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더쉽 유형이 조직문화와 고객가치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김우현 초당대학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문화와 고객가치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론적 고찰과 연구자의 지식 등을 기초하여 파악하여 조직의 목표달성을 하는데 전략적 방안을 강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리더십유형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둘째로는 리더십유형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셋째는 리더의 리더십유형이 조직문화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넷째로는 리더의 리더십유형이 고객가치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섯째는 리더십, 리더십유형, 조직문화, 고객가치지향성 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각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리더십유형이 조직문화 및 고객지향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경영자와 관리자들에게 효율적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높은 성과로 나타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리더십유형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인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주요 요인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전개하였다. 즉,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리더십유형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중요한 요인인 조직문화와 고객가치지향성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본 연구자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리더십유형이 조직문화와 고객지향성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는데, 결론적으로 리더의 리더십유형과 조직문화, 고객지향성과의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부분적으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과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리더십유형에 있어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 요인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주요 요인으로 선정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둘째로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조직문화와 고객가치지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셋째, 리더십유형은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리더십유형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넷째, 고객가치지향성과 관련하여 리더의 리더십유형이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거래적 리더십인 조직구성원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때 고객가치지향성은 상승하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조직구성원애 대한 승진기회제공, 임금인상 등과 같은 적정한 수준의 보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敎育行政家의 리더쉽 類型과 敎師의 勤務意慾과의 相關性

        임종수 慶北大學校 行政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8686

        I. The purpose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es is that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style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 and the teachers' desire in service and with the from the study, I will seek most efficient leadership behavior style of educational administrator. II. Method 1) Materials wer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answered by 362 teachers serving for the primary school who were randomly samples. 2) Questionnaire were two kind, one was A.W. Halpin's L.B.D.Q. which is composed of 30 item, designed to analyze the leadership behavior style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The other was a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20 items, designed to analyze the teachers' desire in service. III. Contents 1)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 style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 and the teachers' desire in service. 2) Research on the differences, which came from the analysis of the leadership behavior style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 by his personal character and the school environments. 3) Research on the differences which came from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desire in service by his personal character in such a educational administrator. IV. Conclusions 1) The leadership behavior style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have a great effect on the teachers' desire in service. 2) The leadership behavior style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is different from their age, regional location of schools and school from which they graduated. 3) The teachers' desire in service is different from their carrer, their sex,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ir status.

