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인을 위한 복지제도 개선 방안 연구

        김성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 현대인들의 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 기업, 산업 발전에도 문화의 힘이 큰 영향을 미쳤고 이에 따라 문화기반경제(Culture based Economy)로 진입하였다. 문화예술산업을 중축하는 예술인도 예술의 가치를 인정받게 됨으로써 문화산업의 경쟁력과 문화가치를 인식하여 지속적인 예술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가 되었으며, 문화산업에 대한 예술인의 기여도가 높아짐에 따라 예술인 복지지원제도에도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무용인을 위한 복지제도를 분석하여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무용인들에게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복지제도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한국의 전문무용인의 복지제도 현황과 복지 관련 기관의 운영제도를 살펴보고 해외의 무용 복지기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해 본다. 그리고 실현 가능한 복지제도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전문무용수지원센터에서 시행하는 「2013년 전문무용수 실태조사」를 통해 무용인의 인식을 보안하고 현재 활동 중인 전문무용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전문 무용인의 경제활동, 무용 관련 복지기관 활용 사항 및 기관에 대한 인식 조사 등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와 같이 문헌 조사, 국내외 복지 기관 사례 조사, 심층 면담을 통해 국내 무용인 복지제도의 개선책을 모색해 본다. 국내 무용인 복지제도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인은 고학력에 비해 일자리가 부족하여 무용 활동 수입만으로 안정적 인 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둘째, 무용인은 4대 보험 중 산재보험만 가입이 가능하다. 셋째, 사회의 인식이 부족하고 복지 기관의 책정된 예산이 낮아 지원 받을 수 있 는 무용인이 한정된다. 넷째, 무용인은 복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복지 기관의 활용도가 낮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무용인을 위한 복지제도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는 바이다. 첫째, 무용인의 법적지위 확립과 복지 재정 확충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무용인의 복지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무용인들은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을 구축해야한다. 넷째, 기존 예술복지기관의 제도적인 정착이 구축되어야 한다. 다섯째, 전문무용수지원센터는 무용인을 위한 직업 전환·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무용인은 예술활동 자체만으로는 필요한 수입을 얻을 수 없으며, 그중에서도 독립무용인은 창작활동의 기회가 매우 적다. 그 결과 예술인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제도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즉, 문화예술산업이 발달됨에 따라 무용인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경제활동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사회적·경제적 보장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무용인의 복지를 위해 일하는 관련 기관과 관계자들의 활발한 지원 활동은 향후 무용계의 환경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무용계 내부에서도 자발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관심을 갖는다면 무용인의 복지 개선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안정된 무용복지환경은 무용인의 예술 활동과 삶의 질을 높여 줄 것이며 국가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풍요롭게 만드는 데 공헌하게 될 것이다. As people in the 21st century have an increasing awareness of culture, more importance has been put on cultural aspects of regional, commer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which has opened the door to “Culture Based Economy.” Accordingly, artists who lead the cultural industry came to be recognized for their artistic value, and their raison d’etre is now to raise awareness of the competitive advantages and values of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ir more contribution, which in turn is drawing attention to the welfare system for them. 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analyse domestic and overseas welfare systems for dancers, and secondly to propose practical improvements of the welfare systems for the currently active dancers. The research method is to look over the status of the existing welfare system and the policies of the welfare-related organizations for professional dancers in Korea, and to draw the implications by comparison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welfare institutions. To think of the possible solutions to the new welfare system, 6 currently active professional dancers undergo in-depth interviews for their awareness of economic activities, their dependency on the welfare institutions related to dancing. With literature investigation, case studies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welfare institutions, in-depth interviews, the possible improvement for the domestic dancers will be considered. The status of the welfare system for the domestic dancers is as follows. First, despite their high-level education, dancers don’t have enough job opportunities, so the income from the dancing profession cannot support their stable living. Second, among the four major insurances for employees, only workers compensation is applicable. Third, with lack of social awareness and low allocation of the budget of the welfare organizations, only the limited number of dancers are supported. Fourth, dancers lack the proper awareness of the welfare, and rarely utilize the welfare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nough income cannot be obtained solely from the artistic profession, and the independent dancers suffer most in creative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re is a dire need of the system which supports artists’ creative activities and considers the special conditions of them. That is, as the cultural and artistic industry develops, the policy which directly supports dancers is needed, and the social and economic system which makes dancing an economically stable profession should be prepared. Additionally, the supports from the people working for the institutions which deal with dancers’ welfare will contribute to the positive modification of the future dancing profession. An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ore active interest from inside the dancing societ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welfare system for dancers. So the stable welfare system for dancers will improve the level of their artistic activities and daily living, which in turn should contribute to national, social, and cultural richness.

