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화제시방법이 유아의 동화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김승숙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기의 동화에 대한 경험은 언어 및 정서발달, 가치관 형성 등과 중요한 연관이 있으며 인격형성의 기초가 되어 매우 중요히 인식되고 있다. 그로 인해 유치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교육수단으로서의 ‘동화’의 효과를 그대화하기 위해서는 아동에 대한 동화의 내용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유아교육 수단으로서의 동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아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동화제시방법의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에서 동화교육의 주된 형태로 활용되고 있는 ‘구연동화’와 ‘인형극’을 대상으로 그 ‘제시방법’과 ‘유아의 연령’에 따라 내용이해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경남 김해시에 위치한 특정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4세 유아 26명(평균 연령 4년 7개월)과 만5세 유아 20명(평균 연령 5년 8개월)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 사용할 동화를 선정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유아동화를 대상으로 친근성, 미지성, 감촉성, 과장성, 활동성, 경의성, 선율성, 유머성 등을 고려하였으며, 그 결과 ‘과일사세요(장선혜)’, ‘내가 정말 사자일까(이상희)’, ‘사자똥이 뿌직(최향숙)’의 3편의 동화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3편의 동화는 예비실험을 한 후 각 연령별로 집단을 나누어 구연동화와 인형극의 방법으로 동화를 들려주고 난 후 동화이해도 측정검사를 하였다. 동화이해도 검사는 동화를 들려준 후 1명의 유아씩 타인의 방해를 받지 않는 조용한 장소에서 본 연구자와 유아간 1:1로 검사하였다. 검사 후 수집된 개인별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두 비교집단별 평균값을 분석하고 그 차이값의 유의미도를 검정하는 t-검정(t-test)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동화내용이해는 동화제시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구연동화와 인형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그 결과 인형극에서 유아들의 동화내용이해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특히 만5세 집단에서 동화구연보다는 인형극에 의한 방법이 동화내용을 이해하는 데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유아의 동화내용 이해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만4세 유아와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만5세 유아가 만4세 유아에 비해 동화내용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유아의 동화내용에 대한 이해도는 동화의 제시방법에 따라 일정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그러한 차이는 유아의 연령과도 연관성이 있음이 규명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동화를 소재로 하여 교육을 시행할 때,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일정한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는 시간적/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특정한 어린이집의 유아들만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향후 본 연구와 관련되어 보다 폭넓은 사례 수집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를 기대한다. Younger children's experiences of fairy tales are considered very critical, because they are importantly related with their linguistic and emotional development as well as their value system being formed, while providing for a basis for their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refore, kindergartens make use of fairy tales as important educational tools. Under such circumstances, it is deemed necessary to help children better understand the fairy tales in order to maximize their effects for kindergarten education. With such a basic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more effective fairy tale presentation methods for kindergarten children.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oral-narrated fairy tales' and 'puppet plays' being used for fairy tale education at kindergartens and thereupon, analyzed the effects of 'their presentation methods'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ir contents depending on 'their age groups'. For a positive analysis, the researcher sampled two age groups of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Kimhae-si, Kyongsangnam-do; 26 children aged 4 (average age: 4 years and 7 months) and 20 children aged 5 (average age) 5 years and 8 months). In order to select the fairy tal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reviewed the younger children's fairy tale books currently being sold in the domestic markets in terms of familiarity, strangeness, tactility, exaggeration, activities, wonder, melody and humor, and finally chose three fairy tales: 'Please, Buy the Fruits' (Jang Sun-hye)', 'Am I Really a Lion' (Lee Sang-hee) and 'Lion's Dung Creaking' (Choi Hyang-sook). Three sample fairy tales were pre-tested before being presented orally or by means of puppet play to both groups of children and thereby,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fairy tales was tested. For this test, each child was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in a quiet place not disturbed after the presentati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est were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the SPSS for means, while differences of means between groups were verified with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the fairy tale presentation methods have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m, the sample fairy tales were presented both orally and through puppet play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uppet play group children, particularly aged 5, understood the fairy tales better.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iry tales depending on their age, 4-year-old group and 5-year-old group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latter group children were found to understand the fairy tales better than the former group. As proven above,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iry tale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presentation methods, and in particular, such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between age group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ould be conducive to maximization of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using the fairy tales. Mer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well be limited to be generalized because only a single kindergarten was sampled due to short time and cost. 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use a wider sample.