      • 지역 어린이집원장의 리더십유형이 보육교사의 자기 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교직의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찬순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도서지역을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서로 인접해 있어 공통성이 있는 완도군, 진도군, 해남군 보육교사들과 원장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본 교직의 전문성 인식의 유형 중에 어떤 유형들이 어린이집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의 자기 효능감, 조직몰입 사이에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원장이 지향해야 할 리더십 방향과 보육교사들이 더욱 높여야 할 교직의 전문성 인식 영역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완도군, 진도군, 그리고 바닷가 주변에 있는 어린이집을 표본으로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도서지역과 농어촌 지역의 어린이집 환경이 도심지역에 있는 어린이집에 비해 어려울 것을 예측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집단의 범위를 도서지역과 농어촌지역인 완도군과 진도군 그리고 일부 해남군에 있는 어린이집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독립변수인 어린이집원장의 리더십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원장의 리더십에 있어서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요인으로는 카리스마, 영감적동기부여,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 등의 4가지 요인을 설정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 요인으로는 비전제시, 성장지원, 공동체형성, 헌신(서비스) 등의 4가지 요소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교사 효능감과 조직몰입으로 제한하였는데, 교사 효능감의 하위 요인으로는 일반적 효능감, 개인적 효능감 등의 2가지 하위 요소로 하였고, 매개 변수인 교직의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소로는 교수능력, 운영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전문성 신장, 그리고 보육보호능력 등의 5가지 하위 요소로 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설문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하여 사용한 표본은 연구 목적에 맞도록 SPSS.18을 사용하여 인구 통계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여 타당하지 못한 자료는 제거한 이후에 신뢰성분석과 자료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의 통계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개인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은 보육교사들이 조직몰입을 위해 정서적 몰입은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 서번트 리더십의 성장지원과 공동체형성 유형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보육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관련하여 변혁적 리더십의 유형으로는 교수능력에 개별적 배려와 지적자극, 운영관리능력에는 지적자극, 의사소통능력에 개별적 배려와 지적자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관련하여 서번트 리더십의 유형으로는 교수능력에 공동체형성이, 운영관리능력에 성장지원과 헌신,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에 헌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교직의 전문성 인식 중에 교수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영향을 미쳤고, 개인적 자기효능감에는 교수능력과 운영관리능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로,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교직의 전문성 인식에서 정서적 몰입에는 교수능력과 운영관리능력, 지속적 몰입에는 교수능력, 규범적 몰입에는 운영관리능력과 전문성 신장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졌다. 전남 서남부 지역들 중 낙후된 지역의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보육교육사들의 효능감 및 조직몰입에 대한 분석을 하다보니 조사의 질문이나 설문지 등이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점이 아쉽다. 그리고 본 연구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설문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인 리더십, 자기효능감, 그리고 조직몰입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현장 중심의 어린이집원장 리더십, 보육교사에 대한 자기효능감, 그리고 보육교사에 대한 조직몰입에 대한 측정도구가 연구 되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 리더쉽類型과 職務滿足과의 相關關係에 관한 硏究 : 釜山地域의 職場醫療保險 組合員을 對象으로

        장태윤 慶星大學校 貿易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8671

        Modern society is an organization society to be consist of so many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 is also consist of so many individuals. By the way, the organization can develop through the contribution of each individual belong to the organization members as a society can develop through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 Therefore, the basic tasks in modern organization are to maxmize their satisfaction and to achieve efhciently the common goal of the whole organization by controlling rationally the goal of organization and the desire of each individual of members. In this respect, leadership is necessarily required. Because leadership does a functional role to harmony the goal of organization and individual cf organization members and to make a developing balance for this. In the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that provides a data for leadership development of organization and how important leadership style for job satisfaction of members i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has gone abreast theoritica1and empirical study. And for the empirical study, I have distributed 262 samples of investigating sheets to man and woman under section chip in the medical care insurance association for employee in Pusan area. Of these I Have collected 262 sheets and among them, have analized total 206 sheetsalong with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is Ⅰ: The job satisfaction of an organization members will have a difference by independent variables (age, school carrer, working carrer, functional carrer) Hypothesis Ⅱ: There will be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 members. Hypothesis Ⅲ: There will be the correlation of positive between Consideration factor and Initiating Structure factor. Hypothesis Ⅳ:The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 members will have a difference by the extent of leader's Considerative action. Hypothesis Ⅴ: The job satisfaction of members will have difference active by leader's an active extent of Initiative Structure.