      • 직업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송시윤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Objective Propensity and Self-Management on the Concentration of Professional Danc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professional dancers active in professional dancing groups as of 2010. Sampling was done through factor analysis using correlation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urvey, and 350 were sampled from mainly the dancers of 8 national/regional/municipal professional organization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Seoul Metropolitan Dance Theatre, Daejeon Metropolitan Dance Theatre, Pocheon Metropolitan Dance Theatre, Cheonan Metropolitan Dance Theatr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Gangwon Regional Dance Theatre, Jeongdong Art Theatre, Samsung Dance Theatre); discarding unequal or poor data, 300 were used for analysis. For survey, the questionnaire based on self-administration was us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personal characteristics as the environment variable, achievement objective propensit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self-management as the parametric variable, and concentration on dancing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data processing method included discarding poor or unreliable responses, entering the analyzable data into the computer, and analyzing/processing with SPSS Win ver. 17.0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Each theory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a=.05. Also,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was used, and to find out the iind out the achievement objective propensity and self-management on the concentration of professional dancer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f-maned. From thes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achievement objective propensity was found to have influence on the subsidiary factors of self-management: namely, mental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 and training management. Second, the achievement objective propensity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sidiary factors of concentration on dancing: namely, recognitive concentration and active concentration. Third, self-management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sidiary factors of concentration on dancing: namely, recognitive concentration and active concentration. Combining above results, it proves that the achievement objective propensity and self-management are variables with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 on dancing. This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effective concentration on dancing for professional dancers.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무용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2010년 현재 직업무용단에서 활동 중인 직업무용수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표집방법은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수법을 이용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고, 서울, 경기, 충청소재의 8개의 국립, 도립, 시립(서울시무용단, 대전시립무용단, 포천시립무용단, 천안시립무용단, 국립국악원, 강원도립무용단, 정동예술단, 삼성무용단)의 프로단체의 무용수들을 중점으로 표집하여 총350부를 표집하였고, 편중된 응답이나 부실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평가기입법에 기초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구성은 배경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독립변인으로 성취목표성향, 매개변인은 자기관리,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무용몰입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자료처리방법으로는 설문지의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는 제외시킨 다음 분석이 가능한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SPSS Win ver.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 처리하였다. 각 가설의 유의수준 a=.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그리고 직업무용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직업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취목표성향은 자기관리의 하위요인인 정신관리, 대인관계, 훈련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은 무용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는 무용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직업무용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것은 직업무용수들의 효과적인 무용몰입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시사하고 있다.

      • 국내 무용/동작치료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이지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무용/동작치료의 관심도가 확산되고 관련연구물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는 무용/동작의 그 성격상 질적연구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그에 대한 연구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그러나 실험연구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고찰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메타분석방법은 엄청난 수의 문헌들을 요약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되어 왔고, 기존의 연구방법들이 보다 그 활용가치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7년∼2010년 3월까지의 무용/동작치료 실험 연구물을 메타분석을 통해 실험연구물의 연구경향과 무용/동작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종속변인과 관련변인에 따른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매년 발행되는 연구물들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중복되어 게재되는 경우가 많고, 무용/동작치료영역에서의 치료라는 단어가 그 진정한 의미를 찾지 못하고 빈번하게 사용되어진 무용/동작치료 실험논문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실험연구물의 효과크기는 국내 상담 및 치료에 대한 메타분석의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효과가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범주화 하여 살펴본 결과 종속변인 중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가 연구물이 많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메타분석결과, 자아개념(ES=0.56), 사회성(ES=1.09), 정서영역(ES=1.21) 영역에서 모두 고르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관련변인 범주별로 메타분석 한 결과, 대상자 연령은 유아·아동·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단 크기 7-10명, 총 시행횟수는 12회 미만, 회당시행시간은 50분 이상 90분미만의 무용/동작치료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동작치료 실험연구물의 메타분석결과, 집단크기, 총 시행횟수, 한회기시행시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통계적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나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상자 특성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영역(ES=1.73), 사회·문화적 문제영역(ES=1.04), 환자영역(ES=0.94)의 효과크기가 일반, 정상영역의 평균효과크기 0.37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무용/동작치료가 일반·정상영역에서도 효과가 있지만 특수한 대상자들에게 특히 효과가 더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가 국내 무용/동작치료 실험연구물로 범주화된 대상의 논문만을 대상으로 했기에 무용/동작치료 연구의 국내치료효과를 포괄한다고 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현재 무용/동작치료는 연구방법론에 대한 관심과 교육도 같이 발전되어야 할 것이며, 타 심리치료 영역과 조화를 이루며, 풍부하고 창의적인 연구들이 계속해서 나오길 기대해본다.

