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안현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한다.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필요성, 교수-학습방법, 만족도,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고찰해 보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1)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영어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영어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4) 영어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교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용인시, 의왕시의 어린이집 영아반을 맡고 있는 담당교사 139명이다. 부모는 경기도에 위치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어린이집에 등원시키고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영아의 부모 186명이다. 교사와 부모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으며 각각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와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이다. 사용된 설문 문항 구성은 선행연구 배미숙(2010)의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수정⋅보완하였고 내가 직접 만든 문항도 추가하여 재구성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 점수, 백분율, χ2(Chi-square)검정, t-test(검정),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 사후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에 대해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을 실시한다가 79.1%, 실시하지 않는다가 19.42%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대부분의 영아들이 영어교육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아반 영어교육의 필요성, 영어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중요한 계기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아반 영어교육이 필요점에선 부모의 인식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부모가 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반대로 교사는 과반수 넘게 영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아반 영어교육에 적합한 영어교사, 영어교육의 주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교육에 적합한 교사로 교사와 부모 모두 한국인 영어교사를 가장 높게 선호하였고 영어교육의 주 횟수로는 교사와 부모 모두 주 2회가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의 만족도, 영어교육이 불만족스러운 이유, 영어교육이 만족스러운 이유, 영어교육의 평가방법, 영어교육에 대한 영아의 흥미도, 영어교육의 효과, 영아들이 영어교육에 소극적인 이유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어교육의 만족도에서 교사와 부모 모두 영어교육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고, 교사보다 부모의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교사와 부모 모두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반면 영어교육이 불만족스러운 이유로 영아의 영어능력 향상 미비가 교사와 부모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어교육의 평가에 대해서는 교사와 부모의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부모는 수업 시 영아가 겪는 어려움을 적절히 파악하였는지 여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는 교육과정, 수업매체, 수업절차 등이 효과적이었는지의 여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어교육의 효과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사는 영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모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을 영어로 말하려고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의 문제점, 영어수업 시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교육의 문제점으로 교사와 부모 모두 영아의 실제 영어 활용기회 부족을 가장 높게 인식했고 영어수업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흥미와 관심이 없어 집중하지 못하는 영아들의 지도를 교사와 부모 모두 가장 높게 꼽았다. 종합해보면, 유아기에서 영아기까지 영어교육의 연령이 더욱 낮아졌고 부모는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 가는데 영아반 영어교육의 현장에서는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바라보는 시각과 교사가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있음으로 영어교육에 대해서 제고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and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atic behaviors in young Children (3 ~ 5 years ol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atic behaviors according to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in English education?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4)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Englis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and their parents, 139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t day care centers in Pyeongtaek, Osan, Hwaseong, Suwon, Yongin and Uiwang,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parents are 186 parents of infants who attend schools in Pyeongtaek, Osan, Hwaseong, Suwon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and provide English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nd were investigated separately. The research tool is a questionnai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Based on the study by Bae Mi-sook (2010),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questionnaire that I made myself was reconstructed by adding it. Analysis of the data was made using the SPSS 23 statistical package to use frequency, score, percentage, Δ2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post-test.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showed that 79.1% did not do so, and 19.42% did. This means that most infants who attend daycare centers are receiving English education. Second, finding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the reason why English education was not necessary, and the important opportunity for English education. If you look at this in detail, parents a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Most parents recognize that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and on the contrary,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recognize that English education is not necessary.