      • 경호·안전관리요원의 리더십유형과 성원만족의 관계

        박정훈 경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71

        리더십은 조직과 개인의 공통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집단내의 성원이 다른 성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술 또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경호 · 안전관리 현장에서의 리더십은 팀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수행력 향상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리더십이 요구된다. 특히 생명과 재산을 책임지고 있는 경호 · 안전관리요원들의 경우는 경호팀의 리더가 구성원들의 만족을 증진시키고 팀 구성원간의 협동심을 유지하기 위한 리더십을 효율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성원만족과 조화의 측면을 중시하면서 업적 달성에서 초래되는 집단 내의 지위나 권위의 차를 감소시키고 구성원간의 동질감을 형성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호 · 안전관리요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성원만족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가설적 인과모형을 구성하여 경호 · 안전관리요원의 리더십행동유형과 성원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리더십행동유형의 차이,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성원만족의 차이, 세 번째, 리더십유형이 성원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대상자는 현재 공경호의 경우 청와대 경호실, 국가정보원, 경찰, 군경호등 경호활동을 하는 경호 · 안전관리요원과 사경호의 경우 서울, 경기, 인천, 강원에 소재하고 있는 민간 경호업체를 대상으로 경호 · 안전관리요원을 대상으로 400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차원 리더십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Chelladurai와 Saleh(1980)에 의해 개발된 스포츠 리더십 척도(Leadership Scale for Sports :LSS)를 사용하였으며, 경호 · 안전관리요원 구성원들의 성원만족을 측정하기 위하여 Widmeyer와 Willams (1991)의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경호 · 안전관리요원의 리더십 유형과 성원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Window SPSS 11.0, 기술통계(Descriptive), 상관분석(Correlate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 중 경력에 따른 경호 · 안전관리요원들의 리더십 행동유형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경호 · 안전관리요원들의 성별에 따라 훈련지시 p<.01, 연령에 따라 긍정적 보상 p<.05, 학력에 따라 민주적 p<.05, 연봉에 따라서는 p<.001 수준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배경변인 중 연령, 연봉, 경력에 따른 경호 · 안전요원들의 성원만족에는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별과 학력에 따라서는 p<.05와 p<.001 수준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리더십유형이 성원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과제수행만족의 경우 훈련지시, 사회적행동, 민주적행동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리더십유형이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훈련지시, 사회적행동, 긍정보상, 민주적행동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리더십행동유형이 지도자행동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훈련지시, 사회적행동, 전제적행동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and team success in bodyguard. 399 bodyguard selected by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in this study. They are consist of public and private bodyguard. The research tool include the following two questionnaires; leadership behavior 'leadership scale for sports; LSS' of Chelladurai & Saleh (1980); Widmeyer & Willams (1991)'s scale for team success among team members. Descriptive, Correlate, Factor,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scale and member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leadership behaviors with background variables(career level) among bodyguard at p>.05 level. Bu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leadership behavior with sex level at p<.01 level.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leadership behavior with age level at p<.05 level.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leadership behavior with education level at p<.05 level.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leadership behavior with income level at p<.001 level.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ember satisfaction with background variables(age level, career level, income level) among bodyguard at p>.05 level. But,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ember satisfaction with sex at p<.05 level.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ember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t p<.05 level. Third, the leadership behavior account for the task perform satisfaction that 'training and instruction'-(β=.310), 'social support'-(β=.218), 'democratic'-(β=.162), in order. The leadership behavior account for the social interaction that 'democratic'-(β=.196), 'positive support'-(β=.194), 'social support'-(β=.161), 'training and instruction'-(β=.112) in order. The leadership behavior account for the leader behavior satisfaction that 'training and instruction'-(β=.403), 'social support'-(β =.217), 'autocratic'-(β=.095) in order.

      • 조직구성원의 개인 성격특성에 따라 리더십이 조직문화,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

