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음운 분석

        장준익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외래어를 공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한국어 외래어의 음운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최근 국내의 한국어 학습자 중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머리말에서는 연구사, 연구 방법, 연구 대상을 설정했다.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 분야에서 어떤 연구가 필요한 지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방법으로 한국어 외래어의 음운을 대조언어학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고, 연구 대상으로 한국어 외래어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영어 기원의 한국어 외래어가 선정되어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연구 방법인 대조언어학의 개념과 연구 대상인 외래어의 개념을 각각 정리했다. 또한 연구 기초 자료로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현상을 대조언어학적으로 분석해 보았으며 연구 대상인 외래어의 개념을 정리해서 연구 대상을 음운 현상과 관련해 한정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선정한 한국어 외래어 목록을 점검하고 이후 그 목록의 문제점을 지적한 뒤, 이 연구의 목적에 알맞은 한국어 외래어 목록을 선정했다. 4장에서는 선정한 외래어 목록을 이용해서 먼저 한국어 외래어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원어가 무엇인 지 파악했다. 이후 한국어 외래어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영어 기원의 외래어를 이 연구의 연구 목적에 따라 대조언어학적으로 분석했다. 그리고 한국어의 외래어 표기법과 선정된 외래어 목록의 발음 특성을 분석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외래어를 가르칠 때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 지를 제언하며 연구를 마쳤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지금까지 미흡했던 한국어 외래어의 음운 분석을 대조언어학적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한국어 외래어의 대상을 영어 기원의 외래어로 한정했다는 점과 연구 방법이 음운 분석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한국어 외래어의 의미를 분석하고 영어 기원이 아닌 다른 한국어 외래어 음운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 대응 연구

        Fu-Jia Jun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 연어를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과 비교함으로써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연어를 교육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의 정의를 재검토해 보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용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또,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 간의 대응 양상을 비교하고, 나아가 중국인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 오류에 대해 분석하여 이를 통해 효율적인 맞춤형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어 교육은 더 이상 어휘 교육이나 문법 교육의 측면에 그치지 않고 대조언어학과 연계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의의 출발점은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위한 연어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효과적일까?'라는 근본적인 문제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연어의 정의를 다시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 중에서 연어의 정의에 대해 이론적인 측면의 논의에 지나치게 집중했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는 데 조금 한계가 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고에서 연어의 특성에서 출발하여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의 정의를 새롭게 내리었다. 연어의 어휘적 결합 관계 제약과, 연어의 공기성, 연어 의미의 투명성과 합성성, 그리고 연어 구성 요소의 선택성 등 연어의 특성을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충분히 반영하여 본고에서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연어를 '두 어휘소 간의 긴밀한 통사적 결합 구성으로, 선택의 주체(연어핵)가 되는 어휘요소가 선택의 대상(연어변)이 되는 어휘요소를 제약적으로 선택하고 공기하며 통사적 의미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구성'으로 보았다. 본고에서 내린 한국어 연어의 정의를 바탕으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용 연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먼저 북경대 『한국어』를 비롯한 5가지의 중국 현지의 한국어 교재에 대한 조사를 통해 중국의 한국어 연어 교육 양상을 고찰하였다. 교재 분석을 통해 추출된 연어 항목을 본고에서 제기할 교육용 연어 목록으로 선정하는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먼저 각 연어 항목은 본고에서 제기한 연어의 정의에 부합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다음에 연어 사용 빈도와 학습 난이도를 선정 기준으로 보고 『학습용 기본 명사 연어 빈도 사전』에서 고빈도 연어로 등재되며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3))>에서 제시한 어휘로 구성하는 연어를 교육용 연어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91개의 연어를 교육용 연어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육용 연어 항목에 대해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한국어 연어는 중국어로 대응할 때 주로 중국어 구, 어휘, 사자성어와 대응 관계를 이룬다. 따라서 본문에서 한국어 연어의 통사 구성에 따라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을 대조적 관계와 비대조적 관계로 나누었다. 대조적 관계는 중국어 대응 표현의 통사 구성이 한국어 연어와 일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의미 측면에서 대조적 관계의 하위 분류는 다시 완전 대응 관계와 부분 대응 관계로 나눌 수 있다. 완전 대응 관계에는 한국어 연어이든지 중국어 대응 표현이든지 구성요소의 의미는 모두 기본 의미를 유지하며 1대1의 대응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부분 대응 관계에는 한국어 연어의 구성 요소의 확장 의미로 인해 중국어에서 대응할 때 해당하는 어휘의 기본 의미로 번역하면 안 되고 한국어 어휘의 확장 의미와 일치하는 다른 중국어 어휘를 차용하여 대응시켜야 한다. 비대조적 관계는 중국어 대응 표현의 통사 구성이 한국어 연어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비대조적 관계에는 중국어의 다양한 구, 어휘 및 사자성어가 포함되고 있다. 한국어 연어는 중국어와 대응할 때 다양한 대응 양상이 보인다. 완전 대응적 관계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중국어 대응 양상에 의해 한국어 연어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부분 대응적 관계와 비대응적 관계에는 중국어 대응 양상이 한국어 연어와 의미나 통사 구성의 차이점이 많기 때문에 연어를 공부할 때 어렵게 한다. 이런 비대칭적인 대응 관계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사용 오류를 이루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한국어 연어의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에 의해 학습자들의 연어 오류를 쉽게 예측할 수 있고 오류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대조 분석과 오류 분석을 바탕으로 연어 교육에 대해 시사점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도 제기할 수 있다. 한국어 연어와 중국어에서의 대응 양상에 대한 대조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연어를 사용할 때 실제적으로 나타난 오류들을 분석하여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도 밝혔다. 본고에서는 번역식 문제의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연어 오류를 수집하였다. 조사 대상은 중국 현지에 있는 대학교의 한국어과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36명의 학생이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총 356개의 연어 오류를 수집하였고 오류의 원인에 따라 구체적인 오류를 다시 아래와 같은 4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첫째,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이다. 