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eeks of English teaching and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Both teachers and parents preferred Korean English teachers the most, and in terms of the number of weeks, both teachers and parents were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teachers for English education twice a week.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most all areas, such as satisfaction in English education, reason why English education is unsatisfactory, evaluation method of English education, infant interest in English education,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and reason why infants are passive in English education. If you look at this in detail, it turns out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were satisfied with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and their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English education than teachers. Looking at the reasons for being satisfied, both teachers and parents have most often recognized interest in English and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both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e highest lack of improvement in English proficiency for the reasons of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and in the evaluation of English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whether or not they had properly grasped the difficulties of infants in class, and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ffectiveness in the curriculum, the medium of classes, and the procedure. Also, the effects of English education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who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terest in English, and parents tried to speak the language they often use in their daily lives in English. Fif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s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biggest difficulties of English class was found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English education. As a problem with English education, both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e lack of actual English skills in infants, and both teachers and parents cited the highest level of guidance from infants who are not interested or interested in English as the biggest difficulty in English classes. In sum, the age of English education from infancy to infancy has been further lowered and paren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English education,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Differences in the way parents look and the way teachers look suggest the need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 반응기반자기조립을 이용한 intercalated 환원 그래핀 응용 연구

        정주라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반응기반자기조립을 이용하여 다양한 폴리머를 환원 그래핀 막에 intercalation시키는 연구와 이를 이용한 고감도 압력센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graphene oxide(GO)의 제조는 hummers' method을 이용하여 graphite로부터 합성하였다. 샘플제조는 반응기반자기조립법으로 환원 그래핀 사이에 폴리머를 intercalation시켜 막을 제조하였다. 폴리머는 PVA (Poly Vinyl Alcohol), PEO (Poly Ethyleneoxide), PVP (Poly Vinyl Pyrrolidone)를 사용하였고, GO 무게 대비 폴리머양은 0.084로 하여 intercalation시켰다. 제조된 막은 AFM, UV-vis, FT-IR, XRD를 이용하여 막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센서로서의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응기반자기조립법으로 형성된 막과 이를 패턴된 ITO전극위에 형성시켜 만든 소자에 대하여 압력에 따른 표면저항 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로는 진공에서 저항 측정이 가능한 4-point probe장비를 이용 하였고 고온과 저온에서 압력에 따른 표면저항 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상압에서 진공(10-3)까지 압력변화에 대해서 저항 값을 측정 하였으며 그 결과 민감도가 좋은 압력센서를 개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압에서 10-3 torr 까지 진공을 만들고 일정 시간 후에 순간적으로 대기압까지 리크 시켜서 일정 시간 유지 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얻은 낸 결과 여러 번 측정 시 에도 동일한 변화를 나타내어 재현성 역시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for intercalating various polymers into reduced graphene membrane using reaction-based self-assembly and its application to high sensitivity pressure sensor. The production of graphene oxide (GO) was synthesized from graphite using the hummers' method. The sample was prepared by intercalating the polymer between reducing grains by reaction - based self - assembly. The polymer used was PVA (Poly Vinyl Alcohol), PEO (Poly Ethylene Oxide) and PVP (Poly Vinyl Pyrrolidone), GO The amount of polymer relative to the weight was intercalated to 0.084. The membranes were analyzed for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using AFM, UV-vis, FT-IR and XR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the surface resistivity of the film formed by the reaction - based self - assembly method and the device formed by forming it on the patterned ITO electrode were measured. As a measurement device, a 4-point probe instrument capable of measuring resistance in vacuum was used, and the surface resistance according to pressure was measured at high temperature and low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resistance value was measured for the pressure change from normal pressure to vacuum (10-3).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sensitive pressure sensor could be developed. It is evident that the vacuum is made at atmospheric pressure up to 10 -3 torr, and then it is instantaneously leaked to the atmospheric pressur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ame process is repe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 반성장소설로서의 <운영전> 연구

