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로고디자인의 감성요소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향상 연구 : 중국 ‘985프로젝트’대학교를 중심으로

        펑윈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대학교 브랜드 이미지의 핵심 요소인 대학교 로고는 대학 문화 형성의 발전을 촉진하고 대외 전시의 중요한 창구이며,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 및 홍보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대학교 로고는 대학 브랜드 문화를 더욱 부각하고 브랜드 가치를 구현하여 향상시키며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감성 요소 분석과 구체적인 실증방법을 통해 중국 대학교 로고 이미지 감성 디자인 요소의 적용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우수한 재인성, 기억력, 예술성을 갖춘 디자인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목적과 함께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선정하며,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의 차이점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 ‘중국 대학교 로고’, ‘감성 디자인’, ‘브랜드 인식’, ‘소비자 지식수준’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진행하였고, 특히 이론 연구를 통해 연구 모델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 985프로젝트’의 39개 대학교 로고에서 시각적 기호를 추출하고 분류한 후 사례 분석 대상으로 하여 감성 디자인의 본능 측면, 행동 측면, 반성 측면과 브랜드 인지의 브랜드 기억, 브랜드 재인, 대중의 지식수준 등에 대한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4장에서 연구 모델과 사례 분석의 결론에 따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제5장에서 설문지 설문스타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SPSS 데이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설문지 데이터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제6장에서 실증 분석을 근거로 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중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 디자인은 감성 디자인 요소에 융합되어 브랜드의 관련 속성에 대한 대중의 연상을 적절히 유발하여 대중의 감성적 공감을 불러일으켜 대중이 대학교 이미지를 더욱 신속하게 이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를 빠르게 기억하고 재인식하며, 이를 통해 브랜드 인식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감성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 인지 관계는 대중의 지식수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이는 주로 대학교에 대한 대중의 친숙도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교는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적절히 향상시키기 위해 감성 디자인을 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융합하며, 대학교 브랜드 문화의 집약적이고 효과적인 전파에 중점을 두는 동시에 대학교는 자체 건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고 교수 및 과학 연구 수준을 향상시키며, 특색을 집약하고 핵심 우위 학과를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발전 방법이다. 셋째,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요소에 대한 현황 분석에 따르면 중국 대학교의 로고 디자인에 핵심적인 디자인 요소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우선 높은 재인성을 가진 텍스트에 의한 중국어 학교명, 영어 학교명, 개교 시간으로 나타난다. 그다음 학교 운영 이념, 학과 특색, 역사 연혁, 지역 특색 등 문화적 의미를 추출하여 표현한 그래픽 기호이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특색을 대표하는 색채요소이다. 넷째, 도널드 아서 노먼의( Donald Arthur Norman) 감성 디자인 이념은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조사 대상 395명 중 18-30세 참여율이 최고 65.8%이며, 대학교 로고가 나타나는 장소인 ‘입시 관련 자료 사이트’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로고 디자이너로서의 디자이너는 이 연령대의 감성적 니즈와 함께 자료 인쇄 및 웹사이트 게시와 같은 상호작용적이고 흥미로운 행동 수준에서 로고의 감성적 공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브랜드 로고의 그래픽 기호, 텍스트 기호, 컬러 기호의 선호도 관점에서 볼 때 응답자는 그래픽 기호> 텍스트 기호> 컬러 기호 순으로 감성 공감을 형성한다. 또한 그래픽 기호에서 선호도는 건축 그래픽> 동물 그래픽> 식물 그래픽> 인물 그래픽> 산천 그래픽> 기타 형상 순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기호 선호도는 중국어 학교명> 학교명 약칭> 개교 시간> 학교 교훈> 영어 명칭 순이었다. 컬러 기호 선호도는 빨간색> 파란색> 두 가지 이상의 색> 기타 단색 순이었으며, 위 결과는 디자이너에게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의 감성 디자인 구축은 대학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체로써 대학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감성 디자인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가 향후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마케팅 전략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core element of the brand logo of a university, the brand logo of a universit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a university. It is an important window for a university to display externally and plays a huge role in the brand logo and brand communication of a university. How to better highlight the brand cultur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brand logo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highlight and enhance brand value, and then establish a good brand logo and improve market competitiveness has become a problem worth studying. Therefore,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motional design of Chinese university brand logos, specifically studies the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Chinese university school logo image emotional design elements on university brand cognition through empirical methods. The design