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경영분석 방법에 입각한 한국 바둑문화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김미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831

        이 연구에서는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전략을 제안하기 위하여 문화경영분석 방법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경영전략 수립절차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고안한 문화경영전략 수립절차에 실제 한국의 바둑문화산업을 적용하여 한국 바둑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문화경영전략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문헌 연구, 현황 분석 연구, 발전요인 분석 연구'의 세 가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바둑의 본질에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 문화산업 이론 검토, 문화산업으로서의 바둑의 가치 정립, 문화경영의 개념 및 문화경영전략에 관련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개념을 정리하였다. '현황 분석 연구'에서는 문화산업의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바둑문화산업에 적합한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바둑문화산업 현황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바둑문화산업 현황을 고찰하였다. '발전요인 분석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현황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때 해당 분야 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해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요인을 보다 객관적이고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문화경영전략 수립절차는 '문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문화경영적 시각을 바탕으로 사회과학적 분석 영역의 '현황분석, 발전요인 분석, 시사점 도출'의 3단계 과정과 전략도출 영역의 '목표설정, 계획수립, 조직화'로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먼저 해당 문화산업 분야에 대한 현황을 객관적인 자료와 정보에 근거하여 기술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며, 현황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전요인을 도출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안한다. 이렇게 도출된 전략은 피드백을 통하여 효과적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새로운 계획과 방침을 취하는 지속적인 평가의 과정을 통해 전략의 완성도를 높여나가야 한다. 둘째, 문화경영전략 수립절차에 입각하여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한국 바둑문화산업은 '출판산업, 교육산업, 기전산업, 방송산업, 게임산업, 관광산업, 바둑용품산업'의 7가지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문화산업의 기반이 조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역사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인적 요인, 제도적 요인, 본원적 요인'의 5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의 요인은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상호작용을 통해 바둑문화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둑문화산업의 실태분석을 통해 도출한 핵심적인 시사점은 현재 한국 바둑문화산업은 바둑과 관련된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상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콘텐츠의 구성내용 측면에서 접근해보면 바둑문화상품 속에 다양한 가치관, 예술성, 상상력, 생활양식, 효용성, 상업성 등을 담아내지 못하여 문화향유자인 바둑팬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점이다. 셋째, 문화경영분석 방법을 적용한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문화경영전략은 바둑문화산업의 실태에서 도출된 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목표설정, 계획수립, 조직화'에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한국의 바둑문화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첫 번째 단계에서는 바둑이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단계별 추진전략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반드시 문화경영자의 문화경영 마인드를 기반으로 바둑문화산업에 따라 단계별 전략 또는 혼합하여 실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목표설정이 구체화 될 수 있도록 추진전략 및 목표에 맞추어 각각의 바둑문화산업별 계획을 '문제분석, 대안 찾기, 예측, 평가'의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러한 수립 계획이 실현될 수 있도록 바둑계를 구성하고 있는 조직이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으로 세계적 미래브랜드 구현'이라는 비전을 실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추진전략과 수립계획에 맞추어 바둑계 조직인 바둑유관기관과 기업, 정부 그리고 바둑팬이 함께 협력해 나가는 전략을 도출하였다. 지금까지 논의한 한국 바둑문화산업의 문화경영전략은 문화경영의 개념이 적용된 문화경영분석 방법을 실제 한국 바둑문화산업에 적용함으로써 한국 바둑문화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경영전략을 도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것은 '문화를 가능케 한다'는 문화의 실현을 의미하는 것으로 진정한 의미의 조정행위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본 연구자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앞으로는 기존에 바둑계에서 진행해온 전략과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바둑문화를 인식시키고 널리 알리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21세기 전 지구적 무한경쟁의 시대에 바둑이 문화산업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바둑 속에 담긴 문화와 정신적 가치를 바둑문화콘텐츠에 드러내어야 될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유력한 문화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화향유자인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들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바둑문화산업이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여전히 바둑문화에 대한 지원과 육성정책이 미진한 상황 속에서 본 논문은 기존의 바둑문화를 콘텐츠화하여 현대화시키는 탐색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동양의 전통놀이문화인 바둑을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재탄생시켜 미래 한국 바둑문화의 대중화와 세계시장 속의 미래 브랜드로서 바둑이 자리매김하기 위한 바둑문화산업의 기반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의가 있다.

      • 한국과 중국기업의 펀 경영조직문화가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두효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Recently the construct of fun workplace, a kind of new managerial culture, has arisen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with the rapid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More and more people believe that better performance comes with staffs working happily. Therefore, this kind of fun management gains a firm foothold. For the aim to find the effect of fun management and relate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rticle discusses whether the mediating of job satisfaction on fun manage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Based on the plan, the study model is following.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For forceful argument, the employees are choosen for questionnaire in Pusan, Beijing, Hebei Province, Jilin Province, Liaoning Province and so on. And 232 pairs of survey were collected in Pusan and 217 pairs of survey were collected in China . Then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to verify hypotheses of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s: First, there is positive effect of fun management on the related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is positive effect of fun managemen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re is meaningful positive effect of related job satisfaction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th, job satisfaction can plays a tota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par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management and job commitment. It shows that the aim of fun management is connecting the willing task for employees with their interest naturally, which then improves the degree of organization commitment. To arouse the enthusiasm of employees and encourage the commitment with fun and interest in fun management. The enterprises should construct a organization, in which the employees trust the organization and their superior, are confident of the organization and business and feel the ki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In the organization,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employees depend on the application of fun management.