한·중 의미 차이로 인한 오류, 중국어 어휘 직역으로 인한 오류 등은 이에 해당한다. 둘째,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이다. 유의어의 대치 오류, 자동사와 타동사의 혼동 오류 등은 이에 해당한다. 셋째, 조사의 오류이다. 넷째, 기타 오류이다. 오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는 22.2%로 오류율이 가장 높고, 오류율이 두 번째로 높은 것은 조사의 오류(20.8%)이다.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의 오류율은 15.7%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이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연어를 학습할 때 역시 모국어의 간섭을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 연어를 가르칠 때 한·중 언어에서 대응하는 연어 표현을 서로 비교하여 의미나 형태적 측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강조하는 것을 통해 한국어 연어에 대해 정확한 인식을 형성하여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한편, 중국어 어법 체계에 격조사가 없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이 연어를 활용할 때 구성요소인 조사에 대해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연어 구성의 통사적 특성에서 출발하여 해당한 조사를 쓰는 이유를 학습자들에게 밝혀야 한다. 비록 목표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는 이 세 가지의 오류의 유형 중에 수량이 가장 적지만 한국어 내부에 있는 유의어의 의미와 형태에 대한 변별은 역시 한국어 연어 학습의 난점이 된다. 한국어의 유의어를 잘 구분하지 못한다면 특정한 연어 구성에 잘 어울리지 않는 유의어를 써서 오류를 보인다. 이런 목표어의 간섭으로 인한 연어의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와 형태의 차이점도 학습자들에게 학습 과정에서 강조해야 한다. 한·중 언어 표현의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연어를 공부할 때 겪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연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조언어학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는 문법번역식 교수법과 공동체 언어 학습법의 이론을 결합시켜 '도입-번역활동-활용-마무리'와 같은 4단계로 구성된 새로운 수업 모형을 마련하였고 등급별로 수업 실례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ng Chinese Korean-learners in collocation by comparing Korean collocation with corresponding aspects in Chinese Language from a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For this, a definition of collo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examined and a list of collocation for systematic education for Chinese Korean-learners was selected. And corresponding aspects between Korean language collocation and Chinese language were compared and furthermore, an education plan of effective customized collocation education by analyzing Chinese learners' errors of using collocation. Collocation education in the study did not stay at aspects of lexical education or grammar education and was examined from a new viewpoint by connecting it with contrastive linguistics. This discussion began from a fundamental question of 'how should collocation education for Chinese Korean-learners effectively be done?'.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this, this thesis developed the following progress of discussion. First, the definition of collocation was reexamined. Because the existing studies focused obsessively on discussing theoretical aspects of the definition of collocation, there was a limit to apply thi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is point, the thesis bega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and gave a new definition of collo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including restrictions of lexical combination relationship of collocation, collocative co-occurrence, transparency and compositionality of the collocative meanings, and selectivity of collocative elements enough in the si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considered collocation as the syntactic combinatorial construction between two lexemes, selected and co-occurred the lexical elements of the main agent of choice (Base) which become a subject of choice (Collocate) selectively in practical terms, and regarded the syntactical meanings as the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composition. Based on Korean language collocation defined in the thesis, a list of educational collocation for Chinese Korean-learners was selected. First, Chinese collocative educational aspects of Korean language were studied through a survey on 5 Chinese local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ing 『Korean Language』 by Peking University. In order to secure the validity that collocative items extrac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are selected as a list of educational collocation to be raised in the thesis, it first checked if each collocative item corresponds to the definition of collocation done in it or not. Next, considering frequent use in collocation and learning difficulty as criteria for selection, collocation composed with vocabularies very frequently registered in 『Basic Noun Collocation Frequency Dictionary for Learning』 and presented in <Result Report for Selecting Vocabularies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3))> was selected as educational collocation. Finally, 291 collocations were selected as educational collocation through this. For the selected educational collocation item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collocation and corresponding aspects in Chinese language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from the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Korean language collocation mostly ha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Chinese phrases, vocabularies, and four character idioms when corresponding to Chinese. Therefore, corresponding aspects in Chinese language were divided into contrastive and noncontrastive relationships according to syntactic 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collocation. The contrastive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syntactic construction of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Chinese language accords with Korean language collocation. And the