structure of nature and artistry provides inspi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rand logo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future. Chapter 1, first of all, present the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raise research questions, select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find the differences and necessity of research through previous studies. Chapter 2, theore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University of China logo', 'emotional design',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knowledge level'. A research model wa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Chapter 3, '985 Project' extracted and classified visual symbols from 39 university logos, and conducted design analysis in terms of emotional design instinct, behavior, reflection, brand memory, brand recognition, and public knowledge. Chapter 4, hypotheses were presented and empirical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model and case analysis. Chapter 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stars, and empirical analysis of questionnaire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data software. Chapter 6, the hypothesis is verified and conclude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First, Chinese university brand logo design can be fused with emotional design elements to attract the public's association with brand-related attributes and arouse public emotional empathy, allowing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image more quickly. It can also quickly remember and re-sign brands, and deepen brand awareness. Second, the results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public knowledge in the brand logo emotional design element and brand cognitive relationship of Chinese universities. It mainly appears in public familiarity with universities.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way to develop is to integrate emotional design into brand logo design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to focus on intensive and effective dissemination of university brand culture, while universities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construction, improve teaching and scientific research levels, and focus on features and create core advantage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brand logo design elements at Chinese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reflect key design elements in logo design at Chinese universities. First of all, it is a text with high re-personality and appears as a Chinese school name, an English school name, and an opening time. Next, it is a graphic symbol that shows and extracts cultural meanings such as school management ideology, department characteristics, history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inally, it is a color element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Fourth, Donald Arthur Norman's emotional design ideology has a very important impact on designers. Of the 395 surveyed, participation rates between the ages of 18 and 30 were up to 65.8%, the most interested in "admission-related materials and sites," a place with university logos. Therefore, designers as logo designers had to fully consider the emotional needs of this age group as well as the emotional empathy of the logo at the level of interactive and interesting behavior such as printing materials and posting websites. Fif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ference of graphic symbols, text symbols, and color symbols of the brand logo, respondents form emotional empathy in the order of graphic symbols > text symbols > color symbols. In graphic symbols, preferences are in order of architectural graphics > animal graphics > plant graphics > human graphics > mountainous graphics > other features. The preference for text symbols is in the order of Chinese school name > abbreviation of school name > school opening time > school lesson > English name. Color symbol preferences are in order of red > blue > two or more colors > other monochrome. Through the above results, effective reference materials can be provided to designers. In the e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otional design of the university brand logo is a very important emotional design strategy that improves the university brand image as an important medium that affects the university image and brand aware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the brand logo design marketing strategy of Chinese universities in the future.