      • 창작방법으로서의 시적 말하기

        이재근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창작방법으로서의 시적 말하기」라는 시론과 50편의 자작시로 구성되어 있다. 시론은 3장으로 나누었는데, 서론에 해당하는 1장에서는 시와 산문의 ‘말하는 방법’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본론에 해당하는 2장에서는 산문과 변별되는 시적 말하기 방법이 실제 시 창작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4단계로 나누어 짚어보았다. 결론에 해당하는 3장에서는 말을 다루는 데 필요한 시인의 태도와 시적 말하기 방법을 탐구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론에서 논의한 시적 말하기의 네 가지 유형은 시의 본질이 내용이 아니라 언술방식에 있다는 점에 바탕을 두고 있다. 「당연한 것을 당연하지 않게 말하기」에서는 지식으로 습득한 세계인식의 상투성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논리를 지우면서 논리를 만들기」에서는 문법적 차원에서 비문을 만들지 않으면서 의미론적 차원에서 새로운 논리를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소통을 방해하면서 소통하기」에서는 시적 소통과 일상적 소통의 차이를 따지는 가운데 시적 소통에 필요한 말의 저항을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결말을 만들지 않으면서 결말을 만들기」에서는 말의 결핍과 말의 잉여를 이용한 결말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논문은 창작의 결과보다 창작의 과정에 중점을 두면서, 시에서 말하는 방법이 왜 중요한지 고찰하고 있다. 본질적인 차원에서 시가 추구하는 것은 대상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말하는 방법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말하는 방법에 따라 일상적 의미의 어휘들이 새로운 의미의 단어로 바뀌고 그렇게 바뀐 시어들이 한 편의 시가 되어가는 과정을 탐색하는 일은 시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composed of a poetic titled <Poetic speaking as a creation method> and 50 poems written by the writer. The poetic mainly consists three chapters. First chapter, an introduction, looks into differences between 'speaking method' of poem and prose. Second chapter, main body, examines in four steps how poetic speaking method distinct from prose, is applied in practical creation process. In third chapter, which comes under conclusion, emphasizes on behavior of poet who is required in dealing with speaking and the necessity of searching for poetic speaking method. Four types of poetic speaking discussed in main body are focused on that the essence of the poem is in the discourse, not the contents. In 〈Speaking A Right As If It Is Not Right〉, the way to escape from a conventionality of global understanding acquired from knowledge is suggested. 〈Creating A Logic As Erasing A Logic〉examines the way to construct new logic as semantic dimension without making asyntactic logic as in a grammatical issue. In 〈Communicating As Interfering Communication〉, the way to make the resistance of speaking which is needed for poetic communication while distinguishing differences between poetic communication and usual communication. In 〈Making Conclusion Without Making Conclusion〉, the way to make a conclusion using shortage and surplus of words is explained. This paper places greater emphasis on the process than the result of creative writing, and examines the question of why poetic methods are important. What a poetry essentially seeks for exists in the method of communication, not on the object itself. In that sense, changing of ordinary vocabularies into words that have new connotations and collecting of these words to make up a poem can be a way to get closer to the true and original meaning of poetry.

      • 관계적 측면에서 본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이혜경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는 다양한 가치, 문화, 사상들의 영향을 받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자본주의와 개인주의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텔레비전과 인터넷 같은 매스미디어의 영향, 핵가족 현상, 학력지상주의 등의 영향은 개인주의를 가속화 시켰다. 이러한 개인주의는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보내는 시간이 늘어감에 따라 친구관계나 공동체적 삶으로 보내는 시간이 부족해지고 있다. 현대사회가 도전받고 있는 자본주의에서 나타나는 ‘비인간화’의 개념은 여러 각도에서 파악될 수 있으나 인간을 인격적인 대상으로 보지 않고 수단적 도구적 존재로 보는 경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무한경쟁사회의 물질만능주의와 성공지상주의적인 현대의 가치관 속에서 인격적인 관계를 맺지 못하고 타인을 수단과 도구로 바라보는 상황에서 인간은 소외될 수 밖에 없다. 개인주의와 자본주의의 비인간화의 경향들은 일반교육에서 뿐 아니라 기독교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반 학교교육에서 교육의 본래적인 사명인 인간을 인간됨으로 이끌기 보다는 교육이 성공을 위한 도구 정도로 평가절하 되는 경향 속에서 학생들은 학업에 지쳐가고, 교육의 현장은 점점 황폐화 되어 가고 있다. 기독교교육에서도 풍요로운 신앙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관계와 공동체적 경험의 자리 대신 교회학교의 양적 성장 추구와 개 교회간의 경쟁구도 속에서 성장만을 추구하는 프로그램과 학교식 강의 구조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독교교육이 관계적 측면에서 개인주의와 비인간화 문제에 대한 교수방법을 통해 바르게 추구해야 할 교육의 모습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개인주의와 비인간화가 가속되어가는 이러한 현대사회에서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또 하나의 연구의 방향으로서 관계성을 중시하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수업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변인, 학생변인, 수업환경변인, 가정변인 등이 학생의 교육적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다. 이 중에서도 과정-산출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교사의 교수방법이 학생의 교육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수업의 과정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교사의 교수방법은 학생의 학업성취 뿐만 아니라 학습태도, 자아개념, 가치관 형성 등 학생의 제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 가르치는 방법은 내용 못지않게 중요하다. 내용은 그 자체로서 존재하지 않고 반드시 가르침이란 방법과 함께 한다. 교사는 교수방법을 모색하고 그 교수방법에 따라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게 된다. 어떤 교수방법도 최선의 교수방법이라고 말할 수 없다. 교수방법은 목적에 기초하여 선택되어야 할 뿐 아니라 교수-학습과정의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상황과 시기에 따른 다양한 최적의 교수 방법을 개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교육활동에 있어서 교수방법은 그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교육의 중요한 과제가 얼마나 내용을 충실히 준비해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하느냐에 있다면 교수방법이 중요한 요소임은 틀림없다. 우리는 의도적이든 그렇지 않든 교수방법을 통해 교육을 행한다.