        신성호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운영전>은 17세기 전반 낙백한 지식인 창작한 것으로 알려진 작품이다. <운영전>은 궁녀인 운영과 김진사의 위험한 사랑을 섬세한 심리 묘사와 치밀한 구성으로 설득력 있게 전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이 살아가며 추구해야 할 진정한 가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는 점에서 정전(正典)적 가치를 인정받는 고소설이다. 이 연구에서는 <운영전>에 대한 이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운영전>을 반성장소설로 접근하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반성장소설이란 성장소설이 변화 · 발전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성장소설의 다른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반성장소설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여러 연구에서 언급하고 있지만, 무엇이 반성장소설이라고 뚜렷한 정리를 시도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운영전>을 반성장소설로 읽기 앞서 반성장소설의 특징을 정리하려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반성장소설로 볼 수 있는 작품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반성장소설은 성장소설과 마찬가지로 성장기의 인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성장의 과정에 연관된 서사를 보여줘야 한다. 둘째, 반성장소설은 성장의 과정에서 인물이 겪게 되는 반성장의 요소를 다루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반성장의 요소를 성장 방향의 상실로 인한 성장의 멈춤과 거부, 기존 사회 체재에 대한 거부와 반발, 인간의 실존적 조건에 대한 거부와 반발로 유형화하였다. 셋째, 반성장소설은 위에서 언급한 요소가 나타나면서 성장의 서사와 반성장의 서사 중 반성장의 서사가 작품의 지배적인 내용이면서, 작품의 주제 의식을 형성하는데 핵심을 이루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반성장소설은 반성장의 요소를 통해 기존 사회나 체재에 대한 반담론의 역할을 수행하는 비판적인 주제 의식을 담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규정을 근거로 이 연구에서는 <운영전>을 반성장소설로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을 먼저 확인하였다. <운영전>의 중심인물인 운영과 김진사가 성장기에 놓여 있는 인물이라는 점과 <운영전>의 중심 사건이 성장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사건이라는 점에서 <운영전>은 성장소설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등장인물이 정상적인 성장을 이루어내지 못하고, 세계에 의해 성장이 좌절된다는 점에서 <운영전>은 성장소설이라기 보다는 반성장의 서사가 중심을 이루는 반성장소설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처럼 <운영전>을 반성장소설로 볼 수 있는 작품으로 규정한 후, <운영전>의 서사를 반성장소설의 관점에서 풀어내었다. 이 과정에서는 <운영전>의 내용을 확인하며 인물 형상과 인물 간 갈등 양상 그리고 작품의 시· 공간적 배경 등이 반성장의 서사를 어떻게 형성하고, 보여주고 있는지를 설명하였다. <운영전>을 반성장소설로 접근하려는 시도는 반성장소설에 대한 연구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고, 고소설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고소설은 교육 현장에서 읽는 과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학생들에게 외면을 받기도 하는데, 이 연구에서 제시한 독법(讀法)이 성장 과정에 놓여 있는 학생들에게는 고소설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중국여성의 반영구화장 시술동기가 기대가치충족 및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천원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female semi-permanent makeup’s surgery motivation on satisfying expected value and surgical satisfaction in China.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line on WEN JUAN XING platform for 20 days from January 11 to January 30, 2023, among women living in Harbin, China.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Among 620 questionnaires distributed, 604 copies, excluding 16 poorly answered on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Duncan’s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For the variables in this study, the subfactors of surgical motivation include three factors (convenience, aesthetic and economy); satisfying expected value includes one factor (satisfying expected value); the subfactors of surgical satisfaction include three facto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image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hree subfactors of semi-permanent makeup’s surgery motivation(convenience, aesthetic and econom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ying expected value. First, the survey shows that the three subfactors of semi-permanent makeup’s surgery motivation(convenience, aesthetic and econom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factor of surg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three subfactors of semi-permanent makeup’s surgery motivation(convenience, aesthetic and economy) can influence the subfactor of surgical satisfaction(image satisfaction). Lastly, the three subfactors of semi-permanent makeup’s surgery motivation(convenience, aesthetic and econom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surgical satisfaction(social satisfaction). Second, the survey shows that satisfying expected value influences the subfactor of surgic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addition, satisfying expected value influences the subfactor of surgical satisfaction (image satisfaction). Lastly, satisfying expected value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factor of surgical satisfaction(social satisfaction). Third, the above results show that female semi-permanent makeup’s surgery motivation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satisfying expected value and surgical satisfaction in China, and therefore causal relationship also partially ex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ed on a survey of the effects of female semi-permanent makeup’s surgery motivation on satisfying expected value and surgical satisfaction in China, and the results are quantified, making them usable used as the basis for subsequent research,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 In addition,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which are supposed to consider the various variables of the semi-permanent makeup’s surgery motivation, satisfying expected value and surgical satisfaction, so as to further verify the degree of influence. 