      • 문화예술경영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문화예술기관 중심으로

        이유정 호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831

        21세기에로 접어들면서 문화와 예술은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과거와는 달리 문화예술을 통해 삶의 질적 수준도 날로 향상되었으며 참여도 능동적으로 변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문화욕구를 위해 1980년대 문화정책의 변화로 전국 각 지역의 지자체에는 자치구를 대표하는 문화예술회관이 우후죽순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문화예술기관의 소프트웨어를 고려하지 않고 문화예술회관이 건립되었기 때문에 효율적 경영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이러한 현실문제로부터 문화예술기관은 각 지역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조사의 부족 등 여러 가지 운영상의 문제점과 보완점이 노정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기관이 보다 효율적인 경영을 꾀하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우선 문화예술지원사업을 통해 정부주도사업과 민간주도사업의 사례를 들어 문화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민, 예술가들의 인식조사와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사회적 특수성을 활용하여 생활 속 문화예술을 활성화하는 효율적 운영방법을 모색하였다. 제 2장에서는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시민들의 정서함양과 문화향유 권리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우선 ‘문화’라는 화두를 통해 접근하였다. 먼저 문화예술의 형성배경 및 변천과정, 문화예술경영의 이론적 배경과 시장현황, 환경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본 논문을 이해시키고자 이론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문화예술을 시장경제학에서는 어떠한 활동은 금전적 수익의 발생을 우선시 하지만 문화예술시장의 경우 그 특성상 수많은 작품 활동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방법들이 요구되기 때문에 물리적 수익의 발생과 함께, 작품의 소비자와 생산자, 즉 감상자와, 작가들 간의 상호의사소통을 위한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우리가 안고 있는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게 하였다. 문화예술은 서로의 삶을 통해 형성되며 만들어가는 것이며 서로 공유하고 소통한다. 문화예술 행정, 경영은 문화예술시장을 형성해 가면서 공존 했을 때 다원적 조직체계와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상호작용이 일어나면서 새로운 문화예술콘텐츠가 생성되고 예술시장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문화예술시장이 형성되고 내․외부의 환경변화에 따라 작가와 소비자들의 공감대가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겠다. 제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지원기관(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서울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 인천문화재단, 광주문화재단, 전남문화관광재단)을 대상으로 지원기관 운영현황, 인력현황, 프로그램 현황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의 거버넌스 실현방안 요소를 제안하여 공공기관의 경영인력현황과 지역특성화에 맞는 전문적인 운영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지역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정부가 지향하는 문화예술 추진과제에 맞춰 지역실정에 맞는 현장프로그램 개발과 진행, 지역특성에 맞춘 운영방식을 도입해야 효율적 경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제 4장에서는 유럽의 사례를 통해 공간에 대한 커뮤니티형성과 네트워크의 활성화, 문화예술기관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소통의 확장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문화예술경영을위한 거버넌스 실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자기조직화와 거버넌스를 실현을 위한 유형과 특성들을 살펴보고 국가주도형, 시장자율주도형, 시민사회주도형을 사례로 문화예술지원기관의 체계적인 파트너십 형성과정을 논하였다. 이와 같이 문화예술은 소비자들의 욕구가 점점 더 다양해고 있는 가운데, 예술의 표현방법과 홍보, 예술이 행해지는 공간도 그에 맞게 진화해 가지 않는다면, 문화예술시장에서의 생존을 보장받기는 더 이상 어려울 것이다. 동굴 벽에 돌로 그림을 그리던 생활에서 이제는 다양한 재료에,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창의적 발상으로 지역과 소통하고 작품을 확장해 가는 시대로 바뀌었고, 사진과 영상 저장기술이 등장하면서 표현의 방법 또한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심지어 작품과 자신이 같은 공간 안에 없다고 해도 실시간으로 누릴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활성화로 정보 전송기술 역시 각양각색이다. 문화예술기관이 진정으로 원하는 커뮤니티 형성의 방법과 네트워크의 다양화가 무엇인지에 따라 새로운 방법들을 활용한 예술활동과 대안적 마케팅기법들을 지속적으로 적용해 나간다면, 자연스레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관의 파트너십 관리단계를 형성해간다면 시장실패라는 악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는 출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제 5장에서는 이러한 변화된 생활문화 속에 문화예술지원사업을 제도적으로 이해하고 효율적 활용을 위한 문화예술지원사업의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산중심의 환경에서 시장중심의 환경으로 바뀌어가면서 정부주도, 민간주도, 기업의 문화예술마케팅 및 지원사업의 효율성이 기존의 마케팅 기법과 다른 점을 이해하고 문화예술시장의 활성화와 마케팅에 대한 대안적 전략과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문화예술경영의 환류시스템을 제고하는 방안을 찾아보았다. 예술경영의 효율성을 위해 문화예술지원사업의 제도적 이해를 통해 성공적 마케팅과 그 단계에 맞는 적절한 지원사업의 취지, 목적, 재원조성을 하여야 한다. 기존의 생산중심의 환경에서 시장중심의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인지하고 대처함으로써 문화향유자를 위한 마케팅을 실현하고 서로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환류시스템이 제고되어질 때 더욱더 문화예술이 활성화될 것으로 사료된다. 제 6장에서는 공간활성화 방안으로서 노후 된 폐 산업시설을 활용한 문화예술공간이 갖는 유산적 가치는 문화예술경영의 지평에도 새로운 과제로 제시하였다. 사회적기업과 전통적인 비영리 단체와의 성격은 조금은 다르다. 사회적기업은 영리를 목표로 추구하기 때문에 전통적 비영리 단체는 문화예술 시장 속에서 상당한 경제적 위험을 감수하게 된다. 산업구조의 변화로 다양한 산업시설물들이 유휴공간으로 만들어져 가는데 정부주도의 공간 활용 사례를 본다면 대표적인 예로 서울역사, 포천아트벨리. 안양 예술공원, 대구 문화창조 발전소, 청주 연초제조창, 군산 근대역사관, 광주 양산동 스튜디오 등을 볼 수 있고, 민간주도 사업현황으로는 문래동 창작스튜디오, 스페이스 빔, 감자꽃스튜디오, 군산여인숙, 담양 대담미술관을 들 수 있겠다. 이는 곧 문화예술경영의 중심활동에 전혀 다른 차원을 부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복합적 예술의 수용과 창작 및 제작, 배급과 향유, 투자의 선 순환적 구조가 한 공간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본다면, 문화는 통합적 공간의 실현을 보게 된다는 것이다. 지역의 특수성과 지역사회의 문화활동에 대한 네트워킹, 파트너십, 지역민들의 매카니즘을 통한 새로운 접근방식은 문화예술 향유자의 개념을 바꾸어놓고, 창작의 주체로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각 지자체의 공공기관에서는 도시재생의 창조도시 담론과 더불어 공간에 따른 인력구성의 다양화에서도 문화예술공간이 도시적 구도에서 그 역할이 달라짐을 확인 할 수 있다. 단순한 기능직업무의 개념이 아닌 공간이 주는 새로운 여건에서의 문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예술행정의 기간이 짧고, 문화정책의 수립과 실현에 있어서도 국가 주도적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때문에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파트너십이 잘 형성되지 않으므로, 문화예술경영이 효율적인 체제로 운영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도기적 시점에서 문화예술경영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실천과 노력이 필요하다. 즉, 문화예술경영의 효율성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네트워크를 활성화시켜 국가가 운영하는 기금사업으로 민․관, 시민사회, 지자체, 예술단체, 기업 등 사회구성원으로 속해있는 대상과의 파트너십이 용이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민․관의 거점역할을 하고 있는 문화예술지원기관이 우리나라 문화예술네트워크에서 허브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때 비로소 문화예술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시스템구축이 가능해 질 것이다.