      • Visual Pun을 이용한 정보 일러스트의 표현방법 연구

        신유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대가 변하면서 세상에는 정보의 양과 종류도 다양해지고, 수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려는 노력들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렇게 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지나쳐지지 않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수용자의 관심을 끌고 그 관심을 지속시키는 것이 먼저이다. 따라서 정보를 수용자가 받아들이기 쉽고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차별성 있게 하나의 작품으로 제작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오랫동안 기억되게 하기 위해서는 소구 대상이 무엇이든 디자인이 흥미로워야 한다는 전제로, 흥미로운 디자인 표현을 위한 한 방법으로 비주얼 펀(Visual Pun)의 방법 중 한 가지를 작품을 통해 제시하였다. 방법 제시를 위한 작품 제작에 앞서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게슈탈트 심리학과 비주얼 펀, 그리고 정보 일러스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강조하고 있는 전경과 배경의 결정 요인 성질(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은 사례작품에서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들이다. 그리고 비주얼 편의 유형(문자적 펀, 암시적 펀, 비교의 펀) 중에서는 하나의 주된 시각적 형태에 본래의 의미와 거기에서 나오는 연상 작용으로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거나 두 개 이상의 형태로 동시에 여러 의미를 암시하는 해로운 형태를 만드는 암시적 펀의 방법이 사례작품에서의 표현방법에 해당한다.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간단한 정보를 효과적인 형태의 그림으로 보여주는 인포테인먼트적 성격의 정보 일러스트를 제작하였다. 사례작품은 육지동물의 먹이사슬을 주제로 제작되었으며 생산자의 먹이사슬, 1차 소비자의 먹이사슬, 2차 소비자의 먹이사슬, 그리고 종합 편 격인 육지동물의 먹이사슬의 일러스트와 함께 이를 영상으로 제작하였을 때의 장면을 한 페이지로 보여주는 영상 시퀀스로 나누어 제작하였다. 각 일러스트에는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일러스트와 함께 간단한 설첨이 첨부되어 있다. 작품제작을 함에 있어 암시적 펀의 방법은 디자인적인 작업을 함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는 표현 방법이고, 표현의 방법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의 사례작품과 방향이 맞을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단 암시적 펀의 방법은 한 가지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방향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표현방법과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 製造方法에 따른 竹醋液의 物理化學적 性質 및 生理活性

        이범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신선한 대나무-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를 이용하여 기계식 탄화로에서 제조한 죽초액(이하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토요에서 제조한 죽초액(이하 "재래식 죽초액")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에 따르는 생리활성으로 아질산염 소거 효과, Radical 소거 작용 효과, 항균활성을 조사하였고 죽초액을 식용유지에 첨가하여 저장기간동안 유지에 대한 산패억제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벌채 직후의 신선한 왕대를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탄화시키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100℃ 전후에서 냉각시켜 얻은 각각의 조죽초액을 폴리에틸렌 플라스틱통에 담아 밀봉하여 냉암소에서 12개월간 정치하면서 타르성분을 분리한 다음 중간부위를 취하여 이들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성분조성을 조사하였다. 기계식 죽초액은 비중, 투과도, 굴절율 및 점도가 각각 1,008, 89.05%, 1.36%, 12.48 cP이었고 재래식 죽초액의 경우는 1,012, 98.33%, 1.34%, 9.09 cP이었으며 색깔은 재래식의 쪽이 전체적으로 밝게 나타났다. 그리고 pH와 총유기산, 용해타르 및 작열잔사의 함량은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이 각각 3.55, 2.83%, 2.803%, 0.671%와 2.93, 3.47%, 0.051%, 0.004%이었다. 죽초액의 성분조성에 대한 조사에서 두 가지 경우의 죽초액이 모두 페놀성 성분은 주로 phenol, o-cresol, p(m)-cresol, guaiacol(2-methoxy phenol)등이 검출되었고 유기산 성분은 주로 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n-butyr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며 알코올성분은 주로 methanol, furfuryl alcohol 및 maltol이 검출되었다. 페놀류와 알코올류의 함량은 기계식 죽초액에 더 많았고 유기산은 재래식 죽초액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죽초액의 일반특성, 성분조성 및 그 함량으로부터 재래식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죽초액이 기계식 방법에 의한 것보다 품질이 더 좋았다.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 및 기계식 죽초액을 증류·정제하여 얻은 기계식 정제죽초액(이하 "기계식 정제죽초액"이라 함)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고 이들의 아질산염 소거와 radical 소거 작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축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고 각각 663.40, 571.62, 485.16 ppm이었으며 증류·정제과정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감소되었다. 죽초액을 1∼6%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에서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일정한 pH하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pH 1.2와 pH 3.0에서 뚜렷한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pH가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져 pH가 6.0일 때에는 미미한 상태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일정한 농도와 pH에서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으며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각각의 죽초액을 0.2∼1.2%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별 반응시간에 따라는 radical 소거 작용 효과를 조사하였다. 농도가 증가하고 반응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각각의 죽초액의 radical 소거 작용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일정시간 내에서 각 농도에서의 radical 소거 작용 효과는 죽초액간에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며 기계식 죽초액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기계식 정제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래식 죽초액이나 기계식 정제죽초액보다 기계식 죽초액에 페놀성 화합물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나 것으로 생각된다.