subclassification of the contrastive relationship in an semantic aspect can again be divided into complete and partial corresponding relationships. The complete corresponding relationship keeps the basic meanings and forms 1:1 corresponding relationships in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collocation and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Unlike this, in the partial corresponding relationship, Korean language should not be translated into the basic meanings of the applicable vocabularies when corresponding to Chinese language due to the extended meanings of the collocative elements but correspond to it by borrowing other Chinese vocabularies which accord with the extended meanings of Korean vocabularies. The noncontrastive relationship indicates that syntactic construction of corresponding expressions of Chinese language does not accord with Korean language collocation. The noncontrastive relationship includes various phrases, vocabularies, and four character idioms of Chinese language. Korean language collocation shows various corresponding aspects when corresponding to China. The complete corresponding relationship is helpful for Chinese learners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Korean language collocation more easily by the corresponding aspect of Chinese language. However, the partial and noncorrepsonding relationships mak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studying allocation because there are a lot of differences between Chinese responding aspects and collocation and the semantic or syntactic co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This noncontrastiv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comes a factor of Chinese Korean-learners' errors of using collocation. Therefore, learners' collocation errors can easily be expected and analyzed by the corresponding aspects of Korean language collocation in Chinese language. Furthermore, implications for collocation education and efficient educational plants can be raised based on the contrastive and error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rastive analysis on the corresponding aspects in Korean language collocation and Chinese language, causes of Chinese learners' errors were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errors that practically appeared when they use Korean language collocation. The thesis collected Chinese learners' collocative errors through a survey on translation questionnaires. The subject of the survey was 36 students who study Korea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a local Chinese university. Total 356 collocation errors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And according to the causes of the errors, the specific errors were divided into 4 types as follows: First, it's errors due to effects of the native language. Errors due to differences of meaning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nd errors due to literal translation of Chinese vocabularies into Korean ones are applicable to this. Second, it's errors due to effects of target languages. Substitution errors of synonyms, errors of confusing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etc. are applicable to this. Third, it's errors of postpositional particles. Fourth, it's other errors.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errors have found as follows: The errors of the native language have found that the error rate is highest as 22.2%, followed by the errors of postpositional particles (20.8%). The error rate of the errors due to the effects of target languages is relatively low as 15.7%. This has found that Chinese learners receive much interference from their mother language when learning collocation. Therefore, 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emantic or morphological aspects of collocative expressions that Korean language corresponds to Chinese language should be emphasized by comparing them with each other, education should be done to make learners utilize Korean language collocation by recognizing it exactly. On the other hand, Chinese learners are not familiar with postpositional particles, the element used when utilizing collocation because there are no any case-making postpositional particles in the Chinese grammar system. Therefore, the reason to use applicable postpositional particles should be given to learners by beginning from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collocation. Even though it's the lowest number of errors due to effects of target languages among these three error types, semantic and morphological distinction of synonyms in Korean language becomes difficulties in collocative learning of Korean language. If Korean synonyms are not well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errors have been found by using synonyms which do not match specific collocation. In order to solve collocative errors due to interference of these target languages, semantic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Korean synonyms should be emphasized to learners in the learning process. In order to overcome difficulties that Chinese learners study Korean language allocation due to differences in Korean and Chinese expressions, efficient educational plans of collocation were suggested from the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A new instructional model composed of 4 stages of 'Introduction-Translation activity-Utilization-Finish' was prepared by combining the grammar-translation teaching method which well reflects contrastive linguistics with the theory of the learning method of community language and examples of classes by grade were suggested.