      • 대학 로고 상품 개발을 위한 패션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연구

        정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55

        고교 졸업생 및 대학 진학자 수의 지속적 감소로 인한 치열해진 인적 자원 유치의 경쟁 상황과 더불어 예비 대학생인 Z세대들은 전 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이유로, 변화된 고등 교육 시장의 환경과 소비자에 대응할 새로운 대학 아이덴티티(이하 UI: university identity) 전략의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Licensing International에서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대학(collegiate) 라이센스의 글로벌 판매수익은 7조 2004억 ($6.4B)을 기록했다. 국외 명문 대학들은 유명 의류 제조사와 협업한 라이센싱 비즈니스 형태로 차별화된 제품의 출시를 통해 소속 재학생 뿐만 아니라 외부인의 구매를 이끌고 있는 것이다. 해외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UI는 상당한 규모의 잠재력이 있는 시장이지만 국내 대학에선 아직 이를 적극 활용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국내 대학 역시 UI 상품을 더 많은 대중 소비자에게 알리고 대학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하다.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실제 패션 산업 현장에서는 업종을 막론하고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유머 코드를 선호하는 Z세대 소비자(박세린, 2019)는 예상치 못한 브랜드들이 협업하여 출시한 콜라보레이션 상품에 대해 열광하고 있다. 패션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찾아보기 힘든 국내 대학 아이덴티티 시장에서는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출시만으로도 큰 이슈를 만들어 대학의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로고 상품을 패션 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하여 대중 소비자에게 대학의 아이덴티티를 홍보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학외 소비자 중에서도 예비 대학생과 학부모로 집단을 세분화하여 대학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안에서 그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그 첫 단계로 콜라보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인 협업 파트너사 선정의 기준점을 명성, 연상 컬러, 복종을 통해 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소비 가치 이론을 토대로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화 전략을 제안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판매 수익과 더불어 대학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향상을 통해 우수한 인적 자원의 유치로 대학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과 패션 브랜드 사이에 인지된 적합성이 대학과 패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또한 학외 집단(학부모 vs 예비 대학생)에 따라 감각적 적합성이 전반적인 적합성 인지에 미치는 효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대학 명성과 패션 브랜드 명성이 대학과 패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본다. 또한 인지된 적합성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소비 가치가 대학과 패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또한 학외 집단(학부모 vs 예비 대학생)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넷째, 대학과 콜라보레이션하는 패션 브랜드의 복종(스포츠, 캐주얼, 아웃도어, 럭셔리, 패션잡화)에 따라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전문 리서치 기관에 위탁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391명(학부모 234명, 학생 157명)의 자료를 SPSS 25.0로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대학과 패션 브랜드 사이에 인지된 적합성은 학외 소비자의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 구매의도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또한 전반적인 적합성 인지에 대한 대학과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컬러의 유사성 여부 즉, 감각적 적합성과 학외 소비자(학부모 vs 예비 대학생)의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대학과 브랜드의 아이덴티티 컬러가 유사한 조합은 학부모에서, 비유사 조합은 학생에게 효과적으로 소구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전반적인 적합성의 전제하에 파트너 브랜드가 선정되어야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패션 브랜드의 명성이 대학 명성보다 구매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명성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된 적합성을 매개하여 구매의도에 정적 영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콜라보레이션 상황에서 대학의 명성과 관련없이 대학과 브랜드 간의 인지된 적합성이 높거나 패션 브랜드의 명성이 높다면 그들의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외 소비자에게 대학 아이덴티티를 홍보하는데 있어 패션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전략은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와 학생 집단 모두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가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소비 가치를 강조할 수 있는 상품화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넷째, 학생과 학부모 모두 스포츠 브랜드와 캐주얼 브랜드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지만, 대학과 콜라보레이션에서는 럭셔리 복종만이 학외 소비자에게 높은 사회적 가치와 구매의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대학과 콜라보레이션하는 패션 브랜드의 복종에 따라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 인식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파트너가 될 패션 브랜드 선정 시에는 해당 대학이 학외 소비자에게 어떠한 이미지로 각인되고 있는지 먼저 검토한 후 패션 브랜드의 복종 조합을 고려한다면 성공적인 콜라보레이션의 첫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의의가 있다. 첫째, 학외 소비자를 대상으로 대학과 패션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상품과 그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대학의 시각적 아이덴티티의 구성요소안에서 그들의 인식을 살펴본 첫번째 연구로 후속 연구를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성공적인 공동브랜드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진 적합성을 대학과 패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맥락으로 확장 적용하였다. 또한 감각적 적합성을 조사하여 또 하나의 적합성 유형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적합성 개념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 셋째, 대학 명성과 브랜드 명성의 영향력 차이와 대학 명성과 적합성의 완전 매개효과를 밝히면서 학외 소비자의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구매에 대한 심리적 매커니즘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브랜드 복종에 따라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의 구매의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으며, 대학이 파트너 브랜드 선택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다. 