본 연구는 중국 여성의 반영구화장 시술동기가 기대가치충족 및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취지에 맞게 재구성하여 측정도구로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중국 하얼빈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2023년 01월 11일부터 01월 30일까지 20일간 WEN JUAN XING을 통한 온라인(on line)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수집된 설문지는 620부 중 신뢰도가 떨어진 16부를 제외한 총 60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정 방법 Duncan test,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변인 중 시술동기의 하위요인은 (편리성, 심미성, 경제성)의 3요인이며, 기대가치충족(기대가치충족)의 1요인,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은 (심리적 만족, 이미지 만족, 사회적 만족)의 3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영구화장 시술동기는 하위요인인 경제성, 심미성, 편리성의 3개의 하위요인은 기대가치충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반영구화장 시술동기는 하위요인인 경제성, 편리성, 심미성의 3개의 하위요인은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반영구화장 시술동기는 하위요인인 경제성, 편리성, 심미성의 3개의 하위요인은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이미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반영구화장 시술동기는 하위요인인 경제성, 심미성, 편리성의 3개의 하위요인은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만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기대가치충족은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기대가치충족은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이미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대가치충족은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중국 여성의 반영구화장 시술동기는 기대가치충족 및 시술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여성의 반영구화장 시술동기가 기대가치충족 및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결과를 정량화하였기 때문에 후속 연구의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반영구화장 시술동기와 기대가치충족, 시술만족도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 영향력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반영구화장의 실태조사와 법적제도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김희화 신라대학교 공공안전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반영구화장의 법적제도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것들을 연구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여러 나라의 관련 입법례와 규정들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에 맞는 법적제도의 방향성을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부산 소재 20~50대 남, 여 230명을 대상으로 2017 10.1일부터 2017 11.1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중 총 230부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9부를 제외한 나머지 총 201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은 반영구 화장에 대한 인식(95%)나 되는 현 실정에 그 알게 된 경로도 주변에 있는 뷰티 샵 을 통해서나(39.3%) 친구를 통해서가(38.7%) 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반영구화장에 대한 내용들을 가까운 지인이나 샵 을 통해 알고 있으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반영구 시술의 경험을 반영구 전문가가하는 샵 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반영구화장 합법화에 대한 생각들은 시술 대상자에서 반영구화장 전문가가 85.1%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문신사법 통과 시 일반인 시술 가능에 대한 생각에서 가능하다가 87.1%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외국의 입법례의 내용 중 문신면허취득시험에 관련된 부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감염관리 등이 51.7%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반영구화장 시 중요하게 생각되어지는 부분에서는 시술자의 실력이 53.2%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미용인들의 반영구화장시술 합법화에 대한 생각에서는 찬성한다가 72.1%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그리고 반영구화장 합법화 시 허용할 수 있는 시술의 범위에서는 모두 허용이 40.8%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반영구화장 시술 합법화 시 적당한 방법은 반영구화장 자격증제도를 도입이 42.8%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반영구화장시술 합법화 시 시술대상 중 규제대상에서는 특수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55.37%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그럼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법적제도 정착 시 필요한 과제부분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첫 번째는 반영구화장의 자격증제도 같은 합리적인 입법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두 번째로는 시술범위나 규제 대상의 명확성도 필요할 것이다. 외국 사례를 보면 유륜 및 생식기 부위는 시술불가라는 항목이 있듯이 정확하게 시술 할 수 있는 범위 와 시술받는 이들의 연령대와 병력도 중요할 것이다. 세 번째로는 보건복지부에서 현재 의료법관련으로 여겨지고 있는 반영구화장에 대한 정확한 규제와 보안이 필요할 것이다. 