      • 한국어와 일본어의 타동성 대조 연구

        야하타 사나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69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타동성을 문법적 실현 양상과 인식 차이에 따른 표현 양상을 대조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타동성은 문법적으로 어떻게 실현되느냐가 구문적 차이에 영향을 준다. 또한 같은 사태에 대하여 타동성을 인식하는 양상이 언어마다 다르므로 표현 자체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동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타동사 구문과 자동사 구문의 차이를 실현 양상과 인식 양상의 두 측면에서 대조하고자 하였다. 타동성이 문법적으로 어떻게 실현되는지 한국어와 일본어의 타동성 실현 양상을 비교한 결과, 양 언어의 격 실현이 타동성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타동성의 정도가 높은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의 구문적인 차이는 없고 원형적인 타동 구문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타동성이 낮은 경우 한국어는 타동 구문으로 나타나는 반면에 일본어는 타동 구문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어와 일본어의 타동성 인식 양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인식 조사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인식 조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표현과 자연스러운 표현에 대한 질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행위주의 의도성을 직접 표현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일본어 모어 화자는 의도성을 직접 표현하지 않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어의 경우 상황에 따라 타동사 표현과 자동사 표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일본어 모어 화자는 자동사 표현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타동성의 인식 차이가 실제 자료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용 한일 병렬말뭉치를 구축하고 한국어 드라마의 대사와 그 일본어 대역 표현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한국어의 타동사 표현이 일본어로도 타동사 표현으로 번역된 경우가 많이 나타났으나 일부 표현에서는 자동사 표현과 대응함을 확인하였다. 인식 조사와 한일 병렬말뭉치의 고찰을 통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타동성 인식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위주 인식에 차이가 있다. 한국어는 행위주를 먼저 주어로 두고 사람의 행위를 중심으로 표현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일본어는 행위주를 배경화하여 상황을 중심으로 한 표현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한국어는 행위주의 의도성을 직접 표현하고자 하는 언어인 반면에 일본어는 행위주의 의도를 직접 표현하지 않고 결과가 자연스럽게 나타난 것처럼 표현하는 언어이다. 셋째, 한국어와 일본어는 인간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다. 한국어는 인간이 의도적으로 하는 행위로 표현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일본어는 인간의 행위를 ‘자연 현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일본어는 대상이 피해를 입은 것을 강조하는 피동 표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나 한국어는 행위주의 행위에 초점을 두고 사실을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표현의 교육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행위주를 의식하여 표현하는 것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의도성을 직접 표현하는 것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셋째, 사실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도록 연습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일 병렬말뭉치 분석과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일본어 모어 화자 간에 타동성 인식 차이와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 차이를 사건의 참여자인 행위주와 대상을 중심으로 자세히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show how transitivity is realized and perceived in Korean and Japanese as a contrast. Transitivity, as a concept with varying degrees, was investigated with the intention of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in grammatical realization patterns and perceptual patterns influencing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A comparison of the realization patterns of transitivity, in Korean and Japanese grammar,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ase representation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ransitivity. While there were no syntactic differences in sentences with high transitivity, syntactic differences were found in sentences with low transitivity. In Korean, sentences with low transitivity appear as transitive structures, whereas in Japanese, transitivity was used only in sentences with high transitivity. In other words, Korean and Japanese exhibit differences in case realization in sentences with low transitivity. Nex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ransitivity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ir preferences for expressions and their judgments of how natural certain expressions are. Korean native speakers showed a tendency to prefer directly expressing the agentive intention,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showed a tendency to prefer expressions without directly expressing the intention. In Korean there were many sentences where either transitive or intransitive structures could be u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reas Japanese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intransitive structures. In situations where there was no harm to the targe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Therefore, it was observed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speakers naturally use intransitive structures when focusing on the target. To understand how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ransitivity are reflected in actual data, a parallel corpus of Korean and Japanese was constructed, comparing the dialogue of Korean dramas with their Japanese translations. Overall, a majority of transitive structures from Korean were translated into transitive structures in Japanese, however, there were instances where intransitive structures were used. In summary, when looking at the overall perception differences, Korean tends to prefer transitive structures, while Japanese tends to prefer intransitive structure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subject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Korean tends to prefer expressing the agent first and focusing on the actions of the person, while Japanese tends to put the agent in the background and prefer expressions centered around changed situations. Furthermore,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huma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Korean tends to express human actions as ‘intentional acts’, while Japanese has a tendency to express human actions as ‘natural phenomena’. Thes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ransitivity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ay lea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o use unnatural Korean expre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strategies fo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were suggested, aiming to provide useful resources in hopes of enabling them to speak a more natural Korean, similar to that of native speakers.