      • 무용 동작과 음악적 타이밍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작품<TIMING>을 중심으로

        원지혜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무용에 있어 음악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무용수의 신체 움직임이 음악적 타이밍을 시각화하거나 음악적 타이밍을 무용수의 신체 움직임을 통하여 시각화 한다. 고대 사회에서 음악과 시가와 무용은 서로 구별되지 않고 종합예술로써 성립되었으며 樂經(악경)에는 ‘비록 악기로 곡조를 아뢰되 무용이 따르지 아니하면 가히 악이라 이르지 못 한다’ 하여 오늘날의 음악과 무용의 종합예술을 樂이라 하였다. 이는 무용과 음악이 오랜 세월 동안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뒷받침 해주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무용이든 음악이든 그 기저에는 감정이 작용하며, 이 감정을 실어 나르는 핵심적인 실체는 리듬이다. 그 리듬이 소리로 구현되면 음악이 되고, 신체의 움직임으로 조직되면 무용이 된다. 무용수의 신체 움직임은 신체를 움직임으로 인하여 생기는 무용수 자체 혹은 집단의 무용수들 간의 시간적 공간적 타이밍을 발생시키고, 질서 있는 소리 곧 음악 안에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음악적 타이밍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거나 혹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시각화 작업을 거쳐 안무자의 의도에 따른 작품이 만들어지거나 즉흥에 ‘소스’로 사용이 되어 진다.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으로 시각화된 타이밍은 움직임의 타이밍과 음악적 타이밍의 결합으로 인하여 더욱 유기적인 효과를 나타내는데 무용에 있어서 타이밍은 작품구성이나 즉흥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써 비중을 차지한다. 하나의 구성요소로써 작품을 구성 할 때 쓰이거나 즉흥에서 항상 존재하는 소스인 타이밍을 작품 <TIMING>에서 본질적 요소로 당연히 존재하고, 나아가 타이밍이라는 소스를 작품의 주제로 삼아 타이밍에 대한 무용수의 동작과 음악적 타이밍에 대한 음악적 시각화는 어떠한 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구체적으로 음악의 요소들이 무용 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힙합 문화 환경에서 춤을 추어오면서 현재 현대무용 연구를 하고 있는 본인 ,안무자는 무용과 음악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전달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 예술강사 무용수업의 인식도 및 만족도 조사 연구

        오준호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the Research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Art Instructor Dance Class Joon - Ho Oh Advisor : Prof. Ji Hyung - Lim Ph. D. Major in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which sees investigates also the recognition of art instructor's dance Class and a satisfaction currently is presents the improvement program of the art instructor's dance class which becomes accomplished from the school.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ation improvement device possibility of new sports for the physical education study valuably physical activities with the 7th amend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sample of the study was selected from 430 middle-school students residing in Kwang-ju city of Korea. total of 4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0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After investigating the data, 26 questionnaires were found to be unreliable and unavailable. The research methods for the study were revised, one of them which was adapted by Lee(2004) to ask dance class satisfaction another one was used Kim`s recognition research about women middle school students. The other one was used for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research about lecturer pool system. The statistical methods which were used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Art Instructor's Dance Class shows that female stun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recognition, teaching style , learning contents, expressions, society. Secon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art instructor's dance class shows that long learning period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learning contents, health, expressions. Thir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art instructor's dance class shows that folk dance to prefer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learning contents than modern dance, ballet, korean dance to prefer students.