위생이나, 적절한 장비, 재료와 시술법의 정확한 규정이 뒷받침 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많은 반영구 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향후 제대로 된 법적제도의 규제 아래 반영구화장이 미용의 한 분야로써 제대로 된 직업군으로 거듭나기를 바랍니다. The object of research is to establish legal system of semipermanent makeup Fist of all, From October 1st to November 1st, 2017, we have checked the law of various nations and survey to people who live in Pusan 20 to 50 years-old. Also, we discovered people to insincere answer and total number of the person is 29 people out of 230 people. Based on the content, we will signpost suitable for the present situation in our country. A lot of people (95%) had a positive recognition the semipermanent makeup. Also most people could know the semipermanent makeup through their friend(38.7%) or nearby Beauty shop(39.3%) operated by experts and a lot of people already experienced it in there. In conclusion, a lot of people have known the makeup through their friend or beauty shop, regardless of age and sex they had experienced it and had a positive recognition. Many experts(85.1%) of semipermanent makeup agreed that the semipermanent makeup is become legal. In addition, in case of tattoo law, the respondents(87.1%) said, “ordinary people can also the perform procedures.” Among the relevant laws of the preceding countries (Tattooing license test), Most importantly part in that was hygiene and infection control. Those who agree with it was the highest 51.7 percent. Not only that, the respondents said,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rocedure is that the experts skills(53.2%).” Moreover, if the semipermanent makeup becomes legal, it have to “all accept(40.8%)” as the range of surgical procedure. Also, respondents(42.8%) was said “If the semipermanent makeup is legalized, we must bring in the accrediting system.” Furthermore, they(55.37%) was said if the semipermanent makeup is legalized, it have to regulate people who have special disease accordingly, in case of applying makeup, the result of a few important things as below are First, reasonable lawmaking of the semipermanent makeup like accrediting system. Second, procedure range and perspicuity of regulated subject. third, necessity need for sanitary regulation and supplementation from current practice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a result, I think that the best important part of three is the above things. I hope that the experts of corresponding types of business work inside the prescribed laws and regulations to work. As well as I firmly want that the semipermanent makeup is established a beauty business

      • 게임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성공경험증진 교수전략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순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게임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성공경험증진을 위한 교수전략에 따라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의 차이와 성공경험증진을 위한 교수전략과 학업성취수준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I> 게임기반학습에서 성공경험증진전략별 집단간에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II> 게임기반학습에서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에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III> 게임기반학습에서 성공경험증진을 위한 교수전략과 학업성취수준은 자기효능감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G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 중 9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온라인 RPG를 활용한 게임기반 학습을 성공경험증진 교수전략 3가지를 집단별로 각 31명씩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매주 3~4회 걸쳐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시간을 이용하여 컴퓨터실에서 약7주에 걸쳐 18차시 동안 실시되었다. 교육청에서 제작된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검증된 사회과 평가지를 통해 각 전략별 상위 10명, 하위10명씩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자기효능감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사후검사 점수와 사전검사 점수의 차이값을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위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공의 기회 제시전략이 10.04로 자기효능감을 가장 높게 향상시키고 있음에 비해 개인적 조절감 증대전략은 1.73으로 향상의 폭이 낮아 자기효능감 향상에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수전략에 따라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가설 I>은 긍정되었다. Scheffe 사후검정 결과, 성공의 기회 제시 전략이 개인적 조절감 증대 전략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8.67점 높았으며, 그 차이는 유의했다. 그러나 학습의 필요조건 제시 전략과 성공의 기회 제시 전략, 그리고 학습의 필요조건 제시 전략과 개인적 조절감 증대 전략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2. 학업성취가 높은 집단은 자기효능감의 평균이 5.29, 낮은 집단은 평균이 6.41로 낮은 집단의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았다. <가설 II>는 부정되었다. 이는 학업성취수준이 낮더라도 자기효능감은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반대로 학업성취수준이 높다고 하여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러한 두 집단간의 차이는 통계분석결과 유미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따라서 게임기반학습에서 학업성취수준에 따라서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3. 게임기반학습에서 성공경험증진을 위한 교수전략과 학업성취수준 사이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었다(F(2,84)=4.82, p=.010). <가설 III>은 긍정되었다.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집단 학습자에게는 학습의 필요조건제시전략 > 성공의 기회제시전략 > 개인적 조절감 증대전략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수준이 낮은 집단은 성공의 기회제시전략 > 학습의 필요조건제시전략 > 개인적조절감증대전략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여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성공경험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전략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는 결과가 검증되었다. 성공경험증진 교수전략들 중에서 성공의 기회 제시전략이 자기효능감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의 전략에서 학습문제 관련 정보 및 전략 제공과 지속적인 강화, 성과에 대한 긍정적 귀인 피드백이 성공적인 수행경험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학습자가 성공적인 수행경험을 통해 자신감과 적극적인 도전자세 및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게 한 것으로 추론된다. 둘째, 게임기반학습에서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학업성취수준이 낮더라도 자기효능감은 높을 수 있고 반대로 학업성취수준이 높다고 하여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학업성취수준이 다소 낮은 경우에도 높은 수준의 자기효능감을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되며 일종의 자기 도취나 만족이 있을 수 있다고 추측된다. 셋째, 학업성취수준과 성공경험증진을 위한 교수전략사이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단기간의 실험 처치로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정교하고 구조화된 교수전략으로 과제 수행에서 성공 경험을 통한 만족감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 반영구화장의 서비스 품질이 관계지속의도 및 주관적웰빙에 미치는 영향 : 관계품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일향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919