      • 한국어교육에서의 효율적인 발음교육 방안 연구 : 일본인 초급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효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67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를 정확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발음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정확한 발음교육은 의사소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무리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정확하게 표현한다고 해도 잘못된 발음을 한다면 가장 기본적인 의사소통에서부터 장애를 겪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발음교육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설문 결과를 통해 발음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000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들 중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만을 연도별, 유형별로 나누어 목록화하고 그 연구 성과 및 문제점을 점검하였다. II장에서는 L2 교육을 위한 외국어 교수법의 유형을 크게 구조주의적 접근방법, 기능적 접근방법, 상호작용적 접근방법으로 구분하여 언어 교수․학습 방법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발음교수법의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고자 자음과 모음, 음운변동의 경우로 나누어 제시 방법 및 학습 순서, 교육 방안 등을 기술하였다. III장에서는 발음교육이 모국어 화자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습득하려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왜 중요한지를 연역적으로 논증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언어학 전문가, 한국어교사, 한국어 학습자에게 설문을 의뢰, 이를 분석하였다. IV장에서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발음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주요 기관별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발음교육 내용과 교육 현장에서의 발음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한국어 초급 교사의 발음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발음교육의 문제점을 기술하고 향후 한국어 발음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V장에서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운체계, 음절구조, 초분절음소인 억양 등을 대조언어학적 접근법으로 기술하고 모국어의 특성 및 간섭현상(interference)으로 인해 발생되는 일본인 학습자들의 발음상의 제반 문제점과 차이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VI장에서는 한국어교육 현장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발음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V장에서의 대조분석 및 오류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발음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나아가 ‘제7차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에 실린 ‘시’와 ‘전래동화 스토리텔링’ 자료를 읽기 텍스트로 삼아, 전 단계에서 학습한 음운, 음운변동 규칙, 초분절음소 등에 관한 대조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사용 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I장에서 논의한 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발음교육 방안에 관해 연구한 전문 논문은 모두 7편이었고, 한․일 비교․대조 연구는 5편,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는 3편이었다. 그리고 유형별로 연구된 학위논문은 박사 2편, 석사에서 10편이었고 학술지는 3편뿐이었다. 이처럼 발음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 결과로서 박사학위 논문이 적은 것은 대학원의 박사 과정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이 최근에 개설되었다는 점, 그리고 개별 언어에 관한 심층 지식을 한국어교육 연구에 깊이 있게 반영할 정도로 아직은 한국어 연구 여건이 충분히 성숙되지 않았던 점에 기인한 것으로 미루어 분석하였다. II장에서는 효과적인 발음 교수․학습방안의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Lange(1980), Stern(1992) 등이 제안한 ‘다차원 언어 커리큘럼(multi-dimensional curriculum)'을 검토하였다. 다차원적 언어 커리큘럼이란 구조적․기능적․상호작용적 접근방법을 결합하여 적절히 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 VI장에서는 효율적인 발음 교수․학습 방안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즉, 구조주의 방법에서처럼 교사의 음성이나 준비된 테이프를 듣고 한국어의 발음이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따라 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연습을 시키는 방안, 둘째, 발음은 인간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정확하고 충분한 의사전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기능적 방법으로 언어의 네 영역을 통합한 발음교육을 실시하는 방안, 셋째, ‘시’와 ‘전래동화’ 읽기는 발음 교수 활동에 있어서 제한된 단어로밖에 연습할 수 없는 한계점은 있으나 Nunan(1989:48)이 제시한 ‘의사소통과제 분석을 위한 틀’을 통해 ‘노래’나 ‘역할극’ 등 상호작용적 방법을 적용하여 발음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등이 그것이다. III장에서는 언어학 전문가, 한국어교사, 일본인 학습자와 대학(원) 진학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를 분석․제시하였다. 첫째, 언어학 전문가들은 올바른 문장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발음을 하지 않고서는 전달이 불가능하므로 발음교육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둘째, 한국어 교사는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언어 사용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셋째, 일본인 초급학습자들은 발음 학습에서 목표하는 수준이 한국인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까지 바라고 있었으며, 발음교육을 통해 정확하게 발음하는 방법을 배워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랐다. 또한 이미 대학에 진학한 외국인 학습자들도 일상생활이나 학교생활에서의 의사소통에 상당 부분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에 대한 원인으로는, 한국어에 발음 규칙이 많아서, 모국어와 발음이 달라서, 연습을 하지 않아서, 모국어에 없는 발음이어서 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IV장에서는 개개인의 발음 오류 교정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임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원인으로는 교사 한 명이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가르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이를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발음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발음 교육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른 언어 기능과는 별도로 발음교육을 체계적․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언어권별로 나누어 집중적인 발음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V장에서는 첫째, 모음의 발음에 있어 혀의 위치가 비슷하기는 하나 일본어의 [e]는 음성적으로 한국어의 [e]와 [ɛ]의 중간음이다. 또 일본어의 [ɯ]는 입술을 둥글게 하지 않는 [ɨ]에 가까운 소리로 발음할 경우 ‘かつ’[kacɨ], ‘かす’[kasɨ]가 될 경우가 많다. 