둘째,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 모두 대학 콜라보레이션 상품이 소비자에게 주는 혜택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적 가치가 중요하게 작용됨으로 대학의 로고를 강조하여 대학의 아이덴티티가 돋보이는 방향의 디자인 등의 상품화 전략을 제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이 학외 소비자에 대한 시장의 잠재성과 콜라보레이션 전략을 도입할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궁극적으로는 대학 아이덴티티 산업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Along with the heavy competition to attract student due to the continuous decrease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and candidates for college and Gen Z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so it is time to establish a new university identity strategy to respond to changed market and consumers. According to a report released by Licensing International, the global sales revenue of college licenses was $6.4B in 2019. Universities are leading the purchase of not only their students but also outsiders by launching differentiated products in the form of licensing businesses in collaboration with famous clothing manufacturers. As seen in overseas cases, UI is a market with significant potential, but domestic universities are not yet actively utilizing it. As a result, it is urgent for promote university through university-branded merchandises to the public in Korea.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convergence, various collaborations(co-brandings) are actually pouring out in fashion industry, regardless of business types. In particular, Gen Z consumers, who prefer humor codes, are enthusiastic about collaborations released by unexpected brands. In the domestic market for university-branded merchandises, where there is a little collaboration with fashion brands, the launch of collaboration will create a big issue and expect the university to promote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university identity to the public by collaborating with fashion brands focused on UI components, especially clothing, which is an application of visual identity. Accordingly, we will define a new type of target consumer in the market for university-branded merchandises and identify their collective perception within the UI components. We also apply a collaboration strategy from fashion industry to university-branded industry in order to gain the attention of out-of-school consumers. Specifically, we present a guideline for selecting a collaborative partner as the first step and most important task in a collaboration strategy. Next, we propose a merchandising strategy that reflects the consumption value. Ultimately,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university industry by attracting excellent human resources by improving the positive image of universities along with the sales revenue of university-branded merchandi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fit between universities and fashion brands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collaboration goods. We als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sensory fit(through identity color) on overall fit recognition, depending on the group of out-of-school consumers (parent vs pre-college students). Secon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impacts of prestige of university and prestige of fashion brand on the purchase intention. We will als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it and prestige of university. Third, this study aimed to apply consumption value theory to collaboration on university-branded merchandises with fashion brands. Fourth,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ollaboration by brand category in fashion (sports, casual, outdoor, luxury, fashion accessories).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empirically, we conduct an online survey. A total of 391 samples were analyzed by SPSS 25.0. First, perceived fit between universities and fashion brands has been identified with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ing intentions. We also confirm whether universities and brands have similarity in identity colors for overall fit. Sensory fit and consumer groups hav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overall fit. It implies that partner brand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on the premise of overall fit to create consumers’ positive responses.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estige of fashion brand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urchase intentions. The prestige of the university has no direct impact on the intention of purchase, but the indirect impact on the intention of the purchase by mediating the overall fit is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in the context of collaboration, the perceived fit between universities and brands, regardless of the prestige of universities, can increase their purchase intentions. Therefore, the collaboration strategy with fashion brand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in promoting university identity to out-of-school consumers. Third, both parents and student group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In particular, social value has a stronger impact on the intention of purchasing university-branded collaboration goods in parents' group (vs students). Finall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university collaboration products according to category of fashion brands (sports, casual, outdoor, luxury, fashion miscellaneous goods) are significant. As the results, the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luxury fashion bran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social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other brand categories. Through this study, we hopefully recognize the potential market for university-branded merchandises, especially collaborated with fashion brand, in consumer groups of pre-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