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항미생물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은 모든 실험 균주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재래식 죽초액>기계식 죽초액>기계식 정제죽초액의 순으로, 활성의 세기는 재래식 죽초액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죽초액으 항균활성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가장 강하였고 다음은 젖산균이었으며 효모에 대한 활성은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일정한 조건하에서 죽초액은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10∼30 μL/8 mm disc에서 benzoic acid 0.5 mg eq./8 mm paper disc에 상당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20∼30 μL/8 mm disc에서 benzoic acid 0.5 mg eq./8 mm paper disc에 상당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젖산균에 대하여서는 20∼30 μL/8 mm disc에서 benzoic acid 0.5 mg eq./8 mm paper disc에 상당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효모에 대하여서는 20∼50 μL/8 mm disc에서 benzoic acid 0.5 mg eq./8 mm paper disc에 상당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3%의 acetic acid 50 μL/8 mm paper disc에 상당한 항균활성 농도범위는 10∼50 μL/8 mm paper disc 내에서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최소저해농도(MIC)는 대체로 1.0∼7.3 μL/mL 범위였으며 기계식 정제죽초액>기계식 죽초액>재래식 죽초액의 크기로 죽초액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5). 죽초액이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및 젖산균에 대한 MIC값은 각각 1.2∼3.3, 1.0∼2.7, 1.7∼7.3 μL/mL이었으며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한 저해활성이 젖산균에 대한 것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죽초액간에 MIC값은 S. aurues와 B. subtillis에 대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외의 균주들에 대하여서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최소치사농도(MLC)는 대체로 26.7∼116.7μL/mL 범위였으며 농도의 크기는 기계식 정제죽초액>기계식 죽초액>재래식 죽초액의 순으로, 죽초액간의 차이가 현저하였다(p<0.05).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및 젖산균에 대한 MLC값은 각각 26.7∼76.7, 36.7∼66.7, 63.3∼116.7 μL/mL 이었고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한 치사농도는 비슷하였으며 젖산균에 비하여 치사농도가 낮았다. 죽초액에 따르는 MLC값은 시험 균주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식용유지 저장과정 중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죽초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계식 정제죽초액을 대두유, 팜유, 돈지에 유지중량의 0.1, 0.5, 1.0%되게 각각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60±1℃의 항온기에 넣어 25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 산가 TBA가의 변화와 유도기간 및 죽초액이 유지에 대한 상대적인 산화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동안 죽초액을 첨가한 각각의 식용유지는 실험농도 범위 내에서 농도가 증가됨을 따라 산패억제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그들의 효과는 죽초액간 및 농도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그 중에서 죽초액을 1.0% 첨가하였을 때 효과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 보다 더 좋았고 α-tocopherol 0.02% 첨가한 것보다는 월등히 높은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대두유, 팜유 및 돈지의 유도기간은 각각 2.86, 13.97 및 1.08 일이었으며 산화속도는 돈지>대두유>팜유의 순서로 팜유가 저장기간동안 산화에 가장 안정하였다. 상대적 항산화효과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죽초액 1.0% 첨가가 대두유, 팜유 및 돈지에 대하여 각각 421.30, 267.61, 2371.62%로 나타나 돈지에 대한 산화안정성이 가장 컸다. 그리고 죽초액 1.0% 첨가가 대두유와 팜유에 대하여 BHT 0.02% 첨가한 것보다 높은 산화안정성을 나타내었으나 돈지에 대해서는 BHT편이 훨씬 좋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신선한 왕대를 이용하여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에서 죽초액을 제조하였을 때 그들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성분조성에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재래식 죽초액의 경우가 품질이 우수하였다.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으로 아질산염소거효과와 radical 소거 작용 효과는 기계식 죽초액이 재래식 죽초액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항균활성은 재래식 죽초액이 기계식 죽초액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죽초액은 식용유지의 저장기간동안 산패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그 효과가 증가하였다. The fresh bamboo (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 was carbonated at the traditional earth kiln and mechanical steel kiln, and then the smoke from the kilns was cooled at about 100℃ and crude bamboo smoke distillates were collected. The tar from crude bamboo smoke distillates was removed using precipitation by standing for 12 months, floated upper layer was separated and middle layer was collected as samples for this study.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specific gravity, transmittance, refractive index and viscosity of the bamboo smoke distillates processed by mechanical steel kiln (MBSD) were 1.01%, 59.05%, 1.36% and 12.45 cps, respectively. These of the bamboo smoke distillates processed by traditional earth kiln (TBSD) were 1.01%, 95.33%, 1.34% and 9.09 cps and their color was lighter than MBSD's. The pH, TA, and soluble tar and burning residues contents were 3.55, 2.83%, 2.80%, and 0.67% in the MBSD and 2.93%, 3.47%, 0.05% and 0.004% in the TBSD,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qualities of the TBSD could be better than these of the MBSD The major phenol compounds of MBSD and TBSD were phenol, o-cresol, p(m)-cresol, and guaiacol(2-methoxy phenol). Their major organic acids were acetic acid, propionic acid, iso-butyric acid and n-butyric acid and their major alcohol was methanol, furfuryl alcohol, and maltol. The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alcohol were higher in the MBSD than in the TBSD, but the organic acid content was lower in MBSD than in TBS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TBSD was better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s than the MBSD. The MBSD was refined by distillation at 104℃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purified MBSD were measured and their phenolics contents were determined. When the purified MBSD was diluted to 1% through 6%, its nitrite scavenging effect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urified MBSD at the same pH. Its nitrite scavenging effects was shown the highest at pH 1.2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and then shown a little at pH 6.