        사회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외모에 대한 관심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외모는 자신을 표현하는 경쟁력이며 자신의 외모에 만족할수록 사회 적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직업 활동 에 대한 영향도 크게 나타난다. 반영구화장은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동 시에 시간과 비용감소라는 효율성을 지닌 메이크업 방법으로 인식되며 많 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반영구화장 시장의 확대에 따른 서비스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전략적인 마케팅 계획 수립은 더욱 중 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소비자욕구에 따른 서비스품질 개선 과 지속적 이용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 개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 히 반영구화장 종사자는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제공의 접점에서 원활한 관계형성을유지발전시키는노력이필요하다.본 연구는 반영구화장의 서비스품질이 관계지속의도, 주관적 웰빙, 관계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관계품질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 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반영구화장의 서비스품질의 요인을 기술적품질, 전문가품질, 절차적품질, 제품/기구품질로 분류하였으며, 관계품질은 고객 만족, 신뢰, 계산적 몰입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연구 개념들 간의 인과관계 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SEM) 분 석을 실시하였다. 관계품질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공변량분해 (Bootstrapping)기법과 개별경로별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팬텀변수(Pantom variance)를이용하여분석하였다.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반영구화장 서비스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전 문조사기관을 통해 서베이법을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3월 7일부터 3월 13일까지 일주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불성실한 응답 자료를제외한369부를최종분석에이용하였다. 본 연구의실증분석 결과를요약하면 다음과같다.첫째, 반영구화장의 서비스품질은 관계지속의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관 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영구화장의 서비스품질은 관계품질 의 구성요인인 고객만족과 신뢰, 계산적 몰입을 매개로 하여 관계지속의도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반영구화장의 서비스 품질 요인이 관계를 지속하려는 의도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님을 의미한다. 관계품질 요인인 시술에 대한 만족과 신뢰,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없는 상태의 계산적 몰입에 의해 관계를 지속하려는 의 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서비스품질의 구성요인인 기술적 품질은 시술자의 시술능력, 시술마취의 적절성, 사후관리와 제품사용관리의 설명등으로 구성되며, 전문가품질은 고객욕구의 이해, 고객에 대한 각별한 신경, 반영구화장관련 지식, 상담 시 의사소통 등으로 구성된다. 절차적품질은 시술 전 충분한 설명, 약속한사항의 이행, 예약된 시간에 서비스, 명 확하고 적절한 비용청구 등으로 구성되며 제품/기구품질은 고객가운과 장 비 및 시술기구의 청결성, 안전한 시술제품, 최신시설과 장비, 위생적인 내 부환경 등으로구성된다.둘째, 반영구화장의 서비스품질은 주관적 웰빙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관 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영구화장의 서비스품질은 관계품질 의 구성요인인 고객만족이나 신뢰, 계산적 몰입을 매개로 하여 주관적 웰 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개인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반영구화장 서비스 이용 동기, 중요성 및 필요성 등에 따라 주관적 웰빙에대한인식에차이가 있음으로해석할 수있다. 셋째, 반영구화장의 서비스품질이 관계품질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것으로 나타났다. 관계품질의 구성요인인 고객만족은 시술에 만족, 서 비스에 전반적으로 만족, 서비스가 기대를 충족으로 구성되며, 신뢰는 믿음 이가는 시술, 원하는 대로시술하므로믿음이감, 시술을 신뢰함으로 구성 되며, 계산적 몰입은 다른 곳은 이곳에 비해 가격이 비쌀 것이다, 다른 곳 보다 이곳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함, 다른 곳은 이곳에 비해 시술수준이 못 함으로 구성된다. 넷째, 관계품질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술자의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과 서비스 에 대한 신뢰, 계산적 몰입으로 구성되는 관계품질이 현재 이용하는 샵에 서 지속적으로 시술받을 것이다, 내가 이용한 샵을 적극 추천할 의사가 있 다로구성된 관계지속의도에긍정적인영향을미친다는것이다. 다섯째, 관계품질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술자의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과 서비스 에 대한 신뢰, 계산적 몰입으로 구성되는 관계품질이 스스로 행복한 사람 생각함, 주변사람들과 비교해서 나는 행복한 사람임을 느끼게 되는 주관적웰빙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친다는것이다. 여섯째, 주관적 웰빙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이 행복한 사람이라고 느끼는 상 태의주관적 웰빙이 지속적으로 시술받을것과 적극추천할의사가 있음으 로구성된관계지속의도에긍정적인 영향을미친다는 것이다.일곱째, 관계품질(고객만족, 신뢰, 계산적 몰입)은 반영구화장 서비스품 질, 관계지속의도,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반영구화장의 서비스품질이 관계지속의도와 주관적 웰빙에는 긍정적 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관계품질을 매개로 하였을 때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과 시 술에 대한 신뢰, 대체할 수 없을 상태인 계산적 몰입으로 구성된 관계품질 이 지속적인 시술 및 적극 추천 의사를 나타내는 관계지속의도와 스스로 행복한 사람, 주변사람들과 비교해서 행복한 사람을 나타내는 주관적 웰빙 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또한 관계품질이 주관적 웰 빙을 거쳐 관계지속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효과분석에 있어 부트스트래핑 기법과 팬텀변수를 활용한 개별경로별 매개효과검증을통해관계품질이완전매개하고 있음을확인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과 품질 유 지가 필요하다. 