      • 출신고교에 따른 무용전공생의 학과적응 장벽에 관한 연구

        민유선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계 고등학교 출신의 무용전공생과 인문계 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생의 학과적응 장벽을 통해 무용전공생의 학과적응 장벽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식 중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계획을 수립하고, 문헌연구와 자료수집의 절차를 거쳐 실시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비확률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유목적 표집법(proposeful sampling)을 채택하여 서울소재 K대학교 무용전공생 8명을 대상으로 개인 대 개인의 형태로 한 심층면담 방법(indepth-interview), 전화 및 메신저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해석은 연구자의 이론적 민감성과 Colaizzi(1978)의 방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계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생의 학과적응 장벽으로는 진입장벽에서 입학시 무계획, 주위지원 의존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학교환경장벽에서 타학과 학생들과 듣는 교양수업에서의 어려움이 발견되었으며, 공연활동에서 개인생활을 고려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학과적응의 어려움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진로장벽에서 불확실한 진로에 대한 위기감이 발견되었다. 둘째, 인문계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생의 학과적응 장벽으로는 진입장벽에서 입학시 무계획, 주위지원 의존, 대인관계가 발견되었다. 부모님께 경제적인 의지를 해야 하는 상황과 무용하는 것을 탐탁지 않아하시는 부모님, 학과생활에 도움을 주는 같은 학교 출신 선배가 없어 소외감을 느낀다고 하는 주위지원 의존이 발견되었다. 또한 동기들 간의 경쟁의식과 전공수업 휴강에 따른 나태함을 동조할 수밖에 없는 대인관계의 장벽이 발견되었다. 학교환경 장벽으로는 학교에서 다양한 무용을 접하고 오는 예술계고등학교 출신의 동기들과 마찬가지로 공연활동에 대한 금전적인 문제와 개인생활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또한 진로장벽에서는 다양한 경험활동의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이 발견되었다. 셋째, 출신고교에 따른 무용전공생의 학과적응 장벽으로는 진입장벽, 진로장벽, 학교환경장벽이 나타났으며, 진입장벽에서는 공통적으로 입학시 무계획, 주위지원 의존이 발견되었으며, 인문계 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생에게만 대인관계가 발견되었다. 학교환경장벽에서는 공통적으로 공연이 발견되었으며, 인문계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생의 학교환경 장벽으로는 전공수업이 예술계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생에게서 교양수업이 발견되었다. 진로장벽에서는 인문계고등학교 출신의 무용전공생에게서 다양한 경험부족과 예술계고등학교 무용전공생에게서 위기감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이 인문계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생에게서 더 많은 학과적응에 따른 장벽이 발견되었으며, 이것은 고등학교 때부터 비슷한 교육과정에 적응해 온 예술계고등학교 출신 무용전공생과는 다른 학과생활방식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find which barrier there is on course adaptation to dance major students through course adaption barrier of graduates of public high school and dance major students who are graduates of art high school. For implementation, this research has been formated b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data collection procedure. Participants were 8 students in dance major at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ith proposeful sampling,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 depth-interview, phone and messenger interview by one on one pattern. Data interpretation was interpreted by application of Colaizzi(1978) method and theoretical sensitivity of the researcher. The result of the research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for course adaptation barrier of dance major students who are graduates of art high school, being planless for admission and dependency on surrounding support was discovered for entry barrier. Also, at school environment barrier, taking liberal arts class with other course students was found to be difficult and in performance activities, difficulties in course adaptation was found because there was no respect of personal life. Finally, on course barrier, sense of crisis of unstable future was found. Second, for course adaptation barrier of dance major students who are graduates of public high school, being planless for admission, dependency on surrounding support, and personal relationship was found on entry barrier. Dependency on surrounding support was found in circumstances of financial dependency from parents, parents who disapprove of dancing, and a sense of alienation without senior graduates of same school to receive help of school life. Also, personal relationship barrier was found in cause of competition between classmates and being in sync with indolence of absence on major classes. Similar to classmates that was graduates of art high school who was in contact of diverse dances at school, results of financial problems and lack of respect of personal life were found for school environment barrier. Also, for course barrier, difficulties were discovered from lack of diverse experience. Third, for course adaptation barrier of dance major students by alma mater, entry barrier, course barrier and school environment barrier were shown. For entry barrier, being planless for admission and dependency on surrounding support were identified to be the same for both schools and personal relationship was discovered only in graduates of public high school. In school environment barrier, performance was also identified to be the same but major classes were a school environment barrier to graduates of public high school and liberal art classes to graduates of art high school. In course barrier, lack of diverse experience was found in graduates of public high school and sense of crisis was discovered to graduates of art high school. Therefore, course adaptation was discovered to be much more of a barrier to dance major students from public high school graduates and this result could be discovered from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patterns of graduates of art high school who had similar curriculums since high school.