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nitrite scavenging effects between MBSD, purified MBSD, and TBSD at the same concentration and pH and the effect was the high MBSD, purified MBSD, and TBSD in order.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BSD was investigated during reacting time at the concentration 0.2-1.2%. With increasing BSD concentration and reaction time,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BSD increased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between different kinds of BSD. Their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high at the MBSD>purified MBSD>TBSD in order These results could be because MBSD had mor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 than the purified MBSD and TBSD did.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in MBSD, purified MBSD, and TBSD. Antimicrobial activity was shown at the all microorganisms used in this experiment and was the highest in the TBSD and higher in the MBSD than in the purified MBSD Bacteria had the highest antimicrobial effect and Gram negative bacteria was shown higher antimicrobial effect than Gram positive bacteria did. Following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ha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yeasts did. BSD showed 10-30 uL/8 mm disc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the Gram negative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20-30 uL/8 mm disc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the Gram negative bacteria, and 20-50 uL/8 mm disc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yeasts, similar to antimicrobial activity for benzoic acid 0.5 mg eq/8 mm disc.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50 uL/8 mm disc for 3% acetic acid was similar to it of 10-50 uL/8 mm disc in the BSDs for the microorganisms used in this experiment.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was 1.0-7.3 uL/mL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different kinds of BSD, highest in purified MBSD and high in MBSD and TBSD in order. MIC of the three kinds of BSD for Gram positive bacteria, Gram negative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was 1.2-33, 1.0-2.7, and 1.7-7.3 uL/mL and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showed higher MIC than lactic acid bacteria did. MIC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 aureus and B. subtilus between different kinds of BSD, but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other microorganisms except for those. Minimum lethal concentration (MLC) was 26.7-116.7 uL/mL and the highest in purified MBSD and higher in MBSD than in TBSD. MLC of the Gram negative bacteria, Gram positive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was 26.7-76.7, 36.7-66.7, and 63.3-116.7 uL/mL, respectively.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MLC between the different kinds of BSD. The effects of the BSD in oxidative stability of oil during storage was investigated. The MBSD at the concentration of 0.1, 0.5, and 1.0% was added to soybean oil, palm oil, and lard and peroxide value, acid value and TBA value were measured during sterage at 60±1℃ for 25 days. Induction periods and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RAE) for the oils were also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 of BSDs in the oils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SD during storage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kinds of BSD and concentrations of BSD (p<0.05). The oil with 0.1% BSD had more antioxidative effect than that with 0.02% BHT did and much more antioxidative effect than that with 0.02% α-tocopherol did. The induction period of lipid oxidation was 2.86 days in soybean oil, 13.97 days in palm oil, and 1.08 days in lard, respectively and in oxidation reaction, palm oil was the most stable during storage, following soybean oil and lard. The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increased large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SD and was 421.30% in soybean oil, 267.61% in palm oil, and 2371.62% in lard, when 1.0% BSD was added to the oils. The antioxiative effect was higher in soybean oil and palm oil with 1.0% BSD than that with 0.02% BHT and that was much higher in lard.