아울러 변화하는 고객트렌드에 부합하는 기술적품질을 유 지함과 시술자의 전문성과 역량을 배양하고 시술상담부터 시술이후 사후관 리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시술 에 사용하는 제품이나 기구에 대한 위생청결에 유의하여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믿음을 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고객욕구를 충족시키고 고객관계 를장기적으로 유지할수있는마케팅전략 수립및실행의 근간이 될것이다. As interest in appearance continues to increase in recent years, it is recognized that the more satisfied you are with your competitiveness, the greater the impact on active participation in social and professional activities. Semi-permanent makeup is used by many people as it is recognized as a makeup that satisfies aesthetic needs and brings efficiency that reduces time and cost.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for market and service satisfaction for semi-permanent cosmetics is becoming important. a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nd develop a smooth relationship of service satisfaction with service quality improvement due to diversification and advancement of consumer needs.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semi-permanent makeup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relationship quality, and analyzed whether relationship quality has a mediating effec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of semi-permanent makeup were classified into technical quality, expert quality, procedural quality, and product/instrument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was classified into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calculative commit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research concepts,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quality,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which is a covariant analysis, in the statistical program AMOS 24.0, and an analysis using a phantom variable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dividual indirect effect pat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urvey Act through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ion for customers using semi-permanent makeup servic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 week from March 7 to March 13, 2022, and 369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semi-permanent makeup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persistence intention. - 91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calculative commitment, which are components of relationship quality. This means that the service quality factor of semi-permanent makeup is not an absolutely important factor in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relationship . For procedures, which are factors of relationship quality, satisfaction, trust, and irreplaceable calculative commit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relationship. Technical quality, which is a component of service quality, consists of treatment ability, appropriate anesthesia, follow-up management, product use and management, and expert quality consists of understanding customer needs, interest in customers, knowledge of semi-permanent makeup, and communication Procedural quality consists of sufficient explanation before the procedure, fulfillment of appointments, compliance with reservation time, reasonable price, and product/instrument quality consists of customer gowns, cleanliness and treatment of equipment, safe treatment products,latest facilities,and hygienic environ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semi-permanent makeup had no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semi-permanent makeup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calculative commitment, which are components of relationship qualit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dividual values, lifestyle, and motivation for using semi-permanent makeup servi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semi-permanent makeu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relationship, such as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and solicitation, and positive word of mouth activities. Therefore, the service quality maintenance efforts of semi-permanent makeup, trust build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of the procedure are provided. It should be a calculative commitment that does not consider the use of ot her competitors. Fourth,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ation intention. This means that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calculative commitment to the operator's service are formed, affecting the continuation of the relationship such as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Therefore, relationship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Fifth,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at makes you feel happy due to the relationship quality consisting of the operator's customer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trust in the service,and calculative commitment. Sixth,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well-b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sustain the relationship. This means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perform the procedure with subjective well-being that makes you feel so happy and the intention to recommend others. Seventh, relationship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calculative commitment)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the - 93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relationship continuation inten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lthough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semi-permanent makeup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persistence inten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t was confirm edthatit had a positive effect when the relationship quality was used as a medium.