      • 무용콘텐츠 관점에서 본 국공립무용단체의 문화예술경영 : 국립현대무용단의 사회적 생산을 중심으로

        오즈잔 제렌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대 초연결 사회로 들어서면서, 문화콘텐츠 개념은 더욱 중요해지고 개념의 활용이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무용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다양한 기술을 통하여 창작 과정과 표현의 잠재력 확대로 인하여 무용콘텐츠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용단의 활동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국립 무용단체는 공익을 우선하는 단체이며 이는 무용단의 문화예술경영과제와 실행에 영향을 미친다. 경영학에 기반한 무용경영 관점은 무용단이 수행하고 있는 활동의 사회성과 공공성에 대한 이해를 도출함에 있어서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단의 사회적 생산 분석을 중심으로 무용콘텐츠 관점에서 무용예술경영을 재해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은 참여 관찰과 2차 자료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립현대무용단의 활동과 무용콘텐츠를 질적으로 사례분석하는 것이다. 이론적 고찰과 문화 다이아몬드를 활용하여 국립현대무용단의 사회적 생산을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무용콘텐츠가 창작자, 관객 그리고 무용단의 행위로 생산되며, 그들의 활동 분야의 교차점에서 콘텐츠가 형성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각 주체가 무용콘텐츠를 형성할 때의 이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무용단의 활동 분야의 측면에서 보면 무용계에서의 위치와 무용콘텐츠의 현실화 과정이며, 창작자의 활동 분야 측면에서 보면 창작가가 추구하는 이상적 예술과 그들의 역량이고, 관객의 활동 분야 측면에서 보면 그들의 무용콘텐츠에 대한 이해와 반응이다.이러한 분석 요소를 국립현대무용단의 무용콘텐츠 <그 후 1년>과 <무용x기술 창작랩> 에 적용한 결과, 무용단의 문화예술경영은 창작자와 관객의 활동을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무용단의 사회적 생산 내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1년>은 작품에 대한 관객의 감상을 다각화하여 무용의 관습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무용x기술 창작랩>은 융합 성격의 무용콘텐츠 기획을 통해 무용계의 확장을 이끄는 것을 가능케 한다. 집단적인 행위로서의 무용은 다양한 협력적인 연결고리로 생산되며, 무용계의 활성화는 무용계 안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협력링크의 다각화, 증가, 본질적인 변화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것은 무용콘텐츠의 형성 측면 모두의 해당하는 문화예술경영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국공립무용단체가 무용의 사회성을 활용한 무용콘텐츠 기획을 통하여 무용계를 활성화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본 연구는 국공립 현대무용단체를 대상으로 했으나 사례가 한국 국립현대무용단에 국한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사례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 수집은 주체들 간의 관계를 밝혔지만 관계의 본질에 대한 고찰은 추후 논의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무용콘텐츠 관점에서 문화예술경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창출하였으며 이는 다른 장르의 예술콘텐츠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In the contemporary hyper-connected society, which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has deemed important, the use of the term has expanded to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dance world. As the means of creative expression in dance has multiplied with the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the types of dance contents being produced have diversified. Accordingly, the scope of activities performed by dance companies have been expanding. The art and culture management of national dance organizations prioritize the public interest yet a perspective based on business administration is insufficient to derive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public nature of th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dance compan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 and to reinterpret cultural and artistic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from a dance content perspective. The research method is the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activities of Korea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 (KNCDC) and their selected dance contents,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condary resourc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the social production of the KNCDC using Griswold’s Cultural Diamond, it has been deducted that the dance contents are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field of activities by creators, audience, and the dance company. The element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the dance contents are the ideal art pursued by the creator and their ability, the realization process of the content conducted by the dance company, and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Application of this analytical framework to the dance contents “After One Year” and “Dance and Technology Creation Lab” has revealed that the indirect support of the art and cultural management to the field of activities of the creators and audiences operates within the social production of KNCDC. The diverse use of “After One Year” as secondary content diversifies the audience’s appreciation of works and this diversification lead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ventions of the dance art. “Dance and Technology Creation Lab” expands the dance world by converging different creative fields and building a bridge with the overseas actors. Such dance contents help intensify and diversify the collaborative links that produce the dance company. A sustainable creative environment in the dance world can be attained by diversification, multiplication of cooperative links and qualitative change in their nature.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poses that national and public dance organizations can revitalize the dance world by planning dance contents that utilize the social nature of danc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olely focuses on the Korean National Contemporary Dance Company. The data collected for the analysis successfull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but the data o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was insufficient.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studies is expected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creates a new perspective on culture and arts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ance content, which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research on art content of other genres.