또한 일본어에는 한국어의 /ㅚ, ㅟ, ㅓ, ㅡ/에 대응되는 모음이 없어 발음할 때 어려움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일본인 학습자에 대한 모음 발음교육은 이러한 모음을 중점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둘째, 한국어에는 평음, 경음, 격음의 대립이 있는 반면, 일본어에는 폐쇄음, 마찰음의 유성음, 무성음의 대립이 있기 때문에 일본인 학습자들은 경음 발음을 매우 어려워하였다. 셋째,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절구조에서는 한국어에는 CVC型의 폐음절이 많은데 일본어는 ‘きん’[kiɴ], ‘いっ’[it]와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모음으로 끝나는 개음절이 많아 한국어와 다른 음절구조로 인해 어려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오류분석 결과를 통해, 일본인 학습자들은 실제 발화 녹음 분석에서 /ㅐ/, /ㅔ/, /ㅕ/, /ㅖ/, /ㅚ/, /ㅟ/의 이중모음을 상당히 어려워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처럼 한국어 발음에는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으면 습득이 어려운 요소가 많았다. 따라서 발음의 원리를 잘 알고 해당 학습자의 모국어와 비교․대조할 수 있는 한국어 교사,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짜인 교육과정, 언어권별로 구성된 발음교육용 교재의 개발 등이 긴요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다섯째, 억양의 대조 결과, 일본어 억양은 한국어에 비해 억양의 변화의 폭이 작고 그에 따른 상승도도 크지 않음을 청각을 통해서도 충분히 감지할 수 있었다. 때문에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일본어의 억양에 간섭을 받아 한국어로 이야기할 경우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애매해져 의사 전달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초래할 가능성이 많았다. VI장에서는 대조분석과 오류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토대로 일본인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발음의 오류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수업 지도계획안’을 토대로 음운과 음운변동, 초분절음소로 나누어 단원 구성 및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였다. 정확한 발음 구사는 의사소통의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언어의 네 영역과 연계된 발음교육으로 ‘시 읽기’와 ‘전래동화 읽기’ 등 실제 수업을 통해 효과적으로 한국어 발음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설계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발음 교수․학습 방안은 이미 전 단계에서 대조 분석을 통해 교수․학습한 음운, 음운변동 규칙을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습득은 물론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도 역시 매우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어 발음 교수․학습 방법은 일본인 학습자의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습득과 학습 만족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한국어와 중국어의 위치표현 대조 연구 : ‘상·하·위·아래’를 중심으로

        왕설명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paper analyzes semantical characteristics of ‘sang·ha·wi·arae’ for Chinese learning Korean, and presents, in terms of syntax and semantics,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of the usage of them, aiming at correcting the erroneous usage of them in teaching Korean. However, this paper presents a solution only through the analysis of results. In the first chapter, we give some reasons why some errors are occurred in using ‘sang·ha’ in Chinese, and ‘sang·ha’ and ‘wi·arae’ in Korean. Moreover, this chapter gives the motivation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n detail and briefs our solutions In Chapter 2, we give som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contrastive linguistics related to our works, and we discuss, ‘sang·ha’ a position expression of cognitive linguistics in Chinese, In Chapter 3, we discuss some previous works related to position expressions in Korean and Chinese. In particular, we compare and analyze the meaning of Korean ‘sang·ha·wi·arae’ and that of Chinese ‘sang·ha’ in terms of Chinese from the view point of not only their verbal role but also the role of their direction noun. We believe that the communication using these two different languages can be somehow improved by means of understanding these words and the difference of the usage of these words. This paper, we believe, contributes the teaching of Korean Chinese teachers by giving further understanding of Chines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protect some learning errors in making Chinese teaching materials. Moreover, for Chinese leaning Korean, this study presents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wo linguistic cultures.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중국어 ‘上, 下와 한국어 ‘위, 아래, 상, 하’의 의미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사용방법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통사·의미론적으로 분석하고 교육에 있어 오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는 단지 분석 결과를 통해 좋은 해결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더 이상의 연구는 여기에 제시하지 않음을 밝힌다. 제1장에서는 문제제기를 통해 중국어 ‘上, 下와 한국어의 ‘상, 하’, ‘위, 아래’를 사용함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를 밝힌다. 또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대조 언어학과 인지 언어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인지 언어학의 위치 표현인 중국어 ‘上, 下에 관한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위치 표현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중국어를 기준으로 하여 한국어의 ‘위, 아래, 상, 하’와 중국어 ‘上, 下’를 대조 분석할 것이다. 위 단어들의 동사적 역할 뿐만 아니라, 방위명사로서의 역할을 통사 의미론적으로 대조 분석할 것이다. 이 단어들의 언어적 사용법에 있어서의 차이점을 보여주고 어휘의 질적 능력을 향상시켜야 의사소통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의 대조 분석의 결과를 활용한다면 중국인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언어적 특징을 이해한 뒤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어 언어 교수에 큰 도움이 줄 수 있다. 그리고 교재 편찬 등에 활용한다면 학습상의 오류는 사전에 예방할 수도 있다. 특히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문화와 의미에 대한 상호 이해를 도울 수 있다.