        문학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71

        리더십은 수십 년간 많은 학자들이 의해 학문적 정의가 시도되어 왔지만 시도한 학자들의 수만큼 상의한 정의가 주장되었을 뿐 모든 리더십 학자들이 동의하고 공감할 수 있는 하나의 정의를 도출하지 못한 채 계속적으로 진화를 거듭하여 왔다. 최근의 리더십 연구 추세는 이러한 리더 중심의 특성화된 정의에 대한 연구보다는 리더십을 한 개인이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인들로 이루어진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조직이 지닌 개성으로 정의할 수 있는 조직문화는 기업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조직 유효성의 향상을 가져오는 중요한 요인으로 리더십과 조직문화 간의 적합성이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등 조직문화와 리더십은 중요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조직구성 기본단위인 조직구성원 성격특성의 다양성이 강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였지만, 지금까지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영향 관계를 살펴본 많은 연구들에서는 조직구성원의 개인성격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거래적, 변혁적, 서번트)이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단의 조직문화 유형별(합의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개발문화)로 미치는 영향관계와 조직유효성의 구성요소인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연구를 통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조직행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조직구성원의 성격특성이 이러한 영향 관계에 있어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2개의 국내 제약기업과 2개의 외국계 의료/실험기기 기업에서 근무하는 629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였고,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리더십이 조직문화,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서 조직구성원의 개인 성격특성(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 신경성)이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진행한 결과, 첫째,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모든 조직문화 유형(합의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개발문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은 위계문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세가지 리더십 유형 모두 조직유효성의 구성요소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개인성격특성에 따라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모든 조직문화(합의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개발문화)유형에 있어 개인성격특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서번트 리더십이 위계문화에 영향을 미칠 경우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개인성격특성은 없었으며, 거래적 리더십이 합리문화에 영향을 미칠 경우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개인성격특성은 없었다 넷째, 조직구성원의 개인성격특성에 따라 거래적/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세가지 리더십 유형 모두 조직 유효성의 구성요소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때 개인성격특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리더십유형 및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미치는 영향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도 리더십유형에 따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성격특성의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조직구성원의 개인성격특성은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리더십유형 및 조직문화유형에 따라 조절효과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한 변수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개인성격특성 유형과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개인성격특성 유형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기업현장에서의 실증연구를 통하여 조직구성원의 성격특성이 이러한 영향관계에 있어 조절효과를 나타낸다는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 개인성격특성의 조절효과 검증 뿐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리더십을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조직문화 또한 네가지의 문화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리더십이 서로 다른 조직문화유형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조직상황에서의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 선행연구에서 이론적으로 제시된바와 같이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으나, 조직문화유형 중 위계문화를 가진 조직에 있어서는 조사한 세가지 유형의 리더십 모두 영향을 주지 않거나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원들 간에 이미 상하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조직에서는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와같은 조직문화 내에서는 조직구성원 중 최상위자의 역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 세가지 리더십유형 모두 조직문화 유형 중 개발문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대의 변화에 맞춰 최근 많은 조직에서 추구하고 있는 개발문화에 있어서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결과,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칠 때 개인성격특성 중 개방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신경성이 두 번째로 많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리더가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고자 할 때에는 개방성과 신경성 성격특성의 구성원들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섯째, 본 연구의 결과, 세가지 유형의 리더십 모두 직무만족 보다는 조직몰입에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효율성에 좀 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해서 리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일곱째, 본 연구의 결과, 조직문화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개인성격특성 유형과 조직유효성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개인성격특성 유형은 다르게 나타났다. 조직문화에 있어서는 개방성과 신경성의 셩격특성이 조절효과를 많이 나타내고 친화성이 가장 적게 조절효과를 나타낸 반면, 조직유효성에 있어서는 친화성과 성실성 즉 지시에 순종적인 성격특성이 가장 많은 경우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었다. 따라서 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해서는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성격특성 즉 친화성, 성실성 성격특성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관심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38개팀 629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팀별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리더십을 해당 팀장의 리더십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서번트리더십이 회사에 관계없이 가장 많은 유형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2000년대 초반부터 주목받기 시작하며 많은 기업에서 추구해온 리더십방향과 일치하는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거래적리더십은 두 번째 많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생산과 영업관련 팀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는 업무의 역할과 책임이 비교적 명확한 전통적인 업무영역에 있어서는 여전히 거래적리더십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리더십 유형이 조직구성원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CEO의 변혁적, 감성, 서번트 리더십을 중심으로