      • 중소기업의 문화경영 현황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김소정 숙명여자대학교 정책ㆍ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문화예술을 활용한 기업의 경영전략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문화경영을 통해 창의적인 직원을 양성하고 건전한 조직문화를 만들어 지속가능한 문화기업 이미지로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는 중소기업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문화경영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문화경영에 대한 소수의 연구들이 있으나 문화경영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리와 중소기업의 문화경영을 어떻게 측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현상을 통해 정확하게 규명된 것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경영을 실시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중소기업의 문화경영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중소기업의 문화경영 실행 사례 및 조사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의 문화경영을 유형화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문화경영을 ‘문화공헌형’, ‘문화교육형’, ‘문화인사형’, ‘문화향유형’으로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문화공헌형’은 주로 외부고객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문화예술활동에 투자를 한 집단이다. 특히 문화공헌형은 외부고객뿐만 아니라 내부직원을 위한 문화경영, 더 나아가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공헌까지 실시하여 문화기업으로의 이미지를 굳건히 하고 있으며, 성과 또한 높은 집단이다. 둘째, ‘문화교육형’은 내부고객인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예술교육을 실행 한 집단이다. 이 유형은 문화예술을 직원교육에 활용하여 창의적인 직원을 양성하고 조직 내 소통활성화를 목적으로 문화경영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인사형’은 기업의 마케팅을 위해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유형은 고객 및 바이어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외부고객에게 문화예술 공연 티켓을 선물하거나 기업행사를 위해 자체 기획한 공연에 초청하는 등의 문화경영 활동을 주로 시행하고 있었다. 넷째, ‘문화향유형’은 중소기업 내부임직원의 복지차원에서 문화예술을 비정기적으로 활용하는 유형이다. 다른 유형에 비해 문화경영의 도입 기간이 짧고 최근에 시작한 기업이 많았으며 직원 간 관계를 개선하고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문화경영 유형별 특성을 살펴봄과 동시에 각 세분 집단별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대표적인 중소기업의 문화경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중소기업의 문화경영에 대한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고 실무적으로는 문화경영을 도입하고자 할 때 자사의 유형을 파악하고 향후 문화경영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화경영에 대한 이와 같은 현황 파악은 미래의 다양한 중소기업의 문화경영 관련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Recently the interests in the corporate management using culture and art is growing. To have the competitiveness in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he number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who make the efforts to foster creative employees, create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and establish the sustainable and cultural corporate image, is increasing. Despite these interests, the studies on the culture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are insignificant. In fact, there are a few of studies on the culture management, but those studies were not conducted through clarified arrangement of concept nor investigated through the established standards for measuring the culture management for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Thu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MEs performing culture management; the state of the culture management in SMEs was analyzed; the culture management of SMEs was categorized through the cases of SMEs' culture management and the survey resul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ulture management of SMEs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4 types: 'cultural contribution','cultural education','cultural human relationship', and 'cultural enjoyment'. First, 'cultural contribution' refers to the group who continues investing o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argeting external customers. Especially, 'cultural contribution' type performs culture management for employees, as well as the external customers; furthermore, contribute to local community; strengthen the mage as cultural corporate; its performance is also high. Second, 'cultural education' type refers to the group who performs regular cultural education for SMEs' management and staff. It is known that this type uses culture and art for the staff training, to foster the creative employees and activate the communication in the organization, Third, 'cultural human relationship' type refers to the group who often uses culture and art for the purpose of corporate marketing. This type uses it as the PR tools to enhance the corporate images for customers and buyers; it mainly performs cultural management, such as offering free tickets for culture and art performance and inviting the external customers to the performance planned by the corporations themselves. Fourth, 'cultural enjoyment' type occasionally uses culture and art at the level of the welfare for internal management and staff. The introduction period of cultural management was short compared to other types, and many companies newly started. With respect to 'cultural enjoyment' type, in many cases, it was performed for improving the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ME's cultural management by the type ; explore the differences among subdivided groups;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regarding the cultural management for SMEs, through examining th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cultural management of SMEs; for an practical approach, identify the type of one's company;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ultural management in the future.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cultural manage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various studies on the cultural management in the future.