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quality consisting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rvices, trust in procedures, and irreplaceable calculative commitment is a factor that positively affects the relationship persistence intention and happine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elationship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continuity intention through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quality was completely mediat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for each individual path using the bootstrapping technique and the phantom variabl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not only to continuously improve and maintain the quality of service, but also to maintain the technical quality consistent with the changing customer trend, to cultivate the expertise and competence of the operator, and to systematically manage all processes from treatment counseling to follow-up. In addition, hygiene management and cleanliness of products or devices used during the procedure should be paid attention to trust in safe use. Through this, it will be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marketing strategy that can satisfy customer needs and maintain customer relations in the long term.

      • 남성의 눈썹 반영구화장 이용 관련 요인 및 만족도

        김경옥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남성의 눈썹 반영구화장 이용 관련 요인 및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남성의 요구를 반영한 남성의 눈썹 반영구화장에 대한 교육과 시술 기법을 연구 개발하고 관련 마케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기간은 2022년 7월 0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만 20세이상 전국 성인 남성 425명을 대상으로 임의표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의 눈썹 반영구화장 시술 이유로는 이미지 변화를 위해서, 결점보완을 위해서가 주로 많았고, 눈썹 반영구화장이 사회생활 및 첫인상에 실제로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주된 인지 경로는 미혼의 경우 매스컴을 통하여, 기혼의 경우 직접 시술한 친구나 지인을 통해서가 많았고, 주변의 권유와 강요에 의해서 시술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반영구화장의 안전성 및 부작용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 및 이용요인의 차이가 각기 다르게 나타나 이를 반영한 세부적인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눈썹 반영구화장을 시술 받은 남성들은 반영구화장 눈썹 시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추후에도 꾸준히 시술을 받을 의향이 있고 추천할 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대상자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 수립, 반영구화장의 전문 및 미용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역량교육과 시술기법 개발, 반영구화장의 안전성 및 위생인식 제고를 위한 보건교육 강화가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nd satisfaction relating to the use of men’s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as a basi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and treatment methods of men's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in reflection of men’s needs as well as for establishment of related marketing strategie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ly 1 and August 31, 2022 through the structural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25 adult men aged 20 or older in a way of convenience sampling.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men's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was practiced mainly to change the existing image or to make up for flaws.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was recognized among respondents as significantly affecting their social life and first impression. As to the main channels of knowing about semipermanent make-up, singles told that they knew about it via mass media, but married ones did about it via friends or acquaintances who practiced semipermanent make-up. Many respondents underwent the treatment as suggested or forced by acquaintances. It turned out that the awareness about the safety and side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was not high in general. As the level of recognition and utilization factors of semipermanent make-up were varied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specific policies and programs for each group need to be developed considering such differences. Among men who underwent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in general. They had also an intention to undergo the treatment continually and to recommend it to others.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ailor-made marketing strategies specifically for each target group and also to strengthen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develop the specialty and cosmetic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and improve health education for the safety and hygiene of semipermanent make-up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