      • Alvin Ailey의 작품 "Revelation"에 나타난 기독교 특성에 관한 연구

        이명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독교 무용은 하나님에 대한 종교적 감정을 표현해 내는 몸의 언어로서 기독교 안에서 행해지고 있는 무용은 일반적으로 목적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첫째, 교회 안에서의 무용은 예배를 돕는 목적으로 둘째, 교회 밖에서 무용은 선교의 목적으로 복음을 전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 무용의 목적성 이전에 무용예술은 단순히 아름답거나 영감을 줄 수 있는 그 이상의 뚜렷한 의도, 선별된 동작, 테크닉 그리고 전문성과 예술성을 갖춘 작품을 안무하여야 한다. 흑인 무용가 앨빈 에일리(Alvin Ailey)의 1960년대 작품 "Revelation"은 기독교 의식을 토대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의 한 부분을 표현하며, 신앙적 경험에 의해서 흑인들의 자유를 열망하는 노예들의 삶, 고통 속에서 영혼의 최종적 승리를 예술로 승화시켜 관객들이 공감하고 감동 할 수 있는 작품으로 지금까지 앨빈 에일리 무용단에 의해 공연되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작품 "Revelation"에 나타난 기독교 특성과 성서를 범주로 하여 신학적 관점인 계약, 계시, 영감이 작품 속에서 구성과 움직임 그리고 음악 및 무대배경, 조명과 의상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첫째, 안무형태와 구성방법에 나타나는 계약은 약속의 뜻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을 출애굽에서 인도해 내시고 그들에게 자유를 주셨던 것처럼 흑인들에게도 고통과 억압에서부터 자유를 주셔서 영적 승리를 한다는 믿음의 내용으로 성서의 내용과 작품 구성방법의 동일성이 분석되었다. 둘째, 움직임에서 나타나는 계시는 ‘함께하다’라는 뜻이다. 움직임 표현의 상징성은 앨빈 에일리 특유의 힘(Power)과 에너지(Effort)를 통해 극적 연결성의 에너지로 나타났다. 움직임은 역동적인 호흡과 에너지의 강약과 분배 그리고 솔로와 군무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인 구성의 흐름은 긴장과 리듬의 조화로움으로 이어졌다. 또한 장면별 동작표현의 상징성은 하나님이 그들과 함께 하신다는 뜻으로 하늘을 바라보는 동작, 경배의 동작, 성령의 임재 혹은 기도하는 동작, 그리고 환희의 동작으로 표현되었다. 셋째, 영감(Inspiration)은 성서의 영감이론(Inspiration theory)에 의해 하나님의 입김으로 불어넣은 창조적인 일의 계기가 되는 기발하고 창의적인 생각으로서 앨빈 에일리의 발상전환을 통해 음악과 이미지를 떠올렸다. 그리고 음악과 무대배경 및 조명 그리고 의상 등은 성서의 의미가 충실히 반영된 구조로 표현되었다. 예를 들어 음악은 성서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처지와 비슷한 분위기를 선택하여 그들의 깊은 고뇌와 감정을 영가라는 특성으로 표현하여 호소력이 짙고 진실 되며, 신앙심으로 인하여 구원을 받는다는 희망의 내용으로 나타났다. 결국 앨빈 에일리(Alvin Ailey)의 작품 “Revelation“은 기독교 특징이 강하게 나타나는 작품으로서 전문적인 예술성과 함께 일반대중들이 쉽게 공감하고 많은 찬사를 얻었던 대중성과 다양성을 포용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현재 기독교 무용이 단순히 성서의 말씀을 나열하여 구성한 작품에서 탈피하여 기독교무용의 대중성과 예술성을 더 깊이 연구하여, 예술무용으로서 다양한 소재와 폭넓은 표현방법으로 질적, 양적으로 많은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현대무용, 앨빈 에일리(Alvin Ailey), 계시(Revelation), 종교, 기독교무용 E-mail: ibbunmj@gmail.com ABSTRACT Christianity dance is a body language which expresses spiritual sentiment to God, and it classifies into two forms. Within church, the dance takes a role of supporting worship. Beyond church, it is used as means of preaching the Gospel in the purpose of propagating religion. Contemporary Christianity dance is required to choreograph with a distinct intension, selected movements, techniques, specialty and artistry over to simply giving an esthetic value and inspiration. African- American Alvin Ailey’s “Revelation” in 1960’s portrays the part of African-American’s history based on religious ritual, aspiration of freedom under the slavery and suffering. It also describes the ultimate spiritual triumph through their religious life. Therefore, the “Revelation” is regarded as the work of art which audiences deeply sympathize with, and it is being performed by Alvin Ailey’s dance troupe till now. This study analyses preceding researches and how the features of Christianity in the range of bible represent the theological view of Engagement, Revelation, and Inspiration in the composition, movements and music as well as scene, lighting and costume. First, the engagement in choreography and composition implicates a promise. As God led the exodus of the Israelites and granted freedom, the performance involves that African-Americans who were suffered and suppressed in slavery were granted freedom by God and they achieved spiritual triumph. The similarity between the formation of bible and the composition of performance was perceived. Second, the symbolic meaning of movements reveals in dramatic connection through Alvin Ailey’s distinguished power and effort. Movements are made up of a combination of dynamic rhythm, well-distributed stress and flow of whole composition was in balance of tension and rhythmical harmony. Moreover, each scene with the motion of gazing at sky, respectful bow, the descent of the Holy Spirit, or motion in praying, and great delight has the symbolic meaning of God is in company with them. Third, inspiration is based on “Inspiration theory”. The passage of God blew breath into Adam serves as a momentum; Alvin Ailey brainstormed unconventional and ingenious conception into hitting upon music and image. Music, scene, lighting and costume are faithful to the bible passage in expression. For example, the music was chosen by selecting the passage which has similar circumstances they faced with. It strongly appeals and become authentic with hopeful lyrics by narrating salvation with faith in God. Consequently, “Revelation” strongly reveals features of Christianity, also it has artistic perspectives and evokes publics’ sympathy and praise. It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which has the popularity and embraces diversity. Contemporary Christianity dance as artistry is expected to be improved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by studying performances with various theme and extensive expressions in specialty and artistry aspects from simply describing the passage of bible.