      • 한국어와 중국어의 닿소리 음소 및 그 변이음에 대한 조음음성학적 대조 연구

        범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4

        이 연구는 조음음성학적 관점에 착안하여, 닿소리의 자질을 비교 제3항으로 삼아, 한국어와 중국어 닿소리 음소 및 그 변이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정밀하게 대조함으로써, 두 언어의 닿소리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그 대응 관계를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대조 결과를 중국인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론은 음소 대조, 변이음 대조, 대조 결과의 활용 등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대조 부분은 등가(等價, equivalent) 및 비교 제3항(tertium comparationis)의 원리에 바탕을 두어, 닿소리 간의 대응 관계를 찾아내었고, 활용 부분은 프레이토(Prator, 1967)의 난이도 가설에 근거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닿소리를 배울 때의 난이도 단계를 설정해 보았다. 제 2장의 음소 대조를 통해서, 한국어와 중국어 간에, 0:1, 1:0, 1:1, 2:1 따위의 대응 관계를 얻었다. 1:0의 관계는 한국어에 성문음이 있고, 중국어에 성문음이 없다는 것에서 생긴 것이고, 0:1의 대응 관계는 주로 중국어에 권설음이 있고, 한국어에 없다는 것에서 생긴 것이다. ‘긴장’ 자질로 인해 2:1의 대응 관계가 나타난다. ‘긴장’ 자질은 한국어 장애음에서는 변별 기능을 가지지만, 중국어 장애음(청음)에서는 변별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 1:1 관계는 비음과 설측음 사이, 그리고 한국어 격음과 중국어 유기음 사이에 일어난다. 제 3장의 변이음 대조 부분은, 변이음이 서로 다르게 실현되는 현상을 규칙화한 변이음 규칙을 중심으로, 각 언어 닿소리의 변이음을 기술하고 대조하였다. 한국어의 닿소리 음소의 변이음은 발성유형, 조음위치, 조음방법, 그리고 동시조음 등에 따른 변이음 규칙들이 적용되어 실현되고, 중국어의 닿소리 음소의 변이음은 발성유형과 동시 조음에 따른 변이음 규칙들이 적용되어 실현된다. 변이음 대조를 통해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간에 0:1, 1:0, 1:1, 2:0, 2:1, 4:1의 대응 관계를 얻었다. 그 결과 중국어 닿소리의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이 비교적 안정적이며, 변이음이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는 반면, 한국어 닿소리는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의 바뀜에 따라, 다양한 양상의 변이음이 실현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한국어는 첨가어이기 때문에 굴곡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고립어인 중국어는 그렇지 않다. 두 언어의 변이음 대조를 통해 한국어 닿소리의 발음 교육에서, 음소의 변이음을 무시하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제 4장에서는 음소 및 변이음 대조 결과를 활용하는 사례로써, 변이음 대응 관계를 바탕으로, 프레이토(1976)의 난이도 단계 가설을 적용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닿소리에서 겪을 어려움의 단계, 즉 난이도 수준을 설정해 보았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에게는 ‘긴장’ 자질을 구별하는 것이 가장 어렵고, 불파음화와 탄설음화, 설측음과 비음의 구개음화, 성문음의 유성음화와 구개음화, 그리고 강조하는 말에서의 목젖음화 현상 등으로 나타난 닿소리들이 그 다음으로 어렵다. 유기음, 경구개·파찰·유성음, 양순·마찰·무성음, 치조·설측음 등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다르게 해석되기 때문에 어려운 항목이 되고, 가장 쉬운 항목은 파열·유성음과 양순, 치조, 연구개 비음 따위이다. 끝으로, 이러한 대조 연구가 기여할 바를 간략하게 기술하면서,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more systematic and accurate contrast between phonemes and allophones of Korean and Chinese consonants, especially focusing on the articulatory phonetics, so to gain the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onants by using the features of consonants as the terrium comparation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which confirmed that teachers may attain much more sufficient effects in pronunciation education if they have a good understanding on not only the phonology but also the phonetics systems of both the target language and the mother tongue. The main part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the contrast of phonemes, the contrast of allophones, and the application of the contrastive result. In the part of contrast, I used equivalent and terrium comparationis principles to get the correspondence. In the part of application, I established the difficulty label of Korean consonants in case of being studied by Chinese students using the difficulty label hypothesis presented by Prator(1967). In chapter 2, by contrasting the phonemes of Korean and Chinese consonants, I got a set of correspondence such as 0:1, 1:0, 1:1, 2:1. Type of 1:0 is because of the glottal sounds, which exist in Korean, but not in Chinese. Type of 1:1 is because of the retroflex sounds which exist in chinese, but not in Korean. The feature ''tense'' caused type of 2:1 because ''tense'' is distinctive in Korean, but not in Chinese. Type of 1:1 exists between nasals, laterals, and aspirated stops. In chapter 3,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is study, I first described the allophones, following the rules made by ruling the phenomena of the allophones'' realization. I got a result that the Korean consonants are applicable to the rules from phonation types, place of articulation, manner of articulation, and coarticulation, and the Chinese consonants are applicable to rules from the phonation types and coarticulation. Then, by contrasting the two kinds of consonants, I got a set of correspondence such as types of 0:1, 1:0, 1:1, 2:0, 2:1, 4:1. Therefore, I reached a result that Chinese consonants are relatively stable in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but Korean consonants are easily changable, which may be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the two languages; Chinese is a kind of isolating language, and Korean is a kind of agglutinative language. In addition, this kind of contrast shows that the allophones can''t be ignored in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In chapter 4, as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 of the part of contrast, I tried to get the label of difficulty in Korean consonants for Chinese students, based on the correspondence of the two languages. According to it, the most difficult consonants are those classified by ''tense'' feature and the secondly difficult ones may be the unreleased sounds, flaps, palatalized sounds of laterals and nasals, voiced and palatalized sounds of glottal, also uvulas in emphasize contexts. Aspirates, palatal-affricate-voiced sounds, bilabial-fricate-voiced sounds, alveolar-later sounds etc. are difficult because they are realized differently in Chinese. The easiest ones are voiced stops, bilabial nasals, alveolar nasals and velar nasals. In the last chapter, a relationship between this study and other fields are described briefly, and studies to do further as well.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색채어 대조 연구 : 기본 5 색을 중심으로