        하광윤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In the growing uncertainty of the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ization of society, the leadership role is critical to the survival organization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are public and private. Abrupt external changes require corporations to quickly make internal changes. In addition, employees need to adapt and acclimate to these changes, particularly to changes that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foster growth. Because small and medium-sized coperation companies lack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big-huge companies, the communication within small-medium size company’s CEO is even more critical. For the smaller businesses, the competitive advantage comes from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s and empowerment to gain capabilities. For small business leaders to maintain and develop sustainable growth, they should encourage employee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in the companies. Because a leader’s effectiveness is evaluated by his leadership, there has been significant research regarding different leadership styles, such as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emotional, servant, and various other theories.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small and mid-sized Korean companies have much more protection and support by the government. So, most studies on small business growth focus on the external support, such as protectionist policies rather than internal efforts, such as leadership reform. But for the organization to have sustainable growth, the organization should foster growth through self-determination and hard work effort. This study demonstrates and analyzes the proper leadership sty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t fit th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Korea. The analysis has yielded meaningful results. First, the small businesses of less than 10 people, compared to mid to large businesses with 50 to 100 people, 101 to 300 people, 300 to 500 people, shows the highest effectiveness of servant leadership style. Second, the servant leadership, over any other type of leadership style, has mor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altruistic portion of servant leadership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to wealth. Third, emotional leadership does not impac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servant leadership has been shown to impact all of these. This paper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different types of leadership styles and how they affect the small and mid-sized businesses, and proposes an alternative servant leadership style that empirically tests as a more effective solution. 세계화와 정보화의 진전으로 불확실성이 늘어나고 있는 현대사회는 공ㆍ사 조직을 막론하고 조직의 생존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리더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외부로부터의 급격한 변화는 기업의 내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 구성원의 변화에 대한 적응 및 환경에 대한 대처 능력이 기업의 성과뿐만 아니라 지속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상하구조에 놓여 있으며 중소기업이 인적ㆍ물적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중소기업 CEO와 조직구성원이 밀접한 의사소통이 더욱 중시된다. 이러한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조직혁신이나 역량 강화가 매우 중요하다. 중소기업 리더는 앞서 언급한 구성원들의 노력을 유도하고 지속가능하게 발전시키기 위해서 조직구성원을 견인하고 함께 소통해야할 상황에 놓여있다. 리더의 자질은 곧 리더십으로 평가가 가능한데, 최근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논의를 거쳐 감성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등 다양한 이론이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외국의 중소기업과 달리 보호ㆍ육성해야할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리더십과 같은 조직 자구의 노력보다는 보호정책이나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가 대다수이다. 그러나 조직이 지속가능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조직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우리나라 중소기업 조직유효성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10명 이하의 소규모 기업에서 다른 50~100명, 101~300명, 300~500명 등 중ㆍ대규모 기업에 비해 서번트 리더십의 유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이 다른 리더십 유형보다 조직몰입에 더 영향을 미치지만, 아가페적 사랑과 같은 이타주의는 오히려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성 리더십은 다른 리더십 유형에 비해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리더십 유형에 따라 중소기업의 조직유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조직유효성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서번트 리더십이 대안임을 밝히고 있다.

      • 호텔기업의 리더십 유형이 사회적 교환관계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충청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이성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71