      • 무용 콩쿠르를 통한 기독교 무용의 특성 분석

        정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company with mankind, dance represents something more than just language. It has developed with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 nations and races. It was originated from human instinct and imitative nature and gradually took a concrete shape through religious rituals. We can find this type of dance in the books of the Bible. However, its study and formulation of theory are insufficient, compare to the history and clout of Christian dance. It is meaningful and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God is joyful of and the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hich through the analysis of dance from the Holy Bible and grasp the features and the current situation on Christian dance performed in Korea examining the dance competitions which mean harmony and unity to them. We would be aware of unique features of Christian dance and the way forward for it by comparative analysis. Henc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dance through its contests and providing the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s for establishing dance theory. It will be done by comparing the meanings and types of dance in the Bible, realizing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dance and seeking for the way we are going to head. The dance, in the Holy Bible, was frequently performed as expressions of worship and happiness from at parties to at seasonal changes throughout the human life. It incorporated various moves such as jumping, round of circle dance, procession and so on and everybody enjoyed dancing regardless of age, sex or their positions. This has kept the tradition and developed over the centuries until now, repeating oppression and occurrence. It represents t that dance is what God was pleased with under the circumstances during these times. Here are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dance through the Bible and competitions; First, it has a coherent purpose that Christian dance is the worship in itself and glory to God. It is distinguished from regular dances that the latter one mainly concentrates on individual ideas, expression of feelings, fame and so on. Second, Christian dance consists of Biblical movements which acknowledges that God is the only superintendent of the body and adore God, so, Christian dance doesn’t belong to estheticism which pursues self-contentment or beauty. The dance of the Bible is the ritual one to express adoration, pleasant and gratitude for victory to God. However, nowadays, a wide variety of dances are performed from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ballet to modern dance and CCD (Contemporary Christian Dance). Third, we need to wear the costume which reflects holiness and purity in that Christian dance is a form of divine service. There is a good example of this from the Bible that King David danced in robe. With the times the current costumes of the Christian dance have been transforming from the drab clothes owing to applying the various colors and textures and accessories. Fourth, Christian dance is likely to be enjoyed by anyone has belief and will to worship God, not but the talents and skills. In order to develop the Christian dance and settle it down as a genre of powerful Christian culture, we need the efforts as followings. We should diverse the Gospel and discuss ways to vitalize it. Furthermore, it is crucial to find appropriate works which have both artistic value and popular appeal and everybody can enjoy, based on the Bible. We should also consider that costumes, accessories and movements are suitable for its own purpose. I hope that reputable organizations will be established to procure and cultivate professional Christian dancer and hew its way. We need active support from the church. The Christian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should make an effort for competitions and invigoration. But I shall take the liberty to remind not only the Christian dancers but also all the Christian artists that they should bring changes to their mind and always keep performing within framework allowed by God. 인류와 함께하면서 언어 이상의 역할을 감당해온 무용은 인류의 시작과 함께 각 나라와 민족에 따라 발달하여 왔다. 