        원티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2

        색채어는 한 나라의 전통문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고 그 나라 사람의 사고방식 또는 풍습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색채어를 자세히 살펴보면 한 나라의 기쁨과 슬픔, 좋음과 나쁨 등 모든 감정을 알 수 있다. 색채를 언어로 표현하는 색채어는 사전적 의미만 지니지 않고 민족문화적인 상징의미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 색채어는 매우 다양하며, 특히 음양오행에 따른 5가지의 색채어를 주로 사용한다. 같은 동방문화권에 속한 베트남도 음양오행에 따른 색채어를 사용하지만 한국어와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형태 구조만 다른 게 아니라 사전적 의미 또는 상징의미에도 차이점이 있으므로 양국 색채어를 대조하는 연구는 양국 언어 연구자 및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할 것이다. 한국어 색채어에 관한 연구는 90년대부터 진행되었는데 많은 성과를 이루었지만 국어쪽에 치중되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 색채어를 다른 언어의 색채어와 대조하는 연구는 한국어 색채어에 관한 연구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주로 중국어와 대조하는 연구들만 진행되었고 가끔 프랑스, 아랍어, 일본어, 미얀마어 색채어와의 대조 연구가 있었다. 베트남어 색채어는 한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어로서 색채어를 다루는 연구만 있었고 다른 언어와의 대조 연구, 특히 한국어와 대조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한국어를 제2언어로서 공부하는 학습자에게 대조 연구들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색채어를 대상으로 대조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색채어를 다음과 같은 순서로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목적의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제시했다. 제2장에서는 색채어의 개념 및 분류를 살펴본 다음에 제3장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 색채어 의미를 대조했다. 색채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와 상징의미로 나누어 양국 색채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함으로써 하노이 국립 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어 색채어 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베트남인 학습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는 총괄적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양국 언어의 교류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며 본 연구가 향후 한국어를 공부하는 베트남 학습자뿐만 아니라 베트남어를 공부하는 한국인에게 효과적인 교육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Color terms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a country’s traditional culture and strong effect to that country people’s mind and customs. Since color terms, which manifest colors through language, do not only have basic meaning but also include symbolic one, merely by figuring out more color terms, emotional features of a country such as happiness, sorrow, the good and the bad could be obviously known. There is a variety of Korean color terms, however, only five of them which are divided by the Yin Yang and Five Elements are commonly used. As a country affected by Southeast Asian culture, Vietnam also has color terms divided similarly with Korean ones except for little differences in forms and symbolic mean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comparing color term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as a source of reference for other linguistic scholars an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Korean color terms-rela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considerable achievement since 1990s, however, the focus is only Korean language without much comparision with other languages in the world. Until 2000s, some comparative studies such as Chinese, French, Arabic, Japanese, Burmese and Korean have been addressed. Whereas, in Viet Nam, linguistic researchers mainly focus on Vietnamese color terms and comparis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has been hardly mentioned. Considering the vital role of these research, the researcher decided to choose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color terms’ as the topic for her Master degree. The comparative study was implemented as follows. Chapter 1 mentioned purpose, the necessity, research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and scope of the study. Chapter 2 analyz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olor terms. Chapter 3 compared the meanings of Korean and Vietnamese color terms. To be specific, the meaning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namely basic meaning and symbolic mea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olor terms of these two countries were also clarified. In Chapter 4, through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survey, the recent teaching situation about color terms in Viet Nam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were explored in more details. In this chapter, based on opinions and expectation from students, possible solutions were also suggested. The last chapter, Chapter 5, summarized overal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hope that it will become a reference source for not onl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but also Korean learners of Vietnamese. Additionally, linguistic exchanges between Viet Nam and Korea could be strengthened in more various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