      • 탐구학습 방법에 따른 국어지식 영역의 지필평가 연구 : 중학교 생활국어를 중심으로

        안진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어지식 영역의 교육은 지금까지와는 달리 개념적 지식의 습득에서 벗어나 국어활용 능력의 신장을 위한 기반 지식으로서 교육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요구의 이면에는 세계의 변화와, 지식에 대한 달라진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국어지식 영역에서는 학습자가 직접 언어자료를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생산의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국어지식에 대한 지적 흥미를 높이고, 활용능력을 내재화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탐구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탐구학습 방법의 장점과 의의를 살릴 수 있는 지필 평가 문항의 개발은 부족한 편이다. 지필평가는 신뢰도와 실용도가 높으며, 인지적 영역의 평가에 유용한 도구이지만 지금까지 기존의 지필평가가 단순한 지식의 보유 여부를 묻는 형태로 출제되어 왔기 때문에 지필평가의 문제점만이 부각되고, 그 가능성이 배제되어 왔다. 그러나 학교의 내·외적 환경의 제약과 순수한 사고를 다룬다는 국어지식 영역의 특성과 연관지어 볼 때 지필평가의 가능성과 장점은 무시할 수 없다. 이에 기존 지필평가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새로운 평가 문항의 원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지필평가 문항을 살펴보면 여전히 단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항이나 교과서에서 사용한 언어자료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어 학습자의 탐구학습 과정에 필요한 탐구능력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 문항의 비율이 낮고 학습자의 실제 언어생활과 거리가 있는 언어 자료가 사용됨으로써 학습자에게 국어지식 영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초래하고, 바르지 못한 학습방법을 양산하고 있다. 이는 탐구학습이 의도하는 교육 목적과 배치되는 평가라 아니할 수 없다. 본고에서는 탐구학습 과정에 대한 선행 논의를 바탕으로 탐구학습 과정에서 요구되는 탐구능력의 요소를 추출하고, 평가의 단계에 따른 평가의 유형과 원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 2학기 생활국어 5 낱말의 의미 단원을 중심으로, 평가 단계별로 탐구학습 방법의 과정에 따라 실제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정치 평가의 원리에 따라 본 단원을 선행되어야 할 학습내용과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 문항을 제작하였다. 이어 형성평가의 단계에서는 탐구과정 가. 과제 인식, 나. 가설 설정, 다. 가설 검증, 라. 결론 도출의 단게별로 필요한 탐구 요소에 따라 평가 문항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총괄평가에서는 형성평가를 토대로 본 단원의 인지적 지식과 과정적 지식을 심화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하였다. 실제 탐구학습 방법에 따른 국어지식 영역의 지필평가 문항은 각 단원마다 탐구 요소와 단원이 요구하는 인지적 지식을 결합한 평가 방법의 개발이 구체화되고 축적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가 비록 탐구능력의 평가를 실제적으로 증명하지 못했고 또한 비록 한 단원의 개발에 그쳤다는 한계가 있으나 이러한 연구의 축적을 통해 국어지식 영역의 지필평가 방법을 개선하고, 학습방법에 알맞은 평가 문항을 개발하려는 시도라는 데 조금만 의의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 커널밀도추정방법을 활용한 잠재분포 추정이 문항반응모형 모수 추정의 정확성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이시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주변최대우도추정(marginal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MLE)을 통해 문항반응이론의 모수를 추정할 때는 잠재분포에 대한 정규성 가정의 위배로 인해 모수 추정에 편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모수 추정의 편의는 잠재분포 추정을 통해 잠재분포의 비정규성을 반영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추정된 잠재분포를 평활화(smoothing)함으로써 분포 추정 과정에서 발생한 잡음(noise)을 줄여 더욱 정확하게 잠재분포를 추정할 수 있고, 이로써 모수 추정의 편의를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선행 연구들에서 제안된 잠재분포 추정 방법들(e.g., Davidian curve method (DCM), Ramsay curve method (RCM))에서는 잠재분포의 평활화 정도를 결정하는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를 도입하여 모수 추정의 편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에서는 하이퍼파라미터 각각의 값에 따라 여러 개의 후보 모형을 적합(model fitting)해야 하고, 이는 추정 시간의 증가를 의미한다. 커널밀도추정방법(kernel density estimation method; KDM)의 하이퍼파라미터인 대역폭(bandwidth)은 분포 추정에서 추정의 대상이 되는 유일한 모수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KDM을 활용하면 한 번의 모형 적합으로도 평활화 과정을 거친 잠재분포 추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lug-in(PI) 방법은 대역폭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잠재분포 추정에서 PI로 대역폭을 추정하는 KDM(PI-KDM)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첫째, 잠재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때, 잠재분포 추정 및 평활화를 통해 잠재분포의 비정규성을 반영함으로써 잠재분포에 정규성을 가정할 때에 비해 모수 추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둘째, 모형을 한 번 적합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후보 모형을 만들어야 하는 기존의 잠재분포 추정 방법들(e.g., DCM, RCM)에 비해 효율적인 모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PI-KDM을 활용한 문항반응모형 모수 추정 방법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PI-KDM의 적용 가능성 및 모수 추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잠재분포, 문항 수, 피험자 수에 따라 만들어진 총 36개의 모의실험 조건은 교육 및 심리 측정에서 접할 수 있는 여러 검사 상황을 포함하기 위해, 그리고 여러 조건에서 PI-KDM의 적용 가능성 및 모수 추정 정확성과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PI-KDM의 모수 추정 정확도와 효율성은 잠재분포에 정규성을 가정하는 방법(normality assumption