본능과 모방에 의해 시작된 무용은 종교적 제의식을 통해 점차 발달하여 구체화되었고 이러한 무용들은 성서의 기록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 무용의 역사와 영향력에 비해 그 연구와 이론 정립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성서 속의 무용 분석을 통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춤과 기독교 무용의 형태 및 특성을 파악하고, 기독교 무용 콩쿠르라는 기독교 무용인들의 집합의 장을 통해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행해지는 기독교 무용의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여 이 두 가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기독교 무용만이 가지는 특성과 기독교 무용의 나아갈 방향을 밝히는 것은 기독교 무용 발전에 의미와 필요성이 있는 연구라 하겠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무용 콩쿠르를 통해 기독교 무용의 현 실태와 특성을 분석해 보고 성서에서 나오는 춤의 의미 및 형태와의 비교를 통해서 기독교 무용의 본질 파악과 지향해야할 방향을 모색함과 더불어 기독교 무용 이론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성서에서의 무용은 하나님을 향한 경배와 기쁨의 표현, 절기와 잔치에 까지 매우 친밀하게 삶의 곳곳에서 흔하게 쓰였음을 볼 수 있고 점프(Jump), 원무(Round of Circle Dance), 행렬 무(Procession) 등의 다양한 동작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왕에서부터 서민들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 누구나 함께 춤을 추었다. 이러한 기독교 무용은 억압과 발생을 계속해가며 여러 세기를 지나면서도 그 명맥을 유지하여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기독교 무용의 역사적 변천은 무용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행위임을 말해주며 중요성을 대변해주고 있는 것이다. 성서와 기독교 무용 콩쿠르를 통해 살펴본 기독교 무용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무용은 그 자체로 예배이며 하나님께 영광 돌린다는 일관된 목적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체적으로 개인적인 사상이나 감정 표현, 명예 등의 목적을 두고 있는 일반무용과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기독교 무용은 몸의 주관자를 하나님이라 인정하며 경배하는 성서적인 동작으로 탐미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성서에의 무용이 주로 하나님을 향한 찬양과 기쁨, 승리에 대한 감사의 제의적 춤이었다면 오늘날에는 한국무용에서부터 발레, 현대무용, CCD(Contemporary Christian Danc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로 행해지고 있다. 셋째, 기독교 무용은 몸으로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것이므로 성결한 옷을 입어야 한다는 것이다. 성서에서 다윗 왕이 제사장의 옷을 입고 춤을 추었던 것을 표본으로 삼을 수 있으며 현재 기독교 무용의 의상은 무채색의 단조로운 의상에서부터 다문화와 디지털 시대의 빠른 문화 교류 속에서 다양한 색체와 재질의 의상과 소품 활용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넷째, 기독교 무용은 성서에서 볼 수 있듯이 남녀노소 누구나 어우러져 할 수 있는 것으로 재능이나 기능적인 것보다는 하나님을 찬양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누구나 동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 무용이 더욱 발전되고 예배에 영향력 있는 기독교 문화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있어야 한다. 기독교 무용 작품이 복음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로 안무되어 균형 잡힌 활성화를 이루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성서에 입각하여 예술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작품을 모색하고 순수예술뿐 아니라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춤을 추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독교 무용은 특성상 보여 지는 것이기에 의상이나 소품, 동작에 있어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목적에 부합하는지 의상과 소품의 상징성, 신체동작의 의미 등을 신중하게 고려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성과 기능을 겸비한 전문 기독교 무용인 양성을 위해 체계를 갖춘 공신력 있는 기관들이 설립되고 진로의 길을 열어주어야 하며 이들에 대한 교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기독교 무용 단체 및 기관이 연합하여 공연과 콩쿠르 활성화와 기독교 무용 이론 구축에 주력해야 하며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예배의 틀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은 기독교 무용뿐만이 아니라 기독교 예술을 하는 이들이 늘 상기하여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

        김이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Kim, Yijeong Major in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developmental direction of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provide professional basic data, and find the alternative for desirable dance education of art instructor through investigating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For the study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7th, 8th and 9th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Gangwon area at total 97 schools having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in 2011. Complete survey was done with 100 teachers, and 97 copies were used in actual analysis. Random sampling method was used with selecting 206 students, and 202 copies were analyzed. For verify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ing tool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applied and Cronbach’s coefficient α, an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was calculated. In order to verify the study hypothesis, the program, SPSS Windows ver. 18.0, was used to operate independent t-test and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obtained through the above study method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teaching experience and class size for the understanding about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and satisfaction about dance art instructor system depending on the variables in teachers’ background,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school location. Specifically, it showed that teachers in Eup and Myeon areas have better understanding and are more satisfied with the necessity,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the satisfaction factor of the dance art instructor system than teachers in small and middle cities, while teachers in small and middle city areas have better understanding in terms of the variables of class manage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variables for the understanding about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and satisfaction about dance art instructor system depending on the variables in students’ background.