        This study is purpo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leadership styles, social exchange relations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luxury hotels located in Chung-cheong district. For this, after the types of leadership is selected as changeable leadership, exchange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nd social exchange relations is selected as leader-member exchange(LMX)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and the achievement is selected as satisfaction for job, immersion for organization, changeable behavior of the organiza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is to show the ways of effective administration of personal resources for hotel staffs and deduce the useful data of the achievement of hotel industry. Fo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ed papers fo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settle research hypotheses and select the workers in 12 luxury hotels in Chung-cheong district as samples to test the hypothesis and analyze the data of 401 employees. Three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leadership styles, social exchange relations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luxury hotels. To verify this assumption,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employee relationship and support of theorganiza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behavior. Second, leadership styles which influence on social exchange relations of the employee in deluxe hotels located in Chungchung district was categorized into changeable leadership, exchangeable leadership and servant leadership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on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LMX and POS). Thir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quality of LMX and POS of the super hotels located in Chung-cheong district has an impact on job-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of the organization Forth, this study analyzed which administrative role LMX and POS performed in the relationship of leadership styles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Here ar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First, after analyz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research unit, it was shown that the reliability for changeable leadership, exchangeable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LMX, PO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novative behavior of the organization was high Second, after analyzing the influence of leadership types on LMX, it was shown that servant leadership had the most positive impact on LMX and Charismatic leadership on LMX among changeable leadership. Third, after analyzing influence of leadership styles on instrumental support-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 it was shown exchangeable leadership had the most positive impact on POS. Forth, analyzing the influence of four sub-dimension of changeable leadership on instrumental support recognition for organizations, it was showed that intelligent incentive factor was the most positive effect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factor and Charismatic factor were also important effect. Fifth, after analyzing the influence of two sub-dimension of exchangeable leadership on instrumenta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e found situational leadership had most positive impact and servant leadership also positively influence on it. Sixth,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LMX was shown to improve motivational factors and hygiene factor among work-satisfaction factors and to be important factor to improve emotional immersion and maintenance-immersion. Seventh,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PO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strumenta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improve emotional factors and hygiene factors and to improve emotional factors and maintenance-immersion in organization immersion. Eighth, according to LMX,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able leadership and work-satisfaction, LMX was shown to be modifying effect on hygiene factor among changeable leadership and job-satisfaction factors. Ninth, according to LMX, LMX was found to be a very important variable to improve hygiene factor and give a positive impact,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enth, analyzing the modifying effect of POS in servant leadership and motivational factor, servant leadership was found to influence positively on motivational factors through emotional support recognition for the organization, also on a hygiene factor. 본 연구는 충청 지역에 위치한 특1·2급 호텔을 대상으로 하여 리더십 유형, 사회적 교환관계, 그리고 조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리더십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으로 선정하였으며, 사회적 교환관계를 리더-부하관계(LMX)와 조직후원인식(POS)로 선정하였으며, 조직성과를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혁신행동으로 선정하여 이러한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호텔직원에 대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서 호텔기업의 성과에 유용한 자료를 도출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목적을 위하여 관련된 기존문헌을 검토하여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지역에 위치한 특1·2급 호텔에 종사하는 직원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40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주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충청지역에 위치한 특1·2급 호텔 직원들의 리더-부하 관계의 질, 조직후원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혁신행동 등 충청지역에 위치한 특1·2급 호텔 직원들의 조직성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둘째, 충청지역에 위치한 특1·2급 호텔 직원들의 사회적 교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의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으로 나누어 사회적 교환관계인 LMX와 POS와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 규명하였다. 셋째, 충청지역에 위치한 특1·2급 호텔의 LMX와 POS의 질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혁신행동에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넷째,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LMX와 POS가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게 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연구단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LMX, POS,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혁신행동 등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를 분석한 결과에도 각 연구 단위들이 충분한 구성타당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리더십 유형이 LMX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이 LMX에 가장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변혁적 리더십 중에서 카리스마 리더십 요인이 LMX에 가장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래적 리더십에서는 상황적 리더십요인이 LMX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서번트 리더십도 LMX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리더십 유형이 POS 요인 중 수단적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거래적 리더십이 POS에 가장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POS 요인 중 정서적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변혁적 리더십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의 4가지 하위차원이 POS 요인 중 수단적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적 자극 요인이 가장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개별적 배려요인과 카리스마 요인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조직후원인식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카리스마 리더십 요인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개별적 배려요인과 지적자극 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거래적 리더십의 2가지 하위차원이 POS 요인 중 수단적 조직후원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황적 리더십 요인이 가장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POS 요인 중 수단적 조직후원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LMX와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LMX는 직무만족요인 중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직몰입에 있어서도 정서적 몰입과 유지적 몰입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일곱째, POS와 조직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단적 조직후원인식이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있어서 수단적 조직후원인식은 정서적 몰입과 유지적 몰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조직후원인식은 유지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덟째, LMX에 따라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LMX가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 요인 중 위생요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LMX에 따라서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LMX는 거래적 리더십이 직무만족 요인중 위생요인을 높이는데 더 많은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아홉 번째, LMX에 따라서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LMX는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 요인 중 위생요인을 높이는데 더 많은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또한, POS 요인 중 수단적 조직후원인식 요인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혁신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혁신행동의 관계는 수단적 조직후원인식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하여 조직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 번째, 서번트 리더십과 동기요인의 관계에서 POS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정서적 조직후원인식을 통해서 직무만족 중 동기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위생요인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과 유지적 몰입요인의 관계에서 POS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수단적 조직후원인식을 통해서 유지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정서적 조직후원인식을 통해서 유지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서번트 리더십이 수단적 후원인식 요인을 통해서 조직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결과에서도 알 수 있다.