method; NM), DCM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검토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PI-KDM은 NM과 비교했을 때 모수 추정 효율성에 대한 손실 없이도 모수 추정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DCM과 비교했을 때 모수 추정 정확성에 대한 손실 없이도 모수 추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잠재분포의 정규성이 만족될 때 세 방법 간에는 모수 추정 정확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잠재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때 PI-KDM의 모수 추정의 정확도는 DCM과 유사하거나 높고 NM보다는 항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PI-KDM과 NM에서는 추정을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CM은 10개의 후보 모형을 적합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PI-KDM에 비해 10배 많은 추정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모의실험 결과에 따르면 DCM은 PI-KDM에 비해 10배 이상의 추정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항 응답 자료의 크기가 작을 때는 DCM의 추정 알고리즘 수렴이 느려지는 경향이 관찰됐고, 이로 인해 DCM과 PI-KDM의 추정 시간에 10배 이상의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marginal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MLE) of item response theory (IRT), violation of the normality assumption on latent distribution can increase biases in parameter estimates. Latent distribution estimation can reduce these biases by reflecting the non-normality of the latent distribution. In addition, smoothing procedures can control random noise in the estimated density, thereby further reducing these biases. Existing methods (e.g., Davidian curve method (DCM), Ramsay curve method (RCM)) introduce hyperparameters to control the degree of smoothing, where candidate models are fitted from each of the hyperparameter values. The increase in computing time is a byproduct of fitting candidate models. A bandwidth refers to a hyperparameter of the kernel density estimation method (KDM), which is the only parameter to be estimated in KDM. This characteristic of KDM obviates the need to fit multiple candidate models in parameter estimation of IRT; a single model fitting procedure of KDM can yield a bandwidth estimate and a corresponding smoothed latent density estimate. Plug-in (PI) method is recommended for accurate and reliable bandwidth estimation. If the normality assumption on latent distribution is violated, this study expects that KDM with PI method (PI-KDM) could be used for estimation of latent distribution to facilitate accurate and efficient parameter estimation of IRT; the accuracy obtained by estimating latent distribution and the efficiency obtained by fitting a single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I-KDM as a latent distribution estimation method of IRT, examine stability of its item and ability parameter estimation algorithm, and evaluate accuracy and efficiency of its parameter estimation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echniques. Three factors (i.e., types of latent distribution, the number of items, & the number of examinees) composed total 36 simulation conditions to reflect several situations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parameter estimates from PI-KDM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ose from normality assumption method (NM) and DCM.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estimation accuracy of PI-KDM could be greater than that of NM while estimation efficiency of PI-KDM could remain almost identical to that of NM, and that estimation efficiency of PI-KDM could be greater than that of DCM while estimation accuracy of PI-KDM could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at of DCM. When the normality assumption was satisfied, estimation accuracy of the three methods were practically identical. When the normality assumption was violated, estimation accuracy of PI-KDM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that of DCM, and always greater than that of NM. Computing time of NM and PI-KDM were comparable. Since DCM requires to fit ten candidate models in general, it could be considered that DCM needs about ten times more computing time than PI-KDM. However,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in some cases of small amount of item response data, slow- or non-convergence could be observed in estimation algorithm of DCM. In such cases, computing time of DCM could exceed computing time of PI-KDM by more than ten times.

