다. 첫째, 회개설교에서 논리가 부족하면 회개 촉구의 설득이 저하되기에 수사학은 필요한 방법이 된다. 둘째, 올바른 청중분석을 통해 청중에게는 설교자에 대한 신뢰를 높여 회개설교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주고, 설교자에게는 죄의 문제를 피상적이지 않고 정확하며 지혜롭게 드러내어 참된 회복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설교를 하도록 도와준다 셋째, 청중과 하나가 되고, 그들의 상황에 동참하는 동일시는 설교자와 청중 간의 거리를 좁혀 회개설교의 목적과 효과를 높인다. 넷째, 설교 실제에서 부정형은 긍정형으로 수정하고, 명령형에는 그 동기를 밝히는 것, 그리고 이 때 강한 얼굴 표정과 억양을 주의하는 것이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하나님 중심적 설교 방법이 회개설교의 목적과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진다.

      • (The) theology of the cross as the correlation of suffering and glory : a critical analysis of prosperity preaching in Kumba, Cameroon

        Monoke, Augustine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sei Univer 2017 국내석사

        RANK : 215853

        부와 건강을 독실한 기독교 신앙의 증거로 보는 관점에서 번영설교의 십자가 신학에 대한 이해를 고려한 이 연구의 목적은 십자가의 영광으로 대표되는 고난과 역경을 통한 그리스도인 경험의 현실을 보다 명확히 정의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는 마찬가지로 만약 물질적인 번영이 기독교 신앙의 전제 조건이라면 기독교 신학은 단순히 일거리로 전락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난과 영광을 상징하는 십자가를 옹호하기 위해 십자가 신학을 통한 번영 설교에서의 십자가에 대한 이해를 검토한다. 루터의 관점에서 바라본 십자가의 신학은 기독교인의 고난의 경험을 하나님이 인류에 주신 선물로 이해하였다. 이 경우, 고난을 인류에 대한 저주로 본 것이 아니라, 미래 종말론 신학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체험하는 하나의 삶의 방식으로 간주한다. 예수님의 십자가를 역사적 사건으로 바라 보는 것이 아니라 종말론적인 현실로 남아서, 그것으로 인하여 현세의 세계에서의 비관주의가 새로운 삶에 대한 기쁨의 낙천주의로 귀결되는 운명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신앙은 결국 모든 것이 종말론으로 귀결되는 우리의 삶에서 고통과 영광이 구체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여기서 강조하는 것은 고통의 순간은 믿음의 부족이나 하나님 나라의 퇴보에 기인한다고 여기면 안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가장 처참한 상황에서도 하나님은 항상 절대자로 존재하시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십자가 위의 예수님과 기쁨의 부활절에 함께 계셨던 것과 같이, 그리스도인들도 절망으로부터 나아가 영원하고 기쁨이 충만한 재림의 희망으로 나아갈 것이다. Considering the emphasis on prosperity preaching’ understanding of the theology of the cros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te wealth and health as evidence of faithful Christiani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rticulate the reality of the Christian’ experience in moments of suffering and hardship as a representation of the doxology of the cross. This study equally argues that if material flourishing is considered as the prerequisite of the Christian faith then Christian theology has been reduced to works. Consequently, this study is about the theology of the cross to examine the prosperity preaching’s understanding of the cross in order to advocate the cross as an embodiment of both suffering and glory. The theology of the cross from the perspective of Luther has been used to illustrate that the Christian experience of suffering is the gift of God’s grace to humanity. In this case, suffering is not seen as a curse to humanity but as a way of life to experience the glory of God in the future eschatology. It is on this note that the cross of Christ could not be seen as a historical event but that it remains a living eschatological reality whereby pessimism in a temporal world is destined to end with joyous optimism about the new life that will follow. Thus, the Christian faith is seen as an embodiment of the suffering and glory in this life which all points to the yet to come eschatology. The stress here is on the fact that moments of sufferings should not be considered as lack of faith or that the work of the kingdom of God has regressed. This is because even in the most defeatist situation, God remains supreme. As God was with Jesus on the cross to a joyful Easter so too will the Christians proceed from the point of despair to the everlasting and joyous hope in the Parou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