      •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에 대한 문화경영학적 접근

        변철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문화재단인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에 대해 제도적-운영적-수혜적 측면에서 실태를 조사하고, 결과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를 문화경영학적으로 혁신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과정으로 본론의 1장에서는 문화경영학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학제적 개념들을 살펴보았고, 2장에서는 지역문화재단과 관련한 국가차원의 정책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문화재단의 설립배경과 의의 그리고 인천문화재단의 외부적 고찰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선진화된 서울?경기문화재단의 정관, 조직, 예산, 사업 등의 일반현황을 인천문화재단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인천문화재단의 내부적 고찰을 위해 인천문화재단의 조직과 운영의 실태 파악을 위한 질문의 구성을 알아보았고, 5장에서는 각 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한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천문화재단을 문화경영학적으로 혁신시키기 위한 제언으로, 첫째, 인천문화재단은 시민들의 수요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또한 정책목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중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제도적 영역에 있는 구성원들은 지역민들이 소비해야 한다고 판단한 문화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적 영역의 구성원들은 정책목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수혜적 영역에 있는 구성원에게 매개해야 하는데 이것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중간적위치에서 문화를 매개하는 문화경영자들인 인천문화재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수요자인 시민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시장을 분석하고, 시민의 수요를 파악하여 적절한 목표를 설정한 후 진행되어야 한다. 인천문화재단은 인천의 도시발전을 위해 설립된 인천광역시 산하 공공기관으로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공공의 요구를 받아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재단의 홈페이지에 정보공개 창구를 마련하여 투명한 행정을 실현하고, 풀뿌리 민주주의의 대표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댓글 기능을 추가 하며, 시민들이 문화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재원운용 전문가를 채용하여 문진기금을 이자수익에만 한정시키지 말고, 원금을 보존하되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 등 다각도로 재원조성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현장과 지역에 대한 이해와 전문지식을 고르게 갖춘 인재를 채용해야 하며,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기존 근무자를 포함한 재단근무자에게 지역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여섯째, 재단의 근무자들이 문화사업을 수행하는데 매진할 수 있도록 인력을 충원시켜야 한다. 일곱째, 현재의 조직구조를 벗어나 창의적인 조직이 될 수 있도록 조직도를 행렬조직으로 개편해야 한다. 또한 재단 구성원 스스로 재단 근무자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 중 최우선 요소를 통찰력으로 꼽을 만큼, 이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구조인 행렬조직으로의 개편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는 국내문헌조사 위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주제에 대한 해외문헌 연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있음을 밝히며, 문화경영학적 전략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과 문화로 부강하는 인천을 위한 인천문화재단의 미래 향후 발전 전략에 대한 문화경영학적 방안은 후속연구로 제안한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ctual condition of the organizing and managing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which is the Arts & Culture foundatio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organizational, operational and beneficial aspects, and to propose a strategy for innovating the problems coming from an analysis of result to the culture-managemental one. The first chapter shows educational concepts for understanding of a cultural-managemental approach, and the second chapter displays governmental policy related to local foundations for Arts & culture. In the chapter 3, there are a background and meaning for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of local autonomous entity, and a general present condition such as a statute, organization, budget, business and so on about Seoul & Keong-Ki foundation of Arts & Culture is evaluated as being advanced in the Republic of Korea with comparing to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in order to study it externally. The forth chapter shows a composition of questions for grasping an actual condition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bout Incheon foundation Arts & Culture in order to study it internally, and the fifth chapter shows an analysis of result which is coming from a survey of individual group. The followings are proposal to innovative the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with the culture-managemental aspect as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First,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should function as a communication network by linking citizens and the authorities concerned in order to facilitate policy setting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local residents and step up the actualization of selected policies.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formulate the kinds of cultural policies that seem to be appropriate for locals, and administrators should serve as mediators to realize the goals of policies in behalf of beneficiaries. To make it happen,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should perform its roles successfully as an intermediate cultural agent. Second, a close and sustained market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from the standpoint of citizens who are cultural consumers before a cultural project is planned, and appropriate target setting that could address their needs is important as well.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is one of public institutions that have been established under the umbrella of the Incheon Metropolitan Government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that city, and that should satisfy the needs of the public in pursuit of public interests. Third, the website of that organization should release relevant information to ensure the transparency of administration, and citizens should be allowed to post their opinions on culture onto the website without any restraints, which is a barometer of grass-roots democracy. Fourth, financial experts should be hired to secure multiple sorts of financial resources instead of just relying on interest income. For instance, they should make a profitable investment without losing the principal. Fifth, competent people who have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knowhow should be employed, and all the employees should keep on receiving education about the region to improve their work performance. Sixth, the institution shouldn't be understaffed to let employees devote themselves to their mission, namely pushing ahead with cultural projects. Seventh, the institution should be streamlined and turn into a creative matrix organization instead of merely clinging to the curr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s the members of the institution viewed an insight as the top qualification that every employee had to possess, the institution should convert itself into a matrix organization to foster the insight of the members, since this sort of organization enables each member to experience different fields.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in that just domestic literature was reviewed without looking into relevant international literature.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coming up with specific culture- managemental strategies and finding out how to expedite the development of 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 문화자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문화 재생산 및 이동성 이론을 중심으로