      • 조리방법에 따른 눈개승마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효과 비교

        황예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Recently, the consumption of animal foods with high protein and high fat has increased due to the gradual westernized diet in Korea. As a result, mortality has increased because of serious diseases such as various cancers and adult diseases. Moreover, chronic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have became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has been recommended to eat more vegetables rather than meats. Some people eat fresh vegetables, but most of them eat cooked ones. Depending on the cooking method,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vegetables can be significantly affected. Based on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 suitable cooking method of a native wild vegetable of Ulleungdo, goatsbeard to improve its diet quality by measuring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changes in two cooking methods, blanching and steaming. For a research method, after removing soil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cooling; and drying out, the goatsbeard purchased in Gangwon-do was cut into about 10cm and weight by 300g for the sample. The samples were cooked in two methods, blanching and steaming. And then, the general ingredients (moisture, ash, crude fat, crude protein and sugar), free amino acids, fatty acids, organic acids, vitamins, minerals and antioxidant activity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measu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analyzing the general ingredients, organic acids, vitamins, and minerals of the blanched and steamed sample powder, overall quality of the steamed one was found to be excellent. Also, in the results of the antioxidant activity test, its anti-oxidation effect was much excellent. Consequentially, it is considered that using the steaming method is an efficient way to optimally maintain nutrients and increase antioxidant activity. With the above research, reliable scientific data can be provided for maintaining natural nutrients of goatsbeard to intake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nutrients,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and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regarding the cooking methods of the goatsbeard. 최근 우리나라의 점차적인 서구화의 식습관으로 인해 고단백, 고지방 등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증가하고 그 결과 각종 암이나 성인병 등 과거에는 흔치 않았던 질병으로 인해 사망률이 증가하고 심장병,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육류의 섭취보다는 채소의 섭취가 필요한 상태이다. 채소를 섭취할 경우 신선한 상태 그대로 먹기도 하지만, 대부분 조리하여 먹게 되는데 조리 방법에 따라 채소의 고유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그에 기반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대부분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산채 중 눈개승마를 데침, 찜 2가지의 조리 방법에 의해 나타나는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 변화를 측정하여 눈개승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강원도에서 구입한 눈개승마를 표면의 흙과 이물질을 제거하고 방냉 후 충분히 물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약 10cm로 세절하고 시료를 약 300g씩 무게를 측정하여 blanching, steaming 2가지 방법으로 조리한 후, 일반성분 (수분, 회분, 조지방, 조단백, 당류),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 비타민, 무기질과 항산화활성 (총 polyphenol, 총 flavonoid ,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데침 및 찜의 조리방법을 거친 눈개승마 분말의 일반성분, 유기산, 비타민, 무기질 분석 시 전반적으로 찜의 조리방법을 거친 눈개승마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눈개승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의 조사 결과에서도 찜 과정을 거친 눈개승마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찜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영양성분을 최적으로 유지하고 항산화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눈개승마의 조리방법에 대한 영양성분과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다양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평가함으로써 눈개승마 본연의 영양성분을 최대한 유지하여 섭취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 과학계량학 기반 과학기술 지식 네트워크 구조 분석 모델 개발

        권오진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과거의 전문가에게만 의존한 연구기획의 경우 R&D의 그릇된 우선순위 결정, 학연지연에 의한 과제 평가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 하였다. 또한 정보에 대한 이용능력과 활용방법의 차이에 따른 지식격차가 발생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개정된 규정에 따르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성과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신규 추진할 경우 사전조사 혹은 기획연구의 수행을 의무화하였으며, 특히 응용 및 개발단계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국내외 특허동향조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 입장에서 정보를 활용하여 연구개발에 직접 이용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전체 연구 영역에 대한 지식구조의 파악을 위해서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해야 하나 시간·비용·효과 면에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계량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통한 4가지 과학기술 지식 네트워크 구조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기술군간 융합 측정방법, 대용량 인용정보 분석을 통한 인용 네트워크 규명 및 분류방법, 핵심기술의 추출 및 추출된 핵심기술의 기술 발전 시각화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국가 R&D 인-아웃에 대한 구조 분석을 통해 과학기술 정책 입안자를 위한 과학-기술-산업 지식흐름 측정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방법은 연구자 측면에서 아이디어 및 신규 프로젝트 추진에 논문에서 구현한 GCDGraph 및 문헌 분류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R&D 정책 입안자를 위해서 과학-기술-산업에 대한 지식측정 방법, 과학 및 기술군에 대한 융합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정책적 판단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