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it showed that girls have better understanding and are satisfied with overall factors than boy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variable of facility satisfactory.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school, it showed that elementary students have better understanding and are more satisfied with overall factor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 of facility satisfaction. Furthermore, it showed that students taking classes more than one year have better understanding in dance art instructor system and satisfaction in educational content compare to students taking classes less than one year in terms the time of taking dance art classe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ss satisfaction of dance art instructors along with its sub-variables including health satisfaction, expression satisfaction, facility satisfaction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interest in dance, all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were high as the interest in dance is high.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form of dance that students preferred, modern dance was the most favorite among students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in the sub-variables of dance art instructor system and satisfaction in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that includes health satisfaction, educational content satisfaction and expression satisfaction, followed by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ballet.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ility satisfaction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detailed data about the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in active promotion about dance class in order to have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 and be satisfied with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along with systematical improvement and research in line with educational curriculum. If the recognition about dance art increases,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teachers would also increase, which also provides basic data for reinvigorating dance art instructor classes. 본 연구는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서 무용예술강사 수업 프로그램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 미래 무용교육에 전문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바람직한 예술강사 무용교육을 위한 대안을 찾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1년 강원도 지역의 초·중학교 가운데 무용에술강사 수업을 시행하고 있는 초등학교(4,5,6학년)·중학교(1,2,3학년)를 대상으로 총 97개의 학교로 교사는 전수조사를 하였으며, 100명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97부를 실제분석에서 사용하였고, 학생은 임의표집법으로 조사하였으며 206명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202부를 실제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 : Exploratort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내적 일치도 계수인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Windows ver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무용예술강사 수업의 인식 및 무용예술강사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성별과 교직경력, 학급규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교의 소재지에 따른 인식과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읍·면지역의 교사들이 중·소도시의 교사들보다 필요성 및 교육목표와 무용예술강사 제도 만족도에서 높게 인식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운영 및 교육환경 변인에서는 중·소도시의 교사들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무용예술강사 제도의 인식 및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 에서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인식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만족 변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구분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 에서도 전반적으로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도 높게 인식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만족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무용학습기간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 에서는 1년이상의 학생들이 1년 미만의 학생들보가 무용예술강사 제도 인식도와 학습내용 만족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무용예술강사 수업 만족도와 그의 하위변인인 건강만족, 표현만족, 시설만족, 교사지도만족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 관심도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에서는 무용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모든 인식 및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무용유형에 따른 인식 및 만족도 에서는 무용예술강사 제도 인식도와 무용예술강사 수업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건강만족, 학습내용만족, 표현만족에서 현대무용을 좋아하는 학생들이 제일 높게 인식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무용, 발레를 좋아하는 학생들이 다음으로 인식하고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만족, 교사지도 만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에서 어떠한 부분이 높게 인식이 되고 만족이 되었는지를 알게 해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무용예술강사 수업을 통하여 교사와 학생들이 높게 인식하고 만족할 수 있도록 무용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며 교육과정상에서의 제도적인 개선과 연구가 필요하다. 이렇듯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을 높여준다면 교사들의 인식과 관심도 또한 높아지리라 생각되며 무용예술강사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