        김유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Recently,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information have led to a gradual improvement in individual capabilities. Each market has also grown at an amazing rate, furthermore, the number of companie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to the government's implementation of its support the Start-Up policies. However, we also see that the number of closed companies is increasing and that performance-enhancing rates for each organization are inadequate. So,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Reproduction and Cultural Mobility, the authors verified how the Cultural Capital of each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promoting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forming an organization Habitus. This paper surveyed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Korea. The survey collected 547 questionnaire, and analyzed 503 effective answers except for 44 unfaithful answer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6.0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further verified using Smart PLS 3.0 to improve accuracy. The Bootstrapping program is support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s, and used common method bias to analyze the error generated by measuring to the same method. Research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bitu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all significan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both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Habitus had positive consequence on mediate effects and sequential mediate effects. The study’s academic significance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ector has expanded by studying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in management, where the research activities are less active than existing education and sociology. Second, the results proposed other perspectives by accepting and supporting both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base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ultural Mobility Theory which utilize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during existing and constant discussions. Finally, quantitative measurements and demonstrations of the effects of Habitus, which were only actively studied in qualitative research worldwide, helped to establish a more theoretical basis clearly. The practical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makes sense by demonstrating the impact of cultural capita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encouraging the accumulation environment of cultural capital within the organization. Second, it was instrumental in the proposal to form a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positive impact on forming organizational culture by promoting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inally, he contributed to the national policy proposals for cultural welfare by presenting the basis for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and the promotion of job cre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management strategies which aimed at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ach organization will be established and the effect will appear as a positive result.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달과 정보의 보급화로 인하여 개인의 능력이 점차 향상되고 있다. 각 시장 역시 놀라운 속도로 가속화하여 성장하고 있으며, 더욱이 정부의 창업 지원정책 시행으로 기업의 수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폐업된 기업의 수 역시 증가하고 있어, 각 조직의 성과 향상률은 미비한 현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 재생산 이론과 문화 이동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각 개인의 문화자본이 지식경영활동을 촉진하고, 조직의 아비투스를 형성함으로써 조직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조직 활동을 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54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44부의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503부의 유효 응답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된 결과 자료는 SPSS 26.0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와 신뢰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였고, Smart PLS 3.0을 활용하여 추가로 검증하여 더욱 정확도를 높였다. 그리고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통해 구조방정식을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동일 방법 측정으로 인한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동일방법편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문화자본과 지식경영활동, 아비투스, 그리고 조직성과 사이의 영향 관계가 모두 유의함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매개요인인 지식경영활동과 아비투스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순차 매개효과까지 긍정적 영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교육학과 사회학에 비해 연구 활동이 다소 활발하지 않았던 경영학에서 문화자본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 둘째, 끊임없는 논쟁 가운데에 있던 조직 성과를 활용한 문화 재생산 이론과 지식경영활동을 활용한 문화 이동성 이론을 모두 수용하여 지지함으로 다른 시각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성적 연구만 활발히 이루어졌던 아비투스의 영향에 대해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실증함으로 보다 이론적 근거를 명확히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자본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여 조직 내의 문화자본 축적 환경 마련을 장려함으로 의의를 가진다. 둘째, 지식경영활동을 촉진함으로 조직 문화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근거로 건강한 조직 문화 형성 제언에 도움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조직성과 촉진과 일자리 창출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 문화 복지에 대한 국가적 정책 제언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각 조직의 성과 향상을 목표로 한 경영적 전략이 수립되고, 그 효과가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 문화경영 전략요소를 통한 지역축제 발전 방안 연구 : 추억의 7080충장축제를 중심으로