      • 지방자치단체 중간관리자 리더십유형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 매개효과와 팔로워십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재근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리더십유형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리더십유형을 구조주도적 리더십과 배려적 리더십으로 설정하고, 이들 유형을 결합한 4가지의 리더십 결합유형을 도출하였다. 조직성과는 효과성, 능률성, 대응성, 형평성으로 정의하고 이들 리더십유형과 리더십 결합유형이 효과성, 능률성, 대응성,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리더십유형과 조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팔로워십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충남도청 47개 실·과에서 901명의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주도적 리더십과 배려적 리더십은 조직성과와 임파워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두 리더십유형 중에서 조직성과에는 구조주도적 리더십이 배려적 리더십보다 더 큰 영향을 주고 임파워먼트에는 배려적 리더십이 구조주도적 리더십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둘째, 리더십 결합유형 중 구조주도적 리더십과 배려적 리더십이 가장 높은 High-High 리더십 결합유형이 가장 높은 조직성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지 못하였다. 구조주도적 리더십은 높으나 배려적 리더십이 낮은 리더십 결합유형이 가장 높은 조직성과를 나타내었다. 리더십의 High-High이론과는 상이한 연구결과가 나온 것에 대해 팔로워십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리더십유형이 존재한다는 리더십 상황이론을 통해 연구결과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셋째, 구조주도적 리더십과 배려적 리더십 모두 리더십 결합유형이 가장 낮은 조직성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리더십 결합유형 중에서 배려적 리더십이 높은 실·과의 임파워먼트가 배려적 리더십이 낮은 실·과의 임파워먼트보다 높을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지 못하였다. 다섯째, 임파워먼트는 리더십유형과 조직성과 사이에서 매개변수로 기능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여섯째, 팔로워십이 리더십유형과 조직성과 사이에서 조절변수로 기능할 것이라는 가설도 검증을 통과하였다. 본 연구는 리더의 행태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행태론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행태론자들이 개발한 리더행태기술설문지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조직성과는 리더·부하·상황의 3대 변수가 상호작용하면서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리더십 상황이론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d-level managers' leadership styles in a local government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followership.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the consideration leadership, and four combination styles of leadership by combining the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and the consideration leadership. This study was also employed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responsiveness, and equity as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r dependent variables. In particular, it was assumed that empowerment and followership would fun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and a moderating variable respectively. 1,000 government officials were sampled and surveyed in 47 divisions of the Chu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After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 sheets from 90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2.0 was utilized to carry out 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and the consideration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it was not accepted that the hypothesis for leadership combination style, having both higher initiating structure behavior and higher considerative behavior would show the highest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it was accepted that the hypothesis that the leadership combination style which represents both lower initiating structure behavior and lower considerative behavior would show the lowest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it was rejected that the hypothesis that the leadership style, showing higher consideration in four leadership combination styles would represent more positive impact on empowerment. Fifth, the hypothesis o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empowerment and followership was accepted respectively. Throughout the discussion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pports empirically the contingency theory to leadership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among leader, followers, and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