        이인휘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축제는 지역의 전통과 역사 그리고 지역민들의 총체적인 삶이 반영된 종합적인 문화행사이다. 최근 지역 활성화를 위한 해결책으로서 축제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각 지역별로 축제가 다양하게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충분한 준비의 부족과 축제 전문가 미확보, 자치단체장 및 이익집단의 과도한 정치성으로 인해 재정 낭비를 가져오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지역과 차별화 하지 못하고 성공한 축제를 따라 하는 데에만 급급하여 결국 전시성, 낭비성 축제로 전락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지역축제의 문화경영 전략요소를 살펴보고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로 분석한 추억의 7080충장축제는 도심공동화로 인해 침체되어가는 구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하여 70·80년대 추억을 테마로 하여 개최된 축제로 3년 연속 도심축제로는 유일하게 문화관광 우수축제로 선정된 우수성을 인정받는 축제이다. 또한, 충장로라는 장소성을 기반으로 한 세계거리문화예술축제라는 점에서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축제에 사용되는 모든 전략을 살펴볼 수는 없겠지만, 축제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문화경영 전략을 바탕으로 더욱 발전적이고 창조적인 축제를 위한 고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선 문헌 조사를 통해 문화경영과 축제를 이해하고, 관련 자료조사·참여관찰·인터뷰를 바탕으로 지역 축제의 문화경영 전략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축제의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에서 도출한 문화경영 전략요소에는 크게 정체성 요소, 조직·인력 요소, 재원조성 요소, 홍보·마케팅 요소가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체성(축제성)요소에서는 소망 전략, 유희 전략, 일탈 전략, 장소 전략을, 조직·인력 요소에서는 문화 리더십 전략, 문화 인력 전략, 네트워킹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재원조성 요소에서는 공공 문화 기금 전략, 문화 수익 전략, 문화 메세나 전략을, 홍보·마케팅 요소에서는 문화 메신저 전략, 문화 홍보 전략, 문화 감동 전략, 문화 플랫폼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를 사례 분석한 결과 추억의 7080충장축제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망전략에서는 참가자들이 축제를 통해 원하는 바를 충족시켜줄 차별화 된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주제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선택 및 집중하여 확대해야 한다. 또한 유희전략에서는 축제의 대표프로그램인 거리퍼레이드와 추억의 전시관(추억의 거리)의 질적인 변화 모색이 필요하며, 지역의 정체성과 연계된 방향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충장축제만의 특별한 추억 체험 프로그램의 확대 실시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일탈 전략에서는 추억의 거리 조성을 위해 프랑카드와 배너, 포스터 등을 설치하고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하여 참가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는데, 앞으로도 다양한 연령대의 축제 참가자들이 어울릴 수 있는 난장 프로그램의 확대 실시가 필요하다. 또한, 장소 전략으로 광주의 의미있고 역사적인 공간 및 일상 공간과의 연계가 필요하며, 충장로 70·80년대 대표 명소인 광주극장, 광주우체국, 계림동 헌책방, 나무 전거리 및 예술의 거리 등을 둘러보는 추억의 명소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문화 리더십 전략에서 충장축제는 비교적 공공 및 민간의 유기적 구성이 잘 되어 있는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각각의 역할을 분담하여야 한다. 문화 인력 전략에서는 축제 인력의 선발과 교육에 있어 치밀한 사전 계획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를 지역 인재의 발굴 및 육성과 연결해야 한다. 네트워킹 전략에서는 지역 문화 그룹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다양한 축제 주체를 고려해야 한다. 공공 문화 기금 전략에서는 다양한 문화 분야의 정부지원을 모색하여 예산을 조달할 필요가 있고, 문화 수익 전략에서는 축제의 주제를 반영한 기념품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 상가 및 기업들의 문화적 후원 및 협찬을 이끌어내는 문화 메세나 전략을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TV, 라디오 등 언론 매체, 정기 간행물, 구보와 소식지, 민원 서류 등을 활용한 문화 메신저 전략과 아치, 현수막, 프랑카드, 팜플렛 제작, 다른 축제와 연계한 홍보 부스 설치 및 하나투어와 코레일 등과 연계하여 진행한 문화 홍보 전략으로 새로운 관광객을 확대 유치해야 한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축제장 주변 및 대인 시장 상가에 각종 모임을 개최하고 축제를 설명하며 참가자를 감동시키는 문화 감동 전략이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앞으로는 축제 홈페이지와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축제에 대해 소통하고 참여할 수 있는 문화 플랫폼 전략이 필요하다. 이처럼 축제가 지속성을 가지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역의 자원조사를 바탕으로 축제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결정된 테마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차별화 된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한다. 그리고 축제의 운영·실행 조직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구분하여 축제를 진행해야 한다. 인력의 확보와 교육에 있어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여러 축제 주체들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체계적인 예산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 및 개인과 같은 다양한 예산 지원 주체들에 맞는 예산확보전략을 세우고 기금을 조성해야 한다. 나아가 문화 수익 전략으로 재정 자립화를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축제의 참여와 소통을 위해 홍보와 마케팅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소셜미디어를 활용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여러 문화행사를 기획하여 축제 참가자에게 감동을 주는 축제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지역축제의 문화경영전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축제의 효과적인 전략 수립과 정책 마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韓.日 經營文化 比較 : 傳統文化的 特性을 중심으로

        손장균 全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8783

        There exist traditional traits and historical traits behind one na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in this regard is an effort to find out the best Korean management style by comparing the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apanese organizational culture derived from central traits of two defferent traditional cultures. of course, there are many varieties of organizational cultures in one nation not only by the scale and type of business but by the top managers managerial attitude and philosophy. But on the whole these de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in one nation become converged one centriepetal point which is called one national organization cultur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search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various books, journals and statistical material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Japan, America and other countries. There are five important traits of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mainly derived from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y are 1) an unegual inheritance in extreme favor to the first born son 2) closed system to outsiders that are not related by blood 3) age seniority in the distribution of dear items 4) paternal execution of authority and "wha” (harmony and benevolence) 5) the obedience and loyalty of family members. These traits are respectively reflected in Korean business in 1) business succession 2) power structure in the company 3) personnel policy 4) superior’s leadership and 5) follower’s subordination. But Korean business in its management style and employees attitude is slowly deviating from the central traits of traditional culture. The western management style with high emphasis on rationality was the initial direction. Straight forward imitation of western management style, unfortunately, brought about many side effects. Currently the Korean business is laid an two counterpoising powers of: 1) growth vs stability 2) rationality vs stability 3) rationality vs affection and 4) organization vs individual. These counterpoising powers are sometimes contradicting and sometimes complementary. In other words, the Korean business in its transitional stage is at a loss of its clear direction. And there are six important traits of Japanese organizational culture mainly derived from Japanese traditional culture. They are 1) life time employment 2) non- specialized career path 3) collective organizational constitution 4) slow promotion and personnel evaluation 5) collec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constituents 6 ) dispersion of responsibility due to collective decision making. Japanese managerial system enjoys a high value from foreign countries because of its lifetime employment system and strong orientation to the collective values, wholistic concern for people, especially collectiv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capital . But there are many problems with which the Japanese enterprise enter-prise are now facing.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retirement age limit, to set the evaluation and promotion system not by the years but by the ability, and to train the many more specialists focussing on a single specialt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organizational cultures are mainly derived from Korean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Japanese traditional collective system. In Korea, they cherish the family related blood most, but in Japan they cherish the collective value most. So comparing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s, We find that there are similarities in micro levels of employee’s viewpoint but the higher the macro levels the greater the differences are. And both two countries are now laid slowly deviating from the central traits of traditional culture. Finally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 find that: First, although there appear fundamental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between the countries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s and values, such a dimension could not soley explain the managerial differences between the countries. There also operates the principle of economy and efficiency. Second, it is desirable to stady comparative management based on the contingency theory. For example situational variables such as technology, type of industry, scale of business and market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comparative management study. Third, the longitudinal study is especilly required for Comparative management study. And finally,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comparative management is a pressing need.

      • 猶太人의 傳統商術에 관한 經營文化論的 硏究

        최재호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48783

        Even though it is well known that the Jewish have excellent business abilities, we do not know much about the original background and reason for thi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al achievements and the secret of such successes of the Jewish in terms of the ethnical, religious and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d also compares and analyzes it with the manageme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First, the Jewish people may have developed early in their history a superior knowledge, compared with those of neighboring regions, by creating the so-called 'wise book', Talmud. Second, before the Jewish Kingdom was destroyed, the Jewish people practiced a compulsory education system and succeeded in decreasing the illiteracy rate of the people, which helped them to keep their identity and to maintain intellectual superiority even after losing their country. Third, after losing their country and being expelled from their native place by the Romans, they had to develop a multicultural sense and concentrated on practical business activities in order to survive. Fourth, they could only survive the domination and pressure by medieval Christian Europeans by thoroughly developing a logical way of thinking that was based on the public account law, especially that pertaining to the use of money and bookkeeping. Fifth, through participation from an early period in the discovery of the New World, the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U.S. and at the same time enjoyed a vested right in the U.S. Finally, the Jewish people, who had been traditionally accustomed to urban culture, could make good use of approaching the propagation of a new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ased on such an historical background of business ability of Jewish, I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henomenon with those of the management culture of Korea. First, in terms of ethnical culture, the Jewish and Koreans are represented as having an ethnical religion and a traditional faithful culture of solidarity, respectively, and these two cultures have comm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iligence, faithfulness and thrift. Second, in terms of business education, while Jewish people focus on practical business education, Korean people focus on theoretical business education. Third, in terms of corporate culture, Jewish people have strong business-centered characteristics, while in Korea a culture centered on human relations is prevalent. Finally in terms of a management organization culture among Jewish people, a practical organization culture is prevalent, while in Korea a culture that values one's moral obligations and reputation is prevalent. Regardless of such differences, Jewish and Korean people have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First, the sense of collaboration and cronyism among Koreans can be compared to the culture-valued honesty, trust and strong brotherly love among the Jewish. Second, Koreans value a hardworking spirit, adaptability and a bloodless culture, and this can be compared to the thrift, strong brotherly love, and culture of religious charity of the Jewish. Third, the tendency of authoritarianism and the high ideals of politeness of Korean that come from the traditional Korean Confucian culture are both related to the idea of God's elect. Fourth, the strong idea of rank and exclusionism in Korean culture is comparable to the strong exclusionism of Jewish people. Finally, a high enthusiasm for education in the Korean culture can be compared to the value of education and labor that is seen in the Jewish culture. Jewish and Korean people have many differences in their history and national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Thus, it seems necessary for Korea, which now stands at the crossroads of creating an advanced corporate management culture in the 21st century, to understand such cultural differences and supplement its weak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